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4270B1 - 유격방지부를 구비한 항공사진 도화기 - Google Patents

유격방지부를 구비한 항공사진 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4270B1
KR100894270B1 KR1020080104323A KR20080104323A KR100894270B1 KR 100894270 B1 KR100894270 B1 KR 100894270B1 KR 1020080104323 A KR1020080104323 A KR 1020080104323A KR 20080104323 A KR20080104323 A KR 20080104323A KR 100894270 B1 KR100894270 B1 KR 100894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aerial
lower plate
fixing
aerial phot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4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준
김대연
Original Assignee
동아항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항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아항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4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42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4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4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1/00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e.g. stereogrammetry; Photographic surveying
    • G01C11/02Picture tak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mmetry or photographic surveying, e.g. controlling overlapping of pictur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23/1917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using digital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04Still image; Photographic image
    • G06T2207/10012Stereo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32Satellite or aerial image; Remote sen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Remote Sen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리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되는 항공사진을 판독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격방지부를 구비한 항공사진 도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격방지부를 구비하는 항공사진 도화기는, 특정 지역에서 소정의 영역이 중복되도록 촬영된 한쌍의 항공사진 양화필름을 입력받기 위한 항공사진 캐리어를 포함하는 입력부와 한쌍의 항공사진 양화필름을 상기 항공사진 캐리어에 압착 고정하기 위해 항공사진 캐리어의 일측에 구비된 유격방지부와 항공사진 캐리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자동온도조절 시스템과 한쌍의 항공사진 양화필름으로부터 항공사진모델을 생성하고, 항공사진모델을 이용하여 특정 지역을 측량하는 항공사진측량 시스템 및 항공사진측량 시스템으로부터 측량된 지리정보를 입체영상으로 처리하는 입체영상처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제어부와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입체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영상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격방지부를 구비한 항공사진 도화기를 이용하면 항공사진 캐리어에서 항공사진의 유격을 방지함으로써 정밀하고 신뢰성있는 도화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항공사진, 항공사진 캐리어, 온도제어, 유격방지부

Description

유격방지부를 구비한 항공사진 도화기{An Aerial Photography Plotting Instrument with a Department for Protecting Gap}
본 발명은 지리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되는 항공사진을 판독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격방지부를 구비한 항공사진 도화기에 관한 것이다.
도화기는 항공사진에서 나온 양화필름을 이용하여 지형도를 제작하는 장비를말한다. 도화기는 크게 아날로그 도화기, 해석 도화기 및 수치도화기로 분류할 수 있다.
도화기는 기본적으로 정밀 입체 좌표측정기(stereo comparator)와 좌표독취기(coordinatograph)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도화기의 구성 요소에서 써보모터와 인코더는 중요한 부분으로서 사진측정 작업을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해주는 장치이다.
도화기는 공선 조건식을 사용하여 수학적 모델을 계산할 수 있다. 방정식의 해를 구하기 위해 필요한 외적 입력값으로는 카메라의 내부표정 요소와 기준점의 지상좌표가 있고, 내적 입력값으로는 도화기 자체에 의해 측정된 상좌표들이 있다.
이러한 데이터로부터 컴퓨터는 실시간으로 모델좌표 및 다른 형태의 유용한 결과값을 계산할 수 있다. 도화기는 측정한 데이터들을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거나 하드카피 형태로 프린트 또는 프로팅할 수 있도록 좌표독취기(coordinatograph)에 전달해 준다.
또한, 항공사진을 이용한 다양한 도화 방법으로서 수정도화 방법, 해석도화 방법 및 수치도화 방법이 있다.
수정도화 방법은 기계식 사진측량의 대표적인 방법으로 항공사진과 도화원도를 통해 변화된 지역에 대해서 부분도화를 시행하고 수치화하여 기존 수치지도와 병합함으로써 수치지도를 도화하는 방법이다.
해석도화 방법은 도화기에 연결된 전산기에 기존 수치치도를 직접 화면상에서 확인하며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이다. 즉, 항공사진과의 비교를 통한 수정요소의 확인이 용이하고, 갱신내용에 대한 수정도화파일을 직접 제작할 수 있다. 해석사진측량에 의해 수치지도를 갱신하는 경우, 다수의 항공사진을 동시에 지상좌표계로 변환하여 대규모 지역에 대한 도화가 가능하다.
수치도화 방법은 해석도화 방법과 달리 이미지 파일을 이용하여 도화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수치도화 방법으로 수치지도를 갱신하는 경우, 항공사진의 영상화 과정이 필요하다. 이는 최초 항공사진을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하거나, 항공사진 양화필름을 고해상도 스캐너를 통해 스캐닝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수치도화 방법은 영상정합, 항공삼각측량, 수치지형모형(DTM: Digital Terrain Model) 생성 등의 과정을 세밀하게 분할된 단위 화소 단위로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화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먼저 해당 지역에 대한 한 쌍의 항공사진(좌안 사진 및 우안 사진)을 촬영한다. 작업자는 입체경(편광스크린 및 편광안경)을 통해 입체화(3차원 이미지)된 항공사진 및 항공사진과 부합하는 수치지도를 번갈아 확인하면서 상이한 부분을 수치지도 상에 표시함으로써 도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작업자가 항공사진 및 수치지도를 번갈아 확인하면서 도화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작업능률이 저하되고, 작업시간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도화작업을 위해 항공사진 양화필름을 캐리어에 위치시켜야 하는데, 캐리어의 불균등한 온도변화 등의 요인으로 양화필름이 신축 또는 변형되어 캐리어로부터 유격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효율적인 도화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도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리정보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수치지도를 제작하기 위한 항공사진 도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항공사진을 판독하기 위한 장치를 개시한다. 특히, 유격방지부를 구비한 항공사진 도화기의 구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로서 유격방지부를 구비한 항공사진 도화기는, 특정 지역에서 소정의 영역이 중복되도록 촬영된 한쌍의 항공사진 양화필름을 입력받기 위한 항공사진 캐리어를 포함하는 입력부와 한쌍의 항공사진 양화필름을 항공사진 캐리어에 압착 고정하기 위해 항공사진 캐리어의 일측에 구비된 유격방지부와 항공사진 캐리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자동온도조절 시스템과 한쌍의 항공사진 양화필름으로부터 항공사진모델을 생성하고, 항공사진모델을 이용하여 특정 지역을 측량하는 항공사진측량 시스템 및 항공사진측량 시스템으로부터 측량된 지리정보를 입체영상으로 처리하는 입체영상처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입체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영상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유격방지부는 항공사진 양화필름을 고정하기 위한 제 1 고정부와 항공사진 캐리어에 포함된 캐리어 상판과 캐리어 하판을 고정하기 위한 제 2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제 1 고정부는 캐리어 하판에 구비되고, 제 2 고정부는 캐리어 상판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 1 고정부는 제 1 고정부의 일측에 탄성체를 구비함으로써, 캐리어 상판이 닫혀 캐리어 하판을 완전히 덮을 경우에는 제 1 고정부는 캐리어 하판의 내부로 완전히 들어가고, 캐리어 상판이 열려 상기 캐리어 하판을 덮지 않는 경우에는 캐리어의 하판 상부에 제 1 고정부의 소정 부분이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제 1 고정부에 구비되는 탄성체로서 고무 또는 스프 링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캐리어 하판은 제 2 고정부에 대응하는 소정의 구멍을 구비하고 있고, 캐리어 상판이 캐리어 하판을 완전히 덮는 경우에는, 제 2 고정부가 소정의 구멍에 완전히 삽입됨으로써 캐리어 상판과 캐리어 하판이 완전히 밀착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항공사진 양화필름은, 제 1 고정부에 대응하는 소정 개수의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항공사진 양화필름은 제 2 고정부에 대응하는 소정 개수의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항공사진 캐리어에서 항공사진의 유격을 방지함으로써 정밀하고 신뢰성있는 도화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둘째, 좌측 및/또는 우측 항공사진 캐리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항공사진 양화필름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반영한 자동온도조절 시스템 및 유격방지부를 구비한 항공사진 도화기를 이용함으로써, 항공사진 양화필름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정밀한 도화작업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리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되는 항공사진을 판독하기 위한 장치를 개시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유격방지부를 포함하는 항공사진 도화기를 개시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을 소정 형태로 결합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도면에 대한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수 있는 부분 또는 부속품 등은 기술하지 않았으며, 당업자의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을 정도의 부분 또는 부속품 등은 또한 기술하지 아니하였다. 이러한 사항들은 당업자의 수준에서 이해될 수 있는 수준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도면들에서 동일한 부분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은 동일한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표시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特定)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지리정보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은 공간상 위치를 점유 하는 지리자료(Geographic data)와 이에 관련된 속성자료(Attribute data)를 통합하여 처리하는 정보시스템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지리정보를 효율적으로 수집, 저장, 갱신, 처리, 분석 및 출력하기 위해 이용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지리자료 및 인적자원의 총체적 조직체이다.
지리정보시스템(GIS)는 인간생활에 필요한 지리정보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정보시스템의 하나이다. 여기서 의미하는 GIS란 공중의 사용을 목적으로 실세계의 관련 구성 요소간의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진 활동 시스템을 의미한다. GIS의 일예로서 자동차를 들 수 있다. 즉, 자동차는 여러 구성요소로서 이루어지며, 각 요소간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교통수단을 제공하는 하나의 시스템으로 간주될 수 있다.
GIS는 넓은 의미에서 인간의 의사결정능력의 지원에 필요한 지리정보의 관측과 수집에서부터 보존, 분석 및 출력에 이르기까지 일련의 조작을 위한 정보시스템을 의미한다. 이때, 정보시스템이란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만들기 위한 제반 과정으로서 각종 정보의 생성에서부터 정보의 저장 및 분석을 포함한다. 따라서 정보시스템은 제반정보의 관측, 측정과 같은 정보의 생성, 저장 및 관리 기능으로부터 저장된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의사결정에 활용하는 광범위한 기능까지를 의미할 수 있다.
수치도화란 측량용 항공사진 또는 위성 영상의 지형 지물을 해석식 도화기 또는 좌표 입력장치 부탁 도화기에 의하여 수치데이타로 측정하여 컴퓨터에 수록하는 작업을 말한다.
항공사진 도화기는 지리정보시스템(GIS)에 이용되는 수치사진측량장비를 이용하여 촬영한 항공사진을 판독하는 장치이다. 즉, 항공사진 도화기는 항공사진측량용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항공사진들을 항공사진모델화하고, 이 항공사진모델에 수치화된 약식현황도를 중첩하여 양자의 상이점을 판독할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수치지도(Digital Map)란 종이지도가 가지고 있는 정보를 점, 선 및 면 형태의 기하학적 도형 요소나 화소들의 집합으로 디지털화한 도면을 의미한다. 또한, 수치지도는 국가기관인 국토지리정보원(NGII: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에 제공하는 표준서식에 부합하도록 작성되어야 한다. 약식현황도(또는, 판독보조도)는 표시하고자 하는 지표면상의 상황에 대한 측량결과와 행정구역경계, 지명 등을 도시하고 있으며, 국토의 이용개발과 통계조사 등 여러 분야에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자동온도조절 시스템을 구비한 항공사진 도화기의 논리적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자동온도조절 시스템을 구비한 항공사진 도화기는 입력부(100), 자동온도조절 시스템(120), 유격 방지부(140), 제어부(160) 및 영상표시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00)는 항공사진 양화필름을 입력받는 장치로서, 캐리어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항공사진 양화필름 이외에 다양한 지리적 수치 정보, 사용자 정보 등을 입력받을 수 있다.
자동온도조절 시스템(120)은 항공사진 도화기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시스템이다. 특히, 항공사진 도화기에 있어서, 항공사진 양화필름을 올려놓는 항공사진 캐리어(Carrier)의 온도는 항상 일정할 필요가 있다.
항공사진은 한쌍이 하나의 항공사진 모델을 구성한다. 예를 들어, 항공사진은 특정 지역의 소정 부분을 중첩하여 두 장씩 촬영된다. 항공사진 캐리어는 도화작업을 위해 특정 지역을 항공촬영한 항공사진을 고정시키는 부분이다. 따라서, 항공사진 캐리어는 하나의 항공사진 모델을 입력받아 도화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좌측 및 우측의 항공사진 캐리어 한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화작업을 수행하는 도중에 항공사진 도화기의 내부 온도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항공사진 캐리어의 좌측 및 우측의 캐리어의 온도차이가 발생하거나, 캐리어 전체의 온도가 높아지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항공사진 양화필름에 항공사진 도화기의 온도가 그대로 전달될 수 있으므로, 항공사진 양화필름에 약간의 유격 또는 신축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도화작업에 바로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항공사진 양화필름의 유격 또는 신축으로 인한 변형에 의해 발생하는 도화 성과에는 최소 5,000배 이상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항공사진 도화기, 특히 항공사진 캐리어의 온도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 항공사진 도화 작업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도 1에서 자동온도조절 시스템(120)은 항공사진 도화기 및 항공사진 캐리어의 온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자동온도조절 시스템을 구비한 항공사진 도화기는 항공사진 양화필름의 유격을 방지하기 위한 유격방지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유격 방지부(140)는 항공사진 도화기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온도 변화에도 불구하고, 항공사진 양화필름에 발생하는 신축 또는 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한 부분이다. 유격방지부에 대해서는 추후 상술한다.
도 1에서 제어부(160)는 상기 입력부(100), 자동온도조절 시스템(120), 유격방지부(140) 및 영상 표시부(180)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60)는 항공사진 캐리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자동 자동온도조절 시스템과 입력부에 입력된 한쌍의 항공사진 양화필름으로부터 항공사진모델을 생성하고, 항공사진모델을 이용하여 특정 지역을 측량하는 항공사진측량 시스템과 항공사진측량 시스템으로부터 측량된 지리정보를 입체영상으로 처리하는 입체영상처리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는 입체영상처리 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된 입체영상을 영상표시부(180)를 통해 사용자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수 있으므로 항공사진측량 시스템 및 입체영상처리 시스템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하였다. 다만, 필요하다면 항공사진 측량 시스템 및 입체영상처리 시스템은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시스템들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항공사진 양화필름이 도화기에 입력되면, 유격 방지부(140)를 제어하여 항공사진 양화필름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온도 조절 시스템(120)을 제어하여 항공사진 도화기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 써, 항공사진 도화 작업의 정밀성을 높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항공사진 캐리어의 일측에 연결된 자동온도조절 시스템 및 유격 방지부의 구성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자동온도조절 시스템은 항공사진 캐리어(210)의 일측에 연결되고, 열감지 센서(250) 및 항온 유지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격 방지부(230)는 항공사진 캐리어(210)의 다른 일측에 연결되어 항공사진 양화필름을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항공사진 캐리어(210)는 한쌍의 항공사진 양화필름을 입력받기 위해 좌측 캐리어 및 우측 캐리어의 한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자동온도조절 시스템은 항공사진 도화기 및/또는 항공사진 도화기의 특정 부분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시스템이다. 특히, 도 2에서는 항공사진 도화기에 포함된 항공사진 캐리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열감지 센서(250)는 항공사진 도화기의 소정 부분 또는 항공사진 캐리어(210)의 온도를 주기적으로 검사할 수 있다. 또한, 열감지 센서(250)는 주기적으로 검사한 열 정보를 항온 유지부 및/또는 제어부(160)에 피드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열감지 센서(250)는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열감지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열감지 센서(250)는 항공사진 캐리어(210)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만약, 항공사진 캐리어(210)의 온도가 일정 수준 이상이되면, 항온 유지부(270) 및 제어부(160)는 상기 항공사진 캐리어(210)의 온도를 일정 수준 미만으로 내리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열감지 센서(250)로부터 열 정보를 피드백 받고 항공사진 캐리어(210)의 온도가 일정 수준 이상임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60)는 도화작업을 중단하고 항온 유지부(270)를 제어하여 항공사진 캐리어(210)의 온도를 일정 수준 미만으로 내리도록 한다.
항온 유지부(270)는 항공사진 캐리어의 온도를 일정 수준 미만으로 내리기 위한 쿨러(cooler)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항온 유지부(270)는 항공사진 캐리어에 외부 바람을 인가하여 항온사진 캐리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항온 유지부(270)는 항공사진 캐리어(210)의 좌측 캐리어 및 우측 캐리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감지 센서(250)가 항공사진 캐리어(210)의 좌측 캐리어 및 우측 캐리어의 온도를 주기적으로 측정하고 이를 항온 유지부(270) 및/또는 제어부(160)에 피드백 할 수 있다. 이때, 도화작업을 수행하는 도중에 좌측 및 우측의 캐리어 온도가 다른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만약, 좌우 항공사진 캐리어의 온도가 다른 경우, 비록 소정 온도(K) 미만이더라도, 항공사진 양화필름에 인가되는 열이 달라 좌우 항공사진 양화필름의 유격 또는 신축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항온 유지부는 좌측 및 우측의 항공사진 캐리어의 온도가 다른 경우, 특정 항공사진 캐리어에 일정한 열을 가함으로써, 양 캐리어의 온도를 일정하게 조정할 수 있다.
도 2에서 유격방지부(230)는 항공사진 양화필름을 고정하기 위한 제 1 고정부 및 항공사진 캐리어에 포함된 상판과 하판을 고정하기 위한 제 2 고정부를 포함 할 수 있다. 유격방지부(230)에 대해서는 추후 상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는 항공사진 도화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는 해석식 도화기의 일례를 나타내고, 도 3(b)는 수치도화를 위한 수치도화기의 일례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영된 항공사진 도화기는 도 3(a) 및 도 3(b)와 같은 해석식 도화기 및 수치 도화기 중 하나 이상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항공사진 캐리어의 일측에 구비된 유격방지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항공사진 캐리어(210)는 하나의 캐리어 상판(420) 및 캐리어 하판(440)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항공사진 캐리어(210)가 좌측 캐리어 및 우측 캐리어를 포함하는 구성을 취한다면(도 2 설명 참조), 좌측 캐리어 및 우측 캐리어는 각각 캐리어 상단(420) 및 캐리어 하단(4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설명의 용이성을 위해, 항공사진 캐리어가 하나의 구성을 취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물론, 항공사진 캐리어가 좌측 및 우측 캐리어를 구비하는 경우에도 도 4의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유격 방지부(430)는 항공사진 캐리어의 좌측부(A) 또는 우측부(B)에 구비될 수 있다. 캐리어 상판(420) 및 캐리어 하판(440)이 캐리어의 좌측부(A)에서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유격 방지부는 캐리어 우측부(B)에만 구비될 수 있다.
만약, 캐리어 상판(420)이 캐리어 하판(440)에 항공사진을 위치시키기 위해 완전히 떨어졌다가, 다시 캐리어 하판(440)에 덮히는 경우에는, 유격 방지부가 캐리어 좌측(A) 및 우측(B)에 모두 구비될 수 있다. 유격 방지부로서, 캐리어 상판에는 캐리어 하판과 완전히 밀착 고정하기 위한 제 2 고정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캐리어 하판에는 항공사진 양화필름을 고정하기 위한 제 1 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캐리어 상판 및 캐리어 하판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캐리어 하판의 일측에는 항공사진 양화필름을 고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 1 고정부(510)가 구비될 수 있다. 제 1 고정부는 캐리어 하판의 우측(B)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우측(B) 및 좌측(A)에 구비될 수 있다.
제 1 고정부는 원기둥 형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캐리어 하판 상부로 제 1 고정부의 상부가 돌출되는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제 1 고정부의 하부에는 탄성체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캐리어 상판이 캐리어 하판을 완전히 덮는 경우에는 탄성체가 축소되어 제 1 고정부는 캐리어 하판(440)에 완전히 들어갈 수 있다. 물론, 캐리어 상판이 캐리어 하판에서 떨어지는 경우에는 제 1 고정부 하단에 구비된 탄성체에 의해 제 1 고정부의 상단이 다시 캐리어 하판위로 돌출될 수 있다.
항공사진 양화필름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 구비된 제 1 고정부에 대응되는 구멍에 상기 제 1 고정부가 들어감으로써, 항공사진 양화필름이 고정될 수 있다.
항공사진 캐리어의 하판(440)에는 항공사진 캐리어 상판(420)에 구비된 제 2 고정부(630)가 삽입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홈(530)이 형성될 수 있다. 캐리어 상판(420)이 캐리어 하판에 완전히 덮히는 경우, 캐리어 상판에 구비된 제 2 고정부(630)가 캐리어 하판에 형성된 홈(530)들에 삽입됨으로써 캐리어 상판과 캐리어 하판이 완전히 밀착될 수 있다.
도 6에서 제 2 고정부(630)는 하나 이상의 돌기를 가지고 있으며, 캐리어 하판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돌기로 인해 캐리어 하판과 캐리어 상판을 완전히 밀착 고정하여, 항공사진 양화필름이 미동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서 제 1 고정부 및 제 2 고정부의 모양은 다른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제 2 고정부가 삽입되는 홈의 모양은 제 2 고정부의 모양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서 도시한 모양들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항공사진 캐리어의 구조에 가장 적합한 형태로 변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될 수 있는 항공사진 양화필름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항공사진 양화필름은 특정 지역에서 소정의 지역영역을 중첩하여 좌측 필름(720) 및 우측 필름(740)의 한쌍으로 촬영된다. 한쌍의 항공사진 양화필름은 하나의 항공사진모델을 구성한다.
도 7에서 좌측 필름 및 우측 필름의 일측에는 제 1 고정부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구멍(760) 및 제 2 고정부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구멍(780)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격방지부를 구비한 항공사진 도화기는 양화필름의 유격방지 및 캐리어의 온도를 일정하게 하기 위하여, 저열 방출용 램프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캐리어에 장착된 양화필름을 프리즘을 통하여 영상화시키기 위해서는 빛을 발생시키는 램프가 필요하다. 상기 램프는 캐리어 상부 위치하며, 통상적으로 8~10W의 할로겐 램프가 사용되는데, 이때 빛과 함께 발생되는 열이 캐리어에 전달됨으로써, 캐리어에 장착된 양화필름의 신축을 유발시킨다. 상기 저열 방출용 램프는 조도(Illuminance)는 통상적인 램프와 동일하면서 저온의 열을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격방지부를 구비한 항공사진 도화기는 캐리어의 온도를 일정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저열 방출용 램프와 캐리어 사이에 열은 차단시키되, 빛은 통과시키는 스크린 막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자동온도조절 시스템을 구비한 항공사진 도화기의 논리적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항공사진 캐리어의 일측에 연결된 자동온도조절 시스템 및 유격 방지부의 구성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는 항공사진 도화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항공사진 캐리어의 일측에 구비된 유격방지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캐리어 상판 및 캐리어 하판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될 수 있는 항공사진 양화필름의 일례를 나타낸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입력부 120: 자동온도조절 시스템
140: 유격 방지부 160: 제어부
180: 영상 표시부 210: 항공사진 캐리어
230, 430: 유격방지부 420: 캐리어 상판
440: 캐리어 하판 510: 제1고정부
530: 홈 630: 제2고정부
720: 좌측필름 740: 우측필름
760: 제1고정부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구멍
780: 제2고정부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구멍

Claims (7)

  1. 유격방지부를 구비하는 항공사진 도화기에 있어서,
    특정 지역에서 소정의 영역이 중복되도록 촬영된 한쌍의 항공사진 양화필름을 입력받기 위한 항공사진 캐리어를 포함하는 입력부;
    상기 한쌍의 항공사진 양화필름을 상기 항공사진 캐리어에 압착 고정하기 위해 상기 항공사진 캐리어의 일측에 구비된 유격방지부;
    상기 항공사진 캐리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자동온도조절 시스템;
    상기 한쌍의 항공사진 양화필름으로부터 항공사진모델을 생성하고, 상기 항공사진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특정 지역을 측량하는 항공사진측량 시스템 및 상기 항공사진측량 시스템으로부터 측량된 지리정보를 입체영상으로 처리하는 입체영상처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입체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영상표시부를 포함하되,
    상기 유격방지부는 상기 항공사진 양화필름을 고정하기 위한 제 1 고정부 및 상기 항공사진 캐리어에 포함된 캐리어 상판과 캐리어 하판을 고정하기 위한 제 2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격방지부를 구비한 항공사진 도화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부는 상기 캐리어 하판에 구비되고, 상기 제 2 고정부는 상기 캐리어 상판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격방지부를 구비한 항공사진 도화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부는 하부에 탄성체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고정부의 하부는 상기 캐리어 하판에 형성된 홈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고정부의 상부는 상기 캐리어 하판의 상부로 돌출되어 있어, 상기 캐리어 상판이 닫혀 상기 캐리어 하판을 완전히 덮을 경우에는 상기 제 1 고정부는 상기 캐리어 하판의 내부로 완전히 들어가고, 상기 캐리어 상판이 열려 상기 캐리어 하판을 덮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캐리어의 하판 상부에 상기 제 1 고정부의 소정 부분이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격방지부를 구비한 항공사진 도화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고무 또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격방지부를 구비한 항공사진 도화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하판은 상기 제 2 고정부에 대응하는 소정의 구멍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캐리어 상판이 상기 캐리어 하판을 완전히 덮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고정부가 상기 소정의 구멍에 완전히 삽입됨으로써 상기 캐리어 상판과 상기 캐리어 하판을 밀착고정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격방지부를 구비한 항공사진 도화기.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항공사진 양화필름은 상기 제 1 고정부에 대응하는 소정 개수의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격방지부를 구비한 항공사진 도화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항공사진 양화필름은 상기 제 2 고정부에 대응하는 소정 개수의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격방지부를 구비한 항공사진 도화기.
KR1020080104323A 2008-10-23 2008-10-23 유격방지부를 구비한 항공사진 도화기 KR100894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4323A KR100894270B1 (ko) 2008-10-23 2008-10-23 유격방지부를 구비한 항공사진 도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4323A KR100894270B1 (ko) 2008-10-23 2008-10-23 유격방지부를 구비한 항공사진 도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4270B1 true KR100894270B1 (ko) 2009-04-21

Family

ID=40757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4323A KR100894270B1 (ko) 2008-10-23 2008-10-23 유격방지부를 구비한 항공사진 도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427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185B1 (ko) * 2009-08-06 2010-05-24 대주항업 주식회사 수치지도 제작을 위한 고정밀 도화기
KR101019614B1 (ko) 2010-11-17 2011-03-07 대주항업 주식회사 촬영이미지의 기준점별 정밀도화를 위한 공간영상도화기
KR101151889B1 (ko) 2011-11-18 2012-06-08 서광항업 주식회사 정밀한 지형지물 데이터 수집이 가능한 실체도화기를 갖춘 도화시스템
KR101223186B1 (ko) 2012-09-26 2013-01-17 주식회사 유성 변화된 지형지물의 기존 영상이미지를 편집하는 영상도화 갱신시스템
KR101223128B1 (ko) 2012-09-21 2013-01-17 주식회사 고원항공정보 안정성이 향상된 정밀 도화용 도화기
KR101938401B1 (ko) 2018-06-27 2019-01-15 동아항업 주식회사 갱신대상 지역의 부분 도화를 위한 수치도화 수정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9514U (ko) * 1996-04-26 1997-11-10 축착 방식을 이용한 록킹용 후크의 자동 입탈 장치
KR200335389Y1 (ko) 2003-09-23 2003-12-06 중앙항업(주) 항공사진 써클 마크 이기장치
KR200337547Y1 (ko) 2003-10-01 2003-12-31 중앙항업(주) 양화필름 고정판
KR100545048B1 (ko) 2005-10-11 2006-01-24 삼아항업(주) 항공사진의 폐쇄영역 도화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9514U (ko) * 1996-04-26 1997-11-10 축착 방식을 이용한 록킹용 후크의 자동 입탈 장치
KR200335389Y1 (ko) 2003-09-23 2003-12-06 중앙항업(주) 항공사진 써클 마크 이기장치
KR200337547Y1 (ko) 2003-10-01 2003-12-31 중앙항업(주) 양화필름 고정판
KR100545048B1 (ko) 2005-10-11 2006-01-24 삼아항업(주) 항공사진의 폐쇄영역 도화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185B1 (ko) * 2009-08-06 2010-05-24 대주항업 주식회사 수치지도 제작을 위한 고정밀 도화기
KR101019614B1 (ko) 2010-11-17 2011-03-07 대주항업 주식회사 촬영이미지의 기준점별 정밀도화를 위한 공간영상도화기
KR101151889B1 (ko) 2011-11-18 2012-06-08 서광항업 주식회사 정밀한 지형지물 데이터 수집이 가능한 실체도화기를 갖춘 도화시스템
KR101223128B1 (ko) 2012-09-21 2013-01-17 주식회사 고원항공정보 안정성이 향상된 정밀 도화용 도화기
KR101223186B1 (ko) 2012-09-26 2013-01-17 주식회사 유성 변화된 지형지물의 기존 영상이미지를 편집하는 영상도화 갱신시스템
KR101938401B1 (ko) 2018-06-27 2019-01-15 동아항업 주식회사 갱신대상 지역의 부분 도화를 위한 수치도화 수정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4269B1 (ko) 항공사진 도화기에서 항공사진 캐리어의 온도를 조절하는 방법
KR100894270B1 (ko) 유격방지부를 구비한 항공사진 도화기
Schenk Introduction to photogrammetry
KR100878888B1 (ko) 광학 센서를 포함하는 유격방지부를 구비한 항공사진 도화기
KR100878889B1 (ko) 압력감지센서를 이용하는 유격방지부를 구비한 항공사진 도화기
CN110462686B (zh) 用于从场景获得深度信息的设备和方法
KR101800905B1 (ko) 복수의 검출기 어레이를 구비한 다해상도 디지털 대형 카메라
Hudzietz et al. An experimental evaluation of 3D terrain mapping with an autonomous helicopter
US4878247A (en) Method for the photogrammetrical pick up of an object with the aid of at least one opto-electric solid-state surface sensor
US20190236806A1 (en) Real-time three-dimensional camera calibration
CN111750838A (zh) 农业用地规划图的生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7421503A (zh) 单探测器三线阵立体测绘成像方法及系统
KR100959185B1 (ko) 수치지도 제작을 위한 고정밀 도화기
JP2013152198A (ja) 計測器読み取り装置および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US4175328A (en) Arrangement for producing photographic pictures suitable for photogrammetric survey of spatial objects
Sebar et al. A trustable 3D photogrammetry approach for cultural heritage
US10685448B2 (en) Optical module and a method for objects' tracking under poor light conditions
KR100924820B1 (ko) 항공사진 인접모델 도화방법
MacDonald et al. Determining the coordinates of lamps in an illumination dome
CN102155937A (zh) 柔性网状面形照相测量方法
KR100993536B1 (ko) 온도 변화에 따른 오차 보정이 가능한 항공사진 도화기 제어방법
KR101151889B1 (ko) 정밀한 지형지물 데이터 수집이 가능한 실체도화기를 갖춘 도화시스템
Lech et al. Novel active-SfM solution for three-dimensional crime scene documentation
KR20120064353A (ko) 해석도화기 상의 인접모델 도화방법
Saponaro et al. Cloud-to-cloud assessment of UAV and TLS 3D reconstructions of cultural heritage monuments: the case of Torre Zozzol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