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3975A - 컵이 부착된 여성용 의류 - Google Patents

컵이 부착된 여성용 의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3975A
KR20060083975A KR1020067005181A KR20067005181A KR20060083975A KR 20060083975 A KR20060083975 A KR 20060083975A KR 1020067005181 A KR1020067005181 A KR 1020067005181A KR 20067005181 A KR20067005181 A KR 20067005181A KR 20060083975 A KR20060083975 A KR 200600839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support member
lower edge
front center
bre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5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0252B1 (ko
Inventor
마사루 아마구치
노리코 마츠나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324207A external-priority patent/JP451059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32421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132045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르
Publication of KR20060083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39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0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0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0021Brassieres with suspension construction for the breas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12Componen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7/00Bathing gowns; Swim-suits, drawers, or trunks; Beach s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Abstract

서포트부재(30)는, 옆측의 상부 가장자리부(30a)가 어깨끈 부재(20)에 꿰매붙여져 있으며, 하부 가장자리부가 컵부(12)의 옆측부분과 앞중심측부분에서 컵 와이어부(14)에 각각 꿰매붙여지고, 이들 사이에 놓여진 중간부분에서 컵 와이어부(14) 및 컵부(12)의 양쪽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서포트부재(30)의 하부 가장자리부의 옆측부분과 컵 와이어부(14)의 옆측부분의 꿰매붙임은, 컵 와이어부(14)의 옆측 끝부로부터 소정거리의 앞까지 계속되어 있으며, 서포트부재(30)의 하부 가장자리부의 앞중심측부분과 컵 와이어부(14)의 앞중심측부분의 꿰매붙임은, 컵 와이어부(14)의 앞중심측 끝부를 지나 컵부(12)의 앞중심측의 상부 가장자리부(12a)까지 계속되어 있다. 컵부(12)의 피부측에는 패드(129)가 부착되어 있으며, 이 하부 가장자리는 볼록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Description

컵이 부착된 여성용 의류{CLOTHES FOR WOMAN WITH CUP}
본 발명은 컵이 부착된 여성용 의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브래지어, 브라캐미솔 등의 파운데이션 의류나 수영복, 레오타드 등의 의류에 관한 것이다.
컵이 부착된 여성용 의류의 대표예인 브래지어에는, 컵의 피부측에 유방을 서포트하기 위한 부재가 설치되는 타입의 것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 기재되어 있는 브래지어에서는, 컵의 피부측에 유방을 서포트하기 위한 안감천이 부착되고, 이것은 컵의 피부면과 분리되도록 되어 있다. 안감천의 하부 가장자리는 컵의 앞중심측의 하부로부터 옆측 끝부에 걸쳐서 연속해서 재봉되고, 안감천의 상단부에는 어깨끈이 부착되어, 이 끌어올리는 힘에 의해 유방을 밑에서부터 들어 올리고 있다.
(특허문헌1) 일본 특허공개 평8-158110호 공보
그러나, 상기의 구조에서는, 어깨끈의 끌어올리는 힘이 컵부에 연결된 토대부 등으로 흩어져서, 안감천에 효율적으로 전해지지 않는다. 이 때문에, 안감천에 의한 유방을 들어 올리는 기능과, 유방의 볼륨을 옆측에서 앞중심측으로 모으는 기능이 불충분하게 되어, 미려하게 앞중심의 상부로 모아주는 느낌이 있는 유방의 실루엣을 조형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유방의 볼륨이 모아지게 들어 올림으로써, 존재감이 있는 상향의 유방을 조형하여, 유방간의 골짜기를 형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컵이 부착된 여성용 의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컵이 부착된 여성용 의류는, 착용상태에 있어서, 좌우 한쌍의 컵부와, 컵부의 하부 가장자리부에 각각 설치된 원호상의 컵 와이어부와, 컵부의 옆측의 상부 가장자리부에 각각 부착된 어깨끈과, 컵부의 피부측에 위치되고, 앞중심측에서 하측을 지나 옆측에 걸쳐서 배치된 신축성을 갖는 서포트부재를 구비하고, 서포트부재의 옆측의 상부 가장자리부는 어깨끈으로 매달려지는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서포트부재의 하부 가장자리부는 컵부의 옆측부분과 앞중심측부분에서 컵 와이어부에 각각 부착되고, 이들 사이에 놓여진 중간부분에서 컵 와이어부 및 컵부의 양쪽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컵부의 피부측에 부착된 서포트부재의 옆측의 상부 가장자리부는 어깨끈에 의해 매달려지는 구조를 이루고 있으므로, 통상의 착용상태에 있어서는, 어깨끈으로부터의 끌어올리는 힘은 직접적으로 서포트부재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서포트부재의 하부 가장자리부는, 컵부의 옆측부분과 앞중심측부분에서 컵 와이어부에 각각 부착되고, 이들 사이에 놓여진 중간부분에서 컵 와이어부 및 컵부의 양쪽으로부터 분리되어 있으므로, 어깨끈에 의한 서포트부재의 끌어올리는 힘은, 서포트부재의 어깨끈에 의한 매달림 위치로부터 컵부의 하부 가장자리부의 앞중심측 하부로 연장되는 방향의 장력과, 어깨끈에 의한 매달림 위치로부터 컵부의 하부 가장자리부의 옆부근 하부로 연장되는 방향의 장력을 발생시키고, 또한 어깨끈의 끌어올리는 힘이 토대부 등으로 흩어지는 일은 없다. 이 때문에, 상기의 2개의 장력은 서로 협동해서, 각각 유방을 자연스러운 둥그스러움으로 앞중심측 상방으로 모아올리는 작용과, 유방을 옆측에서 앞중심방향으로 밀어 모으는 작용을 한다. 이 때문에, 유방의 볼륨이 있는 부분이 무리없이 들어 올려져서, 선명한 골짜기를 앞중심 상부에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컵이 부착된 여성용 의류에 있어서, 서포트부재의 하부 가장자리부의 옆측부분은, 컵 와이어부의 옆측 끝부에 도달할 때까지 컵 와이어부에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렇게 하면, 옆측으로부터 유방을 감싸올리는 작용을 해서, 유방의 볼륨에 대한 「옆에서 모아주기」효과가 높다. 즉, 옆측으로 흩어지는 유방의 볼륨을 옆측에서부터 앞중심측으로 밀어 모아서, 유방에 풍부한 볼륨을 주어, 앞중심에 미려한 골짜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옆에서 모아주기」를 실현함과 아울러 옆부를 조임으로써, 슬림하며 샤프한 옆라인을 만들어 낼 수 있어, 「옆선의 말끔함」의 효과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컵이 부착된 여성용 의류에 있어서, 서포트부재의 하부 가장자리부의 옆측부분은, 컵 와이어부의 옆측 끝부로부터 소정거리의 앞까지 컵 와이어부에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렇게 하면, 옆측의 유방의 볼륨을 밀어 올리는 힘이 강해지므로, 적당한 딱딱함과 팽팽함이 있는 유방에 대해서, 무리없이 옆측의 볼륨을 밀어 올리는 「옆에서 올려주기」작용을 초래해서, 유방에 불룩함을 가지게 해서 앞중심에 자연스러운 상태로 미려한 골짜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컵이 부착된 여성용 의류에 있어서, 서포트부재의 하부 가장자리부의 앞중심측부분은, 컵 와이어부의 앞중심측 끝부에 도달할 때까지 컵 와이어부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서포트부재의 하부 가장자리부는 컵부의 옆측부분과 앞중심측부분 사이에 놓여진 중간부분에서 분리되어 있으므로, 통상의 착용상태에 있어서는, 등쪽의 천의 당기는 힘에 의해 서포트부재의 하부에 작용하는 수평방향(양 옆을 연결하는 방향)의 장력이 증대되고, 또한, 그 상부에 있어서 양 옆을 연결하는 방향의 새로운 장력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서포트부재에는, 어깨끈의 매달림 위치로부터 컵부의 하부 가장자리부의 앞중심측 하부와 옆측 하부의 각각으로 연장되는 2방향의 장력과, 상하의 위치에 있어서 양 옆을 연결하는 방향으로 발생하는 2개의 장력이 서로 어울려서 유방을 완만하게 윗방향으로 들어 올리므로, 착용자에게 부담을 주지 않고 존재감 있는 상향의 유방을 조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컵이 부착된 여성용 의류에 있어서, 서포트부재의 하부 가장자리부의 앞중심측부분은, 컵 와이어부의 앞중심측 끝부를 지나 컵부의 앞중심측의 상부 가장자리부에 도달할 때까지 컵 와이어부 및 컵부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옆측에서 감싸서 모아온 유방의 볼륨을 앞중심측에서 받쳐서, 유방의 볼륨을 옆측과 앞중심측의 양쪽에서 감싸올리게 되므로, 유방에 풍부한 불룩함을 가지게 해서 자연스러운 둥그스러움을 조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컵이 부착된 여성용 의류에 있어서, 서포트부재의 하부 가장자리부 중, 컵 와이어부 및 컵부의 양쪽으로부터 분리된 부분은, 오목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렇게 하면, 유방의 바지스라인 최하점의 근방부분에 유방의 곡면에 피트되는 공간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의류를 통상으로 착용했을 때에, 유방의 바지스라인 최하점 근방부분이 이 공간부에 들어가서 공간부에서 유지되어, 서포트부재는 유방에 밀착하여 피트되게 된다. 이 때문에, 서포트부재는, 유방의 움직임을 추종하면서, 그 움직임을 억제함으로써, 유방의 움직임에 의한 컵부의 흘러내림이나 옆어긋남을 경감시켜, 우수한 유방의 조형 효과를 가져온다.
본 발명에 따른 컵이 부착된 여성용 의류는, 컵부의 톱 근방에 설치되고, 피부측으로 불룩해지는 형상으로 된 패드부를 더 가지며, 패드부는, 그 하부 가장자리가 볼록형상을 이루고, 서포트부재는, 그 상부 가장자리가 패드부의 하부 가장자리형상을 따르는 오목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서포트부재에 의해 톱 근방에 모아진 유방의 볼륨은, 패드부에 밀려짐으로써 앞중심 부근의 상방향으로 시프트되므로, 유방의 골짜기의 조형 효과가 우수하며 착용감도 양호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컵이 부착된 여성용 의류에 있어서, 패드부는, 그 하부 가장자리가 만곡된 볼록형상을 이루고, 서포트부재는, 그 상부 가장자리가 패드부의 하부 가장자리형상을 따르는 만곡된 오목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보다 자연스럽게 골짜기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컵이 부착된 여성용 의류는, 착용상태에 있어서, 좌우 한쌍의 컵부와, 컵부의 하부 가장자리부에 각각 설치된 원호상의 컵 와이어부와, 컵부의 톱 근방에 설치되고, 피부측으로 불룩해지는 형상으로 된 패드부와, 컵부의 옆측의 상부 가장자리부에 각각 부착된 어깨끈과, 컵부의 피부측으로부터 분리되어 배치되고, 그 하부 가장자리부는 적어도 컵부의 옆측부분과 앞중심측부분에서 컵 와이어부에 부착됨과 아울러, 그 옆측의 상부 가장자리부는 어깨끈에 의해 매달려지는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또한, 신축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 서포트부재를 구비하고, 패드부는, 그 하부 가장자리가 볼록형상을 이루고, 서포트부재는, 그 상부 가장자리가 패드부의 하부 가장자리형상을 따르는 오목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컵부의 피부측에 분리되어 부착된 서포트부재의 옆측의 상부 가장자리부는 어깨끈에 의해 매달려지는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통상의 착용상태에 있어서는, 어깨끈으로부터의 끌어 올리는 힘을 직접적으로 서포트부재에 전달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어깨끈의 끌어 올리는 힘에 의해, 서포트부재에는 유방의 볼륨을 그 하부로부터 들어 올리는 장력이 생긴다. 이 장력은, 각각 유방을 자연스러운 둥그스름으로 앞중심측 상방향으로 모아 올리는 작용과 유방을 옆측에서 앞중심 방향으로 모으는 작용을 하므로, 유방의 볼륨은 그 톱 근방으로 모아진다. 여기에서, 컵부의 톱 근방에 설치되어 피부측으로 불룩해지는 형상으로 된 패드부는, 그 하부 가장자리가 볼록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한편, 서포트부재는, 그 상부 가장자리가 패드부의 하부 가장자리형상을 따르는 오목형상을 이루고 있으므로, 서포트부재에 의해 톱 근방에 모아진 유방의 볼륨은, 패드부에 밀려짐으로써 앞중심 부근의 윗쪽으로 시프트된다. 이 때문에, 유방의 앞중심상부에 선명한 골짜기를 형성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유방의 볼륨을 모아 들어 올림으로써, 존재감이 있는 상향의 유방을 조형해서, 유방간의 골짜기를 형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컵이 부착된 여성용 의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제1실시형태에 따른 브래지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제1실시형태에 따른 브래지어의 피부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실시형태에 따른 브래지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실시형태에 따른 브래지어의 작용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5는 제2실시형태에 따른 브래지어의 피부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제3실시형태에 따른 브래지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제3실시형태에 따른 브래지어의 피부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제3실시형태에 따른 브래지어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제3실시형태에 따른 브래지어의 작용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10은 제3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브래지어를 평면에서 본 개념도이다.
도 11은 제3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브래지어를 평면에서 본 개념도이다.
도 12는 제4실시형태에 따른 브래지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3은 제4실시형태에 따른 브래지어의 피부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4실시형태에 따른 브래지어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제4실시형태에 따른 브래지어의 작용을 설명하는 평면 및 측면에서 본 개념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40, 60, 70:브래지어
12:컵부
12a:컵부의 앞중심측의 상부 가장자리부
14:컵 와이어부
20:어깨끈
30, 50:서포트부재
128, 129:패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이며, 컵이 부착된 여성용 의류의 하나인 브래지어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하, 좌우 및 전후 방향은, 컵이 부착된 여성용 의류의 착용자로부터 본 방향이다. 또한 도면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 또는 동등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는 것으로 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 브래지어의 구성은 좌우 대칭이기 때문에, 한쪽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제1실시형태]
도 1은 제1실시형태에 따른 브래지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내듯이, 브래지어(10)는, 앞중심의 좌우 양측에 배치된 한쌍의 컵부(12)(풀 컵)와, 컵부(12)의 하부 가장자리부에 각각 꿰매붙여진 원호상의 컵 와이어부(14)와, 양 컵(12)의 하부 가장자리부에 꿰매붙여져 양 컵부(12)를 연결하는 토대부(16)와, 토대부(16)의 좌우 양단부에 꿰매붙여져 후배부(後背部)로 연장되는 좌우 한쌍의 띠형상의 등 천(18)과, 등 천(18) 각각의 후배측 끝부에 설치되고, 서로 착탈 가능한 훅(22)과, 컵부(12)의 옆측의 상부 가장자리부와 등 천(18)에 꿰매붙여져서 양자간에 걸쳐진 어깨끈(20)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특징으로서, 컵부(12)의 피부측에는, 도 1에 점선으로 나타내듯이, 컵부(12)와 분리되어 배치된 서포트부재(30)가 구비되어 있다. 이 서포트부재(30)의 옆측은, 상방을 향해서 서서히 폭이 좁아지고, 그 상단은 어깨끈(20)의 하단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서포트부재(30)의 하부는 컵부(12)의 옆측의 하부 가장자리로부터 앞중심측의 하부 가장자리까지 일정한 폭을 갖고 넓어져서, 각각의 하부 가장자리에서 컵부(12) 및 컵 와이어부(14)에 꿰매붙여짐 등으로 부착되어 있다. 서포트부재(30)의 상부 가장자리(30a)는 오목형상으로 만곡되어 있으며, 하부 가장자리(30b)에 대해서도 오목형상으로 만곡되어 있고, 이 하부 가장자리(30b)의 만곡부에서는 컵부(12) 및 컵 와이어부(14)의 양쪽에 부착되지 않고 분리되어 있다.
상술한 컵부(12), 컵 와이어부(14) 및 서포트부재(3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2는 제1실시형태에 따른 브래지어(10)를 피부측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있어서의 I-I선을 따라 절단한 좌 측 컵부(12)의 단면을 포함하는 피부측에서의 사시도이다.
컵부(12)는, 유방의 형상에 매치된 보올(bowl)형상을 갖고, 진공성형법, 열 프레스법 등을 이용하여 몰드성형된 것이다. 컵부(12)는, 외측의 컵 표면측 천(122)과 피부측의 컵 이면측의 천(126)을 갖고, 그 사이에 시트상의 심재(124)를 끼워 구성되어 있다. 컵 표면측 천(122) 및 컵 이면측의 천(126)에는 합성섬유나 천연섬유의 직포, 편성포 등의 소재가 이용되고 있으며, 심재(124)에는 부직포, 발포 폴리우레탄과 같은 일정한 두께와 보형성, 탄력성을 갖는 소재가 이용되고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듯이, 컵 선단부, 즉 착용시에 유두에 닿는 위치에는, 패드(128)가 꿰매붙여짐 등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또, 패드(128)는 부직포, 발포 폴리우레탄과 같은 일정한 두께와 보형성, 복원성, 탄력성 또는 탄발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컵 와이어부(14)는 컵부(12)의 피부측의 하부 가장자리부에 꿰매붙여져 있다. 도 3에 나타내듯이, 와이어(142)는 형상기억합금 등의 금속이나 강성이 있는 플라스틱 등으로 성형되어 있으며, 유방의 하부의 윤곽(소위 바지스라인)에 바람직하게 피트되는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부직포 등의 부드러운 소재로 이루어지는 바이어스테이프(144)로 감싸져서 꿰매넣어져 있다.
어깨끈(20)은, 직포와 같은 천을 끈형상으로 성형, 봉제해서 형성되고, 컵부(12)와 등 천(18)의 사이에 걸쳐져 있다. 즉, 어깨끈(20)의 일단은 컵부(12)의 상부 가장자리부의 옆측 부근의 위치에 꿰매붙여지고, 타단은 등 천(18)에 꿰매붙여져 있다. 또, 어깨끈(20)에 사용되고 있는 직포 등의 소재는 신축성이 요구된다. 또한 어깨끈(20)에는 길이 조정기구(20a)를 사이에 설치하여 착용자가 어깨끈(20)의 길이를 적당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듯이, 컵부(12)의 피부측에 배치된 서포트부재(30)는 최하부가 결여되어 있는 훅상의 형상을 갖고, 컵부(12)의 앞중심측에서 하측을 지나 옆측에 걸쳐서 유방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서포트부재(30)는, 한 장의 얇은 부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옆측의 상부 가장자리부(30c)가 신축성 테이프(24)를 통해 어깨끈 부재(20)에 꿰매붙여져 있다. 서포트부재(30)의 하부 가장자리부는, 컵부(12)의 옆측부분과 앞중심측부분에서 컵 와이어부(14)를 따라 컵 와이어부(14)에 각각 꿰매붙여지고, 옆측부분과 앞중심측부분 사이에 놓여진 중간부분에서는, 컵 와이어부(14) 및 컵부(12)의 양쪽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또, 이 컵 와이어부(14) 및 컵부(12)의 양쪽으로부터 분리된 중간부분은, 오목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또한 서포트부재(30)의 하부 가장자리부의 옆측부분은, 컵 와이어부(14)의 옆측 끝부로부터 소정거리(최대 5cm, 바람직하게는 3cm미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1cm) 앞까지 컵 와이어부(14)에 꿰매붙여져 있으며, 컵 와이어부(14)의 옆측 끝부부분(14a)과 꿰매붙여져 있지 않다. 또한, 서포트부재(30)의 하부 가장자리부의 앞중심측부분은, 컵 와이어부(14)의 앞중심측 끝부를 지나, 컵부(12)의 앞중심측의 상부 가장자리부(12a)에 도달할 때까지 컵 와이어부(14) 및 컵부(12)에 꿰매붙여져 있다. 한편, 서포트부재(30)의 상부 가장자리(30a)는 어깨방향을 향해서 오목형상의 대략 원호상을 갖고, 컵부(12)와 꿰매붙여지지 않고 컵부(12)의 피부면으로부터 분리되어 컵부(12)의 피부면으로부터 들뜨도록 다소의 다소의 긴장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브래지어(10)의 통상의 착용상태에 있어서는, 서포트부재(30)는 다음과 같은 작용 및 효과를 갖는다.
먼저, 서포트부재(30)의 하부 가장자리부는, 컵부(12)의 옆측부분과 앞중심측부분에서 컵 와이어부(14)를 따라 컵 와이어부(14)에 각각 꿰매붙여지고, 이들 사이에 놓여진 중간부분에서 컵 와이어부(14) 및 컵부(12)의 양쪽으로부터 분리되어 있으므로, 등 천(18)의 당기는 힘보다 서포트부재의 하부에 작용하는 수평방향(양 옆을 연결하는 방향)의 장력이 증대되고, 또한, 그 상부에 있어서 양 옆을 연결하는 방향의 새로운 장력이 발생된다. 즉, 도 4(a)에 나타내듯이, 서포트부재(30)에는, 서포트부재(30)의 앞중심측에 있어서의 컵 와이어부(14)와 꿰매붙여진 상단부로부터, 옆측에 있어서의 컵 와이어부(14)와 꿰매붙여진 상단부로 연장되는 U방향과, 앞중심측에 있어서의 컵 와이어부(14)와 꿰매붙여진 하단부로부터, 옆측에 있어서의 컵 와이어부(14)와 꿰매붙여진 하단부로 연장되는 V방향의 2방향으로 각각 장력이 생긴다. 이 2방향의 장력 모두, 유방을 상방향(W방향)으로 들어 올리는 작용을 초래한다. 이 때문에, 존재감이 있는 상향의 유방을 조형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서포트부재(30)의 옆측의 상부 가장자리부(30c)는, 어깨끈 부재(20)에 꿰매붙여짐으로써, 매달리는 구조를 이루고 있으므로, 어깨끈(20)으로부터의 끌어 올리는 힘은 직접적으로 서포트부재(30)에 전달할 수 있다. 서포트부재(30)의 하부 가장자리부는, 컵부(12)의 옆측부분과 앞중심측부분에서 컵 와이어부(14)를 따라 컵 와이어부(14)에 각각 꿰매붙여지며, 이들 사이에 놓여진 중간부분에서는 컵 와이어부(14) 및 컵부(12) 양쪽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4(b)에 나타 내듯이, 어깨끈(20)의 끌어 올리는 힘에 의해, 서포트부재(30)에는, 어깨끈(20)에 의한 매달림 위치로부터 컵부(12)의 하부 가장자리부의 앞중심측 하부로 연장되는 P방향과, 어깨끈(20)에 의한 매달림 위치로부터 컵부(12)의 하부 가장자리부의 옆부근 하부로 연장되는 R방향의 2방향으로 각각 장력이 생긴다. 이 2방향의 장력은 서로 협동하여, 각각 유방을 자연스러운 둥그스러움으로 앞중심측 상방향(Q방향)으로 모아 올리는 작용과, 유방을 옆측에서 앞중심방향(S방향)으로 밀어 모으는 작용을 갖는다. 이 때문에, 어깨끈(20)의 끌어 올리는 힘이 토대부(16) 등으로 흩어지는 일이 없어, 유방의 볼륨이 있는 부분이 무리없이 들어 올려져서, 선명한 골짜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서포트부재(30)의 하부 가장자리부의 앞중심측부분은, 컵 와이어부(14)의 앞중심측 끝부를 지나 컵부(12)의 앞중심측의 상부 가장자리부(12a)에 도달할 때까지, 컵 와이어부(14) 및 컵부(12)에 꿰매붙여져 있기 때문에, 옆측으로부터 감싸서 모아온 유방의 볼륨을 앞중심측에서 받쳐서, 유방의 볼륨을 옆측과 앞중심측의 양쪽으로부터 감싸 올리는 작용을 갖는다. 이 때문에, 유방의 불룩함을 가지게 하여, 보다 자연스러운 둥그스러움을 조형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서포트부재(30)의 하부 가장자리부의 옆측부분은, 컵 와이어부(14)의 옆측 끝부로부터 소정 거리의 앞까지 컵 와이어부(14)에 꿰매붙여져 있기 때문에, 유방의 옆측의 볼륨을 밀어 올리는 힘이 강해질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적당한 딱딱함과 팽팽함이 있는 유방에 대해서, 무리없이 옆측의 볼륨을 밀어 올리는 「옆에서 올려주기」작용을 갖는다. 특히 스무살 전후의 유방에 팽팽함이 있고 유동성이 부족한 여성에 대해서는, 확실하게 유방의 옆측의 볼륨을 밀어 올림으로써 유방에 불룩함을 줘서, 앞중심에 자연스러운 상태로 미려한 골짜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서포트부재(30)의 하부 가장자리부 중, 컵 와이어부(14) 및 컵부(12)의 양쪽으로부터 분리된 부분은, 오목형상으로 만곡되어 있으므로, 유방의 바지스라인 최하점의 근방부분에 유방의 곡면에 피트되는 공간부(32)가 형성된다. 브래지어(10)를 통상 착용했을 때에, 유방의 바지스라인 최하점 근방부분이 이 공간부(32)에 들어가서 유지되고, 서포트부재(30)가 유방에 밀착되어 피트되게 된다. 이 때문에, 서포트부재(30)는, 유방의 움직임을 추종하면서, 그 움직임을 억제함으로써, 유방의 움직임에 의한 컵부의 흘러내림이나 옆어긋남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서포트부재(30)가 유방을 눌러 찌부러트리지 않도록, 상부 가장자리(30a)는, 착용시에 앞중심측으로부터 하측을 지나 옆측에 걸쳐서 유두에 대응하는 위치보다 유방의 외측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서포트부재(30)는 유방을 압박하지 않고 유방을 밀착되어 피트됨으로써, 유방의 움직임에 순응함과 아울러, 유방의 움직임을 억제해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서포트부재(30)는, 직접 피부에 접하는 것이기 때문에 피부에 순한 소재가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그러한 소재인 더블러셀이 사용되고 있다. 더블더셀은, 표면이 매끄럽고 촉감이 좋고, 또한 얇은 천으로 통기성이 양호하며 피부에 장시간 접촉해도 불쾌감을 주지 않는 재질이며, 가볍고, 무덥지 않고, 쿠션성과 스트레치성이 우수하며, 서포트력이 강하다. 서포트부재(30)는 더블러셀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유방에 잘 피트됨과 아울러, 유연하게 몸의 움직임에 순응하고, 통기성·땀흡수성도 우수하며, 산뜻한 착용감이 얻어진다. 또한, 더블러셀 소재는 끝면처리가 불필요하며, 통상의 끝부 봉제처리로 형성된 단차에 의한 피부에의 마찰이 생기기 어렵고, 또한 끝면의 풀림, 말림 등도 없다. 또한 봉제공정이 없으므로, 수고와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착용시에 서포트부재(30)가 유방에 바람직하게 피트되면서, 유방을 밑에서부터 밀어 올림과 아울러, 옆측에서 앞중심측으로 밀어 모으고, 또한, 앞중심측에서 유방을 감싸 올림으로써, 보다 자연스러운 둥그스러움을 가지고, 존재감 있는 상향의 유방을 조형할 수 있다. 특히 20세 전후의 유방에 적당한 딱딱함과 팽팽함이 있는 년대의 여성에 대하여, 확실하게 유방의 옆을 밀어 올리는 「옆에서 올려주기」효과를 가져서, 유방 사이의 골짜기를 자연스럽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서포트부재(30)는 쿠션성, 스트레치성과 통기성 등이 우수한 더블러셀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유방을 아름답게 감싸 올려, 쾌적한 착용감이 얻어진다.
[제2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브래지어의 제2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5는, 제2실시형태에 따른 브래지어의 피부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실시형태에 따른 브래지어(40)가 제1실시형태와 다른 점은, 서포트부재(50)의 하부 가장자리부의 옆측부분은, 컵 와이어부(14)의 옆측 끝부에 도달할 때까지 컵 와이어부(14)에 꿰매붙여져 있는 것이다.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1실시예와 같은 구조를 가지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의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자연스러운 둥그스러움을 가지고, 존재감이 있는 상향의 유방을 조형할 수 있음과 아울러 쾌적한 착용감이 얻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상기의 특징적인 구성을 가지므로, 착용상태에 있어서는, 옆측으로부터 유방을 감싸 올리고, 유방을 앞중심측을 향해서 모으는 작용을 갖는다. 이 때문에, 유방에 볼륨이 있으며 유동성이 있는 여성, 특히 30세대의 유방이 유연하게 되어진 년대의 여성에 대해서는, 옆측으로 흩어진 유방을 무리없이 옆측으로부터 앞중심으로 밀어 모아 유방에 불룩함을 주는 「옆에서 모아주기」효과가 높아, 풍부하고 미려한 골짜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옆부를 조임으로써, 슬림하며 샤프한 옆 라인을 만들어 낼 수 있어, 「옆선의 말끔함」효과가 얻어진다.
[제3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브래지어의 제3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에 따른 브래지어는, 패드(패드부)(129)의 형상에 있어서 제1실시형태와 다르며, 그 밖의 구조에 대해서는, 제1실시형태와 같은 방법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6에 나타내듯이, 브래지어(60)는 앞중심의 좌우 양측에 배치된 한쌍의 컵부(12)(풀 컵)와, 컵부(12)의 하부 가장자리부에 각각 꿰매붙여진 원호상의 컵 와이어부(14)와, 양 컵부(12)의 하부 가장자리부에 꿰매붙여지고, 양 컵부(12)를 연결하는 토대부(16)와, 토대부(16)의 좌우 양단부에 꿰매붙여져서 후배부로 연장되는 좌우 한쌍의 띠형상의 등 천(18)과, 등 천(18) 각각의 후배측 끝부에 설치되고, 서로 착탈 가능한 훅(22)과, 컵부(12)의 옆측의 상부 가장자리부와 등 천(18)에 꿰매붙여져, 양자간에 걸쳐진 어깨끈(2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브래지어(60)는, 도 6에서 점선으로 나타내듯이, 컵부(12)의 피부측으로부터 분리되도록 배치된 서포트부재(30)를 구비하고 있으며, 또한, 마찬가지로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컵부(12)의 피부측에 패드(129)가 설치되어 있다.
컵부(12)의 피부측에는, 도 6에 점선으로 나타내듯이, 컵부(12)로부터 분리되어 배치된 서포트부재(30)가 구비되어 있다. 이 서포트부재(30)의 옆측은, 상방을 향해서 서서히 폭이 좁아지고, 그 상단은 어깨끈(20)의 하단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서포트부재(30)의 하부는 컵부(12)의 옆측의 하부 가장자리로부터 앞중심측의 하부 가장자리까지 일정한 폭을 갖고 넓어지고, 각각의 하부 가장자리에서 컵부(12) 및 컵 와이어부(14)에 꿰매붙여짐 등으로 부착되어 있다. 서포트부재(30)의 상부 가장자리(30a)는 오목형상으로 만곡되어 있으며, 하부 가장자리(30b)에 대해서도 오목형상으로 만곡되어 있으며, 이 하부 가장자리(30b)의 만곡부에서는 컵부(12) 및 컵 와이어부(14)의 양쪽에 부착되지 않고 분리되어 있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브래지어(60)를 피부측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에 있어서의 Ⅱ-Ⅱ선을 따라 절단된 좌측 컵부(12)의 단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컵부(12)는, 유방의 형상에 매치된 보올의 형상을 갖고, 진공성형법, 열프레스법 등을 이용하여 몰드성형된 것이다. 컵부(12)는, 외측의 컵 표면측 천(122)과 피부측의 컵 이면측의 천(126)을 갖고, 그 사이에 시트상의 심재(124)를 끼워 구성되어 있다. 컵 표면측 천(122) 및 컵 이면측의 천(126)에는 합성섬유나 천연섬유의 직포, 편성포 등의 소재가 이용되고 있으며, 심재(124)에는 부직포, 발 포 폴리우레탄과 같은 일정한 두께와 보형성, 탄력성을 갖는 소재가 사용되고 있다.
컵부(12)의 톱 위치, 즉 착용시에 유두에 닿는 위치에는, 피부측으로 불룩한 형상의 패드(129)가 꿰매붙임 등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패드(129)의 하부 가장자리는 볼록형상을 이루고, 상부 가장자리는 하부 가장자리보다 완만한 볼록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부직포나 발포 폴리우레탄과 같은 일정한 두께와 보형성, 복원성 및 탄발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컵 와이어부(14)는, 컵부(12)의 피부측의 하부 가장자리부에 꿰매붙여져 있다. 도 8에 나타내듯이, 와이어(142)는, 형상기억합금 등의 금속이나 강성이 있는 플라스틱 등으로 성형되어 있으며, 유방의 하부의 윤곽에 바람직하게 피트되는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부직포 등의 부드러운 소재로 이루어지는 바이어스테이프(144)에 감싸져서 꿰매 넣어져 있다.
어깨끈(20)은, 직포와 같은 천을 끈형상으로 성형, 봉제해서 형성되고, 컵부(12)와 등 천(18) 사이에 걸쳐져 있다. 즉, 어깨끈(20)의 일단은 컵부(12)의 상부 가장자리부의 옆측 부근의 위치에 꿰매붙여지고, 타단은 등 천(18)에 꿰매붙여져 있다. 또, 어깨끈(20)에 사용되고 있는 직포 등의 소재는 신축성이 요구된다. 또한 어깨끈(20)에는 길이 조정기구(20a)를 사이에 설치해서 착용자가 어깨끈(20)의 길이를 적당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7에 나타내듯이, 컵부(12)의 피부측에 배치된 서포트부재(30)는, 최하부가 결여되어 있는 훅상의 형상을 갖고, 컵부(12)의 앞중심측으로부터 하측을 지나 옆측에 걸쳐서 유방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서포트부재(30)는, 한 장의 얇은 부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옆측의 상부 가장자리부(30c)가 신축성 테이프(24)를 통해 어깨끈 부재(20)에 꿰매붙여져 있다. 서포트부재(30)의 하부 가장자리부는, 컵부(12)의 옆측부분과 앞중심측부분에서 컵 와이어부(14)를 따라 컵 와이어부(14)에 각각 꿰매붙여지고, 옆측부분과 앞중심측부분 사이에 놓여진 중간부분에서는, 컵 와이어부(14) 및 컵부(12)의 양쪽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또, 이 컵 와이어부(14) 및 컵부(12)의 양쪽으로부터 분리된 중간부분은, 오목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또한 서포트부재(30)의 하부 가장자리부의 옆측부분과 컵 와이어부(14)의 옆측부분 사이의 꿰매붙임은, 컵 와이어부(14)의 옆측 끝부로부터 소정거리(최대 5cm, 바람직하게는 3cm미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1cm) 만큼 앞까지 계속되어 있으며, 서포트부재(30)의 하부 가장자리부의 앞중심측부분과 컵 와이어부(14)의 앞중심측부분 사이의 꿰매붙임은, 컵 와이어부(14)의 앞중심측 끝부를 지나, 컵부(12)의 앞중심측의 상부 가장자리부(12a)까지 계속되어 있다. 한편, 서포트부재(30)의 컵 와이어부(14)와 분리되는 측의 가장자리, 즉, 서포트부재(30)의 상부 가장자리(30a)는 오목형상으로 만곡되어 있으며, 이 오목한 만곡형상은 패드(129)의 하부 가장자리가 갖는 볼록한 만곡형상을 따르고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브래지어(60)의 통상의 착용상태에 있어서는, 서포트부재(30)와 패드(129)는 서로 협동해서, 다음과 같은 작용 및 효과를 나타낸다. 도 9는, 이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피부측에서 본 우측 컵의 개념도이다.
먼저, 서포트부재(30)의 하부 가장자리부는, 컵부(12)의 옆측부분과 앞중심 측부분에서 컵 와이어부(14)를 따라 컵 와이어부(14)에 각각 꿰매붙여지고, 이들 사이에 놓여진 중간부분에서 컵 와이어부(14) 및 컵부(12)의 양쪽으로부터 분리되어 있으므로, 도 9(a)에 나타내듯이, 등 천(18)의 당기는 힘으로부터, 서포트부재(30)에는, 서포트부재(30)의 앞중심측에 있어서의 컵 와이어부(14)와 꿰매붙여진 상단부로부터, 옆측에 있어서의 컵 와이어부(14)와 꿰매붙여진 상단부로 연장되는 U방향과, 앞중심측에 있어서의 컵 와이어부(14)의 꿰매붙여진 하단부로부터, 옆측에 있어서의 컵 와이어부(14)와 꿰매붙여진 하단부로 연장되는 V방향의 2방향으로 각각 장력이 생겨, 유방을 상방향(W방향)으로 들어 올리는 작용을 한다.
또한 서포트부재(30)의 옆측의 상부 가장자리부(30c)는, 어깨끈 부재(20)에 꿰매붙여짐으로써, 매달리는 구조를 이루고 있으므로, 어깨끈(20)으로부터의 끌어 올리는 힘은 직접 서포트부재(30)에 전달할 수 있다. 서포트부재(30)의 하부 가장자리부는, 컵부(12)의 옆측부분과 앞중심측부분에서 컵 와이어부(14)를 따라 컵 와이어부(14)에 각각 꿰매붙여지고, 이들 사이에 놓여진 중간부분에서는 컵 와이어부(14) 및 컵부(12)의 양쪽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도 9(b)에 나타내듯이, 어깨끈(20)의 끌어 올리는 힘에 의해, 서포트부재(30)에는, 어깨끈(20)에 의한 매달림 위치로부터 컵부(12)의 하부 가장자리부의 앞중심측 하부로 연장되는 P방향과, 어깨끈(20)에 의한 매달림 위치로부터 컵부(12)의 하부 가장자리부의 옆부근 하부로 연장되는 R방향의 2방향으로 각각 장력이 생겨, 각각 유방을 자연스러운 둥그스러움으로 앞중심측 상방향(Q방향)으로 모아 올리는 작용과, 유방을 옆측에서 앞중심방향(S방향)으로 모아 올리는 작용을 갖는다.
또한, 서포트부재(30)의 하부 가장자리부의 앞중심측부분과 컵 와이어부(14)의 앞중심측부분 사이의 꿰매붙임은, 컵 와이어부(14)의 앞중심측 끝부를 지나, 컵부(12)의 앞중심측의 상부 가장자리부(12a)까지 계속되어 있으므로, 옆측으로부터 밀어 모아져 온 유방의 볼륨을 앞중심측으로 지나치게 모으지 않도록 유방을 감싸올리는 작용을 갖는다.
그리고, 이렇게 장력의 기능 및 구조에 의해, 유방의 볼륨을 톱 근방에 모으게 된다. 여기에서, 컵부(12)의 피부측의 톱 근방에는 피부측으로 볼록형상의 패드(129)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톱 근방에 모아진 유방의 볼륨에 대해서는, 이것을 착용자의 전방으로부터 누르는 파워가 작용한다. 이 때, 서포트부재(30)의 상부 가장자리의 오목형상의 만곡형상은 패드(129)의 하부 가장자리의 볼록형상의 만곡형상을 따르고 있으므로, 유방의 볼륨은 톱 근방으로 모아지고 나서 앞중심부근의 상방(에리어(F2))을 향해서 밀어 올려진다(화살표F1). 이렇게, 서포트부재(30)와 패드(129)의 협동에 의해, 유방의 볼륨이 있는 부분이 들어 올려져서, 선명한 골짜기를 자연스럽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서포트부재(30)의 하부 가장자리부의 옆측부분과 컵 와이어부(14)의 옆측부분 사이의 재봉은, 컵 와이어부(14)의 옆측 끝부로부터 소정거리의 앞까지 계속되어 있으므로, 유방의 옆측의 볼륨을 밀어 올리는 힘을 강화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유방에 적당한 딱딱함과 팽팽함이 있는 년대의 여성에 대해서는, 확실하게 유방의 옆측의 볼륨을 밀어 올림으로써 유방에 불룩함을 주는 「옆에서 올려주기」효과를 주어, 좌우의 유방 사이에 자연스럽게 골짜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서포트부재(30)의 하부 가장자리부 중, 컵 와이어부(14) 및 컵부(12)의 양쪽으로부터 분리된 부분은, 오목형상으로 만곡되어 있기 때문에, 유방의 바지스라인 최하점의 근방부분에 유방의 곡면에 피트되는 공간부(32)가 형성된다. 브래지어(60)를 통상 착용했을 때에, 유방의 바지스라인 최하점 근방부분이 이 공간부(32)에 들어가서 유지되어, 서포트부재(30)가 유방에 밀착되어 피트되게 된다. 이 때문에, 서포트부재(30)는, 유방의 움직임을 추종하면서, 그 움직임을 억제함으로써, 유방의 움직임에 의한 컵부의 흘러내림이나 옆어긋남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서포트부재(30)가 유방을 눌러 찌부러트리지 않도록, 상부 가장자리(30a)는, 착용시에 앞중심측으로부터 하측을 지나 옆측에 걸쳐서 유두에 대응하는 위치보다 유방의 외측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서포트부재(30)는 유방을 압박하지 않고, 유방에 밀착되어 피트됨으로써, 유방의 움직임에 순응함과 아울러, 유방의 움직임을 억제해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서포트부재(30)는, 직접적으로 피부에 접하는 것이기 때문에 피부에 순한 소재가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러한 소재인 더블러셀이 사용되고 있다. 더블러셀은, 표면이 매끄럽고 촉감이 좋고, 또한 얇은 천이며 통기성이 양호하며 피부에 장시간 접촉해도 불쾌감이 생기지 않는 재질이며, 가볍고, 무덥지 않고, 쿠션성과 스트레치성이 우수하고, 서포트력이 강하다. 서포트부재(30)는 더블러셀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유방에 잘 피트됨과 아울러, 유연하게 몸의 움직임에 순응하고, 통기성·땀흡수성도 우수하여 산뜻한 착용감이 얻어진다. 또한, 더블러셀 소재는 끝면처리가 불필요하며, 통상의 끝부 봉제처리로 형성된 단차에 의한 피부에의 마찰을 발생시키지 않고, 또한 끝면의 풀림, 말림 등도 없다. 또한 봉제공정이 없으므로, 수고와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의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자연스러운 둥그스러움을 가지며, 존재감이 있는 상향의 유방을 조형할 수 있음과 아울러 쾌적한 착용감이 얻어진다. 또한, 서포트부재(30)와 패드(129)의 협동에 의해, 유방의 볼륨이 있는 부분이 무리없이 들어 올려져서, 선명한 골짜기를 자연스럽게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형태와는 달리, 서포트부재의 하부 가장자리부의 옆측부분과 컵 와이어부(14)의 옆측부분 사이의 꿰매붙임을, 컵 와이어부(14)의 옆측 끝부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되도록 한 경우, 즉, 상기 제2실시형태의 서포트부재(50)와 같은 경우에는, 착용상태에 있어서는, 옆측으로부터 유방을 미는 힘이 발생해서, 유방을 앞중심측을 향해서 모으는 작용을 갖는다. 이 때문에, 유방에 볼륨이 있어 유동성이 생긴 (유방이 유연하게 되어진) 년대의 여성에 대해서는, 옆측으로 흩어지는 유방을 확실하게 옆측에서 앞중심으로 밀어 모아 유방에 불룩함을 주는 「옆에서 모아주기」효과가 높아, 풍부한 골짜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옆부를 조임으로써, 슬림하며 샤프한 옆 라인을 만들어 낼 수 있어, 「옆선의 말끔함」효과가 얻어진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설명한다. 도10은, 패드(129)의 상부 가장자리의 형상이 도 6∼도 9과는 다른 브래지어를 피부측에서 본 개념도이다. 동 도(a)의 변형예에서는, 패드(129)의 하부 가장자리가 볼록한 만곡형상을 이루어서 서포 트부재(30)의 상부 가장자리의 오목한 만곡형상을 따르도록 되어 있으며, 패드(129)의 상부 가장자리는 연속되는 두개의 볼록한 만곡형상(혹모양)으로 되어 있다. 동 도(b)의 변형예에서는, 패드(129)의 하부 가장자리는 동 도(a)의 변형예와 동일하지만, 패드(129)의 상부 가장자리형상은 직선상의 볼록형상이다. 동 도(c)의 변형예에서는, 패드(129)의 하부 가장자리는 동 도(a) 및 (b)의 변형예와 같지만, 패드(129)의 상부 가장자리형상은 직선상의 오목형상이다.
도11은, 패드(129)의 크기(넓이)를 크게 한 변형예를 나타내며, 동 도(a)에서는, 패드(129)의 하부 가장자리가 볼록한 곡면형상을 이루어서 서포트부재(30)의 상부 가장자리의 오목한 만곡형상을 따르도록 되어 있으며, 패드(129)의 상부 가장자리는 컵부(12)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르는 볼록한 만곡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패드(129)는 유방의 톱 근방 뿐만 아니라, 그 상부영역도 넓게 덮도록 되어 있다. 동 도(b)의 변형예에서는, 서포트부재(30)의 상부 가장자리는 오목한 만곡형상이 아니라, 좌우 2방향으로부터 커팅된 오목형상이며, 이것에 대해서, 패드(129)의 하부 가장자리는 뾰족한 볼록형상을 이루어서 서포트부재(30)의 상부 가장자리의 오목형상으로 따르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패드(129)의 상부 가장자리는 컵부(12)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르는 볼록한 만곡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패드(129)는 유방의 톱 근방 뿐만 아니라, 그 상부영역도 넓게 덮도록 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는 상기에 나타내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경을 추가해도 좋다.
[제4실시형태]
도 12는 제4실시형태에 따른 브래지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래지어(70)는, 앞중심의 좌우 양측에 배치된 한쌍의 컵부(12)(풀 컵)와, 컵부(12)의 하부 가장자리부에 각각 꿰매붙여진 원호상의 컵 와이어부(14)와, 양 컵부(12)의 하부 가장자리부에 꿰매붙여져서, 양 컵부(12)를 연결하는 토대부(16)와, 토대부(16)의 좌우 양단부에 꿰매붙여져서 후배부로 연장되는 좌우 한쌍의 띠형상의 등 천(18)과, 등 천(18) 각각의 후배측 끝부에 설치되고, 서로 착탈 가능한 훅(22)과, 컵부(12)의 옆측의 상부 가장자리부와 등 천(18)에 꿰매붙여져서, 양자간에 걸쳐진 어깨끈(2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브래지어(70)는, 도 12에서 점선으로 나타내듯이 컵부(12)의 피부측과 분리되도록 배치된 서포트부재(80)를 구비하고 있으며, 또한, 마찬가지로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컵부(12)의 피부측에 패드(129)가 설치되어 있다.
도 13은, 도 12에 나타내는 브래지어(70)를 피부측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14는, 도 13에 있어서의 III-III선을 따라 절단한 좌측 컵부(12)의 단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컵부(12)는, 유방의 형상에 매치된 보올의 형상을 갖고, 진공성형법, 열 프레스법 등을 이용하여 몰드성형된 것이다. 컵부(12)는, 외측의 컵 표면측 천(122)과 피부측의 컵 이면측의 천(126)을 갖고, 그 사이에 시트상의 심재(124)를 끼워 구성되어 있다. 컵 표면측 천(122) 및 컵 이면측의 천(126)에는 합성섬유나 천연섬유의 직포, 편성포 등의 소재가 이용되고 있으며, 심재(124)에는 부직포, 발포 폴리우레탄과 같은 일정한 두께와 보형성, 탄력성을 갖는 소재가 이용되고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듯이, 컵부(12)의 톱 위치, 즉 착용시에 유두에 닿는 위치에는, 피부측으로 불룩한 형상의 패드(129)가 재봉 등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패드(129)의 하부 가장자리는 볼록형상을 이루고, 상부 가장자리는 하부 가장자리보다 완만한 볼록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부직포나 발포 폴리우레탄과 같은 일정한 두께와 보형성, 복원성 및 탄발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컵 와이어부(14)는, 컵부(12)의 피부측의 하부 가장자리 만곡부에 꿰매붙여져 있다. 도 14에 나타내듯이, 컵 와이어부(14)의 심재인 와이어(142)는, 형상기억합금 등의 금속이나 강성이 있는 플라스틱 등으로 성형되어 있으며, 유방의 하부의 윤곽(소위 바지스라인)에 바람직하게 피트되는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부직포 등의 부드러운 소재로 이루어지는 바이어스테이프(144)에 감싸져서 꿰매 넣어져 있다.
어깨끈(20)은, 직포와 같은 천을 끈형상으로 성형, 봉제해서 형성되고, 컵부(12)와 등 천(18) 사이에 걸쳐져 있다. 즉, 어깨끈(20)의 일단은 컵부(12)의 상부 가장자리부의 옆측 부근의 위치에 꿰매붙여지고, 타단은 등 천(18)에 꿰매붙여져 있다. 또, 어깨끈(20)에 사용되고 있는 직포 등의 소재는 신축성이 요구된다. 또한 어깨끈(20)에는 길이 조정기구(20a)를 사이에 설치해서 착용자가 어깨끈(20)의 길이를 적당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듯이, 컵부(12)의 피부측에 배치된 서포트부재(80)는, 옆측이 상방으로 연장된 훅형상을 갖고, 컵부(12)의 앞중심측에서 하측을 지나 옆측에 걸쳐서 유방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서포트부재(80)는, 더블러셀과 같은 끝부처리가 불필요하며 신축성이 뛰어난 한 장의 얇은 소재로 구성되어 있으 며, 옆측의 상부 가장자리부(80c)가 신축성 테이프를 통해 어깨끈 부재(20)에 꿰매붙여져 있다. 서포트부재(80)의 하부 가장자리부는, 컵부(12)의 옆측부분으로부터 하측부분을 지나 앞중심측부분에 도달할 때까지, 컵 와이어부(14)를 따라 컵부(12)와 컵 와이어부(14)에 끼워져서 꿰매붙여지고, 컵 와이어부(14)와의 꿰매붙여짐부의 내측(톱 부근)에서는 컵부(12)의 피부측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즉, 서포트부재(80)는 컵부(12)와 꿰매붙여져 있지 않고 컵부(12)의 피부면으로부터 분리되어 있으며, 컵부(12)의 피부면으로부터 들뜨도록 다소의 긴장 상태를 갖고 부착되어 있다.
또한 서포트부재(80)의 하부 가장자리부의 옆측부분과 컵 와이어부(14)의 옆측부분 사이의 재봉은, 컵 와이어부(14)의 옆측 끝부로부터 소정거리(최대 5cm, 바람직하게는 3cm미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1cm.)만큼 앞까지 계속되어 있으며, 서포트부재(80)의 하부 가장자리부의 앞중심측부분과 컵 와이어부(14)의 앞중심측부분 사이의 꿰매붙여짐은, 컵 와이어부(14)의 앞중심측 끝부를 지나, 컵부(12)의 앞중심측의 상부 가장자리부(12a)까지 계속되어 있다. 한편, 서포트부재(80)의 컵 와이어부(14)와 분리되는 측의 가장자리(서포트부재(80)의 상부 가장자리)(80a)는 오목형상으로 만곡되어 있으며, 이 오목한 만곡형상은 패드(129)의 하부 가장자리가 갖는 볼록한 만곡형상을 따르고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브래지어(70)의 통상의 착용상태에 있어서는, 서포트부재(80)와 패드(129)는 서로 협동하여, 다음과 같은 작용 및 효과를 나타낸다. 도 15는, 이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동 도(a)는 피부측에서 본 우측 컵의 개념도, 동 도(b)는 측면에서 본 개념도이다.
먼저, 서포트부재(80)의 하부 가장자리부는, 컵부(12)의 옆측부분으로부터 앞중심측부분까지 상기 컵부(12)와 컵 와이어부(14)에 끼워져서 꿰매붙여져 있으므로, 서포트부재(80)에는 일정한 텐션이 가해지고 있다. 또한 서포트부재(80)의 옆측의 상부 가장자리부는 어깨끈(20)에 꿰매붙여져, 상방으로 매달려지는 구조를 이루고 있으므로, 도 15(a) 및 (b)에 나타내듯이, 어깨끈(20)의 끌어올리는 힘은 서포트부재(80)에 있어서 유방(100)의 볼륨을 톱 근방으로 모으는 힘(F3)으로 변환된다. 여기에서, 컵부(12)의 피부측의 톱 근방에는 피부측으로 볼록형상의 패드(129)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톱 근방에 모아진 유방(100)의 볼륨에 대해서는, 이것을 착용자의 앞쪽으로 미는 힘(F4)이 작용한다. 이 때, 서포트부재(80)의 상부 가장자리의 오목형의 만곡형상은 패드(129)의 하부 가장자리의 볼록형의 만곡형상을 따르고 있으므로, 유방(100)의 볼륨은 톱 근방에 모아지고 나서 앞중심 부근의 상방(에리어(F5))을 향해서 밀어 올려진다(화살표F6). 이 때문에, 어깨끈(20)의 끌어올리는 힘에 의해 유방의 볼륨이 있는 부분이 들어올려져서, 선명한 골짜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서포트부재(80)의 하부 가장자리부의 앞중심측부분과 컵 와이어부(14)의 앞중심측부분 사이의 꿰매붙여짐은, 컵 와이어부(14)의 앞중심측 끝부를 지나, 컵부(12)의 앞중심측의 상부 가장자리부(12a)까지 계속되어 있으므로, 옆측으로부터 밀어 모아져 온 유방의 볼륨을 앞중심측으로 지나치게 모으지 않도록 유방을 감싸올리는 작용을 갖는다. 이것에 의해, 유방을 전방 외측으로 모아 불룩함을 주어, 보다 자연스러운 둥그스러움을 조형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서포트부재(80)의 하부 가장자리부의 옆측부분과 컵 와이어부(14)의 옆측부분 사이의 꿰매붙여짐은, 컵 와이어부(14)의 옆측 끝부로터 소정거리의 앞까지 계속되어 있으므로, 유방의 옆측의 볼륨을 밀어 올리는 힘을 강화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유방에 적당한 딱딱함과 팽팽함이 있는 년대의 여성에 대해서는, 확실하게 유방의 옆측의 볼륨을 밀어 올림으로써 유방에 불룩함을 가지게 하는 「옆에서 올려주기」효과를 주어, 좌우의 유방 사이에 자연스럽게 골짜기가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형태와는 달리, 서포트부재(80)의 하부 가장자리부의 옆측부분과 컵 와이어부(14)의 옆측부분 사이의 꿰매붙여짐을, 컵 와이어부(14)의 옆측 끝부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되도록 한 경우에는, 착용상태에 있어서는, 옆측에서 유방을 미는 힘이 발생하여, 유방을 앞중심측을 향해서 모으는 작용을 한다. 이 때문에, 유방에 볼륨이 있어 유동성이 있는(유방이 유연하게 되어진) 년대의 여성에 대해서는, 옆측으로 흩어지는 유방을 확실하게 옆측에서 앞중심으로 밀어 모아 유방에 불룩함을 가지게 하는 「옆에서 모아주기」효과가 높아, 풍부한 골짜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옆부를 조임으로써, 슬림하며 샤프한 옆 라인을 만들어 낼 수 있어, 「옆선의 말끔함」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서포트부재(80)는 유방을 눌러 찌부러트리지 않는 양 컵 와이어부(14)와 분리되는 측(80a)은, 착용시에 앞중심측에서 하측을 지나 옆측에 걸쳐서 유두에 대응하는 위치보다 유방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서포트부재(80)는 유방을 압박하지 않고, 유방에 밀접하게 피트됨으로써, 유방의 움직임에 순응함과 아울러, 유방의 움직임을 억제해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서포트부재(80)는, 직접적으로 피부에 접하는 것이기 때문에 피부에 순한 소재가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그러한 소재인 더블러셀이 사용되고 있다. 더블러셀은, 표면이 매끄럽고 촉감이 좋고, 또한 얇은 천이며 통기성이 양호해서 피부에 장시간 접촉해도 불쾌감이 생기지 않는 재질이며, 가볍고, 무덥지 않고, 쿠션성과 스트레치성이 우수하며, 서포트력이 강하다. 서포트부재(80)는 더블러셀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유방에 잘 피트됨과 아울러, 유연하게 몸의 움직임에 순응하고, 통기성도 우수하여, 산뜻한 착용감이 얻어진다. 또한, 더블러셀 소재는 끝면처리가 불필요하며, 통상의 끝부 봉제처리로 형성된 단차에 의한 피부에의 마찰이 생기지 않고, 또한 끝면의 풀림, 말림 등도 없다. 또한 봉제공정이 없으므로, 수고와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착용시에 서포트부재(80)가 유방을 바람직하게 피트되면서 유방을 밑에서부터 밀어 올림과 아울러, 옆측에서 앞중심측으로 밀어 모으고, 또한, 앞중심측에서 유방을 감싸 올림으로써, 보다 자연스러운 둥그스러움을 갖고, 존재감 있는 상향의 유방을 조형할 수 있다. 특히, 유방에 적당한 딱딱함과 팽팽함이 있는 년대의 여성에 대해서, 확실하게 유방의 옆을 밀어올리는 「옆에서 올려주기」효과를 가져와서, 유방 사이의 골짜기를 자연스럽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서포트부재(80)는 쿠션성, 스트레치성과 통기성 등이 우수한 더블러셀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유방을 부드럽게 감싸올려, 쾌적한 착용감이 얻어진다.
또, 본 실시형태의 패드(129)에 대해서는, 제3실시형태와 같은 변형예를 갖고 있다. 즉, 도 10에 나타내고 있는 패드(129)의 형상의 변형예와, 도 11에 나타내고 있는 패드(129)의 크기(넓이)를 크게 한 변형예이다. 중복이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컵부(12)를 풀 컵으로 했지만, 풀 컵에 한정되지 않고, 3/4컵, 하프 컵의 브래지어 등에 적용된다. 또한 앞중심을 착탈 가능한 훅으로 연결하는 프론트 훅형 브래지어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파운데이션의류로서의 브래지어에 관한 것이지만, 와이어 폼형의 각종 컵이 부착된 여성용 의류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브라슬립, 브라캐미솔, 쓰리인원, 보디슈트, 레오타드, 수영복, 브라드레스 등이다.

Claims (9)

  1. 착용상태에 있어서,
    좌우 한쌍의 컵부;
    상기 컵부의 하부 가장자리부에 각각 설치된 원호상의 컵 와이어부;
    상기 컵부의 옆측의 상부 가장자리부에 각각 부착된 어깨끈; 및
    상기 컵부의 피부측에 위치하고, 앞중심측에서 하측을 지나 옆측에 걸쳐서 배치된 신축성을 갖는 서포트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서포트부재의 옆측의 상부 가장자리부는 상기 어깨끈에 의해 매달려지는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서포트부재의 하부 가장자리부는 상기 컵부의 옆측부분과 앞중심측부분에서 상기 컵 와이어부에 각각 부착되고, 이들 사이에 놓여진 중간부분에서 상기 컵 와이어부 및 상기 컵부의 양쪽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이 부착된 여성용 의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부재의 하부 가장자리부의 옆측부분은, 상기 컵 와이어부의 옆측 끝부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컵 와이어부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이 부착된 여성용 의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부재의 하부 가장자리부의 옆측부분은, 상기 컵 와이어부의 옆측 끝부로부터 소정거리의 앞까지 상기 컵 와이어부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이 부착된 여성용 의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부재의 하부 가장자리부의 앞중심측부분은, 상기 컵 와이어부의 앞중심측 끝부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컵 와이어부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이 부착된 여성용 의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부재의 하부 가장자리부의 앞중심측부분은, 상기 컵 와이어부의 앞중심측 끝부를 지나 상기 컵부의 앞중심측의 상부 가장자리부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컵 와이어부 및 컵부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이 부착된 여성용 의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부재의 하부 가장자리부 중, 상기 컵 와이어부 및 상기 컵부의 양쪽으로부터 분리된 부분은 오목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이 부착된 여성용 의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부의 톱 근방에 설치되고, 피부측으로 불룩한 형상으로 된 패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패드부는 그 하부 가장자리가 볼록형상을 이루고,
    상기 서포트부재는, 그 상부 가장자리가 상기 패드부의 하부 가장자리형상을 따르는 오목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이 부착된 여성용 의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그 하부 가장자리가 만곡된 볼록형상을 이루고,
    상기 서포트부재는, 그 상부 가장자리가 상기 패드부의 하부 가장자리형상을 따르는 만곡된 오목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이 부착된 여성용 의류.
  9. 착용상태에 있어서,
    좌우 한쌍의 컵부;
    상기 컵부의 하부 가장자리부에 각각 설치된 원호상의 컵 와이어부;
    상기 컵부의 톱 근방에 설치되고, 피부측으로 불룩한 형상으로 된 패드부;
    상기 컵부의 옆측의 상부 가장자리부에 각각 부착된 어깨끈; 및
    상기 컵부의 피부측으로부터 분리되어 배치되고, 그 하부 가장자리부는 적어도 상기 컵부의 옆측부분과 앞중심측부분에서 상기 컵 와이어부에 부착됨과 아울러, 그 옆측의 상부 가장자리부는 상기 어깨끈에 의해 매달려지는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또한 신축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 서포트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패드부는 그 하부 가장자리가 볼록형상을 이루고,
    상기 서포트부재는, 그 상부 가장자리가 상기 패드부의 하부 가장자리형상을 따르는 오목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이 부착된 여성용 의류.
KR1020067005181A 2004-11-08 2005-11-07 컵이 부착된 여성용 의류 KR1007702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24207A JP4510594B2 (ja) 2004-11-08 2004-11-08 カップ付き女性用衣類
JPJP-P-2004-00324210 2004-11-08
JPJP-P-2004-00324207 2004-11-08
JP2004324210A JP2006132045A (ja) 2004-11-08 2004-11-08 カップ付き女性用衣類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3975A true KR20060083975A (ko) 2006-07-21
KR100770252B1 KR100770252B1 (ko) 2007-10-25

Family

ID=36319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5181A KR100770252B1 (ko) 2004-11-08 2005-11-07 컵이 부착된 여성용 의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70252B1 (ko)
WO (1) WO200604927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9807A (ko) * 2018-05-24 2020-05-08 골드 플래그 가부시키가이샤 컵부를 갖는 여성 속옷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812360D0 (en) * 2008-07-04 2008-08-13 Faveo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lothing
WO2010062164A1 (en) * 2008-11-28 2010-06-03 Lipatech B.V. Brassiere with improved breast-lifting system
JP5645055B2 (ja) * 2010-05-10 2014-12-24 株式会社ワコール カップ部を有する衣類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9959U (ja) * 1994-12-27 1996-10-18 株式会社ダッチェス リフトアップ機能付トップ
KR20000016023U (ko) * 1999-01-22 2000-08-16 조용현 바디슈트
JP2002115105A (ja) * 2000-10-10 2002-04-19 Wacoal Corp 乳房カップ及びそれを有する衣料
JP2003113504A (ja) * 2001-10-05 2003-04-18 Shigeru Nagano パワーネットによる補正機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9807A (ko) * 2018-05-24 2020-05-08 골드 플래그 가부시키가이샤 컵부를 갖는 여성 속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0252B1 (ko) 2007-10-25
WO2006049277A1 (ja) 200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8234B1 (ko) 컵부를 갖는 여성 속옷
CN100589776C (zh) 带罩杯的女性用衣物
KR20160124106A (ko) 컵부를 가진 의류
CN106360821B (zh) 玲珑无钢圈文胸
KR100770252B1 (ko) 컵이 부착된 여성용 의류
JP5945858B2 (ja) カップ部を有する衣類
JP4674178B2 (ja) カップ付き女性用衣類
JPH0797701A (ja) 乳房受けカップを有する衣類
KR200420062Y1 (ko) 고신축 브래지어
KR200462424Y1 (ko) 기능성 브래지어
JP4117409B2 (ja) ブラジャ
KR102097938B1 (ko) 여성 속옷
JP6227941B2 (ja) カップ付衣類
JP2000064105A (ja) カップ付き女性用衣類
CN213215366U (zh) 一种冷压粘合弹力稳型文胸
CN206333380U (zh) 玲珑无钢圈文胸
JP2006132045A (ja) カップ付き女性用衣類
JP2005307390A (ja) バストカップを備えた女性用衣類
JP2018178306A (ja) カップ部付き衣類
JP3961054B2 (ja) ヒップアップ機能を備えた衣料
KR200416249Y1 (ko) 기능성 브래지어
KR200334373Y1 (ko) 기능성 브래지어
JP4392120B2 (ja) パンティガードルおよびその形成方法
JP3981554B2 (ja) カップ付き女性用衣類
CN216358287U (zh) 一种经编针织自由裁面料弹力内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