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1351B1 - 불린 쌀의 진공 포장방법 - Google Patents

불린 쌀의 진공 포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1351B1
KR101931351B1 KR1020180067454A KR20180067454A KR101931351B1 KR 101931351 B1 KR101931351 B1 KR 101931351B1 KR 1020180067454 A KR1020180067454 A KR 1020180067454A KR 20180067454 A KR20180067454 A KR 20180067454A KR 101931351 B1 KR101931351 B1 KR 101931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water
elvan
prepared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7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용
Original Assignee
이창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용 filed Critical 이창용
Priority to KR1020180067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13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1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1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2Packag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65B31/02Filling, closing, or filling and closing, containers or wrappers in chambers maintained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containing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B31/024Filling, closing, or filling and closing, containers or wrappers in chambers maintained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containing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specially adapted for wrappers o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5/00Preserving, protecting or purifying packages or package content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55/02Sterilising, e.g. of complete packages
    • B65B55/12Sterilising contents prior to, or during,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5Inorganic Compounds
    • A23V2250/156Mineral comb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린 쌀의 진공 포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불린 쌀의 진공 포장방법은 쌀을 준비하는 쌀 준비 단계(S100); 상기 준비된 쌀을 불릴 물을 준비하는 물 준비 단계(S200); 상기 혼합된 쌀과 맥반석 물 및 첨가액에서 맥반석 물 및 첨가액을 제거한 후 불린 쌀을 회수하고 살균 처리하는 물 제거 및 살균 처리 단계(S400); 상기 불린 쌀을 포장용기에 넣은 후, 상기 불린 쌀이 수용된 포장용기 내부를 가스로 치환하는 포장용기 가스 치환 단계(S500); 및 상기 가스로 치환된 포장용기를 밀봉하는 포장용기 봉합 및 제품화 단계(S600)를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밥맛을 더욱 좋게 하고 더욱 위생적이며 간편하게 밥을 지을 수 있으며, 식사의 편리성 및 건강에 유익한 효능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고, 웰빙 시대를 맞이하여 건강 지향적인 소비자의 수요에 부응할 수 있다.

Description

불린 쌀의 진공 포장방법{VACUUM PACKING METHOD FOR WET RICE}
본 발명은 불린 쌀의 진공 포장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에 불린 쌀을 가공하여 진공 포장함으로써, 밥맛을 더욱 좋게 하고 더욱 위생적이며 간편하게 밥을 지을 수 있도록 한 불린 쌀의 진공 포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쌀은 밥을 짓기 전에는 규칙적인 분자배열을 가지는 베타 전분이 주성분이 된다. 베타 전분은 수분의 함량이 적어 장기간 보관이 용이하지만 단단하고 맛이 없어 씹기 힘들고 소화도 어렵다. 따라서, 물과 열을 가하여 밥을 짓는 것에 의해 베타 전분이 호화(糊化)되면서 불규칙한 분자 배열을 갖는 알파 전분 상태의 밥으로 변화시켜 섭취하게 된다.
그러나 밥을 짓기 위해서는 솥과 같은 조리기구가 필요한데, 고정된 주거 공간에서는 이런 것들을 쉽게 사용할 수 있지만, 야외에서는 밥을 짓기 위하여 이들을 지참하는 것은 불편함이 크다.
따라서, 이들을 지참하기 어려운 야외에서 간편하게 밥을 먹기 위해 미리 밥을 지어 도시락으로 지참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런 도시락을 준비하는 것 자체도 번거롭고, 밥은 쌀에 비해 보존성이 매우 취약하며 무게도 많이 나가는 단점이 있다.
이런 단점을 극복하는 방법의 하나로, 쌀에 비해 쉽게 밥 상태로 전환될 수 있고, 밥에 비해서는 보존성이 좋고 지참이 간편한 건조형 즉석밥 혹은 건조밥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주식으로 이용되는 쌀은 전체 영양분의 대부분이 쌀눈과 속껍질 속에 있기 때문에 쌀눈과 속껍질이 그대로 있는 상태의 현미가 영양에 좋지만 현미는 속껍질의 섬유질 때문에 먹기에 거칠고 미관이 좋지 않으며 섬유질은 소화가 불량하다는 문제점이 있어 현미를 제외한 쌀은 그 쌀눈과 속껍질을 도정할 때 깍아 버리고 투명하게 하얀 광택이 나는 백미로 도정되어 판매되고 있다.
백미도 탄수화물, 단백질, 무기질, 비타민 등 영양소가 골고루 들어있기는 하지만 지방, 칼슘, 철분 등은 부족하여 영양 불균형으로 인한 질병에 대한 면역능력이 저하된다. 따라서, 쌀의 부족한 영양분을 보충하고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원래 쌀이 가지고 있는 천연물질 이외에도 키토산, 무기질, 칼슘, 식이섬유 등의 영양소를 첨가하거나, 보리, 콩, 수수 등의 다양한 종류의 곡류를 일정 비율로 혼합한 혼합 곡물식품을 이용한다.
한편, 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맞벌이 부부의 증가와 핵가족화로 생활의 간편성을 선호하게 되어 냉동밥, 레또르토밥, 무균포장밥 등 인스턴트 밥의 이용률이 급속히 높아가고 있다.
또한,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라 건강지향적인 식품을 선호하고 있으며, 발전된 과학기술을 식품산업에 응용함으로써, 보다 품질이 좋은 식품을 제공하려는 노력이 행해지고 있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02-0084006호(2002년 11월 04일 공개) 국내공개특허 제10-2017-0029966호(2017년 03월 16일 공개) 국내등록특허 제10-1460025호(2014년 11월 04일 등록)
본 발명은 물에 불린 쌀을 가공하여 진공 포장함으로써, 밥맛을 더욱 좋게 하고 더욱 위생적이며 간편하게 밥을 지을 수 있도록 한 불린 쌀의 진공 포장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식사의 편리성 및 건강에 유익한 효능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고, 웰빙 시대를 맞이하여 건강 지향적인 소비자의 수요에 부응할 수 있는 불린 쌀의 진공 포장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불린 쌀의 진공 포장방법은 쌀을 준비하는 쌀 준비 단계(S100); 상기 준비된 쌀을 불릴 맥반석 물 및 첨가액을 준비하는 물 준비 단계(S200); 상기 준비된 쌀과 맥반석 물 및 첨가액을 혼합한 후 쌀을 불리는 쌀 불림 단계(S300); 상기 혼합된 쌀과 맥반석 물 및 첨가액에서 맥반석 물 및 첨가액을 제거한 후 불린 쌀을 회수하고 살균 처리하는 물 제거 및 살균 처리 단계(S400); 상기 불린 쌀을 포장용기에 넣은 후, 상기 불린 쌀이 수용된 포장용기 내부를 가스로 치환하는 포장용기 가스 치환 단계(S500); 및 상기 가스로 치환된 포장용기를 밀봉하는 포장용기 봉합 및 제품화 단계(S600)를 포함한다.
상기 쌀 불림 단계(S300)에서는 상기 준비된 쌀 100 중량부에 대해 맥반석 물 및 첨가액의 혼합액을 250 내지 35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18 내지 22℃의 온도에서 상기 준비된 쌀을 불릴 수 있다.
상기 물 준비 단계(S200)에서 상기 준비된 쌀을 불릴 물로는 맥반석 물 및 첨가액이 포함된 물을 이용하되, 상기 맥반석 물은 가열용기의 바닥에 맥반석 및 게르마늄을 10:1 내지 10:3의 중량 비율로 배치한 후, 상기 맥반석 및 게르마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2000 내지 2500 중량부의 비율로 투입하고, 상기 가열용기를 밀폐한 후 150 내지 180℃의 온도 및 1.5 내지 2.0kgf/cm2의 압력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첨가액은 녹차잎 발효액, 아로니아 추출액 및 치자 열매 추출액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물에 불린 쌀을 가공하여 진공 포장함으로써, 밥맛을 더욱 좋게 하고 더욱 위생적이며 간편하게 밥을 지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식사의 편리성 및 건강에 유익한 효능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고, 웰빙 시대를 맞이하여 건강 지향적인 소비자의 수요에 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불린 쌀의 진공 포장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불린 쌀의 진공 포장방법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불린 쌀의 진공 포장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불린 쌀의 진공 포장방법은 쌀 준비 단계(S100), 물 준비 단계(S200), 쌀 불림 단계(S300), 물 제거 및 살균 처리 단계(S400), 포장용기 가스 치환 단계(S500) 및 포장용기 봉합 및 제품화 단계(S600)를 포함한다.
1. 쌀 준비 단계(S100)
상기 쌀 준비 단계(S100)는 물에 불린 후 진공 포장하여 상품화할 쌀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상기 쌀 준비 단계(S100)에서 준비되는 쌀로는 백미, 현미, 흑미 등 제조자가 상품화하려는 목적에 맞는 각종 공지된 쌀이 이용될 수 있다.
2. 물 준비 단계(S200)
상기 물 준비 단계(S200)는 상기 준비된 쌀을 불릴 물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상기 물 준비 단계(S200)에서는 포장된 쌀을 이용하여 밥을 지을 때, 밥맛을 더욱 좋게 하고 더욱 위생적이며 건강에 유익한 효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맥반석을 이용하여 가열한 후 냉각한 맥반석 물 및 각종 첨가액이 포함된 물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맥반석 물은 가열용기의 바닥에 맥반석 및 게르마늄을 10:1 내지 10:3의 중량 비율로 배치한 후, 상기 맥반석 및 게르마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2000 내지 2500 중량부의 비율로 투입하고, 상기 가열용기를 밀폐한 후 150 내지 180℃의 온도 및 1.5 내지 2.0kgf/cm2의 압력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맥반석 및 게르마늄을 가열하여 제조된 맥반석 물을 이용하여 쌀을 불림으로써, 상기 맥반석 및 게르마늄이 발산하는 원적외선을 이용하여 쌀을 불릴 수 있고, 쌀에 함유될 수 있는 중금속 성분을 제거할 수 있으며, 또한, 이물질 등에 오염된 쌀을 살균하는 효과도 이룰 수 있다.
상기 첨가액은 상기 맥반석 물과 혼합되어 쌀을 불림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쌀을 이용하여 밥을 지을 때, 밥맛을 더욱 좋게 하고 건강에 유익한 각종 기능성 성분들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첨가액으로는 녹차잎 발효액, 아로니아 추출액 및 치자 열매 추출액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녹차잎 발효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녹차 생잎을 채취하고 세척하여 상기 녹차 생잎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녹차는 전세계적으로 널리 음용되고 있는 기호음료의 하나로, 녹차의 주요성분은 카테킨, 카페인,아미노산, 비타민 및 무기질 등이 있으며 이들 성분들은 여러 가지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특히, 녹차의 활성 성분 중의 하나인 카테킨은 항종양, 항암, 항산화, 세포자살 유도, 신생혈관 억제, 콜레스테롤 저하 효능을 가진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세척된 녹차 생잎을 통풍이 잘되는 그늘에서 건조할 수 있는데, 상기 건조는 햇빛 건조시 엽록소가 파괴되고 녹차 고유의 향이 사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통풍이 잘되는 그늘진 장소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건조는 온도 20 내지 25℃ 및 습도 35 내지 45%로 유지되는 그늘에서 10 내지 30시간 동안 건조함으로써 상기 녹차 생잎의 수분 함량은 처음의 녹차 생잎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40 내지 55 중량%로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녹차 생잎의 건조에서는 상기와 같이 녹차 생잎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이 점진적으로 고르게 증발되도록 하여 녹차 고유의 맛과 향을 보다 용이하게 발휘시킬 수 있고, 녹차 생잎의 세포조직의 파괴로 공기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여 발효작용을 촉진시킴으로써 녹차잎 발효액에서 녹차의 맛과 향이 진하게 우러나도록 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건조된 녹차잎을 가열하여 덖음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건조된 녹차잎의 향과 유용성분이 충분히 침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건조된 녹차잎을 180 내지 210℃의 온도로 가열된 용기에서 3 내지 5분 동안 가열하여 덖음한 후 65 내지 75℃의 온도에서 50 내지 100분 동안 건조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녹차잎과 정제수를 혼합한 후, 상기 녹차잎을 제거하여 녹차잎 발효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녹차잎 발효액은 상기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녹차잎 1 내지 3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35 내지 45℃의 온도에서 1 내지 5시간 동안 녹차잎을 침출시켜 제조될 수 있는데, 상기 녹차잎의 침출이 상기한 하한 범위 미만으로 수행되는 경우에는 녹차잎 발효액에 녹차의 향과 유용성분이 충분히 침출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한 상한 범위를 초과하여 수행되는 경우에는 녹차의 향이 지나치게 침출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아로니아 추출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아로니아 생잎 및 열매를 채취하고 세척하여 상기 아로니아의 생잎 및 열매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채취된 아로니아 생잎 및 열매를 탄산수소나트륨이 용해된 혼합용액을 이용하여 세척할 수 있다. 상기 혼합용액은 탄산수소나트륨(NaHCO3)이 용해된 정제수를 이용할 수 있는데, 상기 혼합용액은 1 내지 3(w/w)% 농도 범위를 가지고, 30 내지 40℃의 온도에서 5 내지 15분 동안 세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산수소나트륨은 식품첨가물로도 이용되는 것으로, 독성이 없으며 침투, 확산, 팽창 등의 기능을 가질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아로니아 생잎 및 열매를 탄산수소나트륨을 사용하여 세척함으로써, 상기 아로니아 생잎 및 열매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곰팡이 등의 세포벽을 팽창시켜 살균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세척된 아로니아 생잎을 건조기에서 건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로니아 생잎의 건조는 햇빛 건조시 상기 아로니아 생잎의 엽록소가 파괴되고 아로니아 고유의 향이 사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한 온도 및 습도가 유지되는 건조기에서 수행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아로니아 생잎의 건조는 온도 25 내지 35℃ 및 습도 35 내지 40%로 유지되는 건조기에서 5 내지 15시간 동안 건조함으로써 상기 아로니아 생잎의 수분 함량은 처음의 아로니아 생잎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30 내지 40 중량%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건조된 아로니아 생잎을 정제수와 혼합한 후 가열하여 상기 아로니아 생잎 추출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아로니아 생잎 추출액은 상기 건조된 아로니아 생잎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2500 내지 3500 중량부를 혼합한 후 70 내지 80℃의 온도에서 30 내지 60분 동안 가열함으로써 상기 아로니아 생잎 추출액을 제조할 수 있다.
이어서, 아로니아 열매를 건조하여 상기 아로니아 열매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아로니아 열매의 건조는 50 내지 60℃ 및 습도 35 내지 45%로 유지되는 건조기에서 10 내지 30시간 동안 건조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조건으로 아로니아 열매를 건조함으로써, 상기 아로니아 열매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이 점진적으로 고르게 증발되도록 함으로써, 아로니아 열매의 고유의 향과 유용성분을 보다 용이하게 발휘시킬 수 있고, 아로니아 열매의 세포조직의 파괴로 공기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여 발효작용을 촉진함으로써 아로니아 열매의 향과 유용성분이 진하게 우러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건조된 아로니아 열매를 정제수와 혼합한 후 가열하여 상기 아로니아 열매 추출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아로니아 열매 추출액은 상기 건조된 아로니아 열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2500 내지 3500 중량부를 혼합한 후 50 내지 60℃의 온도에서 1 내지 5시간 동안 침지시킨 후, 상기 아로니아 열매가 침지된 정제수를 가열기에 투입하고, 상기 가열기에 투입된 아로니아 열매가 침지된 정제수를 120 내지 130℃의 온도 및 압력용기 내부 압력 1.5 내지 2.5kgf/cm2의 범위에서 1 내지 5시간 동안 가열함으로써 상기 아로니아 열매의 추출액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아로니아 열매를 정제수에 침지시킨 후 추출함으로써, 아로니아 열매의 식물벽을 약화시켜 추출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아로니아 생잎 추출액 및 아로니아 열매 추출액을 혼합함으로써 아로니아 추출액을 제조할 수 있는데, 상기 아로니아 추출액은 아로니아 생잎 추출액 10 내지 20 중량부 및 아로니아 열매 추출액 15 내지 2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아로니아 추출액을 5 내지 10℃의 온도에서 3 내지 8시간 보관함으로써 숙성시킬 수 있는데, 상기 아로니아 추출액을 상기와 같은 조건에서 숙성시킴으로써 상기 아로니아 추출액이 균일하게 혼합되고 향이 증진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치자 열매 추출액은 치자의 열매를 채취한 후, 상기 채취된 치자의 열매를 추출하여 제조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치자 열매 추출액은 (a) 건조된 치자 열매 1000 내지 1500g에 75%(v/v) 에탄올 수용액 10 내지 15ℓ로 75 내지 85℃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1차 추출한 다음, 75%(v/v) 에탄올 수용액 5 내지 10ℓ로 75 내지 85℃에서 3 내지 5시간 동안 2차 추출을 완료하고, 진공회전증발기에서 1000 내지 1200㎖가 될 때까지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추출액에 물을 가하여 2 내지 3배로 희석하고, 15,000 내지 18,000rpm에서 10 내지 3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고형분을 완전히 제거한 다음, 모아진 상등액을 1.0 내지 1.5배의 클로로포름으로 2회 추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클로로포름층을 제거하고, 수층을 1.0 내지 2.0배의 물을 첨가한 후, 90 내지 100℃의 온도에서 3 내지 7시간 동안 열수 추출한 다음, 추출된 여액을 여과하여 고형분을 제거함으로써 치자 열매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에 의해 치자 열매 추출액을 제조할 수 있다.
3. 쌀 불림 단계(S300)
상기 쌀 불림 단계(S300)는 상기 준비된 쌀과 맥반석 물 및 첨가액을 혼합한 후 불리는 단계이다.
상기 쌀 불림 단계(S300)에서는 상기 준비된 쌀을 맥반석 물 및 첨가액의 혼합액에 혼합할 수 있는데, 상기 준비된 쌀 100 중량부에 대해 맥반석 물 및 첨가액의 혼합액을 250 내지 35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18 내지 22℃의 온도에서 상기 준비된 쌀을 불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쌀 불림 단계(S300)에서는 상기 첨가액을 맥반석 물과 혼합하여 혼합액을 제조하는데, 상기 맥반석 물과 첨가액은 10:1 내지 10:3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고, 상기 첨가액은 녹차잎 발효액 1 내지 3 중량부, 아로니아 추출액 2 내지 5 중량부 및 치자 열매 추출액 3 내지 6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쌀 불림 단계(S300)에서는 준비된 쌀의 종류에 따라 쌀 불림 시간을 다양화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백미의 경우에는 30 내지 45분의 시간 동안 불릴 수 있고, 현미의 경우에는 4 내지 6시간 동안 불릴 수 있다.
4. 물 제거 및 살균 처리 단계(S400)
상기 물 제거 및 살균 처리 단계(S400)는 상기 혼합된 쌀과 맥반석 물 및 첨가액에서 불려진 쌀을 제거한 후 살균 처리하는 단계이다.
상기 물 제거 및 살균 처리 단계(S400)에서는 상기 쌀을 체반에 위치시켜 중력에 의해 물을 제거한 후 살균 처리할 수 있는데, 상기 물 제거 및 살균 처리의 방법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는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물 제거 및 살균 처리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5. 포장용기 가스 치환 단계(S500)
상기 포장용기 가스 치환 단계(S500)는 상기 불린 쌀이 수용된 포장용기 내부를 가스로 치환하는 단계이다. 상기 포장용기 가스 치환 단계(S500)는 상기 포장용기의 내부를 가스로 치환하여 포장함으로써,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불린 쌀의 저장기간을 연장시켜 불린 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치환 가스로는 질소 또는 이산화탄소의 혼합가스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질소와 이산화탄소는 80:20 내지 90:10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는데, 질소의 함량이 상기한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호기성 미생물이 성장하여 보존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이산화탄소의 함량이 상기한 상한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장기간 보관에 따른 불린 쌀의 외관 및 색의 기호도가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치환 가스로 사용되는 질소와 이산화탄소는 80:20 내지 90:10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6. 포장용기 봉합 및 제품화 단계(S600)
상기 포장용기 봉합 및 제품화 단계(S600)는 상기 가스로 치환된 포장용기를 밀봉하여 소비자가 이용할 수 있는 제품을 완성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포장용기의 밀봉은 융착히터를 이용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구성은 공지의 기술인 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불린 쌀의 진공 포장방법에 대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 실시예 >
상술한 바와 같은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불린 쌀을 준비하였다.
상기 불린 쌀은, 정미된 백미를 준비하였고, 백미 100 중량부에 맥반석 물 및 첨가액의 혼합액을 30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20℃의 온도에서 40분 동안 불렸는데, 상기 첨가액은 녹차잎 발효액 2 중량부, 아로니아 추출액 4 중량부 및 치자 열매 추출액 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었다.
이어서, 상기 맥반석 물 및 첨가액을 제거하여 불려진 백미를 준비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밥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
정미된 백미를 정제수에 40분 동안 침지시킨 후, 이를 이용하여 밥을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실시예를 통해 제조된 밥과, 비교예를 통해 제조된 밥의 찰기, 맛, 향 및 종합적 선호도에 대하여 관능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관능시험은 식품관련 전문가 및 일반 소비자 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점수 및 평가기준은 9점 채점법을 이용하였으며,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점수 평가 기준
9 매우 좋음
7 좋음
5 보통
3 나쁨
1 매우 나쁨
구분 찰기 종합적 선호도
실시예 8.3 8.4 8.3 8.3
비교예 7.1 7.2 7.5 7.3
전술한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제조된 밥의 찰기, 맛, 향 및 종합적 선호도를 비교한 결과,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밥이 비교예에 따른 밥에 비해 전체적인 찰기, 맛, 향 및 종합적 선호도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쌀을 맥반석 물과 녹차잎 발효액, 아로니아 추출액 및 치자 열매 추출액이 혼합된 첨가액에 일정시간 불려 밥을 짓고, 녹차잎 발효액, 아로니아 추출액 및 치자 열매 추출액의 맛과 향이 밥에 침투됨으로써, 소비자의 기호도를 충족시킨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4)

  1. 쌀을 준비하는 쌀 준비 단계(S100);
    상기 준비된 쌀을 불릴 맥반석 물 및 첨가액을 준비하는 물 준비 단계(S200);
    상기 준비된 쌀과 맥반석 물 및 첨가액을 혼합한 후 쌀을 불리는 쌀 불림 단계(S300);
    상기 혼합된 쌀과 맥반석 물 및 첨가액에서 맥반석 물 및 첨가액을 제거한 후 불린 쌀을 회수하고 살균 처리하는 물 제거 및 살균 처리 단계(S400);
    상기 불린 쌀을 포장용기에 넣은 후, 상기 불린 쌀이 수용된 포장용기 내부를 가스로 치환하는 포장용기 가스 치환 단계(S500); 및
    상기 가스로 치환된 포장용기를 밀봉하는 포장용기 봉합 및 제품화 단계(S600)를 포함하되,
    상기 물 준비 단계(S200)에서 상기 준비된 쌀을 불릴 물로는 맥반석 물 및 첨가액이 포함된 물을 이용하되,
    상기 맥반석 물은 가열용기의 바닥에 맥반석 및 게르마늄을 10:1 내지 10:3의 중량 비율로 배치한 후, 상기 맥반석 및 게르마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2000 내지 2500 중량부의 비율로 투입하고, 상기 가열용기를 밀폐한 후 150 내지 180℃의 온도 및 1.5 내지 2.0kgf/cm2의 압력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함으로써 제조되고,
    상기 쌀 불림 단계(S300)에서는 상기 준비된 쌀 100 중량부에 대해 맥반석 물 및 첨가액의 혼합액을 250 내지 35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18 내지 22℃의 온도에서 상기 준비된 쌀을 불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린 쌀의 진공 포장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액은 녹차잎 발효액, 아로니아 추출액 및 치자 열매 추출액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린 쌀의 진공 포장방법.
KR1020180067454A 2018-06-12 2018-06-12 불린 쌀의 진공 포장방법 KR101931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454A KR101931351B1 (ko) 2018-06-12 2018-06-12 불린 쌀의 진공 포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454A KR101931351B1 (ko) 2018-06-12 2018-06-12 불린 쌀의 진공 포장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1351B1 true KR101931351B1 (ko) 2018-12-20

Family

ID=64952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7454A KR101931351B1 (ko) 2018-06-12 2018-06-12 불린 쌀의 진공 포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135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025B1 (ko) * 2013-07-22 2014-11-11 한국식품연구원 중간수분 쌀가공식품의 가스치환 포장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025B1 (ko) * 2013-07-22 2014-11-11 한국식품연구원 중간수분 쌀가공식품의 가스치환 포장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2609B1 (ko) 발효현미를 이용한 기능성 소시지 및 그 제조방법
KR100901254B1 (ko) 즉석식 시래기 제조방법
KR20140096755A (ko) 기능성 즉석밥 및 제조방법
KR101123103B1 (ko) 건강성분을 강화한 발효식품 제조방법
KR102266142B1 (ko) 직화 핫도그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직화 핫도그
KR101370359B1 (ko) 쑥을 함유하는 장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장류
CN102578528B (zh) 一种含有中草药配方的保健黑豆豆豉及其生产工艺
KR20180115406A (ko) 보리소금을 이용한 보리성분 함유 굴비 및 그 제조방법
CN102578494B (zh) 一种含有中草药配方的保健黑豆豆豉及其生产工艺
KR101931351B1 (ko) 불린 쌀의 진공 포장방법
KR101752571B1 (ko) 갈화 추출물을 이용하여 배양, 숙성시킨 청국장 및 이를 이용한 갈화고추장 제조방법
CN102578487B (zh) 一种含有中草药配方的保健黑豆豆豉及其生产工艺
CN102578536B (zh) 一种含有中草药配方的保健黑豆豆豉及其生产工艺
KR101755119B1 (ko) 발효쌀 모시잎떡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발효쌀 모시잎떡
KR100653646B1 (ko) 과일 청국장 음료의 제조방법
KR102392646B1 (ko) 티백형 능이버섯차 및 그 제조 방법
KR102455930B1 (ko) 보리 발효곡의 제조 방법 및 보리 발효곡의 용도
KR960016567B1 (ko) 쑥 추출물과 고추씨 기름을 첨가하여 이취(異臭)가 없는 청국장의 제조방법
KR101228075B1 (ko) 하수오 청국장의 제조방법
KR102543221B1 (ko) 발효양파를 이용한 양념소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양념소스
CN102578493B (zh) 一种含有中草药配方的保健黑豆豆豉及其生产工艺
CN102578488A (zh) 一种含有中草药配方的保健黑豆豆鼓及其生产工艺
CN102578538B (zh) 一种含有中草药配方的保健黑豆豆鼓及其生产工艺
RU2416989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омпота из малины
KR20150048516A (ko) 기능성 야채 차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