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0471A - 의류등록장치와 의류추천장치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시스템 - Google Patents

의류등록장치와 의류추천장치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0471A
KR20200030471A KR1020190112636A KR20190112636A KR20200030471A KR 20200030471 A KR20200030471 A KR 20200030471A KR 1020190112636 A KR1020190112636 A KR 1020190112636A KR 20190112636 A KR20190112636 A KR 20190112636A KR 20200030471 A KR20200030471 A KR 202000304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thing
unit
user
information
recommend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2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구앙
서민아
유성민
임숙현
조주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RU2021109651A priority Critical patent/RU2768558C1/ru
Priority to US17/275,988 priority patent/US20220031068A1/en
Priority to JP2021513186A priority patent/JP2022511301A/ja
Priority to PCT/KR2019/011816 priority patent/WO2020055154A1/ko
Priority to AU2019338892A priority patent/AU2019338892B2/en
Publication of KR20200030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04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05Mirror cabinets; Dressing-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0/00Furniture or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ervic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4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3Laundry condition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44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conditioning or finishing, e.g.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06Q30/0271Personalized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06Q30/0625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G06V10/22Image preprocessing by selection of a specific region containing or referencing a pattern; Locating or processing of specific regions to guide the detection or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G06V10/26Segmentation of patterns in the image field; Cutting or merging of image elements to establish the pattern region, e.g. clustering-based techniques; Detection of occlu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06V10/44Local feature extraction by analysis of parts of the pattern, e.g. by detecting edges, contours, loops, corners, strokes or intersections; Connectivity analysis, e.g. of connected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06V10/56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relating to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2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in augmented reality sce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03Static body considered as a whole, e.g. static pedestrian or occupant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20Movements or behaviour, e.g. gesture recogni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1/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2Air flow control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8Conditioning or finishing, e.g. control of perfume injection
    • D06F2105/40Conditioning or finishing, e.g. control of perfume injection using water or stea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0/00Indexing scheme for image generation or computer graphics
    • G06T2210/16Clo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수신하여 신체정보의 변화를 통지하며, 사용자가 소지한 의류정보를 등록하고, 사용자의 일정, 날씨, 선호도 및 사용자가 위치한 지역의 유행, 판매하는 의류정보를 종합하여 사용자에게 맞춤형 의류를 추천할 수 있는 의류장치를 포함한 온라인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등록장치와 의류추천장치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시스템{Clothing registration device and clothing recommendation device, and online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와 소장의류를 촬영하여 저장하고 일정 또는 날씨 등에 따라 사용자에게 적합한 의류를 추천하며, 사용자가 착용한 의류의 상태를 인식하여 적합한 처리코스를 결정하거나 안내하는 가전제품 및 이를 포함하는 온라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카메라 등에 깊이 센서(depth sensor)의 기능이 탑재됨에 따라, 사용자에 신체정보를 3D로 정확하게 획득하고,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에서 원하는 부분만을 가상으로 랜더링 하여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의류를 구매하거나 선택할 때 매번 의류를 실제로 착용하지 않고도 가상으로 착용하며 확인할 수 있는 가상피팅(virtual fitting) 시스템이 활성화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한국특허공개공보 제10-2014-0077820호(선행기술1)를 참조하면, 종래 가상피팅 시스템은 깊이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외형을 스캔(scan)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장, 몸무게, 크기, 각 관절의 길이 등의 세부적인 정보를 획득하며 사용자에 대응되는 3차원 모델을 생성하고 저장한다. 또한, 한국특허공개공보 제10-2016-0088112호(선행기술2)를 참조하면, 종래 가상피팅 시스템은 판매자가 제공한 의류를 사용자의 3차원 모델에 정합(렌더링) 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실제 자신의 영상에서 의류를 착용하였을 때의 모습을 직접 시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도1은 종래 가상 피팅 시스템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a)를 참조하면, 사용자(1)는 깊이센서가 탑재된 카메라가 설치된 가상피팅 장치(2) 앞에 설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상피팅 장치(2)에는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사용자(1)의 모습(4) 거울과 같이 그대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가상피팅 장치(2)에는 사용자(1)의 신체정보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사용자가 정위치로 배치되도록 유도하거나 특정 포즈를 취하도록 가이드선(3)이 표시될 수 있다.
도1(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가이드선(3)이 유도한 위치나 포즈를 취하게 되면, 가상피팅 장치(2)는 사용자의 모습(4)에 사용자가 선택한 의류(5)를 랜더링하여 표시하게 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상기 의류(5)를 직접 착용하지 않고도 자신에게 어울리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한편, 한국특허공개공보 제10-2017-0115332(선행기술3) 참조하면, 상기 가상피팅을 수행한 자리에서 바로 구매까지 연결하는 구매시스템도 등장하여, 사용자가 상기 가상피팅을 수행한 의류(5)를 구매하기 위해 실제 상기 의류(5)가 있는 곳으로 이동하는 수고도 덜게 되었다.
그러나, 종래 가상피팅 시스템은 사용자의 영상에 실제 의류를 랜더링하는 가상피팅을 수행하기 위해서 랜더링 할 의류의 크기, 형상, 재질 등을 포함하는 의류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가상피팅 시스템은 다량의 의류정보를 미리 파악하고 있는 판매자가 제공하는 특정 의류만 가상피팅을 수행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는 판매자가 의류정보를 미쳐 제공하지 못한 의류는 가상피팅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특정 사용자의 가정 내에는 가상피팅을 위한 의류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여러 판매자에게 구매한 복수의 의류가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특정 사용자는 자신이 구매한 의류나 보관 중인 의류는 전혀 가상피팅을 수행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가상피팅시스템이 개발되었다고 하더라도, 실제 사용자들에게 보편적으로 적용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복수의 의류가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자신에게 어떠한 의류가 적합한지 모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복수의 의류를 직접 입어보거나, 가상피팅을 여러 번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의류를 가상피팅을 한다고 하더라도 유행이나 브랜드의 부지, 패션감각의 부재 등으로 자신에게 최적화된 의류를 선택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사용자의 신체정보, 구매력, 선호도에 따라 적합한 의류를 추천해줄 수 있는 추천시스템이 등장하였다.
한국특허공개공보 제10-2017-0006604호(선행기술4)를 참조하면, 종래 가상피팅 시스템은 사용자의 신체를 깊이센서 등으로 파악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적합한 의류를 추천하는 기술이 등장하였다.
또한, 한국특허공개공보 제10-2014-0006294호(선행기술5)를 참조하면, 종래 가상피팅 시스템은 사용자의 신체정보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보유의류, 선호도, 구매이력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의류나 브랜드를 추천하는 기술이 등장하였다. 이로써, 사용자가 자신에게 적합한 의류에 대한 지식이나 정보가 부족하더라도 현재 상태에 맞는 의류를 선택할 수 있는 편의성이 있었다.
그러나, 종래 가상피팅 시스템은 추천할 의류의 의류정보가 미리 파악되어 저장되어 있어야만 상기 의류를 추천할 수 있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보유한 의류를 제작한 판매자가 상기 의류정보를 제공하지 않으면, 종래 가상피팅 시스템은 사용자가 보유한 의류를 제대로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종래 가상피팅시스템은 사용자를 스캔하여 3D 모델링을 수행할 수 있는 가전제품이 있어도 사용자의 신체변화를 파악하는데 전혀 사용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더욱이, 종래 가상피팅 시스템은 가상시스템을 제공하는 판매자가 위치한 특정장소에서만 이용가능하기 때문에, 특정사용자의 신체변화를 지속적으로 관찰하거나 인식하는데 적용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특정 사용자에게 맞춤형으로 가상피팅을 제공하거나 의류를 추천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종래 가상피팅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의류를 추천하더라도 사용자가 상기 의류가 자신에게 실제로 적합한지 확인하거나 검증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예를들어, 사용자는 현재 가상피팅을 수행하는 장소와 전혀 다른 배경이나 상황에 추천된 의류가 적합한지 판단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사용자는 평소 자주 동행하지만 가상피팅 당시 부재 중인 타인과 상기 추천된 의류가 적합한지 비교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결과적으로, 가상피팅 시스템이 적용된 가전제품이 존재하지 않아 특정 사용자에게 맞춤형으로 가상피팅 기술이 활용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가정 내에는 의류를 세탁하거나 재생(Refresh)할 수 있는 복수의 가전제품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착용한 의류가 어떤 가전제품에서 처리되어야 할지를 정확히 판단하지 못할 수 있다.
예를들어, 사용자는 의류에 세탁이 필요함에도 재생(refresh)을 수행하는 가전제품에 의류를 투입하여 상기 의류를 적합하게 처리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의류를 재생(refresh)하는 가전제품이 복수의 코스나 옵션을 제공하는 경우, 사용자가 의류의 상태에 따라 어떤 코스나 옵션을 수행할 지를 몰라 의류를 정확히 재생(refresh)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나아가, 사용자가 재생을 수행하는 의류장치에 의류를 잘못 투입한 것을 인지한 경우에, 세탁을 수행하는 세탁장치의 코스나 옵션을 재차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도 있었다.
결과적으로, 종래에는 복수의 가전제품이 서로 통신하거나 특정 서버를 통해 관리됨에도 서로 연계되어 작동되지 못하는 한계가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의류에 대한 의류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가전제품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의류를 촬영하여 의류정보를 연산할 수 있는 가전제품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착용한 의류를 촬영하여 의류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가전제품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날씨, 일정, 신체정보, 유행, 선호도, 보유의류 현황을 고려하여 적합한 의류를 추천할 수 있는 가전제품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보유한 의류와 구매 대상 의류를 모두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는 가전제품 및 이를 포함하는 온라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보유한 의류 외에 다른 의류를 추천하는 경우에는 구매까지 연결할 수 있는 가전제품 및 이를 포함하는 온라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추천한 의류를 다른 의류와 비교하거나, 타인정보와 비교하거나, 배경을 전환하여 비교할 수 있는 가전제품 및 이를 포함하는 온라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특정 사용자를 반복적으로 촬영하여 신체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가전제품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특정 사용자의 신체 변화에 따라 착용할 수 있는 의류와 착용불가능 한 의류를 선별해줄 수 있는 가전제품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 온라인 시스템은 의류를 열풍 또는 스팀으로 건조할 수 있는 의류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의류장치는 챔버에 가열된 공기와 수분을 공급하여 의류를 건조할 수 있다. 챔버에는 의류가 거치된 지지바를 운동하여 의류의 주름을 제거하고 의류의 탈취를 도울 수 있다. 상기 의류장치는 상기 스팀을 공급하는 물공급탱크를 별도로 구비할 수 있으며, 의류가 거치된 공간을 제습하는 과정에서 응축된 수분을 수집하는 수집탱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 온라인 시스템은 의류장치와 통신연결되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서버와 외부단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장치는 출력장치로 스피커와 화면을 구비할 수 있어 당일 스케줄을 브리핑 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의류장치는 상기 출력장치로 날씨와 해당 날씨 필요한 의류 또는 악세서리 등의 아이템을 추천할 수 있다. 예를들어, 의류장치는 출력장치로 "내일 비가 내릴 수 있으니 우산을 준비하세요" 등의 문구 또는 음성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장치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의류 또는 악세사리의 판매처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장치는 검색된 판매처에서 제공하는 의류 또는 악세서리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선택한 의류 또는 악세서리를 의류장치를 통해 주문할 수 있다. 상기 의류장치는 가상피팅(AR fitting) 서비스를 제공하여 의류 또는 악세서리의 주문을 결정하는 사용의 선택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 의류장치는 통신모듈 또는 AP를 통해 외부단말 또는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상기 의류장치는 외부단말 또는 서버에 저장된 사용자의 일정을 확인하거나, 사용자가 설정한 인터넷 계정에 등록된 일정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장치는 인터넷으로 부터 날씨정보를 파악할 수 있으며, 상기 일정 또는 날씨정보는 사용자가 의류장치의 입력장치를 통해 직접 입력 가능하다. 상기 입력장치는 음성인식 마이크, 도어의 전방에 구비된 터치패널 및 컨트롤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의류장치는 사용자의 일정과 해당일의 날씨를 고려하여, N가지 이미지(스타일링 이미지, 코디네이션 이미지) 또는 음성정보를 준비할 수 있다. 이미지를 생성하면, DB에 등록된 사용자의 의류들을 조합하여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의류가 조합된 이미지는 의류들만의 조합으로 구성된 이미지 일수 있으며, 사용자 이미지를 배경으로 의류가 표현된 이미지 일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장치는 등록된 옷 기반으로 의류를 추천할 수 있다. 의류장치는 DB에는 등록된 옷, 일정, 날씨에 근거하여 출력장치에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출력장치는 스피커, 도어 전방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사용자는 "내일 회의 때 뭐입지"라고 의류장치에 발화할 수 있고, 출력장치는 "회의 일정을 위해 3가지 스타일을 추천합니다"라는 응답의표시와 함께 도어의 전방면 등에 추천하는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의류장치는 "원하는 스타일을 골라주세요" 등의 문구를 표시하며, 출력장치를 통해 제어명령의 입력을 유도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음성 또는 터치로 원하는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출력장치는 사용자가 선택하면 " 첫번째 스타일을 가상피팅 시작합니다"라고 안내할 수도 있다. 출력장치는 사용자의 포즈에 따라 해당 이미지를 움직일수도 있다.
상기 의류장치는 의류구매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의류장치가 생성하는 이미지는 사용자가 보유한 의류 이외에 의류 및 악세사리 생산/판매자가 제공하는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장치는 생성하는 이미지 또는 사용자가 선택한 이미지에 부족한 의류나 악세서리는 구매의향이 있는지 확인을 구할 수 있다. 사용자의 구매의사가 확인되면, 의류장치는 해당 의류 또는 악세사리 판매자에게 온라인 주문서를 발송할 수 있다.
예를들어, 사용자가 "이걸로 입을께"라는 선택의사를 표시할 수 있다. 출력장치는 "선택하신 스타일을 위해 타이 구매를 추천드립니다"라고 안내할 수 있다. 구매 가능한 타이의 이미지가 출력장치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된 이미지에서 필요한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다.
한편, 가상피팅은 표시장치에 사용자와 의류/악세서리 이미지를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입력장치(터치패널, 음성인식, 모션인식)을 통해 사용자의 이미지에 의류 또는 악세서리가 랜더링 또는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이미지들을 변경하고 선택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이 온라인 시스템이 활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아침에 일어나 외부단말로 출장일정과 출국시간을 확인한다. 사용자는 의류장치를 향해 “출장동안 어떻게 입어야 할까? ”라고 물어볼 수 있다. 의류장치는 “일정과 베를린 8월 31~9월1일간 날씨정보에 맞춰 코디 준비 시작합니다.” 라고 대답하고, 의류분석을 시작할 수 있다. 분석을 끝낸 의류장치는 요일별(날씨 아이콘) 코디를 펼쳐보일 수 있다. 현재 한여름 옷을 입고 있는 사용자는 너무 더워보이는데? ”라고 확인요청을 표시할 수 있다. 의류장치는 “베를린은 현재 초가을정도의 날씨입니다. 쌀쌀하실 수 있으니, 여행중 가디건을 꼭 챙기세요"라고 확인요청에 대해 확인 후 응답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가장 중요한 일정이 있는 요일의 '추가 추천 기능'을 터치로 선택할 수 있다. 의류장치는 “지금부터 AR 피팅을 시작합니다"라고 안내하고, 사용자는 의류장치를 향해 포즈를 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속옷 차림이라도 의류장치가 표시해준 의류를 착용한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추천된 의류를 선택하지만, 함께 스타일링된 타이는 사용자에게 없는 품목임을 출력장치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 타이는 구매해줘"라고 구매요청을 하며, 의류장치는 구매요청을 수신하면, “배송지는 어디로 할까요?”라며 추가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는 출장동안 묵을 호텔 이름을 알려주는 방식으로 추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온라인 시스템은 자동으로 의류의 상태를 감지하고, 이에 적합한 코스 또는 옵션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들어, 사용자는 의류장치에 코트를 넣고 케어실행 버튼을 누를 수 있고, 의류장치는 의류를 화학센서 또는 카메라 등으로 분석하여 자동으로 코스 또는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코스는 출력장치로 안내될 수 있다.
본 발명 온라인 시스템은 가상피팅을 수행할 수 있다. 가상피팅은 사용자가 입고 있는 특정의류에 다른의류를 매칭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의류장치는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를 촬영하고, 표시장치는 사용자의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착용한 의류를 손동작 또는 음성을 통해 강조할 수 있다. 의류장치는 강조된 의류에 적합한 의류를 연산할 수 있고, 강조된 의류외에 다른 의류는 이미지에서 제거할 수 있다. 출력장치는 특정 의류를 착용한 이미지에 사용자가 보유한 의류를 합성한 새로운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다수의 이미지가 출력될 수 있다. 출력장치는 다수의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보유한 의류 또는 악세서리는 의류장치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의류장치는 사용자에게 의류에 대한 정보입력을 유도하거나, 사용자의 외부단말에 저장된 이미지를 전송받아 의류이미지를 분리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의류장치는 사용자의 체형변화를 감지할 수 있고, 체형변화를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체형변화가 감지되면 의류장치는 착용이 어려운 의류를 선별하여 표시장치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온라인 시스템은 다양한 가상피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들어, 사용자가 의류장치에 서있는 위치에 따라 다른 가상피팅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표시장치가 제공하는 표시면적의 50퍼센트 이상을 차지하는 위치에 서있는 경우에는 일정과 날씨에 근거한 의류 이미지를 추천할 수 있다. 의류장치는 추천된 이미지를 변경할 수 있는 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DB에 저장된 의류 또는 구매대상의류를 이용하여 추천된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표시장치가 제공하는 표시면적의 50퍼센터 미안을 차지하는 위치에 서있는 경우에는 당일 생성된 다수의 추천 이미지를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즉, 두개 이상의 추천이미지를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비교명령에 따라 추천된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의류장치는 특정사용자 및 이와 다른사용자를 모두 인식한 경우에는, 특정사용자와 다른 사용자에 각각 적합한 의류를 추천할 수 있다. 의류장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의류의 추천은 독립적일 수 있고, 커플룩과 같이 연관된 의류를 추천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 온라인 시스템이 제공하는 가상피팅은 사용자가 몸의 각도를 돌리면 의류를 다른 각도에서 관찰할 수 있다. 또한, 악세서리 일부만을 돌리면 악세서리만 다른 각도에서 관찰할 수 있다. 의류장치는 모션카메라를 통해 사용자가 신체를 돌리는지 악세서리에 해당하는 부분만 돌리는 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장치는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3D 프로필을 등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의류장치는 서버에 접속하여 브랜드별 의류 측정 사이즈를 상기 3D 프로필과 매칭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에게 적합한 브랜드를 추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의류장치는 소지의류 중 현재 3D 프로필에 적합한 옷을 추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의류에 대한 의류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가전제품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의류를 촬영하여 의류정보를 연산할 수 있는 가전제품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착용한 의류를 촬영하여 의류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날씨, 일정, 신체정보, 유행, 선호도, 보유의류 현황을 고려하여 적합한 의류를 추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보유한 의류와 구매 대상 의류를 모두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보유한 의류 외에 다른 의류를 추천하는 경우에는 구매까지 연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추천한 의류를 다른 의류와 비교하거나, 타인정보와 비교하거나, 배경을 전환하여 비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특정 사용자를 반복적으로 촬영하여 신체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특정 사용자의 신체 변화에 따라 착용할 수 있는 의류와 착용불가능 한 의류를 선별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 의류를 추천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2는 본 발명 온라인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 온라인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 온라이 시스템에서 의류를 등록, 추천 할 수 있는 피팅부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 온라인 시스템 중 가전제품의 하나인 의류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6은 본 발명 온라인 시스템의 의류장치의 가상표시부의 기능을 도시한 것이다.
도7은 본 발명 온라인 시스템의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수집 및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8은 본 발명 온라인 시스템이 사용자의 소지의류를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9는 도8의 과정이 실행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0은 도9의 과정이 복수회 수행된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11은 본 발명 온라인 시스템이 의류를 추천할 수 있는 원리를 도시한 것이다
도12는 본 발명 온라인 시스템이 의류를 추천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13은 본 발명 온라인 시스템의 의류를 추천하는 제어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14는 본 발명 온라인 시스템이 의류를 추천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5는 본 발명 온라인 시스템이 의류를 추천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6는 본 발명 온라인 시스템이 의류를 추천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7는 본 발명 온라인 시스템이 의류를 추천하는 추가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8는 본 발명 온라인 시스템이 의류를 추천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9는 본 발명 온라인 시스템이 의류를 추천하는 마지막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20은 본 발명 온라인 시스템이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스캔하고 이를 활용하는 제어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21은 도20의 과정이 수행되는 일실시예르 도시한 것이다.
도22는 도20의 과정이 수행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2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온라인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가정 등의 실내에서는 특정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는 복수의 전자제품이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내에는 상기 특정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는 복수의 의류(A)가 배치되거나 보관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전자제품은 의류를 등록하도록 구비되는 의류등록장치와, 의류를 추천하도록 구비되는 의류추천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등록장치와 의류추천장치는 가전제품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전제품이 의류를 등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의류등록장치로 명명될 수 있고, 의류를 추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의류추천장치로 명명될 수 있다.
즉, 의류등록장치와 의류추천장치는 기능의 관점에서 정의되는 것으로, 세탁기 또는 냉장고, 청소기, 외부단말 등의 가전제품이 의류를 등록하는 기능이 있을 때에는 의류등록장치로 구분될 수 있고, 의류를 추천하는 기능이 있을때는 의류추천장치로 명명될 수 있다.
다시말해, 의류를 열풍 또는 스팀으로 재생하는 의류장치가 의류를 등록할 경우에는 의류등록장치가 될 수 있으며, 의류를 추천하는 기능이 있을때에는 의류추천장치가 될 수 있다.
즉, 의류장치가 의류추천기능과 의류등록기능이 있는 경우에는 의류등록장치와 의류추천장치 모두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가전제품은 상기 복수의 의류(A) 중 하나 이상을 세제 등으로 세탁 및 건조할 수 있는 세탁장치(300)와, 상기 복수의 의류 중(A) 중 하나 이상에 열풍이나 스팀을 공급하여 재생(Refresh)할 수 있는 의류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의류(A)는 코트나 점퍼와 같은 하나 이상의 외투(A1), 와이셔츠 또는 블라우스, 티셔츠와 같은 하나 이상의 상의(A2), 바지나 치마와 같은 하나 이상의 하의(A3), 가방이나, 선글라스, 귀금속, 스카프와 같은 액세서리(A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원피스와 같이 상의나 하의로 분류될 수 없는 것은 외투라고 통칭할 수 있다.
상기 의류장치(100)는 상기 의류(A) 중 하나 이상을 재생할 수 있는 임의의 코스나 옵션을 수행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의류입력부(150)와, 상기 코스나 옵션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의류표시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탁기(300)는 상기 의류(A) 중 하나 이상을 세탁할 수 있는 임의의 코스나 옵션을 수행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세탁입력부(350)와, 상기 코스나 옵션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세탁표시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상기 의류장치(100) 또는 상기 세탁기(300)에 의도한 의류(A)를 투입한 뒤, 직접 명령을 입력하여 상기 의류장치(100) 또는 세탁기(300)를 개별적으로 제어 및 작동시킬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 세탁장치(300)와 상기 의류장치(100)를 원격으로 제어하거나, 상기 세탁장치(300)와 상기 의류장치(100)를 서로 연계하여 작동시키는 것을 원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세탁장치(300)와 상기 의류장치(100)의 다양한 기능을 적극 숙지하거나 활용하길 원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가 상기 세탁장치(300)와 상기 의류장치(100)를 원격으로 제어하거나, 페어링(pairing)을 수행할 수 있는 서버(600)를 더 포함하는 본 발명 온라인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서버(600)는 상기 세탁장치(300)와 상기 의류장치(100)에 필요한 지역정보나 날씨정보를 포함한 외부정보도 제공할 수 있으며, 각종 프로그램을 전달하거나 및 업데이트 등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서버(600)는 상기 의류장치(100)와 세탁장치(300)를 제작하여 판매하는 판매자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의류장치(100)와 세탁장치(300)는 상기 서버(600)에 통신 연결되어 상기 서버(600)로부터 전송된 명령을 수행하거나, 상기 서버(600)로부터 제공된 정보나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의류장치(100)나 상기 세탁장치(300)는 상기 서버(600)와 직접적으로 통신연결될 수 도 있으나, AP(500)에 접속하여 상기 서버(600)와 통신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버(600)는 상기 AP(500)를 통해 상기 의류장치(100)와 상기 세탁장치(300)의 고유한 디바이스 ID를 등록하거나, 상기 AP(500)의 포트 정보나 IP 정보를 상기 의류장치(100)와 상기 세탁장치(300)와 연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의류장치(100)나 세탁장치(300)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원격으로 상기 의류장치(100)와 상기 세탁장치(300)을 제어하는 서비스 요청을 접수받거나, 상기 서버(600)에 특정 기능을 요청하길 원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일실시예의 온라인 시스템은 사용자가 상기 서버(600)에 바로 접속하여 상기 의류장치(100)와 상기 세탁장치(300)를 제어하거나, 상기 서버(600)에서 제공하는 각종 서비스를 요청하는 외부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단말(400)은 휴대폰,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이 가전제품이나 서버와는 별도로 구비되는 기기를 의미하고, 외부와 통신 가능하도록 통신 모듈을 갖는 기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단말(400)에는 상기 서버(600)에 접속할 수 있는 응용프로그램(Application)이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외부 단말(400)은 서버(600)와 직접 통신하고, 상기 서버(600)는 상기 의류장치(100)와 상기 세탁장치(300)와 통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외부 단말(400)을 통해 원격 서비스를 요청하고 서비스 수행 및 완료 등과 같은 정보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의류장치(100)와 상기 세탁장치(300)은 상기 외부단말(400)과 직접적으로 통신연결되지 않아도 상기 외부단말(400)의 제어를 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의류장치(100)는 상기 세탁장치(300) 보다 통상적으로 더 길게 구비된다. 즉, 상기 의류장치(100)는 펼쳐진 의류를 그대로 수용하기 위해 높이가 너비보다 더 길게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들어, 상기 의류장치(100)은 사용자의 신장보다 더 높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의류장치(100)의 특성상 상기 의류장치(100)는 의류(A)를 보관하는 곳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의류장치(100)가 거울 등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면, 사용자는 의류(A)를 착용할 때 거울이 있는 곳으로 이동하는 수고를 덜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의류장치(100)는 노출면에 사용자가 의류를 착용한 상태를 표시하는 피팅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팅부(200)는 빛을 반사할 수 있는 패널로 구비되어 사용자의 신체를 그대로 비출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팅부(200)는 높이가 너비보다 더 길게 구비되어 사용자의 전신이 최대한 반사 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의류장치(100)에서 재생된 의류(A)를 파지하거나 착용하여 그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의류장치(100) 부근에 보관된 의류(A)를 파지하거나 착용하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피팅부(200)가 상기 의류장치(100)에 표시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실시예 일뿐 상기 피팅부(200)는 세탁기(300) 또는 냉장고, 청소기 등의 가전제품에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외부단말(400)에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는 복수의 의류(A) 중 어떤 의류가 자신에게 어울리는 의류가 어떤 의류인지 모를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의류(A)를 어떻게 조합하여 착용해야 할지 궁금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신장이 증가하거나 몸무게가 가변됨에 따라 상기 복수의 의류(A) 중 어떤 의류가 자신에게 맞거나 맞지 않는지를 인지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이런 상황에서 사용자는 복수의 의류(A)를 반복적으로 착용하여 확인해야 하며, 반복적으로 착용하더라도 착용한 의류가 자신에게 적합한지 확신이 없을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 일실시예의 온라인 시스템은 상기 피팅부(200)를 통하여 사용자가 상기 복수의 의류를 직접 착용하지 않아도 사용자가 복수의 의류를 착용한 상태를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가상피팅(virtual fitting)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 온라인 시스템은 상기 피팅부(200)에 표시된 사용자의 영상이나 화면에 복수의 의류(A)를 렌더링한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의류는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대상의류일 수 있지만, 사용자가 직접 보관하고 있는 의류 일 수도 있다. 다시말해, 사용자는 앞으로 구매할 의류 중 자신에게 어울리거나 필요한 의류가 궁금할 수도 있지만, 현재 직접 보유하고 있는 복수의 의류 중 어떤 의류가 자신에게 적합한지 궁금할 수 있다.
본 발명 일실시예의 온라인 시스템은 사용자가 구매할 의류 뿐만 아니라 보유하고 있는 의류로 가상피팅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추천하기 위해, 사용자가 보유한 복수의 의류(A)의 재질, 형상, 크기, 부피, 색깔을 각각 인식하여 저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일실시예의 온라인 시스템은 사용자의 신장, 몸무게, 팔과 다리 등의 길이, 부피 등을 인식하여 저장하여 상기 의류를 상기 사용자에게 착용한 상태를 연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 일실시예의 온라인 시스템은 현재 날씨, 사용자의 선호도, 유행 등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의류(A) 중 특정 의류를 사용자에게 추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의류(A) 외에 더 필요한 의류를 연산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구매를 권유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 일실시예의 온라인 시스템은 사용자가 보유한 의류의 정보, 사용자가 구매할 수 있는 의류의 정보, 사용자의 신체정보, 사용자의 일정, 사용자의 선호도, 현재 유행하는 의류, 날씨정보 등을 모두 고려하여 상기 피팅부(200)로 적합한 의류를 추천하거나 구매를 권유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 일실시예의 온라인 시스템에서 추천된 의류 자체를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으나, 사용자의 영상에 직접 상기 의류를 실제와 같이 렌더링 하여 시각적으로 상기 의류를 착용한 것처럼 표시하여 추천할 수 있다.
한편, 가전제품 중 상기 의류장치(100)와 상기 세탁기(300)는 모두 의류를 처리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유한 의류를 상기 의류장치(100)로 재생할지 상기 세탁기(300)로 세탁할지 정확히 알지 못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일실시예의 온라인 시스템에서 상기 의류장치(100)가 상기 의류의 구김 또는 오염도를 파악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오염도가 심할 경우에는 상기 세탁기(300)로 세탁할 것을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의류장치(100)는 상기 세탁기(300)에 상기 의류의 오염도 또는 재질을 서버(600)나 AP(500) 등을 통해 또는 직접적으로 전달하여 상기 세탁기(300)가 적합한 코스나 옵션을 결정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 의류장치(100)가 제공하는 코스 또는 옵션을 정확히 인지하거나 숙지하지 못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일실시예의 온라인 시스템은 상기 의류장치(100)가 상기 의류의 구김 또는 오염도를 분석하여 적합한 코스 또는 옵션을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3은 전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본 발명 온라인 시스템의 구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일실시예의 온라인 시스템의 외부단말(400)은 상기 외부단말을 작동시키는 명령을 입력하는 단말 입력부(430)와, 상기 외부단말(400)의 상태 및 서버(600) 등에서 수신된 정보를 표시하는 단말표시부(440)와, 원격지에 구비된 서버(600) 등과 통신하도록 구비되는 원거리 통신모듈(451)과, 인근에 구비된 의류장치(100)나 세탁장치(300) 등의 가전제품들과 통신하도록 구비되는 근거리 통신모듈(452), 상기 외부단말의 구성들을 제어하는 단말제어부(420)와, 단말입력부나 통신모듈에서 수신된 정보를 저장하는 단말저장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은 WIFI, Bluetooth, ZigBee 등의 Radio Frequency 등 일정거리 이내의 통신장치와 통신하도록 구비되는 장치일 수 있으며, 상기 원거리 통신모듈은 3G, LTE, 4G등 기지국 또는 통신망을 이용하여 원격지의 통신장치와 통신하도록 구비되는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 일실시예의 서버(600)는 외부단말(400)과 통신하거나 상기 의류장치(100) 또는 상기 세탁기(300) 등의 가전제품과 통신하거나, 상기 AP(300)와 통신하도록 구비되는 통신장치(610)와, 각종 제어신호를 생성하거나 분석하는 연산처리장치(620)와, 외부단말, 가전제품, 연산처리장치 등에서 생성되거나 수신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장치(6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버(600)의 저장장치(630)에는 사용자의 외부단말(400)이나 의류장치(100) 또는 세탁기(300) 등의 가전제품에서 획득한 사용자의 소장의류정보(AI), 사용자의 신체정보(BI), 사용자가 위치하거나 위치할 수 있는 배경정보(DI), 사용자와 주로 동행하는 타인의 신체정보다 타인의 의류정보를 포함하는 타인정보(EI), 사용자가 온라인으로 구매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결제정보(FI)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소장의류정보(AI), 상기 사용자의 신체정보(BI) 등은 상기 외부단말(400)이나 상기 가전제품에 구비되는 피팅부(200)를 통해 수집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장치(630)는 상기 정보들을 바탕으로 현재 시점에서 사용자에게 적합한 의류가 무엇인지를 추천할 수 있는 추천알고리즘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추천알고리즘은 사용자의 신체정보, 일정, 날씨 정보, 사용자가 선택한 일부 의류정보(AI) 중 하나 이상이 입력되면 적합한 의류가 바로 출력되는 알고리즘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추천알고리즘은 상기 가전제품을 판매하는 판매자가 직접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서버의 저장장치(630)에는 사용자가 위치한 지역, 사용자와 유사한 연령대, 사용자의 비슷한 직업 등의 사람들이 착용하는 의류나, 기타 의류 판매자들이 제공한 의류자료 등이 수집된 빅데이터가 수집될 수 있다. 상기 서버의 상기 연산장치(620)는 딥러닝(deep learning)을 통해 상기 빅데이터를 연산하여 상기 추천알고리즘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추천알고리즘은 상기 저장장치(630)에 저장되거나, 상기 통신장치(610)를 통하여 상기 외부단말(400)이나 상기 의류장치(100) 또는 세탁기(300)를 포함한 가전제품에 전달될 수 있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장치(100)는 의류를 재생할 수 있는 임의의 코스 또는 옵션이 저장되어 있는 의류메인저장부(170)와, 상기 임의의 코스 또는 옵션 중 어느 하나의 코스 또는 옵션을 수행하는 의류 메인 제어부 (180)와, 서버(600) 또는 외부단말(400)이나 AP(500), 세탁기(300) 등의 가전제품과 통신하도록 구비되는 의류통신모듈(2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메인제어부(180)는 의류장치(100)의 작동이 완료되거나 정지되면 전력공급이 차단되어 대기전력소모를 방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의류통신모듈(260)은 항상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가 유지되어 상기 서버 등과 통신상태가 유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의류장치(100)는 상기 임의의 코스 또는 옵션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명령을 입력하도록 구비되는 의류입력부(150)와, 상기 의류장치의 상태를 표시하거나 상기 의류통신모듈(260)에서 수신된 정보를 표시하는 의류표시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의류입력부(150)와 상기 의류표시부(140)는 사용자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의류장치(100)의 외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의류입력부(150)는 세탁코스/옵션 이나 전원을 입력하는 의류버튼(152)와, 음성명령 등의 소리신호를 수신하는 의류마이크(151)와,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의류카메라(15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표시부(140)는 정보를 이미지로 표현하는 세탁화면 또는 의류화면(142)과, 소리신호를 표시하는 의류스피커(14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표시부(140)는 터치패널로 구비되어 의류입력부의 역할도 수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의류통신모듈(260)은 상기 서버(600), 상기 AP(300), 외부단말(400), 상기 세탁기(300) 등의 가전제품과 통신하도록 구비되는 의류통신모뎀(261)과, 상기 의류통신모뎀(261)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의류통신제어부(262)와, 상기 의류통신모뎀(261)에서 수신된 정보나 상기 의류통신제어부(262)가 생성한 정보를 저장하는 의류통신저장부(2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통신모듈(260)은 외부단말(400)과 같이 근거리 통신모듈과 원거리 통신모듈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의류통신모듈(263)은 상기 서버(600)에서 제공된 추천알고리즘을 수신하여 저장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추천알고리즘을 후술하는 피팅부(200)에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도 있다.
한편, 상기 의류장치(100)는 상기 의류(A)의 오염도 또는 구김을 인식하거나 감지할 수 있는 센서부(160)와, 상기 의류의 오염도 또는 구김을 제거할 수 있는 구동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60)는 의류장치(100) 내부의 공기 오염도를 파악할 수 있는 화학센서(161)나 상기 의류를 촬영하는 내부 카메라(1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메인제어부(180)는 상기 센서부(160)에서 감지된 오염도 또는 구김에 따라 상기 임의의 코스 또는 옵션 중 적합한 코스 또는 옵션을 결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메인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오염도 또는 구김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세탁기(300)에 상기 오염도 또는 구김에 관한 정보를 상기 의류통신모듈(26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의류통신모듈(260)은 상기 오염도 또는 구김에 관한 정보를 상기 서버(600) 또는 상기 세탁기(30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메인제어부(180)는 상기 의류가 세탁기(300)에서 세탁되는 것을 권유하는 내용을 상기 의류표시부(140)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 세탁기(300)는 의류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임의의 코스 또는 옵션이 저장되어 있는 세탁메인저장부(380)와, 상기 임의의 코스 또는 옵션 중 어느 하나의 코스 또는 옵션을 수행하는 세탁메인제어부(370)와 외부단말(400)이나 AP(300), 의류통신모듈(260)와 통신하도록 구비되는 세탁통신모듈(3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탁메인제어부(370)는 세탁기(300)의 작동이 완료되거나 정지되면 전력공급이 차단되어 대기전력소모를 방지하나 상기 세탁통신모듈(360)은 항상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가 유지되어 통신상태가 유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탁기(300)는 상기 임의의 코스 또는 옵션을 수행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세탁입력부(350)와, 상기 세탁기(300)의 상태를 표시하는 세탁표시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탁입력부(350)와 상기 세탁표시부(340)는 상기 의류장치(100)와 유사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탁통신모듈(360)은 상기 서버(600), AP(500), 외부단말(400), 상기 의류장치(1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통신하도록 구비되는 세탁통신모뎀(361)과, 상기 세탁통신모뎀(361)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세탁통신제어부(362)와, 상기 세탁통신모뎀(362)에서 수신된 정보를 저장하는 세탁통신저장부(3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탁통신모듈(360)은 외부단말(400)과 같이 근거리 통신모듈과 원거리 통신모듈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의류통신모듈(260)과 상기 세탁통신모듈(360)을 통해 상기 의류장치(100)와 상기 세탁기(300)는 서로 통신하도록 구비되거나 외부단말(400) 및 서버(100)와 서로 통신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세탁기(300)는 상기 세탁통신모듈(360)로 의류의 오염도 또는 구김에 관한 정보를 미리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고, 상기 세탁메인제어부(370)는 상기 의류의 오염도 또는 구김에 적합한 코스 또는 옵션을 결정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서버(600)가 의류 상태에 맞는 코스나 옵션을 미리 결정하여 상기 세탁통신모듈(360)에 전달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 일실시예의 온라인 시스템은 사용자의 신체정보(BI), 사용자의 보유 의류정보(AI), 실내 배경정보(DI) 등을 수집하고, 사용자에게 가상피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피팅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상기 피팅부(200)는 상기 의류장치(100)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의류통신모듈(260) 또는 상기 의류장치(100)의 세부 구성과 통신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의류저장부(170)에는 사용자의 음성명령과 상기 의류입력부(150)의 버튼(153) 등을 매칭시키는 발화리스트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의류입력부(150)는 상기 마이크(153)를 통해 음성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음성명령과 상기 발화리스트를 비교하여 이와 매칭되는 명령을 상기 의류메인제어부(180) 또는 상기 통신모듈(260)에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의류메인제어부(180)가 상기 명령을 직접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는 경우, 상기 의류메인제어부(180)는 상기 명령에 따라 의류장치(100)의 구성을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모듈(260)이 상기 명령을 전달받는 경우, 상기 서버(600)에 상기 명령을 전달하여 상기 서버(600)로부터 의류장치(100)의 구성을 작동시키는 명령의 발신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서버(600)는 상기 통신모듈(260)을 통해 상기 의류장치(100)를 해당 명령을 실행할 수 있도록 구동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 일실시예의 피팅부(200)의 구성과 기능을 설명한다.
상기 피팅부(200)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를 촬영하거나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의류를 촬영하는 촬영부(220)와, 상기 촬영부(220)에서 촬용한 사용자 또는 상기 의류를 외부에 표시할 수 있는 가상표시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촬영부(220)는 사용자의 신체 또는 보유 의류(A)의 형상 뿐만 아니라 면적 및 부피까지 촬영할 수 있는 깊이카메라(221)와, 상기 사용자의 위치변화 및 의류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는 위치카메라(222)와, 상기 사용자의 동작이나 의류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모션카메라(223)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깊이카메라(221), 위치카메라(222), 모션카메라(223)는 개별적으로 구비될 수 있고, 하나의 카메라로 통합될 수도 있으며, 상기 의류장치(100)의 의류입력부(150)로 구비되는 카메라(153)와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들어, 상기 깊이카메라(221)는 2D에서 할 수 없는 이미지 각 픽셀의 깊이 값을 계산하는 카메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깊이카메라(221)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촬영부(230)는 2대 이상의 카메라 모듈을 통해 촬영한 사용자 또는 의류의 픽셀의 깊이를 계산하여 3D 이미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촬영부(220)는 사용자 식별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예를들어, 특정사용자와 다른 사용자를 식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촬영부(220)는 복수 사용자의 홍체를 인식하거나, 얼굴, 신체특징 및 형상 중 어느 하나를 감지하여 복수 사용자의 신원을 식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피팅부(200)는 상기 촬영부(230)로 촬영한 영상에서 사용자의 신체정보나 의류정보를 추출하여 인식하는 증강연산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강연산부(230)는 상기 촬영부(230)에서 촬영한 영상에서 사용자의 신체 또는 의류의 외형 또는 윤곽을 추출하는 윤곽추출부(231)와,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서 의류를 분리하는 의류분리부(232), 상기 사용자의 신체부피 또는 의류의 부피를 연산하는 부피감지부(233), 상기 추출된 의류의 재질, 색, 형상, 종류를 인식하는 의류분석부(2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증강연산부(230)는 상기 촬영부(220)가 촬영한 영상에서 의류의 형상, 색깔, 재질, 브랜드, 부피를 포함하는 의류정보(AI)와, 사용자의 신장, 부피 및 각 관절의 길이, 피부색을 포함한 신체정보(BI)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촬영부(220)는 사용자 또는 의류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부재한 실내 공간을 촬영할 수 있고, 상기 증강연산부(230)는 상기 공간을 기본배경으로 인식하는 배경인식부(2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경인식부(235)는 상기 배경사진과 현재 촬영된 영상을 비교하여 상기 윤곽추출부(231)가 윤곽을 인식하거나 상기 의류분리부(232)가 사용자의 신체에서 의류를 분리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증강연산부(230)는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는 배경정보(DI)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피팅부(200)는 상기 증강연산부(230)가 상기 촬영부(220)에서 촬영한 영상에서 분석된 정보를 저장하는 증강저장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강저장부(240)는 상기 촬영부(220)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상기 증강연산부(230)가 추출한 모든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예를들어, 촬영부(200)가 촬영한 사용자와 복수의 의류 영상에서 상기 증강저장부(240)가 추출하고 획득한 의류정보(AI), 사용자의 신체정보(BI), 상기 배경정보(DI)가 데이터베이스로 저장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배경정보(DI)는 상기 의류통신모듈(260)에서 수신한 다른 배경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배경은 상기 서버(600)가 제공한 배경, 상기 외부단말(400)에서 제공한 배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강저장부(240)는 사용자의 임의 선택에 따라, 사용자 외의 다른 사용자 또는 상기 의류장치(100)를 사용하지 않는 사람을 포함한 타인정보(EI)도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타인정보(EI)는 타인의 신체정보와 상기 타인이 선호하는 의류정보, 상기 타인이 특정의류를 착용한 착용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인정보(EI)는 상기 촬영부(220)로 촬영된 영상이나, 상기 의류통신모듈(260)에서 수신한 영상을 상기 증강연산부(230)가 분석한 결과 일수도 있다.
또한, 상기 증강저장부(240)는 사용자가 보유하지 않은 의류를 구매할 수 있는 결제정보(FI)가 더 저장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결제정보(FI)는 외부 판매자의 판매정보, 사용자의 통장정보, 사용자의 결제카드정보, 사용자의 인증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강연산부(230)는 상기 증강저장부(240)에 저장된 정보들과 현재 촬영부(220)에서 촬영된 정보들을 비교하여 차이점과 공통점을 인식하도록 구비되는 비교인식부(2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비교인식부(236)는 사용자의 신체변화 또는 착용한 의류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의 신체 비율이나 얼굴 등을 인식하여 이전에 촬영된 영상과 현재 촬영된 영상에서 특정 사용자를 정확히 인식할 수 있고, 상기 특정 사용자의 신체변화 또는 상기 특정 사용자가 착용한 의류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비교인식부(236)는 상기 소장의류정보(AI) 비교 및 분석함으로서 사용자의 선호도를 파악할 수 있다. 사용자의 선호도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상품의 종류, 스타일, 사이즈, 색상, 재질, 브랜드, 및 패션 트랜드(예컨대, 오피스룩, 시스루룩 등)에 대한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말해, 다양한 종류, 재질, 색상의 옷 중에서 사용자가 선호하는 옷의 종류, 스타일, 사이즈, 재질, 색상이 선호도로서 함께 상기 증강저장부(240)에 저장될 수 있고 상기 소장의류정보(AI)에는 상기 선호도가 함께 반영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선호도정보는 상기 소장의류정보(AI)에서 사용자에게 적합한 의류를 추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증강저장부(240)는 상기 촬영부(220)가 촬영한 특정 사용자의 소장 의류뿐만 아니라, 상기 의류통신모듈(260)에서 수신한 사용자가 구매할 수 있는 구매대상의류정보(CI)가 더 저장될 수 있다. 상기 구매대상의류정보(CI)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브랜드의 의류, 사용자의 신체정보(B)에 적합한 의류, 사용자의 걸제정보(FI)에 적합한 판매자가 제공한 의류의 재질, 형상, 부피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팅부(200)는 상기 증강저장부(240)에 저장된 정보들과, 상기 촬영부(220)에서 현재 촬영되어 상기 증강연산부(230)에서 분석된 정보들과, 의류통신모듈(260)로 수신된 날씨정보, 일정정보, 유행정보, 구매대상의류정보 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추천알고리즘에 대입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의류를 출력할 수 있는 추천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천부(250)는 상기 추천알고리즘을 직접 연산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의류를 직접 추천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서버(600)로부터 추천알고리즘의 결과를 수령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의류를 추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추천부(250)가 상기 추천알고리즘을 직접 실행하는 경우, 상기 추천부(250)는 현재 상태정보와 상기 소장의류정보(AI)를 상기 추천알고리즘에 입력하여 적합한 의류를 결정하는 소지상품매칭부(251)와, 현재 상태정보와 상기 구매대상의류정보(CI)를 상기 추천알고리즘에 입력하여 적합한 의류를 결정하는 타상품매칭부(252)와, 상기 소지상품매칭부(251)와 상기 타상품매칭부(252)에 매칭율을 제공하는 매칭율판단부(2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천부(250)는 상기 소지상품매칭부(251)와 상기 타상품매칭부(252)를 통해 소지의류(A)와 구매대상의류(CI) 중에서 적합한 의류를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상기 추천부(250)는 상기 소장의류정보(AI)에서 매칭율을 연산하여 적합한 의류를 사용자에게 우선적으로 추천하고, 상기 매칭율이 설정값보다 낮을 때 상기 구매대상의류정보(CI)에서 적합한 의류를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소지한 의류(A)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불필요한 구매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매칭율판단부(253)는 각종 상품 간에 서로 어울리는 정도인 매칭율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서버(600)에서 수신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매칭율판단부(253)는 특정 스타일의 상의와 하의가 어울리는 정도, 특정 색깔의 옷들이 서로 어울리는 정도, 가방, 스카프 및 선글라스와 같은 잡화 액세서리와 특정 스타일의 의류가 어울리는 정도 등 다양한 상품 간의 매칭율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칭율은 상기 서버(600)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딥러닝 방식을 통해 경험적으로 추출된 연산값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매칭율을 산정하는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후술하는 일실시예는 데이터베이스화 과정에 적용될 수 있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딥러닝 하는 과정에 적용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상의는 하의와 매칭되며, 상세하게는 상의 중에서 셔츠나 블라우스는 재킷이나 가디건 등과 매칭되며, 재킷은 코트와 매칭될 수 있다. 또한, 가방, 구두, 스카프와 같은 잡화는 상의와 하의가 모두 갖추어진 상태에서 매칭되며, 선글래스, 목걸이, 귀걸이와 같은 잡화도 상의와 하의가 모두 갖추어진 상태에서 매칭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이어드룩을 위한 상품의 경우 하의인 스커트와 레깅스가 함께 매칭될 수 있지만, 긴 청바지나 긴 면바지는 함께 매칭될 수 없다. 동시에 청바지와 면바지를 함께 입는 경우는 거의 없기 때문이다.
한편, 상의와 하의가 기본적으로 매칭될 수 있다고 하여도, 상의와 하의의 종류, 색상, 및 소재에 따라 그 어울리는 정도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복 저고리에는 청바지가 잘 안 어울리며, 특정 색의 옷은 서로 잘 안 어울려 함께 입는 것이 기피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액세서리나 잡화의 경우도 그 색상 및 소재에 따라 각 색상의 다양한 소재의 의류와 어울리는 정도가 상이하다.
이처럼, 매칭율은 각 상품 간에 서로 어울리는 정도를 수치로 통계화한 정보를 의미한다. 미리 예를 든 청바지와 면바지는 함께 매칭하여 착용할 수 없는 경우로서, 전혀 어울리지 않기 때문에 매칭율은 0이 된다.
이렇게 어울리는 것과 어울리지 않는 것의 판단은 의류의 조합이 데이터상에 존재하는 갯수나 정도로 유추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함께 매칭된 상품 간에 어울리는 정도가 높을수록 데이터는 많아지게 되며, 어울리는 정도가 낮을수록 데이터는 적어지게 된다.
상기 데이터의 개수나 정도를 매칭율로 환산할 수 있다. 그 결과, 매칭율 수치가 높다는 것은 의류의 조합이 어울리는 것으로 판단하고, 매칭율 수치가 낮다는 것은 의류의 조합이 어울리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추천부(250)는 상기 매칭율판단부에 저장되어 있는 매칭율 정보를 기초로 소지의류와 구매대상의류의 매칭율을 각각 연산할 수 있다. 상기 추천부(250)는 상기 소지의류정보(AI) 중 매칭율이 기준값 이상 의류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매대상의류를 배제하고 추천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추천부(250)는 소지의류정보(AI) 중 매칭율이 기준값 이상인 의류를 추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천상품으로서 청바지가 추출된 경우, 추천상품에 어울리는 소지상품 및 타상품으로서의 바지는 매칭율이 0이므로, 청바지와 바지가 동시에 매칭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매칭율판단부(253)는 연산된 사용자의 선호도를 반영하여 추천할 의류의 우선순위를 확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복수의 의류가 매칭율이 유사한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의 선호도를 반영하여 특정 의류를 상기 선호도를 고려하여 추천할 수 있다. 이로써, 유행 중에서 사용자의 선호도가 고려되어, 추천 후기가 좋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칭율판단부(253)는 사용자의 선호도가 높은 의류 중에서 매칭율을 연산하여 특정 의류를 추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선호도가 유행 보다 더 우선시되어 사용자의 취향을 반영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추천부(250)는 부가적인 악세서리 등을 추천하도록 구비되는 부가추천부(2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가추천부(254)는 사용자 별도 요청이 있거나, 상기 매칭율판단부(253)에서 매칭율이 상승하는 악세서리를 자동으로 연산하여 악세서리 등을 추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피팅부(200)는 상기 추천부(250)에서 추천된 의류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가상표시부(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상표시부(210)는 추천된 의류를 영상과 이미지로 표현하는 표시패널(211)과, 상기 의류의 구매 필요성 등의 정보를 음성으로 화답할 수 있는 스피커(2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211)에는 사용자의 영상에 상기 의류가 실제 비율로 연산되어 렌더링되어 표시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영상에 상기 의류가 착용된 상태로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추천된 의류를 착용하지 않아도, 상기 의류가 자신에게 적합한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증강연산부(250)는 상기 추천부(250)에서 추천된 의류를 사용자의 영상 또는 아바타에 합성하는 의류합성부(23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합성부(237)는 상기 촬영부(220)로 촬영하여 인식된 사용자의 영상에 상기 추천된 의류의 의류정보를 조합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상기 의류가 착용된 상태를 랜더링할 수 있다. 상기 의류합성부(237)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 비율과 상기 의류의 비율을 고려하여 정합시킬 수 있고,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의류의 다른 부분도 표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증강연산부(250)는 상기 의류합성부(237)에서 의류가 합성된 사용자의 영상에 상기 부가추천부(254)에서 추천된 악세서리 등을 추가 합성시키는 부가합성부(23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지의류정보(AI)와 상기 구매대상의류정보(CI)에는 상기 의류나 악세서리의 3D 정보가 이미 계측 또는 연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증강연산부(230)는 사용자의 실제 신체 사이즈에 상기 의류나 악세서리가 착용된 상태를 연산하여 상기 가상표시부(210)에 표시할 수 있다.
현재 사용자가 입고 있는 의상이 하의라면, 상기 증강연산부(230)는 사용자가 보유한 하의 정보(청바지, 청치마, 7부바지, 마바지 등)을 상기 소지의류정보(AI) 또는 구매대상의류정보(CI)에서 매칭율을 고려하여 추천한다. 그리고 나서, 추천된 사용자의 영상에 조합하여 가상피팅영상을 생성한 후 상기 가상표시부(210)에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의 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이 보유한 의상과 추천 의상이 얼마나 잘 어울리는지 직접 자신의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의류장치(100)에 상기 피팅부(200)가 설치된 구조를 설명한다.
도5은 상기 의류장치(100)의 구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5(a)를 참조하면,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장치(100)는 전방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캐비닛(110)과, 상기 캐비닛(1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111)와,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의류(A)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이너케이스(120), 상기 이너케이스(120)와 연통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열풍을 포함한 공기 또는 스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공급부(700), 상기 이너케이스(120) 또는 상기 도어(11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A)를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거치하거나 고정하는 거치부(126,12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10)은 의류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며 높이가 너비보다 더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도시된 외투(A1) 뿐만 아니라 길이가 길게 구비되는 하의(A3)도 접혀지지 않고 상기 이너케이스(120)에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수용된 의류(A)에 불필요한 주름이 생성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10)은 금속 재질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면 강화플레스틱 등 수지 재질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이너케이스(120)는 의류(A)에서 배출된 이물질 또는 공급부에서 공급된 열풍이나 스팀에 의해 물리적을 변형되거나 화학반응되지 않는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ABS, ASA 와 같은 스티렌 수지계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120)는 일면에 상기 공급부(700)와 연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공급부(700)에서 열풍이나 수분을 공급받거나, 상기 공급부(700)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120)는 공급부(700)와 연통하는 복수의 관통구(121,122,123)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급부(700)는 이너케이스(120)과 분리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급부(700)는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은 가열된 공기이나 스팀을 상기 이너케이스(120)에 균일하게 공급하기 위해 이너케이스(12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111)는 상기 캐비닛(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111)는 상기 이너케이스 (120) 뿐 만 아니라 상기 공급부(700)의 전방까지 차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이너케이스(120)에 공급된 열풍이나 수분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공급부(700)에 발생하는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다.
상기 도어(111)는 상기 이너케이스 (120)의 전방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므로, 상기 이너케이스 (120)의 내주면과 상기 도어(111)의 내면은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거치부는 상기 이너케이스(120)의 내부에서 의류(A)를 거치하도록 구비되는 제1거치부(127)과, 상기 도어(111)의 내면에 의류(A)를 거치하도록 구비되는 제2거치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거치부(127)에 외투(A1)가 거치되어 있고, 상기 제2거치부(128)에 하의(A3)가 거치된 것을 도시한 것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거치부(127)는 상기 이너케이스(120)의 내부에서 옷걸이 형상이나, 바 형상으로 구비되어 외투(A1)를 수용공간에 거치할 수 있다. 상기 제1거치부(127)는 외투(A1)가 접히지 않고 온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이너케이스(120)에 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이너바디(210)의 상부면에 구비되거나, 상기 이너바디(210)의 측면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거치부(127)는 의류(A)가 자중에 의해 펼쳐진 상태로 이너케이스(120)에 거치시켜, 공급부(700)에서 공급되는 공기나 수분을 외투(A1)에 고르게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제2거치부(126)는 상기 하의(A3)를 상기 이너케이스(120)의 내면 또는 도어(111)에 가깝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2거치부(126)는 하의(A3)의 일면이 상기 이너케이스(120)의 내면이나 도어(111)에 밀착되도록 하여 구김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장치(100)는 상기 의류(A)의 재생효과를 극대화 시키는 구동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90)는 상기 제1거치부(127)에 연결되어 상기 제1거치부(127)를 진동시키는 가진부(191)과, 상기 제2거치부(126)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를 가압하는 프레스부(19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진부(191)는 모터와 풀리, 캡 등의 모듈로 구비되어 상기 제1거치부(127)를 길이방향이나 원호를 그리며 왕복이동시킬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1거치부(127)에 거치된 외투(A1)의 표면에 고르게 열풍 또는 스팀이 공급될 수 있고, 상기 외투(A1)에 붙어있는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프레스부(192)는 상기 이너케이스(120) 또는 상기 도어(11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의(A3)를 가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스부(192)는 수동으로 상기 하의(A3)를 가압할 수 있으나, 상기 프레스부(192)가 상기 이너케이스(120) 또는 상기 도어(1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가 모터 등으로 구비되어 자동으로 상기 하의(A3)를 가압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도어(111) 또는 상기 이너케이스(120)에는 상기 프레스부(192)와 마주하는 안착부(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스부(192)와 상기 안착부(112)는 판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112)는 상기 프레스부(192)의 가압에 대한 반작용으로 상기 하의(A3)에 압력을 부가할 수 있다.
도5(b)를 참조하면, 상기 의류장치(100)는 전술한 피팅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111)는 상기 캐비닛(110)의 전방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도어(111)의 노출면에는 상기 의류입력부(150)와 상기 의류표시부(140)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가상표시부(210)와 상기 촬영부(22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피팅부(200)는 상기 의류장치(100)의 다른 구성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가상표시부(210)는 상기 도어(111)의 노출면의 대부분의 영역을 차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의 실제 사이즈와 동일한 영상을 표시하여 거울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도어(111)의 전면 대부분에 상기 표시패널(221)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표시패널(221) 또는 상기 도어(111)의 노출면에 상기 스피커(212)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영부(220)는 상기 가상표시부(210)에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촬영부(220)는 사용자의 형상과 사용자가 파지하거나 착용하고 있는 의류를 정확한 각도에서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깊이카메라(221)는 사용자의 눈높이에 해당하는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깊이카메라(221)는 상기 가상표시부(21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의 눈높이에서 사용자를 촬영하여 상기 가상표시부(210)에 거울과 같은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위치카메라(222)와 상기 모션카메라(223)는 상기 촬영부(220)를 모듈로 제작하기 위하여 상기 깊이카메라(221)에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221)은 상기 의류화면(141)의 역할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화면(142)은 상기 표시패널(221) 상단이나 일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스피커(212)는 상기 스피커(141)의 역할도 함꼐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버튼(153)이나 마이크(152)는 상기 표시패널(221)을 차단하지 않도록 상기 표시패널(221)의 상부 또는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촬영부(220)가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는 카메라(153)로 활용될 수도 있다.
도6은 상기 의류장치(100)의 표시패널(221)의 활용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전술한 것처럼, 상기 의류장치(100)는 상기 통신모듈(260)을 통해 상기 서버(600)와 상기 외부단말(400)과 통신가능하게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의류장치(100)는 상기 서버(600) 또는 상기 외부단말(400)에서 사용자의 일정이나 날씨정보, 특정 의류 판매자의 위치정보를 수신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의류입력부(150)는 특정버튼(153)이나 마이크(151)를 통해 사용자의 일정, 날씨정보, 위치정보를 요청하는 명령을 수신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은 음성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메인제어부(180)는 상기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통신모듈(260)에 사용자의 일정 또는 날씨정보, 위치정보 중 요청된 것을 상기 서버(600)나 상기 외부단말(400)로부터 수신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260)이 상기 요청된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의류메인제어부(180)는 상기 가상표시부(210)를 제어하여 상기 사용자의 일정 또는 날씨정보, 위치정보 중 요청된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상기 의류장치(100)에 이격되어 있어도 음성명령으로 상기 의류장치(100)가 제공하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대적으로 넓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의류장치(100)를 이용하여 필요한 정보를 요청하고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온라인 시스템이 사용자의 신체정보, 사용자가 보유한 소지의류정보, 배경정보를 획득하여 맞춤형 의류를 추천할 수 있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7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온라인 시스템의 의류장치(100)가 사용자를 촬영하여 신체정보(BI)를 획득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일실시예의 온라인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가상피팅 [Augmented Reality Fitting(AR Fitting), Virtual Reality Fitting (VR Fitting)]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의 정확한 신체정보를 획득할 필요성이 있다. 사용자의 신체정보가 정확할수록 가상피팅의 정확성도 높아지기 때문이다.
도7(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의류장치(100)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는 신체정보를 입력하는 명령을 의류입력부(150)에 입력한 상황일 수 있다.
상기 의류장치(100)는 상기 신체정보를 입력하는 명령을 입력받으면, 상기 촬영부(220)는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촬영부(220)에서 촬영된 영상을 상기 증강연산부(230)로 전달될 수 있으며, 상기 가상표시부(210)에 실시간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동시에, 상기 촬영부(220)는 촬영된 사용자의 신원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촬영하는 특정 사용자의 홍체,얼굴, 신체정보 중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증강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특정 사용자의 신체정보와 다른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가상표시부(210)에는 상기 촬영부(220)가 촬영한 사용자의 신체영상(213)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신체영상(213)은 상기 촬영부(220)가 촬영한 동영상 그 자체 일 수 있고, 상기 증강연산부(230)에 처리된 아바타 영상일 수도 있다.
상기 가상표시부(210)에는 가이드선(214)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선(214)은 사용자의 신체정보(BI)를 정확히 획득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신체를 유도하기 위해 표시되는 선이다. 예를들어, 상기 가이드선(214)은 사용자가 정면에 서있는 상태에서 팔과 다리를 벌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선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선(214)은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위치에 사용자를 배치하도록 유도하는 선일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가이드선(214)의 자신의 신체가 정확히 포함되도록 상기 촬영부(220)와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촬영부(220)가 최적 거리에서 사용자의 전신을 촬영하여 상기 증강연산부(23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선(214)은 수시로 달라질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촬영부(220)는 사용자의 동작을 촬영함과 동시에 전후좌우의 사용자 신체를 전부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촬영부(220)는 깊의카메라(221)를 포함함으로 상기 사용자의 신체의 부피나 질감을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다.
도7(b)를 참조하면, 상기 증강연산부(230)는 상기 촬영부(220)에서 촬영한 영상으로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윤곽추출부(231)는 상기 촬영부(220)가 촬영한 영상에서 사용자 신체의 윤곽(Y)을 정확하게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강연산부(230)는 상기 촬영부(220)의 동작카메라(221)로 사용자의 동작을 분석함으로써, 사용자의 주요 관절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증강연산부(230)는 인체의 주요관절을 매칭시키는 알고리즘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윤곽추출부(231)는 사용자의 윤곽(Y)에서 주요관절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윤곽추출부(231)는 사용자의 머리와 가슴의 움직임을 통해 목관절(P1)의 위치를 파악하고, 사용자의 팔과 가슴의 움직임을 통해 어깨관절(P2)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윤곽추출부(231)는 상기 팔의 움직임을 통해 팔꿈치관절(P3)과 손목관절(P4)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다리의 움직임을 통해 고관절(P5), 무릎관절(P6), 발목(P7)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도7(c)를 참조하면, 상기 증강연산부(230)는 상기 관절들의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사용자의 각 관절의 길이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부피감지부(232)는 상기 윤곽추출부(231)에서 추출된 윤곽과 관절을 기준으로 사용자의 신체의 길이 및 부피를 연산하여 측정할 수 있다. 즉, 상기 부피감지부(232)는 사용자의 머리, 목, 팔, 다리, 허리 등의 길이와 부피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상기 부피감지부(232)를 통해 사용자의 전체 신장, 특정 관절에서 특정 관절가지의 길이, 특정 관절에서 특정 관절가지의 부피 등을 정확하게 감지하여 구체적인 신체정보(BI)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신체정보(BI)는 상기 증강저장부(240)에 저장될 수 있고, 이후 상기 비교인식부(236)를 통해 변화된 신체정보(BI)를 비교하거나, 의류를 착용했을 때 소지의류정보(AI)를 추출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증강연산부(230)는 상기 촬영부(220)에서 측정한 영상에서 사용자의 피부색 또는 눈동자 색, 홍체, 얼굴, 수염, 헤어스타일 등도 인식하여 상기 신체정보(BI)에 포함시킬 수 있다.
도8 내지 도 10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온라인 시스템이 사용자의 의류정보(AI)를 추출하여 인식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일실시예의 온라인 시스템이 상기 피팅부(200)를 통해 사용자의 소지의류(A)를 추천하기 위해서는, 상기 소지의류(A)의 존재 및 구체적인 정보가 등록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 소지의류(A)의 정보가 판매자나 사용자에게 직접적인 파일로 제공되지 않으면, 본 발명 일실시예의 온라인시스템은 사용자의 소지의류(A)를 직접적으로 촬영하여 상기 소지의류정보(AI)를 추출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 일실시예의 온라인 시스템은 사용자가 자신이 소지한 의류(A)의 정보를 상기 온라인 시스템에 저장하는 명령을 요청받는 등록요청단계(G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등록요청단계(G1)에서는 상기 의류장치(100)의 의류입력부(150)로 사용자가 자신이 소지한 의류에 관한 정보를 상기 피팅부(200)에 저장하는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의류장치(100)는 의류를 등록하는데 활용되므로 의류등록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명령은 상기 의류입력부(150)에서 의류의 등록을 요청하는 버튼(152)을 직접 입력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명령은 상기 의류입력부(150)의 마이크(151)에서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 일실시예의 온라인 시스템은 상기 등록요청단계(G1)가 수행되면, 사용자에게 의류의 등록을 요청하는 안내단계(G2)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안내단계(G2)는 사용자에게 상기 의류를 착용하거나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촬영부(220) 앞에 위치하는 것을 유도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안내단계(G2)는 상기 가상표시부(210)에 상기 촬영부(220)가 상기 의류(A)를 촬영하여 등록할 수 있는 최적의 위치에 사용자가 위치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선(214)이나 안내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 일실시예의 온라인 시스템은 상기 촬영부(220)가 상기 사용자가 착용하거나 파지한 의류(A)를 인식할 수 있는지를 점검하는 판단단계(G3)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판단단계(G3)는 의류의 크기 또는 부피까지 정확하게 인식하는지를 점검하기 보다, 의류의 대략적인 형상을 파악할 수 있는지를 점검하는 단계라고 볼 수 있다. 예를들어, 판단단계(G3)는 상기 증강연산부(230)가 상기 촬영부(220)를 통해 사용자 또는 의류를 대략적으로 특정할 수 있는지를 점검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단계(G3)에서는 상기 의류를 등록하는 대상이 누구인지를 식별할 수도 있다. 즉,특정사용자가 의류를 등록하는 것인지, 아니면 특정 사용자와 다른 다른 사용자가 의류를 등록하는 것인지 식별할 수 있다. 이로써, 등록되는 의류와, 상기 의류를 착용하는 대상을 매칭하여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 일실시예의 온라인 시스템은 상기 증강연산부(230)가 사용자를 특정할 수 없거나, 의류를 특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의류의 등록이 불가능한 상태임을 표시하는 통지단계(G3-1)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를 특정할 수 없다는 것은 사용자의 신원을 특정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의류를 특정할 수 없다는 것은 의류를 정확히 인식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통지단계(G3-1)는 상기 표시패널(211)에 등록 불가능한 상태를 표시하는 문구 또는 사용자의 위치를 상기 가이드선(214)과 동일하게 변경한 것을 요구하는 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피커(212)로 상기 문구와 대응되는 음성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통지단계(G3-1) 이후에 상기 안내단계(G2)가 반복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사용자 또는 의류를 특정할 수 없다면, 사용자를 등록하는 단계를 수행할 것을 요청하는 내용이 상기 표시패널(211)에 표시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도7의 제어방법을 수행하는 것과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인식판단단계(G3)에서 사용자 또는 의류를 특정할 수 있다고 판단되면, 본 발명 일실시예의 온라인 시스템은 상기 촬영부(220)로 상기 사용자 또는 의류를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을 상기 증강연산부(230) 또는 상기 증강저장부(240)에 전달하는 촬영저장단계(G4)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촬영저장단계(G4)가 완료되면, 본 발명 일실시예의 온라인 시스템은 증강연산부(230)에서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 의류를 추출하여 의류정보(AI)를 획득하는 의류추출단계(G5)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의류추출단계(G5)는 상기 윤곽추출부(231)가 상기 촬영부(220)가 촬영한 영상에서 의류를 착용한 사용자 또는 의류를 파지한 사용자의 윤곽을 추출하는 윤곽추출단계(G51)와, 상기 부피감지부(233)가 상기 깊이카메라(221)가 제공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추출된 윤곽의 부피를 감지하는 부피감지단계(G52)와, 상기 의류분리부(232)가 상기 의류를 착용한 사용자의 윤곽이나 상기 의류를 파지한 사용자의 윤곽에서 사용자의 신체에 해당하는 영상이나 윤곽을 제거하여 의류만을 추출하는 의류분리단계(G53)와, 상기 의류분석부(234)가 상기 추출된 의류의 종류, 형상, 색채, 재질, 브랜드, 크기, 부피 등을 분석하여 의류정보를 획득하는 의류분석단계(G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분석부(234)는 의류의 빅데이터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획득한 의류 분류 프로그램에 상기 분리된 의류들을 매칭시키면서 상기 의류의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의류 분류 프로그램은 복수의 의류가 의류의 종류별, 형태별, 재질별, 색깔별, 브랜드별로 각종 카테고리화 되어 있을 수 있으며, 특정 의류를 상기 카테고리와 매칭시키면서 상기 특정 의류의 종류, 재질, 형태, 색깔, 브랜드 등이 분석될 수 있다.
상기 의류분류 프로그램은 상기 서버(600)에서 제공될 수 있으며, , 상기 의류통신모듈(260)을 통해 수신되거나 업데이트되어 상기 증강저장부(24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의류추출단계(G5)에서 의류가 분석되면, 상기 의류의 의류정보(AI)를 상기 증강저장부(240)에 저장하는 의류저장단계(G6)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의류저장단계(G6)는 사용자가 등록하고자 하는 의류를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하는 단계이다.
한편, 상기 의류저장단계(G6)는 의류의 등록을 요청한 사용자와 등록된 의류를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의류의 착용대상을 정확히 파악하여, 향후 의류의 추천 등에 적합한 데이터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 일실시예의 온라인 시스템은 사용자가 다른 의류를 본 발명 일실시예의 온라인 시스템에 등록하고자 하는 명령의 수신을 감지하는 추가요청단계(G7)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추가요청단계(G7)가 수행되면 상기 안내단계(G2)가 수행되어 새로운 의류의 의류정보(AI)가 상기 증강저장부(24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추천요청단계(G7)를 수행하지 않는 적극적인 명령이나 일정시간이 경과한다면 의류의 등록은 종료될 수 있다.
이로써, 판매자가 의류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의류도 사용자가 직접 온라인 시스템에 등록함으로써, 자신이 소지한 소지의류의 의류정보(AI)를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일실시예의 온라인 시스템은 상기 의류정보(AI)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적합한 의류를 추천하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도9는 도8에 제어방법이 실제 구현되는 태양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장치(100)는 사용자에게 의류를 등록하는 명령을 수신하는 것으로 등록요청단계(G1)가 수행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장치(100)가 상기 가상표시부(210)에 안내문구와 가이드선 등을 제공하는 안내단계(G2)가 수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의류를 착용한 상태로 상기 촬영부(220) 앞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촬영부(220)를 통해 증강연산부(230)가 상기 사용자와 의류를 특정할 수 있는지 점검하는 인식판단단계(G3)가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 데이터와 비교하여, 촬영하는 사용자가 특정 사용자인지 아니면 다른 사용자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상기 특정사용자로 식별되면, 상기 촬영부(220)로 의류를 착용하고 있는 특정 사용자를 촬영하는 촬영저장단계(G4)가 수행된다.
상기 촬영부(220)가 촬영한 전체영상(w)에는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는 배경(D)과, 의류를 착용한 사용자의 윤곽(Y)이 존재한다.
상기 증강연산부(230)가 상기 전체영상(W)에서 의류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윤곽(Y)을 추출하는 윤곽추출단계(G51)가 수행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윤곽추출부(231)는 상기 전체영상(W)에서 의류를 착용한 사용자의 윤곽(Y)을 추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윤곽추출부(231)는 상기 증강저장부(240)에 미리 저장된 배경정보(DI)와 상기 전체영상(W)을 비교함을 통해 상기 윤곽(Y)을 정확히 인식하여 추출할 수 있다. 예를들어, 사용자 이미지와 배경이미지 자체를 비교하여 배경이미지에 추가로 포함된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즉, 배경정보(DI)는 평소 의류장치가 임의로 촬영하여 저장하거나, 배경을 저장하는 명령을 입력받아 미리 증강저장부(24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윤곽추출단계(G51)가 완료되면, 상기 부피감지부(233)가 상기 윤곽(Y)의 부피를 연산하는 부피감지단계(G51)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부피감지부(233)는 상기 깊이카메라(221)를 통해 부피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필요할 경우 상기 표시패널(211)로 사용자가 회전하거나 위치를 변경하도록 유도하여 3D 입체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상기 의류분리부(232)가 상기 윤곽(Y)에서 사용자의 신체와 의류를 분리하는 의류분리단계(G53)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의류분리부(232)는 사용자의 신체(B)와 상기 의류(A)의 분리선을 감지하여 상기 의류(A)를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분리부(232)는 상기 윤곽(Y)에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정보(BI)를 통해 상기 신체(B)를 제거하여 상기 의류(A)를 영상에서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의류분리부(232)는 사용자의 피부색과 다른 색을 가진 부분을 추출함으로써 의류를 신체에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의류분리부(232)는 분리된 의류 이미지에서 분리선을 감지하여 의류를 종류마다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의류분석부(234)가 상기 의류(A)의 종류 별로 분석하여 인식하는 의류분석단계(G54)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의류(A)가 상의(A2)와 하의(A3)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의류분석부(234)는 상기 분리된 전체 의류(A)에서 상의(A2)와 하의(A3)를 분리할 수 있다.
상기 부피감지부(233)를 통해 상기 분리된 의류(A)의 크기 및 면적, 부피는 정확하게 연산될 수 있다. 상기 부피감지부(233)에서 의류의 크기 및 면적, 부피가 연산되면, 상기 의류분석부(234)는 상기 분리된 의류(A)의 종류, 재질, 형상, 색깔 등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의류분석부(234)는 상기 의류(A)의 종류, 재질, 색깔, 형상을 상기 프로그램에 입력하여 상기 의류가 상의(A1)와 하의(A2)에 매칭된 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의류분석부(234)는 상기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상의(A1)가 힌색 면 민소매 티셔츠이며, 상기 하의(A2)는 파란색 청바지에 해당된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의류분석부(234)가 상기 분석된 상의(A1)와 하의(A2)의 종류, 재질, 색깔, 형상, 크기, 부피에 해당하는 의류정보(AI)를 식별번호를 붙여 상기 증강저장부(240)에 저장하는 의류저장단계(G6)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의류저장단계(G6)는 상기 의류정보(AI)의 브랜드까지 인식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브랜드가 상기 의류에 표시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입력을 통해 저장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달리, 사용자는 상기 의류를 착용하지 않고 파지한 상태로 의류의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에도, 상기 촬영부(220)는 사용자의 영상 전체를 촬영한 뒤에, 상기 증강연산부(230)가 상기 전체 영상(W)에서 사용자의 신체와 의류를 분리하고, 상기 의류분석부(234)가 상기 의류의 종류, 재질, 형상, 색깔, 브랜드를 분석할 수 있다. 사용자가 복수의 의류를 파지한 경우에는 상기 의류분리부(232)는 각각의 의류를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서 분리시킨 다음 추출할 수 있다.
도10는 사용자가 추가요청단계(G7)를 반복적으로 수행하거나, 등록요청단계(G1)를 복수회 실시하여 소지의류정보(AI)가 획득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등록요청단계(G1) 또는 추가요청단계(G7)에서 사용자는 복수의 상의(A2) 또는 하의(A3), 외투(A1) 중 여러가지 의류를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의류의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의류는 노란색 청자켓(A11), 검은색 모 코트(A12), 파란색 민소매 면 티셔츠(A21), 줄무늬 민소매 아크릴 티셔츠(A22), 하늘색 면 원피스(A23), 빨간 민소매 블라우스(A24), 노란색 실크 원피스(A25), 맨투맨 초록 티셔츠(A26), 긴팔 노란면 티셔츠(A27), 상의 속옷(A28), 민소매 분홍 블라우스(A212), 청바지(A31), 검은 칠부 바지(A32), 베이지 면 바지(A33), 파란 테니스 치마(A34), 검은 래깅스(A35), 노란 캉캉치마(A3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촬영부(220)는 상기 의류를 착용한 사용자를 복수회 촬영할 수 있고, 상기 증강연산부(230)는 상기 영상에서 복수의 윤곽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들어, 사용자가 총 9번에 걸쳐 의류를 착용한 상태에서 본 발명 일실시예의 온라인 시스템에 의류의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촬영부(220)는 9번에 걸쳐 사용자의 전체 영상(W)을 촬영할 수 있고, 상기 윤곽추출부(231)는 상기 9개의 윤곽들(Y1~Y9)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의류분리부(232)는 상기 윤곽들(Y1~Y9)에서 의류들을 분리하여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의류분리부(232)는 상기 윤곽들(Y1~Y9)에서 복수의 외투(A1), 상의(A2) 및 하의(A3)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의류분석부(234)는 복수의 외투(A1), 상의(A2) 및 하의(A3)를 각각 분석하여 식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의류분석부(234)는 동일한 의류가 중복되어 촬영되더라도 동일한 의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의류분석부(234)는 상기 복수의 의류들의 크기나, 형상, 부피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분석부(234)는 상기 복수의 의류의 종류까지 인식하여 상기 증강저장부(24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분석부(234)는 청자켓(A11), 검은색 모 코트(A12)를 외투(A1)로 분류하고, 고유한 식별번호를 붙여 상기 증강저장부(240)에 저장시킬 수 있다.
상기 의류분석부(234)는 상기 의류분석부(234)는 검은색 모 코트(A12), 파란색 민소매 면 티셔츠(A21), 줄무늬 민소매 아크릴 티셔츠(A22), 하늘색 면 원피스(A23), 빨간 민소매 블라우스(A24), 노란색 실크 원피스(A25), 맨투맨 초록 티셔츠(A26), 긴팔 노란면 티셔츠(A27), 상의 속옷(A28), 민소매 분홍 블라우스(A212)를 상의(A2)로 분류하고, 고유한 식별번호를 붙여 상기 증강저장부(240)에 저장시킬 수 있다.
상기 의류분석부(234)는 청바지(A31), 검은 칠부 바지(A32), 베이지 면 바지(A33), 파란 H 치마(A34), 검은 래깅스(A35), 노란 캉캉치마(A36)를 하의(A3)로 분류하고, 고유한 식별번호를 붙여 상기 증강저장부(240)에 저장시킬 수 있다.
상기 의류분석부(234)는 상기 의류 들에 브랜드가 외부에 표시되어 있으면 이를 인식하여 함께 상기 증강저장부(240)에 저장시킬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증강저장부(240)에는 복수의 외투, 상의, 하의의 형상, 재질, 크기, 부피, 브랜드 등이 포함된 소지의류정보(AI)가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도11과 도12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온라인 시스템이 사용자에게 적합한 의류를 추천할 수 있는 추천프로그램을 보유하거나 생성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1에 도시된 상기 의류장치(100)는 판매자 또는 생산자가 제공한 복수의 의류장치(100)이다. 즉, 판매자 또는 생산자가 제공한 복수의 의류장치(100)에서 각각의 사용자의 일정, 신체정보, 날씨정보, 상기 날씨와 일정에서의 의류 선호도, 소재의류정보(AI) 등이 포함된 사용자 정보 데이터가 상기 서버(600)로 수집될 수 있다.
상기 의류장치(100)는 의류를 추천하는데 활용되므로 의류추천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서버(600)는 외부기관(800)에서 제공하는 의류와 관련된 대중정보 데이터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대중정보는 공중이 대중적으로 활용하는 의류정보, 패션업계에서 유행하는 의류정보, 문화적으로 통용되는 의류정보에서 획득한 상기 의류의 매칭되는 색, 매칭되는 형상, 매칭되는 재질, 매칭되는 유행, 사용자들이 보유하고 있지 않는 타의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600)는 생산자 또는 판매자가 제공한 의류장치들(100)과, 외부기관(800)에서 제공한 데이터를 수집, 축적하여 빅데이터(big data)로 만들 수 있다.
상기 서버(600)는 상기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추천프로그램 자체를 제작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서버(600)는 딥러닝(deep learning)을 수행하여 추천프로그램(T)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서버(600)는 상기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습식(K)을 통해 기계학습(deep learning)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데이터들의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상기 학습식(K)은 빅데이터를 기계학습(deep learning)하여 분석 및 분류하는 알고리즘일수 있다. 상기 학습식(K)은 상기 빅데이터에서 특정지역, 특정시간, 특정요일, 특정상태에서 착용된 의류의 패턴을 획득하는 알고리즘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학습식(K)은 아무런 기준없이 혼재되어 있는 빅데이터를 기계학습(deep learning) 하여 특정지역, 특정시간, 특정요일, 특정날씨, 특정인구, 특정 일정, 특정 기후, 특정 소득수준 등 다양한 기준으로 의류의 착용 패턴을 발견하고 예측하는 알고리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학습식(K)은 최종적으로 적어도 1회 이상의 사용이력이 입력되면 수행될 코스 및 옵션을 예측할 수 있는 추천식 또는 추천프로그램(T)을 생산하는 알고리즘일 수 있다. 상기 추천프로그램(T)은 상기 서버(60)가 학습식인 DNN(Depp Neural Network, K)을 통해 생성한다. 상기 추천프로그램(T)은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특정한 상태가 입력되면 예상되는 결과값을 도출하는 알고리즘 또는 연산식일 수 있다.
상기 추천프로그램(T)은 상기 의류장치를 포함한 복수의 의류장치를 관리하는 서버(600)에서 상기 특정 사용자와 임의의 사용자의 이력과, 상기 의류장치가 위치한 지역 등에서 제공한 여러 의류 정보 중 하나 이상을 기초로 기계학습(deep learning)하여 획득된 알고리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천프로그램(T)은 임의의 사용자가 특정한 조건에서 어떠한 의류를 착용하는지를 통해 차후 특정 사용자가 어떤 조건에서 어떠한 의류를 착용하는지를 추천할 수 있는 알고리즘 또는 연산식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추천이라는 것은 무엇을 하면 좋을지를 권유하라는 것과, 지금 내가 무엇을 할지 예측하여 편의성을 제공하라는 것의 의미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상기 학습식(K)은 빅데이터를 딥러닝하여 추천프로그램(T)을 생성한 뒤 추후에 입력되는 data를 지속적으로 상기 추천프로그램(T)에 대입하여 상기 추천프로그램(T)을 학습(업데이트 또는 발전) 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학습식(K)은 기존에 상기 추천프로그램(T)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의류장치(100)와 외부기관(800)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다시 상기 학습식(K)에 다시 대입하여 기계학습을 통해 상기 추천프로그램(T)을 업그레이드 시킬 수 있다.
상기 서버(600)가 상기 추천프로그램(T)을 상기 의류장치(100)에 전달하여 상기 의류장치(100)의 메인저장부(170)에 상기 추천프로그램(T)이 미리 입력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 일실시예의 온라인시스템의 추천부(260)는 상기 의류장치(100)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천프로그램(T)이 상기 서버(600)에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의류장치(100)가 요청이 있을 때 마다 의류통신모듈(260)을 통해 상기 서버(600)에 접속하여 상기 서버(60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추천프로그램(T)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천프로그램(T)의 결과인 추천 의류를 직접 수령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본 발명 일실시예의 온라인시스템의 추천부(260)는 상기 서버(600)에 위치할 수 있다.
도12는 상기 추천부(260)가 상기 추천프로그램(T)을 통하여 의류를 추천할 수 있는 원리를 설명한 것이다.
상기 서버(600)의 저장장치(630)에는 생산자 또는 판매자가 제공한 의류장치를 (100) 사용하거나 외부기관이 제공한 사용자1의 일정, 신체, 날씨, 의류선호도, 착용의류 정보가 DB로 저장되어 있다.
상기 사용자1의 착용의류가 M 개 등록되어 있다면 상기 DATA는 M개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600)에는 생산자 또는 판매자가 제공한 의류장치를(100) 사용하거나 외부기관이 제공한 사용자2의 일정, 신체, 날씨, 의류선호도, 착용의류 정보가 DB로 저장되어 있다.
상기 사용자2의 착용의류가 M 개 등록되어 있다면 상기 DATA는 M개가 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N명이라면, 상기 서버(600)에는 N명의 사용자의 착용의류가 M개의 데이터가 수집되어 총 N X M 개의 방대한 DATA가 수집될 수 있다.
상기 서버(600)는 상기 학습식(K)을 통해 상기 DATA를 기계학습(DEEP learning)하여 상기 DATA에서 패턴, 규칙을 분석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서버(600)는 충분한 시간 동안 기계학습을 수행하면 상기 DATA에서 복수의 사용자가 착용한 의류에 기반하여, 차후 특정 사용자P가 현시점에 착용할 것으로 예상되는 의류를 추천할 수 있는 추천알고리즘(T)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추천알고리즘(T)은 특정 사용자의 일정, 신체, 날씨, 특정의류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입력되면 현 시간대에서 상기 특정 사용자가 의도하거나, 착용할 것으로 예상되거나, 상기 특정 사용자에게 적합한 의류를 추천할 수 있다.
상기 특정의류라 함은 의류의 일부에 해당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하의(A3)는 결정한 경우에, 상의(A2)나 외투(A1)를 추천받고자 하는 경우에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추천알고리즘(T)은 Weight matrix와 bias vector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 온라인 시스템은 현 시점에서 최적의 의류를 추천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추천알고리즘(T)은 상기 외부단말(400)에 저장될 수도 있다.
도13 내지 19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온라인 시스템이 의류를 추천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3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온라인 시스템이 의류를 추천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일실시예의 온라인 시스템은 사용자가 자신에게 적합한 의류를 추천해줄 것을 요청하는 요천명령을 수신하는 추천요청수신단계(H1)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요청명령은 상기 의류장치(100)의 의류입력부(150)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단말(400)의 단말 입력부(430)를 통해 수신될 수도 있다.
상기 추천요청단계(H1)가 수신되면, 본 발명 일실시예의 온라인 시스템은 현재 사용자가 추천을 요구하는 요청상태를 파악하는 요청상태인식단계(H2)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요청상태인식단계(H2)는 상기 추천알고리즘(T)에 입력되는 입력값을 확인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입력값은 외부단말(400) 또는 서버(60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는 일정정보, 날씨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값은 상기 촬영부(220) 또는 상기 증강저장부(240)를 통해 획득할 수 있는 현재 사용자의 신체정보(BI)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체정보(BI)는 현재 사용자가 복수의 사용자 중에서 누구인지를 식별하는 데도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입력값은 특정 사용자가 현재 착용한 특정 의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가야할 곳의 성격 및 배경, 동행자의 정보 등의 부가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 일실시예의 온라인 시스템은 상기 입력값을 상기 추천부(250)에 입력하여 상기 추천알고리즘(T)을 실행시킴으로써 적합한 의류를 출력받을 수 있다.
상기 소지상품매칭부(251)는 상기 소장의류정보(AI)를 추천알고리즘(T)에 먼저 입력하여 추천의류(Z1)를 출력하고, 상기 매칭율판단부(253)를 통해 상기 추천의류(Z1)의 매칭율을 연산할 수 있다. 상기 매칭율이 기준값 이상 이면 상기 추천의류(Z1)를 상기 증강연산부(230)에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추천의류(Z1)의 매칭율이 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타상품매칭부(252)는 상기 구매대상의류(C)를 상기 추천알고리즘(T)에 입력하여 추천의류(Z2)를 출력하고, 상기 매칭율판단부(253)를 통해 상기 추천의류의(Z2)의 매칭율을 연산할 수 있다. 상기 매칭율이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추천의류(Z2)를 상기 증강연산부에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증강연산부(230)는 상기 추천의류를 수신하면 의류합성부(237)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B) 영상에 상기 추천의류(A)를 렌더링하여 상기 가상표시부(210)에 출력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상기 가상표시부(210)를 통해 실제 의류가 착용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부가추천부(254)는 추가적인 악세서리 등이 상기 추천의류(Z1, Z2)들에 조합되면 상기 매칭율이 더 향상되는지를 점검할 수 있다.
상기 악세서리(A4)는 상기 소장의류(A) 또는 상기 구매대상의류(C) 중 하나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부가추천부(254)는 상기 매칭율이 향상되는 악세서리(Z3)를 상기 증강연산부(230)에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부가합성부(238)는 추천된 악세서리(Z3)를 상기 랜더링 된 영상에 추가로 합성할 수 있다.
본 발명 일실시예의 온라인 시스템은 상기 합성된 영상을 상기 가상표시부(210)에 표시하여 사용자의 만족도를 판단하는 판단보정단계(H4)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판단보정단계(H4)에서 사용자가 상기 추천의류(Z1,Z2)를 만족하는 의사를 상기 의류입력부(150) 또는 외부단말(400)로 수신하면, 상기 추천부(250)는 다음에도 이와 유사한 패턴으로 상기 추천의류를 추천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다른 추천의류를 더 요청하거나, 추천의류를 최종적으로 비교하여 확정하는 의사를 상기 의류입력부(150) 또는 외부단말(400)로 수신하면, 상기 추천부(250)는 다음 추천시 상기 사용자의 선택 또는 선호도를 반영한 패턴으로 의류를 추천할 수 있다.
본 발명 일실시예의 온라인 시스템은 상기 구매대상의류(C)에서 추천의류(Z2)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추천의류(Z2)의 구매의사가 있는지 확인하는 구매필요단계(H5)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구매필요단계(H5)는 상기 가상표시부(210)에 구매가 필요한 사실을 통지하는 것과, 상기 구매를 수행할 것인지를 요청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의류입력부(150) 또는 외부단말(400)로 상기 구매의 수행을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 일실시예의 온라인 시스템은 상기 추천의류(Z2)의 판매자를 추적하고, 상기 결제정보(FI)를 통하여 구매를 진행하는 결제진행단계(H6)를 수행할 수 있다.
도14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온라인 시스템이 의류를 추천하는 상기 방법이 수행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특정 사용자(I)는 의류장치(100)를 향하여 음성명령을 발화할 수 있다. 상기 음성명령은 “오늘 뭐입지?”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의류장치(100)의 마이크(152)는 상기 음성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의류장치(100)는 상기 음성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의류메인제어부(180) 또는 상기 서버(600)에 송신하여 상기 음성명령을 해석함으로써, 상기 추천요천수신단계(H1)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의류장치(100)는 날씨정보, 일정정보 등을 상기 서버(600) 또는 외부단말(400)로 수신하고, 상기 추천을 요청하는자가 누구인지 식별하는 요청상태인식단계(H2)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의류장치(100)는 상기 증강저장부(240)에 저장된 소지의류(A), 구매대상의류(C) 등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추천부(250)를 통해 상기 추천을 요청하는 특정사용자에게 적합한 추천의류(Z)를 추천할 수 하는 추천연산단계(H3)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의류장치(100)는 상기 추천의류(Z)를 상기 가상표시부(210)에 그대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의류장치(100)는 상기 추천의류(Z)의 목록도 함께 상기 가상표시부(21)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목록은 추천된 상의(A2), 하의(A3), 악세서리(A4)의 종류, 가격, 브랜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천의류(Z)는 사용자의 영상에 렌더링된 영상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증강연산부(230)는 상기 추천의류(Z) 자체를 가상의 아바타에 합성하거나, 추천의류(Z)의 사진 또는 영상만 상기 가상표시부(21)에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의류장치(100)는 상기 스카프(A4)가 구매대상의류(C)인 경우에는 상기 스카프의 구매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통지하는 구매필요단계(H5)를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적합한 의류를 직접 고르거나 보유한 의류를 전부 기억할 필요 없이 현재 상태에 적합한 의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어떤 의류가 구매가 필요한지도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적합한 의류의 조합을 확인함으로써 패션감각 또는 패션지식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15는 결제진행단계(H6)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의류장치(100)는 스카프(A4) 등 사용자가 보유하지 않은 의류의 구매를 요청받는 “스카프 구매해줘” 등의 음성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의류장치(100)는 상기 음성명령을 수신하면 의류메인제어부(180) 또는 서버(600)를 통해 상기 음성명령을 해석한다.
상기 의류장치(100)는 상기 서버(600)를 통해 상기 스카프를 판매하는 복수의 판매자를 검색한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판매자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상기 스카프를 판매할 수 있고, 상기 스카프의 가격정보 등을 자신의 사이트 등에 업로드 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상기 서버(600)에서 수집되어 상기 의류장치(100)에 제공하 수 있다.
상기 의류장치(100)는 수집된 상기 판매자 정보를 상기 가상표시부(210)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판매자가 복수인 경우에는 복수의 판매자의 위치(Map) 또는 사이트 및 판매가격정보가 상기 가상표시부(210)에 표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접근성이 좋은 곳이나, 가격이 저렴한 판매자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의류장치(100)의 증강저장부(240)에는 상기 결재정보(F)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서버(600)는 상기 판매자가 제공하는 판매사이트 등에 접속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의류장치(100)는 사용자의 최종구매요청을 수신하면 바로 상기 스카프를 구매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배송지역까지 배송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배송지역은 상기 증강저장부(24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사용자가 상기 의류입력부(150) 또는 외부단말(400)을 통해 입력할 수 있다.
도16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온라인 시스템이 의류를 추천하는 상기 방법이 수행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6(a)를 참조하면, 상기 추천요청수신단계(H1)에서 특정사용자는 의류를 적어도 일부 착용한 상태에서 의류의 추천을 요청하는 요청명령을 발신할 수 있다. 예를들어, 특정 사용자는 베이지 색 비스코스 테니스치마(A37)와 검은 칠부 바지(A32) 및 상의 속옷(A27)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테니스치마(A37)와 어울리는 블라우스의 추천을 요청하는 요청명령을 발신할 수 있다.
상기 요청명령은 구체적인 음성명령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가 손으로 상기 테니스치마(A37)를 파지하는 모션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션명령은 상기 촬영부(220)의 모션인식카메라(222)로 인식할 수 있다.
도16(b)를 참조하면, 상기 피팅부(200)는 상기 촬영부(220)로 특정 사용자의 상태를 촬영하는 요청상태인식단계(H2)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촬영부(220)가 촬영한 영상을 바탕으로, 증강연산부(230)는 사용자의 신체(B)와, 사용자가 현재 착용한 의류(A)의 상태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촬영부(220)는 사용자의 상태를 촬영하여 상기 가상표시부(210)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가상표시부(210)에는 사용자의 신체영상(213)과 사용자가 착용한 의류들(A28,A37)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증강인식부(230)는 상기 “치마(A37)”를 사용자가 특정한 것을 반영하여 상기 검은색 칠부 바지(A32)는 제거한 영상을 상기 가상표시부(210)에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증강연산부(230)는 분석된 요청명령에 따라 상기 추천부(250)에 입력하는 입력값에 상기 비스코스 테니스 치마(A37)는 입력하되, 상기 검은칠부바지(A32)와 상의속옷(A27)은 제외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추천과 관계없는 의류를 착용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본 발명 일실시예의 온라인 시스템은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는 의류는 배제하고, 의도한 특정 의류와 적합한 의류만을 추천할 수 있다.
도16(c)를 참조하면, 추천연산단계(H3)에서, 상기 추천부(250)는 상기 특정 사용자의 일정, 날씨정보, 선호도, 소지의류정보(AI), 신체정보(BI), 유행, 구매대상의류정보(CI)와 상기 테니스치마(A37)를 상기 추천프로그램(T)에 입력하여 분홍색 블라우스(A212)를 적합한 추천의류(Z)로 추천할 수 있다. 상기 증강연산부(230)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영상(213)에 상기 추천의류(Z)의 사이즈를 그대로 반영하여 렌더링할 수 있고, 상기 렌더링된 영상을 상기 가상표시부(210)에 그대로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다른 의류를 추천하거나 비교를 요청함으로써 상기 판단보정단계(H4)등을 수행할 도 있다.
도17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온라인 시스템이 의류를 추천하는 상기 방법이 수행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7(a)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추천해줘”라는 음성명령을 상기 의류장치(100)가 인식함으로써 상기 추천요청수신단계(H1)가 수행될 수 있고, 상기 의류장치(100)는 상기 촬영부(220)로 상기 특정 사용자를 촬영하여 요청상태인식단계(H2)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증강연산부(230)는 상기 추천부(250)와 상기 증강저장부(240)를 통해 현재 사용자에 적합한 의류(Z1)를 연산하고, 상기 가상표시부(210)에 사용자의 실제 영상(214)에 상기 추천된 의류(Z1)를 랜더링 하여 표시하는 추천연산단계(H3)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특정사용자는 파자마 등 전혀 무관한 옷을 착용한 상태라고 하더라도, 상기 가상표시부(210)는 상기 추천된 의류(Z1)를 완벽히 착용한 상태를 상기 사용자의 영상(213)에 랜더링 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17(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자신의 위치를 가변시키면서 상기 판단보정단계(H4)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들어, 사용자는 현재 추천요청수신단계(H1)를 P1의 위치에서 수행하였다면, P2로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다. 상기 P2는 상기 P1에서 측면에 해당하는 위치일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가상표시부(210)의 면적에 사용자의 영상이 절반 이하 등으로 축소되는 위치에 해당할 수 있고, 상기 증강연산부는 이를 판단보정단계를 수행하라는 명령과 대응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카메라(222)는 사용자의 변화된 위치가 설정 범위 이상인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증강연산부(230)는 상기 절정범위 이상으로 사용자의 위치가 가변된 것을 인지하면, 상기 위치 변화를 현재 추천된 의류(Z1)와 다른 의류를 추천하는 것을 요구하는 비교명령으로 해석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비교명령은 사용자의 “비교해줘”와 같은 직접적인 음성명령일 수도 있다.
상기 추천부(250)는 상기 비교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추천된 의류(Z1)와 다른 추천된 의류(Z2)를 추천할 수 있다. 상기 증강연산부(230)는 상기 가상표시부(210)에 상기 다른 추천된 의류(z2)를 렌더링 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판단보정단계(H4)에서 상기 증강연산부(230)는 처음추천된 의류(Z1)와 이후 추천된 의류(Z2)를 상기 가상표시부(210)에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추천된 복수의 의류를 비교하면서 자신에게 적합한 의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선택은 상기 추천부(250)에 선호도의 입력값으로 반영되어, 이후 추천되는 출력값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도18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온라인 시스템이 의류를 추천하는 상기 방법이 수행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8(a)은 추천요청수신단계(H1)에서 추천연산단계(H3)까지 수행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18(b)를 참조하면, 판단보정단계(H4)에서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E)와 추천된 의류가 어울리는지에 대한 판단요청을 발신할 수 있다. 본 발명 일실시예의 온라인 시스템은 상기 판단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증강저장부(240)에 저장되어 있는 타인정보(EI)를 바탕으로 상기 가상표시부(210)에 추천된 의류(Z1)와 타인(E)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상기 타인(E)과 추천된 의류(Z1)가 어울리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타인정보(EI)는 상기 촬영부(220)로 촬영되어 상기 증강저장부(250)에 등록될 수 있고, 상기 외부단말(400)이나 상기 서버(600)에 일반 사진이 상기 증강서장부(250)에 저장되어 등록될 수 있다.
도18(c)를 참조하면, 추가요청수신단계(H1)에서 복수의 사용자가 함께 의류의 추천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증강연산부(230)는 상기 촬영부(220)가 촬영한 영상에서 복수의 사용자의 윤곽이 인식되면 커플룩을 추천할 것을 상기 추천부(250)에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추천부(250)는 복수의 사용자의 정보까지 상기 추천알고리즘(T)에 입력하여 커플룩(Z1,Z2)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증강연산부(230)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영상에 상기 커플룩(Z1,Z2)을 렌더링하여 상기 가상표시부(21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 일실시예의 온라인 시스템은 복수의 사용자의 의류를 동시에 추천하거나, 특정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와 어울리는 의류도 추천할 수 있다.
도19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온라인 시스템이 의류를 추천하는 상기 방법이 수행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일실시예의 온라인 시스템은 추천연산단계(H3)에서 복수의 의류를 함께 추천하여 가상표시부(210에 전부 표시할 수 있고, 판단보정단계(H4)는 사용자가 복수의 의류 중 어느 하나의 의류를 직접 선택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19(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악세서리(A4)의 추천을 요청할 수 있고, 본 발명 일실시예의 온라인 시스템은 악세서리(A4) 중 복수의 스카프를 추천하여 상기 표시패널(211)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스카프 중 매칭율이 가장 높은 제1스카프(A41)가 사용자의 영상(213)에 랜더링 되어 표시될 수 있고, 매칭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제2스카프(A42)와, 제3스파크(A43)는 상기 표시패널(211) 중 사용자의 영상(213)과 분리되어 표시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복수의 스카프는 상기 사용자의 영상(213)에 렌더링 되지 않고 가상으로 상기 표시패널(211)에 표시될 수도 있다.
상기 촬영부(220)의 모션인식부(223)는 사용자의 손가락(HP)의 움직임을 인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19(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손가락(hp)을 허공에 대고 움직일 수 있고, 상기 모션인식부(223)는 이를 인지할 수 있다. 상기 증강연산부(230)는 상기 가상표시부(210)에 표시된 복수의 스카프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들어, 사용자에게 랜더링된 제1스카프(A41)를 사용자의 영상(213)에서 분리시키고, 제3스카프(A43)을 사용자의 영상(213)에 랜더링 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과정을 반복하여 복수의 스카프 중 원하는 스카프를 확정할 수 있다.
도20 내지 도22는 발명 온라인 시스템의 가상피팅부(200)의 다른 활용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전술한 것 처럼, 본 발명 일실시예의 온라인 시스템의 피팅부(200)는 상기 촬영부(220)와 상기 증강연산부(230), 및 증강저장부(240)로 사용자의 신체정보(BI)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신체정보(BI)가 변화할 수 있다. 예를들어, 사용자가 운동을 하는 경우에나 과식을 자주 하는 경우에는 신체의 부피가 커질 수 있으며, 사용자가 다이어트를 하는 경우에는 신체의 부피가 작아질 수 있다. 상기 피팅부(200)는 상기 촬영부(220)로 사용자의 신체정보(BI)를 수시로 촬영하여 상기 신체정보(BI)를 업데이트 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상기 피팅부(200)는 상기 신체정보(BI)의 변화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피팅부(200)는 상기 신체정보(BI)의 전체 변화를 3D 영상을 통해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고, 특정 신체부위의 3D 변화도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팅부(200)는 증강연산부(230)를 통해 상기 신체정보(BI)의 변화를 수치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피팅부(200)는 상기 증강저장부(240)의 소지의류정보(AI) 및 구매대상의류정보(CI)를 상기 사용자의 신체정보(BI)와 비교하여, 사용자에게 신체변화에 따라 입을 수 있는 의류와 입기 어려운 의류를 통지해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 변화를 직관적으로 관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입을 수 있는 의류와 없는 의류의 변화를 인지할 수 있다.
본 발명 일실시예의 온라인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자신의 신체를 스캔할 것을 요청하는 스캔명령을 수신하는 스캔요청수신단계(I1)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스캔요청수신단계(I1)에서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정보를 상기 피팅부(200)에 등록하고, 상기 신체정보의 변화 안내를 상기 의류장치(100)에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 일실시예의 온라인 시스템은 상기 가상표시부(210)에 사용자 신체의 스캔을 위해 필요한 내용을 표시하는 스캔안내단계(I2)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스캔안내단계(I2)는 상기 표시패널(211)에 가이드선(214)이 표시되거나, 상기 스피커(212)의 안내음성이 출력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캔안내단계(I2)에 따라 사용자의 동작이 수행되면, 본 발명 일실시예의 온라인 시스템은 사용자의 신체를 상기 촬영부(220)로 촬영하는 촬영단계(I3)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촬영단계(I3)에서는 상기 증강연산부(230)가 사용자의 신체 윤곽을 추출하고, 사용자의 신체 부피를 연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일실시예의 온라인 시스템은 상기 신체정보를 충분히 획득할 수 있는 영상을 확보하였는지 점검하는 완료판단단계(I4)를 수행할 수 있고, 추가 영상이 필요하다면 상기 스캔안내단계(I2)를 반복할 수 있다.
본 발명 일실시예의 온라인 시스템은 신체정보(BI)의 획득이 완료되면, 상기 가상표시부(210)에 사용자의 3D 아바타 영상 또는 사용자의 신체영상을 상기 가상표시부(210)에 표시하는 스캔결과표시단계(I5)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 일실시예의 온라인 시스템은 상기 신체정보(BI)를 기존 신체정보(BI)와 비교하여, 상기 소지의류정보(A)에서 착용할 수 있는 의류와, 착용할 수 없는 의류를 점검하는 보유의류점검단계(I6)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보유의류점검단계(I6)에서는 상기 소지의류정보(AI)에서 착용할 수 있는 의류와, 착용할 수 없는 의류의 목록이 상기 가상표시부(210) 또는 상기 외부단말(400)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유의류점검단계(I6)에서는 착 소지의류정보(AI)에서 용할 수 있게 된 의류와, 착용할 수 없게 된 의류가 상기 가상표시부(210)에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 일실시예의 온라인 시스템은 상기 신체정보(BI)를 기존 신체정보(BI)와 비교하여, 상기 구대매상의류정보(CI)에서 착용할 수 있는 의류와, 착용할 수 없는 의류를 점검하는 타의류점검단계(I7)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타의류점검단계(I7)에서는 상기 구대매상의류정보(CI)에서 착용할 수 있는 의류와, 착용할 수 없는 의류의 목록이 상기 가상표시부(210) 또는 상기 외부단말(400)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의류점검단계(I7)에서는 구대매상의류정보(CI)에서 착용할 수 있게 된 의류와, 착용할 수 없게 된 의류가 상기 가상표시부(210)에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 일실시예의 온라인 시스템은 이전 신체정보(BI)와 현재 신체정보(BI)의 변화를 비교하는 비교단계(I8)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비교단계(I8)에서는 상기 가상표시부(210)에 이전 신체영상 또는 아바타와 현재 신체영상 또는 아바타가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신체영상 또는 아바타의 변화량이 수치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21은 도20의 과정이 수행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21(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상기 의류장치(100) 앞에 위치하여, “바디스캔 해줘”라는 음성명령을 발화하거나 의류입력부(150)를 입력하여 스캔요청수신단계(I1)를 실행시킬 수 있다.
상기 의류장치(100)는 상기 표시패널(211)에 가이드선(214)을 표시하고, 상기 스피커(212)로 사용자가 취해야할 위치나 동작을 안내하는 스캔안내단계(I2)를 수행할 수 있고, 사용자가 적정 위치나 동작을 취하면 사용자의 신체를 촬영하는 촬영단계(I3)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표시패널(211)에는 사용자의 정면을 촬영하기 위한 정면가이드선(214a)이 표시되고, 스피커(212)에는 “정면을 보고 선과 같이 서주세요”라는 안내문구가 출력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선(214a)에 일정수준이상 사용자의 신체가 포함되면 이미지촬영 및 저장이 수행될 수 있다. 일정수준은 예를들어 70프로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의류장치(100)는 상기 촬영부(220)로 사용자의 정면을 촬영할 수 있다.
도21(b)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패널(211)에는 사용자의 측면을 촬영하기 위한 측면가이드선(214b)이 표시되고, 스피커(212)에는 “측면으로 돌아 선과 같이 서주세요”라는 안내문구가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의류장치(100)는 상기 촬영부(220)로 사용자의 측면을 촬영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증강연산부(230)는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측정하기 위해 배면의 영상이 더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21(c)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패널(211)에는 사용자의 배면을 촬영하기 위한 배면가이선(214c)가 표시되고, 스피커(212)에는 “뒤로 돌아 선과 같이 서주세요”라는 안내문구가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의류장치(100)는 상기 촬영부(220)로 사용자의 배면을 촬영할 수 있다.
도21(d)를 참조하면, 상기 증강연산부(230)는 상기 윤곽추출부(231)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 윤곽을 각각의 영상에서 추출하고, 상기 부피감지부(232)를 통해 상기 윤곽들의 실제 부피를 연산할 수 있다.
상기 증강연산부(230)는 연산된 값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신체정보(BI)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신체정보(BI)는 3D 프로필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증강연산부(230)는 상기 신체정보(BI)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영상을 아바타(S) 로 상기 가상표시부(210)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아바타(S)는 상기 가상표시부(210)에서 회전하며 출력될 수 있으며, 정면(S2)아바타와 측면아바타(S1)로 나뉘어 표시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증강연산부(230)는 비교인식부(236)를 활용하여 상기 소지의류정보(AI), 구매대상의류정보(CI)를 함께 분석하여, 입을 수 있게 된 의류와 입을 수 없게 된 의류 목록을 연산할 수 있다.
상기 가상표시부(210)는 상기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목록은 의류의 구체적인 식별번호와 브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가상표시부(210)는 사용자의 신체 부피가 10프로 줄어들게 되어, A31,A22 은 이제 입을 수 있으나, A32,A23은 이제 입을 수 없다는 내용을 표시할 수 있고, 평소 다른 브랜드 보다 의류가 작게 출시되는 브랜드Q의 의류를 입을 수 있다는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도2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적극적으로 이전의 신체정보와 비교해달라는 비교명령을 의류장치(100)에 발신할 수 있다. 상기 의류장치(100)는 상기 비교명령을 수신하면, 이전 신체정보를 기반으로 한 이전아바타(Sb)와, 현재 신체정보를 깁나으로 한 현재아바타(SA)를 상기 가상표시부(21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표시부(210)는 신체 변화량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예를들어, 부피가 10프로 감소되었다면 신체부피가 10프로 감소된 문구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변화를 직관적으로 관찰할 수 있고, 운동 등의 성과, 과식의 문제점, 자세의 중요성도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제어방법은 상기 온라인 시스템을 활용하는 자가 복수의 사용자 인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온라인 시스템은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에서 복수의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사용자 중 특정 사용자가 의류의 등록, 추천, 신체스캔 중 어느하나를 요청하는 경우에는, 상기 특정 사용자를 인식하여 상기 특정사용자에게 대응되는 의류의 등록, 의류의 추천, 신체스캔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사용자가 하나의 온라인 시스템을 통해 맞춤형으로 의류의 등록, 의류의 추천, 신체스캔을 혼선 없이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의류장치 200 : 피팅부
300 : 세탁장치 400: 외부단발
500 : AP
600 : 서버

Claims (26)

  1.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외부를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는 연산부;
    상기 촬영부가 촬영한 영상 또는 상기 연산부에서 분석된 결과를 저장하는 저장부;
    의류를 촬영하여 저장하는 명령을 수신하는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산부는 상기 입력부가 상기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 상기 의류를 특정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등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특정된 의류에서 형상, 재질, 색깔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의류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등록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가 미리 촬영한 배경과, 상기 의류를 소지한 특정 사용자의 신체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산부는
    상기 특정 사용자와 상기 의류가 함께 촬영된 영상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배경을 비교하여 상기 특정 사용자의 외관을 추출하고, 상기 특정 사용자의 외관에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신체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의류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등록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특정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의류의 상기 의류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등록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추출된 의류에서 구분된 분리선을 인식하거나, 서버를 통하여 외투, 상의 및 하의를 인식하여 분리하고,
    상기 외투, 상의 및 하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의류정보들을 개별적으로 추출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등록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특정 사용자가 파지하고 있는 의류의 상기 의류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등록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는 버튼과, 상기 특정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인식하도록 구비되는 음성인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등록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외부에 상기 촬영부가 촬영한 영상 또는 상기 연산부가 송출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연산부가 상기 의류를 인식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가이드선과,
    상기 특정 사용자가 360도 회전하도록 유도하는 안내표시가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등록장치.
  9.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의류의 추천을 요청하는 추천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특정사용자의 의류 또는 모션을 촬영할 수 있는 촬영부;
    상기 특정사용자의 의류 또는 모션을 분석하는 연산부;
    상기 입력부가 입력되면 상기 연산부에서 분석된 의류나 모션을 기반으로 추천할 의류를 연산하는 추천부;
    상기 추천부에서 추천하기로 결정된 의류를 외부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추천부는 상기 의류나 모션을 기반으로 특정 사용자가 소지한 보유의류를 포함한 복수의 의류에서 특정 의류를 추천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추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추천명령과 상기 모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사용자가 선택한 의류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추천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의류의 의류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추천부에 제공하는 저장부와,
    상기 특정 사용자가 구매할 수 있는 예상의류 정보를 상기 추천부에 전달하도록 구비되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추천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부에 추천된 의류에 상기 예상의류가 포함되면,
    상기 연산부는 상기 예상의류의 구매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추천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특정사용자가 상기 예상의류를 구매할 수 있는 결재정보가 더 저장되고,
    상기 입력부가 상기 특정 사용자의 구매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통신모듈은 서버 또는 판매자에게 상기 구매명령과 결재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추천장치.
  14.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의류의 추천을 요청하는 추천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가 입력되면 복수의 의류 중 추천할 의류를 연산하는 추천부;
    상기 추천부에서 추천하기로 결정된 의류를 외부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추천부는
    복수의 의류를 동시에 추천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복수의 의류가 순차적으로 표시되거나 동시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추천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특정 사용자의 모션을 인식하는 모션인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션인식부가 특정모션을 감지하면,
    상기 표시부는 상기 추천부가 추천한 복수의 의류 중 다른 의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추천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특정 사용자의 모션을 인식하는 모션인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션인식부가 상기 특정모션을 감지하면,
    상기 표시부는 복수의 특정 의류가 표시된 위치를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추천장치.
  17.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의류의 추천을 요청하는 추천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가 입력되면 복수의 의류 중 추천할 의류를 연산하는 추천부;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특정 사용자를 촬영하도록 구비되는 촬영부;
    상기 특정 사용자의 영상에 상기 추천부가 추천한 의류를 렌더링하는 연산부;
    상기 렌더링 된 영상을 외부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연산부가 렌더링 한 영상을 다른 영상과 비교하는 비교명령을 수신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상기 연산부는
    상기 비교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표시부에 비교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추천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명령은
    상기 추천된 의류와 다른 의류를 추천하는 추가명령 또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위치 또는 면적이 가변되는 특정모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추천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표시부에 상기 추천부가 처음 추천한 의류와, 상기 추천부가 추가 추천한 의류를 각각 렌더링 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추천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명령은 다른 사용자의 영상과 비교를 요청하는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연산부는
    상기 표시부에 상기 특정 사용자의 렌더링 영상과 상기 다른 사용자의 영상을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추천장치.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명령은 상기 렌더링 된 영상의 배경을 전환하는 요청을 포함하고,
    상기 연산부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배경을 전환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추천장치.
  22.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특정사용자의 체형을 측정하는 스캔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특정 사용자를 촬영하도록 구비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가 촬영한 영상으로 상기 특정사용자의 체형을 스캔하는 연산부;
    상기 연산부에서 연산된 상기 특정사용자의 체형을 모델링하여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가전제품.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특정 사용자가 회전하거나 자세변경을 유도하는 가이드선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사용자의 이전 체형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연산부가 분석한 체형과 이전 체형을 각각 모델링하여 표시하거나 변화량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사용자가 소지한 보유의류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산부는
    상기 특정사용자의 체형 변화에 따라 상기 보유의류 중에서 입을 수 있는 옷과 입을 수 없는 옷을 분석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는 예상의류 정보를 상기 연산부에 전달하도록 구비되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산부는
    상기 체형과 매칭되는 상기 예상의류의 브랜드나 종류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KR1020190112636A 2018-09-12 2019-09-11 의류등록장치와 의류추천장치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시스템 KR20200030471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RU2021109651A RU2768558C1 (ru) 2018-09-12 2019-09-11 Устройство регистрации одежды и устройство рекомендации одежды, а также онлайновая система, содержащая их
US17/275,988 US20220031068A1 (en) 2018-09-12 2019-09-11 Clothing registration device and clothing recommendation device, and online system comprising same
JP2021513186A JP2022511301A (ja) 2018-09-12 2019-09-11 衣類登録装置と衣類推薦装置及びこれらを備えるオンラインシステム
PCT/KR2019/011816 WO2020055154A1 (ko) 2018-09-12 2019-09-11 의류등록장치와 의류추천장치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시스템
AU2019338892A AU2019338892B2 (en) 2018-09-12 2019-09-11 Clothing registration device and clothing recommendation device, and online system compri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969 2018-09-12
KR20180108969 2018-09-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0471A true KR20200030471A (ko) 2020-03-20

Family

ID=6995836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2637A KR20200030472A (ko) 2018-09-12 2019-09-11 의류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온라인 시스템
KR1020190112636A KR20200030471A (ko) 2018-09-12 2019-09-11 의류등록장치와 의류추천장치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2637A KR20200030472A (ko) 2018-09-12 2019-09-11 의류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온라인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20220031068A1 (ko)
EP (2) EP3851572A4 (ko)
JP (3) JP2022511301A (ko)
KR (2) KR20200030472A (ko)
CN (2) CN112703286A (ko)
AU (3) AU2019337284A1 (ko)
RU (2) RU2770378C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0565B1 (ko) * 2020-12-16 2021-10-08 (주)에스알포스트 의상 추천 장치 및 방법
CN113647760A (zh) * 2021-08-03 2021-11-16 佛山市淇特科技有限公司 智能换衣间及其换衣方法
WO2022039367A1 (ko) * 2020-08-18 2022-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관리 시스템 및 의류 관리 기기
KR102451652B1 (ko) * 2022-06-23 2022-10-06 주식회사 지이모션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
KR20230039186A (ko) * 2021-09-14 2023-03-21 김봉건 고객 맞춤형 추천 안경 제공 시스템
WO2023095974A1 (ko) * 2021-11-29 2023-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사이니지, 모바일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6018B1 (ko) * 2018-03-07 2023-05-23 일렉트로룩스 어플라이언스 아크티에볼레그 사용자 감지 기능을 갖는 세탁 기기
CN112703286A (zh) * 2018-09-12 2021-04-23 Lg电子株式会社 衣物登记装置和衣物推荐装置及包括这些装置的线上系统
US20220078339A1 (en) * 2019-01-03 2022-03-10 Idiction Co., Ltd. Method for obtaining picture for measuring body size and body size measurement method, server, and program using same
WO2020184735A1 (ko) * 2019-03-08 2020-09-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 지능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CN112446166B (zh) * 2019-09-03 2024-05-14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材料推荐系统与材料推荐方法
US11626994B2 (en) * 2020-02-27 2023-04-11 Sneakertopia Inc.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ing content based on articles properly presented and verifiably owned by or in possession of user
KR102490219B1 (ko) * 2021-02-26 2023-01-18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의류 보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의류 보관 방법
KR102544464B1 (ko) * 2021-04-19 2023-06-16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11861685B2 (en) * 2021-05-03 2024-01-02 Uchenna Cornelia Imoh Representation of a user in virtual outfits from a virtual wardrobe
JP7378743B2 (ja) * 2021-05-07 2023-11-14 株式会社Next Mホールディングス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22260451A1 (ko) * 2021-06-10 2022-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CN113417107B (zh) * 2021-06-30 2024-03-22 青岛海尔科技有限公司 洗涤模式的确定方法及系统、存储介质、电子装置
JP7214816B1 (ja) 2021-10-28 2023-01-30 株式会社Zozo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WO2024006570A1 (en) * 2022-07-01 2024-01-04 SUNDO, LLC d.b.a. ZELIG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machine learning models to effect virtual try-on and styling on actual users
KR20240028143A (ko) * 2022-08-24 2024-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관리기
CN116883119B (zh) * 2023-07-27 2024-03-19 深圳市慧聚数字软件运营有限公司 服装推荐方法、装置、终端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9273B2 (ja) * 1987-08-21 1995-07-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洗浄力の評価装置
JP2003225491A (ja) * 2002-02-06 2003-08-12 Sanyo Electric Co Ltd 洗濯機、サーバ及び遠隔操作システム
KR100966882B1 (ko) 2003-07-21 2010-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JP4826139B2 (ja) * 2005-05-26 2011-11-30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ドレッシングシステム
KR101253181B1 (ko) 2006-12-26 2013-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US20080155757A1 (en) 2006-12-29 2008-07-03 Jong Seok Kim Method for controlling a fabric treatment apparatus
KR20090017826A (ko) 2007-08-16 2009-0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합의류처리시스템
US8068676B2 (en) 2007-11-07 2011-11-29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Intelligent fashion exploration based on clothes recognition
BRPI0917864A2 (pt) * 2008-08-15 2015-11-24 Univ Brown aparelho e método para estimativa da forma corporal
AU2011221726B2 (en) 2010-03-03 2014-07-10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672281B1 (ko) 2010-03-03 2016-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120038271A (ko) 2010-10-13 2012-04-23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 방법
KR20120074557A (ko) 2010-12-28 2012-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GB201102794D0 (en) 2011-02-17 2011-03-30 Metail Ltd Online retail system
KR101276857B1 (ko) 2011-07-27 2013-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제품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시스템
US20130085893A1 (en) 2011-09-30 2013-04-04 Ebay Inc. Acquisition and use of query images with image feature data
KR101295579B1 (ko) 2011-11-15 2013-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TWM454597U (zh) 2011-11-15 2013-06-01 Advanced Combine Marketing Co Ltd 虛擬更衣系統服務裝置
KR20130109721A (ko) 2012-03-28 2013-10-08 (주)네오위즈게임즈 개인 의류 정보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JP2014102739A (ja) * 2012-11-21 2014-06-05 Japan Research Institute Ltd アバターを利用した服飾品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管理方法
KR102204004B1 (ko) 2014-01-16 2021-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히트펌프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JP6490430B2 (ja) * 2014-03-03 2019-03-27 株式会社東芝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338966B2 (ja) * 2014-08-08 2018-06-06 株式会社東芝 仮想試着装置、仮想試着システム、仮想試着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284360B1 (ko) 2014-10-02 2021-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10460199B2 (en) * 2014-11-03 2019-10-29 Terrence A. CARROLL Textile matching using color and pattern recognition and methods of use
CN106033195A (zh) * 2015-03-10 2016-10-19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智能衣物管理装置
JP6830432B2 (ja) * 2015-03-31 2021-02-17 セーレン株式会社 衣服デザイン表示システム、衣服製造システム、衣服デザイン出力システム及び衣服デザイン出力方法
JP6548967B2 (ja) * 2015-06-16 2019-07-24 株式会社東芝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5046280B (zh) 2015-08-10 2018-05-04 北京小豹科技有限公司 一种衣柜智能管理装置及方法
JP2017054283A (ja) * 2015-09-09 2017-03-16 株式会社 アーバンリサーチ アイテム販売システム、アイテム選択装置及びアイテム販売方法
US9671772B2 (en) * 2015-09-24 2017-06-06 Intel Corporation Contextual clothing system
JP2017076315A (ja) * 2015-10-16 2017-04-2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5447800A (zh) 2015-11-14 2016-03-30 北京创美时代办公家具有限公司 一种智能更衣柜管理系统
JP5939603B1 (ja) * 2015-11-24 2016-06-22 エイブル株式会社 ミラーと映像表示機能を有するドア
KR20170060736A (ko) * 2015-11-25 2017-06-02 박진수 오프라인 의류 매장에서 피팅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KR101736804B1 (ko) * 2015-11-30 2017-05-29 김재기 스마트 가구
KR102506531B1 (ko) 2016-01-12 2023-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602847B1 (ko) 2016-06-03 2023-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10592551B2 (en) * 2016-06-16 2020-03-17 Optim Corporation Clothing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clothing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program
CN108022121A (zh) * 2016-10-28 2018-05-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衣柜
KR102565393B1 (ko) * 2016-11-09 2023-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US20180173807A1 (en) * 2016-12-21 2018-06-21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System for managing a wardrobe
RU2637981C1 (ru) * 2017-03-01 2017-12-08 Максим Александрович Попов Комплексный способ подбора и проектирования индивидуально-эргономических физических предметов на основе бесконтактной антропометрии
US10664903B1 (en) * 2017-04-27 2020-05-26 Amazon Technologies, Inc. Assessing clothing style and fit using 3D models of customers
KR102354875B1 (ko) * 2017-05-18 2022-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US20180357981A1 (en) * 2017-06-13 2018-12-13 Misapplied Sciences, Inc. Coordinated multi-view display experiences
CN108166209B (zh) 2018-01-23 2023-09-22 天津市职业大学 一种多功能悬挂式洗衣装置及其洗衣方法
CN108256975A (zh) 2018-01-23 2018-07-06 喻强 基于人工智能为虚拟试衣者提供三维效果的穿搭系统及方法
US10573077B2 (en) * 2018-03-02 2020-02-25 The Matilda Hotel, LLC Smart mirror for location-based augmented reality
CN110680094A (zh) * 2018-07-06 2020-01-14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智能衣橱及其控制方法
CN112703286A (zh) * 2018-09-12 2021-04-23 Lg电子株式会社 衣物登记装置和衣物推荐装置及包括这些装置的线上系统
US11537979B2 (en) * 2018-12-19 2022-12-27 Sujith Samuel Mathew Smart device for optimizing storage space and retrieval tim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9367A1 (ko) * 2020-08-18 2022-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관리 시스템 및 의류 관리 기기
KR102310565B1 (ko) * 2020-12-16 2021-10-08 (주)에스알포스트 의상 추천 장치 및 방법
CN113647760A (zh) * 2021-08-03 2021-11-16 佛山市淇特科技有限公司 智能换衣间及其换衣方法
KR20230039186A (ko) * 2021-09-14 2023-03-21 김봉건 고객 맞춤형 추천 안경 제공 시스템
WO2023095974A1 (ko) * 2021-11-29 2023-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사이니지, 모바일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
KR102451652B1 (ko) * 2022-06-23 2022-10-06 주식회사 지이모션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703286A (zh) 2021-04-23
CN112714812A (zh) 2021-04-27
AU2019338892A1 (en) 2021-04-08
AU2019338892B2 (en) 2023-04-13
RU2768558C1 (ru) 2022-03-24
JP2023040284A (ja) 2023-03-22
RU2770378C1 (ru) 2022-04-15
EP3851572A1 (en) 2021-07-21
JP2022511301A (ja) 2022-01-31
KR20200030472A (ko) 2020-03-20
EP3851571A4 (en) 2022-11-23
US20220031068A1 (en) 2022-02-03
EP3851571A1 (en) 2021-07-21
JP7460813B2 (ja) 2024-04-02
US11910920B2 (en) 2024-02-27
AU2023201999A1 (en) 2023-05-11
US20220042231A1 (en) 2022-02-10
JP7216207B2 (ja) 2023-01-31
JP2021535822A (ja) 2021-12-23
EP3851572A4 (en) 2022-06-08
AU2019337284A1 (en) 2021-04-08
CN112714812B (zh) 2023-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68558C1 (ru) Устройство регистрации одежды и устройство рекомендации одежды, а также онлайновая система, содержащая их
CN108886586B (zh) 用于合成图像的方法及其电子设备
US11164240B2 (en) Virtual garment carousel
US9928411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system, image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8818883B2 (en) Personalized shopping avatar
JP6341646B2 (ja) 試着支援装置及び方法
KR101672299B1 (ko) 의복패턴의 자동맞춤 서비스시스템 및 그 서비스방법 및 이를 이용해 제작되는 맞춤의복
KR101682769B1 (ko) 사용자맞춤형 온라인 패션 코디네이션 자동 매칭방법
JP2009223740A (ja) 服飾商品検索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TW201401222A (zh) 具有虛擬試衣功能的電子裝置及虛擬試衣方法
KR20200023970A (ko) 가상 피팅 지원 시스템
US11301656B2 (en) Clothing having one or more printed areas disguising a shape or a size of a biological feature
KR20190052824A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가상 의류 피팅 미러 장치 시스템
CN110348927A (zh) 信息展示处理方法、装置及门店系统
CN114638929A (zh) 线上虚拟试衣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1989846B1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가상 의류 피팅 기능이 내장된 텔레비전
KR20190052831A (ko) 가상의류 피팅미러 장치를 이용한 의류 구매 시스템
KR20220109994A (ko)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 이의 구동 방법
KR20210130420A (ko) 스마트 삼차원 의류 피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의류 피팅 서비스 제공 방법
CN113011935A (zh) 智能试穿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102593356B1 (ko)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 이의 구동 방법
US20240169414A1 (en) Smart mirror styling system and method
TW202322058A (zh) 資訊處理設備、資訊處理方法、資訊處理系統以及程式
CN113469774A (zh) 一种智能设备及尺码推荐方法
CN115705669A (zh) 用于衣物处理设备的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