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0585A - 고활성의 말산 탈수소효소가 도입된 숙신산 생성용 변이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숙신산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활성의 말산 탈수소효소가 도입된 숙신산 생성용 변이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숙신산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0585A
KR20200040585A KR1020180120696A KR20180120696A KR20200040585A KR 20200040585 A KR20200040585 A KR 20200040585A KR 1020180120696 A KR1020180120696 A KR 1020180120696A KR 20180120696 A KR20180120696 A KR 20180120696A KR 20200040585 A KR20200040585 A KR 202000405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dh
succinic acid
acid
ala
seq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0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9379B1 (ko
Inventor
이상엽
김경진
안정호
서호균
이종언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80120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9379B1/ko
Priority to AU2019357156A priority patent/AU2019357156B2/en
Priority to JP2021545656A priority patent/JP7295254B2/ja
Priority to PCT/KR2019/005247 priority patent/WO2020075943A1/ko
Priority to EP19762287.1A priority patent/EP3660157A4/en
Priority to US16/490,515 priority patent/US11655462B2/en
Priority to CN201980002422.3A priority patent/CN111295446B/zh
Publication of KR20200040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0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9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9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4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rokaryotic hosts other than E. coli, e.g. Lactobacillus, Micromonospora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0004Oxidoreductases (1.)
    • C12N9/0006Oxidoreductases (1.) acting on CH-OH groups as donors (1.1)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7/0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7/4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xyl group including Peroxycarboxylic acids
    • C12P7/44Polycarboxylic acids
    • C12P7/46Dicarboxylic acids having four or less carbon atoms, e.g. fumaric acid, maleic acid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101/00Oxidoreductases acting on the CH-OH group of donors (1.1)
    • C12Y101/01Oxidoreductases acting on the CH-OH group of donors (1.1) with NAD+ or NADP+ as acceptor (1.1.1)
    • C12Y101/01037Malate dehydrogenase (1.1.1.37)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심 사슬의 아마이드 작용기를 통해 NADH의 피로인산 부분과 상호작용하는 아미노산 잔기가 글루타민(Gl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산 탈수소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가 도입되어 옥살로아세트산에서 말산으로의 전환 활성이 향상된 숙신산 생성용 변이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숙신산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숙신산 생성 변이 미생물은 옥살로아세트산에서 말산으로의 전환 활성이 현저히 증가되기 때문에 미생물을 배양시 현재까지 보고된 변이 미생물에 비해 가장 높은 숙신산 생산성으로 고농도의 숙신산을 생산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활성의 말산 탈수소효소가 도입된 숙신산 생성용 변이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숙신산 제조방법 {A recombinant microorganism into which a high activity malate dehydrogenase for producing succinic acid and a method for producing succinic aci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활성의 말산 탈수소효소가 도입된 숙신산 생성용 변이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숙신산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중심 사슬 (main-chain)의 아마이드 작용기를 통해 NADH의 피로인산 부분과 상호작용하는 아미노산 잔기가 글루타민(Gl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산 탈수소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가 도입되어 옥살로아세트산에서 말산으로의 전환 활성이 향상된 숙신산 생성용 변이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숙신산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두되는 환경 문제로 인해 기존의 화석연료를 기반으로 하는 유용 화합물 생산을 대체하려는 노력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재생 가능한 바이오매스로부터 바이오 기반 숙신산을 생산하고자 하는 연구가 전 세계적으로 진행되었다. 숙신산은 탄소수 4개의 디카르복실산으로 1,4-butanediol, γ-butyrolactone, diethyl succinate, N-methyl-2-pyrollidone, tetrahydrofuran 등의 산업적 가치가 뛰어난 화합물의 전구체로 사용되며 다양한 폴리머의 단량체로 사용되기도 하는 유용 화합물이다. 숙신산의 이러한 중요성이 부각되며 Actinobacillus succinogens , Anaerobiospirillum succiniciproducens , Escherichia coli , Mannheimia succiniciproducens, Saccharomyces cerevisiae , Yarrowia lipolytica 등의 다양한 미생물을 사용하여 숙신산을 바이오 기반으로 생산하는 방법이 많이 연구되고 있다.
숙신산 생산 균주 개량은 숙신산 생산 균주의 대사 흐름을 바꾸는 것으로 이루어졌으며 그 전략은 탄소 대사를 강화하고 부산물의 생성을 없애거나 줄이므로써 숙신산으로의 흐름을 증강하는 것이었다. 즉, 숙신산 대사 흐름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도입 또는 강화하거나 숙신산 대사 흐름을 저해하는 유전자를 결손 또는 약화시킴으로써 숙신산 생산을 증가시키게 된다. 숙신산 대사 흐름에 관여하는 유전자로 말산 탈수소효소는 숙신산 생산을 증가시키기 위해 도입되는 효소로 이미 이를 도입하여 숙신산 생산을 증가시키는 연구가 진행된 바 있다. 예를 들어, 말산 탈수소효소 (MDH)는 옥살로아세트산에서 말산으로의 전환을 촉진시키며 이 효소는 여러 대사회로들로부터 전해온 흐름을 숙신산 생산으로의 흐름으로 전환하는 중요한 역할을 가지고 있으며, A. thaliana 유래의 MDH (Kim et al., Biotechnology journal, 2016, 12(2), 1600701.), S. cerevisiae 유래의 MDH (US20110229945A1, US20120040422A1, US20150057425A1, US20130302866A1), R. delemar 유래의 MDH (US20140363862A1), E. coli 유래의 MDH (Wang et al., Bioprocess Biosyst Eng 2009, 32:737-745., Liang et al., Biotechnology letters, 2011, 33(12), 2439-2444.)를 미생물에 도입하여 숙신산의 생산량을 증가시키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상기 미생물 유래의 MDH를 도입하여도 숙신산 생산성이 낮아 추가 균주 조작 또는 숙신산 생산 발효 공정의 최적화를 통해 숙신산의 생산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시도가 있었으나 (Ahn et al., Curr. Opin. Biotechnol., 2016, 42: 54-66), 추가적인 개선의 필요가 요구되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숙신산 생산성을 종래에 비해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였고, 숙신산 생산에 관여하는 주요 효소들에 대한 반응 속도 및 구조 연구가 아직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에 착안하여 M. succiniciproducens를 포함하는 루멘박테리아와 숙신산 생산 미생물들의 주요 효소들에 대한 구조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에서는 기질 저해 작용이 완화된 MDH를 도입하여 고생산성의 숙신산 생산 균주를 개발하고자, 최초로 Corynebacterium glutamicum M. succiniciproducens MDH의 구조를 밝혀냈으며 이들을 이용하는 경우 생산성을 극대화한 숙신산 생산 균주를 개발하는 것이 가능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US20110229945A1 US20120040422A1 US20150057425A1 US20130302866A1 US20140363862A1
Kim et al., Biotechnology journal, 2016, 12(2), 1600701. Wang et al., Bioprocess Biosyst Eng 2009, 32:737-745. Liang et al., Biotechnology letters, 2011, 33(12), 2439-2444. Ahn et al., Curr. Opin. Biotechnol., 2016, 42: 54-66
본 발명의 목적은 숙신산 생성능이 강화된 변이 미생물을 제공하고, 이를 이용하여 숙신산 생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숙신산 생성능을 가지는 미생물에, 중심 사슬의 아마이드 작용기를 통해 NADH의 피로인산 부분과 상호작용하는 아미노산 잔기가 글루타민(Gl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산 탈수소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가 도입되어 있는 변이 미생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숙신산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a) 상기 변이 미생물을 배양하여 숙신산을 생성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생성된 숙신산을 회수하는 단계.
본 발명에 따른 숙신산 생성 변이 미생물은 중심 사슬의 아마이드 작용기를 통해 NADH의 피로인산 부분과 상호작용하는 아미노산 잔기가 글루타민(Gln)인 말산 탈수소효소가 발현되어 옥살로아세트산에서 말산으로의 전환 활성이 현저히 증가되기 때문에, 미생물을 배양시 현재까지 보고된 가장 높은 숙신산 생산성으로 고농도의 숙신산을 생산할 수 있다. 더불어 심화된 발효 기술을 사용하여 더 뛰어난 생산성 및 생산 농도로 숙신산을 생산할 수 있다.
도 1은 숙신산으로의 대사 흐름을 나타낸 모식도 이다.
도 2는 각 MDH의 NADH 전환 속도의 상대값을 나타낸다.
도 3은 CgMDH와 MsMDH의 NADH 기질 농도에 따른 NADH 전환 속도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4는 CgMDH와 MsMDH의 옥살로아세트산 기질 농도에 따른 NADH 전환 속도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5는 각 기질과 폴리펩타이드 사슬을 다른 색으로 보여준 CgMDH와 MsMDH의 기질 결합 결정 구조를 나타낸다.
도 6은 각 CgMDH와 MsMDH의 구조에서 활성 자리 부근의 아미노산 잔기의 비교를 나타낸다. 왼쪽이 MsMDH 오른쪽이 CgMDH이다. GOL은 글리세롤을 나타내며, MAL은 말산 이온을 나타낸다.
도 7은 각 CgMDH와 MsMDH의 구조에서 NAD+/NADH 결합 자리 부근의 아미노산 잔기의 비교를 나타낸다. 많은 MDH에서 보존된 덮개 구조를 다른 색으로 표현하였다.
도 8은 CgMDH와 MsMDH, 그리고 이들의 변이 효소들에 대한 NADH 전환 속도를 나타낸다.
도 9는 CgMDH와 MsMDH, 그리고 MsMDHG11Q 변이효소의 pH에 따른 NADH 전환속도를 각각 파란색, 빨간색, 노란색으로 나타낸다. BIS-Tris 버퍼를 사용한 조건은 사각형, Tris 버퍼를 사용한 조건은 동그라미, Glycine 버퍼를 사용한 조건은 세모로 표시하였다.
도 10은 pH 6.0, 7.0, 8.0에 대한 CgMDH, MsMDH, MsMDHG11Q의 옥살로아세트산 기질 농도에 따른 NADH 전환 속도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3에서 이미 제공된 pH 7.0의 CgMDH와 MsMDH의 활성에 대한 정보는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도 11은 M. succiniciproducens PALK (pMS3-msmdh) (A), PALK (pMS3-cgmdh) (B), PALK (pMS3-cgmdhQ20G) (C), 및 PALK (pMS3-msmdhG11Q) (D) 균주를 글루코스를 단일 탄소원으로 이용한 유가식 배양의 성장 및 대사산물 생산 곡선이며, M. succiniciproducens PALK (pMS3-cgmdh) 균주를 글루코스와 글리세롤을 함께 탄소원으로 이용한 (E) 유가식 배양의 성장 및 대사산물 생산 곡선이다.
도 12는 M. succiniciproducens PALKcgmdh 균주를 글루코스를 단일 탄소원으로 이용해 (A) 글리세롤과 함께 이용해 (C), M. succiniciproducens PALKmsmdhG11Q 균주를 글루코스를 단일 탄소원으로 이용해 (B), 글리세롤과 함께 이용해 (D) 수행한 유가식 배양의 성장 및 대사산물 생산 곡선이다.
도 13은 M. succiniciproducens PALK (KCTC10973BP) 균주 (A) 및 PALKcgmdh 균주 (B)의 접종량을 증가시킨 유가식 배양의 성장 및 대사산물 생산 곡선이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숙신산으로의 대사 흐름을 강화하고 결과적으로 숙신산을 과생산하게 하기 위한 효소 후보군 중 MDH를 선정하였다. MDH는 mdh 유전자로 암호화 되어 있으며 이는 옥살로아세트산을 기질로 하는 효소이다 (도 1). 숙신산 생산에 사용되는 균주들이 가지는 MDH의 효과를 알아보고 이들 중 MDH의 기질인 옥살로아세트산을 가장 효과적으로 전환하는 MDH를 찾기 위해 M. succiniciproducens 균주의 MDH (MsMDH), C. glutamicum 균주의 MDH (CgMDH), E. coli 균주의 MDH (EcMDH), A. succinogenes 균주의 MDH (AsMDH), S. cerevisiae 균주의 세포질, 미토콘드리아, 퍼옥시좀 각각의 MDH (ScMDHc, ScMDHm, 그리고 ScMDHp), Y. lipolitica 균주의 MDH (YlMDH), 총 8 가지를 선택하였으며 이중 MsMDH, CgMDH, EcMDH 그리고 YlMDH만이 대장균에서 성공적으로 발현 및 정제되었다. 네 가지 MDH에 대해 옥살로아세트산과 NADH 100 μM을 각각 기질과 보조인자로 사용하여 각각의 활성을 비교해보았으며, 그 결과 CgMDH가 가장 높은 옥살로아세트산 환원 속도를 가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도 2). 이는 MsMDH의 5배에 달하는 활성을 나타내었다 (도 2). 흥미로운 점은 MsMDH가 자연적으로 숙신산을 생산하는 M. succiniciproducens의 MDH임에도 자연적으로 숙신산을 생산하는 박테리아가 아닌 C. glutamicum에서 유래한 CgMDH가 더 좋은 활성을 보였다는 점이다. 이 결과는 MsMDH가 아닌 CgMDH를 M. succiniciproducens에 도입하였을 때 더 효과적으로 숙신산을 생산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위 효소들의 활성에 관한 결과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기 위해 두 MDH의 반응속도론적 분석을 진행하였다. Michaelis-Menten 모델에 기초하여 NADH 농도에 관한 초기속도 그래프를 표현하였으며 이는 다시 CgMDH가 MsMDH보다 월등하다는 것을 보여준다(도 3). 하지만 옥살로아세트산의 농도에 관한 MDH 반응 속도 그래프는 두 MDH 모두, 특히 MsMDH에서, 일반적으로 포화가 되는 그래프를 띄지 않고 기질인 옥살로아세트산으로부터 저해작용을 받는 것으로 보이는 형태를 띄었다 (도 4). 이러한 기질 저해 작용 현상은 반세기 전부터 여러 탈수소 효소들에서 이미 보고된 바 있다 (Raval et al., Biochemistry., 2(2):220-224., 1963). 여러 탈수소 효소에서 제시된 기질 저해 작용의 기작으로는 입체성 다른 자리 억제, 공유 결합의 형성, 또는 효소와의 비생산적/흡착 결합체 생성 등이 있을 수 있다 (Chen et al., Appl. Environ. Microb., 80:3992-4002., 2014). 예를 들면, 돼지 심장 유래의 NAD+/NADH 의존성 MDH가 에놀형 옥살로아세트산과 불활성 결합체를 형성하거나, Phycomyces blackesleeanus 유래 세포질 MDH에서 NADH가 효소와 결합하는 것을 저해하며 결과적으로 효소가 작동하지 않도록 만든다고 알려진 바 있다 (De Arriaga et al., Biochim. Biophys. Acta., 784:158-163., 1984). MsMDH의 효소 활성은 30 μM의 상대적으로 낮은 옥살로아세트산 농도에서부터 저해되기 시작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 4), 이러한 기질 저해작용은 여타 MDH에 비해서도 높은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다 (도 4).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하면, MsMDH는 숙신산 생산에 불리하며, CgMDH가 숙신산 생산에 적합한 효소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분자수준에서 CgMDH가 MsMDH보다 좋은 효소활성을 보이는 이유를 알아내기 위해 두 가지 효소의 결정구조를 규명하였고 또한 기질과 결합체의 구조 또한 규명하였다 (도 5). CgMDH와 MsMDH 모두 호모 다이머를 형성하며 NAD+/NADH 의존성 malate, lactate dehydrogenase 상과에 속한다 (도 5). CgMDH와 MsMDH의 N-말단은 α-helices 옆 나란히 배열된 6 가닥의 β로 구성된 로스만 접힘을 보이는 반면 C-말단은 α+β fold를 형성한다 (도 5). 두 효소의 활성 부위는 각 말단의 특정 fold 사이에 존재하며 특히 NAD+/NADH 결합 부위는 로스만 접힘과 관련이 있다. 그러나 두 효소의 구조를 비교한 결과 Cα-backbone의 R.M.S.D. 값이 2.772에 이를 정도로 다소 큰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구조 비교를 통해, 특히 활성 부위 주위에서 효소의 활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구조적 차이들을 발견하였다 (도 6, 7). 이러한 차이는 세포질의 MDH와 미토콘드리아의 MDH 간의 큰 차이를 대변하기도 한다. 상응 아미노산 잔기 뿐만이 아니라 활성 부위 부근 고리들의 중심 사슬의 길이가 다르기도 하지만, 여기서는 몇몇 핵심 아미노산 잔기가 다르다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예를 들어, MsMDH의 기질 결합 자리에 부근에 위치하는 Ala224와 Leu101, 그리고 Gly11에 상응하는 아미노산 잔기가 CgMDH에서는 각각 Ser242, Gln117, 그리고 Gln20에 해당한다 (도 6, 7). 이러한 구조적 차이들이 중요하게 작용하여 CgMDH와 MsMDH의 반응속도론적 활성의 차이를 만들어 낸 것으로 예상하였다.
일반적으로, 활성이 강한 단백질의 핵심적인 구조적 특징을 타겟에 적용하여 효소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기질 결합 부위 부근의 핵심 아미노산 잔기들을 서로 치환하여 활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각기 다른 변이효소들을 제작하였다 (MsMDHG11Q, CgMDHQ20G, MsMDHL101Q, CgMDHQ117L, MsMDHA224S, CgMDHS242A). 이들을 E. coli에서 발현시켜 봉입체로 발현된 MsMDHA224S를 제외한 모든 변이 효소들을 성공적으로 정제하였다. CgMDH의 모든 변이효소 (CgMDHQ20G , CgMDHQ117L , CgMDHS242A)는 그 야생형과 비교했을 때 모두 절반 이하로 옥살로아세트산 변환 속도가 감소하였다 (도 8). MsMDHL101Q 또한 MsMDH보다 활성이 줄어들었는데, 변이효소 MsMDHG11Q의 경우 활성이 세 배 가량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도 8). 해당 11번 부위의 아미노산 치환이 어떻게 효소 활성에 관여하였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CgMDH, MsMDH, MsMDHG11Q 세 효소를 검토하였다. 먼저 이들의 pH에 따른 활성을 측정하였더니, CgMDH의 최적 pH는 7.0 부근인 것으로 나타났고, MsMDH의 활성은 상대적으로 알칼리성일수록 증가하여 최적 pH가 9.0 부근인 것으로 나타났다 (도 9). 숙신산 생산에 있어서 최적의 pH는 6.5 정도로 상대적으로 산성을 띄기 때문에 (Hong et al., Nat. Biotechnol., 22:1275-1281., 2004), 이러한 조건적인 한계가 숙신산 생산에서 CgMDH보다 MsMDH가 불리하다는 것을 다시 한번 입증하는 셈이다. 또, 위 실험에서 활성이 증가하였던 MsMDHG11Q의 최적 pH는 8.0 부근으로 해당 변이에 의해 최적 pH가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도 9). 추가적인 반응속도론적 활성을 비교하기 위해서 각각의 pH에서 기질 농도에 대한 반응 속도를 측정하였다 (도 10). 전반적으로 MsMDH 및 MsMDHG11Q 변이 효소의 결과에서 두드러지는 것처럼 pH가 낮을수록 강한 기질 저해 작용을 보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10). 이러한 결과에 의해 MsMDH는 최적 pH 9.0에서 기질 저해 작용을 거의 받지 않았고 그 결과 이들 효소 중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도 10). 그러나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MsMDHG11Q 변이 효소의 기질 저해 작용이 MsMDH의 것에 비해 모든 pH에서 크게 감소하였다는 것이다 (도 10). 여러 탈수소 효소들에서 활성 부위의 단일 변이를 통해 기질 저해 작용이 저해되거나 해소되는 것이 보고된 바 있다 (Chen et al., Appl. Environ. Microb., 80:3992-4002., 2014). MDH의 기질 저해 작용이 NADH의 결합에 영향을 준다는 것이 보고된 바 있으며, 해당 11번 자리 또한 NADH의 결합에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으므로 (도 7), 아마도 11번과 상호작용하는 NADH의 pyrophosphate 부분이 기질 저해에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이라고 해석된다. 상기 in vitro 연구를 종합하면, CgMDH가 낮은 pH에서 MsMDH보다 월등히 높은 옥살로아세트산 환원 활성을 지니고 있으며, 숙신산 생산 균주에서 MsMDH대신 CgMDH를 도입했을 때 숙신산의 생산량이 더 증가할 것이라는 예측을 할 수 있었다. 단일 아미노산 잔기 변이를 통하여 어떤 구조적 차이가 이러한 활성의 차이를 가져왔는지 파악하였으며, 특히 MsMDH의 Gly11번 잔기가 해당 효소 단백질의 심각한 기질 저해 작용에 관여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해당 Gly11번 아미노산 잔기에 상응하는 CgMDH의 Gln20을 본따 MsMDH의 Gly11번을 Gln으로 치환한 MsMDHG11Q 변이효소가 기존의 M. succiniciproducens 야생형 효소보다 월등한 활성을 보였기 때문에, MsMDHG11Q 변이효소 또한 기존의 MsMDH 대신 숙신산 생산 균주에 도입되었을 때 숙신산의 생산량이 증가할 것이라는 예측을 할 수 있었다. 해당 변이 효소의 도입은 외부 유전자를 도입한 것이 아니라 기존의 효소로부터 하나의 아미노산만을 치환한 것이기 때문에 GMO 등의 문제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다.
실제로 기질저해작용이 완화된 MDH를 사용하여 숙신산 생산을 향상시키기 위해 in vitro 연구를 바탕으로 M. succiniciproducens PALK (KCTC10973BP) 균주에 기존 MDH 보다 기질저해작용이 완화된 MDH들이 도입되었다. M. succiniciproducens PALK (KCTC10973BP) 균주는 M. succiniciproducens 야생형 균주에서 젖산 탈수소효소를 암호화하는 유전자, 포스포트랜스아세틸화 효소를 암호화 하는 유전자 및 아세트산키나제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결실시켜 수득되는 균주로, 혐기적 조건에서 숙신산을 제외한 다른 유기산들은 거의 생성하지 않으면서 숙신산만을 고농도로 생산하는 특성을 가지는 숙신산 생성 변이 미생물이다. 기질저해작용이 완화된 MDH들을 도입하여 숙신산 생산이 향상됨을 확인하기 위해 고성능의 MDH를 도입 하기 전에 먼저 M . succiniciproducens PALK (KCTC10973BP) 균주가 자연적으로 가진 MDH를 과발현한 균주가 개발되었다. 이렇게 개발된 PALK (pMS3-msmdh) 균주는 79.07 g/L의 숙신산을 각각 1.23 mol/mol 글루코스와 3.26 g/L/h의 수율과 생산성으로 생산하였다 (도 11; 표 1). MsMDH가 활성 테스트 중 가장 낮은 활성을 보였기에 MsMDH를 과발현한 상기의 균주는 균주 개량의 효과가 크지 않았고 약간의 숙신산 생산량 증가만을 보여주었다. In vitro 활성 테스트 과정에서 MDH 중 CgMDH가 가장 높은 활성과 낮은 기질저해작용을 보였기 때문에 CgMDH를 과발현한 균주가 개발되었으며, 상기 제작된 PALK (pMS3-cgmdh) 균주는 유가식 발효 결과 87.23 g/L의 숙신산을 각각 1.29 mol/mol 글루코스와 3.6 g/L/h의 수율과 생산성으로 생산하였다 (도 11; 표 1). 상기 PALK (pMS3), PALK (pMS3-msmdh), PALK (pMS3-cgmdh)의 유가식 발효 결과는 in vitro 에서 MDH의 활성을 확인한 결과와 일치한다. 특히 M. succiniciproducens PALK (KCTC10973BP)에 비해 PALK (pMS3-cgmdh)가 보여준 모든 숙신산 생산 지표 (생산 농도, 수율, 생산성)에서의 뛰어난 향상은 옥살로아세트산에서 말산으로의 전환 향상 외에도 기질저해작용의 완화가 숙신산 생산의 향상을 이끌었다고 할 수 있다.
In vitro 에서 확인된 CgMDH와 MsMDH의 기질저해작용과 활성 차이가 효소의 구조적 차이에서 비롯한다는 것을 in vivo 상에서 확인하기 위해 PALK (pMS3-cgmdhQ20G) 균주와 PALK (pMS3-msmdhG11Q) 균주가 구축되었다. 상기 구축된 PALK (pMS3-cgmdhQ20G) 균주의 유가식 발효 결과 79.39 g/L의 숙신산을 각각 1.00 mol/mol 글루코스와 3.27 g/L/h의 수율과 생산성으로 생산하였다 (도 11; 표 1). 숙신산 생산능은 PALK (pMS3-cgmdh) 균주보다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이는 상기 설명한 20번째 위치의 글루타민이 CgMDH의 활성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임을 보이는 in vitro 결과와 일치한다.
상기 구축된 PALK (pMS3-msmdhG11Q) 균주의 유가식 발효 결과 84.19 g/L의 숙신산을 각각 1.08 mol/mol 글루코스와 3.48 g/L/h의 수율과 생산성으로 생산하였다 (도 11; 표 1). PALK (pMS3-msmdh) 균주에 비해 증가한 숙신산 생산 농도와 생산성은 in vitro 결과와 동일하게 11번째 위치의 글라이신을 글루타민으로 바꾼 것이 효소의 활성을 높이고 기질저해작용을 완화시켰다는 것을 방증한다. 결국 이와 같은 in vivo 결과는 구조 분석에 바탕을 둔 효소 개량이 실제 숙신산 생산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특히 본 발명에서 숙신산 증산의 방법으로 사용한 효소인 MDH의 경우에는 루멘 박테리아인 Mannheimia 속, Basfia 속, Actinobacillus 속, 및 Anaerobiospirillum 속은 물론이고 E. coliCorynebacterium 속에서 모두 숙신산 생산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Lee et al., WO2012/030130A2; Liang et al., Biotechnol. Lett., 33(12):2439-2444., 2011; Chen et al., Process. Biochem., 47:1250-1255., 2012) 상기 균주에서 본 발명에서 보여준 것과 같은 유전적 변이는 숙신산 과생산 균주 구축을 위해 공통적으로 적용가능하다. 특히 Mannheimia 속과 같이 소의 반추위에서 isolation 된 Basfia 속은 원래 isolation 될 때 Mannheimia 속으로 명명되었으나 후에 Basfia 속으로 분리되었고, MannheimiaBasfia 균주는 2,314,078 bp와 2,340,000 bp의 거의 비슷한 유전자 염기 서열의 크기를 가지고 있으며, 염기서열 중 G와 C의 비율이 두 균주 모두 42.5 mol%로 일치한다. 더불어 유전자 전반적으로는 95%의 상동성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Mannheimia의 2,380개의 ORF와 Basfia의 2,363개의 ORF 중 2006개의 ORF는 상동성을 가지고 있다. 주목해야 할 점은 이렇게 상동성을 가지는 2006개의 ORF는 핵심 유전체로 알려져있다는 점이다. 16S rRNA 서열도 99.8% 일치하는 등의 매우 유사한 균주이므로 이 발명에서는 이를 모두 포함하여 Mannheimia 속으로 통칭한다 (Ahn et al., Curr. Opin. Biotech., 42:54-66., 2016; Scholten et al., WO2009/024294A1; Kuhnert et al., Int. J. Syst. Evol. Microbiol., 60:44., 2010).
마지막으로 M. succiniciproducens PALK (pMS3-cgmdh) 균주와 PALK (pMS3-msmdhG11Q) 균주의 숙신산 생산 향상이 M. succiniciproducens PALK (KCTC10973BP) 에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MDH의 효과로부터 온 것이 아니라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M. succiniciproducens PALK (KCTC10973BP) 균주 게놈상에 존재하는 MDH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결실하였으며 그 자리에 CgMDH와 MsMDHG11Q 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넣어 각각 PALKcgmdh 균주와 PALKmsmdhG11Q 균주를 구축하였다 (표 1). 더불어 플라스미드 상에서 발현된 유전자의 경우에는 플라스미드의 불안정성으로 인해 항생제를 통해 유지하여도 플라스미드를 잃어버릴 수 있다는 점이 알려져 있다 (Alonso-Gutierrez et al., Biotechnol. Bioeng., 115(4):1000-1013., 2018). 이러한 관점에서, 직접 유전자를 게놈상에 넣어주는 것이 더 안정적인 균주를 구축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고, 플라스미드를 유지하기 위한 값비싼 항생제를 이용하지 않아도 된다는 이점 때문에 실제 산업균주들에서는 이와 같은 방법이 많이 이용된다.
상기 구축된 PALKcgmdh 균주의 경우 유가식 발효 결과 89.6 g/L의 숙신산을 각각 1.28 mol/mol 글루코스와 3.71 g/L/h의 수율과 생산성으로 생산하였다 (도 12; 표 1). PALKmsmdhG11Q 균주의 경우 유가식 발효 결과 82.76 g/L의 숙신산을 각각 1.13 mol/mol 글루코스와 3.42 g/L/h의 수율과 생산성으로 생산하였다 (도 12; 표 1).
상기 PALKcgmdh 균주와 PALKmsmdhG11Q 균주의 숙신산 생산능을 PALK (pMS3-cgmdh) 균주와 PALK (pMS3-msmdhG11Q) 균주의 생산능과 비교해보면 M. succiniciproducens PALK (KCTC10973BP) 균주에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MDH는 PALK (pMS3-cgmdh) 균주와 PALK (pMS3-msmdhG11Q) 균주의 숙신산 과생산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상기 M. succiniciproducens PALK (pMS3-cgmdh) 균주와 PALK (pMS3-msmdhG11Q) 균주의 숙신산 생산 향상 효과 또한 기질 저해 작용이 완화된 CgMDH와 MsMDHG11Q로부터 비롯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상기 구축된 PALKcgmdh 균주와 PALKmsmdhG11Q 균주의 숙신산 생산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제한배지 하에서 글루코스와 글리세롤을 함께 탄소원으로 사용하여 유가식 발효를 진행하였다. 글리세롤의 경우 1 mol 기준 글루코스보다 2배의 환원 당량을 제공한다. 옥살로아세트산이 MDH를 통해 말산으로 전환되는데 1 mol의 NADH가 필요하기 때문에 글리세롤의 사용은 숙신산 생산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Choi et al., Biotechnol. Bioeng., 113(10):2168-2177., 2016). PALKcgmdh 균주를 제한배지 하에서 글루코스와 글리세롤을 함께 탄소원으로 사용하여 유가식 발효를 진행한 결과 101.18 g/L의 숙신산을 각각 1.37 mol/mol 글루코스 (수율 비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글루코스와 글리세롤을 함께 탄소원으로 사용한 경우, 두 탄소원의 탄소수를 계산에 포함하여 글루코스 기준으로 표기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경우 'mol/mol 글루코스'로 일정하게 표기함)와 4.18 g/L/h의 수율과 생산성으로 생산하였다 (도 12; 표 1). 이 결과는 동일한 배지와 탄소원 하에서 진행한 PALK (pMS3-cgmdh) 균주의 유가식 발효 결과와 유사하다 (도 11; 표 2). 이 결과는 듀얼 페이즈 발효과 같은 추가적인 복잡한 발효공법을 사용하지 않고 수행한 발효 결과 중 가장 높은 숙신산 생산성을 보여준다.
PALKmsmdhG11Q 균주의 경우 제한배지 하에서 글루코스와 글리세롤을 함께 탄소원으로 사용하여 유가식 발효를 진행한 결과 92.5 g/L의 숙신산을 각각 1.28 mol/mol 글루코스와 3.82 g/L/h의 수율과 생산성으로 생산하였다 (도 12; 표 1). PALKcgmdh 균주 보다는 좋은 숙신산 생산능을 보여주지 못했지만, 이러한 결과는 M. succiniciproducens PALK (KCTC10973BP) 균주와 비교하여 MDH의 기질저해작용을 완화시킴으로써 숙신산 생산능이 향상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며, in vitro 결과와도 일치한다 (표 1).
따라서, 본 발명은 일관점에서 숙신산 생성능을 가지는 미생물에, 중심 사슬의 아마이드 작용기를 통해 NADH의 피로인산 부분과 상호작용하는 아미노산 잔기가 글루타민(Gl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산 탈수소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가 도입되어 있는 변이 미생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중심 사슬의 아마이드 작용기를 통해 NADH의 피로인산 부분과 상호작용하는 아미노산 잔기가 글루타민(Gl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산 탈수소효소는, 예를들어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유래의 말산 탈수소효소와 같이, 중심 사슬의 아마이드 작용기를 통해 NADH의 피로인산 부분과 상호작용하는 아미노산 잔기가 글루타민(Gln)인 자연계에 존재하는 말산 탈수소효소일 수 있고, 예를들어 맨하이미아 숙시니프로두센스 유래의 말산 탈수소효소와 같이, 중심 사슬의 아마이드 작용기를 통해 NADH의 피로인산 부분과 상호작용하는 아미노산 잔기가 글루타민(Gln)이 아닌 말산 탈수소효소에서 해당 아미노산 잔기를 글루타민(Gln)으로 치환한 말산 탈수소효소일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말산 탈수소효소는, i) 서열번호 40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유래의 말산 탈수소효소 또는 ii) 서열번호 42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맨하이미아 숙시니프로두센스 유래의 말산 탈수소효소의 11번째 아미노산이 글루타민으로 치환된 말산 탈수소효소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i) 상기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유래의 말산 탈수소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는 서열번호 41의 염기 서열로 표시되거나, ii) 상기 맨하이미아 숙시니프로두센스 유래의 말산 탈수소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는 서열번호 43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본 발명에서는 특정 아미노산 서열 및 염기 서열을 기재하였으나, 본 발명에서 실시하고자 하는 효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 및 이를 코딩하는 염기 서열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실질적으로 동일하다는 것은, 아미노산 또는 염기서열의 상동성이 매우 높은 경우를 포함하고, 그 밖에도 서열의 상동성과는 무관하게 구조적 특징을 공유하거나 본 발명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단백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핵심을 구성하는 서열을 제외한 다른 서열이 일부 결실된 효소 또는 이를 코딩하는 염기서열의 단편도 본 발명에 포함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은 단편의 길이와는 무관하게 본 발명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아미노산 또는 염기 서열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유래의 말산 탈수소효소는 하기 서열번호 40으로 표시될 수 있다.
서열번호 40
MNSPQNVSTKKVTVTGAAGQISYSLLWRIANGEVFGTDTPVELKLLEIPQALGGAEGVAM
ELLDSAFPLLRNITITADANEAFDGANAAFLVGAKPRGKGEERADLLANNGKIFGPQGKA
INDNAADDIRVLVVGNPANTNALIASAAAPDVPASRFNAMMRLDHNRAISQLATKLGRGS
AEFNNIVVWGNHSATQFPDITYATVGGEKVTDLVDHDWYVEEFIPRVANRGAEIIEVRGK
SSAASAASSAIDHMRDWVQGTEAWSSAAIPSTGAYGIPEGIFVGLPTVSRNGEWEIVEGL
EISDFQRARIDANAQELQAEREAVRDLL
본 발명에 있어서,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유래의 말산 탈수소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는 하기 서열번호 41로 표시될 수 있다.
서열번호 41
ATGAATTCCCCGCAGAACGTCTCCACCAAGAAGGTCACCGTCACCGGCGCAGCTGGTCAAATCTCTTATTCACTGTTGTGGCGCATCGCCAACGGTGAAGTATTCGGCACCGACACCCCTGTAGAACTGAAACTTCTGGAGATCCCTCAGGCTCTTGGCGGGGCAGAGGGTGTGGCTATGGAACTTCTGGATTCTGCCTTCCCCCTCCTGCGAAACATCACCATCACCGCGGATGCCAATGAGGCATTCGACGGCGCTAATGCGGCGTTTTTGGTCGGTGCGAAGCCTCGCGGAAAAGGCGAAGAGCGCGCAGATTTGCTGGCTAACAACGGCAAGATTTTCGGACCTCAAGGTAAAGCTATCAATGACAACGCCGCAGATGACATTCGTGTCCTAGTTGTTGGAAACCCAGCGAACACCAACGCGTTGATTGCTTCAGCTGCGGCCCCAGATGTTCCAGCATCCCGCTTCAACGCAATGATGCGCCTTGATCACAACCGTGCGATCTCCCAGCTGGCCACCAAGCTTGGCCGTGGATCTGCGGAATTTAACAACATTGTGGTCTGGGGAAATCACTCCGCAACCCAGTTCCCAGACATCACCTACGCAACCGTTGGTGGAGAAAAGGTCACTGACCTGGTTGATCACGATTGGTATGTGGAGGAGTTCATTCCTCGCGTGGCTAACCGTGGCGCTGAAATCATTGAGGTCCGTGGAAAGTCTTCTGCAGCTTCTGCAGCATCCTCTGCGATTGATCACATGCGCGATTGGGTACAGGGCACCGAGGCGTGGTCCTCTGCGGCAATTCCTTCCACCGGTGCATACGGCATTCCTGAGGGCATTTTTGTCGGTCTGCCAACCGTATCCCGCAACGGTGAGTGGGAAATCGTTGAAGGCCTGGAGATTTCCGATTTCCAGCGCGCCCGCATCGACGCGAATGCTCAGGAATTGCAGGCCGAGCGCGAGGCAGTGCGCGACTTGCTCTAA
본 발명에 있어서, 맨하이미아 숙시니프로두센스 유래의 말산 탈수소효소는 하기 서열번호 42로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하기 서열번호에서 11번째 아미노산을 Gly에서 Gln으로 치환하여 MDH의 옥살아세트산에 대한 말산 전환 효율을 개선하였다.
서열번호 42
MKVAVLGAAGGIGQALALLLKLQLPAGSSLSLYDVAPVTPGVAKDLSHIPTDVVVEGFAGTDPSEALKGADIVLISAGVARKPGMTRADLFGVNAGIIRSLTEKVAEQCPKACVGIITNPVNAMVAIAAEVLKKAGVYDKRKLFGITTLDILRAETFIAELKGLDPTRVTIPVIGGHSGVTILPLLSQVQNVEWSSEEEIIALTHRIQNAGTEVVEAKAGGGSATLSMAQAAARFALALVKASQGAKVVECAYVEGDGKYARFFAQPVRLGTEGVEEYLTLGKLSAFEEKALNAMLETLQGDIKSGEDFING
본 발명에 있어서, 맨하이미아 숙시니프로두센스 유래의 말산 탈수소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는 하기 서열번호 43으로 표시될 수 있다.
서열번호 43
atgaaagttgcagttctaggtgccgcaggcggcattggtcaagcgttggctttattattaaagttacaattaccggctggttcatctttatctctgtatgatgtcgcacccgtcaccccgggtgttgctaaagatcttagccatatcccaacagatgttgtggttgaaggttttgccggtacggatccttcagaagcattaaaaggggcggatattgtgttaatttctgcgggtgtggcacgtaaaccgggcatgacacgtgcggatttattcggtgttaatgcgggtattattcgtagtctgaccgaaaaagtggcggaacaatgcccgaaagcctgtgtgggtattatcaccaacccggttaatgcgatggttgccattgcggccgaagtattgaaaaaagcgggtgtttacgacaaacgtaaattattcggcattactaccttagatattcttcgagcggaaacctttatcgccgaattaaaaggcttagatcctactcgggttacaattcctgttatcggcggtcattcgggtgtaaccattcttccgttattgtctcaagttcaaaatgttgaatggagcagtgaagaggaaatcattgctttaacgcatcgtatccaaaatgcaggtacggaagtggttgaagcaaaagcgggcggcggttctgcaaccttatctatggcgcaggcggcggcacgttttgcattagcattagtgaaagcctcgcaaggtgcgaaagttgttgaatgcgcttatgtggaaggcgacggcaaatatgcccgtttctttgcacaaccggttcgtttaggtacagaaggtgttgaagaatacttaaccctgggtaaattaagtgcatttgaagaaaaagcgttaaatgctatgttagaaactttacaaggtgacattaagtcaggtgaagattttattaacggttaa
본 발명에 있어서, 서열번호 42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맨하이미아 숙시니프로두센스 유래의 말산 탈수소효소의 11번째 아미노산이 글루타민으로 치환된 말산 탈수소효소는 하기 서열번호 44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될 수 있다.
서열번호 44
MKVAVLGAAGQIGQALALLLKLQLPAGSSLSLYDVAPVTPGVAKDLSHIPTDVVVEGFAGTDPSEALKGADIVLISAGVARKPGMTRADLFGVNAGIIRSLTEKVAEQCPKACVGIITNPVNAMVAIAAEVLKKAGVYDKRKLFGITTLDILRAETFIAELKGLDPTRVTIPVIGGHSGVTILPLLSQVQNVEWSSEEEIIALTHRIQNAGTEVVEAKAGGGSATLSMAQAAARFALALVKASQGAKVVECAYVEGDGKYARFFAQPVRLGTEGVEEYLTLGKLSAFEEKALNAMLETLQGDIKSGEDFING
본 발명에 있어서, 서열번호 44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맨하이미아 숙시니프로두센스 유래의 말산 탈수소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는 하기 서열번호 45의 염기서열로 표시될 수 있다.
서열번호 45
atgaaagttgcagttctaggtgccgcaggccagattggtcaagcgttggctttattattaaagttacaattaccggctggttcatctttatctctgtatgatgtcgcacccgtcaccccgggtgttgctaaagatcttagccatatcccaacagatgttgtggttgaaggttttgccggtacggatccttcagaagcattaaaaggggcggatattgtgttaatttctgcgggtgtggcacgtaaaccgggcatgacacgtgcggatttattcggtgttaatgcgggtattattcgtagtctgaccgaaaaagtggcggaacaatgcccgaaagcctgtgtgggtattatcaccaacccggttaatgcgatggttgccattgcggccgaagtattgaaaaaagcgggtgtttacgacaaacgtaaattattcggcattactaccttagatattcttcgagcggaaacctttatcgccgaattaaaaggcttagatcctactcgggttacaattcctgttatcggcggtcattcgggtgtaaccattcttccgttattgtctcaagttcaaaatgttgaatggagcagtgaagaggaaatcattgctttaacgcatcgtatccaaaatgcaggtacggaagtggttgaagcaaaagcgggcggcggttctgcaaccttatctatggcgcaggcggcggcacgttttgcattagcattagtgaaagcctcgcaaggtgcgaaagttgttgaatgcgcttatgtggaaggcgacggcaaatatgcccgtttctttgcacaaccggttcgtttaggtacagaaggtgttgaagaatacttaaccctgggtaaattaagtgcatttgaagaaaaagcgttaaatgctatgttagaaactttacaaggtgacattaagtcaggtgaagattttattaacggttaa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숙신산 생성능을 가지는 미생물은 상기 숙신산 생성능을 가지는 미생물은 맨하이미아 속 (Mannheimia sp.), 액티노바실러스 속 (Actinobacillus sp.), 언에어로바이오스피리륨 속 (Anaerobiospirillum sp.), 바스피아 속 (Basfia sp.), 대장균 (E. coli), 및 코리네박테리움 속 (Corynebacterium sp.)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숙신산 생성능을 가지는 미생물은 Mannheimia succiniciproducens PALK (KCTC10973BP)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Mannheimia succiniciproducens 매우 유사한 Basfia 속 균주에 젖산 탈수소효소를 암호화하는 유전자, 포스포트랜스아세틸화 효소를 암호화하는 유전자 및 아세트산키나제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결실시킨 Basfia 속 변이 균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숙신산 생산성을 더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구축된 PALKcgmdh 균주를 고농도로 접종하여 혐기조건하에서 향상된 생산성으로 숙신산을 제조하였다. 제한배지 하에서 초기 8.7 gDCW/L의 고농도의 세포를 접종하고 글루코스와 글리세롤을 함께 탄소원으로 사용하여 유가식 발효를 진행한 결과 134.25 g/L의 숙신산을 각각 1.32 mol/mol 글루코스와 10.32 g/L/h의 수율과 생산성으로 생산하였다 (도 13; 표 1). 이와 같은 결과는 유사한 방법을 사용한 E. coliC. glutamicum 에서 보여준 숙신산 생산성보다도 우수한 결과이다. Litsanov et al 에 따르면, 개량된 C. glutamicum 을 이용해 12.5 gDCW/L 의 고농도의 세포를 접종하여 글루코스와 개미산을 이용하여 134 g/L의 숙신산을 2.53 g/L/h의 생산성으로 얻을 수 있었는데, 이는 M. succiniciproducens PALKcgmdh 균주가 8.7 gDCW/L의 더 낮은 양의 세포를 이용하여도 더욱 고농도의 숙신산을 고 생산성으로 제조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또한 Vemuri et al 에 따르면, E. coli 의 경우에도 세포가 고농도일 때 혐기 배양을 시작하는 유가식 발효 과정을 통해 99.2 g/L의 숙신산을 0.12 g/gDCW/h의 세포당 생산성으로 생산하였는데 이는 M. succiniciproducens PALKpMS3-cgmdh 균주의 경우 1.19 g/gDCW/h의 세포당 생산성으로 숙신산을 생산하는 것에 비하면 매우 낮은 수치라 할 수 있다 (Litsanov et al., Appl. Environ. Microbiol., 78(9):3325-37., 2012; Vemuri et al., J. Ind. Microbiol. Biotechnol., 28:325-332., 2002).
따라서,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a) 상기 변이 미생물을 배양하여 숙신산을 생성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생성된 숙신산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숙신산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양은 i) 글루코스, ii) 수크로스, iii) 글리세롤, iv)글루코스 및 글리세롤, 또는 v) 수크로스 및 글리세롤을 탄소원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상기 배양은 혐기적 조건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배양은 변이 미생물의 초기 농도를 OD600 15 내지 25로 농축하여 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변이 미생물의 초기 농도를 고농도로 농축시키는 방법으로는 접종시 고농도의 변이 미생물을 주입하는 이노큘럼 법 (이하 '이노큘럼 법') 또는 membrane cell recycling bioreactor (MCRB) 방법 (이하 'MCRB 법') 으로 수행되는 방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변이 미생물은 pH 6.0~7.0의 배지에서 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하기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유전자를 치환하거나 과발현하기 위하여 숙주세포로 숙신산 생성 미생물인 Mannheimia 속 미생물 만을 예시하였으나, 다른 종류의 숙신산 생성 미생물들을 사용하여도 본 발명과 유사한 숙신산 생산능을 가진 변이 미생물을 수득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라 할 것이다.
[ 실시예 1]
Ms MDH , Cg MDH , Ec MDH , Sc MDHc , Sc MDHm , Sc MDHp , Yl MDH 과발현 벡터 (pET30a: Ms MDH, pET30a: Cg MDH , pET30a: Ec MDH , pET30a: Sc MDHc , pET30a: Sc MDHm , pET30a: Sc MDHp, pET30a: Yl MDH ) 의 제작 및 변이 효소 과발현 벡터 (pET30a: Ms MDH G11Q , pET30a: Cg MDH Q20G , pET30a: Ms MDH L101Q , pET30a: Cg MDH Q117L , pET30a: Ms MDH A224S , pET30a: Cg MDH S242A ) 제작
각 숙신산 생산 미생물의 MDH를 E. coli에서 과발현하여 단백질을 확보하기 위하여 각각의 과발현 벡터를 제작하였다. 서열번호 1과 2, 3과 4, 5와 6, 7과 8의 프라이머들을 사용하여 각각 M. succiniciproducens, C. glutamicum, E. coli K12, Y. lipolytica의 genomic DNA를 주형으로 PCR을 수행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PCR 산물을 NdeIXhoI 제한 효소로 자른 뒤 pET30a (Merck Millipore)의 NdeIXhoI 부위에 클로닝하여 과발현 벡터 pET30a:MsMDH, pET30a:CgMDH, pET30a:EcMDH, pET30a:YlMDH을 완성하였다.
서열번호 1: 5'-GCGCCATATGAATTCCCCGCAGAACGTCTCCACC
서열번호 2: 5'-GCGCCTCGAG GAGCAAGTCGCGCACTGCCTCGCGC
서열번호 3: 5'-GCGCCATATGAAAGTTGCAGTTCTAGGTGCCGCA
서열번호 4: 5'-GCGCCTCGAG ACCGTTAATAAAATCTTCACCTGAC
서열번호 5: 5'-GCGCCATATGAAAGTCGCAGTCCTCGGCGCTGCT
서열번호 6: 5'-GCGCCTCGAGCTTATTAACGAACTCTTCGCCCAG
서열번호 7: 5'-GCGCCATATGGTTAAAGCTGTCGTTGCCGGAGCC
서열번호 8: 5'-GCGCCTCGAGGTTGGCAGGAGGAGGGTTAACAAT
S. cerevisiae 유래의 세 MDH (ScMDHc, ScMDHm, ScMDHp)를 과발현하는 벡터를 제작하기 위해 각기 서열번호 9와 10, 11과 12, 13과 14에 해당하는 프라이머들을 사용하여 모두 S. cerevisiae의 게놈을 주형으로 PCR을 수행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PCR 산물을 NdeIXhoI 제한 효소로 자른 뒤 pET30a의 NdeIXhoI 부위에 클로닝하여 과발현 벡터 pET30a:ScMDHc, pET30a:ScMDHm, pET30a:ScMDHp를 제작하였다.
서열번호 9: 5'-GCGCCATATGCCTCACTCAGTTACACCATCCATA
서열번호 10: 5'-GCGCCTCGAGAGATGATGCAGATCTCGATGCAAC
서열번호 11: 5'-GCGCCATATGTTGTCAAGAGTAGCTAAACGTGCG
서열번호 12: 5'-GCGCCTCGAGTTTACTAGCAACAAAGTTGACACC
서열번호 13: 5'-GCGCCATATGGTCAAAGTCGCAATTCTTGGCGCT
서열번호 14: 5'-GCGCCTCGAGTAGCTTGGAAGAGTCTAGGATGAA
MsMDH의 변이 효소를 과발현할 수 있는 벡터 (pET30a:MsMDHG11Q, pET30a:MsMDHL101Q, pET30a:MsMDHA224S)를 제작하기 위하여 각각 서열번호 15과 16, 17과 18, 19와 20의 프라이머들을 사용하여 pET30a:MsMDH를 주형으로 PCR을 수행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PCR 산물을 E. coli 내로 형질 전환시켜 카나마이신 포함 LB (Luria-Bertani) 고체배지에서 선택적으로 자라게 하여 추출 하였다. 마찬가지로 CgMDH의 변이 효소를 과발현할 수 있는 벡터 (pET30a:CgMDHQ20G, pET30a:CgMDHQ117L, pET30a:CgMDHS242A)를 제작하기 위하여 각각 서열번호 21과 22, 23과 24, 25와 26의 프라이머들을 사용하여 pET30a:CgMDH를 주형으로 PCR을 수행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PCR 산물을 E. coli 내로 형질 전환시켜 카나마이신 포함 LB 고체배지에서 선택적으로 자라게 하여 추출하였다. 최종적으로 서열 분석을 하여 성공적으로 변이된 것을 확인하였다.
서열번호 15: 5'-CTAGGTGCCGCAGGCCAGATTGGTCAAGCGTTG
서열번호 16: 5'-CAACGCTTGACCAATCTGGCCTGCGGCACCTAG
서열번호 17: 5'-GGTATTATTCGTAGTCAGACCGAAAAAGTGGCG
서열번호 18: 5'-CGCCACTTTTTCGGTCTGACTACGAATAATACC
서열번호 19: 5'-GCGGGCGGCGGTTCTTCAACCTTATCTATGGCG
서열번호 20: 5'-CGCCATAGATAAGGTTGAAGAACCGCCGCCCGC
서열번호 21: 5'-ACCGGCGCAGCTGGTGGCATCTCTTATTCACTG
서열번호 22: 5'-CAGTGAATAAGAGATGCCACCAGCTGCGCCGGT
서열번호 23: 5'-AAGATTTTCGGACCTCTGGGTAAAGCTATCAATG
서열번호 24: 5'-CATTGATAGCTTTACCCAGAGGTCCGAAAATCTT
서열번호 25: 5'-GTCCGTGGAAAGTCTGCGGCAGCTTCTGCAGCA
서열번호 26: 5'-TGCTGCAGAAGCTGCCGCAGACTTTCCACGGAC
[실시예 2]
Ms MDH , Cg MDH , Ec MDH , Yl MDH 및 이들의 변이 효소 단백질( Ms MDH G11Q , Cg MDH Q20G , Ms MDH L101Q , Cg MDH Q117L , Cg MDH S242A )의 발현 및 정제
실시예 1에서 제작한 과발현 벡터 (pET30a:MsMDH, pET30a:CgMDH, pET30a:EcMDH, pET30a:YlMDH)를 E. coli BL21(DE3)-T1R에 형질전환하여 100 μg/mL의 카나마이신을 함유한 LB 배지에서 37 ℃로 배양한 후, OD600이 0.6이 되었을 때 IPTG로 발현을 유도하였다. 발현 유도 이후, 추가적으로 해당 효소 단백질들이 발현이 되도록 18 ℃에서 20시간 배양하였다. 이러한 배양액을 4 ℃에서 5,000 g로 15분동안 원심분리하여 세포를 수확한 후, 얼음 속에서 차갑게 유지된 버퍼 A (40 mM Tris-HCl, pH 8.0)에 다시 풀어서 음파 파쇄로 세포를 부수었다. 이렇게 확보된 세포 파쇄물에서 1시간 동안의 11,000 g 원심분리를 통해 세포 잔해를 제거하였다. 최종적으로 확보된 상층액을 Ni-NTA agarose beads에 결합시켜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히스티딘 꼬리표가 달려 있는 MDH 단백질들을 선택적으로 정제하였다. 낮은 20 mM의 농도의 imidazole이 함유된 버퍼 A로써 나머지 비 특이성 결합을 한 단백질들을 씻어준 후, 300 mM imidazole이 함유된 버퍼 A를 사용하여 목적 단백질들을 용출하였다. 고순도의 단백질을 확보하기 위한 추가적인 정제를 위해, HiTrap Q를 사용한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와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하여 95% 이상의 고순도 MDH 단백질들을 확보할 수 있었다. 이상으로 정제된 MDH 단백질들을 실시예 3에서 기술된 3 nM 농도로 희석하여 활성 측정에서 사용하였고, CgMDH와 MsMDH 단백질들은 최종적으로 각각 54 mg/mL, 42 mg/mL로 농축하여 결정화를 수행하였다.
[실시예 3]
Ms MDH , Cg MDH , Ec MDH , Yl MDH , Ms MDH G11Q , Cg MDH Q20G , Ms MDH L101Q , Cg MDH Q117L , Cg MDH S242A 옥살로아세트산 환원 활성 측정
MDH의 옥살로아세트산 환원 활성에서는 보조인자로서 NADH라는 환원력이 소모되며 그 결과 NAD+가 생성된다. NADH의 340 nm에서의 독특한 흡광 성질을 이용하여 분광광도계법으로 MDH의 활성을 시간별로 측정할 수 있다. 비교 활성 측정을 위한 최종 반응 용액의 조성은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0.1 M Tris-Hcl (pH 8.0), 100 μM NADH, 100 μM 옥살로아세트산, 마지막으로 3 nM의 정제된 MDH (MsMDH, CgMDH, EcMDH, YlMDH). 변이 효소들 (MsMDHG11Q, CgMDHQ20G, MsMDHL101Q, CgMDHQ117L, CgMDHS242A)의 활성 측정을 위한 최종 반응 용액의 조성은 비교 활성 측정을 위한 조성과 동일하였다. 반응속도론적 활성 비교를 위한 최종 반응 용액에서는 상기의 조건에서 옥살로아세트산의 농도와 NADH의 농도에 변화를 주어 측정하였으며, 옥살로아세트산에 대한 반응속도론적 활성 측정 시에는 NADH의 농도를 200 μM로, NADH에 대한 반응속도론적 활성 측정 시에는 옥살로아세트산의 농도를 100 μM로 고정하여 측정하였다. 그래프 제도시에는 효소를 투입한 후 초기의 반응 시간 동안 감소하는 NADH의 양을 흡광 계수로서 계산하여 분당 전환되는 옥살로아세트산의 농도 (μM)를 초기 속도로 나타내었다. pH에 따른 활성 비교시에는 상기 최종 반응 용액의 조성 (0.1 M 버퍼, 200 μM NADH, 100 μM 옥살로아세트산, 3 nM의 MDH)를 사용하였고, pH 5.0~6.0에서는 BIS-tris 버퍼, pH 7.0~9.0에서는 Tris-HCl 버퍼, pH 10.0에서는 Glycine 버퍼를 각각 사용하였다.
[실시예 4]
Cg MDH와 Ms MDH의 결정화 및 구조 분석
정제된 단백질의 초기 결정화는 sitting-drop 증기-확산 방법을 이용하여 스크리닝 키트 (Hampton Research, CA, USA)를 사용해 20 ℃에서 수행하였다. 각각의 실험은 1.0 μL의 CgMDH 또는 MsMDH 단백질과 1.0 μL의 reservoir 용액을 섞어서 0.5 mL의 reservoir 용액에 대해 평형화시켜 수행되었다. CgMDH 결정이 몇 가지 결정화 스크리닝 조건에서 발견되었고 hanging-drop 증기-확산 방법을 이용하여 수차례의 최적화 과정을 거진 후에, 18% PEG3350, 0.2 M MgCl2 hexahydrate, 0.1 M HEPES 조건에서 가장 좋은 질의 결정이 나타났다. 기질 결합 구조를 결정하기 위해, 기질인 NAD+, 말산과 함께 결정화를 수행하여 같은 조건에서 결정을 확보하였다. MsMDH의 경우 16% PEG3350과 8% Tacsimate pH 6.0에서 0.3 x 0.3 x 0.1 mm 크기의 양질의 결정을 얻어 X-선 회절 실험을 수행할 수 있었다. 기질 결합 구조를 결정하기 위해, 기질인 NAD+와 함께 결정화를 수행하여 같은 조건에서 MsMDH 기질 결합 결정을 확보하였다. 결정의 저온 보호를 위해, reservoir 용액에 포함된 30% 글리세롤이 사용되었으며, 0.97934 Å파장의 X-선 회절 이미지가 QUANTUM 270 CCD 검출기를 통해 포항 가속기 연구소 7 Å빔라인에서 수집되었다. CgMDH와 NAD+, 말산 결합 CgMDH 결정, MsMDH와 NAD+ 결합 MsMDH 결정은 각각 1.95 Å2.00 ÅÅÅ의 해상도까지 회절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데이터는 HKL2000 프로그램을 통해 indexing, integration, scaling되었고, CgMDH와 MsMDH 데이터 각각은 molecular replacement 기법을 통하여 탐색 모델인 Mycobacterium tuberculosis MDH(PDB code 4TVO)와 Haemophilus influenzae MDH (PDB code 6AOO)의 구조를 통해 phasing되었다. 모델 구축은 WinCoot을 사용하여 수행하였고 refinement는 REFMAC5을 통해 수행하였다.
[실시예 5]
Ms MDH , Cg MDH , Cg MDH Q20G , Ms MDH G11Q 과발현 벡터 ( pMS3 - msmdh , pMS3 -cgmdh, pMS3 - cgmdh Q20G , pMS3 - msmdh G11Q )의 제작 및 PALK ( pMS3 - msmdh ), PALK ( pMS3 - cgmdh), PALK ( pMS3 - cgmdh Q20G ), PALK ( pMS3 - msmdh G11Q ) 균주의 제작
각 숙신산 생성 미생물의 MDH를 과발현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고, 구조 분석바탕으로 개량한 MDH를 과발현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각각의 과발현 벡터를 제작하였다. 먼저, MsMDH 과발현 벡터 pMS3-msmdh를 얻기 위해 M. succiniciproducens의 게놈을 주형으로 하고 서열번호 27과 28의 프라이머들을 사용하여 PCR을 수행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PCR 산물을 pMS3 (Jang et al., Appl. Environ. Microb. 73(17): 5411-5420., 2007)에 EcoRIKpnI 부위에 클로닝하여 pMS3-msmdh 벡터를 완성하였다. CgMDH 과발현 벡터 pMS3-cgmdh를 얻기 위해 C. glutamicum의 게놈을 주형으로 하고 서열번호 29과 30의 프라이머들을 사용하여 PCR을 수행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PCR 산물을 pMS3 에 EcoRIKpnI 부위에 클로닝하여 pMS3-cgmdh 벡터를 완성하였다. CgMDHQ20G 과발현 벡터 pMS3-cgmdhQ20G를 얻기 위해 CgMDHQ20G 유전자 조각을 주형으로 하고 서열번호 29과 30의 프라이머들을 사용하여 PCR을 수행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PCR 산물을 pMS3 에 EcoRIKpnI 부위에 클로닝하여 pMS3-cgmdhQ20G 벡터를 완성하였다. MsMDHG11Q 과발현 벡터 pMS3-msmdhG11Q를 얻기 위해 MsMDHG11Q 유전자 조각을 주형으로 하고 서열번호 27과 28의 프라이머들을 사용하여 PCR을 수행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PCR 산물을 pMS3에 EcoRIKpnI 부위에 클로닝하여 pMS3-msmdhG11Q 벡터를 완성하였다.
서열번호 27: 5'-TATCAACTCTACTGGGGAGGAATTCATGAAAGTTGCAGTTCTAG
서열번호 28: 5'-TCTAGAGGATCCCCGGGTACCTTAACCGTTAATAAAATCTTCAC
서열번호 29: 5'-TATCAACTCTACTGGGGAGGATGAATTCCCCGCAGAAC
서열번호 30: 5'-GGATCCCCGGGTACCGAGCTTTAGAGCAAGTCGCGCAC
상기와 같이 제작된 pMS3-msmdh, pMS3-cgmdh, pMS3-cgmdhQ20G, pMS3-msmdhG11QM. succiniciproducens PALK (KCTC10973BP)에 도입함으로서 최종적으로 각각 PALK (pMS3-msmdh), PALK (pMS3-cgmdh), PALK (pMS3-cgmdhQ20G), PALK (pMS3-msmdhG11Q) 균주를 완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과발현 벡터를 도입하기 위해, M. succiniciproducens PALK (KCTC10973BP)를 BHI (Brain-Heart Infusion) 고체배지에 도말하여, 36시간동안 39 ℃에서 배양한 후, 콜로니를 BHI 액체배지 10 mL에 접종하여, 12시간 배양하였다. 충분히 자란 세포배양액을 다시 BHI 액체배지 100 mL에 1mL 접종하여 39 ℃정치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약 4~5시간 후, 세포성장이 OD600기준으로 0.3~0.5 정도가 되었을 때, 상기세균배양액을 0~4 ℃에 20분간 두어 세포성장이 더 이상 진행되지 않도록 막고, 이를 4 ℃4,500 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세포를 수득하였다. 그런 다음 4 ℃의 10% 글리세롤 용액 200 mL로 셀을 재현탁 한 후, 다시 상기와 같은 조건에서 원심분리하였으며, 이러한 재현탁과 원심분리를 10% 글리세롤 용액을 반으로 줄여가면서 총 3회 수행하였다. 최종 얻어진 셀은 같은 부피의 10% 글리세롤 용액으로 재현탁하고 분주하여 -80 ℃에 보관하였다. 상기 수득된 세포 농축현탁액과 본 실시예에서 제작한 과발현 벡터 4종을 각각 혼합하여, 2.5 kV, 25 μF, 200 Ω의 조건으로 electroporation을 수행하여 상기 벡터로 M. succiniciproducens PALK (KCTC10973BP)의 형질전환을 시도하였다. 이렇게 electroporation 된 셀들은 BHI 액체배지를 가하여, 39℃정치배양기에서 1시간 동안 회복배양한 후, 배양액을 모두 항생제 암피실린 2.5 μg/mL를 함유하는 BHI 고체 배지에 도말하여, 39 ℃정치 배양기에서 48시간 이상 배양하였다. 상기 배지에서 형성된 변이균주를 항생제가 함유된 BHI 액체배지에서 배양하고, 벡터 mini-prep을 이용하여 얻은 벡터를 전기영동함으로서 과발현 벡터의 도입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6]
Cg MDH , Ms MDH G11Q 치환 벡터 ( pINcgMDH , pINmsMDH G11Q )의 제작 및 PALKcgmdh , PALKmsmdh G11Q 균주의 제작
숙신산 생산 균주에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MDH가 PALK (pMS3-cgmdh) 균주와 PALK (pMS3-msmdh) 균주의 숙신산 생산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M. succiniciproducens PALK (KCTC10973BP) 균주 게놈상에 존재하는 MDH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결실하고 그 자리에 CgMDH와 MsMDHG11Q 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넣어주는 CgMDH, MsMDHG11Q 치환 벡터 pINcgMDH와 pINmsMDHG11Q를 제작하였다. pINcgMDH 제작을 위해 sacB 유전자를 포함하는 pSacHR06을 XhoISacI으로 절단하였다. 이후 게놈상에 존재하는 MDH 암호화 유전자의 앞, 뒤 서열을 M. succiniciproducens PALK (KCTC10973BP) 균주의 게놈을 주형으로 하고 서열번호 31와 32, 서열번호 38와 39의 프라이머들을 사용해 각각 PCR을 수행하였다. lox66-cat-lox77 카세트는 클로람페니콜 저항성 유전자를 포함하는 벡터를 주형으로 하고 서열번호 36과 37의 프라이머들을 사용하여 PCR을 수행하여 얻었다. CgMDH 유전자는 실시예 3에서 제작한 pMS3-cgmdh 벡터를 주형으로 하고 서열번호 33과 35번의 프라이머들을 사용하여 PCR을 수행하여 획득했다. 이렇게 얻은 선형 pSacHR06, MDH 암호화 유전자 앞, 뒤 서열 각 1 kb, lox66-cat-lox77 카세트, CgMDH 유전자 조각을 Gibson assembly (Gibson et al., Nat. Methods., 6(5):343., 2009)를 통해 합하여 pINcgMDH를 얻을 수 있었다. pINmsMDHG11Q에 필요한 MsMDHG11Q유전자 조각은pMS3-msmdhG11Q를 주형으로 하고 서열번호 33과 34의 프라이머들을 사용하여 PCR을 수행하여 얻었다. 이렇게 얻은 선형 pSacHR06, MDH 암호화 유전자 앞, 뒤 서열 각 1 kb, lox66-cat-lox77 카세트, MsMDHG11Q유전자 조각을 Gibson assembly를 통해 합하여 pINmsMDHG11Q를 얻었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pINcgMDH, pINmsMDHG11QM. succiniciproducens PALK (KCTC10973BP)에 도입함으로서 최종적으로 각각 PALKcgmdh, PALKmsmdhG11Q 균주를 제작하였다.
서열번호 31: 5'-TTCAACGGGAAACGTCTTGCTCGAGCCTTATGTGGACCGAGAAGA
서열번호 32: 5'-GGCATTAGCCAACAGAATAGCTGACCGAAAAAGTGGCGGA
서열번호 33: 5'-CTATTCTGTTGGCTAATGCC
서열번호 34: 5'-TGTAGCCGCGTTCTAACGACTACGAATAATACCCGCAT
서열번호 35: 5'-TGTAGCCGCGTTCTAACGTCGACTCTAGAGGATCCCCG
서열번호 36: 5'-CGTTAGAACGCGGCTACA
서열번호 37: 5'-ATAGGGAGACCGGCAGATC
서열번호 38: 5'-GATCTGCCGGTCTCCCTATTTAAGACTCCTTAATGTGGA
서열번호 39: 5'-GCCGCCACCGCGGTGGAGCTCGCGTTAGTTGTTGAGTTAAT
즉, 실시예 3에서와 유사하게 M. succiniciproducens PALK (KCTC10973BP)를 BHI 고체배지에 도말하여, 3시간 동안 39 ℃에서 배양한 후, 콜로니를 BHI 액체배지 10 mL에 접종하여, 1시간 배양하였다. 충분히 자란 세포배양액을 다시 BHI 액체배지 100 mL에 1mL 접종하여 39 ℃정치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4~5시간 후, 세포성장이 OD600기준으로 0.3~0.5 정도가 되었을 때, 상기세균배양액을 0~4 ℃에 2분간 두어 세포성장이 더 이상 진행되지 않도록 막고, 이를 4 ℃4,500 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세포를 수득하였다. 그런 다음 4 ℃의 10% 글리세롤 용액 200 mL로 셀을 재현탁 한 후, 다시 상기와 같은 조건에서 원심분리하였으며, 이러한 재현탁과 원심분리를 10% 글리세롤 용액을 반으로 줄여가면서 총 3회 수행하였다. 최종 얻어진셀은 같은 부피의 10% 글리세롤 용액으로 재현탁하고 분주하여 -80 ℃에 보관하였다.
상기 수득된 세포 농축현탁액과 실시예 1에서 제작한 유전자 제거벡터 pSacHR06fruA를 혼합하여, 2.5 kV, 25 μF, 200 Ω의 조건으로 electroporation을 수행하여 상기 벡터로 M. succiniciproducens PALK (KCTC10973BP)의 형질전환을 시도하였다. 이렇게 electroporation 된 셀들은 BHI 액체배지를 가하여, 39 ℃정치배양기에서 1시간 동안 회복배양한 후, 배양액을 모두 항생제 클로람페니콜 6.8 μg/mL를 함유하는 BHI 고체배지에 도말하여, 39 ℃정치 배양기에서 48시간 이상 배양하였다. 이중교차 (double crossover)가 일어난 콜로니를 선별하기 위하여, 형성된 콜로니를 클로람페니콜 (6.8 μg/mL)과 100 g/L의 수크로스를 함유한 BHI 고체배지에 도말한 다음,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형성된 콜로니를 동일한 고체배지에 다시 도말하였다.
상기 배지에서 형성된 변이균주를 항생제가 함유된 BHI 액체배지에서 배양하고, 배양 균주의 게놈 DNA를 분석하였다. 상기분리된 변이균주의 게놈 DNA를 주형으로 하여 PCR을 수행한 다음, 수득된 PCR 산물을 전기영동함으로서, 게놈 DNA의 MDH 유전자 결실 및, CgMDH 혹은 MsMDHG11Q의 도입 여부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7]
M. succiniciproducens PALK ( pMS3 - msmdh ), PALK ( pMS3 - cgmdh ), PALK ( pMS3 -cgmdh Q20G ), 및 PALK ( pMS3 - msmdh G11Q ) 균주를 이용한 숙신산 생산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작된 M. succiniciproducens PALK (pMS3-msmdh), PALK (pMS3-cgmdh), PALK (pMS3-cgmdhQ20G) 및 PALK (pMS3-msmdhG11Q) 균주는 20 mL MH5 배지 (리터당, 2.5 g yeast extract, 2.5 g polypeptone, 1 g NaCl, 0.02 g CaCl2·2H2O, 0.2 g MgCl2·6H2O, 및 8.709 g K2HPO4)에 탄소원으로 따로 멸균처리된 글루코스 또는 글리세롤을 10 g/L의 농도로 맞추어 접종하여 혐기조건으로 39 ℃에서 8시간 배양한 후, 이를 다시 같은 배지 270 mL로 옮겨서 배양하였다. 발효는 상기의 배양액을 2.5 L의 합성배지 (리터당, 1 g NaCl, 2 g (NH4)2HPO4, 0.02 g CaCl2·2H2O, 0.2 g MgCl2·6H2O, 8.709 g K2HPO4, 0.5 g cysteine, 0.5 g methionine, 0.5 g alanine, 0.5 g asparagine, 0.5 g aspartic acid, 0.5 g proline, 0.5 g serine, 0.005 g nicotinic acid, 0.005 g Ca-pantothenate, 0.005 g pyridoxine·HCl, 0.005 g thiamine, 0.005 g ascorbic acid 및 0.005 g biotin) 를 함유한 미생물 반응기 (Bioflo 3000, New Brunswick Scientific Co., NJ, USA)에 접종하여 수행하였으며, 발효 조건은 18.2 g/L (100 mM) 초기 글루코스 농도, 글리세롤 사용시에는 4.6 g/L (50 mM) 초기 글리세롤 농도로, 온도 39 ℃200 rpm 조건에서 0.2 vvm (이산화탄소부피/배양기내 조업부피 (working volume)/분)의 속도로 순수 이산화탄소를 공급해 주면서 발효시켰다. 발효 중 pH는 1.57 M 암모니아수 및 6.84 M magnesium hydroxide solution을 사용하여 6.5로 조정하였으며, 항생제는 카나마이신 25 μg/mL와 암피실린 25 μg/mL를 첨가하였다. 고농도의 숙신산 생산을 위하여 탄소원이 완전히 소모되었을 경우에는, 필요시 900 g/L의 글루코스 및 글리세롤 용액을 반연속적으로 첨가하였다. 배양액내의 세포농도는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미리 측정한 분광광도계의 흡광도와 건조세포의 중량 검증선을 이용하여 세포농도를 계산하였다. 발효과정 중 생물반응기로부터 주기적으로 샘플을 채취하였으며, 채취된 시료는 13,000 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의 각종 대사산물 및 숙신산 농도, 글루코스와 글리세롤 농도를 액체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11 및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소원으로 글루코스만을 사용했을 경우 PALK (pMS3-msmdh) 균주는 79.07 g/L의 숙신산을 각각 1.23 mol/mol 글루코스와 3.26 g/L/h의 수율과 생산성으로 생산하였다. PALK (pMS3-cgmdh) 균주는 87.23 g/L의 숙신산을 각각 1.29 mol/mol 글루코스와 3.6 g/L/h의 수율과 생산성으로 생산하였으며. PALK (pMS3-cgmdhQ20G) 균주는 79.39 g/L의 숙신산을 각각 1.00 mol/mol 글루코스와 3.27 g/L/h의 수율과 생산성으로 생산하였다. 마지막으로, PALK (pMS3-msmdhG11Q) 균주의 유가식 발효 결과 84.19 g/L의 숙신산을 각각 1.08 mol/mol 글루코스와 3.48 g/L/h의 수율과 생산성으로 생산하였다. 결과적으로 PALK (pMS3- cgmdh) 균주가 가장 훌륭한 숙신산 생산능을 보였으며, 단백질 구조 분석을 통한 개량 단백질 과발현 균주인 PALK (pMS3-msmdhG11Q) 균주 또한 기존의 M. succiniciproducens PALK (KCTC10973BP) 균주에 비해 향상된 숙신산 생산능을 가지는 것을 보여준다.
[실시예 8]
M. succiniciproducens PALKcgmdh , PALKmsmdh G11Q 균주를 이용한 숙신산 생산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작된 M. succiniciproducens PALKcgmdh, PALKmsmdhG11Q 를 20 mL MH5 배지에 탄소원으로 따로 멸균처리된 글루코스 또는 글리세롤을 10 g/L의 농도로 맞추어 접종하여 혐기조건으로 39 ℃에서 8시간 배양한 후, 이를 다시 같은 배지 270 mL로 옮겨서 배양하였다. 발효는 상기의 배양액을 실시예 7에서와 같이 2.5 L의 합성배지를 함유한 미생물 반응기에 접종하여 수행하였으며, 발효 조건은 18.2 g/L (100 mM) 초기 글루코스 농도, 글리세롤 사용시에는 4.6 g/L (50 mM) 초기 글리세롤 농도로, 온도 39 ℃200 rpm 조건에서 0.2 vvm의 속도로 순수 이산화탄소를 공급해 주면서 발효시켰다. 발효 중 pH는 1.57 M 암모니아수 및 6.84 M magnesium hydroxide solution을 사용하여 6.5로 조정하였으며, 항생제는 카나마이신 25 μg/mL와 클로람페니콜 6.8 μg/mL를 첨가하였다. 고농도의 숙신산 생산을 위하여 탄소원이 완전히 소모되었을 경우에는, 필요시 900 g/L의 글루코스 및 글리세롤 용액을 반연속적으로 첨가하였다. 배양액내의 세포농도는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미리 측정한 분광광도계의 흡광도와 건조세포의 중량 검증선을 이용하여 세포농도를 계산하였다. 발효과정 중 생물반응기로부터 주기적으로 샘플을 채취하였으며, 채취된 시료는 13,000 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의 각종 대사산물 및 숙신산 농도, 글루코스와 글리세롤 농도를 액체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12 및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소원으로 글루코스만을 사용했을 경우 PALKcgmdh 균주는 89.6 g/L의 숙신산을 각각 1.28 mol/mol 글루코스와 3.71 g/L/h의 수율과 생산성으로 생산하였으며 PALKmsmdhG11Q 균주는 82.76 g/L의 숙신산을 각각 1.13 mol/mol 글루코스와 3.42 g/L/h의 수율과 생산성으로 생산하였다.
탄소원으로 글루코스와 글리세롤을 동시에 사용하였을 경우 PALKcgmdh 균주는 101.18 g/L의 숙신산을 각각 1.37 mol/mol 글루코스와 4.18 g/L/h의 수율과 생산성으로 생산하였으며 PALKmsmdhG11Q 균주는 92.5 g/L의 숙신산을 각각 1.28 mol/mol 글루코스와 3.82 g/L/h의 수율과 생산성으로 생산하였다.
[실시예 9]
M. succiniciproducens PALK ( KCTC10973BP ) 균주와 PALKcgmdh 균주를 이용한 숙신산 생산성 향상
본 실시예에서는 M. succiniciproducens PALKcgmdh 균주를 이용한 숙신산 생산성 향상 방법을 확인하였다.
도 12의 (C)에서 알 수 있듯이 PALKcgmdh 균주는 접종 후 11~13시간이 지난 후 최대 생산성에 도달하고 있으며, 이때의 세포농도가 최대로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생산성을 최대화시키기 위해 현재 수준보다 세포농도를 더 높였을 때 생산성의 변화가 어떠한지 먼저 살펴보았다.
실시예 7에서와 같은 배양조건에서 PALKcgmdh 균주의 초기세포농도를 OD600 = 19.3 (8.7 gDCW/L) 수준으로 높였을 때, 숙신산 생산성은 어떻게 변화하는지 살펴보고자, 실시예 7에서와 같이 2.5 L의 합성배지를 함유한 미생물 반응기에 접종하여 수행하였으며, 접종시 발효 조건은 18.2 g/L (100 mM) 초기 글루코스 농도, 글리세롤 사용시에는 4.6 g/L (50 mM) 초기 글리세롤 농도로, 온도 39 ℃200 rpm 조건에서 0.2 vvm의 속도로 순수 이산화탄소를 공급해 주면서 발효시켰다. 발효 중 pH는 1.57 M 암모니아수 및 6.84 M magnesium hydroxide solution을 사용하여 6.5로 조정하였으며, 항생제는 카나마이신 25 μg/mL와 클로람페니콜 6.8 μg/mL를 첨가하였다. 고농도의 숙신산 생산을 위하여 탄소원이 완전히 소모되었을 경우에는, 필요시 900 g/L의 글루코스 및 글리세롤 용액을 반연속적으로 첨가하였다. PALKcgmdh를 11시간 발효시켜 세포농도가 최고점에 거의 다다랐을 때 배양을 끝내고, 배양액을 4 ℃에서 6,000 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 함으로서 세포 펠렛을 수득하였다. 세포 펠렛을 동일한 합성배지 200 mL에 재현탁하여, 고농도의 inoclulum을 얻을 수 있었다. 이를 접종하여 실시예 6의 조건과 동일하지만, 초기 글루코스 및 글리세롤의 농도를 2배하여 배양한 결과 도 13 및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숙신산 생산성이 10.32 g/L/h 및 최고 생산성은 15.72 g/L/h 로 원래 발효조건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생산성 향상이 균주 개량의 효과임을 다시 한번 확인하기 위해 M. succiniciproducens PALK (KCTC10973BP) 균주 또한 같은 방법으로 초기세포농도를 OD600 = 21.1 (9.52 gDCW/L) 수준으로 높였을 때 숙신산 생산성이 8.93 g/L/h 및 최고 생산성은 12.4 g/L/h 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고농도의 세포를 접종한 발효 방법이 생산성을 비약적으로 증가시키지만 M. succiniciproducens PALKcgmdh 균주가 더 우수한 숙신산 생산성 및 생산량을 보여주었음을 알 수 있다.
Strain Culture condition (carbon sources) Final SA (g/L) Final lactic, acetic, formic and pyruvic acids (byproducts in total) (g/L) Byproducts/SA Overall productivity (g/L/h) Yield
( mol / mol )
Reference
M. succiniciproducens LPK7 (pMS3-zwf-mdh);+zwf from M. succiniciproducens, +mdh from A. thaliana CDM (Glu) 70.09 4.23 0.06 2.6 1.51 Kim et al., Biotechnology journal, 12(2), 1600701.
Saccharomyces cerevisiae RWB064; +pckA from A.
succinogenes, +fumR from R.
oryzae, +mdh3 from S.
cerevisiae, +mae1 from S. pombe
Batch, 30°C, pH 3, aerobic
(OUR = 5 mmol/L/h, 10% CO2),
glucose
16.00 N/A N/A 0.18 N/A US20110229945A1
Saccharomyces cerevisiae CEN.PK113-7D; +gsh1, +cys3,+glr1, +mdh2 from S. cerevisiae,
+pckA from M.
succinciproducens, +frdm1 from
T. brucei, +fumR from R. oryzae,
+mae1 from S. pombe
Fed-batch, 30°C, dual phase
(1. aerobic, pH 5, KOH,
OUR = 30 mmol/h, 10% CO2;
2. anaerobic, pH release, 10%
CO2,90%N2), glucose
19.50 N/A N/A 0.22 N/A US20120040422A1
Saccharomyces cerevisiae CEN.PK113-7D; △adh1, △adh2,△gpd1, +pckA from M.
succinciproducens, +gsh1,
+cys3, +glr1, +mdh3, and
+pyc2p from S. cerevisiae,
+fumR from R. oryzae, +frdm1
from T . brucei, +mae1 from S.
pombe
Fed-batch, 30°C, aerobic, dual
phase (1. pH 5; NH3,pO2=20%;
2. pH 3; KOH, 50% CO2), glucose
43.00 N/A N/A 0.45 N/A US20150057425A1
Pichia kudriavzevii CD1822; △cyb2a, +pyc1 and+fum1 from C. krusei, +frd1 from
S. cerevisiae, +mdh from Z.
rouxii, +frd1 from T. brucei
Batch, 30°C , pH 3, aerobic
(DO < 5%, OUR = 10 mmol/L/h,
10% CO2), glucose, KOH
23.00 N/A N/A 0.26 N/A US20130302866A1
Evolved strain from the P.kudriavzevii ATCC PTA-6658
(high glucose consumption and
growth rates); △ura, △pdc, +pyc1
and +fum from C. krusei, +mae
from S . pombe, +frd from L.
mexicana, +mdh from R. delemar
Batch, 30°C, pH 3, aerobic
(DO < 10%, OUR = 18 mmol/L/
h, 10% CO2), glucose, KOH
48.20 N/A N/A 0.97 0.69 US20140363862A1
E. coli NZN111/pTrc99a-mdh Dual-phase fermentation 31.90 N/A N/A N/A 1.19 Wang et al., Bioprocess Biosyst Eng 2009, 32:737-745.
E. coli NZN111/pTrc99a-mdh Dual-phase fermentation 4.30 N/A N/A 1.01 0.72 Liang et al., Biotechnology letters, 33(12), 2439-2444.
M. succiniciproducens PALKG;+glpK22, pta, ackA , ldhA Fed-batch fermentation, Sucrose and glycerol 66.0 0, 0.92, 0, 7.2 (8.12) 0.12 3.34 (max productivity=6.93) 1.42 1) Lee et al., Metabolic engineering, 38, 409-417.
2) US8691516B2
M. succiniciproducens PALFK;△pta, ackA, ldhA , fruA Fed-batch fermentation, Sucrose and glycerol 69.2 0, 1.23, 0, 0 (1.23) 0.02 2.50 (max productivity=4.93) 1.56 1) Lee et al., Metabolic engineering, 38, 409-417.
2) US8691516B2
M. succiniciproducens PALFK;△pta, ackA, ldhA , fruA Fed-batch fermentation, Sucrose and glycerol
(Initial OD600=9.0)
78.4 0, 0.72, 0, 1.64 (2.36) 0.03 6.03 (max productivity=10.69) 1.64 1) Lee et al., Metabolic engineering, 38, 409-417.
2) US8691516B2
PALK (pMS3) CDM, glucose 74.56 0, 1.37, 0, 6.66 (8.03) 0.11 3.03 1.11 Ahn et al., J. Ind. Microbiol. Biot., 45(7):555-566., 2018
PALK (pMS3-msmdh) CDM, glucose 79.07 0, 0.84, 0, 6.34 (7.18) 0.09 3.26 1.23 This study
PALK (pMS3-msmdh G11Q ) CDM, glucose 84.19 0, 0.68, 0, 4.42 (5.1) 0.06 3.48 1.08 This study
PALK (pMS3-cgmdh) CDM, glucose 87.23 0, 2.36, 0, 6.12 (8.49) 0.1 3.6 1.29 This study
PALK (pMS3-cgmdh Q20G ) CDM, glucose 79.39 0, 1.72, 0, 5.78 (7.5) 0.09 3.27 1.00 This study
PALKmsmdh G11Q CDM, glucose 82.76 0, 1.5, 0, 3.56 (5.06) 0.06 3.42 1.13 This study
PALKcgmdh CDM, glucose 89.6 0, 1.3, 0, 6.41 (7.71) 0.09 3.71 1.28 This study
PALK CDM, glucose and glycerol 90.68 0, 2.29, 0, 3.98 (6.27) 0.07 3.49 1.15 Choi et al., Biotechnol. Bioeng., 113(10):2168-2177., 2016
PALK CDM, glucose and glycerol, (Initial OD600=21.1) 98.28 0, 1.42, 0, 3.17 (4.59) 0.05 8.93(max productivity=12.4) 1.08 This study
PALK (pMS3-cgmdh) CDM, glucose and glycerol 101.96 0, 1.09, 0, 4.96 (6.05) 0.06 4.06 1.34 This study
PALKmsmdhG11Q CDM, glucose and glycerol 92.5 0, 1.98, 0, 4.92 (6.90) 0.07 3.82 1.28 This study
PALKcgmdh CDM, glucose and glycerol 101.18 0, 1.46, 0, 4.71 (6.17) 0.06 4.18 1.37 This study
PALKcgmdh CDM, glucose and glycerol, (Initial OD600=19.3) 134.25 0, 6.55, 0, 2.01 (8.56) 0.06 10.32( max productivity=15.72) 1.32 This study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10>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120> A recombinant microorganism into which a high activity malate dehydrogenase for producing succinic acid and a method for producing succinic acid using the same <130> P18-B219 <160> 45 <170> KoPatentIn 3.0 <210> 1 <211> 3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 gcgccatatg aattccccgc agaacgtctc cacc 34 <210> 2 <211> 3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2 gcgcctcgag gagcaagtcg cgcactgcct cgcgc 35 <210> 3 <211> 3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3 gcgccatatg aaagttgcag ttctaggtgc cgca 34 <210> 4 <211> 3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4 gcgcctcgag accgttaata aaatcttcac ctgac 35 <210> 5 <211> 3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5 gcgccatatg aaagtcgcag tcctcggcgc tgct 34 <210> 6 <211> 3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6 gcgcctcgag cttattaacg aactcttcgc ccag 34 <210> 7 <211> 3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7 gcgccatatg gttaaagctg tcgttgccgg agcc 34 <210> 8 <211> 3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8 gcgcctcgag gttggcagga ggagggttaa caat 34 <210> 9 <211> 3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9 gcgccatatg cctcactcag ttacaccatc cata 34 <210> 10 <211> 3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0 gcgcctcgag agatgatgca gatctcgatg caac 34 <210> 11 <211> 3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1 gcgccatatg ttgtcaagag tagctaaacg tgcg 34 <210> 12 <211> 3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2 gcgcctcgag tttactagca acaaagttga cacc 34 <210> 13 <211> 3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3 gcgccatatg gtcaaagtcg caattcttgg cgct 34 <210> 14 <211> 3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4 gcgcctcgag tagcttggaa gagtctagga tgaa 34 <210> 15 <211> 3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5 ctaggtgccg caggccagat tggtcaagcg ttg 33 <210> 16 <211> 3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6 caacgcttga ccaatctggc ctgcggcacc tag 33 <210> 17 <211> 3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7 ggtattattc gtagtcagac cgaaaaagtg gcg 33 <210> 18 <211> 3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8 cgccactttt tcggtctgac tacgaataat acc 33 <210> 19 <211> 3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9 gcgggcggcg gttcttcaac cttatctatg gcg 33 <210> 20 <211> 3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20 cgccatagat aaggttgaag aaccgccgcc cgc 33 <210> 21 <211> 3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21 accggcgcag ctggtggcat ctcttattca ctg 33 <210> 22 <211> 3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22 cagtgaataa gagatgccac cagctgcgcc ggt 33 <210> 23 <211> 3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23 aagattttcg gacctctggg taaagctatc aatg 34 <210> 24 <211> 3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24 cattgatagc tttacccaga ggtccgaaaa tctt 34 <210> 25 <211> 3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25 gtccgtggaa agtctgcggc agcttctgca gca 33 <210> 26 <211> 3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26 tgctgcagaa gctgccgcag actttccacg gac 33 <210> 27 <211> 4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27 tatcaactct actggggagg aattcatgaa agttgcagtt ctag 44 <210> 28 <211> 4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28 tctagaggat ccccgggtac cttaaccgtt aataaaatct tcac 44 <210> 29 <211> 3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29 tatcaactct actggggagg atgaattccc cgcagaac 38 <210> 30 <211> 3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30 ggatccccgg gtaccgagct ttagagcaag tcgcgcac 38 <210> 31 <211> 4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31 ttcaacggga aacgtcttgc tcgagcctta tgtggaccga gaaga 45 <210> 32 <211> 4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32 ggcattagcc aacagaatag ctgaccgaaa aagtggcgga 40 <210> 3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33 ctattctgtt ggctaatgcc 20 <210> 34 <211> 3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34 tgtagccgcg ttctaacgac tacgaataat acccgcat 38 <210> 35 <211> 3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35 tgtagccgcg ttctaacgtc gactctagag gatccccg 38 <210> 36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36 cgttagaacg cggctaca 18 <210> 37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37 atagggagac cggcagatc 19 <210> 38 <211> 3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38 gatctgccgg tctccctatt taagactcct taatgtgga 39 <210> 39 <211> 4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gccgccaccgcggtggagctcgcgttagttgttgagttaat 39 <400> 39 gccgccaccg cggtggagct cgcgttagtt gttgagttaa t 41 <210> 40 <211> 328 <212> PRT <213> Corynebacterium glutamicum <400> 40 Met Asn Ser Pro Gln Asn Val Ser Thr Lys Lys Val Thr Val Thr Gly 1 5 10 15 Ala Ala Gly Gln Ile Ser Tyr Ser Leu Leu Trp Arg Ile Ala Asn Gly 20 25 30 Glu Val Phe Gly Thr Asp Thr Pro Val Glu Leu Lys Leu Leu Glu Ile 35 40 45 Pro Gln Ala Leu Gly Gly Ala Glu Gly Val Ala Met Glu Leu Leu Asp 50 55 60 Ser Ala Phe Pro Leu Leu Arg Asn Ile Thr Ile Thr Ala Asp Ala Asn 65 70 75 80 Glu Ala Phe Asp Gly Ala Asn Ala Ala Phe Leu Val Gly Ala Lys Pro 85 90 95 Arg Gly Lys Gly Glu Glu Arg Ala Asp Leu Leu Ala Asn Asn Gly Lys 100 105 110 Ile Phe Gly Pro Gln Gly Lys Ala Ile Asn Asp Asn Ala Ala Asp Asp 115 120 125 Ile Arg Val Leu Val Val Gly Asn Pro Ala Asn Thr Asn Ala Leu Ile 130 135 140 Ala Ser Ala Ala Ala Pro Asp Val Pro Ala Ser Arg Phe Asn Ala Met 145 150 155 160 Met Arg Leu Asp His Asn Arg Ala Ile Ser Gln Leu Ala Thr Lys Leu 165 170 175 Gly Arg Gly Ser Ala Glu Phe Asn Asn Ile Val Val Trp Gly Asn His 180 185 190 Ser Ala Thr Gln Phe Pro Asp Ile Thr Tyr Ala Thr Val Gly Gly Glu 195 200 205 Lys Val Thr Asp Leu Val Asp His Asp Trp Tyr Val Glu Glu Phe Ile 210 215 220 Pro Arg Val Ala Asn Arg Gly Ala Glu Ile Ile Glu Val Arg Gly Lys 225 230 235 240 Ser Ser Ala Ala Ser Ala Ala Ser Ser Ala Ile Asp His Met Arg Asp 245 250 255 Trp Val Gln Gly Thr Glu Ala Trp Ser Ser Ala Ala Ile Pro Ser Thr 260 265 270 Gly Ala Tyr Gly Ile Pro Glu Gly Ile Phe Val Gly Leu Pro Thr Val 275 280 285 Ser Arg Asn Gly Glu Trp Glu Ile Val Glu Gly Leu Glu Ile Ser Asp 290 295 300 Phe Gln Arg Ala Arg Ile Asp Ala Asn Ala Gln Glu Leu Gln Ala Glu 305 310 315 320 Arg Glu Ala Val Arg Asp Leu Leu 325 <210> 41 <211> 987 <212> DNA <213> Corynebacterium glutamicum <400> 41 atgaattccc cgcagaacgt ctccaccaag aaggtcaccg tcaccggcgc agctggtcaa 60 atctcttatt cactgttgtg gcgcatcgcc aacggtgaag tattcggcac cgacacccct 120 gtagaactga aacttctgga gatccctcag gctcttggcg gggcagaggg tgtggctatg 180 gaacttctgg attctgcctt ccccctcctg cgaaacatca ccatcaccgc ggatgccaat 240 gaggcattcg acggcgctaa tgcggcgttt ttggtcggtg cgaagcctcg cggaaaaggc 300 gaagagcgcg cagatttgct ggctaacaac ggcaagattt tcggacctca aggtaaagct 360 atcaatgaca acgccgcaga tgacattcgt gtcctagttg ttggaaaccc agcgaacacc 420 aacgcgttga ttgcttcagc tgcggcccca gatgttccag catcccgctt caacgcaatg 480 atgcgccttg atcacaaccg tgcgatctcc cagctggcca ccaagcttgg ccgtggatct 540 gcggaattta acaacattgt ggtctgggga aatcactccg caacccagtt cccagacatc 600 acctacgcaa ccgttggtgg agaaaaggtc actgacctgg ttgatcacga ttggtatgtg 660 gaggagttca ttcctcgcgt ggctaaccgt ggcgctgaaa tcattgaggt ccgtggaaag 720 tcttctgcag cttctgcagc atcctctgcg attgatcaca tgcgcgattg ggtacagggc 780 accgaggcgt ggtcctctgc ggcaattcct tccaccggtg catacggcat tcctgagggc 840 atttttgtcg gtctgccaac cgtatcccgc aacggtgagt gggaaatcgt tgaaggcctg 900 gagatttccg atttccagcg cgcccgcatc gacgcgaatg ctcaggaatt gcaggccgag 960 cgcgaggcag tgcgcgactt gctctaa 987 <210> 42 <211> 312 <212> PRT <213> Unknown <220> <223> Mannheimia succiniciproducens <400> 42 Met Lys Val Ala Val Leu Gly Ala Ala Gly Gly Ile Gly Gln Ala Leu 1 5 10 15 Ala Leu Leu Leu Lys Leu Gln Leu Pro Ala Gly Ser Ser Leu Ser Leu 20 25 30 Tyr Asp Val Ala Pro Val Thr Pro Gly Val Ala Lys Asp Leu Ser His 35 40 45 Ile Pro Thr Asp Val Val Val Glu Gly Phe Ala Gly Thr Asp Pro Ser 50 55 60 Glu Ala Leu Lys Gly Ala Asp Ile Val Leu Ile Ser Ala Gly Val Ala 65 70 75 80 Arg Lys Pro Gly Met Thr Arg Ala Asp Leu Phe Gly Val Asn Ala Gly 85 90 95 Ile Ile Arg Ser Leu Thr Glu Lys Val Ala Glu Gln Cys Pro Lys Ala 100 105 110 Cys Val Gly Ile Ile Thr Asn Pro Val Asn Ala Met Val Ala Ile Ala 115 120 125 Ala Glu Val Leu Lys Lys Ala Gly Val Tyr Asp Lys Arg Lys Leu Phe 130 135 140 Gly Ile Thr Thr Leu Asp Ile Leu Arg Ala Glu Thr Phe Ile Ala Glu 145 150 155 160 Leu Lys Gly Leu Asp Pro Thr Arg Val Thr Ile Pro Val Ile Gly Gly 165 170 175 His Ser Gly Val Thr Ile Leu Pro Leu Leu Ser Gln Val Gln Asn Val 180 185 190 Glu Trp Ser Ser Glu Glu Glu Ile Ile Ala Leu Thr His Arg Ile Gln 195 200 205 Asn Ala Gly Thr Glu Val Val Glu Ala Lys Ala Gly Gly Gly Ser Ala 210 215 220 Thr Leu Ser Met Ala Gln Ala Ala Ala Arg Phe Ala Leu Ala Leu Val 225 230 235 240 Lys Ala Ser Gln Gly Ala Lys Val Val Glu Cys Ala Tyr Val Glu Gly 245 250 255 Asp Gly Lys Tyr Ala Arg Phe Phe Ala Gln Pro Val Arg Leu Gly Thr 260 265 270 Glu Gly Val Glu Glu Tyr Leu Thr Leu Gly Lys Leu Ser Ala Phe Glu 275 280 285 Glu Lys Ala Leu Asn Ala Met Leu Glu Thr Leu Gln Gly Asp Ile Lys 290 295 300 Ser Gly Glu Asp Phe Ile Asn Gly 305 310 <210> 43 <211> 939 <212> DNA <213> Unknown <220> <223> Mannheimia succiniciproducens <400> 43 atgaaagttg cagttctagg tgccgcaggc ggcattggtc aagcgttggc tttattatta 60 aagttacaat taccggctgg ttcatcttta tctctgtatg atgtcgcacc cgtcaccccg 120 ggtgttgcta aagatcttag ccatatccca acagatgttg tggttgaagg ttttgccggt 180 acggatcctt cagaagcatt aaaaggggcg gatattgtgt taatttctgc gggtgtggca 240 cgtaaaccgg gcatgacacg tgcggattta ttcggtgtta atgcgggtat tattcgtagt 300 ctgaccgaaa aagtggcgga acaatgcccg aaagcctgtg tgggtattat caccaacccg 360 gttaatgcga tggttgccat tgcggccgaa gtattgaaaa aagcgggtgt ttacgacaaa 420 cgtaaattat tcggcattac taccttagat attcttcgag cggaaacctt tatcgccgaa 480 ttaaaaggct tagatcctac tcgggttaca attcctgtta tcggcggtca ttcgggtgta 540 accattcttc cgttattgtc tcaagttcaa aatgttgaat ggagcagtga agaggaaatc 600 attgctttaa cgcatcgtat ccaaaatgca ggtacggaag tggttgaagc aaaagcgggc 660 ggcggttctg caaccttatc tatggcgcag gcggcggcac gttttgcatt agcattagtg 720 aaagcctcgc aaggtgcgaa agttgttgaa tgcgcttatg tggaaggcga cggcaaatat 780 gcccgtttct ttgcacaacc ggttcgttta ggtacagaag gtgttgaaga atacttaacc 840 ctgggtaaat taagtgcatt tgaagaaaaa gcgttaaatg ctatgttaga aactttacaa 900 ggtgacatta agtcaggtga agattttatt aacggttaa 939 <210> 44 <211> 3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11Q from Mannheimia succiniciproducens MDH <400> 44 Met Lys Val Ala Val Leu Gly Ala Ala Gly Gln Ile Gly Gln Ala Leu 1 5 10 15 Ala Leu Leu Leu Lys Leu Gln Leu Pro Ala Gly Ser Ser Leu Ser Leu 20 25 30 Tyr Asp Val Ala Pro Val Thr Pro Gly Val Ala Lys Asp Leu Ser His 35 40 45 Ile Pro Thr Asp Val Val Val Glu Gly Phe Ala Gly Thr Asp Pro Ser 50 55 60 Glu Ala Leu Lys Gly Ala Asp Ile Val Leu Ile Ser Ala Gly Val Ala 65 70 75 80 Arg Lys Pro Gly Met Thr Arg Ala Asp Leu Phe Gly Val Asn Ala Gly 85 90 95 Ile Ile Arg Ser Leu Thr Glu Lys Val Ala Glu Gln Cys Pro Lys Ala 100 105 110 Cys Val Gly Ile Ile Thr Asn Pro Val Asn Ala Met Val Ala Ile Ala 115 120 125 Ala Glu Val Leu Lys Lys Ala Gly Val Tyr Asp Lys Arg Lys Leu Phe 130 135 140 Gly Ile Thr Thr Leu Asp Ile Leu Arg Ala Glu Thr Phe Ile Ala Glu 145 150 155 160 Leu Lys Gly Leu Asp Pro Thr Arg Val Thr Ile Pro Val Ile Gly Gly 165 170 175 His Ser Gly Val Thr Ile Leu Pro Leu Leu Ser Gln Val Gln Asn Val 180 185 190 Glu Trp Ser Ser Glu Glu Glu Ile Ile Ala Leu Thr His Arg Ile Gln 195 200 205 Asn Ala Gly Thr Glu Val Val Glu Ala Lys Ala Gly Gly Gly Ser Ala 210 215 220 Thr Leu Ser Met Ala Gln Ala Ala Ala Arg Phe Ala Leu Ala Leu Val 225 230 235 240 Lys Ala Ser Gln Gly Ala Lys Val Val Glu Cys Ala Tyr Val Glu Gly 245 250 255 Asp Gly Lys Tyr Ala Arg Phe Phe Ala Gln Pro Val Arg Leu Gly Thr 260 265 270 Glu Gly Val Glu Glu Tyr Leu Thr Leu Gly Lys Leu Ser Ala Phe Glu 275 280 285 Glu Lys Ala Leu Asn Ala Met Leu Glu Thr Leu Gln Gly Asp Ile Lys 290 295 300 Ser Gly Glu Asp Phe Ile Asn Gly 305 310 <210> 45 <211> 93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11Q from Mannheimia succiniciproducens MDH <400> 45 atgaaagttg cagttctagg tgccgcaggc cagattggtc aagcgttggc tttattatta 60 aagttacaat taccggctgg ttcatcttta tctctgtatg atgtcgcacc cgtcaccccg 120 ggtgttgcta aagatcttag ccatatccca acagatgttg tggttgaagg ttttgccggt 180 acggatcctt cagaagcatt aaaaggggcg gatattgtgt taatttctgc gggtgtggca 240 cgtaaaccgg gcatgacacg tgcggattta ttcggtgtta atgcgggtat tattcgtagt 300 ctgaccgaaa aagtggcgga acaatgcccg aaagcctgtg tgggtattat caccaacccg 360 gttaatgcga tggttgccat tgcggccgaa gtattgaaaa aagcgggtgt ttacgacaaa 420 cgtaaattat tcggcattac taccttagat attcttcgag cggaaacctt tatcgccgaa 480 ttaaaaggct tagatcctac tcgggttaca attcctgtta tcggcggtca ttcgggtgta 540 accattcttc cgttattgtc tcaagttcaa aatgttgaat ggagcagtga agaggaaatc 600 attgctttaa cgcatcgtat ccaaaatgca ggtacggaag tggttgaagc aaaagcgggc 660 ggcggttctg caaccttatc tatggcgcag gcggcggcac gttttgcatt agcattagtg 720 aaagcctcgc aaggtgcgaa agttgttgaa tgcgcttatg tggaaggcga cggcaaatat 780 gcccgtttct ttgcacaacc ggttcgttta ggtacagaag gtgttgaaga atacttaacc 840 ctgggtaaat taagtgcatt tgaagaaaaa gcgttaaatg ctatgttaga aactttacaa 900 ggtgacatta agtcaggtga agattttatt aacggttaa 939

Claims (8)

  1. 숙신산 생성능을 가지는 미생물에, 중심 사슬의 아마이드 작용기를 통해 NADH의 피로인산 부분과 상호작용하는 아미노산 잔기가 글루타민(Gl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산 탈수소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가 도입되어 있는 변이 미생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말산 탈수소효소는, i) 서열번호 40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유래의 말산 탈수소효소, 또는 ii) 서열번호 42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맨하이미아 숙시니프로두센스 유래의 말산 탈수소효소의 11번째 아미노산이 글루타민으로 치환된 말산 탈수소효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이 미생물.
  3. 제1항에 있어서, i) 상기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유래의 말산 탈수소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는 서열번호 41의 염기 서열로 표시되고, ii) 상기 맨하이미아 숙시니프로두센스 유래의 말산 탈수소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는 서열번호 43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이 미생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숙신산 생성능을 가지는 미생물은 맨하이미아 속 (Mannheimia sp.), 액티노바실러스 속 (Actinobacillus sp.), 언에어로바이오스피리륨 속 (Anaerobiospirillum sp.), 바스피아 속 (Basfia sp.), 대장균 (E. coli), 및 코리네박테리움 속 (Corynebacterium sp.)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이 미생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숙신산 생성능을 가지는 미생물은 Mannheimia succiniciproducens PALK (KCTC10973B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이 미생물.
  6.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숙신산 제조방법:
    (a)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변이 미생물을 배양하여 숙신산을 생성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생성된 숙신산을 회수하는 단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은 i) 글루코스, ii) 수크로스, iii) 글리세롤, iv)글루코스 및 글리세롤 또는 v) 수크로스 및 글리세롤을 탄소원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신산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은 혐기적 조건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신산 제조방법.
KR1020180120696A 2018-10-10 2018-10-10 고활성의 말산 탈수소효소가 도입된 숙신산 생성용 변이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숙신산 제조방법 KR102129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696A KR102129379B1 (ko) 2018-10-10 2018-10-10 고활성의 말산 탈수소효소가 도입된 숙신산 생성용 변이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숙신산 제조방법
AU2019357156A AU2019357156B2 (en) 2018-10-10 2019-05-02 Mutant microorganism introduced with highly active malate dehydrogenase for producing succinic acid and method of producing succinic acid using the same
JP2021545656A JP7295254B2 (ja) 2018-10-10 2019-05-02 高活性のリンゴ酸脱水素酵素が導入されたコハク酸生成用変異微生物及びこれを用いたコハク酸の製造方法
PCT/KR2019/005247 WO2020075943A1 (ko) 2018-10-10 2019-05-02 고활성의 말산 탈수소효소가 도입된 숙신산 생성용 변이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숙신산 제조방법
EP19762287.1A EP3660157A4 (en) 2018-10-10 2019-05-02 MUTANT MICRO-ORGANISM PRODUCING SUCCINIC ACID IN WHICH A DEHYDROGENASE MALATE WITH HIGH ACTIVITY IS INTRODUCED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SUCCINIC ACID USING THE SAME
US16/490,515 US11655462B2 (en) 2018-10-10 2019-05-02 Mutant microorganism introduced with highly active malate dehydrogenase for producing succinic acid and method of producing succinic acid using the same
CN201980002422.3A CN111295446B (zh) 2018-10-10 2019-05-02 引入高活性苹果酸脱氢酶用以生产琥珀酸的突变型微生物及使用其生产琥珀酸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696A KR102129379B1 (ko) 2018-10-10 2018-10-10 고활성의 말산 탈수소효소가 도입된 숙신산 생성용 변이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숙신산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0585A true KR20200040585A (ko) 2020-04-20
KR102129379B1 KR102129379B1 (ko) 2020-07-02

Family

ID=70164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0696A KR102129379B1 (ko) 2018-10-10 2018-10-10 고활성의 말산 탈수소효소가 도입된 숙신산 생성용 변이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숙신산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655462B2 (ko)
EP (1) EP3660157A4 (ko)
JP (1) JP7295254B2 (ko)
KR (1) KR102129379B1 (ko)
CN (1) CN111295446B (ko)
AU (1) AU2019357156B2 (ko)
WO (1) WO20200759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8159B1 (ko) * 2021-01-29 2021-05-27 씨제이제일제당 (주) 신규한 말레이트 디하이드로게나제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l-라이신 생산 방법
WO2023093796A1 (zh) * 2021-11-24 2023-06-01 中国科学院天津工业生物技术研究所 一种高产丁二酸的耐酸酵母菌株及其构建方法和应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29945A1 (en) 2008-07-08 2011-09-22 Mickel Leonardus August Jansen Dicarboxylic acid production by fermentation at low ph
US20120040422A1 (en) 2009-04-15 2012-02-16 Dsm Ip Asset B.V. Dicarboxylic acid production process
US20130302866A1 (en) 2011-01-25 2013-11-14 Bioamber S.A.S.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succinate production
US20140363862A1 (en) 2012-01-25 2014-12-11 BioAmber International S.à.r.l. Methods for Succinate Production
US20150057425A1 (en) 2009-11-24 2015-02-26 Dsm Ip Assets B.V. Process for the crystallization of succinic acid
KR20160114184A (ko) * 2009-11-18 2016-10-04 미리안트 코포레이션 화합물들의 효과적인 생산을 위한 미생물 엔지니어링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32350A1 (de) * 2000-07-04 2002-01-24 Degussa Neue für das mdhA-Gen kodierende Nukleotidsequenzen
KR20070065870A (ko) 2004-09-17 2007-06-25 라이스 유니버시티 다량의 숙신산염을 생산하는 세균
JP4760121B2 (ja) * 2005-05-17 2011-08-31 三菱化学株式会社 コハク酸の製造方法
KR100676160B1 (ko) * 2005-08-19 2007-02-01 한국과학기술원 말릭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로 형질전환된 재조합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숙신산의 제조방법
KR100780324B1 (ko) * 2006-07-28 2007-11-29 한국과학기술원 신규 순수 숙신산 생성 변이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숙신산제조방법
WO2008126896A1 (ja) * 2007-04-10 2008-10-23 Ajinomoto Co., Inc. 有機酸の製造方法
KR101103839B1 (ko) * 2007-07-12 2012-01-06 한국과학기술원 순수 숙신산 생성 변이균주 및 이를 이용한 숙신산제조방법
CN102317432B (zh) 2007-08-17 2015-11-25 巴斯夫欧洲公司 巴斯德氏菌科(Pasteurellaceae)的羧酸产生成员
BRPI0819273B8 (pt) * 2007-11-20 2022-07-19 Dsm Ip Assets Bv Célula microbiana eucariótica recombinante e processo para a preparação de um ácido dicarboxílico
KR101093199B1 (ko) * 2009-02-12 2011-12-12 한국과학기술원 글리세롤 대사능력 및 숙신산 생산능력이 향상된 재조합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숙신산의 제조방법
KR101221557B1 (ko) 2010-08-30 2013-01-14 한국과학기술원 수크로오즈와 글리세롤을 동시에 이용하는 신규 숙신산 생성 변이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숙신산 제조방법
CN102604880A (zh) 2012-04-05 2012-07-25 南京工业大学 一株产丁二酸基因工程菌及其发酵生产丁二酸的方法
IN2015DN02873A (ko) 2012-10-02 2015-09-11 Michigan Biotech Inst
KR20160144258A (ko) * 2015-06-08 2016-12-16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숙신산 합성 효소의 효소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한 숙신산 생산 방법
US20170306363A1 (en) * 2016-04-25 2017-10-26 Alliance For Sustainable Energy, Llc Metabolic engineering for enhanced succinic acid biosynthesis
CA3030605A1 (en) * 2016-07-13 2018-01-18 Dsm Ip Assets B.V. Malate dehyrogenase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29945A1 (en) 2008-07-08 2011-09-22 Mickel Leonardus August Jansen Dicarboxylic acid production by fermentation at low ph
US20120040422A1 (en) 2009-04-15 2012-02-16 Dsm Ip Asset B.V. Dicarboxylic acid production process
KR20160114184A (ko) * 2009-11-18 2016-10-04 미리안트 코포레이션 화합물들의 효과적인 생산을 위한 미생물 엔지니어링
US20150057425A1 (en) 2009-11-24 2015-02-26 Dsm Ip Assets B.V. Process for the crystallization of succinic acid
US20130302866A1 (en) 2011-01-25 2013-11-14 Bioamber S.A.S.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succinate production
US20140363862A1 (en) 2012-01-25 2014-12-11 BioAmber International S.à.r.l. Methods for Succinate Production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hn et al., Curr. Opin. Biotechnol., 2016, 42: 54-66
Kim et al., Biotechnology journal, 2016, 12(2), 1600701.
Liang et al., Biotechnology letters, 2011, 33(12), 2439-2444.
Wang et al., Bioprocess Biosyst Eng 2009, 32:737-74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10499A (ja) 2022-01-26
JP7295254B2 (ja) 2023-06-20
WO2020075943A1 (ko) 2020-04-16
US11655462B2 (en) 2023-05-23
AU2019357156B2 (en) 2023-04-13
EP3660157A9 (en) 2020-07-29
EP3660157A1 (en) 2020-06-03
CN111295446B (zh) 2023-11-28
EP3660157A4 (en) 2020-12-30
AU2019357156A1 (en) 2021-04-29
CN111295446A (zh) 2020-06-16
US20210332332A1 (en) 2021-10-28
KR102129379B1 (ko) 2020-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6160B1 (ko) 말릭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로 형질전환된 재조합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숙신산의 제조방법
JP5641938B2 (ja) 真核細胞中におけるコハク酸の生成
EP2054502B2 (en) Novel engineered microorganism producing homo-succinic acid and method for preparing succinic acid using the same
EP2202294B1 (en) Bacterial cells having a glyoxylate shunt for the manufacture of succinic acid
KR20070021732A (ko) 푸마레이트 하이드라타제 c를 코딩하는 유전자로 형질전환된 재조합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숙신산의 제조방법
KR101616171B1 (ko) 유기산 제조에서의 모나스쿠스의 용도
CN109321590B (zh) 利用乙酸生产l-乳酸的基因工程菌及其构建方法和应用
EP2495304A1 (en) Dicarboxylic acid production in a yeast cell
EP2204443B1 (en) Bacterial cells exhibiting formate dehydrogenase activity for the manufacture of suc-cinic acid
CN112204146A (zh) 具有受抑制的乙醇产生途径的耐酸酵母及使用其生产乳酸的方法
US20210222210A1 (en) Methods and organism with increased xylose uptake
TW201712116A (zh) 用於製造乳酸之微生物及使用該微生物製造乳酸的方法
US20140045230A1 (en) Dicarboxylic acid production in a filamentous fungus
CN112481288A (zh) 促进谷氨酸棒杆菌发酵生产目标产物的方法
KR102129379B1 (ko) 고활성의 말산 탈수소효소가 도입된 숙신산 생성용 변이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숙신산 제조방법
CN112280723B (zh) 联产1,3-丙二醇和1,3-丁二醇的重组菌及其应用
KR101437041B1 (ko) 숙신산 내성 효모균주를 이용한 숙신산의 제조방법
KR102481504B1 (ko) 2,3-부탄디올 생산용 메탄자화균 형질전환체
US20210371844A1 (en) New mutant protein for improving malic acid yield
CN112695051B (zh) 一种利用木糖生产乙醇的基因工程菌及其构建方法和应用
KR102330595B1 (ko) 에탄올 생산 경로가 억제된 내산성 효모 및 이를 이용한 젖산의 제조방법
EP3394251B1 (en) Host cells for dicarboxylic acid prod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