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8889B1 - 압력감지센서를 이용하는 유격방지부를 구비한 항공사진 도화기 - Google Patents

압력감지센서를 이용하는 유격방지부를 구비한 항공사진 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8889B1
KR100878889B1 KR1020080118290A KR20080118290A KR100878889B1 KR 100878889 B1 KR100878889 B1 KR 100878889B1 KR 1020080118290 A KR1020080118290 A KR 1020080118290A KR 20080118290 A KR20080118290 A KR 20080118290A KR 100878889 B1 KR100878889 B1 KR 100878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ial
carrier
aerial photo
pressure sensor
phot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8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호
Original Assignee
(주)대한지적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지적기술단 filed Critical (주)대한지적기술단
Priority to KR1020080118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88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8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8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10Map spot or coordinate position indicators; Map reading a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감지센서를 이용하는 유격방지부를 구비하는 항공사진 도화기는, 특정 지역에서 소정의 영역이 중복되도록 촬영된 한쌍의 항공사진 양화필름을 입력받기 위한 항공사진 캐리어와 한 쌍의 항공사진 양화필름을 항공사진 캐리어에 압착 고정하기 위해 항공사진 캐리어의 일측에 구비된 유격방지부와 항공사진 캐리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온도 조절 시스템과 한 쌍의 항공사진 양화필름으로부터 항공사진모델을 생성하고, 항공사진모델을 이용하여 특정 지역을 측량하는 항공사진측량 시스템 및 항공사진측량 시스템으로부터 측량된 지리정보를 입체영상으로 처리하는 입체영상처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제어부와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입체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영상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유격방지부는 항공사진 양화필름의 위치정보를 제어부로 피드백하는 압력감지센서 및 항공사진 양화필름의 위치를 조정하는 위치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압력감지센서로부터 피드백 받은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위치조정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항공사진, 항공사진 캐리어, 압력감지센서, 위치조정부, 유격방지부

Description

압력감지센서를 이용하는 유격방지부를 구비한 항공사진 도화기{An Aerial Potography Plotting Instrument with a Department for Protecting Gap Using Pressure Sensor}
본 발명은 지리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되는 항공사진을 판독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압력감지센서를 이용하는 유격방지부를 구비한 항공사진 도화기에 관한 것이다.
도화기는 항공사진에서 나온 양화필름을 이용하여 지형도를 제작하는 장비를말한다. 도화기는 크게 아날로그 도화기, 해석 도화기 및 수치도화기로 분류할 수 있다.
도화기는 기본적으로 정밀 입체 좌표측정기(stereo comparator)와 좌표독취기(coordinatograph)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도화기의 구성 요소에서 써보모터와 인코더는 중요한 부분으로서 사진측정 작업을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해주는 장치이다.
도화기는 공선 조건식을 사용하여 수학적 모델을 계산할 수 있다. 방정식의 해를 구하기 위해 필요한 외적 입력값으로는 카메라의 내부표정 요소와 기준점의 지상좌표가 있고, 내적 입력값으로는 도화기 자체에 의해 측정된 상좌표들이 있다.
이러한 데이터로부터 컴퓨터는 실시간으로 모델좌표 및 다른 형태의 유용한 결과값을 계산할 수 있다. 도화기는 측정한 데이터들을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거나 하드카피 형태로 프린트 또는 프로팅할 수 있도록 좌표독취기(coordinatograph)에 전달해 준다.
이하에서는 도화방법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항공사진을 이용한 다양한 도화 방법으로서 수정도화 방법, 해석도화 방법 및 수치도화 방법이 있다.
수정도화 방법은 기계식 사진측량의 대표적인 방법으로 항공사진과 도화원도를 통해 변화된 지역에 대해서 부분도화를 시행하고 수치화하여 기존 수치지도와 병합함으로써 수치지도를 도화하는 방법이다.
해석도화 방법은 도화기에 연결된 전산기에 기존 수치치도를 직접 화면상에서 확인하며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이다. 즉, 항공사진과의 비교를 통한 수정요소의 확인이 용이하고, 갱신내용에 대한 수정도화파일을 직접 제작할 수 있다. 해석사진측량에 의해 수치지도를 갱신하는 경우, 다수의 항공사진을 동시에 지상좌표계로 변환하여 대규모 지역에 대한 도화가 가능하다.
수치도화 방법은 해석도화 방법과 달리 이미지 파일을 이용하여 도화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수치도화 방법으로 수치지도를 갱신하는 경우, 항공사진의 영상화 과정이 필요하다. 이는 최초 항공사진을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하거나, 항공사진 양화필름을 고해상도 스캐너를 통해 스캐닝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수치도화 방법은 영상정합, 항공삼각측량, 수치지형모형(DTM: Digital Terrain Model) 생성 등의 과정을 세밀하게 분할된 단위 화소 단위로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화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먼저 해당 지역에 대한 한 쌍의 항공사진(좌안 사진 및 우안 사진)을 촬영한다. 작업자는 입체경(편광스크린 및 편광안경)을 통해 입체화(3차원 이미지)된 항공사진 및 항공사진과 부합하는 수치지도를 번갈아 확인하면서 상이한 부분을 수치지도 상에 표시함으로써 도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도화기를 이용하는 경우 도화작업을 수행함에 따라 도화기 내부에서 온도차가 발생하게 되면, 항공사진 양화필름에 유격 또는 신축이 발생할 수 있다. 즉, 항공사진 양화필름에 발생하는 외적 변형에 따라 도화 성과에 지장을 줄 수 있다. 항공사진 양화필름의 변형에 의해 발생하는 도화 성과는 정상적인 경우보다 최소 5000배 이상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효율적인 도화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도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밀한 도화 작업을 위해 항공사진 양화필름을 효율 적으로 고정하고, 도화 작업시 양화필름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도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리정보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수치지도를 제작하기 위한 항공사진 도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항공사진을 판독하기 위한 장치를 개시한다. 특히, 압력감지센서를 이용한 유격방지부를 구비한 항공사진 도화기의 구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로서 압력감지부를 이용하는 자동 유격방지부를 구비하는 항공사진 도화기는, 특정 지역에서 소정의 영역이 중복되도록 촬영된 한쌍의 항공사진 양화필름을 입력받기 위한 항공사진 캐리어와 한 쌍의 항공사진 양화필름을 항공사진 캐리어에 압착 고정하기 위해 항공사진 캐리어의 일측에 구비된 유격방지부와 항공사진 캐리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온도 조절 시스템과 한 쌍의 항공사진 양화필름으로부터 항공사진모델을 생성하고, 항공사진모델을 이용하여 특정 지역을 측량하는 항공사진측량 시스템 및 항공사진측량 시스템으로부터 측량된 지리정보를 입체영상으로 처리하는 입체영상처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제어부와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입체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영상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유격방지부는 항공사진 양화필름의 위치정보를 제어부로 피드백하는 압력감지센서 및 항공사진 양화필름의 위치를 조정하는 위치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한, 제어부는 압력감지센서로부터 피드백 받은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위치조정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위치조정부는 항공사진 캐리어의 하판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위치조정부는 구 형태를 가지고, 모든 방향으로 항공사진 양화필름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 형태의 위치조정부는 구 형태 표면에 소정의 높이를 갖는 하나 이상의 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위치조정부는 항공사진 캐리어의 상판이 항공사진 캐리어의 하판에 완전히 밀착되는 경우에는 항공사진 캐리어 하판의 내부로 완전히 들어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반영한 도화기를 이용함으로써 효율적이고 정밀한 도화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둘째, 항공사진 캐리어에서 항공사진의 유격을 방지함으로써 정밀하고 신뢰성있는 도화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셋째, 항공사진 캐리어에 구비된 유격 방지부를 이용함으로써 항공사진 양화필름을 효율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만약, 항공사진 양화필름이 항공사진 캐리어에 완전히 고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도화기에 구비된 위치조정부를 이용하여 항공사진 양화필름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리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되는 항공사진을 판독하기 위한 장치를 개시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유격방지부를 포함하는 항공사진 도화기를 개시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을 소정 형태로 결합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도면에 대한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수 있는 부분 또는 부속품 등은 기술하지 않았으며, 당업자의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을 정도의 부분 또는 부속품 등은 또한 기술하지 아니하였다. 이러한 사항들은 당업자의 수준에서 이해될 수 있는 수준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도면들에서 동일한 부분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은 동일한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표시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特定)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지리정보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은 공간상 위치를 점유 하는 지리자료(Geographic data)와 이에 관련된 속성자료(Attribute data)를 통합하여 처리하는 정보시스템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지리정보를 효율적으로 수집, 저장, 갱신, 처리, 분석 및 출력하기 위해 이용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지리자료 및 인적자원의 총체적 조직체이다.
지리정보시스템(GIS)는 인간생활에 필요한 지리정보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정보시스템의 하나이다. 여기서 의미하는 GIS란 공중의 사용을 목적으로 실세계의 관련 구성 요소간의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진 활동 시스템을 의미한다. GIS의 일예로서 자동차를 들 수 있다. 즉, 자동차는 여러 구성요소로서 이루어지며, 각 요소간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교통수단을 제공하는 하나의 시스템으로 간주될 수 있다.
GIS는 넓은 의미에서 인간의 의사결정능력의 지원에 필요한 지리정보의 관측과 수집에서부터 보존, 분석 및 출력에 이르기까지 일련의 조작을 위한 정보시스템을 의미한다. 이때, 정보시스템이란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만들기 위한 제반 과정으로서 각종 정보의 생성에서부터 정보의 저장 및 분석을 포함한다. 따라서 정보시스템은 제반정보의 관측, 측정과 같은 정보의 생성, 저장 및 관리 기능으로부터 저장된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의사결정에 활용하는 광범위한 기능까지를 의미할 수 있다.
수치도화란 측량용 항공사진 또는 위성 영상의 지형 지물을 해석식 도화기 또는 좌표 입력장치 부탁 도화기에 의하여 수치데이타로 측정하여 컴퓨터에 수록하는 작업을 말한다.
항공사진 도화기는 지리정보시스템(GIS)에 이용되는 수치사진측량장비를 이용하여 촬영한 항공사진을 판독하는 장치이다. 즉, 항공사진 도화기는 항공사진측량용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항공사진들을 항공사진모델화하고, 이 항공사진모델에 수치화된 약식현황도를 중첩하여 양자의 상이점을 판독할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수치지도(Digital Map)란 종이지도가 가지고 있는 정보를 점, 선 및 면 형태의 기하학적 도형 요소나 화소들의 집합으로 디지털화한 도면을 의미한다. 또한, 수치지도는 국가기관인 국토지리정보원(NGII: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에 제공하는 표준서식에 부합하도록 작성되어야 한다. 약식현황도(또는, 판독보조도)는 표시하고자 하는 지표면상의 상황에 대한 측량결과와 행정구역경계, 지명 등을 도시하고 있으며, 국토의 이용개발과 통계조사 등 여러 분야에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항공사진 도화기를 구성하는 논리적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압력감지센서를 이용하는 유격방지부를 구비한 항공사진 도화기(100)는 항공사진 캐리어(110), 유격 방지부(130), 온도조절 시스템(150), 제어부(170) 및 영상표시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항공사진 캐리어(110)는 항공사진 양화필름을 입력받는 장치이다. 물론, 항공사진 양화필름 이외에 다양한 지리적 수치 정보, 사용자 정보 등을 입력받을 수 있다.
항공사진은 한 쌍이 하나의 항공사진 모델을 구성한다. 예를 들어, 항공사진은 특정 지역의 소정 부분을 중첩하여 두 장씩 촬영된다. 항공사진 캐리어는 도화작업을 위해 특정 지역을 항공촬영한 항공사진을 고정시키는 부분이다. 따라서, 항공사진 캐리어는 하나의 항공사진 모델을 입력받아 도화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좌측 및 우측의 항공사진 캐리어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항공사진 도화기는 항공사진 캐리어(110) 상에서 항공사진 양화필름의 유격을 방지하기 위한 유격방지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유격 방지부(130)는 항공사진 도화기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온도 변화에도 불구하고, 항공사진 양화필름에 발생하는 신축 또는 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한 부분이다.
온도조절 시스템(150)은 항공사진 도화기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시스템이다. 특히, 항공사진 도화기에 있어서, 항공사진 양화필름을 올려놓는 항공사진 캐리어(Carrier)의 온도는 항상 일정할 필요가 있다.
도화작업을 수행하는 도중에 항공사진 도화기의 내부 온도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항공사진 캐리어의 좌측 및 우측의 캐리어의 온도차이가 발생하거나, 캐리어 전체의 온도가 높아지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항공사진 양화필름에 항공사진 도화기의 온도가 그대로 전달될 수 있으므로, 항공사진 양화필름에 약간의 유격 또는 신축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도화작업에 바로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항공사진 양화필름의 유격 또는 신축으로 인한 변형에 의해 발생하는 도화 성과에는 최소 5,000배 이상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 다.
따라서, 항공사진 도화기, 특히 항공사진 캐리어의 온도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 항공사진 도화 작업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항공사진 양화필름의 유격을 방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도 1에서 온도 조절 시스템(150)은 항공사진 도화기 및 항공사진 캐리어의 온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에서 제어부(170)는 상기 항공사진 캐리어(110), 유격방지부(130), 온도조절 시스템(150) 및 영상 표시부(170)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70)는 항공사진 캐리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자동 온도조절 시스템을 제어하고 항공사진 캐리어에 입력된 한 쌍의 항공사진 양화필름으로부터 항공사진모델을 생성하고, 항공사진모델을 이용하여 특정 지역을 측량하는 항공사진측량 시스템과 항공사진측량 시스템으로부터 측량된 지리정보를 입체영상으로 처리하는 입체영상처리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170)는 입체영상처리 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된 입체영상을 영상표시부(190)를 통해 사용자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수 있으므로 항공사진측량 시스템 및 입체영상처리 시스템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하였다. 다만, 필요하다면 항공사진 측량 시스템 및 입체영상처리 시스템은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시스템들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항공사진 양화필름이 도화기(또는, 항공사진 캐리어)에 입력되면, 유격 방지부(130)를 제어하여 항공사진 양화필름을 고정할 수 있다. 또 한, 제어부(170)는 온도 조절 시스템(150)을 제어하여 항공사진 도화기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항공사진 도화 작업의 정밀성을 높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항공사진 캐리어의 일측에 연결된 유격 방지부의 구성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에서 유격방지부(130)는 항공사진 양화필름의 위치정보를 감지하고, 위치정보를 제어부로 피드백하는 압력감지센서(220) 및 항공사진 양화필름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위치조정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항공사진 캐리어(110)는 상판 캐리어와 하판 캐리어를 포함할 수 있다. 하판 캐리어에 항공사진 양화필름을 올려놓고 상판 캐리어를 하판 캐리어에 완전히 덮음으로써 항공사진 양화필름을 고정할 수 있다.
압력감지센서(220)는 항공사진 양화필름이 항공사진 캐리어에 완전히 밀착되어 고정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압력감지센서(220)는 항공사진 캐리어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압력감지센서(220)는 항공사진 캐리어의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압력감지센서(220)는 다양한 크기 및 개수로 다양한 위치에 구비됨으로써 양화필름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압력감지센서(220)는 양화필름이 압력감지센서(220)에 닿는 경우에 양화필름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따라서, 압력감지센서(220)는 양화필름이 캐리어에 정상적으로 완전히 밀착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또한, 압력감지센서는 양화필름의 위치정보를 획 득할 수 있다. 또한, 압력감지센서(220)는 제어부(170)에 양화필름의 위치정보를 피드백할 수 있다.
위치조정부(240)는 제어부에 연결되어 제어부의 제어를 받을 수 있다. 제어부는 압력감지센서로부터 항공사진 양화필름의 위치정보를 피드백 받음으로써, 위치조정부(240)를 제어하여 항공사진 양화필름의 유격 및 이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는 항공사진 도화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는 해석식 도화기의 일례를 나타내고, 도 3(b)는 수치도화를 위한 수치도화기의 일례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영된 항공사진 도화기는 도 3(a) 및 도 3(b)와 같은 해석식 도화기 및 수치 도화기 중 하나 이상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유격방지부를 포함하는 항공사진 캐리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항공사진 캐리어(110)는 하나의 캐리어 상판 및 캐리어 하판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항공사진 캐리어(110)가 좌측 캐리어 및 우측 캐리어를 포함하는 구성을 취한다면(도 2 설명 참조), 좌측 캐리어 및 우측 캐리어는 각각 캐리어 상판 및 캐리어 하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설명의 용이성을 위해, 항공사진 캐리어가 하나의 구성을 취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물론, 항공사진 캐리어가 좌측 및 우측 캐리어를 구비하는 경우에도 도 4의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유격 방지부(130)는 항공사진 캐리어의 하판에 구비될 수 있다. 항공사진 캐리어 하판의 위치는 각각 알파벳 A, B, C 및 D를 이용하여 상, 하, 좌 및 우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항공사진 양화필름은 A에서 B 방향으로 입력되는 것을 가정한다.
항공사진 캐리어의 하판에는 하나 이상의 위치조정부(240)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항공사진 양화필름이 한 쌍으로 입력되므로 좌우 측에 각각 한 쌍의 위치조정부(240)를 포함하는 구성을 취할 수 있다.
도 4에서 압력감지센서(220)는 양화필름이 입력되는 방향인 B 쪽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A, C 및 D 방향 중 하나 이상에 압력감지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B 방향에 구비된 압력감지센서는 220a로 나타내고, C 및 D 방향에 구비된 압력감지센서는 220b로 나타내기로 한다.
우선, B 방향에만 압력감지센서(220a)가 구비된 경우를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에, 양화필름이 캐리어에 입력되면, B 방향에 구비된 압력감지센서(220a)만이 동작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70)는 B 방향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모든 압력감지센서(220a)에서 양화필름을 감지한 경우에만 양화필름이 정상적으로 캐리어에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압력감지센서(220b)는 C 및 D 방향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어부(170)는 위치조정부(240)를 이용하여 한 쌍의 좌우 항공사진 양화필름의 위치를 각각 조정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B 방향에만 하나 이상의 압력감지센서가 위치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각 압력감지센서는 모두 제어기와 연결될 수 있다.
압력감지센서(220a)는 양화필름이 압력감지센서에 닿는 경우에, 양화필름에 대한 압력을 감지함으로써 양화필름의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압력감지센서의 형태는 하나의 긴 막대 형태의 센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압력감지센서는 소정 개수의 여러 개의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소정 크기의 다수개의 압력감지센서(220a)를 이용하는 것을 가정한다.
제어부는, 한 쌍의 양화필름이 모든 압력감지센서(220a)에 닿고 모든 압력감지센서(220a)들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면, 한 쌍의 양화필름이 정상적으로 캐리어에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만, 제어부는, 한 쌍의 양화필름이 특정 압력감지센서(220a)에 닿지 않고 특정 압력감지센서에만 닿으면, 한 쌍의 양화필름이 정상적으로 캐리어에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압력감지센서(220a)로부터 피드백 받은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양화필름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양화필름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위치조정부(240)를 이용할 수 있다.
제어부가 위치조정부를 제어하는 동안에, 제어부는 계속해서 압력감지센서로부터 양화필름의 위치를 피드백 받을 수 있다. 제어부는 이러한 양화필름의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양화필름의 위치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위치조정부(240)를 제어함으로써 양화필름의 위치가 정상적인 자리 에 위치하면, 항공사진 캐리어 상판을 항공사진 캐리어 하판에 밀착시킴으로써 항공사진 양화필름을 완전히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부, 압력감지센서 및 위치조정부는 도화작업이 수행되는 도중에도 동작할 수 있다. 만약, 도화 작업 도중에 양화필름의 이격 또는 유격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제어부는 압력감지센서로부터 양화필름의 위치가 변경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도화작업을 중단하고, 하나 이상의 위치조정부를 제어하여 양화필름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위치조정부(240)는 소정 두께의 띠를 두른 구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즉, 위치조정부(240)는 도 4와 같이 구 형태를 갖고, 구의 표면에 소정 높이의 띠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소정 높이의 띠는 위치조정부를 십자 형태로 감싸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위치조정부(240)는 띠가 없는 구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위치조정부(240)는 구의 형태를 가지므로 A, B, C 및 D의 어느 특정 방향으로도 양화필름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위치 조정부의 개수는 많이 필요 없으며, 캐리어 하판의 모서리 끝 부분에 하나씩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위치조정부는 고무와 같은 마찰계수가 큰 물질을 사용함으로써 최소한의 표면적으로도 양화필름의 위치를 효율적으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치조정부는 캐리어 하판에 내부에 거의 대부분이 포함되는 형태를 취하며, 양화필름을 움직일 정도의 부분만이 캐리어 하판의 상부에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위치조정부는 상하로 움직일 수 있으므로, 캐리어 상판이 캐리어 하판에 완전히 밀착되어 양화필름을 고정하는 경우에는, 위치조정부는 캐리어 하판의 내부로 완전히 들어갈 수 있다. 다만, 도화작업 도중에 양화필름의 이격 또는 유격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위치조정부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다시 양화필름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위치조정부는 자기장, 밸트 등을 이용하는 다양한 원리로 구동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위치조정부가 자성물질로 이루어진 경우, 위치조정부 하부에 구비된 콘덴서에서 발생된 자기장에 의하여 구 형태의 위치조정부가 회전 가능하다. 또한, 위치조정부의 하부(즉, 캐리어 하판 내부)는 소정의 밸트로 연결되어 구 형태의 위치조정부를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가 A에서 B 방향으로 양화필름의 위치를 조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위치조정부의 하부에 구비된 밸트를 A에서 B 방향 또는 B에서 A방향으로 구동하여 위치조정부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가 양화필름의 위치를 C에서 D 방향으로 조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위치조정부의 하부에 구비된 밸트를 C에서 D 방향 또는 D에서 C방향으로 구동하여 위치조정부를 조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항공사진 도화기를 구성하는 논리적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항공사진 캐리어의 일측에 연결된 유격 방지부의 구성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는 항공사진 도화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압력감지센서를 이용하는 유격방지부를 포함하는 항공사진 캐리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항공사진 도화기 110: 항공사진캐리어
130: 유격 방지부 150: 온도조절시스템
170: 제어부 190: 영상표시부
220: 압력감지센서 240: 위치조정부

Claims (5)

  1. 압력감지센서를 이용하는 유격방지부를 구비한 항공사진 도화기에 있어서,
    특정 지역에서 소정의 영역이 중복되도록 촬영된 한쌍의 항공사진 양화필름을 입력받기 위한 항공사진 캐리어;
    상기 한쌍의 항공사진 양화필름을 상기 항공사진 캐리어에 압착 고정하기 위해 상기 항공사진 캐리어의 일측에 구비된 유격방지부;
    상기 항공사진 캐리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온도 조절 시스템;
    상기 한쌍의 항공사진 양화필름으로부터 항공사진모델을 생성하고, 상기 항공사진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특정 지역을 측량하는 항공사진측량 시스템 및 상기 항공사진측량 시스템으로부터 측량된 지리정보를 입체영상으로 처리하는 입체영상처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입체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영상표시부를 포함하되,
    상기 유격방지부는 상기 항공사진 양화필름의 위치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피드백하는 압력감지센서 및 상기 항공사진 양화필름의 위치를 조정하는 위치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감지센서로부터 피드백 받은 상기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조정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감지센서를 이용하는 유격방지부를 구비한 항공사진 도화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정부는 상기 항공사진 캐리어의 하판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감지센서를 이용하는 유격방지부를 구비한 항공사진 도화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정부는 구 형태를 가지고, 모든 방향으로 상기 항공사진 양화필름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감지센서를 이용하는 유격방지부를 구비한 항공사진 도화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 형태의 위치조정부는 상기 구 형태 표면에 소정의 높이를 갖는 하나 이상의 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감지센서를 이용하는 유격방지부를 구비한 항공사진 도화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정부는 상기 항공사진 캐리어의 상판이 상기 항공사진 캐리어의 하판에 완전히 밀착되는 경우에는 상기 항공사진 캐리어 하판의 내부로 완전히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감지센서를 이용하는 유격방지부 를 구비한 항공사진 도화기.
KR1020080118290A 2008-11-26 2008-11-26 압력감지센서를 이용하는 유격방지부를 구비한 항공사진 도화기 KR100878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290A KR100878889B1 (ko) 2008-11-26 2008-11-26 압력감지센서를 이용하는 유격방지부를 구비한 항공사진 도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290A KR100878889B1 (ko) 2008-11-26 2008-11-26 압력감지센서를 이용하는 유격방지부를 구비한 항공사진 도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8889B1 true KR100878889B1 (ko) 2009-01-15

Family

ID=40482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8290A KR100878889B1 (ko) 2008-11-26 2008-11-26 압력감지센서를 이용하는 유격방지부를 구비한 항공사진 도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888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0078B1 (ko) 2009-08-12 2009-12-14 제일항업(주) 지리정보기준 디지털영상의 오차보정식 수치도화기
KR100959185B1 (ko) 2009-08-06 2010-05-24 대주항업 주식회사 수치지도 제작을 위한 고정밀 도화기
KR101151889B1 (ko) 2011-11-18 2012-06-08 서광항업 주식회사 정밀한 지형지물 데이터 수집이 가능한 실체도화기를 갖춘 도화시스템
KR101223186B1 (ko) 2012-09-26 2013-01-17 주식회사 유성 변화된 지형지물의 기존 영상이미지를 편집하는 영상도화 갱신시스템
KR101238270B1 (ko) 2012-10-22 2013-03-04 중앙항업(주) 지형변화에 따른 기준점별 지피에스와 아이엔에스 좌표의 정밀 적용을 통한 지표면의 측지측량 영상도화시스템
KR101342629B1 (ko) 2013-09-09 2013-12-20 삼아항업(주) 지형지물의 변화에 의한 실시간 편집을 위한 공간영상도화 갱신시스템
KR101349223B1 (ko) 2013-06-10 2014-01-08 대한항업(주) 디지털 촬영에 의한 항공영상의 기준점 삽입식 영상도화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0851A (ja) * 1995-02-02 1996-08-20 Asia Kosoku Kk 3次元デジタル図化機
JP2001027872A (ja) 1999-07-13 2001-01-30 Nec Niigata Ltd 電子写真プリンタ
KR200337547Y1 (ko) 2003-10-01 2003-12-31 중앙항업(주) 양화필름 고정판
KR100831605B1 (ko) 2005-09-05 2008-05-27 재단법인 석곡관측과학기술연구원 항공영상 활용 및 판독관리 방법 및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0851A (ja) * 1995-02-02 1996-08-20 Asia Kosoku Kk 3次元デジタル図化機
JP2001027872A (ja) 1999-07-13 2001-01-30 Nec Niigata Ltd 電子写真プリンタ
KR200337547Y1 (ko) 2003-10-01 2003-12-31 중앙항업(주) 양화필름 고정판
KR100831605B1 (ko) 2005-09-05 2008-05-27 재단법인 석곡관측과학기술연구원 항공영상 활용 및 판독관리 방법 및 기록매체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185B1 (ko) 2009-08-06 2010-05-24 대주항업 주식회사 수치지도 제작을 위한 고정밀 도화기
KR100930078B1 (ko) 2009-08-12 2009-12-14 제일항업(주) 지리정보기준 디지털영상의 오차보정식 수치도화기
KR101151889B1 (ko) 2011-11-18 2012-06-08 서광항업 주식회사 정밀한 지형지물 데이터 수집이 가능한 실체도화기를 갖춘 도화시스템
KR101223186B1 (ko) 2012-09-26 2013-01-17 주식회사 유성 변화된 지형지물의 기존 영상이미지를 편집하는 영상도화 갱신시스템
KR101238270B1 (ko) 2012-10-22 2013-03-04 중앙항업(주) 지형변화에 따른 기준점별 지피에스와 아이엔에스 좌표의 정밀 적용을 통한 지표면의 측지측량 영상도화시스템
KR101349223B1 (ko) 2013-06-10 2014-01-08 대한항업(주) 디지털 촬영에 의한 항공영상의 기준점 삽입식 영상도화 시스템
KR101342629B1 (ko) 2013-09-09 2013-12-20 삼아항업(주) 지형지물의 변화에 의한 실시간 편집을 위한 공간영상도화 갱신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8889B1 (ko) 압력감지센서를 이용하는 유격방지부를 구비한 항공사진 도화기
KR100894269B1 (ko) 항공사진 도화기에서 항공사진 캐리어의 온도를 조절하는 방법
KR100878888B1 (ko) 광학 센서를 포함하는 유격방지부를 구비한 항공사진 도화기
CN100465865C (zh) 自动校准的触摸系统及方法
AU2016277593B2 (en) Combined object capturing system and display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Schenk Introduction to photogrammetry
JP5921271B2 (ja) 物体測定装置、及び物体測定方法
US20150369593A1 (en) Orthographic image capture system
JP6296477B2 (ja) 対象物の三次元座標を決定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2011516849A (ja) 3d撮像システム
EA031929B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трехмерного измерения поверхности
KR100894270B1 (ko) 유격방지부를 구비한 항공사진 도화기
US20200394402A1 (en) Object identification device, object identification system, object identification method,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KR100930078B1 (ko) 지리정보기준 디지털영상의 오차보정식 수치도화기
KR100993535B1 (ko) 온도 변화에 따른 오차 보정이 가능한 항공사진 도화기
CN107421503A (zh) 单探测器三线阵立体测绘成像方法及系统
BE1028155B1 (nl) Apparaat en methode voor het driedimensionaal modelleren van een schacht
JP2014059164A (ja) 形状計測装置及び形状計測方法
JP2002228417A (ja) クラック測定装置
CN102342844A (zh) 放射线图像摄影显示方法及装置
KR100993533B1 (ko) 온도 변화에 따른 오차 보정이 가능한 항공사진 도화기
KR101151889B1 (ko) 정밀한 지형지물 데이터 수집이 가능한 실체도화기를 갖춘 도화시스템
Puggelli et al. Low cost device to perform 3D acquisitions based on ChAruCo markers
KR100993536B1 (ko) 온도 변화에 따른 오차 보정이 가능한 항공사진 도화기 제어방법
KR100924820B1 (ko) 항공사진 인접모델 도화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