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1627B1 - Scada 시스템의 이벤트 기록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Scada 시스템의 이벤트 기록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1627B1
KR101681627B1 KR1020160047673A KR20160047673A KR101681627B1 KR 101681627 B1 KR101681627 B1 KR 101681627B1 KR 1020160047673 A KR1020160047673 A KR 1020160047673A KR 20160047673 A KR20160047673 A KR 20160047673A KR 101681627 B1 KR101681627 B1 KR 101681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ent
image
unit
information
surveill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7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창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자이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자이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자이솜
Priority to KR1020160047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16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1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1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08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monitoring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1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in the image signal generation
    • H04N5/217
    • H04N5/232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4Pc safety
    • G05B2219/24215Scada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집되는 상태 정보 데이터를 통해 실시간 알람 이벤트를 판독하는 즉시 관리자에게 보여지는 모니터의 화면의 실시간 캡쳐 이미지 자료 외에 미리 설정된 백그라운드 상황 편집 설정에 따라 이벤트시의 백그라운드 상황을 편집해 부가 자료로 제공함으로써 관리자가 실시간 알람 이벤트에 대하여 분석 및 모델링을 할 수 있도록 하는 SCADA 시스템의 이벤트 기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SCADA 시스템의 이벤트 기록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EVENTS OF SCADA SYSTEM}
본 발명은 SCADA 시스템의 이벤트 기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집되는 상태 정보 데이터를 통해 실시간 알람 이벤트를 판독하는 즉시 관리자에게 보여지는 모니터의 화면의 실시간 캡쳐 이미지 자료 외에 미리 설정된 백그라운드 상황 편집 설정에 따라 이벤트시의 백그라운드 상황을 편집해 부가 자료로 제공함으로써 관리자가 실시간 알람 이벤트에 대하여 분석 및 모델링을 할 수 있도록 하는 SCADA 시스템의 이벤트 기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원격감시제어시스템(SCADA: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은 통신 경로상의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신호를 사용하여 원격장치의 상태 정보 데이터를 원격소장치(remote terminal unit)로 수집, 수신, 기록, 표시하여 중앙 제어 시스템이 원격장치를 감시하는 제어 시스템을 정의한다.
원격감시제어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발전·송배전시설, 석유화학 플랜트, 제철공정 시설, 공장 자동화 시설 등 여러 종류의 원격지 시설 장치를 중앙 집중식으로 감시 제어하는 시스템이다.
원격감시제어시스템은 원격장치의 경보 상태에 따라 미리 규정된 동작을 하는 감시시스템의 기능 경보 기능, 원격 외부장치를 선택적으로 수동/자동 복합으로 동작하는 감시 제어 기능, 원격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신, 표시/기록하는 감시 시스템의 지시·표시 기능을 수행한다. 원격장치의 개수나 형태에 따라 수많은 감시화면들이 존재할 수 있으며, 각 감시화면들은 시간, 장소에 따라 정확하게 표시되어야 한다. 또한 감시화면은 원격장치마다의 상태 및 특성이 나타나도록 관리자의 의도하에 작화된다.
여기에서 원격장치를 감시하는 제어 시스템에서 관리자가 보는 모니터의 화면은 관리자의 의도하에 관찰이 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한된 상태 정보 데이터만으로 작화된 화면이기 때문에 원격장치들의 모든 상태 정보 데이터를 포함시킬 수는 없다. 즉 관리자의 용이한 육안 관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공되는 제어 시스템의 모니터 화면에는 제한된 상태 정보 데이터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이 같은 제한된 상태 정보 데이터는 원격장치의 감시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데이터일 수 있다.
그런데 원격장치들의 상태 정보에 따라 알람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종래 원격감시제어시스템에서는 현재 관찰자가 보고 있는 모니터의 화면을 그대로 캡쳐하여 이벤트 발생에 따른 자료로 제공해주는데 그치고 있어 실질적인 알람 이벤트에 대한 원인 분석에 제한이 따르고 나아가 원인 분석에 따른 알람 이벤트 모델링 작업에도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수집되는 상태 정보 데이터를 통해 실시간 알람 이벤트를 판독하는 즉시 관리자에게 보여지는 모니터의 화면의 실시간 캡쳐 이미지 자료 외에 미리 설정된 백그라운드 상황 편집 설정에 따라 이벤트시의 백그라운드 상황을 편집해 부가 자료로 제공함으로써 관리자가 실시간 알람 이벤트에 대하여 분석 및 모델링을 할 수 있도록 하는 SCADA 시스템의 이벤트 기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격지의 원격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상태 정보 데이터를 수집하여 모니터의 화면에 지정된 일부 상태 정보를 표시하고, 수집되는 상태 정보 데이터를 통해 이벤트 상황을 관리하며, 이벤트 발생시 모니터의 화면의 실시간 캡쳐 이미지 자료 외에 미리 설정된 백그라운드 상황 캡쳐 설정에 따라 백그라운드 상황을 부가 캡쳐 자료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CADA 시스템의 이벤트 기록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격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원격지의 현장 장비에 대한 상태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여 관리하며 현장 장비의 현재 상태에 대한 상태 정보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바이스 관리부; 상기 디바이스 관리부로부터 전달되는 상태 정보와 관련 태그를 저장관리하는 상태 정보 관리부; 상기 상태 정보 관리부에 저장되는 실시간 상태 정보 및 관련 태그 중 관리자에 의해 지정된 일부 정보를 이용해 관리자가 볼 수 있는 모니터링 화면을 지속적으로 작화하는 평시 화면 작화부; 상기 평시 화면 작화부에서 작화된 화면을 모니터로 출력하여 표시하는 화면 표시부; 상기 상태 정보 관리부에 저장되는 실시간 상태 정보 및 관련 태그에 대하여 관리자에 의해 미리 설정되는 이벤트 발생 조건을 관리하며 이 이벤트 발생 조건을 참조하여 상태 정보 관리부에 저장되는 실시간 상태 정보 및 관련 태그를 분석해 이벤트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이벤트 감시부; 상기 이벤트 감시부가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게 되면 상기 화면 표시부를 통해 모니터에 표출되는 현재 화면을 그대로 캡쳐하여 현재 화면 캡쳐 이미지 자료로서 이미지 저장부에 저장시키는 화면 캡쳐부; 상기 상태 정보 관리부에 저장되는 실시간 상태 정보 및 관련 태그에 대하여 관리자에 의해 이벤트 발생시 실행되도록 미리 설정되는 백그라운드 상황 편집 설정값을 관리하는 이벤트 관리부; 상기 이벤트 감시부가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게 되면 상기 상태 정보 관리부에 저장되는 실시간 상태 정보 및 관련 태그 중 상기 이벤트 관리부의 백그라운드 상황 편집 설정값으로 지정된 상태 정보 및 관련 태그를 수집하는 백그라운드 상황 수집부; 및 상기 백그라운드 상황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상태 정보 및 관련 태그를 이용해 모니터로 보여지지 않는 백그라운드 상황을 이미지 또는 문서로 편집하고 편집되는 백그라운드 상황을 백그라운드 상황 캡쳐 자료로서 이미지 저장부에 저장시키는 이벤트 편집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원격 카메라로부터 감시 동영상을 감시하고 변화 여부를 판별하여 수동형 장비의 현재 상태에 대한 상태 정보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 감시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태 정보 관리부는 상기 영상 감시부로부터 전달되는 상태 정보와 관련 태그를 저장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시 동영상은 원격 카메라가 화각을 이동시켜가며 서로 이격되어 분산된 다수의 수동형 장비를 촬영한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동형 장비의 외면에는 기준표식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준표식은 고유정보 구역과 확장정보 구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유정보 구역은 기준표식이 부착된 수동형 장비의 고유정보가 숫자, 문자, 기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표시되는 구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확장정보 구역은 기준표식이 포함된 이미지에서 기준표식의 위치를 중심으로 이미지를 확장하는 방향에 대한 정보가 확장바로 표시되는 구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영상 감시부는, 원격지의 원격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감시 동영상을 수신하는 영상 입력부; 상기 영상 입력부로부터 감시 동영상을 전달받아 저장하는 영상 DB; 상기 감시 동영상의 영상 프레임 내에서 기준표식을 검출하여 기준표식 이미지를 추출하는 기준표식 검출부; 상기 기준표식 검출부에서 추출된 기준표식 이미지에서 기준표식의 고유정보를 판별하고 감시정보 DB에 저장된 수동형 장비별 확장 크기값을 참조해 확장 크기값을 추출하는 고유정보 판별부; 상기 기준표식 검출부에서 추출된 기준표식 이미지에서 기준표식의 확장정보를 판별해 확장 방향을 추출하는 확장정보 판별부; 상기 확장 크기값과 확장 방향을 참조해 수동형 장비가 포함된 영상 프레임에서 해당 기준표식을 중심으로 이미지를 확장시켜 감시구역을 추출하는 이미지 확장부; 추출된 상기 감시구역에 대하여 기준표식의 고유정보를 통해 감시영역 좌표정보를 가져와 감시영역을 확정하는 감시영역 추출부; 상기 감시영역의 이미지 변화 여부를 판별하는 이미지 변화 판별부; 및 상기 이미지 변화 판별부의 판별 결과에 따라 해당 수동형 장비의 상태 정보 데이터를 생성하는 상태정보 생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원격지의 원격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상태 정보 데이터를 수집하여 모니터의 화면에 지정된 일부 상태 정보를 표시하고, 수집되는 상태 정보 데이터를 통해 이벤트 상황을 관리하며, 이벤트 발생시 모니터의 화면의 실시간 캡쳐 이미지 자료 외에 미리 설정된 백그라운드 상황 캡쳐 설정에 따라 백그라운드 상황을 부가 캡쳐 자료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CADA 시스템의 이벤트 기록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a) 제어 시스템이 관리자로부터 이벤트 발생 조건을 입력받고, 이를 이벤트 감시부에 이벤트 발생 조건 정보로서 저장 관리하는 단계; (b) 제어 시스템이 관리자로부터 이벤트 발생시 원인 분석에 필요한 상태 정보 및 관련 태그를 지정받고 이 상태 정보 및 관련 태그를 이용한 자료의 형태를 설정하며, 이를 이벤트 관리부에 백그라운드 상황 편집 설정값으로서 저장 관리하는 단계; (c) 제어 시스템이 평시 동작으로서 상태 정보 관리부에서 관리되는 원격지 장비의 실시간 상태 정보 및 관련 태그를 이용해 관리자가 볼 수 있는 평시 화면을 작화하고 모니터로 출력하는 단계; (d) 제어 시스템이 이벤트 감시부를 통해 이벤트 관리부의 이벤트 발생 조건을 참조하여 상태 정보 관리부에 저장되는 실시간 상태 정보 및 관련 태그를 분석해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e)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제어 시스템이 화면 캡쳐부(165)를 통해 모니터에 표출되는 현재 화면을 그대로 캡쳐하고, 이를 현재 화면 캡쳐 이미지 자료로서 이미지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f)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제어 시스템이 백그라운드 상황 수집부를 통해 이벤트 관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백그라운드 상황 편집 설정값을 추출하고, 이를 참조하여 지정된 상태 정보 및 관련 태그를 수집하는 단계; 및 (g) 제어 시스템이 수집된 상태 정보 및 관련 태그에 대하여 이벤트 편집부를 통해 백그라운드 상황 편집 설정값을 참조하여 모니터로 보여지지 않는 백그라운드 상황을 이미지 또는 문서로 편집하고 편집되는 백그라운드 상황을 백그라운드 상황 캡쳐 자료로서 이미지 저장부에 저장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c) 단계는, 제어 시스템이 영상 감시부를 통해 원격 카메라로부터 전달되는 감시 동영상을 감시하고 변화 여부를 판별하여 수동형 장비의 현재 상태에 대한 상태 정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시 동영상은 원격 카메라가 화각을 이동시켜가며 서로 이격되어 분산된 다수의 수동형 장비를 촬영한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동형 장비의 외면에는 기준표식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준표식은 고유정보 구역과 확장정보 구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유정보 구역은 기준표식이 부착된 수동형 장비의 고유정보가 숫자, 문자, 기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표시되는 구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확장정보 구역은 기준표식이 포함된 이미지에서 기준표식의 위치를 중심으로 이미지를 확장하는 방향에 대한 정보가 확장바로 표시되는 구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A) 영상 감시부가 원격지의 원격 카메라로부터 전달되는 감시 동영상을 수신하고, 수신된 감시 동영상을 영상 DB에 저장하는 단계; (B) 영상 감시부가 기준표식 검출부를 통해 수신되는 감시 동영상의 영상 프레임 내에서 기준표식이 검출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감시 동영상의 영상 프레임 내에서 기준표식이 검출된 경우, 영상 감시부가 기준표식이 포함된 프레임 이미지를 추출하고, 이 프레임 이미지에서 기준표식 이미지만을 추출하는 단계; (D) 영상 감시부가 추출된 기준표식 이미지에서 고유정보 판별부를 통해 해당 기준표식의 고유정보를 판별하고, 감시정보 DB에 저장된 수동형 장비별 확장 크기값을 참조해 확장 크기값을 추출하는 단계; (E) 영상 감시부가 추출된 기준표식 이미지에서 확장정보 판별부를 통해 해당 기준표식의 확장정보를 판별하고 확장 방향을 추출하는 단계; (F) 영상 감시부가 상기 고유정보에 따른 확장 크기값과 확장정보에 따른 확장 방향을 참조해 수동형 장비가 포함된 영상 프레임에서 해당 기준표식을 중심으로 이미지를 확장시켜 감시구역을 추출하는 단계; (G) 영상 감시부가 추출된 감시구역에 대하여 상기 기준표식의 고유정보를 통해 감시영역 좌표정보를 가져와 감시영역을 확정하는 단계; 및 (H) 영상 감시부가 이미지 변화 판별부를 통해 상기 감시영역의 이미지 변화 여부를 판단하고, 감시영역의 이미지 변화가 발생한 경우, 해당 수동형 장비의 상태 정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수집되는 상태 정보 데이터를 통해 실시간 알람 이벤트를 판독하는 즉시 관리자에게 보여지는 모니터의 화면의 실시간 캡쳐 이미지 자료 외에 미리 설정된 백그라운드 상황 편집 설정에 따라 이벤트시의 백그라운드 상황을 편집해 부가 자료로 제공함으로써 관리자가 실시간 알람 이벤트에 대하여 분석 및 모델링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SCADA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CADA 시스템의 이벤트 기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4는 기준표식이 포함된 감시 동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기준표식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감시 동영상 내 기준표식을 이용한 영상 감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의 영상 감지부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CADA 시스템의 영상 감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실시 예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먼저 도 1에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SCADA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SCADA 시스템은, 원격지에서 운영되는 원격 장치(10) 및 원격 카메라(20), 그리고 정보 통신망을 통해 이 같은 원격 장치(10) 및 원격 카메라(20)로부터 상태 정보 데이터를 수집하고 기록하며 관리자에게 원격 장치마다의 상태 및 특성이 나타나도록 작화하여 표시하는 제어 시스템(1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같은 원격 장치(10) 및 원격 카메라(20)는 특정 산업현장 전체, 또는 지리적으로 넓게 퍼져있는 산업 단지에 설치되어 운영된다. 여기에서 원격 장치(10)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나 RTU(Remote Terminal Unit)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해당 원격지의 공정에 사용되며 외부로 상태 정보 데이터를 보낼 수 있는 현장 장비일 수 있다. 상기 원격 카메라(20)는 원격지의 현장에 설치된 카메라이며 현장의 공정이나 장비 운용 현황을 촬영한 감시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상기 제어 시스템(100)으로 전달할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 시스템(100)은 상기 원격 장치(10)나 원격 카메라(20)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인간에게 친숙한 형태로 변환(작화)하여 보여주게 되며, 이것을 통해 관리자가 해당 공정이나 장비 운용 현황을 감시하고 제어하게 한다.
또한 상기 정보 통신망은 멀리 떨어져 있는 원격 장치(10)나 원격 카메라(20)와 제어 시스템(100)이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100)은, 상기 원격 카메라(20)로부터 전달되는 원격지 공정 또는 장비 운용 현황에 대한 감시 동영상을 감시하고 변화 여부를 판별하여 장비의 현재 상태에 대한 상태 정보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 감시부(110), 상기 원격 장치(10)로부터 전달되는 원격지의 현장 장비에 대한 상태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여 관리하며 현장 장비의 현재 상태에 대한 상태 정보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바이스 관리부(120), 상기 영상 감시부(110) 및 디바이스 관리부(120)로부터 전달되는 상태 정보와 관련 태그(Tag)를 저장관리하는 상태 정보 관리부(130), 상기 상태 정보 관리부(130)에 저장되는 실시간 상태 정보 및 관련 태그 중 관리자에 의해 지정된 일부 정보를 이용해 관리자가 볼 수 있는 모니터링 화면을 지속적으로 작화하는 평시 화면 작화부(150), 상기 평시 화면 작화부(150)에서 작화된 화면을 모니터(180)로 출력하여 표시하는 화면 표시부(155), 상기 상태 정보 관리부(130)에 저장되는 실시간 상태 정보 및 관련 태그에 대하여 관리자에 의해 미리 설정되는 이벤트 발생 조건을 관리하며 이 이벤트 발생 조건을 참조하여 상태 정보 관리부(130)에 저장되는 실시간 상태 정보 및 관련 태그를 분석해 이벤트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이벤트 감시부(160), 상기 이벤트 감시부(160)가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게 되면 상기 화면 표시부(155)를 통해 모니터(180)에 표출되는 현재 화면을 그대로 캡쳐하여 현재 화면 캡쳐 이미지 자료로서 이미지 저장부(190)에 저장시키는 화면 캡쳐부(165), 상기 상태 정보 관리부(130)에 저장되는 실시간 상태 정보 및 관련 태그에 대하여 관리자에 의해 이벤트 발생시 실행되도록 미리 설정되는 백그라운드 상황 편집 설정값을 관리하는 이벤트 관리부(140), 상기 이벤트 감시부(160)가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게 되면 상기 상태 정보 관리부(130)에 저장되는 실시간 상태 정보 및 관련 태그 중 상기 이벤트 관리부(140)의 백그라운드 상황 편집 설정값으로 지정된 상태 정보 및 관련 태그를 수집하는 백그라운드 상황 수집부(170), 상기 백그라운드 상황 수집부(170)를 통해 수집된 상태 정보 및 관련 태그를 이용해 모니터로 보여지지 않는 백그라운드 상황을 이미지 또는 문서로 편집하고 편집되는 백그라운드 상황을 백그라운드 상황 캡쳐 자료로서 이미지 저장부(190)에 저장시키는 이벤트 편집부(175) 및 상기 화면 캡쳐부(165)의 현재 화면 캡쳐 이미지 자료와 백그라운드 상황 캡쳐 자료를 저장 관리하는 이미지 저장부(19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이벤트라 함은 장비의 오동작, 한계초과나 동작정지 등과 같은 부정적인 비상 상황일 수 있으며, 목표치 달성과 같은 긍정적인 상황일 수 있다. 결국 이러한 이벤트 상황은 관리자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한 상황이므로 관리자에게 즉각적으로 통보될 필요가 있으며 또한 부정적인 비상 상황일 경우 장비의 다양한 상태 정보를 통해 원인 분석이 있어야 하며 나아가 원인 분석에 따른 알람 이벤트 모델링 작업을 병행해 비상 상황의 패턴화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한편 이 같은 제어 시스템(100)은 평시에는 상태 정보 관리부(130)에서 관리되는 원격지 장비의 실시간 상태 정보 및 관련 태그를 이용해 관리자가 볼 수 있는 평시 화면을 작화하고 모니터(180)로 출력함으로써 관리자가 모니터를 통해 원격지 장비의 상태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관리자가 볼 수 있는 화면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상태 정보 관리부(130)에서 관리되는 모든 원격지 장비의 실시간 상태 정보 및 관련 태그가 한꺼번에 모두 표시될 수는 없다. 더군다나 관리자가 자신이 원하는 정보만을 보다 효율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감시화면이 원격장치마다의 상태 및 특성이 나타나도록 관리자의 의도하에 작화되기 때문에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의 양은 더욱 제한되게 된다.
따라서 이벤트 발생시 단순히 화면 캡쳐부(165)가 현재 모니터(180)에 표시되고 있는 현재 화면을 그대로 캡쳐하여 현재 화면 캡쳐 이미지 자료로서 이미지 저장부(190)에 저장하는 현재의 방식으로는 제한된 정보만이 다루어지기 때문에 앞서 기술한 이벤트 발생에 따른 원인 분석에 제한이 따르고 나아가 원인 분석에 따른 알람 이벤트 모델링 작업에도 한계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벤트 발생시 상술한 현재 화면 캡쳐 이미지 자료 외에도 모니터(180)의 화면으로는 보여지지 않는 다양한 상태 정보들을 미리 지정된 형태(이미지, 문서 등)로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이벤트 발생에 따른 원인 분석과 이 원인 분석에 따른 알람 이벤트 모델링 작업이 가능하도록 지원함에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관리자는 이벤트 발생시 원인 분석에 필요한 상태 정보 및 관련 태그를 지정하고 이 상태 정보 및 관련 태그를 이용한 자료의 형태를 설정하게 되며, 이 같은 설정 정보는 백그라운드 상황 편집 설정값으로서 이벤트 관리부(120)에 저장되게 된다.
그리고 이벤트 감시부(160)에서 이벤트 발생이 감지되면, 기본적인 루틴으로 상기 화면 캡쳐부(165)는 모니터(180)에 표출되는 현재 화면을 그대로 캡쳐하여 현재 화면 캡쳐 이미지 자료로서 이미지 저장부(190)에 저장하게 될 것이다.
이와 별도로 상기 백그라운드 상황 수집부(170)는 이벤트 관리부(120)에 미리 저장된 이벤트 발생시 원인 분석에 필요한 상태 정보 및 관련 태그를 수집하게 된다. 그리고 이벤트 편집부(175)에서는 백그라운드 상황 수집부(170)를 통해 수집된 상태 정보 및 관련 태그를 이용해 모니터로 보여지지 않는 백그라운드 상황을 관리자가 미리 설정한 자료의 형태(이미지, 문서)로 편집하고 편집되는 백그라운드 상황을 백그라운드 상황 캡쳐 자료로서 이미지 저장부(190)에 저장하게 되는 것이다.
이로써 관리자는 이벤트 발생 상황에 대하여 이미지 저장부(190)에 저장된 현재 화면 캡쳐 이미지 자료와 백그라운드 상황 캡쳐 자료를 참조하게 되며, 이를 통해 이벤트 발생에 따른 원인 분석과 이 원인 분석에 따른 알람 이벤트 모델링 작업을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CADA 시스템의 이벤트 기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제어 시스템(100)은 관리자로부터 다양한 이벤트 발생 조건을 입력받고, 이를 이벤트 감시부(160)에 이벤트 발생 조건 정보로서 저장 관리하게 된다(S10).
여기에서 이벤트 발생 조건은 상태 정보 관리부(130)에 저장되는 실시간 상태 정보 및 관련 태그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어 시스템(100)은 관리자로부터 이벤트 발생시 원인 분석에 필요한 상태 정보 및 관련 태그를 지정받고 이 상태 정보 및 관련 태그를 이용한 자료의 형태를 설정하며, 이를 이벤트 관리부(140)에 백그라운드 상황 편집 설정값으로서 저장 관리하게 된다(S12).
여기에서 상태 정보 및 관련 태그를 이용한 자료의 형태는 이미지, 문서 등 다양한 형태로 지원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시스템(100)은 평시 동작으로서 상태 정보 관리부(130)에서 관리되는 원격지 장비의 실시간 상태 정보 및 관련 태그를 이용해 관리자가 볼 수 있는 평시 화면을 작화하고 모니터(180)로 출력함으로써 관리자가 모니터를 통해 원격지 장비의 상태를 관찰할 수 있도록 지원하게 된다(S14).
이후, 상기 제어 시스템(100)은 이벤트 감시부(160)를 통해 이벤트 관리부(140)의 이벤트 발생 조건을 참조하여 상태 정보 관리부(130)에 저장되는 실시간 상태 정보 및 관련 태그를 분석해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16).
상기 S16 단계의 판단결과,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상기 제어 시스템(100)은 화면 캡쳐부(165)를 통해 모니터(180)에 표출되는 현재 화면을 그대로 캡쳐하고(S18), 이를 현재 화면 캡쳐 이미지 자료로서 이미지 저장부(190)에 저장하게 된다(S20).
이와 병행하여,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상기 제어 시스템(100)은 백그라운드 상황 수집부(170)를 통해 이벤트 관리부(140)에 저장되어 있는 백그라운드 상황 편집 설정값을 추출하고(S22), 이를 참조하여 지정된 상태 정보 및 관련 태그를 수집하게 된다(S24).
이후 상기 제어 시스템(100)은 수집된 상태 정보 및 관련 태그에 대하여 이벤트 편집부(175)를 통해 백그라운드 상황 편집 설정값을 참조하여 모니터로 보여지지 않는 백그라운드 상황을 이미지 또는 문서로 편집하고 편집되는 백그라운드 상황을 백그라운드 상황 캡쳐 자료로서 이미지 저장부(190)에 저장시키게 된다(S28).
한편, 원격지에서 운영되는 각종 원격지 시설들 중 일부 장비는 자체적으로 현재 상태에 대한 상태 정보 데이터를 출력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또한 장비의 운영 상태를 표시램프의 점등 방식으로 표시하는 콘솔 패널이나 계기반 그리고 각종 스위치 박스 등은 대부분 현장에서 시각적으로 그 상태를 확인해야만 하는 한계가 있다. 이 같은 조건의 원격지 장비를 이하에서는 수동형 장비(30)라 한다.
본 발명에서는 원격지에 설치되어 동영상을 촬영하는 원격 카메라(200)가 이들 수동형 장비(30)의 외관을 촬영하여 촬영된 감시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제어 시스템(100)으로 전송하도록 하고, 제어 시스템(100)에서는 이 감시 동영상을 분석해 수동형 장비 외관의 변화 여부를 판독해 상태 정보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함으로써 원격지 수동형 장비(30)에 대하여도 상태 정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함에 특징이 있다.
여기에 더해, 상기 원격 카메라(200)가 화각(angle of view)을 이동시켜가며 서로 이격되어 분산된 다수의 수동형 장비(30)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하고, 제어 시스템(100)이 이 같이 화각이 움직이는 감시 동영상에서 각각의 수동형 장비(30) 외관을 정확히 분리해 하나의 원격 카메라(200)만으로 분산된 다수의 수동형 장비(30)에 대한 상태 정보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함으로써 설치 비용과 운영 비용을 효과적으로 절감시키도록 하는데 큰 특징이 있다.
먼저 이 같은 실시간 동영상 원격 감시를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표식(40)이 수동형 장비(30)의 외면에 고정되게 된다.
먼저 상기 수동형 장비(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원격지에서 운영되며, 자체적으로 현재 상태에 대한 상태 정보 데이터를 출력할 수 없거나, 장비의 운영 상태를 표시램프의 점등 방식으로 표시하는 콘솔 패널이나 계기반 그리고 각종 스위치 박스 등이어서 실제 현장에서 시각적으로 그 상태를 확인해야만 하는 장비를 의미한다. 도 4에는 다수의 표시램프를 외면에 가지는 콘솔 패널이 수동형 장비(30)로서 도시되어 있다.
상기 기준표식(4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동형 장비(30)의 외면에 접착 또는 부착될 수 있다.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상기 기준표식(40)은 고유정보 구역(41)과 확장정보 구역(42)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유정보 구역(41)은 기준표식(40)이 부착된 수동형 장비(30)의 고유정보가 표시되는 구역으로 숫자, 문자, 기호 등의 다양한 형태로 수동형 장비(30)의 고유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도 5에서는 숫자 '1'이 고유정보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 같은 고유정보에 대하여 영상 감시부(110)의 감시정보 DB(114)에는 영상 확장 크기값이 관리되고 있다.
여기에서 영상 확장 크기값은 감시 동영상에서 실제 감시 구역을 추출하기 위한 정보로서, 확장 크기값에 따라 영상 내 상기 기준표식(40)의 이미지에서 해당 확장 크기값만큼 이미지를 확장시키고 이 확장된 이미지 영역을 감시 구역으로 추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확장정보 구역(42)은 상기 확장 크기값을 판별한 후 기준표식(40)의 위치를 중심으로 확장 방향에 대한 정보를 하나 이상의 확장바로서 표시하게 된다. 도 5에서는 기준표식을 구획하는 사각형 박스에서 상부변과 우측변이 확장바이며 이 두 개의 확장바를 통해 이미지를 확장시킬 확장 방향을 알 수 있다.
이 같은 기준표식(40)을 이용한 감시 동영상 내 수동형 장비(30)에 대한 영상 감시 과정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원격 카메라(20)가 화각을 이동시켜가며 서로 이격되어 분산된 다수의 수동형 장비(30)를 촬영하게 되면 이 감시 동영상에는 도 6의 (a)와 같이 수동형 장비(30)가 포함된 영상 프레임(점선)이 포함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감시 동영상을 수신한 영상 감시부(110)는 영상 프레임 내에서 기준표식(40)을 검출하고 도 6의 (b)와 같이 기준표식 이미지(점선)만을 추출하게 될 것이다.
이후 추출된 기준표식 이미지를 통해 해당 기준표식(40)의 고유정보를 판별해 영상 확장 크기값을 추출하고 또한 해당 기준표식(40)의 확장정보를 판별해 확장방향을 추출하게 될 것이다.
상기 영상 감시부(110)는 추출된 확장방향과 확장 크기값을 참조해 도 6의 (c)와 같이 수동형 장비(30)가 포함된 영상 프레임에서 해당 기준표식을 중심으로 이미지를 확장시켜 감시구역(점선)을 추출하게 된다. 도 6의 (c)에는 상부변과 우측변이 확장방향으로 지정되어 있으므로 기준표식 구역을 중심으로 상부 방향과 우측 방향으로 확장 크기값만큼 기준표식 구역을 확장시켜 감시구역을 확정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영상 감시부(110)는 추출된 감시구역에 대하여 상기 기준표식(40)의 고유정보를 통해 도 6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시영역 좌표정보를 가져와 감시영역을 확정하고, 이 감시영역의 이미지 변화(색상 변화, 조도 변화, 모양 변화 등) 여부를 판별하게 되는 것이다.
이 같은 감시영역의 변화에 대한 정보는 곧 해당 수동형 장비(30)의 상태 정보 데이터가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의 영상 감지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영상 감시부(110)는, 원격지의 원격 카메라(200)로부터 촬영된 감시 동영상을 수신하는 영상 입력부(111), 상기 영상 입력부(111)로부터 감시 동영상을 전달받아 저장하는 영상 DB(119), 상기 감시 동영상의 영상 프레임 내에서 기준표식(40)을 검출하여 기준표식 이미지를 추출하는 기준표식 검출부(112), 상기 기준표식 검출부(112)에서 추출된 기준표식 이미지에서 기준표식(40)의 고유정보를 판별하고 감시정보 DB(114)에 저장된 수동형 장비별 확장 크기값을 참조해 확장 크기값을 추출하는 고유정보 판별부(113a), 상기 기준표식 검출부(112)에서 추출된 기준표식 이미지에서 기준표식(40)의 확장정보를 판별해 확장 방향을 추출하는 확장정보 판별부(113b), 상기 확장 크기값과 확장 방향을 참조해 수동형 장비(30)가 포함된 영상 프레임에서 해당 기준표식을 중심으로 이미지를 확장시켜 감시구역을 추출하는 이미지 확장부(115), 추출된 상기 감시구역에 대하여 기준표식(40)의 고유정보를 통해 감시영역 좌표정보를 가져와 감시영역을 확정하는 감시영역 추출부(116), 상기 감시영역의 이미지 변화(색상 변화, 조도 변화, 모양 변화 등) 여부를 판별하는 이미지 변화 판별부(117) 및 상기 이미지 변화 판별부(117)의 판별 결과에 따라 해당 수동형 장비(30)의 상태 정보 데이터를 생성하는 상태정보 생성부(11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비록 자체적으로 현재 상태에 대한 상태 정보 데이터를 출력할 수 없는 수동형 장비라 하더라도 실시간 감시 동영상을 통해 수동형 장비의 현재 상태를 원격지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된다.
더군다나 감시 동영상을 촬영하는 원격 카메라(200)가 화각을 이동시켜가며 서로 이격되어 분산된 다수의 수동형 장비(30)를 촬영하고, 이를 모니터링하는 제어 시스템에서 기준표식을 통해 다수의 수동형 장비(30)를 정확히 분리 감시할 수 있어서 하나의 원격 카메라(200)만으로 분산된 다수의 수동형 장비(30)에 대한 상태 정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CADA 시스템의 영상 감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영상 감시부(110)는 원격지의 원격 카메라(20)로부터 전달되는 감시 동영상을 수신하고, 수신된 감시 동영상을 영상 DB(119)에 저장하게 된다(S50).
이후 영상 감시부(110)는 기준표식 검출부(112)를 통해 수신되는 감시 동영상의 영상 프레임 내에서 기준표식(40)이 검출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2).
상기 S52 단계의 판단 결과, 감시 동영상의 영상 프레임 내에서 기준표식(40)이 검출된 경우, 상기 영상 감시부(110)는 먼저 기준표식이 포함된 프레임 이미지를 추출하고(S54), 이 프레임 이미지에서 기준표식 이미지만을 추출하게 된다(S56).
이후 상기 영상 감시부(110)는 추출된 기준표식 이미지에서 고유정보 판별부(113a)를 통해 해당 기준표식(40)의 고유정보를 판별하고, 감시정보 DB(114)에 저장된 수동형 장비별 확장 크기값을 참조해 확장 크기값을 추출한다(S58).
또한 상기 영상 감시부(110)는 추출된 기준표식 이미지에서 확장정보 판별부(113b)를 통해 해당 기준표식(40)의 확장정보를 판별하고 확장 방향을 추출한다(S60).
이후, 상기 영상 감시부(110)는 상기 고유정보에 따른 확장 크기값과 확장정보에 따른 확장 방향을 참조해 수동형 장비(30)가 포함된 영상 프레임에서 해당 기준표식을 중심으로 이미지를 확장시켜 감시구역을 추출하게 된다(S62).
그리고 상기 영상 감시부(110)는 추출된 감시구역에 대하여 상기 기준표식(40)의 고유정보를 통해 감시영역 좌표정보를 가져와 감시영역을 확정하게 된다(S64).
이후 상기 영상 감시부(110)는 이미지 변화 판별부(117)을 통해 상기 감시영역의 이미지 변화(색상 변화, 조도 변화, 모양 변화 등)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66).
상기 S66 단계의 판단 결과, 감시영역의 이미지 변화가 발생한 경우, 상기 영상 감시부(110)는 해당 수동형 장비(30)의 상태 정보 데이터를 변경하여 새로운 상태 정보 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S68).
한편 상술한 기준표식(40)을 이용한 감시 동영상 내 수동형 장비(30)에 대한 영상 감시 과정에서, 실제 원격 카메라(200)의 설치위치와 수동형 장비(30)의 장착위치 사이에는 물리적 기울기가 발생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원격 카메라(200)에 의해 촬영된 영상 내에서 수동형 장비(30)의 외관은 이러한 물리적 기울기차에 의해 어느 정도의 형태 왜곡이 일어날 수 밖에 없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수동형 장비(30) 외관의 형태 왜곡을 보정하기 위해 수동형 장비(30)의 외면에 적어도 둘 이상의 기준표식(40)을 부착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예컨데, 사각형의 외관 형태를 가지는 수동형 장비(30)를 아래에서 위로 촬영한 영상을 상정하면 수동형 장비(30)의 영상 내 외관은 하단 부위에 비해 상단 부위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를 가지게 될 것이다. 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수동형 장비(30)의 좌하단과 우상단에 각각 동일한 크기의 기준표식(40)을 부착하는 방식이다. 그러면 상기 영상 감시부(110)는 좌하단의 기준표식과 우상단의 기준표식의 영상 내 크기를 비교해 크기 왜곡값을 기울기값으로 산출하고 이 기울기값을 이용해 영상 내 수동형 장비(30)의 외관에 투영 변환 매트릭스를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이 같은 투영 변환 매트릭스는 원격 카메라(200)의 설치위치와 수동형 장비(30)의 장착위치 사이의 물리적 기울기를 감안하여 영상 내 수동형 장비(30)의 정확한 크기와 확장 비율을 산출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감시 동영상 내 수동형 장비(30)의 외관에 왜곡이 있더라도 영상을 통해 정확한 감시구역 및 감시영역의 추출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부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원격 장치 20 : 원격 카메라
30 : 수동형 장비 40 : 기준표식
41 : 고유정보 구역 42 : 확장정보 구역
100 : 제어 시스템 110 : 영상 감시부
111 : 영상 입력부 112 : 기준표식 검출부
113a : 고유정보 판별부 113b : 확장정보 판별부
114 : 감시정보 DB 115 : 이미지 확장부
116 : 감시영역 추출부 117 : 이미지 변화 판별부
118 : 상태 정보 생성부 119 : 영상 DB
120 : 디바이스 관리부 130 : 상태 정보 관리부
140 : 이벤트 관리부 150 : 평시 화면 작화부
155 : 화면 표시부 160 : 이벤트 감시부
165 : 화면 캡쳐부 170 : 백그라운드 상황 수집부
175 : 이벤트 편집부 180 : 모니터
190 : 이미지 저장부

Claims (18)

  1. 원격지의 원격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상태 정보 데이터를 수집하여 모니터의 화면에 지정된 일부 상태 정보를 표시하고, 수집되는 상태 정보 데이터를 통해 이벤트 상황을 관리하며, 이벤트 발생시 모니터의 화면의 실시간 캡쳐 이미지 자료 외에 미리 설정된 백그라운드 상황 캡쳐 설정에 따라 백그라운드 상황을 부가 캡쳐 자료로 제공하며,
    상기 원격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원격지의 현장 장비에 대한 상태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여 관리하며 현장 장비의 현재 상태에 대한 상태 정보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바이스 관리부;
    상기 디바이스 관리부로부터 전달되는 상태 정보와 관련 태그를 저장관리하는 상태 정보 관리부;
    상기 상태 정보 관리부에 저장되는 실시간 상태 정보 및 관련 태그 중 관리자에 의해 지정된 일부 정보를 이용해 관리자가 볼 수 있는 모니터링 화면을 지속적으로 작화하는 평시 화면 작화부;
    상기 평시 화면 작화부에서 작화된 화면을 모니터로 출력하여 표시하는 화면 표시부;
    상기 상태 정보 관리부에 저장되는 실시간 상태 정보 및 관련 태그에 대하여 관리자에 의해 미리 설정되는 이벤트 발생 조건을 관리하며 이 이벤트 발생 조건을 참조하여 상태 정보 관리부에 저장되는 실시간 상태 정보 및 관련 태그를 분석해 이벤트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이벤트 감시부;
    상기 이벤트 감시부가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게 되면 상기 화면 표시부를 통해 모니터에 표출되는 현재 화면을 그대로 캡쳐하여 현재 화면 캡쳐 이미지 자료로서 이미지 저장부에 저장시키는 화면 캡쳐부;
    상기 상태 정보 관리부에 저장되는 실시간 상태 정보 및 관련 태그에 대하여 관리자에 의해 이벤트 발생시 실행되도록 미리 설정되는 백그라운드 상황 편집 설정값을 관리하는 이벤트 관리부;
    상기 이벤트 감시부가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게 되면 상기 상태 정보 관리부에 저장되는 실시간 상태 정보 및 관련 태그 중 상기 이벤트 관리부의 백그라운드 상황 편집 설정값으로 지정된 상태 정보 및 관련 태그를 수집하는 백그라운드 상황 수집부; 및
    상기 백그라운드 상황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상태 정보 및 관련 태그를 이용해 모니터로 보여지지 않는 백그라운드 상황을 이미지 또는 문서로 편집하고 편집되는 백그라운드 상황을 백그라운드 상황 캡쳐 자료로서 이미지 저장부에 저장시키는 이벤트 편집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CADA 시스템의 이벤트 기록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원격 카메라로부터 감시 동영상을 감시하고 변화 여부를 판별하여 수동형 장비의 현재 상태에 대한 상태 정보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 감시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태 정보 관리부는 상기 영상 감시부로부터 전달되는 상태 정보와 관련 태그를 저장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CADA 시스템의 이벤트 기록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동영상은 원격 카메라가 화각을 이동시켜가며 서로 이격되어 분산된 다수의 수동형 장비를 촬영한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SCADA 시스템의 이벤트 기록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형 장비의 외면에는 기준표식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CADA 시스템의 이벤트 기록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표식은 고유정보 구역과 확장정보 구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CADA 시스템의 이벤트 기록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정보 구역은 기준표식이 부착된 수동형 장비의 고유정보가 숫자, 문자, 기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표시되는 구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SCADA 시스템의 이벤트 기록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정보 구역은 기준표식이 포함된 이미지에서 기준표식의 위치를 중심으로 이미지를 확장하는 방향에 대한 정보가 확장바로 표시되는 구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SCADA 시스템의 이벤트 기록 장치.
  9. 제 3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감시부는,
    원격지의 원격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감시 동영상을 수신하는 영상 입력부;
    상기 영상 입력부로부터 감시 동영상을 전달받아 저장하는 영상 DB;
    상기 감시 동영상의 영상 프레임 내에서 기준표식을 검출하여 기준표식 이미지를 추출하는 기준표식 검출부;
    상기 기준표식 검출부에서 추출된 기준표식 이미지에서 기준표식의 고유정보를 판별하고 감시정보 DB에 저장된 수동형 장비별 확장 크기값을 참조해 확장 크기값을 추출하는 고유정보 판별부;
    상기 기준표식 검출부에서 추출된 기준표식 이미지에서 기준표식의 확장정보를 판별해 확장 방향을 추출하는 확장정보 판별부;
    상기 확장 크기값과 확장 방향을 참조해 수동형 장비가 포함된 영상 프레임에서 해당 기준표식을 중심으로 이미지를 확장시켜 감시구역을 추출하는 이미지 확장부;
    추출된 상기 감시구역에 대하여 기준표식의 고유정보를 통해 감시영역 좌표정보를 가져와 감시영역을 확정하는 감시영역 추출부;
    상기 감시영역의 이미지 변화 여부를 판별하는 이미지 변화 판별부; 및
    상기 이미지 변화 판별부의 판별 결과에 따라 해당 수동형 장비의 상태 정보 데이터를 생성하는 상태정보 생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CADA 시스템의 이벤트 기록 장치.
  10. 삭제
  11. (a) 제어 시스템이 관리자로부터 이벤트 발생 조건을 입력받고, 이를 이벤트 감시부에 이벤트 발생 조건 정보로서 저장 관리하는 단계;
    (b) 제어 시스템이 관리자로부터 이벤트 발생시 원인 분석에 필요한 상태 정보 및 관련 태그를 지정받고 이 상태 정보 및 관련 태그를 이용한 자료의 형태를 설정하며, 이를 이벤트 관리부에 백그라운드 상황 편집 설정값으로서 저장 관리하는 단계;
    (c) 제어 시스템이 평시 동작으로서 상태 정보 관리부에서 관리되는 원격지 장비의 실시간 상태 정보 및 관련 태그를 이용해 관리자가 볼 수 있는 평시 화면을 작화하고 모니터로 출력하는 단계;
    (d) 제어 시스템이 이벤트 감시부를 통해 이벤트 관리부의 이벤트 발생 조건을 참조하여 상태 정보 관리부에 저장되는 실시간 상태 정보 및 관련 태그를 분석해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e)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제어 시스템이 화면 캡쳐부(165)를 통해 모니터에 표출되는 현재 화면을 그대로 캡쳐하고, 이를 현재 화면 캡쳐 이미지 자료로서 이미지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f)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제어 시스템이 백그라운드 상황 수집부를 통해 이벤트 관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백그라운드 상황 편집 설정값을 추출하고, 이를 참조하여 지정된 상태 정보 및 관련 태그를 수집하는 단계; 및
    (g) 제어 시스템이 수집된 상태 정보 및 관련 태그에 대하여 이벤트 편집부를 통해 백그라운드 상황 편집 설정값을 참조하여 모니터로 보여지지 않는 백그라운드 상황을 이미지 또는 문서로 편집하고 편집되는 백그라운드 상황을 백그라운드 상황 캡쳐 자료로서 이미지 저장부에 저장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c) 단계는,
    제어 시스템이 영상 감시부를 통해 원격 카메라로부터 전달되는 감시 동영상을 감시하고 변화 여부를 판별하여 수동형 장비의 현재 상태에 대한 상태 정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CADA 시스템의 이벤트 기록 방법.
  12. 삭제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동영상은 원격 카메라가 화각을 이동시켜가며 서로 이격되어 분산된 다수의 수동형 장비를 촬영한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SCADA 시스템의 이벤트 기록 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형 장비의 외면에는 기준표식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CADA 시스템의 이벤트 기록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표식은 고유정보 구역과 확장정보 구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CADA 시스템의 이벤트 기록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정보 구역은 기준표식이 부착된 수동형 장비의 고유정보가 숫자, 문자, 기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표시되는 구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SCADA 시스템의 이벤트 기록 방법.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정보 구역은 기준표식이 포함된 이미지에서 기준표식의 위치를 중심으로 이미지를 확장하는 방향에 대한 정보가 확장바로 표시되는 구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SCADA 시스템의 이벤트 기록 방법.
  18. 제 11항 그리고 제 13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 영상 감시부가 원격지의 원격 카메라로부터 전달되는 감시 동영상을 수신하고, 수신된 감시 동영상을 영상 DB에 저장하는 단계;
    (B) 영상 감시부가 기준표식 검출부를 통해 수신되는 감시 동영상의 영상 프레임 내에서 기준표식이 검출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감시 동영상의 영상 프레임 내에서 기준표식이 검출된 경우, 영상 감시부가 기준표식이 포함된 프레임 이미지를 추출하고, 이 프레임 이미지에서 기준표식 이미지만을 추출하는 단계;
    (D) 영상 감시부가 추출된 기준표식 이미지에서 고유정보 판별부를 통해 해당 기준표식의 고유정보를 판별하고, 감시정보 DB에 저장된 수동형 장비별 확장 크기값을 참조해 확장 크기값을 추출하는 단계;
    (E) 영상 감시부가 추출된 기준표식 이미지에서 확장정보 판별부를 통해 해당 기준표식의 확장정보를 판별하고 확장 방향을 추출하는 단계;
    (F) 영상 감시부가 상기 고유정보에 따른 확장 크기값과 확장정보에 따른 확장 방향을 참조해 수동형 장비가 포함된 영상 프레임에서 해당 기준표식을 중심으로 이미지를 확장시켜 감시구역을 추출하는 단계;
    (G) 영상 감시부가 추출된 감시구역에 대하여 상기 기준표식의 고유정보를 통해 감시영역 좌표정보를 가져와 감시영역을 확정하는 단계; 및
    (H) 영상 감시부가 이미지 변화 판별부를 통해 상기 감시영역의 이미지 변화 여부를 판단하고, 감시영역의 이미지 변화가 발생한 경우, 해당 수동형 장비의 상태 정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CADA 시스템의 이벤트 기록 방법.
KR1020160047673A 2016-04-19 2016-04-19 Scada 시스템의 이벤트 기록 장치 및 방법 KR101681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7673A KR101681627B1 (ko) 2016-04-19 2016-04-19 Scada 시스템의 이벤트 기록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7673A KR101681627B1 (ko) 2016-04-19 2016-04-19 Scada 시스템의 이벤트 기록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1627B1 true KR101681627B1 (ko) 2016-12-01

Family

ID=57577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7673A KR101681627B1 (ko) 2016-04-19 2016-04-19 Scada 시스템의 이벤트 기록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162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2648B1 (ko) * 2017-08-08 2018-06-28 주식회사 자이솜 고속통신을 위한 scada 시스템의 디바이스 연결 방법 및 그 장치
KR101874078B1 (ko) 2016-10-05 2018-07-03 에스케이테크엑스 주식회사 앱의 e2e 지연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CN112257532A (zh) * 2020-10-14 2021-01-22 中国南方电网有限责任公司超高压输电公司南宁监控中心 一键顺控视频判据的智能分析方法
EP4246261A1 (de) * 2022-03-17 2023-09-20 Siemens Aktiengesellschaft Leitsystem für eine technische anlage und betriebsverfahr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602B1 (ko) * 2007-06-25 2008-01-23 주식회사 씨노텍 멀티미디어 원격감시 제어시스템
KR101482407B1 (ko) * 2013-06-03 2015-01-1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150085311A (ko) * 2014-01-15 2015-07-23 케이티텔레캅 주식회사 센서 연동 데이터 다중 관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602B1 (ko) * 2007-06-25 2008-01-23 주식회사 씨노텍 멀티미디어 원격감시 제어시스템
KR101482407B1 (ko) * 2013-06-03 2015-01-1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150085311A (ko) * 2014-01-15 2015-07-23 케이티텔레캅 주식회사 센서 연동 데이터 다중 관리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4078B1 (ko) 2016-10-05 2018-07-03 에스케이테크엑스 주식회사 앱의 e2e 지연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1872648B1 (ko) * 2017-08-08 2018-06-28 주식회사 자이솜 고속통신을 위한 scada 시스템의 디바이스 연결 방법 및 그 장치
CN109392192A (zh) * 2017-08-08 2019-02-26 智颂自动化股份有限公司 用于快速通信的scada系统的装置连接的方法以及系统
CN109392192B (zh) * 2017-08-08 2022-05-31 智颂自动化股份有限公司 用于快速通信的scada系统的装置连接的方法以及系统
CN112257532A (zh) * 2020-10-14 2021-01-22 中国南方电网有限责任公司超高压输电公司南宁监控中心 一键顺控视频判据的智能分析方法
EP4246261A1 (de) * 2022-03-17 2023-09-20 Siemens Aktiengesellschaft Leitsystem für eine technische anlage und betriebsverfahren
WO2023175113A1 (de) * 2022-03-17 2023-09-21 Siemens Aktiengesellschaft Leitsystem für eine technische anlage und betriebsverfahr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1627B1 (ko) Scada 시스템의 이벤트 기록 장치 및 방법
KR101321444B1 (ko) Cctv 모니터링 시스템
KR100990362B1 (ko) 지역별 데이터 수집ㆍ기록 장치를 이용한 시설물 통합 관리시스템
CN101946215B (zh) 用于控制报警管理系统的方法
EP1696398B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DE112016002373T5 (de) Tracking-support-vorrichtung, tracking-support-system und tracking-support-verfahren
KR101662577B1 (ko) Scada 시스템의 실시간 동영상 원격 감시 장치 및 방법
KR101688218B1 (ko) 객체 인지 기반의 실시간 영상 검지 기술을 이용한 교통 흐름 및 돌발 상황 관리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KR20070041492A (ko) 비디오 플래시 라이트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N102176758A (zh) 一种视频质量诊断系统及其实现方法
JPH11266487A (ja) インテリジェント遠隔監視システムおよび記録媒体
US10755109B2 (en) Monitoring system, monitor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N111025962A (zh) 一种基于全景图的变配电站室内可视化监控方法
KR20090026937A (ko) 복수의 이벤트 영상을 표시하는 통합 감시 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복수의 이벤트 영상 표시 방법
JP2017069963A (ja) 表示盤や操作盤のデータ収集システム、装置、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102834848A (zh) 用于监视场景中的活动重点的可视化的方法
JP2023015138A (ja) 監視カメラ管理装置、監視カメラ管理システム、監視カメラ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5117424A (ja) 監視システム
KR20160093253A (ko) 영상 기반 이상 흐름 감지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978373B1 (ko) 무인 에이브이 기록 장치를 이용한 시설물 관리시스템
JP2016123004A (ja) 撮像装置の設置支援装置、撮像装置の設置支援方法および映像記録再生装置
CN112804499A (zh) 一种全息施工安全监控系统
KR100970503B1 (ko) 무인 에이브이 기록 장치를 이용한 시설물 관리방법
JP2002279560A (ja) ネットワークカメラ利用の監視方法と監視システム
JPH11102495A (ja) 監視システムおよ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