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9128A - 생강 분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생강 분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9128A
KR20200049128A KR1020180132029A KR20180132029A KR20200049128A KR 20200049128 A KR20200049128 A KR 20200049128A KR 1020180132029 A KR1020180132029 A KR 1020180132029A KR 20180132029 A KR20180132029 A KR 20180132029A KR 20200049128 A KR20200049128 A KR 202000491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ger
supernatant
juice
ginger powder
comparative ex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2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7493B1 (ko
Inventor
장호림
박인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담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담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담터
Priority to KR1020180132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7493B1/ko
Publication of KR20200049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9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1Instant products; Powders; Flakes;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23L27/14Dried sp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8Fraction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Seasoning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생강 분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더 상세히, 본 발명에서는 생강을 선별 및 세척하는 준비단계, 상기 생강을 착즙하여 생강 착즙물을 제조하는 착즙단계, 상기 생강 착즙물을 냉장 조건에서 방치하여 상등액과 침전물로 분리하는 침전단계, 상기 상등액을 여과하는 1차여과단계, 상기 상등액을 저온에서 살균하는 살균단계, 상기 살균된 상등액을 냉각하는 냉각단계 및 상기 냉각된 상등액을 여과하는 2차여과단계를 포함함에 따라, 관능 특성이 우수한 생강 분말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생강 분말의 제조방법{METHOD OF GINGER POWDER}
본 발명은 생강 분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강(Ginger)은 특유의 매콤한 맛과 향을 가져 향신료, 한약재, 절편, 차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생강은 생것을 그대로 섭취할 수 있고, 생강을 착즙, 추출, 건조, 증숙 또는 연화 처리하거나 이를 분쇄하여 분말 형태로 제조한 것을 섭취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생강 분말은 차, 향신료 등으로 손쉽게 활용이 가능하며, 보관이 용이하여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높다. 일반적으로 생강 분말은 생강을 착즙 또는 추출하고, 전분을 제거한 후 건조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106799호에서는 박피한 생강을 잘게 갈은 후 착즙하는 단계, 착즙액을 95 ℃의 온도로 가열처리하여 내부에 존재하는 효소를 실활시키는 단계, 착즙액을 냉각하고, 여기에 전분분해효소를 적량 첨가하여 효소반응시키는 단계, 착즙액을 95 ℃로 가열처리하여 전 분분해효소를 실활시키는 단계, 착즙액을 여과하고 저온농축하는 단계, 및 상기 농축액과 부형제를 혼합하여 분무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강농축분말의 제조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전분분해효소를 이용하여 생강 착즙액에 함유된 전분을 제거할 경우에는 최종 산물에 전분이 잔류하게 되어 수율면에서는 유리하나, 생강 특유의 향과 매콤한 맛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생강 착즙액 내에는 다량의 유기산, 아미노산, 당류 등의 유효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에 개시된 바와 같이 살균, 효소 활성 등의 목적에 의해, 반복적으로 고온 열처리를 하게 되면, 생강 착즙액 내 유효 성분들이 메일라드(Mailard) 반응, 캐러멜 화되어 최종 산물이 갈변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10679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전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생강 특유의 향과 매콤한 맛을 가질 뿐 아니라, 고온 열처리를 실시하지 않고도 미생물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고, 갈변 현상이 방지된, 생강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생강을 선별 및 세척하는 준비단계; 상기 생강을 착즙하여 생강 착즙물을 제조하는 착즙단계; 상기 생강 착즙물을 냉장 조건에서 방치하여 상등액과 침전물로 분리하는 침전단계; 상기 상등액을 여과하는 1차여과단계; 상기 상등액을 저온에서 살균하는 살균단계; 상기 살균된 상등액을 냉각하는 냉각단계; 상기 냉각된 상등액을 여과하는 2차여과단계; 및 상기 여과된 상등액을 건조하는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생강 분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침전단계는 4 ~ 10 ℃의 냉장 조건에서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침전단계에서는 상기 생강 착즙물의 고형분 대비 0.001 ~ 0.1 중량%의 초산을 투입할 수 있다.
상기 살균단계에서는 상기 상등액을 55 ~ 70 ℃에서 살균할 수 있다.
상기 살균단계에서는 상기 상등액을 55 ~ 70 ℃에서 8 ~ 20 분 동안 살균할 수 있다.
상기 냉각단계에서는 상기 살균된 상등액을 20 ~ 30 ℃로 냉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전분을 충분히 제거하여 생강 특유의 향과 매콤한 맛이 우수할 수 있다. 또한, 고온의 열처리 없이도 미생물의 활성을 방지할 수 있고, 갈변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외관미가 우수한 생강 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생강 분말의 제조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A 및/또는 B"는, A 또는 B, 또는 A 및 B를 의미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생강 분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생강을 선별 및 세척하는 준비단계, 상기 생강을 착즙하여 생강 착즙물을 제조하는 착즙단계, 상기 생강 착즙물을 냉장 조건에서 방치하여 상등액과 침전물로 분리하는 침전단계, 상기 상등액을 여과하는 1차여과단계, 상기 상등액을 저온에서 살균하는 살균단계, 상기 살균된 상등액을 냉각하는 냉각단계, 상기 냉각된 상등액을 여과하는 2차여과단계 및 상기 여과된 상등액을 건조하는 건조단계를 포함함에 따라, 관능 특성이 우수한 생강 분말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상기 순서에 따라 순차적인 단계를 거쳐 제조된 생강 분말은 전분이 충분히 제거되어 생강 특유의 향과 매콤한 맛이 우수할 뿐 아니라 고온의 열처리 없이도 미생물의 활성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갈변되지 않아 외관미가 우수할 수 있다.
(1) 생강을 선별 및 세척하는 준비단계
본 실시예의 준비단계에서는 생강 분말의 제조에 사용할 적정 수준 이상의 생강을 선별하고 이를 세척한다.
상기 생강을 선별하는 것은 흠집 및 짓무름이 없고, 착즙이 용이한 적정한 크기의 생강을 골라내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세척은 공지된 모든 방법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세척은 흐르는 물에 약 3 분 이상 생강을 씻음으로써 실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2) 상기 생강을 착즙하여 생강 착즙물을 제조하는 착즙단계
본 실시예의 착즙단계에서는 상기 준비단계에 따라 선별 및 세척된 생강을 착즙하여, 생강 착즙물을 제조한다.
상기 착즙에는 공지의 압착기가 이용될 수 있다.
(3) 상기 생강 착즙물을 냉장 조건에서 방치하여 상등액과 침전물로 분리하는 침전단계
본 실시예의 침전단계에서는 생강 착즙물을 냉장 조건에서 방치하여 상등액과 침전물로 분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침전단계는 4 ~ 10 ℃의 냉장 조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침전단계가 4 ℃ 미만의 냉장 조건 또는 10 ℃를 초과한 냉장 조건에서 실시될 경우에는 고체 상태의 물질이 액체 상태의 물질 내에 부유한 상태로 존재하여, 상등액과 침전물의 분리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조된 생강 분말의 관능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침전단계는 4 ~ 10 ℃의 냉장 조건에서 약 30 ~ 90 분 동안 실시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침전단계가 4 ~ 10 ℃의 냉장 조건에서 약 30 분 미만으로 실시될 경우에는 침전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반면, 상기 침전단계가 4 ~ 10 ℃의 냉장 조건에서 약 90 분을 초과하여 실시될 경우에는 침전의 정도에 큰 차이가 없어 경제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침전단계에서는 전분의 침전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기 생강 착즙물의 고형분 대비 0.001 ~ 0.1 중량%의 초산을 더 투입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침전단계에서 상기 생강 착즙물의 고형분 대비 0.001 중량% 미만의 초산을 투입할 경우에는 전분의 침전 효율의 향상이 거의 없을 수 있다. 반면, 상기 침전단계에서 상기 생강 착즙물의 고형분 대비 0.1 중량%를 초과하여 초산을 투입할 경우에는 최종적으로 제조된 생강 분말에 시큼한 맛과 향이 가해져 생강 특유의 향과 매콤한 맛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4) 상기 상등액을 여과하는 1차여과단계
본 실시예의 1차여과단계에서는 상기 침전단계에 따라 분리된 상등액을 여과하여, 상기 침전단계에서 제거되지 못한 전분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여과는 공지된 모든 방법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공극의 크기가 약 20 ~ 25 마이크로미터로 형성된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를 실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5) 상기 상등액을 저온에서 살균하는 살균단계
본 실시예의 살균단계에서는 상기 상등액을 저온에서 살균함으로써, 미생물, 세균, 대장균 등을 제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살균단계는 55 ~ 70 ℃의 저온에서 실시될 수 있다. 만약, 본 실시예의 살균단계가 55 ℃ 미만의 온도에서 실시될 경우에는 유해한 미생물, 세균, 대장균 등이 충분히 제거되지 못해 생강 분말이 쉽게 부패, 산패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의 살균단계가 70 ℃를 초과한 온도에서 실시될 경우에는 상등액 내의 유기산, 아미노산, 당류 등의 캐러멜 화 또는 메일라드 반응이 일어나 갈변 현상이 발생되고, 생강 특유의 향과 맛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살균단계는 55 ~ 70 ℃의 저온에서 8 ~ 20 분 동안 실시될 수 있다. 만약, 본 실시예의 살균단계가 55 ~ 70 ℃의 저온에서 8 분 미만으로 실시될 경우에는 유해한 미생물, 세균, 대장균 등이 충분히 제거되지 못해 생강 분말이 쉽게 부패, 산패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의 살균단계가 55 ~ 70 ℃의 저온에서 20 분을 초과하여 실시될 경우에는 살균 효과에 큰 차이가 없어 경제적이지 못할 수 있다.
(6) 상기 살균된 상등액을 냉각하는 냉각단계
본 실시예의 냉각단계에서는 상기 살균단계에 따라 55 ~ 70 ℃의 온도를 가지는 상등액을 냉각한다.
본 실시예의 냉각단계는 상기 55 ~ 70 ℃의 상등액을 20 ~ 30 ℃로 냉각함으로써, 실시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상등액을 20 ~ 30 ℃로 냉각하지 않을 경우에는 최종 수율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열기에 의해 생강 특유의 매콤한 맛과 향이 날아가 관능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7) 상기 냉각된 상등액을 여과하는 2차여과단계
본 실시예의 2차여과단계에서는 상기 냉각단계에 따라 냉각된 상등액을 여과하여, 잔여물, 부산물 등을 제거한다.
상기 여과는 공지된 모든 방법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공극의 크기가 약 20 ~ 25 마이크로미터로 형성된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를 실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8) 상기 여과된 상등액을 건조하는 건조단계
본 실시예의 건조단계에서는 상기 2차여과단계에서 여과된 상등액을 건조함으로써, 생강 분말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건조는 공지된 모든 방법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2차 여과된 상등액을 스프레이 드라이(Spray dry) 방법으로 건조시킬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생강 분말은 그 자체로도 식품 조성물로서 활용될 수 있고, 부형제 또는 첨가제 등과 혼합되어 식품 조성물로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식품 조성물은 차, 음료, 조미료, 향신료, 과자류, 빵류, 아이스크림류 등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생강 분말의 제조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 실시예 ]
실시예 1
먼저, (1)흠집이 없고 색이 고른 것을 선별 및 세척하여 생강을 준비하고, (2)생강을 압착기에 넣어 생강 착즙물을 제조하였다.
(3)상기 생강 착즙물을 약 5 ~ 7 ℃ 의 냉장 조건에서 약 60 분 동안 방치하여 침전시킴으로써, 상등액과 침전물로 분리하였다.
이 후, (4)분리된 상등액을 여과지(공극 크기 : 20 ~ 25 마이크로미터)로 여과하고, (5)여과한 상등액을 가열하여 60 ~ 65 ℃의 저온에서 약 15 분 동안 살균처리하였다.
(6)살균처리된 상등액을 20 ~ 30 ℃로 냉각한 다음 이를 (7)여과지(공극 크기 : 20 ~ 25 마이크로미터)로 여과하고, (8)최종 상등액을 스프레이 드라이하여, 생강 분말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먼저, (1)흠집이 없고 색이 고른 것을 선별 및 세척하여 생강을 준비하고, (2)생강을 압착기에 넣어 생강 착즙물을 제조하였다.
(3)상기 생강 착즙물을 약 5 ~ 7 ℃ 의 냉장 조건에서 약 60 분 동안 방치하여 침전시킴으로써, 상등액과 침전물로 분리하였다. 이때, 침전을 시작함과 동시에 상기 생강 착즙물의 고형분 대비 약 0.01 중량%의 초산을 투입하였다.
이 후, (4)분리된 상등액을 여과지(공극 크기 : 20 ~ 25 마이크로미터)로 여과하고, (5)여과한 상등액을 가열하여 60 ~ 65 ℃의 저온에서 약 15 분 동안 살균처리하였다.
(6)살균처리된 상등액을 20 ~ 30 ℃로 냉각한 다음 이를 (7)여과지(공극 크기 : 20 ~ 25 마이크로미터)로 여과하고, (8)최종 상등액을 스프레이 드라이하여, 생강 분말을 수득하였다.
[ 비교예 ]
비교예 1 : 전분분해효소 이용
실시예 1과 동일하되, 침전을 실시하여 전분을 제거하는 과정(3)을 대신하여, 생강 착즙물의 고형분 대비 전분분해효소(아밀라아제, ㈜엔지뱅크 등)를 약 0.1 중량%로 첨가하여 반응(4 ~ 5 시간, 50 ~ 60 ℃)시킴으로써, 생강 분말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2
(3)을 실시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3
(4)를 실시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4
(5)를 실시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5
(6)을 실시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6
(7)을 실시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7 내지 8
(3)의 침전을 실시하면서 하기 표 1의 온도로 실시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7 비교예8
(3)침전단계 온도 2 ℃ 15 ℃
비교예 9 내지 10
(5)의 살균을 하기 표 2의 온도로 실시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9 비교예10
(5)살균단계 온도 50 ℃ 75 ℃
비교예 11 내지 12
(6)의 냉각을 하기 표 3의 온도로 실시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9 비교예10
(6)냉각단계 온도 10 ~ 15 ℃ 30 ~ 35 ℃
비교예 12
(3)에서 생강 착즙물의 고형분 대비 약 0.5 중량%의 초산을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 실험예 ]
실험예 1 : 관능 평가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생강 분말 5 g과 따듯한 물 200 mL에 혼합하여, 생강차를 제조하고, 이의 관능 평가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관능 평가는 미각 및 후각이 정상인 20 대 여성 10 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향, 매콤한 맛 및 외관의 색을 5 점법으로 평가하도록 한 후, 그 평균값을 표 4에 나타내었다.
이때, 표 4에서 5 점에 가까울수록 생강 특유의 매콤한 맛과 향이 우수하며, 갈변되지 않은 맑은 노란색(황색)의 색을 가짐을 의미한다. 반면, 1 점에 가까울수록 생강 특유의 매콤한 맛과 향이 거의 없고, 갈변되어 갈색의 색을 가짐을 의미한다.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2 및 비교예 1 내지 12의 관능 평가를 실시하여, 표 4에 함께 나타내었다.
매콤한 맛
실시예1 4.5 4.0 4.0
실시예2 5.0 4.5 4.5
비교예1 3.5 3.5 3.0
비교예2 2.5 2.0 2.0
비교예3 2.0 1.5 2.5
비교예4 2.5 2.0 1.5
비교예5 2.5 1.5 2.0
비교예6 2.0 1.5 2.0
비교예7 2.0 1.5 1.5
비교예8 2.0 1.5 2.0
비교예9 3.0 2.5 3.0
비교예10 2.0 2.0 1.5
비교예11 3.0 3.0 3.0
비교예12 3.0 2.5 2.5
표 4를 보면,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생강 분말은 생강 특유의 매콤한 맛과 향이 우수하며, 갈변되지 않아 물에 용해되어 맑은 노란색(황색)을 가짐을 알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에 따르지 않는 비교예 1 내지 12의 경우에는, 생강 특유의 매콤한 맛과 향이 저하되고, 일부 갈변되어 색이 좋지 못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 미생물 활성 평가
실시예 1의 생강 분말을 약 25 ℃에서 4 주 동안 보관한 후, 일반 세균을 기준으로 건조필름법(Dry film method)에 따라, 미생물 수를 측정하여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에서, 미생물 수가 1g 당 107 미만인 경우에는 섭취가 가능하나, 그 이상인 경우에는 섭취가 어려운 부패된 상태였다.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2 및 비교예 1 내지 12 의 생강 분말의 미생물 활성을 평가하여, 표 5에 나타내었다.
초기 4주 후
실시예1 10 미만 102 미만
실시예2 102 미만
비교예1 104 미만
비교예2 107 이상
비교예3 107 이상
비교예4 107 이상
비교예5 104 미만
비교예6 104 미만
비교예7 107 이상
비교예8 107 이상
비교예9 107 이상
비교예10 102 미만
비교예11 104 미만
비교예12 104 미만
표 5를 보면, 본 실시에에 따를 경우 미생물의 번식이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1 및 2를 보면, 본 실시예의 제조방법에 따를 경우에는 전분을 충분히 제거하여 생강 특유의 향과 매콤한 맛을 가지면서도 미생물의 번식이 방지되고, 갈변되지 않아 외관미가 우수한, 생강 분말을 제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생강을 선별 및 세척하는 준비단계;
    상기 생강을 착즙하여 생강 착즙물을 제조하는 착즙단계;
    상기 생강 착즙물을 냉장 조건에서 방치하여 상등액과 침전물로 분리하는 침전단계;
    상기 상등액을 여과하는 1차여과단계;
    상기 상등액을 저온에서 살균하는 살균단계;
    상기 살균된 상등액을 냉각하는 냉각단계;
    상기 냉각된 상등액을 여과하는 2차여과단계; 및
    상기 여과된 상등액을 건조하는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강 분말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단계는
    4 ~ 10 ℃의 냉장 조건에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강 분말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단계에서는
    상기 생강 착즙물의 고형분 대비 0.001 ~ 0.1 중량%의 초산을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강 분말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단계에서는
    상기 상등액을 55 ~ 70 ℃에서 살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강 분말의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단계에서는
    상기 상등액을 55 ~ 70 ℃에서 8 ~ 20 분 동안 살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강 분말의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단계에서는
    상기 살균된 상등액을 20 ~ 30 ℃로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강 분말의 제조방법.
KR1020180132029A 2018-10-31 2018-10-31 생강 분말의 제조방법 KR102147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029A KR102147493B1 (ko) 2018-10-31 2018-10-31 생강 분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029A KR102147493B1 (ko) 2018-10-31 2018-10-31 생강 분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9128A true KR20200049128A (ko) 2020-05-08
KR102147493B1 KR102147493B1 (ko) 2020-08-25

Family

ID=70678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2029A KR102147493B1 (ko) 2018-10-31 2018-10-31 생강 분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749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6799A (ko) 2003-06-11 2004-12-18 (주)세계물산 생강농축분말의 제조방법
KR20130096484A (ko) * 2012-02-22 2013-08-30 남경수 생강탄산음료 제조방법
KR101458544B1 (ko) * 2012-08-27 2014-11-12 유희선 백합구근의 유기성분 추출방법
KR20160137761A (ko) * 2015-05-21 2016-12-01 (주) 건우에프피 고쇼가올 함유 발효 흑생강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발효 흑생강 추출물 분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6799A (ko) 2003-06-11 2004-12-18 (주)세계물산 생강농축분말의 제조방법
KR20130096484A (ko) * 2012-02-22 2013-08-30 남경수 생강탄산음료 제조방법
KR101458544B1 (ko) * 2012-08-27 2014-11-12 유희선 백합구근의 유기성분 추출방법
KR20160137761A (ko) * 2015-05-21 2016-12-01 (주) 건우에프피 고쇼가올 함유 발효 흑생강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발효 흑생강 추출물 분말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생강청 만드는 법(선물용, 정성 가득, 진하게 만드는 법). 네이버 블로그. 2015.11.14., [2019.10.14. 검색], 인터넷: <URL: https://blog.naver.com/jpt980?Redirect=Log&logNo=220539077197>*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7493B1 (ko) 2020-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9646B1 (ko) 땅콩새싹차 및 그 제조방법
KR101906304B1 (ko) 기능성 김치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9171949A (ja) 明日葉茶
KR102147493B1 (ko) 생강 분말의 제조방법
KR100947039B1 (ko) 마늘차와 이의 제조방법
US20140127357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rtichoke Tea
KR101764307B1 (ko) 연 성분이 함유된 기능성 소금 제조방법
KR101527552B1 (ko) C3g 성분 함유 감주 제조방법
KR101976835B1 (ko) 감을 이용한 양갱의 제조방법 및 그 양갱
KR101662798B1 (ko) 밤 가공 식품의 제조방법 및 그 밤 가공 식품
KR20120104463A (ko) 원두를 이용한 청국장, 청국장가루, 볶음 청국장, 숙성 청국장, 숙성 청국장가루, 간장, 된장, 된장가루, 고추장, 고추장가루 및 그 제조방법
KR102205488B1 (ko) 코어-쉘 구조의 생강 과립 및 이의 제조방법
JP6454378B2 (ja) 蜂蜜加工品、蜂蜜加工品を含む食品、蜂蜜加工品の製造方法
RU2418488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консервированного компота из слив
KR20100008929A (ko) 연자를 이용한 음료 제조 방법 및 음료
KR100882710B1 (ko) 배 음료
KR101769793B1 (ko) 프레미엄 전복칩 및 그 제조방법
KR102324445B1 (ko) 옥수수 양조간장 제조방법
KR102614914B1 (ko) 생강 발효차 및 그 제조방법
KR102515499B1 (ko) 잣 오일과 잣 추출물을 포함하는 잣김의 제조방법
KR20120102930A (ko) 기능성 커피 가공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94140A (ko) 수국차 추출액을 함유한 음료의 제조방법
KR101952778B1 (ko) 메밀 풍미와 기능성이 강화된 메밀식혜의 제조방법
KR102533478B1 (ko) 만능 양념소스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31351B1 (ko) 불린 쌀의 진공 포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