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1313A - 파이프 랙 구조물의 모듈러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파이프 랙 구조물의 모듈러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1313A
KR20200051313A KR1020180134525A KR20180134525A KR20200051313A KR 20200051313 A KR20200051313 A KR 20200051313A KR 1020180134525 A KR1020180134525 A KR 1020180134525A KR 20180134525 A KR20180134525 A KR 20180134525A KR 20200051313 A KR20200051313 A KR 202000513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rack
module unit
construction method
modular construction
rack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4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5343B1 (ko
Inventor
이은석
고영주
김규운
채웅식
김태선
노현섭
유영기
전영운
이성훈
장정하
이경수
양석민
Original Assignee
삼성물산 주식회사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물산 주식회사,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34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5343B1/ko
Publication of KR20200051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13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5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5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F16L3/2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for a bundle of pipes or a plurality of pipes placed side by side in contact with each 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4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a special member for attachment to profiled gir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등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기둥(10), 상기 기둥(10)에 형성된 상부 결합부(100) 및 상기 상부 결합부(100)에 결합되는 파이프 랙 모듈유닛(200)을 포함하는 파이프 랙 구조물의 모듈러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둥(10)은 가로방향(a) 및 세로방향(b)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결합부(100)는 상기 가로방향(a)을 따라 형성된 이웃하는 상기 기둥(10)을 연결하는 가로보(110) 및 상기 세로방향(b)을 따라 형성된 이웃하는 상기 기둥(10)을 연결하는 세로보(120)를 포함하되, 상기 기둥(10) 및 상기 상부 결합부(100)를 형성시키는 제1 단계(S100); 상기 가로방향(a)을 따라 형성된 이웃하는 상기 기둥(10)의 사이 공간(c)으로 상기 파이프 랙 모듈유닛(200)을 인입시켜, 상기 세로방향(b)을 따라 형성된 이웃하는 상기 기둥(10) 사이 공간(d)으로 상기 파이프 랙 모듈유닛(200)을 위치시키는 제2 단계(S200); 상기 파이프 랙 모듈유닛(200)을 상기 파이프 랙 모듈유닛(200)이 결합될 상기 상부 결합부(100) 하부로 이동시키는 제3 단계(S300); 및 상기 파이프 랙 모듈유닛(200)을 리프팅 하여 상기 세로보(120)에 결합시키는 제4 단계(S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랙 구조물의 모듈러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둥 간의 거리, 시공 유격 등의 변수를 고려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최적의 파이프 랙 분절모듈의 길이를 도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파이프 랙 구조물의 모듈러 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of Pipe Rack Structure}
본 발명은 파이프 랙 구조물의 모듈러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반도체 펩 유틸리티와 같은 파이프 랙 구조물의 시공이 요구되는 첨단 시설물의 시공에 있어서, 모듈화된 파이프 랙을 연결하는 것만으로 파이프 랙 구조물의 시공을 완료할 수 있는 파이프 랙 구조물의 모듈러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공장의 기계실이나 외조기실에는 반도체 생산 공정에 필요한 유틸리티 및 공조시스템의 형성을 위한 복수의 배관과 이를 지지하기 위한 철골 랙이 상부 구조에 매달린 형태로 설치되어 운용된다.
특히 반도체 공장의 기계실의 경우 배관 및 철골 랙이 4단 이상으로 배치되기도 하기 때문에 층고가 10m 이상으로 설계된다.
기존에는 이러한 파이프 랙 시스템의 시공을 위해 파이프 지지용 철골 랙을 소부재 단위로 기둥에 형성된 상부 결합부에 매달아 설치하고, 소부재 철골 랙의 보를 설치한 후, 파이프 설치 작업을 위한 (달)비계를 설치하고, 파이프 및 전기트레이 설치함과 아울러 기압 및 수압 테스트를 수행하고, (달)비계를 해체하는 순서로 시공작업을 진행하였다(도 1 내지 도 9).
일반적으로 공사진행 일정 상 철골 랙의 설치는 건물의 상부 슬래브가 형성된 상태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타워크레인의 사용이 불가하므로, 소형 양중장비(ex 거미크레인)로 개별적으로 리프팅되어 설치되었다.
이후에 배관 설치를 위한 가설발판(달비계) 작업을 완료하고, 개별 배관을 하부에서 소형 양중 장비로 올려주고 이를 받아서 상부에서 연결하는 절차로 시공 작업이 진행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파이프 랙 구조물의 시공방법은 현장 시공 내용이 많아 작업 속도가 느리고, 현장 인력의 투입이 많아 공사비용이 증대됨과 아울러 협착, 추락, 낙하 등의 안전사고 리스크를 내제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파이프 랙 구조물의 시공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공성이 우수하고 시공기간을 단축하여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파이프 랙 구조물의 모듈러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현장시공의 내용을 줄이고 프리패브화 함으로써 현장 내 작업인력 축소와 안전사고 발생을 줄일 수 있는 파이프 랙 구조물의 모듈러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공 품질을 균일하게 유지하여 반도체 공장 등과 같은 하이테크 공장의 기능 수행을 뒷받침할 수 있도록 한 파이프 랙 구조물의 모듈러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둥 간의 거리, 시공 유격 등의 변수를 고려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최적의 파이프 랙 분절모듈의 길이를 도출할 수 있도록 한 파이프 랙 구조물의 모듈러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등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기둥(10), 상기 기둥(10)에 형성된 상부 결합부(100) 및 상기 상부 결합부(100)에 결합되는 파이프 랙 모듈유닛(200)을 포함하는 파이프 랙 구조물의 모듈러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둥(10)은 가로방향(a) 및 세로방향(b)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결합부(100)는 상기 가로방향(a)을 따라 형성된 이웃하는 상기 기둥(10)을 연결하는 가로보(110) 및 상기 세로방향(b)을 따라 형성된 이웃하는 상기 기둥(10)을 연결하는 세로보(120)를 포함하되, 상기 기둥(10) 및 상기 상부 결합부(100)를 형성시키는 제1 단계(S100); 상기 가로방향(a)을 따라 형성된 이웃하는 상기 기둥(10)의 사이 공간(c)으로 상기 파이프 랙 모듈유닛(200)을 인입시켜, 상기 세로방향(b)을 따라 형성된 이웃하는 상기 기둥(10) 사이 공간(d)으로 상기 파이프 랙 모듈유닛(200)을 위치시키는 제2 단계(S200); 상기 파이프 랙 모듈유닛(200)을 상기 파이프 랙 모듈유닛(200)이 결합될 상기 상부 결합부(100) 하부로 이동시키는 제3 단계(S300); 및 상기 파이프 랙 모듈유닛(200)을 리프팅 하여 상기 세로보(120)에 결합시키는 제4 단계(S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랙 구조물의 모듈러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이 경우 상기 파이프 랙 모듈유닛(200)은 상기 가로방향(a)을 따라 형성되는 가로 프레임(210); 상기 세로방향(b)을 따라 형성되는 세로 프레임(220); 및 상기 가로방향(a)을 따라 연장됨과 아울러 상기 세로 프레임(220)의 상부에 거치되는 파이프(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랙 구조물의 모듈러 시공방법일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파이프 랙 분절모듈(200a)에 대하여 상기 제2 단계(S200) 내지 상기 제4 단계(S400)를 실시하되, 상기 파이프 랙 모듈유닛(200)과 상기 또 다른 파이프 랙 분절모듈(200a)을 접합하는 제5 단계(S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랙 구조물의 모듈러 시공방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이프 랙 모듈유닛(200)의 상부에는 상기 세로보(120)와의 결합을 위한 제1 결합부(310)가 형성되며, 상기 제1 결합부(310)는 상기 세로 프레임(220)의 형성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랙 구조물의 모듈러 시공방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세로보(120)의 하면에는 상기 제1 결합부(310)와의 결합을 위한 제2 결합부(320)가 형성되며, 상기 제2 결합부(320)는 상기 세로보(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랙 구조물의 모듈러 시공방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세로 프레임(220)은 상기 파이프 랙 모듈유닛(200)의 단부에서 소정의 간격(e) 만큼 이격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랙 구조물의 모듈러 시공방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이프(10) 및 상기 가로 프레임(210)은 상기 파이프 랙 모듈유닛(200)의 단부까지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랙 구조물의 모듈러 시공방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이프 랙 모듈유닛(200)의 타입이 1가지인 경우, 상기 파이프 랙 모듈유닛(200)의 길이(X)는 이하의 [식 1]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랙 구조물의 모듈러 시공방법일 수 있다.
[식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X : 상기 파이프 랙 모듈유닛(200)의 길이
A : 이웃하는 상기 기둥(10) 간의 거리
B : 상기 기둥(10)의 폭
C : 시공유격
D : 이웃하는 상기 제2 결합부(320) 간의 거리
N : X에 포함되는 D의 개수
또한, 상기 파이프 랙 모듈유닛(200)의 타입이 2가지인 경우, 상기 파이프 랙 모듈유닛(200)의 길이(X)는 이하의 [식 2]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랙 구조물의 모듈러 시공방법일 수 있다.
[식 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X : 상기 파이프 랙 모듈유닛(200)의 길이
A : 이웃하는 상기 기둥(10) 간의 거리
B : 상기 기둥(10)의 폭
C : 시공유격
D : 이웃하는 상기 제2 결합부(320) 간의 거리
N : X에 포함되는 D의 개수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파이프 랙 구조물의 모듈러 시공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파이프 랙 구조물의 모듈러 시공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공성이 우수하고 시공기간을 단축하여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장시공의 내용을 줄이고 프리패브화 함으로써 현장 내 작업인력 축소와 안전사고 발생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공 품질을 균일하게 유지하여 반도체 공장 등과 같은 하이테크 공장의 기능 수행을 뒷받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둥 간의 거리, 시공 유격 등의 변수를 고려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최적의 파이프 랙 분절모듈의 길이를 도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9는 종래의 파이프 랙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10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랙 구조물의 모듈러 시공방법을 나타낸 도면(도 10, 도 11은 평면도이며 도 12 내지 도 19는 측면도임).
도 20는 파이프 랙 분절모듈의 타입이 1가지 인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적의 파이프 랙 분절모듈의 길이를 도출하기 위한 [식 1]의 이해를 위한 도면.
도 21는 파이프 랙 분절모듈의 타입이 2가지 인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적의 파이프 랙 분절모듈의 길이를 도출하기 위한 [식 2]의 이해를 위한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랙 분절모듈이 기둥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랙 분절모듈이 기둥에 설치된 상태를 다른 방향에서 나타낸 도면.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랙 구조물의 모듈러 시공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파이프 랙 구조물의 모듈러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파이프 랙 구조물은 등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기둥(10), 기둥(10)에 형성된 상부 결합부(100) 및 상부 결합부(100)에 결합되는 파이프 랙 모듈유닛(200)을 포함한다(도 22, 도 23).
기둥(10)은 상부 결합부(100)를 통해 파이프 랙 모듈을 지지하는 구조물로서, 가로방향(a) 및 세로방향(b)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도 10).
상부 결합부(100)는 파이프 랙 모듈에 지지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가로방향(a)을 따라 형성된 이웃하는 기둥(10)을 연결하는 가로보(110) 및 세로방향(b)을 따라 형성된 이웃하는 기둥(10)을 연결하는 세로보(120)를 포함할 수 있다(도 10).
파이프 랙 모듈유닛(200)은 파이프 랙 구조물을 형성하는 분절된 모듈유닛으로서, 가로방향(a)을 따라 형성되는 가로 프레임(210), 세로방향(b)을 따라 형성되는 세로 프레임(220) 및 가로방향(a)을 따라 연장됨과 아울러 세로 프레임(220)의 상부에 거치되는 파이프(230)를 포함한다(도 22, 도 23).
파이프 랙 모듈유닛(200)의 상부에는 세로보(120)와의 결합을 위한 제1 결합부(310)가 형성되며, 제1 결합부(310)는 세로 프레임(220)의 형성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도 22, 도 23).
세로보(120)의 하면에는 제1 결합부(310)와의 결합을 위한 제2 결합부(320)가 형성되며, 제2 결합부(320)는 세로보(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도 22, 도 23).
파이프(10) 및 가로 프레임(210)은 파이프 랙 모듈유닛(200)의 단부까지 연장 형성되며, 이웃하는 파이프 랙 모듈유닛(200)의 파이프(10) 및 가로 프레임(210)이 서로 접합된다.
이와 비교하여 세로 프레임(220)은 파이프 랙 모듈유닛(200)의 단부에서 소정의 간격(e) 만큼 이격되어 설치된 특징이 있다(도 13).
이는 이웃하는 파이프 랙 모듈유닛(200)의 파이프(10)의 접합 용접 작업의 수행에 있어 파이프(10)의 하부 용접시 세로 프레임(220)의 간섭으로 인하여 접합 공정이 용이하게 수행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랙 구조물의 모듈러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도 10 내지 도 19).
파이프 랙 구조물의 모듈러 시공방법은 상기 기둥(10) 및 상기 상부 결합부(100)를 형성시키는 제1 단계(S100), 가로방향(a)을 따라 형성된 이웃하는 기둥(10)의 사이 공간(A)으로 상기 파이프 랙 모듈유닛(200)을 인입시켜, 세로방향(b)을 따라 형성된 이웃하는 기둥(10) 사이 공간(d)으로 파이프 랙 모듈유닛(200)을 위치시키는 제2 단계(S200), 파이프 랙 모듈유닛(200)을 파이프 랙 모듈유닛(200)이 결합될 상부 결합부(100) 하부로 이동시키는 제3 단계(S300) 및 파이프 랙 모듈유닛(200)을 리프팅 하여 세로보(120)에 결합시키는 제4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또 다른 파이프 랙 분절모듈(200a)에 대하여 상술된 제2 단계(S200) 내지 제4 단계(S400)를 실시하되, 파이프 랙 모듈유닛(200)과 또 다른 파이프 랙 분절모듈(200a)을 접합하는 제5 단계(S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이프 랙 모듈유닛(200)의 연결이 완료되면, 파이프 랙 구조물의 시공을 완료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르면 파이프 랙 모듈유닛(200)을 기둥 사이 공간(c)으로 인입시키기 위해서는 파이프 랙 모듈유닛(200)의 길이가 기둥 사이 공간(c)이 갖는 폭 보다 짧을 것이 전제된다.
그러나 시공성 및 공사기간의 단축을 위해서는 기둥 간의 거리(A), 시공유격(C) 등이 고려된 최대의 파이프 랙 모듈유닛(200)의 길이를 도출하여 선 제작할 것이 요구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파이프 랙 모듈유닛(200)의 최대의 길이를 도출할 수 있는 시공방법을 제안한다.
만일 파이프 랙 모듈유닛(200)의 타입이 1가지인 경우라면 파이프 랙 모듈유닛(200)의 길이(X)는 이하의 [식 1]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식 1]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X : 상기 파이프 랙 모듈유닛(200)의 길이
A : 이웃하는 상기 기둥(10) 간의 거리
B : 상기 기둥(10)의 폭
C : 시공유격
D : 이웃하는 상기 제2 결합부(320) 간의 거리
N : X에 포함되는 D의 개수
시공유격(C)은 파이프 랙 모듈유닛(200)이 기둥(10)의 사이 공간(c)을 통과할 때 이동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최소한의 유격 거리를 의미한다.
N은 파이프 랙 모듈유닛(200)의 길이에 포함되는 D의 개수로서 도20을 참조하면 이해할 수 있다.
만일 파이프 랙 모듈유닛(200)의 타입이 2가지인 경우라면 파이프 랙 모듈유닛(200)의 길이(X)는 이하의 [식 2]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식 2]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X : 상기 파이프 랙 모듈유닛(200)의 길이
A : 이웃하는 상기 기둥(10) 간의 거리
B : 상기 기둥(10)의 폭
C : 시공유격
D : 이웃하는 상기 제2 결합부(320) 간의 거리
N : X에 포함되는 D의 개수
결국 파이프 랙 모듈유닛(200)의 타입의 개수는 X 값을 위한 식에서 N에 더해지는 상수의 분모의 변수로서 작용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듈러 방식으로 파이프 랙 구조물을 쉽게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성이 높고 효율적인 파이프 랙 모듈유닛(200)의 길이(X)를 도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랙 구조물의 모듈러 시공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기둥
100 : 상부 결합부
200 : 파이프 랙 분절모듈
300 : 결합부

Claims (11)

  1. 등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기둥(10), 상기 기둥(10)에 형성된 상부 결합부(100) 및 상기 상부 결합부(100)에 결합되는 파이프 랙 모듈유닛(200)을 포함하는 파이프 랙 구조물의 모듈러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둥(10)은 가로방향(a) 및 세로방향(b)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결합부(100)는 상기 가로방향(a)을 따라 형성된 이웃하는 상기 기둥(10)을 연결하는 가로보(110) 및 상기 세로방향(b)을 따라 형성된 이웃하는 상기 기둥(10)을 연결하는 세로보(120)를 포함하되,
    상기 기둥(10) 및 상기 상부 결합부(100)를 형성시키는 제1 단계(S100);
    상기 가로방향(a)을 따라 형성된 이웃하는 상기 기둥(10)의 사이 공간(c)으로 상기 파이프 랙 모듈유닛(200)을 인입시켜, 상기 세로방향(b)을 따라 형성된 이웃하는 상기 기둥(10) 사이 공간(d)으로 상기 파이프 랙 모듈유닛(200)을 위치시키는 제2 단계(S200);
    상기 파이프 랙 모듈유닛(200)을 상기 파이프 랙 모듈유닛(200)이 결합될 상기 상부 결합부(100) 하부로 이동시키는 제3 단계(S300); 및
    상기 파이프 랙 모듈유닛(200)을 리프팅 하여 상기 세로보(120)에 결합시키는 제4 단계(S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랙 구조물의 모듈러 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랙 모듈유닛(200)은
    상기 가로방향(a)을 따라 형성되는 가로 프레임(210);
    상기 세로방향(b)을 따라 형성되는 세로 프레임(220); 및
    상기 가로방향(a)을 따라 연장됨과 아울러 상기 세로 프레임(220)의 상부에 거치되는 파이프(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랙 구조물의 모듈러 시공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또 다른 파이프 랙 분절모듈(200a)에 대하여 상기 제2 단계(S200) 내지 상기 제4 단계(S400)를 실시하되,
    상기 파이프 랙 모듈유닛(200)과 상기 또 다른 파이프 랙 분절모듈(200a)을 접합하는 제5 단계(S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랙 구조물의 모듈러 시공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랙 모듈유닛(200)의 상부에는 상기 세로보(120)와의 결합을 위한 제1 결합부(310)가 형성되며,
    상기 제1 결합부(310)는 상기 세로 프레임(220)의 형성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랙 구조물의 모듈러 시공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보(120)의 하면에는 상기 제1 결합부(310)와의 결합을 위한 제2 결합부(320)가 형성되며,
    상기 제2 결합부(320)는 상기 세로보(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랙 구조물의 모듈러 시공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프레임(220)은 상기 파이프 랙 모듈유닛(200)의 단부에서 소정의 간격(e) 만큼 이격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랙 구조물의 모듈러 시공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10) 및 상기 가로 프레임(210)은 상기 파이프 랙 모듈유닛(200)의 단부까지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랙 구조물의 모듈러 시공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랙 모듈유닛(200)의 타입이 1가지인 경우,
    상기 파이프 랙 모듈유닛(200)의 길이(X)는 이하의 [식 1]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랙 구조물의 모듈러 시공방법.

    [식 1]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10

    X : 상기 파이프 랙 모듈유닛(200)의 길이
    A : 이웃하는 상기 기둥(10) 간의 거리
    B : 상기 기둥(10)의 폭
    C : 시공유격
    D : 이웃하는 상기 제2 결합부(320) 간의 거리
    N : X에 포함되는 D의 개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랙 모듈유닛(200)의 타입이 2가지인 경우,
    상기 파이프 랙 모듈유닛(200)의 길이(X)는 이하의 [식 2]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랙 구조물의 모듈러 시공방법.

    [식 2]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2

    X : 상기 파이프 랙 모듈유닛(200)의 길이
    A : 이웃하는 상기 기둥(10) 간의 거리
    B : 상기 기둥(10)의 폭
    C : 시공유격
    D : 이웃하는 상기 제2 결합부(320) 간의 거리
    N : X에 포함되는 D의 개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따른 파이프 랙 구조물의 모듈러 시공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따른 파이프 랙 구조물의 모듈러 시공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KR1020180134525A 2018-11-05 2018-11-05 파이프 랙 구조물의 모듈러 시공방법 KR102135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4525A KR102135343B1 (ko) 2018-11-05 2018-11-05 파이프 랙 구조물의 모듈러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4525A KR102135343B1 (ko) 2018-11-05 2018-11-05 파이프 랙 구조물의 모듈러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1313A true KR20200051313A (ko) 2020-05-13
KR102135343B1 KR102135343B1 (ko) 2020-07-17

Family

ID=70729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4525A KR102135343B1 (ko) 2018-11-05 2018-11-05 파이프 랙 구조물의 모듈러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534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5093B1 (ko) 2020-06-04 2021-02-10 성화시스템챤넬(주) 내진성을 강화한 건축구조물의 천정용 랙 모듈러
CN115143320A (zh) * 2022-07-12 2022-10-04 武汉醉渌环保技术有限公司 一种新型水处理设备组合式机架结构及其搭建方法
KR102609015B1 (ko) 2023-01-13 2023-12-06 (주)정도 Hollow-core slab 및 저하중 slab 건축 구조물의 스마트 모듈러 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6000A (ko) 2022-03-17 2023-09-26 삼성물산 주식회사 전자제어식 미세조정 장치를 이용한 모듈랙의 위치 수정 공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9515B1 (ko) * 2018-07-25 2018-09-17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반도체 팹 유틸리티의 모듈 랙 설치구조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9515B1 (ko) * 2018-07-25 2018-09-17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반도체 팹 유틸리티의 모듈 랙 설치구조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5093B1 (ko) 2020-06-04 2021-02-10 성화시스템챤넬(주) 내진성을 강화한 건축구조물의 천정용 랙 모듈러
CN115143320A (zh) * 2022-07-12 2022-10-04 武汉醉渌环保技术有限公司 一种新型水处理设备组合式机架结构及其搭建方法
KR102609015B1 (ko) 2023-01-13 2023-12-06 (주)정도 Hollow-core slab 및 저하중 slab 건축 구조물의 스마트 모듈러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5343B1 (ko) 2020-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5343B1 (ko) 파이프 랙 구조물의 모듈러 시공방법
RU2011115137A (ru) Сооружение, имеющее множество уровней и способ его возведения
CN110306658A (zh) 用于装配式建筑的钢结构装配体系及施工方法
JP6752160B2 (ja) 移動作業車
CN102691420A (zh) 多层大跨度钢桁架安装施工方法
JP2014101659A (ja) 仮設足場及びその組み立て方法
JP6568817B2 (ja) 加熱炉の構築方法
CN110359557B (zh) 一种基于内插板、端板连接梁柱节点的装配式建筑体系
JP5839164B2 (ja) 建屋の建設方法
CN204059208U (zh) 工具式装配钢管立柱结构
CN218059932U (zh) 一种钢锚箱安装机构
CN102839671A (zh) 混凝土支撑钢筋笼预制装配技术及施工方法
KR102125809B1 (ko) 분절모듈을 이용한 파이프 랙 구조물의 모듈러 시공방법
JP2008280165A (ja) 重量物の揚重構造
JP6885888B2 (ja) 足場設置方法及び足場設置構造
JPH11211003A (ja) ボイラとその組立方法
CN206846097U (zh) 一种门刚与框架分装式管道支架结构
Oda Development of automated exterior curtain wall installation system
KR101808296B1 (ko) 해양플랜트용 비계 설치방법
CN104831845A (zh) 一种石材幕墙用龙骨支撑体系单元
JP2020111942A (ja) 仮固定位置決定システム
JP6210768B2 (ja) 構造物
CN214271694U (zh) 一种装配式钢桥面板
CN210067021U (zh) 用于连退、镀锌线炉区模块化安装的钢结构
CN218562890U (zh) 一种应用于井道井字支架的活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