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1605B1 - 항공영상 활용 및 판독관리 방법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항공영상 활용 및 판독관리 방법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1605B1
KR100831605B1 KR1020060085280A KR20060085280A KR100831605B1 KR 100831605 B1 KR100831605 B1 KR 100831605B1 KR 1020060085280 A KR1020060085280 A KR 1020060085280A KR 20060085280 A KR20060085280 A KR 20060085280A KR 100831605 B1 KR100831605 B1 KR 100831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ial image
data
file
reading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5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6278A (ko
Inventor
유복모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석곡관측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석곡관측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석곡관측과학기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070026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6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1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1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1/00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e.g. stereogrammetry; Photographic surveying
    • G01C11/02Picture tak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mmetry or photographic surveying, e.g. controlling overlapping of pi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09B29/006Representation of non-cartographic information on maps, e.g. population distribution, wind direction, radiation levels, air and sea rou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Remote Sen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Multimedia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cology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공기기를 이용하여 취득된 항공영상을 활용하여 판독관리시스템을 자동화시킨 항공영상 활용 및 판독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항공영상 및 이로부터 얻은 성과물인 약식현황도를 판독 및 관리하는 전산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판독자료에 대한 체계적 관리를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판독자료의 정확도가 향상되어 분쟁가능성의 감소 및 민원업무처리의 신속성을 기대할 수 있는 전산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입력수단과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유저인터페이스를 가지며, 항공영상을 활용하여 판독 및 관리하는 전산화 시스템으로서, 항공영상 이미지 데이터; 수치지도; 수치지도로부터 구조화된 약식현황도 데이터; 전년도와 당해 사업연도의 항공영상을 비교하여 적출한 변동사항을 포함하는 적출물 데이터; 항측판독조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유저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항공영상을 검색하는 항공영상 검색부와; 검색결과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항공영상을 확대, 축소, 이동하도록 하는 영상면제어부와; 유저인터페이스에 항공영상의 입체시 판독 및 확인을 위하여 항공영상을 입체로 표시하는 항공영상 입체표시부를 포함하는 항공영상 판독관리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항공영상, 약식현황도, 수치지도

Description

항공영상 활용 및 판독관리 시스템 {MASAIAI: MAnagement System of Application and Interpretation for Aerial Imager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항공영상 활용 및 판독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서 데이터베이스 구축 단계의 처리 흐름도.
도 3은 도 2에서 수치지도 가공(S40)을 위하여 필요한 인덱스 비교를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도 2에서 약식현황도를 수치지도와 와핑(warping) 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도 2에서 수치지도 가공파일을 생성(S44)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도 2에서 약식현황도 구조화(S48)를 위하여 적출물을 벡터화(vectorize)하고 구조화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도 2에서 구조화데이터를 검수(S50)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2에서 약식현황도 구조화(S48) 중에 포함되는 속성 JOIN 작업을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도 2에 따라 완료된 약식현황도 출력물의 판독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도 2에 따라 완료된 약식현황도 출력물의 처리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약식현황도의 편집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2는 약식현황도 제작시의 현장조사 및 데이터 입력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3은 도 1의 항공영상 판독관리 모듈(30)의 내부 구성도.
도 14는 도 1의 약식현황도 편집검수 모듈(40)의 내부 구성도.
도 15는 도 1의 적출결과 관리통계 모듈(50)의 내부 구성도.
도 16은 본 발명에서의 검색, 조회 및 출력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본 발명은 항공기기를 이용하여 취득된 항공영상을 활용하여 판독관리시스템을 자동화시킨 항공영상 활용 및 판독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항공영상 및 이로부터 얻은 성과물인 약식현황도를 판독 및 관리하는 전산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판독자료에 대한 체계적 관리를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판독자료의 정확도가 향상되어 분쟁가능성의 감소 및 민원업무처리의 신속성을 기대할 수 있는 전산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무허가 개발행위 단속과 도시계획수립, 정비, 입안, 단속업무의 지원 등을 위하여 항공영상을 촬영하고 이를 판독하여 판독내용을 바탕으로 약식현황도를 작성하고 있다. 약식현황도에는 변형된 사항을 판별할 수 있도록 표시하고 일련번호를 부여하여 항측판독조서를 작성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상술한 항공영상 판독 작업은 전년도와 당해 사업연도의 항공영상을 실체시로 비교하여 지형, 지물의 변동사항을 적출하는 것을 말하며, 적출된 내용을 약식현황도로서 편집/제도하고, 판독된 지형, 지물의 면적을 산정하여 판독조서에 정리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항공영상 판독은 전적으로 수기작업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어 약식현황원도 등의 부가적인 자료가 요구되며, 약식현황도 및 조서 작성 등에 있어서 중복된 작업이 발생하고 적출물 이기작업에 따른 위치정확성이 감소되며, 판독내용 기재에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업무구조의 특성상 여러 기관이 분담된 업무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자료의 전달과정이 효율적이지 못하고, 각 담당자별로 조서 기재 및 도면 작성에 대한 방식의 일관성을 기대하기 힘들다.
항공영상 및 약식현황도의 관리부분에 있어서는 매년 누적되는 다량의 자료 보관에 많은 공간과 비용이 소요되며, 필요로 하는 자료의 검색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고, 자료의 내용에 대한 현황파악조차 쉽지 않아 자료내용 분석 및 통계 등에 있어 활용이 곤란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항공영상, 약식현황도, 조서 등에 관련된 자료를 종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여 본 발명을 고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시자료인 항공영상과 수치지도 및 수기로 작성된 약식현황도와 그 속성정보를 전산화 시스템에 의해 판독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전산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항공영상 판독 및 관리 시스템은, 항공영상 판독과 관련된 항공영상 등의 이미지 데이터와 약식 현황도 및 수치지도 등 도형데이터 및 속성정보를 연계하여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판독 관리 등에 활용하기 위한 자동화 시스템을 개시한다. 항공영상 판독과 관련된 제반 전산업무를 통합적으로 지원하여 사용자의 업무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용자는 본 발명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항공영상 및 약식현황도로부터 원하는 정보의 판독 및 조사 정보의 추적이 가능하고, 원하는 항공영상 데이터를 영상면을 통해 입체시로 확인 가능하다. 또한, 판독업무와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관리, 활용이 가능하며, 자료입력 오류에 대한 자동 검수 기능으로 업무의 정확성을 기할 수 있고, 도면과 조서를 병행하는 방식으로 데이터입력을 간단히 할 수 있으며, 유관기관간의 자료 제공 및 업무처리결과 반영 작업을 원활히 할 수 있는 등 업무효율화를 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현행업무를 토대로 구성된 시스템 및 사용자관리, 데이터관리 등의 기능은 물론 시스템상에서 항공영상의 입체시 판독이 가능하며, 약식현황도 편집 및 검수, 적출내용에 대한 통계 및 이력관리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항공영상 활용 및 판독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를 나타낸다.
콘트롤 모듈(10)의 제어하에 데이터베이스(20), 항공영상 판독관리 모듈(30), 약식현황도 편집검수 모듈(40), 적출결과 관리통계 모듈(50), 유저인터페이스(60)가 연동되고 있다. 사용자는 유저인터페이스(UI)(60)를 통해 상기 각 모듈들을 운용할 수 있다.
도 1과 같이 구성되는 시스템의 구축을 위해서는 데이터베이스 설계, 사업연도 약식현황도의 구조화를 통한 데이터베이스의 구축, 사업연도의 항공영상 판독 및 처리조서 데이터 제작의 작업이 필요하다. 이들 작업에 대해서 우선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데이터베이스는 본 발명에 따른 항공영상 판독 관리 자동화 시스템에 필요한 파일과 데이터로써 구축되는바, 이를 위한 기본 레이어 설계가 필요하다. 레이어설계에 대해서는 아래 표에 예시한다.
업무영역 레이어 이름 레이어 정의 레이어 분류 TYPE 테이블 설명 비고
당해 년도 적출건물 PIL_BLDG_A 당해 년도 적출물 건물 Polygon
옥상 Polygon
형질 Polygon
지역구분 PIL_JYGB_A 개발제한구역 Polygon
행정구역 PIL_HJGN_A 시/군별 경계 군계 Polygon
PIL_HJGU_A 구별 경계 구계 Polygon
PIL_HJDO_A 법정동별 경계 법정동계 Polygon
INDEX PIL_IN10_A 1:1000 1000 인덱스 Polygon 수치지도
PIL_IN12_A 1:1200 1200 인덱스 Polygon 약식현황도
PIL_IN30_A 1:3000 3000 인덱스 Polygon 약시현황도
PIL_IN50_A 1:5000 5000 인덱스 Polygon 항공영상
수치지도 ADA001 도로 고속도로 LINE
ADA010 일반국도 LINE
ADA020 지방도 LINE
ADA030 시도 LINE
ADC040 군도 LINE
ADC022 특별/광역시도 LINE
AD002 도로중심선 LINE
CA0011 고도 등고수치 2점 LINE
CAA001 등고선(계곡선) LINE
CAA002 등고선(주곡선) LINE
CAA003 등고선(간곡선) LINE
CAA004 등고선(조곡선) LINE
CA002 표고점 POINT
CA0021 표고점수치 POINT
AAC001 담장 콘크리트 돌담 LINE
AAC002 판자담 LINE
AAC003 생울타리 LINE
AAC004 철조망 LINE
AAC005 철책 LINE
BA001 내륙수계 하천경계 LINE
BA002 하천중심선 LINE
AAA001 건물 일반건물 Polygon
AAA002 연립주택 Polygon
AAA003 아파트 Polygon
AAA004 무벽건물 Polygon
AAA005 온실 Polygon
AAA006 공사중 건물 Polygon
AAA007 가건물 Polygon
AAA008 빌딩(주택외) Polygon
상기 표와 같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방식에 의하면, 정확성 있는 수치지도를 가공하여 기존의 약식현황도를 기준으로 내용을 비교하여 제작하는 방법으로서, 수치지도에서 약식현황도에 필요한 레이어를 추출한 후 수치지도 가공파일을 생성하고 수기로 작성된 약식현황도와 비교하여 도형부분을 수정편집하고, 적출된 건물 및 형질 부분에 대하여 벡터라이징 및 구조화를 실시하게 된다. 조서데이터의 입력 부분은 항측판독 및 처리조서에 기재되어 있는 사항을 바탕으로 입력하여 도형정보와 연계할 수 있도록 하고, 항공영상 및 약식현황도 이미지 데이터 등의 영상정보와도 연계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 속성정보의 입력이 필요하다. 이에 따른 작업순서는 도 2와 같다.
도 2 내지 도 10 을 참조하여 약식현황도 구조화를 위한 도면 데이터베이스 구축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수치지도(S40)와 약식현황도(S42)의 인덱스를 통합해야 하는데 약식현황도는 1:1200 인덱스를 사용하고 있으며 수치지도는 1:1000 인덱스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인덱스가 일치하지 않는다. 따라서 약식현황도의 인덱스 기준에 맞추어 속성자료가 작성되어 있고, 업무담당자가 기존의 인덱스로 작업하는 것이 업무의 효율성이 높기 때문에 수치지도를 활용함에 있어 약식현황도의 인덱스인 1:1200 축척으로 통합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이러한 통합 방법은 여러 도곽으로 구성되어 있는 수치지도를 통판으로 묶어 구성한 후 1:1200 축척에 해당하는 인덱스로 나누어 맞춰준다.
이때 수치지도에서 약식현황도 제작에 필요한 건물, 도로, 고도, 담장, 내륙수계의 레이어를 추출하며, 약식현황도는 작업시 수치지도와 비교하여 사용할 데이터로서 식별가능하게 용량면에서 적합한 해상도로 스캐닝하여 수치지도에 맞추어 와핑작업을 하여 보정한다(도 4 참조).
그리고 약식현황도와 수치지도를 비교했을 때 위치 및 모양의 상이점이 발생 하는 경우에, 즉 수치지도와 약식현황도의 지장물이 비슷한 위치에 존재하거나, 위치는 비슷하나 모양이 상이한 경우나, 위치와 모양이 상이한 경우에는 수치지도를 반영하며 약식현황도 또는 수치지도에만 존재하는 경우에는 차후 판독대상물로 반영한다(도 5 참조).
그후 약식현황도는 바탕이 되는 기존건물과 도로, 지형, 경계 및 경계명 부분과 새로이 적출된 건물 및 지형에 대한 부분으로 구성된다. 바탕부분은 수치지도의 레이어를 부분적으로 가져와 도면 파일로 제작하여 약식현황도의 바탕을 구성하며, 적출물은 그 바탕 위에 새로이 생성된다(S44, S46)(도 6 참조).
또한 항측판독조서의 내용이 속성으로 입력되어 구조화 작업 및 속성 Join 작업을 거쳐 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S48). 생성된 데이터는 검수 작업과 SHP 형식의 파일로 출력하여 작업을 완료한다(S50, S52, 54)(도 7 내지 도 10 참조).
도 11은 본 발명에 있어서 약식현황도 제작시의 편집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적으로 편집할 인덱스를 선택하되 약식현황도 도면은 1:1200 인덱스로 구성되어져 있고, 1:3000 인덱스를 사용하는 블럭은 도면이 세로 5개 가로 6개로의 크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면 및 블록 단위의 편집이 가능하므로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1:1200 및 1:3000 인덱스를 선택하여 약식현황도 편집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약식현황도는 판독 작업에 의해 적출된 건축물에 대해 약식현황도를 작성한 후 현지조사 담당 부서에서 그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현지조사를 실시하고 해당 결과를 다시 정리하는 과정을 거치는데 현행 수기 방식에서는 항공영상 판독작업 전에 현지조사 결과에 대한 반영 작업을 실시한 후에야 당해연도 판독작업에 필요한 현황자료를 확보할 수 있으나 본 시스템에서는 그러한 작업시기에 대한 제약이 없어지게 되므로 현지조사결과에 대한 내용을 확보하게 되면 즉시 그 사항의 입력이 가능하며, 도형자료와 속성자료를 연동하여 입력함으로서 작업을 간소화하게 된다. 이때 입력하게 되는 현지조사 결과자료는 허가 및 신고, 비건물, 기한부 신고, 부수시설, 공공건물, 정비예정, 철거, 소멸 등의 내용을 입력하고, 현지조사에서 파악된 위치(법정동), 건축주, 면적, 토지소유 구분, 지역구분, 구조 등에 대한 속성정보와 현장영상 등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그 후 금년도 수치지도 해당 레이어 추출 및 입력하는데 전산화된 약식현황도는 구조화되어 적출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부분과 그 밑바탕이 되는 적출물 이외의 건물 및 지형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판독에 의해 바탕이 되는 건물 및 지형 등의 변화가 파악되면 그 사항에 대해서도 약식현황도에 반영한다. 원시자료에서는 수치지도를 가공하여 사용하였으나 수치지도의 갱신이 매년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므로 바탕이 되는 부분에 대해서 가공 및 편집하여 입력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리고 항공영상판독에 의해 적출된 건물 및 형질변경 등에 대한 내용을 입력하는 과정으로 본 발명에서는 도형 부분과 속성부분이 연동하여 입력 및 편집하며, 이 과정은 적출물의 꼭지점을 생성, 이동, 삭제하는 부분과, 적출물 도형을 이동, 회전, 복사, 삭제하는 과정, 그리고 꼭지점 및 도형 편집을 되돌리기(On Line/Off Line)하는 과정으로 구성된다. 이때 위치 및 면적 등의 정보는 공간검색 및 자동연산에 의해 입력되며, 발생시기 및 발생구분, 발생형태 등의 속성이 입력되면 도형과 연동되어 입력된다.
마지막으로 현지조사용 및 판독용 약식현황도를 인쇄하는데 판독용 약식현황도는 전년도 판독에 의해 현지조사가 이루어진 사항을 반영한 것이고, 현지조사용 약식현황도는 항공영상을 판독하여 적출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서 약식 현황도는 순환되는 과정에 따라 판독결과와 현지조사결과가 반영되어 진다. 수기작업에서는 이러한 과정별로 약식현황도를 보는 것이 불가능하지만 본 시스템에서는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각 과정에 따라 약식현황도를 나타내어 인쇄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있어서 약식현황도 제작시의 현장조사 및 데이터 입력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항공영상 활용 및 판독관리 시스템(MASAIAI)은 GPS 수신장치 및 PDA 등의 장비 및 약식현황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넓은 지역에 분산되어 있는 건물 및 지형현황자료를 파악 및 입력할 수 있는 자료입력모듈을 포함하고 있다. 현행 현지조사 작업은 수기로 작성된 약식현황도면과 조서로서 조사 대상물을 파악하고 결과를 정리하고 있어 넓은 지역에 있어서 조사대상물을 파악하기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조사결과 내용을 정리하는데 있어서도 체계성을 기대하기 힘들다. 이에 본 시스템에서는 GPS수신장치 및 PDA를 이용하여 현지조사 대상물을 검색하고 조사사항에 대한 결과를 실시간으로 중앙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할 수 있도록 마련한다.
다시 말해 적출물이 복잡한 지형을 가지고 있는 곳이나 기타 식별할 수 있는 지물이 없는 곳에 있을 경우 수기로 작성된 도면만으로 위치를 파악하는 것은 쉽지가 않다. 따라서 GPS수신장치와 PDA를 이용하여 PDA상에 도시한 약식현황도상의 위치정보를 활용하면 보다 쉽게 현지조사 대상물을 식별할 수 있다.
따라서 현지조사 대상물에 대해 식별이 되면 위치(법정동), 건축주, 면적, 허가/신고 및 행정조치 사항, 토지소유구분, 지역구분, 구조 등에 대한 내용을 파악하게 된다. 이때 주요 사항이 해당 대상물의 면적을 산정하는 것인데 GPS의 위치정확도가 부족하여 대상물 각 지점의 좌표점으로 대상물의 면적을 산정한 결과는 즉시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지만 GPS의 위치정확도가 확보되면 이러한 방안의 적용도 가능하다.
그리고 현장에서 현지조사자는 PDA를 이용, 중앙데이터베이스에 무선통신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이때 중앙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접속자가 인가된 사용자인지 확인 후 연결을 허용하게 되며, 현지조사자는 무선으로 중앙데이터베이스에 연결된 PDA를 통해 영상면에 표시된 약식현황도상의 적출물을 선택하여 각 적출물에 대한 현지조사 내용을 실시간으로 입력할수 있으며 현장영상 등의 자료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도 전술한 시스템에서의 약식현황도 편집 모듈과 마찬가지의 기능으로 도형 부분과 속성부분을 연동하여 입력하고 중앙데이터베이스에 이를 임시저장하게 되는데 임시 저장된 현지조사자료는 중앙데이터베이스 관리자가 확인한 후 저장하는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되게 된다.
다시 도 1로 돌아가서, 항공영상 판독관리 모듈(30)은 도 13에서 보는 것과 같이 데이터베이스(20)에 저장된 항공영상을 검색하는 항공영상 검색부(310)와, 항공영상 영상면제어부(302)와, 항공영상 입체표시부(303)를 포함한다. 항공영상 검색부(310)는 항공영상을 연도/코스별로 검색하는 기능, 약식현황도를 번호별로 검색하는 기능, 관심영상을 북마크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영상을 호출하는 기능 등을 포함한다. 항공영상 영상면제어부(302)는 영상을 특정배율로 확대 및 축소하고 선택영역으로 이동하는 기능, 이전 축척으로 돌아가는 기능을 수행한다. 항공영상 입체표시부(303)는 항공영상의 입체시 판독 및 확인을 위하여 항공영상을 입체로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14에서 약식현황도 편집 검수 모듈(40)은 적출물 편집부(401), 약식현황도 영상면제어부(402), 약식현황도 자동검수부(403)를 포함한다. 적출물 편집부(401)는 적출물(이전에 설명한 것과 같이 전년도와 당해 사업연도의 항공영상을 입체시로 비교하여 적출된 지형, 지물의 변동사항)에 대한 일련번호 부여, 추정면적 자동산정, 도형과 조서데이터의 연동, 데이터 일괄 등록 및 처리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약식현황도 영상면제어부(402)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약식현황도를 불러 영상면에 표시하여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가령, 좌표계 변환, 판독 및 현지조사 내용별 전환, 확대/축소/이동, 이전축척 돌아가기, 조서데이터와의 연동, 인덱스 및 레이어의 온/오프 등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약식현황도 자동검수부(403)는 약식현황도의 도형 검수, 입력정보 검수, 인접도면간의 속성 검수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유저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도 15에서 적출결과 관리 통계 모듈(50)은 적출된 결과를 관리하여 도면과 영상, 조성의 연계관리, 조서 조회 및 자동정렬, 출력폼 보기 및 확대/축소, 도형과 조서데이터의 연동, 조서데이터 일괄등록 등을 수행하는 적출결과 관리부(501)와, 적출결과를 통계처리하여, 가령 사용자별, 작업별 이력, 검수결과 등을 통계처리하는 통계처리부(502)를 포함한다.
다음은, 도 1의 콘트롤 모듈(10) 및 유저인터페이스(60)의 작용중 검색, 조회, 출력 기능에 대해 종합적으로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있어서의 검색, 조회 및 출력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사용자가 조회항목을 선택한다(101). 조회항목은 예를 들어, 공통항목(년도, 차수, 행정구군명), 약식현황도 정보(블록번호, 도면번호, 건물번호), 항측판독조서(행정동, 발생구분, 발생형태, 지역구분, 추정면적(범위)), 항측판독 및 처리결과조서(법정동, 건축주, 행정조치구분, 토지소유구분, 조사결과지역, 구조, 건축형태, 건물용도, 부수시설, 비건물, 처리구분), 재판독조서(판독사)별로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조회 항목별로 조회를 수행하게 된다.
통계조회(102)는 선택된 조회항목에 대한 통계치를 제공하며, 통계치는 각 항목에 대한 건수, 건수별로 된 총합계, 총합계에 따른 전체 데이터에 대한 백분율로 표시할 수 있다. 통계조회(102)를 수행 후 통계에 대한 결과를 영상면에 가령 표 형태로 출력하게 되는데(103), 해당되는 조서(항측판독조서, 항측판독 및 처리결과조서, 재판독 조서)들에 해당하는 조회결과를 항목에 따른 표 형태로 제공한다.
해당되는 항목의 조서검색결과로서 조서영상면이 출력되는데(105), 이때 선택된 항목에 관련된 영상면 출력 항목을 선택시 적출물을 약식현황도 도면에서 공간검색 하게 되면, 조서검색결과에 따른 약식현황도 도면을 조회하여 영상면에 출력하며(106), 적출물을 선택시에는 공간검색된 적출물을 영상면에 출력한다(108). 여기서, 조서에 대한 조회결과의 출력은 시에서 제공하는 조서대장의 형식으로 프린트할 수 있다. 각각의 조회된 항목으로 약식현황도 도면이 조회결과 영상면에 출력되면, 각각에 해당하는 약식현황도에 관련된 항공영상 정보의 조회를 수행하게 된다(107).
이상에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할 수 있다. 즉, 각 구성 모듈을 프로그램으로 구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해서 사용자의 PC에 설치함으써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도 미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항공영상 판독관리 시스템을 이용하면, 구축된 자료(각 조서, 약식현황도, 항공영상)를 연동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특히 공간검색을 이용하여, 자료와 속성정보, 약식현황도와 연동하여 수행함으로써, 검색기능을 이용하여 손쉽게 자료를 찾을 수 있으며, 검색결과에 따른 공간검색을 통한 건물들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각 검색결과를 통한 통계를 제공함으로써 통계결과를 쉽게 파악하여 작업 효율성을 증대시킨다.
또한, 항공영상 및 약식현황도 판독업무의 품질과 서비스를 향상시키고 판독자료에 대한 체계적 관리를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판독자료의 정확도가 향상되므로써 분쟁가능성의 감소 및 민원업무 처리의 신속성을 기대할 수 있으며, 적출물에 대한 이력관리와 처리결과의 사후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또한, 현재 여러 관련 부서간의 연계되고, 과정에서 순환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는 항공영상판독업무에 대한 전반에 대하여 각 데이터간의 연계 및 연동으로 검색 및 활용에 있어서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업무처리 결과에 대한 체계적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각 자료 입력에 대한 표준방안을 마련하고 중복적인 작업이 배제되며 도형과 속성정보의 병행입력으로 일관된 내용을 유지하여 오류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으며 현지조사 부분에 있어서는 현행방식의 난해한 부분에 대해 장비 및 데이터를 활용하여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수치지도 파일에서 레이어를 추출하여 수치지도 가공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수치지도 가공파일과 원시 약식현황도의 상이점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결과에 상응하게 상기 수치지도 가공파일을 편집한 약식현황도 파일을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식현황도 데이터베이스 구축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약식현황도 데이터베이스 구축방법은,
    전년도 항공사진과 해당년도 항공사진의 상이점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결과에 상응하게 상기 약식현황도 파일을 편집한 약식현황도 갱신 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식현황도 데이터베이스 구축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약식현황도 데이터베이스 구축방법은,
    상기 약식현황도 파일 또는 약식현황도 갱신 파일에 포함된 도형정보와 연계되는 속성정보 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식현황도 데이터베이스 구축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약식현황도 데이터베이스 구축방법은,
    사용자의 조회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약식현황도 파일 또는 약식현황도 갱신 파일을 상기 속성정보 파일과 연계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식현황도 데이터베이스 구축방법.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60085280A 2005-09-05 2006-09-05 항공영상 활용 및 판독관리 방법 및 기록매체 KR1008316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2383A KR20050094780A (ko) 2005-09-05 2005-09-05 항공사진을 이용한 약식현황도 제작방법
KR1020050082383 2005-09-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6278A KR20070026278A (ko) 2007-03-08
KR100831605B1 true KR100831605B1 (ko) 2008-05-27

Family

ID=3727545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2383A KR20050094780A (ko) 2005-09-05 2005-09-05 항공사진을 이용한 약식현황도 제작방법
KR1020060085280A KR100831605B1 (ko) 2005-09-05 2006-09-05 항공영상 활용 및 판독관리 방법 및 기록매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2383A KR20050094780A (ko) 2005-09-05 2005-09-05 항공사진을 이용한 약식현황도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50094780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889B1 (ko) 2008-11-26 2009-01-15 (주)대한지적기술단 압력감지센서를 이용하는 유격방지부를 구비한 항공사진 도화기
KR100948100B1 (ko) 2009-07-15 2010-03-16 한진정보통신(주) 항공삼각측량 현황도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02410B1 (ko) 2010-07-23 2010-12-21 (유)대산이앤씨 영상이미지의 기준점 대비 대상 지형물을 도화하는 공간 영상도화시스템
KR101012436B1 (ko) 2010-10-05 2011-02-07 (주)선영종합엔지니어링 도심 외 지역의 지리정보 변화에 따라 지도영상이미지의 편집을 처리하는 수치지도 운영시스템
KR101349392B1 (ko) 2013-06-20 2014-01-13 명화지리정보(주) 설정기준점을 이용한 지형물의 영상도화 업데이트시스템
KR20200055212A (ko) * 2018-11-12 2020-05-21 (주)신한항업 수치지도의 효율적인 편집을 위한 lisp 방식의 편집 방법과 편집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3398B1 (ko) * 2005-12-28 2006-05-26 새한항업(주) 수치지도와 사진영상의 복합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0583400B1 (ko) * 2005-12-28 2006-05-26 새한항업(주) 정적 지도의 동적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0917148B1 (ko) * 2007-04-20 2009-09-15 국방과학연구소 영역확장을 기반으로 지형지물의 영상을 추출하여 판정하는 방법
KR100792662B1 (ko) * 2007-04-30 2008-01-09 삼아항업(주) 항공사진 판독 시스템
KR100792674B1 (ko) * 2007-05-07 2008-01-09 삼아항업(주) 지형도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14720B1 (ko) * 2007-09-19 2008-03-20 대한민국 영상 탑재 현장조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24824B1 (ko) * 2008-11-13 2009-11-04 (주)미도지리정보 디지털 촬영영상에 좌표기준점을 적용하여 이미지화하는 영상도화시스템
KR100907939B1 (ko) * 2009-03-06 2009-07-16 새한항업(주) 지형변화에 따른 기준점의 표시위치 조정시스템
KR101006728B1 (ko) * 2010-07-23 2011-01-10 (주)동광지엔티 중심 투영과 영상 매칭을 이용한 자동 3 차원 좌표 측정 방법
KR101014835B1 (ko) * 2010-10-11 2011-02-15 한진정보통신(주) 브리징 좌표를 이용한 절대 표정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92833B1 (ko) * 2012-05-29 2013-08-05 주식회사 유삼씨앤씨 위치에 따른 지형지물 관리를 통한 수치지도 정밀 업데이트시스템
KR101223126B1 (ko) * 2012-10-10 2013-01-17 주식회사 고원항공정보 지형지물변화와 지피에스 위치확인을 통한 정밀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KR101238306B1 (ko) * 2012-11-06 2013-03-11 서광항업 주식회사 영상도화이미지의 비교 판단을 이용한 수치지도 정밀 업데이트 시스템
KR101331176B1 (ko) * 2013-08-19 2013-11-19 (주)선운 이앤지 정확한 위치 확인을 통한 수치지도 정밀성 향상 시스템
KR101331174B1 (ko) * 2013-08-19 2013-11-19 (주)선운 이앤지 정확한 현지조사작업을 통한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8437A (ko) * 2000-05-23 2000-10-05 박용선 인공위성의 영상데이터를 이용한 지도 제작방법
KR20000064227A (ko) * 2000-08-31 2000-11-06 천병년 지리정보 시스템을 이용한 3차원 가상공간 검색 시스템 및방법
KR20020057932A (ko) * 2002-06-20 2002-07-12 박용선 인터넷을 이용한 지리정보 데이터의 주문검색 서비스 방법
KR20020068151A (ko) * 2001-02-20 2002-08-27 공간정보기술 주식회사 수치사진측량 시스템
KR100473950B1 (ko) 2004-12-03 2005-03-14 (주)아세아항측 수치사진측량 기술을 이용한 항공사진 촬영면적이 기록된수치지도의 제작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8437A (ko) * 2000-05-23 2000-10-05 박용선 인공위성의 영상데이터를 이용한 지도 제작방법
KR20000064227A (ko) * 2000-08-31 2000-11-06 천병년 지리정보 시스템을 이용한 3차원 가상공간 검색 시스템 및방법
KR20020068151A (ko) * 2001-02-20 2002-08-27 공간정보기술 주식회사 수치사진측량 시스템
KR20020057932A (ko) * 2002-06-20 2002-07-12 박용선 인터넷을 이용한 지리정보 데이터의 주문검색 서비스 방법
KR100514944B1 (ko) * 2002-06-20 2005-09-16 주식회사 엔지스테크널러지 인터넷을 이용한 지리정보 데이터의 주문검색 서비스 방법
KR100473950B1 (ko) 2004-12-03 2005-03-14 (주)아세아항측 수치사진측량 기술을 이용한 항공사진 촬영면적이 기록된수치지도의 제작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889B1 (ko) 2008-11-26 2009-01-15 (주)대한지적기술단 압력감지센서를 이용하는 유격방지부를 구비한 항공사진 도화기
KR100948100B1 (ko) 2009-07-15 2010-03-16 한진정보통신(주) 항공삼각측량 현황도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02410B1 (ko) 2010-07-23 2010-12-21 (유)대산이앤씨 영상이미지의 기준점 대비 대상 지형물을 도화하는 공간 영상도화시스템
KR101012436B1 (ko) 2010-10-05 2011-02-07 (주)선영종합엔지니어링 도심 외 지역의 지리정보 변화에 따라 지도영상이미지의 편집을 처리하는 수치지도 운영시스템
KR101349392B1 (ko) 2013-06-20 2014-01-13 명화지리정보(주) 설정기준점을 이용한 지형물의 영상도화 업데이트시스템
KR20200055212A (ko) * 2018-11-12 2020-05-21 (주)신한항업 수치지도의 효율적인 편집을 위한 lisp 방식의 편집 방법과 편집장치
KR102189878B1 (ko) 2018-11-12 2020-12-14 (주)신한항업 수치지도의 효율적인 편집을 위한 lisp 방식의 편집 방법과 편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6278A (ko) 2007-03-08
KR20050094780A (ko) 2005-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1605B1 (ko) 항공영상 활용 및 판독관리 방법 및 기록매체
Arctur et al. Designing Geodatabases: case studies in GIS data modeling
Golparvar-Fard et al. D4AR–a 4-dimensional augmented reality model for automating construction progress monitoring data collection, processing and communication
Adamopoulos et al. Multi-sensor documentation of metric and qualitative information of historic stone structures
Kostrikov et al. Geoinformation approach to the urban geographic system research (case studies of Kharkiv region)
Vandysheva et al. 3D Cadastre modelling in Russia
JP2004145874A (ja) 固定資産画地計測・計算・情報管理システム
CN115375864B (zh) 一种基于无人机的高速铁路竣工验收方法
JP7336415B2 (ja) 補修計画策定装置
Corongiu et al. Data integration of different domains in geo-information management: a railway infrastructure case study
JP3673504B2 (ja) 地理情報検索システムと地理情報検索プログラム
Babalola et al. Developing a Cadastral Information System for Part of Fadaman-Mada Area of Bauchi Metropoli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JP2011059818A (ja) 砂防関連情報管理システム
Kwartnik-Pruc Possibilities of using innovative sources of information on real estate in the spatial data collection process
Biagini et al. BIM design lead for restoration of ShipWreck museum in Kyrenia castle in Cyprus
Bernstein The costs of land information systems
Bipu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spatial analysis
Konecny Cadastral mapping with earth observation technology
Kaliakouda Workflow from point cloud to BIM
Harper et al. The new technology of a survey data model and cadastral fabric as the foundation for a future land administration system
Muzakidis Photogrammetric Mapping for Cadastral Land and Information Systems
Scholar Development of Cadastral Information System for Effective and Sustainable Land Management Zakari, Danladi; Surv. Ahmed, Babayo; Adamu Makama Pindiga; & Abubakar Abdulkadir
Chiemelu et al. Multi-Purpose Cadastre (MPC) for Land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of Bethel Estate, Enugu State, Nigeria.
Misilmani et al. BIM-GIS INTEGRATION AN INNOVATIVE TOOL TO ENHANCE URBAN HERITAGE MANAGEMENT IN THE DIGITAL ERA
Akumu The Use Of Linear Referencing In Mapping Of Roads Case Study: Machakos Turnoff-Syongila (C97) Ro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