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3263A - 전기적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적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3263A
KR20200033263A KR1020207002462A KR20207002462A KR20200033263A KR 20200033263 A KR20200033263 A KR 20200033263A KR 1020207002462 A KR1020207002462 A KR 1020207002462A KR 20207002462 A KR20207002462 A KR 20207002462A KR 20200033263 A KR20200033263 A KR 20200033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post
mounting
floating
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2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1380B1 (ko
Inventor
젠핑 장
단량 추
춘화 황
Original Assignee
상하이 디안바 뉴 에너지 테크놀러지 코., 엘티디.
올턴 뉴 에너지 오토모티브 테크놀러지 그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하이 디안바 뉴 에너지 테크놀러지 코., 엘티디., 올턴 뉴 에너지 오토모티브 테크놀러지 그룹 filed Critical 상하이 디안바 뉴 에너지 테크놀러지 코., 엘티디.
Priority to KR1020217041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8070B1/ko
Priority to KR1020217041224A priority patent/KR102461743B1/ko
Priority to KR1020217041228A priority patent/KR102461740B1/ko
Publication of KR20200033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3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1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1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01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arrangement of the conductive inter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ing lo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01R13/631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03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necting locations
    • H01R11/09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necting locations the connecting locations being identic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01R13/05Resilient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1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conductive elasto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1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Sealing between contact members and housing, e.g. sealing inse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9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장착 시트, 제1 고압 어셈블리, 제1 저압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차량측 전기 커넥터; 제2 장착 시트, 제2 고압 어셈블리, 제2 저압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기적 연결 장치를 포함하고, 제1 고압 어셈블리가 제2 고압 어셈블리에 분리 가능하게 플로팅 전기적 연결되며, 제1 저압 어셈블리가 제2 저압 어셈블리에 분리 가능하게 평면 전기적 연결되고, 제1 장착 시트가 제2 장착 시트에 탈착 가능하게 밀봉 연결되는, 전기적 연결 장치를 공개한다. 본 발명은 제1 고압 어셈블리와 제2 고압 어셈블리의 경성 손상을 방지하고 제1 고압 어셈블리와 제2 고압 어셈블리 사이의 전기적 연결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차량측 전기 커넥터와 전지측 전기 커넥터의 저압 어셈블리의 전기적 연결의 접촉 면적을 확보할 수 있음으로써, 양자의 전기적 연결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차량측 전기 커넥터와 전지측 전기 커넥터의 방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적 연결 장치
본원 발명은 출원일자가 2017년 6월 23일인 중국 특허 출원 CN201710488959.8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 상기 중국 특허 출원의 모든 내용은 참조로서 본원 발명에 인용된다.
본 발명은 전동 자동차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지와 전동 자동차를 전기적 연결시키는 전기적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전동 자동차의 전지 장착 방식은 일반적으로 고정식 및 교체식인데, 그 중 고정식의 전지는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고정되어 충전 시 자동차를 직접 충전 대상으로 한다. 교체식 전지는 일반적으로 탈착 가능한 장착 방식을 사용하므로, 수시로 전지를 꺼내어 교체 또는 충전할 수 있고, 교체 또는 충전 완료 후 다시 차체에 장착한다.
기존의 교체식 구조의 전지는 일반적으로 차체의 브라켓에 상응한 장착 위치를 설치하여 전지를 장착 위치에 넣은 후 전지측 전기 커넥터를 통해 차체에서의 차량측 전기 커넥터에 연결시킨 다음, 잠금 장치를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상기 과정에서, 전지에서의 전지측 전기 커넥터의 전극을 차량측 전기 커넥터에서의 전극과 접촉시켜 전력 출력을 확보해야 한다.
하지만, 현재 기존의 차량측 전기 커넥터는 모두 고정식 포스트를 사용하여 전지측 전기 커넥터와 삽입 연결시키므로, 수직 방향의 압찹력을 받을 경우 포스트를 쉽게 손상시킨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선행기술에서의 기존의 차량측 전기 커넥터가 고정식 포스트를 사용하여 전지측 전기 커넥터와 삽입 연결시키므로 수직 방향의 압찹력을 받을 경우 포스트를 쉽게 손상시키는 흠결을 극복하기 위하여, 전기적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기술적 해결수단을 통해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한다.
전기적 연결 장치는,
제1 장착 시트(seat), 제1 고압 어셈블리, 제1 저압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압 어셈블리와 상기 제1 저압 어셈블리가 모두 상기 제1 장착 시트에 관통 설치되는 차량측 전기 커넥터;
제2 장착 시트, 제2 고압 어셈블리, 제2 저압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압 어셈블리와 상기 제2 저압 어셈블리가 모두 상기 제2 장착 시트에 관통 설치되며, 제1 고압 어셈블리가 제2 고압 어셈블리에 분리 가능하게 플로팅(floating) 전기적 연결되고, 제1 저압 어셈블리가 제2 저압 어셈블리에 분리 가능하게 평면 전기적 연결되며, 제1 장착 시트가 제2 장착 시트에 탈착 가능하게 밀봉 연결되고, 상기 제1 장착 시트와 상기 제2 장착 시트가 대응되게 설치되는 전지측 전기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해결수단에서, 차량측 전기 커넥터의 제1 고압 어셈블리는 전지측 전기 커넥터의 제2 고압 어셈블리에 플로팅 전기적 연결되고, 양자 사이에 그 축선 방향을 따라 압착될 경우 소정의 플로팅 변위를 구비하여 발생된 압착력을 제거할 수 있음으로써, 제1 고압 어셈블리와 제2 고압 어셈블리의 경성 손상을 방지하고 제1 고압 어셈블리와 제2 고압 어셈블리 사이의 전기적 연결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 밖에, 차량측 전기 커넥터의 제1 저압 어셈블리와 전지측 전기 커넥터의 제2 저압 어셈블리 사이는 면접촉되므로, 차량측 전기 커넥트와 전지측 전기 커넥터의 저압 어셈블리가 전기적 연결되는 접촉 면적을 확보함으로써, 양자가 전기적 연결되는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 외에, 제1 장착 시트는 제2 장착 시트에 탈착 가능하게 밀봉 연결되므로, 차량측 전기 커넥터와 전지측 전기 커넥터가 장착된 후 양자 사이에 밀봉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차량측 전기 커넥터와 전지측 전기 커넥터의 방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고압 어셈블리는 제1 고압 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압 포스트는 전기적 접촉단 및 터미널을 구비하며, 상기 전기적 접촉단은 상기 제1 장착 시트 중 상기 제2 장착 시트와 대응되게 설치되는 일면에 돌출되고, 상기 전기적 접촉단의 단면에 오목홈이 설치되며, 상기 오목홈은 상기 제1 고압 포스트의 축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되고, 상기 오목홈 내에 제1 전도성 탄성 부재가 삽입 설치되며, 상기 제1 전도성 탄성 부재는 상기 전기적 접촉단의 단면에 돌출되고;
상기 제2 고압 어셈블리는 제2 고압 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압 포스트는 전기적 접촉단 및 터미널을 구비하며, 상기 제2 고압 포스트의 상기 전기적 접촉단은 상기 제2 장착 시트 중 상기 제1 장착 시트와 대응되게 설치되는 일면에 평행되고, 상기 제2 고압 포스트의 상기 전기적 접촉단은 상기 제1 전도성 탄성 부재를 통해 상기 제1 고압 포스트의 상기 전기적 접촉단에 분리 가능하게 플로팅 전기적 연결되며, 상기 제1 전도성 탄성 부재는 상기 오목홈과 상기 제2 고압 포스트의 상기 전기적 접촉단 사이에 압력에 의해 설치된다.
본 해결수단에서, 차량측 전기 커넥터의 제1 고압 포스트의 전기적 접촉단에 오목홈이 설치되고, 오목홈 내에 제1 전도성 탄성 부재가 설치되므로, 전지측 전기 커넥터의 압착을 받을 경우, 제1 전도성 탄성 부재는 탄성 변형을 일으키고, 압착력을 제거하는 동시에, 우수한 접촉을 유지함으로써, 차량측 전기 커넥터와 전지측 전기 커넥터의 고압 플로팅 연결을 구현하고 차체 진동 상황에서의 양자의 안정한 전기적 연결에 적응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오목홈은 환상 오목홈이고, 상기 환상 오목홈의 축선과 상기 제1 고압 포스트의 축선은 중첩되거나;
및/또는, 상기 제1 전도성 탄성 부재는 전도성 스프링이거나;
및/또는, 상기 제1 고압 포스트와 상기 제2 고압 포스트의 상기 전기적 접촉단의 접촉면은 모두 평면이다.
본 해결수단에서, 제1 고압 포스트와 제2 고압 포스트의 전기적 접촉단의 접촉면은 평면이므로, 차량측 전기 커넥터의 제1 고압 포스트와 전지측 전기 커넥터의 제2 고압 포스트가 전기적 연결되는 접촉 면적을 확보함으로써, 양자의 전기적 연결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고압 어셈블리는,
일단이 상기 제1 고압 포스트의 상기 터미널에 플로팅 전기적 연결되는 유연성 전기적 연결 부재;
상기 유연성 전기적 연결 부재의 타단에 플로팅 전기적 연결되는 고압 플러그를 더 포함한다.
본 해결수단에서, 유연성 전기적 연결 부재를 통해 제1 고압 포스트의 양단이 모두 플로팅 연결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므로, 긴밀하게 연결되지 않아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소각되는 등 이상적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차량측 전기 커넥터와 전지측 전기 커넥터의 전기적 연결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밖에, 고압 플러그는 유연성 전기적 연결 부재를 통해 제1 고압 포스트에 플로팅 전기적 연결되므로, 제1 고압 포스트와 고압 플러그가 축 방향에서 이동하고 반경 방향에서 회전 시 전기적 연결되는 안정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전기적 연결 장치의 안전성 및 전기 전도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고압 포스트의 상기 터미널에 배선 홈이 설치되고, 상기 배선 홈은 상기 제1 고압 포스트의 축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되며, 상기 유연성 전기적 연결 부재의 일단은 상기 배선 홈에 압접되고, 배선 홈의 내벽과의 사이에 제2 전도성 탄성 부재가 압력에 의해 설치된다.
본 해결수단에서, 상기 구조 형태를 사용함으로써, 제2 전도성 탄성 부재를 통해 제1 고압 프스트와 유연성 전기적 연결 부재 사이의 플로팅 연결을 구현하므로, 제1 고압 포스트와 유연성 전기적 연결 부재 사이의 전기적 연결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연성 전기적 연결 부재는,
일단이 상기 배선 홈에 압접되고, 상기 배선 홈의 내벽과의 사이에 상기 제2 전도성 탄성 부재가 압력에 의해 설치되는 제1 전기적 연결 헤드;
일단이 상기 제1 전기적 연결 헤드의 타단에 압접 또는 용접되고, 상기 제1 고압 포스트와 상기 고압 플러그 외부에 위치하며, 유연성 도전성 재료로 제조되는 유연성 캐비티;
일단이 상기 유연성 캐비티의 타단에 압접 또는 용접되고, 타단이 상기 고압 플러그에 플로팅 전기적 연결되는 제2 전기적 연결 헤드;
상기 유연성 캐비티 내에 위치하고, 양단이 상기 제1 전기적 연결 헤드 및 상기 제2 전기적 연결 헤드에 각각 연결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본 해결수단에서, 상기 구조 형태를 사용함으로써, 유연성 전기적 연결 부재 사용 시, 연성 캐비티는 연장 또는 압축되고 반경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구조 연결 사이의 축 방향, 반경 방향 등 각각의 각도의 상대적 변위 변화에 적응될 수 있으므로, 상대적 변위의 변화로 인해 전기적 연결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차량측 전기 커넥터 전기적 연결의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이 밖에, 상기 유연성 캐비티는 제1 전기적 연결 헤드 및 제2 전기적 연결 헤드에 압접 및 용접되므로, 유연성 전기적 연결 부재의 구조 연결 강도를 강화시키고, 유연성 전기적 연결 부재의 전기적 연결 안정성을 확보한다.
이 밖에, 스프링은 유연성 전기적 연결 부재의 구조 강도를 효과적으로 강화시켜, 유연성 캐비티의 양단이 상대적 변위 변화 시 유연성 전기적 연결 부재의 전기적 연결 효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스프링은 전도 기능을 구비하므로, 제1 전기적 연결 헤드와 제2 전기적 연결 헤드 사이의 전기적 연결의 안정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압 플러그는 핀을 포함하고, 상기 유연성 전기적 연결 부재의 타단은 연결 소켓을 통해 상기 고압 플러그의 상기 핀에 플로팅 전기적 연결되며, 상기 연결 소켓의 일단에 제1 삽입 홀이 설치되고, 상기 연결 소켓의 타단에 제2 삽입 홀이 설치되며, 상기 유연성 전기적 연결 부재의 일단은 상기 제1 삽입 홀 내에 압접되고, 상기 핀은 상기 제2 삽입 홀 내에 플로팅 전기적 연결되며, 상기 유연성 전기적 연결 부재와 상기 제1 삽입 홀의 내벽 및/또는 상기 핀과 상기 제2 삽입 홀의 내벽에 제3 전도성 탄성 부재가 압력에 의해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장착 시트에 고압 장착 홀이 설치되고, 상기 제2 고압 포스트는 상기 고압 장착 홀에 관통 설치되며, 상기 제2 고압 포스트의 외벽면에 상기 제2 고압 포스트가 상기 제2 장착 시트에 대해 상기 고압 장착 홀의 축선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한하는 위치결정부가 구비된다.
본 해결수단에서, 위치결정부의 설치는 제2 고압 포스트와 제2 장착 시트 사이의 연결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바람직하게, 상기 위치결정부는 돌출점, 돌출 고리, 쐐기모양 블록 또는 노치부이고, 상기 고압 장착 홀의 측벽에 상기 위치결정부와 매칭되는 요함부가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저압 어셈블리는 제1 저압 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저압 포스트는 전기적 접촉단 및 터미널을 구비하며, 상기 전기적 접촉단은 상기 제1 장착 시트 중 상기 제2 장착 시트와 대응되게 설치되는 일면에 돌출되고;
상기 제2 저압 어셈블리는 제2 저압 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저압 포스트는 전기적 접촉단 및 터미널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저압 포스트의 상기 전기적 접촉단은 상기 제2 장착 시트 중 상기 제1 장착 시트와 대응되게 설치되는 일면에 평행되고, 상기 제2 저압 포스트의 상기 전기적 접촉단은 상기 제1 저압 포스트의 상기 전기적 접촉단에 분리 가능하게 평면 전기적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장착 시트에 제1 저압 장착 홀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저압 포스트는 상기 제1 저압 장착 홀에 관통 설치되며;
상기 제1 저압 어셈블리는 회전 셀프 클리닝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 셀프 클리닝 수단은,
상기 제1 저압 포스트의 외벽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저압 포스트의 반경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풋;
상기 제1 저압 장착 홀의 측벽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풋이 내부로 이동될 경우, 상기 가이드 풋이 슬라이딩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풋과 배합되어 상기 제1 저압 포스트의 회전 방향을 한정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저압 포스트의 외벽면에 상기 제1 저압 포스트가 상기 가이드 풋과 상기 가이드 홈이 설치된 회전 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탄성 부재가 커버 설치된다.
본 해결수단에서, 가이드 풋을 통해 가이드 홈과 배합되어 제1 저압 포스트의 회전 방향을 한정하고, 탄성 부재를 통해 제1 저압 포스트가 가이드 홈이 설치된 회전 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제1 저압 포스트의 접촉면을 세척하는 효과를 달성하고, 제1 저압 포스트와 제2 저압 포스트의 전기적 접촉의 안정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차량측 전기 커넥터와 전지측 전기 커넥터의 전기적 접촉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이드 홈의 길이 방향과 상기 제1 저압 포스트의 중심 축선은 13 ~ 17도인 협각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저압 어셈블리는 일단이 상기 제1 저압 포스트의 터미널에 삽입 설치되는 케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저압 장착 홀 내에 위치하는 상기 케이블의 형상은 나선형이다.
본 해결수단에서, 상기 구조 형태를 사용함으로써, 케이블이 고정 영역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되고 걸림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확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장착 시트에 제2 저압 장착 홀이 설치되고, 상기 제2 저압 장착 홀은 상기 제2 저압 장착 홀에 관통 설치되며, 상기 제2 저압 포스트의 외벽면에 상기 제2 저압 포스트가 상기 제2 장착 시트에 대해 상기 제2 저압 장착 홀의 축선 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제한하는 위치결정부가 구비된다.
본 해결수단에서, 위치결정부의 설치는 제2 저압 포스트와 제2 장착 시트 사이의 연결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바람직하게, 상기 위치결정부는 돌출점, 돌출 고리, 쐐기모양 블록 또는 노치부이고, 상기 제2 저압 장착 홀의 측벽에 상기 위치결정부와 매칭되는 요함부가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장착 시트는,
상기 제2 장착 시트에 탈착 가능하게 밀봉 연결되고, 플로팅 플레이트 장착구가 설치되는 플로팅 플레이트;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 장착구에 관통되며, 상기 제1 고압 어셈블리와 상기 제1 저압 어셈블리가 모두 관통 설치되는 제1 포스트 장착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장착 시트는,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에 탈착 가능하게 밀봉 연결되고 고정 플레이트 장착구가 설치되는 고정 플레이트;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 장착구에 관통되며, 상기 제1 포스트 장착 플레이트와 대응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고압 어셈블리와 상기 제2 저압 어셈블리가 모두 관통 설치되는 제2 포스트 장착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차량측 전기 커넥터는, 차체 브라켓에 장착되고 수용 캐비티를 구비하며,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가 플로팅 연결 및 밀봉 연결되며, 상기 제1 포스트 장착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수용 캐비티 내에 위치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우징은 플로팅 장착부 및 삽입 부재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로팅 장착부는 상기 삽입 부재 장착부의 선단의 외주연에 위치하며, 상기 삽입 부재 장착부에 상기 수용 캐비티가 형성되고,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는 상기 플로팅 장착부에 플로팅 연결되며, 상기 플로팅 장착부에 밀봉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와 상기 플로팅 장착부는 가이드 부재를 통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가이드 커버 및 가이드 스크류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커버는 상기 플로팅 장착부에 장착되며, 상기 가이드 스크류는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 커버에 나사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플로팅 장착부 중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와 대응되게 설치되는 면에 밀봉 홈이 설치되고, 상기 밀봉 홈 내에 밀봉 스트립이 장착되며,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는 상기 밀봉 스트립과 접촉된다.
본 해결수단에서, 밀봉 홈 내에 밀봉 스트립이 장착되고, 플로팅 플레이트와 플로팅 장착부 사이에 밀봉 구조가 형성됨으로써, 외부 수분이 삽입 부재 장착부 내부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고압 플러그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차량측 전기 커넥터는, 상기 플로팅 장착부의 외주벽 및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의 전체 외주벽에 피복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탈착 가능하게 밀봉 연결되는 제1 밀봉링을 더 포함한다.
본 해결수단에서, 제1 밀봉링의 설치는 차량측 전기 커넥터와 전지측 전기 커넥터가 장착된 후 양자 사이에 탄성 밀봉을 형성함으로써, 차량측 전기 커넥터와 전지측 전기 커넥터의 방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차체가 흔들릴 경우 소정의 이동량을 남겨두어 차량측 전기 커넥터와 전지측 전기 커넥터의 전기적 연결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소정의 압력 하에 밀봉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밀봉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밀봉링은,
상기 플로팅 장착부의 외주벽 및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의 전체 외주벽에 피복되는 밴드형 환상 고리체;
상기 밴드형 환상 고리체 중 상기 플로팅 장착부에 연결되는 일단의 내벽면에 설치되고, 상기 플로팅 장착부 중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와 배향되는 일면에 연결되는 제1 걸림 결합부;
상기 밴드형 환상 고리체 중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일단의 내벽면에 설치되고,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 중 상기 플로팅 장착부와 배향되는 일면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탈착 가능하게 밀봉 연결되는 제2 걸림 결합부를 포함한다.
본 해결수단에서, 제1 밀봉링은 둘러싸는 방식으로 플로팅 장착부와 플로팅 플레이트를 동시에 감싸므로, 방수 효과가 더 좋다.
이 밖에, 제1 걸림 결합부 및 제2 걸림 결합부를 각각 플로팅 장착부 및 플로팅 플레이트에 고정 연결시킴으로써, 제1 밀봉링과 플로팅 장착부, 플로팅 플레이트 사이의 구조 연결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제1 밀봉링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밀봉성이 우수하고 방수 효과가 현저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걸림 결합부 중 상기 플로팅 장착부에 연결되는 일면에 제1 걸림부가 설치되고, 상기 플로팅 장착부 중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와 배향되는 일면에 제1 걸림 홈이 설치되며, 상기 제1 걸림부는 상기 제1 걸림 홈에 걸림 설치되고;
상기 제2 걸림 결합부 중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일면에 제2 걸림부가 설치되고,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 중 상기 플로팅 장착부와 배향되는 일면에 제2 걸림 홈이 설치되며, 상기 제2 걸림부는 상기 제2 걸림 홈에 걸림 설치되고.
본 해결수단에서, 제1 걸림부는 제1 걸림 홈에 걸림 설치되고 제2 걸림부는 제2 걸림 홈에 걸림 설치되므로, 제1 밀봉링과 플로팅 장착부 및 제1 밀봉링과 플로팅 플레이트 사이의 연결 강도를 더 강화시킴으로써, 제1 밀봉링과 플로팅 장착부의 연결 및 사용 안정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걸림부와 상기 제2 걸림부는 모두 돌출점, 돌출 고리 또는 돌출 스트립이거나;
및/또는, 상기 제1 걸림부와 상기 제2 걸림부는 모두 T형 걸림부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지측 전기 커넥터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 중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와 대응되게 설치되는 일면의 주위에 밀봉 연결되는 제2 밀봉링을 더 포함한다.
본 해결수단에서, 제2 밀봉링의 설치는 차량측 전기 커넥터와 전지측 전기 커넥터의 연결 위치의 밀봉성을 더 향상시킴으로써, 차량측 전기 커넥터와 전지측 전기 커넥터의 방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 플레이트 중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와 대응되게 설치되는 일면의 주위에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두께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되는 제3 걸림 홈이 설치되고;
상기 제2 밀봉링은,
상기 고정 플레이트 중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와 대응되게 설치되는 일면의 주위에 압력에 의해 설치되고, 상기 제1 밀봉링의 제2 걸림 결합부에 탈착 가능하게 밀봉 연결되는 환상 밀봉 본체;
상기 환상 밀봉 본체 중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대응되게 설치되는 일면으로부터 상기 환상 밀봉 본체의 두께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3 걸림 홈 내에 걸림 설치되는 걸림부를 포함한다.
본 해결수단에서, 걸림부는 제3 걸림 홈 내에 걸림 설치되므로, 제2 밀봉링과 고정 플레이트 사이의 연결 강도를 더 강화시키고, 제2 밀봉링과 고정 플레이트의 연결 및 사용 안정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밀봉링의 상기 걸림부는 돌출점, 돌출 고리 또는 돌출 스트립이거나;
및/또는, 상기 제2 밀봉링의 상기 걸림부는 T형 걸림부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차량측 전기 커넥터는,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에 장착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근접하는 일단이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에 돌출되는 제1 위치결정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지측 전기 커넥터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장착되고 상기 제1 위치결정 어셈블리 중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근접하는 일단이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제2 위치결정 어셈블리를 더 포함한다.
본 해결수단에서, 차량측 전기 커넥터의 플로팅 플레이트에 설치된 제1 위치결정 어셈블리는 전지측 전기 커넥터의 고정 시트에 설치된 제2 위치결정 어셈블리에 삽입 설치됨으로써, 차량측 전기 커넥터의 제1 고압 포스트 및 제1 저압 포스트가 전지측 전기 커넥터의 제2 고압 포스트 및 제2 저압 포스트와 각각 접촉 시 위치결정이 정확하지 못하여 손상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1 위치결정 어셈블리와 제2 위치결정 어셈블리의 배합 구조는 삽입 연결 후의 고압 포스트와 저압 포스트가 반경 방향에서의 힘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에는 제1 위치결정 장착 홀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위치결정 어셈블리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로부터 멀리 떨어진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일단이 상기 제1 위치결정 장착 홀 내에 삽입 설치 및 리베팅되며,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근접하는 일단이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에 돌출되는 위치결정 기둥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위치결정 어셈블리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상기 위치결정 기둥 중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근접하는 일단이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위치결정 커버를 포함한다.
본 해결수단에서, 차량측 전기 커넥터의 플로팅 플레이트에 설치된 위치결정 기둥은 전지측 전기 커넥터의 고정 시트에 설치된 위치결정 커버에 삽입 설치됨으로써, 차량측 전기 커넥터와 전지측 전기 커넥터가 접촉 시 차량측 전기 커넥터의 위치결정 기둥이 먼저 전지측 전기 커넥터의 위치결정 커버와 위치결정된 다음, 차량측 전기 커넥터의 제1 고압 포스트 및 제1 저압 포스트가 전지측 전기 커넥터에서의 상응한 제2 고압 포스트 및 제2 저압 포스트와 접촉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차량측 전기 커넥터의 제1 고압 포스트 및 제1 저압 포스트가 전지측 전기 커넥터의 제2 고압 포스트 및 제2 저압 포스트와 각각 접촉 시 위치결정이 정확하지 못하여 손상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위치결정 기둥과 위치결정 커버의 배합 구조는 삽입 연결 후의 고압 포스트와 저압 포스트가 반경 방향에서의 힘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위치결정 기둥의 타단은 원뿔형이다.
본 해결수단에서, 위치결정 기둥을 전지측 전기 커넥터의 위치결정 커버에 삽입 연결시키도록 위치결정 기둥의 타단은 원뿔형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는 제2 위치결정 장착 홀이 설치되고, 상기 위치결정 커버는 상기 제2 위치결정 장착 홀에 매설 및 리베팅된다.
본 분야의 상식에 부합되는 기초상에서, 상기 각 바람직한 조건을 임의로 조합하여 본 발명의 각 바람직한 구현예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긍정적 진보 효과는 하기와 같다.
(1) 차량측 전기 커넥터의 제1 고압 어셈블리는 전지측 전기 커넥터의 제2 고압 어셈블리에 플로팅 전기적 연결되고, 양자 사이에 그 축선 방향을 따라 압착될 경우 소정의 플로팅 변위를 구비하여 발생된 압착력을 제거할 수 있음으로써, 제1 고압 어셈블리와 제2 고압 어셈블리의 경성 손상을 방지하고 제1 고압 어셈블리와 제2 고압 어셈블리 사이의 전기적 연결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2) 차량측 전기 커넥터의 제1 저압 어셈블리와 전지측 전기 커넥터의 제2 저압 어셈블리 사이는 면접촉되므로, 차량측 전기 커넥트와 전지측 전기 커넥터의 저압 어셈블리가 전기적 연결되는 접촉 면적을 확보함으로써, 양자가 전기적 연결되는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3) 제1 장착 시트는 제2 장착 시트에 탈착 가능하게 밀봉 연결되므로, 차량측 전기 커넥터와 전지측 전기 커넥터가 장착된 후 양자 사이에 밀봉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차량측 전기 커넥터와 전지측 전기 커넥터의 방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적 연결 장치의 사시 구조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적 연결 장치의 정면 구조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2 중 A-A를 따른 단면 구조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적 연결 장치의 차량측 전기 커넥터의 정면 구조 모식도이다.
도 5는 도 4 중 B-B 부분을 따른 단면 구조 모식도이다.
도 6은 도 4 중 C-C 부분을 따른 단면 구조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적 연결 장치의 차량측 전기 커넥터의 유연성 전기적 연결 부재의 부분적 구조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적 연결 장치의 차량측 전기 커넥터의 저압 어셈블리의 부분적 구조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적 연결 장치의 차량측 전기 커넥터의 저압 포스트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적 연결 장치의 전지측 전기 커넥터의 내부 구조 모식도이다.
도 11은 도 10 중 D 부분의 확대 구조 모식도이다.
도 12는 도 10 중 E 부분의 확대 구조 모식도이다.
아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도면을 결부하여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 과정에서, 용어 "상”, "하”, "전”, "후’, "좌”, "우”, "수직”, "수평”, "최상”, "바닥”, "내”, "외” 등 지시하는 방위 또는 위치 관계는 도면에 도시된 방위 또는 위치 관계에 기반한 것으로, 본 발명의 설명과 간결한 설명을 위한 것일 뿐, 언급된 장치 또는 소자가 반드시 특정된 방위를 구비해야 하고 특정된 방위로 구성 및 작동되는 것을 지시 또는 암시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 내지 도 3은 전기적 연결 장치(1)를 나타낸 구조 모식도이다. 상기 전기적 연결 장치(1)는 차량측 전기 커넥터(3) 및 전지측 전기 커넥터(5)를 포함한다. 도 4 내지 도 5를 결부해보면, 상기 차량측 전기 커넥터(3)는 하우징(30), 제1 장착 시트(31), 제1 고압 어셈블리(32), 제1 저압 어셈블리(33)를 포함한다. 제1 장착 시트(31)는 플로팅 플레이트(310) 및 제1 포스트 장착 플레이트(311)를 포함한다.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310)에 플로팅 플레이트 장착구(3101)가 설치된다. 제1 포스트 장착 플레이트(311)는 스크류를 통해 플로팅 플레이트(310)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고 플로팅 플레이트 장착구(3101)에 관통된다. 제1 고압 어셈블리(32)와 제1 저압 어셈블리(33)는 모두 제1 포스트 장착 플레이트(311)에 관통 설치된다. 또한, 제1 고압 어셈블리(32)와 제1 저압 어셈블리(33)는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여기서, 하우징(30)은 차체 브라켓에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30)은 알루미늄 합금에 의해 일체로 다이 캐스팅되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30)은 플로팅 장착부(300) 및 삽입 부재 장착부(301)를 포함하고, 삽입 부재 장착부(301)에 수용 캐비티(302)가 형성된다. 플로팅 장착부(300)는 삽입 부재 장착부(301)의 선단의 외주연에 위치한다. 상기 제1 포스트 장착 플레이트(311)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수용 캐비티(302) 내에 위치한다.
도 6을 결부해보면,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310)는 플로팅 장착부(300)에 플로팅 연결된다.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310)와 상기 플로팅 장착부(300)는 가이드 부재(34)를 통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34)는 가이드 커버(340) 및 가이드 스크류(341)를 포함하며, 가이드 커버(340)는 플로팅 장착부(300)에 장착되고, 가이드 스크류(341)는 플로팅 플레이트(310)를 관통하여 가이드 커버(340)에 나사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4개의 가이드 부재(34)를 설치할 수 있고, 플로팅 장착부(300)의 양단에 각각 2개의 가이드 부재(34)를 설치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팅 플레이트(310)는 플로팅 장착부(300)에 밀봉 연결된다. 플로팅 장착부(300) 중 플로팅 플레이트(310)와 대응되게 설치되는 면에 밀봉 홈(3001)이 설치되고, 밀봉 홈(3001) 내에 밀봉 스트립(3002)이 장착되며, 플로팅 플레이트(310)는 밀봉 스트립(3002)과 접촉된다. 이로써, 플로팅 플레이트(310)와 플로팅 장착부(300) 사이에 밀봉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외부 수분이 삽입 부재 장착부(301)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고압 플러그(322)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 및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지측 전기 커넥터(5)는 제2 장착 시트(50), 제2 고압 어셈블리(51), 제2 저압 어셈블리(52)를 포함한다. 상기 제2 고압 어셈블리(51)와 상기 제2 저압 어셈블리(52)는 모두 상기 제2 장착 시트(50)에 관통 설치된다. 제1 고압 어셈블리(32)는 제2 고압 어셈블리(51)에 분리 가능하게 플로팅 전기적 연결되고, 제1 저압 어셈블리(33)는 제2 저압 어셈블리(52)에 분리 가능하게 평면 전기적 연결된다. 제1 장착 시트(31)는 제2 장착 시트(50)에 탈착 가능하게 밀봉 연결되고, 제1 장착 시트(31)와 제2 장착 시트(50)는 대응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장착 시트(50)는 고정 플레이트(500) 및 제2 포스트 장착 플레이트(501)를 포함한다. 고정 플레이트(500)에 고정 플레이트 장착구(5000)가 설치되고, 제2 포스트 장착 플레이트(501)는 고정 플레이트(500)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 플레이트 장착구(5000)에 관통된다. 상기 제2 고압 어셈블리(51)와 상기 제2 저압 어셈블리(52)는 모두 상기 제2 포스트 장착 플레이트(501)에 관통 설치된다. 고정 플레이트(500)는 플로팅 플레이트(310)에 탈착 가능하게 밀봉 연결되고, 제2 포스트 장착 플레이트(501)와 제1 포스트 장착 플레이트(311)는 대응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차량측 전기 커넥터(3)의 제1 고압 어셈블리(32)는 전지측 전기 커넥터(5)의 제2 고압 어셈블리(51)에 플로팅 전기적 연결되고, 양자 사이에 그 축선 방향을 따라 압착될 경우 소정의 플로팅 변위를 구비하여 발생된 압착력을 제거할 수 있음으로써, 제1 고압 어셈블리(32)와 제2 고압 어셈블리(51)의 경성 손상을 방지하고 제1 고압 어셈블리(32)와 제2 고압 어셈블리(51) 사이의 전기적 연결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차량측 전기 커넥터(3)의 제1 저압 어셈블리(33)와 전지측 전기 커넥터(5)의 제2 저압 어셈블리(52) 사이는 면접촉되므로, 차량측 전기 커넥트(3)와 전지측 전기 커넥터(5)의 저압 어셈블리가 전기적 연결되는 접촉 면적을 확보함으로써, 양자가 전기적 연결되는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제1 장착 시트(31)의 플로팅 플레이트(310)는 제2 장착 시트(50)의 고정 플레이트(500)에 탈착 가능하게 밀봉 연결되므로, 차량측 전기 커넥터(3)와 전지측 전기 커넥터(5)가 장착된 후 양자 사이에 밀봉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차량측 전기 커넥터(3)와 전지측 전기 커넥터(5)의 방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고압 어셈블리(32)는 제1 고압 포스트(320)를 포함한다. 제1 포스트 장착 플레이트(311)에 제1 고압 장착 홀(3110)이 설치된다. 제1 고압 포스트(320)는 제1 고압 장착 홀(3110)에 관통되고, 제1 고압 장착 홀(3110)의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고압 장착 홀(3110)에 슬라이딩 설치된다. 제1 고압 포스트(320)의 외벽면에 탄성 부재(미도시)가 커버 설치되고, 탄성 부재는 제1 고압 장착 홀(3110) 내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의 일단은 제1 고압 장착 홀(3110)에 당접되고, 상기 탄성 부재의 타단은 제1 고압 포스트(320)에 당접된다.
제1 고압 포스트(320)의 외벽면에 탄성 부재가 커버 설치되고, 제1 고압 포스트(320)는 전지측 전기 커넥터(5)의 제2 고압 포스트(510)와 접촉된 후 소정의 신축 탄성을 유지하므로, 접촉점의 접촉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제1 고압 포스트(320)가 수직 방향의 압착력을 견딜 수 있도록 하는데, 즉, 제1 고압 포스트(320)의 축 방향을 따른 압착력을 견딜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1 고압 포스트(320)의 사용 수명을 향상시킨다.
상기 제1 고압 포스트(320)는 전기적 접촉단 및 터미널을 구비한다. 상기 제1 고압 포스트(320)의 전기적 접촉단은 제1 장착 시트(31)의 제1 포스트 장착 플레이트(311) 중 상기 제2 장착 시트(50)의 제2 포스트 장착 플레이트(501)와 대응되게 설치되는 일면에 돌출된다. 또한, 상기 제1 고압 포스트(320)의 전기적 접촉단의 단면에 오목홈(3200)이 설치되고, 상기 오목홈(3200)은 제1 고압 포스트(320)의 축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된다. 상기 오목홈(3200) 내에 제1 전도성 탄성 부재(미도시)가 삽입 설치되고, 상기 제1 전도성 탄성 부재는 상기 제1 고압 포스트(320)의 전기적 접촉단의 단면에 돌출된다.
도 3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고압 어셈블리(51)는 제2 고압 포스트(510)를 포함한다. 상기 제2 고압 포스트(510)는 전기적 접촉단 및 터미널을 구비한다. 상기 제2 고압 포스트(510)의 전기적 접촉단(5100)은 상기 제2 포스트 장착 플레이트(501) 중 상기 제1 포스트 장착 플레이트(311)와 대응되게 설치되는 일면에 평행된다. 상기 제2 고압 포스트(510)의 전기적 접촉단(5100)은 상기 제1 전도성 탄성 부재를 통해 제1 고압 포스트(320)의 상기 전기적 접촉단에 분리 가능하게 플로팅 전기적 연결되고, 상기 제1 전도성 탄성 부재는 오목홈(3200)과 상기 제2 고압 포스트(510)의 전기적 접촉단(5100) 사이에 압력에 의해 설치된다.
차량측 전기 커넥터(3)의 제1 고압 포스트(320)의 전기적 접촉단에 오목홈(3200)이 설치되고, 오목홈(3200) 내에 제1 전도성 탄성 부재가 설치되므로, 전지측 전기 커넥터(5)의 압착을 받을 경우, 제1 전도성 탄성 부재는 탄성 변형을 일으키고, 압착력을 제거하는 동시에, 우수한 접촉을 유지함으로써, 차량측 전기 커넥터(3)와 전지측 전기 커넥터(5)의 고압 플로팅 연결을 구현하고, 차체 진동 상황에서의 양자의 안정한 전기적 연결에 적응될 수 있다.
도 11을 결부해보면, 상기 제2 장착 시트(50)의 제2 포스트 장착 플레이트(501)에 제2 고압 장착 홀(5010)이 설치되고, 상기 제2 고압 포스트(510)는 상기 제2 고압 장착 홀(5010)에 관통 설치된다. 상기 제2 고압 포스트(510)의 외벽면에 위치결정부(511)가 구비되고, 위치결정부(511)는 제2 고압 포스트(510)가 제2 포스트 장착 플레이트(501)에 대해 상기 제2 고압 장착 홀(5010)의 축선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한한다. 이로써, 제2 고압 포스트(510)와 제2 장착 시트(50)의 제2 포스트 장착 플레이트(501) 사이의 연결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바람직하게, 상기 위치결정부(511)는 돌출점, 돌출 고리, 쐐기모양 블록 또는 노치부이다. 제2고압 장착 홀(5010)의 측벽에 위치결정부와 매칭되는 요함부(50100)가 설치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고압 포스트(320)의 오목홈(3200)은 환상 오목홈이고, 환상 오목홈의 축선과 제1 고압 포스트(320)의 축선은 중첩된다. 제1 전도성 탄성 부재는 전도성 스프링이다. 상기 제1 고압 포스트(320)와 제2 고압 포스트(510)의 전기적 접촉단(5100)의 접촉면은 평면이다. 이로써, 차량측 전기 커넥터(3)의 제1 고압 포스트(320)와 전지측 전기 커넥터(5)의 제2 고압 포스트(510)가 전기적 연결되는 접촉 면적을 확보함으로써, 양자의 전기적 연결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고압 어셈블리(32)는 유연성 전기적 연결 부재(321) 및 고압 플러그(322)를 더 포함한다. 유연성 전기적 연결 부재(321)의 일단은 제1 고압 포스트(320)의 터미널에 플로팅 전기적 연결되고, 유연성 전기적 연결 부재(321)의 타단은 고압 플러그(322)에 플로팅 전기적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연성 전기적 연결 부재(321)를 통해 제1 고압 포스트(320)의 양단이 모두 플로팅 연결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므로, 긴밀하게 연결되지 않아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소각되는 등 이상적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차량측 전기 커넥터(3)와 전지측 전기 커넥터(5)의 전기적 연결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동시에, 고압 플러그(322)는 유연성 전기적 연결 부재(321)를 통해 제1 고압 포스트(320)에 플로팅 전기적 연결되므로, 제1 고압 포스트(320)와 고압 플러그(322)가 축 방향에서 이동하고 반경 방향에서 회전 시 전기적 연결되는 안정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전기적 연결 장치(1)의 안전성 및 전기 전도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밖에, 상기 제1 고압 포스트(320)의 상기 터미널에 배선 홈(3201)이 설치되고, 상기 배선 홈(3201)은 상기 제1 고압 포스트(320)의 축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된다. 상기 유연성 전기적 연결 부재(321)의 일단은 상기 배선 홈(3201)에 압접되고, 배선 홈(3201)의 내벽과의 사이에 제2 전도성 탄성 부재(324)가 압력에 의해 설치된다. 제2 전도성 탄성 부재(324)를 통해 제1 고압 프스트(320)와 유연성 전기적 연결 부재 사이(321)의 플로팅 연결을 구현하므로, 제1 고압 포스트(320)와 유연성 전기적 연결 부재(321) 사이의 전기적 연결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도 7을 결부해보면, 상기 유연성 전기적 연결 부재(321)는 제1 전기적 연결 헤드(3210), 유연성 캐비티(3211), 제2 전기적 연결 헤드(3212) 및 스프링(3213)을 포함한다. 제1 전기적 연결 헤드(3210)의 일단은 배선 홈(3201)에 압접되고, 배선 홈(3201)의 내벽과의 사이에 상기 제2 전도성 탄성 부재(324)이 압력에 의해 설치된다.
상기 유연성 캐비티(3211)의 일단은 상기 제1 전기적 연결 헤드(3210)의 타단에 압접 또는 용접된다. 또한, 상기 유연성 캐비티(3211)는 상기 제1 고압 포스트(320) 및 고압 플러그(322) 외부에 위치하고, 유연성 도전성 재료로 제조된다. 상기 제2 전기적 연결 헤드(3212)의 일단은 유연성 캐비티(3211)의 타단에 압접 또는 용접되고, 제2 전기적 연결 헤드(3212)의 타단은 고압 플러그(322)에 플로팅 전기적 연결된다. 스프링(3213)은 유연성 캐비티(3211) 내에 위치하고, 스프링(3213)의 양단은 제1 전기적 연결 헤드(3210) 및 제2 전기적 연결 헤드(3212)에 각각 연결된다. 유연성 전기적 연결 부재(321) 사용 시, 연성 캐비티(3211)는 연장 또는 압축되고 반경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구조 연결 사이의 축 방향, 반경 방향 등 각각의 각도의 상대적 변위 변화에 적응될 수 있으므로, 상대적 변위의 변화로 인해 전기적 연결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차량측 전기 커넥터(3)의 전기적 연결의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이 밖에, 상기 유연성 캐비티(3211)는 제1 전기적 연결 헤드(3210) 및 제2 전기적 연결 헤드(3212)에 압접 및 용접되므로, 유연성 전기적 연결 부재(321)의 구조 연결 강도를 강화시키고, 유연성 전기적 연결 부재(321)의 전기적 연결 안정성을 확보한다. 스프링(3213)은 유연성 전기적 연결 부재(321)의 구조 강도를 효과적으로 강화시켜 유연성 캐비티(3211)의 양단이 상대적 변위 변화 시 유연성 전기적 연결 부재(321)의 전기적 연결 효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스프링(3213)은 전도 기능을 구비하므로, 제1 전기적 연결 헤드(3210)와 제2 전기적 연결 헤드(3212) 사이의 전기적 연결의 안정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압 플러그(322)는 하우징(30)의 삽입 부재 장착부(301)에 설치되고 수용 캐비티(302) 외부에 위치한다. 상기 삽입 부재 장착부(301) 중 플로팅 장착부(300)로부터 멀리 떨어진 일단의 외벽에 보호 커버(3010)가 설치되고, 보호 커버(3010)의 외벽면에 보스(3011)가 설치된다.
고압 플러그(322)는 고압 케이스(3220), 절연체(3221) 및 핀(3222)을 포함한다. 절연체(3221)는 고압 케이스(3220)의 내부에 관통 설치되어 고정된다. 핀(3222)은 절연체(3221)의 내부에 관통 설치되어 고정된다. 유연성 전기적 연결 부재(321)의 제2 전기적 연결 헤드(3212)의 타단은 연결 소켓(323)을 통해 고압 플러그(322)의 상기 핀(3222)에 플로팅 전기적 연결된다. 상기 연결 소켓(323)의 일단에 제1 삽입 홀(3230)이 설치되고, 상기 연결 소켓(323)의 타단에 제2 삽입 홀(3231)이 설치된다. 상기 유연성 전기적 연결 부재(321)의 제2 전기적 연결 헤드(3212)의 일단은 제1 삽입 홀(3230) 내에 압접된다. 상기 핀(3222)은 상기 제2 삽입 홀(3231) 내에 플로팅 연결된다. 또한, 유연성 전기적 연결 부재(321)의 제2 전기적 연결 헤드(3212)와 제1 삽입 홀(3230)의 내벽 및 핀(3222)과 상기 제2 삽입 홀(3231)의 내벽에 제3 전도성 탄성 부재(325)가 압력에 의해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제3 전도성 탄성 부재(325)는 전도성 스프링이다.
차량측 전기 커넥터(3)에서, 상기 삽입 부재 장착부(301) 중 플로팅 장착부(300)의 일단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외벽면에 보호 커버(3010)가 설치되고, 상기 보호 커버(3010)의 외벽면에 보스(3011)가 설치된다. 고압 케이스(3220)의 일단은 보호 커버(3010) 내에 삽입 설치되고, 고압 케이스(3220)의 외벽면에 잠금 부재(3223)가 회전 연결되며, 잠금 부재(3223)는 상기 보스(3011)에 걸림 설치된다. 이로써, 고압 플러그(322)를 삽입 부재 장착부(301)의 보호 커버(3010)에 아주 편리하고 신뢰성 있게 고정할 수 있고, 고압 플러그(322)를 삽입 부재 장착부(301)의 보호 커버(3010)로부터 간편하게 해체할 수 있다.
이 밖에, 상기 고압 케이스(3220)의 일단의 외벽면과 보호 커버(3010)이 내벽면 사이는 밀봉 연결된다. 이로써, 고압 플러그(322)와 삽입 부재 장착부(301)의 보호 커버(3010) 사이에 밀봉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외부 수분이 삽입 부재 장착부(301) 및고압 플러그(322)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고압 플러그(322)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밖에, 상기 차량측 전기 커넥터(3)는 절연 커버(326)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절연 커버(326)의 일단은 제1 포스트 장착 플레이트(311)에 연결되며, 상기 절연 커버(326)의 타단에 고정 커버(327)가 연결된다. 고정 커버(327)는 하우징(30)의 삽입 부재 장착부(301) 내에 연결되고, 고정 커버(327)의 적어도 일부분은 하우징(30)의 보호 커버(3010) 내에 위치한다. 연결 소켓(323)은 고정 커버(327) 내에 관통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고압 플러그(322)의 고압 케이스(3220) 및 절연체(3221)의 저부는 고정 커버(327)의 외벽면과 보호 커버(3010)의 내벽면 사이에 설치된다.
이 밖에, 상기 절연 커버(326)는 캐비티(3260)를 구비하고, 상기 유연성 전기적 연결 부재(321)는 캐비티(3260) 내에 위치한다. 절연 커버(326)는 유연성 전기적 연결 부재(321)에 대해 보호 작용을 하고, 유연성 전기적 연결 부재(321)는 우수한 절연, 밀봉 효과를 구비하며, 차량측 전기 커넥터(3)의 안전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도 3,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저압 어셈블리(33)는 제1 저압 포스트(330)를 포함한다. 제1 장착 시트(31)의 제1 포스트 장착 플레이트(311)에 제1 저압 장착 홀(3111)이 설치되고, 제1 저압 포스트(330)는 제1 저압 장착 홀(3111)에 관통 설치된다. 상기 제1 저압 포스트(330)는 전기적 접촉단 및 터미널을 구비하고, 상기 전기적 접촉단은 제1 장착 시트(31)의 제1 포스트 장착 플레이트(311) 중 상기 제2 장착 시트(50)의 제2 포스트 장착 플레이트(501)와 대응되게 설치되는 일면에 돌출된다.
도 8 내지 도 9를 결부해보면, 상기 제1 저압 어셈블리(33)는 회전 셀프 클리닝 수단 및 케이블(334)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회전 셀프 클리닝 수단은 가이드 풋(331) 및 가이드 홈(332)을 포함한다. 가이드 풋(331)은 제1 저압 포스트(330)의 외벽면에 설치되고, 제1 저압 포스트(330)의 반경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된다. 가이드 홈(332)은 제1 저압 장착 홀(3111)의 측벽에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 풋(331)이 가이드 홈(332) 내로 이동될 경우, 가이드 풋(331)은 가이드 홈(332)에 슬라이딩 설치되고, 가이드 풋(331)은 가이드 홈(332)과 배합되어 제1 저압 포스트(330)의 회전 방향을 제한한다. 제1 저압 포스트(330)의 외벽면에 탄성 부재가 커버 설치되고, 상기 탄성 부재(333)는 제1 저압 포스트(330)가 상기 가이드 풋(331)과 상기 가이드 홈(332)이 설치된 회전 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한다.
가이드 풋(331)을 통해 가이드 홈(332)과 배합되어 제1 저압 포스트(330)의 회전 방향을 한정하고, 탄성 부재(333)를 통해 제1 저압 포스트(330)가 가이드 홈(332)이 설치된 회전 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제1 저압 포스트(330)의 접촉면을 세척하는 효과를 달성하고, 제1 저압 포스트(330)와 제2 저압 포스트(520)의 전기적 접촉의 안정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차량측 전기 커넥터(3)와 전지측 전기 커넥터(5)의 전기적 접촉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이드 홈(332)의 길이 방향과 상기 제1 저압 포스트(330)의 중심 축선은 13 ~ 17도인 협각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협각은 15도이다. 이로써, 상기 협각을 통해 제1 저압 포스트(330)의 회전 방향을 한정하고, 제1 저압 포스트(330)의 단자 접촉면을 세척하는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이 밖에, 상기 케이블(334)의 일단은 제1 저압 포스트(330)의 터미널에 삽입 설치되고, 제1 저압 장착 홀(3111) 내에 위치하는 상기 케이블(334)의 형상은 나선형이다. 이로써, 케이블(334)이 고정 영역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되고 걸림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확보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가이드 풋(331) 및 가이드 홈(332)의 개수는 모두 복수 개이고, 복수 개의 가이드 풋(331)은 제1 저압 포스트(330)의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복수개의 가이드 홈(332)은 제1저압 장착 홀(3111)의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복수 개의 가이드 홈(332)은 복수 개의 가이드 풋(331)과 일대일로 대응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 풋(331) 및 가이드 홈(332)의 개수는 모두 3개이다. 이로써, 3개의 가이드 풋(331) 및 가이드 풋(331)의 위치를 설치하여 제1 저압 포스트(330)가 회전 과정에서 보다 안정하게 이동하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가이드 풋(331) 및 가이드 홈(332)의 개수는 2개, 4개 또는 다른 개수일 수도 있고,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 풋(331)은 제1 저압 포스트(330)의 원주 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장착 홀의 측벽에 위치제한 홈(335)이 설치되고, 상기 위치제한 홈(335)의 일단은 가이드 홈(332)에 인접되어 연통되며, 상기 가이드 풋(331)은 상기 위치제한 홈(335)에 걸림 설치된다. 이로써, 위치제한 홈(335)을 설치하여 정상적인 상태에서 가이드 풋(331)을 위치제한함으로써, 가이드 풋(331)이 왕복 회전 이동한 후, 동일한 고정 위치로 돌아가는 것을 유지하도록 확보하고, 저압 포스트의 매 번 왕복 회전 이동의 정확성을 향상시킨다.
전지측 전기 커넥터(5)의 제2 저압 포스트(520)와 차량측 전기 커넥터(3)의 제1 저압 포스트(330)가 전기적 연결될 경우, 전기적 연결로 인해 접촉면을 따라 제1 저압 포스트(330)로 전달되는 작용력이 발생되고, 상기 작용력은 초기 상태의 탄성 부재를 압축시키는 동시에, 제1 저압 포스트(330)가 상기 작용력 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고, 제1 저압 포스트(330)에 가이드 풋(331)을 설치하고 제1 저압 장착 홀(3111)의 측벽에 가이드 풋(331)과 대응되게 가이드 홈(332)을 설치하며, 가이드 홈(332)의 설치 방향 및 가이드 풋(331)과 상기 가이드 홈(332)을 배합하여 제1 저압 포스트(330)가 이동되면서 회전되도록 가이드한다. 한편, 상기 작용력을 제거할 경우, 탄성 부재(333)는 해제되어 초기 상태로 회복되는 과정에서, 제1 저압 포스트(330)가 가이드 홈(332)이 설치된 회전 방향을 따라 역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왕복 회전 이동을 완성하고, 제1 저압 포스트(330)의 단자 접촉면을 서로 마찰시키는 목적을 달성함으로써, 제1 저압 포스트(330)의 단자 접촉면을 세척하는 효과를 달성하고, 제1 저압 포스트(330)의 전기적 접촉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도 3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저압 어셈블리(52)는 제2 저압 포스트(520)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장착 시트(50)의 제2 포스트 장착 플레이트(501)에 제2 저압 장착 홀(5011)이 설치되고, 제2 저압 포스트(520)는 제2 저압 장착 홀(5011)에 관통 설치된다.
제2 저압 포스트(520)는 전기적 접촉단 및 터미널을 구비하고, 제2 저압 포스트(520)의 전기적 접촉단(5200)은 제2 장착 시트(50)의 제2 포스트 장착 플레이트(501) 중 상기 제1 장착 시트(31)의 제1 포스트 장착 플레이트(311)와 대응되게 설치되는 일면에 평행된다. 상기 제2 저압 포스트(520)의 전기적 접촉단(5200)은 상기 제1 저압 포스트(330)의 전기적 접촉단에 분리 가능하게 평면 전기적 연결된다.
도 12를 결부해보면, 상기 제2 저압 포스트(520)의 외벽면에 위치결정부(521)가 구비되고, 상기 위치결정부(521)는 제2 저압 포스트(520)가 제2 장착 시트(50)의 제2 포스트 장착 플레이트(501)에 대해 상기 제2 저압 장착 홀(5011)의 축선 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제한한다. 이로써, 제2 저압 포스트(520)와 제2 장착 시트(50)의 제2 포스트 장착 플레이트(501) 사이의 연결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바람직하게, 상기 위치결정부(521)는 돌출점, 돌출 고리, 쐐기모양 블록 또는 노치부이다. 제2 저압 장착 홀(5011)의 측벽에 위치결정부와 매칭되는 요함부(50110)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고압 포스트(320)는 제1 포스트 장착 플레이트(311)의 양단에 각각 위치하는 2개로 설치될 수 있고, 제1 저압 포스트(330)는 2개의 제1 고압 포스트(320) 사이에 분포되는 복수 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고압 포스트(510)는 제2 포스트 장착 플레이트(501)의 양단에 각각 위치하는 2개로 설치될 수 있고, 제2 저압 포스트(520)는 2개의 제2 고압 포스트(510) 사이에 분포되는 복수 개로 설치될 수 있다.
도 3,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량측 전기 커넥터(3)는 제1 밀봉링(35)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밀봉링(35)은 상기 플로팅 장착부(300)의 외주벽 및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310)의 전체 외주벽에 피복되며, 고정 플레이트(500)에 탈착 가능하게 밀봉 연결된다. 이로써, 차량측 전기 커넥터(3)와 전지측 전기 커넥터(5)가 장착된 후 양자 사이에 탄성 밀봉을 형성함으로써, 차량측 전기 커넥터(3)와 전지측 전기 커넥터(5)의 방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차체가 흔들릴 경우 소정의 이동량을 남겨두어 차량측 전기 커넥터(3)와 전지측 전기 커넥터(5)의 전기적 연결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소정의 압력 하에 밀봉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밀봉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 밀봉링(35)은 밴드형 환상 고리체(350), 제1 걸림 결합부(351) 및 제2 걸림 결합부(352)를 포함한다. 밴드형 환상 고리체(350)는 플로팅 장착부(300)의 전체 외주벽 및 플로팅 플레이트(310)의 전체 외주벽에 피복된다. 제1 밀봉링(35)은 둘러싸는 방식으로 플로팅 장착부(300)와 플로팅 플레이트(310)를 동시에 감싸므로, 방수 효과가 더 좋다.
이 밖에, 제1 걸림 결합부(351)는 밴드형 환상 고리체(350) 중 플로팅 장착부(300)에 연결되는 일단의 내벽면에 설치되고, 제1 걸림 결합부(351)는 플로팅 장착부(300) 중 플로팅 플레이트(310)와 배향되는 일면에 연결된다. 제2 걸림 결합부(352)는 밴드형 환상 고리체(350) 중 플로팅 플레이트(310)에 연결되는 일단의 내벽면에 설치되고, 제2 걸림 결합부(352)는 플로팅 플레이트(310) 중 플로팅 장착부(300)와 배향되는 일면에 연결되며, 고정 플레이트(500)에 탈착 가능하게 밀봉 연결된다. 제1 걸림 결합부(351) 및 제2 걸림 결합부(352)를 각각 플로팅 장착부(300) 및 플로팅 플레이트(310)에 고정 연결시킴으로써, 제1 밀봉링(35)과 플로팅 장착부(300), 플로팅 플레이트(310) 사이의 구조 연결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제1 밀봉링(35)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밀봉성이 우수하고 방수 효과가 현저하다.
이 밖에, 상기 제1 걸림 결합부(351) 중 플로팅 장착부(300)에 연결되는 일면에 제1 걸림부(353)가 설치된다. 플로팅 장착부(300) 중 플로팅 플레이트(310)와 배향되는 일면에 제1 걸림 홈(3003)이 설치되고, 상기 제1 걸림부(353)는 제1 걸림 홈(3003)에 걸림 설치된다. 제2 걸림 결합부(352) 중 플로팅 플레이트(310)에 연결되는 일면에 제2 걸림부(354)가 설치되고, 플로팅 플레이트(310) 중 플로팅 장착부(300)와 배향되는 일면에 제2 걸림 홈(3100)이 설치되며, 상기 제2 걸림부(354)는 제2 걸림 홈(3100)에 걸림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걸림부(353)는 제1 걸림 홈(3003)에 걸림 설치되고 제2 걸림부(354)는 제2 걸림 홈(3100)에 걸림 설치되므로, 제1 밀봉링(35)과 플로팅 장착부(300) 및 제1 밀봉링(35)과 플로팅 플레이트(310) 사이의 연결 강도를 더 강화시킴으로써, 제1 밀봉링(35)과 플로팅 장착부(300)의 연결 및 사용 안정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걸림부(353)와 상기 제2 걸림부(354)는 모두 돌출점, 돌출 고리 또는 돌출 스트립이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제1 걸림부(353)와 상기 제2 걸림부(354)는 모두 T형 걸림부이다.
도 3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지측 전기 커넥터(5)는 제2 밀봉링(53)을 더 포함하고, 제2 밀봉링(53)은 고정 플레이트(500) 중 플로팅 플레이트(310)와 대응되게 설치되는 일면의 주위에 밀봉 연결된다. 이로써, 차량측 전기 커넥터(3)와 전지측 전기 커넥터(5)의 연결 위치의 밀봉성을 더 향상시킴으로써, 차량측 전기 커넥터(3)와 전지측 전기 커넥터(5)의 방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밖에, 상기 고정 플레이트(500) 중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310)와 대응되게 설치되는 일면의 주위에 제3 걸림 홈(5001)이 설치되고, 상기 제3 걸림 홈(5001)은 고정 플레이트(500)의 두께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된다. 상기 제2 밀봉링(53)은 환상 밀봉 본체(530) 및 제3 걸림부(531)를 포함한다. 환상 밀봉 본체(530)는 고정 플레이트(500) 중 플로팅 플레이트(310)와 대응되게 설치되는 일면의 주위에 압력에 의해 설치되고, 환상 밀봉 본체(530)는 제1 밀봉링(35)의 제2 걸림 결합부(352)에 탈착 가능하게 밀봉 연결된다. 제3 걸림부(531)는 환상 밀봉 본체(530) 중 고정 플레이트(500)와 대응되게 설치되는 일면으로부터 환상 밀봉 본체(530)의 두께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고, 제3 걸림부(531)는 제3걸림 홈(5001) 내에 걸림 설치된다. 이로써, 제2 밀봉링(53)과 고정 플레이트(500) 사이의 연결 강도를 더 강화시키고, 제2 밀봉링(53)과 고정 플레이트(500)의 연결 및 사용 안정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밀봉링(53)의 제3 걸림부(531)는 돌출점, 돌출 고리 또는 돌출 스트립이다. 더 바람직하게, 제3 걸림부(531)는 T형 걸림부이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량측 전기 커넥터(3)는 위치결정 기둥(36)을 더 포함한다. 플로팅 플레이트(310)에 제1 위치결정 장착 홀(3102)이 설치된다. 상기 위치결정 기둥(36) 중 고정 플레이트(500)로부터 멀리 떨어진 일단은 제1 위치결정 장착 홀(3102) 내에 삽입 설치 및 리베팅된다. 또한, 위치결정 기둥(36) 중 고정 플레이트(500)에 근접하는 일단은 플로팅 플레이트(310)에 돌출된다. 바람직하게, 위치결정 기둥(36)의 위치결정단(360)은 원뿔형이다. 이로써, 위치결정 기둥(36)을 전지측 전기 커넥터(5)의 위치결정 커버(54)에 삽입 연결시키도록 한다.
상기 전지측 전기 커넥터(5)는 위치결정 커버(54)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위치결정 커버(54)는 고정 플레이트(500)에 장착된다. 고정 플레이트(500)에 제2 위치결정 장착 홀(5002)이 설치되고, 상기 위치결정 커버(54)는 제2 위치결정 장착 홀(5002)에 매설 및 리베팅된다. 위치결정 기둥(36) 중 고정 플레이트(500)에 근접하는 일단은 위치결정 커버(54) 내에 삽입 설치된다.
차량측 전기 커넥터(3)의 플로팅 플레이트(310)에 설치된 위치결정 기둥(36)은 전지측 전기 커넥터(5)의 고정 시트에 설치된 위치결정 커버(54)에 삽입 설치됨으로써, 차량측 전기 커넥터(3)와 전지측 전기 커넥터(5)가 접촉 시 차량측 전기 커넥터(3)의 위치결정 기둥(36)이 먼저 전지측 전기 커넥터(5)의 위치결정 커버(54)와 위치결정된 다음, 차량측 전기 커넥터(3)의 제1 고압 포스트(320) 및 제1 저압 포스트(330)가 전지측 전기 커넥터(5)에서의 상응한 제2 고압 포스트(510) 및 제2 저압 포스트(520)와 접촉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차량측 전기 커넥터(3)의 제1 고압 포스트(320) 및 제1 저압 포스트(330)가 전지측 전기 커넥터(5)의 제2 고압 포스트(510) 및 제2 저압 포스트(520)와 각각 접촉 시 위치결정이 정확하지 못하여 손상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위치결정 기둥(36)과 위치결정 커버(54)의 배합 구조는 삽입 연결 후의 고압 포스트와 저압 포스트가 반경 방향에서의 힘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위치결정 기둥(36)은 각각 장착 시트(12)의 양단에 장착되고 고압 포스트(130)의 외측에 위치하는 2개로 설치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이는 단지 예를 들어 설명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됨을 이해해야 한다.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원리 및 실질을 벗어나지 않는 전제 하에 이러한 실시형태에 대해 여러가지 변경 또는 수정을 진행할 수 있지만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해야 한다.
전기적 연결 장치: 1
차량측 전기 커넥터: 3; 하우징: 30; 플로팅 장착부: 300; 밀봉 홈: 3001; 밀봉 스트립: 3002; 제1 걸림 홈: 3003; 삽입 부재 장착부: 301; 보호 커버: 3010; 보스: 3011; 수용 캐비티: 302; 제1 장착 시트: 31; 플로팅 플레이트: 310; 제2 걸림 홈: 3100; 플로팅 플레이트 장착구: 3101; 제1 위치결정 장착 홀: 3102; 제1 포스트 장착 플레이트: 311; 제1 고압 장착 홀: 3110; 제1 저압 장착 홀: 3111; 제1 고압 어셈블리: 32; 제1 고압 포스트: 320; 오목홈: 3200; 배선 홈: 3201; 유연성 전기적 연결 부재: 321; 제1 전기적 연결 헤드: 3210; 유연성 캐비티: 3211; 제2 전기적 연결 헤드: 3212; 스프링: 3213; 고압 플러그: 322; 고압 케이스: 3220; 절연체: 3221; 핀: 3222; 잠금 부재: 3223; 연결 소켓: 323; 제1 삽입 홀: 3230; 제2 삽입 홀: 3231; 제2 전도성 탄성 부재: 324; 제3 전도성 탄성 부재: 325; 절연 커버: 326; 캐비티: 3260; 고정 커버: 327; 제1 저압 어셈블리: 33; 제1 저압 포스트: 330; 가이드 풋: 331; 가이드 홈: 332; 탄성 부재: 333; 케이블: 334; 위치제한 홈: 335; 가이드 부재: 34; 가이드 커버: 340; 가이드 스크류: 341; 제1 밀봉링: 35; 밴드형 환상 고리체: 350; 제1 걸림 결합부: 351; 제2 걸림 결합부: 352; 제1 걸림부: 353; 제2 걸림부: 354; 위치결정 기둥: 36; 위치결정단: 360
전지측 전기 커넥터: 5; 제2 장착 시트: 50; 고정 플레이트: 500; 고정 플레이트 장착구: 5000; 제3 걸림 홈: 5001; 제2 위치결정 장착 홀: 5002; 제2 포스트 장착 플레이트: 501; 제2 고압 장착 홀: 5010; 요함부: 50100; 제2 저압 장착 홀: 5011; 요함부: 50110; 제2 고압 어셈블리: 51; 제2 고압 포스트: 510; 전기적 접촉단: 5100; 위치결정부: 511; 제2 저압 어셈블리: 52; 제2 저압 포스트: 520; 전기적 접촉단: 5200; 위치결정부: 521; 제2 밀봉링: 53; 환상 밀봉 본체: 530; 제3 걸림부: 531; 위치결정 커버: 54

Claims (20)

  1. 제1 장착 시트(seat), 제1 고압 어셈블리, 제1 저압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압 어셈블리와 상기 제1 저압 어셈블리가 모두 상기 제1 장착 시트에 관통 설치되는 차량측 전기 커넥터;
    제2 장착 시트, 제2 고압 어셈블리, 제2 저압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압 어셈블리와 상기 제2 저압 어셈블리가 모두 상기 제2 장착 시트에 관통 설치되며, 상기 제1 고압 어셈블리가 상기 제2 고압 어셈블리에 분리 가능하게 플로팅(floating) 전기적 연결되고, 상기 제1 저압 어셈블리가 상기 제2 저압 어셈블리에 분리 가능하게 평면 전기적 연결되며, 상기 제1 장착 시트가 상기 제2 장착 시트에 탈착 가능하게 밀봉 연결되고, 상기 제1 장착 시트와 상기 제2 장착 시트가 대응되게 설치되는 전지측 전기 커넥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연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압 어셈블리는 제1 고압 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압 포스트는 전기적 접촉단 및 터미널을 구비하며, 상기 전기적 접촉단은 상기 제1 장착 시트 중 상기 제2 장착 시트와 대응되게 설치되는 일면에 돌출되고, 상기 전기적 접촉단의 단면에 오목홈이 설치되며, 상기 오목홈은 상기 제1 고압 포스트의 축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되고, 상기 오목홈 내에 제1 전도성 탄성 부재가 삽입 설치되며, 상기 제1 전도성 탄성 부재는 상기 전기적 접촉단의 단면에 돌출되고;
    상기 제2 고압 어셈블리는 제2 고압 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압 포스트는 전기적 접촉단 및 터미널을 구비하며, 상기 제2 고압 포스트의 상기 전기적 접촉단은 상기 제2 장착 시트 중 상기 제1 장착 시트와 대응되게 설치되는 일면에 평행되고, 상기 제2 고압 포스트의 상기 전기적 접촉단은 상기 제1 전도성 탄성 부재를 통해 상기 제1 고압 포스트의 상기 전기적 접촉단에 분리 가능하게 플로팅 전기적 연결되며, 상기 제1 전도성 탄성 부재는 상기 오목홈과 상기 제2 고압 포스트의 상기 전기적 접촉단 사이에 압력에 의해 설치되고;
    바람직하게, 상기 오목홈은 환상 오목홈이고, 상기 환상 오목홈의 축선과 상기 제1 고압 포스트의 축선은 중첩되거나; 및/또는 상기 제1 전도성 탄성 부재는 전도성 스프링이거나; 및/또는 상기 제1 고압 포스트와 상기 제2 고압 포스트의 상기 전기적 접촉단의 접촉면은 모두 평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연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압 어셈블리는,
    일단이 상기 제1 고압 포스트의 상기 터미널에 플로팅 전기적 연결되는 유연성 전기적 연결 부재;
    상기 유연성 전기적 연결 부재의 타단에 플로팅 전기적 연결되는 고압 플러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연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압 포스트의 상기 터미널에 배선 홈이 설치되고, 상기 배선 홈은 상기 제1 고압 포스트의 축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되며, 상기 유연성 전기적 연결 부재의 일단은 상기 배선 홈에 압접되고, 배선 홈의 내벽과의 사이에 제2 전도성 탄성 부재가 압력에 의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연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성 전기적 연결 부재는,
    일단이 상기 배선 홈에 압접되고, 상기 배선 홈의 내벽과의 사이에 상기 제2 전도성 탄성 부재가 압력에 의해 설치되는 제1 전기적 연결 헤드;
    일단이 상기 제1 전기적 연결 헤드의 타단에 압접 또는 용접되고, 상기 제1 고압 포스트와 상기 고압 플러그 외부에 위치하며, 유연성 도전성 재료로 제조되는 유연성 캐비티;
    일단이 상기 유연성 캐비티의 타단에 압접 또는 용접되고, 타단이 상기 고압 플러그에 플로팅 전기적 연결되는 제2 전기적 연결 헤드;
    상기 유연성 캐비티 내에 위치하고, 양단이 상기 제1 전기적 연결 헤드 및 상기 제2 전기적 연결 헤드에 각각 연결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연결 장치.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에 있어서,
    상기 고압 플러그는 핀을 포함하고, 상기 유연성 전기적 연결 부재의 타단은 연결 소켓을 통해 상기 고압 플러그의 상기 핀에 플로팅 전기적 연결되며, 상기 연결 소켓의 일단에 제1 삽입 홀이 설치되고, 상기 연결 소켓의 타단에 제2 삽입 홀이 설치되며, 상기 유연성 전기적 연결 부재의 일단은 상기 제1 삽입 홀 내에 압접되고, 상기 핀은 상기 제2 삽입 홀 내에 플로팅 전기적 연결되며, 상기 유연성 전기적 연결 부재와 상기 제1 삽입 홀의 내벽 및/또는 상기 핀과 상기 제2 삽입 홀의 내벽에 제3 전도성 탄성 부재가 압력에 의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연결 장치.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에 있어서,
    상기 제2 장착 시트에 고압 장착 홀이 설치되고, 상기 제2 고압 포스트는 상기 고압 장착 홀에 관통 설치되며, 상기 제2 고압 포스트의 외벽면에 상기 제2 고압 포스트가 상기 제2 장착 시트에 대해 상기 고압 장착 홀의 축선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한하는 위치결정부가 구비되고;
    바람직하게, 상기 위치결정부는 돌출점, 돌출 고리, 쐐기모양 블록 또는 노치부이고, 상기 고압 장착 홀의 측벽에 상기 위치결정부의 형상과 매칭되는 요함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연결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압 어셈블리는 제1 저압 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저압 포스트는 전기적 접촉단 및 터미널을 구비하며, 상기 전기적 접촉단은 상기 제1 장착 시트 중 상기 제2 장착 시트와 대응되게 설치되는 일면에 돌출되고;
    상기 제2 저압 어셈블리는 제2 저압 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저압 포스트는 전기적 접촉단 및 터미널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저압 포스트의 상기 전기적 접촉단은 상기 제2 장착 시트 중 상기 제1 장착 시트와 대응되게 설치되는 일면에 평행되고, 상기 제2 저압 포스트의 상기 전기적 접촉단은 상기 제1 저압 포스트의 상기 전기적 접촉단에 분리 가능하게 평면 전기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연결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착 시트에 제1 저압 장착 홀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저압 포스트는 상기 제1 저압 장착 홀에 관통 설치되며;
    상기 제1 저압 어셈블리는 회전 셀프 클리닝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 셀프 클리닝 수단은,
    상기 제1 저압 포스트의 외벽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저압 포스트의 반경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풋;
    상기 제1 저압 장착 홀의 측벽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풋이 내부로 이동될 경우, 상기 가이드 풋이 슬라이딩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풋과 배합되어 상기 제1 저압 포스트의 회전 방향을 한정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저압 포스트의 외벽면에 상기 제1 저압 포스트가 상기 가이드 풋과 상기 가이드 홈이 설치된 회전 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탄성 부재가 커버 설치되며;
    바람직하게, 상기 가이드 홈의 길이 방향과 상기 제1 저압 포스트의 중심 축선은 13 ~ 17도인 협각을 형성하거나; 및/또는, 상기 제1 저압 어셈블리는 일단이 상기 제1 저압 포스트의 터미널에 삽입 설치되는 케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저압 장착 홀 내에 위치하는 상기 케이블의 형상은 나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연결 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장착 시트에 제2 저압 장착 홀이 설치되고, 상기 제2 저압 장착 홀은 상기 제2 저압 장착 홀에 관통 설치되며, 상기 제2 저압 포스트의 외벽면에 상기 제2 저압 포스트가 상기 제2 장착 시트에 대해 상기 제2 저압 장착 홀의 축선 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제한하는 위치결정부가 구비되고;
    바람직하게, 상기 위치결정부는 돌출점, 돌출 고리, 쐐기모양 블록 또는 노치부이고, 상기 제2 저압 장착 홀의 측벽에 상기 위치결정부와 매칭되는 요함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연결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착 시트는,
    상기 제2 장착 시트에 탈착 가능하게 밀봉 연결되고 플로팅 플레이트 장착구가 설치되는 플로팅 플레이트;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 장착구에 관통되며, 상기 제1 고압 어셈블리와 상기 제1 저압 어셈블리가 모두 관통 설치되는 제1 포스트 장착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장착 시트는,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에 탈착 가능하게 밀봉 연결되고 고정 플레이트 장착구가 설치되는 고정 플레이트;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 장착구에 관통되며, 상기 제1 포스트 장착 플레이트와 대응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고압 어셈블리와 상기 제2 저압 어셈블리가 모두 관통 설치되는 제2 포스트 장착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연결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측 전기 커넥터는,
    차체 브라켓에 장착되고 수용 캐비티를 구비하며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가 플로팅 연결 및 밀봉 연결되며 상기 제1 포스트 장착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수용 캐비티 내에 위치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연결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플로팅 장착부 및 삽입 부재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로팅 장착부는 상기 삽입 부재 장착부의 선단의 외주연에 위치하며, 상기 삽입 부재 장착부에 상기 수용 캐비티가 형성되고,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는 상기 플로팅 장착부에 플로팅 연결되며, 상기 플로팅 장착부에 밀봉 연결되고;
    바람직하게,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와 상기 플로팅 장착부는 가이드 부재를 통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가이드 커버 및 가이드 스크류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커버는 상기 플로팅 장착부에 장착되며, 상기 가이드 스크류는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 커버에 나사 연결되거나; 및/또는 상기 플로팅 장착부 중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와 대응되게 설치되는 면에 밀봉 홈이 설치되고, 상기 밀봉 홈 내에 밀봉 스트립이 장착되며,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는 상기 밀봉 스트립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연결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측 전기 커넥터는,
    상기 플로팅 장착부의 외주벽 및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의 전체 외주벽에 피복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탈착 가능하게 밀봉 연결되는 제1 밀봉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연결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밀봉링은,
    상기 플로팅 장착부의 외주벽 및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의 전체 외주벽에 피복되는 밴드형 환상 고리체;
    상기 밴드형 환상 고리체 중 상기 플로팅 장착부에 연결되는 일단의 내벽면에 설치되고, 상기 플로팅 장착부 중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와 배향되는 일면에 연결되는 제1 걸림 결합부;
    상기 밴드형 환상 고리체 중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일단의 내벽면에 설치되고,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 중 상기 플로팅 장착부와 배향되는 일면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탈착 가능하게 밀봉 연결되는 제2 걸림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연결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 결합부 중 상기 플로팅 장착부에 연결되는 일면에 제1 걸림부가 설치되고, 상기 플로팅 장착부 중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와 배향되는 일면에 제1 걸림 홈이 설치되며, 상기 제1 걸림부는 상기 제1 걸림 홈에 걸림 설치되고;
    상기 제2 걸림 결합부 중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일면에 제2 걸림부가 설치되고,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 중 상기 플로팅 장착부와 배향되는 일면에 제2 걸림 홈이 설치되며, 상기 제2 걸림부는 상기 제2 걸림 홈에 걸림 설치되고;
    바람직하게, 상기 제1 걸림부와 상기 제2 걸림부는 모두 돌출점, 돌출 고리 또는 돌출 스트립이거나; 및/또는 상기 제1 걸림부와 상기 제2 걸림부는 모두 T형 걸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연결 장치.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측 전기 커넥터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 중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와 대응되게 설치되는 일면의 주위에 밀봉 연결되는 제2 밀봉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연결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 중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와 대응되게 설치되는 일면의 주위에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두께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되는 제3 걸림 홈이 설치되고,
    상기 제2 밀봉링은,
    상기 고정 플레이트 중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와 대응되게 설치되는 일면의 주위에 압력에 의해 설치되고, 상기 제1 밀봉링의 제2 걸림 결합부에 탈착 가능하게 밀봉 연결되는 환상 밀봉 본체;
    상기 환상 밀봉 본체 중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대응되게 설치되는 일면으로부터 상기 환상 밀봉 본체의 두께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3 걸림 홈 내에 걸림 설치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 상기 제2 밀봉링의 상기 걸림부는 돌출점, 돌출 고리 또는 돌출 스트립이거나; 및/또는 상기 제2 밀봉링의 상기 걸림부는 T형 걸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연결 장치.
  19. 제1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에 있어서,
    상기 차량측 전기 커넥터는,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에 장착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근접하는 일단이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에 돌출되는 제1 위치결정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지측 전기 커넥터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장착되고 상기 제1 위치결정 어셈블리 중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근접하는 일단이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제2 위치결정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연결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에는 제1 위치결정 장착 홀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위치결정 어셈블리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로부터 멀리 떨어진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일단이 상기 제1 위치결정 장착 홀 내에 삽입 설치 및 리베팅되며,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근접하는 일단이 상기 플로팅 플레이트에 돌출되는 위치결정 기둥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위치결정 어셈블리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상기 위치결정 기둥 중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근접하는 일단이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위치결정 커버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 상기 위치결정 기둥의 타단은 원뿔형이거나; 및/또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는 제2 위치결정 장착 홀이 설치되고, 상기 위치결정 커버는 상기 제2 위치결정 장착 홀에 매설 및 리베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연결 장치.
KR1020207002462A 2017-06-23 2018-06-25 전기적 연결 장치 KR102341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7041231A KR102648070B1 (ko) 2017-06-23 2018-06-25 전지측 전기 커넥터 및 전기적 연결 장치
KR1020217041224A KR102461743B1 (ko) 2017-06-23 2018-06-25 전기적 연결 장치
KR1020217041228A KR102461740B1 (ko) 2017-06-23 2018-06-25 차량측 전기 커넥터 및 전기적 연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488959.8A CN109119792B (zh) 2017-06-23 2017-06-23 电连接装置
CN201710488959.8 2017-06-23
PCT/CN2018/092643 WO2018233715A1 (zh) 2017-06-23 2018-06-25 电连接装置

Related Child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41231A Division KR102648070B1 (ko) 2017-06-23 2018-06-25 전지측 전기 커넥터 및 전기적 연결 장치
KR1020217041228A Division KR102461740B1 (ko) 2017-06-23 2018-06-25 차량측 전기 커넥터 및 전기적 연결 장치
KR1020217041224A Division KR102461743B1 (ko) 2017-06-23 2018-06-25 전기적 연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3263A true KR20200033263A (ko) 2020-03-27
KR102341380B1 KR102341380B1 (ko) 2021-12-21

Family

ID=64732301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41228A KR102461740B1 (ko) 2017-06-23 2018-06-25 차량측 전기 커넥터 및 전기적 연결 장치
KR1020217041224A KR102461743B1 (ko) 2017-06-23 2018-06-25 전기적 연결 장치
KR1020207002462A KR102341380B1 (ko) 2017-06-23 2018-06-25 전기적 연결 장치
KR1020217041231A KR102648070B1 (ko) 2017-06-23 2018-06-25 전지측 전기 커넥터 및 전기적 연결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41228A KR102461740B1 (ko) 2017-06-23 2018-06-25 차량측 전기 커넥터 및 전기적 연결 장치
KR1020217041224A KR102461743B1 (ko) 2017-06-23 2018-06-25 전기적 연결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41231A KR102648070B1 (ko) 2017-06-23 2018-06-25 전지측 전기 커넥터 및 전기적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4) US11264762B2 (ko)
EP (2) EP4254678A3 (ko)
JP (4) JP6916314B2 (ko)
KR (4) KR102461740B1 (ko)
CN (2) CN111755903B (ko)
CL (1) CL2019003756A1 (ko)
ES (1) ES2964028T3 (ko)
WO (1) WO20182337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55903B (zh) * 2017-06-23 2022-08-30 上海电巴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连接装置
KR102573133B1 (ko) * 2019-02-26 2023-08-3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충격 흡수 구조를 갖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CN110233392A (zh) * 2019-05-28 2019-09-13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插座及插座组件
CN112152026A (zh) * 2019-06-26 2020-12-29 奥动新能源汽车科技有限公司 电连接器插头和插座、多功能连接器装置和电动汽车
CN110459885A (zh) * 2019-09-05 2019-11-15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带程序机械闭锁的接地线及接地操作方法
CN112290237B (zh) * 2020-09-28 2022-11-08 国网福建省电力有限公司三明市沙县区供电公司 一种防触电的户外插座与插头结构
CN114323470A (zh) * 2020-09-30 2022-04-12 奥动新能源汽车科技有限公司 电连接装置及其进水检测方法
CN112636085B (zh) * 2020-11-30 2022-03-29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快速拆装插座的连接固定结构
CN113594761B (zh) * 2021-08-18 2024-03-19 深圳市同心富精密电子有限公司 一种防水连接器
CN114204336B (zh) * 2021-10-25 2023-08-01 泰州市航宇电器有限公司 一种连接器插座的双浮动式安装结构
CN114389249B (zh) * 2022-01-17 2023-03-21 苏州达晶微电子有限公司 一种低残压的保护器件
CN115161621B (zh) * 2022-07-28 2024-02-13 龙鳞(深圳)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平行电极旋转镀膜设备
CN115782554B (zh) * 2022-10-11 2023-08-29 上汽通用五菱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混合动力装置及混合动力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26757A (ja) * 2007-07-12 2009-02-05 Odu Steckverbindungssysteme Gmbh & Co Kg 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用のカップリング装置
CN106299782A (zh) * 2016-09-09 2017-01-04 上海电巴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连接器
CN106328878A (zh) * 2016-11-16 2017-01-11 上海电巴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用于电动汽车电池模组的双头连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46022A (en) * 1953-02-10 1956-05-15 Continental Connector Corp Separable connector assembly with aligning and securing means
US2902665A (en) * 1958-07-25 1959-09-01 Winchester Electronics Inc Polarized electrical connectors
US3853381A (en) * 1973-06-14 1974-12-10 Amp Inc Jackscrew retainer
FR2321784A1 (fr) 1975-08-22 1977-03-18 Siemens Ag Dispositif de contact
US4277126A (en) * 1979-01-23 1981-07-07 Malco Releasable key arrangement for an electrical connector
DE3032414A1 (de) * 1980-08-28 1982-03-18 F.E. Schulte Strathaus Kg, 4750 Unna Vorrichtung zur loesbaren verbindung, insbesondere von hochspannungsleitungsenden
US4580862A (en) * 1984-03-26 1986-04-08 Amp Incorporated Floating coaxial connector
US4697859A (en) * 1986-08-15 1987-10-06 Amp Incorporated Floating coaxial connector
US4761144A (en) * 1986-12-22 1988-08-02 Amp Incorporated Mounting means for rack and panel connector
US4917619A (en) * 1987-12-26 1990-04-17 Obara Corporation Tool changer for welding robot
US4943950A (en) * 1989-05-26 1990-07-24 Western Atlas International, Inc. Method for migrating seismic data
US4929184A (en) * 1989-06-07 1990-05-29 Amp Incorporated Keyed electrical connectors with jackscrews
US4934950A (en) * 1989-08-30 1990-06-19 Amp Incorporated Keyed electrical connectors with jackscrews
US5169343A (en) * 1990-11-29 1992-12-0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oax connector module
US5329262A (en) * 1991-06-24 1994-07-12 The Whitaker Corporation Fixed RF connector having internal floating members with impedance compensation
JP2602385B2 (ja) * 1992-01-16 1997-04-23 矢崎総業株式会社 多極コネクタ
US5605150A (en) * 1994-11-04 1997-02-25 Physio-Control Corporation Electrical interface for a portable electronic physiological instrument having separable components
JPH08203572A (ja) * 1995-01-27 1996-08-09 Mitsubishi Electric Corp 導体接続装置
US5769652A (en) * 1996-12-31 1998-06-23 Applied Engineering Products, Inc. Float mount coaxial connector
JP3354866B2 (ja) * 1998-03-31 2002-12-09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ドッキングコネクタ
US20020177340A1 (en) * 2001-05-24 2002-11-28 Eaton Corporation Mounting block with biasing spring for a self-aligning electrical connector
JP2003323932A (ja) * 2002-05-01 2003-11-14 Yazaki Corp シールドコネクタ
US6910911B2 (en) * 2002-06-27 2005-06-28 Vocollect, Inc. Break-away electrical connector
JP2005135794A (ja) * 2003-10-31 2005-05-26 Hirose Electric Co Ltd 圧入端子のモールド圧入構造とこのモールド圧入構造を用いた電気コネクタ
JP4924247B2 (ja) * 2007-07-04 2012-04-25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2177621A (zh) * 2009-02-27 2011-09-07 日立建机株式会社 工程机械用连接器装置
US8585421B2 (en) * 2009-03-25 2013-11-19 Yazaki Corporation Connector
US7704077B1 (en) * 2009-04-13 2010-04-2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Low loss board to board connection system
JP5399804B2 (ja) * 2009-08-03 2014-01-29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1249048A (ja) * 2010-05-24 2011-12-08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US8002574B1 (en) * 2010-11-04 2011-08-2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RF module with a housing with spring loaded connectors and a strain relief extending rearward of the housing
US8282415B1 (en) * 2011-04-21 2012-10-09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Multi-port connector assembly
CN202564686U (zh) * 2012-03-26 2012-11-28 新乡市新能电动汽车有限公司 一种浮动连接器及其构成的浮动连接器组件
FR2990746A1 (fr) * 2012-05-16 2013-11-22 Staubli Sa Ets Ensemble de raccord et assemblage correspondant
US9209540B2 (en) * 2013-02-08 2015-12-08 Apple Inc. Board-to-board connectors
CN105051985B (zh) 2013-03-19 2017-05-24 住友电装株式会社 车辆侧连接器
JP6339831B2 (ja) * 2014-03-19 2018-06-06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端子保持構造
JP6441095B2 (ja) * 2015-01-28 2018-12-19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US9829132B2 (en) * 2015-05-25 2017-11-28 Cooler Master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ultifunction integrated connection head assembly structure thereof
CN205039367U (zh) * 2015-09-22 2016-02-17 北京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用于电动车的连接器和电动车
CN205985557U (zh) * 2016-09-09 2017-02-22 上海电巴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连接器的电连接结构及电连接器
CN206041035U (zh) * 2016-09-09 2017-03-22 上海电巴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连接器
WO2018133871A1 (zh) * 2017-01-23 2018-07-26 上海电巴新能源科技有限公司 弹性极柱、组合件、高压组件、电连接器和电池充电盘
CN111755903B (zh) * 2017-06-23 2022-08-30 上海电巴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连接装置
JP2019079800A (ja) * 2017-10-25 2019-05-23 タイコ エレクトロニクス アンプ コリア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Tyco Electronics AMP Korea Co.,Ltd 直接結合コネクタアセンブリ
JP7019147B2 (ja) * 2018-05-09 2022-02-15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及び機器ケースの防水構造
TWI662218B (zh) * 2018-06-04 2019-06-11 訊凱國際股份有限公司 連接頭組件
DE202018105926U1 (de) * 2018-10-16 2018-11-02 Odu Gmbh & Co. Kg Schwimmender Verbinder
US10498061B1 (en) * 2018-12-17 2019-12-03 Te Connectivity Corporation Coaxial connector assembly
US10958014B1 (en) * 2019-09-23 2021-03-23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Nasa Blind mate mechanis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26757A (ja) * 2007-07-12 2009-02-05 Odu Steckverbindungssysteme Gmbh & Co Kg 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用のカップリング装置
CN106299782A (zh) * 2016-09-09 2017-01-04 上海电巴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连接器
CN106328878A (zh) * 2016-11-16 2017-01-11 上海电巴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用于电动汽车电池模组的双头连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755903A (zh) 2020-10-09
KR102461743B1 (ko) 2022-10-31
JP2021177489A (ja) 2021-11-11
JP6916314B2 (ja) 2021-08-11
CL2019003756A1 (es) 2020-07-17
US20220140530A1 (en) 2022-05-05
US11742616B2 (en) 2023-08-29
US20220149567A1 (en) 2022-05-12
JP2021170544A (ja) 2021-10-28
KR20210156327A (ko) 2021-12-24
KR102341380B1 (ko) 2021-12-21
EP3644458A1 (en) 2020-04-29
JP2020524882A (ja) 2020-08-20
US20210313742A1 (en) 2021-10-07
JP7092928B2 (ja) 2022-06-28
EP3644458A4 (en) 2021-01-06
CN109119792A (zh) 2019-01-01
EP4254678A2 (en) 2023-10-04
EP4254678A3 (en) 2023-11-22
US20220140529A1 (en) 2022-05-05
ES2964028T3 (es) 2024-04-03
CN111755903B (zh) 2022-08-30
US11264762B2 (en) 2022-03-01
EP3644458B1 (en) 2023-08-23
KR20210156326A (ko) 2021-12-24
US11742614B2 (en) 2023-08-29
US11742615B2 (en) 2023-08-29
WO2018233715A1 (zh) 2018-12-27
KR102648070B1 (ko) 2024-03-18
JP2021170543A (ja) 2021-10-28
KR102461740B1 (ko) 2022-10-31
CN109119792B (zh) 2020-07-17
JP7356475B2 (ja) 2023-10-04
KR20210156328A (ko) 2021-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33263A (ko) 전기적 연결 장치
CN111541104B (zh) 高压组件及车端电连接器
EP2913899B1 (en) Charging connector
CN103441358A (zh) 一种电缆连接器
CN102222849A (zh) 防爆电连接装置及其插头、插座
CN110323592B (zh) 电连接器、电气单元以及车辆
KR102571688B1 (ko) 이탈 방지용 이너씰을 갖는 충전용 커넥터
CN216120661U (zh) 电池包的插接装置以及电池包
CN215732269U (zh) 连接组件、连接器和连接器组件
CN214411590U (zh) 一种连接器
CN219811679U (zh) 连接器
US20240106175A1 (en) Connector Assembly and Electrical Connection Assembly
CN214797817U (zh) 一种插头、插座、接触件安装组件和大电流连接器
CN110521067B (zh) 具有用于螺接的高电流接触体的高电流连接器
KR20230145632A (ko) 커넥터
JP2015011945A (ja) コネクタ
JP2013222532A (ja) 自動車用防水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