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5549A - 양축 모터 및 그를 갖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양축 모터 및 그를 갖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5549A
KR20070105549A KR1020060037800A KR20060037800A KR20070105549A KR 20070105549 A KR20070105549 A KR 20070105549A KR 1020060037800 A KR1020060037800 A KR 1020060037800A KR 20060037800 A KR20060037800 A KR 20060037800A KR 20070105549 A KR20070105549 A KR 200701055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shaft
air conditioner
stator
r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7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상지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7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05549A/ko
Publication of KR20070105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55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14Casings; Enclosures;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24F1/027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mounted in wall openings, e.g. in window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24Casings; Enclosures;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suppression or reduction of noise or vib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양축 모터 및 그를 갖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의 외부에서 상기 스테이터에 의해 회전되는 로터와; 상기 스테이터 중에서 상기 로터에 의해 둘러싸이지 않는 면을 덮고 축 관통홀이 형성된 모터 커버와; 상기 로터에 돌출되게 연결되고 상기 축 관통홀을 관통하는 축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로터 및 스테이터가 별도의 모터 케이스의 내부에 내장되는 경우보다 구조가 간단하고, 최대한 컴팩트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양축 모터, 일체형 공기조화기, 스테이터, 로터, 축, 모터 커버

Description

양축 모터 및 그를 갖는 일체형 공기조화기{Motor and window type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축 모터 제 1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축 모터 제 1 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축 모터 제 1 실시예의 횡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B-B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양축 모터 제 2 실시예의 주요부 구성이 도시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양축 모터 제 3 실시예의 주요부 구성이 도시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양축 모터를 갖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제 1 실시예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양축 모터를 갖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제 1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양축 모터를 갖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제 1 실시예의 종단면도,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쉬라우드가 확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양축 모터를 갖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제 2 실시예의 종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양축 모터를 갖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제 2 실시예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양축 모터를 갖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제 3 실시예의 종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양축 모터를 갖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제 3 실시예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
도 16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사시도,
도 17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분해사시도,
도 18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 양축 모터 2: 스테이터
3: 중공부 4: 스테이터 코어
5: 요크 6: 티스
7: 슬롯 8: 인슐레이터
9: 구동 코일 10: 볼트
11: 너트 13: 축 지지수단
14: 제 1 모터 브래킷 14b: 베어링 하우징부
14d: 축 관통홀 15: 제 2 모터 브래킷
15b: 베어링 하우징부 15b: 축 관통홀
16: 제 1 베어링 17: 제 2 베어링
18: 드라이브 20: 로터
22: 로터 프레임 23: 원판부
24: 축 고정부 25,26: 관통공
27: 원통부 28: 마그네트
30: 축 33: 전방 축부
34: 후방 축부 35: 중앙 축부
40: 모터 마운터 40A: 원판부
40B: 플랜지부 40C: 테두리부
42: 단턱부 44: 축 관통홀
50: 방진 수단 52: 러버
56: 스프링 60: 마운팅 브래킷
60A: 중앙부 60B,60C,60D: 다리부
62: 축 관통홀 68: 관통공
100: 본체 130: 가이드
133: 하부 가이드 136: 상부 가이드
162: 쉬라우드 170: 모터 마운터
172: 모터 고정부 174: 다리부
176: 받침대부 200: 실내 공조부
202: 실내 팬 206: 실외 공조부
208: 실외 팬
본 발명은 양축 모터 및 그를 갖는 일체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아우터 로터 타입의 양축 모터와 그를 갖는 일체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 공기를 쾌적한 조건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흡입공기를 처리하여 건물 또는 방에 공급하는 장치로서 크게 분리형(seperate type 또는 split type)과 일체형(window type)으로 구분된다.
상기한 분리형과 일체형은 기능적으로는 같지만 분리형은 실내측에 냉각 장치를 설치하고 실외측에 방열 및 압축 장치를 설치하여 서로 분리된 각 장치간을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킨 것이다.
한편, 일체형은 냉각, 방열의 기능을 일체화하고, 가옥의 벽이나 창에 장착하여 실내의 공기를 직접 흡입한 후 토출하거나 실외에 장착하여 실내와 연결되는 덕트를 통해 실내의 공기를 흡입한 후 토출한다.
도 16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고, 도 17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18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일체 형 공기조화기의 종단면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팬(502)과, 상기 베이스 팬(502)의 상측에 배치되는 캐비닛(504)과, 상기 베이스 팬(502)과 캐비닛(504)의 사이를 실내측 공간(I)과 실외측 공간(O)으로 구획하는 에어 가이드(506)와, 상기 캐비닛(504)의 실내측 전면에 배치되어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전면부를 구성하는 전면패널(509)과, 저온 저압의 기체 상태의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변화시키는 압축기(512)와, 상기 실외측 공간(50O)에 배치되어 상기 압축기(512)에서 나온 냉매가 실외측 공간(50O) 내의 공기로 열을 방출하면서 액체 상태로 응축되는 응축기(514)와, 상기 응축기(514)에서 응축된 고온 고압의 액체 냉매를 저온 저압의 2상 냉매(액체와 기체의 혼합) 상태로 팽창시키는 팽창 밸브(미도시)와, 상기 실내측 공간(I)에 배치되어 상기 팽창 밸브를 통과한 2상 냉매가 실내측 공간(I) 내의 공기의 열을 흡수하면서 기체 상태로 증발되는 증발기(516)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504)은 실외측 측면 및 상면에 실외의 공기가 흡입되는 실외 흡입구(505)가 형성되고, 그 배면은 실외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개방된다.
상기 에어 가이드(506)는 상기 베이스 팬(502) 위에 배치된 하부 가이드(507)와, 상기 하부 가이드(507)의 상부에 배치되어 후술하는 터보팬(524)에 의해 강제 송풍되는 공기를 상기 실내 공기 토출구(5011)로 안내하는 상부 가이드(508)로 구성된다.
상기 전면 패널(509)은 실내 공기가 흡입되는 실내 공기 흡입구(510)가 전면 에 형성되고, 상기 실내 공기 흡입구(5010)의 상측 또는 옆에 실내측 공간(I)의 공기를 실내로 토출하는 실내 공기 토출구(51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상기 에어 가이드(506)에 고정되어 실내측 공간과 실외측 공간으로 전방 샤프트(520a)와 후방 샤프트(520b)가 각각 돌출되는 양축 모터(520)와, 상기 증발기(516)로 실내의 공기를 강제 순환시키도록 상기 양축 모터(520)의 전방 샤프트(520a)에 연결된 실내 팬인 터보팬(524)과, 상기 터보팬(524)의 흡입측에 위치되어 풍속을 빠르게 하는 오리피스(526)와, 상기 응축기(514)로 실외 공기를 강제 통과시키도록 상기 양축 모터(520)의 후방 샤프트(520b)에 연결된 실외 팬인 프로펠러 팬(528)과, 상기 프로펠러 팬(526)의 회전에 의해 흡입된 실외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쉬라우드(5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양축 모터(520)는 AC모터나 DC모터가 사용되고, DC 모터의 경우 모터의 외관을 형성하는 모터 케이스(520a)와, 상기 모터 케이스(520a)의 내부에 고정 설치된 계자용 마그네트(미도시)와, 상기 계자용 마그네트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는 전기자(미도시:로터)와, 상기 전기자에 연결되고 상기 모터 케이스(520a)의 외부로 돌출되게 배치된 축(520b)과, 상기 전기자로 전류를 공급하는 브러시와, 상기 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양축 모터(520)는 상기 모터 케이스(520a)가 철재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모터 케이스(520a)의 둘레에 체결공을 갖는 체결부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양축 모터(520)는 상기 베이스 팬(502)에 설치되는 모터 마운터(521)에 스크류 체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일체형 공기조화기를 작동시키면 상기 압축기(512), 응축기(514), 팽창기구(미도시), 증발기(516)로 구성된 냉동 사이클에는 냉매가 순환되게 되고, 상기 양축 모터(520)는 전류가 인가되면 모터 케이스(520a) 내부의 전기자가 회전되고, 상기 전기자의 회전시 축(520b)이 회전되어 터보팬(524)과 프로펠러 팬(528)을 함께 회전시킨다.
상기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전방측 실내 공기는 상기 터보팬(524)의 회전에 의해 후방으로 흡입되어 상기 프론트 패널(509)의 공기 흡입구(510)를 통과하고, 상기 증발기(516)를 통하면서 저온으로 변화된 후 상기 오리피스(526)와 하부 가이드(507)와 상부 가이드(508)를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유동 방향이 전방으로 꺽이며, 상기 프론트 패널(509)의 공기 토출구(511)를 통과하여 성가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전방측으로 다시 토출된다.
그리고, 실외의 공기는 상기 프로펠러 팬(528)의 회전에 의해 상기 캐비닛(504)의 흡입구(505)로 흡입되어 상기 쉬라우드(530)를 통과하고 상기 응축기(514)를 통하면서 냉매의 열을 빼앗은 후 실외로 토출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양축 모터(520)가 이너 로터 타입으로 구성되어 있어, 별도의 모터 케이스(507a)가 필요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전체 크기가 크며, 소비 전력이 큰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아우터 로터 타입으로 이루어져, 구조가 간단하고 모터를 최대한 슬림화할 수 있는 양축 모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아우터 로터 타입의 양축 모터가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내부에 설치되어 일체형 공기조화기 전체를 컴팩트화하거나 양축 모터 주변의 다른 부품의 설치를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양축 모터 주변의 다른 부품을 대용량화할 수 있는 양축 모터를 갖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양축 모터는,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의 외부에서 상기 스테이터에 의해 회전되는 로터와; 상기 스테이터 중에서 상기 로터에 의해 둘러싸이지 않는 면을 덮고 축 관통홀이 형성된 모터 커버와; 상기 로터에 돌출되게 연결되고 상기 축 관통홀을 관통하는 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양축 모터는 상기 모터 커버가 완충 가능하게 설치되는 마운팅 브래킷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양축 모터를 갖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를 실내부와 실외부로 구획하는 가이드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로터가 스테이터의 외부에서 회전되며 축이 전후 양측으로 돌출된 양축 모터와; 상기 실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도록 상기 양축 모터의 축에 연결된 실내 팬과; 상기 실내부의 공기를 변화시키는 실내 열교환기와; 상기 실외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도록 상기 양축 모터의 축에 연결된 실외 팬과; 상기 실외부의 공기를 변화시키는 실외 열교환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양축 모터는, 상기 스테이터 중에서 상기 로터에 의해 둘러싸이지 않는 면을 덮는 모터 커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축은 일단이 상기 로터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로터와 스테이터와 모터 커버를 관통하며, 타단이 상기 모터 커버의 후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모터 커버는 상기 축이 관통되는 축 관통홀이 형성된다.
상기 양축 모터를 갖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상기 실외부의 공기 유동을 안내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모터 커버가 장착되는 쉬라우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양축 모터를 갖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모터 커버가 장착되는 모터 마운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양축 모터는 상기 모터 커버가 완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축이 관통되는 축 관통홀이 형성된 마운팅 브래킷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양축 모터를 갖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상기 실외부의 공기 유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마운팅 브래킷이 장착되는 쉬라우드를 더 포 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양축 모터를 갖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마운팅 브래킷이 장착되는 모터 마운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축 모터 제 1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축 모터 제 1 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축 모터 제 1 실시예의 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A-A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2에 도시된 B-B선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양축 모터(1)는 스테이터(2)와, 로터(20)와, 축(30)과, 모터 커버(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테이터(2)는 그 원주방향으로 회전자계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중앙에 중공부(3)를 갖는 스테이터 코어(4)와, 상기 스테이터 코어(4)에 권선된 구동 코일(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테이터 코어(4)는 링 형상의 하나의 코어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복수개의 단위 코어가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링 형상을 갖도록 결합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스테이터 코어(4)는 복수개의 강판이 축방향으로 적층된다.
상기 스테이터 코어(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상의 요크(5)와, 대략 T자 형상을 이루는 복수개의 티스(6)를 구비한다.
상기 복수개의 티스(6) 각각은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다른 티스(6)와의 사이에 슬롯(7)을 갖는다.
상기 스테이터 코어(4)의 표면에는 합성수지로 만든 인슐레이터(8)가 형성된다.
상기 인슐레이터(8)는 스테이터 코어(4)를 성형틀 내에 수납하여 용융수지를 주입하여 형성된다.
상기 구동 코일(9)은 상기 인슐레이터(8)의 외부에 감기되, 인슐레이터(8) 중에서 상기 티스(6)를 둘러싸는 부분에 감긴다.
상기 양축 모터(1)는 상기 축(3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 지지 수단(13)이 그 외부 또는 내부에 구비되는 바, 양축 모터(1) 전체를 최대한 컴팩트화할 수 있도록 그 내부에 상기 축 지지 수단(13)이 구비되고 외부에는 별도의 축 지지 수단이 구비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축 지지 수단(13)은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테이터(2)에 체결되는 모터 브래킷(14)(15)과, 상기 모터 브래킷(14)(15)에 설치되어 상기 축(30)을 지지하는 베어링(16)(1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터 브래킷(14)(15)과 베어링(16)(17)은 상기 축(30)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복수 셋트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하, 두 셋트 구비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양축 모터(1)는 상기 스테이터(2)의 양면 중 일면에 제 1 모터 브래킷(14)이 체결됨과 아울러 제 1 모터 브래킷(14)에 제 1 베어링(16)이 설치되고, 상 기 스테이터(2)의 양면 중 타면 즉, 제 1 모터 브래킷(14)의 반대면에 제 2 모터 브래킷(15)이 체결됨과 아울러 제 2 모터 브래킷(15)에 제 2 베어링(17)이 설치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은 상기 스테이터(2)와 볼트(10) 및 너트(11)로 체결된다.
상기 스테이터(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테이터(2)에 볼트(10)가 관통되는 볼트 관통공(4a)(8a)이 형성되는 바, 상기 스테이터 코어(4)와 인슐레이터(8)에 상기 볼트 관통공(4a)(8a)이 일치되게 형성된다.
상기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은 상기 스테이터(2)의 볼트 관통공(4a)(8a)과 일치되고 상기 볼트(10)가 관통되는 볼트 관통공(14a)(15a)이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양축 모터(1)는 상기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이 상기 스테이터 코어(4)의 중공부(3)를 덮도록 상기 스테이터(2)의 양면에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볼트(10)가 상기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 중 어느 하나(14)의 볼트 관통공(14a)과, 상기 스테이터(2)의 볼트 체결공(4a)(8a)과, 상기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 중 다른 하나(15)의 볼트 관통공(15a)을 차례로 관통한 후 너트(11)에 체결되면, 상기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과 상기 스테이터(2)가 상기 볼트(10)와 너트(11)에 의해 견고하게 조립된다.
한편, 상기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의 각각은 베어링 하우징의 기능을 하도록 상기 베어링(16)(17)이 삽입되어 설치되는 베어링 하우징부(14b)(15b)가 형 성된다.
상기 베어링 하우징부(14b)(15b) 각각은 상기 스테이터(2)의 외측 방향 즉, 상기 스테이터 코어(4)의 중공부(3)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다.
즉, 상기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 중 어느 하나(14)의 베어링 하우징부(14b)는 도 4의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 중 다른 하나(15)의 베어링 하우징부(15b)는 도 4의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에는 그 베어링 하우징부(14b)에 상기 축(30)이 관통되는 축 관통홀(14d)(15d)이 상기 축(30) 보다 조금 크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양축 모터(1)는 상기 양축 모터(1)를 제어하는 회로부 즉, 상기 구동 코일(9)로 전류를 인가하는 모터 드라이브(18; 이하, 드라이브라 칭함)를 더 포함한다.
상기 드라이브(18)는 인쇄회로 기판과, 인쇄회로 기판에 실장된 드라이브 IC 등의 각종 전장부품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드라이브(18)는 상기 양축 모터(1)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 코일(9) 등과 전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 코일(9)로 전류를 인가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양축 모터(1)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 코일(9)로 전류를 인가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양축 모터(1)를 최대한 컴팩트화할 수 있도록 상기 양축 모터(1)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양축 모터(1)가 드라이브 내장형 모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드라이브(18)는 상기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의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스테이터(2)와 상기 모터 커버(40)의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복수개가 구비되어 일부가 상기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의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되고 나머지가 상기 스테이터(2)와 상기 모터 커버(40)의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드라이브(18)에는 양축 모터(1)의 외부로 연장되는 전선(19)이 연결되는데, 상기 드라이브(18)가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의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될 경우 상기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 중 어느 하나(15)에 상기 전선(19)이 통과하는 전선 통과홀이 형성되어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하게 되나, 상기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 중 어느 하나(15)와 모터 커버(40)의 틈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고,
반면에, 상기 드라이브(18)가 스테이터(2)와 모터 커버(40)의 사이에 설치될 경우 전선(19)이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 중 어느 하나(15)를 관통할 필요가 없게 되어 구조가 간단하게 되나, 상기 스테이터(2)와 모터 커버(40) 사이에 드라이브(18)가 내장될 수 있는 별도의 공간을 구비하여야 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드라이브(18)가 상기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의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드라이브(18)는 상기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 중 어느 하나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로터(20)는 상기 스테이터(2)에 의해 형성된 회전자계에 의해 상 기 스테이터(2)의 외부에서 회전되는 것으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 형상이 ‘∪’형상으로 형성된 로터 프레임(22)과, 상기 로터 프레임(22)에 부착된 마그네트(2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양축 모터는 아우터 로터 타입 브러시리스 직류 모터로 구성된다.
상기 로터 프레임(22)은 상기 로터(20)의 외형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양축 모터(1)의 둘레면과 일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합성수지를 사출 성형하고 별도의 로터 요크가 내둘레면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고, 금속재로 이루어져 별도의 로터 요크 없이 로터 프레임(22) 자체가 로터 요크를 겸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금속재로 이루어져 로터 요크의 기능도 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로터 프레임(2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테이터(2)의 양면 중 일면과 대향되는 원판부(23)와, 상기 스테이터(2)의 둘레면을 에워싸는 원통부(2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로터 프레임(22)은 방열공(23a)이 형성된다.
상기 로터(10)는 상기 로터 프레임(22)에 상기 축(30)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로터 프레임(22)에 축(30)이 별도의 체결부재(36)로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로터 프레임(22)은 철판을 프레스하여 성형되는 것도 가능하고, 금형에 의해 성형되는 것도 가능한데, 상기 로터 프레임(22)을 프레스 성형에 의해 성형하는 경우, 상기 축(30)을 일체로 돌출 형성하기 곤란하므로 축(30)이 별도의 체결부재(36)로 체결되어야 하고, 상기 로터 프레임(22)을 성형틀에 의해 성형하는 경우, 상기 로터 프레임(22)의 성형시 상기 축(30)을 일체로 돌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로터 프레임(22)을 상기 축(30)과 별도로 성형하여 축(30)과 로터 프레임(22)을 체결부재(36)로 체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상기 로터(10)는 상기 축(30)이 상기 로터 프레임(22)과 별도로 성형된 후 상기 체결부재(36)로 체결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로터 프레임(22)은 중앙측, 특히 원판부(23)의 중앙에 상기 축(30)이 연결되는 바, 상기 원판부(23)의 중앙에는 상기 축(30)이 고정되는 축 고정부(24)가 형성된다.
상기 축 고정부(24)는 상기 축(30)이 상기 축 고정부(24)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축(30)보다 조금 크게 형성되고, 상기 원판부(23)의 중앙부에 중공 원통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축 고정부(24)는 상기 로터(2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로터(20)의 내측 공간에서 상기 축(30)과 체결부재(36)로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로터(2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로터(20)의 외부에서 상기 축(30)과 체결부재(36)로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상기 축(30)이 상기 로터(20)의 외부에서 체결부재(36)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축 고정부(24)가 상기 로터(2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축 고정부(24)에는 상기 체결부재(36)가 관통되는 관통공(25)(26)이 대향되게 형성된다.
상기 축 고정부(24)는 상기 관통공(25)(26)이 상기 축(30)의 길이방향과 직 교하는 방향으로 개구 형성된다.
상기 마그네트(28)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통부(24)의 내주면에 착좌된다.
상기 축(30)은 상기 로터(20)의 회전력을 후술하는 팬 등으로 전달하는 부재로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강도가 더 우수하므로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축(30)은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재(36)가 관통되는 관통공(31)(32)이 대향되게 형성되되, 상기 관통공(31)(32)은 상기 축(3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구 형성된다.
상기 축(30)은 일단부가 상기 로터(20)의 외부 즉, 상기 스테이터(2)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고, 타단부가 상기 모터 커버(40)를 관통하여 돌출되며, 중앙부가 상기 스테이터(2) 특히 스테이터 코어(4)의 중공부(3)를 관통하도록 상기 로터 프레임(22)에 연결된다.
이하, 상기 축(30)은 상기 스테이터(2)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을 전방 축부(33)라 칭하고, 상기 모터 커버(40)를 관통하여 돌출된 부분을 후방 축부(34)라 칭하며, 전방 축부(34)와 후방 축부(35)의 사이 부분을 중앙 축부(35)라 칭한다.
상기 축(30)은 전체적으로 중앙 축부(35)가 양축 모터(1)의 내부에 위치되고, 전방 축부(33) 및 후방 축부(34)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축(30)은 상기 전방 축부(33)의 단부에 후술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실내 팬 등이 결합되는 전방 결합부(38)가 형성된다.
상기 축(30)은 상기 후방 축부(34)의 단부에 후술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실외 팬 등이 결합되는 후방 결합부(39)가 형성된다.
상기 축(30)은 중앙 축부(35)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모터 브래킷(14)의 베어링 하우징부(14b)에 형성된 축 관통홀(14d)을 관통함과 아울러 상기 제 2 모터 브래킷(15)의 베어링 하우징부(15b)에 형성된 축 관통홀(15d)를 관통한다.
상기 모터 커버(40)는 상기 스테이터(2) 중에서 상기 로터(10)에 의해 둘러싸이지 않는 면을 덮도록 형성되어 상기 양축 모터(1)의 내부 특히 스테이터(2)로 물이나 이물질 등이 침투되는 것을 막는 일종의 스테이터 커버로서, 상기 스테이터(2)를 장착하기 위해 상기 스테이터(2)와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 중 적어도 하나가 체결된다.
상기 모터 커버(40)는 상기 스테이터(2) 중에서 상기 로터(10)에 의해 둘러싸이지 않는 면을 덮는 판체부(40A)와, 상기 로터 프레임(2)의 원통부(27)와 상기 판체부(40A)의 사이를 가리도록 상기 판체부(40A)의 외둘레에서 직교하게 절곡된 플랜지부(40B)와, 상기 플랜지부(40B)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테두리부(40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터 커버(40)는 상기 스테이터(2)와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 중 어느 하나가 올려지는 단턱부(42)가 상기 스테이터(2)의 내측 특히, 상기 스테이터 코어(4)의 중공부(3)를 향해 단턱지게 돌출된다.
상기 모터 커버(40)는 상기 축(30)이 상기 모터 커버(40)를 관통하여 돌출될 수 있도록 축 관통홀(44)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모터 커버(40)는 상기 양축 모터(1)가 최대한 컴팩트화될 수 있도록 상기 축 관통홀(44)이 상기 제 2 모터 브래킷(15)의 베어링 하우징부(15a) 보다 더 크게 개구 형성된다.
즉, 상기 양축 모터(1)는 상기 제 2 모터 브래킷(15)의 베어링 하우징부(15a)가 상기 축(30)과 함께 상기 모터 커버(40)를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모터 커버(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양축 모터(1) 특히 양축 모터(1)의 내부로 연결되는 전선(19)이 관통되는 전선 관통부(46)가 형성된다.
상기 전선 관통부(46)는 상기 모터 커버(40) 특히 플랜지부(40B)에 옆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전선 관통공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모터 커버(40)는 상기 스테이터(2)와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체결되는 바, 스테이터(2)의 구조가 간단하도록 상기 모터 브래킷(14)(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볼트(47) 및 너트(48)로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 모터 커버(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 모두와 볼트(47) 및 너트(48)로 조립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에는 상기 볼트(47)가 관통되는 볼트 관 통공(14c)(15c)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모터 커버(40)는 상기 볼트(47)가 관통되는 볼트 관통공(49)이 상기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의 볼트 관통공(14c)(15c)과 일치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양축 모터(1)는 상기 스테이터(2)와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의 조립체를 상기 모터 커버(40) 특히 단턱부(42)에 올리면서 제 2 모터 브래킷(15)의 베어링 하우징부(15b)와 축(30)을 모터 커버(40)의 축 관통홀(44)에 관통시키면, 상기 조립체는 제 2 모터 브래킷(15)과 모터 커버(40)가 밀착되게 되고, 이후, 상기 볼트(47)를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의 볼트 관통공(14c)(15c)에 차례로 관통시킨 후 상기 모터 커버(40)의 볼트 관통공(49)에 관통시키고 상기 너트(48)에 체결되면, 상기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과 상기 모터 커버(40)는 견고하게 조립된다.
한편, 상기 양축 모터(1)는 상기 모터 커버(40) 자체가 직접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고, 도 1과 도 2와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마운팅 브래킷(60)을 통해 장착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 상기 양축 모터(1)는 상기 모터 커버(40)가 상기 마운팅 브래킷(60)에 완충 가능하게 설치되고, 마운팅 브래킷(60)이 일체형 공기조화기 등에 설치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마운팅 브래킷(60)은 전체적으로 삼발이 구조로 이루어지는 바, 원판형의 중앙부(60A)와, 대략 120°간격을 두도록 상기 중앙부(60A)에서 돌출되어 상기 모터 커버(40)가 장착되는 복수개의 다리부(60B)(60C)(60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마운팅 브래킷(60)은 상기 축(30)이 관통되어 돌출될 수 있도록 축 관통홀(62)이 형성된다.
상기 마운팅 브래킷(60)은 상기 중앙부(60A)에 상기 축 관통홀(62)이 상기 축 보다 크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양축 모터(1)는 상기 모터 커버(40)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키면서 완충 가능하게 지지하는 방진 수단(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방진 수단(50)은 상기 모터 커버(40)에 장착되는 러버(52)와, 상기 러버(52)를 지지하는 스프링(5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러버(52)는 상기 모터 커버(40)에 형성된 관통공(49)에 끼움되는 끼움홈(53)이 외둘레에 형성된다.
상기 양축 모터(1)는 상기 스프링(56)과 상기 마운팅 브래킷(60)의 사이에 와셔(58)가 개재된다.
한편, 상기 양축 모터(1)는 상기 방진 수단(50)과 마운팅 브래킷(60)을 체결 수단(54)으로 체결한다.
여기서, 상기 체결 수단(54)은 상기 방진 수단(50)과 마운팅 브래킷(60)을 관통하는 핀부(54a)와, 상기 핀부(54a)의 일단에 돌출된 머리부(54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체결수단(54)은 상기 머리부(54b)가 상기 러버(52)에 걸림됨과 아울러 상기 핀부(54a)의 단부가 상기 마운팅 브래킷(60)에 용접 등으로 직접 부착된다.
즉, 상기 러버(52)는 중앙에 체결 수단(54) 특히 핀부(54a)가 관통되는 관통 공(5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마운팅 브래킷(60)에는 상기 체결 수단(54) 특히 핀부(54a)가 관통되기 위한 관통공(63)이 형성된다.
이하, 상기 양축 모터(1)의 모터 커버(40)와 마운팅 브래킷(60)의 조립 공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모터 커버(40)의 관통공(49)에 상기 러버(52)의 끼움홈(53)을 끼워 러버(52)를 모터 커버(40)에 조립한다.
상기 마운팅 브래킷(60)의 일면에 와셔(58)와 스프링(56)과 러버(52)를 차례로 올리고, 상기 체결 수단(54)의 핀부(54a)를 러버(52), 스프링(56), 와셔(58)에 차례로 관통시킨 후 상기 마운팅 브래킷(60)의 관통공(63)을 관통시킨다.
상기 체결 수단(54)은 상기 머리부(54b)가 상기 러버(52)에 걸림되게 되고, 상기 체결 수단(54)의 핀부(54a) 중에서 상기 마운팅 브래킷(60)의 관통공(63)을 관통한 부분을 용접 등에 의해 마운팅 브래킷(60) 직접 고정하면, 그 조립이 완료된다.
한편, 상기 마운팅 브래킷(60)에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등에 체결 부재(66)로 체결되기 위한 관통공(68)이 형성된다.
즉, 상기 양축 모터(1)는 상기 스테이터(2)와 로터(20)와 축(30)과 모터 커버(40)와 마운팅 브래킷(60) 등의 조립체가 일체형 공기조화기 등에 수평 또는 수직하게 배치된 후 상기 체결 부재(66)에 의해 장착된다.
도 1에 도시된 참조 부호 88은 상기 로터(20)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스테이터(2)에 설치된 홀 센서이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참조 부호 18A는 상기 축(30)을 회피하도록 상기 드라이브에 형성된 회피홀이고, 도 1에 도시된 참조 부호 18B는 상기 제 1,2 모터 브래킷(14)(15)과 모터 커버(40)를 체결하는 볼트(47)를 회피하도록 상기 드라이브(18)에 형성된 회피홀이다.
도 4에 도시된 참조 부호 40D는 상기 제 1,2 모터 브래킷(14)(15)과 스테이터(40)를 체결하는 볼트(10) 및 너트(11)를 회피하도록 상기 모터 커버(40)에 형성된 회피홀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드라이브(18)를 통해 상기 구동 코일(9)로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스테이터(2) 특히, 상기 스테이터 코어(4)에는 회전자계가 생성되고, 상기 로터(20)는 상기 생성된 회전자계와 상기 마그네트(28)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스테이터(2)의 외부에서 회전되며, 상기 축(30)은 상기 로터(20) 특히, 로터 프레임(22)과 함께 회전된다.
상기 축(30)은 회전시 중앙 축부(35)가 상기 복수개의 베어링(16)(17)에 의해 스테이터(2)측에 안정감 있게 지지되고, 전방 축부(33)가 상기 로터(20)의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회전되며, 후방 축부(34)가 모터 커버(40) 및 마운팅 브래킷(60)의 후방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회전된다.
한편, 상기 양축 모터(1)는 상기 로터(20) 및 축(30)의 회전시 양축 모터(1) 의 진동이 상기 모터 커버(40)를 통해 전달되나, 전달된 진동은 상기 방진 수단(50) 특히, 러버(52)와 스프링(56)에 의해 저감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양축 모터 제 2 실시예의 주요부 구성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양축 모터(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진 수단(50)과 마운팅 브래킷(60)이 볼트(70)와 너트(73)에 의해 조립되고, 볼트(70)와 너트(73)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에 따른 양축 모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양축 모터(1)는 상기 볼트(70)를 본 발명 일실시예와 같이, 러버(52), 스프링(56), 와셔(58)에 차례로 관통시킨 후 상기 마운팅 브래킷(60)의 관통공(63)을 관통시키면, 상기 볼트(70)의 머리(71)는 상기 러버(52)에 걸림되고, 상기 볼트(70) 중에서 상기 마운팅 브래킷(60)의 관통공(63)을 관통한 부분(72)에 너트(73)를 체결하면, 상기 방진 수단(50)과 마운팅 브래킷(60)은 볼트(70)와 너트(73)에 의해 견고하게 조립되게 된다.
반대로, 상기 볼트(70)를 상기 마운팅 브래킷(60)의 관통공(63)을 관통시킨 후, 와셔(58), 스프링(56), 러버(52)에 차례로 관통시키면, 상기 볼트(70)의 머리(71)는 상기 마운팅 브래킷(60)에 걸림되고, 상기 볼트(70) 중에서 상기 러버(52)을 관통한 부분(72)에 너트(73)를 체결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양축 모터 제 3 실시예의 주요부 구성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양축 모터(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축 모터(1)가 마운팅 브래킷을 포함하지 않고, 방진수단(50)이 일체형 공기조화기 등의 내부에 별도로 구비된 모터 마운터(170) 등(이하, 모터 마운터라 칭함)에 직접 장착되며, 상기 마운팅 브래킷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에 따른 양축 모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양축 모터(1)는 상기와 같이 마운팅 브래킷을 포함하지 않을 경우, 상기 모터 커버(40)는 상기 모터 마운터(170)에 볼트(70)와 너트(73)에 의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터 마운터(170)에는 상기 볼트(70)가 관통되는 관통공(173)이 형성된다.
이하, 상기 볼트(70) 및 너트(73)에 의한 양축 모터(1)의 조립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볼트(70)를 러버(52), 스프링(56), 와셔(58)에 차례로 관통시킨 후 상기 모터 마운터(170)의 관통공(173)을 관통시키면, 상기 볼트(70)의 머리(71)는 상기 러버(52)에 걸림되고, 상기 볼트(70) 중에서 상기 모터 마운터(170)의 관통공(173)을 관통한 부분(72)에 너트(73)를 체결하면, 상기 방진 수단(50)과 모터 마운터(170)는 볼트(70)와 너트(73)에 의해 견고하게 조립되게 되고, 상기 양축 모터(1)는 모터 마운터(170)에 방진되게 설치된다.
반대로, 상기 볼트(70)를 상기 모터 마운터(170)의 관통공(173)을 관통시킨 후, 와셔(58), 스프링(56), 러버(52)에 차례로 관통시키면, 상기 볼트(70)의 머리(71)는 상기 모터 마운터(170)에 걸림되고, 상기 볼트(70) 중에서 상기 러버(52)를 관통한 부분(72)에 너트(73)를 체결하면, 상기 방진 수단(50)과 모터 마운터(170)는 볼트(70)와 너트(73)에 의해 견고하게 조립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양축 모터를 갖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제 1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양축 모터를 갖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제 1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양축 모터를 갖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제 1 실시예의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양축 모터를 갖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그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내부를 실내부(I)와 실외부(O)로 구획하는 가이드(130)와;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고 로터(20)가 스테이터(2)의 외부에서 회전되며 축(30)이 전후 양측으로 돌출된 양축 모터(1)와; 상기 실내부(I)의 공기를 변화시키는 실내 열교환기(200)와; 상기 실내부(I)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도록 상기 양축 모터(1)의 축(30)에 연결된 실내 팬(202)과; 상기 실외부(O)의 공기를 변화시키는 실외 열교환기(206)와; 상기 실외부(O)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도록 상기 양축 모터(1)의 축(30)에 연결된 실외 팬(20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00)는 베이스 팬(102)과, 상기 베이스 팬(102)의 상측에 배치된 캐비닛(1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캐비닛(110)은 상기 베이스 팬(102)의 후방부 상측에 배치되어 실외 공기(B)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가 실외로 토출되는 후방 캐비닛(112)과, 상기 베이스 팬(102)의 전방부 상측에 배치되어 실내 공기(A)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는 전방 캐비닛(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후방 캐비닛(112)은 상면부와 좌측면부와 우측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측면부의 하단과 우측면부의 하단이 상기 베이스 팬(102)의 후방부 좌,우측단에 고정된다.
상기 후방 캐비닛(112)은 상면부와 좌측면부와 우측면부에 흡입 그릴(113,114,115)이 각각 형성되고, 배면부(116)가 개방되어, 실외의 공기가 상기 흡입 그릴(113,114,115)을 통해 흡입되어 상기 후방 캐비닛(112)의 내부를 통과한 후 상기 후방 캐비닛(112)의 배면부(116)를 통해 실외로 토출된다.
상기 전방 캐비닛(120)은 좌측면부의 하단과 우측면부의 하단이 상기 베이스 팬(102)의 전방부 좌,우측단에 고정된다.
상기 전방 캐비닛(120)은 전면부에 실내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그릴(121)이 형성되고, 상면부가 소정 각도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과 아울러 토출 그릴(122)이 형성된다.
상기 전방 캐비닛(120)은 상기 흡입그릴(121)을 통과한 공기가 정화되도록 필터(123)가 흡입그릴(121) 후방에 배치된다.
상기 전방 캐비닛(120)은 상기 토출그릴(122)의 후방에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복수개의 루버(124)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130)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를 실내부(I)와 실외부(O)로 구획함과 아울러 실내 공기(A)를 안내하는 것으로서, 하부 가이드(133)와, 상기 하부 가이드(133)의 상측에 배치된 상부 가이드(136)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 가이드(133)는 상기 실내 팬(202)을 수용하는 팬 하우징부(134)와, 상기 실내 공조부(200)에서 낙하된 응축수를 받는 드레인 팬부(135)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 가이드(133)의 팬 하우징부(134)는 상기 실내 팬(202)의 하부를 둘러싸는 하부 팬 하우징부로서, 좌,우 측면부와 후면부와 하면부로 구성되고, 전면 및 상면이 개방된다.
상기 하부 가이드(133)의 팬 하우징부(134)는 후면부의 상단 일측에 상기 양축 모터(1)의 전방 축부(33)가 관통하는 하측 관통홈(133a)이 형성된다.
상기 드레인팬부(135)는 상기 하부 가이드(133)의 팬 하우징부(134)의 하면부의 전방에 형성된다.
상기 상부 가이드(136)는 상기 하부 가이드(132)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실내 팬(202)을 수용하는 팬 하우징부(137)와, 상기 실내 팬(202)에 의해 송풍된 공기를 전방 캐비닛(120)의 토출 그릴(122)로 안내하는 토출 가이드부(138)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 가이드(136)의 팬 하우징부(137)는 후술하는 실내 팬(202)의 상부를 둘러싸는 상부 팬 하우징부로서, 좌,우 측면부와 후면부로 구성되고, 전면과 하면이 개방된다.
상기 상부 가이드(126)의 팬 하우징부(137)는 상기 양축 모터(1)의 전방 축부(33)가 관통되는 상측 관통홈(137a)이 상기 하측 관통홈(133a)과 대향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양축 모터를 갖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상기 후방 캐비닛(154)의 내부로 흡입된 실외 공기의 송풍을 안내하는 쉬라우드(162)와, 상기 양축 모터(1)가 장착되는 모터 마운터(1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쉬라우드(162)와 모터 마운터(170)는 일체로 형성되어 베이스 팬(102)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별도로 형성되어 그 각각이 베이스 팬(102)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쉬라우드(162)는 상기 후방 캐비닛(112)의 내측에 위치되게 장착되는 바, 상기 베이스 팬(102)의 후방부 상면에 올려져서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상기 베이스 팬(102)에 장착된다.
상기 쉬라우드(162)는 상기 흡입 그릴(113,114,115)을 통해 흡입된 실외 공기가 상기 후방 캐비닛(112)의 배면을 향해 송풍되도록 대략 중앙측에 전후 방향으로 개구된 개구홀(163)이 형성된다.
상기 모터 마운터(170)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양축 모터(1)가 고정되기 위해 장착되는 모터 고정부(172)와, 상기 쉬라우드(162)와 모터 고정부(172) 사이의 복수개의 다리부(17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양축 모터(1)는 본 발명에 따른 양축 모터 제 1 실시예 내지 제 3 실시예 중 어느 하나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팅 브래킷(60)이 포함되어 마 운팅 브래킷(60)이 상기 모터 마운터(170)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커버(40)가 상기 모터 마운터(170)에 직접 설치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쉬라우드가 확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모터 고정부(172)는 상기 축(30)의 후방 축부(34)가 관통될 수 있도록 전후로 개구된 중공 통 형상이거나 띠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모터 고정부(172)는 상기 양축 모터(1)의 모터 커버(40) 및 방진 수단(50)이 볼트(70) 및 너트(73)로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볼트(70)가 관통되는 관통공(173)이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양축 모터(1)는 전방으로 전방 축부(33)가 돌출됨과 아울러 후방으로 후방 축부(34)가 돌출되도록 상기 모터 마운터(170) 특히, 모터 고정부(172)에 장착된다.
상기 양축 모터(1)는 상기 모터 커버(40)가 상기 모터 고정부(172)를 막으면서 상기 모터 고정부(172)의 전방 혹은 후방측에 볼트(70) 및 너트(73)로 장착된다.
상기 양축 모터(1)를 볼트(70) 및 너트(73)로 장착하는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에 따른 양축 모터 제 3 실시예와 같거나 유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모터 마운터(170)는 상기 모터 고정부(172)의 하부에 상기 모터 고정부(172)를 받치기 위한 받침대부(76)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모터 마운터(170)는 상기 받침대부(76)의 하단이 상기 베이스 팬(102)에 올려짐과 아울러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베이스 팬(102)에 체결된다.
한편,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내 열교환기(200)는 냉매가 주변을 냉각시키면서 증발되는 증발기로서, 상기 하부 가이드(133)의 드레인 팬부(135)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실내 팬(202)은 상기 양축 모터(1)의 전방 축부(33) 특히, 전방 결합부(38)에 연결된다.
상기 실내 팬(202)은 전방의 공기를 흡입하여 둘레로 송풍하는 원심팬 특히, 터보팬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130)에는 상기 실내 팬(202)에 의해 흡인되는 공기의 속력을 높이는 오리피스(204)가 장착된다.
상기 오리피스(204)는 후방으로 갈수록 유로가 작아지는 유로부(205)가 형성된다.
상기 오리피스(204)는 상기 하부 가이드(133) 및 상부 가이드(136)의 배면부와의 사이에 상기 실내 팬(202)이 위치되도록 상기 하부 가이드(133) 및 상부 가이드(136)의 개방된 전면측에 장착된다.
한편, 상기 실외 열교환기(206)는 냉매가 주변으로 열을 방출하면서 응축되는 응축기로서, 상기 쉬라우드(162)의 후방에 배치되거나 상기 쉬라우드(162)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배치된다.
상기 실외 팬(208)은 상기 양축 모터(1)의 후방 축부(34) 특히, 후방 결합부 (39)에 연결된다.
상기 실외 팬(208)은 프로펠러 팬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쉬라우드(162)의 내측에 위치되게 상기 양축 모터(34)의 후방 결합부(39)에 연결된다.
참조 부호 210은 상기 베이스 팬(102)의 후방부 상면에 올려져 장착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이고, 참조 부호 212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200)와 실외 열교환기(206)를 연결하는 냉매배관에 설치되어 냉매를 팽창시키는 캐필러리 튜브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양축 모터를 갖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상기 압축기(210)가 구동되어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를 토출하고, 토출된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는 실외 열교환기(206)를 통과하면서 주변으로 열을 방출하면서 응축되며, 응축된 냉매는 상기 캐필러리 튜브(212)를 통과하면서 감압되어 2상 냉매로 변하고, 감압된 냉매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200)를 통과하면서 주변의 열을 빼앗아 증발되며, 상기 압축기(210)로 순환된다.
상기 양축 모터를 갖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상기 양축 모터(1)로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로터(20)가 상기 스테이터(20)의 외부에서 회전되고, 상기 축(30)은 전방 축부(33)가 로터(20)의 전방을 향해 돌출됨과 아울러 후방 축부(34)가 모터 커버(40)를 관통하여 모터 커버(40) 후방을 향해 돌출된 상태에서 회전된다.
상기 축(30)의 회전시, 상기 실내 팬(202)은 회전되어 전방에 부압을 발생시키고, 상기 전방 캐비닛(120)의 전방의 실내 공기(A)는 상기 전방 캐비닛(120)의 흡입그릴(121)을 통과하고, 상기 필터(121)를 통과하면서 먼지 등의 이물질이 필터 (123)에 걸름되며, 상기 실내부(I)로 흡입된 후 상기 실내 열교환기(200)을 통과하면서 냉매로 열을 빼앗겨 냉각된다.
상기 냉각된 공기는 상기 오리피스(204)의 유로부(205)를 통과하여 상기 하부 가이드(133)와 상부 가이드(136)의 내측 공간으로 유입되고, 상기 하부 가이드(133)와 상부 가이드(136)의 배면부에 의해 유동 방향이 꺽인 후, 상기 전방 캐비닛(120)의 토출 그릴(122)을 통과하여 실내로 다시 토출된다.
한편, 상기 축(30)의 회전시 상기 실외 팬(208)은 회전되어 전방에 부압을 발생시키고, 실외 공기(B)는 상기 후방 캐비닛(112)의 흡입그릴(113,114,115)을 통과한 후 상기 실외부(O)로 흡입되고, 상기 실외 팬(208)으로 흡인되어 상기 쉬라우드(162)의 개구홀(163)을 통과하며, 이후 상기 실외 팬(208)에 의해 후방으로 송풍되어 상기 실외 열교환기(106)를 통과하면서 냉매의 열을 빼앗아 가열되고, 상기 후방 캐비닛(112)의 배면을 통해 실외로 토출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양축 모터를 갖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제 2 실시예의 종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양축 모터를 갖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제 2 실시예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양축 모터를 갖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쉬라우드(162)에 모터 고정부와 다리부 등이 별도로 형성되지 않고, 양축 모터(1)가 마운팅 브래킷(6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마운팅 브래킷(60)을 통해 쉬라우드(162)에 직접 장착된다.
상기 양축 모터(1)는 상기 모터 커버(40)와 쉬라우드(162)의 사이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마운팅 브래킷(60) 이외 부분인 모터 커버(40)와 로터(20) 등이 상기 쉬라우드(162)의 개구홀(163) 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모터(1)는 상기 마운팅 브래킷(60) 이외 부분인 모터 커버(40)와 로터(20) 등이 상기 쉬라우드(162)의 개구홀(163) 중앙에 위치되게 상기 마운팅 브래킷(60)이 상기 쉬라우드(162)에 장착된다.
상기 쉬라우드(162)에는 상기 마운팅 브래킷(60)이 체결부재(66)로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공(164)이 별도로 형성된다.
상기 양축 모터(1)는 볼트(66a)가 마운팅 브래킷(60)의 관통공(68)과 쉬라우드(162)의 체결공(164)을 관통한 후 너트(66b)에 체결되어 상기 쉬라우드(162)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고, 별도의 너트(66b) 없이 스크류가 마운팅 브래킷(60)을 관통하여 쉬라우드(162)의 체결공(164)에 스크류 체결되어 상기 쉬라우드(162)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볼트(66a)와 너트(66b)에 의해 장착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양축 모터(1)는 상기 모터 커버(40)와 로터(20) 등이 상기 쉬라우드(162)의 개구홀(163) 중앙에 위치되게 하면서 상기 마운팅 브래킷(60)의 관통공(68)과 상기 쉬라우드(162)의 체결공(164)을 전후 일치시키고, 상기 볼트(66a)를 상기 마운팅 브래킷(60)의 관통공(68)과 상기 오리피스(166)의 체결공(169)에 차례로 관통시킨 후 너트(66b)를 체결하면, 상기 축(30)이 전방 및 후방으로 수평하게 돌출된 상태로 상기 쉬라우드(162)에 조립된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양축 모터를 갖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제 3 실시예의 종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양축 모터를 갖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제 3 실시예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양축 모터를 갖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마운터(170′)가 쉬라우드(162)와 별도로 형성되고, 모터 마운터(170′)가 베이스 팬(102)에 올려져 상기 베이스 팬(102)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된다.
상기 모터 마운터(170′)에는 양축 모터(1)가 볼트(66a) 및 너트(66b)나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66)로 체결될 수 있는 체결공(173′)이 형성된다.
상기 모터 마운터(170′)는 전면부(170a)와, 상기 전면부(170a)에서 절곡된 좌,우 측면부(170b,170c)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우 측면부(170b,170c)의 사이에 양축 모터(1)가 위치되는 공간을 갖는다.
상기 모터 마운터(170′)는 상기 전면부(170′)에 축(30) 특히 전방 축부(33)가 관통되는 축 관통홀(170d)이 전후 방향으로 개구된다.
상기 양축 모터(1)는 본 발명에 따른 양축 모터를 갖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제 1 실시예와 같이, 마운팅 브래킷(60)을 포함하지 않고, 모터 커버(40)가 모터 마운터(170′)에 체결부재(66)로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고, 본 발명에 따른 양축 모터를 갖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제 2 실시예와 같이, 마운팅 브래킷(60)을 포함하여, 마운팅 브래킷(60)이 모터 마운터(170′)에 체결부재(66)로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 며,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마운팅 브래킷(60)이 상기 모터 마운터(170′)에 볼트(66a) 및 너트(66b)로 체결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양축 모터(1)는 상기 마운팅 브래킷(60) 이외인 모터 커버(40)와 로터(20) 등이 상기 모터 마운터(170′)의 좌,우 측면부(170b,170c)의 사이 보다 작게 이루어진다.
상기 양축 모터(1)는 상기 모터 커버(40)와 로터(20) 등이 상기 모터 마운터(170′)의 좌,우 측면부(170b,170c)의 사이에 위치되게 하면서, 상기 마운팅 브래킷(60)의 관통공(68)과 상기 모터 마운터(170′)의 체결공(173′)을 전후 일치시키고, 상기 볼트(66a)를 상기 마운팅 브래킷(60)의 관통공(68)과 상기 모터 마운터(170′)의 체결공(173′)에 차례로 관통시킨 후 너트(66b)를 체결하면, 상기 양축 모터(1)는 축(30)이 전방 및 후방으로 수평하게 돌출된 상태로 상기 모터 마운터(170′)에 조립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체(100)의 캐비닛(110)이 일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캐비닛(110)의 전면에 흡입 그릴 및 토출 그릴이 구비된 별도의 전면 패널이 결합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며, 흡입 덕트를 통해 실내 공기를 흡입하고 토출 덕트를 통해 실내로 공조된 공기를 토출하는 덕트를 갖는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고,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적 범주 내에서 그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양축 모터 및 그를 갖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로터가 스테이터의 외부에서 스테이터에 의해 회전되고, 모터 커버가 스테이터 중에서 로터에 의해 둘러싸이지 않는 면을 덮으며, 축이 로터에 돌출되게 연결됨과 아울러 모터 커버에 형성된 축 관통홀을 관통하여 돌출되게 배치되므로, 로터 및 스테이터가 별도의 모터 케이스의 내부에 내장되는 경우보다 구조가 간단하고, 양축 모터를 최대한 컴팩트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축 모터를 갖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모터 커버가 마운팅 브래킷에 완충 가능하게 설치되어 진동 및 소음이 저감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축 모터를 갖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모터 커버 또는 마운팅 브래킷이 실외부의 공기를 안내하는 쉬라우드에 직접 체결되므로, 별도의 모터 마운터가 불필요하여 부품수가 최소화되고, 조립 공정이 단순한 이점이 있다.

Claims (11)

  1.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의 외부에서 상기 스테이터에 의해 회전되는 로터와;
    상기 스테이터 중에서 상기 로터에 의해 둘러싸이지 않는 면을 덮고 축 관통홀이 형성된 모터 커버와;
    상기 로터에 돌출되게 연결되고 상기 축 관통홀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축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축 모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축 모터는 상기 모터 커버가 완충 가능하게 설치되는 마운팅 브래킷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축 모터.
  3.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를 실내부와 실외부로 구획하는 가이드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로터가 스테이터의 외부에서 회전되며 축이 전후 양측으로 돌출된 양축 모터와;
    상기 실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도록 상기 양축 모터의 축에 연결된 실내 팬과;
    상기 실내부의 공기를 변화시키는 실내 열교환기와;
    상기 실외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도록 상기 양축 모터의 축에 연결된 실외 팬과;
    상기 실외부의 공기를 변화시키는 실외 열교환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축 모터를 갖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양축 모터는, 상기 스테이터 중에서 상기 로터에 의해 둘러싸이지 않는 면을 덮는 모터 커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축 모터를 갖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축은 일단이 상기 로터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로터와 스테이터와 모터 커버를 관통하며, 타단이 상기 모터 커버의 후방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커버는 상기 축이 관통되는 축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축 모터를 갖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양축 모터를 갖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상기 실외부의 공기 유동을 안내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모터 커버가 장착되는 쉬라우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축 모터를 갖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양축 모터를 갖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모터 커버가 장착되는 모터 마운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축 모터를 갖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양축 모터는 상기 모터 커버가 완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축이 관통되는 축 관통홀이 형성된 마운팅 브래킷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축 모터를 갖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양축 모터를 갖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상기 실외부의 공기 유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마운팅 브래킷이 장착되는 쉬라우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축 모터를 갖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양축 모터를 갖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마운팅 브래킷이 장착되는 모터 마운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축 모터를 갖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KR1020060037800A 2006-04-26 2006-04-26 양축 모터 및 그를 갖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KR200701055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7800A KR20070105549A (ko) 2006-04-26 2006-04-26 양축 모터 및 그를 갖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7800A KR20070105549A (ko) 2006-04-26 2006-04-26 양축 모터 및 그를 갖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5549A true KR20070105549A (ko) 2007-10-31

Family

ID=38818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7800A KR20070105549A (ko) 2006-04-26 2006-04-26 양축 모터 및 그를 갖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0554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126B1 (ko) * 2008-03-12 2014-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터 방진구조
KR101481088B1 (ko) * 2013-03-06 2015-01-1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전기 자동차
WO2018129066A3 (en) * 2017-01-09 2018-09-07 Carrier Corporation Motor with internal claw pole stato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126B1 (ko) * 2008-03-12 2014-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터 방진구조
KR101481088B1 (ko) * 2013-03-06 2015-01-1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전기 자동차
WO2018129066A3 (en) * 2017-01-09 2018-09-07 Carrier Corporation Motor with internal claw pole stator
CN110140277B (zh) * 2017-01-09 2021-11-23 开利公司 具有内爪极定子的电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7118B1 (ko) 창문형 에어콘의 실내측 차단벽체
KR101123315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JP2009185648A (ja) 空気圧縮機
KR20070105549A (ko) 양축 모터 및 그를 갖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KR101212691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JP3846583B2 (ja) 空気調和機の送風装置
KR101225971B1 (ko) 모터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KR20060027916A (ko) 시로코팬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KR20070105546A (ko) 공기조화기
KR20070100524A (ko) 모터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CN220750258U (zh) 挂式空调
KR20070105544A (ko) 공기조화기
KR940004106B1 (ko) 분리형 룸에어컨디셔너의 실외기 송풍구조
KR20070100523A (ko) 모터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CN218998699U (zh) 一种便于散热的显示屏箱体结构
KR10040302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2002276978A (ja) 床置型空気調和装置
CN101063540A (zh) 空调器的电机连接支架结构
KR100239331B1 (ko) 창문형 에어콘의 팬모터 고정장치
KR200165694Y1 (ko) 진동흡수가 가능한 창문형 에어콘의 팬모터 고정장치
KR20070100518A (ko) 모터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KR100662155B1 (ko) 공기조화기의 팬 및 모터 설치구조
KR20070105545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70100522A (ko) 모터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KR200232359Y1 (ko) 패키지에어콘의송풍기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