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4868U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4868U
KR20090004868U KR2020070018541U KR20070018541U KR20090004868U KR 20090004868 U KR20090004868 U KR 20090004868U KR 2020070018541 U KR2020070018541 U KR 2020070018541U KR 20070018541 U KR20070018541 U KR 20070018541U KR 20090004868 U KR20090004868 U KR 2009000486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air conditioner
boss
front panel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85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지상
김종운
손길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185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4868U/ko
Publication of KR200900048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86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면 개방부를 갖는 공기조화기 본체와, 전면 개방부를 개폐하기 위해 공기조화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면패널과, 전면패널을 본체에 고정시키는 힌지장치를 포함하며, 힌지장치는 공기조화기 본체에 설치되며 제1관통부가 형성된 제1힌지부재와, 전면패널에 마련되는 제2힌지부재와, 제1 및 제2힌지부재를 결합하는 회전축과, 회전축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이부 및 보스를 포함하며, 회전축은 제1 및 제2힌지부재에 삽입된 힌지삽입부와, 힌지삽입부에서 일측으로 절곡 형성된 각도보상부와, 걸이부에 고정되도록 각도보상부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지지부와, 보스에 안착되도록 지지부에서 전방으로 돌출 절곡된 보스안착부를 포함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면패널을 본체에 고정시키는 힌지장치의 구조가 개선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 공기를 조화하는 장치로,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와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를 포함한다. 실외기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압축기와 연결되는 실외열교환기와, 실외열교환기 주위의 공기를 강제 송풍시키는 송풍장치를 포함한다. 그리고, 실내기는 실내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실내열교환기와, 실내열교환기 주의의 공기를 강제 송풍시키는 송풍장치를 포함한다.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의 구조와 설치 위치에 따라 천장형, 벽걸이형, 스탠드형 등으로 구분된다.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실내기가 실내의 천장에 매립 설치되는 것이고, 벽걸이형은 실내기가 실내의 벽면에 설치되는 것이고, 스탠드형은 실내기가 실내의 바닥에 세워져 설치되는 것이다.
이들 각종 실내기는 내부 청소나, 부품의 수리 또는 교체 등의 이유로 도어를 개방할 경우 본체의 내부가 외부로 드러나도록 되어 있다. 즉, 공기조화기 본체 의 일측은 개방되고, 공기조화기 본체의 일측에는 이 개방부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나, 커버가 설치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의 일예로 한국 공개특허 제2007-0044161호에는 개폐 가능한 전면패널이 구비된 스탠드형 공기조화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기 본체의 전방이 개방되고, 공기조화기 본체의 전방에는 전면패널이 개방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전면패널은 공기조화기 본체의 한쪽 측부에 힌지장치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여닫이식으로 개폐된다. 공기조화기는 전면패널이 닫힌 상태에서 작동하고, 내부 청소나, 부품 수리 또는 교체 시에는 사용자가 전면패널의 일측을 당겨 공기조화기 본체의 전방을 개방한다.
그런데, 한국 공개특허 제2007-0044161호에 개시된 공기조화기의 힌지장치는 부피가 커서 설계시 공간확보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 공기조화기는 부피 및 무게가 상당히 커지게 되어 그에 따라 제조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면패널의 회전중심축이 공기조화기 본체에 마련됨으로써 전면패널의 조립 및 해체작업시에 작업공간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으며 전면패널의 개방범위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공기조화기 힌지장치의 부피를 감소하고 슬림(Slim)하여 전면패널의 조립과 해체가 보다 용이하도록 하며, 또한 그에 따른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전면 개방부를 갖는 공기조화기 본체와, 상기 전면 개방부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공기조화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면패널과, 상기 전면패널을 상기 본체에 고정시키는 힌지장치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힌지장치는 공기조화기 본체에 설치되며 제1관통부가 형성된 제1힌지부재와, 상기 전면패널에 마련되는 제2힌지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힌지부재를 결합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이탈을 방지하 는 걸이부 및 보스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은 제1 및 제2힌지부재에 삽입된 힌지삽입부와, 상기 힌지삽입부에서 일측으로 절곡 형성된 각도보상부와, 상기 걸이부에 고정되도록 상기 각도보상부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지지부와, 상기 보스에 안착되도록 상기 지지부에서 전방으로 돌출 절곡된 보스안착부를 포함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힌지장치는 상기 제1관통부에 끼워져 고정되며 내부에 상기 제1관통부와 동일한 중심축을 따라 배치된 내부통공을 가지는 부싱을 포함하고, 상기 걸이부는 복수로 구비되되 중앙부의 측단면이 ㄷ자 형상의 홈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한 힌지삽입부는 상기 전면패널의 상단 일측에 형성된 체결홈에 삽입 고정되며, 90도의 각도로 절곡되어 상기 각도보상부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2힌지부재는 상기 힌지삽입부가 삽입되는 정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장방형의 개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90도의 각도로 절곡되어 상기 보스안착부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스에는 체결부재가 결합되되,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보스안착 부를 밀착 지지하는 머리부와 상기 보스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힌지장치는 외관이 슬림(Slim)하여 전면패널의 조립과 해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또한 구조가 단순하여 제조비용을 절감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면패널의 회전중심축을 전면패널의 배면 일측에 마련함으로써 작업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면패널의 개방범위를 크게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측면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기 본체(110)와, 공기조화기 본체(110)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면패널(160)과, 상기 전면패널(160)을 상기 공기조화기 본체(110)에 고정시키는 복수의 힌지장치(170,67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 본체(110)의 내부에는 실내열교환기(140)와 송풍장치(150)가 설치되고, 공기조화기 본체(110)의 측면에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그릴(120)과,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그릴(130)이 설치된다. 토출그릴(130)은 공기조화기가 작동할 때 열리도록 되어 있 다. 공기조화기 본체(110)의 전방은 청소나, 부품의 수리 또는 교체 등을 위해 개방된다. 전면패널(160)은 공기조화기 본체(110)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여닫이식으로 공기조화기 본체(110)의 개방부를 개폐한다. 전면패널(160)은 제1힌지장치(170) 및 제2 힌지장치(670)에 의해 공기조화기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1힌지장치(170)는 전면패널(160)의 상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제2힌지장치(670)는 전면패널(160)의 하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1힌지장치(170)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공기조화기 본체(110)에 고정설치되는 제1힌지부재(180)와, 전면패널(160)의 배면에 고정설치되는 제2힌지부재(190)와, 상기 제1 및 제2 힌지부재(180,190)가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게 하는 부싱(200)과, 상기 제1 및 제2 힌지부재(180,190)와 상기 부싱(200)을 관통하여 전면패널(160)의 상단부의 형성된 체결홈(161)에 삽입되는 회전축(300)을 구비한다.
제1힌지부재(180)는 플레이트 힌지로서 본체(110)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일체로 마련되어 대략 90도의 각도로 전면패널(160)을 향하여 절곡된 연장부를 포함한다. 연장부는 가운데 부분에서 두께방향으로 단차가 형성되어 전면패널(160)이 회동하는 경우에 공기조화기 본체(110)와 도어간의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힌지부재(180)의 일단에는 제1관통부(181)가 형성되어 후술할 부싱(200)과 회전축(300)이 삽입되도 록 한다.
제2힌지부재(190)는 전면패널(160)의 배면 일측에서 상하방향으로 마련되는 브라켓 형상의 부재로서, 회전축(300)이 관통하여 지나는 제2관통부(191)와 회전축(300)이 조립되는 단계에서 회전축(300)이 삽입되는 정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개방부(192)를 구비하며, 상기 개방부는 장방형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제2힌지부재(190)는 전체적으로 브라켓 형상을 하고 있으나 제2관통부(191)의 중앙부에서는 관통되는 회전축(300)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그 단면이 돔형상을 구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힌지부재는 전면패널과 일체로 사출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별도로 마련하여 전면패널의 배면 일측에 결합 형성할 수도 있다. 다만 도면에서의 제2힌지부재(190)는 회전축(300)과 인접하여 위치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나머지 부분에서는 평탄한 부재를 도시하고 있으나 관통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부에 회전축(300)을 삽입할 수 있는 것이면 이에 한하지 않는다.
부싱(200)은 내부 통공(20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단 둘레가 일정한 비율로 작아지는 형상의 부재로서 제1관통부(181)에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부싱(200)을 제1관통부(181)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부싱(200)은 제1관통부(181)에 삽입되고 부싱(200)의 외주면은 상기 제1관통부(181)의 내주면에 밀착된다. 이때 상기 제1관통부(181)의 내주면과 부싱(200)의 외주면 사이의 체결력을 증대하기 위하여 부싱(200) 외주면은 반경방향의 둘레를 따라서 소정깊이의 홈을 구비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회전축(300)은 제1 및 제2힌지부재(180,190)에 삽입되는 힌지삽입부(310)와 상기 힌지삽입부(310)에서 일측으로 절곡형성되는 각도보상부(320)와 후술할 걸이부(600)에 안착되는 지지부(330)와 상기 지지부(330)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마련되는 보스안착부(34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본 고안의 힌지장치는 로드형상의 힌지삽입부와 각도보상부 및 지지부와 보스안착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회전축을 구비하여 슬림(Slim)화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의 힌지삽입부(310)는 로드형상의 부재로서 제1힌지부재(180)에 대하여 제2힌지부재(190)를 연결하는 회전 중심축의 기능을 하며, 힌지삽입부(310)의 일단은 전면패널(160)의 상단 일측에 형성된 체결홈(161)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즉 힌지삽입부(310)는 제1 및 제2 관통부(181,191)를 지나 체결홈(161)에 결합되어 제1힌지부재(180)와 제2힌지부재(190)가 서로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지지부(330)는 도 3 및 도 4를 기준으로 전면패널(160)에 형성되는 제2 힌지부재(190)의 우측 하단에 마련된 걸이부(600)에 안착되도록 구성된다. 걸이부(600)의 가운데는 측단면이 ㄷ자 또는 C자 형상의 홈으로 마련되어 로드형상의 지지부(330)가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지지부(330)는 걸이부(600)에 고정 안착되므로 회전축(300)이 전체적으로 제1 및 제2 힌지부재(180,190)와 결합되어 유지됨으로써 전면패널(160)이 회동하는 경우에도 이탈되지 않게 된다. 한편 걸이부(600)는 전면패널(160)의 소정위치에 복수로 구비되어 지지부(330)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힌지삽입부(310)와 지지부(330)의 사이에는 각도보상부(320)가 마련된다. 즉 본 고안의 회전축(300)은 힌지삽입부(310)를 지나 각도보상부(320)가 마련되어 지지부(330)로 연장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각도보상부(320)는 회전축(300)이 복수의 힌지부재(180,190)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지지부(330)가 걸이부(600)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소정 각도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회전축(300)의 조립 및 해체과정을 용이하게 하도록 다수의 절곡부를 가지도록 한다. 즉 각도보상부(320)는 힌지삽입부(310)와 지지부(330)에 대응하는 임의의 각도를 형성함으로써 힌지삽입부(310)가 용이하게 복수의 힌지부재(180,190)에 삽입되도록 하며 또한 지지부(330)를 걸이부(600)에 용이하게 안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면패널에는 상기 지지부(330)에서 대략 90도의 각도로 전방으로 절곡연장되어 돌출형성되는 보스안착부(340)가 마련된다. 보스안착부(340)는 걸이부(600)와 함께 회전축(300)이 복수의 힌지부재(180,19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 기 위한 것이다. 보스안착부(340)는 회전축(300)의 조립이 완료되는 경우 보스(400)의 길이방향으로 안착되며 또한 보스(400)의 내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체결부재(500)와 나사결합 하게 된다. 상기 체결부재(500)는 보스(400)와 나사결합되는 나사부(501)와 보스안착부(340)를 밀착지지하는 원판형의 머리부(5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면패널(160)의 하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힌지장치(67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형상의 회전축을 복수의 힌지부재와 결합하도록 한다. 상기 제2힌지장치(670)는 각각 관통부가 형성된 복수의 힌지부재와, 복수의 힌지부재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게 하는 회전축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축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로드형상의 부재로 마련되어 회전중심축의 기능을 한다. 또한 제2힌지장치는 제1힌지장치와 함께 전면패널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조립하는 순서를 설명하면, 먼저 제1힌지부재(180)의 제1관통부(181)에 부싱(200)을 삽입하고, 다음에는 회전축(300)을 제2힌지부재(190)의 제2관통부(191)에 삽입한다. 또한 제2관통부(191)를 지난 회전축(300)이 부싱(200)의 내부 통공(201)을 관통하여 전면패널(160)의 상단 일측에 마련된 체결홈(161)에 결합되도록 한다. 그 다음 회전축(30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지지부(330)가 복수의 걸이부(600)에 안착되 도록 한다. 또한 이 경우 보스안착부(34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체결부재(500)가 보스(400)와 나사결합되도록 한다. 즉 보스(400)와 걸이부(600)에 안착된 회전축(300)은 복수의 힌지부재로(180,190)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완성된 힌지장치(170)는 제1힌지부재(180)와 부싱(200)이 고정결합되어 있고, 또한 제1 및 제2 힌지부재(180,190)와 회전축(300)이 고정결합되어 있어 결국 제1힌지부재(180)와 제2힌지부재(190)가 회전축(30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공기조화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공기조화기를 나타낸 정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 공기조화기의 힌지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 공기조화기의 힌지장치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0...공기조화기 본체 160...전면패널
170...제1힌지장치 180...제1힌지부재
190...제2힌지부재 200...부싱
300..회전축 310...힌지삽입부
320...각도보상부 330...지지부
340...보스안착부 400...보스
500...체결부재 600...걸이부

Claims (5)

  1. 전면 개방부를 갖는 공기조화기 본체와, 상기 전면 개방부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공기조화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면패널과, 상기 전면패널을 상기 본체에 고정시키는 힌지장치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힌지장치는 공기조화기 본체에 설치되며 제1관통부가 형성된 제1힌지부재와, 상기 전면패널에 마련되는 제2힌지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힌지부재를 결합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이부 및 보스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은 제1 및 제2힌지부재에 삽입된 힌지삽입부와, 상기 힌지삽입부에서 일측으로 절곡 형성된 각도보상부와, 상기 걸이부에 고정되도록 상기 각도보상부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지지부와, 상기 보스에 안착되도록 상기 지지부에서 전방으로 돌출 절곡된 보스안착부를 포함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장치는 상기 제1관통부에 끼워져 고정되며 내부에 상기 제1관통부와 동일한 중심축을 따라 배치된 내부통공을 가지는 부싱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걸이부는 복수로 구비되되 중앙부의 측단면이 ㄷ자 형상의 홈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삽입부는 일단이 상기 전면패널의 상단 일측에 형성된 체결홈에 삽입 고정되며, 90도의 각도로 절곡되어 상기 각도보상부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힌지부재는 상기 힌지삽입부가 삽입되는 정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장방형의 개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90도의 각도로 절곡되어 상기 보스안착부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에는 체결부재가 결합되되,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보스안착부를 밀착 지지하는 머리부와 상기 보스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2020070018541U 2007-11-19 2007-11-19 공기조화기 KR2009000486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8541U KR20090004868U (ko) 2007-11-19 2007-11-19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8541U KR20090004868U (ko) 2007-11-19 2007-11-19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868U true KR20090004868U (ko) 2009-05-22

Family

ID=41299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8541U KR20090004868U (ko) 2007-11-19 2007-11-19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486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0823A1 (en) * 2018-10-18 2020-04-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Out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0823A1 (en) * 2018-10-18 2020-04-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Out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CN112867895A (zh) * 2018-10-18 2021-05-28 三星电子株式会社 室外单元和具有该室外单元的空气调节器
CN112867895B (zh) * 2018-10-18 2023-04-11 三星电子株式会社 室外单元和具有该室外单元的空气调节器
US11635215B2 (en) 2018-10-18 2023-04-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Out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2202992B2 (en) Ceiling type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AU2008202944B2 (en) Storage
US10746456B2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and blade unit applied to same
AU2014349358B2 (en) Indoor unit of ceiling type air-conditioner
KR20140123184A (ko) 블레이드 체결구조 및 이를 갖는 공기조화기
KR101611327B1 (ko) 스텐드형 공기조화기
KR20090004868U (ko) 공기조화기
KR101271057B1 (ko) 공기조화기
KR100780788B1 (ko) 공기조화기
JP3575943B2 (ja) ダクト用換気扇
KR100790057B1 (ko) 공기 조화기
EP4086532A1 (en) Air conditioner indoor unit
KR101381140B1 (ko) 공기조화기
KR100723943B1 (ko) 스탠드형 에어컨의 공기청정기 구조
US6401476B1 (en) Separation type air conditioner and its installation method
KR20110016279A (ko) 다방향 토출형 에어컨
JPH08270974A (ja) 空気調和装置
JPWO2006035747A1 (ja) 天井埋込み形空気調和機
KR20200005024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JP2574286Y2 (ja) 天吊り形空気調和機
KR100487336B1 (ko) 공기조화기용 실외기의 케이스 구조
JP2008209065A (ja) 天井吊り形空気調和機
CN214198892U (zh) 门体组件、出风部件、空调柜机和空调器
KR100874235B1 (ko) 공기조화기의 케이스
KR20090129198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