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8523A - 부품 실장 시스템, 부품 실장 방법 - Google Patents

부품 실장 시스템, 부품 실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8523A
KR20200038523A KR1020207007744A KR20207007744A KR20200038523A KR 20200038523 A KR20200038523 A KR 20200038523A KR 1020207007744 A KR1020207007744 A KR 1020207007744A KR 20207007744 A KR20207007744 A KR 20207007744A KR 20200038523 A KR20200038523 A KR 20200038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substrate
component
distributed
mounting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7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2096B1 (ko
Inventor
다이스케 카스가
Original Assignee
야마하하쓰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하쓰도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하쓰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38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8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2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2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04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 H05K13/0413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with orientation of the component while holding it; Drive mechanisms for gripping tools, e.g. lifting, lowering or turning of gripping too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50Assembly of semiconductor devic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H01L21/06 - H01L21/326, e.g. sealing of a cap to a base of a container
    • H01L21/52Mounting semiconductor bodies in contain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61Tools for holding the circuit boards during processing; handling transport of printed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6Surface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 Die Bonding (AREA)

Abstract

4매의 기판 중 반송순서가 최초의 2매의 기판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해서 부품 실장이 실행된다. 즉, 1번째의 기판(B1)은 초기 실장모드에 의해 기판 반송방향(X)의 상류측으로부터 세어서 2번째의 실장위치(Pm2)에 반송되고, 2번째의 기판(B2)은 통상 실장모드에 의해 기판 반송방향(X)의 상류측으로부터 세어서 1번째의 실장위치(Pm1)에 반송된다. 이렇게 해서, 2개의 실장위치(Pm1, Pm2)의 각각에 기판(B2, B1)을 반송하여, 각 실장위치(Pm1, Pm2)에서 기판(B2, B1)으로의 부품 실장을 개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부품 실장 시스템(1)의 가동률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Description

부품 실장 시스템, 부품 실장 방법
본 발명은 기판 반송방향으로 기판을 반송하면서 기판 반송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실장 스테이지에서 기판에 부품을 실장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판의 반송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실장부를 구비한 부품 실장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부품 실장 시스템에서는 1매의 기판에 대한 부품의 실장을 복수의 실장부에서 분담할 수 있다. 즉, 기판은 반송방향으로 반송되면서 복수의 실장부에 차례로 정지하고, 각 실장부는 정지 중의 기판에 대하여 담당하는 부품의 실장을 행한다. 이것에 의해, 부품 실장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17-37902호 공보
그러나, 상황에 따라서는 이러한 방법이 반드시 효율적이지 않을 경우가 있다. 즉, 부품 실장 시스템에 최초로 반입되는 기판은, 반송방향의 최상류의 실장 스테이지(실장부)에 정지하고, 이 실장 스테이지에 있어서 부품의 실장을 받는다. 이 사이, 최상류의 실장부보다 반송방향의 하류측의 실장 스테이지는 가동하지 않기 때문에, 부품 실장 시스템의 가동률은 하류측의 실장 스테이지가 가동할 경우와 비교해서 낮아진다. 그리고, 이러한 가동률 저하는 부품 실장 시스템에서 반송되는 기판이 적을 경우에 특히 현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복수의 실장 스테이지가 기판 반송방향으로 배열되는 부품 실장 시스템에 있어서, 부품 실장 시스템의 가동률 저하를 억제 가능하게 하는 기술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실장 시스템은, 기판 반송방향으로 배열되는 M개(M은 2 이상의 정수)의 실장 스테이지를 갖고, L매(L은 M보다 큰 정수)의 기판을 차례로 기판 반송방향으로 반송하는 반송부와, M개의 실장 스테이지에 대응해서 설치되어서 각각 대응하는 실장 스테이지에 정지하는 기판에 동일 종류의 부품을 실장 가능한 M개의 실장부와, 하나의 기판에 형성된 복수의 실장 대상점에 대한 부품 실장을 M개의 실장 스테이지의 사이에서 분배하고, 상기 하나의 기판을 반송부에 의해 기판 반송방향으로 반송하면서 M개의 실장 스테이지 중 부품 실장을 분배한 실장 스테이지에 정지시켜서, 실장부에 대응하는 실장 스테이지에서 정지하는 상기 하나의 기판에 대하여 대응하는 실장 스테이지에 분배된 부품 실장을 실행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실장 스테이지는 분배된 부품 실장이 완료된 기판을 기판 반송방향의 하류측으로 반송하고, 제어부는 L매의 기판 중 기판 반송방향으로의 반송순서 N(N은 1 이상의 정수)이 M 미만인 기판에 대해서는 초기 실장모드로 부품 실장을 실행하고, 반송순서 N이 M 이상인 기판에 대해서는 통상 실장모드로 부품 실장을 실행하고, 초기 실장모드에서는 반송순서 N의 기판에 관해서 M개의 실장 스테이지 중 기판 반송방향의 상류측으로부터 세어서 (M-N)번째의 실장 스테이지보다 하류측의 실장 스테이지에 기판으로의 부품 실장이 선택적으로 분배되고, 기판은 (M-N)번째까지의 실장 스테이지를 통과하여 (M-N)번째의 실장 스테이지보다 하류측의 실장 스테이지에서 기판의 복수의 실장 대상점으로의 부품 실장이 실행되고, 통상 실장모드에서는 M개의 실장 스테이지의 각각에 기판으로의 부품 실장이 분배되고, 기판은 M개의 실장 스테이지에 차례로 정지하여 M개의 실장 스테이지의 각각에서 차례로 기판의 복수의 실장 대상점으로의 부품 실장이 실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실장 방법은, 기판 반송방향으로 배열되는 M개(M은 2 이상의 정수)의 실장 스테이지를 갖는 반송부에 의해서 L매(L은 M보다 큰 정수)의 기판을 차례로 기판 반송방향으로 반송하는 공정과, 하나의 기판에 형성된 복수의 실장 대상점에 대한 부품 실장을 M개의 실장 스테이지의 사이에서 분배하고, 상기 하나의 기판을 반송부에 의해 기판 반송방향으로 반송하면서 M개의 실장 스테이지 중 부품 실장을 분배한 실장 스테이지에 정지시켜서, 실장 스테이지에서 정지하는 상기 하나의 기판에 대하여 실장 스테이지에 분배된 부품 실장을 실행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L매의 기판 중 기판 반송방향으로의 반송순서 N(N은 1 이상의 정수)이 M 미만인 기판에 대해서는 초기 실장모드로 부품 실장을 실행하고, 반송순서 N이 M 이상인 기판에 대해서는 통상 실장모드로 부품 실장을 실행하고, 초기 실장모드에서는 반송순서 N의 기판에 관해서 M개의 실장 스테이지 중 기판 반송방향의 상류측으로부터 세어서 (M-N)번째의 실장 스테이지보다 하류측의 실장 스테이지에 기판으로의 부품 실장이 선택적으로 분배되고, 기판은 (M-N)번째까지의 실장 스테이지를 통과하여 (M-N)번째의 실장 스테이지보다 하류측의 실장 스테이지에서 기판의 복수의 실장 대상점으로의 부품 실장이 실행되고, 통상 실장모드에서는 M개의 실장 스테이지의 각각에 기판으로의 부품 실장이 분배되고, 기판은 M개의 실장 스테이지에 차례로 정지하여, M개의 실장 스테이지의 각각에서 차례로 기판의 복수의 실장 대상점으로의 부품 실장이 실행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부품 실장 시스템, 부품 실장 방법)에서는, 하나의 기판에 형성된 복수의 실장 대상점에 대한 부품 실장이 M개의 실장 스테이지 사이에서 분배된다. 그리고, 상기 하나 기판을 기판 반송방향으로 반송하면서 M개의 실장 스테이지 중 부품 실장을 분배한 실장 스테이지에 정지시켜서, 실장 스테이지에서 정지하는 상기 하나의 기판에 대하여 실장 스테이지에 분배된 부품 실장이 실행된다. 이 때, L매의 기판 중 기판 반송방향으로의 반송순서 N이 M 미만인 기판에 대해서는 초기 실장모드로 부품 실장이 실행되고, 반송순서 N이 M 이상인 기판에 대해서는 통상 실장모드로 부품 실장이 실행된다. 초기 실장모드에서는 반송순서 N의 기판에 관해서 M개의 실장 스테이지 중 기판 반송방향의 상류측으로부터 세어서 (M-N)번째의 실장 스테이지보다 하류측의 실장 스테이지에 기판으로의 부품 실장이 선택적으로 분배되고, 기판은 (M-N)번째까지의 실장 스테이지를 통과하여 (M-N)번째의 실장 스테이지보다 하류측의 실장 스테이지에서 기판의 복수의 실장 대상점으로의 부품 실장이 실행된다. 한편, 통상 실장모드에서는 M개의 실장 스테이지의 각각에 기판으로의 부품 실장이 분배되고, 기판은 M개의 실장 스테이지에 차례로 정지하여 M개의 실장 스테이지의 각각에서 차례로 기판의 복수의 실장 대상점으로의 부품 실장이 실행된다.
따라서, L매의 기판 중 반송순서가 최초의 M매의 기판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해서 부품 실장이 실행된다. 즉, 1번째부터 (M-1)번째의 기판은 초기 실장모드에 의해 기판 반송방향의 상류측으로부터 세어서 M번째로부터 2번째의 실장 스테이지에 반송되고, M번째의 기판은 통상 실장모드에 의해 기판 반송방향의 상류측으로부터 세어서 1번째의 실장 스테이지에 반송된다. 이렇게 해서, M개의 실장 스테이지의 각각에 기판을 반송하여, 각 실장 스테이지에서 기판으로의 부품 실장을 개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부품 실장 시스템의 가동률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본 명세서에서는 I1번째로부터 I2번째라는 표기(I1, I2는 1 이상의 정수이다)에 있어서, I1과 I2가 같을 경우에는 상기 표기는 I1번째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또한, 반송부는 기판 반송방향으로 이웃하는 실장 스테이지의 사이에 배치된 대기 스테이지를 더 갖고, 기판 반송방향에 있어서 M개의 실장 스테이지 중 최하류의 실장 스테이지 이외의 실장 스테이지는, 하류측에서 이웃하는 실장 스테이지에서 부품 실장이 실행할 경우에는 분배된 부품 실장이 완료된 기판을 하류측의 대기 스테이지로 반출하여, 분배된 실장 대상점으로의 부품 실장이 미완인 기판을 기판 반송방향의 상류측으로부터 반입하도록, 부품 실장 시스템을 구성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최하류의 실장 스테이지 이외의 실장 스테이지는, 분배된 부품 실장이 완료된 기판을 신속하게 대기 스테이지로 반출하여, 부품 실장이 미완인 다음 기판을 기판 반송방향의 상류측으로부터 반입할 수 있다. 그 결과, 부품 실장 시스템의 가동률 저하를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통상 실장모드에서는 실장 스테이지의 각각에서 부품이 실장되는 실장 대상점의 개수의 차가 1개 이하로 되도록 M개의 실장 스테이지의 각각에 기판으로의 부품 실장이 분배되고, 초기 실장모드에서는 반송순서 N의 기판에 관해서 기판 반송방향의 상류측으로부터 세어서 (M-N+1)번째의 실장 스테이지에는 통상 실장모드로 기판 반송방향의 상류측으로부터 세어서 1번째부터 (M-N+1)번째까지의 실장 스테이지에 분배되는 부품 실장이 분배되도록, 부품 실장 시스템을 구성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가령 반송순서 N이 M 미만인 기판에 대하여 통상 실장모드를 실행했을 경우에, 기판 반송방향의 상류측으로부터 세어서 1번째부터 (M-N+1)번째까지의 실장 스테이지에 분배되는 부품 실장이 초기 실장모드에 있어서 상기 (M-N+1)번째의 실장 스테이지에 분배된다. 즉, 초기 실장모드에서는 반송순서 N의 기판에 관해서 (M-N+1)번째의 실장 스테이지보다 상류측의 실장 스테이지에서의 부품 실장이 생략되지만, 이 부품 실장을 (M-N+1)번째의 실장 스테이지에서 확실하게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는 L매의 기판 중 반송순서 N이 (L-M+2)번 이상인 기판에 대해서는 종기 실장모드로 부품 실장을 실행하고, 종기 실장모드에서는 반송순서 N의 기판에 관해서 M개의 실장 스테이지 중 기판 반송방향의 상류측으로부터 세어서 1번째부터 (L-N+1)번째까지의 실장 스테이지에 기판으로의 부품 실장이 선택적으로 분배되고, 1번째부터 (L-N+1)번째까지의 실장 스테이지에서 기판의 복수의 실장 대상점으로의 부품 실장이 실행되도록, 부품 실장 시스템을 구성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L매의 기판 중 반송순서 N이 (L-M+2)번 이상인 기판에 대해서는, M개의 실장 스테이지 중 기판 반송방향의 상류측으로부터 세어서 1번째부터 (L-N+1)번째까지의 실장 스테이지에 기판으로의 부품 실장이 선택적으로 분배되고, 1번째부터 (L-N+1)번째까지의 실장 스테이지에서 기판의 복수의 실장 대상점으로의 부품 실장이 실행된다. 따라서, 기판 반송방향에 있어서 (L-N+1)번째보다 하류측의 실장 스테이지에서 부품 실장을 실행중이여도, 1번째부터 (L-N+1)번째까지의 실장 스테이지를 가동시켜서 반송순서 N이 (L-M+2)번 이상인 기판에 대하여 부품 실장을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그 결과, 부품 실장 시스템의 가동률 저하를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통상 실장모드에서는 실장 스테이지의 각각에서 부품이 실장되는 실장 대상점의 개수의 차가 1개 이하로 되도록, M개의 실장 스테이지의 각각에 기판으로의 부품 실장이 분배되고, 종기 실장모드에서는 반송순서 N의 기판에 관해서 기판 반송방향의 상류측으로부터 세어서 (L-N+1)번째의 실장 스테이지에는, 통상 실장모드로 기판 반송방향의 상류측으로부터 세어서 (L-N+1)번째부터 M번째까지의 실장 스테이지에 분배되는 부품 실장이 분배되되도록, 부품 실장 시스템을 구성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가령 반송순서 N이 (L-M+2)번 이상인 기판에 대하여 통상 실장모드를 실행했을 경우에, 기판 반송방향의 상류측으로부터 세어서 (L-N+1)번째부터 M번째까지의 실장 스테이지에 분배되는 부품 실장이, 종기 실장모드에 있어서 상기 (L-N+1)번째의 실장 스테이지에 분배된다. 즉, 종기 실장모드에서는 반송순서 N의 기판에 관해서 (L-N+1)번째의 실장 스테이지보다 하류측의 실장 스테이지에서의 부품 실장이 생략되지만, 이 부품 실장을 (L-N+1)번째의 실장 스테이지에서 확실하게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는 통상 실장모드에 있어서 M개의 실장 스테이지 중 하나의 실장 스테이지 및 다른 실장 스테이지 중 적어도 한쪽에서의 부품 실장의 진척에 따라서, 하나의 실장 스테이지와 다른 실장 스테이지 사이에서의 부품 실장의 분배를 조정하도록, 부품 실장 시스템을 구성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하나의 실장 스테이지에서의 부품 실장의 진척이 예를 들면 예정보다 느릴 경우에, 하나의 실장 스테이지에 분배 예정이었던 부품 실장을 다른 실장 스테이지에 분배한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실장 스테이지가 기판 반송방향으로 배열되는 부품 실장 시스템에 있어서, 부품 실장 시스템의 가동률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실장 시스템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기판을 기판 반송방향으로 반송하면서 기판에 부품 실장을 실행할 때에 실행되는 반입시 판단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3은 기판 반송방향으로 반송하면서 기판에 부품 실장을 실행할 때에 실행되는 실장 완료시 판단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도 2 및 도 3의 플로우차트에 따라서 실행되는 동작의 제1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 및 도 3의 플로우차트에 따라서 실행되는 동작의 제2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2 및 도 3의 플로우차트에 따라서 실행되는 동작의 제2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부품 실장의 진척의 리커버리를 실행 가능한 부품 실장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내는 부품 실장처리에서의 리커버리 필요 불필요 판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9는 도 7 및 도 8의 플로우차트에 따라서 실행되는 동작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실장 시스템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다.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는 기판 반송방향(X), 폭방향(Y) 및 연직방향(Z)으로 구성되는 XYZ 직교 좌표축을 적당하게 사용한다. 기판 반송방향(X) 및 폭방향(Y)은 수평방향으로 병행함과 아울러 서로 직교하고, 연직방향(Z)은 기판 반송방향(X) 및 폭방향(Y)에 직교한다.
이 부품 실장 시스템(1)은, 기판 반송방향(X)의 상류측으로부터 반입된 기판(B)에 대하여 부품을 실장해서 기판 반송방향(X)의 하류측으로 반출하는 1대의 부품 실장기(10)에 의해 구성된다. 기판(B)에는 복수의 실장 대상점(Bp)이 형성되어 있고, 부품 실장기(10)에 구비된 제어부(100)는 부품 실장기(10)의 각 부를 제어함으로써 각 실장 대상점(Bp)에 부품(Wp)을 1개씩 실장한다. 여기에서, 각 부품(Wp)은 다이싱된 웨이퍼(W)의 베어 칩(bare chip)이며, 서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이 부품 실장기(10)는 기판 반송방향(X)으로 기판(B)을 반송하는 반송부(2)를 구비한다. 반송부(2)는 기판 반송방향(X)에 이 순서로 배열되는, 대기 컨베이어(21), 실장 컨베이어(22), 대기 컨베이어(23), 실장 컨베이어(24) 및 반출 컨베이어(25)를 갖고, 이들 컨베이어(21∼25)가 협동해서 기판 반송방향(X)으로 기판(B)을 반송할 수 있다. 대기 컨베이어(21)는 부품 실장 시스템(1)의 외부로부터 반입한 기판(B)을 대기시키거나, 또는 실장 컨베이어(22)에 주고받는다. 실장 컨베이어(22)는 대기 컨베이어(21)의 기판 반송방향(X)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실장위치(Pm1)에 대하여 설치되고, 대기 컨베이어(21)로부터 수취한 기판(B)을 실장위치(Pm1)에 고정하거나, 또는 대기 컨베이어(23)에 주고받는다. 대기 컨베이어(23)는 실장위치(Pm1)의 기판 반송방향(X)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대기위치(Pw)에 대하여 설치되고, 실장 컨베이어(22)로부터 수취한 기판(B)을 대기위치(Pw)에서 대기시키거나, 또는 실장 컨베이어(24)에 주고받는다. 실장 컨베이어(24)는 대기위치(Pw)의 기판 반송방향(X)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실장위치(Pm2)에 대하여 설치되고, 대기 컨베이어(23)로부터 수취한 기판(B)을 실장위치(Pm2)에 고정하거나, 또는 반출 컨베이어(25)에 주고받는다. 반출 컨베이어(25)는 실장위치(Pm2)의 기판 반송방향(X)의 하류측의 위치에 대하여 설치되고, 실장 컨베이어(24)로부터 수취한 기판(B)을 부품 실장 시스템(1)의 외부로 반출한다. 이와 같이, 반송부(2)에서는 M개의 실장위치(Pm1, Pm2)가 기판 반송방향(X)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고, 기판 반송방향(X)에 이웃하는 실장위치(Pm1, Pm2)의 사이에 대기위치(Pw)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M은 2 이상의 정수이며, 도 1의 예에서는 M=2이다. 또, 이하에서는 실장위치(Pm1, Pm2)를 구별하지 않을 경우에는 실장위치(Pm)라고 칭한다.
또한, 부품 실장기(10)는 부품(Wp)을 공급하는 부품 공급기구(3)를 구비한다. 부품 공급기구(3)는 복수의 웨이퍼(W)를 수납 가능한 웨이퍼 수납부(31)와, 웨이퍼 수납부(31)로부터 웨이퍼 공급위치(Pp)까지 웨이퍼(W)를 인출하는 웨이퍼 인출부(33)를 갖는다. 웨이퍼 수납부(31)는 각각 웨이퍼(W)를 유지하는 복수의 웨이퍼 홀더(Wh)를 연직방향(Z)으로 배열하여 수납하는 랙을 연직방향(Z)으로 승강시킴으로써, 웨이퍼 인출부(33)가 웨이퍼(W)를 수취 가능한 높이에 웨이퍼 홀더(Wh)를 위치시켜서, 이 웨이퍼 홀더(Wh)를 웨이퍼 인출부(33)로 밀어낼 수 있다.
웨이퍼 인출부(33)는 웨이퍼 홀더(Wh)를 지지하는 웨이퍼 지지 테이블(331)과, 웨이퍼 지지 테이블(331)을 폭방향(Y)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 레일(332)과, 폭방향(Y)으로 설치되어서 웨이퍼 지지 테이블(331)에 부착된 볼나사(333)와, 볼나사(333)를 구동하는 Y축 모터(334)를 갖는다. 따라서, Y축 모터(334)에 의해 볼나사(333)를 회전시킴으로써 웨이퍼 지지 테이블(331)을 고정 레일(332)을 따라서 폭방향(Y)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웨이퍼 수납부(31)와 웨이퍼 공급위치(Pp)는 반송부(2)를 폭방향(Y)으로부터 끼우도록 배치되어 있고, 웨이퍼 지지 테이블(331)은 반송부(2)의 하방을 통과한다. 이러한 웨이퍼 지지 테이블(331)은, 웨이퍼 수납부(31)에 인접하는 수취위치에서 웨이퍼 수납부(31)로부터 웨이퍼 홀더(Wh)를 수취하여, 수취위치보다 웨이퍼 수납부(31)로부터 폭방향(Y)으로 떨어진 웨이퍼 공급위치(Pp)로 이동함으로써, 웨이퍼 공급위치(Pp)로 웨이퍼(W)를 인출한다.
또한, 부품 공급기구(3)는 웨이퍼 공급위치(Pp)로부터 부품(Wp)을 꺼내는 부품 취출부(35)를 갖는다. 부품 취출부(35)는 웨이퍼 공급위치(Pp)로부터 부품(Wp)을 꺼내는 취출 헤드(36)를 갖고, 취출 헤드(36)를 XY 방향으로 구동 가능하다. 즉, 부품 취출부(35)는 취출 헤드(36)를 기판 반송방향(X)으로 이동할 수 있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351)와, 기판 반송방향(X)에 설치되어서 취출 헤드(36)에 부착된 볼나사를 구동하는 X축 모터(352)를 갖고, X축 모터(352)에 의해 볼나사를 구동함으로써 취출 헤드(36)를 기판 반송방향(X)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부품 취출부(35)는 지지 부재(351)를 폭방향(Y)으로 이동할 수 있게 지지하는 고정 레일(353)과, 폭방향(Y)으로 설치되어서 고정 레일(353)에 부착된 볼나사(354)와, 볼나사(354)를 구동하는 Y축 모터(355)를 갖는다. 따라서, Y축 모터(355)에 의해 볼나사(354)를 구동함으로써 지지 부재(351)와 함께 취출 헤드(36)를 폭방향(Y)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취출 헤드(36)는 기판 반송방향(X)으로 연장 설치된 브래킷(361)과, 브래킷(36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2개의 노즐(362)을 갖는다. 각 노즐(362)은 기판 반송방향(X)으로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하방을 향하는 흡착 위치 및 상방을 향하는 주고받기 위치(도 1의 위치)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한다. 또한, 브래킷(361)은 각 노즐(362)을 수반해서 승강 가능하다.
이러한 부품 공급기구(3)는, 흡착 위치에 위치시킨 노즐(362)을 웨이퍼 공급위치(Pp) 상의 부품(Wp)에 상방으로부터 대향시키면, 노즐(362)을 하강시켜서 부품(Wp)에 접촉시킨다. 또한, 부품 공급기구(3)는 노즐(362)에 부압을 주면서 노즐(362)을 상승시킴으로써 웨이퍼 공급위치(Pp)로부터 부품(Wp)을 흡착한다. 그리고, 부품 공급기구(3)는 노즐(362)을 주고받기 위치에 위치시킴으로써 부품(Wp)을 공급한다.
부품 실장기(10)는, 이렇게 해서 부품 공급기구(3)에 의해 공급된 부품(Wp)을 기판(B)에 실장하는 실장부(4A, 4B)를 구비한다. 특히 M개의 실장위치(Pm1, Pm2)에 대하여 일대일의 대응관계에서, M개의 실장부(4A, 4B)가 설치되어 있다(상술한 바와 같이, 도 1의 예에서는 M=2이다). 즉, 실장부(4A)는 실장위치(Pm1)에 대응해서 설치되고, 실장부(4B)는 실장위치(Pm2)에 대응해서 설치되어 있다. 실장부(4A, 4B)는 부품 실장기(10)의 천정에 폭방향(Y)으로 설치된 고정 레일을 따라서 이동 가능한 지지 부재(41)와, 지지 부재(41)에 의해 기판 반송방향(X)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실장 헤드(42)를 갖고, 실장 헤드(42)를 XY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실장 헤드(42)는 하방을 향하는 2개의 노즐(421)을 갖는다.
부품(Wp)의 흡착·실장시에는, 실장부(4A, 4B) 각각은 취출 헤드(36)의 상방으로 이동하여, 주고받기 위치에 위치하는 노즐(362)에 유지되는 부품(Wp)에 대하여 노즐(421)을 상방으로부터 대향시키면, 노즐(421)을 하강시켜서 부품(Wp)에 접촉시킨다. 계속해서, 부품 공급기구(3)가 노즐(362)의 부압을 해제함과 아울러 실장부(4A, 4B)가 노즐(421)에 부압을 주면서 노즐(421)을 상승시킨다. 이렇게 해서 실장 헤드(42)에 의해 부품(Wp)을 흡착하면, 실장부(4A)는 대응하는 실장위치(Pm1)에 고정된 기판(B)의 실장 대상점(Bp)에 부품(Wp)을 실장하고, 실장부(4B)는 대응하는 실장위치(P4)에 고정된 기판(B)의 실장 대상점(Bp)에 부품(Wp)을 실장한다. 이와 같이, 실장부(4A, 4B)는 단일 종류의 부품(Wp)을 기판(B)에 실장한다. 또, 이하에서는 실장부(4A, 4B)를 구별하지 않을 경우에는 실장부(4)라고 칭한다.
이러한 부품 실장 시스템(1)에서는, 제어부(100)는 실장위치(Pm1, Pm2)에 있어서 기판(B)에 부품 실장을 실행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00)는 하나의 기판(B)에 형성된 복수의 실장 대상점(Bp)에 대한 부품 실장을 M개의 실장위치(Pm1, Pm2)의 사이에서 분배한다(환언하면, 분담시킨다). 즉, 반송부(2)는 상기 하나의 기판(B)을 기판 반송방향(X)으로 반송하면서, M개의 실장위치(Pm1, Pm2) 중 부품 실장이 분배된 실장위치(Pm)에 정지시킨다. 그리고, 실장부(4)는 대응하는 실장위치(Pm)에서 정지하는 상기 하나의 기판(B)에 대하여, 대응하는 실장위치(Pm)에 분배된 부품 실장을 실행한다.
통상은, 제어부(100)는 기판(B)의 복수의 실장 대상점(Bp) 중, 기판 반송방향(X)의 상류측 절반의 실장 대상점(Bp)의 부품 실장을 실장위치(Pm1)에 분배하고, 기판 반송방향(X)의 하류측 절반의 실장 대상점(Bp)의 부품 실장을 실장위치(Pm2)에 분배한다(통상 실장모드). 구체적으로는, 반송부(2)는 하나의 기판(B)을 실장위치(Pm1)에 반송하여, 실장부(4A)가 실장위치(Pm1)에 정지하는 기판(B)의 기판 반송방향(X)의 상류측 절반의 실장 대상점(Bp)(통상 분배점)에 부품(Wp)을 실장한다. 실장위치(Pm1)에서의 부품 실장이 완료하면, 반송부(2)는 기판(B)을 실장위치(Pm1)로부터 실장위치(Pm2)로 반송하여, 실장부(4B)가 실장위치(Pm2)에 정지하는 기판(B)의 기판 반송방향(X)의 하류측 절반의 실장 대상점(Bp)(통상 분배점)에 부품(Wp)을 실장한다. 즉, 통상 실장모드는 하나의 기판(B)을 실장위치(Pm1, Pm2)에 차례로 정지시켜서, 각 실장위치(Pm1, Pm2)에 정지하는 하나의 기판(B)에 대하여 각 실장위치(Pm1, Pm2)에 분배된 부품 실장을 실행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복수의 기판(B)을 기판 반송방향(X)으로 차례로 반송하면서, 각 기판(B)에 대하여 통상 실장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단, 제어부(100)는 L매(L은 M보다 큰 정수)의 기판(B)을 차례로 반송부(2)에 의해 반송하면서 각 기판(B)에 부품 실장을 실행함에 있어서는, 기판(B)의 반송순서 N에 따라서 실장위치(Pm1, Pm2)로의 부품 실장의 분배를 동적으로 변경한다. 도 2∼도 4를 이용하여, 이 점을 상술한다. 또, 이하에서는 기판 반송방향(X)의 하류 또는 상류를 단지 「하류」 또는 「상류」라고 적당하게 칭한다.
도 2는 기판을 기판 반송방향으로 반송하면서 기판에 부품 실장을 실행할 때에 실행되는 반입시 판단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며, 도 3은 기판 반송방향으로 반송하면서 기판에 부품 실장을 실행할 때에 실행되는 실장 완료시 판단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며, 도 4는 도 2 및 도 3의 플로우차트에 따라서 실행되는 동작의 제1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서는, 4매(즉, L=4)의 기판(B)을 기판 반송방향(X)으로 차례로 반송하면서 각 기판(B)에 부품 실장을 실행하는 예가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L매의 기판(B)의 반송순서 N(N=1∼4)이 부호 B로 붙여져 있다.
제어부(100)는 실장위치(Pm1, Pm2)의 각각에 대해서 도 2 및 도 3의 플로우차트에 나타내는 반입시·실장 완료시 판단처리를 실행함으로써 도 4의 동작을 실행한다. 1번째의 기판(B1)의 하류단이 실장위치(Pm1)에 반입되면(도 2의 스텝 S101에서 「YES」), 기판(B1)의 복수의 실장 대상점(Bp) 중에 부품(Wp)이 실장되어 있지 않은 미실장점이 존재하는지가 판단된다(스텝 S102). 기판(B1)에는 미실장점이 존재하기 때문에(스텝 S102에서 「YES」), 스텝 S103으로 진행한다. 스텝 S103에서는 본 실장위치(Pm1)가 M개의 실장위치(Pm1, Pm2) 중 최하류의 실장위치(Pm)인지가 판단된다. 실장위치(Pm1)는 최하류의 실장위치(Pm)가 아니기 때문에(스텝 S103에서 「NO」), 스텝 S104로 진행한다. 스텝 S104에서는 본 실장위치(Pm1)보다 하류의 실장위치(Pm2)에서 기판(B1)으로의 부품 실장을 실행 가능한지가 판단된다. 실장위치(Pm2)에서 부품 실장을 실행 예정인 기판(B)은 존재하지 않고, 실장위치(Pm2)가 기판(B1)으로의 부품 실장을 실행 가능하기 때문에(스텝 S104에서 「YES」), 스텝 S105로 진행한다. 그리고, 스텝 S105에서는, 제어부(100)는 기판(B1)의 부품 실장을 본 실장위치(Pm1)에 분배하지 않고, 하류의 실장위치(Pm2)에 분배한다고 결정한다.
스텝 S105에서의 결정에 의해, 기판(B1)은 실장위치(Pm1)를 통과해서 실장위치(Pm2)를 향해서 반송된다. 이렇게 해서 기판(B1)의 하류단이 실장위치(Pm2)에 반입되면(스텝 S101에서 「YES」), 기판(B1)의 미실장점의 존재가 판단된다(스텝 S102). 기판(B1)에는 미실장점이 존재하기 때문에(스텝 S102에서 「YES」), 스텝 S103에서 본 실장위치(Pm2)가 최하류의 실장위치(Pm)인지가 판단된다. 실장위치(Pm2)는 최하류의 실장위치(Pm)이기 때문에(스텝 S103에서 「YES」), 스텝 S106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스텝 S106에서는, 제어부(100)는 기판(B1)의 부품 실장을 본 실장위치(Pm2)에 분배한다고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기판(B1)이 정지하지 않고 통과한 실장위치(Pm1)로의 통상 분배점(상류측 절반)과, 기판(B1)의 반입처인 실장위치(Pm2)로의 통상 분배점(하류측 절반)에 대한 부품 실장이, 실장위치(Pm2)에 분배된다. 이것에 의해, 도 4의 동작 A101의 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판(B1)은 실장위치(Pm2)에 반입되고, 기판(B1)의 전체 실장 대상점(Bp)으로의 부품 실장이 실장위치(Pm2)에 분배된다.
2번째의 기판(B2)의 하류단이 실장위치(Pm1)에 반입되면(스텝 S101에서 「YES」), 스텝 S102에서 기판(B2)에 미실장점이 존재한다(YES)고 판단되고, 또한 스텝 S103에서 본 실장위치(Pm1)가 최하류의 실장위치(Pm)가 아니다(NO)고 판단되어, 스텝 S104로 진행한다. 하류의 실장위치(Pm2)에서는 앞의 기판(B1)에 부품 실장을 실행 예정이기 때문에, 스텝 S104에서는, 실장위치(Pm2)에서는 기판(B2)의 부품 실장을 실장할 수 없다(NO)고 판단되어 스텝 S106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스텝 S106에서는, 제어부(100)는 기판(B2)의 부품 실장을 실장위치(Pm1)에 분배한다고 결정한다. 이것에 의해, 도 4의 동작 A101의 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판(B2)은 실장위치(Pm1)에 반입되고, 기판(B2)의 전체 실장 대상점(Bp) 중 실장위치(Pm1)의 통상 분배점(상류측 절반)으로의 부품 실장이 실장위치(Pm1)에 분배된다.
그리고, 실장위치(Pm2)에서는 실장위치(Pm1, Pm2)로의 통상 분배점으로의 부품 실장이 1번째의 기판(B1)에 대하여 개시되고, 실장위치(Pm1)에서는 실장위치(Pm1)로의 통상 분배점으로의 부품 실장이 2번째의 기판(B2)에 대하여 개시된다. 도 4의 동작 A102의 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장위치(Pm1)에서 분배된 부품 실장이 기판(B2)에 대하여 완료되면(스텝 S201에서 「YES」), 기판(B2)에 미실장점이 존재하는지가 판단된다(스텝 S202). 기판(B2)의 복수의 실장 대상점(Bp) 중 하류측 절반에는 부품(Wp)이 실장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스텝 S202에서 「YES」), 스텝 S203으로 진행한다. 스텝 S203에서는, 실장위치(Pm1)의 상류측, 즉 대기 컨베이어(21)에 기판(B)이 존재하는지가 판단된다. 대기 컨베이어(21)에는 3번째의 기판(B3)이 존재하기 때문에(스텝 S203에서 「YES」), 스텝 S204로 진행한다. 스텝 S204에서는 실장위치(Pm1)의 하류측, 즉 대기위치(Pw)에 기판(B)이 존재하는지가 판단된다. 대기위치(Pw)에는 기판(B)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스텝 S204에서 「NO」), 스텝 S205로 진행한다. 그리고, 스텝 S205에서는 기판(B2)이 실장위치(Pm1)의 하류, 즉 대기위치(Pw)로 반출되고, 기판(B3)의 하류로의 반송이 개시된다.
3번째의 기판(B3)의 하류단이 실장위치(Pm1)에 반입되면(스텝 S101에서 「YES」), 스텝 S102에서 기판(B3)에 미실장점이 존재한다(YES)고 판단되고, 또한 스텝 S103에서 본 실장위치(Pm1)가 최하류의 실장위치(Pm)가 아니다(NO)고 판단되어, 스텝 S104로 진행한다. 하류의 실장위치(Pm2)는 앞의 기판(B1)에 부품 실장을 실행중이기 때문에, 스텝 S104에서는, 실장위치(Pm2)에서는 기판(B3)의 부품 실장을 실장할 수 없다(NO)고 판단되어, 스텝 S106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스텝 S106에서는, 제어부(100)는 기판(B3)의 부품 실장을 실장위치(Pm1)에 분배한다고 결정한다. 이것에 의해, 도 4의 동작 A103의 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판(B3)이 실장위치(Pm1)에 반입되고, 기판(B3)의 전체 실장 대상점(Bp) 중 실장위치(Pm1)의 통상 분배점(상류측 절반)으로의 부품 실장이 실장위치(Pm1)에 분배된다.
그리고, 실장위치(Pm1)에서는 실장위치(Pm1)로의 통상 분배점으로의 부품 실장이 3번째의 기판(B3)에 대하여 개시된다. 도 4의 동작 A104의 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장위치(Pm2)에서 분배된 부품 실장이 기판(B1)에 대하여 완료되면(도 3의 스텝 S201에서 「YES」), 기판(B1)에 미실장점이 존재하는지가 판단된다(스텝 S202). 기판(B1)의 전체 실장 대상점(Bp)에 대하여 부품(Wp)이 실장되어 있기 때문에(스텝 S202에서 「NO」), 도 4의 동작 A105의 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판(B1)이 실장위치(Pm2)로부터 하류로 반출되고, 기판(B2)의 하류로의 반송이 개시된다(스텝 S205).
또한, 도 4의 동작 A104의 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장위치(Pm1)에서 분배된 부품 실장이 기판(B3)에 대하여 완료되면(스텝 S201에서 「YES」), 기판(B3)에 미실장점이 존재하는지가 판단된다(스텝 S202). 기판(B3)의 복수의 실장 대상점(Bp) 중 하류측 절반에 부품(Wp)이 실장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스텝 S202에서 「YES」), 실장위치(Pm1)의 상류측, 즉 대기 컨베이어(21)에 기판(B)이 존재하는지가 판단된다(스텝 S203). 대기 컨베이어(21)에는 4번째의 기판(B4)이 존재하기 때문에(스텝 S203에서 「YES」), 스텝 S204로 진행한다. 스텝 S204에서는 실장위치(Pm1)의 하류측, 즉 대기위치(Pw)에 기판(B)이 존재하는지가 판단된다. 실장위치(Pm2)로부터 기판(B1)이 반출됨에 따라서 대기위치(Pw)로부터 기판(B2)이 반출되기 때문에, 스텝 S204에서는, 대기위치(Pw)에는 기판(B)이 존재하지 않는다(NO)고 판단되어, 스텝 S205로 진행한다. 그리고, 도 4의 동작 A105의 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판(B3)이 실장위치(Pm1)로부터 대기위치(Pw)로 반출됨과 아울러, 기판(B4)의 하류로의 반송이 개시된다(스텝 S205).
기판(B2)의 하류단이 실장위치(Pm2)에 반입되면(스텝 S101에서 「YES」), 기판(B2)의 미실장점의 존재가 판단된다(스텝 S102). 기판(B2)의 복수의 실장 대상점(Bp) 중 하류측 절반에는 부품(Wp)이 실장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스텝 S102에서 「YES」), 스텝 S103에서 본 실장위치(Pm2)가 최하류의 실장위치(Pm)인지가 판단된다. 실장위치(Pm2)는 최하류의 실장위치(Pm)이기 때문에(스텝 S103에서 「YES」), 스텝 S106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스텝 S106에서는, 제어부(100)는 기판(B2)의 미실장점으로의 부품 실장을 본 실장위치(Pm2)에 분배한다고 결정한다. 이것에 의해, 도 4의 동작 A105의 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판(B2)이 실장위치(Pm2)에 반입되고, 기판(B2)의 전체 실장 대상점(Bp) 중 실장위치(Pm2)의 통상 분배점(하류측 절반)으로의 부품 실장이 실장위치(Pm2)에 분배된다.
또한, 4번째의 기판(B4)의 하류단이 실장위치(Pm1)에 반입되면(스텝 S101에서 「YES」), 스텝 S102에서 기판(B4)에 미실장점이 존재한다(YES)고 판단되고, 또한 스텝 S103에서 본 실장위치(Pm1)가 최하류의 실장위치(Pm)가 아니다(NO)고 판단되어, 스텝 S104로 진행한다. 하류의 실장위치(Pm2)는 앞의 기판(B2)에 부품 실장을 실행 예정이기 때문에, 스텝 S104에서는, 실장위치(Pm2)에서는 기판(B4)의 부품 실장을 실장할 수 없다(NO)고 판단되어, 스텝 S106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스텝 S106에서는, 제어부(100)는 기판(B4)의 부품 실장을 실장위치(Pm1)에 분배한다고 결정한다. 이것에 의해, 도 4의 동작 A105의 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판(B4)이 실장위치(Pm1)에 반입되고, 기판(B4)의 전체 실장 대상점(Bp) 중 실장위치(Pm1)의 통상 분배점(상류측 절반)으로의 부품 실장이 실장위치(Pm1)에 분배된다.
그리고, 실장위치(Pm2)에서는 실장위치(Pm2)로의 통상 분배점으로의 부품 실장이 2번째의 기판(B2)에 대하여 개시되고, 실장위치(Pm1)에서는 실장위치(Pm1)로의 통상 분배점으로의 부품 실장이 4번째의 기판(B4)에 대하여 개시된다. 도 4의 동작 A106의 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장위치(Pm2)에서 분배된 부품 실장이 기판(B2)에 대하여 완료되면(스텝 S201에서 「YES」), 기판(B2)에 미실장점이 존재하는지가 판단된다(스텝 S202). 기판(B2)의 전체 실장 대상점(Bp)에 대하여 부품(Wp)이 실장되어 있기 때문에(스텝 S202에서 「NO」), 도 4의 동작 A107의 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판(B2)이 실장위치(Pm2)로부터 하류로 반출되고, 기판(B3)의 하류로의 반송이 개시된다(스텝 S205).
도 4의 동작 A106의 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장위치(Pm1)에서 분배된 부품 실장이 기판(B4)에 대하여 완료되면(스텝 S201에서 「YES」), 기판(B4)에 미실장점이 존재하는지가 판단된다(스텝 S202). 기판(B4)의 복수의 실장 대상점(Bp) 중 하류측 절반에 부품(Wp)이 실장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스텝 S202에서 「YES」), 실장위치(Pm1)의 상류측, 즉 대기 컨베이어(21)에 기판(B)이 존재하는지가 판단된다(스텝 S203). 대기 컨베이어(21)에는 기판(B)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스텝 S203에서 「NO」), 스텝 S206으로 진행한다. 스텝 S206에서는, 제어부(100)는 기판(B4)의 부품 실장을 실장위치(Pm1)에 분배한다고 결정한다. 이것에 의해, 도 4의 동작 A107의 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판(B4)은 실장위치(Pm1)에 머물고, 기판(B4)의 전체 실장 대상점(Bp) 중 실장위치(Pm2)의 통상 분배점(하류측 절반)으로의 부품 실장이 실장위치(Pm1)에 분배된다.
기판(B3)의 하류단이 실장위치(Pm2)에 반입되면(스텝 S101에서 「YES」), 기판(B3)의 미실장점의 존재가 판단된다(스텝 S102). 기판(B3)의 복수의 실장 대상점(Bp) 중 하류측 절반에는 부품(Wp)이 실장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스텝 S102에서 「YES」), 스텝 S103에서 본 실장위치(Pm3)가 최하류의 실장위치(Pm)인지가 판단된다. 실장위치(Pm2)는 최하류의 실장위치(Pm)이기 때문에(스텝 S103에서 「YES」), 스텝 S106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스텝 S106에서는, 제어부(100)는 기판(B3)의 미실장점으로의 부품 실장을 본 실장위치(Pm2)에 분배한다고 결정한다. 이것에 의해, 도 4의 동작 A10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판(B3)이 실장위치(Pm2)에 반입되고, 기판(B3)의 전체 실장 대상점(Bp) 중 실장위치(Pm2)의 통상 분배점(하류측 절반)으로의 부품 실장이 실장위치(Pm2)에 분배된다.
그리고, 실장위치(Pm2)에서는 실장위치(Pm2)로의 통상 분배점으로의 부품 실장이 3번째의 기판(B3)에 대하여 개시되고, 실장위치(Pm1)에서는 실장위치(Pm2)로의 통상 분배점으로의 부품 실장이 4번째의 기판(B4)에 대하여 개시된다. 도 4의 동작 A108의 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장위치(Pm2)에서 분배된 부품 실장이 기판(B3)에 대하여 완료되면(스텝 S201로 「YES」), 기판(B3)에 미실장점이 존재하는지가 판단된다(스텝 S202). 기판(B3)의 전체 실장 대상점(Bp)에 대하여 부품(Wp)이 실장되어 있기 때문에(스텝 S202에서 「NO」), 기판(B3)이 실장위치(Pm2)로부터 하류로 반출된다(스텝 S205).
도 4의 동작 A108의 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장위치(Pm1)에서 분배된 부품 실장이 기판(B4)에 대하여 완료되면(스텝 S201에서 「YES」), 기판(B4)에 미실장점이 존재하는지가 판단된다(스텝 S202). 기판(B4)의 전체 실장 대상점(Bp)에 대하여 부품(Wp)이 실장되어 있기 때문에(스텝 S202에서 「NO」), 기판(B4)이 실장위치(Pm1)로부터 하류로 반출된다(스텝 S205). 또한, 기판(B4)의 하류단이 실장위치(Pm2)에 반입되면(스텝 S101에서 「YES」), 기판(B4)에 미실장점이 존재하는지가 판단된다(스텝 S102). 기판(B4)의 전체 실장 대상점(Bp)에 대하여 부품(Wp)이 실장되어 있기 때문에(스텝 S102에서 「NO」), 스텝 S107에서 기판(B4)이 실장위치(Pm1)로부터 하류로 반출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실시형태에서는, 실장위치(Pm)의 개수(M)는 「2」이며, 기판(B)의 매수(L)는 「4」이다. 즉, 하나의 기판(B)에 형성된 복수의 실장 대상점(Bp)에 대한 부품 실장이 2개의 실장위치(Pm1, Pm2)의 사이에서 분배된다. 그리고, 상기 하나의 기판(B)을 기판 반송방향(X)으로 반송하면서 2개의 실장위치(Pm1, Pm2) 중 부품 실장을 분배한 실장위치(Pm)에 정지시켜서, 실장위치(Pm)에서 정지하는 상기 하나의 기판(B)에 대하여 실장위치(Pm)에 분배된 부품 실장이 실행된다. 이 때, 4매의 기판(B1∼B4) 중 기판 반송방향(X)으로의 반송순서 N이 M 미만인 기판(B1)에 대해서는 초기 실장모드(동작 A101∼A104에 있어서의 기판(B1)에 대한 동작)로 부품 실장이 실행되고, 반송순서 N이 M 이상이며 (L-M+2)번 미만인 기판(B3)에 대해서는 통상 실장모드(동작 A103∼A108에 있어서의 기판(B3)에 대한 동작)로 부품 실장이 실행된다. 초기 실장모드에서는 반송순서 1의 기판(B1)에 관해서, 2개의 실장위치(Pm1, Pm2) 중 기판 반송방향(X)의 상류측으로부터 세어서 1번째의 실장위치(Pm1)보다 하류측의 실장위치(Pm2)에 기판(B1)으로의 부품 실장이 선택적으로 분배된다. 따라서, 기판(B1)은 1번째의 실장위치(Pm1)를 통과하여 1번째의 실장위치(Pm1)보다 하류측의 실장위치(Pm2)에서 기판(B1)의 복수의 실장 대상점(Bp)으로의 부품 실장이 실행된다. 한편, 통상 실장모드에서는 2개의 실장위치(Pm1, Pm2)의 각각에 기판(B3)으로의 부품 실장이 분배되고, 기판(B3)은 2개의 실장위치(Pm1, Pm2)에 차례로 정지하여 2개의 실장위치(Pm1, Pm2)의 각각에서 차례로 기판(B3)의 복수의 실장 대상점(Bp)으로의 부품 실장이 실행된다.
따라서, 4매의 기판 중 반송순서가 최초의 2매의 기판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해서 부품 실장이 실행된다. 즉, 1번째의 기판(B1)은 초기 실장모드에 의해 기판 반송방향(X)의 상류측으로부터 세어서 2번째의 실장위치(Pm2)에 반송되고, 2번째의 기판(B2)은 통상 실장모드에 의해 기판 반송방향(X)의 상류측으로부터 세어서 1번째의 실장위치(Pm1)에 반송된다. 이렇게 해서, 2개의 실장위치(Pm1, Pm2)의 각각에 기판(B2, B1)을 반송하고, 각 실장위치(Pm1, Pm2)에서 기판(B2, B1)으로의 부품 실장을 개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부품 실장 시스템(1)의 가동률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반송부(2)는 기판 반송방향(X)에 이웃하는 실장위치(Pm1, Pm2)의 사이에 배치된 대기위치(Pw)를 더 갖는다. 그리고, 기판 반송방향(X)에 있어서 2개의 실장위치(Pm1, Pm2) 중 최하류의 실장위치(Pm2) 이외의 실장위치(Pm1)는, 하류측에서 이웃하는 실장위치(Pm2)에서 부품 실장이 실행될 경우에는, 분배된 부품 실장이 완료된 기판(B)을 하류측의 대기위치(Pw)로 반출하고, 분배된 부품 실장이 미완인 기판(B)을 기판 반송방향(X)의 상류측으로부터 반입한다(동작 A102∼A103의 기판(B2, B3) 등). 이러한 구성에서는, 최하류의 실장위치(Pm2) 이외의 실장위치(Pm1)에서는 분배된 부품 실장이 완료된 기판(B)을 신속하게 대기위치(Pw)로 반출하고, 부품 실장이 미완인 다음 기판(B)이 기판 반송방향(X)의 상류측으로부터 반입된다. 그 결과, 부품 실장 시스템(1)의 가동률 저하를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통상 실장모드에서는 실장위치(Pm1, Pm2)의 각각에서 부품(Wp)이 실장되는 실장 대상점(Bp)의 개수의 차가 1개 이하로 되도록(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개수의 차는 제로이다), 2개의 실장위치(Pm1, Pm2)의 각각에 기판(B)으로의 부품 실장이 분배된다. 한편, 초기 실장모드에서는 반송순서 1의 기판(B1)에 관해서 기판 반송방향(X)의 상류측으로부터 세어서 2번째의 실장위치(Pm2)에는, 통상 실장모드로 기판 반송방향(X)의 상류측으로부터 세어서 1번째부터 2번째까지의 실장위치(Pm1, Pm2)에 분배되는 부품 실장이 분배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가령 반송순서 N이 M 미만인 기판(B1)에 대하여 통상 실장모드를 실행했을 경우에, 기판 반송방향(X)의 상류측으로부터 세어서 1번째부터 2번째까지의 실장위치(Pm1, Pm2)에 분배되는 부품 실장이, 초기 실장모드에 있어서 2번째의 실장위치(Pm2)에 분배된다. 즉, 초기 실장모드에서는, 반송순서 1의 기판(B1)에 관해서 2번째의 실장위치(Pm2)보다 상류측의 실장위치(Pm1)에서의 부품 실장이 생략되지만, 이 부품 실장을 2번째의 실장위치(Pm2)에서 확실하게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통상 실장모드에 있어서, 실장위치(Pm1, Pm2)의 각각에서 부품(Wp)이 실장되는 실장 대상점(Bp)의 개수의 차를 1개 이하로 함으로써 각 실장위치(Pm1, Pm2)에서의 실장시간을 균등화할 수 있다. 즉, 각 실장위치(Pm1, Pm2)에서의 실장 대상점(Bp)의 개수가 대략 균등하면, 각 실장위치(Pm1, Pm2)로부터의 기판(B)의 반송을 대략 동시에 실행할 수 있다. 또한, 각 실장위치(Pm1, Pm2)의 실장시간 자체가 균등화되도록, 각 실장위치(Pm1, Pm2)에서의 실장 대상점(Bp)의 개수를 정해도 좋다. 이 경우, 각 실장위치(Pm1, Pm2)에서의 실장시간을 완전히 같게 할 수 없도록 해도, 각 실장위치(Pm1, Pm2)에서의 실장시간의 차를 억제하도록, 각 실장위치(Pm1, Pm2)에서의 실장 대상점(Bp)의 개수를 정해도 좋다.
또한, 제어부(100)는 4매의 기판(B1∼B4) 중 반송순서 N이 4번 이상의 기판(B4)에 대해서는 종기 실장모드(동작 A105∼A108에 있어서의 기판(B4)에 대한 동작)로 부품 실장을 실행한다. 이 종기 실장모드에서는, 반송순서 4의 기판(B4)에 관해서 2개의 실장위치(Pm1, Pm2) 중 기판 반송방향(X)의 상류측으로부터 세어서 1번째의 실장위치(Pm1)에 기판(B4)으로의 부품 실장이 선택적으로 분배되고, 1번째의 실장위치(Pm1)에서 기판(B4)의 복수의 실장 대상점(Bp)으로의 부품 실장이 실행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4매의 기판(B1∼B4) 중 반송순서 N이 (L-M+2)번 이상인 기판(B4)에 대해서는, 2개의 실장위치(Pm1, Pm2) 중 기판 반송방향(X)의 상류측으로부터 세어서 1번째의 실장위치(Pm1)에 기판(B4)으로의 부품 실장이 선택적으로 분배되고, 1번째의 실장위치(Pm1)에서 기판(B4)의 복수의 실장 대상점(Bp)으로의 부품 실장이 실행된다. 따라서, 기판 반송방향(X)에 있어서, 1번째보다 하류측의 실장위치(Pm2)에서 부품 실장을 실행중이여도, 1번째의 실장위치(Pm1)를 가동시켜서 반송순서 N이 (L-M+2)번 이상인 기판(B4)에 대하여 부품 실장을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그 결과, 부품 실장 시스템(1)의 가동률 저하를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종기 실장모드에서는, 반송순서 4의 기판(B4)에 관해서 기판 반송방향(X)의 상류측으로부터 세어서 1번째의 실장위치(Pm1)에는, 통상 실장모드로 기판 반송방향(X)의 상류측으로부터 세어서 1번째부터 2번째까지의 실장위치(Pm1, Pm2)에 분배되는 부품 실장이 분배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가령 반송순서 N이 (L-M+2)번 이상인 기판(B4)에 대하여 통상 실장모드를 실행했을 경우에, 기판 반송방향(X)의 상류측으로부터 세어서 1번째부터 2번째까지의 실장위치(Pm1, Pm2)에 분배되는 부품 실장이, 종기 실장모드에 있어서 1번째의 실장위치(Pm1)에 분배된다. 즉, 종기 실장모드에서는, 반송순서 4의 기판(B4)에 관해서 1번째의 실장위치(Pm1)보다 하류측의 실장위치(Pm2)에서의 부품 실장이 생략되지만, 이 부품 실장을 1번째의 실장위치(Pm1)에서 확실하게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은 도 2 및 도 3의 플로우차트에 따라서 실행되는 동작의 제2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서는, 8매(즉, L=8)의 기판(B)을 기판 반송방향(X)으로 차례로 반송하면서, 각 기판(B)에 부품 실장을 실행하는 예가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에서는 L매의 기판(B)의 반송순서 N(N=1∼8)이 부호 B로 붙여져 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반송부(2)에서는 실장 컨베이어(24)와 반출 컨베이어(25)(도 1) 사이에, 대기 컨베이어(26)와 실장 컨베이어(27)가 기판 반송방향(X)에 이 순서로 배열되어 설치되어 있고, 대기 컨베이어(26)는 대기위치(Pw2)에서 기판(B)을 정지·고정시키고, 실장 컨베이어(27)는 실장위치(Pm3)에서 기판(B)을 정지·고정시킨다. 즉, 반송부(2)에서는 M개의 실장위치(Pm1, Pm2, Pm3)가 기판 반송방향(X)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고, 기판 반송방향(X)에 이웃하는 실장위치(Pm1, Pm2)의 사이에 대기위치(Pw1)가 배치되고, 기판 반송방향(X)에 이웃하는 실장위치(Pm2, Pm3)의 사이에 대기위치(Pw2)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 5 및 도 6의 예에서는 M=3이며, 3개의 실장위치(Pm1, Pm2, Pm3)에 일대일로 대응해서 3개의 실장부(4)가 설치되어 있고, 각 실장부(4)는 대응하는 실장위치(Pm)에서 정지하는 기판(B)에 대하여 부품 실장을 실행한다. 또, 이하에서는 실장위치(Pm1, Pm2, Pm3)를 구별하지 않을 경우에는 실장위치(Pm)라고 칭하고, 대기위치(Pw1, Pw2)를 구별하지 않을 경우에는 대기위치(Pw)라고 칭한다.
제2예에 있어서도, 제어부(100)는 L매의 기판(B)을 차례로 반송부(2)에 의해 반송하면서 각 기판(B)에 부품 실장을 실행함에 있어서는, 기판(B)의 반송순서 N 에 따라서 실장위치(Pm1, Pm2, Pm3)로의 부품 실장의 분배를 동적으로 변경한다. 이 때, 실장위치(Pm)의 개수의 차이에 따라서, 통상 실장모드로 실장위치(Pm1, Pm2, Pm3)의 각각에 분배되는 실장 대상점(Bp)이 제1예와 다르다. 즉, 기판(B)의 복수의 실장 대상점(Bp) 중, 실장위치(Pm1)에서는 상류측의 3분의 1의 실장 대상점(Bp)(통상 분배점)에 대하여 부품(Wp)이 실장되고, 실장위치(Pm2)에서는 중앙의 3분의 1의 실장 대상점(Bp)(통상 분배점)에 대하여 부품(Wp)이 실장되며, 실장위치(Pm3)에서는 하류측의 3분의 1의 실장 대상점(Bp)(통상 분배점)에 대하여 부품(Wp)이 실장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실장위치(Pm1, Pm2, Pm3)의 각각에 대해서 도 2 및 도 3의 플로우차트에 나타내는 반입시·실장 완료시 판단처리를 실행함으로써 도 5 및 도 6의 동작을 실행한다. 또, 도 2 및 도 3의 플로우차트에 기초한 판단의 상세는 상기 제1예와 같으므로 그 설명은 적당하게 생략한다.
도 5의 동작 A201의 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1번째의 기판(B1)을 기판 반송방향(X)으로 반송하면서 기판(B1)에 대하여 실장위치(Pm1, Pm2, Pm3)의 각각에서 반입시 판단처리가 실행된 결과, 기판(B1)은 실장위치(Pm1, Pm2)를 통과해서 실장위치(Pm3)에 반입되고, 기판(B1)으로의 부품 실장이 실장위치(Pm3)에 분배된다. 구체적으로는, 기판(B1)이 정지하지 않고 통과한 실장위치(Pm1, Pm2)로의 통상 분배점과, 기판(B1)의 반입처인 실장위치(Pm3)로의 통상 분배점에 대한 부품 실장이, 실장위치(Pm3)에 분배된다. 이것에 의해, 기판(B1)의 전체 실장 대상점(Bp)으로의 부품 실장이 실장위치(Pm3)에 분배된다.
또한, 2번째의 기판(B2)을 기판 반송방향(X)으로 반송하면서 기판(B2)에 대하여 실장위치(Pm1, Pm2)의 각각에서 반입시 판단처리가 실행된 결과, 기판(B2)은 실장위치(Pm1)를 통과해서 실장위치(Pm2)에 반입되고, 기판(B2)으로의 부품 실장이 실장위치(Pm2)에 분배된다. 구체적으로는, 기판(B2)이 정지하지 않고 통과한 실장위치(Pm1)로의 통상 분배점과, 기판(B2)의 반입처인 실장위치(Pm2)로의 통상 분배점에 대한 부품 실장이, 실장위치(Pm2)에 분배된다. 이것에 의해, 기판(B2)의 상류측의 3분의 2의 실장 대상점(Bp)으로의 부품 실장이 실장위치(Pm2)에 분배된다.
또한, 3번째의 기판(B3)을 기판 반송방향(X)으로 반송하면서 기판(B3)에 대하여 실장위치(Pm1)에서 반입시 판단처리가 실행된 결과, 기판(B3)은 실장위치(Pm1)에 반입되고, 기판(B3)으로의 부품 실장이 실장위치(Pm1)에 분배된다. 구체적으로는, 실장위치(Pm1)의 통상 분배점에 대한 부품 실장이 실장위치(Pm1)에 분배된다. 이것에 의해, 기판(B3)의 상류측의 3분의 1의 실장 대상점(Bp)(통상 분배점)으로의 부품 실장이 실장위치(Pm1)에 분배된다.
그리고, 실장위치(Pm3)에서는 실장위치(Pm1, Pm2, Pm3)로의 통상 분배점으로의 부품 실장이 1번째의 기판(B1)에 대하여 개시되고, 실장위치(Pm2)에서는 실장위치(Pm1, Pm2)로의 통상 분배점으로의 부품 실장이 2번째의 기판(B2)에 대하여 개시되며, 실장위치(Pm1)에서는 실장위치(Pm1)로의 통상 분배점으로의 부품 실장이 1번째의 기판(B3)에 대하여 개시된다. 도 5의 동작 A202의 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장위치(Pm1)에서 분배된 부품 실장이 기판(B3)에 대하여 완료되면, 실장위치(Pm1)에서 실장 완료시 판단처리가 실행된다. 그 결과, 도 5의 동작 A203의 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판(B3)이 실장위치(Pm1)로부터 대기위치(Pw1)로 반출된다. 이것과 병행하여, 4번째의 기판(B4)의 하류로의 반송이 개시되어서 기판(B4)의 하류단이 실장위치(Pm1)에 반입되면, 실장위치(Pm1)에서 반입시 판단처리가 실행된다. 그 결과, 도 5의 동작 A203의 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판(B4)이 실장위치(Pm1)에 반입되고, 기판(B4)으로의 부품 실장이 실장위치(Pm1)에 분배된다. 이것에 의해, 실장위치(Pm1)에는 기판(B4)의 복수의 실장 대상점(Bp) 중 실장위치(Pm1)로의 통상 분배점으로의 부품 실장이 분배되고, 실장위치(Pm1)에서는 이 부품 실장이 기판(B4)에 대하여 개시된다.
도 5의 동작 A204의 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장위치(Pm2)에서 분배된 부품 실장이 기판(B2)에 대하여 완료되면, 실장위치(Pm2)에서 실장 완료시 판단처리가 실행된다. 그 결과, 도 5의 동작 A205의 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판(B2)이 실장위치(Pm2)로부터 대기위치(Pw2)로 반출된다. 이것과 병행하여, 기판(B3)의 하류로의 반송이 개시되어 기판(B3)의 하류단이 실장위치(Pm2)에 반입되면, 실장위치(Pm2)에서 반입시 판단처리가 실행된다. 그 결과, 도 5의 동작 A205의 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판(B3)이 실장위치(Pm2)에 반입되고, 기판(B3)으로의 부품 실장이 실장위치(Pm2)에 분배된다. 이것에 의해, 실장위치(Pm2)에는 기판(B3)의 복수의 실장 대상점(Bp) 중 실장위치(Pm2)로의 통상 분배점으로의 부품 실장이 분배되고, 실장위치(Pm2)에서는 이 부품 실장이 기판(B3)에 대하여 개시된다.
도 5의 동작 A204의 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장위치(Pm1)에서 분배된 부품 실장이 기판(B4)에 대하여 완료되면, 실장위치(Pm1)에서 실장 완료시 판단처리가 실행된다. 그 결과, 도 5의 동작 A205의 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판(B4)이 실장위치(Pm1)로부터 대기위치(Pw1)로 반출된다. 이것과 병행하여, 5번째의 기판(B5)의 하류로의 반송이 개시되고, 기판(B5)의 하류단이 실장위치(Pm1)에 반입되면, 실장위치(Pm1)에서 반입시 판단처리가 실행된다. 그 결과, 도 5의 동작 A205의 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판(B5)이 실장위치(Pm1)에 반입되고, 기판(B5)으로의 부품 실장이 실장위치(Pm1)에 분배된다. 이것에 의해, 실장위치(Pm1)에는 기판(B5)의 복수의 실장 대상점(Bp) 중 실장위치(Pm1)로의 통상 분배점으로의 부품 실장이 분배되고, 실장위치(Pm1)에서는 이 부품 실장이 기판(B5)에 대하여 개시된다.
도 5의 동작 A206의 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장위치(Pm3)에서 분배된 부품 실장이 기판(B1)에 대하여 완료되면, 실장위치(Pm3)에서 실장 완료시 판단처리가 실행된다. 그 결과, 도 5의 동작 A207의 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판(B1)이 실장위치(Pm3)로부터 반출된다. 이것과 병행하여, 기판(B2)의 하류로의 반송이 개시되고, 기판(B2)의 하류단이 실장위치(Pm3)에 반입되면, 실장위치(Pm3)에서 반입시 판단처리가 실행된다. 그 결과, 도 5의 동작 A207의 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판(B2)이 실장위치(Pm3)에 반입되고, 기판(B2)으로의 부품 실장이 실장위치(Pm3)에 분배된다. 이것에 의해, 실장위치(Pm3)에는 기판(B2)의 복수의 실장 대상점(Bp) 중 실장위치(Pm3)로의 통상 분배점으로의 부품 실장이 분배되고, 실장위치(Pm3)에서는 이 부품 실장이 기판(B2)에 대하여 개시된다.
도 5의 동작 A206의 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장위치(Pm2)에서 분배된 부품 실장이 기판(B3)에 대하여 완료되면, 실장위치(Pm2)에서 실장 완료시 판단처리가 실행된다. 그 결과, 도 5의 동작 A207의 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판(B3)이 실장위치(Pm2)로부터 대기위치(Pw2)로 반출된다. 이것과 병행하여, 기판(B4)의 하류로의 반송이 개시되고, 기판(B4)의 하류단이 실장위치(Pm2)에 반입되면, 실장위치(Pm2)에서 반입시 판단처리가 실행된다. 그 결과, 도 5의 동작 A207의 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판(B4)이 실장위치(Pm2)에 반입되고, 기판(B4)으로의 부품 실장이 실장위치(Pm2)에 분배된다. 이것에 의해, 실장위치(Pm2)에는 기판(B4)의 복수의 실장 대상점(Bp) 중 실장위치(Pm2)로의 통상 분배점으로의 부품 실장이 분배되고, 실장위치(Pm2)에서는 이 부품 실장이 기판(B4)에 대하여 개시된다.
도 5의 동작 A206의 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장위치(Pm1)에서 분배된 부품 실장이 기판(B5)에 대하여 완료되면, 실장위치(Pm1)에서 실장 완료시 판단처리가 실행된다. 그 결과, 도 5의 동작 A207의 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판(B5)이 실장위치(Pm1)로부터 대기위치(Pw1)로 반출된다. 이것과 병행하여, 6번째의 기판(B6)의 하류로의 반송이 개시되고, 기판(B6)의 하류단이 실장위치(Pm1)에 반입되면, 실장위치(Pm1)에서 반입시 판단처리가 실행된다. 그 결과, 도 5의 동작 A207의 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판(B6)이 실장위치(Pm1)에 반입되고, 기판(B6)으로의 부품 실장이 실장위치(Pm1)에 분배된다. 이것에 의해, 실장위치(Pm1)에는 기판(B6)의 복수의 실장 대상점(Bp) 중 실장위치(Pm1)로의 통상 분배점으로의 부품 실장이 분배되고, 실장위치(Pm1)에서는 이 부품 실장이 기판(B6)에 대하여 개시된다.
도 5의 동작 A208의 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장위치(Pm3)에서 분배된 부품 실장이 기판(B2)에 대하여 완료되면, 실장위치(Pm3)에서 실장 완료시 판단처리가 실행된다. 그 결과, 도 6의 동작 A209의 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판(B2)이 실장위치(Pm3)로부터 반출된다. 이것과 병행하여, 기판(B3)의 하류로의 반송이 개시되고, 기판(B3)의 하류단이 실장위치(Pm3)에 반입되면, 실장위치(Pm3)에서 반입시 판단처리가 실행된다. 그 결과, 도 5의 동작 A209의 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판(B3)이 실장위치(Pm3)에 반입되고, 기판(B3)으로의 부품 실장이 실장위치(Pm3)에 분배된다. 이것에 의해, 실장위치(Pm3)에는 기판(B3)의 복수의 실장 대상점(Bp) 중 실장위치(Pm3)로의 통상 분배점으로의 부품 실장이 분배되고, 실장위치(Pm3)에서는 이 부품 실장이 기판(B3)에 대하여 개시된다.
도 5의 동작 A208의 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장위치(Pm2)에서 분배된 부품 실장이 기판(B4)에 대하여 완료되면, 실장위치(Pm2)에서 실장 완료시 판단처리가 실행된다. 그 결과, 도 5의 동작 A209의 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판(B4)이 실장위치(Pm2)로부터 대기위치(Pw2)로 반출된다. 이것과 병행하여, 기판(B5)의 하류로의 반송이 개시되고, 기판(B5)의 하류단이 실장위치(Pm2)에 반입되면, 실장위치(Pm2)에서 반입시 판단처리가 실행된다. 그 결과, 도 5의 동작 A209의 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판(B5)이 실장위치(Pm2)에 반입되고, 기판(B5)으로의 부품 실장이 실장위치(Pm2)에 분배된다. 이것에 의해, 실장위치(Pm2)에는 기판(B5)의 복수의 실장 대상점(Bp) 중 실장위치(Pm2)로의 통상 분배점으로의 부품 실장이 분배되고, 실장위치(Pm2)에서는 이 부품 실장이 기판(B5)에 대하여 개시된다.
도 5의 동작 A208의 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장위치(Pm1)에서 분배된 부품 실장이 기판(B6)에 대하여 완료되면, 실장위치(Pm1)에서 실장 완료시 판단처리가 실행된다. 그 결과, 도 6의 동작 A209의 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판(B6)이 실장위치(Pm1)로부터 대기위치(Pw1)로 반출된다. 이것과 병행하여, 7번째의 기판(B7)의 하류로의 반송이 개시되고, 기판(B7)의 하류단이 실장위치(Pm1)에 반입되면, 실장위치(Pm1)에서 반입시 판단처리가 실행된다. 그 결과, 도 6의 동작 A209의 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판(B7)이 실장위치(Pm1)에 반입되고, 기판(B7)으로의 부품 실장이 실장위치(Pm1)에 분배된다. 이것에 의해, 실장위치(Pm1)에는 기판(B7)의 복수의 실장 대상점(Bp) 중 실장위치(Pm1)로의 통상 분배점으로의 부품 실장이 분배되고, 실장위치(Pm1)에서는 이 부품 실장이 기판(B7)에 대하여 개시된다.
도 6의 동작 A210의 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장위치(Pm3)에서 분배된 부품 실장이 기판(B3)에 대하여 완료되면, 실장위치(Pm3)에서 실장 완료시 판단처리가 실행된다. 그 결과, 도 6의 동작 A211의 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판(B3)이 실장위치(Pm3)로부터 반출된다. 이것과 병행하여, 기판(B4)의 하류로의 반송이 개시되고, 기판(B4)의 하류단이 실장위치(Pm3)에 반입되면, 실장위치(Pm3)에서 반입시 판단처리가 실행된다. 그 결과, 도 6의 동작 A211의 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판(B4)이 실장위치(Pm3)에 반입되고, 기판(B4)으로의 부품 실장이 실장위치(Pm3)에 분배된다. 이것에 의해, 실장위치(Pm3)에는 기판(B4)의 복수의 실장 대상점(Bp) 중 실장위치(Pm3)로의 통상 분배점으로의 부품 실장이 분배되고, 실장위치(Pm3)에서는 이 부품 실장이 기판(B4)에 대하여 개시된다.
도 6의 동작 A210의 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장위치(Pm2)에서 분배된 부품 실장이 기판(B5)에 대하여 완료되면, 실장위치(Pm2)에서 실장 완료시 판단처리가 실행된다. 그 결과, 도 6의 동작 A211의 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판(B5)이 실장위치(Pm2)로부터 대기위치(Pw2)로 반출된다. 이것과 병행하여, 기판(B6)의 하류로의 반송이 개시되고, 기판(B6)의 하류단이 실장위치(Pm2)에 반입되면, 실장위치(Pm2)에서 반입시 판단처리가 실행된다. 그 결과, 도 6의 동작 A211의 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판(B6)이 실장위치(Pm2)에 반입되고, 기판(B6)으로의 부품 실장이 실장위치(Pm2)에 분배된다. 이것에 의해, 실장위치(Pm2)에는 기판(B6)의 복수의 실장 대상점(Bp) 중 실장위치(Pm2)로의 통상 분배점으로의 부품 실장이 분배되고, 실장위치(Pm2)에서는 이 부품 실장이 기판(B6)에 대하여 개시된다.
도 6의 동작 A210의 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장위치(Pm1)에서 분배된 부품 실장이 기판(B7)에 대하여 완료되면, 실장위치(Pm1)에서 실장 완료시 판단처리가 실행된다. 그 결과, 도 6의 동작 A211의 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판(B7)이 실장위치(Pm1)로부터 대기위치(Pw1)로 반출된다. 이것과 병행하여, 8번째의 기판(B8)의 하류로의 반송이 개시되고, 기판(B8)의 하류단이 실장위치(Pm1)에 반입되면, 실장위치(Pm1)에서 반입시 판단처리가 실행된다. 그 결과, 도 6의 동작 A211의 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판(B8)이 실장위치(Pm1)에 반입되고, 기판(B8)으로의 부품 실장이 실장위치(Pm1)에 분배된다. 이것에 의해, 실장위치(Pm1)에는 기판(B8)의 복수의 실장 대상점(Bp) 중 실장위치(Pm1)로의 통상 분배점으로의 부품 실장이 분배되고, 실장위치(Pm1)에서는 이 부품 실장이 기판(B8)에 대하여 개시된다.
도 6의 동작 A212의 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장위치(Pm3)에서 분배된 부품 실장이 기판(B4)에 대하여 완료되면, 실장위치(Pm3)에서 실장 완료시 판단처리가 실행된다. 그 결과, 도 6의 동작 A213의 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판(B4)이 실장위치(Pm3)로부터 반출된다. 이것과 병행하여, 기판(B5)의 하류로의 반송이 개시되고, 기판(B5)의 하류단이 실장위치(Pm3)에 반입되면, 실장위치(Pm3)에서 반입시 판단처리가 실행된다. 그 결과, 도 6의 동작 A213의 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판(B5)이 실장위치(Pm3)에 반입되고, 기판(B5)으로의 부품 실장이 실장위치(Pm3)에 분배된다. 이것에 의해, 실장위치(Pm3)에는 기판(B5)의 복수의 실장 대상점(Bp) 중 실장위치(Pm3)로의 통상 분배점으로의 부품 실장이 분배되고, 실장위치(Pm3)에서는 이 부품 실장이 기판(B5)에 대하여 개시된다.
도 6의 동작 A212의 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장위치(Pm2)에서 분배된 부품 실장이 기판(B6)에 대하여 완료되면, 실장위치(Pm2)에서 실장 완료시 판단처리가 실행된다. 그 결과, 도 6의 동작 A213의 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판(B6)이 실장위치(Pm2)로부터 대기위치(Pw2)로 반출된다. 이것과 병행하여, 기판(B7)의 하류로의 반송이 개시되고, 기판(B7)의 하류단이 실장위치(Pm2)에 반입되면, 실장위치(Pm2)에서 반입시 판단처리가 실행된다. 그 결과, 도 6의 동작 A213의 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판(B7)이 실장위치(Pm2)에 반입되고, 기판(B7)으로의 부품 실장이 실장위치(Pm2)에 분배된다. 이것에 의해, 실장위치(Pm2)에는 기판(B7)의 복수의 실장 대상점(Bp) 중 실장위치(Pm2)로의 통상 분배점으로의 부품 실장이 분배되고, 실장위치(Pm2)에서는 이 부품 실장이 기판(B7)에 대하여 개시된다.
도 6의 동작 A212의 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장위치(Pm1)에서 분배된 부품 실장이 기판(B8)에 대하여 완료되면, 실장위치(Pm1)에서 실장 완료시 판단처리가 실행된다. 그 결과, 도 6의 동작 A213의 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판(B8)은 실장위치(Pm1)에 머물고, 기판(B8)으로의 부품 실장이 실장위치(Pm1)에 분배된다. 이것에 의해, 실장위치(Pm1)에는 기판(B8)의 복수의 실장 대상점(Bp) 중 실장위치(Pm2)로의 통상 분배점으로의 부품 실장이 분배되고, 실장위치(Pm1)에서는 이 부품 실장이 기판(B8)에 대하여 개시된다.
도 6의 동작 A214의 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장위치(Pm3)에서 분배된 부품 실장이 기판(B5)에 대하여 완료되면, 실장위치(Pm3)에서 실장 완료시 판단처리가 실행된다. 그 결과, 도 6의 동작 A215의 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판(B5)이 실장위치(Pm3)로부터 반출된다. 이것과 병행하여, 기판(B6)의 하류로의 반송이 개시되고, 기판(B6)의 하류단이 실장위치(Pm3)에 반입되면, 실장위치(Pm3)에서 반입시 판단처리가 실행된다. 그 결과, 도 6의 동작 A215의 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판(B6)이 실장위치(Pm3)에 반입되고, 기판(B6)으로의 부품 실장이 실장위치(Pm3)에 분배된다. 이것에 의해, 실장위치(Pm3)에는 기판(B6)의 복수의 실장 대상점(Bp) 중 실장위치(Pm3)로의 통상 분배점으로의 부품 실장이 분배되고, 실장위치(Pm3)에서는 이 부품 실장이 기판(B6)에 대하여 개시된다.
도 6의 동작 A214의 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장위치(Pm2)에서 분배된 부품 실장이 기판(B7)에 대하여 완료되면, 실장위치(Pm2)에서 실장 완료시 판단처리가 실행된다. 그 결과, 도 6의 동작 A215의 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판(B7)은 실장위치(Pm2)에 머물고, 기판(B7)으로의 부품 실장이 실장위치(Pm2)에 분배된다. 이것에 의해, 실장위치(Pm2)에는 실장위치(Pm3)로의 통상 분배점으로의 부품 실장이 분배되고, 실장위치(Pm2)에서는 이 부품 실장이 기판(B7)에 대하여 개시된다.
도 6의 동작 A214의 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장위치(Pm1)에서 분배된 부품 실장이 기판(B8)에 대하여 완료되면, 실장위치(Pm1)에서 실장 완료시 판단처리가 실행된다. 그 결과, 도 6의 동작 A215의 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판(B8)은 실장위치(Pm1)에 머물고, 기판(B8)으로의 부품 실장이 실장위치(Pm1)에 분배된다. 이것에 의해, 실장위치(Pm1)에는 실장위치(Pm3)로의 통상 분배점으로의 부품 실장이 분배되고, 실장위치(Pm3)에서는 이 부품 실장이 기판(B8)에 대하여 개시된다.
도 6의 동작 A216의 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장위치(Pm3, Pm2, Pm1)에서 각각에 분배된 부품 실장이 기판(B6, B7, B8)에 대하여 완료되면, 이들 기판(B6, B7, B8)은 실장 완료시·반입시 판단처리에 따라서 반송부(2)로부터 반출된다. 이렇게 해서, L매(8매)의 기판(B1∼B8)으로의 부품 실장이 완료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실시형태에서는, 실장위치(Pm)의 개수(M)는 「3」이며, 기판(B)의 매수(L)는 「8」이다. 즉, 하나의 기판(B)에 형성된 복수의 실장 대상점(Bp)에 대한 부품 실장이 3개의 실장위치(Pm1, Pm2, Pm3)의 사이에서 분배된다. 그리고, 상기 하나의 기판(B)을 기판 반송방향(X)으로 반송하면서 3개의 실장위치(Pm1, Pm2, Pm3) 중 부품 실장을 분배한 실장위치(Pm)에 정지시켜서, 실장위치(Pm)에서 정지하는 상기 하나의 기판(B)에 대하여 실장위치(Pm)에 분배된 부품 실장이 실행된다. 이 때, 8매의 기판(B1∼B8) 중 기판 반송방향(X)으로의 반송순서 N이 M 미만인 기판(B1, B2)에 대해서는 초기 실장모드(동작 A201∼A208에 있어서의 기판(B1, B2)에 대한 동작)로 부품 실장이 실행되고, 반송순서 N이 M 이상이며 (L-M+2)번 미만인 기판(B3∼B6)에 대해서는 통상 실장모드(동작 A201∼A216에 있어서의 기판(B3∼B6)에 대한 동작)로 부품 실장이 실행된다. 초기 실장모드에서는 반송순서 1의 기판(B1)에 관해서 3개의 실장위치(Pm1, Pm2, Pm3) 중 기판 반송방향(X)의 상류측으로부터 세어서 2번째의 실장위치(Pm2)보다 하류측의 실장위치(Pm3)에 기판(B1)으로의 부품 실장이 선택적으로 분배된다. 따라서, 기판(B1)은 1∼2번째의 실장위치(Pm1, Pm2)를 통과하여 2번째의 실장위치(Pm2)보다 하류측의 실장위치(Pm3)에서 기판(B1)의 복수의 실장 대상점(Bp)으로의 부품 실장이 실행된다. 또한, 반송순서 1의 기판(B2)에 관해서 3개의 실장위치(Pm1, Pm2, Pm3) 중 기판 반송방향(X)의 상류측으로부터 세어서 1번째의 실장위치(Pm1)보다 하류측의 실장위치(Pm2, Pm3)에 기판(B2)으로의 부품 실장이 선택적으로 분배된다. 따라서, 기판(B1)은 1번째의 실장위치(Pm1)를 통과하여 1번째의 실장위치(Pm1)보다 하류측의 실장위치(Pm2, Pm3)에서 기판(B2)의 복수의 실장 대상점(Bp)으로의 부품 실장이 실행된다. 한편, 통상 실장모드에서는 3개의 실장위치(Pm1, Pm2, Pm3)의 각각에 기판(B3∼B6)으로의 부품 실장이 분배되고, 기판(B3∼B6)은 3개의 실장위치(Pm1, Pm2, Pm3)에 차례료 정지하고, 3개의 실장위치(Pm1, Pm2, Pm3)의 각각에서 차례로 기판(B3∼B6)의 복수의 실장 대상점(Bp)으로의 부품 실장이 실행된다.
따라서, 8매의 기판 중 반송순서가 최초의 3매의 기판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해서 부품 실장이 실행된다. 즉, 1번째의 기판(B1)은 초기 실장모드에 의해서 기판 반송방향(X)의 상류측으로부터 세어서 3번째의 실장위치(Pm3)에 반송되고, 2번째의 기판(B2)은 초기 실장모드에 의해서 기판 반송방향(X)의 상류측으로부터 세어서 2번째의 실장위치(Pm2)에 반송되며, 3번째의 기판(B3)은 통상 실장모드에 의해서 기판 반송방향(X)의 상류측으로부터 세어서 1번째의 실장위치(Pm1)에 반송된다. 이렇게 해서, 3개의 실장위치(Pm1, Pm2, Pm3)의 각각에 기판(B3, B2, B1)을 반송하여 각 실장위치(Pm1, Pm2, Pm3)에서 기판(B3, B2, B1)으로의 부품 실장을 개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부품 실장 시스템(1)의 가동률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반송부(2)는 기판 반송방향(X)에 이웃하는 실장위치(Pm1, Pm2, Pm3)의 사이에 배치된 대기위치(Pw1, Pw2)를 더 갖는다. 그리고, 기판 반송방향(X)에 있어서 3개의 실장위치(Pm1, Pm2, Pm3) 중, 최하류의 실장위치(Pm3) 이외의 실장위치(Pm1, Pm2)는 하류측에서 이웃하는 실장위치(Pm2, Pm3)에서 부품 실장이 실행될 경우에는, 분배된 부품 실장이 완료된 기판(B)을 하류측의 대기위치(Pw1, Pw2)로 반출하고, 분배된 부품 실장이 미완인 기판(B)을 기판 반송방향(X)의 상류측으로부터 반입한다(동작 A204∼A205의 기판(B2, B4) 등). 이러한 구성에서는, 최하류의 실장위치(Pm3) 이외의 실장위치(Pm1, Pm2)에서는 분배된 부품 실장이 완료된 기판(B)을 신속하게 대기위치(Pw1, Pw2)로 반출하고, 부품 실장이 미완인 다음 기판(B)이 기판 반송방향(X)의 상류측으로부터 반입된다. 그 결과, 부품 실장 시스템(1)의 가동률 저하를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통상 실장모드에서는 실장위치(Pm1, Pm2, Pm3)의 각각에서 부품(Wp)이 실장되는 실장 대상점(Bp)의 개수의 차가 1개 이하로 되도록(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개수의 차는 제로이다), 3개의 실장위치(Pm1, Pm2, Pm3)의 각각에 기판(B)으로의 부품 실장이 분배된다. 한편, 초기 실장모드에서는 반송순서 1의 기판(B1)에 관해서 기판 반송방향(X)의 상류측으로부터 세어서 3번째의 실장위치(Pm3)에는, 통상 실장모드로 기판 반송방향(X)의 상류측으로부터 세어서 1번째부터 3번째까지의 실장위치(Pm1, Pm2, Pm3)에 분배되는 부품 실장이 분배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가령 반송순서 1이 M 미만인 기판(B1)에 대하여 통상 실장모드를 실행했을 경우에, 기판 반송방향(X)의 상류측으로부터 세어서 1번째부터 3번째까지의 실장위치(Pm1, Pm2, Pm3)에 분배되는 부품 실장이 초기 실장모드에 있어서 3번째의 실장위치(Pm3)에 분배된다. 즉, 초기 실장모드에서는 반송순서 1의 기판(B1)에 관해서 3번째의 실장위치(Pm3)보다 상류측의 실장위치(Pm1, Pm2)에서의 부품 실장이 생략되지만, 이 부품 실장을 3번째의 실장위치(Pm3)에서 확실하게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초기 실장모드에서는 반송순서 2의 기판(B2)에 관해서 기판 반송방향(X)의 상류측으로부터 세어서 2번째의 실장위치(Pm2)에는, 통상 실장모드로 기판 반송방향(X)의 상류측으로부터 세어서 1번째부터 2번째까지의 실장위치(Pm1, Pm2)에 분배되는 부품 실장이 분배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가령 반송순서 2가 M 미만인 기판(B2)에 대하여 통상 실장모드를 실행했을 경우에, 기판 반송방향(X)의 상류측으로부터 세어서 1번째부터 2번째까지의 실장위치(Pm1, Pm2)에 분배되는 부품 실장이 초기 실장모드에 있어서 2번째의 실장위치(Pm2)에 분배된다. 즉, 초기 실장모드에서는 반송순서 2의 기판(B2)에 관해서 2번째의 실장위치(Pm3)보다 상류측의 실장위치(Pm1)에서의 부품 실장이 생략되지만, 이 부품 실장을 2번째의 실장위치(Pm2)에서 확실하게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8매의 기판(B1∼B8) 중 반송순서 N이 (L-M+2)번 이상인 기판(B7, B8)에 대해서는 종기 실장모드(동작 A209∼A216에 있어서의 기판(B7, B8)에 대한 동작)로 부품 실장을 실행한다. 즉, 이 종기 실장모드에서는 반송순서 7의 기판(B7)에 관해서 3개의 실장위치(Pm1, Pm2, Pm3) 중 기판 반송방향(X)의 상류측으로부터 세어서 1번째부터 2번째까지의 실장위치(Pm1, Pm2)에 기판(B7)으로의 부품 실장이 선택적으로 분배되고, 1번째부터 2번째까지의 실장위치(Pm1, Pm2)에서 기판(B7)의 복수의 실장 대상점(Bp)으로의 부품 실장이 실행된다. 따라서, 기판 반송방향(X)에 있어서 2번째보다 하류측의 실장위치(Pm3)에서 부품 실장을 실행중이여도, 1번째부터 2번째까지의 실장위치(Pm1, Pm2)를 가동시켜서 반송순서 N이 7번인 기판(B7)에 대하여 부품 실장을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반송순서 8의 기판(B8)에 관해서 3개의 실장위치(Pm1, Pm2, Pm3) 중 기판 반송방향(X)의 상류측으로부터 세어서 1번째의 실장위치(Pm1)에 기판(B8)으로의 부품 실장이 선택적으로 분배되고, 1번째의 실장위치(Pm1)에서 기판(B8)의 복수의 실장 대상점(Bp)으로의 부품 실장이 실행된다. 따라서, 기판 반송방향(X)에 있어서 1번째보다 하류측의 실장위치(Pm2, Pm3)에서 부품 실장을 실행중이여도, 1번째의 실장위치(Pm1)를 가동시켜서 반송순서 N이 8번인 기판(B8)에 대하여 부품 실장을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그 결과, 부품 실장 시스템의 가동률 저하를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종기 실장모드에서는 반송순서 7의 기판(B7)에 관해서 기판 반송방향(X)의 상류측으로부터 세어서 2번째의 실장위치(Pm2)에는, 통상 실장모드로 기판 반송방향(X)의 상류측으로부터 세어서 2번째부터 3번째까지의 실장위치(Pm2, Pm3)에 분배되는 부품 실장이 분배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가령 반송순서 7의 기판(B7)에 대하여 통상 실장모드를 실행했을 경우에, 기판 반송방향(X)의 상류측으로부터 세어서 2번째부터 3번째까지의 실장위치(Pm2, Pm3)에 분배되는 부품 실장이 종기 실장모드에 있어서 2번째의 실장위치(Pm2)에 분배된다. 즉, 종기 실장모드에서는 반송순서 7의 기판(B7)에 관해서 2번째의 실장위치(Pm2)보다 하류측의 실장위치(Pm3)에서의 부품 실장이 생략되지만, 이 부품 실장을 2번째의 실장위치(Pm2)에서 확실하게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종기 실장모드에서는 반송순서 8의 기판(B8)에 관해서 기판 반송방향(X)의 상류측으로부터 세어서 1번째의 실장위치(Pm1)에는, 통상 실장모드로 기판 반송방향(X)의 상류측으로부터 세어서 1번째부터 3번째까지의 실장위치(Pm1, Pm2, Pm3)에 분배되는 부품 실장이 분배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가령 반송순서 8의 기판(B8)에 대하여 통상 실장모드를 실행했을 경우에, 기판 반송방향(X)의 상류측으로부터 세어서 1번째부터 3번째까지의 실장위치(Pm1, Pm2, Pm3)에 분배되는 부품 실장이 종기 실장모드에 있어서 1번째의 실장위치(Pm1)에 분배된다. 즉, 종기 실장모드에서는 반송순서 8의 기판(B8)에 관해서 1번째의 실장위치(Pm1)보다 하류측의 실장위치(Pm2, Pm3)에서의 부품 실장이 생략되지만, 이 부품 실장을 1번째의 실장위치(Pm1)에서 확실하게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런데, 상술의 제1예 또는 제2예의 실행중에, 어느 하나의 실장위치(Pm)에서의 부품 실장의 진척이 예정보다 느린 경우가 있다. 그래서, 다음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진척의 지연을 리커버리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도 7은 부품 실장의 진척의 리커버리를 실행 가능한 부품 실장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며, 도 8은 도 7에 나타내는 부품 실장처리에서의 리커버리 필요 불필요 판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며, 도 9는 도 7 및 도 8의 플로우차트에 따라서 실행되는 동작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여기에서 나타내는 예에서는, 반송부(2)는 2개의 실장위치(Pm1, Pm2)가 형성되어 있다.
제어부(100)는 실장위치(Pm1, Pm2)의 각각에 대해서 도 7 및 도 8의 플로우차트를 실행함으로써 도 9 및 도 10의 동작을 실행한다. 즉,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부품 실장처리가 개시되면, 상술의 제1예와 마찬가지로 해서, 실장위치(Pm)에 기판(B)이 반입되고(스텝 S301), 실장위치(Pm)에 부품 실장이 분배된다(스텝 S302). 그리고, 어느 하나의 실장위치(Pm)에서 부품 실장이 완료되면(스텝 S303), 각 실장위치(Pm)에 대해서 리커버리 필요 불필요 판정이 실행된다(스텝 S304, 도 8).
도 9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동작 A103까지는 상기 제1예와 마찬가지로 실행되고 있다. 즉, 실장위치(Pm2)에는 실장위치(Pm1)로의 통상 분배점(상류측 절반)으로 부품(Wp)이 실장된 기판(B1)이 반입되고, 대기위치(Pw)에서는 실장위치(Pm1)로의 통상 분배점(상류측 절반)으로 부품(Wp)이 실장된 기판(B2)이 대기하고, 실장위치(Pm1)에는 기판(B3)이 반입되어 있다. 또한, 실장위치(Pm2)에서는 기판(B1)의 복수의 실장 대상점(Bp) 중 실장위치(Pm2)로의 통상 분배점(하류측 절반)으로의 부품 실장이 분배되고, 실장위치(Pm1)에서는 기판(B3)의 복수의 실장 대상점(Bp) 중 실장위치(Pm1)로의 통상 분배점(상류측 절반)으로의 부품 실장이 분배된다.
이 상태로부터, 실장위치(Pm1, Pm2)에서의 부품 실장을 개시한 결과가, 도 9의 동작 A111의 란에 나타내어진다. 실장위치(Pm2)에서는 기판(B1)으로의 부품 실장이 완료되어 있다. 따라서, 이 부품 실장의 완료 시점에서 스텝 S304(도 8)의 리커버리 필요 불필요 판정이 실장위치(Pm1, Pm2)의 각각에 대해서 실행된다.
구체적으로는, 실장위치(Pm2)에 대해서 실장위치(Pm2)의 하류에 기판(B)이 존재하는지가 판단된다(스텝 S401). 실장위치(Pm2)의 하류에 기판(B)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스텝 S401로 「NO」), 스텝 S402에서 실장위치(Pm2)의 부품 실장의 진척에 지연이 있는지가 판단된다. 진척에 지연이 없기 때문에(스텝 S402에서 「NO」), 스텝 S404에서 리커버리 불필요라고 판단되어, 도 7의 플로우차트로 되돌아간다.
즉, 도 7의 스텝 S304에서는 「불필요」로 분기하여, 각 실장위치(Pm2)에 대해서 실장 완료시 판단처리(도 3)가 실행된다(스텝 S306). 그 결과, 동작 A112의 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판(B1)이 실장위치(Pm2)로부터 반출됨과 아울러 기판(B2)이 대기위치(Pw)로부터 실장위치(Pm2)로 반입된다. 또한, 실장위치(Pm2)에는 기판(B2)의 복수의 실장 대상점(Bp) 중 실장위치(Pm2)로의 통상 분배점으로의 부품 실장이 분배된다.
또한, 실장위치(Pm1)에 대해서 실장위치(Pm1)의 하류에 기판(B)이 존재하는지가 판단된다(스텝 S401). 대기위치(Pw)의 기판(B2)은 기판(B1)의 반출과 함께 실장위치(Pm2)에 반송되기 때문에(스텝 S401에서 「NO」), 스텝 S402에서 실장위치(Pm1)의 부품 실장의 진척에 지연이 있는지가 판단된다. 실장위치(Pm1)에서는, 기판(B3)에서의 부품 실장의 진척에 지연이 있기 때문에(스텝 S402에서 「YES」), 스텝 S403에서 나머지의 실장점 수가 역치(예를 들면, 통상 분배점의 수의 절반) 이상인지가 판단된다. 나머지의 실장점 수가 역치 미만일 경우(스텝 S403에서 「NO」인 경우)에는, 스텝 S404에서 리커버리 불필요라고 판단된다. 한편, 여기의 예와 같이, 나머지의 실장점 수가 역치 이상일 경우(스텝 S403에서 「YES」인 경우)에는, 스텝 S405에서 리커버리가 필요라고 판단되어, 도 7의 플로우차트로 되돌아간다.
즉, 도 7의 스텝 S304에서는, 「필요」로 분기하여 부품 실장이 재분배된다(스텝 S305). 구체적으로는, 실장위치(Pm1)에 정지하는 기판(B3)에 대해서 실장위치(Pm1)의 통상 분배점의 일부(여기에서는, 절반)가 실장위치(Pm1)로부터 실장위치(Pm2)로 옮겨진다. 그리고, 실장위치(Pm1)에 대해서 실장 완료시 판단처리(도 3)가 실행된다(스텝 S306). 그 결과, 동작 A112의 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판(B3)은 실장위치(Pm1)에 머문다. 또한, 실장위치(Pm1)에서는 기판(B3)의 복수의 실장 대상점(Bp) 중 실장위치(Pm1)로의 통상 분배점의 절반으로의 부품 실장이 분배되어서, 스텝 S306으로부터 스텝 S303으로 돌아간다.
도 9의 동작 A113의 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장위치(Pm1)에서 분배된 부품 실장이 기판(B3)에 대하여 완료되면(스텝 S303), 리커버리 필요 불필요 판정이 각 실장위치(Pm1, Pm2)에 대해서 실행된다. 실장위치(Pm1, Pm2)의 어느 것에 있어서나, 부품 실장의 진척에 지연은 없기 때문에(스텝 S402에서 「NO」), 스텝 S404에서 리커버리 불필요라고 판단되어, 도 7의 플로우차트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실장위치(Pm1, Pm2)의 각각에 대해서 스텝 S304에서 「불필요」로 분기하여, 스텝 S306에서 「실장 완료시 판단처리」가 실행된다. 그 결과, 도 9의 동작 A114의 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판(B3)이 대기위치(Pw)로 반출되고, 기판(B4)이 실장위치(Pm1)에 반입된다. 또한, 실장위치(Pm1)에서는 기판(B4)의 복수의 부품(Wp) 중, 실장위치(Pm1)로의 통상 분배점으로의 부품 실장이 분배된다.
도 9의 동작 A115의 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장위치(Pm2)에서 분배된 부품 실장이 기판(B2)에 대하여 완료되면(스텝 S303), 리커버리 필요 불필요 판정이 각 실장위치(Pm1, Pm2)에 대해서 실행된다. 실장위치(Pm1, Pm2)의 어느 것에 있어서나, 부품 실장의 진척에 지연이 없기 때문에(스텝 S402에서 「NO」), 스텝 S404에서 리커버리 불필요라고 판단되어, 도 7의 플로우차트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실장위치(Pm1, Pm2)의 각각에 대해서 스텝 S304에서 「불필요」로 분기하여, 스텝 S306에서 「실장 완료시 판단처리」가 실행된다. 그 결과, 도 9의 동작 A116의 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판(B3)이 실장위치(Pm2)에 반입된다. 또한, 실장위치(Pm2)에서는 기판(B3)의 복수의 실장 대상점(Bp) 중, 실장위치(Pm2)로의 통상 분배점과, 앞의 스텝 S305에서 베껴진, 실장위치(Pm1)로의 통상 분배점의 절반의 분배점이 분배된다. 따라서, 도 9의 동작 A117의 란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장위치(Pm2)에서는 실장위치(Pm1)로의 통상 분배점의 절반의 분배점에 대하여 부품(Wp)(해칭이 실시된 부품(Wp))이 기판(B3)에 대하여 실장된다.
이와 같이, 제어부(100)는 M개의 실장위치(Pm1, Pm2) 중 하나의 실장위치(Pm1) 및 다른 실장위치(Pm2) 중 적어도 한쪽의 실장위치(Pm1)에서의 부품 실장의 진척에 따라서, 하나의 실장위치(Pm1)와 다른 실장위치(Pm2) 사이에서의 부품 실장의 분배를 조정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하나의 실장위치(Pm1)에서의 부품 실장의 진척이 예를 들면 예정보다 느릴 경우에, 하나의 실장위치(Pm1)에 분배 예정이었던 부품 실장을 다른 실장위치(Pm2)에 분배한다고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각 실장위치(Pm1, Pm2)에서의 부품 실장의 진척의 밸런스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부품 실장 시스템(1)이 본 발명의 「부품 실장 시스템」의 일례에 상당하고, 반송부(2)가 본 발명의 「반송부」의 일례에 상당하고, 실장부(4, 4A, 4B)가 본 발명의 「실장부」의 일례에 상당하고, 제어부(100)가 본 발명의 「제어부」의 일례에 상당하고, 실장위치(Pm1, Pm2, Pm3)에 배치된 실장 컨베이어(22, 24, 27)가 본 발명의 「실장 스테이지」의 일례에 상당하고, 대기위치(Pw, Pw1, Pw2)에 배치된 대기 컨베이어(23, 26)가 본 발명의 「대기 스테이지」의 일례에 상당하고, 기판 반송방향(X)이 본 발명의 「기판 반송방향」의 일례에 상당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상술한 것에 대하여 여러가지 변경을 첨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실장위치(Pm)의 개수(M)나, 기판 반송방향(X)으로 차례로 반송하는 기판(B)의 매수(L)를 적당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의 플로우차트는 실장위치(Pm)의 개수(M)가 2인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3 이상인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부품 실장 시스템(1)은 1대의 부품 실장기(10)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예를 들면 각각 단일의 실장위치를 구비하는 복수의 부품 실장기(10)를 반송방향(X)으로 배열하여 부품 실장 시스템(1)을 구성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반송부(2)는 복수의 부품 실장기(10)에 순차적으로 기판(B)을 반송하면서, 각 부품 실장기(10)에서의 실장위치(Pm)에 상기 기판(B)을 정지·고정하고, 각 부품 실장기(10)는 그 실장위치(Pm)에 고정된 기판(B)에 부품(Wp)을 실장한다.
1…부품 실장 시스템
2…반송부
22, 24, 27…실장 컨베이어
23, 26…대기 컨베이어
4, 4A, 4B…실장부
100…제어부
Pm1, Pm2, Pm3…실장위치
Pw, Pw1, Pw2…대기위치
X…기판 반송방향

Claims (7)

  1. 기판 반송방향으로 배열되는 M개(M은 2 이상의 정수)의 실장 스테이지를 갖고, L매(L은 M보다 큰 정수)의 기판을 차례로 상기 기판 반송방향으로 반송하는 반송부와,
    상기 M개의 실장 스테이지에 대응해서 설치되어서 각각 대응하는 상기 실장 스테이지에 정지하는 기판에 동일 종류의 부품을 실장 가능한 M개의 실장부와,
    하나의 기판에 형성된 복수의 실장 대상점에 대한 부품 실장을 상기 M개의 실장 스테이지의 사이에서 분배하고, 상기 하나의 기판을 상기 반송부에 의해 상기 기판 반송방향으로 반송하면서 상기 M개의 실장 스테이지 중 부품 실장을 분배한 상기 실장 스테이지에 정지시켜서, 상기 실장부에 대응하는 상기 실장 스테이지에서 정지하는 상기 하나의 기판에 대하여 대응하는 상기 실장 스테이지에 분배된 부품 실장을 실행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실장 스테이지는 분배된 부품 실장이 완료된 기판을 상기 기판 반송방향의 하류측으로 반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L매의 기판 중 상기 기판 반송방향으로의 반송순서 N(N은 1 이상의 정수)이 M 미만인 기판에 대해서는 초기 실장모드로 부품 실장을 실행하고, 상기 반송순서 N이 M 이상인 기판에 대해서는 통상 실장모드로 부품 실장을 실행하고,
    상기 초기 실장모드에서는 상기 반송순서 N의 기판에 관해서 상기 M개의 실장 스테이지 중 상기 기판 반송방향의 상류측으로부터 세어서 (M-N)번째의 실장 스테이지보다 하류측의 실장 스테이지에 기판으로의 부품 실장이 선택적으로 분배되고, 기판은 상기 (M-N)번째까지의 실장 스테이지를 통과하여 상기 (M-N)번째의 실장 스테이지보다 하류측의 실장 스테이지에서 기판의 상기 복수의 실장 대상점으로의 부품 실장이 실행되고,
    상기 통상 실장모드에서는 상기 M개의 실장 스테이지의 각각에 기판으로의 부품 실장이 분배되고, 기판은 상기 M개의 실장 스테이지에 차례로 정지하여 상기 M개의 실장 스테이지의 각각에서 차례로 기판의 상기 복수의 실장 대상점으로의 부품 실장이 실행되는 부품 실장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부는 상기 기판 반송방향에 이웃하는 실장 스테이지의 사이에 배치된 대기 스테이지를 더 갖고,
    상기 기판 반송방향에 있어서, 상기 M개의 실장 스테이지 중 최하류의 실장 스테이지 이외의 실장 스테이지는, 하류측에서 이웃하는 실장 스테이지에서 부품 실장이 실행될 경우에는, 분배된 부품 실장이 완료된 기판을 하류측의 대기 스테이지로 반출하고, 분배된 상기 실장 대상점으로의 부품 실장이 미완인 기판을 상기 기판 반송방향의 상류측으로부터 반입하는 부품 실장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상 실장모드에서는 상기 실장 스테이지의 각각에서 부품이 실장되는 상기 실장 대상점의 개수의 차가 1개 이하로 되도록, 상기 M개의 실장 스테이지의 각각에 기판으로의 부품 실장이 분배되고,
    상기 초기 실장모드에서는 상기 반송순서 N의 기판에 관해서 상기 기판 반송방향의 상류측으로부터 세어서 (M-N+1)번째의 실장 스테이지에는 상기 통상 실장모드로 상기 기판 반송방향의 상류측으로부터 세어서 1번째부터 (M-N+1)번째까지의 실장 스테이지에 분배되는 부품 실장이 분배되는 부품 실장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L매의 기판 중 상기 반송순서 N이 (L-M+2)번 이상인 기판에 대해서는 종기 실장모드로 부품 실장을 실행하고,
    상기 종기 실장모드에서는 상기 반송순서 N의 기판에 관해서 상기 M개의 실장 스테이지 중 상기 기판 반송방향의 상류측으로부터 세어서 1번째부터 (L-N+1)번째까지의 실장 스테이지에 기판으로의 부품 실장이 선택적으로 분배되고, 상기 1번째부터 상기 (L-N+1)번째까지의 실장 스테이지에서 기판의 상기 복수의 실장 대상점으로의 부품 실장이 실행되는 부품 실장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상 실장모드에서는 상기 실장 스테이지의 각각에서 부품이 실장되는 상기 실장 대상점의 개수의 차가 1개 이하로 되도록, 상기 M개의 실장 스테이지의 각각에 기판으로의 부품 실장이 분배되고,
    상기 종기 실장모드에서는 상기 반송순서 N의 기판에 관해서 상기 기판 반송방향의 상류측으로부터 세어서 (L-N+1)번째의 실장 스테이지에는 상기 통상 실장모드로 상기 기판 반송방향의 상류측으로부터 세어서 (L-N+1)번째부터 M번째까지의 실장 스테이지에 분배되는 부품 실장이 분배되는 부품 실장 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M개의 실장 스테이지 중 하나의 실장 스테이지 및 다른 실장 스테이지 중 적어도 한쪽에서의 부품 실장의 진척에 따라서, 하나의 실장 스테이지와 다른 실장 스테이지 사이에서의 부품 실장의 분배를 조정하는 부품 실장 시스템.
  7. 기판 반송방향으로 배열되는 M개(M은 2 이상의 정수)의 실장 스테이지를 갖는 반송부에 의해서, L매(L은 M보다 큰 정수)의 기판을 차례로 상기 기판 반송방향으로 반송하는 공정과,
    하나의 기판에 형성된 복수의 실장 대상점에 대한 부품 실장을 상기 M개의 실장 스테이지의 사이에서 분배하고, 상기 하나의 기판을 상기 반송부에 의해 상기 기판 반송방향으로 반송하면서 상기 M개의 실장 스테이지 중 부품 실장을 분배한 상기 실장 스테이지에 정지시켜서, 상기 실장 스테이지에서 정지하는 상기 하나의 기판에 대하여 상기 실장 스테이지에 분배된 부품 실장을 실행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L매의 기판 중 상기 기판 반송방향으로의 반송순서 N(N은 1 이상의 정수)이 M 미만인 기판에 대해서는 초기 실장모드로 부품 실장을 실행하고, 상기 반송순서 N이 M 이상인 기판에 대해서는 통상 실장모드로 부품 실장을 실행하고,
    상기 초기 실장모드에서는 상기 반송순서 N의 기판에 관해서 상기 M개의 실장 스테이지 중 상기 기판 반송방향의 상류측으로부터 세어서 (M-N)번째의 실장 스테이지보다 하류측의 실장 스테이지에 기판으로의 부품 실장이 선택적으로 분배되고, 기판은 상기 (M-N)번째까지의 실장 스테이지를 통과하여 상기 (M-N)번째의 실장 스테이지보다 하류측의 실장 스테이지에서 기판의 상기 복수의 실장 대상점으로의 부품 실장이 실행되고,
    상기 통상 실장모드에서는 상기 M개의 실장 스테이지의 각각에 기판으로의 부품 실장이 분배되고, 기판은 상기 M개의 실장 스테이지에 차례로 정지하여 상기 M개의 실장 스테이지의 각각에서 차례로 기판의 상기 복수의 실장 대상점으로의 부품 실장이 실행되는 부품 실장 방법.
KR1020207007744A 2017-12-15 2017-12-15 부품 실장 시스템, 부품 실장 방법 KR1022820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7/045053 WO2019116530A1 (ja) 2017-12-15 2017-12-15 部品実装システム、部品実装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8523A true KR20200038523A (ko) 2020-04-13
KR102282096B1 KR102282096B1 (ko) 2021-07-27

Family

ID=66819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7744A KR102282096B1 (ko) 2017-12-15 2017-12-15 부품 실장 시스템, 부품 실장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831479B2 (ko)
KR (1) KR102282096B1 (ko)
CN (1) CN111295938B (ko)
WO (1) WO2019116530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48839A (ja) * 2011-05-25 2012-12-13 Asm Technology Singapore Pte Ltd 半導体パッケージの製造中に半導体部品を基板に供給する機器
JP2015207742A (ja) * 2014-04-23 2015-11-19 ハンファテクウィン株式会社Hanwha Techwin Co.,Ltd. 部品実装機及び部品実装方法
JP2017037902A (ja) 2015-08-07 2017-02-16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部品実装システム、部品実装方法
JP2017152571A (ja) * 2016-02-25 2017-08-31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表面実装システムの吸着ノズル段取り方法、及び、表面実装システム
JP2017168576A (ja) * 2016-03-15 2017-09-21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表面実装機、プリント基板の搬送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11073B2 (ja) * 2006-03-22 2011-11-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部品実装装置および電子部品実装方法
WO2009060705A1 (ja) * 2007-11-09 2009-05-14 Fuji Machine Mfg. Co., Ltd. 電気回路部品装着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4883069B2 (ja) * 2008-10-03 2012-02-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部品実装システムおよび電子部品実装方法
KR20140099818A (ko) * 2011-12-08 2014-08-13 파나소닉 주식회사 전자 부품 실장 라인 및 전자 부품 실장 방법
JP6021374B2 (ja) * 2012-03-23 2016-11-09 Juki株式会社 部品実装装置及び部品実装方法
JP6018844B2 (ja) * 2012-08-30 2016-11-02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部品装着方法、部品装着装置、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48839A (ja) * 2011-05-25 2012-12-13 Asm Technology Singapore Pte Ltd 半導体パッケージの製造中に半導体部品を基板に供給する機器
JP2015207742A (ja) * 2014-04-23 2015-11-19 ハンファテクウィン株式会社Hanwha Techwin Co.,Ltd. 部品実装機及び部品実装方法
JP2017037902A (ja) 2015-08-07 2017-02-16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部品実装システム、部品実装方法
JP2017152571A (ja) * 2016-02-25 2017-08-31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表面実装システムの吸着ノズル段取り方法、及び、表面実装システム
JP2017168576A (ja) * 2016-03-15 2017-09-21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表面実装機、プリント基板の搬送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831479B2 (ja) 2021-02-17
JPWO2019116530A1 (ja) 2020-10-08
KR102282096B1 (ko) 2021-07-27
CN111295938A (zh) 2020-06-16
CN111295938B (zh) 2021-06-29
WO2019116530A1 (ja) 2019-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27834B1 (en) Carrying system
JP5458633B2 (ja) 処理設備及び搬送制御方法
KR101824069B1 (ko) 와이어 본더 물류 설비 및 그의 매거진 이송방법
KR20170015994A (ko) 퍼지 스토커 및 퍼지 방법
KR20070076370A (ko) 반송 시스템
JP5618190B2 (ja) 供給搬出システム
JP5303222B2 (ja) 搬送制御装置及び搬送制御方法
JP2012082022A (ja) ワーク搬入出装置及びワーク貯留システム
WO2015193975A1 (ja) 電子部品の装着方法および電子部品装着システム
KR102282096B1 (ko) 부품 실장 시스템, 부품 실장 방법
JP2016025270A (ja) 部品実装ライン及び部品実装装置並びに部品実装方法
JP2007186321A (ja) 板材の搬送システム
JP2014503989A (ja) プロセスカセットに対する装着及び取出し方法
JP5279666B2 (ja) 部品実装機
JP6504266B2 (ja) 搬送システム及び搬送方法
US9458535B2 (e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device and semiconductor manufacturing method
KR102457336B1 (ko) 기판 처리 장치
US20110085878A1 (en) Glass sheet feed system
JP6084241B2 (ja) 電子部品実装機器の基板搬送システム
US8905109B2 (en) Apparatus for bonding substrates to each other
JP2007246259A (ja) スタッカクレーンにおけるカセットの受け渡し方法
JP7399552B2 (ja) 収納体搬送装置及びレーザ加工装置
JP2011016619A (ja) 搬送装置及び搬送装置制御方法
JP2019121726A (ja) 部品実装システム、部品実装方法
JP2021174951A (ja) 搬送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