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2816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2816A
KR19990082816A KR1019990011306A KR19990011306A KR19990082816A KR 19990082816 A KR19990082816 A KR 19990082816A KR 1019990011306 A KR1019990011306 A KR 1019990011306A KR 19990011306 A KR19990011306 A KR 19990011306A KR 19990082816 A KR19990082816 A KR 199900828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direction
direction plate
motor
front panel
cam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1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군지요시히로
나카무라마사타카
Original Assignee
야기 추구오
가부시키가이샤 후지쯔 제네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기 추구오, 가부시키가이샤 후지쯔 제네랄 filed Critical 야기 추구오
Publication of KR19990082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2816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천정매입형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풍향판구동부분의 부품수를 감소시켜 그 조립작업성을 개선함과 동시에, 전면패널을 더욱 박형화할 수 있도록, 모터(13)와 캠기어(15)를 미리 모터커버(11)에 조립부착 가능하도록 하여, 그 모터커버(11)를 전면패널(3)에 설치하는 것만으로, 풍향판구동수단(10)을 간단하게 전면패널(3)에 탑재가능하도록 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천정매입형의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특히 풍향판 구동부분의 부품수를 감소시켜 조립작업성을 우수하게 함과 동시에, 그 전면패널을 더욱 박형화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먼저, 도 23을 참조하면서, 종래의 천정매입형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고, 이어서 이 공기조화기가 안고 있는 과제에 관하여 서술한다. 이 공기조화기(1)는, 실내측의 하면이 개방되어 있고, 천정 안쪽에 매입되는 사각통 형상의 본체하우징(2)과, 이 본체하우징(2)의 하면측에 착탈가능하도록 부착되는 전면패널(3)을 구비하고 있다.
본체하우징(2)의 하면의 거의 중앙에는 벨마우스(21)가 설치되어 있고, 이 벨마우스(21)에 의해 공기흡입용 제1개구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1개구부(22)의 주위, 즉, 본체하우징(2)의 하면 주위에는 공기토출용 제2개구부(23)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하우징(2)내에는, 실내공기를 제1개구부(22)로부터 흡입하고, 제2개구부(23)로 향하여 송풍하는 송풍수단인 터보팬(24)이 설치되어 있다. 또, 터보팬(24)부터 제2개구부(23)에 이르는 공기통로내에는, 이 터보팬(24)을 둘러싸도록 열교환기(25)가 설치되어 있다. 열교환기(25)의 하부에는 드레인팬(26)이 배치되어 있다.
전면패널(3)의 중앙에는, 본체하우징(2)의 제1개구부(22)와 연통하는 공기흡입구(31)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공기흡입구(31)내에는, 제진필터(32)와 장식그릴(33)이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전면패널(3)의 주위에는, 본체하우징(2)의 각 변을 따라, 제2개구부(23)에 연통하도록 배치된 4개의 공기토출구(34)가 형성되어 있다. 도 23에는 작도의 사정상 그 안에 상호 대향하는 2개의 공기토출구(34)만이 나타나 있다.
각 공기토출구(34)내에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띠판 상의 풍향판(4)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각 풍향판(4)은 수평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고, 인접한 것끼리는 후크식 유니버셜조인트(5)에 의해, 상호 동기하여 회동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도 25를 함께 참조하면, 전면패널(3)의 소정의 모서리부(3a)에는 풍향판구동수단(6)이 설치되어 있다. 풍향판구동수단(6)은, 모터(61)와 원통형 캠(62)을 구비하고 있다. 모터(61)는 그 양측에 장착플랜지(61b,61c)를 가지며, 이 장착플랜지(61b,61c)를 통해 모서리부(3a)에 기립설치되어 있는 보스(63,63)상에 장착스크류(61d,61d)로 고정된다.
캠(62)의 하면측에는,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홈(62a)이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유니버셜조인트(5)의 주축(51)측에는, 캠(62)의 캠홈(62a)내에 맞물리는 레버(52)가 설치되어 있다.
캠(62)은 그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모터(61)에 대한 장착공(62b)을 가지며, 그 캠홈(62a)내에 유니버셜조인트(5)의 레버(52)가 맞물리도록, 캠홈(62a)과 레버(52)의 위치맞춤을 하면서, 장착공(62b)에 결합되는 장착스크류(62c)로 모터(61)의 출력축(61a)에 장착할 수 있다.
또, 전면패널(3)의 각 모서리부에는 공기토출구(34)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리브판(35)이 기립설치되어 있고, 이 리브판(35)에는 풍향판(4)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거의 U자상의 축지지공(3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축지지공(36)에 풍향판(4)을 축지지하게 하는데 있어, 이 종래예에서는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식 유니버셜조인트(5)의 조인트멤버(53)의 축부에별도의 부품으로서 슬리브부쉬(42)를 끼운 후에, 그 조인트멤버(53)를 풍향판(4)의 회전축(41)에 결합한다. 그리고, 그 슬리브부쉬(42)를 축지지공(36)내에 떨어뜨려 넣은 후, 그 위에서 도시되지 않은 탈락방지용 누름편을 축지지공(36)내에 장착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풍향판구동수단(6)의 전체를 덮도록 모터커버(7)가 덮어씌워진다. 모터(61)로 캠(62)을 소정 각도 범위내에서 왕복적으로 회전시키면, 그 회전운동이 캠홈(62a)과 레버(52)에 의해 직선운동으로 변환된다. 이에 의해, 후크식 유니버셜조인트(5)가 도 26의 화살표 A방향으로 왕복적으로 회전하고, 따라서, 각 풍향판(4)이 그 회전축(41)을 중심으로 동기적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종래예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먼저, 전면패널(3)의 제한된 스페이스를 갖는 모서리부(3a)내에서, 모터(61) 및 캠(62)등을 조립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그 작업성에 어려움이 있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61) 위에 캠(62)을 얹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그 캠(62)의 두께만큼, 풍향판구동부(6)의 높이 H가 높아지고, 그것이 전면패널(3)의 박형화에 지장을 준다.
캠(62)의 위에서는, 그 이면측의 나선상의 캠홈(62a)이 보이지 않기 때문에, 캠(62)을 모터(61)에 설치하고자 하여도, 캠홈(62a)과 레버(52)를 위치맞춤하기가 곤란하고, 이것이 조립작업을 더욱 곤란하게 하고 있다.
또, 스크류 결합개소가 많아질 뿐만 아니라, 풍향판(4)을 축지지공(36)에 축지지하는데 있어서도, 별도 부품으로서의 스링브부쉬(42)나 그 탈착방지용 누름편등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전체 부품수가 많아지고, 비용이 상승할 뿐만 아니라, 그 부품관리가 번거롭다.
본 발명은, 이처럼 각각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특히 풍향판구동부분의 부품수를 감소시키고, 조립작업성을 우수하게 함과 동시에, 전면패널을 보다 박형화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면패널의 풍향판구동수단 탑재부분을 본체하우징측에서 본 사시도,
도 2는 풍향판구동수단을 도 1과 동일측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와는 반대로 상기 풍향판구동수단을 뒤집은 상태에서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모터장착대에 대한 모터의 장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 7A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4와 마찬가지로, 모터장착대에 대한 모터의 장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 7A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
도 6A는 모터커버에 모터와 캠기어를 장착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6B는 그 사시도,
도 7A는 도 6A와 마찬가지로, 모터커버에 모터와 캠기어를 장착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7B는 도 6B와 유사한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캠기어에 형성된 투시공의 작용설명도,
도 9는 풍향판구동수단의 개략적 단면도,
도 10A는 풍향판의 회전축에 부착되는 조인트멤버의 축부에 슬리브부쉬를 일체로 형성한 상태를 설명하는 분해사시도, 도 10B는 그의 측면도,
도 11은 전면패널의 풍향판구동수단측의 일변에 형성된 걸림후크를 나타낸 평면도,
도 12는 전면패널이 상기 걸림후크에 의해 본체하우징에 현수된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13은 공기토출구내의 풍향판을 나타낸 단면도,
도 14는 풍향판구동수단측에서 보아 말단에 위치하는 풍향판에 스프링을 장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상기 스프링을 풍향판의 조인트멤버에 장착한 상태의 측면도,
도 16은 풍향판구동수단측에서 보아 말단에 위치하는 풍향판에 스프링을 장착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7은 상기 다른 실시예의 조립상태에서의 사시도,
도 18은 상기 스프링으로서 압축스프링을 사용한 예의 사시도,
도 19는 상기 스프링을 추가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0A 및 도 20B는 풍향판의 연결수단으로서 사용되는 다른 연결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21은 풍향판의 회동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 13과 유사한 단면도,
도 22는 풍향판의 동작설명용 프로챠트,
도 23은 종래예로서의 천정매입형 공기조화기의 개략적 단면도,
도 24는 상기 종래예에 조립되어 있는 4매의 풍향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25는 상기 종래예에서, 전면패널에 탑재되는 풍향판구동수단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6은 상기 종래예에서의 풍향판구동수단의 개략적 단면도,
도 27은 상기 종래예에서의 풍향판의 축지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본체하우징 3 : 전면패널
4 : 풍향판 5 : 후크식 유니버셜조인트
10 : 풍향판구동수단 11 : 모터커버
13 : 모터 15 : 캠기어
16,17 : 스프링수단 22 : 제1개구부
23 : 제2개구부 24 : 터보팬
25 : 열교환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면 중앙부에 공기흡입용 제1개구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개구부의 주위에 공기토출용의 제2개구부가 형성되며, 실내의 천정에 매입되도록 설치되는 거의 사각통 형상의 본체하우징과, 상기 본체하우징의 하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전면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하우징내에는, 실내공기를 상기 제1개구부로부터 흡입하여 상기 제2개구부로 향해 송풍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의 주위에 열교환기가 설치되고, 상기 전면패널에는, 상기 제1개구부에 연통하는 공기흡입구와, 상기 제2개구부에 연통하도록 상기 본체하우징의 각 변을 따라 배치된 4개의 공기토출구와, 상기 각 공기토출구내에서 수평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한 풍향판과, 상기 각 풍향판을 동기적으로 회동하도록 연결하는 연결수단과, 상기 풍향판을 구동하는 풍향판구동수단이 설치되어 있고, 하나의 상기 풍향판구동수단으로 상기 각 풍향판을 구동하도록 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풍향판구동수단은, 출력기어를 가지는 모터와, 주위면에상기 출력기어와 맞물림하는 기어부를 가지고, 일방의 면에 나선상의 캠홈이 형성된 캠기어와, 상기 캠홈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연결수단에 전달하는 상기 연결수단측에 설치된 레버와, 상기 전면패널의 소정 모서리부에 설치되는 모터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모터와 상기 캠기어가 상기 모터커버의 상기 전면패널과 대향하는 내면측에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모터와 캠기어가 미리 모터커버에 조립부착되어 있는 경우, 그 모터커버를 전면패널에 설치하는 것만으로, 풍향판구동수단을 간단하게 전면패널에 탑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상의 특징으로서는, 상기 모터커버에는, 축삽통공을 가지는 모터장착대와, 상기 모터장착대를 향한 일부분에 절결부를 가지며, 중심에 상기 캠기어의 회전지지축이 기립설치된 캠기어수납요부가 마련되고, 상기 모터는 그 출력축을 상기 축삽통공에 삽통시킨 상태로 상기 모터장착대의 내면측에 장착됨과 동시에, 상기 출력기어와 상기 모터장착대의 외면측에서 상기 모터의 출력축에 설치되고, 상기 절결부에서 상기 캠기어수납요부 내의 상기 캠기어와 맞물림하는 점을 추천할 수 있다.
상기 축삽통공은 상기 캠기어수납요부의 반경방향을 따른 장공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것에 의하면, 상기 출력기어와 상기 캠기어와의 축간 거리를 임의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모터는 그 좌우에 장착플랜지를 구비하고, 상기 모터장착대의 내면측에는, 그 일방의 장착플랜지와 맞물림되는 후크와, 타방의 장착플랜지를 스크류 결합하기 위한 나사수용보스가 설치되어 있는 것도 본 발명의 특징의 하나이고, 이것에 의하면, 1개의 장착스프링으로 모터를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모터장착대의 외면측에는, 상기 캠기어와 맞물림상태에 있는 상기 출력기어의 상기 출력축으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는 역 L자상의 탈락방지후크가 설치되어 있는 것도 본 발명의 특징의 하나이고, 이것에 의하면, 비록 모터커버를 뒤집더라도 상기 출력기어가 상기 출력축부터 탈락하지 않는다.
상기 캠기어는 결치부를 가지는 섹터기어로 이루어지고, 그 결치부만의 반경방향길이는, 상기 회전지지축부터 상기 절결부를 향한 상기 모터장착대에 이르는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는 것도 본 발명의 특징의 하나로서 추천될 수 있다.
그것에 의하면, 그 결치부를 절결부에 면한 모터장착대에 위치맞춤되는 캠기어를 캠기어수납요부내에 삽입하고, 상기 캠기어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이후 캠기어가 캠기어수납요부로부터 탈락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캠기어에는, 그 타방측 면부터 상기 캠홈 내를 투시할 수 있는 투시공이 관통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것에 의하면, 그 투시공에서 캠홈과 레버의 위치관계를 보면서 조립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캠기어와 상기 캠기어수납요부와의 사이에는, 상기 캠기어의 회전위치를 규제하는 스토퍼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것에 의하면, 풍향판의 회동범위를 정확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면패널의 상기 모터커버가 부착되는 모서리부를 포함하는 일변에는, 상기 본체하우징측으로부터 연장되는 현수와이어를 걸림지지하기 위해 걸림후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것에 의하면, 예를 들어 유지 보수 등의 경우에, 전면패널을 본체하우징에 매달리게 놓고 그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모터커버 즉 풍향판구동수단측이 본체하우징의 근처에 위치하는 경우, 모터에 따라 다니는 배선을 최단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각 풍향판을 연결하는 상기 연결수단이, 후크식 유니버셜조인트 또는 가요성 유니버셜조인트의 어느 쪽이라도 좋고, 이것들의 조인트는 비교적 저가로, 동시에, 용이하게 입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구성부품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전면패널에는 상기 풍향판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U자상의 축지지공을 가지는 리브판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에 부착되는 상기 유니버셜조인트의 조인트멤버에는, 상기 축지지공내에 끼워지는 슬리브부쉬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서는, 구성부품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모터커버에는, 상기 축지지공내에 끼워져, 상기 슬리브부쉬를 가압하는 누름편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면패널의, 상기 풍향판구동수단이 배치되는 모서리부를 제1모서리부로 하여, 상기 제1모서리부 측에서 보아 그 대각선상에 위치하는 제4모서리부에는, 상기 제4모서리부에 인접한 2매의 상기 풍향판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제1스프링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것에 의하면, 모터의 부하를 보다 경감하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풍향판의 덜거덕거리는 것도 방지된다.
마찬가지로, 모터의 부하경감 및 풍향판의 덜거덕거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전면패널의 상기 풍향판구동수단이 배치되는 모서리부를 제1모서리부로 하고, 상기 제1모서리부와 인접한 각 변의 대향 모서리부인 제2 및 제3모서리부에, 상기 각 풍향판을 소정방향으로 부세하는 제2스프링수단이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스프링수단과 제2스프링수단을 병용하여도 좋다. 즉, 상기 전면패널의 상기 풍향판구동수단이 배치되는 모서리부를 제1모서리부로 하고, 상기 제1모서리부측에서 보이는 그 대각선상에 위치하는 제4모서리부에는, 그 제4모서리부에 인접한 2매의 상기 풍향판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제1스프링수단이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제1모서리부와 인접한 각 변의 대향 모서리부인 제2 및 제3모서리부에는, 상기 각 풍향판을 소정방향으로 부세하는 제2스프링수단이 각각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제1스프링수단은, 상기 제4모서리부에 인접하고 2장의 상기 풍향판의 말단에 위치하는 각 회전축에 대하여 각각 설치되는 2개의 스프링이 있어도 좋다. 또, 상기 제4모서리부에 인접한 2매의 상기 풍향판의 말단에 위치하는 각 회전축 사이가 유니버셜조인트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1스프링수단은 그 유니버셜조인트에 작용하는 1개의 스프링으로 있어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3모서리부에 배치되는 상기 제2스프링수단 각각은, 그것들의 각 모서리부에서 상기 각 풍향판을 연결하는 연결수단으로서의 유니버셜조인트로 작용하는 1개의 스프링이 채용된다.
또, 운전이 개시되면, 상기 송풍팬은, 상기 풍향판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풍향판이 그 전폐위치부터 소정의 개방 각도위치에 유지된 후, 기동하도록 제어되는 것도 본발명의 특징의 하나이다. 이것에 의하면, 풍향판의 전폐위치에서의 공기가 강하게 불어닥침에 의해 풍향판구동수단에 대한 부하증대가 방지된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에 있어서도, 천정에 매입되는 본체하우징을 구비하고 있지만, 그 본체하우징에 관해서는 먼저 설명한 종래예와 변경이 없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다른 구성요소에 있어서는, 먼저 설명한 종래예와 같거나 같아 보이는 부품에는, 종래예와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하고 있다.
도 1은 전면패널(3)의 풍향판구동수단(10) 탑재부분을 본체하우징(2)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에는 일부분만 보이고 있으나, 전면패널(3)에는, 먼저 설명한 종래예와 유사하게, 그 각 공기토출구(34)내에 후크식 유니버셜조인트(5)로 상호 연결된 풍향판(4)이 각각 회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도, 풍향판구동수단(10)은 전면패널(3)의 소정의 모서리부(3a)에 설치되지만, 이 경우, 풍향판구동수단(10)은 미리 다른 장소에 조립된 상태에서 전면패널(3)에 탑재된다.
도 2는 풍향판구동수단(10)을 도 1과 동일한 방향에서 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그것과는 반대로 동일 풍향판구동수단(10)을 반대방향에서 본 상태의 분해사시도이다.
그것에 따르면, 풍향판구동수단(10)은, 모터커버(11)를 구비하며, 이 모터커버(11)를 베이스로 하여 모터(13) 및 캠기어(1)가 조립된다. 모터커버(11)는, 부품장착기판(110)과, 그 주위에 설치된 측판(111)을 포함하며, 일측면이 개방된 상자체로 형성되어 있다.
부품장착기판(110)에는 오목한 원형상의 캠기어수납요부(112)가 형성되어 있고, 그 중심에는 캠기어(15)의 회전지지축(113)이 기립설치되어 있다. 이 캠기어수납요부(112)의 저부에는 캠기어(15)의 회전위치를 제한하는 스토퍼로서 돌기(11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부품장착기판(110)에는 캠기어수납요부(112)에 인접하도록 모터장착대(115)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의 상태에서 보면, 모터장착대(115)는 부품장착기판(110)보다도 훨씬 높게 형성되어 있다.
캠기어수납요부(112)는, 모터장착대(115)를 향한 일부분에 절결부(切欠部)(116)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대향하여, 모터장착대(115)의 단부(117)는 절결부(116)측이 밀어올려져 있다.
모터장착대(115)에는, 캠기어수납요부(112)의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된 장공으로 된 축삽통공(118)이 형성되어 있다. 모터장착대(115)의 내면측(도 3에서 상면측)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3)를 설치하기 위한 후크(119)와 스크류수용보스(120)가 형성되어 있다. 이 후크(119)와 스크류수용보스(120)는 축삽통공(118)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모터장착대(115)의 도 2에서의 외면측(도 3에서 하면측)에는, 모터(13)에 부착되는 출력기어(133)에 대향하여 탈락방지후크(121)가 형성되어 있다. 이 탈락방지후크(121)는 출력기어(133)의 두께보다 약간 높은 높이를 가지는 역 L자상의 후크로 형성되고, 축삽통공(118)의 일측에, 캠기어수납요부(112)측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모터(13)는 스텝핑모터이고, 그 좌우 양측에는 장착플랜지(131,131)가 형성되어 있다. 모터(13)의 출력축(132)에는 출력기어(133)가 결합된다. 또한, 출력축(132)과 출력기어(133)의 축공내에는 그 축선과 평행하게 맞물림면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캠기어(15)에는, 일부분이 결치부(欠齒部)(151)로 된 섹터기어가 사용되고 있다. 도 3에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캠기어(15)의 일측면(하면측)에는, 나선상의 캠홈(152)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결치부(151)를 제외한 원주면은 모터(13)의 출력기어(133)와 맞물리는 기어부(155)로 되어 있고, 캠기어(15)의 중심에는 축공(156)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기어(15)의 타방면(상면측)에는, 그 타방면으로부터 캠홈(152)내를 투시하기 위한 투시공(15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캠기어(15)의 타방면에는, 캠기어수납요부(112)내의 돌기(114)와 협력하여 움직이는 돌기(154)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캠기어(15)의 결치부(151)의 부분은, 그 반경방향 길이가 회전지지축(113)으로부터 절결부(116)를 향한 모터장착대(115)의 단부(117)에 이르는 길이보다도 짧게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각 풍향판(4)은 후크식 유니버셜조인트(5)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그 주축(51)에는 캠기어(15)의 캠홈(152)내에 맞물리는 레버(52)가 기립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 6A, 6B 및 도 7A, 7B를 함께 참조하면서, 이 풍향판구동수단(10)의 조립 절차의 일례를 설명한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커버(11)를 뒤집은 상태로 해서, 그 캠기어수납요부(112)내에 캠기어(15)를 수용시킨다. 상세히 말하면, 캠기어(15)의 결치부(151)가 모터장착대(115)의 단부(117)를 향한 상태에서, 회전지지축(113)을 축공(156)에 삽입시키고, 캠기어(15)를 캠기어수납요부(112)내에 낙하수용시킨다.
그런 다음, 캠기어(15)를 회전시켜 결치부(151)를 절결부(116)로부터 이격되도록 하여, 기어부(155)가 절결부(116)내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에 의해, 기어부(155)의 모서리가 모터장착대(115)의 단부(117)상에 위치하게 되어, 모터커버(11)를 도 3의 상태로부터 도 2와 같이 뒤집어도 캠기어(15)가 캠기어수납요부(112)부터 탈락되지 않는다.
다음, 모터(13)를 모터장착대(115)의 내면측에 장착한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3)의 일측의 장착플랜지(131)를 후크(119)에 맞물림시킨 후, 타측의 장착플랜지(131)를, 도 4와 같이 들어올리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출력축(132)을 축삽통공(118)을 통해 모터장착대(115)의 외면측으로 돌출시킨다.
그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축(132)을 캠기어(15)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비키어 놓고, 그 위치에서 출력축(132)에 출력기어(133)를 결합한다. 그리고, 모터(13) 자체를 후크(119)를 중심으로 하여 모터장착대(115)를 따라 회전시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기어(133)를 캠기어(15)의 기어부(155)와 맞물림시키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측의 장착플랜지(131)를 스크류(122)로 스크류수용보스(120)에 고정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렇게 하여 출력기어(133)와 기어부(155)의 축간거리를 간단하게 조정할 수 있고, 또, 이 맞물림 위치에서, 출력기어(133)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부분이 역 L자 상의 탈락방지후크(121)내에 맞물리기 때문에, 이후, 출력기어(133)가 출력축(132)으로부터 탈락되지 않는다.
이렇게 하여, 풍향판구동수단(10)을 모터커버(11)를 베이스로 하여 조립시킨 다음, 이 풍향판구동수단(10)을 전면패널(3)의 모서리부(3a)에 부착시키고 있으며, 이 때, 캠기어(15)를 회전시켜 그 투시공(153)을 절결부(116)내에 위치시킨다.
이것에 의하면, 도 8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투시공(153)을 통하여 후크식 유니버셜조인트(5)측의 레버(52)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레버(52)를 캠홈(152)내에 용이하게 안내하여 끼울 수 있다.
여기서, 투시공(153)은 결치부(151)에 대하여 거의 180도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따라서, 캠기어(15)를 캠기어수납요부(112)내에 장착한 후, 약180도 회전시키면, 투시공(153)이 절결부(116)에 나타나고, 이 위치가 풍향판(4)의 초기위치, 즉 전폐위치로 된다.
이와 같이 하여, 풍향판구동수단(10)을 전면패널(3)에 부착한 상태의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 9에 도시되어 있고, 동일 도면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모터(13)의 출력기어(133)와 캠기어(15)가 모터커버(11)상에서 거의 나란하게 위치하기 때문에, 풍향판구동수단(10) 전체의 높이H1을 종래의 높이H(도 26참조) 보다도 낮게 할 수 있고, 이것은 전면패널(3) 자체를 박형화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부품수를 보다 감소시키기 위해, 도 10A의 사시도 및 도 10B의 측면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풍향판(4)의 회전축(41)에 결합된 조인트멤버(53)의 축부에 슬리브부쉬(531)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이 슬리브부쉬(531)를 포함하는 조인트멤버(53)는, 그 슬리브부쉬(531)가 전면패널(3)측의 축수용공(36)내에 끼워지기 때문에, 자기윤활성을 가지는 저마찰의 합성수지(예를 들면, 윤활성분을 포함한 폴리아세탈 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관련하여, 본 발명에서는, 더욱 부품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예를 들면,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커버(11)의 측판(111) 일영역에는, 축수용공(36)내에 끼워져 슬리브부쉬(531)를 가압하는 탈락방지용 누름편(123)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패널(3)의 모터커버(11)가 부착되어 있는 모서리부(3a)를 포함하는 일측변에는, 본체하우징(2)측으로부터 연장된 현수와이어(27)를 걸림유지하기 위한 걸림후크(37)가 형성되어 있다.
전면패널(3)은, 예를 들면 그 휠터(32)의 청소 또는 교환 등을 할 때, 본체하우징(2)으로부터 탈착되어, 현수와이어(27)에 의해 매달리게 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그 걸림후크(37)가 모터커버(11)가 장착되는 모서리부(3a)를 포함하는 일측변에 형성되어 있고, 모터커버(11) 즉 풍향판구동수단(10)측이 본체하우징(2)에 인접하게 위치하기 때문에, 모터(13)의 딸린 배선, 이 실시예에서는 모터(13)의 와이어하네스(134)를 본체하우징(2)에 대하여 최단으로 형성할 수 있다.
부수적으로, 전면패널(3)을 보다 박형하게 하기 위해서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풍향판(4)의 회전축(41)을 공기토출구(31)측에 인접하게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렇게 하면, 풍향판(4)의 후단측의 단부(42)가 본체하우징(2)의 내측에 불필요하게 위치하지 않아, 그것으로부터 전면패널(3)을 더욱 박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렇지만, 다른 한편에 있어서는, 이처럼 하면, 모터(13)에 대하여, 특히 풍향판(4)을 그 전폐위치에 유지하고 있는 때의 모멘트하중이 증가하고, 모터(13)의 부하가 증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패널(3)의 풍향판구동수단(10)이 배치되는 모서리부(3a)를 제1모서리부로 한 경우, 이 제1모서리부측에서 보아 그 대각선상에 위치하는 제4모서리부(3d)에, 그 제4모서리부(3d)에 인접한 말단에는 2매의 풍향판(4c,4d)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스프링(16)을 설치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 스프링(16)은 풍향판(4c,4d)의 조인트멤버(53,53) 각각에 1개씩 스프링(17)이 결합된다.
도 15를 병합하여 참조하면, 이 스프링(16)은, 그 조인트멤버(53)의 축부에 결합되는 코일부(161)와, 코일부(161)의 일단으로부터 전면패널(3)의 내면에 접하도록 거의 일직선으로 인출된 기단각(162)과, 코일부(161)의 타단으로부터 인출되어 조인트멤버(53)의 후크부(532)에 끼워지도록 절곡된 맞물림부(163)를 가지며, 통상의 경우에 있어서, 풍향판(4c,4d)을 화살표 B방향, 즉 전폐위치방향으로 부세한다.
이에 의해, 풍향판(4)의 회전축(41)을 공기토출구(31)측에 인접하게 위치시키고, 전면패널(3)을 더욱 박형화 할 수 있다. 또한, 모터(13)의 부하가 보다 경감됨과 동시에, 풍향판(4)이 덜거덕거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풀인토오크(동작토오크)가 작아지고 가격이 싼 모터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4의 예에서는, 스프링(16)을 2개 사용하고 있지만, 도 16에는 1개의 스프링(17)을 사용한 경우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이 다른 실시예에서는 말단에 위치하는 2개의 풍향판(4c,4d) 사이를 다른 연결부와 유사한 후크식 유니버셜조인트(5)로 연결하고, 이 후크식 유니버셜조인트(5)에 1개의 스프링(17)을 결합하도록 하고 있다.
도 17을 함께 참조하면, 이 스프링(17)은, 후크식 유니버셜조인트(5)의 주축(51)에 끼워지는 코일부(171)와, 동일 코일부(171)의 일단부터 인출되어 전면패널의 내면에 접하도록 절곡된 기단각(172)과, 동일 코일부(171)의 타단부터 인출되어 주축(51)의 레버(52)에 맞물림하도록 절곡된 맞물림부(173)를 가지며, 상기 실시예와 유사한 통상의 경우에 있어서, 풍향판(4c,4d)을 전폐위치 방향으로 부세한다.
이에 의하면, 스프링이 1개만 필요하고, 따라서, 그 스프링 힘이 후크식 유니버셜조인트(5)를 통해 양 풍향판(4c,4d)에 균등하게 걸리게 되며, 조립후의 조정작업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17)을 대신하여, 통상 많이 사용되고 있는 압축스프링(17A)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두 예에서는, 말단에 위치하는 2매의 풍향판(4c,4d) 사이를 후크식 유니버셜조인트(5)로 연결하고, 그 연결부에 스프링(17,17A)을 설치하고 있지만, 다른 연결부에도 스프링(17)(17A)을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풍향판구동수단(10)에 인접한 2매의 풍향판(4a,4b) 사이를 연결하는 후크식 유니버셜조인트(5)에 스프링(17)(17A)을 사용해도 되고, 더욱이, 풍향판(4a)와 (4c) 사이 및 풍향판(4b)와 (4d) 사이의 후크식 유니버셜조인트(5)에 스프링(17)(17A)을 설치해도 된다.
이에 의하며, 제4모서리부에 설치되는 스프링(17)(17A)의 부세방향은, 풍향판(4)을 폐쇄하는 방향 또는 개방하는 방향 중 어느 것이라도 좋고, 각 풍향판(4)이 모터(13)에 의해 실제로 구동한 경우의 각 풍향판(4)의 동작상태를 보고 적당히 선택된다. 다만, 개방상태로 하는 경우 스프링힘은, 모터(13)의 정지토오크 보다 작게 할 필요가 있다. 또한, 폐쇄방향으로 하는 경우의 스프링힘은, 개방하는 방향으로 하는 경우의 스프링힘 보다도 작게 해야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각 풍향판 사이를 후크식 유니버셜조인트(5)로 연결하고 있지만, 다른 연결수단으로서, 도 20A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요성 와이어(5A)나,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중공성형품으로 되는 주름관(5B) 등의 가요성 조인트를 사용해도 된다. 다만, 이런 종류의 가요성 조인트에 있어서는,후크식 유니버셜조인트(5)와 같이 레버(52)를 일체 성형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레버는 별도의 부품으로 하여 결합시킨다.
다음으로,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이 공기조화기에 있어 풍향판(4)의 각도제어에 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운전모터로서, 냉방모드, 제습모드, 송풍모드, 및 온방모드의 4가지가 준비되어 있다.
다음, 풍향판(4)의 동작각도 범위는, 그 전폐위치 C부터 중간의 설정각도 ①∼③를 거치고, 단락(토출된 공기가 그대로 공기토출구로 흡입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최대 개방위치④까지 있으며, ①∼④ 사이는 각각 30도씩 구분되어 있다.
도 22의 플로챠트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콘으로부터의 운전스타트신호에 의해, 먼저, 풍향각제어수단(도시되지 않은)이 초기화되고, 풍향판의 전폐위치의 검출이 행하여진다. 그리고, 그 운전모드가 냉방모드, 제습모드, 송풍모드인 경우에는, 설정각도①가 선택된다. 한편, 온방모드인 경우에는 설정각도④가 선택된다. 여기서, 이 예에서는, 자동복귀(메모리 스타트)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기능이 선택되면, 전회 운전모드와 동일한 모드로 운전이 재개된다.
또한, 리모콘으로 스윙 모드가 선택되면, 풍향판이 소정의 각도범위내에서 왕복적으로 상하운동한다. 구체적으로는, 설정각도 ①로 스윙모드가 선택되면, 설정각도 ①∼③의 범위내에서 풍향판이 스윙한다. 설정각도 ② 또는 ③으로 스윙모드가 선택되면, 설정각도 ②∼④의 범위내에서 풍향판이 스윙한다. 설정각도 ④로 스윙모드가 선택되면, 설정각도 ①∼④의 범위내에서 풍향판이 스윙한다.
한편, 운전개시에 있어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송풍팬으로서의 터보팬(24)(도 23 참조)은, 풍향판(4)이 풍향판구동수단(10)으로 그 전폐위치 C부터 소정의 설정각도 ①∼④의 어느 위치에라도 유지시킨 다음 기동하도록 제어된다. 이것에 의해, 풍향판(4)의 전폐위치 C에서의 공기가 세게 불어닥치는 것에 의해 풍향판구동수단(10)에 대향하는 부하증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상기 내용을 이해한 당업자는, 그 변경, 개변 및 균등수단을 용이하게 고안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클레임과 그의 균등범위로 함이 마땅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풍향판 구동부분의 부품수가 작아지고 조립작업성을 우수하게 함과 동시에, 그 전면패널을 보다 박형화 한 공기조화기가 제공된다.

Claims (20)

  1. 하면 중앙부에 공기흡입용 제1개구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개구부의 주위에 공기토출용 제2개구부가 형성되며, 실내의 천정에 매입되도록 설치되는 거의 사각통 형상의 본체하우징과, 상기 본체하우징의 하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전면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하우징내에는, 실내공기를 상기 제1개구부로부터 흡입하여 상기 제2개구부로 향해 송풍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의 주위에 열교환기가 설치되고, 상기 전면패널에는, 상기 제1개구부에 연통하는 공기흡입구와, 상기 제2개구부에 연통하도록 상기 본체하우징의 각 변을 따라 배치된 4개의 공기토출구와, 상기 각 공기토출구내에서 수평회전축선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한 풍향판과, 상기 각 풍향판을 동기적으로 회동하도록 연결하는 연결수단과, 상기 풍향판을 구동하는 풍향판구동수단이 설치되어 있고, 하나의 상기 풍향판구동수단으로 상기 각 풍향판을 구동하도록 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풍향판구동수단은, 출력기어를 가지는 모터와, 주위면에 상기 출력기어와 맞물림하는 기어부를 가지고, 일방의 면에 나선상의 캠홈이 형성된 캠기어와, 상기 캠홈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연결수단에 전달하는 상기 연결수단측에 설치된 레버와, 상기 전면패널의 소정 모서리부에 설치되는 모터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모터와 상기 캠기어가 상기 모터커버의 상기 전면패널과 대향하는 내면측에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커버에는, 축삽통공을 가지는 모터장착대와, 상기 모터장착대를 향한 일부분에 절결부를 가지며, 중심에 상기 캠기어의 회전지지축이 기립설치된 캠기어수납요부가 마련되고,
    상기 모터는 그 출력축을 상기 축삽통공에 삽통시킨 상태로 상기 모터장착대의 내면측에 장착됨과 동시에, 상기 출력기어와 상기 모터장착대의 외면측에서 상기 모터의 출력축에 설치되고, 상기 절결부에서 상기 캠기어수납요부 내의 상기 캠기어와 맞물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삽통공은 상기 캠기어수납요부의 반경방향을 따른 장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그 좌우에 장착플랜지를 구비하고, 상기 모터장착대의 내면측에는, 그 일방의 장착플랜지와 맞물림되는 후크와, 타방의 장착플랜지를 스크류 결합하기 위한 나사수용보스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장착대의 외면측에는, 상기 캠기어와 맞물림상태에 있는 상기 출력기어의 상기 출력축으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는 역 L자상의 탈락방지후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캠기어는 결치부를 가지는 섹터기어로 이루어지고, 그 결치부의 반경방향길이는, 상기 회전지지축부터 상기 절결부를 향한 상기 모터장착대에 이르는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제1항, 제2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캠기어에는, 그 타방측 면부터 상기 캠홈 내를 투시할 수 있는 투시공이 관통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제1항, 제2항,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캠기어와 상기 캠기어수납요부와의 사이에는, 상기 캠기어의 회전위치를 규제하는 스토퍼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패널의 상기 모터커버가 장착되는 모서리부를 포함하는 일변에는, 상기 본체하우징측으로부터 연장되는 현수와이어를 걸림지지 하기 위한 걸림후크가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풍향판을 연결하는 상기 연결수단이, 후크식 유니버셜조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풍향판을 연결하는 상기 연결수단이, 가요성 유니버셜조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패널에는 상기 풍향판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U자상의 축지지공을 가지는 리브판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상기 유니버셜조인트의 조인트멤버에는, 상기 축지지공내에 끼워지는 슬리브부쉬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커버에는, 상기 축지지공내에 끼워져, 상기 슬리브부쉬를 가압하는 누름편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패널의, 상기 풍향판구동수단이 배치되는 모서리부를 제1모서리부로 하여, 상기 제1모서리부 측에서 보아 그 대각선상에 위치하는 제4모서리부에는, 그 제4모서리부에 인접한 2매의 상기 풍향판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제1스프링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패널의, 상기 풍향판구동수단이 배치되는 모서리부를 제1모서리부로 하고, 상기 제1모서리부와 인접한 각 변의 대향 모서리부인 제2 및 제3모서리부에, 상기 각 풍향판을 소정방향으로 부세하는 제2스프링수단이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패널의, 상기 풍향판구동수단이 배치되는 모서리부를 제1모서리부로 하고, 상기 제1모서리부측에서 보아 그 대각선상에 위치하는 제4모서리부에는, 그 제4모서리부에 인접한 2매의 상기 풍향판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제1스프링수단이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제1모서리부와 인접한 각 변의 대향 모서리부인 제2 및 제3모서리부에는, 상기 각 풍향판을 소정방향으로 부세하는 제2스프링수단이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7. 제14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프링수단은, 상기 제4모서리부에 인접한 2장의 상기 풍향판의 말단에 위치하는 각 회전축에 대하여 각각 설치되는 2개의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8. 제14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4모서리부에 인접한 2매의 상기 풍향판의 말단에 위치한 각 회전축 사이가 유니버셜조인트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스프링수단은 상기 유니버셜조인트에 작용하는 1개의 스프링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9.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3모서리부에 배치되는 상기 제2스프링수단 각각은, 그것들의 각 모서리부에서 상기 각 풍향판을 연결하는 연결수단으로서의 유니버셜조인트로 작용하는 1개의 스프링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0. 제1항에 있어서,
    운전이 개시되면, 상기 송풍팬은, 상기 풍향판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풍향판이 그 전폐위치부터 소정의 개방 각도위치에 유지된 후, 기동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19990011306A 1998-04-17 1999-03-31 공기조화기 KR199900828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816298A JP3885846B2 (ja) 1998-04-17 1998-04-17 空気調和機
JP10-108162 1998-04-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2816A true KR19990082816A (ko) 1999-11-25

Family

ID=14477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1306A KR19990082816A (ko) 1998-04-17 1999-03-31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089972A (ko)
EP (1) EP0950867B1 (ko)
JP (1) JP3885846B2 (ko)
KR (1) KR19990082816A (ko)
CN (1) CN1134621C (ko)
AR (1) AR019044A1 (ko)
AU (1) AU764351C (ko)
DE (1) DE69920563T2 (ko)
EG (1) EG21399A (ko)
ES (1) ES2229628T3 (ko)
ID (1) ID22472A (ko)
MY (1) MY133896A (ko)
TW (1) TW37484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08983B2 (ja) * 1999-01-25 2003-05-19 三菱電機株式会社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US6802361B2 (en) * 2000-06-22 2004-10-12 Air Techno Company Limited Ceiling panel structure for a ceiling-mounted air-conditioning apparatus or the like
US6569010B1 (en) * 2002-04-25 2003-05-27 Nuclimate Air Quality Systems, Inc. Induced air distribution system
KR100606733B1 (ko) * 2004-11-23 2006-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4923639B2 (ja) * 2005-11-11 2012-04-2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パネル及び空気調和装置
JP4107334B2 (ja) * 2006-04-21 2008-06-2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5034473B2 (ja) * 2006-12-12 2012-09-2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EP2023049B1 (en) * 2007-07-25 2013-10-30 Sanyo Electric Co., Ltd. In-ceiling mount type air conditioner and indoor unit thereof
KR101065830B1 (ko) * 2008-12-29 2011-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JP5473449B2 (ja) * 2009-07-23 2014-04-1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車両用空調装置
JP5180167B2 (ja) * 2009-09-04 2013-04-10 愛三工業株式会社 樹脂歯車及びスロットル装置
CN102192581B (zh) * 2010-03-03 2013-04-0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用于导风板组件的驱动装置及包括该驱动装置的空调机
TWI398607B (zh) * 2010-06-08 2013-06-11 Panasonic Eco Sys Guangdong Co The fixed structure of the air duct switchboard of the heating ventilation fan
CN101858641B (zh) * 2010-06-18 2012-05-30 广东志高空调有限公司 一种空调柜机出风结构
CN103162350B (zh) * 2011-12-12 2017-03-29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壁挂式空调室内机
JP5267690B2 (ja) * 2012-02-03 2013-08-2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室内機
WO2014068654A1 (ja) * 2012-10-30 2014-05-08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KR101706812B1 (ko) 2013-10-02 2017-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702169B1 (ko) 2013-10-02 201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150043573A (ko) 2013-10-11 2015-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6072671B2 (ja) * 2013-12-20 2017-02-01 三菱電機株式会社 室内機及び空気調和機
KR101662377B1 (ko) * 2014-01-27 2016-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06573195B (zh) * 2014-09-30 2019-12-31 三菱电机株式会社 除湿装置
ES2824178T3 (es) * 2015-03-26 2021-05-11 Fujitsu General Ltd Aire acondicionado empotrado en el techo
JP6451445B2 (ja) * 2015-03-26 2019-01-16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6439537B2 (ja) * 2015-03-26 2018-12-19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CN104990245B (zh) * 2015-07-14 2017-10-13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驱动机构
KR102006965B1 (ko) * 2015-07-14 2019-08-02 지디 미디어 에어콘디셔닝 이큅먼트 씨오 엘티디 구동판 및 구동 기구
CN106196318A (zh) * 2016-07-15 2016-12-07 徐州工程学院 一种多层柜式空气净化仪及其工作方法
KR102165468B1 (ko) * 2017-09-06 2020-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KR102088828B1 (ko) * 2017-09-20 2020-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CN109959142B (zh) * 2017-12-22 2021-12-28 大金工业株式会社 出风面板和空调室内机
CN108507109A (zh) * 2018-05-10 2018-09-07 北京亚都新风净化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面板连接结构及新风机
JP6687917B2 (ja) * 2018-05-31 2020-04-28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CN115264586B (zh) * 2022-07-11 2024-06-0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器壳体组件及空调内机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2134B2 (ja) * 1988-01-11 1994-07-0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風向変更装置
JPH0823434B2 (ja) * 1989-05-10 1996-03-0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H046343A (ja) * 1990-04-25 1992-01-10 Hitachi Ltd 空気調和機
JP3015562B2 (ja) * 1991-11-11 2000-03-06 三洋電機株式会社 風向変更装置
JPH06341702A (ja) * 1993-06-02 1994-12-13 Hitachi Ltd 空気調和機
TW384374B (en) * 1996-10-03 2000-03-11 Toshiba Corp Indoor unit of air-conditioner
JP3719472B2 (ja) * 1997-09-19 2005-11-24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天埋型空気調和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R019044A1 (es) 2001-12-26
AU764351B2 (en) 2003-08-14
CN1232947A (zh) 1999-10-27
ID22472A (id) 1999-10-21
US6089972A (en) 2000-07-18
JPH11304234A (ja) 1999-11-05
DE69920563D1 (de) 2004-11-04
EP0950867A2 (en) 1999-10-20
EP0950867B1 (en) 2004-09-29
EP0950867A3 (en) 2001-05-23
DE69920563T2 (de) 2006-02-23
CN1134621C (zh) 2004-01-14
JP3885846B2 (ja) 2007-02-28
MY133896A (en) 2007-11-30
AU764351C (en) 2004-03-25
AU1848199A (en) 1999-10-28
TW374844B (en) 1999-11-21
EG21399A (en) 2001-10-31
ES2229628T3 (es) 2005-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82816A (ko) 공기조화기
EP0943875B1 (en) Air conditioner
JP4462389B2 (ja) 空気調和機
GB2379267A (en) Housing arrangement for an air conditioner vent
KR200161129Y1 (ko) 공기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조립구조
JP2000039209A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2008064396A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KR200164654Y1 (ko)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CN217357167U (zh) 空调室内柜机和空调器
CN216346654U (zh) 人感装置及空调机
KR0120737Y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213542647U (zh) 一种空调室内机
CN111263870B (zh) 空气调节机
JPH0354361Y2 (ko)
JPH0894107A (ja) 送風機の絶縁構造
KR20030032588A (ko) 공기조화기의 송풍팬 장착구조
KR20220005252A (ko)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KR0120741Y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0340244Y1 (ko) 분리형에어컨의인써트그릴개폐장치
KR20030032587A (ko) 공기조화기의 송풍팬 장착구조
JPH0734280Y2 (ja) 空気調和機における吹出羽根駆動装置
KR20030000211A (ko) 공기조화기의 모터 장착구조
KR20020053321A (ko) 천정 카세트형 공기 조화기의 루버구동구조
JPH0527546U (ja) 空気調和機の風向変更装置
JP2005164072A (ja) 空気調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