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5545A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5545A
KR20070105545A KR1020060037796A KR20060037796A KR20070105545A KR 20070105545 A KR20070105545 A KR 20070105545A KR 1020060037796 A KR1020060037796 A KR 1020060037796A KR 20060037796 A KR20060037796 A KR 20060037796A KR 20070105545 A KR20070105545 A KR 20070105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air conditioner
stator
indoor uni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7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내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7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05545A/ko
Publication of KR20070105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55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1/00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 H02K21/12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 H02K21/22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with magnets rotating around the armatures, e.g. flywheel magneto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의 외부에서 상기 스테이터에 의해 회전되는 로터와, 상기 로터에 구비된 축을 포함하는 모터와; 상기 축에 연결된 송풍팬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공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로터가 스테이터 외부에서 회전되면서 축을 회전시키므로, 별도의 모터 케이스가 불필요하여 구조가 간단한 이점이 있다.
공기조화기, 실내기, 본체, 스테이터, 로터, 축, 모터, 송풍팬, 공조부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내기{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1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1 실시예가 도시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1 실시예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1 실시예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모터의 확대 사시도,
도 6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모터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모터의 횡단면도,
도 8은 도 5에 도시된 A-A선 단면도,
도 9는 도 5에 도시된 B-B선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2 실시예의 주요부 구성이 도시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3 실시예의 주요부 구성이 도시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3 실시예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4 실시예의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4 실시예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
도 15는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 모터 2: 스테이터
4: 스테이터 코어 8: 인슐레이터
9: 구동 코일 13: 축 지지수단
14: 제 1 모터 브래킷 14b: 베어링 하우징부
15: 제 2 모터 브래킷 15b: 베어링 하우징부
16: 제 1 베어링 17: 제 2 베어링
18: 드라이브 20: 로터
22: 로터 프레임 23: 원판부
24: 축 고정부 25,26: 관통공
27: 원통부 28: 마그네트
30: 축 34: 외측 축부
35: 내측 축부 40: 모터 마운터
40A: 원판부 40B: 플랜지부
40C: 테두리부 40D: 회피홀
42: 단턱부 44: 개구부
46: 전선 관통부 50: 방진 수단
52: 러버 56: 스프링
60: 마운팅 브래킷 60A: 중앙부
60B,60C,60D: 다리부 100: 본체
110: 캐비닛 110A: 관통공
160: 송풍부 162: 송풍 팬
163: 흡입구 164: 토출구
165: 팬 하우징 166: 오리피스
167: 체결부 168: 유로부
200: 공조부 210: 열교환기
230: 공기정화기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송풍팬을 회전시키기 위해 아우터 로터 타입의 모터가 설치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난방기, 냉방기, 청정기 등으로 실내를 냉난방시키거나 공기를 정화할 목적으로 설치되어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게 된다.
도 15는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기(502)와 송풍기(504)가 내장된 캐비닛(510)과, 상기 캐비닛(510)의 전면 하부에 착탈되는 흡입그릴(512)과, 상기 캐비닛(510)의 전면 상부에 배치된 전면 상부패널(5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흡입그릴(512)에는 실내측의 공기가 상기 캐비닛(510) 내측으로 흡입될 수 있도록 일정간격으로 개구된 흡입부(512a)가 형성된다.
상기 전면 상부패널(514)에는 상기 열교환기(502)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실내측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토출부(516)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상기 흡입구(512a)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중의 이물질을 걸러주도록 흡입그릴(512)의 후면측에 에어 필터(520)가 배치된다.
상기 송풍기(504)는 실내의 공기를 상기 캐비닛(510)의 내부로 흡입하는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송풍팬(505)과, 상기 송풍팬(505)의 외측에 배치되고 흡입구(506a) 및 토출구(506b)가 형성되어 흡입구(506a)와 토출구(506b)의 사이에 공기 유로를 갖는 팬하우징(506)과; 상기 송풍팬(505)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캐비닛(510)에 고정된 모터(507)와; 상기 팬하우징(506)의 흡입구(506a)에 전면에 배치되어 공기의 흡입을 안내하는 오리피스(50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송풍팬(505)은 흡입그릴(512) 전방의 공기를 팬하우징(506) 내부로 강제 흡입한 후 캐비닛(510)의 내측 상부로 토출토록 한다.
상기 모터(507)는 AC모터나 DC모터가 사용되고, DC 모터의 경우 모터의 외관 을 형성하는 모터 케이스(507a)와, 상기 모터 케이스(507a)의 내부에 고정 설치된 계자용 마그네트(미도시)와, 상기 계자용 마그네트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는 전기자(미도시:로터)와, 상기 전기자에 연결되고 상기 모터 케이스(507a)의 외부로 돌출되게 배치된 축(507b)과, 상기 전기자로 전류를 공급하는 브러시와, 상기 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오리피스(508)는 중앙에 상기 팬하우징(506)의 흡입구(506a)에 통하고 완만한 곡선부를 갖는 흡입홀부(508a)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에어필터(520)와 오리피스(508)의 사이에는 상기 오리피스(508)의 흡입홀부(508a)를 통해 손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안정망(530)이 설치되어 사고를 방지토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상기 모터(507) 특히 전기자로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전기자는 상기 모터 케이스(507a)의 내부에서 회전되고, 상기 축(507b)은 상기 모터 케이스(507a)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전기자와 함께 회전되며, 상기 송풍팬(505)은 상기 축(507b)과 함께 일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송풍팬(505)의 회전시 실내의 공기는 상기 흡입그릴(512)의 흡입부(512a)를 통해 캐비닛(510)의 내부로 흡입되고, 상기 에어 필터(520)를 지나면서 공기 중의 이물질이 걸러진 다음 상기 오리피스(508)의 흡입홀(508a)을 통해 상기 팬하우징(506)의 내부 유로로 안내되며 상기 팬하우징(506)의 토출구(506b)를 통해 캐비닛(510)의 상부로 이동된다.
상기 캐비닛(510)의 상부로 이동된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502)를 지나면서 냉기로 전환된 후 상기 캐비닛(510)의 전면 상부의 토출부(516)를 통해 실내로 다시 토출되어 사용자에게 시원함을 제공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모터(507)가 이너 로터 타입으로 이루어져, 별도의 모터 케이스(507a)가 필요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전체 크기가 크며, 소비 전력이 큰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아우터 로터 타입의 모터가 설치되어 구조가 간단하고 소비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의 외부에서 상기 스테이터에 의해 회전되는 로터와, 상기 로터에 구비된 축을 포함하는 모터와; 상기 축에 연결된 송풍팬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공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터는 상기 축이 전방을 향해 수평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팬 하우징과; 상기 팬 하우징에 설치된 오리피스와; 상기 팬 하우징과 오리피스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고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의 외부에서 상기 스테이터에 의해 회전되는 로터와, 상기 로터에 구비된 축을 포함하는 모터와; 상기 축에 연결된 송풍팬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공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터는 상기 축이 후방을 향해 수평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팬 하우징과 오리피스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된다.
상기 본체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전방에 배치되고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상부 패널과, 상기 상부 패널의 양측 하부에 배치되고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하부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는 상기 캐비닛이 설치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는 상기 상부 패널의 중앙부 상단과 상기 베이스의 중앙부 상단 사이를 전방으로 개폐하는 전면 패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터는 상기 스테이터에 체결되는 모터 브래킷과, 상기 모터 브래킷과 체결되는 모터 마운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터 마운터는 상기 본체에 장착된다.
상기 모터는 상기 모터 마운터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마운팅 브래킷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터는 상기 스테이터에 체결되는 모터 브래킷과, 상기 모터 브래킷과 체결되는 모터 마운터와, 상기 모터 마운터가 설치되고 상기 팬하우징과 오리피스 중 적어도 하나에 장착되는 마운팅 브래킷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1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1 실시예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0)에 실내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101)(102)(103)가 형성됨과 아울러 본체(100)의 내부에서 공조된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토출구(104)(105)(106)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100)는 전면 공기 흡입구(103)가 형성된 베이스(109)와, 상기 베이스(109)의 상측에 설치되고 전면과 상면과 하면이 개방된 캐비닛(110)과; 상기 캐비닛(110)의 상면을 막도록 설치된 상면 패널(115)과, 좌측 공기 토출구(104)와 우측 공기 토출구(105)와 상면 공기 토출구(106)가 형성된 상부 패널(122)과, 상기 상부 패널(122)의 좌측 하부에 배치되고 좌측 공기 흡입구(101)가 형성된 좌측 하부 패널(140)과, 상기 상부 패널(122)의 우측 하부에 배치되고 우측 공기 흡입구(102)가 형성된 우측 하부 패널(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캐비닛(110)은 하단이 상기 베이스(109)의 상면에 올려진 후 나사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베이스(109)에 체결되어 상기 베이스(109)의 상측에 상하로 수직 하게 배치된다.
상기 본체(100)는 상기 상부 패널(122)의 전면부 중앙 상단과 상기 베이스(109)의 전면부 중앙 상단 사이를 개폐하는 전면 패널(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면 패널(130)은 상기 상부 패널(122)의 전면부 중앙 상단와 베이스(109)의 전면부 중앙 상단 사이의 전방으로 여닫힘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 상기 상부 패널(122)의 상면 및 상기 베이스(109)의 상면에 설치된 힌지 브라켓(130a)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1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1 실시예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는 실내의 공기를 상기 공기 흡입구(101)(102)(103)로 흡입하여 상기 본체(100)를 통과시킨 후 상기 공기 토출구(104)(105)(106)를 통해 외부로 토출시키는 송풍부(160)와, 상기 본체(110)의 내부의 공기를 변화시키는 공조부(200)가 구비된다.
상기 송풍부(160)는 상기 캐비닛(110)에 장착된 모터(1)와, 상기 모터(1)의 축(30)에 축설된 송풍 팬(162)과, 상기 본체(100) 특히 상기 캐비닛(110)에 설치되어 송풍팬(162)과 모터(1)를 수용하는 팬 하우징(165)과; 상기 팬 하우징(165)으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도록 상기 팬 하우징(165)에 설치되는 오리피스(16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터(1)는 아우터 로터 타입 브러시리스 직류 모터로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이너 로터 타입의 모터는 관성이 작고, 제어의 응답성이 높으므 로 정/역전을 반복하는 기기에 적합하고, 아우터 로터 타입의 모터는 구조상 큰 관성을 수반하므로 정속성이 요구되는 기기에 적합하게 되는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송풍팬(162)이 대체로 시계방향과 반시계반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만 회전되므로, 이너 로터 타입 모터 보다는 아우터 로터 타입의 모터가 보다 바람직하다.
즉, 상기 모터(1)는 스테이터(2)와, 상기 모터(1)를 제어하는 회로부인 모터 드라이브(18; 이하, 드라이브라 칭함)와, 상기 스테이터(2)의 외부에 회전되게 구비된 로터(20)와, 상기 로터(20)의 회전력을 상기 송풍 팬(162)으로 전달하는 축(30)과, 상기 스테이터(2)가 설치되는 모터 마운터(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별도의 모터 케이스를 포함하지 않는다.
상기 스테이터(2)는 그 원주방향으로 회전자계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테이터(2)에는 상기 축(3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 지지수단(13)이 설치된다.
상기 축(30)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축(30)은 상기 스테이터(2)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로터(20)에 조립된다.
상기 축(30)은 상기 로터(20)에 체결부재(36)로 직접 체결된다.
상기 축(30)은 후방부가 상기 스테이터(2)의 내부측인 상기 축 지지수단(13)에 지지되고, 전방부가 로터(20)의 전방을 향해 수평하게 돌출되며, 전방부의 선단이 상기 송풍 팬(162)과 연결된다.
상기 모터 마운터(40)는, 상기 모터(1) 특히, 스테이터(2)를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스테이터(2) 중에서 상기 로터(10)에 의해 둘러싸이지 않는 면을 덮도록 형성될 경우 상기 모터(1)의 내부 특히 스테이터(2)로 물이나 이물질 등이 침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일종의 모터 커버 또는 스테이터 커버를 겸하게 되는 바, 이하 상기 스테이터(2) 중에서 상기 로터(10)에 의해 둘러싸이지 않는 면을 덮도록 형성되어 스테이터 커버의 기능을 겸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모터(1)는 축(30)이 전방 방향으로 수평하게 배치되게 상기 캐비닛(110)에 장착되는 바, 상기 모터 마운터(40)는 러버(52)와 스프링(56) 등으로 이루어진 방진수단(50)을 통해 마운팅 브래킷(60)에 완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마운팅 브래킷(60)이 캐비닛(110)에 장착된다.
상기 마운팅 브래킷(60)은 상기 캐비닛(110)에 볼트(66A)와 너트(66B)로 조립되어 장착되는 바, 상기 캐비닛(110)에는 상기 볼트(66A)가 관통되는 볼트 관통홀(110A)이 형성되고, 상기 마운팅 브래킷(60)에는 상기 볼트(66A)가 관통되는 볼트 관통홀(68)이 형성되며, 상기 볼트(66A)를 상기 캐비닛(110)의 볼트 관통홀(110A)과 상기 마운팅 브래킷(60)의 볼트 관통홀(68)에 관통시킨 후 너트(66B)를 볼트(66A)에 체결하면, 상기 마운팅 브래킷(60) 즉, 상기 모터(1)는 상기 캐비닛(110)에 견고하게 조립된다.
상기 송풍 팬(162)은 그 전방의 공기를 흡인하여 둘레 방향으로 송풍하는 터보 팬 등의 원심팬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팬 하우징(165)은 상기 송풍팬(162)을 둘러싸고 전면에 흡입구(163)가 형성되며 상면에 토출구(164)가 형성된다.
상기 오리피스(166)는 상기 팬 하우징(165)의 전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판체 형상의 체결부(167)와, 상기 송풍 팬(162)에 의해 흡인되는 공기가 안내되도록 상기 체결부(167)의 내측에 곡면지게 형성된 유로부(16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공조부(200)는 열교환기, 가습기, 제습기, 공기정화기들 중의 적어도 하나로서, 이하 상기 송풍부(160)에 의해 상기 공기 토출구로 송풍되는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210)와, 상기 송풍부(160)에 의해 상기 송풍부(160)로 흡인되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정화기(22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열교환기(210)는 상기 상부 패널(122)의 하부와 상기 캐비닛(110)의 상부 사이에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정화기(220)는 상기 베이스(109)의 전면 공기 흡입구(103) 상측에 위치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필터(221)(222)(2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복수개의 필터(221)(222)(223)는 공기 중의 먼지를 거르는 하측 프리 필터(221)와, 상기 하측 프리 필터(221) 상측에 설치되어 공기 중의 미세 먼지를 거르는 헤파 필터(222)와, 상기 헤파 필터(222) 상측에 설치되어 공기 중의 냄세 입자나 세균을 제거하는 나노 필터(2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정화기(2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측 공기 흡입구(101)의 옆에 위치되도록 상기 좌측 하부 패널(140)에 배치되는 좌측 프리 필터(224)와, 상기 우측 공기 흡입구(102)의 옆에 위치되도록 상기 우측 하부 패널(150)에 배치되는 우측 프리 필터(22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정화기(220)는 상기 오리피스(156)의 전방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공기 정화기(2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공기 정화기(230)는 공기 중의 먼지 등의 이물질을 이온화하여 포집하는 전기 집진기로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모터(1)의 스테이터(2)에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로터(20)는 상기 스테이터(2)의 외측에서 회전되고, 상기 축(30)은 후방부가 상기 스테이터(2)의 내부측에 지지됨과 아울러 전방부가 로터(20)의 전방을 향해 수평하게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로터(20)와 함께 회전되고, 상기 송풍 팬(162)은 상기 축(30)과 함께 회전된다.
상기와 같은 송풍 팬(162)의 회전시 실내의 공기는 상기 좌측면 공기 흡입구(101)와 우측면 공기 흡입구(102)와 전면 공기 흡입구(103)를 통해 상기 본체(50)의 내부로 흡입된다.
상기 좌측 공기 흡입구(101)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 공기는 좌측 프리 필터(224)를 통과하면서 먼지 등이 걸름되고, 상기 우측 공기 흡입구(102)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 공기는 우측 프리 필터(225)를 통과하면서 먼지 등이 걸름되며,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103)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 공기는 상기 하측 프리 필터(221)를 통과하면서 먼지가 걸름되고, 이후 상기 헤파 필터(222)를 통과하면서 미세 먼지가 걸름되며, 상기 나노 필터(223)를 통과하면서 공기 중의 냄세 입자나 세균 등이 제거된다.
상기와 같이 정화된 실내 공기는 상기 송풍부(160) 특히, 오리피스(166)의 전방으로 흡인되고, 상기 전기 집진기(230)를 통과하면서 상기 각종 필터(221~225)에서 제거되지 못한 이물질이 이온화하여 전기 집진기(230)에 포집된다.
상기 전기 집진기(23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오리피스(166)의 곡면부(168)를 통과하여 상기 팬 하우징(165)의 내부로 흡입되어, 상기 송풍 팬(162)에 의해 송풍되고, 상기 팬 하우징(165)의 상측으로 송풍된다.
상기 팬 하우징(165)의 상측으로 송풍된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210)를 통과하면서 냉매와의 열교환으로 냉각 혹은 가열된다.
상기와 같이 냉각 혹은 가열된 실내 공기는 일부가 상기 상면 공기 토출구(106)를 통해 상기 본체(100)의 상부 전방측으로 송풍되고, 대부분이 상기 전면 좌측 공기 토출구(104)와 전면 우측 공기 토출구(105)를 통해 상기 본체(100)의 전방측으로 송풍된다.
도 5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모터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모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모터의 횡단면도이고, 도 8은 도 5에 도시된 A-A선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5에 도시된 B-B선 단면도이다.
상기 스테이터(2)는 중앙에 중공부(3)를 갖는 스테이터 코어(4)와, 상기 스테이터 코어(4)에 권선된 구동 코일(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테이터 코어(4)는 링 형상의 하나의 코어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복수개의 단위 코어가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링 형상을 갖도록 결합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스테이터 코어(4)는 복수개의 강판이 축방향으로 적층된다.
상기 스테이터 코어(4)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상의 요크(5)와, 대략 T자 형상을 이루는 복수개의 티스(6)를 구비한다.
상기 복수개의 티스(6) 각각은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다른 티스(6)와의 사이에 슬롯(7)을 갖는다.
상기 스테이터 코어(4)의 표면에는 합성수지로 만든 인슐레이터(8)가 형성된다.
상기 인슐레이터(8)는 스테이터 코어(4)를 성형틀 내에 수납하여 용융수지를 주입하여 형성된다.
상기 구동 코일(9)은 상기 인슐레이터(8)의 외부에 감기되, 인슐레이터(8) 중에서 상기 티스(6)를 둘러싸는 부분에 감긴다.
상기 모터(1)는 모터(1) 전체를 최대한 컴팩트화할 수 있도록 그 내부에 상기 축 지지 수단(13)이 구비되고 외부에는 별도의 축 지지 수단이 구비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축 지지 수단(13)은 도 5 및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테이터(2)에 체결되는 모터 브래킷(14)(15)과, 상기 모터 브래킷(14)(15)에 설치되어 상기 축(30)을 지지하는 베어링(16)(1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터 브래킷(14)(15)과 베어링(16)(17)은 상기 축(30)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복수 셋트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하, 두 셋트 구비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모터(1)는 상기 스테이터(2)의 양면 중 일면에 제 1 모터 브래킷(14)이 체결됨과 아울러 제 1 모터 브래킷(14)에 제 1 베어링(16)이 설치되고, 상기 스테이터(2)의 양면 중 타면 즉, 제 1 모터 브래킷(14)의 반대면에 제 2 모터 브래킷(15)이 체결됨과 아울러 제 2 모터 브래킷(15)에 제 2 베어링(17)이 설치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은 상기 스테이터(2)와 볼트(10) 및 너트(11)로 체결된다.
상기 스테이터(2)는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테이터(2)에 볼트(10)가 관통되는 볼트 관통공(4a)(8a)이 형성되는 바, 상기 스테이터 코어(4)와 인슐레이터(8)에 상기 볼트 관통공(4a)(8a)이 일치되게 형성된다.
상기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은 상기 스테이터(2)의 볼트 관통공(4a)(8a)과 일치되고 상기 볼트(10)가 관통되는 볼트 관통공(14a)(15a)이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모터(1)는 상기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이 상기 스테이터 코어(4)의 중공부(3)를 덮도록 상기 스테이터(2)의 양면에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볼트(10)가 상기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 중 어느 하나(14)의 볼트 관통공(14a)과, 상기 스테이터(2)의 볼트 체결공(4a)(8a)과, 상기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 (14)(15) 중 다른 하나(15)의 볼트 관통공(15a)을 차례로 관통한 후 너트(11)에 체결되면, 상기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과 상기 스테이터(2)가 상기 볼트(10)와 너트(11)에 의해 견고하게 조립된다.
한편, 상기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의 각각은 베어링 하우징의 기능을 하도록 상기 베어링(16)(17)이 삽입되어 설치되는 베어링 하우징부(14b)(15b)가 형성된다.
상기 베어링 하우징부(14b)(15b) 각각은 상기 스테이터(2)의 외측 방향 즉, 상기 스테이터 코어(4)의 중공부(3)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다.
즉, 상기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 중 어느 하나(14)의 베어링 하우징부(14b)는 도 8 및 도 9의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 중 다른 하나(15)의 베어링 하우징부(15b)는 도 8 및 도 9의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 중 상기 로터(20)와 가까운 모터 브래킷(14)에는 그 베어링 하우징부(14b)에 상기 축(30)이 관통되는 축 관통홀(14d)이 상기 축(30) 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드라이브(18)는 상기 구동 코일(9)로 전류를 인가하는 것으로서, 인쇄회로 기판과, 인쇄회로 기판에 실장된 각종 전장부품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드라이브(18)는 상기 모터(1)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 코일(9) 등과 전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 코일(9)로 전류를 인가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모터(1)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 코일(9)로 전류를 인가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모터(1)를 최대한 컴팩트화할 수 있도록 상기 모터(1)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모터(1)가 드라이브 내장형 모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드라이브(18)는 상기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의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스테이터(2)와 상기 모터 마운터(40)의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복수개로 구비되어 일부가 상기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의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되고 나머지가 상기 스테이터(2)와 상기 모터 마운터(40)의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드라이브(18)에는 모터(1)의 외부로 연장되는 전선(19)이 연결되는데, 상기 드라이브(18)가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의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될 경우 상기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 중 어느 하나(15)에 상기 전선(19)이 통과하는 전선 통과홀이 형성되어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하게 되나, 상기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 중 어느 하나(15)와 모터 마운터(40)의 틈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반면에, 상기 드라이브(18)가 스테이터(2)와 모터 마운터(40)의 사이에 설치될 경우 전선(19)이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 중 어느 하나(15)를 관통할 필요가 없게 되어 구조가 간단하게 되나, 상기 스테이터(2)와 모터 마운터(40) 사이에 드라이브(18)가 내장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여야 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드라이브(18)가 상기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의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드라이브(18)는 상기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 중 어느 하나에 스 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로터(20)는 상기 스테이터(2)에 의해 형성된 회전자계에 의해 상기 스테이터(2)의 외부에서 회전되는 것으로서,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 형상이 ‘∪’형상으로 형성된 로터 프레임(22)과, 상기 로터 프레임(22)에 부착된 마그네트(2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로터 프레임(22)은 상기 로터(20)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합성수지를 사출 성형하고 별도의 로터 요크가 내둘레면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고, 금속재로 이루어져 별도의 로터 요크 없이 로터 프레임(22) 자체가 로터 요크를 겸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금속재로 이루어져 로터 요크의 기능도 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로터 프레임(22)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테이터(2)의 양면 중 일면과 대향되는 원판부(23)와, 상기 스테이터(2)의 둘레면을 에워싸는 원통부(2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로터 프레임(2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공(23a)이 형성된다.
상기 로터(10)는 상기 로터 프레임(22)에 상기 축(30)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로터 프레임(22)에 축(30)이 별도의 체결부재(36)로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로터 프레임(22)은 철판을 프레스하여 성형되는 것도 가능하고, 금형에 의해 성형되는 것도 가능한데, 상기 로터 프레임(22)을 프레스 성형에 의해 성형하는 경우, 상기 축(30)을 일체로 돌출 형성하기 곤란하므로 축(30)이 별도의 체결부 재(36)로 체결되어야 하고, 상기 로터 프레임(22)을 성형틀에 의해 성형하는 경우, 상기 로터 프레임(22)의 성형시 상기 축(30)을 일체로 돌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로터 프레임(22)을 상기 축(30)과 별도로 성형하여 축(30)과 로터 프레임(22)을 체결부재로 체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상기 로터(10)는 상기 축(30)이 상기 로터 프레임(22)과 별도로 성형된 후 상기 체결부재(36)로 체결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로터 프레임(22)은 중앙측, 특히 원판부(23)의 중앙에 상기 축(30)이 연결되는 바, 상기 원판부(23)의 중앙에는 상기 축(30)이 고정되는 축 고정부(24)가 형성된다.
상기 축 고정부(24)는 상기 축(30)이 상기 축 고정부(24)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축(30)보다 조금 크게 형성되고, 상기 원판부(23)의 중앙부에 중공 원통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축 고정부(24)는 상기 로터(2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로터(20)의 내측 공간에서 상기 축(30)과 체결부재(36)로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로터(2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로터(20)의 외부에서 상기 축(30)과 체결부재(36)로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상기 축(30)이 상기 로터(20)의 외부에서 체결부재(36)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축 고정부(24)가 상기 로터(2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축 고정부(24)에는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재(36)가 관통되는 관통공(25)(26)이 대향되게 형성된다.
상기 축 고정부(24)는 상기 관통공(25)(26)이 상기 축(3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구 형성된다.
상기 마그네트(28)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통부(24)의 내주면에 착좌된다.
상기 축(30)은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재(36)가 관통되는 관통공(31)(32)이 대향되게 형성되되, 상기 관통공(31)(32)은 상기 축(3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구 형성된다.
상기 축(30)은 상기 스테이터(2) 특히 스테이터 코어(4)의 중공부(3)를 관통하면서 상기 로터(20)의 외부 즉, 상기 스테이터(2)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게 상기 로터 프레임(22)과 연결된다.
이하, 상기 축(30)은 상기 스테이터(2)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을 외측 축부(34)라 칭하고, 상기 스테이터(2)를 향해 돌출된 부분을 내측 축부(35)라 칭한다.
상기 축(30)은 전체적으로 내측 축부(35)가 모터(1)의 내부에 위치되고, 외측 축부(34)가 스테이터(2)의 반대 방향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체결부재(36)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 축(30)은 내측 축부(35)의 단부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모터 브래킷(15)의 베어링 하우징부(15b)에 막힘되고, 상기 외측 축부(34)의 단부에 상기 송풍 팬(162)과 결합되는 결합부(38)가 형성된다.
즉, 상기 모터(1)는 로터(20)가 스테이터(2)의 양면 중 일면과 둘레면을 둘 러싸고, 외측 축부(34)에 연결되는 송풍 팬(162)이 상기 스테이터(2)측에 위치하지 않고 로터(20)측에 더 가깝게 되어, 상기 스테이터(2)를 로터(20)나 송풍 팬(162)과 무관하게 손쉽게 설치할 수 있고 송풍 팬(162)을 로터(20)와 근접하게 연결할 수 있어 모터(1)와 송풍팬(162)의 전체 셋트를 최대한 컴팩트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모터 마운터(40)는 도 6 및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테이터(2) 중에서 상기 로터(10)에 의해 둘러싸이지 않는 면을 덮는 판체부(40A)와, 상기 로터 프레임(2)의 원통부(27)와 상기 판체부(40A)의 사이를 가리도록 상기 판체부(40A)의 외둘레에서 직교하게 절곡된 플랜지부(40B)와, 상기 플랜지부(40B)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테두리부(40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터 마운터(40)는, 상기 스테이터(2)와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올려지는 단턱부(42)가 상기 스테이터(2)의 내측 특히, 상기 스테이터 코어(4)의 중공부(3)를 향해 단턱지게 돌출된다.
상기 모터 마운터(40)는 상기 모터(1)가 최대한 컴팩트화될 수 있도록 상기 베어링 하우징부(15a)를 회피하기 위한 개구부(44)가 상기 베어링 하우징부(15a) 보다 더 크게 개구 형성된다.
상기 모터 마운터(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1) 특히 모터(1)의 내부로 연결되는 전선(19)이 관통되는 전선 관통부(46)가 형성된다.
상기 전선 관통부(46)는 상기 모터 마운터(40) 특히 플랜지부(40B)에 옆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전선 관통공로 이루어진다.
상기 모터 마운터(40)는 상기 스테이터(2)와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체결될 수 있는 바, 상기 스테이터(2)의 구조가 간단하고 상기 스테이터(2)와 모터 마운터(40)가 이격될 수 있도록 상기 모터 브래킷(14)(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볼트(47) 및 너트(48)로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 모터 마운터(40)는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 모두와 볼트(47) 및 너트(48)로 조립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에는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트(47)가 관통되는 볼트 관통공(14c)(15c)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모터 마운터(40)는 상기 볼트(47)가 관통되는 볼트 관통공(49)이 상기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의 볼트 관통공(14c)(15c)과 일치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모터(1)는 상기 스테이터(2)와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의 조립체 중에서 상기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 중 어느 하나(15)를 상기 모터 마운터(40) 특히 단턱부(42)에 올리고, 상기 볼트(47)가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의 볼트 관통공(14c)(15c)을 차례로 관통하고 상기 모터 마운터(40)의 볼트 관통공(49)을 관통한 후 상기 너트(48)에 체결되면, 상기 모터 마운터(40)는 상기 복수개의 모터 브래킷(14)(15)과 견고하게 조립되고, 상기 스테이터(2)와 상기 축 지지수단(13)과 모터 마운터(40)는 일체화된다.
한편, 상기 모터(1)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마운팅 브래킷(60)을 통해 캐비닛(110)에 장착되는 바, 상기 모터 마운터(40)가 러버(52)와 스프링(56) 등의 방진수단(50)에 의해 상기 마운팅 브래킷(60)에 완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마운팅 브래킷(60)은 전체적으로 삼발이 구조로 이루어지는 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형의 중앙부(60A)와, 대략 120°간격을 두도록 상기 중앙부(60A)에서 돌출되어 상기 모터 마운터(40)가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캐비닛(110)에 조립되는 복수개의 다리부(60B)(60C)(60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방진 수단(50)은 상기 모터 마운터(40)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키면서 상기 모터 마운터(40)를 상기 마운팅 브래킷(60)과 이격되게 지지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방진 수단(50)은 상기 모터 마운터(40)에 장착되는 러버(52)와, 상기 러버(52)를 지지하는 스프링(5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러버(52)는 상기 모터 마운터(40)에 형성된 관통공(49)에 끼움되는 끼움홈(53)이 외둘레에 형성된다.
상기 모터(1)는 상기 스프링(56)과 상기 마운팅 브래킷(60)의 사이에 와셔(58)가 개재된다.
한편, 상기 모터(1)는 상기 방진 수단(50)과 마운팅 브래킷(60)을 체결 수단(54)으로 체결한다.
여기서, 상기 체결 수단(54)은 상기 방진 수단(50)과 마운팅 브래킷(60)을 관통하는 핀부(54a)와, 상기 핀부(54a)의 일단에 돌출된 머리부(54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체결수단(54)은 상기 머리부(54b)가 상기 러버(52)에 걸림됨과 아울러 상기 핀부(54a)의 단부가 상기 마운팅 브래킷(60)에 용접 등으로 직접 부착된다.
즉, 상기 러버(52)는 중앙에 체결 수단(54) 특히 핀부(54a)가 관통되는 관통공(5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마운팅 브래킷(60)에는 상기 체결 수단(54) 특히 핀부(54a)가 관통되기 위한 관통공(63)이 형성된다.
이하, 상기 모터(1)의 모터 마운터(40)와 마운팅 브래킷(60)의 조립 공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모터 마운터(40)의 관통공(49)에 상기 러버(52)의 끼움홈(53)을 끼워 러버(52)를 모터 마운터(40)에 조립한다.
상기 마운팅 브래킷(60)의 일면에 와셔(58)와 스프링(56)과 러버(52)를 차례로 올리고, 상기 체결 수단(54)의 핀부(54a)를 러버(52), 스프링(56), 와셔(58)에 차례로 관통시킨 후 상기 마운팅 브래킷(60)의 관통공(63)을 관통시킨다.
상기 체결 수단(54)은 상기 머리부(54b)가 상기 러버(52)에 걸림되게 되고, 상기 체결 수단(54)의 핀부(54a) 중에서 상기 마운팅 브래킷(60)의 관통공(63)을 관통한 부분을 용접 등에 의해 마운팅 브래킷(60) 직접 고정하면, 그 조립이 완료된다.
한편, 상기 마운팅 브래킷(60)에는 캐비닛(110)에 체결 부재(66)로 체결되기 위한 관통공(68)이 별도로 형성된다.
즉, 상기 모터(1)는 상기 스테이터(2)와 로터(20)와 축(30)과 모터 마운터(40)와 마운팅 브래킷(60) 등의 조립체가 상기 축(30)이 전방으로 수평하게 돌출되 게 장착된다.
도 6에 도시된 참조 부호 88은 상기 로터(20)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스테이터(2)에 설치된 홀 센서이다.
도 6 에 도시된 참조 부호 18A는 상기 축(30)을 회피하도록 상기 드라이브에 형성된 회피홀이고, 도 6에 도시된 참조 부호 18B는 상기 제 1,2 모터 브래킷(14)(15)과 모터 마운터(40)를 체결하는 볼트(47)를 회피하도록 상기 드라이브(18)에 형성된 회피홀이다.
도 8에 도시된 참조 부호 40D는 상기 제 1,2 모터 브래킷(14)(15)과 스테이터(40)를 체결하는 볼트(10) 및 너트(11)를 회피하도록 상기 모터 마운터(40)에 형성된 회피홀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드라이브(18)를 통해 상기 구동 코일(9)로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스테이터(2) 특히, 상기 스테이터 코어(4)에는 회전자계가 생성되고, 상기 로터(20)는 상기 마그네트(28) 및 로터 프레임(22)이 상기 생성된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축(30)은 상기 체결부재(36)에 의해 상기 로터 프레임(22)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로터(20) 특히, 로터 프레임(22)과 함께 회전된다.
상기 축(30)은 상기 체결부재(36)에 길이방향으로 걸리고 그 반경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이 제한되어, 길이 방향으로 미끄러지거나 반경 방향으로 슬립이 발생되지 않고 회전된다.
상기 축(30)은 상기와 같은 회전시 내측 축부(35)가 상기 복수개의 베어링(16)(17)에 의해 스테이터(2)측에 안정감 있게 지지된다.
한편, 상기 모터(1)는 상기 로터(20) 및 축(30)의 회전시 모터(1)의 진동이 상기 모터 마운터(40)를 통해 전달되나, 전달된 진동은 상기 방진 수단(50) 특히, 러버(52)와 스프링(56)에 의해 저감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2 실시예의 주요부 구성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진 수단(50)과 마운팅 브래킷(60)이 볼트(70)와 너트(73)에 의해 조립된다.
즉, 상기 볼트(70)를 본 발명 제 1 실시예와 같이, 러버(52), 스프링(56), 와셔(58)에 차례로 관통시킨 후 상기 마운팅 브래킷(60)의 관통공(63)을 관통시키면, 상기 볼트(70)의 머리(71)는 상기 러버(52)에 걸림되고, 상기 볼트(70) 중에서 상기 마운팅 브래킷(60)의 관통공(63)을 관통한 부분(72)에 너트(73)를 체결하면, 상기 방진 수단(50)과 마운팅 브래킷(60)은 볼트(70)와 너트(73)에 의해 견고하게 조립되게 된다.
반대로, 상기 볼트(70)를 상기 마운팅 브래킷(60)의 관통공(63)을 관통시킨 후, 와셔(58), 스프링(56), 러버(52)에 차례로 관통시키면, 상기 볼트(70)의 머리(71)는 상기 마운팅 브래킷(60)에 걸림되고, 상기 볼트(70) 중에서 상기 러버(52)을 관통한 부분(72)에 너트(73)를 체결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3 실시예의 주요부 구성이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3 실시예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1 실시예의 마운팅 브래킷을 포함하지 않고, 모터 마운터(40)가 캐비닛(110)에 직접 장착된다.
즉, 상기 모터(1)가 마운팅 브래킷을 포함하지 않고, 스테이터(2)와 로터(20)와, 축(30)과, 모터 마운터(40), 방진 수단(50) 등을 포함하고, 상기 모터 마운터(40)가 상기 방진 수단(50)과 함께 캐비닛(110)에 조립된다.
상기 모터(1)는 캐비닛(110)의 외관이나 작업성을 고려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 2 실시예의 볼트(70)와 너트(73)로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캐비닛(110)에는 상기 볼트(70)가 관통되는 관통공(110A)이 형성된다.
이하, 상기 볼트(70) 및 너트(73)에 의한 모터(1)의 조립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볼트(70)를 상기 캐비닛(110)의 관통공(110A)을 관통시킨 후, 와셔(58), 스프링(56), 러버(52)에 차례로 관통시키면, 상기 볼트(70)의 머리(71)는 상기 캐비닛(110)에 걸림되고, 상기 볼트(70) 중에서 상기 러버(52)를 관통한 부분(72)에 너트(73)를 체결하면, 상기 방진 수단(50)과 캐비닛(110)은 볼트(70)와 너트(73)에 의해 견고하게 조립되게 되고, 상기 모터(1)는 캐비닛(110)에 방진되게 설치된다.
반대로, 상기 볼트(70)를 러버(52), 스프링(56), 와셔(58)에 차례로 관통시킨 후 상기 캐비닛(110)의 관통공(110A)을 관통시키면, 상기 볼트(70)의 머리(71)는 상기 러버(52)에 걸림되고, 상기 볼트(70) 중에서 상기 캐비닛(110)의 관통공(110A)을 관통한 부분(72)에 너트(73)를 체결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4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4 실시예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모터(1)가 캐비닛(110)이 아닌 팬 하우징(165)이나 오리피스(166)에 장착되고, 축(30)이 후방을 향해 수평하게 배치되며, 상기 모터(1)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상기 모터(1)는 상기 마운팅 브래킷(60)이 오리피스(166)에 장착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모터(1)는 상기 모터 마운터(40)와 오리피스(166)의 유로부(168) 사이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마운팅 브래킷(60) 이외 부분인 모터 마운터(40)와 로터(20) 등이 상기 오리피스(166)의 유로부(168) 크기 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모터(1)는 상기 마운팅 브래킷(60) 이외 부분인 모터 마운터(40)와 로터(20) 등이 상기 유로부(168)의 내측 중앙에 위치되게 상기 마운팅 브래킷(60)이 상기 오리피스(166)의 전면에 장착된다.
상기 오리피스(166)는 상기 마운팅 브래킷(60)이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90)로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공(169)이 형성된다.
상기 모터(1)는 상기 모터 마운터(40)와 로터(20) 등이 상기 오리피스(166)의 유로부(168)의 내측에 위치되게 하면서 상기 마운팅 브래킷(60)의 관통공(68)과 상기 오리피스(166)의 체결공(169)을 전후 일치시키고, 상기 체결부재(90)를 상기 상기 마운팅 브래킷(60)의 관통공(68)을 관통시켜 상기 오리피스(166)의 체결공(169)에 체결시키면, 상기 축(30)이 후방으로 수평하게 돌출되게 상기 마운팅 브래킷(60)이 오리피스(168)에 조립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전후 방향으로 전면 패널(130)와, 공기정화기(230)와, 모터(1)와, 송풍팬(162) 순서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상기 모터(1)의 로터(20)가 회전되면, 상기 축(30)은 후방을 향해 수평하게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로터(20)와 함께 회전되어 상기 송풍 팬(162)을 회전시킨다.
상기와 같은 송풍 팬(162)의 회전시 실내의 공기는 상기 본체(50)의 내부로 흡입된 후 상기 송풍부(160) 특히, 오리피스(166)의 전방으로 모이고, 상기 마운팅 브래킷(60)의 다리부(60B)(60C)(60D) 사이를 통과하며, 상기 오리피스(166)의 유로부(168)와 상기 모터 마운터(40)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팬 하우징(165)의 내부로 흡인된다.
상기 흡인된 공기는 상기 송풍 팬(162) 및 팬 하우징(165)에 의해 상기 팬 하우징(165)의 상측으로 송풍되고, 이후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모터(1)가 송풍 팬(162)의 전방에 위치되므로, 전면 패널(130)을 전방으로 회전시킨 다음, 공기 정화기(230)를 전방으로 분리하면, 상기 모터(1)는 본체(100)의 전방 하부측에 외부로 노출되게 되고, 상기 모터(1)는 본체(100) 전체를 분해하지 않고 손쉽게 서비스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벽에 걸려서 설치되는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나 천장에 설치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나 창문에 설치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인 경우에도 적용가능하며,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적 범주 내에서 그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의 내부에 스테이터가 설치되고, 스테이터의 외부에 로터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로터에 축이 구비되고, 축에 송풍팬이 연결되어, 로터가 스테이터 외부에서 회전되면서 축을 회전시키므로, 별도의 모터 케이스가 불필요하여 구조가 간단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모터가 아우터 로터 타입으로 이루어지므로, 모터와 송풍팬 셋트 전체를 최대한 슬림화할 수 있고 소비 전력을 최소 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본체가 베이스와, 베이스의 상측에 설치된 캐비닛과, 캐비닛의 전방에 배치되고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상부 패널과, 상부 패널의 양측 하부에 배치되고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하부 패널과, 상기 상부 패널의 중앙부 상단과 상기 베이스의 중앙부 상단 사이를 전방으로 개폐하는 전면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전면 패널을 전방으로 개방하면, 공조부 중 일부가 상부 패널의 하측을 통해 출입될 수 있으므로, 공조부 중 일부의 청소나 교체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모터가 팬 하우징이나 오리피스 중 적어도 일측에 설치되어, 모터의 체결부위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외부에서 노출되지 않으므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외관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축이 후방을 향해 수평하게 배치되도록 모터가 설치되어 모터가 송풍팬의 전방에 배치되므로, 모터가 안전망의 기능을 할 수 있어 별도의 안전망이 불필요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모터가 오리피스에 설치되어, 전면 패널을 전방으로 개방시키면, 모터가 본체의 전방측에 노출될 수 있으므로, 캐비닛이나 팬 하우징 등을 분해하지 않고 모터를 손쉽게 서비스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1)

  1.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의 외부에서 상기 스테이터에 의해 회전되는 로터와, 상기 로터에 구비된 축을 포함하는 모터와;
    상기 축에 연결된 송풍팬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공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축이 전방을 향해 수평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3.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팬 하우징과;
    상기 팬 하우징에 설치된 오리피스와;
    상기 팬 하우징과 오리피스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고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의 외부에서 상기 스테이터에 의해 회전되는 로터와, 상기 로터에 구비된 축을 포함하는 모터와;
    상기 축에 연결된 송풍팬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공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축이 후방을 향해 수평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팬 하우징과 오리피스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전방에 배치되고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상부 패널과, 상기 상부 패널의 양측 하부에 배치되고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하부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캐비닛이 설치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상부 패널의 중앙부 상단과 상기 베이스의 중앙부 상단 사이를 전방으로 개폐하는 전면 패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스테이터에 체결되는 모터 브래킷과, 상기 모터 브래킷과 체결되는 모터 마운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마운터는 상기 본체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모터 마운터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마운팅 브래킷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1.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스테이터에 체결되는 모터 브래킷과, 상기 모터 브래킷과 체결되는 모터 마운터와, 상기 모터 마운터가 설치되고 상기 팬하우징과 오리피스 중 적어도 하나에 장착되는 마운팅 브래킷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0060037796A 2006-04-26 2006-04-26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701055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7796A KR20070105545A (ko) 2006-04-26 2006-04-26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7796A KR20070105545A (ko) 2006-04-26 2006-04-26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5545A true KR20070105545A (ko) 2007-10-31

Family

ID=38818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7796A KR20070105545A (ko) 2006-04-26 2006-04-26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0554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6209087B2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EP2157377B1 (en) Indoor unit of an airconditioner comprising at least one cross-flow fan
JP4867746B2 (ja) 空気調和機
KR101225971B1 (ko) 모터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KR101212691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1225972B1 (ko) 모터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WO2021196635A1 (zh) 新风模块与空调器
KR20070105545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2998630B2 (ja) 天井設置型空気調和装置
KR20070100524A (ko) 모터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KR20070100523A (ko) 모터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KR20070105546A (ko) 공기조화기
KR20070105549A (ko) 양축 모터 및 그를 갖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KR20070100518A (ko) 모터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KR20070100522A (ko) 모터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KR20070100520A (ko) 모터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KR101346833B1 (ko) 공기조화기
KR20070100525A (ko) 송풍기 및 그 송풍기를 갖는 공기 조화기
WO2007117078A2 (en) Air conditioner and motor of air conditioner
JP2001027433A (ja) 空気調和機用換気装置
KR10059131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70105544A (ko) 공기조화기
JPH0727365A (ja) 天吊カセット形空気調和機
KR100705057B1 (ko) 환기시스템
JP3276941B2 (ja) 空気調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