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9807A - 컵부를 갖는 여성 속옷 - Google Patents

컵부를 갖는 여성 속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9807A
KR20200049807A KR1020207008628A KR20207008628A KR20200049807A KR 20200049807 A KR20200049807 A KR 20200049807A KR 1020207008628 A KR1020207008628 A KR 1020207008628A KR 20207008628 A KR20207008628 A KR 20207008628A KR 20200049807 A KR20200049807 A KR 202000498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fabric
lift
bra cup
b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8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8234B1 (ko
Inventor
아키요 히라쿠보
Original Assignee
골드 플래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골드 플래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골드 플래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49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9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8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8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12Component parts
    • A41C3/14Stiffening or bust-forming inserts
    • A41C3/142Stiffening 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0021Brassieres with suspension construction for the breas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0007Brassieres with stay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12Component parts
    • A41C3/14Stiffening or bust-forming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Abstract

[과제] 조형성과 피트감의 향상, 및 비용 절감도 가능한 컵부를 갖는 여성 속옷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컵부를 갖는 여성 속옷(A)은 좌우 한 쌍의 브래지어 컵(1), 컵 피복천(20), 스트랩(30), 배면부(7), 토대천(10), 및 리프트업 천(40)으로 구성되어 있다. 브래지어 컵(1)의 하변(2)이 리프트업 천(40)의 아래 테두리(22)에 봉합되어 있다. 브래지어 컵(1)의 측변(4)과 상변(3)이 컵 피복천(20)에 대하여 비봉합으로 형성되어 있다. 리프트업 천(40)은 브래지어 컵(1)과 컵 피복천(20)과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브래지어 컵(1)의 상단(P3)이 위치하는 코너 부분(9)에는 구멍(6)이 형성되어 있다. 리프트업 천(40)의 삽통 부분(46)이 상기 구멍(6)을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컵부를 갖는 여성 속옷
본 발명은 브래지어나 캐미솔과 같은 컵부(部)를 갖는 여성 속옷에 관한 것이다.
브래지어로 대표되는 컵부를 갖는 여성 속옷은 컵부의 하변에 원호 형상의 와이어를 사용한 것과, 와이어를 사용하지 않은 것의 2종류가 있다. 와이어를 사용하지 않은 컵부를 갖는 여성 속옷을 와이어리스 여성 속옷(혹은, 와이어리스 브래지어)이라고 한다.
와이어리스 여성 속옷(와이어리스 브래지어)은 예를 들어 가슴을 덮기 위한 좌우의 컵부, 컵부의 하변에 필요에 따라서 봉합(縫着)되어 이를 지지하는 토대부,이 토대부로부터 배면측으로 연장되는 등부, 및 컵부에서부터 등부에 걸쳐서 구성된 스트랩 등을 구비하고 있다. 와이어를 사용한 여성 속옷(브래지어)은 컵부의 하변에 원호 형상의 와이어가 삽입되어 있다. 와이어는 컵부의 형상을 와이어의 형태로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성 속옷의 착용자로는, 가슴이 풍만한 사람이나 그렇지 않은 사람, 가슴판이 두꺼운 사람이나 얇은 사람, 어깨폭이 넓은 사람이나 좁은 사람, 어깨가 벌어진 사람이나 어깨가 처진 사람 등이 있어, 가슴 둘레에 관하여 실로 다양한 체형이 있다.
이러한 여성 속옷의 컵부에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주된 기능 중 하나로서는 가슴을 모아서 올림으로써 앞가슴에 아름다운 데콜테를 형성하는, 가슴의 조형성 향상을 들 수 있다. 이것에 더하여 어떤 체형의 사람이 착용해도 컵부가 빈틈없이 딱 맞게 장착되어 가슴을 단단히 잡아주고 있다는 피트감이나, 착용시의 쾌적성(예를 들어, 몸을 좌우로 비틀어도 브래지어 컵이 가슴으로부터 들뜨지 않는, 양팔을 휘둘러도 가슴이 브래지어 컵의 가장자리로부터 비어져 나오지 않는, 양손을 위로 올려도 브래지어가 밀려 올라가지 않는, 양 어깨를 돌려도 스트랩이 어깨에서 내려가 버리지 않는, 점프를 해도 가슴이 크게 흔들리지 않는, 앞으로 구부려도 브래지어의 백 벨트가 올라가지 않는 것) 등 착용감의 향상도 중요한 요소로서 들 수 있다.
특허문헌 1은 여성 속옷의 가슴의 조형성 향상에 대한 발명으로, 이 발명은 가슴을 풍만하게 솟아오르게 하기 위해서 리프트업 천을 사용한 것이다. 이 리프트업 천은 그 상단이 브래지어 컵의 상단 외측의 코너부와 함께 스트랩의 가슴측 단부에 봉합되고, 또한 브래지어 컵의 하변과 함께 그 하변이 토대천의 컵 둘레변에 각각 봉합되고, 스트랩의 가슴측 단부와 토대천의 컵 둘레변과의 사이에 비스듬하게 걸처져 있다.
이 리프트업 천의 브래지어 컵에 대한 피복 영역은, 브래지어 컵의 외면에 있어서, 그 하측 부분으로부터 외측 측면 부분에 걸친 영역으로, 이 범위를 일면적으로 덮는다.
이로써 착용시에는, 스트랩의 당김으로, 리프트업 천에 의해, 브래지어 컵에 수납된 가슴의 겨드랑이측 부분에서 하부를 그 팽출에 맞춰서 전체적으로 내측으로 모아서 위쪽으로 들어 올릴 수 있고, 앞 중심측으로 가슴을 모아서 아름다운 데콜테를 앞가슴에 형성하는 효과가 있다고 한다.
특허문헌 2는 가슴으로의 피트감이나, 착용시의 쾌적성 등 여성 속옷의 착용감 향상에 착안한 발명이다. 이 발명은 좌우의 브래지어 컵과 이것을 위에서부터 덮는 표측(表側)천으로 구성되어 있다. 브래지어 컵의 하변은 토대부의 컵 둘레변에 표측천과 함께 봉합되고, 표측천의 상단만이 스트랩의 가슴측의 단부가 봉합되어 있다. 브래지어 컵의 상변이 표측천에 대하여 비봉합으로 되어 있다. 즉, 브래지어 컵의 하변 이외에는 표측천에 대하여 자유롭게 되어 있다. 이러한 브래지어를 프리 컵 브래지어라고 한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5-212437호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6-69763호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브래지어는 리프트업 천의 상단이 브래지어 컵의 상단과 함께 스트랩의 가슴측 단부에 봉합되어 있다. 스트랩에 브래지어 컵이 봉합되어 있는 경우, 브래지어 컵의 위치는 스트랩에 의해 정해지고, 착용자의 체형에 대하여 적용성이 부족하다. 예를 들어, 보통의 어깨폭인 사람에게 적합한 브래지어 컵을 어깨폭이 넓은 사람이 착용한 경우, 어깨폭에 맞춰서 좌우의 스트랩의 간격이 넓어져, 스트랩에 봉합된 브래지어 컵이 외측으로 끌어당겨지게 된다. 그렇게 하면, 가슴의 위치에서 브래지어 컵이 밖으로 벗어나, 딱 맞게 장착되지 않아 피트성이 나빠진다.
이 상태에서 몸을 움직이면, 브래지어 컵과 리프트업 천이 스트랩의 움직임에 맞춰서 이동하게 된다.
또한, 가슴을 젖히거나, 팔을 올림으로써 스트랩이 끌어 올려지면, 스트랩이 끌어당겨져서 브래지어 컵이 필요 이상으로 들어 올려져, 그 하변이 가슴의 바지스 라인으로부터 벗어나는 경우도 있었다.
이것에 대하여 인용문헌 2의 프리 컵 브래지어는 상기와 같이 브래지어 컵의 상변이 표측천에 대하여 비봉합 상태로 자유롭게 되어 있기 때문에, 브래지어 컵의 상부는 스트랩에 그 상단이 봉합된 표측천의 움직임에 구속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가슴을 덮을 수 있다.
그러나, 브래지어 컵의 상변이 표측천에 대하여 자유로워지고, 하변만이 봉합되어서 고정되어 있으므로, 표측천이 브래지어 컵을 위에서 누르고 있지만, 하변만 봉합된, 흡사 캔틸레버 지지가 되어 상변은 구속되지 않고 불안정하다. 그리고, 몸을 크게 비틀거나 옆으로 구부리거나 하면 동작 중에 브래지어 컵이 변형되어 가슴이 상변으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경우가 있다. 특히, 가슴이 풍만한 경우, 이 경향이 현저했다.
그 외, 상기와 같이 여성 속옷의 착용자의 체형이나 가슴 크기는 실로 다양하며, 수요자의 체형에 맞춰서 S, M, L, LL, 나아가서는 3L와 같은 사이즈와, 이들 각각에 대하여 가슴의 크기에 맞춰서 A 내지 I라는 컵 크기가 정해져 있다.
와이어를 사용한 브래지어 컵은 와이어의 보형력에 의해 브래지어 컵의 하변의 형상이 와이어의 형태로 유지된다. 상기와 같이 가슴의 크기는 크고 작음이 다양해서, 와이어가 가슴에 맞지 않으면 착용자에게 고통을 주거나, 브래지어 컵과 가슴과의 사이에 틈이 발생하여 피트성이 나빠진다.
그 결과, 와이어를 사용한 브래지어 컵은 가슴의 크기에 따라서 세세하게 브래지어 컵의 형태를 나눌 필요가 있어, 제조 업체측으로서는 품종이 증가하게 된다. 이것은 비용 상승으로 이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예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조형성 및 피트감의 향상은 물론이고, 제품의 종류도 대폭 억제할 수 있어 비용 절감이 가능한 컵부를 갖는 여성 속옷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의 컵부를 갖는 여성 속옷(A)은,
아래 방향으로 만곡된 하변(2)과, 상기 하변(2)의 겨드랑이측 단부(P1)에서 상변(3)을 향해서 솟아오른 측변(4)과, 상기 하변(2)의 앞가슴측 단부(P2)에서 상기 측변(4)의 상단(P3)에 이르는 상변(3)을 갖고, 가슴(B)을 수납하도록 구성된 좌우 한 쌍의 브래지어 컵(1)과,
상기 브래지어 컵(1)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브래지어 컵(1)을 그 표면측에서 덮도록 배치되고, 상기 브래지어 컵(1)의 겨드랑이측 단부(P1)에서 앞가슴측 단부(P2)에 이르는 하변(2)이 그 아래 테두리(22)에 봉합되고, 상기 브래지어 컵(1)의 측변(4)과 상변(3)이 비봉합으로 형성되어 있는 컵 피복천(20)과,
상기 브래지어 컵(1)의 하변(2)과 컵 피복천(20)의 아래 테두리(22)가 봉합된 토대천(10)과,
상기 토대천(10)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착용자의 배면(背面)을 덮도록 형성된 배면부(7)와,
컵 피복천(20)에서 배면부(7)에 이르는 스트랩(30)과,
상기 브래지어 컵(1)과 컵 피복천(20)과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형성되고, 그 하변(42)은 브래지어 컵(1)의 하변(2)에 봉합되고, 그 상단변(45)이 스트랩(30)에 접속되어, 브래지어 컵(1)의 하부를 치켜 올리도록 구성된 리프트업 천(40)으로 구성되어 있는 여성 속옷(A)으로서,
상기 브래지어 컵(1)의 상단(P3)이 위치하는 코너 부분(9)에는 구멍(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리프트업 천(40)의 상단변(45)에 이르는 띠 형상의 삽통 부분(46)이 상기 코너 부분(9)의 앞측으로부터 뒷측을 향해서 상기 구멍(6)에 삽통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의 여성 속옷(A)에 있어서,
코너 부분(9)에 천공된 상기 구멍(6)은 상기 삽통 부분(46)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직교 또는 직교에 가까운 각도)으로 슬릿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의 여성 속옷(A)에 있어서,
삽통 부분(46)의 폭(46w)보다 구멍(6)의 길이 방향의 폭(슬릿폭)(6w)쪽이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여성 속옷(A)에 있어서,
리프트업 천(40)의 하변(42)의 일부를 브래지어 컵(1)의 하변(2)에 대하여 비봉합으로 한 비봉합 부분(42a)으로 하고, 상기 비봉합 부분(42a)의 양측의 부분을 브래지어 컵(1)의 하변(2)에 봉합되는 봉합 부분(42b·42c)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4에 기재된 여성 속옷(A)에 있어서,
비봉합 부분(42a)을, 브래지어 컵(1)의 하변(2)의 최하점(P)에 일치하는 점(Q)을 포함하는 부분에, 또는 상기 점(Q)에 인접하는 부분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은, 청구항 4 또는 5에 기재된 여성 속옷(A)에 있어서,
비봉합 부분(42a)의 비봉합폭은 앞가슴측 봉합 부분(42c)의 봉합폭과 동일하고, 겨드랑이측 봉합 부분(42b)의 봉합폭은 비봉합 부분(42a)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은,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여성 속옷(A)에 있어서,
상기 컵 피복천(20)과 리프트업 천(40)과의 사이, 또는 리프트업 천(40)과 상기 브래지어 컵(1)과의 사이에 끼워지고, 또한 양자로 분리되어 서브 리프트업 천(60)이 추가로 구성되고,
서브 리프트업 천(60)의 하변(62)과 측변(64)은 컵 피복천(20)의 아래 테두리(22)와 측변(24)에 각각 봉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은,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여성 속옷(A)에 있어서,
브래지어 컵(1)의 하변(2)에는 와이어가 구성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조형성 및 피트감의 향상은 물론이고, 제품의 종류도 대폭 억제할 수 있어 비용 절감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여성 속옷을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여성 속옷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 그 중앙을 종단면한 도면과 그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컵 피복천을 제거한 도 1의 여성 속옷에 있어서, 스트랩, 리프트업 천 및 브래지어 컵의 이동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여성 속옷의 분해도이다.
도 5는 서브 리프트업 천을 구성한 경우의 중앙 종단면도와 서브 리프트업 천의 위치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여성 속옷의 배면도이다.
도 7은 리프트업 천의 비봉합 부분이 겨드랑이측에 근접한 경우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리프트업 천의 비봉합 부분이 앞가슴측에 근접한 경우의 사시도이다.
도 9는 가슴 크기가 큰 경우의 여성 속옷을 착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가슴 크기가 작은 경우의 여성 속옷을 착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여성 속옷(A)에 대하여 예를 들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여성 속옷(A)에는, 예를 들어, 브래지어 타입의 것, 도시하지 않지만 캐미솔 타입의 것, 기타 브래지어 컵(1)을 갖는 속옷이 모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브래지어를 대표예로 하고, 이하, 동일한 부호 A로 나타낸다. 그 제 1 실시형태의 것으로서 리프트업 천(40)을 사용한 것, 그 제 2 실시형태로서 서브 리프트업 천(60)을 추가하여 사용한 것이 있다.
(제 1 실시형태)
본 발명의 브래지어(A)의 제 1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다. 단, 도 4에 있어서, 서브 리프트업 천(60)은 제 2 실시예에서의 설명에 겸용하기 위해서 가상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브래지어(A)는 좌우 대칭의 브래지어 컵(1), 컵 피복천(20), 리프트업 천(40), 필요에 따라서 사용되는 토대천(10), 배면부(7)(도면의 실시예에서는, 사이드 벨트(11·12)) 및 스트랩(30)으로 구성되어 있다.
브래지어 컵(1)의 형상은 가슴(B)이나 디자인에 따라 다양한 형상, 예를 들어,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조개 껍데기 형상이나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하트형이 있다. 여기에서는 하트형을 대표예로 한다.
브래지어 컵(1)은 가슴(B)을 직접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 표면측에 밥공기 형상으로 팽출되어 있다. 브래지어 컵(1)의 하변(2)은 아래 방향으로 만곡되어, 착용자의 바지스 라인(V)에 따르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변(2)의 최하점을 P로 나타내고, 그 단부를 겨드랑이측 단부(P1), 앞가슴측 단부(P2)로 한다. 브래지어 컵(1)의 측변(4)은 외측에 큰 반경으로 만곡한 호 상태로 형성되고, 하변(2)의 겨드랑이측 단부(P1)에서 상변(3)을 향해서 솟아오른다. 상변(3)은 측변(4)의 상단(P3)과 하변(2)의 앞가슴측 단부(P2)와의 사이의 변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S자 형상의 스네이크 라인을 그리고 있다.
상변(3)은 상변을 3 내지 4등분했을 때, 상단(P3)으로부터 1/3 내지 1/4 떨어진 지점(P4)(앞가슴측 단부(P2)로부터 2/3 내지 3/4의 지점)에서 구부러져서 방향이 변하고, 이 구부러지는 방향이 변하는 부분(변곡 부분)에서, 상단(P3)에서 지점(P4)까지의 짧은 변의 부분이 완만한 상향의 커브를 그리고, 앞가슴측 단부(P2)에서 지점(P4)까지의 긴 변의 부분이 큰 상향의 커브를 그린다. 양쪽의 상향의 커브는 지점(P4)에서 하향의 커브에 매끄럽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하변(2), 상변(3) 및 측변(4)은 원호로 매끄럽게 연결되어 있다(도 4 참조).
또한, 이 브래지어 컵(1)은 설명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하변(2), 상변(3) 및 측변(4)으로 나누어서 설명했지만, 상변(3)과 측변(4)을 연속시켜서 하나의 상변으로 해도 좋다.
그리고, 상기 브래지어 컵(1)의 상단(P3)이 위치하는 부근 부분을 코너 부분(9)으로 한다. 이 코너 부분(9)에는 구멍(6)이 구성되어 있다. 이 구멍(6)은 슬릿 형상으로 형성되고, 구멍(6)의 형성 방향은 브래지어 컵(1)의 측변(4)에 대략 평행, 또한 측변(4)에 근접하여 천공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 슬릿 형상의 구멍(6)에 삽통되는 삽통 부분(46)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직교 또는 직교에 가까운 각도)으로 형성된다.
이 슬릿 형상의 구멍(6)의 길이 방향의 폭(슬릿폭)(6w)은 여기를 통과하는 삽통 부분(46)의 폭(46w)과 같거나, 혹은 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브래지어 컵(1)의 두께는 여러 가지가 있고, 도 9에서는 탑 위치(K)(브래지어 컵(1)의 표면에서 가장 높은 위치)가 가장 두껍고, 둘레 테두리를 향해서 그 두께가 점차 감소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브래지어 컵(1)의 다른 실시예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래지어 컵(1)의 하변(2)에 따른 하반분(下半分)(1d)이 상반분(上半分)(1e)보다 두껍고, 상반분(1e)은 하반분(1d)에서 상변(3)을 향해서 그 두께가 점차 감소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브래지어 컵(1)의 표면측은 전체적으로 완만하게 전방으로 밥공기 형상으로 부풀어 있다. 도 9의 브래지어 컵(1)에 있어서, 이 하반분(1d)에 상당하는 두께를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패드로 보충하도록 해도 좋고, 반대로 도 10의 브래지어 컵(1)의 하반분(1d)의 두꺼운 부분을 패드로 구성해도 좋다.
브래지어 컵(1)의 소재는 도 2의 확대도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층(1b)이 발포재이고, 그 표·이면층(1a·1c)으로서 얇은 직물이 붙여져 있는 3층 구조의 시트상의 발포체 적층 원단(foam-laminated fabric), 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얇은 직물이 표면층에 구성된 2층 구조의 시트상의 발포체 적층 원단(foam-backed fabric)이다. 발포재는 본 실시예에서는 우레탄 수지가 사용되고 있다.
브래지어 컵(1)의 성형에 있어서는, 발포체 적층 원단의 원반(原反)을 적당한 크기로 재단하여, 금형으로 가압 가열 성형하고, 불필요한 부분을 절제하여 예정된 상기의 형상으로 성형한다. 이러한 발포체 적층 원단으로 형성된 브래지어 컵(1)은 유연성과 탄력성을 갖고 있다. 그러나 신장은 리프트업 천(40)에 비해서 적다.
물론, 브래지어 컵(1)의 소재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부직포, 더블 라셀(double Raschel) 등, 기타 공지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컵 피복천(20)은 브래지어 컵(1)의 전체를 덮도록 배치되는 얇은 천으로, 브래지어 컵(1)의 상변(3)과 측변(4)은 컵 피복천(20)에 봉합되지 않고, 브래지어 컵(1)의 하변(2)만이 컵 피복천(20)의 아래 테두리(22)에 봉합되어, 브래지어 컵(1)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브래지어 컵(1)의 하변(2)의 봉합 범위는 상기와 같이 겨드랑이측 단부(P1)에서 앞가슴측 단부(P2)까지의 일부 혹은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전부이다. 컵 피복천(20)의 측변(4)은, 컵 피복천(20)의, 진동 둘레(armhole; 25)의 일부를 구성하는 측변(24)의 내측으로 겨드랑이측 단부(P1)에 일치하는 위치로부터 위 방향으로 솟아올라 있다.
컵 피복천(20)은, 도 4와 같이 1파트로 구성되는 경우와,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2파트로 구성되는 경우가 있다. 2파트로 구성되는 경우, 접합 부분을 봉합하면, 1파트로 구성되는 경우와 동일한 형상이 된다.
1파트로 구성되는 컵 피복천(20)은 브래지어 컵(1)의 외면 형상을 따라 완만한 구면을 그리도록 금형으로 가압 가열 성형한다. 소재로서는, 금형으로 가압 가열 성형이 가능한 것,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섬유, 기타 신축성이 좋은 소재를 사용한 파워 네트와 같은 것, 혹은 레이스 뜨개질된 것이 사용된다. 추가로는 신축성(특히, 도 1에 있어서, 세로 방향 「상변(23)에 평행인 방향」보다 가로 방향 「상변(23)에 직각인 방향」으로 신축성)이 좋은 소재로 구성된 얇은 레이스 원단이 사용된다.
2파트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측 파트와 하측 파트로 구성되고, 소재로서는, 신장이 적고, 금형에 의한 가열 가압 성형이 불가능한 원단이 사용된다. 상측 파트와 하측 파트의 접합 부분을 봉합하여, 브래지어 컵(1)의 외면 형상에 따르도록 표면측으로 불룩한 형상으로 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컵 피복천(20)의 아래 테두리(22)는 바지스 라인(V)에 따른 하향 U형으로, 그 단부를 진동 둘레측 단부(22a), 및 연결 단부(22b)로 한다. 상기 진동 둘레(25)의 일부를 구성하는 변은 진동 둘레측 단부(22a)로부터 위로 솟아올라, 스트랩 접속부(23a)에 이르는 측변(24)이고, 스트랩 접속부(23a)와 연결 단부(22b)와의 사이의 변이 상변(23)이다.
컵 피복천(20)의 아래 테두리(22)는 브래지어 컵(1)의 하변(2)보다 길고, 컵 피복천(20)의 아래 테두리(22)의 진동 둘레측 단부(22a)와 연결 단부(22b)와의 사이에 브래지어 컵(1)의 하변(2)이 봉합되어 있다. 컵 피복천(20)의 아래 테두리(22)에 대한 브래지어 컵(1)의 하변(2)의 봉합 범위는 겨드랑이측 단부(P1)에서 앞가슴측 단부(P2)이다.
컵 피복천(20)은, 도 4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래 테두리(22)에서 스트랩 접속부(23a)를 향해서 비스듬한 위 방향(어깨 방향)으로 늘어나기 쉽고, 그 직각 방향은 상기 비스듬한 위 방향에 비해서 늘어나기 어렵다.
단, 컵 피복천(20)의 가로 세로의 신장은 다음에 서술하는 리프트업 천(40)의 신장보다 작다.
리프트업 천(40)은 브래지어 컵(1)과 컵 피복천(20)과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리프트업 천(40)의 하변(42)은 브래지어 컵(1)의 하변(2)에 맞춰서 형성되어 있다. 리프트업 천(40)의 하변(42)의 앞가슴측 단부(Q2)에서 스트랩(30)측으로 연장된 직선상의 변을 상변(43), 하변(42)의 겨드랑이측 단부(Q1)에서 스트랩(30)측으로 연장된 변을 측변(44)으로 한다. 이 상변(43)과 측변(44)과의 사이의 부분의 끈 형상으로 가늘게 연장된 부분을 삽통 부분(46)으로 하고, 삽통 부분(46)의 상단을 스트랩(30)에 접속하는 상단변(45)으로 한다. 이 삽통 부분(46)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브래지어 컵(1)의 구멍(6)에 삽통된다.
리프트업 천(40)의 소재는 스판덱스 원단이나 파워 네트 원단이고, 여기에서는 리프트업 천(40)은 접힌 이중 천을 사용하고 있고, 그 상변(43)이 접힌 변이고 직선상으로 연장되어 있다(도 4). 측변(44)은 크게 원호 형상으로 파여 있고, 상변(43)의 상부와 측변(44)의 상부 사이의 삽통 부분(46)은 상기와 같이 좁게 띠 형상으로 연장되고, 그 상단변(45)이 스트랩(30)의 가슴측의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접힌 리프트업 천(40)의 재단변은 표리 일체로 봉합되어 있다.
리프트업 천(40)의 하변(42)의 봉합 부분(42b·42c)은 상기와 같이 브래지어 컵(1)의 하변(2)에 맞춰서 형성된다. 그 단부를 각각 상기와 같이 겨드랑이측 단부(Q1), 리프트업 천(40)의 앞가슴측 단부(Q2)로 한다. 그리고 도 4의 실시예에서는, 리프트업 천(40)의 하변(42)의 중앙 부분(브래지어 컵(1)의 최하점(P)에 대응하는 가상 원호 위의 점(Q)을 포함하는 양측의 부분)이 원호 형상으로 파여 있고, 이 부분이 비봉합 부분(42a)이 되고, 그 양측이 겨드랑이측 봉합 부분(42b), 그 반대측이 앞가슴측 봉합 부분(42c)이 된다.
비봉합 부분(42a)의 비봉합폭은, 도 4의 경우, 최하점(P)에 대응하는 점(Q)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펼쳐져 있다. 비봉합 부분(42a)의 비봉합폭은 앞가슴측 봉합 부분(42c)의 폭과 동일한 정도(55mm 내지 65mm)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겨드랑이측 봉합 부분(42b)의 폭은 (8mm 내지 15mm)로 좁고, 비봉합 부분(42a)의 비봉합폭의 15 내지 23%이다.
도 7, 8은 리프트업 천(40)의 하변(42)의 비봉합 부분(42a)의 변형예이고, 비교를 위해서 파선으로 점(Q)을 포함한 양측의 부분이 원호 형상으로 파여 있는 비봉합 부분(42a)을 나타낸다.
도 7의 경우에는, 점(Q)으로부터 겨드랑이측 단부(Q1)(브래지어 컵(1)의 겨드랑이측 단부(P1)에 거의 일치하여 구성되어 있음.)측으로 비봉합 부분(42a)이 형성된 예이다. 가슴(B)의 끌어 올림은 앞가슴측 봉합 부분(42c)이 주로 행하고, 겨드랑이측 봉합 부분(42b)은 겨드랑이측의 가슴(B)을 내측으로 모은다.
도 8의 경우에는, 반대로 점(Q)으로부터 앞가슴측 단부(Q2)측으로 비봉합 부분(42a)이 형성된 예이다. 이 경우에는, 겨드랑이측 단부(Q1)가 점(Q)에 근접하여, 점(Q) 근방을 위로 끌어 올린다.
리프트업 천(40)의 신장 방향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십자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변(43)에 평행한 방향의 신장이 이것에 직각인 방향의 신장보다 크다. 따라서, 착용시에 리프트업 천(40)에 장력이 가해진 경우, 앞가슴측 봉합 부분(42c)에서부터 상단변(45)의 사이에서 큰 장력이 발생하여, 앞가슴측 봉합 부분(42c)으로부터 어깨 방향을 향해서 크게 신장하지만, 겨드랑이측 봉합 부분(42b)으로부터 상단변(45) 방향의 신장은 적고, 이 부분의 가슴(B)은 효과적으로 앞가슴측(내측)으로 모아진다.
도 7과 같이 앞가슴측 봉합 부분(42c)이 커지면, 앞가슴측 봉합 부분(42c)이 가슴을 치켜 올리는 범위가 넓어지고, 도 8과 같이 겨드랑이측 봉합 부분(42b)이 커지면, 겨드랑이측 봉합 부분(42b)도 가슴 모으기 효과가 높아진다.
그리고, 상기 비봉합 부분(42a)에는 리프트업 천(40)의 장력이 가해지지 않으므로, 이 부분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슴(B)의 밀려 올라감이 억제된다.
또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비봉합 부분(42a)을 구성하지 않고, 리프트업 천(40)의 하변(42) 전체를 브래지어 컵(1)의 하변(2)에 맞춰서 재단하고, 상기 하변(42) 전체를 브래지어 컵(1)의 하변(2)에 봉합해도 좋다.
여성 속옷(A)의 앞면부(5)가 되는 토대천(10)은 필요에 따라서 구성된다. 여기에서는 토대천(10)을 사용하는 경우를 대표예로 한다. 토대천(10)은, 예를 들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호 형상으로 W형으로 도려낸 컵 둘레변(13)이 좌우에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여성 속옷(A)의 배면부(7)가 되는 사이드 벨트(11·12)는 토대천(10)(혹은,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컵 피복천(20))으로부터 좌우로 연장되어 있다.
컵 둘레변(13)에는 좌우의 컵 피복천(20)의 아래 테두리(22), 리프트업 천(40)의 하변(42)의 봉합 부분(42b·42c), 브래지어 컵(1)의 하변(2), 및 비신축성의 테이프(28)가 추가로 포개져서 일체로 되어 봉합되고, W형의 가는 선 형상의 컵 지지부(14)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와이어는 이 부분(컵 지지부(14))에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와이어를 사용했을 때와 같이 컵부의 하변인 컵 지지부(14)의 형상이 일의적으로 정해지지 않고, 와이어 사용시에 비해서 유연성을 갖는다. 단, 컵 지지부(14)는 두껍고 유연하게 구부러지지만 길이 방향의 신축성은 없다. 착용시, 가슴(B)의 바지스 라인(V)에 소프트하게 접하게 된다. 컵 지지부(14)에서의 리프트업 천(40)의 장력은 상기와 같이 리프트업 천(40)의 봉합 부분(42b·42c) 부분에 발생한다.
도면의 실시형태에서는 토대천(10)과 사이드 벨트(11·12)는 천, 또는 레이스천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쪽의 사이드 벨트(11)의 단부에는 수측인 계지 부재(11a), 다른 쪽의 사이드 벨트(12)의 단부에는 암측인 피계지 부재(12a)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토대천(10) 및 사이드 벨트(11·12)는, 도 4의 십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로 방향보다 세로 방향쪽이 탄성을 가져 신축성이 좋다.
토대천(10)을 구성하지 않은 경우에는(도시하지 않음), 브래지어 컵(1)의 연결 단부(22b)가 직접 접속되고, 브래지어 컵(1)의 하변(2)에 비신축성의 테이프(28)를 포개서 봉합하여 강도를 높이도록 한다. 그리고, 여성 속옷(A)의 배면부(7)가 되는 사이드 벨트(11·12)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컵 피복천(20)의 아래 테두리(22)(특히, 상기 아래 테두리(22)에 있어서, 브래지어 컵(1)의 최하점(P)에 상당하는 위치에서 겨드랑이측 단부(P1)에 상당하는 위치)로부터 좌우로 연장되어 있다.
컵 연결천(50)은 좌우의 브래지어 컵(1)의 상변(3)의 앞가슴측 단부(P2)의 근방 부분(대향 부분)(8)을 연결하는 천이다. 컵 연결천(50)은 파워 네트와 같은 신축성이 좋은 천을 2번 접은 것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컵 연결천(50)은, 좌우의 브래지어 컵(1)의 연결 방향의 늘어남이 이것에 직교하는 방향보다 크고, 또한 탄성과 수반하여 잘 늘어난다. 컵 연결천(50)의 양 측변은 상기와 같이 앞가슴측 단부(P2)의 근방 부분(8)에 봉합되고, 추가로 컵 연결천(50)의 하변은 토대천(10)의 좌우의 컵 둘레변(13)의 사이의 산형(山形) 부분(52)을 포함하는 그 양측 부분에 있어서, W형의 가는 선 형상의 컵 지지부(14)에 봉합되어 있다.
컵 연결천(50)은 좌우의 브래지어 컵(1)끼리를 접속하는 것이므로, 브래지어 컵(1)의 사이에서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컵 피복천(20)의 형상 및 구조, 부착 위치를 고려하여 컵 연결천(50)을 숨기도록 했다.
즉, 좌우의 컵 연결천(50)의 연결 단부(22b)는 반대측의 브래지어 컵(1)의 하변(2)까지 연장되고, 연결 단부(22b)의 위에서 이것을 숨기도록 상하로 포개져 있다.
상기 토대천(10)에 그 하변(42)의 봉합 부분(42b·42c)이 봉합된 리프트업 천(40)의 삽통 부분(46)은 그 내측에 포개진 브래지어 컵(1)의 표면 하부를 덮고, 슬릿 형상의 구멍(6)을 위에서부터 배면측으로 삽통하고, 그 상단변(45)이 스트랩(30)의 일단(가슴측의 단부)에 컵 피복천(20)의 스트랩 접속부(23a)와 함께 접속된다.
스트랩(30)의 타단(등측의 단부)은 사이드 벨트(11(12))의 상변 중앙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리프트업 천(40)의 삽통 부분(46)의 폭(46w)은 상기와 같이 슬릿 형상의 구멍(6)의 슬릿 개구폭(6w)과 같거나 또는 작게 형성되어 있다. 후자의 경우, 슬릿 폭(6w)이 삽통 부분(46)의 폭(46w)과 동일한 경우에 비해 접촉 저항이 보다 줄어들 기 때문에, 삽통 부분(46)의 길이 방향의 슬릿 형상의 구멍(6)에 대한 이동이 동일한 경우 보다 용이해진다. 추가로, 슬릿 개구폭(6w)이 삽통 부분(46)의 폭(46w)에 비해 크기 때문에, 슬릿 방향으로 삽통 부분(46)의 가동 범위가 증가하고, 착용자의 체형에 맞춰서 스트랩(30)의 위치가 어긋났다 하더라도(예를 들면, 어깨폭이 넓은 경우, 좌우의 스트랩(30)의 간격은 넓어지고, 반대에서는 좁아진다.) 이 여유 범위에서 이 어긋남량을 흡수하여, 항상, 브래지어 컵(1)을 가슴(B) 위치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리프트업 천(40)의 상변(43)은,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브래지어 컵(1)의 탑 위치(K)와 일치하는 부분, 혹은 그 상하 근방 부분을 지난다.
다음으로, 여성 속옷(A)을 착용한 경우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여성 속옷(A)을 착용하면, 계지 부재(11a)와 피계지 부재(12a)로 연결된 사이드 벨트(11·12)에 의해 토대천(10)이 신장하여 착용자의 몸통 둘레를 가볍게 조이고, 스트랩(30)이 컵 피복천(20) 및 리프트업 천(40)을 화살표(도 1 참조)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깨 방향으로 치켜 올린다.
컵 지지부(14)는 양 가슴(B)의 바지스 라인(V)에 각각 들어가, 가슴(B)을 아래에서부터 지탱한다. 컵 지지부(14)에는 와이어가 들어 있지 않기 때문에, 늘어남은 없지만 가슴(B)의 대소, 혹은 바지스 라인(V)의 형상에 맞춰서 컵 지지부(14)가 유연하게 변형되어 바지스 라인(V)에 부드럽게 닿는다.
그리고, 브래지어 컵(1)의 하변(2) 전체와 컵 피복천(20)의 아래 테두리(22)가 상기와 같이 봉합되어 있지만, 리프트업 천(40)의 하변(42)에는 그 최하점(Q)(브래지어 컵(1)의 최하점(P)에 일치하는 점)을 포함하는 부분이 비봉합 부분(42a)이 되고, 그 양측이 봉합 부분(42b·42c)으로 되어 있으므로, 브래지어 컵(1)은 상기 봉합 부분(42b·42c)에서 치켜 올려지고, 컵 지지부(14)의, 상기 비봉합 부분(42a)에 일치하는 부분에 가슴(B)의 대응 부분(하부 중앙 부분)이 약간이지만 들어간다.
또한, 브래지어 컵(1)은 리프트업 천(40)의 삽통 부분(46)이 브래지어 컵(1)의 코너 부분(9)에 구성한 슬릿 형상의 구멍(6)에 표면측에서 이면측으로 삽통되어 있다. 그리고, 이 삽통 부분(46)은 어느 정도의 범위에서 상기 슬릿 형상의 구멍(6)을 용이하게 그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 삽통 부분(46)은, 슬릿 형상의 구멍(6)을 통과하는 부분은 슬릿 형상의 구멍(6)보다 좁지만,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슬릿 형상의 구멍(6)보다 약간 아래의 부분(예를 들면, 슬릿 형상의 구멍(6)보다 10mm 정도 하변(42)측으로 내려간 위치)에서는 그 폭이 급증하여, 슬릿 형상의 구멍(6)의 슬릿폭(6w)을 초과한다. 이로써, 브래지어 컵(1)의 삽통 부분(46)의 길이 방향으로의 무제한적인 이동은 억제된다.
이러한 브래지어 컵(1)과 리프트업 천(40)과의 관계에 있어서, 삽통 부분(46)의 폭 방향(구멍(6)의 슬릿 방향)에서는, 스트랩(30)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슬릿 형상의 구멍(6)의 구멍 테두리에 삽통 부분(46)이 걸리므로, 브래지어 컵(1)도 계합 후의 이동량만큼 함께 이동하게 된다. 환언하면, 브래지어 컵(1)의 상변(3)과 측변(4)은 삽통 부분(46)의 삽통에 의해 수평 방향의 어떠한 범위의 여유를 갖고 구속된다. 즉, 브래지어 컵(1)의 상변(3) 및 측변(4)은 완전히 자유롭지 않고, 어떠한 범위의 여유를 갖고 리프트업 천(40)에 구속되어, 불안정함이 해소된다.
이 브래지어(A)를 착용하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래지어 컵(1)에 대하여 가슴(B)이 큰 경우, 가슴(B)을 수납한 브래지어 컵(1)이 풍만한 가슴(B)에 밀려서 그 하변(2)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쓰러진다. 이때, 리프트업 천(40)의 삽통 부분(46)을 브래지어 컵(1)의 슬릿 형상의 구멍(6)이 원활하게 아래로 이동하여 가슴(B)을 감싼다.
이에 대해서, 브래지어 컵(1)에 대하여 가슴(B)이 작은 경우, 브래지어 컵(1)을 위에서 덮는 컵 피복천(20)의 장력에 의해 브래지어 컵(1)이 그 하변(2)을 중심으로 올라간다. 이때, 리프트업 천(40)의 삽통 부분(46)을 브래지어 컵(1)의 슬릿 형상의 구멍(6)이 원활하게 위로 이동하여 가슴(B)을 감싼다.
이 브래지어 컵(1)의 상기 기도(起倒)는 스트랩(30)에 접속되고, 브래지어 컵(1) 전체를 그 표면측에서 감싸는 컵 피복천(20)에 의해 행해진다.
또한, 도 10과 같이 브래지어 컵(1)의 하반분(1d)을 두껍게 해두면(혹은, 패드를 삽입하여 두껍게 해두면), 바스트 업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어느 경우에서도, 브래지어 컵(1)은 상기 기도에 의해 가슴(B)의 크고 작음에 대하여 어느 정도의 여유를 갖고 대응할 수 있는 것, 컵 지지부(14)에 와이어를 삽입하지 않은 와이어리스이므로, 어떠한 컵 크기로 그 전후의 컵 크기를 커버할 수 있고, 그러므로, 와이어를 사용한 종래예에 비하여 컵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다음으로 이 여성 속옷(A)을 착용한 사람이 움직이거나, 몸을 비틀거나, 기지개를 켠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여성 속옷(A)을 착용한 사람이 동작한 경우, 스트랩(30)에 의해 리프트업 천(40)이 위쪽으로 끌어 당겨진다. 리프트업 천(40)의 2곳의 봉합 부분(42b·42c)에 의해 브래지어 컵(1)의 하부가 위쪽으로 끌어 당겨진다. 봉합 부분(42b·42c) 사이의 비봉합 부분(42a)에 있어서, 컵 지지부(14)가 상기와 같이 비봉합 부분(42a)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가슴(B)의 바지스 라인(V)에 계지하기 때문에, 브래지어 컵(1)의 밀려 올라감이 방지된다. 이로써 높은 피트감을 얻을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으로, 서브 리프트업 천(60)을 사용한 제 2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서브 리프트업 천(60)은, 도 4에 가상선(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서 구성되는 것이다. 서브 리프트업 천(60)은 정면에서 보아, 반달 형상의 파트로, 리프트업 천(40)과 동일한 소재로 그 상변(63)에서 되접어 꺾인 이중천이 사용되고 있다. 서브 리프트업 천(60)의 하변(62)은 브래지어 컵(1)의 하변(2)과 함께 봉합되고, 컵 지지부(14)의 일부가 된다. 서브 리프트업 천(60)의 겨드랑이 둘레 구성변(64)은 브래지어 컵(1)의 측변(4)에 봉합되고, 상변(63)은 자유롭다.
서브 리프트업 천(60)은, 도 5의 원형으로 나타내는 단면에서 알 수 있듯이, 컵 피복천(20)과 리프트업 천(40)과의 사이, 또는 리프트업 천(40)과 브래지어 컵(1)과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서브 리프트업 천(60)은 컵 피복천(20)과 리프트업 천(40), 또는 리프트업 천(40)과 브래지어 컵(1)에 대하여 분리되어 구성되어 있다.
서브 리프트업 천(60)의 앞가슴측 단부(62P2)는 리프트업 천(40)의 비봉합 부분(42a)의 앞가슴측 단부에 일치하고 있다(도 6). 이로써, 서브 리프트업 천(60)은 리프트업 천(40)의 비봉합 부분(42a)에서 폭이 좁은 겨드랑이측 봉합 부분(42b)을 덮게 되어, 리프트업 천(40)의 비봉합 부분(42a)에서 폭이 좁은 겨드랑이측 봉합 부분(42b)을 보강하게 된다.
A: 여성 속옷, B: 가슴, K: 탑 위치, P: 최하점, P1: 겨드랑이측 단부, P2: 앞가슴측 단부, P3: 측변의 상단, P4: 측변의 상단으로부터 1/3에서 1/4의 지점, Q: 리프트업 편의 최하점, Q1: 리프트업 천의 겨드랑이측 단부, Q2: 리프트업 천의 앞가슴측 단부, V: 바지스 라인,
1: 브래지어 컵, 1a: 표면층, 1b: 중층, 1c: 이면층, 1d: 하반분, 1e: 상반분, 2: 하변, 3: 상변, 4: 측변, 5: 앞면부, 6: 구멍, 6w: 구멍의 길이 방향의 폭(슬릿폭), 7: 배면부, 8: 브래지어 컵의 앞가슴측 단부의 근방 부분, 9: 브래지어 컵의 코너 부분, 10: 토대천, 11·12: 사이드 벨트, 11a: 계지 부재, 12a: 피계지 부재, 13: 컵 둘레변, 14: 컵 지지부, 20: 컵 피복천, 22: 아래 테두리, 22a: 진동 둘레측 단부, 22b: 연결 단부, 23: 컵 피복천의 상변, 23a: 스트랩 접속부, 24: 측변, 25: 진동 둘레, 28: 테이프, 30: 스트랩, 40: 리프트업 천, 42: 리프트업 천의 하변, 42a: 비봉합 부분, 42b: 겨드랑이측 봉합 부분, 42c: 앞가슴측 봉합 부분, 43: 리프트업 천의 상변, 44: 리프트업 천의 측변, 45: 상단변, 46: 삽통 부분, 46w: 삽통 부분의 폭, 50: 컵 연결천, 52: 산형 부분, 60: 서브 리프트업 천, 62: 서브 리프트업 천의 하변, 62P2: 앞가슴측 단부, 63: 상변, 64: 겨드랑이 둘레 구성변.

Claims (8)

  1. 아래 방향으로 만곡된 하변과, 상기 하변의 겨드랑이측 단부에서 상변을 향해서 솟아오른 측변과, 상기 하변의 앞가슴측 단부에서 상기 측변의 상단에 이르는 상변을 갖고, 가슴을 수납하도록 구성된 좌우 한 쌍의 브래지어 컵과,
    상기 브래지어 컵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브래지어 컵을 그 표면측에서 덮도록 배치되고, 상기 브래지어 컵의 겨드랑이측 단부에서 앞가슴측 단부에 이르는 하변이 그 아래 테두리에 봉합되고, 상기 브래지어 컵의 측변과 상변이 비봉합으로 형성되어 있는 컵 피복천과,
    상기 브래지어 컵의 하변과 컵 피복천의 아래 테두리가 봉합된 토대천과,
    상기 토대천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착용자의 배면을 덮도록 형성된 배면부와,
    상기 컵 피복천에서 상기 배면부에 이르는 스트랩과,
    상기 브래지어 컵과 컵 피복천과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형성되고, 그 하변은 브래지어 컵의 하변에 봉합되고, 그 상단변이 스트랩에 접속되어, 브래지어 컵의 하부를 치켜 올리도록 구성된 리프트업 천으로 구성되어 있는 여성 속옷으로서,
    상기 브래지어 컵의 상단이 위치하는 코너 부분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리프트업 천의 상단변에 이르는 띠 형상의 삽통 부분이 상기 코너 부분의 앞측으로부터 뒷측을 향해서 상기 구멍에 삽통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부를 갖는 여성 속옷.
  2. 제 1 항에 있어서, 코너 부분에 천공된 구멍은 삽통 부분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슬릿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 속옷.
  3. 제 2 항에 있어서, 삽통 부분의 폭보다 구멍의 길이 방향의 폭쪽이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 속옷.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리프트업 천의 하변의 일부를 브래지어 컵의 하변에 대하여 비봉합으로 한 비봉합 부분으로 하고, 상기 비봉합 부분의 양측의 부분을 브래지어 컵의 하변에 봉합되는 봉합 부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 속옷.
  5. 제 4 항에 있어서, 비봉합 부분을, 브래지어 컵의 하변의 최하점에 일치하는 점을 포함하는 부분에, 또는 상기 점에 인접하는 부분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 속옷.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비봉합 부분의 비봉합폭은 앞가슴측 봉합 부분의 봉합폭과 동일하고, 겨드랑이측 봉합 부분의 봉합폭은 비봉합 부분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 속옷.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컵 피복천과 리프트업 천과의 사이, 또는 리프트업 천과 상기 브래지어 컵과의 사이에 끼워지고, 또한 양자로 분리되어 서브 리프트업 천이 추가로 형성되고,
    서브 리프트업 천의 하변과 측변은 컵 피복천의 하변과 측변에 각각 봉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 속옷.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브래지어 컵의 하변에는 와이어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 속옷.
KR1020207008628A 2018-05-24 2018-05-24 컵부를 갖는 여성 속옷 KR1021282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8/019920 WO2019224965A1 (ja) 2018-05-24 2018-05-24 カップ部を有する婦人下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9807A true KR20200049807A (ko) 2020-05-08
KR102128234B1 KR102128234B1 (ko) 2020-06-30

Family

ID=64899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8628A KR102128234B1 (ko) 2018-05-24 2018-05-24 컵부를 갖는 여성 속옷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856586B2 (ko)
EP (1) EP3763232B1 (ko)
JP (1) JP6446605B1 (ko)
KR (1) KR102128234B1 (ko)
CN (1) CN111163657B (ko)
CA (1) CA3098106C (ko)
TW (1) TWI686146B (ko)
WO (1) WO20192249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41214A (zh) * 2019-10-30 2022-06-17 株式会社华歌尔 具有罩杯部的衣服
US20210169152A1 (en) * 2019-12-10 2021-06-10 Sambhu N. Choudhury Configurable support bra
US11771146B2 (en) * 2020-08-28 2023-10-03 Helena Gallegos O'Neill Brassiere adapted to prevent undesired movement when worn
CN213785405U (zh) * 2020-09-17 2021-07-27 上海咏姿时装有限公司 内衣
USD980580S1 (en) * 2021-03-09 2023-03-14 Rivka Menczer Bra
US20240049807A1 (en) * 2022-08-10 2024-02-15 Samantha Ben Double padded bra
GB2624408A (en) * 2022-11-16 2024-05-22 Clyne Esther Garment
JP7474014B1 (ja) 2023-11-24 2024-04-24 ゴールドフラッグ株式会社 カップ部を有する婦人下着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8909A (ja) * 1994-03-29 1995-10-24 Wacoal Corp 乳房カップを有する女性用衣類
KR20060057556A (ko) * 2006-04-27 2006-05-26 우영구 기능성 브래지어
KR20060083975A (ko) * 2004-11-08 2006-07-21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르 컵이 부착된 여성용 의류
US20140349550A1 (en) * 2009-06-10 2014-11-27 Sheila K. Campbell Adjustable breast support garment
JP3195448U (ja) * 2014-11-01 2015-01-22 株式会社ランドマーク カップ部を有する衣類
JP2015212437A (ja) 2014-05-01 2015-11-26 株式会社ワコール カップ部を有する衣類
JP2016069763A (ja) 2014-09-30 2016-05-09 株式会社ワコール カップ部付き衣類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34294A (en) * 1937-11-18 1938-10-25 G M Poix Inc Brassiere
US2592792A (en) * 1948-01-31 1952-04-15 Frank A Cohen Brassiere
US2523715A (en) * 1948-03-24 1950-09-26 Panes Isidore Brassiere
US2632168A (en) * 1951-02-07 1953-03-24 Kaufman Sarah Brassiere
US2842137A (en) * 1956-06-22 1958-07-08 Victor I Becker Brassieres
JP3195448B2 (ja) 1992-10-21 2001-08-06 株式会社ソフィア 遊技機
JP3686812B2 (ja) * 2000-03-09 2005-08-24 株式会社ワコール カップ部を有する衣類
JP4359180B2 (ja) * 2004-04-19 2009-11-04 株式会社ランブール 乳房カップ付女性用衣類
US7628675B2 (en) * 2005-04-05 2009-12-08 Nike, Inc. Garment with internal bra
FR2896131B1 (fr) * 2006-01-16 2008-04-18 Promiles Sa Sous-vetement feminin, notamment soutien-gorge, pour la pratique sportive
JP5402165B2 (ja) * 2009-03-31 2014-01-29 株式会社ワコール カップ部を有する衣類
US8500513B2 (en) * 2009-06-10 2013-08-06 Sheila Kay Campbell Adjustable breast support garment
US8545287B2 (en) * 2009-06-10 2013-10-01 Sheila Kay Campbell Adjustable breast support garment
US8690634B2 (en) * 2010-11-12 2014-04-08 Sturdy Girl Sports, LLC Internal support structure for an athletic support bra, and associated method of fabrication
JP6171491B2 (ja) * 2013-03-29 2017-08-02 株式会社ワコール カップ部を有する衣類
US9480287B2 (en) * 2013-08-21 2016-11-01 Hbi Branded Apparel Enterprises, Llc Athletic bra
DE202015003607U1 (de) * 2015-05-18 2015-06-16 Edelweiss Basics Gmbh & Co.Kg Büstenhalter mit kaschierendem Element
CN205358264U (zh) * 2016-02-02 2016-07-06 台湾奥黛莉股份有限公司 双效手捧弦月片的胸罩结构
TWM533877U (en) * 2016-08-05 2016-12-21 Sincerity Foundation Mfg Co Ltd Bra structure with buffering and stress releasing side push sheets
CN206791686U (zh) * 2017-05-27 2017-12-26 广州泺聚科技有限公司 一种多层夹棉结构罩杯的文胸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8909A (ja) * 1994-03-29 1995-10-24 Wacoal Corp 乳房カップを有する女性用衣類
KR20060083975A (ko) * 2004-11-08 2006-07-21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르 컵이 부착된 여성용 의류
KR20060057556A (ko) * 2006-04-27 2006-05-26 우영구 기능성 브래지어
US20140349550A1 (en) * 2009-06-10 2014-11-27 Sheila K. Campbell Adjustable breast support garment
JP2015212437A (ja) 2014-05-01 2015-11-26 株式会社ワコール カップ部を有する衣類
JP2016069763A (ja) 2014-09-30 2016-05-09 株式会社ワコール カップ部付き衣類
JP3195448U (ja) * 2014-11-01 2015-01-22 株式会社ランドマーク カップ部を有する衣類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856586B2 (en) 2020-12-08
CN111163657A (zh) 2020-05-15
JPWO2019224965A1 (ja) 2020-06-11
KR102128234B1 (ko) 2020-06-30
US20200281282A1 (en) 2020-09-10
EP3763232A1 (en) 2021-01-13
TW202002821A (zh) 2020-01-16
CA3098106C (en) 2021-12-21
CN111163657B (zh) 2021-04-09
CA3098106A1 (en) 2019-11-28
EP3763232A4 (en) 2021-06-23
JP6446605B1 (ja) 2018-12-26
WO2019224965A1 (ja) 2019-11-28
EP3763232B1 (en) 2022-10-19
TWI686146B (zh) 2020-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8234B1 (ko) 컵부를 갖는 여성 속옷
EP3501312B1 (en) Women's underwear
KR20160124106A (ko) 컵부를 가진 의류
EP3158885A1 (en) Brassiere
JP4806620B2 (ja) カップ付き女性用衣類
JP3210852U (ja) 婦人下着
KR102097938B1 (ko) 여성 속옷
KR100770252B1 (ko) 컵이 부착된 여성용 의류
JP7474014B1 (ja) カップ部を有する婦人下着
JP6209707B2 (ja) 下着
JP7264471B2 (ja) 婦人下着
KR200284003Y1 (ko) 기능성 브래지어
KR20240016759A (ko) 브래지어
JP5222017B2 (ja) カップ付き女性用衣類
JP2018053382A (ja) 衣類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