KR102115963B1 - 정밀도를 향상시킨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 Google Patents

정밀도를 향상시킨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5963B1
KR102115963B1 KR1020200003517A KR20200003517A KR102115963B1 KR 102115963 B1 KR102115963 B1 KR 102115963B1 KR 1020200003517 A KR1020200003517 A KR 1020200003517A KR 20200003517 A KR20200003517 A KR 20200003517A KR 102115963 B1 KR102115963 B1 KR 102115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unit
polygon
attribute information
case
poly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3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지은
오덕용
박준기
정은숙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촬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촬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항공촬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3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59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5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5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10Constructive solid geometry [CSG] using solid primitives, e.g. cylinders, cub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밀도를 향상시킨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치지도에서 폴리곤 객체 타입으로 표현되는 지상물이미지를 해당 지점에 위치한 실제 지형이미지와 정밀비교해서 불일치한 지점을 확인하고 해당 지점의 수치좌표를 조정하거나 상기 수치좌표 위치로 지상물이미지를 조정할 수 있으면서 수치지도 처리에 필요한 모듈들의 열화를 억제하도록 모듈들이 실장되는 함체를 효율적으로 간접 냉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정밀도를 향상시킨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정밀도를 향상시킨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Digital Cartography System Improves Accuracy}
본 발명은 수치지도 기술 분야 중 정밀도를 향상시킨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치지도에서 폴리곤 객체 타입으로 표현되는 지상물이미지를 해당 지점에 위치한 실제 지형이미지와 정밀비교해서 불일치한 지점을 확인하고 해당 지점의 수치좌표를 조정하거나 상기 수치좌표 위치로 지상물이미지를 조정할 수 있으면서 수치지도 처리에 필요한 모듈들의 열화를 억제하도록 모듈들이 실장되는 함체를 효율적으로 간접 냉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정밀도를 향상시킨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치지도에 표현되는 지상물이미지를 기하학적인 요소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점, 선, 면의 도면요소를 활용한다.
구체적으로, 수치지도에서 면으로 표현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도로경계면, 건물, 실폭하천, 수부지형경계면 등의 여러 가지 지형지물을 면형으로 표현하고 색상과 패턴으로 표시한다.
즉, 대부분 하나의 면형객체로 하나의 지형지물을 표현하나 두 개 이상의 면형객체가 이루어져 하나의 지형지물을 표현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현재 수치지도를 편집하거나 관리하는 대부분의 시스템에서는 폴리곤(Polygon) 객체로 면형을 표현하는데, 면형의 내부에 또 다른 면형이 존재할 경우 내부의 면형객체를 홀(Hole)이라고 한다.
또한, 다수의 폴리곤이 이루어져 하나의 객체를 형성하는 것을 다중폴리곤(MultiPolygon)이라 한다.
이때, 폴리곤의 색상표현을 하는 경우에 있어서 홀(Hole)은 색상을 표시하지 않는다. 즉, 구멍난 면형을 나타내는 것이다.
상술한 방식을 이용하여 수치지도(DWG 파일) 제작을 위한 입력 및 편집 작업 수행하는 경우 양끝점이 연결된 닫힌 폴리라인(Closed-Polyline)으로만 폴리곤과 다중폴리곤을 표현할 수 있다.
이때, 폴리곤 객체 및 다중폴리곤 객체가 존재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한 개의 홀을 가진 폴리곤을 표현하는 경우에 닫힌 폴리라인 내부 영역에 또 다른 닫힌 폴리라인을 표시하고, 두 개의 면형을 가진 다중폴리곤은 개별적인 닫힌 폴리라인으로 분리하여 표현이 가능하다.
하지만, 단일 지형지물을 여러 개의 객체로 표현할 수 있음으로 수치지도 입력 및 편집 작업을 하거나, 수치지도에서 어떤 지형지물을 검색하고자 할 경우에 연관되어 있는 다른 객체를 같이 고려해야함으로써 작업자의 많은 주의를 요하며 작업의 능률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홀 폴리곤인 경우 색상을 표시할 때 전체가 채워져 있는 게 아니라 내부의 홀은 표시되지 않고 구멍이 생기도록 표현해야 한다.
하지만, 종래의 홀 표시방식은 두 개의 닫힌 폴리라인 즉, 외부 폴리라인과 내부 폴리라인이 겹쳐지게 되어 내부의 폴리라인(홀)이 가려지거나, 두 개의 폴리라인이 각각 선택됨으로써, 구멍난 한 개의 객체로 표현할 수가 없다.
그리고, 폴리곤이나 다중폴리곤을 지원하는 다른 시스템의 데이터 포맷을 불러들이거나, 내보내기 할 때 객체 타입을 그대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부가적인 작업이 필요하다.
즉, 불러들일 때는 분리된 객체의 정보를 따로 관리하여야 하고 내보내기 수행 시에 저장된 파일의 시스템에서 분리된 객체를 다시 하나의 객체로 편집해 주어야만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수치지도를 오토캐드(Autocad) 시스템을 이용하여 확인 가능한데, 상위 버전의 캐드 시스템을 사용하면 폴리곤 및 다중폴리곤 객체가 존재하지만, 오토캐드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 상위 버전에서 작성된 파일은 하위버전에서 확인 불가능하여 호환성에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타응용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객체 타입을 새로 생성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타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생성된 객체를 파일로 저장한 경우 그에 따른 응용프로그램을 갖지 않으면 편집 및 수정이 불가능한 문제점도 있다.
이에, 폴리곤 별로 수치좌표 등의 고유한 속성정보를 입력해서 이를 기준으로 폴리곤들의 식별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수치지도 객체의 속성정보를 이용한 다중폴리곤 생성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한 특허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이러한 기술은 설정된 규칙에 따라 폴리곤 별로 작업자가 직접 해당하는 속성정보를 입력해야 하므로, 작업에 번거로움과 곤란함이 있었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종래에는 폴리곤 단위로 영역 또는 사물 등이 구분된 수치지도에서, 작업자가 다수의 폴리곤이 하나의 객체를 이루는 다중폴리곤과, 하나의 폴리곤이 하나의 객체를 이루는 폴리곤으로 직접 구분하고, 이렇게 구분된 각각의 폴리곤에 해당 지점의 수치좌표를 속성정보로 입력하거나, 수치좌표가 링크된 자체 고유코드를 속성정보로 입력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속성정보 입력방식은 수많은 폴리곤에 대한 속성정보 입력을 작업자가 직접 수작업으로 수행해야 하므로 업무적 부담이 컸고, 더욱이 폴리곤별로 일일이 속성정보를 확인해서 입력해야 하므로 시간적 부담 또한 컸으며, 작업자의 착오 또는 실수 등에 의해서 잘못된 속성정보가 임의의 폴리곤에 입력될 수도 있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이러한 수작업 방식은 항공촬영된 지점의 실제 지형이미지(항공촬영이미지)와 수치지도 내 해당 지상물이미지 간의 위치적 불일치를 일으켜서 정밀한 수치지도 제작을 곤란하게 하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수작업으로 진행하는 종래 기술은 폴리곤의 객체구조가 단순한 수치지도에서 제한적으로 활용될 수밖에 없는 문제도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114556호(2012.02.02.) "지피에스 및 수치정보 합성을 통한 고정밀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수치지도에서 폴리곤 객체 타입으로 표현되는 지상물이미지를 해당 지점에 위치한 실제 지형이미지와 정밀비교해서 불일치한 지점을 확인하고 해당 지점의 수치좌표를 조정하거나 상기 수치좌표 위치로 지상물이미지를 조정할 수 있으면서 수치지도 처리에 필요한 모듈들의 열화를 억제하도록 모듈들이 실장되는 함체를 효율적으로 간접 냉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정밀도를 향상시킨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수치지도 제작 소프트웨어(A)를 이용하여 제작된 수치지도를 수신받는 데이터입력모듈부(10); 상기 수치지도를 모델링한 폴리라인의 기하학적인 관계를 분석하여 엠폴리곤(MPolygon) 객체를 생성하는 생성모듈부(20); 폴리라인의 속성정보를 설정하는 속성정보설정모듈부(30); 폴리라인에 상기 속성정보를 링크하는 속성정보부착모듈부(40); 수치지도에 존재하는 엠폴리곤 객체를 검색하는 검색추출모듈부(50); 엠폴리곤 객체에 폴리곤을 추가, 제거 또는 엠폴리곤 객체의 속성정보를 제거하는 변경모듈부(60); 수치지도 정보, 엠폴리곤 객체와 폴리곤 객체와 폴리라인 객체의 각 객체별 속성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모듈부(70); 상기 검색추출모듈부(50)가 추출한 엠폴리곤 객체를 출력장치에 디스플레이시키는 디스플레이모듈부(80); 상기 구성요소(10,20,30,40,50,60,70,80)를 제어하여 엠폴리곤 객체를 구성하는 폴리곤과, 상기 폴리곤별 속성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모듈부(90); 보드 형태를 갖는 상기 구성요소(10,20,30,40,50,60,70,80)가 서버랙 형태로 실장되는 케이스(200);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200)는 전면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는 도어(210)와; 양측면에 설치되어 간접방식으로 자연냉각하는 쿨링유닛(300)과; 케이스(200)의 내부 천정부에 설치되어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센서(220)와; 상기 케이스(200)의 전면 상측에 설치되어 온도검출센서(220)의 검출온도값에 따라 쿨링유닛(3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230);를 포함하며,
상기 쿨링유닛(300)은 케이스(200)의 양측면을 각각 관통하여 고정된 다수의 공냉파이프(310)를 포함하고, 상기 공냉파이프(310)의 일단은 단차 가공되어 끼움고정부(312)가 더 형성되며, 상기 공냉파이프(310)의 타단은 내부가 빈 중공부(314)를 갖고 개방된 개방단으로 형성되며, 개방단이 케이스(200) 내부에 노출되도록 케이스(200)의 측판을 관통하여 고정되고, 상기 끼움고정부(312)에는 쿨링원통(320)이 끼워지며, 쿨링원통(320)을 관통한 끼움고정부(312)의 단부에는 고무링(316)이 끼워져 쿨링원통(320)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쿨링원통(320)은 상기 공냉파이프(310)의 갯수에 대응되게 조립되며, 서로 링크관(330)에 의해 연통되게 연결되고, 쿨링원통(320)의 내부는 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비어 있는 상태로 유지되며, 그 중에서 어느 하나의 쿨링원통(320)에는 인렛(322)이 형성되고, 인렛(322)과 대각선 방향에 위치한 쿨링원통(320)에는 아웃렛(324)이 형성되며, 인렛(322)에는 공기펌프(340)가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200)의 저면과 설치면인 지면 사이에는 다수의 흡진동유닛(600)을 더 설치하되, 상기 흡진동유닛(600)는 케이스(200)의 저면에 고정되는 상부유동블럭(610)과, 상기 상부유동블럭(610)이 탄성유동가능하게 조립되는 하부고정블럭(620)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유동블럭(610)의 하면에는 원뿔대형 상부유동홈(612)이 형성되며, 상기 원뿔대형 상부유동홈(612)의 중심에는 너트삽입홈(614)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하부고정블럭(620)의 상면에는 상기 원뿔대형 상부유동홈(612)에 삽입되고 경사접촉되어 상하방향으로 탄성유동 가능하게 다수의 유동형 경사돌기(622)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유동형 경사돌기(622)는 외측면이 상기 원뿔대형 상부유동홈(612)의 내주면 경사에 대응되게 경사형성되며 내측면은 수직하게 형성되고, 상기 유동형 경사돌기(622)가 돌출된 원중심에는 볼트체결홀(624)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볼트체결홀(624)을 통해 고정볼트(630)가 너트삽입홈(614)을 관통하여 배치된 후 너트(640)에 의해 체결되어 상부유동블럭(610)과 하부고정블럭(620)을 상호 결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도를 향상시킨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수치지도에서 폴리곤 객체 타입으로 표현되는 지상물이미지를 해당 지점에 위치한 실제 지형이미지와 정밀비교해서 불일치한 지점을 확인하고 해당 지점의 수치좌표를 조정하거나 상기 수치좌표 위치로 지상물이미지를 조정할 수 있으면서 수치지도 처리에 필요한 모듈들의 열화를 억제하도록 모듈들이 실장되는 함체를 효율적으로 간접 냉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성모듈부가 엠폴리곤(MPolygon) 객체를 생성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속성정보부착모듈부가 해당 폴리곤의 폴리라인에 속성정보를 링크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분추가모듈이 폴리곤을 일부 추가 등록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분제거모듈이 폴리곤을 일부 삭제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제모듈이 해당 폴리곤의 폴리라인에 링크된 속성정보값을 제거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f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모듈부가 폴리곤을 검색, 생성 및 편집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치지도 객체의 속성정보를 이용한 다중폴리곤 생성 방법을 나타내는 전체 흐름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리곤 또는 다중폴리곤에 속성정보를 부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상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속성정보모듈부의 구성모습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모듈부가 수치지도를 스캔하고, 속성정보설정모듈부가 속성정보를 설정하며, 속성정보부착모듈부가 해당 폴리곤에 속성정보를 링크하는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객체비교모듈부가 엠폴리곤(MPolygon) 객체, 폴리곤 객체, 폴리라인 객체 타입의 지상물이미지와 지형이미지를 비교하는 모습을 보인 이미지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객체수정모듈부가 지형이미지를 기준으로 지상물이미지의 위치 수정을 준비하는 모습을 보인 이미지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객체수정모듈부가 지상물이미지를 지형이미지에 맞춰 수정하는 모습을 보인 이미지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케이스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케이스에 설치되는 쿨링유닛의 예시도이다.
도 11은 쿨링유닛의 설치예를 보인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쿨링플레이트의 설치예를 보인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쿨링플레이트 구조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흡진동유닛의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폴리곤에 속하는 폴리라인에 일정한 속성정보를 부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바, 작업자로부터 수치지도 제작 소프트웨어(A)를 이용하여 제작된 수치지도를 수신받는 데이터입력모듈부(10)와, 폴리곤 객체를 수치지도에서 작업자가 선택해서 해당 폴리곤에 구성된 폴리라인의 기하학적인 관계를 분석하여 엠폴리곤(MPolygon) 객체를 생성하는 생성모듈부(20)와, 폴리라인에 링크된 속성정보의 값을 설정하는 속성정보설정모듈부(30)와, 폴리라인에 상기 설정된 속성정보를 링크하는 속성정보부착모듈부(40)와, 수치지도에 존재하는 엠폴리곤(MPolygon)을 검색하는 검색추출모듈부(50)와, 수치지도에 있어서 폴리라인에 링크된 속성정보를 제거 또는 링크상태를 유지시키는 변경모듈부(60)와, 엠폴리곤(MPolygon) 객체를 리스트로 등록하여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모듈부(70)와, 상기 검색추출모듈부(50)를 통해서 추출된 엠폴리곤(MPolygon)을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화면 또는 별도로 구비된 출력장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모듈부(80)와, 엠폴리곤(MPolygon) 객체, 폴리곤 객체, 폴리라인 객체 등의 객체 타입의 수치지도 제작이 완료된 수치지도와 대상 지형이미지를 서로 비교하는 객체비교모듈부(100)와, 비교결과 위치에 차이가 있는 객체를 지형이미지에 맞춰 수정하는 객체수정모듈부(110)와, 수치지도상에서 폴리곤을 검색, 생성 및 편집할 수 있도록 상기 운용 프로그램의 절차에 따라 상기 구성요소(10, 20, 30, 40, 50, 60, 70, 80, 100, 110)를 제어하는 제어모듈부(90)로 구성된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 수치지도의 처리과정은 수치지도 제작 소프트웨어(A)에 의해 수행되며 이하에서는 그 언급을 생략하겠으나, 본 발명에서 개시하는 일련의 제작 방법은 수치지도 제작 소프트웨어(A)의 일부 기능이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DWG 파일로 저장되는 수치지도를 입력받아 오토캐드(Autocad)를 이용함으로써 확인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수치지도 제작 소프트웨어(A)를 오토캐드로 설정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생성모듈부(20)는 객체선택모듈(21)을 이용하여 수치지도상에서 폴리라인을 선택하면, 확인분석모듈(22)이 폴리라인의 폐합(廢合)여부, 폴리곤 간의 공유 폴리라인의 존재여부, 폴리라인의 교차여부 또는 폴리라인 내부에 독립된 폴리라인의 존재여부 등을 고려하여 기하학적인 관계를 분석한 후, 객체생성모듈(23)을 통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폴리곤 또는 다중폴리곤(MultiPolygon)을 엠폴리곤(MPolygon) 객체로 생성한다.
여기서, 두 개 이상의 폴리곤이 하나의 폴리라인을 공유하고 있음이 확인되면, 상기 두 개 이상의 폴리곤은 다중폴리곤을 이루는 것으로 간주하고, 하나의 엠폴리곤(MPolygon) 객체로 관리한다.
한편, 확인분석모듈(22)은 폴리라인이 폐합되어 있지 않거나 서로 교차가 발생한다면 해당 폴리라인은 폴리곤을 형성할 수가 없으므로 이를 무시하고, 상기 폴리라인 내부에 독립된 폴리라인이 존재하면 해당 HOLE로 판단한다.
참고로, 다중폴리곤은 다수 개의 폴리곤이 하나의 객체를 이루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엠폴리곤(MPolygon) 객체 내의 폴리곤 개수가 1개이면 폴리곤(Polygon) 객체가 되고, 1개 이상이면 다중폴리곤(MultiPolygon) 객체가 된다.
결국, 엠폴리곤(MPolygon) 객체는 하나의 폴리곤 또는 다중폴리곤을 하나의 객체로 처리한 것으로서, 폴리곤에 대한 보다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생성모듈부(20)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생성모듈부(20)의 객체선택모듈(21)은 수치지도에 도시된 폴리라인을 확인하고, 확인분석모듈(22)은 해당 폴리라인이 폐합되었는지, 두 개 이상의 폴리곤이 하나의 폴리곤을 공유하고 있는지, 다른 폴리라인과 교차하고 있는지, 폴리라인 내부에 다른 폴리라인이 있는지 등을 확인해서, 도 4(본 발명에 따른 속성정보모듈부의 구성 모습을 도시한 블록도) 및 도 5(본 발명에 따른 제어모듈부가 수치지도를 스캔하고, 속성정보설정모듈부가 속성정보를 설정하며, 속성정보부착모듈부가 해당 폴리곤에 속성정보를 링크하는 모습을 보인 도면)에서 보인 엠폴리곤(MPolygon) 객체를 생성하고, 엠폴리곤(MPolygon) 객체의 객체데이터로 데이터베이스모듈부(70)에 저장한다.
속성정보설정모듈부(30)의 스캔모듈(31)은 생성모듈부(20)가 인식한 수치지도를 스캔하고, 폴리곤위치확인모듈(32)은 엠폴리곤(MPolygon) 객체(101, 102, 103, 104, 105)의 위치를 확인한다.
또한, 속성정보설정모듈부(30)의 속성정보설정모듈(33)은 MID, PID 및 HOLE를 포함하는 속성정보 테이블을 구성하여 각 폴리라인에 링크되는 속성정보를 설정한다.
여기서, MID는 수치지도에서 엠폴리곤(MPolygon)을 구분하기 위한 고유값을 나타내고, PID는 다중폴리곤 내에 속하는 폴리곤들의 일련번호를 나타내며, HOLE는 폴리곤내 에 속하는 개별 폴리라인에 대해 홀(Hole)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값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기 홀의 값이 1이면 Hole 객체임을 의미하고, 값이 0이면 Boundary(지도나 도면에 명기된 엄밀한 의미로서의 경계선) 객체인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속성정보설정모듈부(30)가 수치지도에서 속성정보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과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속성정보설정모듈부(30)의 스캔모듈(31)은 수치지도에서 종방향 스캐닝(111)과 횡방향 스캐닝(112) 중 하나 이상을 진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종방향 스캐닝(111)에 의한 속성정보 자동 설정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4에서 보인 바와 같이, 속성정보설정모듈부(30)의 스캔모듈(31)은 디스플레이모듈부(70)에 출력되는 수치지도를 종방향 스캐닝(111)을 해서, 우선적으로 감지되는 폴리라인을 순서대로 확인한다.
계속해서, 폴리곤위치확인모듈(32)은 우선적으로 감지된 폴리라인의 엠폴리곤(MPolygon) 객체 및 구성 폴리곤의 위치를 확인하며, 속성정보설정모듈(33)은 확인된 위치정보를 기초로 폴리곤의 속성정보를 순서대로 설정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속성정보설정모듈부(30)의 스캔모듈(31)은 종방향 스캐닝(111)을 진행하면서 폴리라인을 순차로 감지하고, 폴리곤위치확인모듈(32)은 해당 폴리라인이 소속된 엠폴리곤(MPolygon) 객체를 상기 객체데이터에서 확인해 인지하며, 속성정보설정모듈(33)은 상기 폴리라인이 소속된 엠폴리곤(MPolygon) 객체의 MID를 '1'로 설정한다.
계속해서, 상기 폴리라인은 상기 엠폴리곤(MPolygon) 객체에서 최초로 감지되었으므로 상기 폴리라인의 대상 폴리곤 식별코드인 PID를 '1'로 설정하며, 상기 폴리곤이 홀인지 여부를 확인해서 홀인 경우 HOLE을 '1'로 설정하고 HOLE이 아닌 경우에는 '0'으로 설정한다.
결국, 속성정보설정모듈(33)은 상기 폴리곤의 속성정보를 (1,1,0)으로 자동 설정한다.
계속해서, 스캔모듈(31)이 다음으로 새롭게 감지한 폴리라인을 폴리곤위치확인모듈(32)은 다음 폴리곤으로 간주하고, 속성정보설정모듈(33)은 전술한 절차에 따라 상기 폴리곤의 속성정보를 (1,2,0)으로 자동 설정하며, 그 다음의 폴리곤은 (1,3,0)으로 자동 설정한다.
이러한 과정으로 모든 폴리라인이 감지될 때까지 속성정보를 연속해서 자동 설정하며, 첫 번째 엠폴리곤(MPolygon) 객체(101)는 6개의 폴리라인이 감지되어서 해당 폴리곤에 속성정보가 자동설정된다.
다음으로, 첫 번째 엠폴리곤(MPolygon) 객체(101)의 폴리곤 별 속성정보가 모두 설정되면, 두 번째 엠폴리곤(MPolygon) 객체(102)를 확인해서, MID를 '2'로 설정한다.
참고로 두 번째 엠폴리곤(MPolygon) 객체(102)는 1개의 폴리곤으로 구성되므로, 두 번째 엠폴리곤(MPolygon) 객체(102)의 속성정보는 (2,1,0)으로 자동 설정된다.
다음으로, 세 번째(103), 네 번째(104), 다섯 번째 엠폴리곤(MPolygon) 객체(105)는 유사한 높이 선상에 위치한다.
그러나, 다수의 엠폴리곤(MPolygon) 객체(103, 104, 105)가 유사한 높이 선상에 중첩되어도, 속성정보설정모듈부(30)는 서로 연결된 폴리라인을 하나의 엠폴리곤(MPolygon) 객체로 간주해서 우선 감지한 후 동일한 MID에 소속시키고, 아울러서 서로 연결된 폴리라인이 이루는 폴리곤을 하나의 엠폴리곤(MPolygon) 객체로 간주해서 PID를 설정한다.
따라서, 세 번째 엠폴리곤(MPolygon) 객체(103)에 구성된 폴리라인 보다 네 번째 엠폴리곤(MPolygon) 객체(104)에 구성된 폴리라인이 종방향 스캐닝(111) 과정에서 우선 감지되어도, 서로 연결된 세 번째 엠폴리곤(MPolygon) 객체(103)의 구성 폴리라인을 하나의 엠폴리곤(MPolygon) 객체로 조합해 속성정보를 설정하고, 네 번째 엠폴리곤(MPolygon) 객체(104)의 구성 폴리라인은 이와 병행해서 독립적으로 새로운 속성정보를 설정한다.
결국, 세 번째 엠폴리곤(MPolygon) 객체(103)의 속성정보는 네 번째 엠폴리곤(MPolygon) 객체(104) 위치와는 상관없이 (3,n,n)으로 자동 설정되고, 네 번째 엠폴리곤(MPolygon) 객체(104)는 (4,n,n)으로 속성정보가 자동 설정된다.
한편, 네 번째 엠폴리곤(MPolygon) 객체(104)는 홀 형식의 폴리곤을 갖추며, 따라서 자동 설정되는 속성정보는 (4,1,0)과(4,1,1)이다.
물론, 다섯 번째 엠폴리곤(MPolygon) 객체(105)는 네 번째 엠폴리곤(MPolygon) 객체(104)에서 (4,1,0)과 (4,1,1)을 속성정보로 하는 폴리곤들 사이에 위치하나, 전술한 바와 같이 네 번째 엠폴리곤(MPolygon) 객체(104)와는 상관없이 (5,1,0)으로 속성정보가 자동 설정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속성정보설정모듈부(30)는 수치지도를 스캐닝해서 엠폴리곤(MPolygon) 객체의 위치 순서를 확인하고, 이렇게 확인된 위치 순서와 생성모듈부(20)가 확인한 엠폴리곤(MPolygon) 객체정보를 조합해서 폴리곤 별 속성정보를 자동으로 설정한 후, 데이터베이스모듈부(70)에 저장한다.
한편, 전술한 실시 예에서와 같이 종방향 스캐닝(111) 중 동일한 위치 선상에 있는 두 개 이상의 엠폴리곤(MPolygon) 객체들이 감지되면, 상기 엠폴리곤(MPolygon) 객체들을 횡방향 스캐닝(112)해서 해당하는 감지순서로 속성정보를 자동 설정한다.
속성정보부착모듈부(40)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라인에 상기 설정된 속성정보를 링크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술한 속성정보(MID, PID, HOLE)를 구성하여 각각의 폴리곤을 이루는 폴리라인에 속성정보를 링크한다.
이는, 사용자가 수치지도에서 선택한 폴리라인이 다중폴리곤(MultiPolygon)을 형성하면 그에 따른 속성정보를 구성하고 각각의 폴리라인에 속성정보를 링크한다.
한편, 수치지도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폴리라인이 폴리곤(Polygon)을 형성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속성정보(MID, PID, HOLE)를 구성하여 각각의 폴리라인에 속성정보를 링크한다. 이때, 폴리라인은 홀(Hole)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검색추출모듈부(50)는 수치지도상에서 폴리라인을 검색하고, 그에 따른 다중폴리곤을 생성하고, 다중폴리곤 내의 폴리라인을 추출한 후, HOLE이 0인 경우에 처리객체를 Boundary 객체로 등록시키고, HOLE이 1인 경우에 처리객체를 HOLE 객체로 등록시킴으로써, 엠폴리곤(MPolygon) 객체의 속성정보들을 저장 및 관리한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모듈부(70)에 저장되는 엠폴리곤(MPolygon) 객체를 편집 또는 다른 포맷형식으로 변경 저장하여 관리할 수도 있다.
변경모듈부(60)는 엠폴리곤(MPolygon)에 폴리곤을 추가, 제거, 또는 엠폴리곤(MPolygon)의 모든 속성정보를 제거함으로써 일반 폴리라인(Closed Polyline)으로 전환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변경모듈부(60)는 기등록된 엠폴리곤(MPolygon)에 속하는 폴리라인들과 사용자가 추가하기 위해 선택한 폴리라인들을 함께 확인분석모듈(22)을 이용한 기하학적인 관계를 고려하고 설정모듈부(30)에 의하여 속성정보를 재구성하여 폴리라인에 부착함으로써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엠폴리곤(MPolygon)에 폴리곤을 추가하는 부분추가모듈(51)과,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등록된 엠폴리곤(MPolygon)에서 작업자가 선택한 폴리곤을 일부 삭제하는 부분제거모듈(52)과,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등록된 엠폴리곤(MPolygon)에 속하는 모든 폴리라인에 부착된 속성정보를 제거하는 해제모듈(53)을 포함한다.
이때, 해제모듈(53)은 기등록된 엠폴리곤(MPolygon) 객체를 데이터베이스모듈부(70)에서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객체비교모듈부(100)는 전술한 과정에 따라 완성된 엠폴리곤(MPolygon) 객체, 폴리곤 객체, 폴리라인 객체 등의 객체 타입의 지상물이미지와, 상기 폴리곤 객체의 대상이 된 지형이미지를 서로 비교한다.
이를 위해서 객체비교모듈부(100)는 폴리곤 기술에 의해 완성된 수치지도의 대상 지형이미지를 데이터베이스모듈부(70)에서 검색하고, 수치좌표를 기준으로 지형이미지와 수치지도의 지상물이미지를 도 6(본 발명에 따른 객체비교모듈부가 엠폴리곤(MPolygon) 객체, 폴리곤 객체, 폴리라인 객체 등의 객체 타입의 지상물이미지와 지형이미지를 비교하는 모습을 보인 이미지)에서 보인 바와 같이, 서로 비교한다.
비교결과, 제2지형이미지를 기준으로 제2지상물이미지의 위치가 제 위치를 벗어났음이 확인된다.
객체수정모듈부(110)는 이를 확인하고 도 7(본 발명에 따른 객체수정모듈부가 지형이미지를 기준으로 지상물이미지의 위치 수정을 준비하는 모습을 보인 이미지) 및 도 8(본 발명에 따른 객체수정모듈부가 지상물이미지를 지형이미지에 맞춰 수정하는 모습을 보인 이미지)에서 보인 바와 같이, 상기 제2지상물이미지를 제2지형이미지에 맞춰 이동시켜서 대상이 되는 엠폴리곤(MPolygon) 객체, 폴리곤 객체, 폴리라인 객체 등의 객체 타입의 지상물이미지를 갱신한다.
결국, 작업자가 객체 타입의 수치지도 초안을 완성한 후 지상물이미지의 위치가 옳은 지 여부를 일일이 체크할 필요 없이, 객체비교모듈부(100)의 이미지 조합과 객체수정모듈부(110)의 수정을 통해 자동으로 처리하므로, 효율적이면서도 정확한 오차 확인 및 그 처리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제어모듈부(90)는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입력모듈부(10), 생성모듈부(20), 속성정보설정모듈부(30), 속성정보부착모듈부(40), 검색추출모듈부(50), 변경모듈부(60), 데이터베이스모듈부(70), 디스플레이모듈부(80), 객체비교모듈부(100), 객체수정모듈부(110)를 제어함으로써, 수치지도 객체의 속성정보를 이용한 다중폴리곤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시스템을 통해 수치지도 객체의 속성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어모듈부(9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파일 포맷(SHP, NGI등) 형식으로 제작된 수치지도을 작업자로부터 수신한다(S2) 본 실시예에서 수지도면을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것으로 설정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행화면(DWG 면)만을 실행시킨 상태에서도 작업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제어모듈부(90)는 폴리라인에 속성정보를 부여한다(S4). 즉, 폴리라인에 속성정보를 부여하는 상기 제 S4 단계를 도 3b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어모듈부(90)는 고유한 id값을 새로 생성한다(S4a). 여기서 id는 폴리곤 또는 다중폴리곤을 식별하기 위한 고유한 값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다음, 제어모듈부(90)는 수치지도를 구성하는 폴리곤 객체 또는 다중폴리곤 객체를 처리하기 위해 PID의 'count= 0'으로 초기화시킨다(S4b). 여기서 count는 수치지도를 구성하는 폴리곤 객체 또는 다중폴리곤 객체의 개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우선, 제어모듈부(90)는 속성정보를 엠폴리곤(MPolygon) 객체 내의 Boundary 폴리라인에 링크한다(S4c) 구체적으로, 제어모듈부(90)는 수치지도상에서 엠폴리곤(MPolygon) 객체 내의 폴리곤을 검색한 후(S4c1), 상기 폴리곤에 따른 속성정보(MID, PID, HOLE)를 생성한다(S4c2). 이때, count는 'count+1'로 자동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폴리곤의 카운트 순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속성정보설정모듈(30)의 스캐닝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설정된다.
제어모듈부(90)는 상기 추출된 폴리곤의 속성정보값을 'MID = id, PID = count, HOLE = 0'으로 설정한 후 (S4c3), 상기 설정된 속성정보를 엠폴리곤(MPolygon)내의 Boundary 폴리라인에 링크한다.
제어모듈부(90)는 수치지도상에서 엠폴리곤(MPolygon) 내의 HOLE 폴리라인을 검색한 후(S4d1), 상기 폴리라인에 따른 속성정보(MID, PID, HOLE)를 생성한다(S4d2).
제어모듈부(90)는 상기 추출된 Hole 폴리라인의 속성정보 값을 'MID = id, PID = count, HOLE = 1'로 설정한 후(S4d3), 상기 설정된 속성정보를 폴리곤 내의 Hole 폴리라인에 링크한다.
다음으로, 제어모듈부(90)는 수치지도에 속성정보가 링크된 엠폴리곤(MPolygon) 객체를 검색한 후, 처리된 객체를 선택한다(S6). 이때, 제어모듈부(90)는 상기 처리된 객체에 링크된 속성정보(MID, PID, HOLE)를 확인한다(S8).
제어모듈부(90)는 상기 속성정보 중 'MID'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모듈부(70)에 저장된 객체 중 엠폴리곤(MPolygon)이 검색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S10).
상기 제 S10 단계에 있어서, 엠폴리곤(MPolygon)이 검색되는 경우 제어모듈부(90)는 'PID'를 이용하여 엠폴리곤(MPolygon)에서 폴리곤이 검색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S12).
상기 제 S12 단계에 있어서, 폴리곤이 검색되는 경우 제어모듈부(90)는 'HOLE=1'인지 여부를 판별한다(S14). 즉, 상기 제 S14 단계의 판단결과 'HOLE=1'인 경우 제어모듈부(90)는 처리 객체를 검색된 폴리곤에 Hole 객체로 등록시킨다(S16).
다음으로, 제어모듈부(90)는 엠폴리곤(MPolygon)에 폴리곤을 등록시킨다(S18). 즉, 새로 생성된 신규 폴리곤인 경우에 엠폴리곤(MPolygon)에 폴리곤을 등록시킨다. 이때, 제어모듈부(90)는 엠폴리곤(MPolygon)의 유일키를 'MID'로 설정한다(S20).
다음으로, 제어모듈부(90)는 데이터베이스모듈부(70)에 엠폴리곤(MPolygon) 등록시킨다(S22). 이는, 새로 생성된 엠폴리곤(MPolygon)인 경우에 데이터베이스모듈부(70)에 등록시킨다.
마지막으로, 제어모듈부(90)는 데이터베이스모듈부(70)에 신규폴리곤 및 신규폴리곤을 포함하는 신규 엠폴리곤(MPolygon)을 등록 및 관리한다.
반면, 상기 제 S14 단계의 판단결과 'HOLE=0'인 경우 제어모듈부(90)는 처리 객체를 검색된 폴리곤에 Boundary 객체로 등록시킨다(S24). 만일, 상기 제 S12 단계에 있어서, 폴리곤이 검색되지 않는 경우 제어모듈부(90)는 새로운 폴리곤을 생성한다(S26).
또한, 상기 제 S10 단계에 있어서, 엠폴리곤(MPolygon)이 검색되는 않는 경우 제어모듈부(90)는 새로운 엠폴리곤(MPolygon)을 생성한다(S28).
덧붙여,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상기 데이터입력모듈부(10), 생성모듈부(20), 속성정보설정모듈부(30), 속성정보부착모듈부(40), 검색추출모듈부(50), 변경모듈부(60), 데이터베이스모듈부(70), 디스플레이모듈부(80), 제어모듈부(90), 객체비교모듈부(100) 및 객체수정모듈부(110)는 보드 형태로 구성되고, 도 9의 예시와 같은 케이스(200) 내부에 서버랙 형태로 실장된다.
이때, 케이스(200)는 데이터센터 등에 설치된 것과 같이 사람 키 정도의 크기를 갖는 하우징이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200)의 전면에는 작업자가 유지보수를 위해 출입할 수 있는 도어(210)가 설치되고, 양측면에는 쿨링유닛(300)이 설치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 천정부에는 온도검출센서(220)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200)의 전면 상측에는 컨트롤러(230)가 설치되어 상기 온도검출센서(220)의 검출온도값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230)가 상기 쿨링유닛(300)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쿨링유닛(300)이 필요한 이유는 서버랙 형태로 케이스(200) 내부에 실장된 다수의 모듈들은 고속의 처리속도를 갖기 때문에 열이 많이 발생하게 되므로 냉각불량시 열화되게 쉽다. 때문에, 열화방지를 위해 충분히 냉각되어야 하며, 또한 수리 기간을 제외하고는 도어(210)를 개방하지 않아야 하는데 이는 먼지 등에 의해 정전기가 유발되고 이는 쇼트로 이어져 신호처리 에러나 구동 정지 사태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케이스(200)는 간접 냉각방식으로 냉각시켜야 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상기 쿨링유닛(300)은 도 9 내지 도 11의 예시와 같이, 케이스(200)의 양측면을 각각 관통하여 고정된 다수의 공냉파이프(31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공냉파이프(310)의 일단은 단차 가공되어 직경이 작은 끼움고정부(312)가 더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공냉파이프(310)의 타단은 내부가 빈 중공부(314)를 갖고 개방된 개방단으로 형성되며, 개방단이 케이스(200) 내부에 노출되도록 케이스(200)의 측판을 관통하여 고정된다.
따라서, 케이스(200) 내부의 열기는 상기 공냉파이프(310)의 개방단을 통해 중공부(314) 속으로 들어가게 되고, 그 속에서 열교환된 후 다시 빠져나오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간접 냉각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끼움고정부(312)에는 쿨링원통(320)이 끼워지고, 쿨링원통(320)을 관통한 끼움고정부(312)의 단부에는 고무링(316)이 끼워져 쿨링원통(320)이 이탈되지 않게 고정지지 하게 된다.
이 경우, 고무링(316)은 견고한 고정력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쿨링원통(320)이 격자형으로 엮여 형성되므로 그냥 걸림 기능 정도만 해도 쉽게 빠지지 않기 때문에 고무링(316)으로 걸림 기능만 하도록 구성하면 된다.
아울러, 상기 쿨링원통(320)은 상기 공냉파이프(310)의 갯수에 대응되게 조립되고, 서로 링크관(330)에 의해 연통되게 연결되며, 내부는 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비어 있는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상기 쿨링원통(320)은 링크관(330)에 의해 연결되어 대략 격자 형태를 갖게 되며, 그 중에서 일측 모서리쪽에 해당하는 쿨링원통(320)에는 인렛(322)이 형성되고, 그와 대각선 방향에 위치한 쿨링원통(320)에는 아웃렛(324)이 형성되며, 인렛(322)에는 공기펌프(340)가 연결된다.
따라서, 공기펌프(340)에 의해 펌핑된 공기는 실외 공기로서 케이스(200) 내부의 공기보다 온도가 낮기 때문에 이 공기가 순환하다가 아웃렛(324)으로 빠져나가는 과정중에 공냉파이프(310)의 중공부(314)에 위치한 내부공기와 간접 열교환되어 내부공기를 냉각시키게 된다.
때문에, 상기 공냉파이프(310)와 상기 쿨링원통(320)은 열전도도가 우수한 소재, 바람직하게는 동, 알루미늄으로 제조됨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공냉파이프(300)의 일부는 외기중에 노출된 상태이므로 이 부분을 통해서도 간접 열교환에 의해 냉각이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은 이중 간섭 열교환에 의한 쿨링 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이를 더욱 더 강화시키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 9의 예시와 같이 쿨링유닛(300)의 상측에 크로스플로우팬(350)을 더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크로스플로우팬(350)은 횡류팬으로서, 직하방에 설치된 쿨링유닛(300)을 향해 에어커튼을 형성하듯 바람을 불어 내고 이로 인해 쿨링유닛(300)을 구성하는 쿨링원통(320)이 내,외측에서 공기에 의해 공냉됨으로써 냉각 효율을 더욱 더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덧붙여, 도 11에서와 같이, 케이스(200)는 잘 열리지 않기 때문에 외기와 내기의 소통이 필요하기도 하므로 케이스(200)의 상단면 양측에 필터유닛(400)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유닛(400)은 교체하기 쉽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그래야, 눈막힘없이 오래 제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필터유닛(400)을 사용하는 이유는 더스트나 미세먼지 등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필터유닛(400)은 필터관(410)을 통해 케이스(200) 내부와 연통되게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유닛(400)은 필터관(410)에 연결되고 하부가 개방된 유닛하우징(420)과, 상기 유닛하우징(420)의 내경에 나사체결되고 필터망을 갖춘 망체(430)와, 둘레에 다수의 구멍이 뚫려 있고 상기 유닛하우징(420)의 외경에 나사체결되는 외부캡(440)을 포함한다.
그리하여, 외부캡(440)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구멍을 통해 외부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망체(430)를 통해 여과된 상태로 유닛하우징(420)으로 유입되며, 이를 통해 케이스(200) 내부로 들어가며, 반대로 케이스(200) 내부의 온도가 높아지면 내부 공기가 밖으로 나오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필터유닛(400)는 큰 볼륨이 아니라 소형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이것만으로 냉각기능을 달성할 수는 없으므로 상술한 구성이 요구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도 12 및 도 13에서와 같이, 케이스(200) 내부의 냉각 효율증대 및 냉각 안정화를 강화시키도록 쿨링플레이트(5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쿨링플레이트(500)는 틀 형태의 쿨링프레임(510)과, 상기 쿨링프레임(510)의 내측 둘레에 용접 고정된 각파이프가 사각틀 형태로 형성된 쿨링채널(520)과, 상기 쿨링채널(520)의 내부면 둘레에 고정되고 다수의 구멍(532)이 천공된 쿨링편(530)을 포함한다.
그리하여, 상기 쿨링편(530)의 일측면이 상기 공냉파이프(310)의 개방단에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공냉파이프(310)의 개방단이 폐쇄되지 않도록 상기 구멍(532)이 일치되게 맞대어진 채로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구멍(532)은 상기 공냉파이프(310)의 개방단과 구경이 대응되게 구성될 수도 있고, 그에 맞는 갯수로만 형성될 수도 있다.
때문에, 도 12의 경우는 예시적인 도면으로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쿨링편(530)은 금속, 그것도 열전도성이 뛰어난 동 혹은 알루미늄으로 구성함으로써 내부 발열시 열 흡수에 따른 자체 냉각기능도 수행한다.
특히, 상기 쿨링채널(520)은 일종의 버퍼링 챔버 공간으로서 내부에는 쿨링성물질이 채워져 쿨링 기능을 증대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쿨링성물질로는 쿨링특성을 높일 수 있도록 벤젠 5중량%, 황산가돌리늄 15중량%, 황산테르븀 5중량%, 빙초산(Glacial Acetic Acide) 40중량% 및 나머지 액상파라핀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주입은 도시하지 않았지만 주입구를 통해 주입한 후 마개로 밀봉하는 형태로 유지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벤젠은 어느점이 5.5℃로서, 냉감기능을 증대시키는데 기여하고, 황산가돌리늄은 희토류 원소인 가돌리늄(Gd)의 황산화물로서, 자기냉각특성이 있어 강화시키므로 축냉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황산테르븀도 희토류 원소를 포함하는 것으로 자기냉각특성에 따른 축냉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빙초산(Glacial Acetic Acide)은 어느점이 14.5℃ 이상으로서 상온에서도 어는 특성이 있어 축냉성을 강화시킨다.
아울러, 상기 액상파라핀은 대표적인 PCM(상변화물질)로서 축냉을 강화시킨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케이스(200)가 큰 볼륨의 설비일 뿐만 아니라, 다수의 모듈형 보드를 실장하고 있고 또한 전기자기적인 신호처리를 수행해야 하므로 진동에 대해 안전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 14의 예시와 같이, 케이스(200)의 저면과 설치면 사이에 다수의 흡진동유닛(600)을 더 설치한다.
상기 흡진동유닛(600)은 케이스(200)의 저면에 고정되는 상부유동블럭(610)과, 상기 상부유동블럭(610)이 탄성유동가능하게 조립되는 하부고정블럭(620)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유동블럭(610)의 하면에는 원뿔대 형상의 상부유동홈(612)이 형성되고, 상기 원뿔대형 상부유동홈(612)의 중심에는 이를 관통하여 너트삽입홈(61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고정블럭(620)의 상면에는 상기 원뿔대형 상부유동홈(612)에 삽입되어 경사접촉됨으로써 그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탄성유동 가능하게 다수의 유동형 경사돌기(622)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유동형 경사돌기(622)는 외측면이 상기 원뿔대형 상부유동홈(612)의 내주면 경사에 대응되게 경사형성되고, 내측면은 수직하게 형성된 리브로서 원뿔대형 상부유동홈(612)의 경사면을 타고 상하유동될 때 상방으로 좁아지기 때문에 굉장한 스토핑력을 받으면서 유동되므로 탄성완충이 가능하게 된다.
즉, 외력을 받아 상하로 진동하게 될 때 이 유동형 경사돌기(622)들 다수개가 상기 원뿔대형 상부유동홈(612) 속에서 그 경사면을 타고 오르내리면서 탄성완충하게 되는 것이다. 때문에, 일반적인 구조처럼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그 사용수명을 대폭 연장할 수 있으며, 또한 스프링처럼 녹이 스는 것도 아니어서 교체할 필요도 없어 매우 유리하다.
그리고, 상기 유동형 경사돌기(622)가 돌출된 원중심에는 볼트체결홀(624)이 관통형성되고, 이 볼트체결홀(624)을 통해 고정볼트(630)가 너트삽입홈(614)을 관통하여 배치된 후 너트(640)에 의해 체결 고정됨으로써 상기 상부유동블럭(610)과 하부고정블럭(620)을 상호 묶어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흡진동유닛(600)은 기존처럼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도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충격 혹은 외력에 대한 완충 흡수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10 : 데이터입력모듈부 20 : 생성모듈부
30 : 속성정보설정모듈부 40 : 속성정보부착모듈부
50 : 검색추출모듈부 60 : 변경모듈부
70 : 데이터베이스모듈부 80 : 디스플레이모듈부
90 : 제어모듈부 100 : 객체비교모듈부
110 : 객체수정모듈부

Claims (1)

  1. 수치지도 제작 소프트웨어(A)를 이용하여 제작된 수치지도를 수신받는 데이터입력모듈부(10); 상기 수치지도를 모델링한 폴리라인의 기하학적인 관계를 분석하여 엠폴리곤(MPolygon) 객체를 생성하는 생성모듈부(20); 폴리라인의 속성정보를 설정하는 속성정보설정모듈부(30); 폴리라인에 상기 속성정보를 링크하는 속성정보부착모듈부(40); 수치지도에 존재하는 엠폴리곤 객체를 검색하는 검색추출모듈부(50); 엠폴리곤 객체에 폴리곤을 추가, 제거 또는 엠폴리곤 객체의 속성정보를 제거하는 변경모듈부(60); 수치지도 정보, 엠폴리곤 객체와 폴리곤 객체와 폴리라인 객체의 각 객체별 속성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모듈부(70); 상기 검색추출모듈부(50)가 추출한 엠폴리곤 객체를 출력장치에 디스플레이시키는 디스플레이모듈부(80); 상기 구성요소(10,20,30,40,50,60,70,80)를 제어하여 엠폴리곤 객체를 구성하는 폴리곤과, 상기 폴리곤별 속성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모듈부(90); 보드 형태를 갖는 상기 구성요소(10,20,30,40,50,60,70,80)가 서버랙 형태로 실장되는 케이스(200);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200)는 전면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는 도어(210)와; 양측면에 설치되어 간접방식으로 자연냉각하는 쿨링유닛(300)과; 케이스(200)의 내부 천정부에 설치되어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센서(220)와; 상기 케이스(200)의 전면 상측에 설치되어 온도검출센서(220)의 검출온도값에 따라 쿨링유닛(3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230);를 포함하며,
    상기 쿨링유닛(300)은 케이스(200)의 양측면을 각각 관통하여 고정된 다수의 공냉파이프(310)를 포함하고, 상기 공냉파이프(310)의 일단은 단차 가공되어 끼움고정부(312)가 더 형성되며, 상기 공냉파이프(310)의 타단은 내부가 빈 중공부(314)를 갖고 개방된 개방단으로 형성되며, 개방단이 케이스(200) 내부에 노출되도록 케이스(200)의 측판을 관통하여 고정되고, 상기 끼움고정부(312)에는 쿨링원통(320)이 끼워지며, 쿨링원통(320)을 관통한 끼움고정부(312)의 단부에는 고무링(316)이 끼워져 쿨링원통(320)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쿨링원통(320)은 상기 공냉파이프(310)의 갯수에 대응되게 조립되며, 서로 링크관(330)에 의해 연통되게 연결되고, 쿨링원통(320)의 내부는 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비어 있는 상태로 유지되며, 그 중에서 어느 하나의 쿨링원통(320)에는 인렛(322)이 형성되고, 인렛(322)과 대각선 방향에 위치한 쿨링원통(320)에는 아웃렛(324)이 형성되며, 인렛(322)에는 공기펌프(340)가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200)의 저면과 설치면인 지면 사이에는 다수의 흡진동유닛(600)을 더 설치하되, 상기 흡진동유닛(600)는 케이스(200)의 저면에 고정되는 상부유동블럭(610)과, 상기 상부유동블럭(610)이 탄성유동가능하게 조립되는 하부고정블럭(620)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유동블럭(610)의 하면에는 원뿔대형 상부유동홈(612)이 형성되며, 상기 원뿔대형 상부유동홈(612)의 중심에는 너트삽입홈(614)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하부고정블럭(620)의 상면에는 상기 원뿔대형 상부유동홈(612)에 삽입되고 경사접촉되어 상하방향으로 탄성유동 가능하게 다수의 유동형 경사돌기(622)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유동형 경사돌기(622)는 외측면이 상기 원뿔대형 상부유동홈(612)의 내주면 경사에 대응되게 경사형성되며 내측면은 수직하게 형성되고, 상기 유동형 경사돌기(622)가 돌출된 원중심에는 볼트체결홀(624)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볼트체결홀(624)을 통해 고정볼트(630)가 너트삽입홈(614)을 관통하여 배치된 후 너트(640)에 의해 체결되어 상부유동블럭(610)과 하부고정블럭(620)을 상호 결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도를 향상시킨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KR1020200003517A 2020-01-10 2020-01-10 정밀도를 향상시킨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KR102115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3517A KR102115963B1 (ko) 2020-01-10 2020-01-10 정밀도를 향상시킨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3517A KR102115963B1 (ko) 2020-01-10 2020-01-10 정밀도를 향상시킨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5963B1 true KR102115963B1 (ko) 2020-05-27

Family

ID=70910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3517A KR102115963B1 (ko) 2020-01-10 2020-01-10 정밀도를 향상시킨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5963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269B1 (ko) * 2007-02-26 2007-09-17 한진정보통신(주) 수치지도 객체의 속성정보를 이용한 다중폴리곤 생성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14556B1 (ko) 2011-09-09 2012-02-15 한국종합설계 주식회사 지피에스 및 수치정보 합성을 통한 고정밀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1469087B1 (ko) * 2014-07-25 2014-12-12 동아항업주식회사 지형이미지와의 정밀비교를 통한 수치좌표 링크형 수치지도의 오차확인시스템
KR101494826B1 (ko) * 2014-11-04 2015-02-23 김은경 Gps좌표 기반 영상의 부분오류 수정용 이미지영상 처리시스템
KR101496317B1 (ko) * 2014-11-25 2015-03-03 (주)그린공간정보 촬영이미지의 지상물 위치변경을 통해 영상이미지를 수정하는 영상처리방법
KR101507393B1 (ko) * 2014-11-04 2015-04-08 주식회사 우리강산시스템 수치지도의 범용 편집처리를 위한 폴리곤 단위의 수치지도 관리시스템
KR101882332B1 (ko) * 2018-06-18 2018-07-27 삼아항업(주) 지상의 지형변화에 따른 수치지도 오차 확인시스템
KR101946548B1 (ko) * 2018-05-02 2019-02-11 (주)그린공간정보 지형이미지와의 정밀 비교를 통한 수치좌표 링크형 수치지도의 오차확인시스템
KR102070172B1 (ko) * 2019-08-27 2020-01-28 주식회사 동신지티아이 현장좌표와 수치좌표를 비교해서 수치지형 정보를 보정하는 수치데이터 시스템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269B1 (ko) * 2007-02-26 2007-09-17 한진정보통신(주) 수치지도 객체의 속성정보를 이용한 다중폴리곤 생성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14556B1 (ko) 2011-09-09 2012-02-15 한국종합설계 주식회사 지피에스 및 수치정보 합성을 통한 고정밀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1469087B1 (ko) * 2014-07-25 2014-12-12 동아항업주식회사 지형이미지와의 정밀비교를 통한 수치좌표 링크형 수치지도의 오차확인시스템
KR101494826B1 (ko) * 2014-11-04 2015-02-23 김은경 Gps좌표 기반 영상의 부분오류 수정용 이미지영상 처리시스템
KR101507393B1 (ko) * 2014-11-04 2015-04-08 주식회사 우리강산시스템 수치지도의 범용 편집처리를 위한 폴리곤 단위의 수치지도 관리시스템
KR101496317B1 (ko) * 2014-11-25 2015-03-03 (주)그린공간정보 촬영이미지의 지상물 위치변경을 통해 영상이미지를 수정하는 영상처리방법
KR101946548B1 (ko) * 2018-05-02 2019-02-11 (주)그린공간정보 지형이미지와의 정밀 비교를 통한 수치좌표 링크형 수치지도의 오차확인시스템
KR101882332B1 (ko) * 2018-06-18 2018-07-27 삼아항업(주) 지상의 지형변화에 따른 수치지도 오차 확인시스템
KR102070172B1 (ko) * 2019-08-27 2020-01-28 주식회사 동신지티아이 현장좌표와 수치좌표를 비교해서 수치지형 정보를 보정하는 수치데이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9087B1 (ko) 지형이미지와의 정밀비교를 통한 수치좌표 링크형 수치지도의 오차확인시스템
KR102128982B1 (ko) 초정밀도의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KR101507393B1 (ko) 수치지도의 범용 편집처리를 위한 폴리곤 단위의 수치지도 관리시스템
KR101496317B1 (ko) 촬영이미지의 지상물 위치변경을 통해 영상이미지를 수정하는 영상처리방법
KR101882332B1 (ko) 지상의 지형변화에 따른 수치지도 오차 확인시스템
KR102280849B1 (ko) 기준점에 따라 데이터를 갱신하는 수치지도 인식시스템
US7912692B2 (en) Analysis support system and metho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nalysis support program, and analysis support apparatus
KR101494826B1 (ko) Gps좌표 기반 영상의 부분오류 수정용 이미지영상 처리시스템
CN111931565A (zh) 一种基于光伏电站uav的自主巡检与热斑识别方法及系统
KR102494274B1 (ko) 좌표정보의 속성을 이용하여 지형변화정보를 통합 갱신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CN107895031B (zh) 建筑信息模型在三维数字城市场景中自适应动态调度方法
CN107806888B (zh) 一种基于红外led灯的摄影/像机全自动快速标定方法
US20030020765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forming limited source graphical data
CN110246157A (zh) 基于大数据监控的油气田设备生产状态判别系统与方法
CN111221867B (zh) 一种保护性建筑信息管理系统
KR102113001B1 (ko) 지형지물 변화에 의한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KR102115963B1 (ko) 정밀도를 향상시킨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KR102113000B1 (ko) 수치지도 오류를 방지하는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KR102128984B1 (ko) 3차원 고정밀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CN115937450A (zh) 建筑物分层分户的方法、系统、智能终端及存储介质
CN116797206A (zh) 一种基于无人机的光伏电站的智能巡检方法与系统
KR101681627B1 (ko) Scada 시스템의 이벤트 기록 장치 및 방법
CN112506155A (zh) 一种pc构件生产仿真及智能控制系统
KR101951610B1 (ko) 파노라마 이미지의 스티칭 오류의 종류 판단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 장치
KR20060089354A (ko) 수치지도 디스플레이 데이터의 자동 배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