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9540A - 낚시용 릴 - Google Patents

낚시용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9540A
KR20200039540A KR1020190077900A KR20190077900A KR20200039540A KR 20200039540 A KR20200039540 A KR 20200039540A KR 1020190077900 A KR1020190077900 A KR 1020190077900A KR 20190077900 A KR20190077900 A KR 20190077900A KR 20200039540 A KR20200039540 A KR 202000395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reel
unit
axis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7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토시 이케부쿠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200039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95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21Frame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2Frame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2Signalling devices, e.g. tip-up devices
    • A01K97/125Signalling devices, e.g. tip-up devices using electronic compon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Abstract

[과제] 릴 본체에 취부(取付)된 센서 유닛을 구비하는 낚시용 릴을 제공하는 것.
[해결 수단] 핸들축선(O1) 둘레로 회전 가능한 핸들(2)을 가지는 릴 본체(3)와, 릴 본체에 취부된 센서 유닛(6)을 구비하고, 센서 유닛은, 핸들축선과 동축(同軸)에 배치된 유닛 본체(92)와, 유닛 본체 내에 배치되고, 릴 본체의 사용 시의 거동을 검출하는 거동 센서(90, 91)와, 유닛 본체 내에 배치되고, 거동 센서로 검출된 거동에 기초하는 거동 데이터를 외부로 송신하는 통신부(93)를 구비하고 있는 낚시용 릴(1)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낚시용 릴{FISHING REEL}
본 발명은, 낚시용 릴에 관한 것이다.
낚시줄을 전방(前方)을 향하게 하여 방출하는 낚시용 릴로서, 각종의 정보를 검출하는 센서를 구비하는 것이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류의 센서는, 예를 들어 검출 대상, 센서 구조 등에 따라 취부(取付) 위치가 다르지만, 일반적으로는 릴 본체 내에 짜 넣어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릴 본체에 취부 가능한 취부 부품으로서, 예를 들어 하기 특허 문헌 1에 나타내지는 바와 같이, 릴 본체에 핸들을 장착하기 위한 핸들 장착부를 이용하여, 릴 본체에 취부 가능한 낚시용 릴의 릴 스탠드가 알려져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4-155460호
그렇지만, 릴 본체에 센서 등을 취부하는 기술은 알려져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에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릴 본체에 취부된 센서 유닛을 구비하는 낚시용 릴을 제공하는 것이다.
(1)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은, 핸들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한 핸들을 가지는 릴 본체와, 상기 릴 본체에 취부된 센서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센서 유닛은, 상기 핸들축선과 동축(同軸)에 배치된 유닛 본체와, 상기 유닛 본체 내에 배치되고, 상기 릴 본체의 사용 시의 거동을 검출하는 거동 센서와, 상기 유닛 본체 내에 배치되고, 상기 거동 센서로 검출된 상기 거동에 기초하는 거동 데이터를 외부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에 의하면, 센서 유닛의 통신부를 통하여, 거동 센서에 의하여 검출된 릴 본체의 거동에 기초하는 거동 데이터를 외부로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예를 들어 낚시를 행하면서, 거동 데이터를 리얼 타임으로 외부 장치 등으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거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릴 본체의 거동을 객관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져, 예를 들어 차회(次回)의 낚시에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센서 유닛 자체를 핸들축선 상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핸들 조작에 수반하는 거동을 호적(好適)하게 검출할 수 있고, 거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회전 불균일 등을 고정도(高精度)로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2) 상기 거동 센서 및 상기 통신부는, 상기 핸들축선을 따라서 나란히 놓이도록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설치 스페이스가 필요하게 되기 쉬운 거동 센서 및 통신부를 핸들축선을 따라서 나란히 놓이도록 배치하기 때문에, 이것들을 수용하는 유닛 본체가 핸들축선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대형화하여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 유닛이 낚시용 릴의 다른 구성 부품(로터 등)에 간섭하여 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쉽다.
(3) 상기 센서 유닛은, 상기 유닛 본체 내에 배치되고, 상기 거동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더 구비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센서 유닛의 기억부 내에도 거동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낚시를 끝낸 후여도, 릴 본체로부터 센서 유닛을 떼어내어 기억부에 액세스하는 것으로 거동 데이터를 외부 장치 등에 취득할 수 있다.
(4) 상기 릴 본체에는, 상기 핸들을 장착하기 위한 한 쌍의 핸들 장착부가, 상기 핸들축선과 동축에 외측을 향하여 개구(開口)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유닛 본체는, 일방(一方)의 상기 핸들 장착부를 이용하여 상기 릴 본체에 취부되고, 상기 핸들은, 타방(他方)의 상기 핸들 장착부를 이용하여 상기 릴 본체에 취부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릴 본체에 핸들을 장착하기 위한 핸들 장착부를 이용하여 센서 유닛을 취부할 수 있기 때문에, 릴 본체 측에 특별한 구조를 부가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예를 들어 기존의 릴 본체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져, 편리성을 향상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저코스트화를 도모하기 쉽다.
(5) 상기 핸들은, 상기 릴 본체에 상기 핸들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핸들축을 가지고, 상기 유닛 본체는, 상기 핸들축에 대하여 비접촉 상태로, 일방의 상기 핸들 장착부를 통하여 상기 릴 본체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취부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릴 본체에 대하여 센서 유닛을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취부할 수 있기 때문에, 센서 유닛을 신경쓰는 일 없이 낚시를 행하기 쉽다. 나아가, 유닛 본체 내의 각 부품에 핸들 조작에 수반하는 원심력 등의 응력이 작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장기(長期)에 걸쳐 안정된 작동 신뢰성을 확보하기 쉽다.
(6) 상기 핸들은, 상기 릴 본체에 상기 핸들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핸들축을 가지고, 상기 유닛 본체는, 일방의 상기 핸들 장착부를 통하여 상기 핸들축에 대하여 연결되는 연결축부를 가지고, 상기 릴 본체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취부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핸들 조작에 수반하여 센서 유닛 자체를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핸들 조작에 수반하는 거동을 호적하게 검출하기 쉽다.
본 발명에 의하면, 릴 본체에 취부된 센서 유닛을 구비하는 낚시용 릴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스피닝 릴(낚시용 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스피닝 릴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A-A선을 따른 스피닝 릴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센서 유닛의 주변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스피닝 릴이고, 센서 유닛의 주변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제1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덧붙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낚시용 릴로서 스피닝 릴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 ~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스피닝 릴(1)은, 핸들축선(O1) 둘레로 회전 가능한 핸들 조립체(본 발명에 관련되는 핸들)(2)를 가지고, 낚싯대(R)에 장착 가능하게 된 릴 본체(3)와, 릴 본체(3)에 대하여 스풀축선(O2)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조합된 로터(4)와, 릴 본체(3)에 대하여 스풀축선(O2)을 따라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조합되고, 도시하지 않는 낚시줄이 감겨지는 스풀(5)과, 릴 본체(3)에 대하여 이탈 가능하게 취부된 센서 유닛(6)을 주로 구비하고 있다.
덧붙여, 핸들축선(O1)과 스풀축선(O2)은, 서로 대략 직교하도록 교차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핸들축선(O1)을 따르는 방향을 좌우 방향(L1)으로서 정의하는 것과 함께, 스풀축선(O2)을 따르는 방향을 전후 방향(L2)으로서 정의한다. 나아가, 전후 방향(L2)에 있어서 스풀(5)로부터 낚시줄이 방출되는 방향을 전방, 그 반대 방향을 후방(後方)으로 정의하는 것과 함께, 스피닝 릴(1)을 후방 측으로부터 본 시점(즉, 도시하지 않는 유저 측으로부터 본 시점)에서 좌우를 정의한다.
나아가, 핸들축선(O1) 방향으로부터 본 시점에서, 핸들축선(O1)에 교차하는 방향을 경(徑)방향 이라고 하고, 핸들축선(O1) 둘레로 주회(周回)하는 방향을 둘레 방향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나아가, 경방향 중, 핸들축선(O1)으로부터 낚싯대(R)를 향하는 방향을 상방(上方)이라고 하고, 그 반대 방향을 하방(下方)이라고 한다.
(릴 본체)
릴 본체(3)는, 본체 프레임부(10), 덮개부(11) 및 가이드 부재(12)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 프레임부(10)는, 예를 들어 마그네슘 합금, 알루미늄 합금 등의 경합금제의 성형 부품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는 각종의 릴 구성 부재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13)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 프레임부(10)의 상부에는,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다리부(1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다리부(14)의 상단부(上端部)에는, 낚싯대(R)에 장착되는 장착편(15)이 낚싯대(R)를 따라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덧붙여, 도 1 ~ 도 3에 도시하는 낚싯대(R)는,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일반적으로 낚싯대(R)에 설치되는 릴 취부 대좌(臺座)(릴 시트) 등의 구성에 관해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덮개부(11)는, 본체 프레임부(10)와 마찬가지로 경합금제의 성형 부품으로 이루어지고, 본체 프레임부(10)에 대하여 떼어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수용 공간(13)은, 덮개부(11)에 의하여 예를 들어 빈틈없이(액밀(液密), 기밀(氣密) 등) 막혀 있다. 본체 프레임부(10)에 대한 덮개부(11)의 고정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본체 프레임부(10) 중 로터(4)의 후방 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배치된 고정 볼트(16)을 포함하는, 복수의 고정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12)는, 본체 프레임부(10)의 후부(後部) 및 덮개부(11)의 후부를 후방 측으로부터 덮는 커버 부품으로 되어 있다. 단, 가이드 부재(12)는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고, 구비하지 않아도 상관없다. 덧붙여, 가이드 부재(12)는, 도시하지 않는 고정 볼트에 의하여, 본체 프레임부(10)의 후부에 떼어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3)에는, 핸들 조립체(2)를 장착하기 위한 한 쌍의 핸들 장착부, 즉 제1 핸들 장착부(20) 및 제2 핸들 장착부(30)가, 핸들축선(O1)과 동축에 외측을 향하여 개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핸들 장착부(20)는 본체 프레임부(10)의 우측면에 형성되고, 제2 핸들 장착부(30)는 덮개부(11)의 좌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핸들 장착부(20)는, 본체 프레임부(10)의 우측면으로부터 당해 본체 프레임부(10)의 우측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핸들축선(O1)과 동축에 배치된 원통상(圓筒狀)의 제1 장착통(21)과, 제1 장착통(21)의 내주면(內周面)에 형성된 제1 나사부(22)(예를 들어 수나사)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장착통(21)의 내측은, 수용 공간(13) 내와 외부를 연통(連通)하는 제1 장착 구멍(23)으로 되어 있다.
나아가 본체 프레임부(10)의 우측면에는, 수용 공간(13)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핸들축선(O1)과 동축에 배치된 원통상의 제1 보지통(保持筒)(24)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보지통(24)의 내측에는, 핸들축선(O1)과 동축에 배치된 제1 베어링(25)이 취부되어 있다.
제1 베어링(25)은, 예를 들어 볼 베어링으로 이루어지고, 제1 보지통(24)의 내측에 외륜(25a)이 강고하게 감합(嵌合)되는 것으로, 제1 보지통(24)을 통하여 릴 본체(3)에 보지(保持)되어 있다. 덧붙여, 제1 베어링(25)은, 좌우 방향(L1)으로 위치 결정된 상태로 제1 보지통(24)의 내측에 취부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핸들 장착부(30)는, 덮개부(11)의 좌측면으로부터 당해 본체 프레임부(10)의 좌측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핸들축선(O1)과 동축에 배치된 원통상의 제2 장착통(31)과, 제2 장착통(31)의 내주면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는 제2 나사부(예를 들어 수나사)를 구비하고 있다. 제2 장착통(31)은, 제1 장착통(21)과 같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1 나사부(22)의 나사 직경과 제2 나사부의 나사 직경은, 동일 직경으로 되어 있다.
제2 장착통(31)의 내측은, 수용 공간(13) 내와 외부를 연통하는 제2 장착 구멍(33)으로 되어 있다. 덧붙여, 제1 장착 구멍(23) 및 제2 장착 구멍(33)은, 수용 공간(13)을 사이에 두고 좌우 방향(L1)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과 함께 핸들축선(O1)과 동축 상에 배치되어 있다.
나아가 덮개부(11)의 좌측면에는, 수용 공간(13)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핸들축선(O1)과 동축에 배치된 원통상의 제2 보지통(34)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보지통(34)의 내측에는, 핸들축선(O1)과 동축에 배치된 제2 베어링(35)이 취부되어 있다.
제2 베어링(35)은, 예를 들어 볼 베어링으로 이루어지고, 제2 보지통(34)의 내측에 외륜(35a)이 강고하게 감합되는 것으로, 제2 보지통(34)을 통하여 릴 본체(3)에 보지되어 있다. 덧붙여, 제2 베어링(35)은, 좌우 방향(L1)으로 위치 결정된 상태로 제2 보지통(34)의 내측에 취부되어 있다.
핸들 조립체(2) 및 센서 유닛(6)은, 상술한 제1 핸들 장착부(20) 및 제2 핸들 장착부(30)를 이용하여 릴 본체(3)에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센서 유닛(6)이 제1 핸들 장착부(20)를 이용하여 릴 본체(3)의 우측에 장착되고, 핸들 조립체(2)가 제2 핸들 장착부(30)를 이용하여 릴 본체(3)의 좌측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스피닝 릴(1)은, 좌 핸들의 경우를 예로 하고 있다. 단, 이 경우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제1 핸들 장착부(20)를 이용하여 핸들 조립체(2)를 장착하고, 제2 핸들 장착부(30)를 이용하여 센서 유닛(6)을 장착하는 것으로, 우 핸들의 형태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핸들 조립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 조립체(2)는, 릴 본체(3)에 대하여 핸들축선(O1)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핸들축(40)과, 핸들축(40)에 연결되고, 핸들축(40)을 통하여 릴 본체(3)에 대하여 핸들축선(O1)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취부된 핸들 암(41)과, 핸들 암(41)의 선단부(先端部)(41a)에 고정된 노브축(42)과, 노브축(4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핸들 노브(43)를 구비하고 있다.
핸들 암(41)은, 핸들축선(O1)의 경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그 기단부(基端部)(41b)는 덮개부(11)보다도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핸들축(40)은, 핸들 암(41)의 기단부(41b)에 예를 들어 연결 나사(44)를 통하여 일체적으로 연결되고, 핸들축선(O1)과 동축에 배치된 상태로 제2 장착 구멍(33)을 통하여 릴 본체(3)의 내측에 좌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있다. 핸들축(40)은, 로터 구동 기구(50)를 구성하는 원통상의 드라이브축(51)의 내측에 예를 들어 나착(螺着)되는 것으로, 드라이브축(51)에 대하여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드라이브축(51)에 관하여 설명한다.
드라이브축(51)은, 예를 들어 냉간 단조 등에 의하여 성형된 금속제의 원통 부품이며, 핸들축선(O1)과 동축에 배치되고, 그 양 단부(端部)는 좌우 방향(L1)으로 개구하고 있다. 드라이브축(51)의 우측 단부는, 제1 장착 구멍(23) 내에 배치되는 것과 함께, 제1 베어링(25)의 내륜(25b)의 내측에 강고하게 감합되어 있다. 드라이브축(51)의 좌측 단부는, 제2 장착 구멍(33) 내에 배치되는 것과 함께, 제2 베어링(35)의 내륜(35b)의 내측에 강고하게 감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드라이브축(51)은, 제1 베어링(25) 및 제2 베어링(35)에 의하여 핸들축선(O1)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과 함께, 제1 베어링(25) 및 제2 베어링(35)을 통하여 릴 본체(3)에 보지되어 있다.
드라이브축(51)에 있어서의 우측 단부의 내주면에는, 제3 나사부(52)(예를 들어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드라이브축(51)에 있어서의 좌측 단부의 내주면에는, 제4 나사부(53)(예를 들어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3 나사부(52)의 나사 직경과 제4 나사부(53)의 나사 직경은, 동일 직경으로 되어 있다.
상술과 같이 구성된 드라이브축(51)에 대하여, 핸들축(40)의 외주면(外周面)에는, 제3 나사부(52) 및 제4 나사부(53) 중 어느 하나의 나사부에 대해서도 나합(螺合) 가능한 제5 나사부(45)(예를 들어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핸들축(40)은, 드라이브축(51)의 제4 나사부(53)에 대하여 제5 나사부(45)가 나합되는 것으로, 드라이브축(51)의 내측으로 비집고 들어간 상태로 당해 드라이브축(51)에 대하여 나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핸들축(40)은 드라이브축(51)에 대하여 일체로 조합되어 있다. 그 결과, 핸들 조립체(2)는 드라이브축(51)을 통하여 릴 본체(3)에 대하여 핸들축선(O1)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다.
덧붙여, 핸들 암(41)의 기단부(41b)와 덮개부(11)와의 사이에는, 핸들 테두리(46)가 배치되어 있다. 핸들 테두리(46)는, 핸들축(40) 중 핸들 암(41)의 기단부(41b)와 덮개부(11)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 및 제2 장착통(31)을 경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덮는 통상(筒狀)으로 형성되어 있다. 핸들 테두리(46)는, 핸들 암(41)의 기단부(41b)와 함께 핸들축선(O1) 둘레를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노브축(42)는, 핸들 암(41)의 선단부(41a)에, 그 축선이 핸들축선(O1)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고정되어 있다. 핸들 노브(43)는, 노브축(4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노브축(42)을 통하여 핸들 암(41)의 선단부(41a)에 취부되어 있다.
상술과 같이 구성된 핸들 조립체(2)는, 제4 나사부(53)와 제5 나사부(45)와의 나합을 해제하면서, 핸들축(40)을 드라이브축(51)으로부터 뽑아 내는 것으로 제2 핸들 장착부(30)로부터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핸들 조립체(2)를 제1 핸들 장착부(20) 측에 바꾸어 끼우는 것으로, 우 핸들의 형태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제1 장착 구멍(23)을 통하여 핸들축(40)을 릴 본체(3) 내로 우측으로부터 삽입하는 것과 함께, 드라이브축(51)의 제3 나사부(52)에 대하여 제5 나사부(45)를 나합시키면 된다. 이것에 의하여, 핸들축(40)을 드라이브축(51)의 내측에 끼워 넣을 수 있고, 핸들축(40)과 드라이브축(51)을 일체로 조합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핸들 장착부(20)에 핸들 조립체(2)를 장착하여 우 핸들의 형태로 하였을 경우에는, 제2 핸들 장착부(30)를 이용하여 센서 유닛(6)을 릴 본체(3)의 좌측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로터)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터(4)는, 릴 본체(3)의 전부(前部) 측에 스풀축선(O2)과 동축에 배치되고, 정상이 있는 통상으로 형성된 원통체(60)와, 원통체(60)에 연결된 제1 암부(61) 및 제2 암부(62)를 구비하고 있다.
원통체(60)는, 후방으로 개구하고 있고, 릴 본체(3)의 전부 측을 경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둘러싸도록 릴 본체(3)에 대하여 전방 측으로부터 조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로터(4)는 릴 본체(3)에 대하여, 스풀축선(O2)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조합되어 있다.
제1 암부(61) 및 제2 암부(62)는, 스풀축선(O2)을 사이에 두고 경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암부(61)의 전단부 및 제2 암부(62)의 전단부에는, 베일 암(63)이 회동(回動) 가능(요동(搖動) 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다.
베일 암(63)은, 제1 암부(61)의 전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취부된 제1 베일 지지 부재(64)와, 제2 암부(62)의 전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취부된 제2 베일 지지 부재(65)와, 제1 베일 지지 부재(64)의 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취부된 라인 롤러(66)와, 대략 U 형상으로 만곡(彎曲) 형성되고, 제1 베일 지지 부재(64)와 제2 베일 지지 부재(65)와의 사이를 잇도록 배치된 베일(67)을 구비하고 있다.
베일(67)은, 그 일단부(一端部)가 라인 롤러를(66)을 통하여 제1 베일 지지 부재(64)의 전단부에 고정되고, 또한 그 타단부(他端部)가 제2 베일 지지 부재(65)의 전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라인 롤러(66)는, 낚시줄을 스풀(5)로 안내한다.
(스풀)
스풀(5)은, 낚시줄이 감겨지는 줄 감기 몸통부(70)와, 줄 감기 몸통부(70)의 후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로터(4)를 경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둘러싸는 원통상의 스커트부(71)를 구비하고, 로터(4)보다도 전방 측에 스풀축선(O2)과 동축에 배치되어 있다.
스풀(5)은, 줄 감기 몸통부(70)가 제1 암부(61)와 제2 암부(62)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오실레이팅 기구(80)에 의하여 스풀축선(O2)을 따라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스풀(5)은 릴 본체(3)에 대하여 스풀축선(O2)을 따라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3)의 수용 공간(13) 내에는, 핸들 조립체(2)의 회전 조작에 기초하여 로터(4)를 스풀축선(O2) 둘레로 회전시키는 로터 구동 기구(50)와, 핸들 조립체(2)의 회전 조작에 기초하여 스풀(5)을 스풀축선(O2) 방향으로 왕복 이동(전후 이동)시키는 오실레이팅 기구(80)와, 로터(4)의 역전을 방지하는 도시하지 않는 역전 방지 기구가 더 설치되어 있다.
(로터 구동 기구)
로터 구동 기구(50)는, 상술한 드라이브축(51)과, 드라이브축(51)에 형성된 드라이브 기어(51a)와, 드라이브 기어(51a)에 맞물리는 것과 함께 드라이브축(51)의 회전에 수반하여 스풀축선(O2) 둘레로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54)에 의하여 주로 구성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54)는, 스풀축선(O2)과 동축에 배치된 도시하지 않는 원통상의 피니언축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피니언축은, 예를 들어 드라이브축(51)보다도 하방에서, 또한 전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로터(4)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피니언 기어(54) 및 피니언축을 통하여 로터(4)를 스풀축선(O2) 둘레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로터 구동 기구(50)는, 핸들 조립체(2)의 회전 조작으로 발생한 회전력을 로터(4)로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덧붙여, 피니언축의 내측에는, 스풀축(55)이 스풀축선(O2)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삽통(揷通)되어 있다.
(오실레이팅 기구)
오실레이팅 기구(80)는, 피니언 기어(54)에 맞물리는 도시하지 않는 중간 기어와, 스풀축(55)에 평행으로 배치된 나축(螺軸)(81)과, 나축(81)의 회전에 수반하여 나축(81)을 따라서 왕복 이동하는 슬라이더(82)를 구비하고 있다.
중간 기어 및 나축(81)은, 피니언 기어(54)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슬라이더(82)는, 스풀축(55)에 대하여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 때문에, 나축(81)의 회전에 수반하여 슬라이더(82)를 나축(81)을 따라서 왕복 이동시킬 수 있는 것과 함께, 슬라이더(82)에 고정된 스풀축(55)을 스풀축선(O2)을 따라서 왕복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오실레이팅 기구(80)는, 핸들 조립체(2)의 회전 조작으로 발생한 회전력을 직선의 운동력으로 변환하여 스풀(5)로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센서 유닛)
센서 유닛(6)은, 제1 핸들 장착부(20)를 이용하여, 릴 본체(3)의 우측에 장착되어 있다. 단, 먼저 서술한 바와 같이, 핸들 조립체(2)를 바꿔 끼워 우 핸들 형태로 하였을 경우에는, 제2 핸들 장착부(30)를 이용하여 센서 유닛(6)을 릴 본체(3)의 좌측에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센서 유닛(6)은, 릴 본체(3)의 사용 시의 거동을 검출하는 거동 센서를 가지고 있다. 릴 본체(3)의 사용 시의 거동이란, 낚시를 행하는 데에 있어서, 릴 본체(3)에 작용하는 외력 혹은 유저 자신의 조작에 대응하여 변화하는, 릴 본체(3)의 움직임(동작)을 가리킨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캐스팅에 수반하여 릴 본체(3)에 작용하는 가속도, 속도 혹은 진동, 또는, 어신(漁信)에 의하여 릴 본체(3)에 작용하는 진동, 또는 핸들 조작에 수반하는 핸들 회전수, 핸들 회전 속도, 핸들 각속도 등의 핸들 회전 정보가 본 발명에 관련되는 거동에 포함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핸들 조작에 수반하는 핸들 회전 정보를 검출하는 로터리 엔코더(90), 및 릴 본체(3)에 작용하는 가속도를 검출하는 3축 가속도 센서(91)의 2개의 센서를 거동 센서로서 이용하고 있는 경우를 예로 하고 있다.
단, 이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검출하는 거동에 대응하여 거동 센서를 적의(適宜) 선택하여도 상관없다. 나아가서는, 거동 센서의 수는, 2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1개 혹은 3개 이상 설치하여도 상관없다.
센서 유닛(6)은, 핸들축선(O1)과 동축에 배치된 유닛 본체(92)와, 유닛 본체(92) 내에 배치된 상기 로터리 엔코더(90) 및 3축 가속도 센서(91)와, 유닛 본체(92) 내에 배치되고, 로터리 엔코더(90) 및 3축 가속도 센서(91)로 각각 검출된 거동(핸들 회전 정보 및 가속도)에 기초하는 거동 데이터(핸들 회전 데이터 및 가속도 데이터)를 외부로 송신하는 통신부(93)와, 유닛 본체(92) 내에 배치되고, 핸들 회전 데이터 및 가속도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94)와, 연산 처리부인 도시하지 않는 CPU 등의 제어부(95)가 실장(實裝)된 제어 기판(96)과, 전원부(97)를 주로 구비하고 있다.
유닛 본체(92)는, 유닛 케이스(100) 및 유닛 캡(110)을 구비하고 있다.
유닛 케이스(100)는, 제1 장착 구멍(23)을 우측으로부터 가리도록, 제1 장착통(21)의 우측에 배치된 격벽부(101)와, 격벽부(101)로부터 우측을 향하여 연장된 원통상의 둘레 벽부(102)와, 격벽부(101)로부터 좌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것과 함께 제1 장착통(21)의 내측에 나착된 연결통(103)과, 격벽부(101)의 외주 가장자리부로부터 좌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것과 함께 제1 장착통(21)을 경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둘러싸는 위요통(圍繞筒)(104)을 구비하고, 핸들축선(O1)과 동축에 배치되어 있다.
격벽부(101)는, 제1 장착통(21)의 외경(外徑)보다도 확경(擴徑)한 원판상(圓板狀)으로 형성되고, 제1 장착통(21)의 개구단 가장자리에 대하여 근접 혹은 접촉하고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격벽부(101)는, 제1 장착통(21)의 개구단 가장자리에 대하여 근접하고 있는 경우를 예로 하고 있다.
둘레 벽부(102)는, 격벽부(101) 측에 배치된 대경부(大徑部)(102a)와, 대경부(102a)보다도 우측에 배치된 소경부(小徑部)(102b)를 구비한 2단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덧붙여, 대경부(102a)의 내경(內徑)과 소경부(102b)의 내경은, 같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소경부(102b)의 외주면 중, 당해 소경부(102b)의 개구단 가장자리 측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제6 나사부(105)(예를 들어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 소경부(102b)의 외주면 중, 제6 나사부(105)보다도 대경부(102a) 측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실 링(seal ring)(106)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둘레 벽부(102)의 내측은, 각종의 구성 부품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107)으로 되어 있다.
연결통(103)의 외주면 중, 당해 연결통(103)의 개구단 가장자리 측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제1 장착통(21)에 형성된 제1 나사부(22)에 나합하는 제7 나사부(108)(예를 들어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나사부(22)와 제7 나사부(108)와의 나합에 의하여, 연결통(103)은 제1 장착통(21)의 내측에 나착에 의하여 일체로 조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센서 유닛(6)의 전체는 제1 핸들 장착부(20)를 이용하여, 릴 본체(3)에 대하여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다. 덧붙여, 연결통(103)의 외주면 중 제7 나사부(108)보다도 격벽부(101) 측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실 링(109)이 설치되어 있다.
위요통(104)은, 예를 들어 개구단 가장자리가 본체 프레임부(10)의 우측면에 대하여 접촉한 상태로 제1 장착통(21)을 경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둘러싸고 있다. 덧붙여, 위요통(104)의 내주면은, 제1 장착통(21)의 외주면에 대하여 근접 혹은 접촉하고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위요통(104)의 내주면이 제1 장착통(21)의 외주면에 대하여 근접하고 있는 경우를 예로 하고 있다.
유닛 캡(110)은, 캡 벽부(111) 및 캡 통부(112)를 구비한 정상이 있는 통상으로 형성되고, 핸들축선(O1)과 동축에 배치되어 있다.
캡 벽부(111)는, 유닛 케이스(100)의 소경부(102b)보다도 확경한 원판상으로 형성되고, 소경부(102b)의 개구단 가장자리에 대하여 근접 혹은 접촉하고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캡 벽부(111)는, 소경부(102b)의 개구단 가장자리에 대하여 근접하고 있는 경우를 예로 하고 있다.
캡 통부(112)는, 캡 벽부(111)의 외주 가장자리부로부터 좌측을 향하여 연장된 원통상으로 형성되고, 소경부(102b)를 경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둘러싸고 있다. 캡 통부(112)의 내주면에는, 소경부(102b)에 형성된 제6 나사부(105)에 나합하는 제8 나사부(113)(예를 들어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6 나사부(105)와 제8 나사부(113)와의 나합에 의하여, 유닛 캡(110)은 유닛 케이스(100)에 나착에 의하여 일체로 조합되어 있다. 덧붙여, 유닛 케이스(100)에 대한 유닛 캡(110)의 나착에 의하여, 수용 공간(107) 내는 밀폐된 상태로 되어 있다.
덧붙여, 캡 통부(112)의 외경은, 유닛 케이스(100)의 대경부(102a)의 외경과 같은 직경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유닛 케이스(100)와의 사이에 단차를 넣는 일 없이, 유닛 캡(110)을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단, 이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캡 통부(112)의 외경을 유닛 케이스(100)의 대경부(102a)의 외경보다도 크게 형성하여도 상관없다.
유닛 본체(92)의 수용 공간(107) 내에는, 로터리 엔코더(90)를 구성하는 센서부(90a), 3축 가속도 센서(91), 통신부(93), 기억부(94), 제어 기판(96) 및 전원부(97)가 배치되어 있다. 이 중, 설치 스페이스가 주로 필요하게 되기 쉬운 센서부(90a), 3축 가속도 센서(91), 통신부(93), 제어 기판(96) 및 전원부(97)는, 핸들축선(O1)을 따라서 일렬로 나란히 놓이도록 배치되어 있다.
로터리 엔코더(90)는, 앱설루트 타입의 자기식의 엔코더로 되어 있다. 로터리 엔코더(90)는, 핸들축(40)에 수반하여 회전하는 드라이브축(51)에 취부되고, S극 및 N극이 둘레 방향으로 번갈아 착자(着磁)된 자성체(90b)와, 자계의 변화에 대응하여 저항값이 변화하는 자기 저항 소자인 센서부(90a)를 구비하고 있다.
자성체(90b)는, 드라이브축(51)의 우측 단부의 내측에 나착된 연결축부(120)를 통하여 드라이브축(51)에 취부되어 있다. 연결축부(120)는, 드라이브축(51)에 형성된 제3 나사부(52)에 나합하는 제9 나사부(121)(예를 들어 수나사부)가 외주면에 형성되고, 드라이브축(51)의 우측 단부의 내측에 나착된 축 본체(122)와, 축 본체(122)에 일체로 형성되고, 드라이브축(51)의 우측 단부보다도 우측에 배치된 헤드부(123)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축부(120)는, 드라이브축(51)의 우측 단부의 내측에 축 본체(122)가 나착되는 것으로, 드라이브축(51)과 함께 핸들축선(O1)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헤드부(123)는, 격벽부(101)에 대하여 비접촉 상태로, 연결통(103)의 내측에 수용되어 있다. 그 때문에, 유닛 본체(92)는, 핸들축(40)과 함께 회전하는 드라이브축(51) 및 연결축부(120)에 대하여 비접촉 상태로 릴 본체(3)에 대하여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다.
자성체(90b)는 헤드부(123)에 예를 들어 매설되도록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자성체(90b)는, 연결축부(120) 및 드라이브축(51)을 통하여, 핸들축(40)과 함께 핸들축선(O1) 둘레를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센서부(90a)는, 예를 들어 일부가 격벽부(101) 내에 비집고 들어간 상태로 수용 공간(107) 내에 배치되고, 격벽부(101)를 통하여 자성체(90b)의 회전에 수반하는 자계의 변화에 대응하여 저항값이 변화한다. 따라서, 센서부(90a)는, 저항값 변화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핸들 회전수, 회전 속도, 각속도 등의 핸들 회전 상태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3축 가속도 센서(91)는, 예를 들어 피에조 저항형 혹은 정전 용량형의 센서이며, 핸들축선(O1) 방향, 스풀축선(O2) 방향 및 상하 방향의 3축의 가속도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3축 가속도 센서(91)는, 로터리 엔코더(90)의 센서부(90a)보다도 우측에 배치된 상태로 수용 공간(107) 내에 배치되어 있다.
제어부(95)가 실장된 제어 기판(96)은, 3축 가속도 센서(91)보다도 우측에 배치된 상태로 수용 공간(107) 내에 배치되어 있다. 제어부(95)는, 센서 유닛(6)의 작동을 종합적으로 제어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과 함께, 센서부(90a) 및 3축 가속도 센서(91)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핸들 회전 데이터 및 가속도 데이터를 생성한다.
통신부(93)는, 예를 들어 무선 송신 모듈로 이루어지고, 제어부(95)에 의하여 생성된 핸들 회전 데이터 및 가속도 데이터를 외부로 무선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통신부(93)는 제어 기판(96)과 3축 가속도 센서(91)와의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수용 공간(107) 내에 배치되어 있다.
기억부(94)는, 예를 들어 플래쉬 메모리 등이며, 제어 기판(96)에 실장되어 있다. 기억부(94)에는, 예를 들어 제어부(95)에 각종의 연산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혹은 테이블이 미리 격납(格納)되어 있다. 나아가 기억부(94)는, 제어부(95)에 의하여 생성된 핸들 회전 데이터 및 가속도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덧붙여, 제어 기판(96)에는, 도시하지 않는 외부 접속 단자가 취부되어 있고, 외부 접속 단자를 통하여 기억부(94)에 외부로부터 액세스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전원부(97)는, 예를 들어 버튼 전지 등의 교환 가능한 일차 전지, 혹은 충방전 가능한 2차 전지(97a, 97b) 등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원부(97)로서, 버튼형(코인형)의 2개의 2차 전지(97a, 97b)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2개의 2차 전지(97a, 97b)는, 핸들축선(O1)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것으로, 직렬로 전기 접속되어 있다. 덧붙여, 이들 2개의 2차 전지(97a, 97b)는, 도시하지 않는 단자판을 통하여 제어 기판(96)에 전기 접속되어 있고, 제어 기판(96)을 통하여 센서 유닛(6)의 각 구성 부품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
(스피닝 릴의 작용)
다음으로, 상술과 같이 구성된 스피닝 릴(1)을 이용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캐스팅을 행하는 경우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베일 암(63)을 줄 개방 자세로 넘어뜨리고, 낚싯대(R)를 전방을 향하게 하여 나오게 한다. 이것에 의하여, 스풀(5)의 줄 감기 몸통부(70)에 감겨진 낚시줄을 전방을 향하게 하여 방출할 수 있다.
그 후, 낚시줄을 감아 올리는 경우에는, 베일 암(63)을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줄 안내 자세로 되돌린다. 이것에 의하여, 낚시줄이 베일 암(63)에 의하여 라인 롤러(66)로 안내된다. 이 상태로, 핸들 노브(43)을 잡으면서, 핸들 조립체(2)를 핸들축선(O1) 둘레로 회전시켜, 핸들 조작을 행한다.
핸들 조립체(2)의 회전력은, 로터 구동 기구(50)에 의하여 로터(4)로 전달되기 때문에, 당해 로터(4)를 스풀축선(O2) 둘레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것과 동시에, 핸들 조립체(2)의 회전력은, 오실레이팅 기구(80)에 의하여 스풀(5)로 전달되기 때문에, 당해 스풀(5)을 스풀축선(O2)을 따라서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스풀(5)을 전후 방향(L2)으로 왕복 이동시키면서 로터(4)를 회전시킬 수 있고, 라인 롤러(66)를 통하여 낚시줄을 스풀(5)의 줄 감기 몸통부(70)에 치우침 없이 감을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의 스피닝 릴(1)에 의하면, 센서 유닛(6)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로터리 엔코더(90) 및 3축 가속도 센서(91)에 의하여, 상술한 낚시 중에 있어서의 핸들 회전 정보 및 3축의 가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로터리 엔코더(90) 및 3축 가속도 센서(91)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제어부(95)가 생성한 핸들 회전 데이터 및 가속도 데이터를, 통신부(93)를 통하여 외부로 송신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낚시를 행하면서, 핸들 회전 데이터 및 가속도 데이터를, 휴대 단말 등의 외부 장치에 리얼 타임으로 송신할 수 있다.
나아가, 기억부(94) 내에도 핸들 회전 데이터 및 가속도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낚시를 끝낸 후여도, 릴 본체(3)로부터 센서 유닛(6)을 떼어내어 기억부(94)에 액세스하는 것으로, 핸들 회전 데이터 및 가속도 데이터를 외부 장치에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덧붙여, 이 경우에는, 예를 들어 유닛 캡(110)을 떼어낸 후, 2개의 2차 전지(97a, 97b)를 떼어내는 것으로, 외부 접속 단자를 통하여 기억부(94)에 액세스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외부 장치 등을 이용하여, 핸들 회전 데이터 및 가속도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는 것과 함께, 필요에 따라서 해석 등을 행하는 것으로, 릴 본체(3)의 거동을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속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캐스팅 시에 있어서의 낚시줄의 방출 속도나, 방출 거리 등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핸들 회전 데이터에 기초하여, 핸들 회전 조작에 회전 불균일이 있었는지 여부 등을 파악할 수 있고, 유저의 핸들 조작성의 습관, 조작 경향 등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핸들 회전 데이터 및 가속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어떠한 핸들 조작을 행하였을 때에 어신이 있었는지 등을 파악할 수 있고, 어신과 핸들 조작과의 상관 관계 등을 파악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릴 본체(3)의 거동을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차회의 낚시에 활용할 수 있다. 덧붙여, 핸들 회전 데이터 및 가속도 데이터의 해석을 행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외부 장치에 인스톨한 전용의 어플리케이션 등으로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스피닝 릴(1)에 의하면, 릴 본체(3)에 취부된 센서 유닛(6)을 구비하는 릴로 할 수 있다. 특히, 센서 유닛(6) 자체를, 핸들축선(O1) 상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핸들 조작에 수반하는 거동을 호적하게 검출할 수 있고, 회전 불균일 등을 고정도로 검출하기 쉽다.
나아가, 설치 스페이스가 주로 필요하게 되기 쉬운 센서부(90a), 3축 가속도 센서(91), 통신부(93), 제어 기판(96) 및 전원부(97)를 핸들축선(O1)을 따라서 일렬로 나란히 놓이도록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것들을 수용하는 유닛 본체(92)가 핸들축선(O1)에 대하여 교차하는 경방향으로 대형화하여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센서 유닛(6)이 스피닝 릴(1)의 다른 구성 부품(로터(4) 등)에 간섭하여 버리는 것을 적절히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릴 본체(3)에 핸들 조립체(2)를 장착하기 위한 핸들 장착부(제1 핸들 장착부(20) 또는 제2 핸들 장착부(30))를 이용하여 센서 유닛(6)을 취부할 수 있기 때문에, 릴 본체(3) 측에 특별한 구조를 부가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예를 들어 기존의 릴 본체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해져, 편리성을 향상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저코스트화를 도모하기 쉽다.
나아가, 릴 본체(3)에 대하여 센서 유닛(6)을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취부할 수 있기 때문에, 센서 유닛(6)을 신경쓰는 일 없이 낚시를 행하기 쉽다. 게다가, 유닛 본체(92) 내의 각 부품에 핸들 조작에 수반하는 원심력 등의 응력이 작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장기에 걸쳐 안정된 작동 신뢰성을 확보하기 쉽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덧붙여, 이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부분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릴 본체(3)에 대하여 센서 유닛(6)이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취부되어 있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릴 본체(3)에 대하여 센서 유닛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스피닝 릴(1)은, 드라이브축(51)을 통하여 핸들축(40)에 대하여 연결된 센서 유닛(130)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센서 유닛(130)에서는, 연결축부(120)의 헤드부(123)와 격벽부(10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과 함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연결통(103)을 구비하고 있지 않다. 이것에 의하여, 드라이브축(51)에 형성된 제3 나사부(52)에 대하여 연결축부(120)의 제9 나사부(121)을 나합하는 것으로, 센서 유닛(130)의 전체를, 드라이브축(51)을 통하여 핸들축(40)에 일체로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릴 본체(3)에 대하여 센서 유닛(130)을 상대 회전 가능하게 취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핸들 조작에 수반하여, 핸들축(40) 및 드라이브축(51)과 함께 센서 유닛(130)을 핸들축선(O1) 둘레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덧붙여, 헤드부(123)에는, 외주 가장자리부가 제1 장착통(21)의 내주면에 빈틈없이 접촉하는 환상(環狀)의 실(seal) 판(131)이 취부되어 있다.
센서 유닛(130)의 수용 공간(107) 내에는, 거동 센서로서 6축 관성 센서(132)가 배치되어 있다. 6축 관성 센서(132)는, 통신부(93)보다도 격벽부(101) 측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경우여도, 설치 스페이스가 필요하게 되기 쉬운 6축 관성 센서(132), 통신부(93), 제어 기판(96) 및 전원부(97)는, 핸들축선(O1)을 따라서 일렬로 나란히 놓이도록 배치되어 있다.
6축 관성 센서(132)는, 예를 들어 핸들축선(O1) 방향, 스풀축선(O2) 방향 및 상하 방향의 3축의 가속도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한 도시하지 않는 가속도 센서와, 센서 유닛(130)의 회전 정보를 검출하는 도시하지 않는 자이로 센서가 조합된 센서로 되어 있다.
센서 유닛(1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핸들축(40)과 함께 핸들축선(O1) 둘레로 회전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자이로 센서는, 핸들 회전수, 회전 속도, 각속도 등의 핸들 회전 정보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경우여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6축 관성 센서(132)를 이용하여, 핸들 회전 정보 및 가속도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스피닝 릴의 작용)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형태의 스피닝 릴(1)의 경우여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주공(奏功)할 수 있다.
그것에 더하여, 본 실시 형태의 경우에는, 핸들 조작에 수반하여 센서 유닛(130) 자체를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6축 관성 센서(132)를 이용하여, 핸들 조작에 수반하는 거동을 호적하게 검출하기 쉽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실시 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고 있지 않다. 실시 형태는, 그 외에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실시 형태나 그 변형예에는, 예를 들어 당업자가 용이하게 상정할 수 있는 것,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 균등한 범위의 것 등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낚시용 릴로서 스피닝 릴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스피닝 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외의 릴이어도 상관없다. 예를 들어, 편 베어링 릴 혹은 양 베어링 릴(전동식 릴을 포함한다)에 적용하여도 상관없다. 이 때, 센서 유닛은, 핸들축선과 동축에 배치할 수 있으면, 릴 본체에 대하여 어떻게 취부하여도 상관없다.
단, 상기 각 실시 형태와 같이 스피닝 릴에 있어서의 핸들 장착부(제1 핸들 장착부 및 제2 핸들 장착부)를 이용하여 센서 유닛을 취부하는 경우에는, 기존의 릴 본체(3)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유닛 본체 내에, 거동 센서(로터리 엔코더, 3축 가속도 센서, 6축 관성 센서) 및 통신부에 더하여, 기억부 및 전원부를 설치한 센서 유닛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기억부 및 전원부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고, 구비하지 않아도 상관없다.
기억부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여도, 통신부를 이용하여 거동 데이터를 외부로 송신할 수 있기 때문에,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주공할 수 있다. 또한, 전원부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여도, 예를 들어 릴 본체 측이 전력원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당해 전력원으로부터 센서 유닛이 전력을 공급받도록 구성하면 된다.
O1: 핸들축선
1: 스피닝 릴(낚시용 릴)
2: 핸들 조립체(핸들)
3: 릴 본체
6, 130: 센서 유닛
20: 제1 핸들 장착부(핸들 장착부)
30: 제2 핸들 장착부(핸들 장착부)
40: 핸들축
92: 유닛 본체
90: 로터리 엔코더(거동 센서)
91: 3축 가속도 센서(거동 센서)
93: 통신부
94: 기억부
132: 6축 관성 센서(거동 센서)

Claims (6)

  1. 핸들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한 핸들을 가지는 릴 본체와,
    상기 릴 본체에 취부(取付)된 센서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센서 유닛은,
    상기 핸들축선과 동축(同軸)에 배치된 유닛 본체와,
    상기 유닛 본체 내에 배치되고, 상기 릴 본체의 사용 시의 거동을 검출하는 거동 센서와,
    상기 유닛 본체 내에 배치되고, 상기 거동 센서로 검출된 상기 거동에 기초하는 거동 데이터를 외부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구비하고 있는, 낚시용 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동 센서 및 상기 통신부는, 상기 핸들축선을 따라서 나란히 놓이도록 배치되어 있는, 낚시용 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유닛은, 상기 유닛 본체 내에 배치되고, 상기 거동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더 구비하고 있는, 낚시용 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릴 본체에는, 상기 핸들을 장착하기 위한 한 쌍의 핸들 장착부가, 상기 핸들축선과 동축에 외측을 향하여 개구(開口)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유닛 본체는, 일방(一方)의 상기 핸들 장착부를 이용하여 상기 릴 본체에 취부되고,
    상기 핸들은, 타방(他方)의 상기 핸들 장착부를 이용하여 상기 릴 본체에 취부되어 있는, 낚시용 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상기 릴 본체에 상기 핸들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핸들축을 가지고,
    상기 유닛 본체는, 상기 핸들축에 대하여 비접촉 상태로, 일방의 상기 핸들 장착부를 통하여 상기 릴 본체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는, 낚시용 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상기 릴 본체에 상기 핸들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핸들축을 가지고,
    상기 유닛 본체는, 일방의 상기 핸들 장착부를 통하여 상기 핸들축에 대하여 연결되는 연결축부를 가지고, 상기 릴 본체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는, 낚시용 릴.
KR1020190077900A 2018-10-05 2019-06-28 낚시용 릴 KR202000395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90253 2018-10-05
JP2018190253A JP7112306B2 (ja) 2018-10-05 2018-10-05 魚釣用リー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9540A true KR20200039540A (ko) 2020-04-16

Family

ID=68538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7900A KR20200039540A (ko) 2018-10-05 2019-06-28 낚시용 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952421B2 (ko)
JP (1) JP7112306B2 (ko)
KR (1) KR20200039540A (ko)
CN (1) CN110999880B (ko)
DE (1) DE102019214668B4 (ko)
GB (1) GB2579880B (ko)
TW (1) TWI80273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60238B (zh) * 2020-04-03 2023-05-12 广东高驰运动科技股份有限公司 利用智能手表记录路亚钓鱼数据的方法及智能手表
JP7260507B2 (ja) * 2020-05-29 2023-04-18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23068889A (ja) * 2021-11-04 2023-05-18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制動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魚釣用リール
WO2023236117A1 (zh) * 2022-06-08 2023-12-14 广东高驰运动科技股份有限公司 渔轮、钓竿、动作捕捉装置及获取钓竿钓鱼事件的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55460A (ja) 2013-02-15 2014-08-28 Laylax Ltd 魚釣り用リールのスタンド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21758U (ja) * 1984-01-25 1985-08-16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ル
US4899480A (en) * 1988-07-19 1990-02-13 Park Michael C Fishing probe apparatus
JPH05184271A (ja) * 1992-01-13 1993-07-27 Shimano Inc 釣り用リール
US5546695A (en) * 1993-07-13 1996-08-20 Langer; Alexander G. Fishing line and reel
US5511335A (en) * 1993-07-13 1996-04-30 Langer; Alexander G. Fishing lure
US5581930A (en) * 1993-07-13 1996-12-10 Langer; Alexander G. Remote activity sensing system
JP3334846B2 (ja) * 1996-12-04 2002-10-15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両軸受型リール
JP4120017B2 (ja) * 1997-01-30 2008-07-16 株式会社セガ 入力装置およびゲーム処理装置、その方法
JP2001258435A (ja) * 2000-03-23 2001-09-25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
SG112957A1 (en) * 2003-12-04 2005-07-28 Shimano Kk Fishing data display device
JP4535742B2 (ja) * 2004-02-03 2010-09-01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釣り情報表示装置及び釣り情報表示システム
JP4334381B2 (ja) * 2004-03-25 2009-09-30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釣り情報表示装置及び釣り情報表示システム
WO2006070741A1 (ja) * 2004-12-27 2006-07-06 Ssd Company Limited 釣り疑似体験装置および演出装置
US8839547B2 (en) * 2006-02-24 2014-09-23 David Pekin Reel system with line tension measurement capability
JP5236883B2 (ja) * 2007-02-13 2013-07-17 シマノコンポネンツ マレーシア エスディーエヌ.ビーエッチディー.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ハンドル組立体
JP2008295375A (ja) * 2007-05-31 2008-12-11 Daiwa Seiko Inc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US7712695B2 (en) * 2008-07-10 2010-05-11 Freescale Semiconductor, Inc. Spool braking device for fishing reel
JP5180111B2 (ja) * 2009-01-30 2013-04-10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5654270B2 (ja) * 2010-06-25 2015-01-14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
JP6153714B2 (ja) * 2012-11-19 2017-06-28 株式会社シマノ 電動リール
US20140358483A1 (en) * 2013-05-31 2014-12-04 Pure Fishing, Inc. Fishing Data System
JP6604906B2 (ja) * 2016-06-07 2019-11-13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キャスティング支援装置
CN206533959U (zh) * 2017-02-24 2017-10-03 四川信息职业技术学院 一种电子钓鱼竿
JP6955350B2 (ja) * 2017-03-13 2021-10-27 株式会社シマノ ピニオンギアおよびスピニングリール
CN110637792A (zh) * 2019-10-25 2020-01-03 厦门楷铭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感应报警功能的钓鱼卷线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55460A (ja) 2013-02-15 2014-08-28 Laylax Ltd 魚釣り用リールのスタン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579880B (en) 2021-02-17
CN110999880A (zh) 2020-04-14
US20200107528A1 (en) 2020-04-09
GB2579880A (en) 2020-07-08
JP7112306B2 (ja) 2022-08-03
US10952421B2 (en) 2021-03-23
TWI802734B (zh) 2023-05-21
TW202015528A (zh) 2020-05-01
DE102019214668B4 (de) 2022-03-03
CN110999880B (zh) 2022-10-04
JP2020058249A (ja) 2020-04-16
DE102019214668A1 (de) 2020-04-09
GB201913999D0 (en) 2019-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39540A (ko) 낚시용 릴
EP3033986B1 (en) Controlling equipment and system of capsule endoscope
TWI612891B (zh) 紡車式捲線器
US11654320B2 (en) System and method for exercise equipment hinge
CN110181464A (zh) 冲击工具
CN107253213A (zh) 安装有可旋转式激光雷达装置的智能机器人
JP5707074B2 (ja) 電動リール
JP7034654B2 (ja) 釣り用リール
KR20070015033A (ko) 부착된 연결 수단의 움직임 정도를 측정하는 장치
JP7305010B2 (ja) 魚釣用リール
JP6590683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US20160036301A1 (en) Electric rotating machine
JP2017113809A (ja) 回転工具
JP6710118B2 (ja) インパクト工具
JP2009522700A (ja) 車両機械、特に建設重機又は農業用或いは操縦用機械の遠隔制御装置
JP2014188229A (ja) 演出操作ユニット
CN109131557A (zh) 转向提示器、方向盘装置和车辆
JP5279864B2 (ja) 回転角度表示部付きハンドル
JP5961669B2 (ja) Dcブラシレスモータを備えた電動工具
US10624327B2 (en) Dual-bearing reel
CN210465296U (zh) 一种内窥镜的摇杆操纵机构
JP5777867B2 (ja) 釣り用リール
KR200449107Y1 (ko) 회전 테이블
KR20140145920A (ko) 환상 동심 꼬임 코드의 제조 장치 및 그에 이용하는 카세트
CN110313452A (zh) 钓鱼用旋压式卷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