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4840A - 텐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텐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4840A
KR20200054840A KR1020190028614A KR20190028614A KR20200054840A KR 20200054840 A KR20200054840 A KR 20200054840A KR 1020190028614 A KR1020190028614 A KR 1020190028614A KR 20190028614 A KR20190028614 A KR 20190028614A KR 20200054840 A KR20200054840 A KR 202000548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ocket
pair
carrying
sprockets
t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8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4912B1 (ko
Inventor
타카하시 마사키
나카지마 켄지
Original Assignee
히라노 기켄코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라노 기켄코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라노 기켄코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54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4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4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4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2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transversely
    • B65H23/022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transversely by tentering devices
    • B65H23/028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transversely by tentering devices by c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04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 B29C55/08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transverse to the direction of f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20Edge 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2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transversely
    • B65H23/022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transversely by tenter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3/00Stretching, tentering or spreading textile fabrics; Producing elasticity in textile fabrics
    • D06C3/02Stretching, tentering or spreading textile fabrics; Producing elasticity in textile fabrics by endless chain or like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2Changing form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24Stretching; Tentering
    • B65H2301/51242Stretching transversely; Tent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름, 포백, 종이 등의 웹을 클립으로 파지하여 이동시키는 텐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반입스프로킷(28)과 제1스프로킷(18) 사이에는 제1레일(201)이 설치되며, 제4스프로킷(24)과 반입스프로킷(28) 사이에는 1개의 제4레일(204)이 설치되며, 좌우 한 쌍의 제1스프로킷(18, 18)이 서로 접근하도록 이동하였을 때, 반입스프로킷(28)을 상기 반출측으로 이동시키며, 좌우 한 쌍의 상기 제1스프로킷(18, 18)이 서로 떨어지도록 이동하였을 때 반입스프로킷(28)을 상기 반입측에 이동시킨다.

Description

텐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처리장치{TENTER DEVICE AND HEAT TREATMENT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필름, 포백, 종이 등의 웹을 클립으로 파지하여 이동시키는 텐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일본 특허출원 제2018-212434호(출원일자: 2018년 11월 12일)를 기초로 하여 이 출원으로부터 우선의 이익을 누린다. 본 출원은 이 출원을 참조하는 것으로 동 출원 내용의 전체를 포함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웹의 양 귀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클립이나 핀으로 된 고정부재와 고정부재를 연결하는 텐터체인과 텐터체인으로 연결된 고정부재를 주행시키는 텐터레일을 구비하고, 텐터레일 위를 텐터체인이 주행함으로써 고정부재로 고정된 웹을 주행시키는 텐터장치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특개평 5-319648호 공보, 일본특개 2010-247393호 공보 참조).
상기와 같은 텐터장치에 있어서 반송하는 웹의 폭을 변경한 경우에는 좌우 한 쌍의 텐터체인의 간격을 좁히거나 넓히거나 한다. 이 경우라도 무단상(無端狀)의 텐터체인은 적정한 장력으로 펼친 상태로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웹의 폭을 변경하였을 때 스프로킷의 위치를 이동시킨 것만으로는 그 텐터체인의 느슨함이나 팽팽함을 흡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웹의 폭을 변경하여 좌우 한 쌍의 텐터체인의 간격이 변화했을 때도 무단상(無端狀)의 텐터체인을 느슨함 없이 팽팽하게 할 수 있는 텐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1스프로킷 이동수단에 의해서 좌우 한 쌍의 제1스프로킷이 서로 접근하도록 이동하였을 때는 반입스프로킷이 반출측으로 이동하며, 또한 좌우 한 쌍의 제1스프로킷이 서로 떨어지도록 이동하였을 때는 반입스프로킷이 반입측으로 이동함으로써 텐터체인이 매우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텐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2스프로킷 이동수단에 의해서 좌우 한 쌍의 제2스프로킷이 서로 접근하도록 이동하였을 때는 반출스프로킷이 반입측으로 이동하며, 또한 좌우 한 쌍의 제2스프로킷이 서로 떨어지도록 이동하였을 때는 반출스프로킷이 반출측으로 이동함으로써 텐터체인을 느슨함 없이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텐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1은 웹의 반송로의 반입측에 설치된 좌우 한 쌍의 제1스프로킷과, 상기 반송로의 반출측에 설치된 좌우 한 쌍의 제2스프로킷과, 좌우 한 쌍의 상기 제2스프로킷의 내측에 배치된 좌우 한 쌍의 제3스프로킷과, 좌우 한 쌍의 상기 제1스프로킷의 내측에 배치된 좌우 한 쌍의 제4스프로킷과, 좌우 한 쌍의 상기 제1스프로킷과 좌우 한 쌍의 상기 제4스프로킷의 각각의 사이에 설치된 좌우 한 쌍의 반입스프로킷과, 상기 웹을 전후방향으로 주행시키기 위해서 좌우 한 쌍의 상기 제1스프로킷, 좌우 한 쌍의 상기 제2스프로킷, 좌우 한 쌍의 상기 제3스프로킷, 좌우 한 쌍의 상기 제4스프로킷, 좌우 한 쌍의 상기 반입스프로킷에 각각 가로질러 설치된 좌우 한 쌍의 무단상의 텐터체인과, 좌우 한 쌍의 상기 텐터체인에 소정 간격마다 각각 장치하며, 상기 웹의 양 귀부를 고정하는 좌우 한 쌍의 고정부재와, 좌우 한 쌍의 상기 제1스프로킷을 좌우방향으로 각각 이동시키는 제1스프로킷 이동수단과, (1) 상기 제1스프로킷 이동수단에 의해서 좌우 한 쌍의 상기 제1스프로킷이 서로 접근하도록 이동하였을 때 상기 반입스프로킷을 상기 반출측에 이동시키며, (2) 상기 제1스프로킷 이동수단에 의해서 좌우 한 쌍의 상기 제1스프로킷이 서로 떨어지도록 이동하였을 때 상기 반입스프로킷을 상기 반입측에 이동시키는 반입스프로킷 이동수단을 갖는 텐터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2는 웹의 반송로의 반입측에 설치된 좌우 한 쌍의 제1스프로킷과, 상기 반송로의 반출측에 설치된 좌우 한 쌍의 제2스프로킷과, 좌우 한 쌍의 상기 제2스프로킷의 내측에 배치된 좌우 한 쌍의 제3스프로킷과, 좌우 한 쌍의 상기 제1스프로킷의 외측에 배치된 좌우 한 쌍의 제4스프로킷과, 좌우 한 쌍의 상기 제2스프로킷과 좌우 한 쌍의 상기 제3스프로킷의 각각의 사이에 설치된 좌우 한 쌍의 반출스프로킷과, 상기 웹을 전후방향으로 주행시키기 위해서 좌우 한 쌍의 상기 제1스프로킷, 좌우 한 쌍의 상기 제2스프로킷, 좌우 한 쌍의 상기 제3스프로킷, 좌우 한 쌍의 상기 제4스프로킷, 좌우 한 쌍의 상기 반출스크로킷에 각각 가로질러 설치된 좌우 한 쌍의 무단상의 텐터체인과, 좌우 한 쌍의 상기 텐터체인에 소정 간격마다 각각 장치되며, 상기 웹의 양 귀부를 고정하는 좌우 한 쌍의 고정부재와, 좌우 한 쌍의 상기 제2스프로킷을 좌우방향으로 각각 이동시키는 제2스프로킷 이동수단과, (1) 상기 제2스프로킷 이동수단에 의해서 좌우 한 쌍의 상기 제2스프로킷이 서로 접근하도록 이동하였을 때 상기 반출스프로킷을 상기 반입측으로 이동시키며, (2) 상기 제2스프로킷 이동수단에 의해서 좌우 한 쌍의 상기 제2스프로킷이 서로 떨어지도록 이동하였을 때 상기 반출스프로킷을 상기 반출측으로 이동시키는 반출스프로킷 이동수단을 갖는 텐터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3은 상기 실시형태1 또는 2의 텐터장치와 열처리실을 갖는 열처리장치이고, 좌우 한 쌍의 상기 제1스프로킷에서 좌우 한 쌍의 상기 제2스프로킷까지 가는 길에서 좌우 한 쌍의 상기 텐터체인이 상기 열처리실의 내부에 배치되며, 좌우 한 쌍의 상기 제3스프로킷에서 좌우 한 쌍의 상기 제4스프로킷까지 돌아오는 길에서 좌우 한 쌍의 상기 텐터체인이 상기 열처리실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는 열처리장치이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폭이 넓은 웹(W)을 장치한 경우에는 반입측의 제1스프로킷 지지대(60)를 핸들(98)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이에 따라서 반입스프로킷(28)이 반입측으로 이동하여 무단상의 텐터체인(14)을 느슨함 없이 팽팽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반출측에 있어서도 반출스프로킷(26)이 반출측으로 이동하여 무단상의 텐터체인(14)을 느슨함 없이 팽팽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제4스프로킷(24)을 지지하는 제4스프로킷 지디대(142)를 장력부여장치에 의한 반입방향의 이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가는 길의 텐터체인(14)의 길이가 열처리실(12)에 진입하여 고온에 의해 늘어나도 이 늘어난 만큼 제1스프로킷 지지대(60)의 이동, 즉 슬라이드레일(78) 내부를 이동베어링(86, 88)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흡수할 수 있다. 특히, 이동베어링(86, 88)은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전후방향에서 조금 어긋난 상태에서 슬라이드레일(78)이 이동하여도 쉽게 그 이동한 만큼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이 슬라이드레일(78)과 이동베어링(86, 88)이면 좌우 한 쌍의 제1스프로킷(18)과 좌우 한 쌍의 제2스프로킷(20) 사이에 있는 좌우 한 쌍의 복수의 텐터레일(200)을 넓히거나 좁히거나 하여 제1스프로킷(18)과 제2스프로킷(20) 사이의 거리가 변경되어도 슬라이드레일(78) 내부를 이동베어링(86, 88)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그 거리 변화를 흡수할 수 있다.
도1은 좁은 폭의 웹을 반송하는 상태의 텐터장치의 평면도이다.
도2는 넓은 폭의 웹을 반송하는 상태의 텐터장치의 평면도이다.
도3은 고정부재와 텐터레일의 종단면도이다.
도4는 제1스프로킷의 평면도이다.
도5는 제1스프로킷의 전면도이다.
도6은 도4의 A-A선 단면도이다.
도7은 반입스프로킷의 일부 절제 전면도이다.
도8은 반입스프로킷 지지대의 이면도이다.
도9는 제1레일과 제4레일의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텐터장치(10)를 갖는 열처리장치(1)에 대하여 도1~도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열처리장치(1)는 텐터장치(10)에 의해서 확포상태로 웹(W)을 전후방향으로 반송시켜 열처리실(12) 내부에 반입하여 열처리하고, 그 후에 반출한다. 웹(W)은 필름, 포백, 종이 등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웹(W)의 폭 방향, 즉 텐터장치(10)의 좌우방향을 x축 방향, 반송로의 반입측에서 반출측으로 웹(W)이 주행하는 방향을 전후방향, 즉 y축 방향이라고 한다.
(1) 텐터장치(10)와 열처리실(12)
텐터장치(10)와 열처리실(12)의 개요에 대하여 도1과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텐터장치(10)는 도1과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텐터체인(14, 14)을 가지며, 좌우 한 쌍의 텐터체인(14)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고정부재(16)를 주행시키며, 좌우 한 쌍의 고정부재(16, 16) 사이에 웹(W)을 확포상태로 장치하여 반입측에서 반출측으로 주행시킨다.
도1과 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텐터체인(14, 14)의 가는 길은 직방체상의 열처리실(12)의 내부를 지나도록 배치되며, 돌아오는 길은 열처리실(12)의 외측을 지나도록 배치되어 있다.
좌우 한 쌍의 텐터체인(14, 14)을 주행시키는 구조는 좌우대칭이므로 이하 설명에서는 좌측 텐터체인(14)을 주행시키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과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처리실(12)의 반입측에는 제1스프로킷(18)이 배치되어 있다.
도1과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처리실(12)의 반출측에는 제2스프로킷(20)이 배치되어 있다. 제2스프로킷(20)은 구동스프로킷으로 도시하지 않은 모터에 의해서 회전하며, 무단상의 텐터체인(14)을 주행시킨다. 그리고 이 제2스프로킷(20)은 전후방향(y축 방향)에는 고정되고, 좌우방향(x축 방향)에는 웹(W)의 폭에 병행하여 이동가능하다.
반출측의 제2스프로킷(20)의 외측, 즉 열처리실(12)보다도 외측에 제3스프로킷(22)이 배치되어 있다. 이 제3스프로킷(22)은 좌우방향(x축 방향)과 전후방향(y축 방향)에 동시에 고정되어 있다.
반입측의 제1스프로킷(18)의 외측, 즉 열처리실(12)보다도 외측에 제4스프로킷(24)이 배치되어 있다.
반입스프로킷(28)과 제1스프로킷(18) 사이에는 제1레일(201)이 설치되어 있다.
제2스프로킷(20)과 제3스프로킷(22) 사이에는 반출스프로킷(26)이 배치되어 있다.
제4스프로킷(24)과 제1스프로킷(18) 사이에는 반입스프로킷(28)이 배치되어 있다.
제1스프로킷(18)과 제2스프로킷(20) 사이에는 복수체로 분할된 텐터레일(200)이 설치되어 있다.
제2스프로킷(20)과 반출스프로킷(26) 사이에는 1개의 제2레일(202)이 설치되어 있다.
반출스프로킷(26)과 제3스프로킷(22) 사이에는 1개의 제3레일(203)이 설치되어 있다.
제3스프로킷(22)과 제4스프로킷(24) 사이에는 복수체로 분할된 텐터레일(200)이 설치되어 있다.
제4스프로킷(24)과 반입스프로킷(28) 사이에는 1개의 제4레일(204)이 설치되어 있다.
무단상의 텐터체인(14)은 상기 각 레일을 따라서 회전하는 제1스프로킷(18), 제2스프로킷(20), 반출스프로킷(26), 제3스프로킷(22), 제4스프로킷(24), 반입스프로킷(28)을 주행하고 제1스프로킷(18)으로 돌아온다.
우측 텐터체인(14)에 대하여도 좌측 텐터체인(14)과 좌우대칭인 구조를 갖고 있다.
(2) 텐터레일(200)과 고정부재(16)
텐터레일(200)과 고정부재(16)에 대하여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텐터레일(200)은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단면이 장방형인 레일 기초부(32)의 외측면에 설치된 종레일판(34)과 레일 기초부(32)의 상면에 설치된 횡레일판(36)을 갖고 있다. 레일 기초부(32)는 레일 지지판(38)에 의해서 수평으로 지지되어 있다.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부재(16)는 고정본체(40)에 텐터체인(14)의 롤러(42), 하횡차륜(44), 상횡차륜(46), 종차륜(48)이 회전이 자유롭게 장치되어 있다. 고정본체(40)는 아래 테두리 부재(50)와 위 테두리 부재(52)를 갖고 있다. 아래 테두리 부재(50)는 내측면이 개방된 コ자형이다. 위 테두리 부재(52)의 상면의 내단부에서 상방으로 돌출하여 하면이 개방된 コ자형이다.
아래 테두리 부재(50)의 コ자형의 내부에는 롤러(42)가 종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며, 아래 테두리 부재(50)의 하면에는 하횡차륜(44)이 가로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위 테두리 부재(52)의 コ자형의 내부에는 상횡차륜(46)이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며, 더욱이 상기에서 설명한 종레일판(34)이 삽입되어 있다. 위 테두리 부재(52)의 내측면에는 종차륜(48)이 세로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하횡차륜(44)과 상횡차륜(46)이 종레일판(34)을 끼우도록 텐터레일(200)을 주행하며, 종차륜(48)이 횡레일판(36)의 상면을 따라서 텐터레일(200)을 주행한다.
아래 테두리 부재(50)의 상면의 외측에는 핀 지지판(54)이 수평으로 고정되며 이 핀 지지판(54)의 외단부에는 복수개의 핀(56)이 수직 설치된 핀대(58)가 설치되어 있다. 웹(W)의 양 귀부는 이 복수개의 핀(56)으로 고정부재(16)에 고정된다.
(3) 제1스프로킷(18)과 제1스프로킷 이동수단
좌측의 제1스프로킷(18)과 제1스프로킷 이동수단에 대하여 도4~도6, 도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1스프로킷(18)과 그 설치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4와 도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처리실(12)의 반입구 근방에는 제1스프로킷 지지대(60)이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스프로킷 지지대(60)의 거의 중앙부에서 제1축부(62)가 돌출되어 있다. 제1축부(62)의 하방에는 링(ring)상의 높이 조정링(64), 높이 조정링(64) 위에는 이후에 설명하는 제1레일(201)의 단부, 제1레일(201)의 단부 위에는 링상의 누름부재(68)가 장치되며, 누름부재(68) 위에는 베어링(70)이 설치되어 있다. 베어링(70)은 고정축부(72)에 의해서 제1축부(62)에 고정되어 있다. 베어링(70)의 외주에는 제1스프로킷(18)이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제1스프로킷 이동수단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4~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스프로킷 지지대(60)의 하방에는 캐스터 받침대(76)가 수평으로 설치되며, 캐스터 받침대(76)보다도 조금 떨어진 위치에 슬라이드 받침대(80)가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다.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스터 받침대(76)가 슬라이드 받침대(80)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높낮이의 차이가 있다. 캐스터 받침대(76)와 슬라이드 받침대(80)는 이후에 설명하는 핸들 지지대(94)의 좌측면에서 돌출되어 있다.
도4~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스프로킷 지지대(60)의 하면 전부에는 2개의 캐스터(74)가 고정간격을 두고 좌우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2개의 캐스터(74)는 캐스터 받침대(76)를 전후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4~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스프로킷 지지대(60)의 하면에서 전후방향(y축 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레일(78)이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드레일(78)은 종단면 형상이 コ자형이므로 하면이 개방되어 있다. 슬라이드레일(78)의 하방에 슬라이드 받침대(80)가 배치되어 있다.
도4~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레일(78)과 교차하는 위치인 슬라이드 받침대(80)의 상면에는 암나사부가 개방된 폭 이동부(82)가 설치되어 있다. 이 폭 이동부(82)의 상면에는 이동축(84)이 수직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이동축(84)에는 상하방향으로 2개의 이동 베어링(86, 88)이 설치되어 있다. 이 이동 베어링(86, 88)은 슬라이드레일(78) 내부를 회전이 자유롭게 전후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4~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폭 이동부(82)의 암나사부에는 나사봉(90)이 좌우방향(x축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사봉(90)의 한쪽 끝은 슬라이드 받침대(80)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나사 수용부(92)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사봉(90)의 반대쪽 끝은 제1스프로킷(18)과 반입스프로킷(28) 사이에 있는 핸들 지지대(94)에 삽입되며, 삽입된 부분에는 톱니바퀴(104)가 설치되어 있다. 핸들 지지대(94)의 내부에는 나사봉(90)과 직교하도록 핸들봉(96)이 전후방향(y축 방향)으로 배치되며, 이 핸들봉(96)의 단부에는 핸들(98)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나사봉(90)의 톱니바퀴(104)와 직교하는 핸들봉(96)의 위치에는 톱니바퀴(106)가 설치되어 톱니바퀴(104)와 나사 결합하고 있다.
도4~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98)을 회전시키면 핸들봉(96)이 회전하며, 톱니바퀴(106)와 톱니바퀴(104)가 나사 결합하고 있으므로 나사봉(90)이 회전하여 슬라이드레일(78)과 동시에 제1스프로킷 지지대(60)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에 캐스터 받침대(76) 위를 2개의 캐스터(74, 74)가 이동하므로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다.
제1스프로킷(18)은 슬라이드레일(78) 내부를 이동 베어링(86, 88)이 이동함으로써 전후방향으로도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스프로킷(18)은 제1축부(62)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우측의 제1스프로킷(18)은 좌측의 제1스프로킷(18)과 좌우대칭인 구조를 갖는다.
(4) 반입스프로킷(28)과 반입스프로킷 이동수단
좌측 반입스프로킷(28)과 반입스프로킷 이동수단에 대하여 도7~도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반입스프로킷(28)과 그 설치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스프로킷 지지대(60)의 외측에는 반입스크로킷 지지대(100)가 배치되어 있다.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입스크로킷 지지대(100)의 중앙부 상면에서 반입축부(102)가 돌출되며, 반입축부(102)에는 제4레일(204)의 단부가 배치되며, 그 위에 제1레일(201)의 단부가 배치되고, 제1레일(201)의 단부 위에는 링상의 누름부재(108)가 배치되며, 그 위에 베어링(110)이 배치되어 있다. 베어링(110)은 고정축부(112)에 의해서 반입축부(102)에 고정되어 있다. 베어링(110)의 외주에는 반입스프로킷(28)이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반입스프로킷 이동수단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입스크로킷 지지대(100)의 하방에는, 핸들 지지대(94)의 좌측면에 텐터 받침대(116)가 설치되어 있다. 도7과 도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입스크로킷 지지대(100)의 하면의 각부에는 4개의 캐스터(114)가 설치되어 있다. 4개의 캐스터(114)는 텐터 받침대(116)의 위를 전후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반입스크로킷 지지대(100)의 하면의 좌우방향에는 돌출편(118)이 설치되며, 이 돌출편(118)에는 좌우방향으로 긴 장공(120)이 설치되어 있다. 장공(120)에는 샤프트(122)가 관통하고 있다. 이 샤프트(122)는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며, 그 양 단부는 텐터 받침대(116)에서 돌출된 샤프트 지지부(124, 124)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반입스프로킷(28)은 도8에 나타낸 바와 같이 4개의 캐스터(114)에 의해서 장공(120)의 길이만큼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샤프트(122)의 길이만큼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반입스프로킷(28)은 반입축부(102)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더욱이 도8은 뒷면에서 본 도면이므로 다른 도면과는 좌우가 반대로 기재되어 있다.
우측의 반입스프로킷(28)은 좌측의 반입스프로킷(28)과 좌우대칭인 구조를 갖는다.
(5) 제1레일(201)
좌측의 제1레일(201)에 대하여 도3, 도5, 도7 및 도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레일(201)은 상기에서 설명한 텐터레일(200)과 동일한 구조(도3 참조)를 갖지만, 레일 지지판(38)의 구조가 다르다.
도5, 도7 및 도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레일(201)은 레일 지지판(38)에 대응하는 제1지지판(128)을 가지며, 제1지지판(128)의 외측부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종레일판(34)과 횡레일판(36)을 갖는 레일 기초부(32)가 설치되어 있다.
도5, 도7 및 도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지지판(128)의 한쪽 끝에는 원형의 구멍을 갖는 제1링부(130)가 연장 설치되며, 이 제1링부(130)는 제1스프로킷(18)의 제1축부(62)와 맞물려있다.
도5, 도7 및 도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지지판(128)의 다른 쪽 단부에는 원형의 구멍을 갖는 반입링부(132)가 연장 설치되며, 이 반입링부(132)는 반입스프로킷(28)의 반입축부(102)와 맞물려있다.
도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레일(201)의 레일 기초부(32)에 장치되어 있는 종레일판(34)과 횡레일판(36)의 양 단부는 레일 기초부(32)보다 돌출되어 있다. 또한 횡레일판(36)의 양 단부는 원호상으로 잘려져서 제1스프로킷(18)과 반입스프로킷(28)에 맞닿지 않게 되어 있다.
우측의 제1레일(201)은 좌측의 제1레일(201)과 좌우대칭인 구조를 갖는다.
(6) 제4레일(204)
좌측의 제4레일(204)에 대하여 도3, 도7 및 도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4레일(204)은 상기에서 설명한 텐터레일(200)과 동일한 구조(도3 참조)를 갖지만, 레일 지지판(38)의 구조가 다르다.
도7과 도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4레일(204)은 레일 지지판(38)에 대응하는 제4지지판(134)을 가지며, 제4지지판(134)의 외측부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종레일판(34)과 횡레일판(36)을 갖는 레일 기초부(32)가 설치되어 있다.
도7과 도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4지지판(134)의 한쪽 끝에는 원형의 구멍을 갖는 반입링부(136)가 연장 설치되며, 이 반입링부(136)는 반입스프로킷(28)의 반입축부(102)와 맞물려있다.
도7과 도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4지지판(134)의 다른 쪽 단부에는 원형의 구멍을 갖는 제4링부(138)가 연장 설치되며, 이 제4링부(138)는 제4스프로킷(24)을 베어링을 끼워서 회전시키는 제4축부(140)와 맞물려있다. 더욱이 제4축부(14)는 도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4스프로킷 지지대(142)에서 돌출되어 있다. 제4스프로킷 지지대(142)는 좌우방향의 이동은 고정되어 이동하지 않는다. 한편 제4스프로킷 지지대(142)는 에어실린더, 유압실린더, 나사 등의 장력부여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반입방향으로 눌려져 텐터체인(14)의 장력부여가 행해진다.
도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4레일(204)의 레일 기초부(32)에 장치되어 있는 종레일판(34)과 횡레일판(36)의 양 단부는 레일 기초부(32)보다 돌출되어 있다. 또한 횡레일판(36)의 양 단부는 원호상으로 잘려져서 반입스프로킷(28)과 제4스프로킷(24)에 맞닿지 않게 되어 있다.
우측의 제4레일(204)은 좌측의 제4레일(204)과 좌우대칭인 구조를 갖는다.
(7) 텐터장치(10)의 반출측 구조
반출측에 있는 좌우 한 쌍의 제2스프로킷(2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좌우방향으로는 이동 가능하지만, 전후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다.
좌우 한 쌍의 반출스프로킷(26)은 좌우 한 쌍의 반입스프로킷(28)과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다.
제2스프로킷(20)과 반출스프로킷(26)에 가로질러 설치된 제2레일(202)은 제1레일(201)과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다. 반출스프로킷(26)과 제3스프로킷(22)에 가로질러 설치된 제3레일(203)은 제4레일(204)과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다
(8) 텐터장치(10)의 동작상태
텐터장치(10)의 동작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반입측에서 반입된 웹(W)은 도1~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양 귀부가 좌우 한 쌍의 고정부재(16)의 핀(56)으로 고정되어 확포상태로 유지되며, 텐터체인(14)의 이동과 동시에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열처리실(12) 내부를 통과할 때 열풍을 내뿜는 열처리가 행해진다. 그리고 열처리된 웹(W)은 반출측에서 반출된다.
이 때 도1에 나타낸 좁은 폭(L1)의 웹(W)에서 도2에 나타낸 넓은 폭(L2)(단, L2 〉 L1이다)의 웹(W)으로 변경한 경우에는 좌우 한 쌍의 제1스프로킷(18)과 좌우 한 쌍의 제2스프로킷(20, 20)의 간격을 넓힐 필요가 있다.
제1스프로킷(18, 18)과 제2스프로킷(20, 20)의 간격을 넓히면 좌측과 우측의 무단상의 텐터체인(14)이 넓힌 만큼 각각 느슨하게 된다. 그래서 이것이 느슨해지지 않도록 조작한다.
우선 도1과 도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웹(W)의 폭이 L1일 때는 제1스프로킷(18)과 제4스프로킷(24)보다도 반입스프로킷(28)은 반입측에 위치하고, 제1레일(201)과 제4레일(204)은 V자형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제1레일(201)과 제4레일(204)를 이루는 각도 θ1은 180°에 가까울 정도로 크다.
다음으로 좌우 한 쌍의 제1스프로킷(18, 18)의 간격을 넓히는 데는 작업자가 도4와 도6에 나타낸 좌측 핸들(98)을 회전시킴으로써 좌측의 제1스프로킷 지지대(60)를 왼쪽으로 이동시킨다. 그렇게 하면 좌측의 제1스프로킷(18)의 제1축부(62)도 왼쪽으로 이동한다. 우측 핸들(98)도 작업자가 회전시킴으로써 우측의 제1스프로킷 지지대(60)를 오른쪽으로 이동시킨다. 그렇게 하면 우측의 제1스프로킷(18)의 제1축부(62)도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이하 좌측만을 설명하지만 우측도 좌우대칭으로 동작한다.
다음으로 좌측의 제4스프로킷(24)은 좌우방향으로 고정되며, 좌측의 제1축부(62)가 왼쪽으로 이동하면 반입스프로킷(28)이 도9에 나타낸 바와 같이 V자형의 제1레일(201)과 제4레일(204)에 의해서 반입측으로 눌려져 반입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레일(201)과 제4레일(204)을 이루는 각도 θ2는 좁아진다. 이 상태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입스프로킷(28)은 제1레일(201)에 의해서 반입측으로 이동하는 힘을 주면 4개의 캐스터(114)가 텐터 받침대(116) 위를 이동한다. 이 경우에 도7과 도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방향은 장공(120)의 길이, 전후방향을 샤프트(122)의 길이로 규제되면서 부드럽게 이동한다. 그리고 반입스프로킷(28)이 이동하면 제4레일(204)도 이동하여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각 θ2가 된 V자형이 된다. 이로써 무단상의 텐터체인(14)을 느슨함 없이 팽팽한 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반출측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좌우 한 쌍의 제2스프로킷(20)을 좌우방향으로 넓히면 반출스프로킷(26)이 반출측으로 이동하여 무단상의 텐터체인(14)을 느슨함 없이 팽팽한 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다.
넓은 폭(L2)의 웹(W)이 장치된 상태에서 좁은 폭(L1)의 웹(W)을 장치하는 경우에는 상기와 반대 방향으로 핸들(98)을 회전시키면 된다.
(9) 변경 예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텐터체인(14)의 가는 길은 열처리실(12) 내부에 있고, 돌아오는 길은 열처리실(12) 외부에 있었지만, 이 대신 가는 길도 돌아오는 길도 열처리실(12) 내부에 설치하여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입측과 반출측의 양쪽에 반출스프로킷(26), 반입스프로킷(28)을 설치하였지만, 적어도 반입스프로킷(28)을 설치하는 구조에서 실시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고정부재(16)를 핀(56)으로 고정하였지만, 이 대신 고정부재(16)가 클립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웹(W)을 좌우 한 쌍의 고정부재(16)에 확포상태로 장치하였지만, 이 대신 텐터장치(10)를 웹(W)이 일정한 폭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 이용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핸들(98)을 수동으로 회전시켰지만, 이 대신 핸들봉을 모터로 구동시켜도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설명하였지만, 이 실시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의도한 것은 아니다. 이들의 신규한 실시형태는 그 밖에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고, 발명의 주목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종종 생략, 치환, 변경할 수 있다. 이들 실시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됨과 동시에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된다.
10: 텐터장치 12: 열처리실
14: 텐터체인 16: 고정부재
18: 제1스프로킷 20: 제2스프로킷
22: 제3스프로킷 24: 제4스프로킷
32: 기초 레일부 34: 종레일판
36: 횡레일판 38: 레일 지지판
40: 고정본체 42: 롤러
68: 누름부재 70, 110: 베어링
72: 고정축부 74: 캐스터
76: 캐스터 받침대 78: 슬라이드레일
86, 88: 이동베어링 90: 나사봉
92: 나사 수용부 98: 핸들
104, 160: 톱니바퀴 118: 돌출편
124: 샤프트 지지부 200: 텐터레일
201: 제1레일 202: 제2레일
203: 제3레일 204: 제4레일

Claims (11)

  1. 웹의 반송로의 반입측에 설치된 좌우 한 쌍의 제1스프로킷과,
    상기 반송로의 반출측에 설치된 좌우 한 쌍의 제2스프로킷과,
    좌우 한 쌍의 상기 제2스프로킷의 외측에 배치된 좌우 한 쌍의 제3스프로킷과,
    좌우 한 쌍의 상기 제1스프로킷의 외측에 배치된 좌우 한 쌍의 제4스프로킷과,
    좌우 한 쌍의 상기 제1스프로킷과 좌우 한 쌍의 상기 제4스프로킷의 각각의 사이에 설치된 좌우 한 쌍의 반입스프로킷과,
    상기 웹을 전후방향으로 주행시키기 위해서 좌우 한 쌍의 상기 제1스프로킷, 좌우 한 쌍의 상기 제2스프로킷, 좌우 한 쌍의 상기 제3스프로킷, 좌우 한 쌍의 상기 제4스프로킷, 좌우 한 쌍의 상기 반입스프로킷에 각각 가로질러 설치된 좌우 한 쌍의 무단상의 텐터체인과,
    좌우 한 쌍의 상기 텐터체인에 소정 간격마다 각각 장치된 상기 웹의 양 귀부를 고정하는 좌우 한 쌍의 고정부재와,
    좌우 한 쌍의 상기 제1스프로킷을 좌우방향으로 각각 이동시키는 제1스프로킷 이동수단과,
    (1) 상기 제1스프로킷 이동수단에 의해서 좌우 한 쌍의 상기 제1스프로킷이 서로 접근하도록 이동하였을 때, 상기 반입스프로킷을 상기 반출측에 이동시켜며, (2) 상기 제1스프로킷 이동수단에 의해서 좌우 한 쌍의 상기 제1스프로킷이 서로 떨어지도록 이동하였을 때, 상기 반입스프로킷을 상기 반입측에 이동시키는 반입스프로킷 이동수단을 갖는 텐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프로킷과 상기 반입스프로킷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부재가 주행하는 제1레일과,
    상기 제4스프로킷과 상기 반입스프로킷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부재가 주행하는 제4레일을 갖는 텐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프로킷은 제1스프로킷 지지대에서 돌출된 제1축부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며,
    상기 제4스프로킷은 제4스프로킷 지디대에서 돌출된 제4축부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며,
    상기 반입스프로킷은 반입스크로킷 지지대에서 돌출된 반입축부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며,
    상기 제1레일은
    상기 제1축부의 외주에 회전이 자유롭게 감합하는 링상의 제1링부와,
    상기 반입축부의 외주에 회전이 자유롭게 감합하는 링상의 제1반입링부와,
    상기 제1링부와 상기 제1반입링부를 연결하는 제1레일 본체를 가지며,
    상기 제4레일은
    상기 제4축부의 외주에 회전이 자유롭게 감합하는 링상의 제4링부와,
    상기 반입축부의 외주에 회전이 자유롭게 감합하는 링상의 제2반입링부와,
    상기 제4링부와 상기 제2반입링부를 연결하는 제4레일 본체를 갖는 텐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입스프로킷 이동수단은 상기 반입스크로킷 지지대를 텐터 받침대 위에서 전후방향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텐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반입스프로킷 이동수단은
    상기 반입스크로킷 지지대의 하면에 설치되며, 상기 텐터 받침대 위를 주행하는 복수의 차륜과,
    상기 반입스크로킷 지지대의 상기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돌출편을 가지며,
    상기 돌출편에는 좌우방향으로 개방된 장공이 설치되며,
    상기 텐터 받침대 위에는 전후방향으로 늘어나고, 동시에 상기 장공을 관통한 샤프트가 설치되어 있는 텐터장치.
  6. 웹의 반송로의 반입측에 설치된 좌우 한 쌍의 제1스프로킷과,
    상기 반송로의 반출측에 설치된 좌우 한 쌍의 제2스프로킷과,
    좌우 한 쌍의 상기 제2스프로킷 외측에 배치된 좌우 한 쌍의 제3스프로킷과,
    좌우 한 쌍의 상기 제1스프로킷 외측에 배치된 좌우 한 쌍의 제4스프로킷과,
    좌우 한 쌍의 상기 제2스프로킷과 좌우 한 쌍의 상기 제3스프로킷의 각각의 사이에 설치된 좌우 한 쌍의 반입스프로킷과,
    상기 웹을 전후방향으로 주행시키기 위해서 좌우 한 쌍의 상기 제1스프로킷, 좌우 한 쌍의 상기 제2스프로킷, 좌우 한 쌍의 상기 제3스프로킷, 좌우 한 쌍의 상기 제4스프로킷, 좌우 한 쌍의 상기 반입스프로킷에 각각 가로질러 설치된 좌우 한 쌍의 무단상의 텐터체인과,
    좌우 한 쌍의 상기 텐터체인에 소정 간격마다 각각 장치된 상기 웹의 양 귀부를 고정하는 좌우 한 쌍의 고정부재와,
    좌우 한 쌍의 상기 제2스프로킷을 좌우방향으로 각각 이동시키는 제2스프로킷 이동수단과,
    (1) 상기 제2스프로킷 이동수단에 의해서 좌우 한 쌍의 상기 제2스프로킷이 서로 접근하도록 이동하였을 때, 상기 반입스프로킷을 상기 반출측에 이동시켜며, (2) 상기 제2스프로킷 이동수단에 의해서 좌우 한 쌍의 상기 제2스프로킷이 서로 떨어지도록 이동하였을 때, 상기 반출스프로킷을 상기 반출측에 이동시키는 반출스프로킷 이동수단을 갖는 텐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프로킷과 상기 반출스프로킷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부재가 주행하는 제2레일과,
    상기 제3스프로킷과 상기 반출스프로킷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부재가 주행하는 제3레일을 갖는 텐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프로킷은 제2스프로킷대에서 돌출된 제2축부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며,
    상기 제3스프로킷은 제3스프로킷대에서 돌출된 제3축부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며,
    상기 반출스프로킷은 반출스프로킷대에서 돌출된 반출축부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며,
    상기 제2축부의 외주에 회전이 자유롭게 감합하는 링상의 제2링부와,
    상기 반출축부의 외주에 회전이 자유롭게 감합하는 링상의 제1반출링부와,
    상기 제2링부와 상기 제1반출링부를 연결하는 제2레일 본체를 가지며,
    상기 제3레일은
    상기 제3축부의 외주에 회전이 자유롭게 감합하는 링상의 제3링부와,
    상기 반출축부의 외주에 회전이 자유롭게 감합하는 링상의 제2반출링부와,
    상기 제3링부와 상기 제2반출링부를 연결하는 제3레일 본체를 갖는 텐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반출스프로킷 이동수단은 상기 반출스프로킷 지지대를 텐터 받침대 위에서 전후방향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텐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반출스프로킷 이동수단은
    상기 반출스프로킷 지지대의 하면에 설치되며, 상기 텐터 받침대 위를 주행하는 복수의 차륜과,
    상기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테두리부를 가지며,
    상기 테두리부에는 좌우방향으로 개방된 장공이 설치되며,
    상기 텐터 받침대 위에는 전후방향으로 늘어나고, 동시에 상기 장공을 관통한 샤프트가 설치되어 있는 텐터장치.
  11.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의 상기 텐터장치와 열처리실을 갖는 열처리장치이고,
    좌우 한 쌍의 상기 제1스프로킷에서 좌우 한 쌍의 상기 제2스프로킷까지 가는 길에서 좌우 한 쌍의 상기 텐터가 상기 열처리실의 내부에 배치되며,
    좌우 한 쌍의 상기 제3스프로킷에서 좌우 한 쌍의 상기 제4스프로킷까지 돌아오는 길에서 좌우 한 쌍의 상기 텐터체인이 상기 열처리실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는 열처리장치.
KR1020190028614A 2018-11-12 2019-03-13 텐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처리장치 KR1024049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212434 2018-11-12
JP2018212434A JP6830939B2 (ja) 2018-11-12 2018-11-12 テンター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熱処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4840A true KR20200054840A (ko) 2020-05-20
KR102404912B1 KR102404912B1 (ko) 2022-06-02

Family

ID=70617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8614A KR102404912B1 (ko) 2018-11-12 2019-03-13 텐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처리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830939B2 (ko)
KR (1) KR102404912B1 (ko)
CN (1) CN11117005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41201B (zh) * 2023-06-02 2023-12-01 河北欧凯纺织科技有限公司 拉幅机构及拉幅定型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06320A (ja) * 1988-10-14 1990-04-18 Toray Ind Inc シート状物の延伸装置
JPH11115044A (ja) * 1997-10-14 1999-04-27 Toshiba Mach Co Ltd フィルムの横延伸機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41510C2 (de) * 1978-09-23 1980-06-12 Lindauer Dornier-Gesellschaft Mbh, 8990 Lindau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r biaxial verstreckten Folienbahn
DE19613562A1 (de) * 1996-04-04 1997-10-09 Hoechst Trespaphan Gmbh Spannkluppe mit Rollenlagerung
JP3787528B2 (ja) * 2002-01-29 2006-06-21 株式会社 日立インダストリイズ シート状物の薄膜成形装置
CN101314904B (zh) * 2008-05-23 2010-06-23 常熟市飞龙无纺机械有限公司 拉幅定型机的链传动张力调整机构
JP2010046911A (ja) * 2008-08-21 2010-03-04 Fujifilm Corp テンター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溶液製膜方法
JP5230523B2 (ja) * 2009-05-14 2013-07-10 ヒラノ技研工業株式会社 テンター装置
CN102069585A (zh) * 2010-12-17 2011-05-25 大连橡胶塑料机械股份有限公司 双轴同步定向拉伸机
CN204716893U (zh) * 2015-06-25 2015-10-21 江苏鹰游纺机有限公司 一种拉幅定型机的主传动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06320A (ja) * 1988-10-14 1990-04-18 Toray Ind Inc シート状物の延伸装置
JPH11115044A (ja) * 1997-10-14 1999-04-27 Toshiba Mach Co Ltd フィルムの横延伸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4912B1 (ko) 2022-06-02
CN111170054B (zh) 2022-09-06
JP6830939B2 (ja) 2021-02-17
CN111170054A (zh) 2020-05-19
JP2020078880A (ja) 2020-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9364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커버 장치
JP2012121259A (ja) シート状物の延伸機
KR20200054840A (ko) 텐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처리장치
WO2016006051A1 (ja) コンベア装置
KR101130962B1 (ko) 박스포장장치
KR20200054841A (ko) 텐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처리장치
JP6043199B2 (ja) シャトルコンベヤ
US4947529A (en) Expander for tubular fabric
JP2002020007A (ja) テンター装置
JP6175474B2 (ja) 被搬送物の姿勢変更装置
JP2005179038A (ja) コンベヤ設備
KR20130023695A (ko)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JP2985894B2 (ja) 延伸機
JP5701731B2 (ja) ピンテンター装置
KR20140056577A (ko) 벨트 컨베이어
JPH09132311A (ja) エンドレスコンベヤ
KR20130098805A (ko) 벨트 조절장치
JP3030858U (ja) シールバーと連動する搬送具
JPH03264412A (ja) ベルト案内装置付きカーブコンベヤ
JP2017088353A (ja) ワーク搬送装置
GB734753A (en) Chain conveyors
TWI531516B (zh) Electronic component conveying equipment
JP2009243521A (ja) チェーン式駆動機構のチェーンの張力付与装置
JP2005349698A (ja) フィルム延伸機
JPH01124673A (ja) 編成繊維帯状品の幅出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