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2588A - 공기조화기의 송풍팬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송풍팬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2588A
KR20030032588A KR1020010064470A KR20010064470A KR20030032588A KR 20030032588 A KR20030032588 A KR 20030032588A KR 1020010064470 A KR1020010064470 A KR 1020010064470A KR 20010064470 A KR20010064470 A KR 20010064470A KR 20030032588 A KR20030032588 A KR 200300325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fan
outdoor
output shaft
h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4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to KR1020010064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32588A/ko
Publication of KR20030032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2588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2Centrifugal or radial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38Fan details of outdoor units, e.g. bell-mouth shaped inlets or fan moun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송풍팬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모터출력축(70i, 70e)에 실내측팬(80) 및 실외측팬(90)을 체결하기 위하여, 상기 모터출력축(70i, 70e)의 양단에는 각각 수나사부(70s, 70s')를 형성하고, 상기 실내측팬(80) 및 실외측팬(90) 각각의 허브 내면에는 암나사부(80s, 90s)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조화기의 송풍팬 장착구조가 간단하고, 보다 견고하게 각각의 상기 모터출력축(70i, 70e)에 실내측팬(80)과 실외측팬(90)을 체결할 수 있으며, 모터의 구동력을 확실하게 송풍팬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별도의 부품 없이 상기 모터출력축(70i, 70e)과 송풍팬(80, 90)을 착탈하게 함으로써, 부품의 수를 감소할 수 있고, 원가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한번의 작업으로 모터출력축(70i, 70e)과 송풍팬(80, 90)을 체결할 수 있어서, 조립작업성이 향상되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송풍팬 장착구조{Connecting structure for fan of air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조화기의 모터출력축에 송풍팬을 체결하기 위한 공기조화기의 송풍팬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공기를 용도, 목적에 따라 가장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를테면, 여름에는 실내를 시원한 냉방상태로 조절하고, 겨울에는 실내를 따뜻한 난방상태로 조절한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며, 실내의 공기를 쾌적한 청정상태로 조절한다.
도 1에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요부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고로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내부구성을 살펴보면, 공기조화기의 바닥을 베이스팬(1)이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팬(1)의 실내측 전면에는 전면그릴(3)이 설치된다. 상기 전면그릴(3)은 공기조화기의 정면 외관을 형성하게 되는 것으로 실질적으로는 아래에서 설명될 캐비넷(30)의 전면에 장착된다. 이와 같은 전면그릴(3)의 일측에는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가 공기조화기의 내부로 흡입되는 흡입부(3i)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공기조화기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다시 실내로 토출되는 토출부(3e)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흡입부(3i)에는 흡입그릴(4)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부(3e)의 하부에는 공기조화기의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콘트롤패널부(3c)가 구비된다.
상기 전면그릴(3)의 내측에는 상기 흡입부(3i)에 대응되게 실내열교환기(7)가 설치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7)는 상기 프론트그릴(3)의 흡입부(3i)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와 공기조화사이클의 작동유체 사이의 열교환을 위한 것으로, 보다 정확하게는 아래에서 설명될 에어가이드(9)에 설치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7)가 설치되는 에어가이드(9)의 구성을 살펴보면, 에어가이드(9)에는 상기 실내열교환기(7)를 통과한 공기가 안내되는 오리피스(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면그릴(3)의 토출부(3e)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토출가이드(9e)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에어가이드(9)의 바닥면에는 상기 실내열교환기(7)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조(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9)의 배면에는 스크롤(11)이 상기 에어가이드(9)와 결합하여 설치된다. 상기 스크롤(11)의 내면에는 유동가이드면(12)이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실내측팬(19)에 의해 형성되는 기류를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그릴(3)의 콘트롤패널부(3c)에 대응되는 베이스팬(1) 상에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를 위한 각종 전장부품이 구비되는 콘트롤박스(14)가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스크롤(11)의 후면에 밀착되어서는 공기조화기의 실내측과 실외측을 구획하는 베리어(15)가 설치된다. 상기 베리어(15)는 공기조화기의 실내측과 실외측을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베리어(15)의 후단, 즉 실외측에는 모터마운트(18)가 베이스팬 (1)에 안착되어 설치되고, 이에는 모터(17)가 설치된다. 상기 모터(17)는 그 축이 각각 실내측과 실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일측 축은 상기 베리어(15)와 스크롤(11)을 관통하여 실내측의 스크롤(11) 내부로 돌출된다. 상기 실내측으로돌출된 축에는 실내측팬(19)이 설치된다. 상기 실내측팬(19)은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실내열교환기(7)로 통과시키고, 흡입된 공기를 다시 상기 토출가이드(9e)로 안내하여 실내로 토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모터(17)의 실외측 축에는 실외측팬(21)이 설치된다. 상기 실외측팬 (21)은 실외의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조화기 실외측의 실외열교환기(27)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실외측에는 상기 실외측팬(21)에 의해 형성되는 기류를 안내하는 쉬라우드(23)가 설치된다. 상기 쉬라우드(23)는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를 실외열교환기(27)로 고르게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쉬라우드(23)에는 상기 실외측팬(21)이 설치되는 통공(23')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부호 24는 쉬라우드 (23)의 상면을 형성하는 커버이다. 그리고, 도면부호 25는 상기 에어가이드(9)와 쉬라우드 (23)의 상단을 연결하여 그 설치상태를 견고하게 하는 브레이스이다.
다음으로, 실외열교환기(27)는 상기 베이스팬(1)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실외측 가장 외곽에 설치된다. 상기 실외열교환기(27)는 실외에서 흡입된 공기와 작동 유체가 서로 열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베이스팬(1) 상에 설치되는 각종 부품을 차폐하도록 캐비넷이 구비된다. 상기 캐비넷(30)은 상기 베이스팬(1)과 체결되고, 공기조화기의 양측면과 상단을 차폐한다.
여기서,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실외측에는 공기조화사이클의 구성요소인 압축기와 팽창밸브 등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상기 실내측에 해당되는 부분이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실외측에 해당되는 부분이 실외측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사용된다.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송풍팬 장착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공기조화기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17)가 구비되며, 상기 모터(17)의 본체(17') 양측에는 실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실내출력축(17i)과 실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실외출력축(17e)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내출력축(17i)은 상기 실내측팬(19)에 구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실외출력축(17e)은 상기 실외측팬(21)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실내출력축(17i)과 실외출력축(17e)은 환봉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상기 출력축(17i, 17e)의 일단에는 반원형 단면의 실내키이부(17k)와 실외키이부(17k')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내키이부(17k)는 아래에서 설명될 실내측팬(19)의 허브 내면에 형성된 키홈(19k)에 삽입되며, 상기 실외키이부(17k')는 아래에서 설명될 실외측팬(21)의 허브 내면에 형성된 키홈(21k)에 삽입된다.
상기 출력축(17i, 17e)에 형성된 실내키이부(17k)와 실외키이부(17k')가 각각의 키홈(19k, 21k)에 체결되었을 때, 상기 실내키이부(17k)와 실외키이부(17k')의 길이는 각각의 상기 키이부(17k, 17k')가 각각의 상기 키홈(19k, 21k)을 관통하여 돌출되지 않도록, 각각의 상기 키홈(19k, 21k)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상기 키이부(17k, 17k')와 키홈(19k, 21k)은 상기 출력축(17i, 17e)과 상기 실내측팬(19) 및 상기 실외측팬(21)의 미끄럼을 방지하고, 상기 출력축(17i,17e)의 구동력을 상기 송풍팬(19, 21)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실내측팬(19)의 축방향 중심에는 상기 모터(17)의 실내출력축 (17i)과 체결되는 허브(19h)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허브(19h)의 외면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허브(19h)의 내면은 상기 실내출력축(17i)의 실내키이부(17k)에 대응되는 반원형 단면의 키홈(19k)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동일하게, 상기 실외측팬(21)의 축방향 중심에도 상기 실외출력축(17e)과 체결되는 허브(21h)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허브(21h)의 내면에는 상기 실외출력축(17e)의 실외키이부 (17k')에 대응되는 반원형 단면의 키홈(21k)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송풍팬 장착구조의 체결상태를 살펴보자. 종래의 송풍팬 장착구조는, 상기 실내출력축(17i)의 실내키이부 (17k)에 상기 실내측팬(19)의 키홈(19k)을 삽입하고, 상기 실외출력축(17e)의 실외키이부(17e)에 실외측팬(21)의 키홈(21k)을 삽입하여 상기 출력축(17i, 17e)의 구동력을 상기 송풍팬(19, 21)에 전달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실내측팬(19)과 상기 실외측팬(21)이 각각의 상기 출력축(17i, 17e)에서 탈거되지 않도록, 클램프스프링(22, 22')을 각각의 상기 실내측팬(19)과 상기 실외측팬(21)의 허브 외면에 체결한다. 상기 클램프스프링(22,22')은 탄성력을 이용하여 각각의 상기 출력축(17i, 17e)에 각각의 상기 송풍팬(19, 21)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일체형 공기조화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모터(17)와 송풍팬(19, 21)을 체결함에 있어, 먼저 상기 출력축(17i, 17e)에 상기 송풍팬의 허브(19h, 21h)를 삽입한다. 이 때 상기 키홈(19k, 21k)과 상기 키이부(17k, 17k')가 서로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출력축(17i, 17e)에서 송풍팬(19, 21)으로 구동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출력축(17i, 17e)과 송풍팬(19, 21)의 체결을 위해 상기 클램프스프링 (22, 22')을 상기 송풍팬의 허브(19h, 21h) 외면에 장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상기 모터(17)에 송풍팬(19, 21)을 조립하기 위한 작업이 한번에 이루어지지 않고, 최소한 2단계의 작업을 거쳐야 하였다. 따라서, 송풍팬(19, 21)의 조립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송풍팬(19, 21)과 모터(17)의 조립을 위하여 별도의 클램프를 사용하여야 함으로 구성부품의 개수가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형상을 변형하여 보다 견고하게 체결되며, 별도의 부품 없이 구조적인 형상만으로 착탈이 가능하도록 공기조화기의 송풍팬 장착구조를 개선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요부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송풍팬 장착구조를 보인 분해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송풍팬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8 : 모터마운트58': 축공
70 : 모터70': 본체
70c: 체결편70i: 실내출력축
70e: 실외출력축70s, 70s': 수나사부
80 : 실내측팬80h: 허브
80p: 스토퍼80s: 암나사부
90 : 실외측팬90h: 허브
90p: 스토퍼90s: 암나사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출력축과, 상기 모터출력축에 허브를 통해 체결되어 모터출력축의 구동력을 전달받는 송풍팬과, 상기 모터출력축과 허브의 체결을 위해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서로 체결되는 제 1 및 제 2나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송풍팬의 허브내면에는 상기 모터출력축의 선단이 상기 허브를 관통하지 않도록 스토퍼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나사부의 나선은 상기 모터출력축의 회전방향과 동일 방향 회전에 의해 체결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송풍팬 장착구조는 작업 공정이 간단해지며, 부품의 수가 감소되는 잇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송풍팬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송풍팬 장착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공기조화기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팬(50) 상에는 각종 부품들이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팬(50) 상에 설치된 베리어(52)에 의해 실외측과 실내측이 구획된다. 그리고, 상기 베리어(52)의 중앙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실내출력축(70i)이 관통하는 축공(5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리어(52)와 인접한 실내측에는 스크롤(54) 또는 에어가이드(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스크롤(54)은 실내측으로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고 실내측과 실외측 사이의 단열을 수행하는 것으로, 그 내면에는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유동안내면(5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롤(54)의 중앙에도 축공(5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베리어(52)와 인접한 실외측에는 모터마운트(58)가 상기 베이스팬(50)에 장착되며, 상기 모터마운트(58)에는 실내출력축(70i)이 관통하는 관통구(58')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모터(70)는 아래에서 설명될 실내측팬(80)과 실외측팬(90)을 동시에 구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모터본체(70')의 양단으로 돌출되게 모터출력축(70i, 70e)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모터마운트(58)에 안착된다. 상기 모터본체(70')에는 상기 모터마운트(58)에 체결되는 체결편(70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모터출력축(70i, 70e)은 환봉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중 하나는 실내측으로 돌출된 실내출력축(70i)이고, 다른 하나는 실외측으로 돌출된 실외출력축(70e)이다.
상기 실내출력축(70i)은 상기 베리어의 축공(52')과 상기 스크롤의 축공(56')을 관통하여 상기 스크롤(54) 내부에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스크롤(54) 내부에 위치된 실내출력축(70i)에는 실내측팬(80)이 설치된다. 그리고, 실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실외출력축(70e)에는 실외측팬(90)이 설치된다.
상기 실내출력축(70i)의 일단 원주 둘레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실내측팬(80)의 허브(80h)와 체결되는 수나사부(70s)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나사부(70s)는 상기 실내출력축(70i)이 회전방향으로 회전을 하면, 아래에서 설명될 실내측팬의 허브(80h) 내면에 형성된 암나사부(80s)에 박혀 들어가는 방향으로 나선이 형성된다.
즉, 도면상 왼쪽에서 상기 실내출력축(70i)을 축방향으로 내려다 볼 때, 상기 실내출력축(70i)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면, 실내출력축(70i)의 원주 둘레에 형성된 상기 수나사부(70s)도 반시계방향으로 나선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실내출력축 수나사부(70s)의 길이는 상기 실내출력축(70i)에 체결되는 상기 실내측팬의 허브(80h)의 내면에 형성되는 암나사부 (80s)의 길이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실외구동축(70e)의 일단 원주 둘레에도 상기 실외측팬(90)과 체결되는 수나사부(70s')가 형성되며, 이 수나사부(70s')의 방향은 상기 실내출력축 (70i)에 형성된 상기 수나사부(70s)와는 반대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도면상 왼쪽에서 상기 실외출력축(70e)을 축방향으로 내려다 볼 때, 상기 실외출력축(70e)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면, 상기 실외출력축(70e)의 원주 둘레에 형성된 수나사부(70s')는 반시계방향으로 나선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실외출력축 수나사부 (70s')의 길이는 아래에서 설명될 상기 실외축팬의 허브(90h)에 형성되는 암나사부(90s)의 길이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실내출력축(70i)과 실외출력축(70e)에 형성된 각각의 나사부(70s, 70s')는 상기 출력축(70i, 70e)이 회전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나선이 형성된다.
한편, 실내측팬(80)은 상기 모터의 실내출력축(70i)에 체결되며,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고, 열교환된 공기를 다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실내측팬(80)의 축방향 중앙에는 원통형의 허브(80h)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내측팬 허브(80h) 내부의 원주면에는 상기 실내출력축(70i)과 대응되는 암나사부(80s)가 형성된다. 이때, 허브(80h) 내면의 암나사부(80s) 길이는 뚜껑이 있는 봉투너트와 같이 허브(80h)를 관통하지 않도록 형성되며, 상기 허브(80h)의 내면에는 상기 실내출력축(70i)의 선단이 상기 허브(80h)를 관통하지 않도록 스토퍼(80p)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실외출력축(70e)에는 실외측팬(90)이 체결되며, 상기 실외측팬(90)의 축방향 중심에는 원통 형상의 허브(90h)가 형성된다. 상기 실외측팬 허브(90h) 내부의 원주면에는 상기 실외출력축(70e)의 수나사부(70s')와 대응되는 암나사부(90s)가 형성되며, 상기 암나사부(90s)는 상기 실외측팬(90)의 허브(90h)를 관통하지 않는 길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허브(90h)의 내면에도 상기 실외출력축(70e)의 선단이 상기 허브(90h)를 관통하지 않도록 스토퍼(90p)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송풍팬 장착구조의 작용에 대하여 살펴보자.
상기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모터(70)의 양측에서 돌출된 상기 모터출력축(70i, 70e)의 일단에는 상기 모터출력축의 회전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체결되도록 나선이 형성된 수나사부(70s, 70s')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모터(70)에 체결되는 실내측팬(80)과 실외측팬(90)의 허브(80h, 90h) 내면에는 상기 암나사부(80s, 90s)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형성된 송풍팬의 장착구조는 상기 실내출력축(70i)의 수나사부(70s)가 실내측팬(80)의 암나사부(80s)에 삽입, 체결되고, 상기 실외출력축 (70e)의 수나사부(70s')는 실외측팬(90)의 암나사부(90s)에 삽입, 체결되어 상기 모터출력축(70i, 70e)의 구동력을 각각의 상기 송풍팬(80, 90)에 전달한다.
이와 같이, 상기 모터출력축(70i, 70e)의 수나사부(70s, 70s')의 나선을 상기 모터출력축(70i, 70e)의 회전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송풍팬(80, 90)이 모터출력축(70i, 70e)에 탈거되지 않고 더욱 견고하게 체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즉, 상기 나사부(70s, 70s')의 나선이 상기 모터출력축(70i, 70e)의 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상기 송풍팬(80, 90)의 관성에 의하여, 상기 모터출력축(70i, 70e)에서 상기 송풍팬(80, 90)이 점점 풀어져서 이탈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 이외에도, 상기 모터(70)의 양측에서 돌출된 상기 출력축(70i)의 하나에만 나사부(70s)를 형성하고, 다른 하나의 출력축(70e)에는 키이부를 형성하며, 상기 모터출력축(70i, 70e)에 대응되게 송풍팬(80, 90)의 허브내면에 각각 나사부(70s)와 키홈을 형성하여 상기 모터출력축(70i, 70e)에 상기 송풍팬(80, 90)을 체결할 수도 있다.
즉, 모터출력축의 일측에는 본 발명에 의한 구조로 송풍팬을 체결하고, 다른 일측의 모터출력축에는 종래 기술에 위한 구조로 송풍팬을 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송풍팬 장착구조는 모터출력축의 원주 둘레에 수나사부를 형성하고, 실내측팬과 실외측팬 각각의 허브 내면에 모터출력축의 수나사부에 대응되는 암나사부를 형성하여 체결하는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송풍팬 장착구조가 간단하고, 상기 나사부가 모터출력축의 회전방향과 동일 방향 회전에 의해 체결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보다 견고하게 각각의 모터출력축에 실내측팬과 실외측팬을 체결할 수 있으며, 모터의 구동력을 확실하게 송풍팬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별도의 부품 없이 구조적인 형상만으로 상기 모터출력축과 송풍팬을 착탈하게 함으로써, 부품의 수를 감소할 수 있고, 원가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한번의 작업으로 모터출력축과 송풍팬을 체결할 수 있어서, 조립작업성이 향상되는 잇점이 있다.

Claims (3)

  1.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출력축과,
    상기 모터출력축에 허브를 통해 체결되어 모터출력축의 구동력을 전달받는 송풍팬과,
    상기 모터출력축과 허브의 체결을 위해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서로 체결되는 제 1 및 제 2나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송풍팬 장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의 허브내면에는 상기 모터출력축의 선단이 상기 허브를 관통하지 않도록 스토퍼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송풍팬 장착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의 나선은 상기 모터출력축의 회전방향과 동일 방향 회전에 의해 체결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송풍팬 장착구조.
KR1020010064470A 2001-10-18 2001-10-18 공기조화기의 송풍팬 장착구조 KR200300325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4470A KR20030032588A (ko) 2001-10-18 2001-10-18 공기조화기의 송풍팬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4470A KR20030032588A (ko) 2001-10-18 2001-10-18 공기조화기의 송풍팬 장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2588A true KR20030032588A (ko) 2003-04-26

Family

ID=29565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4470A KR20030032588A (ko) 2001-10-18 2001-10-18 공기조화기의 송풍팬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3258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37851A (zh) * 2008-11-14 2010-06-16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空调器室外机风扇的包装结构
KR200454323Y1 (ko) * 2009-11-10 2011-06-30 배서은 사레 방지용 음료수병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37851A (zh) * 2008-11-14 2010-06-16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空调器室外机风扇的包装结构
KR200454323Y1 (ko) * 2009-11-10 2011-06-30 배서은 사레 방지용 음료수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117666A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30032588A (ko) 공기조화기의 송풍팬 장착구조
JP7106284B2 (ja) ルーバ、空気調和機及び空気調和機の組立方法
KR0120745Y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팬 지지장치
KR100437393B1 (ko)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 장착구조
JP3506937B2 (ja) 横流ファン及びそれを用いた流体送り装置
KR20030032587A (ko) 공기조화기의 송풍팬 장착구조
EP1625331B1 (en) Fan convector assembly
KR200162959Y1 (ko) 분리형 에어콘 실내기의 컨트럴 박스
KR200312146Y1 (ko) 에어컨 실내기의 팬모터 설치구조
JP3048908B2 (ja) 空気調和機
KR0120737Y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217122B1 (ko) 분리형 에어컨의 실내기
KR200184572Y1 (ko)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송풍기 장착구조
KR200176607Y1 (ko) 에어컨의 블로어용 베어링 브래킷 설치구조
KR0122722Y1 (ko) 공기 조화기용 송풍모터의 고정장치
KR0120744Y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0439664B1 (ko) 에어컨 실내기의 송풍모터 설치구조
JPH0737073Y2 (ja) 空気調和機におけるダンパの取付構造
KR0128922Y1 (ko) 공기조화기의 모터 지지대
KR100377749B1 (ko) 벽매립형 일체형 공기조화기
JP2516805Y2 (ja) 空気調和機の風向変更装置
KR20050047630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팬모터 고정구조
KR10040302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725745B1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