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5544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5544A
KR20070105544A KR1020060037795A KR20060037795A KR20070105544A KR 20070105544 A KR20070105544 A KR 20070105544A KR 1020060037795 A KR1020060037795 A KR 1020060037795A KR 20060037795 A KR20060037795 A KR 20060037795A KR 20070105544 A KR20070105544 A KR 20070105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outdoor unit
stator
air conditioner
unit cabi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7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상지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7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05544A/ko
Publication of KR20070105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55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6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48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characterised by air airflow, e.g. inlet or outlet airflow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14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1/00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 H02K21/12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 H02K21/22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with magnets rotating around the armatures, e.g. flywheel magneto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흡입구와 토출구가 각각 형성된 실외기 캐비닛과, 상기 실외기 캐비닛의 흡입구에서 상기 캐비닛의 토출구를 향하는 유동이 형성되게 하는 실외기 팬과, 상기 실외기 캐비닛 내부에 고정되는 모터 마운터와, 상기 모터 마운터에 고정된 링형 구조의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의 내부 공간을 덮는 모터 브래킷과, 상기 스테이터의 외측에 회전 가능토록 설치된 로터와, 상기 로터와 상기 송풍팬을 연결하는 축과, 상기 모터 브래킷에 설치되어 상기 축을 회전 가능토록 지지하는 베어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상기 로터가 모터의 외관을 겸하므로 컴팩트하고 슬림화될 수 있고, 소비 전력이 작은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공기조화기, 실외기, 실내기, 송풍부, 실외기 팬, 모터, 아우터 로터, 로터, 스테이터, 모터 마운터, 모터 브래킷, 마운팅 브래킷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Condi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1실시 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1실시 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1실시 예의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 1 실시예의 모터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 1 실시예의 모터 평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A-A선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4에 도시된 B-B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 2 실시예의 주요부 구성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 3 실시예의 주요부 구성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 4 실시예의 주요부 구성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 5 실시예의 주요부 구성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6실시 예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6실시 예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6실시 예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6 실시 예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7실시 예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7 실시 예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8실시 예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8 실시 예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9실시 예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9 실시 예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10실시 예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10 실시 예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 모터 2: 스테이터
3: 중공부 4: 스테이터 코어
5: 요크 6: 티스
7: 슬롯 8: 인슐레이터
9: 구동 코일 10: 볼트
11: 너트 13: 축 지지수단
14: 제 1 모터 브래킷 14a: 관통공
14b: 베어링 하우징부 14c: 관통공
15: 제 2 모터 브래킷 15a: 관통공
15b: 베어링 하우징부 15c: 관통공
16: 제 1 베어링 17: 제 2 베어링
18: 드라이브 20: 로터
22: 로터 프레임 23: 원판부
24: 축 고정부 25,26: 관통공
27: 원통부 28: 마그네트
30: 축 31,32: 관통공
34: 외측 축부 35: 내측 축부
36: 핀 40: 모터 마운터
40A: 원판부 40B: 플랜지부
40C: 테두리부 40D: 회피홀
42: 단턱부 44: 개구부
46: 전선 관통부 47: 볼트
48: 너트 49: 관통공
50: 방진 수단 52: 러버
56: 스프링 58: 와셔
60: 마운팅 브래킷 60A: 중앙부
60B,60C,60D: 다리부 63: 관통공
66: 체결부재 68: 관통공
70: 볼트 71: 머리
72: 너트 100: 실외기 캐비닛
100A: 흡입구 100B: 토출구
102: 실외 열교환기 104: 압축기
106: 실외 송풍기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테이터의 외측에 로터가 회전 가능토록 배치되고, 상기 로터가 실외기 팬과 연결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 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난방기, 냉방기, 청정기 등으로 실내를 냉난방 시키거나 공기를 정화할 목적으로 설치되어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는 것으로,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팽창기로 구성되는 냉매의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흡입공기를 열교환 한 후 건물 또는 방에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크게 일체형(window type)과 분리형(seperate type 또는 split type)으로 구분된다.
상기한 일체형과 분리형은 기능적으로는 같지만 일체형은 실내 열교환기와 압축기와 실외 열교환기와 팽창기구를 하나의 장치로 설치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분리형은 실내기에 실내 열교환기(증발기 혹은 응축기) 및 송풍기를 설치하고, 실외기에 실외 열교환기(응축기 혹은 증발기)와 압축기 및 송풍기를 설치하며, 상기 실내기와 실외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팽창기구를 설치하여 서로 분리된 두 장치를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킨 것이다.
특히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는 외관을 이루는 실외기 캐비닛 내에 강제 유동이 형성될 수 있도록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실외기 팬이 구비된다.
상기 실외기 팬을 회전시키는 모터는 통상적으로 스테이터의 내부에 상기 실외기 팬과 연결된 로터가 회전 가능토록 구비되는 구조이며, 실외기 캐비닛의 내부에 고정되게 장착되기 위해 상기 모터의 외관을 이루는 모터 케이스가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기 송풍기가 이너 로터 타입 모터에 의해 구동되므로 상기 이너 로터 타입의 모터 길이가 긴 편이어서 구조적으로 슬림화 및 소형화하는데 한계가 있고, 그로 인해 제조비가 높음은 물론 무거운 중량으로 인해 이동시키기 어렵고 넓은 설치 공간이 요구되며, 소비 전력이 커 공기조화기 사용자가 비용적으로 부담을 느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흡입구에서 토출구를 향하는 유동을 형성시키는 실외기 팬을 회전시키는 모터가 아우터 로터 타입으로 구비되므로 구조적으로 슬림화 및 소형화가 가능하고, 소비 전력이 절감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흡입구와 토출구가 각각 형성된 실외기 캐비닛과; 상기 실외기 캐비닛의 흡입구에서 상기 실외기 캐비닛의 토출구를 향하는 유동이 형성되게 하는 실외기 팬과; 상기 실외기 캐비닛에 스테이터가 고정되고 로터가 상기 스테이터의 외측에서 회전되는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외기 캐비닛은 그 상,하면을 제외한 면 중 일측에 상기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상,하면을 제외한 면 중 타측에 상기 토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외기 캐비닛은 그 일면에 상기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가 형성된 일면과 대향되는 타면에 상기 토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외기 캐비닛은 그 상,하면을 제외한 면 중 적어도 일부에 상기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상면에 상기 토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외기 캐비닛은 그 상,하면을 제외한 면들 중 서로 대향되는 일면과 타면에 각각 상기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상면에 토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외기 캐비닛은 그 일면 일측에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일면 타측에 토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터는 상기 실외기 팬의 전방 또는 상기 실외기 팬의 후방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터는 상기 실외기 캐비닛에 고정되는 마운팅 브래킷과; 상기 마운팅 브래킷에 완충 가능토록 결합되고 상기 스테이터가 고정되는 모터 마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터는 상기 실외기 캐비닛에 장착되고 상기 스테이터가 고정되는 모터 마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외기 캐비닛의 내부에는 모터 프레임이 장착되고; 상기 모터는 상기 실외기 캐비닛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모터 프레임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흡입구와 토출구가 각각 형성된 실외기 캐비닛과; 상기 실외기 캐비닛의 흡입구에서 상기 캐비닛의 토출구를 향하는 유동이 형성되게 하는 실외기 팬과; 상기 실외기 캐비닛 내부에 고정되는 모터 마운터와; 상기 모터 마운터에 고정된 링형 구조의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의 내부 공간을 덮는 모터 브래킷과; 상기 스테이터의 외측에 회전 가능토록 설치된 로터와; 상기 로터와 상기 송풍팬을 연결하는 축과; 상기 모터 브래킷에 설치되어 상기 축을 회전 가능토록 지지하는 베어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상기 실외기 캐비닛에 장착되고 상기 모터 마운터를 완충 가능토록 지지하여 상기 모터 마운터가 상기 실외기 캐비닛에 고정되게 하는 마운팅 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1실시 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1실시 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1실시 예의 평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공기조화기는 실외기로서,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외관을 이루는 실외기 캐비닛(100)과, 상기 실외기 캐비닛(100)의 내부로 유입된 실외 공기와 냉매가 열교환되게 하는 실외 열교환기(102)와, 상기 실내기에서 상기 실외 열교환기(102)로 유동되는 냉매가 고압으로 압축되게 하는 압축기(104)와, 상 기 실외기 캐비닛(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실외 공기가 상기 실외 열교환기(102)를 통과하여 다시 실외로 배출되도록 송풍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실외 송풍기(10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실외기 캐비닛(100)에는 실외 공기가 상기 실외기 캐비닛(100)으로 유입될 수 있는 흡입구(100A)와, 상기 실외 열교환기(102)를 통과한 실외기 캐비닛(100) 내 공기가 상기 실외기 캐비닛(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토출구(100B)가 형성된다.
상기 실외기 캐비닛(100)의 흡입구(100A)는 도 1에서 볼 때 상기 실외기 캐비닛(100)의 좌측면과 후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실외기 캐비닛(100)의 토출구(100B)는 상기 실외기 캐비닛(100)의 정면에 형성된다.
상기 실외기 캐비닛(100)의 내부에는 상기 실외기 캐비닛(100)의 내부를 상기 실외 열교환기(102)와 실외 송풍기(106)가 위치된 열교환실(A)과, 상기 압축기(104) 등이 위치된 기계실(B)로 구획하는 배리어(101)가 구비된다.
상기 실외 열교환기(102)는 상기 실내기의 실내 열교환기에서 증발되고 상기 압축기(104)에서 압축된 냉매가 실외 공기에 의해 응축되는 곳이므로, 응축기라고도 한다.
상기 압축기(104)는 압축 용량이 가변될 수 있는 인버터 압축기 또는 압축 용량이 일정한 정속 압축기로 구비될 수 있고,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압축기(104)는 상기 실내기의 실내 열교환기에서 토출된 냉매 중 기 체 상태 냉매만 상기 압축기(104)에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실내기의 실내 열교환기에서 토출되 냉매가 상기 압축기(104)에 유입되기 전에 상기 실내기의 실내 열교환기에서 토출된 냉매 중 액체 상태 냉매를 걸려내는 어큐뮬레이터(105)와 연결된다.
상기 실외 송풍기(106)는 상기 실외기 캐비닛(100)의 상하방향으로 배열된 2개의 실외 팬(110)과, 상기 2개의 실외 팬(110)과 각각 연결되어 상기 각각의 실외 팬(110)이 회전되게 하는 2개의 아우터 로터 타입 모터(1)로 이루어진다.
상기 아우터 로터 타입 모터(1)는 상기 실외기 캐비닛(100)의 열교환실(A) 내부에 설치된 모터 지지 프레임(11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 1 실시예의 모터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 1 실시예의 모터 평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A-A선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4에 도시된 B-B선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 로터 타입 모터(1)는 스테이터(2)와, 로터(20)와, 축(30)과, 모터 마운터(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테이터(2)는 그 원주방향으로 회전자계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중앙에 중공부(3)를 갖는 스테이터 코어(4)와, 상기 스테이터 코어(4)에 권선된 구동 코일(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테이터 코어(4)는 링 형상의 하나의 코어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복수개의 단위 코어가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링 형상을 갖도록 결합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스테이터 코어(4)는 복수개의 강판이 축방향으로 적층된다.
상기 스테이터 코어(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상의 요크(5)와, 대략 T자 형상을 이루는 복수개의 티스(6)를 구비한다.
상기 복수개의 티스(6) 각각은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다른 티스(6)와의 사이에 슬롯(7)을 갖는다.
상기 스테이터 코어(4)의 표면에는 합성수지로 만든 인슐레이터(8)가 형성된다.
상기 인슐레이터(8)는 스테이터 코어(4)를 성형틀 내에 수납하여 용융수지를 주입하여 형성된다.
상기 구동 코일(9)은 상기 인슐레이터(8)의 외부에 감기되, 인슐레이터(8) 중에서 상기 티스(6)를 둘러싸는 부분에 감긴다.
상기 모터(1)는 상기 축(3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 지지 수단(13)이 그 외부 또는 내부에 구비되는 바, 모터(1) 전체를 최대한 컴팩트화할 수 있도록 그 내부에 상기 축 지지 수단(13)이 구비되고 외부에는 별도의 축 지지 수단이 구비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축 지지 수단(13)은 상기 스테이터(2)에 체결되는 모터 브래킷(14)(15)과, 상기 모터 브래킷(14)(15)에 설치되어 상기 축(30)을 지지하는 베어링(16)(1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터 브래킷(14)(15)과 베어링(16)(17)은 상기 축(30)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복수 셋트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하, 두 셋트 구비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모터(1)는 상기 스테이터(2)의 양면 중 일면에 제 1 모터 브래킷(14)이 체결됨과 아울러 제 1 모터 브래킷(14)에 제 1 베어링(16)이 설치되고, 상기 스테이터(2)의 양면 중 타면 즉, 제 1 모터 브래킷(14)의 반대면에 제 2 모터 브래킷(15)이 체결됨과 아울러 제 2 모터 브래킷(15)에 제 2 베어링(17)이 설치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 1 모터 브래킷(14)은 상기 축(30)이 상기 스테이터(2)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축(30)이 상기 제 1 모터 브래킷(14)을 관통할 수 있도록 중앙부가 개구된 링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모터 브래킷(15)은 상기 축(30)이 관통하지 않도록 중앙부에 개구부가 없는 원판형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2 모터 브래킷(14)(15)은 상기 스테이터(2)의 외측에서 상기 스테이터(2)의 축 방향으로 상기 스테이터(2)에 적층될 수 있도록, 그 외경이 적어도 상기 스테이터(2)의 내경보다 큰 링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2 모터 브래킷(14)(15)의 외경은 상기 스테이터(2)의 내경보다 크되, 상기 스테이터(2)의 구동 코일(9)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상기 스테이터 코어(4)의 외경보다 작은 치수를 갖음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테이터(2)는 상기 스테이터(2)에 볼트(10)가 관통되는 볼트 관통공(4a)(8a)이 형성되는 바, 상기 스테이터 코어(4)와 인슐레이터(8)에 상기 볼트 관통공(4a)(8a)이 일치되게 형성된다.
상기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은 상기 스테이터(2)의 볼트 관통공 (4a)(8a)과 일치되고 상기 볼트(10)가 관통되는 볼트 관통공(14a)(15a)이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모터(1)는 상기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이 상기 스테이터 코어(4)의 중공부(3)를 덮도록 상기 스테이터(2)의 양면에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볼트(10)가 상기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 중 어느 하나(14)의 볼트 관통공(14a)과, 상기 스테이터(2)의 볼트 체결공(4a)(8a)과, 상기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 중 다른 하나(15)의 볼트 관통공(15a)을 차례로 관통한 후 너트(11)에 체결되면, 상기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과 상기 스테이터(2)가 상기 볼트(10)와 너트(11)에 의해 견고하게 조립된다.
한편, 상기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의 각각은 베어링 하우징의 기능을 하도록 상기 베어링(16)(17)이 삽입되어 설치되는 베어링 하우징부(14b)(15b)가 형성된다.
상기 베어링 하우징부(14b)(15b) 각각은 상기 스테이터(2)의 외측 방향 즉, 상기 스테이터 코어(4)의 중공부(3)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다.
즉, 상기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 중 어느 하나(14)의 베어링 하우징부(14a)는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 중 다른 하나(15)의 베어링 하우징부(15a)는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모터(1)는 상기 구동 코일(9)로 전류를 인가하는 모터 드라이브(18; 이하, 드라이브라 칭함)를 더 포함한다.
상기 드라이브(18)는 인쇄회로 기판과, 인쇄회로 기판에 실장된 각종 전장부 품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드라이브(18)는 상기 모터(1)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 코일(9) 등과 전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 코일(9)로 전류를 인가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모터(1)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 코일(9)로 전류를 인가하나, 상기 모터(1)를 최대한 컴팩트화할 수 있도록 상기 모터(1)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모터(1)가 드라이브 내장형 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드라이브(18)는 상기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의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상기 제1,2 모터 브래킷(14)(15) 중 어느 하나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드라이브(18)는 그 중앙에 상기 축(3)이 관통될 수 있는 제1관통 홀(18a)이 형성되고, 그 외경이 대략 상기 스테이터(2)의 내경과 비슷한 링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라이브(18)는 상기 볼트(10)가 관통될 수 있도록 제2관통 홀(18b)이 형성된다. 상기 드라이브(18)는 그 가장자리에 상기 스테이터(2)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제 1 회피 홈(18C)이 형성된다. 상기 드라이브(18)는 그 중앙에 상기 축(30) 및 제 2 베어링(17)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제 2 회피 홈(18D)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드라이브(18)가 제 1,2 모터 브래킷(14)(15)의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될 경우 상기 제 1,2 모터 브래킷(14)(15) 중 어느 하나(15)에 상기 전선(19)이 통과되어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하게 되나, 상기 제 1,2 모터 브래킷(14)(15) 중 어느 하나(15)와 모터 마운터(40)의 틈을 최소화할 수 있고, 상기 드라이브(18)가 상기 제 1,2 모터 브래킷(14)(15)에 의해 은닉되어 보호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로터(20)는 상기 스테이터(2)에 의해 형성된 회전자계에 의해 상기 스테이터(2)의 외부에서 회전되는 것으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 형상이 ‘∪’형상으로 형성된 로터 프레임(22)과, 상기 로터 프레임(22)에 부착된 마그네트(2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모터는 아우터 로터 타입 브러시리스 직류 모터로 구성된다.
상기 로터 프레임(22)은 상기 로터(20)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합성수지를 사출 성형하고 별도의 로터 요크가 내둘레면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고, 금속재로 이루어져 별도의 로터 요크 없이 로터 프레임(22) 자체가 로터 요크를 겸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금속재로 이루어져 로터 요크의 기능도 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로터 프레임(22)은 상기 스테이터(2)의 양면 중 일면과 대향되는 원판부(23)와, 상기 스테이터(2)의 둘레면을 에워싸는 원통부(2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로터 프레임(22)의 원판부(23)에는 공냉에 의해 상기 로터 프레임(22)의 내부가 방열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방열 홀(23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터(10)는 상기 로터 프레임(22)에 상기 축(30)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로터 프레임(22)에 축(30)이 별도의 체결부재(36)로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로터 프레임(22)은 철판을 프레스하여 성형되는 것도 가능하고, 금형에 의해 성형되는 것도 가능한데, 상기 로터 프레임(22)을 프레스 성형에 의해 성형하는 경우, 상기 축(30)을 일체로 돌출 형성하기 곤란하므로 축(30)이 별도의 체결부재(36)로 체결되어야 하고, 상기 로터 프레임(22)을 성형틀에 의해 성형하는 경우, 상기 로터 프레임(22)의 성형시 상기 축(30)을 일체로 돌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로터 프레임(22)을 상기 축(30)과 별도로 성형하여 축(30)과 로터 프레임(22)을 체결부재로 체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상기 로터(10)는 상기 축(30)이 상기 로터 프레임(22)과 별도로 성형된 후 상기 체결부재(36)로 체결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로터 프레임(22)은 중앙측, 특히 원판부(23)의 중앙에 상기 축(30)이 연결되는 바, 상기 원판부(23)의 중앙에는 상기 축(30)이 고정되는 축 고정부(24)가 형성된다.
상기 축 고정부(24)는 상기 축(30)이 상기 축 고정부(24)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축(30)보다 조금 크게 형성되고, 상기 원판부(23)의 중앙부에 중공 원통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축 고정부(24)는 상기 로터(2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로터(20)의 내측 공간에서 상기 축(30)과 체결부재(36)로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로터(2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로터(20)의 외부에서 상기 축(30)과 체결부재(36)로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상기 축(30)이 상기 로터(20)의 외부에서 체결부재(36)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축 고정부(24)가 상기 로터(2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축 고정부(24)에는 상기 체결부재(36)가 관통되는 관통공(25)(26)이 대향되게 형성된다.
상기 축 고정부(24)는 상기 관통공(25)(26)이 상기 축(3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구 형성된다.
상기 마그네트(28)는 상기 원통부(24)의 내주면에 착좌된다.
상기 축(30)은 상기 로터(20)의 회전력을 후술하는 실외기 팬 등으로 전달하는 부재로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강도가 더 우수하므로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축(30)은 상기 체결부재(36)가 관통되는 관통공(31)(32)이 대향되게 형성되되, 상기 관통공(31)(32)은 상기 축(3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구 형성된다.
상기 축(30)은 상기 스테이터(2) 특히 스테이터 코어(4)의 중공부(3)를 관통하면서 상기 로터(20)의 외부 즉, 상기 스테이터(2)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게 상기 로터 프레임(22)과 연결된다.
이하, 상기 축(30)은 상기 스테이터(2)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을 외측 축부(34)라 칭하고, 상기 스테이터(2)를 향해 돌출된 부분을 내측 축부(35)라 칭한다.
상기 축(30)은 전체적으로 내측 축부(35)가 모터(1)의 내부에 위치되고, 외측 축부(34)가 스테이터(2)의 반대 방향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체결부재(36)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 축(30)은 내측 축부(35)의 단부가, 상기 제 2 모터 브래킷(15)의 베어링 하우징부(15b)에 막힘되고, 상기 외측 축부(34)의 단부에 후술하는 실외기 팬 등과 결합되는 결합부(38)가 형성된다.
상기 축(30)은 상기와 같이 외측 축부(34)가 상기 스테이터(2)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고 종래와 같이 상기 스테이터(2)의 방향으로만 돌출되게 결합되어 상기 스테이터(2)의 외부로 돌출된 부분에 실외기 팬 등이 연결되면, 실외기 팬 등과 로터(20)의 사이에 스테이터(2)가 위치되어 스테이터(2)의 고정이 용이하지 못하게 되므로, 외측 축부(34)가 스테이터(2)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고 외측 축부(34)에 실외기 팬 등이 결합되는 결합부(38)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모터(1)는 로터(20)가 스테이터(2)의 양면 중 일면과 둘레면을 둘러싸고, 외측 축부(34)에 연결되는 실외기 팬 등이 상기 스테이터측에 위치하지 않고 로터(20)측에 더 가깝게 되므로, 상기 스테이터(2)를 로터(20)나 실외기 팬 등과 무관하게 손쉽게 설치할 수 있고 실외기 팬 등을 로터(20)와 근접하게 연결할 수 있어 모터(1)와 실외기 팬 등의 전체 셋트를 최대한 컴팩트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모터 마운터(40)는, 상기 모터(1) 특히, 스테이터(2)를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스테이터(2) 중에서 상기 로터(10)에 의해 둘러싸이지 않는 면을 덮도록 형성될 경우 상기 모터(1)의 내부 특히 스테이터(2)로 물이나 이물질 등이 침투되는 것을 막는 일종의 모터 커버 또는 스테이터 커버를 겸하게 되는 바, 이하 상기 스테이터(2) 중에서 상기 로터(10)에 의해 둘러싸이지 않는 면을 덮도록 형성 되어 스테이터 커버의 기능을 겸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모터 마운터(40)는 상기 스테이터(2) 중에서 상기 로터(10)에 의해 둘러싸이지 않는 면을 덮는 판체부(40A)와, 상기 로터 프레임(2)의 원통부(26)와 상기 판체부(40A)의 사이를 가리도록 상기 판체부(40A)의 외둘레에서 직교하게 절곡된 플랜지부(40B)와, 상기 플랜지부(40B)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테두리부(40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터 마운터(40)에는 상기 모터 마운터(40)의 판체부(40A)와 상기 모터 마운터(30)의 플랜지부(40B)에 의해 모터 마운터 홈(40D)이 구비된다.
상기 모터 마운터(40)는, 상기 스테이터(2)와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올려지는 단턱부(42)가 상기 스테이터(2)의 내측 특히, 상기 스테이터 코어(4)의 중공부(3)를 향해 단턱지게 돌출된다.
상기 모터 마운터(40)의 단턱부(42)는 상기 모터 마운터(40)의 판체부(40A)가 상기 스테이터(2)와 이격되게 함과 아울러, 상기 모터 마운터(40)의 테두리부(40C)가 상기 로터(10)와 일정 간격(g) 띄워질 수 있도록 소정 높이로 형성된다.
상기 모터 마운터(40)는 상기 모터(1)가 최대한 컴팩트화될 수 있도록 상기 베어링 하우징부(15a)를 회피하기 위한 개구부(44)가 상기 베어링 하우징부(15a) 보다 더 크게 개구 형성된다.
상기 모터 마운터(40)는 상기 모터(1) 특히 모터(1)의 내부로 연결되는 전선(19)이 관통되는 전선 관통부(46)가 형성된다.
상기 전선 관통부(46)는 상기 모터 마운터(40) 특히 플랜지부(40B)에 옆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전선 관통공로 이루어진다.
상기 모터 마운터(40)는 상기 스테이터(2)와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체결되고, 스테이터(2)의 구조가 간단하도록 상기 모터 브래킷(14)(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볼트(47) 및 너트(48)로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 모터 마운터(40)는 상기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 모두와 볼트(47) 및 너트(48)로 조립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에는 상기 볼트(47)가 관통되는 볼트 관통공(14c)(15c)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모터 마운터(40)는 상기 볼트(47)가 관통되는 볼트 관통공(49)이 상기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의 볼트 관통공(14c)(15c)과 일치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모터(1)는 상기 스테이터(2)와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의 조립체를 상기 모터 마운터(40)에 올리고, 상기 볼트(47)가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의 볼트 관통공(14c)(15c)을 차례로 관통하고 상기 모터 마운터(40)의 볼트 관통공(49)를 관통한 후 상기 너트(48)에 체결되면, 상기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과 상기 모터 마운터(40)는 견고하게 조립된다.
한편, 상기 모터(1)는 상기 모터 마운터(40) 자체가 상기 샤시(100)에 직접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고, 별도의 마운팅 브래킷(60)을 통해 상기 샤시(100)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 상기 모터(1)는 상기 모터 마운터(40)가 상기 마운팅 브래킷(60)에 완 충 가능하게 설치되고, 마운팅 브래킷(60)이 상기 샤시(100)에 설치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마운팅 브래킷(60)은 전체적으로 삼발이 구조로 이루어지는 바, 원판형의 중앙부(60A)와, 대략 120°간격을 두도록 상기 중앙부(60A)에서 돌출되어 상기 모터 마운터(40)가 장착되는 복수개의 다리부(60B)(60C)(60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모터(1)는 상기 모터 마운터(40)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키면서 완충 가능하게 지지하는 방진 수단(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방진 수단(50)은 상기 모터 마운터(40)에 장착되는 러버(52)와, 상기 러버(52)를 지지하는 스프링(5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러버(52)는 상기 모터 마운터(40)에 형성된 관통공(49)에 끼움되는 끼움홈(53)이 외둘레에 형성된다.
상기 모터(1)는 상기 스프링(56)과 상기 마운팅 브래킷(60)의 사이에 와셔(58)가 개재된다.
한편, 상기 모터(1)는 상기 방진 수단(50)과 마운팅 브래킷(60)을 체결 수단(54)으로 체결한다.
여기서, 상기 체결 수단(54)은 상기 방진 수단(50)과 마운팅 브래킷(60)을 관통하는 핀부(54a)와, 상기 핀부(54a)의 일단에 돌출된 머리부(54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체결수단(54)은 상기 머리부(54b)가 상기 러버(52)에 걸림됨과 아울러 상기 핀부(54a)의 단부가 상기 마운팅 브래킷(60)에 용접 등으로 직접 부착된다.
즉, 상기 러버(52)는 중앙에 체결 수단(54) 특히 핀부(54a)가 관통되는 관통공(5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마운팅 브래킷(60)에는 상기 체결 수단(54) 특히 핀부(54a)가 관통되기 위한 관통공(63)이 형성된다.
이하, 상기 모터(1)의 모터 마운터(40)와 마운팅 브래킷(60)의 조립 공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모터 마운터(40)의 관통공(49)에 상기 러버(52)의 끼움홈(53)을 끼워 러버(52)를 모터 마운터(40)에 조립한다.
상기 마운팅 브래킷(60)의 일면에 와셔(58)와 스프링(56)과 러버(52)를 차례로 올리고, 상기 체결 수단(54)의 핀부(54a)를 러버(52), 스프링(56), 와셔(58)에 차례로 관통시킨 후 상기 마운팅 브래킷(60)의 관통공(63)을 관통시킨다.
상기 체결 수단(54)은 상기 머리부(54b)가 상기 러버(52)에 걸림되게 되고, 상기 체결 수단(54)의 핀부(54a) 중에서 상기 마운팅 브래킷(60)의 관통공(63)을 관통한 부분을 용접 등에 의해 마운팅 브래킷(60) 직접 고정하면, 그 조립이 완료된다.
한편, 상기 마운팅 브래킷(60)에는 공기조화기에 체결 부재(66)로 체결되기 위한 관통공(68)이 별도로 형성된다.
즉, 상기 모터(1)는 상기 스테이터(2)와 로터(20)와 축(30)과 모터 마운터(40)와 마운팅 브래킷(60) 등의 조립체가 상기 샤시(100)에 수평하게 배치된 후 상 기 체결 부재(66)에 의해 장착된다.
도 4에 도시된 참조 부호 88은 상기 로터(20)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스테이터(2)에 설치된 홀 센서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참조 부호 40D는 상기 제 1,2 모터 브래킷(14)(15)과 스테이터(40)를 체결하는 볼트(10) 및 너트(11)를 회피하도록 상기 모터 마운터(40)에 형성된 회피홀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1실시 예의 작용을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압축기(104)가 구동되면 상기 압축기(104)에서 압축된 냉매가 상기 실외 열교환기(102)로 압송되어 응축되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102)에서 응축된 냉매가 상기 실내기에서 팽창, 증발된 후 다시 상기 압축기(104)로 순환된다.
더불어서 상기 모터(1)가 구동되고, 상기 모터(1)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실외 팬(110)이 회전된다. 그러면 상기 실외기 캐비닛(100)의 흡입구(100A)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어 상기 실외 열교환기(102)를 통과한 후 상기 실외기 캐비닛(100)의 토출구(100B)를 통해 토출된다.
상기 모터(1)의 구동 과정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상기 드라이버(18)를 통해 상기 구동 코일(9)로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스테이터(2) 특히, 상기 스테이터 코어(4)에는 회전자계가 생성되고, 상기 로터(20)는 상기 마그네트(28) 및 로터 프레임(22)이 상기 생성된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축(30)은 상기 체결부재 (36)에 의해 상기 로터 프레임(22)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로터(20) 특히, 로터 프레임(22)과 함께 회전된다.
상기 축(30)은 상기 체결부재(36)에 길이방향으로 걸리고 그 반경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이 제한되어, 길이 방향으로 미끄러지거나 반경 방향으로 슬립이 발생되지 않고 회전된다.
상기 축(30)은 상기와 같은 회전시 내측 축부(35)가 상기 복수개의 베어링(16)(17)에 의해 스테이터(2)측에 안정감 있게 지지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모터(1)가 구동되면, 상기 축(30)이 상기 실외 팬(110)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실외 팬(110)이 상기 축(30)과 함께 회전되면서 송풍력을 발생시킨다.
한편, 상기 모터(1)는 상기 로터(20) 및 축(30)의 회전시 모터(1)의 진동이 상기 모터 마운터(40)를 통해 전달되나, 전달된 진동은 상기 방진 수단(50) 특히, 러버(52)와 스프링(56)에 의해 저감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 2 실시예의 주요부 구성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터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 고정부(24′)가 로터 프레임(22)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고 내측 공간으로 돌출 형성되고, 축(30)과 축 고정부(24′)가 로터 프레임(22)의 내측에서 체결부재(36)로 체결되며, 상기 축 고정부(24′) 이외의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모터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 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터는 로터 프레임(22)과 축(30)의 결합부, 특히 체결부재(36)가 모터(1)의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모터(1)의 내부에 위치되므로, 로터 프레임(22)과 축(30)의 결합부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쌓이지 않고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모터의 운반 등의 경우 체결부재(36)가 외부 충격 등에 의해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 3 실시예의 주요부 구성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터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 고정부(24″)가 상기 로터 프레임(22)의 외측 뿐만 아니라 내측 공간으로도 돌출 형성되고, 상기 축 고정부(24″) 이외의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모터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상기 축 고정부(24″)는 상기 로터 프레임(22)의 외측을 향해 돌출된 외측 삽입부(24a)와, 상기 로터 프레임(22)의 내측 공간을 향해 돌출된 내측 삽입부(24b)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터는, 축 고정부(24″)가 상기 로터 프레임(22)의 외측 뿐만 아니라 내측 공간으로 돌출 형성되므로, 축(30)이 축 고정부(24″)에 지지되는 면적이 넓게 되어 축(30)의 길이가 길 때 발생될 수 있는 휨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 4 실시예의 주요부 구성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터는, 방진 수단(50)과 마운팅 브래킷(60)이 볼트(70)와 너트(73)에 의해 조립된다.
즉, 상기 볼트(70)를 본 발명 일실시예와 같이, 러버(52), 스프링(56), 와셔(58)에 차례로 관통시킨 후 상기 마운팅 브래킷(60)의 관통공(63)을 관통시키면, 상기 볼트(70)의 머리(71)는 상기 러버(52)에 걸림되고, 상기 볼트(70) 중에서 상기 마운팅 브래킷(60)의 관통공(63)을 관통한 부분(72)에 너트(73)를 체결하면, 상기 방진 수단(50)과 마운팅 브래킷(60)은 볼트(70)와 너트(73)에 의해 견고하게 조립되게 된다.
반대로, 상기 볼트(70)를 상기 마운팅 브래킷(60)의 관통공(63)을 관통시킨 후, 와셔(58), 스프링(56), 러버(52)에 차례로 관통시키면, 상기 볼트(70)의 머리(71)는 상기 마운팅 브래킷(60)에 걸림되고, 상기 볼트(70) 중에서 상기 러버(52)을 관통한 부분(72)에 너트(73)를 체결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 5 실시예의 주요부 구성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터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라이브(18)가 상기 스테이터(2)와 모터 마운터(40)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상기 모터 마운터 (4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드라이브(18) 이외의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터는, 상기 드라이브(18)가 상기 스테이터(2)와 모터 마운터(40) 사이에 위치되므로, 상기 모터를 컴팩트하게 구조화함은 물론 상기 드라이브(18)와 연결된 전선을 상기 모터의 외측으로 용이하게 배선할 수 있고, 상기 로터(10)와 모터 마운터(40) 간 틈새를 통해 상기 드라이브(18)의 방열이 가능하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6실시 예의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6실시 예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스테이터(2)와 로터(20)와, 축(30)과, 모터 마운터(40), 방진 수단(50) 등을 포함하고, 상기 마운팅 브래킷(60)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모터 마운터(40)가 체결부재(66)에 의해 모터 지지 프레임(112)에 직접 조립되며, 상기 모터 마운터(40)가 상기 모터 지지 프레임(112)에 직접 조립되는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체결부재(66)는 볼트(66A)와 너트(66B)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리벳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6실시 예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6 실시 예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기 캐비닛(200)의 흡입구(201)가 상기 실외기 캐비닛(200)의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실외기 캐비닛(200)의 토출구(미도시)가 상기 실외기 캐비닛(200)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모터(210)가 실외 팬(204)의 후방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상기 모터(210)는 상기 실외기 캐비닛(200)에 직접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실외기 캐비닛(220) 내 모터 지지 프레임(202)에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상기 모터 지지 프레임(202)에 고정된 경우를 설명한다.
또한 상기 모터(210)는 상기 모터(210)의 모터 마운터(212)가 마운팅 브래킷(220)과 결합되고 상기 마운팅 브래킷(220)이 상기 모터 지지 프레임(202)에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모터(210)가 상기 마운팅 브래킷(220)없이 상기 모터(210)의 모터 마운터(212)가 상기 모터 지지 프레임(202)에 직접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상기 이외의 구성 및 작용은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1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7실시 예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7 실시 예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기 캐비닛(300)의 흡입구(301)가 상기 실외기 캐비닛(300)의 좌,우측면 및 후면에 형성되고, 상기 실외기 캐비닛(300)의 토출구(302)가 상기 실외기 캐비닛(30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모터(310)가 실외 팬(304)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실외기 캐비닛(300)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모터(310)는 상기 실외기 캐비닛(300)에 직접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실외기 캐비닛(320) 내 모터 지지 프레임에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상기 실외기 캐비닛(300)에 직접 고정된 경우를 설명한다.
또한 상기 모터(310)는 상기 모터(310)의 모터 마운터(312)가 마운팅 브래킷(320)과 결합되고 상기 마운팅 브래킷(320)이 상기 실외기 캐비닛(300)에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모터(310)가 상기 마운팅 브래킷(320)없이 상기 모터(310)의 모터 마운터(312)가 상기 실외기 캐비닛(300)에 직접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상기 모터(310)가 상기 마운팅 브래킷(320)을 통해 상기 실외기 캐비닛(300)에 고정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상기 마운팅 브래킷(320)은 상기 모터(310)의 모터 마운터(312)와 완충 부재(314)를 통해 결합되는 받침부(322)와, 상기 받침부(322)의 외측에 방사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실외기 캐비닛(300)의 상면에 체결되는 다수 개의 걸이부(32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상기 이외의 구성 및 작용은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1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 한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8실시 예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8 실시 예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기 캐비닛(400)의 흡입구(401)가 상기 실외기 캐비닛(400)의 좌,우측면 및 후면에 형성되고, 상기 실외기 캐비닛(400)의 토출구(402)가 상기 실외기 캐비닛(40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모터(410)가 실외 팬(404)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실외기 캐비닛(400)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모터(410)는 상기 실외기 캐비닛(400)에 직접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실외기 캐비닛(420) 내 모터 지지 프레임에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상기 실외기 캐비닛(400)에 직접 고정된 경우를 설명한다.
또한 상기 모터(410)는 상기 모터(410)의 모터 마운터(412)가 마운팅 브래킷과 결합되고 상기 마운팅 브래킷이 상기 실외기 캐비닛(400)에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모터(410)가 상기 마운팅 브래킷없이 상기 모터(410)의 모터 마운터(412)가 상기 실외기 캐비닛(400)에 직접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상기 모터(410)가 상기 마운팅 브래킷없이 상기 실외기 캐비닛(400)에 직접 고정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즉 상기 모터(410)는 상기 모터(410)의 모터 마운터(412)가 상기 실외기 캐비닛(400)의 상면에 완충부재(414)를 통해 체결됨으로써, 상기 실외기 캐비닛(300) 의 상면에 직접 고정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이외의 구성 및 작용은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1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9실시 예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9 실시 예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기 캐비닛(500)의 흡입구(501)가 상기 실외기 캐비닛(500)의 정면 및 후면에 형성되고, 상기 실외기 캐비닛(500)의 토출구(502)가 상기 실외기 캐비닛(50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모터(510)가 실외 팬(504) 하측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상기 모터(510)는 상기 실외기 캐비닛(500)에 직접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실외기 캐비닛(520)의 내부 상측에 메달리듯이 설치된 모터 지지 프레임(506)에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상기 모터 지지 프레임(506)에 고정된 경우를 설명한다.
또한 상기 모터(510)는 상기 모터(510)의 모터 마운터(512)가 마운팅 브래킷(520)과 결합되고 상기 마운팅 브래킷(520)이 상기 모터 지지 프레임(506)에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모터(510)가 상기 마운팅 브래킷(520)없이 상기 모터(510)의 모터 마운터(512)가 상기 모터 지지 프레임(506)에 직접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상기 마운팅 브래킷(520)을 통해 고정된 경우를 설명한다.
즉 상기 모터(510)는 상기 모터(510)의 모터 마운터(512)가 완충부재를 통해 상기 마운팅 브래킷(520)에 고정되고, 상기 마운팅 브래킷(520)이 상기 모터지지 프레임(506)의 상측에 올려진 상태로 상기 모터 지지 프레임(506)에 고정된다.
이하 상기 이외의 구성 및 작용은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1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10실시 예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10 실시 예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도 22 및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기 캐비닛(600)의 흡입구(601)가 상기 실외기 캐비닛(600)의 정면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실외기 캐비닛(600)의 토출구(602)가 상기 실외기 캐비닛(600)의 정면 상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실외기 캐비닛(600)의 흡입구(601)에서 상기 실외기 캐비닛(500)의 토출구(502)를 향하는 유동을 발생시키는 원심 송풍기(6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원심 송풍기(610)는 상기 원심 송풍기(610)의 외관을 이루고 유동을 안내하는 원심 송풍기 하우징(612)과, 상기 원심 송풍기 하우징(612)의 내부에 회전 가능토록 설치된 실외기 팬(614)과, 상기 실외 팬(614)을 회전시키는 아우터 로터 타입 모터(616)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심 송풍기 하우징(612)에는 그 하측에 흡입구(612A)가 형성되고, 상기 실외기 캐비닛(600)의 토출구(602)와 마주보는 정면에 토출구(612B)가 형성된다.
상기 모터(616)는 상기 실외기 캐비닛(600)에 직접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원심 송풍기 하우징(612)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상기 원심 송풍기 하우징(612)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또한 상기 모터(616)는 상기 모터(616)의 모터 마운터(617)가 마운팅 브래킷(620)과 결합되고 상기 마운팅 브래킷(620)이 상기 원심 송풍기 하우징(612)에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모터(616)가 상기 마운팅 브래킷(620)없이 상기 모터(616)의 모터 마운터(617)가 상기 원심 송풍기 하우징(612)에 직접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상기 마운팅 브래킷(620)을 통해 고정된 경우를 설명한다.
즉 상기 모터(616)는 상기 모터(616)의 모터 마운터(617)가 완충부재를 통해 상기 마운팅 브래킷(620)에 고정되어 상기 원심 송풍기 하우징(612)의 내부에 삽입되게 설치되고, 상기 마운팅 브래킷(620)이 상기 원심 송풍기 하우징(612)의 외측에서 상기 원심 송풍기 하우징(612)에 올려진 상태로 상기 원심 송풍기 하우징(612)에 고정된다.
이하 상기 이외의 구성 및 작용은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1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외기 캐비닛에 스테이터가 고정되고 상기 스테이터의 외측에 로터가 회전 가능토록 배치되며 상기 로터가 실외기 팬과 연결되어 상기 실외기 캐비닛의 흡입구에서 상기 실외기 캐비닛의 토출구를 향하는 유동을 형성하므로 상기 로터가 모터의 외관을 겸하게 되어 별도의 모터 케이스가 불필요하고, 상기 모터의 전체 길이가 짧아질 수 있어 슬림화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제조비가 절감됨은 물론 중량 감소로 인해 이동이 용이하고 설치 공간이 줄어들며, 소비 전력이 감소될 수 있고, 딱딱한 기기의 이미지에서 탈피하여 부드러운 이미지 창출이 가능함으로써 심미감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기존의 모터가 모터 케이스로 인해 실외기 캐비닛에서 분리된 후 서비스가 가능한데 반해, 상기 스테이터가 상기 실외기 캐비닛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실외기 팬과 함께 로터를 상기 스테이터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모터를 손쉽게 서비스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기 스테이터가 상기 실외기 캐비닛 내 모터 프레임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모터의 체결 구조가 상기 실외기 캐비닛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상기 실외기 캐비닛의 외관미를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기 모터가 실외기 캐비닛에 고정되는 모터 마운터와, 상기 모터 마운터에 고정되는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의 외측에 회전 가능토록 설치되어 상기 실외기 팬과 연결된 로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상기 모터 마운터와 스테이터 사이에 상기 모터의 구동을 위한 모터 드라이브가 설치될 수 있어 상기 모터가 구조적으로 컴팩트하고 일체화될 수 있음은 물론 보다 더 슬림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기 스테이터의 내부 공간을 덮을 수 있는 모터 브래킷이 더 포함되므로 상기 모터 브래킷에 의해 상기 스테이터가 구조적으로 안정될 수 있고 상기 스테이터의 내부 공간에 모터 드라이브나 베어링 등과 같은 부품이 내장될 수 있어 슬림화 및 소형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모터 마운터가 완충 가능하게 설치되는 마운팅 브래킷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모터 마운터가 직접 설치되기 곤란할 경우에도 마운팅 브래킷을 통해 설치할 수 있고, 모터 마운터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2)

  1. 흡입구와 토출구가 각각 형성된 실외기 캐비닛과;
    상기 실외기 캐비닛의 흡입구에서 상기 실외기 캐비닛의 토출구를 향하는 유동이 형성되게 하는 실외기 팬과;
    상기 실외기 캐비닛에 스테이터가 고정되고 로터가 상기 스테이터의 외측에서 회전되는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 캐비닛은 그 상,하면을 제외한 면 중 일측에 상기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상,하면을 제외한 면 중 타측에 상기 토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 캐비닛은 그 일면에 상기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가 형성된 일면과 대향되는 타면에 상기 토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 캐비닛은 그 상,하면을 제외한 면 중 적어도 일부에 상기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상면에 상기 토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 캐비닛은 그 상,하면을 제외한 면들 중 서로 대향되는 일면과 타면에 각각 상기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상면에 토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 캐비닛은 그 일면 일측에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일면 타측에 토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실외기 팬의 전방 또는 상기 실외기 팬의 후방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실외기 캐비닛에 고정되는 마운팅 브래킷과; 상기 마운팅 브래킷에 완충 가능토록 결합되고 상기 스테이터가 고정되는 모터 마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실외기 캐비닛에 장착되고 상기 스테이터가 고정되는 모터 마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 캐비닛의 내부에는 모터 프레임이 장착되고;
    상기 모터는 상기 실외기 캐비닛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모터 프레임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11. 흡입구와 토출구가 각각 형성된 실외기 캐비닛과;
    상기 실외기 캐비닛의 흡입구에서 상기 캐비닛의 토출구를 향하는 유동이 형성되게 하는 실외기 팬과;
    상기 실외기 캐비닛 내부에 고정되는 모터 마운터와;
    상기 모터 마운터에 고정된 링형 구조의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의 내부 공간을 덮는 모터 브래킷과;
    상기 스테이터의 외측에 회전 가능토록 설치된 로터와;
    상기 로터와 상기 송풍팬을 연결하는 축과;
    상기 모터 브래킷에 설치되어 상기 축을 회전 가능토록 지지하는 베어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상기 실외기 캐비닛에 장착되고 상기 모터 마운터를 완충 가능토록 지지하여 상기 모터 마운터가 상기 실외기 캐비닛에 고정되게 하는 마운팅 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20060037795A 2006-04-26 2006-04-26 공기조화기 KR200701055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7795A KR20070105544A (ko) 2006-04-26 2006-04-26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7795A KR20070105544A (ko) 2006-04-26 2006-04-26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5544A true KR20070105544A (ko) 2007-10-31

Family

ID=38818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7795A KR20070105544A (ko) 2006-04-26 2006-04-26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0554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51471B1 (en) A fan for an air conditioner
EP1842010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1212691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1225971B1 (ko) 모터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KR20070105549A (ko) 양축 모터 및 그를 갖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KR20070105544A (ko) 공기조화기
KR100932488B1 (ko) 공기조화기
KR20070105546A (ko) 공기조화기
CN107701518B (zh) 贯流风轮安装结构、风道组件及具有贯流风轮的装置
KR20070100524A (ko) 모터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KR100365917B1 (ko) 전동모터
KR20070100521A (ko) 모터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KR20070100523A (ko) 모터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KR100749061B1 (ko) 공기조화기
US9893589B2 (en) Electric machine having a coupling flange
JP2002330574A (ja) 空気調和機
AU2018377857B2 (en) DC voltage air conditioning compressor drive unit
JP2003032962A (ja) 送風機およびこれを備えた冷蔵庫
KR20070100525A (ko) 송풍기 및 그 송풍기를 갖는 공기 조화기
JPH08312586A (ja) モータ内蔵型送風機のコネクタ装置
US7843096B2 (en) Method for accomodating an electric motor
KR20070100518A (ko) 모터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KR200312146Y1 (ko) 에어컨 실내기의 팬모터 설치구조
KR20070100520A (ko) 모터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KR20070100522A (ko) 모터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