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4076A - 엘리베이터의 비상 멈춤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비상 멈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4076A
KR20200044076A KR1020207008368A KR20207008368A KR20200044076A KR 20200044076 A KR20200044076 A KR 20200044076A KR 1020207008368 A KR1020207008368 A KR 1020207008368A KR 20207008368 A KR20207008368 A KR 20207008368A KR 20200044076 A KR20200044076 A KR 20200044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dge
guide rail
reverse
spring device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8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1990B1 (ko
Inventor
나오히로 시라이시
세이지 와타나베
미츠히로 야마즈미
마사유키 가키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44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4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1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1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22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means of linearly-movable w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26Positively-acting devices, e.g. latches, kn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의 비상 멈춤 장치에 있어서, 가압 스프링 장치는, 순(順)쐐기 가이드 부재의 가이드 레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에 저항력을 부여한다. 순(順)쐐기 부재는, 상부로 감에 따라서 가이드 레일로부터 멀어지는 역(逆)쐐기 가이드면을 가지고 있다. 역(逆)쐐기 부재는, 역(逆)쐐기 가이드면을 따라서 순(順)쐐기 부재에 대해서 이동할 수 있다. 세로 방향 스프링 장치는, 순(順)쐐기 부재에 대한 역(逆)쐐기 부재의 상부로의 이동에 저항력을 부여한다. 세로 방향 스프링 장치의 스프링 정수는, 가압 스프링 장치의 스프링 정수보다도 낮다. 세로 방향 스프링 장치는, 순(順)쐐기 부재에 대한 역(逆)쐐기 부재의 상부로의 변위량의 증대에 대해서, 발생하는 힘의 변화율이 변위 초기보다도 작게 되는 영역을 가진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비상 멈춤 장치
본 발명은,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승강하는 승강체에 탑재되어 있고, 가이드 레일과의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승강체를 비상 정지시키는 엘리베이터의 비상 멈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에는, 비상 멈춤 장치가 탑재되어 있다. 비상 멈춤 장치에는, 쐐기 모양의 제동자(制動子)가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의 하강 속도가 설정값을 넘으면, 조속기(調速機)가 작동하여 제동자가 가이드 레일에 밀어 붙여진다. 그리고, 제동자와 가이드 레일과의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이 비상 정지한다.
이 때, 마찰력, 즉 제동력은, 제동자와 가이드 레일과의 사이의 마찰 계수의 차이에 따라 변동한다. 즉, 제동력은, 제동자의 제동면을 가이드 레일의 제동면에 밀어 붙이는 수직항력이 일정해도, 제동면의 상태 및 제동 속도 등에 따라서 변화된다. 예를 들면, 감속 개시 직후에는, 제동 속도가 빠르고, 마찰력이 작기 때문에, 감속도가 작아진다. 이것에 대해서, 감속 종료 직전에는, 제동 속도가 느리고, 마찰력이 커지기 때문에, 감속도가 급격하게 커진다.
이것에 대해서,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비상 멈춤 장치에서는, 쐐기 본체와 역(逆)쐐기를 가지는 쐐기 모양체가 이용되고 있다. 쐐기 본체는, 안내판의 경사면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역(逆)쐐기는, 쐐기 본체에 대해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역(逆)쐐기의 상단부와 쐐기 본체와의 사이에는, 탄성체가 개재되어 있다. 안내판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과는 반대측에는, 판 스프링이 마련되어 있다.
비상 멈춤 장치의 작동시에, 마찰 계수가 증대되면, 탄성체가 압축된다. 이것에 의해, 수평 방향의 가압력이 저감되어, 제동력이 과대하게 되는 것이 억제된다. 반대로, 마찰 계수가 감소되면, 탄성체가 신장된다. 이것에 의해, 수평 방향의 가압력이 증대되어, 제동력이 과소하게 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 탄성체에는, 초기압(初期壓) 규제체가 장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탄성체의 하중 및 휨 특성이 2단계로 변화되고, 역(逆)쐐기의 이동 범위의 대부분을 사용하여 제동력이 조정된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공개 제2001-192184호 공보
상기와 같은 종래의 비상 멈춤 장치에서는, 탄성체의 하중 및 휨 특성이 2단계로 변화된다. 이 때문에, 탄성체의 특성의 변곡점에서 제동력이 급격하게 변화되어, 엘리베이터 칸에 충격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마찰 계수가 변화된 경우도, 엘리베이터 칸에 발생하는 충격을 억제하면서, 보다 안정된 제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비상 멈춤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비상 멈춤 장치는, 가이드 레일에 의해 안내되어 승강하는 승강체에 마련되는 프레임체, 상부로 감에 따라서 가이드 레일에 가까워지는 순(順)쐐기 가이드면을 가지고 있고, 프레임체에 대해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순(順)쐐기 가이드 부재, 프레임체와 순(順)쐐기 가이드 부재와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고, 순(順)쐐기 가이드 부재의 가이드 레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에 저항력을 부여하는 가압 스프링 장치, 순(順)쐐기 가이드 부재의 가이드 레일측에 마련되어 있고, 승강체의 비상 제동시에 끌어 올려져 순(順)쐐기 가이드면을 따라서 이동하는 순(順)쐐기 부재, 순(順)쐐기 부재의 가이드 레일측에 마련되어 있고, 승강체의 비상 제동시에 순(順)쐐기 부재와 함께 끌어 올려져 가이드 레일에 밀어 붙여지는 역(逆)쐐기 부재, 및 세로 방향 스프링 장치를 구비하며, 순(順)쐐기 부재는, 상부로 감에 따라서 가이드 레일로부터 멀어지는 역(逆)쐐기 가이드면을 가지고 있고, 역(逆)쐐기 부재는, 역(逆)쐐기 가이드면을 따라서 순(順)쐐기 부재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고, 세로 방향 스프링 장치는, 순(順)쐐기 부재에 대한 역(逆)쐐기 부재의 상부로의 이동에 저항력을 부여하고, 세로 방향 스프링 장치의 스프링 정수는, 가압 스프링 장치의 스프링 정수보다도 낮고, 세로 방향 스프링 장치는, 순(順)쐐기 부재에 대한 역(逆)쐐기 부재의 상부로의 변위량의 증대에 대해서, 발생하는 힘의 변화율이 변위 초기보다도 작게 되는 영역을 가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비상 멈춤 장치는, 가이드 레일에 의해 안내되어 승강하는 승강체에 마련되는 프레임체, 상부로 감에 따라서 가이드 레일에 가까워지는 순(順)쐐기 가이드면을 가지고 있고, 프레임체에 대해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순(順)쐐기 가이드 부재, 프레임체와 순(順)쐐기 가이드 부재와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고, 순(順)쐐기 가이드 부재의 가이드 레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에 저항력을 부여하는 주(主)가압 스프링 장치, 순(順)쐐기 가이드 부재의 가이드 레일측에 마련되어 있고, 승강체의 비상 제동시에 끌어 올려져 순(順)쐐기 가이드면을 따라서 이동하여, 가이드 레일에 밀어 붙여지는 순(順)쐐기 부재, 가이드 레일에 대해서 순(順)쐐기 부재와는 반대측에서 프레임체에 마련되어 있는 역(逆)쐐기 가이드 부재, 역(逆)쐐기 가이드 부재의 가이드 레일측에 마련되어 있는 역(逆)쐐기 부재, 및 세로 방향 스프링 장치를 구비하며, 역(逆)쐐기 가이드 부재는, 상부로 감에 따라서 가이드 레일로부터 멀어지는 역(逆)쐐기 가이드면을 가지고 있고, 역(逆)쐐기 부재는, 역(逆)쐐기 가이드면을 따라서 역(逆)쐐기 가이드 부재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고, 세로 방향 스프링 장치는, 역(逆)쐐기 가이드 부재에 대한 역(逆)쐐기 부재의 상부로의 이동에 저항력을 부여하고, 세로 방향 스프링 장치의 스프링 정수는, 주가압 스프링 장치의 스프링 정수보다도 낮고, 세로 방향 스프링 장치는, 역(逆)쐐기 가이드 부재에 대한 역(逆)쐐기 부재의 상부로의 변위량의 증대에 대해서 발생하는 힘의 변화율이 변위 초기보다도 작게 되는 영역을 가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비상 멈춤 장치는, 세로 방향 스프링 장치의 스프링 정수(定數)가, 가압 스프링 장치의 스프링 정수보다도 낮다. 또, 세로 방향 스프링 장치는, 순(順)쐐기 부재에 대한 역(逆)쐐기 부재의 상부로의 변위량의 증대에 대해서, 발생하는 힘의 변화율이 변위 초기보다도 작게 되는 영역을 가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마찰 계수가 변화된 경우에도, 엘리베이터 칸에 발생하는 충격을 억제하면서, 보다 안정된 제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비상 멈춤 장치의 통상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세로 방향 스프링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세로 방향 스프링 장치의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도 2의 비상 멈춤 장치의 작동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순(順)쐐기 부재가 프레임체에 대해서 상부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역(逆)쐐기 부재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과의 사이의 마찰 계수가 높게 된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도 8은 일반적인 접시 스프링의 휨비(比)와 하중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실시 형태 1의 비상 멈춤 장치에서의 마찰 계수와 마찰력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도 2의 세로 방향 스프링 장치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2의 세로 방향 스프링 장치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2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의 좌측에 배치되는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2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의 좌측에 배치되는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비상 멈춤 장치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비상 멈춤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승강로(1)의 상부에는, 기계실(2)이 마련되어 있다. 기계실(2)에는, 권상기(卷上機)(3), 디플렉터 쉬브(deflector sheave)(4), 및 제어장치(5)가 설치되어 있다. 권상기(3)는, 구동 쉬브(6), 권상기 모터(도시하지 않음), 및 권상기 브레이크(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있다. 권상기 모터는, 구동 쉬브(6)를 회전시킨다. 권상기 브레이크는, 구동 쉬브(6)의 회전을 제동한다.
구동 쉬브(6) 및 디플렉터 쉬브(4)에는, 현가체(7)가 감아 걸어져 있다. 현가체(7)로서는, 복수개의 로프 또는 복수개의 벨트가 이용되고 있다. 현가체(7)의 제1 단부에는, 승강체인 엘리베이터 칸(8)이 접속되어 있다. 현가체(7)의 제2 단부에는, 승강체인 균형추(9)가 접속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8) 및 균형추(9)는, 현가체(7)에 의해 승강로(1) 내에 매달려져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8) 및 균형추(9)는, 구동 쉬브(6)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제어장치(5)는, 권상기(3)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설정한 속도로 엘리베이터 칸(8)을 승강시킨다.
승강로(1) 내에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과,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11)이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은, 엘리베이터 칸(8)의 승강을 안내한다.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11)은, 균형추(9)의 승강을 안내한다. 승강로(1)의 저부에는, 엘리베이터 칸 완충기(12) 및 균형추 완충기(13)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8)의 하부에는, 비상 멈춤 장치(14)가 탑재되어 있다. 비상 멈춤 장치(14)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을 파지하여 엘리베이터 칸(8)을 비상 정지시킨다. 비상 멈춤 장치(14)에는, 비상 멈춤 장치(14)를 작동시키는 작동 레버(15)가 마련되어 있다.
기계실(2)에는, 조속기(16)가 마련되어 있다. 조속기(16)는, 엘리베이터 칸(8)의 과대 속도에서의 주행의 유무를 감시한다. 또, 조속기(16)는, 조속기 쉬브(17), 과대 속도 검출 스위치 및 로프 캐치(catch)를 가지고 있다. 조속기 쉬브(17)에는, 조속기 로프(18)가 감아 걸어져 있다.
조속기 로프(18)는, 승강로(1) 내에 고리 모양으로 부설되고, 작동 레버(15)에 접속되어 있다. 승강로(1)의 하부에는, 텐션 쉬브(tension sheave)(19)가 마련되어 있다. 텐션 쉬브(19)에는, 조속기 로프(18)가 감아 걸어져 있다. 조속기 로프(18)는, 도 1에서는 간단히 하기 위해서 엘리베이터 칸(8)의 후방에 그렸지만, 실제로는 일방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의 근방에 부설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8)이 승강하면, 조속기 로프(18)가 순환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조속기 쉬브(17)는, 엘리베이터 칸(8)의 주행 속도에 따른 회전 속도로 회전한다.
조속기(16)에서는, 엘리베이터 칸(8)의 주행 속도가 과대 속도에 이른 것이 기계적으로 검출된다. 조속기(16)에는, 제1 과대 속도(Vos) 및 제2 과대 속도(Vtr)가 설정되어 있다. 제1 과대 속도(Vos)는, 정격 속도(Vr)보다도 높은 속도이다. 제2 과대 속도(Vtr)는, 제1 과대 속도보다도 높은 속도이다.
엘리베이터 칸(8)의 주행 속도가 제1 과대 속도(Vos)에 이르면, 과대 속도 검출 스위치가 조작된다. 이것에 의해, 권상기(3)로의 급전이 차단되어, 권상기 브레이크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8)이 급정지한다.
엘리베이터 칸(8)의 하강 속도가 제2 과대 속도(Vtr)에 이르면, 로프 캐치에 의해 조속기 로프(18)가 파지되어, 조속기 로프(18)의 순환이 정지된다. 이것에 의해, 작동 레버(15)가 조작되어 비상 멈춤 장치(14)가 작동하여, 엘리베이터 칸(8)이 비상 정지한다.
도 2는 도 1의 비상 멈춤 장치(14)의 통상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비상 멈춤 장치(14)는, 엘리베이터 칸(8)의 폭방향 양측에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또, 비상 멈춤 장치(14)는, 작동 레버(15)가 조작되면,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을 동시에 파지한다.
실시 형태 1의 비상 멈춤 장치(14)는, 프레임체(21), 순(順)쐐기 가이드 부재(22), 가압 스프링 장치(23), 순(順)쐐기 부재(24), 역(逆)쐐기 부재(25), 및 세로 방향 스프링 장치(26)를 가지고 있다.
프레임체(21)는, 엘리베이터 칸(8)의 하부에 마련되어 있다. 또, 프레임체(21)는, 수평부(21a) 및 수직부(21b)를 가지고 있다. 수평부(21a)는, 엘리베이터 칸(8)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다. 수직부(21b)는, 수평부(21a)의 단부로부터 하부로 수직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 수직부(21b)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에 대향하고 있다.
순(順)쐐기 가이드 부재(22)는, 수평부(21a)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또, 순(順)쐐기 가이드 부재(22)는, 수평부(21a)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다. 즉, 순(順)쐐기 가이드 부재(22)는, 프레임체(21)에 대해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게다가, 순(順)쐐기 가이드 부재(22)는, 순(順)쐐기 가이드면(22a)을 가지고 있다. 순(順)쐐기 가이드면(22a)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에 대향하고 있다. 또, 순(順)쐐기 가이드면(22a)은, 상부, 즉 엘리베이터 칸(8)의 상승 방향으로 감에 따라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에 가까워지도록,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가압 스프링 장치(23)는, 프레임체(21)와 순(順)쐐기 가이드 부재(22)와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또, 가압 스프링 장치(23)는, 순(順)쐐기 가이드 부재(22)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에 저항력을 부여한다.
즉, 가압 스프링 장치(23)는, 순(順)쐐기 가이드 부재(22)가 수직부(21b)측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압축된다. 이 때, 가압 스프링 장치(23)는, 순(順)쐐기 가이드 부재(22)를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측으로 되돌아가게 하는 힘을 발생시킨다. 가압 스프링 장치(23)로서는, 예를 들면 복수의 접시 스프링 적층체가 이용된다. 각 접시 스프링 적층체는, 복수의 접시 스프링을 직렬로 겹쳐서 구성된다.
순(順)쐐기 부재(24)는, 순(順)쐐기 가이드 부재(22)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측에 마련되어 있다. 즉, 순(順)쐐기 부재(24)는, 순(順)쐐기 가이드 부재(22)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과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또, 순(順)쐐기 부재(24)는, 순(順)쐐기 본체(24a), 스토퍼부(24b), 및 스프링 받이부(24c)를 가지고 있다. 스토퍼부(24b)는, 순(順)쐐기 본체(24a)의 하단부로부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측으로 수평으로 돌출되어 있다. 스프링 받이부(24c)는, 순(順)쐐기 본체(24a)의 상단부로부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측으로 수평으로 돌출되어 있다.
순(順)쐐기 본체(24a)는, 순(順)쐐기면(24d) 및 역(逆)쐐기 가이드면(24e)을 가지고 있다. 순(順)쐐기면(24d)은, 순(順)쐐기 가이드면(22a)에 대향하고 있다. 또, 순(順)쐐기면(24d)은, 상부로 감에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에 가까워지도록,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역(逆)쐐기 가이드면(24e)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에 대향하고 있다. 또, 역(逆)쐐기 가이드면(24e)은, 상부로 감에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로부터 멀어지도록,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순(順)쐐기면(24d)과 역(逆)쐐기 가이드면(24e)과의 간격은, 상부로 감에 따라서 작아지고 있다. 순(順)쐐기 부재(24)는, 엘리베이터 칸(8)의 비상 제동시에 끌어 올려져, 순(順)쐐기 가이드면(22a)을 따라서 프레임체(21)에 대해서 상부로 이동한다.
역(逆)쐐기 부재(25)는, 순(順)쐐기 부재(24)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측에 마련되어 있다. 또, 역(逆)쐐기 부재(25)는, 역(逆)쐐기 가이드면(24e)을 따라서 순(順)쐐기 부재(24)에 대해서 이동할 수 있다.
게다가, 역(逆)쐐기 부재(25)는, 역(逆)쐐기면(25a) 및 제동면(25b)을 가지고 있다. 역(逆)쐐기면(25a)은, 역(逆)쐐기 가이드면(24e)에 대향하고 있다. 또, 역(逆)쐐기면(25a)은, 상부로 감에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로부터 멀어지도록,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제동면(25b)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에 대향하고 있다. 또, 제동면(25b)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에 대해서 평행이다.
역(逆)쐐기면(25a)과 제동면(25b)과의 간격은, 상부로 감에 따라서 커지고 있다. 역(逆)쐐기 부재(25)는, 엘리베이터 칸(8)의 비상 제동시에 순(順)쐐기 부재(24)와 함께 끌어 올려져,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에 밀어 붙여진다.
세로 방향 스프링 장치(26)는, 스프링 받이부(24c)와 역(逆)쐐기 부재(25)의 상면과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또, 세로 방향 스프링 장치(26)는, 순(順)쐐기 부재(24)에 대한 역(逆)쐐기 부재(25)의 상부로의 이동에 저항력을 부여한다.
즉, 세로 방향 스프링 장치(26)는, 역(逆)쐐기 부재(25)가 순(順)쐐기 부재(24)에 대해서 상부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압축된다. 이 때, 세로 방향 스프링 장치(26)는, 역(逆)쐐기 부재(25)를 순(順)쐐기 부재(24)에 대해서 하부로 되돌리게 하는 힘을 발생시킨다.
도 3은 도 2의 세로 방향 스프링 장치(26)의 일 예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세로 방향 스프링 장치(26)는, 코일 스프링(31), 접시 스프링 받이(32), 및 접시 스프링(33)을 가지고 있다. 코일 스프링(31)의 하단은, 역(逆)쐐기 부재(25)의 상면에 접속되어 있다.
접시 스프링 받이(32)는, 코일 스프링(31)의 상단에 접속되어 있다. 접시 스프링(33)은, 접시 스프링 받이(32)의 상부에 유지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31) 및 접시 스프링(33)은, 직렬로 배치되어 있다. 접시 스프링(33)의 상단은, 스프링 받이부(24c)에 닿아 있다.
접시 스프링 받이(32)의 상면에는, 변형 규제부(32a)가 마련되어 있다. 변형 규제부(32a)는, 접시 스프링(33)의 변형을 기계적으로 규제하여 접시 스프링(33)의 버클링(buckling)을 방지한다. 또, 변형 규제부(32a)는, 접시 스프링(33)의 하단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접시 스프링(33)의 휨이 크게 되어, 변형 규제부(32a)가 스프링 받이부(24c)에 닿음으로써, 접시 스프링(33)이 그것 이상 변형되는 것이 저지된다.
세로 방향 스프링 장치(26)의 스프링 정수는, 가압 스프링 장치(23)의 스프링 정수보다도 낮다. 또, 세로 방향 스프링 장치(26)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축량이 증대되면 스프링 정수가 내려가는 비선형 특성을 가지고 있다. 게다가, 세로 방향 스프링 장치(26)는, 순(順)쐐기 부재(24)에 대한 역(逆)쐐기 부재(25)의 상부로의 변위량의 증대에 대해서, 발생하는 힘의 변화율이 변위 초기보다도 매끄럽게 작게 되는 영역을 가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도 5는 도 2의 비상 멈춤 장치(14)의 작동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순(順)쐐기 부재(24)가 프레임체(21)에 대해서 상부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역(逆)쐐기 부재(25)와 가이드 레일(10)과의 사이의 마찰 계수가 높게 된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엘리베이터 칸(8)의 하강 속도가 제2 과대 속도(Vtr)에 이르면, 조속기 로프(18)를 통해서, 엘리베이터 칸(8)에 대해서 작동 레버(15)가 끌어 올려진다. 이것에 의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순(順)쐐기 부재(24) 및 역(逆)쐐기 부재(25)가 프레임체(21)에 대해서 상부로 끌어 올려진다. 그리고, 역(逆)쐐기 부재(25)의 제동면(25b)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에 접촉한다.
이 후, 순(順)쐐기 부재(24) 및 역(逆)쐐기 부재(25)는, 순(順)쐐기 가이드면(22a)과 가이드 레일(10)과의 사이에 파고 들어 간다. 이것에 의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 스프링 장치(23)가 압축된다.
엘리베이터 칸(8)의 속도가 높은 단계에서는, 역(逆)쐐기 부재(25)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과의 사이의 마찰 계수는 낮다. 이 때문에, 세로 방향 스프링 장치(26)의 압축량, 및 순(順)쐐기 부재(24)에 대한 역(逆)쐐기 부재(25)의 상승량은, 각각 작다.
엘리베이터 칸(8)의 속도가 낮아지면, 역(逆)쐐기 부재(25)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과의 사이의 마찰 계수가 높아진다. 이 때문에, 세로 방향 스프링 장치(26)의 압축량, 및 순(順)쐐기 부재(24)에 대한 역(逆)쐐기 부재(25)의 상승량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커진다.
이 때, 세로 방향 스프링 장치(26)가 압축되면, 역(逆)쐐기 부재(25)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로부터 멀어지려고 한다. 이 때문에, 그것을 억제하도록 가압 스프링 장치(23)가 신장된다. 이것에 의해, 순(順)쐐기 가이드 부재(22) 및 순(順)쐐기 부재(24)를 통해서, 역(逆)쐐기 부재(25)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에 닿아진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역(逆)쐐기 부재(25)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로 가압력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마찰력이 떨어져, 제동력이 과대하게 되는 것이 억제된다.
반대로, 세로 방향 스프링 장치(26)가 신장되면, 역(逆)쐐기 부재(25)에 의해, 순(順)쐐기 부재(24)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로부터 멀어진다. 이것에 의해, 가압 스프링 장치(23)가 수축하여, 역(逆)쐐기 부재(25)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로의 가압력이 오르기 때문에, 마찰력이 상승하여, 제동력이 과소하게 되는 것이 억제된다.
이와 같이, 실시 형태 1에서는, 마찰 계수의 변화에 따라 가압력이 기계적으로 연속적으로 조정되기 때문에, 마찰력의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세로 방향 스프링 장치(26)는, 마찰력 검지 스프링 장치로서도 기능하고 있다.
여기서, 도 8은 일반적인 접시 스프링의 휨비와 하중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에서는, 접시 스프링의 유효 높이(h0)와, 접시 스프링을 구성하고 있는 재료의 판 두께(t)와의 비(比)마다, 휨비와 하중비와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비선형으로 최대값을 가지는 접시 스프링은, h0/t가 1.4를 넘으면, 밀착 휨, 즉 최대 휨 부근에서 휨이 증가해도 하중이 증가하지 않게 되는 특성을 가진다. 그리고, 이러한 비선형성은, h0/t의 값이 커짐에 따라 늘어난다.
실시 형태 1에서는, 접시 스프링의 비선형 특성, 즉 최대값 부근에서의 수축량에 의존하지 않는 일정 하중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치수 공차(公差)의 감도(感度)를 떨어뜨릴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마찰 계수가 변화되거나 치수 공차가 있었거나 한 경우에도, 보다 안정된 제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비상 멈춤 장치(14)에서는, 세로 방향 스프링 장치(26)의 스프링 정수가, 가압 스프링 장치(23)의 스프링 정수보다도 낮다. 또, 세로 방향 스프링 장치(26)는, 상기와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역(逆)쐐기 부재(25)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과의 사이의 마찰 계수가 변화된 경우에도, 엘리베이터 칸(8)에 발생하는 충격을 억제하면서, 보다 안정된 제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다음 식은, 실시 형태 1의 비상 멈춤 장치(14)의 마찰력(Fs)을 나타내는 식이다. 또, k1는, 세로 방향 스프링 장치(26)의 스프링 정수이다. k3는, 가압 스프링 장치(23)의 스프링 정수이다. φ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에 대한 역(逆)쐐기 가이드면(24e)의 경사 각도이다. A는, 가압 스프링 장치(23)의 초기 수축에 관한 계수이다. μ는, 마찰 계수이다. 또, tanφ×μ는, 마이너스가 되지 않는 항이다.
[수식 1]
Figure pct00001
도 9는 실시 형태 1의 비상 멈춤 장치(14)에서의 마찰 계수와 마찰력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에서는, 실시 형태 1의 비상 멈춤 장치(14)의 특성을 실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 도 9에서는, 역(逆)쐐기 부재 및 세로 방향 스프링 장치를 가지지 않는 종래의 일반적인 비상 멈춤 장치의 특성을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종래의 일반적인 비상 멈춤 장치에서는, 마찰 계수에 비례하여 마찰력이 변화된다. 이것에 대해서, 실시 형태 1의 비상 멈춤 장치(14)에서는, 위의 식의 k1/k3를 0에 가깝게 하는 것에 의해, 마찰 계수의 변화에 대해서, 마찰력의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 k1/k3를 0에 가깝게 하는 것에 의해, 마찰 계수의 변화에 대해서 마찰력을 매끄럽게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마찰 계수의 변화에 대해서 제동력이 급격하게 변화되는 것을 억제하여, 엘리베이터 칸에 충격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접시 스프링(33)을 이용했으므로, 간단한 구성에 의해, 세로 방향 스프링 장치(26)의 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게다가 또, 접시 스프링 받이(32)에 변형 규제부(32a)를 마련했으므로, 간단한 구성에 의해, 접시 스프링(33)의 버클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실시 형태 1에서는, 코일 스프링(32)과 접시 스프링(33)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또, 낮은 하중 영역에서의 접시 스프링(33)의 스프링 정수는, 코일 스프링(31)의 스프링 정수에 비해 작고, 거의 0이다. 이 때문에, 역(逆)쐐기 부재(25)가 끌어 올려지면, 처음은 코일 스프링(31)이 크게 수축하여, 도중부터 접시 스프링(33)이 수축하기 쉽다. 이것에 의해, 스트로크를 신장시키는 것과, 공차의 조정 기능을 공존시킬 수 있다.
또, 코일 스프링(31)과 접시 스프링(33)을 조합시켜 이용하는 경우, 코일 스프링(31) 및 접시 스프링(33)의 배치는, 상하 반대라도 좋다.
또, 세로 방향 스프링 장치(26)의 구성은, 도 3에 나타낸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세로 방향 스프링 장치(26)는,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시 스프링 받이(32)와 접시 스프링(33)과의 조합을 2단 이상 직렬로 겹친 구성 이라도 좋다. 이 경우, 코일 스프링(31)은 이용하지 않아도 괜찮다. 또, 도 10의 구성에 코일 스프링(31)을 추가해도 괜찮다.
게다가, 도 11은 도 3에 나타낸 세로 방향 스프링 장치(26)에 스토퍼 볼트(34)를 추가한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스토퍼 볼트(34)의 하단부는, 역(逆)쐐기 부재(25)의 상단에 마련된 나사 구멍에 밀어 넣어 고정되어 있다. 또, 스토퍼 볼트(34)는, 코일 스프링(31), 접시 스프링 받이(32), 접시 스프링(33) 및 수평부(21a)를 관통하고 있다. 게다가, 스토퍼 볼트(34)의 상단부는, 수평부(21a) 상에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코일 스프링(31) 및 접시 스프링(33)의 횡변위 및 덜거덕거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세로 방향 스프링 장치(26)에 초기 하중을 용이하게 부여할 수 있다.
게다가 또, 세로 방향 스프링 장치(26)의 하중 특성은, 접시 스프링 받이(32)와 접시 스프링(33)과의 접촉부에 생기는 마찰에 의해서도 변화된다. 이 때문에, 접시 스프링 받이(32) 및 접시 스프링(33) 중 적어도 어느 일방의 표면 거칠기의 선택 또는 소재의 선택에 의해서, 하중 특성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또, 접시 스프링(33)의 접시 스프링 받이(32)와의 접촉부에 라운딩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서, 하중 특성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또, 도 2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의 편측에만 비상 멈춤 장치(14)가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의 양측에, 도 2의 구성을 대칭으로 배치해도 괜찮다.
게다가, 도 2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의 좌측에, 도 12와 같은 제동자(35) 및 제동자 스프링 장치(36)를 배치해도 괜찮다. 제동자(35)는, 통상시에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에 대해서 간격을 두고 대향하고 있다. 또, 제동자(35)는, 제동자 스프링 장치(36)를 매개로 하여 프레임체(21)에 지지되어 있다.
비상 멈춤 장치(14)의 작동시에는, 도 2의 역(逆)쐐기 부재(25)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에 밀어 붙여진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8) 및 프레임체(21)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에 대해서 수평 방향, 즉 도 2의 우측 방향으로 변위된다. 이것에 의해, 제동자(35)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에 밀어 붙여져, 제동자 스프링 장치(36)가 압축된다. 이 결과, 제동자(35)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과의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된다.
게다가 또, 도 2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의 좌측에, 도 13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쐐기 제동자(37), 쐐기 제동자 가이드 부재(38) 및 쐐기 제동자 스프링 장치(39)를 배치해도 괜찮다. 쐐기 제동자(37)는, 통상시에는, 도 13의 위치보다도 하부에 위치하고 있고,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에 대해서 간격을 두고 대향하고 있다.
쐐기 제동자 가이드 부재(38)는, 쐐기 제동자 스프링 장치(39)를 매개로 하여 프레임체(21)에 지지되어 있다. 또, 쐐기 제동자 가이드 부재(38)는, 쐐기 제동자 가이드면(38a)을 가지고 있다. 쐐기 제동자 가이드면(38a)은, 상부로 감에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에 가까워지도록,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비상 멈춤 장치(14)의 작동시에는, 도 2의 역(逆)쐐기 부재(25)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에 밀어 붙여진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8) 및 프레임체(21)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에 대해서 수평 방향, 즉 도 2의 우측 방향으로 변위된다. 이것에 의해, 쐐기 제동자(37)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에 접촉하고, 쐐기 제동자 가이드 부재(38)에 대해서 상부로 이동한다.
이 결과, 쐐기 제동자 스프링 장치(39)가 압축되어, 쐐기 제동자(37)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과의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한다. 또, 쐐기 제동자(37)는, 비상 멈춤 장치(14)의 작동시에 작동 레버(15)에 의해서 끌어 올려져도 괜찮다.
실시 형태 2.
다음으로,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비상 멈춤 장치의 요부 단면도이며, 작동시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실시 형태 2의 비상 멈춤 장치는, 프레임체(51), 순(順)쐐기 가이드 부재(52), 주가압 스프링 장치(53), 순(順)쐐기 부재(54), 역(逆)쐐기 가이드 부재(55), 보조 가압 스프링 장치(56), 역(逆)쐐기 부재(57), 및 세로 방향 스프링 장치(58)를 가지고 있다.
프레임체(51)는, 수평부(51a), 제1 수직부(51b), 및 제2 수직부(51c)를 가지고 있다. 수평부(51a)는, 엘리베이터 칸(8)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다. 제1 수직부(51b)는, 수평부(51a)의 일단으로부터 하부로 수직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2 수직부(51c)는, 수평부(51a)의 타단으로부터 하부로 수직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1 수직부(51b)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의 일측에 대향하고 있다. 제2 수직부(51c)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의 타측에 대향하고 있다.
순(順)쐐기 가이드 부재(52)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의 일측에서, 수평부(51a)의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또, 순(順)쐐기 가이드 부재(52)는, 수평부(51a)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다. 즉, 순(順)쐐기 가이드 부재(52)는, 프레임체(51)에 대해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게다가, 순(順)쐐기 가이드 부재(52)는, 순(順)쐐기 가이드면(52a)을 가지고 있다. 순(順)쐐기 가이드면(52a)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에 대향하고 있다. 또, 순(順)쐐기 가이드면(52a)은, 상부로 감에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에 가까워지도록,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주가압 스프링 장치(53)는, 프레임체(51)와 순(順)쐐기 가이드 부재(52)와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또, 주가압 스프링 장치(53)는, 순(順)쐐기 가이드 부재(52)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에 저항력을 부여한다.
즉, 주가압 스프링 장치(53)는, 순(順)쐐기 가이드 부재(52)가 제1 수직부(51b)측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압축된다. 이 때, 주가압 스프링 장치(53)는, 순(順)쐐기 가이드 부재(52)를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측으로 되돌아가게 하는 힘을 발생시킨다.
순(順)쐐기 부재(54)는, 순(順)쐐기 가이드 부재(52)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측에 마련되어 있다. 즉, 순(順)쐐기 부재(54)는, 순(順)쐐기 가이드 부재(52)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과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또, 순(順)쐐기 부재(54)는, 순(順)쐐기면(54a) 및 제동면(54b)을 가지고 있다. 순(順)쐐기면(54a)은, 순(順)쐐기 가이드면(52a)에 대향하고 있다. 또, 순(順)쐐기면(54a)은, 상부로 감에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에 가까워지도록,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제동면(54b)은, 통상시에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에 대향하고 있다. 또, 제동면(54b)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에 대해서 평행이다.
순(順)쐐기면(54a)과 제동면(54b)과의 간격은, 상부로 감에 따라서 작아지고 있다. 순(順)쐐기 부재(54)는, 엘리베이터 칸(8)의 비상 제동시에 끌어 올려져 순(順)쐐기 가이드면(52a)을 따라서 이동하여,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에 밀어 붙여진다.
역(逆)쐐기 가이드 부재(55)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에 대해서 순(順)쐐기 부재(54)와는 반대측에서 프레임체(51)에 마련되어 있다. 또, 역(逆)쐐기 가이드 부재(55)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의 타측에서, 수평부(51a)의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게다가, 역(逆)쐐기 가이드 부재(55)는, 수평부(51a)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다. 즉, 역(逆)쐐기 가이드 부재(55)는, 프레임체(51)에 대해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게다가 또, 역(逆)쐐기 가이드 부재(55)는, 역(逆)쐐기 가이드면(55a)을 가지고 있다. 역(逆)쐐기 가이드면(55a)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에 대향하고 있다. 또, 역(逆)쐐기 가이드면(55a)은, 상부로 감에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로부터 멀어지도록,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보조 가압 스프링 장치(56)는, 프레임체(51)와 역(逆)쐐기 가이드 부재(55)와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또, 보조 가압 스프링 장치(56)는, 역(逆)쐐기 가이드 부재(55)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에 저항력을 부여한다.
즉, 보조 가압 스프링 장치(56)는, 역(逆)쐐기 가이드 부재(55)가 제2 수직부(51c)측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압축된다. 이 때, 보조 가압 스프링 장치(56)는, 역(逆)쐐기 가이드 부재(55)를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측으로 되돌아가게 하는 힘을 발생시킨다. 주가압 스프링 장치(53) 및 보조 가압 스프링 장치(56)로서는, 예를 들면 복수의 접시 스프링 적층체가 이용된다.
역(逆)쐐기 부재(57)는, 역(逆)쐐기 가이드 부재(55)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측에 마련되어 있다. 또, 역(逆)쐐기 부재(57)는, 역(逆)쐐기 가이드면(55a)을 따라서 역(逆)쐐기 가이드 부재(55)에 대해서 이동할 수 있다.
게다가, 역(逆)쐐기 부재(57)는, 역(逆)쐐기면(57a) 및 접촉면(57b)을 가지고 있다. 역(逆)쐐기면(57a)은, 역(逆)쐐기 가이드면(55a)에 대향하고 있다. 또, 역(逆)쐐기면(57a)은, 상부로 감에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로부터 멀어지도록,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접촉면(57b)은, 통상시에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에 대향하고 있다. 또, 접촉면(57b)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에 대해서 평행이다.
역(逆)쐐기면(57a)과 접촉면(57b)과의 간격은, 상부로 감에 따라서 작아지고 있다. 비상 멈춤 장치의 작동시에는, 순(順)쐐기 부재(54)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에 밀어 붙여진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8) 및 프레임체(21)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에 대해서 수평 방향, 즉 도 14의 좌측 방향으로 변위된다. 이것에 의해, 접촉면(57b)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에 접촉된다.
세로 방향 스프링 장치(58)는, 수평부(51a)와 역(逆)쐐기 부재(57)의 상면과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또, 세로 방향 스프링 장치(58)는, 역(逆)쐐기 가이드 부재(55)에 대한 역(逆)쐐기 부재(57)의 상부로의 이동에 저항력을 부여한다.
즉, 세로 방향 스프링 장치(58)는, 역(逆)쐐기 부재(57)가 역(逆)쐐기 가이드 부재(55)에 대해서 상부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압축된다. 이 때, 세로 방향 스프링 장치(58)는, 역(逆)쐐기 부재(57)를 역(逆)쐐기 가이드 부재(55)에 대해서 하부로 되돌리게 하는 힘을 발생시킨다.
세로 방향 스프링 장치(58)로서는, 실시 형태 1의 세로 방향 스프링 장치(26)와 동일한 스프링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또, 세로 방향 스프링 장치(58)의 특성도, 실시 형태 1의 세로 방향 스프링 장치(26)의 특성과 동일하다.
게다가, 세로 방향 스프링 장치(58)의 스프링 정수는, 주가압 스프링 장치(53)의 스프링 정수 및 보조 가압 스프링 장치(56)의 스프링 정수보다도 낮다. 게다가 또, 세로 방향 스프링 장치(58)의 상단부는, 수평부(51a)에 대해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세로 방향 스프링 장치(58)가 압축되면, 역(逆)쐐기 부재(57)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로부터 멀어지려고 한다. 이 때문에, 그것을 억제하도록 주가압 스프링 장치(53) 및 보조 가압 스프링 장치(56)가 신장된다. 이것에 의해, 역(逆)쐐기 부재(25)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에 닿아진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순(順)쐐기 부재(54)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로의 가압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마찰력이 떨어져, 제동력이 과대하게 되는 것이 억제된다.
반대로, 세로 방향 스프링 장치(58)가 신장되면, 역(逆)쐐기 부재(57)에 의해, 역(逆)쐐기 가이드 부재(55)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로부터 멀어진다. 이것에 의해, 주가압 스프링 장치(53) 및 보조 가압 스프링 장치(56)가 수축하여, 순(順)쐐기 부재(54)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로의 가압력이 오르기 때문에, 마찰력이 상승하여, 제동력이 과소하게 되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역(逆)쐐기 부재(25)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과의 사이의 마찰 계수가 변화된 경우에도, 엘리베이터 칸(8)에 발생하는 충격을 억제하면서, 보다 안정된 제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 세로 방향 스프링 장치(58)와 수평부(51a)와의 접촉부에 오일을 도포해도 괜찮다. 또, 세로 방향 스프링 장치(58)의 이동을 안내하는 리니어 가이드를, 수평부(51a)의 하면에 마련해도 좋다. 이들 구성에 의해, 수평부(51a)에 대해서 세로 방향 스프링 장치(58)를 스무스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조 가압 스프링 장치(56)를 생략해도 괜찮다. 이 경우, 세로 방향 스프링 장치(58)의 상단부를 수평부(51a)에 대해서 고정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균형추에 탑재된 비상 멈춤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즉, 승강체는, 균형추라도 괜찮다.
게다가 또, 엘리베이터 전체의 레이아웃은, 도 1의 레이아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2:1 로핑 방식의 엘리베이터에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여러 가지의 타입의 엘리베이터, 예를 들면,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 또는 원 샤프트 멀티 카 방식의 엘리베이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원 샤프트 멀티 카 방식은, 상부 엘리베이터 칸과 상부 엘리베이터 칸의 바로 아래에 배치된 하부 엘리베이터 칸이, 각각 독립하여 공통의 승강로를 승강하는 방식이다.
8 : 엘리베이터 칸(승강체) 10 :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
14 : 비상 멈춤 장치 21, 51 : 프레임체
22, 52 : 순(順)쐐기 가이드 부재 22a, 52a : 순(順)쐐기 가이드면
23 : 가압 스프링 장치 24, 54 : 순(順)쐐기 부재
24e, 55a : 역(逆)쐐기 가이드면 25, 57 : 역(逆)쐐기 부재
26, 58 : 세로 방향 스프링 장치 32a : 변형 규제부
33 : 접시 스프링 53 : 주가압 스프링 장치
55 : 역(逆)쐐기 가이드 부재 56 : 보조 가압 스프링 장치

Claims (4)

  1. 가이드 레일에 의해 안내되어 승강하는 승강체에 마련되는 프레임체,
    상부로 감에 따라서 상기 가이드 레일에 가까워지는 순(順)쐐기 가이드면을 가지고 있고, 상기 프레임체에 대해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순(順)쐐기 가이드 부재,
    상기 프레임체와 상기 순(順)쐐기 가이드 부재와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순(順)쐐기 가이드 부재의 상기 가이드 레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에 저항력을 부여하는 가압 스프링 장치,
    상기 순(順)쐐기 가이드 부재의 상기 가이드 레일측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승강체의 비상 제동시에 끌어 올려져 상기 순(順)쐐기 가이드면을 따라서 이동하는 순(順)쐐기 부재,
    상기 순(順)쐐기 부재의 상기 가이드 레일측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승강체의 비상 제동시에 상기 순(順)쐐기 부재와 함께 끌어 올려져 상기 가이드 레일에 밀어 붙여지는 역(逆)쐐기 부재, 및
    세로 방향 스프링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순(順)쐐기 부재는, 상부로 감에 따라서 상기 가이드 레일로부터 멀어지는 역(逆)쐐기 가이드면을 가지고 있고,
    상기 역(逆)쐐기 부재는, 상기 역(逆)쐐기 가이드면을 따라서 상기 순(順)쐐기 부재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세로 방향 스프링 장치는, 상기 순(順)쐐기 부재에 대한 상기 역(逆)쐐기 부재의 상부로의 이동에 저항력을 부여하고,
    상기 세로 방향 스프링 장치의 스프링 정수(定數)는, 상기 가압 스프링 장치의 스프링 정수보다도 낮고,
    상기 세로 방향 스프링 장치는, 상기 순(順)쐐기 부재에 대한 상기 역(逆)쐐기 부재의 상부로의 변위량의 증대에 대해서, 발생하는 힘의 변화율이 변위 초기보다도 작게 되는 영역을 가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 엘리베이터의 비상 멈춤 장치.
  2. 가이드 레일에 의해 안내되어 승강하는 승강체에 마련되는 프레임체,
    상부로 감에 따라서 상기 가이드 레일에 가까워지는 순(順)쐐기 가이드면을 가지고 있고, 상기 프레임체에 대해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순(順)쐐기 가이드 부재,
    상기 프레임체와 상기 순(順)쐐기 가이드 부재와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순(順)쐐기 가이드 부재의 상기 가이드 레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에 저항력을 부여하는 주(主)가압 스프링 장치,
    상기 순(順)쐐기 가이드 부재의 상기 가이드 레일측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승강체의 비상 제동시에 끌어 올려져 상기 순(順)쐐기 가이드면을 따라서 이동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에 밀어 붙여지는 순(順)쐐기 부재,
    상기 가이드 레일에 대해서 상기 순(順)쐐기 부재와는 반대측에서 상기 프레임체에 마련되어 있는 역(逆)쐐기 가이드 부재,
    상기 역(逆)쐐기 가이드 부재의 상기 가이드 레일측에 마련되어 있는 역(逆)쐐기 부재, 및
    세로 방향 스프링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역(逆)쐐기 가이드 부재는, 상부로 감에 따라서 상기 가이드 레일로부터 멀어지는 역(逆)쐐기 가이드면을 가지고 있고,
    상기 역(逆)쐐기 부재는, 상기 역(逆)쐐기 가이드면을 따라서 상기 역(逆)쐐기 가이드 부재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세로 방향 스프링 장치는, 상기 역(逆)쐐기 가이드 부재에 대한 상기 역(逆)쐐기 부재의 상부로의 이동에 저항력을 부여하고,
    상기 세로 방향 스프링 장치의 스프링 정수는, 상기 주가압 스프링 장치의 스프링 정수보다도 낮고,
    상기 세로 방향 스프링 장치는, 상기 역(逆)쐐기 가이드 부재에 대한 상기 역(逆)쐐기 부재의 상부로의 변위량의 증대에 대해서 발생하는 힘의 변화율이 변위 초기보다도 작게 되는 영역을 가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 엘리베이터의 비상 멈춤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세로 방향 스프링 장치는, 접시 스프링을 가지고 있는 엘리베이터의 비상 멈춤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세로 방향 스프링 장치에는, 상기 접시 스프링의 변형을 기계적으로 규제하여 상기 접시 스프링의 버클링(buckling)을 방지하는 변형 규제부가 마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비상 멈춤 장치.
KR1020207008368A 2017-10-06 2017-10-06 엘리베이터의 비상 멈춤 장치 KR1023019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7/036496 WO2019069453A1 (ja) 2017-10-06 2017-10-06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4076A true KR20200044076A (ko) 2020-04-28
KR102301990B1 KR102301990B1 (ko) 2021-09-15

Family

ID=65994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8368A KR102301990B1 (ko) 2017-10-06 2017-10-06 엘리베이터의 비상 멈춤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472670B2 (ko)
JP (1) JP6723472B2 (ko)
KR (1) KR102301990B1 (ko)
CN (1) CN111164038B (ko)
DE (1) DE112017008138T5 (ko)
WO (1) WO20190694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15263B2 (en) * 2019-07-15 2022-01-04 Niraj Patel Bidirectional wedge clamp
CN114746353B (zh) * 2019-12-09 2023-07-04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及其紧急停止装置
CN114249205A (zh) * 2020-09-24 2022-03-29 湖南大举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多轿厢并行电梯的缓速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11181A (ja) * 1989-12-14 1991-09-13 Kone Elevator Gmbh 安全装置
JP2001192184A (ja) 2000-01-11 2001-07-17 Toshiba Corp エレベータ非常止め装置
WO2014020743A1 (ja) * 2012-08-02 2014-02-06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
WO2017094102A1 (ja) * 2015-12-01 2017-06-0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13374B (en) * 2000-12-08 2002-12-11 Inventio Ag Safety brake with retardation-dependent braking force
EP1840068A1 (de) * 2006-03-29 2007-10-03 Inventio Ag Aufzugsanlage mit einer Aufzugskabinenbrems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Bremsen einer Aufzugskabine
CN201473143U (zh) 2009-07-30 2010-05-19 南通米兰特电气有限公司 一种电梯安全钳限速装置
US20120175194A1 (en) * 2009-10-08 2012-07-12 Mitsubh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tensioning sheave apparatus
CN201857179U (zh) 2010-11-05 2011-06-08 苏州默顿快速电梯有限公司 一种电梯渐进式安全钳装置
JP2013151356A (ja) * 2012-01-26 2013-08-08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用非常止め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
JP2014065591A (ja) * 2012-09-27 2014-04-17 Hitachi Ltd 非常止め装置を備えたエレベーター
JP2015009981A (ja) * 2013-07-02 2015-01-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
DE102014004356A1 (de) * 2014-03-27 2015-10-01 Thyssenkrupp Elevator Ag Bremseinrichtung für einen Fahrkorb einer Aufzuganlage
CN109476452B (zh) * 2016-07-26 2021-02-26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的紧急停止装置
CN109693987B (zh) * 2017-10-23 2020-12-22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电梯双向安全制动装置
CN110194402B (zh) * 2018-02-27 2021-03-16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电梯安全装置
DE102019106627A1 (de) * 2019-03-15 2020-09-17 Inventio Ag Fangbremseinrichtung und Fangbremsverfahre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11181A (ja) * 1989-12-14 1991-09-13 Kone Elevator Gmbh 安全装置
JP2001192184A (ja) 2000-01-11 2001-07-17 Toshiba Corp エレベータ非常止め装置
WO2014020743A1 (ja) * 2012-08-02 2014-02-06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
WO2017094102A1 (ja) * 2015-12-01 2017-06-0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7008138T5 (de) 2020-07-02
WO2019069453A1 (ja) 2019-04-11
JPWO2019069453A1 (ja) 2020-02-27
CN111164038B (zh) 2021-03-26
CN111164038A (zh) 2020-05-15
JP6723472B2 (ja) 2020-07-15
KR102301990B1 (ko) 2021-09-15
US20200223665A1 (en) 2020-07-16
US11472670B2 (en) 2022-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6519B1 (ko) 엘리베이터 장치
CN101311096B (zh) 电梯的紧急制动装置
EP1167269A1 (en) Elevator emergency stopping device
US10640331B2 (en) Elevator safety device and elevator system
JP5955388B2 (ja)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
JP4113760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2301990B1 (ko) 엘리베이터의 비상 멈춤 장치
EP1460021A1 (en) Elevator device
US8047335B2 (en) Shock absorbing hitch
US9764927B2 (en) Elevator
CN109693987B (zh) 电梯双向安全制动装置
CN109476452B (zh) 电梯的紧急停止装置
KR20210059380A (ko) 엘리베이터 보조결속장치
JP7146119B2 (ja) エレベータ及びその非常止め装置
CN215047819U (zh) 多位置电梯缓冲装置与电梯系统
WO2022003979A1 (ja) エレベーターの昇降体の変位抑制装置
JPWO2015125294A1 (ja) エレベーターのタイダウン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装置
JP6147858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5162374A (ja) エレベーターの制動装置
SU931641A1 (ru) Ловитель грузоподъемного средства
JP6576599B1 (ja) エレベータ及びその釣合車ガイドシュー
WO2022172407A1 (ja) エレベーター装置
CN110171760B (zh) 调速器张紧机构、调速器装置及电梯
JP2024076563A (ja) エレベータ装置
JP5539044B2 (ja) エレベーターの制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