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3488A - 금속 벽재 및 그것을 이용한 벽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금속 벽재 및 그것을 이용한 벽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3488A
KR20200053488A KR1020207006563A KR20207006563A KR20200053488A KR 20200053488 A KR20200053488 A KR 20200053488A KR 1020207006563 A KR1020207006563 A KR 1020207006563A KR 20207006563 A KR20207006563 A KR 20207006563A KR 20200053488 A KR20200053488 A KR 202000534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material
wall
metal
body portion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6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모유키 나가츠
유우고 오오타
Original Assignee
닛테츠 닛신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테츠 닛신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테츠 닛신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53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34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3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xtending into the back side of the covering elements
    • E04F13/0837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xtending into the back side of the covering elements extending completely through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sheet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12Roofing elements shaped as plain tiles or shingles, i.e. with flat outer surface
    • E04D1/18Roofing elements shaped as plain tiles or shingles, i.e. with flat outer surface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24Roofing elements with cavities, e.g. hollow t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28Roofing elements comprising two or more layers, e.g. for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superposed elements which overlap each other and of which the flat outer surface includes an acute angle with the surface to cov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or layere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 basic insulating layer and at least one covering 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of metal or with an outer layer of metal or enameled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4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 E04D2001/3408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astener type or material
    • E04D2001/3423Nails, rivets, staples or straps piercing or perforating the roof covering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4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 E04D2001/347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astening pattern
    • E04D2001/3473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astening pattern fastening single roof elements to the roof structure with or without indirect clamping of neighbouring roof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4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 E04D2001/3488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roof covering elements being fastened
    • E04D2001/3494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roof covering elements being fastened made of rigid material having a flat external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51Hooking means on the back side of the cove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관한 금속 벽재(1)는 금속판을 소재로 하고 상자형으로 형성된 본체부(100)를 갖는 표면 기재(10)와, 본체부(100)의 개구를 막도록 표면 기재(10)의 이면측에 배치된 이면 기재(11)와, 본체부(100)와 이면 기재(11) 사이에 충전된 심재(12)를 구비하고, 본체부(100)에의 긴결 부재의 드라이브에 의해 벽 하지에 긴결되는 금속 벽재(1)로서, 다각형의 변을 따라 배치되거나 또는 원을 따라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30)로 이루어지는 돌출형상 리브(3)가 본체부(100)의 천판부(101)에 마련되어 있고, 돌출형상 리브(3)의 내부 영역(3a)에 긴결 부재가 드라이브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금속 벽재 및 그것을 이용한 벽 시공 방법
본 발명은 긴결 부재의 드라이브(박아넣음)에 의해 지붕 하지에 긴결되는 금속 벽재 및 그것을 이용한 벽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하기의 특허문헌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겹침이음용 면재, 즉 금속제의 표면 기재와, 표면 기재의 이면측에 배치된 이면 기재와, 표면 기재와 이면 기재 사이에 충전된 발포 수지로 이루어지는 심재를 구비한 금속 벽재의 실용화를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금속 벽재는 벽 하지의 위에 배치된 후에, 예를 들면 못 또는 나사 등의 긴결 부재가 드라이브되는 것에 의해 긴결된다.
특허문헌 1: 일본국 실용신안공개공보 소화64-37826호
상술한 바와 같은 금속 벽재에 긴결 부재를 드라이브한 경우, 긴결 부재의 드라이브에 기인하는 압력에 의해서, 긴결 부재의 드라이브 위치의 주위에 패임 또는 좌굴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패임 또는 좌굴은 금속 벽재의 부식 원인으로 되는 빗물 등의 수분의 체류 및 금속 벽재의 의장의 악화를 야기시킨다. 패임 또는 좌굴을 막는 방법으로서는 표면 기재의 판 두께를 늘리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지만, 이러한 방법을 취하면 벽 중량의 증대를 야기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긴결 부재의 드라이브에 의한 표면 기재의 패임 또는 좌굴을 작게 할 수 있는 금속 벽재 및 그것을 이용한 벽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금속 벽재는 금속판을 소재로 하고 상자형으로 형성된 본체부를 갖는 표면 기재와, 본체부의 개구를 막도록 표면 기재의 이면측에 배치된 이면 기재와, 본체부와 이면 기재 사이에 충전된 심재를 구비하고, 본체부에의 긴결 부재의 드라이브에 의해 벽 하지에 긴결되는 금속 벽재로서, 다각형의 변을 따라 배치되거나 또는 원을 따라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돌출형상 리브가 본체부의 천판부에 마련되어 있고, 돌출형상 리브의 내부 영역에 긴결 부재가 드라이브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벽 시공 방법은 금속판을 소재로 하고 상자형으로 형성된 본체부를 갖는 표면 기재와, 본체부의 개구를 막도록 표면 기재의 이면측에 배치된 이면 기재와, 본체부와 이면 기재 사이에 충전된 심재를 구비하고, 다각형의 변을 따라 배치되거나 또는 원을 따라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돌출형상 리브가 본체부의 천판부에 마련된 금속 벽재를 이용한 벽 시공 방법으로서, 금속 벽재를 벽 하지의 위에 배치하는 공정과, 돌출형상 리브의 내부 영역에 긴결 부재를 드라이브하여 금속 벽재를 벽 하지에 긴결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금속 벽재 및 그것을 이용한 벽 시공 방법에 따르면, 다각형의 변을 따라 배치되거나 또는 원을 따라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돌출형상 리브가 본체부의 천판부에 마련되어 있고, 돌출형상 리브의 내부 영역에 긴결 부재가 드라이브되므로, 긴결 부재의 드라이브에 의한 표면 기재의 패임 또는 좌굴을 작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금속 벽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금속 벽재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선 Ⅲ-Ⅲ을 따르는 금속 벽재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본체부의 다른 양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1의 금속 벽재(1)를 이용한 벽 시공 구조 및 벽 시공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1의 영역 Ⅵ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선 Ⅶ-Ⅶ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내부 영역에 수납되는 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돌출형상 리브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6의 돌출형상 리브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도 6의 돌출형상 리브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금속 벽재(1)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금속 벽재(1)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선 Ⅲ-Ⅲ을 따르는 금속 벽재(1)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본체부(100)의 다른 양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5는 도 1의 금속 벽재(1)를 이용한 벽 시공 구조 및 벽 시공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도 3에 나타내는 금속 벽재(1)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옥 등의 건물의 벽 하지의 위에 다른 금속 벽재와 함께 배치되는 것이다. 도 3에 특히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금속 벽재(1)는 표면 기재(10), 이면 기재(11) 및 심재(12)를 갖고 있다.
표면 기재(10)는 금속판을 소재로 하는 것이며, 금속 벽재(1)가 벽 하지의 위에 배치되었을 때에 벽의 외면에 나타나는 부재이다. 표면 기재(10)의 소재인 금속판으로서는 용융 Zn계 도금 강판, 용융 Al 도금 강판, 용융 Zn계 도금 스테인리스 강판, 용융 Al 도금 스테인리스 강판, 스테인리스 강판, Al판, Ti판, 도장 용융 Zn계 도금 강판, 도장 용융 Al 도금 강판, 도장 용융 Zn계 도금 스테인리스 강판, 도장 용융 Al 도금 스테인리스 강판, 도장 스테인리스 강판, 도장 Al판 또는 도장 Ti판을 이용할 수 있다.
금속판의 두께는 0.5㎜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판의 두께의 증가에 수반하여, 벽재의 강도가 증대하는 한편 중량이 늘어난다. 금속판의 두께를 0.5㎜이하로 함으로써, 금속 벽재(1)의 중량이 너무 커지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금속판의 두께가 0.27㎜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판의 두께를 0.27㎜이상으로 함으로써, 벽으로서 필요하게 되는 강도를 확보할 수 있으며, 내풍압 성능을 충분히 얻을 수 있다. 내풍압 성능은 강한 바람에 대해 좌굴하지 않고 금속벽(1)이 견딜 수 있는 성능이다.
표면 기재(10)는 천판부(101) 및 둘레 벽부(102)를 갖는 상자형의 본체부(100)를 갖고 있다. 이 본체부(100)는 금속판에 드로잉 가공 또는 벌징 가공이 실시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드로잉 가공 또는 벌징 가공에 의해 상자형의 본체부(100)를 형성함으로써, 둘레 벽부(102)를 표면 기재(10)의 둘레 방향에 연속하는 벽면으로 할 수 있으며, 본체부(100)의 내부에 수분이 침입할 가능성을 낮게 할 수 있다. 단,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형상을 갖는 금속판을 도면 중의 일점 쇄선을 따라 굴곡하여 상자형의 본체부(100)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표면 기재(10)의 금속판으로서 강판(용융 Zn계 도금 강판, 용융 Al 도금 강판, 용융 Zn계 도금 스테인리스 강판, 용융 Al 도금 스테인리스 강판, 스테인리스 강판, Al판, Ti판, 도장 용융 Zn계 도금 강판, 도장 용융 Al 도금 강판, 도장 용융 Zn계 도금 스테인리스 강판, 도장 용융 Al 도금 스테인리스 강판, 도장 스테인리스 강판)을 이용하는 동시에, 드로잉 가공 또는 벌징 가공에 의해 본체부(100)를 형성한 경우, 가공 경화에 의해 둘레 벽부(102)의 경도를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둘레 벽부(102)의 비커스 경도를 가공 전에 비해 1.4∼1.6배 정도 증대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둘레 벽부(102)가 표면 기재(10)의 둘레 방향에 연속하는 벽면으로 되는 동시에, 가공 경화에 의해 둘레 벽부(102)의 경도가 높여지는 것에 의해서, 금속 벽재(1)의 내풍압 성능이 현저히 향상한다.
이면 기재(11)는 본체부(100)의 개구를 막도록 표면 기재(10)의 이면측에 배치된 부재이다. 이면 기재(11)로서는 알루미늄박, 알루미늄 증착지, 수산화알루미늄지, 탄산칼슘지, 수지 필름 또는 유리 섬유지 등의 경량의 소재를 이용할 수 있다. 이들 경량의 소재를 이면 기재(11)에 이용함으로써, 금속 벽재(1)의 중량이 증대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심재(12)는 예를 들면 발포 수지 등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며, 표면 기재(10)의 본체부(100)와 이면 기재(11) 사이에 충전되어 있다. 본체부(100)와 이면 기재(11) 사이에 심재(12)가 충전됨으로써, 수지 시트 등의 배접재를 표면 기재(10)의 이면측에 부착하는 양태보다, 본체부(100)의 내부에 심재(12)를 강고하게 밀착시킬 수 있으며, 빗소리성(雨音性), 단열성 등의 벽재에 요구되는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심재(12)의 소재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으며, 우레탄, 페놀, 누레이트 수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단, 벽재에 있어서는 불연 인정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불연 재료 인정 시험은 ISO5660-1 콘칼로리미터 시험법에 준거한 발열성 시험이 실시된다. 심재(12)로 되는 발포 수지가 발열량이 많은 우레탄 등인 경우에는 본체부(100)의 두께를 얇게 하거나, 발포 수지에 무기 발포 입자를 함유시킬 수 있다.
심재(12)가 충전되는 본체부(100)의 높이 h는 4㎜이상이고 또한 8㎜이하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부(100)의 높이 h를 4㎜이상으로 함으로써, 본체부(100)의 강도를 충분히 높게 할 수 있으며, 내풍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단열성에 대해서도 4㎜이상에서 양호하게 된다. 또, 본체부(100)의 높이 h를 8㎜이하로 함으로써, 심재(12)의 유기 질량이 너무 많아지는 것을 회피하여, 더욱 확실하게 불연 재료 인정을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 벽재(1)는 본체부(100)의 폭 방향(100a)(긴쪽 방향)이 벽의 처마와 평행한 방향(4)을 따라 연장되고, 후술하는 본체부(100)의 안길이 방향(100b)(짧은쪽 방향)이 벽의 상하 방향(5)을 따라 연장하도록 적합되어 있다. 각 금속 벽재(1)는 예를 들면 나사 또는 못 등의 긴결 부재가 드라이브됨으로써 벽 하지에 긴결된다. 또, 상하 방향(5)에 관해, 하측의 금속 벽재(1)가 하측의 금속 벽재(1)의 위에 중첩되면서 벽 하지의 위에 배치된다.
도 1로 되돌아가, 본체부(100)의 천판부(101)에는 본체부(100)의 폭 방향(100a)을 따라 서로 이간되어 배치된 복수의 드라이브 표시부(2)와, 각 드라이브 표시부(2)의 주위에 배치된 돌출형상 리브(3)가 마련되어 있다. 이하, 드라이브 표시부(2) 및 돌출형상 리브(3)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도 1의 영역 Ⅵ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선 Ⅶ-Ⅶ을 따르는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6의 내부 영역(3a)에 수납되는 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드라이브 표시부(2)는 금속 벽재(1)에 긴결 부재를 드라이브하는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구성이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드라이브 표시부(2)는 평면에서 보아 원형의 오목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드라이브 표시부(2)는 예를 들면 돌출체, 개구 또는 인쇄 혹은 새겨 마련된 기호 등, 긴결 부재의 드라이브 위치를 작업자가 시각적 또는 촉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다른 양태를 취할 수도 있다.
돌출형상 리브(3)는 본체부(100)의 안길이 방향(100b)으로 길게 연장된 장방형의 변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돌출부(30)에 의해 구성된 것이다. 드라이브 표시부(2)는 돌출형상 리브(3)의 내부 영역(3a)에 배치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금속 벽재(1)는 돌출형상 리브(3)의 내부 영역(3a)에 긴결 부재가 드라이브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도 5와 같이 벽 시공(벽의 작성)을 실행할 때에는 돌출형상 리브(3)의 내부 영역(3a)에 긴결 부재를 드라이브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돌출부(30)는 천판부(101)를 구성하는 금속판의 일부가 비어져 나오는 것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각 돌출부(30)의 세로 내벽(30a)은 돌출형상 리브(3)의 내부 영역(3a)의 벽면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돌출형상 리브(3)의 내부 영역(3a)(드라이브 표시부(2))에 긴결 부재가 드라이브되었을 때의 내부 영역(3a)의 변형에 저항할 수 있다. 즉, 돌출형상 리브(3)의 내부 영역(3a)(드라이브 표시부(2))에 긴결 부재가 드라이브됨으로써, 긴결 부재의 드라이브에 의한 표면 기재(10)의 패임 또는 좌굴이 작게 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형상 리브(3)에는 돌출형상 리브(3)의 외부 영역(3b)과 내부 영역(3a)을 연통하는 복수의 개구부(31)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돌출형상 리브(3)에서는 장방형의 윗변 및 아랫변의 양단에 있어서 돌출부(30)가 결락됨으로써 4개의 개구부(31)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31)에서는 돌출형상 리브(3)의 내부 영역(3a) 및 외부 영역(3b)의 면과 동일 조건의 면이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형상 리브(3)에 개구부(31)가 마련됨으로써,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형상 리브(3)의 상부가 다른 금속 벽재에 의해서 막혔다고 해도, 돌출형상 리브(3)의 내외를 오가는 공기의 흐름을 확보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돌출형상 리브(3)의 내부 영역(3a)에 빗물 등의 수분이 침입해도, 그 수분의 증발을 촉진할 수 있어, 돌출형상 리브(3)의 내부 영역(3a)에 수분이 계속해서 잔존하는 우려를 작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장방형의 아랫변 양단에 위치하는 개구부(31)는 금속 벽재(1)가 벽 하지의 위에 배치되었을 때에 돌출형상 리브(3)의 하측에 위치하는 하측 개구부(31E)를 구성한다. 하측은 벽의 흐름 방향의 하류측을 의미한다. 이러한 하측 개구부(31E)가 마련됨으로써, 돌출형상 리브(3)의 내부 영역(3a)에 침입한 수분이 하측 개구부(31E)를 통과하여 돌출형상 리브(3)의 외부 영역(3b)으로 빠져나올 수 있어, 돌출형상 리브(3)의 내부 영역(3a)에 수분이 계속해서 잔존하는 우려를 작게 할 수 있다.
돌출형상 리브(3)에 있어서 개구부(31)가 차지하는 비율(이하, 개구율이라고 함)은 5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개구율은 이하의 식에 의해 정의할 수 있다.
개구율(%)=(개구부에 대응하는 중심각의 총합÷360)×100
개구부에 대응하는 중심각은 도 8과 같이 내부 영역(3a)에 수납되는 가장 큰 반경을 갖는 원을 그리는 동시에, 그 원의 중심과 각 개구부(31a) 중 양단을 통과하는 직선을 그렸을 때에, 각 개구부(31a)에 대응하는 직선간의 각도 θ1…θn이다. 도 8과 같이 4개의 개구부(31a)가 돌출형상 리브(3)에 마련된 양태의 경우, 개구율(%)={(θ1+θ2+θ3+θ4)÷360}×100으로 나타난다. 또한, 내부 영역(3a)에 수납되는 원은 돌출형상 리브(3)의 내측에 위치하는 원으로서, 모든 돌출부(30)의 세로 내벽(30a)을 넘어 연장하지 않는 원을 의미한다. 또, n은 개구부(31)의 수에 대응하는 임의의 정수이다. 후에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는 바와 같이, 돌출형상 리브(3)의 개구율이 50%이하인 것에 의해, 긴결 부재의 드라이브에 의한 표면 기재(10)의 변형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돌출부(30)의 높이 H는 0.2㎜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높이 H는 돌출형상 리브(3)의 내부 영역(3a) 또는 외부 영역(3b)의 면과 돌출부(30)의 꼭대기부의 거리에 상당한다. 후에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는 바와 같이, 돌출부(30)의 높이가 0.2㎜이상인 것에 의해, 긴결 부재의 드라이브에 의한 표면 기재(10)의 변형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돌출부(30)의 폭 W를 돌출부(30)의 높이 H로 나눈 값(W/H)이 3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폭 W는 돌출부(30)의 세로 내벽(30a)과 세로 외벽 사이의 거리에 상당한다. 후에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는 바와 같이, W/H가 3이상인 것에 의해, 돌출부(30)를 형성하는 가공이 가혹하게 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으며, 천판부(101)를 구성하는 금속판의 표면에 형성된 도막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내부 영역(3a)의 중심 위치에서 돌출부(30)까지의 최단 거리 L이 5㎜이상이고 또한 2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 영역(3a)의 중심 위치에서 돌출부(30)까지의 최단 거리 L은 내부 영역(3a)에 수납되는 가장 큰 반경을 갖는 원의 반경에 의해서 정의할 수 있다(도 8 참조). 후에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는 바와 같이, 최단 거리 L이 5㎜이상이고 또한 20㎜이하인 것에 의해, 긴결 부재의 드라이브에 의한 표면 기재(10)의 변형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다음에, 도 9는 도 6의 돌출형상 리브(3)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의 (a)∼(h)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형상 리브(3)를 구성하는 돌출부(30)는 원을 따라 배치되어도 좋다. 도 9의 (a), (e), (f) 및 (g)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나의 돌출부(30)에 의해서 돌출형상 리브(3)가 구성되어도 좋고, 도 9의 (b)∼(d) 및 (h)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돌출부(30)에 의해서 돌출형상 리브(3)가 구성되어도 좋다.
도 9의 (b)∼(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형상 리브(3)의 중심 위치를 사이에 두고 복수의 개구부(31)가 서로 대향해서 배치되어도 좋으며, 도 9의 (e) 및 (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형상 리브(3)의 개구율이 50%로 되도록 하나의 개구부(31)가 마련되어도 좋다. 도 9의 (h)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형상 리브(3)의 개구율을 50%로 하면서, 개구부(31)의 일부를 하측 개구부(31E)로 할 수도 있다.
다음에, 도 10은 도 6의 돌출형상 리브(3)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의 (a)∼(h)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형상 리브(3)를 구성하는 돌출부(30)는 정방형의 변을 따라 배치되어도 좋다. 도 10의 (a) 및 (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나의 돌출부(30)에 의해서 돌출형상 리브(3)가 구성되어도 좋으며, 도 10의 (b)∼(d) 및 (f)∼(h)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돌출부(30)에 의해서 돌출형상 리브(3)가 구성되어도 좋다.
도 10의 (b)∼(d), (f) 및 (g)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형상 리브(3)의 중심 위치를 사이에 두고 복수의 개구부(31)가 서로 대향해서 배치되어도 좋으며, 도 10의 (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형상 리브(3)의 개구율이 50%로 되도록 하나의 개구부(31)가 마련되어도 좋다. 도 10의 (h)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형상 리브(3)의 개구율을 50%로 하면서, 개구부(31)의 일부를 하측 개구부(31E)로 할 수도 있다.
다음에, 도 11은 도 6의 돌출형상 리브(3)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의 (a)∼(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형상 리브(3)를 구성하는 돌출부(30)가 삼각형, 마름모형(사각형), 오각형 및 팔각형의 변을 따라 배치되어도 좋다. 또, 추가의 각을 갖는 다각형의 변을 따라 돌출부(30)가 배치되어도 좋다. 도 11의 (a)∼(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삼각형, 마름모형(사각형), 오각형 및 팔각형의 변을 따라 돌출부(30)가 배치되는 경우에도,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부(31)를 마련할 수 있다.
다음에, 실시예를 든다. 본 발명자는 이하의 조건에서 금속 벽재(1)를 공시재로 해서 시작하였다.
표면 기재(10)의 소재는 0.20∼0.6㎜의 도장 용융 Zn-55% Al 도금 강판, 도장 용융 Zn-6% Al-3% Mg 도금 강판 또는 도장 용융 Al 도금 강판을 사용하였다.
이면 기재(11)로서는 0.2㎜ 유리 섬유지, 0.2㎜ Al 증착지, 0.2㎜ PE 수지 필름, 0.1㎜ Al박 또는 0.27㎜ 도장 용융 Zn 도금 강판을 사용하였다.
심재(12)로서는 2액 혼합형의 발포 수지를 사용하였다. 폴리올 성분과 이소시아네이트, 페놀 혹은 누레이트 성분의 혼합 비율은 중량비로 1:1로 하였다.
표면 기재(10)를 소정의 벽재 두께와 형상으로 되도록 가공한 후에, 본체부(100)의 개구를 막도록 표면 기재(10)의 이면측에 이면 기재(11)를 배치하고, 시판중인 고압 주입기에 의해 표면 기재(10)의 본체부(100)와 이면 기재(11) 사이의 공극에 발포 수지를 주입하였다. 수지 발포는 온수 순환에 의해 70℃로 온도 조정한 금형내에서 2분 유지한 후, 금형에서 지붕재를 꺼내, 실온 20℃의 조건하에서 5분간 정치하고, 수지의 발포를 완료시켰다.
수지의 발포를 완료시킨 후에, 플랜지의 돌출 폭이 5㎜로 되도록, 본체부(100)의 하단에서 본체부(100)의 바깥쪽을 향해 연장하는 금속판을 절단하고, 벤더에 의해 금속판을 소정의 형상으로 구부림 가공하였다. 최종적인 금속 벽재(1)의 치수는 414㎜×910㎜로 하였다. 또, 최종적인 벽재의 두께는 3㎜∼8㎜의 범위로 하였다.
이러한 공시재에 있어서, 돌출형상 리브(3)의 형상, 하측 개구부(31E)의 유무, 돌출부(30)의 높이 H, 내부 영역(3a)의 중심 위치에서 돌출부(30)까지의 최단 거리 L, 돌출부(30)의 폭 W를 돌출부(30)의 높이 H로 나눈 값, 개구율(돌출형상 리브(3)에 있어서 개구부(31)가 차지하는 비율)을 변경하여, 이하의 (1) 벽재 중량의 평가, (2) 긴결시의 움푹패임의 평가, (3) 도막 크랙의 발생 상황의 평가, 및 (4) 빗물의 흐르기 쉬움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이하의 표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pct00001
(1) 벽재 중량의 평가 기준
벽재의 단일 중량을 계측하고, 시공성에 따라 이하의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 벽재 단일 중량이 20N/매 미만
△: 벽재 단일 중량이 20N/매 이상
(2) 긴결시의 움푹패임의 평가 기준
긴결 부재로서, 시판 중인 산희(山喜)산업 주식회사제 베스트 나사(직경 4.0㎜φ×길이 35㎜)와 임팩트 드라이버(주식회사 마키타제 TD136D)를 사용하여, 2매 중첩의 벽재를 긴결하였다. 긴결의 움푹패임은 긴결한 상측의 벽재의 움푹패임을 간극 게이지에 의해서 측정하고, 이하의 평가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 긴결시의 움푹패임이 2㎜미만
△: 긴결시의 움푹패임이 2㎜이상
(3) 도막 크랙의 발생 상황의 평가
돌출부(30)를 형성할 때에 도장 강판에 발생하는 도막 크랙을 10배의 확대경에 의해 육안으로 관찰하고, 이하의 평가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 도막 크랙의 발생이 보이지 않거나 또는 경미한 크랙이 보임
△: 현저한 도막 크랙의 발생이 보임
(4) 빗물의 흐르기 쉬움
벽재를 구배 15°로 경사시키고, 벽재의 상부에 1000mL의 수돗물을 흘려, 돌출형상 리브(3)의 내부 영역(3a)에 남는 상황을 육안에 의해 이하의 평가 기준에서 평가하였다.
○: 물이 막힘없이 흐르며, 내부 영역에 물이 거의 남아 있지 않음
△: 물이 남아 있음
비교예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 기재(10)를 구성하는 금속판의 판 두께를 0.6㎜로 한 경우, 벽재의 단일 중량이 20N/매 이상으로 되고, 벽재 중량을 △로 평가하게 되었다. 한편, 실시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 기재(10)를 구성하는 금속판의 판 두께를 0.5㎜이하로 함으로써, 벽재의 단일 중량을 20N/매 미만으로 할 수 있었다. 이 결과로부터, 표면 기재(10)를 구성하는 금속판의 판 두께가 0.5㎜이하인 것이 바람직한 것이 확인되었다.
비교예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형상 리브(3)의 개구율이 50%를 넘은 경우, 긴결시의 움푹패임이 2㎜이상으로 되며, 긴결시의 움푹패임을 △로 평가하게 되었다. 한편, 실시예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율이 50%이하인 경우에는 긴결시의 움푹패임을 2㎜미만으로 할 수 있었다. 이 결과로부터, 개구율을 50%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 확인되었다.
비교예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 영역(3a)의 중심 위치에서 돌출부(30)까지의 최단 거리 L이 20㎜를 넘은 경우, 긴결시의 움푹패임이 2㎜이상으로 되며, 긴결시의 움푹패임을 △로 평가하게 되었다. 한편, 실시예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단 거리 L이 20㎜이하인 경우에는 긴결시의 움푹패임을 2㎜미만으로 할 수 있었다. 이 결과로부터, 최단 거리 L을 20㎜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최단 거리 L이 작아지면, 쇠망치, 드라이버 또는 전동 공구에 의해 못이나 나사로 벽재를 긴결할 때에 돌출부(30)가 장벽으로 되어 긴결 작업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최단 거리 L은 5㎜이상이 바람직하다.
비교예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30)의 높이 H가 0.2㎜미만인 경우, 긴결시의 움푹패임이 2㎜이상으로 되며, 긴결시의 움푹패임을 △로 평가하게 되었다. 한편, 실시예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30)의 높이 H가 0.2㎜이상인 경우에는 긴결시의 움푹패임을 2㎜미만으로 할 수 있었다. 이 결과로부터, 돌출부(30)의 높이 H를 0.2㎜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 확인되었다.
비교예 5,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30)의 폭 W를 돌출부(30)의 높이 H로 나눈 값이 3미만인 경우, 도막에 크랙이 발생하고, 도막 크랙의 발생 상황을 △로 평가하게 되었다. 한편, 실시예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30)의 폭 W를 돌출부(30)의 높이 H로 나눈 값이 3이상인 경우에는 도막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었다. 이 결과로부터, 돌출부(30)의 폭 W를 돌출부(30)의 높이 H로 나눈 값을 3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 확인되었다.
비교예 2, 7,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 개구부(31E)를 마련하지 않은 경우, 돌출형상 리브(3)의 내부 영역(3a)에 물이 남고, 빗물의 흐르기 쉬움을 △로 평가하게 되었다. 한편, 실시예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 개구부(31E)를 마련한 경우에는 돌출형상 리브(3)의 내부 영역(3a)에 물이 남는 것을 회피할 수 있었다. 이 결과로부터, 하측 개구부(31E)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금속 벽재(1) 및 그것을 이용한 벽 시공 방법에서는 다각형의 변을 따라 배치되거나 또는 원을 따라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30)로 이루어지는 돌출형상 리브(3)가 본체부(100)의 천판부(101)에 마련되어 있고, 돌출형상 리브(3)의 내부 영역(3a)에 긴결 부재가 드라이브되므로, 긴결 부재의 드라이브에 의한 표면 기재(10)의 패임 또는 좌굴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돌출형상 리브(3)에는 돌출형상 리브(3)의 외부 영역(3b)과 내부 영역(3a)을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31)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돌출형상 리브(3)의 상부가 다른 금속 벽재에 의해 막혔다고 해도, 돌출형상 리브(3)의 내외를 오가는 공기의 흐름을 확보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돌출형상 리브(3)의 내부 영역(3a)에 빗물 등의 수분이 침입해도, 그 수분의 증발을 촉진시킬 수 있어, 돌출형상 리브(3)의 내부 영역(3a)에 수분이 계속해서 잔존할 우려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31)는 금속 벽재(1)가 벽 하지의 위에 배치되었을 때에 돌출형상 리브(3)의 하측에 위치하는 하측 개구부(31E)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돌출형상 리브(3)의 내부 영역(3a)에 침입한 수분이 하측 개구부(31E)를 통과해서 돌출형상 리브(3)의 외부 영역(3b)으로 빠져나갈 수 있어, 돌출형상 리브(3)의 내부 영역(3a)에 수분이 계속해서 잔존하는 우려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돌출형상 리브(3)에 있어서 개구부(31)가 차지하는 비율(개구율)이 50%이하이므로, 긴결 부재의 드라이브에 의한 표면 기재(10)의 변형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또, 돌출부(30)의 높이 H가 0.2㎜이상이므로, 긴결 부재의 드라이브에 의한 표면 기재(10)의 변형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30)의 폭 W를 돌출부(30)의 높이 H로 나눈 값(W/H)이 3이상이므로, 천판부(101)를 구성하는 금속판의 표면에 형성된 도막에 크랙이 생기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또, 내부 영역(3a)의 중심 위치에서 돌출부(30)까지의 최단 거리가 5㎜이상이고 또한 20㎜이하이므로, 긴결 부재의 드라이브에 의한 표면 기재(10)의 변형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또, 표면 기재(10)를 구성하는 금속판의 판 두께가 0.5㎜이하이므로, 금속 벽재(1)의 중량이 너무 커지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1; 금속 벽재 2; 드라이브 표시부
3; 돌출형상 리브 3a; 내부 영역
3b; 외부 영역 10; 표면 기재
11; 이면 기재 12; 심재
30; 돌출부 31; 개구부
31E; 하측 개구부 100; 본체부
101; 천판부 102; 둘레 벽부

Claims (9)

  1. 금속판을 소재로 하고 상자형으로 형성된 본체부를 갖는 표면 기재와, 상기 본체부의 개구를 막도록 상기 표면 기재의 이면측에 배치된 이면 기재와, 상기 본체부와 상기 이면 기재 사이에 충전된 심재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에의 긴결 부재의 드라이브에 의해 벽 하지에 긴결되는 금속 벽재로서,
    다각형의 변을 따라 배치되거나 또는 원을 따라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돌출형상 리브가 상기 본체부의 천판부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돌출형상 리브의 내부 영역에 상기 긴결 부재가 드라이브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벽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형상 리브에는 상기 돌출형상 리브의 외부 영역과 상기 내부 영역을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벽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는 상기 금속 벽재가 상기 벽 하지의 위에 배치되었을 때에 상기 돌출형상 리브의 하측에 위치하는 하측 개구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벽재.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형상 리브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가 차지하는 비율은 5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벽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높이는 0.2㎜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벽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폭을 상기 돌출부의 높이로 나눈 값이 3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벽재.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영역의 중심 위치에서 상기 돌출부까지의 최단 거리는 5㎜이상이고 또한 2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벽재.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기재를 구성하는 상기 금속판의 판 두께는 0.5㎜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벽재.
  9. 금속판을 소재로 하고 상자형으로 형성된 본체부를 갖는 표면 기재와, 상기 본체부의 개구를 막도록 상기 표면 기재의 이면측에 배치된 이면 기재와, 상기 본체부와 상기 이면 기재 사이에 충전된 심재를 구비하고, 다각형의 변을 따라 배치되거나 또는 원을 따라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돌출형상 리브가 상기 본체부의 천판부에 마련된 금속 벽재를 이용한 벽 시공 방법으로서,
    상기 금속 벽재를 벽 하지의 위에 배치하는 공정과,
    상기 돌출형상 리브의 내부 영역에 긴결 부재를 드라이브하여 상기 금속 벽재를 상기 벽 하지에 긴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시공 방법.
KR1020207006563A 2017-09-28 2018-09-21 금속 벽재 및 그것을 이용한 벽 시공 방법 KR202000534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88623A JP6981147B2 (ja) 2017-09-28 2017-09-28 金属壁材及びそれを用いた壁施工方法
JPJP-P-2017-188623 2017-09-28
PCT/JP2018/035136 WO2019065524A1 (ja) 2017-09-28 2018-09-21 金属壁材及びそれを用いた壁施工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3488A true KR20200053488A (ko) 2020-05-18

Family

ID=65903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6563A KR20200053488A (ko) 2017-09-28 2018-09-21 금속 벽재 및 그것을 이용한 벽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200256064A1 (ko)
EP (1) EP3690164A4 (ko)
JP (1) JP6981147B2 (ko)
KR (1) KR20200053488A (ko)
CN (1) CN111148884A (ko)
AU (1) AU2018343395A1 (ko)
PH (1) PH12020550150A1 (ko)
RU (1) RU2020114710A (ko)
TW (1) TW201932689A (ko)
WO (1) WO20190655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Y194411A (en) 2017-05-23 2022-11-30 Nippon Steel Nisshin Co Ltd Metallic Roof Material and Roofing Method using same
CN112554396A (zh) * 2020-12-11 2021-03-26 李兴 一种内外互消式抗风型建筑幕墙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927992A (fr) * 1946-04-27 1947-11-14 élément en plaque formant matériau pour toitures et terrasses
US4712351A (en) * 1986-11-10 1987-12-15 The Celotex Corporation Vinyl siding
JPS6437826A (en) 1987-08-04 1989-0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lectrolyte for driving electrolytic capacitor
JP2826334B2 (ja) * 1989-01-24 1998-11-18 株式会社アイジー技術研究所 パネルの目地構造
JPH0967901A (ja) * 1995-08-31 1997-03-1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屋根及び外装用建材
JPH10238069A (ja) * 1997-02-25 1998-09-08 Ig Tech Res Inc 外壁構造
JP2001288854A (ja) * 2000-04-07 2001-10-19 Mtr Business Corporation:Kk 屋根材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屋根材の施工方法
JP2008240321A (ja) * 2007-03-27 2008-10-09 Ig Kogyo Kk 屋根材
JP5393958B2 (ja) * 2007-06-08 2014-01-22 アイジー工業株式会社 外壁材の接続構造
ES2373894B1 (es) * 2009-10-08 2012-12-17 Asturiana De Laminados, S.A. Plaqueta para cubiertas y fachadas y recubrimiento obtenido mediante el uso de dicha plaqueta.
US8307599B2 (en) * 2010-07-12 2012-11-13 Certainteed Corporation Molded shingles with moisture guards for fasteners and with shingle alignment features
CN203008284U (zh) * 2012-12-27 2013-06-19 上海合富建筑科技有限公司 造型格条墙面板
JP6110973B1 (ja) * 2015-10-02 2017-04-05 日新製鋼株式会社 金属屋根材及び屋根葺き方法
JP5999824B1 (ja) * 2015-11-27 2016-09-28 日新製鋼株式会社 金属屋根材並びにそれを用いた屋根葺き構造及び屋根葺き方法
MY194411A (en) * 2017-05-23 2022-11-30 Nippon Steel Nisshin Co Ltd Metallic Roof Material and Roofing Method using same
CN207700591U (zh) * 2018-01-04 2018-08-07 郝振欣 装饰装修用的墙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90164A1 (en) 2020-08-05
RU2020114710A3 (ko) 2021-12-09
EP3690164A4 (en) 2021-06-09
AU2018343395A1 (en) 2020-03-19
CN111148884A (zh) 2020-05-12
JP6981147B2 (ja) 2021-12-15
JP2019065466A (ja) 2019-04-25
PH12020550150A1 (en) 2021-02-08
US20200256064A1 (en) 2020-08-13
WO2019065524A1 (ja) 2019-04-04
RU2020114710A (ru) 2021-10-28
TW201932689A (zh) 2019-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74004B1 (ko) 금속 지붕재 및 지붕 이음 방법
KR102323897B1 (ko) 금속 지붕재 및 그것을 이용한 지붕잇기 방법
US624399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osing openings under tiles along eave line
KR20200053488A (ko) 금속 벽재 및 그것을 이용한 벽 시공 방법
RU2019133345A (ru) Анкер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для противоэрозионного покрытия,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защиты стенки установки крекинга с псевдоожиженным катализатором
WO201318059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щиты подмоторной част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арианты)
JP2011503390A (ja) 屋根部材
US20080256887A1 (en) Roof tile fastener with attachment feature
DE102012012107A1 (de) Haube für ein Kraftfahrzeug
JP5241266B2 (ja) 建物用金属板製水切り材
JP2007296875A (ja) 金属板補強構造
US6920996B1 (en) Insulated freight container and a top rail therefor
EP1052338A2 (de) Dämmplatte
JP6437626B1 (ja) デッキプレート及びデッキプレートの製造方法
US1470331A (en) Roof edging
JP3106299U (ja) 金属瓦
JP2012102577A (ja) 谷部化粧板金及びそれを使用した屋根構造
US1862292A (en) Roofing
JP5405713B2 (ja) 屋根用部材と隔板とそれらによる屋根改修構造
JP2019044377A (ja) 折板屋根の補強具
JP6942640B2 (ja) 断熱材、及びそれを用いた横葺き外装構造
KR20170000361U (ko) 데크 길이방향 보강부재를 가지는 춤이 큰 데크플레이트
JP2018178394A (ja) 金属屋根材
JP3431502B2 (ja) 屋根瓦とその敷設構造
KR200480486Y1 (ko) 누수방지용 못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