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3853A - 실외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실외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3853A
KR20200043853A KR1020180124735A KR20180124735A KR20200043853A KR 20200043853 A KR20200043853 A KR 20200043853A KR 1020180124735 A KR1020180124735 A KR 1020180124735A KR 20180124735 A KR20180124735 A KR 20180124735A KR 20200043853 A KR20200043853 A KR 202000438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burring
frame
air conditioner
fasten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4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5508B1 (ko
Inventor
이인철
고정욱
권용삼
김효진
조성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4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5508B1/ko
Priority to EP19873588.8A priority patent/EP3850275B1/en
Priority to PCT/KR2019/013585 priority patent/WO2020080823A1/en
Priority to CN201980068552.7A priority patent/CN112867895B/zh
Priority to US16/657,132 priority patent/US11635215B2/en
Publication of KR20200043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38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5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5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0Electric components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22Arrangement or mounting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56Casing or covers of separate outdoor units, e.g. fan gu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6Hing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32Scre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부품 수가 절감되고, 공간 활용성이 향상된 힌지 구조를 갖는 실외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개시한다. 공기조화기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프레임으로서, 상기 관통홀에 제1방향으로 삽입되는 버링부와, 상기 버링부가 형성하는 버링홀을 포함하는 제2프레임 및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상기 버링홀에 삽입되고, 상기 제2프레임의 회전축이 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버링부는 상기 관통홀에 대해 상기 제1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버링홀에 대해 상기 제2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Description

실외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OUT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실외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품 수가 절감되고, 공간 활용성이 향상된 힌지 구조를 갖는 실외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냉동사이클을 포함한 장치로, 실내 공간에 배치되는 실내기와 실외 공간에 배치된 실외기를 포함한 분리형 공기조화기가 있다.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냉매와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와,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과, 송풍팬을 구동시키는 모터를 구비하며,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시킬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실외 공기와 열교환하는 실외 열교환기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실외 열교환기 및 압축기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의 일측에는 실외기 및 실내기를 제어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가 수용되는 컨트롤 박스가 배치될 수 있다.
컨트롤 박스는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하우징의 일 측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과, 고정 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프레임은 고정 프레임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회전 프레임을 고정 프레임에 힌지 결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힌지 부품이 필요하다. 또한, 힌지 부품을 배치하기 위해 소정의 공간을 필요로 한다. 이로 인해, 부품 수가 많아지고, 공간 활용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부품 수가 절감되고, 공간 활용성이 향상된 힌지 구조를 갖는 실외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공기조화기는 통홀을 포함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프레임으로서, 상기 관통홀에 제1방향으로 삽입되는 버링부와, 상기 버링부가 형성하는 버링홀을 포함하는 제2프레임 및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상기 버링홀에 삽입되고, 상기 제2프레임의 회전축이 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버링부는 상기 관통홀에 대해 상기 제1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버링홀에 대해 상기 제2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은 상기 관통홀의 주변부가 상기 제2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1리세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프레임은 상기 버링부의 주변부가 상기 제2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2리세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리세스부와 상기 제2리세스부는, 상기 버링부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것을 가이드하도록 서로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1프레임과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제1프레임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는,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일단에 마련되고, 상기 바디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헤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의 직경은 상기 버링홀의 직경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지 않도록 상기 관통홀의 직경은 상기 헤드부의 직경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은 상기 관통홀의 주변부가 상기 제1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링부는 상기 제1방향으로 상기 보스부보다 더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중앙홀을 포함하고, 상기 버링부와 상기 체결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홀의 직경은 상기 버링부가 상기 중앙홀을 관통하지 않도록 상기 버링부의 외경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제1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와,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와 다른 제2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는 상기 제1프레임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는 상기 제2프레임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공기조화기는 버링홀과, 상기 버링홀을 둘러싸고 제1방향으로 돌출되는 버링부를 포함하는 고정 프레임과, 상기 고정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버링부가 삽입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회전 프레임 및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상기 버링홀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 프레임에 결합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버링부는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제1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고정 프레임은 상기 버링부의 주변부가 상기 제2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프레임은 상기 관통홀의 주변부가 상기 제2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돌출부와 대응되는 제2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회전 프레임과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회전 프레임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 프레임은 상기 관통홀의 주변부가 상기 제1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링부의 상기 제1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보스부의 상기 제1방향으로의 길이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중앙홀을 포함하고, 상기 버링부와 상기 체결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홀의 직경은 상기 버링부가 상기 중앙홀을 관통하지 않도록 상기 버링부의 외경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가 장착되고, 관통홀을 포함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관통홀에 제1방향으로 삽입되는 버링부와, 상기 버링부가 형성하는 버링홀을 포함하는 제2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의 회전축의 되도록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상기 버링홀에 삽입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버링부는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관통홀에 대해 상기 제1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부품 수가 절감되고, 공간 활용성이 향상된 힌지 구조를 갖는 실외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서, 컨트롤부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서, 컨트롤부를 따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컨트롤부에서, 회전 프레임이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A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서, 힌지 구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서, 힌지 구조의 결합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서, 힌지 구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서, 힌지 구조의 측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서, 힌지 구조의 결합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서, 힌지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서, 힌지 구조의 결합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서, 힌지 구조의 결합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 공간에 배치되는 실내기(10)와 실외 공간에 배치되는 실외기(20)를 포함하며, 실내기(10)와 실내기(10)는 냉매를 전달하는 냉매관(30)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또한, 도면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실내기(10) 및 실외기(20)는 전원 및 전기 신호의 전달을 위한 전선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실내기(10)는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는 실내 열교환기(미도시)와, 실내 공기를 흡입 및 송풍하여 실내 공기가 실내 열교환기를 통과하도록 하는 실내 송풍팬(미도시)와, 냉매를 감압 팽창시키는 팽창밸브(미도시)를 포함한다.
실외기(20)는 실외 공기와 열교환하는 실외 열교환기(미도시)와, 실외 공기를 흡입 및 송풍하여 실외 공기가 실외 열교환기를 통과하도록 하는 실외 송풍팬(미도시)과,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미도시)와, 실외기(20)의 외관을 형성하며 상술한 실외 열교환기, 실외 송풍팬 및 압축기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21)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서, 컨트롤부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실외기(20)는 하우징(21) 내부에 배치되는 컨트롤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부(100)는 실외기(20) 및 실내기(10)를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부(100)는 하우징(21)의 내부 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컨트롤부(100)는 하우징(21)의 내부로써, 실외 송풍팬의 측방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컨트롤부(100)는 하우징(21) 내부의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서, 컨트롤부를 따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컨트롤부에서, 회전 프레임이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부(100)는 고정 프레임(110)과 회전 프레임(120) 및 체결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부(100)는 실외기(20) 및/또는 실내기(10)를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제1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101) 및 제2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102)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프레임(110)은 하우징(21)의 일 측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 프레임(110)은 제1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101)를 수용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제1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101)는 고정 프레임(110)의 일 측에 장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프레임(120)은 고정 프레임(1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회전 프레임(120)은 제2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102)를 수용할 수 있다. 제2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102)는 회전 프레임(120)의 일 측에 장착될 수 있다.
컨트롤부(100)는 회전 프레임(120)이 고정 프레임(1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힌지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힌지 구조는 공기조화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공기조화기 외에도 가전제품 또는 가구에도 본 발명의 힌지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의 힌지 구조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힌지 구조는 서로 결합하고자 하는 구성 외에도 별도의 부품을 필요로 한다. 예를 들면, 고정 프레임과 회전 프레임 및 체결부재 외에도 회전 프레임 또는 고정 프레임에 결합되는 브라켓을 필요로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브라켓에 결합되는 추가 부품을 필요로 하기도 한다. 따라서, 기존의 힌지 구조는 힌지 결합하고자 하는 두 개의 부품 외에도 추가적인 부품을 필요로 하고, 이로 인해 부품 수가 많아질 수 있다. 부품 수가 많아지면, 부품이 차지하는 공간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공간 활용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부품 수 증가로 인해 생산 비용이 증가할 수 있고, 생산에 소요되는 시간이 늘어날 수 있다. 따라서,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힌지 구조는 힌지 결합하고자 하는 두 개의 부품과 체결부재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품 수가 절감되고, 공간 활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생산 비용이 절감될 수 있고, 생산에 소요되는 시간이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A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서, 힌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서, 힌지 구조의 결합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 구조는 고정 프레임(110)과 회전 프레임(120) 및 체결부재(130)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프레임(110)은 관통홀(111)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111)은 고정 프레임(110)의 일 면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11)은 고정 프레임(11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관통홀(111)은 고정 프레임(110)의 양 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회전 프레임(120)은 고정 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회전 프레임(120)은 버링부(122)와, 버링부(122)가 형성하는 버링홀(121)을 포함할 수 있다. 버링부(122)는 고정 프레임(110)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버링부(122)는 관통홀(111)에 삽입될 수 있다.
버링부(122)는 제1방향으로 상기 관통홀(111)에 삽입될 수 있다. 제1방향은 도면상 수직 방향으로서, 아래에서 위를 향하는 방향을 가리킬 수 있다.
버링부(122)의 적어도 일부분은 관통홀(111)을 제1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다. 버링부(122)의 적어도 일부분은 관통홀(111)에 대해 제1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버링부(122)의 수직 방향으로의 길이를 버링부(122)의 높이라 할 때, 버링부(122)의 높이는 관통홀(111)을 형성하는 고정 프레임(110)의 두께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체결부재(130)는 버링부(122)에 결합될 수 있다. 체결부재(130)가 버링부(122)에 결합되면, 고정 프레임(110)과 회전 프레임(120)이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체결부재(130)가 버링부(122)에 삽입되면, 회전 프레임(120)은 고정 프레임(1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체결부재(130)는 나사산(132)이 외면에 형성되는 바디부(131)와, 바디부(131)의 일 단에 형성되는 헤드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부(133)의 직경(d2)은 바디부(131)의 직경(d1)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체결부재(130)는 바디부(131)가 버링부(122)에 삽입됨으로써, 회전 프레임(120)에 결합될 수 있다. 바디부(131)의 직경(d1)은 버링홀(121)의 직경(d3)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디부(131)가 버링홀(121)에 억지 끼움될 수 있다. 바디부(131)의 외면에는 나사산(132)이 마련되므로, 헤드부(133)에 마련된 체결부(134)를 이용하여 체결부재(130)를 회전시킴으로써, 바디부(131)를 버링홀(121)에 삽입할 수 있다. 바디부(131)가 버링홀(121)에 삽입되면, 버링부(122)는 바디부(131)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버링부(122)가 변형함으로써, 체결부재(130)가 회전 프레임(120)과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체결부재(130)는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버링홀(121)에 삽입될 수 있다. 제2방향은 도면상 수직 방향으로서, 위에서 아래 방향을 가리킬 수 있다.
체결부재(130)가 버링홀(121)에 삽입되는 방향과 버링부(122)가 관통홀(111)에 삽입되는 방향은 서로 반대일 수 있다.
체결부재(130)는 버링홀(121)을 통과하여 제2방향으로 버링홀(121)에 대해 돌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바디부(131)는 버링홀(121) 보다 제2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프레임(110)은 제1리세스부(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전 프레임(120)은 제2리세스부(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리세스부(112)는 관통홀(111)의 주변부가 제2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리세스부(123)는 버링부(122)의 주변부가 제2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리세스부(112)와 제2리세스부(123)는 서로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리세스부(112)와 제2리세스부(123)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 프레임(120)과 고정 프레임(110)을 결합하기 위해 버링홀(121)과 관통홀(111)의 위치를 대응시키기가 용이해질 수 있다. 제1리세스부(112)와 제2리세스부(123)를 대응시킴으로써, 버링홀(121)과 관통홀(111)의 위치가 대응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1리세스부(112)와 제2리세스부(123)는 고정 프레임(110)과 회전 프레임(12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결합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회전 프레임(120)은 고정 프레임(110)에 대해 제1방향으로 이동하여 1차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고정 프레임(110)이 회전 프레임(120)에 대해 제2방향으로 이동하여 1차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버링부(122)가 관통홀(111)에 삽입됨으로써, 고정 프레임(110)과 제2프레임(120)은 1차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1리세스부(112)와 제2리세스부(123)의 위치를 대응시킴으로써, 버링부(122)를 관통홀(111)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회전 프레임(120)이 고정 프레임(110)에 1차적으로 결합되면, 체결부재(130)가 제2방향으로 이동하여 버링홀(121)에 삽입 및 결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체결부(134)에 체결기구(미도시)를 결합한 후, 체결부재(130)를 회전시킴으로써 바디부(131)를 버링홀(121)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바디부(131)가 버링홀(121)에 삽입되면, 버링부(122)가 변형될 수 있다. 버링부(122)가 변형되면, 버링홀(121)의 직경은 바디부(131)의 직경과 같아질 수 있다.
체결부재(130)가 버링부(121)에 삽입되면, 회전 프레임(120)은 고정 프레임(1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헤드부(133)의 직경(d2)은 관통홀(111)의 직경(d4)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헤드부(133)는 관통홀(111)을 통과하지 못하고, 이에 따라, 고정 프레임(110)은 회전 프레임(120)과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분리되지 않게 된다.
체결부재(130)는 고정 프레임(110)과 접촉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체결부재(130)는 고정 프레임(110)과 접촉하지 않도록 고정 프레임(110)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힌지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힌지 구조가 한 쌍으로 마련되어야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부에 마련되는 힌지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동일한 힌지 구조가 고정 프레임(110) 및 회전 프레임(12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하부에 형성된 힌지 구조에서, 고정 프레임의 제1리세스부가 회전 프레임의 제2리세스부를 상방으로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체결부재(130)는 고정 프레임(110)과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도면과 달리, 고정 프레임(110)과 회전 프레임(120)도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재(130)가 버링홀(121)에 삽입되면, 체결부재(130)는 회전 프레임(120)의 회전축이 될 수 있다. 회전 프레임(120)는 체결부재(130)를 회전축 삼아 고정 프레임(11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서, 힌지 구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서, 힌지 구조의 측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상기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서, 힌지 구조는 탄성부재(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240)는 중앙홀(241)을 가지는 링(ring) 또는 도넛(donut)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탄성부재(240)는 버링부(222)와 체결부재(2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240)는 버링부(222)와 체결부재(230) 사이에 배치되어 체결부재(230)가 버링부(222)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체결부재(230)를 버링부(222)에 결합시킬 때, 체결부재(230)와 버링부(222)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240)가 압축 변형될 수 있다. 탄성부재(240)가 압축 변형되면서, 체결부재(230)와 버링부(222) 사이의 결합력이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체결부재(23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버링부(222)와 결합한다고 할 때, 탄성부재(240)와 체결부재(230) 사이의 마찰력 및 탄성부재(240)와 버링부(222) 사이의 마찰력으로 인해 체결부재(23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부재(230)가 사용자의 의도와 다르게 버링부(222)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탄성부재(240)의 중앙홀(241)의 직경은 버링부(222)가 중앙홀(241)을 관통하지 않도록 버링부(222)의 외경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240)의 중앙홀(241)의 직경은 체결부재(230)의 바디부(231)가 관통할 수 있도록 바디부(231)의 직경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탄성부재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탄성부재의 중앙홀의 직경은 버링부의 외경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탄성부재는 버링부의 외면을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탄성부재는 체결부재의 헤드부와 고정 프레임의 제1리세스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는 헤드부와 제1리세스부 사이에서 압축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탄성부재는 고정 프레임과 회전 프레임 사이의 상하 방향으로의 유격을 줄일 수 있다. 고정 프레임과 회전 프레임 사이의 유격을 줄임으로써, 고정 프레임과 회전 프레임이 접촉할 때 발생하는 소음 또는 회전 프레임이 고정 프레임에 대해 회전할 때 발생하는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서, 힌지 구조의 결합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 프레임(310)은 보스부(3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스부(313)는 고정 프레임(310)에 형성된 관통홀(311)의 주변부가 제1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방향은 도면상 아래에서 위를 향하는 방향을 가리킬 수 있다.
보스부(313)는 실질적으로 버링부(322)와 동일한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보스부(313)의 높이는 버링부(322)의 높이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버링부(322)는 관통홀(311)을 통과한 후, 보스부(313)보다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보스부(313)가 마련됨으로써, 고정 프레임(310)과 회전 프레임(320)은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서, 힌지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서, 힌지 구조의 결합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서, 힌지 구조는 체결부재(430)가 하방에서 상방으로 회전 프레임(420)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 프레임(410)은 버링부(412)와, 버링부(412)가 형성하는 버링홀(41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정 프레임(410)은 버링부(412)의 주변부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돌출부(413)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프레임(420)은 관통홀(42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전 프레임(420)은 관통홀(421)의 주변부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돌출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재(430)는 아래에서 위로 버링부(412)에 삽입될 수 있다. 버링부(412)는 관통홀(421)을 통과하여 관통홀(421)보다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체결부재(430)는 상방으로 이동하여 버링홀(411)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한 힌지 구조와 구조가 상이하나, 상기한 힌지 구조와 마찬가지로, 부품 수가 절감되고, 공간 활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서, 힌지 구조의 결합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 프레임(520)은 관통홀(521)의 주변부가 하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보스부(5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스부(523)는 회전 프레임(520)에 형성된 관통홀(521)의 주변부가 제2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방향은 도면상 위에서 아래를 향하는 방향을 가리킬 수 있다.
보스부(523)는 실질적으로 버링부(512)와 동일한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보스부(523)의 높이는 버링부(512)의 높이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버링부(512)는 관통홀(511)을 통과한 후, 보스부(523)보다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보스부(523)가 마련됨으로써, 고정 프레임(510)과 회전 프레임(520)은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탄성부재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7에서 탄성부재는 버링부(512)와 체결부재(530) 사이에 배치되어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공기조화기 10 : 실내기
20 : 실외기 21 : 하우징
100 : 컨트롤부 101 : 제1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
102 : 제2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
110, 210, 310, 410, 510 : 고정 프레임
120, 220, 320, 420, 520 : 회전 프레임
130, 230, 330, 430, 530 : 체결부재

Claims (20)

  1. 관통홀을 포함하는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프레임으로서, 상기 관통홀에 제1방향으로 삽입되는 버링부와, 상기 버링부가 형성하는 버링홀을 포함하는 제2프레임; 및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상기 버링홀에 삽입되고, 상기 제2프레임의 회전축이 되는 체결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버링부는 상기 관통홀에 대해 상기 제1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버링홀에 대해 상기 제2방향으로 돌출되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은 상기 관통홀의 주변부가 상기 제2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1리세스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은 상기 버링부의 주변부가 상기 제2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2리세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리세스부와 상기 제2리세스부는, 상기 버링부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것을 가이드하도록 서로 대응되게 마련되는 공기조화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1프레임과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제1프레임과 이격되게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일단에 마련되고, 상기 바디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직경은 상기 버링홀의 직경보다 크게 마련되는 공기조화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지 않도록 상기 관통홀의 직경은 상기 헤드부의 직경보다 작게 마련되는 공기조화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은 상기 관통홀의 주변부가 상기 제1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보스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버링부는 상기 제1방향으로 상기 보스부보다 더 돌출되는 공기조화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중앙홀을 포함하고, 상기 버링부와 상기 체결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홀의 직경은 상기 버링부가 상기 중앙홀을 관통하지 않도록 상기 버링부의 외경보다 작게 마련되는 공기조화기.
  12. 제1항에 있어서,
    제1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와,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와 다른 제2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는 상기 제1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는 상기 제2프레임에 장착되는 공기조화기.
  13. 버링홀과, 상기 버링홀을 둘러싸고 제1방향으로 돌출되는 버링부를 포함하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버링부가 삽입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회전 프레임; 및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상기 버링홀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 프레임에 결합되는 체결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버링부는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제1방향으로 돌출되는 공기조화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은 상기 버링부의 주변부가 상기 제2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 프레임은 상기 관통홀의 주변부가 상기 제2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돌출부와 대응되는 제2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회전 프레임과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회전 프레임과 이격되게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프레임은 상기 관통홀의 주변부가 상기 제1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보스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버링부의 상기 제1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보스부의 상기 제1방향으로의 길이보다 크게 마련되는 공기조화기.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중앙홀을 포함하고, 상기 버링부와 상기 체결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홀의 직경은 상기 버링부가 상기 중앙홀을 관통하지 않도록 상기 버링부의 외경보다 작게 마련되는 공기조화기.
  20.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가 장착되고, 관통홀을 포함하는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관통홀에 제1방향으로 삽입되는 버링부와, 상기 버링부가 형성하는 버링홀을 포함하는 제2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의 회전축의 되도록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상기 버링홀에 삽입되는 체결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버링부는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관통홀에 대해 상기 제1방향으로 돌출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20180124735A 2018-10-18 2018-10-18 실외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2565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735A KR102565508B1 (ko) 2018-10-18 2018-10-18 실외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EP19873588.8A EP3850275B1 (en) 2018-10-18 2019-10-16 Air conditioner
PCT/KR2019/013585 WO2020080823A1 (en) 2018-10-18 2019-10-16 Out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CN201980068552.7A CN112867895B (zh) 2018-10-18 2019-10-16 室外单元和具有该室外单元的空气调节器
US16/657,132 US11635215B2 (en) 2018-10-18 2019-10-18 Out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735A KR102565508B1 (ko) 2018-10-18 2018-10-18 실외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3853A true KR20200043853A (ko) 2020-04-28
KR102565508B1 KR102565508B1 (ko) 2023-08-11

Family

ID=70279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4735A KR102565508B1 (ko) 2018-10-18 2018-10-18 실외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635215B2 (ko)
EP (1) EP3850275B1 (ko)
KR (1) KR102565508B1 (ko)
CN (1) CN112867895B (ko)
WO (1) WO20200808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74132B2 (en) * 2020-12-29 2023-10-03 Trane International Inc. Layered control panel design to provide separation of high/low voltag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0636A (ja) * 2001-10-17 2003-04-23 Kenwood Corp 部品の取付構造、及び部品の取付方法
JP2005078763A (ja) * 2003-09-03 2005-03-24 Hitachi Global Storage Technologies Netherlands Bv ディスク装置
JP2014066462A (ja) * 2012-09-26 2014-04-17 Mitsubishi Heavy Ind Ltd 空気調和機のコントロール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20682A (en) * 1956-06-22 1960-01-12 Paul W Lindberg Plastic resinous toy parts and method of making and assembling the same
JPS57186438U (ko) * 1981-05-22 1982-11-26
JPH11179452A (ja) * 1997-12-19 1999-07-06 Ricoh Co Ltd バーリング締結方法、締結構造、及びバーリング形成用パンチ
KR200294244Y1 (ko) * 1999-02-01 2002-11-11 김태환 피봇 힌지의 구조
KR20000059304A (ko) * 1999-03-02 2000-10-05 손승채 핀에 의해 분해 결합되는 케비넷 도어용 경첩의 구조
KR20050023603A (ko) * 2003-08-28 200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JP2006283494A (ja) * 2005-04-04 2006-10-19 Saginomiya Seisakusho Inc 扉の支持構造
KR100842045B1 (ko) * 2007-04-24 2008-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JP5028204B2 (ja) * 2007-09-28 2012-09-19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KR20090004868U (ko) * 2007-11-19 2009-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JP4471023B2 (ja) * 2008-06-12 2010-06-0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N201340032Y (zh) * 2009-01-09 2009-11-0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室外机
JP2010278270A (ja) 2009-05-29 2010-12-09 Chino Corp 扉支点構造
US8845041B2 (en) * 2011-09-05 2014-09-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JP2014009700A (ja) * 2012-06-27 2014-01-20 Canon Inc 組み立て構造体、及び雌ねじ部材
KR101965727B1 (ko) * 2012-08-30 2019-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기기의 커버 장치
KR101992147B1 (ko) * 2012-10-26 2019-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CN204648517U (zh) * 2014-04-04 2015-09-16 三菱电机株式会社 空调机的室外机
KR101727413B1 (ko) * 2015-12-08 2017-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에어가이드
US20170176028A1 (en) * 2015-12-18 2017-06-22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CN105841256B (zh) * 2016-05-24 2018-09-1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电器盒的固定装置及具有其的空调室外机
CN108151187B (zh) * 2017-12-26 2020-07-10 青岛海信日立空调系统有限公司 一种电器盒冷媒散热结构及空调室外机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0636A (ja) * 2001-10-17 2003-04-23 Kenwood Corp 部品の取付構造、及び部品の取付方法
JP2005078763A (ja) * 2003-09-03 2005-03-24 Hitachi Global Storage Technologies Netherlands Bv ディスク装置
JP2014066462A (ja) * 2012-09-26 2014-04-17 Mitsubishi Heavy Ind Ltd 空気調和機のコントロール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867895A (zh) 2021-05-28
US20200124298A1 (en) 2020-04-23
EP3850275B1 (en) 2024-02-14
WO2020080823A1 (en) 2020-04-23
CN112867895B (zh) 2023-04-11
EP3850275A1 (en) 2021-07-21
KR102565508B1 (ko) 2023-08-11
EP3850275C0 (en) 2024-02-14
EP3850275A4 (en) 2021-11-10
US11635215B2 (en) 2023-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7118B1 (ko) 창문형 에어콘의 실내측 차단벽체
KR101598310B1 (ko) 에어 컨디셔너
KR19990082816A (ko) 공기조화기
CN106524301B (zh) 空调器室内机、空调器及控制方法
CN105089400A (zh) 铰链及具有该铰链的冰箱
KR102565508B1 (ko) 실외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JP4703336B2 (ja) 空気調和機
US20200309406A1 (en) Air conditioner
CN108626783B (zh) 用于空调室内机的导风板组件、空调室内机及空调器
JP6276490B1 (ja) ポンプ装置
KR20090076031A (ko) 송풍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JP2000039209A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WO2021128485A1 (zh) 摇头装置和风扇
CN107490079A (zh) 一种风管机
KR20070105549A (ko) 양축 모터 및 그를 갖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CN220707676U (zh) 风口组件及空调器
JP6811876B2 (ja) 室内機および空気調和機
KR101316411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컨트롤 구조
KR20030025119A (ko)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 장착구조
JPS632827Y2 (ko)
JPWO2018138899A1 (ja) 天井埋込形空気調和機の室内機、および、それを備えた天井埋込形空気調和機
JP2024517507A (ja) 空調機
KR101628408B1 (ko) 공조장치용 액츄에이터의 결합 구조체
WO2014155477A1 (ja) 換気扇シャッター、シャッター機構部および換気扇
KR20060094205A (ko) 에어컨디셔너의 블로워팬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