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2147A - 공융용매를 포함하는 식물체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용 조성물 및 상기 추출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식물체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공융용매를 포함하는 식물체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용 조성물 및 상기 추출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식물체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2147A
KR20200052147A KR1020180135363A KR20180135363A KR20200052147A KR 20200052147 A KR20200052147 A KR 20200052147A KR 1020180135363 A KR1020180135363 A KR 1020180135363A KR 20180135363 A KR20180135363 A KR 20180135363A KR 20200052147 A KR20200052147 A KR 202000521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extraction
hydrogen bond
plant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5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9831B1 (ko
Inventor
노경호
당위양
이계진
안예나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35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9831B1/ko
Publication of KR20200052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2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9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9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1/00Solvent extraction
    • B01D11/02Solvent extraction of solids
    • B01D11/0288Applications, solv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1/00Solvent extraction
    • B01D11/02Solvent extraction of solids
    • B01D11/0261Solvent extraction of solids comprising vibrating mechanisms, e.g. mechanical, acoustical
    • B01D11/0265Applying ultrasoun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공융용매를 포함하는 식물체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용 조성물 및 상기 추출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식물체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조성물은 간단한 제조공정으로 쉽게 제조할 수 있으며, 반응과정에서 추가적인 유기용제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유기용매를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독성물질 방출 및 부산물이 없어 환경오염 물질 배출이 적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다양한 식물체로부터 유효성분을 우수한 순도 및 수율로 추출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공융용매를 포함하는 식물체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용 조성물은 종래 유기용매의 추출용매를 대체하는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추출용매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공융용매를 포함하는 식물체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용 조성물 및 상기 추출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식물체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방법{A Composition for extracting effective ingredients from plant comprising deep eutectic solvent and a method for extracting effective ingredients from plant using the same}
공융용매를 포함하는 식물체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용 조성물 및 상기 추출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식물체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페놀(Polyphenols)은 식물, 특히 자연식물의 자연 산화 방지제이며 신체의 활성산소 금속 이온의 친산화 금속 킬레이트화뿐만 아니라 항산화 효소 활성도, 항산화 효소 활성제 때문에 인간의 건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폴리페놀을 가진 부산물과 폐기물의 이용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연구는 대체로 효과적이고 비용 효율적인 다운스트림 공정의 개발에 초점이 맞춰졌으며, 이 공정은 식품, 식품 보충제, 화장품 및 의약품 제조에 사용되는 관점에서 추출물 또는 추출물의 정제에 기초하여 상품을 생산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것이 대다수이다.
구체적으로, 자연 식물에서 폴리페놀 화합물을 회수하기 위한 기존의 추출 기법은 보통 에탄올, 메탄올 또는 아세톤 용액과 같은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s)을 추출용매로 사용하는 고-액 추출(leaching)이 주를 이룬다. 그러나, VOC 용제는 독성, 높은 변동성 및 비-재생성 특성으로 인해 소비자나 환경에 유리하지 않으며, REACH를 포함한 국제법에서는 이러한 용도의 사용을 엄격하게 규제하고 있다.
따라서, 환경 영향을 줄이기 위한 대체 녹색 용제를 찾는 동시에, 식품 폐기물 자재를 상업적 가치를 지닌 천연 폴리페놀 산화 방지제의 생산을 포함한 가치 있는 제품으로 업그레이드하기 위한 다운스트림 공정의 효율성을 개선해야 할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한편, 높은 용융점을 가진 고체물질과 혼합하여 형성된 새로운 유형의 용제로서, 자연 재료와 재생 가능한 시동 재료로 구성된 "공융 용매(Deep Eutectic Solvents)"라는 새로운 용매 시스템이 개발되었으며(Chem. Commun., 2003,0, 70-71), 상기 공융용매는 일반적으로 수소결합공여체(hydrogen bond donor, HBD)와 수소결합수용체(hydrogen bond acceptor, HBA)의 혼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HBD 및 HBA 조합에 따라 공융용매의 화학적 특성, 물리적 특성이 결정된다.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50070610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식물체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식물체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 물(water),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EG), 우레아(Urea), 락트산(lactic acid, LA), 글리세롤(glycerol, GL), 옥살산(oxalic acid, OA) 및 n-부틸 알콜(n-butyl alcohol, BA)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수소결합공여체(Hydrogen bond donor, HBD); 및
염화 콜린(choline chloride, ChCl), 베타인(betaine, BT), 테트라부틸암모늄 브로마이드(tetrabutylammonium bromide, TBAB) 및 테트라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tetramethylammonium chloride, TMAC)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수소결합수용체(Hydrogen bond acceptor, HBA)의 혼합으로 구성되는 공융용매를 포함하는 식물체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식물체를 준비하는 단계(단계 1); 및
상기 공융용매를 포함하는 식물체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용 조성물, 상기 단계 1에서 준비된 식물체를 혼합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체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융용매를 포함하는 식물체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용 조성물은 간단한 제조공정으로 쉽게 제조할 수 있으며, 반응과정에서 추가적인 유기용제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유기용매를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독성물질 방출 및 부산물이 없어 환경오염 물질 배출이 적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다양한 식물체로부터 유효성분을 우수한 순도 및 수율로 추출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공융용매를 포함하는 식물체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용 조성물은 종래 유기용매의 추출용매를 대체하는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추출용매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1-13의 공융용매를 포함하는 식물체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오렌지 껍질(Orange peel)로부터 카페인산, 페룰산 및 루틴을 추출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DES-1: 실시예 1, DES-2: 실시예 2, DES-3: 실시예 3, DES-4: 실시예 4, DES-5: 실시예 5, DES-6: 실시예 6, DES-7: 실시예 7, DES-8: 실시예 8, DES-9: 실시예 9, DES-10: 실시예 10, DES-11: 실시예 11, DES-12: 실시예 12, DES-13: 실시예 13, MeOH: 비교예 1)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물(water),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EG), 우레아(Urea), 락트산(lactic acid, LA), 글리세롤(glycerol, GL), 옥살산(oxalic acid, OA) 및 n-부틸 알콜(n-butyl alcohol, BA)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수소결합공여체(Hydrogen bond donor, HBD); 및
염화 콜린(choline chloride, ChCl), 베타인(betaine, BT), 테트라부틸암모늄 브로마이드(tetrabutylammonium bromide, TBAB) 및 테트라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tetramethylammonium chloride, TMAC)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수소결합수용체(Hydrogen bond acceptor, HBA)의 혼합으로 구성되는 공융용매를 포함하는 식물체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식물체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식물체는 오렌지 껍질(Orange peel), 녹차(Green tea), 인진호(Herba Artemisiae Scopariae), 단삼(Salvia miltiorrhiza Bge), 은행나무(Ginkgo biloba L.), 인동 덩굴(Lonicera japonica), 회향(Fennel seed), 바닷말(seaweed) 및 민감초(Liquorice)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하나일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은 식물체에 함유된 것으로, 특정한 효과, 예를들어, 항산화효과, 미백효과, 염증치료 효과 등의 효과를 나타내는 성분을 의미하며, 상기 유효성분은 카페인산(Caffeic acid), 페룰산(Ferulic acid), 루틴(Rutin),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 및 글라브리딘(Glabridin)으로 이루어지는 폴리페놀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수소결합공여체(Hydrogen bond donor, HBD)는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EG)일 수 있다.
상기 수소결합수용체(Hydrogen bond acceptor, HBA)는 테트라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tetramethylammonium chloride, TMAC)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서, 수소결합수용체(Hydrogen bond acceptor, HBA) 1몰농도(Molar)에 대하여 수소결합공여체(Hydrogen bond donor, HBD)를 1 내지 4몰농도로 포함할 수 있다.
수소결합수용체(Hydrogen bond acceptor, HBA) 1몰농도(Molar)에 대하여 수소결합공여체(Hydrogen bond donor, HBD)를 1몰농도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 녹는점이 실온보다 높고, 점성이 높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4몰농도 초과로 포함할 경우, 추출용매로 사용시에 추출효율이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융용매를 포함하는 식물체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용 조성물은 간단한 제조공정으로 쉽게 제조할 수 있으며, 반응과정에서 추가적인 유기용제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유기용매를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독성물질 방출 및 부산물이 없어 환경오염 물질 배출이 적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다양한 식물체로부터 유효성분을 우수한 순도 및 수율로 추출할 수 있다(실험예 1 및 2 참조).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공융용매를 포함하는 식물체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용 조성물은 종래 유기용매의 추출용매를 대체하는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추출용매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공융용매를 포함하는 식물체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용 조성물은,
물(water),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EG), 우레아(Urea), 락트산(lactic acid, LA), 글리세롤(glycerol, GL), 옥살산(oxalic acid, OA) 및 n-부틸 알콜(n-butyl alcohol, BA)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수소결합공여체(Hydrogen bond donor, HBD); 및 염화 콜린(choline chloride, ChCl), 베타인(betaine, BT), 테트라부틸암모늄 브로마이드(tetrabutylammonium bromide, TBAB) 및 테트라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tetramethylammonium chloride, TMAC)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수소결합수용체(Hydrogen bond acceptor, HBA)를 혼합하는 단계(단계 1);
단계 1의 혼합물을 가열하는 단계(단계2); 및
단계 2의 가열된 혼합물을 건조시키는 단계(단계 3);을 포함하는 공융용매를 포함하는 식물체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식물체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은 수소결합공여체와 수소결합수용체를 혼합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수소결합수용체(Hydrogen bond acceptor, HBA) 1몰농도(Molar)에 대하여 수소결합공여체(Hydrogen bond donor, HBD)를 1 내지 4몰농도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체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2는 단계 1의 혼합물을 가열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 2의 가열은 60°C 내지 120°C에서 수행할 수 있고, 80°C에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2의 가열은 0.5 내지 2시간동안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체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은 단계 2의 가열된 혼합물을 건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건조는 오븐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80°C 내지 120°C에서 수행할 수 있고, 80°C에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3의 건조는 12시간동안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식물체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의 구체적인 실시방법은 하기 실시예 1-14와 유사한 절차를 수행하여 진행할 수 있으나, 이는 일례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식물체를 준비하는 단계(단계 1); 및
상기 공융용매를 포함하는 식물체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용 조성물, 상기 단계 1에서 준비된 식물체를 혼합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체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단계 2의 추출은 용액을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는 방법이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나, 초음파 처리(Ultra sonic), 디핑(Dipping) 및 환류(Reflux)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공융용매의 제조(DES-1)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EG) 12.4 g(0.2 mol)과 물 1.8 g (0.1 mol)을 염화 콜린(choline chloride, ChCl) 14.00 g (0.1 mol)과 함께 혼합하고 80 °C로 가열하여 물질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1시간 동안 유지하면 무색 투명한 액체가 생성된다. 반응이 완전히 끝난 이후, 점도있는 액체를 얻기위해 80°C 오븐에서 12시간동안 건조시켜 공융용매 DES-1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공융용매의 제조(DES-2)
락트산(lactic acid, LA) 18 g(0.2 mol)과 물 1.8 g (0.1 mol)을 염화 콜린(choline chloride, ChCl) 14.00 g (0.1 mol)과 함께 혼합하고 80 °C로 가열하여 물질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1시간 동안 유지하면 무색 투명한 액체가 생성된다. 반응이 완전히 끝난 이후, 점도있는 액체를 얻기위해 80°C 오븐에서 12시간동안 건조시키면 공융용매 DES-2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공융용매의 제조(DES-3)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EG) 24.8 g (0.4 mol)과 염화 콜린(choline chloride, ChCl) 14.00 g (0.1 mol)을 함께 혼합하고 80 °C로 가열하여 물질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1시간 동안 유지하면 무색 투명한 액체가 생성된다. 반응이 완전히 끝난 이후, 점도있는 액체를 얻기위해 80°C 오븐에서 12시간동안 건조시키면 공융용매 DES-3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공융용매의 제조(DES-4)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EG) 18.6 g (0.3 mol)과 염화 콜린(choline chloride, ChCl) 14.00 g (0.1 mol)을 함께 혼합하고 80 °C로 가열하여 물질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1시간 동안 유지하면 무색 투명한 액체가 생성된다. 반응이 완전히 끝난 이후, 점도있는 액체를 얻기위해 80°C 오븐에서 12시간동안 건조시키면 공융용매 DES-4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공융용매의 제조(DES-5)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EG) 12.4 g (0.2 mol)과 염화 콜린(choline chloride, ChCl) 14.00 g (0.1 mol)을 함께 혼합하고 80 °C로 가열하여 물질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1시간 동안 유지하면 무색 투명한 액체가 생성된다. 반응이 완전히 끝난 이후, 점도있는 액체를 얻기위해 80°C 오븐에서 12시간동안 건조시키면 공융용매 DES-5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공융용매의 제조(DES-6)
락트산(lactic acid, LA) 18 g (0.2 mol)과 염화 콜린(choline chloride, ChCl) 14.00 g (0.1 mol)을 함께 혼합하고 80 °C로 가열하여 물질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1시간 동안 유지하면 무색 투명한 액체가 생성된다. 물질이 완전히 끝난 이후, 점도있는 액체를 얻기위해 80°C 오븐에서 12시간동안 건조시키면 공융용매 DES-6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공융용매의 제조(DES-7)
옥살산(oxalic acid, OA) 18 g (0.2 mol)과 염화 콜린(choline chloride, ChCl) 14.00 g (0.1 mol)을 함께 혼합하고 80 °C로 가열하여 물질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1시간 동안 유지하면 무색 투명한 액체가 생성된다. 반응이 완전히 끝난 이후, 점도있는 액체를 얻기위해 80°C 오븐에서 12시간동안 건조시키면 공융용매 DES-7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 공융용매의 제조(DES-8)
락트산(lactic acid, LA) 18.4 g (0.2 mol)과 염화 콜린(choline chloride, ChCl) 14.00 g (0.1 mol)을 함께 혼합하고 80 °C로 가열하여 물질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1시간 동안 유지하면 무색 투명한 액체가 생성된다. 반응이 완전히 끝난 이후, 점도있는 액체를 얻기위해 80°C 오븐에서 12시간동안 건조시키면 공융용매 DES-8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9> 공융용매의 제조(DES-9)
n-부틸 알콜(n-butyl alcohol, BA) 14.8 g (0.2 mol)과 염화 콜린(choline chloride, ChCl) 14.00 g (0.1 mol)을 함께 혼합하고 80 °C로 가열하여 물질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1시간 동안 유지하면 무색 투명한 액체가 생성된다. 반응이 완전히 끝난 이후, 점도있는 액체를 얻기위해 80°C 오븐에서 12시간동안 건조시키면 공융용매 DES-9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공융용매의 제조(DES-10)
락트산(lactic acid, LA) 18.4 g (0.2 mol)과 베타인(betaine, BT) 11.7 g (0.1 mol)과 함께 혼합하고 80 °C로 가열하여 물질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1시간 동안 유지하면 무색 투명한 액체가 생성된다. 반응이 완전히 끝난 이후, 점도있는 액체를 얻기위해 80°C 오븐에서 12시간동안 건조시키면 공융용매 DES-10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공융용매의 제조(DES-11)
락트산(lactic acid, LA) 18.4 g (0.2 mol)과 테트라부틸암모늄 브로마이드(tetrabutylammonium bromide, TBAB) 32.2 g (0.1 mol)을 함께 혼합하고 80 °C로 가열하여 물질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1시간 동안 유지하면 무색 투명한 액체가 생성된다. 반응이 완전히 끝난 이후, 점도있는 액체를 얻기위해 80°C 오븐에서 12시간동안 건조시키면 공융용매 DES-11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공융용매의 제조(DES-12)
락트산(lactic acid, LA) 18.4 g (0.2 mol)과 테트라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tetramethylammonium chloride, TMAC) 10.9 g (0.1 mol)을 함께 혼합하고 80 °C로 가열하여 물질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1시간 동안 유지하면 무색 투명한 액체가 생성된다. 반응이 완전히 끝난 이후, 점도있는 액체를 얻기위해 80°C 오븐에서 12시간동안 건조시키면 공융용매 DES-12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공융용매의 제조(DES-13)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EG) 12.4 g (0.2 mol)과 테트라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tetramethylammonium chloride, TMAC) 10.9 g (0.1 mol)을 함께 혼합하고 80 °C로 가열하여 물질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1시간 동안 유지하면 무색 투명한 액체가 생성된다. 반응이 완전히 끝난 이후, 점도있는 액체를 얻기위해 80°C 오븐에서 12시간동안 건조시키면 공융용매 DES-13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4> 공융용매의 제조(DES-14)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EG) 12.4 g(0.2 mol)과 우레아(Urea) 6 g (0.1 mol) 테트라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tetramethylammonium chloride, TMAC) 10.9 g (0.1 mol)과 함께 혼합하고 80 °C로 가열하여 물질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1시간 동안 유지하면 무색 투명한 액체가 생성된다. 반응이 완전히 끝난 이후, 점도있는 액체를 얻기위해 80°C 오븐에서 12시간동안 건조시켜 공융용매 DES-14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2 및 14에서 제조한 3원 공융용매(Ternary deep eutectic solvent)의 조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HBA HBD 1 HBD 2 Molar/ratio
(HBA/HBD1/HBD2)
1 ChCl EG Water 1/2/1
2 ChCl EG LA 1/2/1
14 TMAC EG Urea 1/2/1
상기 표에서, HBA는 수소결합수용체(Hydrogen bond acceptor)이고, HBD는 수소결합공여체(Hydrogen bond donor)이다.
상기 실시예 3-13에서 제조한 2원 공융용매(Binary deep eutectic solvent)의 조성을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HBA HBD Molar/ratio
(HBA/HBD)
3 ChCl EG 1/4
4 ChCl EG 1/3
5 ChCl EG 1/2
6 ChCl LA 1/2
7 ChCl OA 1/2
8 ChCl GL 1/2
9 ChCl BA 1/2
10 BT LA 1/2
11 TBAB LA 1/2
12 TMAC LA 1/1
13 TMAC EG 1/2
상기 표에서, HBA는 수소결합수용체(Hydrogen bond acceptor)이고, HBD는 수소결합공여체(Hydrogen bond donor)이다.
하기 표 3은 하기 실험예에서 사용된 식물체 및 각 식물체로부터 추출한 유효성분을 정리한 것이다.
식물체 추출 유효성분
오렌지 껍질(Orange peel)
녹차(Green tea) 잎
인진호(Herba Artemisiae Scopariae) 잎
단삼(Salvia miltiorrhiza Bge) 뿌리
은행나무(Ginkgo biloba L.) 잎
인동 덩굴(Lonicera japonica) 줄기
회향(Fennel seed) 씨
바닷말(seaweed) 잎
<항산화물질>
카페인산(Caffeic acid)
페룰산(Ferulic acid)
루틴(Rutin)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
민감초(Liquorice) 뿌리 <미백물질>
글라브리딘(Glabridin)
<실험예 1> 공융용매를 포함하는 식물체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용 조성물을 사용한 오렌지 껍질로부터 유효성분의 추출
본 발명에 따른 공융용매를 포함하는 식물체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용 조성물의 추출효율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예 1-14의 조성물을 사용하여 다양한 식물체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였다. 비교예로서, 유기용매인 메탄올을 사용하여 동일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인 추출방법은 다음과 같다.
식물체(녹차잎 , 인진호잎, 단삼뿌리, 은행나무잎, 인동 덩굴 줄기, 회향 씨, 바닷말잎, 민감초뿌리) 0.1g과 실시예 1-13의 공융용매 1ml 를 40 °C, 20rpm에서 30분간 혼합한후 만들어진 혼합물을 filter 0.45(μm)를 부착한 주사기에 넣고 추출물질을 추출한다.
실시예 1-13의 조성물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오렌지 껍질로부터 카페인산, 페룰산 및 루틴을 추출하여, 추출수율을 정리하여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융용매를 포함하는 식물체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용 조성물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오렌지 껍질로부터 카페인산, 페룰산 및 루틴을 추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실시예 13의 조성물은 실시예 중에서 가장 우수한 추출효율을 나타내며, 추출용매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유기용매인 메탄올보다 현저히 우수한 유효성분 추출양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추출 유효성분 관점에서,
페룰산은, 실시예 3, 4, 7, 9 및 13의 조성물을 추출용매로 사용할 경우, 10 mg/g이상으로 추출용매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유기용매인 메탄올과 유사한 추출양을 나타냄을 알 수 있으며, 특히, 실시예 13을 사용할 경우, 메탄올보다 높은 추출양을 나타내어, 페룰산의 추출효율이 더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카페인산은, 실시예 2, 3, 4, 8 및 13의 조성물을 추출용매로 사용할 경우, 메탄올보다 높은 추출양을 나타내며, 특히, 실시예 13을 사용할 경우, 메탄올보다 약 1.5배 이상 높은 추출양을 나타내어, 카페인산의 추출효율이 현저하게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루틴은, 실시예 13을 사용할 경우, 메탄올보다 약 1.5배 이상 높은 추출양을 나타내어, 루틴의 추출효율이 현저하게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공융용매를 포함하는 식물체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용 조성물을 사용한 다양한 식물체로부터 유효성분의 추출
도 1의 결과에서, 카페인산, 페룰산 및 루틴에 전체 대하여 가장 높은 추출효과를 나타내는 추출용매인 실시예 13의 조성물을 사용하여, 오렌지 껍질, 녹차, 인진호, 단삼, 은행나무, 인동 덩굴 및 회향에서 카페인산, 페룰산 및 루틴을 추출하였으며, 실시예 13을 사용한 추출 수율 및 메탄올을 사용하여 추출한 추출수율을 구체적인 수치로 비교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 13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다양한 식물체로부터 클로로젠산을 추출하였으며, 실시예 13을 사용한 추출 수율 및 에탄올을 사용하여 추출한 추출수율을 구체적인 수치로 비교하여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 13 및 14를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민감초로부터 글라브리딘을 추출하였으며, 실시예 13 및 14을 사용한 추출 수율 및 에탄올을 사용하여 추출한 추출수율을 구체적인 수치로 비교하여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각 실험의 구체적인 실험 방법은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추출 수율 (mg/g)
카페인산 페룰산 루틴
식물체 MeOH 실시예 13 MeOH 실시예 13 MeOH 실시예 13
오렌지 껍질 1.77 3.18 11.8 12.24 0.75 1.29
녹차 0.26 0.48 0.24 0.59 0.63 1.50
인진호 0.25 0.46 0.39 0.47 0.25 0.48
단삼 0.17 0.28 0.41 0.84 0.56 0.62
은행나무 1.15 1.89 0.75 1.08 1.12 1.53
바닷말 0 0 0.55 0.86 0 0
인동 덩굴 0.22 0.41 0.26 0.61 0.47 0.69
회향 0.12 0.15 0 0 0.13 0.18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융용매를 포함하는 식물체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용 조성물은 식물체의 종류에 관계없이, 유효성분을 추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추출용매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유기용매인 메탄올보다 현저히 우수한 유효성분 추출양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클로로젠산 추출수율 (mg/g)
식물체 EtOH 실시예 13
녹차 0.092 0.17
인진호 0.49 2.20
은행나무 0.13 0.15
인동 덩굴 0.085 0.099
민감초 0.88 4.3
회향 0.11 0.23
오렌지 껍질 0.13 0.49
상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융용매를 포함하는 식물체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용 조성물은 식물체의 종류에 관계없이, 유효성분을 추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추출용매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유기용매인 에탄올보다 현저히 우수한 유효성분 추출양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추출수율 글라브리딘 (mg/g)
식물체 EtOH 실시예 13 실시예 14
민감초 0.10 0.063 0.10
상기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융용매를 포함하는 식물체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용 조성물은 민감초로부터 미백물질로 잘 알려진 유효성분인 글라브리딘을 추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실시예 13의 경우, 추출용매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유기용매인 에탄올보다 현저히 우수한 유효성분 추출양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융용매를 포함하는 식물체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용 조성물은 간단한 제조공정으로 쉽게 제조할 수 있으며, 반응과정에서 추가적인 유기용제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유기용매를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독성물질 방출 및 부산물이 없어 환경오염 물질 배출이 적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다양한 식물체로부터 유효성분을 우수한 순도 및 수율로 추출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공융용매를 포함하는 식물체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용 조성물은 종래 유기용매의 추출용매를 대체하는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추출용매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0)

  1. 물(water),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EG), 우레아(Urea), 락트산(lactic acid, LA), 글리세롤(glycerol, GL), 옥살산(oxalic acid, OA) 및 n-부틸 알콜(n-butyl alcohol, BA)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수소결합공여체(Hydrogen bond donor, HBD); 및
    염화 콜린(choline chloride, ChCl), 베타인(betaine, BT), 테트라부틸암모늄 브로마이드(tetrabutylammonium bromide, TBAB) 및 테트라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tetramethylammonium chloride, TMAC)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수소결합수용체(Hydrogen bond acceptor, HBA)의 혼합으로 구성되는 공융용매를 포함하는 식물체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카페인산(Caffeic acid), 페룰산(Ferulic acid), 루틴(Rutin),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 및 글라브리딘(Glabridin)으로 이루어지는 폴리페놀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결합공여체(Hydrogen bond donor, HBD)는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E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결합수용체(Hydrogen bond acceptor, HBA)는 테트라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tetramethylammonium chloride, TMA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체는 오렌지 껍질(Orange peel), 녹차(Green tea), 인진호(Herba Artemisiae Scopariae), 단삼(Salvia miltiorrhiza Bge), 은행나무(Ginkgo biloba L.), 인동 덩굴(Lonicera japonica), 회향(Fennel seed), 바닷말(seaweed) 및 민감초(Liquorice)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결합수용체(Hydrogen bond acceptor, HBA) 1몰농도(Molar)에 대하여 수소결합공여체(Hydrogen bond donor, HBD)를 1 내지 4몰농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용 조성물.
  7. 식물체를 준비하는 단계(단계 1); 및
    제1항의 추출용 조성물, 상기 단계 1에서 준비된 식물체를 혼합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체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체는 오렌지 껍질(Orange peel), 녹차(Green tea), 인진호(Herba Artemisiae Scopariae), 단삼(Salvia miltiorrhiza Bge), 은행나무(Ginkgo biloba L.), 인동 덩굴(Lonicera japonica), 회향(Fennel seed), 바닷말(seaweed) 및 민감초(Liquorice)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카페인산(Caffeic acid), 페룰산(Ferulic acid), 루틴(Rutin),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 및 글라브리딘(Glabridin)으로 이루어지는 폴리페놀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의 추출은 초음파 처리(Ultra sonic), 디핑(Dipping) 및 환류(Reflux)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의 방법을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80135363A 2018-11-06 2018-11-06 공융용매를 포함하는 식물체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용 조성물 및 상기 추출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식물체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방법 KR102229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363A KR102229831B1 (ko) 2018-11-06 2018-11-06 공융용매를 포함하는 식물체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용 조성물 및 상기 추출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식물체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363A KR102229831B1 (ko) 2018-11-06 2018-11-06 공융용매를 포함하는 식물체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용 조성물 및 상기 추출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식물체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2147A true KR20200052147A (ko) 2020-05-14
KR102229831B1 KR102229831B1 (ko) 2021-03-18

Family

ID=70737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5363A KR102229831B1 (ko) 2018-11-06 2018-11-06 공융용매를 포함하는 식물체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용 조성물 및 상기 추출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식물체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9831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07156A (zh) * 2021-11-18 2022-01-11 中国农业科学院都市农业研究所 一种茶褐素及其抗氧化组分的制备方法
CN114181328A (zh) * 2021-12-16 2022-03-15 季华实验室 一种从鱿鱼软骨中提取β-甲壳素的方法
KR20220056452A (ko) * 2020-10-28 2022-05-06 한상철 화장품 원료 추출용 공융용매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원료 추출방법
CN114657226A (zh) * 2022-04-08 2022-06-24 南京工业大学 一种从甘草渣中提取黄酮类化合物及提取后残渣利用的方法
KR102428817B1 (ko) * 2022-01-25 2022-08-02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당유자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방법
KR102435822B1 (ko) * 2022-03-22 2022-08-23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당유자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방법
CN115154404A (zh) * 2022-09-06 2022-10-11 广东迪美新材料科技有限公司 具有紧致与抗衰的植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5193099A (zh) * 2022-08-03 2022-10-18 广东省农业科学院环境园艺研究所 使用低共熔溶剂提取泥炭藓活性成分的方法
CN116059309A (zh) * 2023-04-06 2023-05-05 江西中医药大学 一种精油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6251044A (zh) * 2022-12-29 2023-06-13 广州梵之容化妆品有限公司 一种低共熔光甘草定溶液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6251137A (zh) * 2021-12-09 2023-06-13 北京农学院 一种从鸡血藤中提取黄酮类化合物的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0610A (ko) 2013-12-17 2015-06-25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잘피로부터 로즈마리 산 및 카페인 산을 추출하는 방법
KR20180016352A (ko) * 2015-04-10 2018-02-14 나투렉스 에스아 공융 추출 용매, 상기 용매를 사용한 공융생성에 의한 추출 방법, 및 상기 추출 방법으로부터 유래된 추출물
KR101901451B1 (ko) * 2018-01-23 2018-09-27 (주)해피엘앤비 천연 공융 용매로 추출한 꽃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0610A (ko) 2013-12-17 2015-06-25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잘피로부터 로즈마리 산 및 카페인 산을 추출하는 방법
KR101576232B1 (ko) * 2013-12-17 2015-12-09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잘피로부터 로즈마리 산 및 카페인 산을 추출하는 방법
KR20180016352A (ko) * 2015-04-10 2018-02-14 나투렉스 에스아 공융 추출 용매, 상기 용매를 사용한 공융생성에 의한 추출 방법, 및 상기 추출 방법으로부터 유래된 추출물
KR101901451B1 (ko) * 2018-01-23 2018-09-27 (주)해피엘앤비 천연 공융 용매로 추출한 꽃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leaner Production 152. 399-405 *
Sustainable Chemistry and Engineering 5. 3270-3278 *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6452A (ko) * 2020-10-28 2022-05-06 한상철 화장품 원료 추출용 공융용매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원료 추출방법
CN113907156A (zh) * 2021-11-18 2022-01-11 中国农业科学院都市农业研究所 一种茶褐素及其抗氧化组分的制备方法
CN116251137A (zh) * 2021-12-09 2023-06-13 北京农学院 一种从鸡血藤中提取黄酮类化合物的方法
CN116251137B (zh) * 2021-12-09 2024-01-30 北京农学院 一种从鸡血藤中提取黄酮类化合物的方法
CN114181328A (zh) * 2021-12-16 2022-03-15 季华实验室 一种从鱿鱼软骨中提取β-甲壳素的方法
KR102428817B1 (ko) * 2022-01-25 2022-08-02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당유자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방법
KR102435822B1 (ko) * 2022-03-22 2022-08-23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당유자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방법
CN114657226A (zh) * 2022-04-08 2022-06-24 南京工业大学 一种从甘草渣中提取黄酮类化合物及提取后残渣利用的方法
CN115193099A (zh) * 2022-08-03 2022-10-18 广东省农业科学院环境园艺研究所 使用低共熔溶剂提取泥炭藓活性成分的方法
CN115193099B (zh) * 2022-08-03 2023-11-07 广东省农业科学院环境园艺研究所 使用低共熔溶剂提取泥炭藓活性成分的方法
CN115154404A (zh) * 2022-09-06 2022-10-11 广东迪美新材料科技有限公司 具有紧致与抗衰的植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5154404B (zh) * 2022-09-06 2022-11-11 广东迪美新材料科技有限公司 具有紧致与抗衰功效的植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6251044A (zh) * 2022-12-29 2023-06-13 广州梵之容化妆品有限公司 一种低共熔光甘草定溶液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6059309A (zh) * 2023-04-06 2023-05-05 江西中医药大学 一种精油组合物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9831B1 (ko) 2021-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52147A (ko) 공융용매를 포함하는 식물체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용 조성물 및 상기 추출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식물체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방법
CN102088953B (zh) 绿茶多糖的制备方法以及含有所述多糖的用于皮肤增白、保湿和抗皱效果的化妆品组合物
CN108497497B (zh) 桑叶活性物质的提取和保存方法
JP2013056868A (ja) 生理活性液状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571323B1 (ko) 허브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RU2007135252A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лечения депрессии и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KR20110053235A (ko) 사포게닌 고함유 조성물의 제조 방법
CN107737200B (zh) 一种柑橘抑菌液及其制备方法
JP4393717B2 (ja) 代謝異常改善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組成物
CN107744535A (zh) 金银花消毒剂的制备方法
JPWO2005077395A1 (ja) 生理活性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896952B1 (ko) 식품 부산물을 이용한 천연 항균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Ijioma et al. Preliminary evaluation of phytochemicals in Iresine herbistii ethanol leaf extract using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analysis
JP6333057B2 (ja) チロシナーゼ阻害剤およびその製造法
KR101505100B1 (ko)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가된 홍삼음료 및 그 제조 방법
GB1068534A (en) Polysaccharide having anti-cancer activity
JP5854674B2 (ja) ジペプチジルペプチダーゼiv阻害剤
CN110692656A (zh) 植物源农药制备方法及植物源农药
JPH11225724A (ja) 食品添加剤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073748A (ja) 抗アレルギー剤
JP6106506B2 (ja) アスナロエキスの製造方法
EP0030977A1 (en) Prophylactic and curative medicine for cirrhotic liver
JPH07242517A (ja) 育毛料及びその製造方法
US10933013B1 (en) Oral hygiene compositions containing extract of cannabis plant
CN105106317A (zh) 东南亚草药组合提取物的制备及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