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095974A1 - 디지털 사이니지, 모바일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사이니지, 모바일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095974A1
WO2023095974A1 PCT/KR2021/017740 KR2021017740W WO2023095974A1 WO 2023095974 A1 WO2023095974 A1 WO 2023095974A1 KR 2021017740 W KR2021017740 W KR 2021017740W WO 2023095974 A1 WO2023095974 A1 WO 202309597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item
information
digital signage
user
mobi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774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노엘
김민수
박선화
임정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1/01774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095974A1/ko
Publication of WO202309597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09597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3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moving optical part of parts, e.g. mirr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Definitions

  • Digital signage and mobile devices. For example, it can be applied to a series of systems in which clothing-related items of users are registered, arranged, and even automatically purchased using at least one of digital signage and a mobile device.
  •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service that does not require a user to manually input information on clothing-related items that he or she has by modifying and designing a full-length mirror installed in the home.
  •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a more optimized clothing-related recommendation service for a user by additionally mapping other additional information to information on all items related to clothing worn by a user.
  •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for more efficiently managing individual digital closets of family members in consideration of the case where there are multiple family members in the house.
  • a digital signage control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identifying a user located in the digital signage, detecting at least one or more items related to clothes worn by the user, and the detected at least one item. Allocating a unique ID for each one or more items, and transmitting the unique ID mapped to the identified user information to a server or mobile device.
  • a method for controlling a mobile device includes registering information about a user, generating a guideline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registered user, and generating the guide line.
  • the method includes transmitting the line to the digital signage, receiving at least one clothing-related item from the digital signage, and displaying the received at least one clothing-related item.
  • a more optimized clothing-related recommendation service for a user is possible by additionally mapping other additional information to information on all items related to clothing worn by a user.
  • a system for more efficiently managing individual digital closets of family members is provided in consideration of the case where there are multiple family members in the house.
  • FIG.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igital signage and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appearance of a digital sign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in more detail the internal main components of a digital sign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rder in which digital signage operat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ime-sequentially.
  • FIG. 5 is a flow chart showing step S460 shown in FIG. 4 in more detail.
  • FIG. 6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rder of operation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ime-sequentially.
  • FIG. 7 is a flow chart showing step S640 shown in FIG. 6 in more detail.
  • FIG. 8 illustrates digital closets for each user provided by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llustrates an example of a process for 3D modeling a user's bod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llustrates another example of a process of 3D modeling a user's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igital signage and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prior art, defines a digital wardrobe.
  • the digital wardrobe newly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replaces, for example, an internal display installed at the front door of a house with a digital signage, and provides all clothing items optimized for each family member (eg, clothing) through communication with a mobile device.
  • recommendations, recommendation services for hats, accessories, shoes, etc. are automatically made based on other additional information (eg, item color, date, time, weather, etc.) as well as simple usage history it means.
  • the digital signage 100 As shown in (a) of FIG. 1, when a user 101 among family members is located at the front door, the digital signag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ll items worn by the user 101. Automatically extracts and databases information about
  • the digital signage 100 transmits information on clothing-related items for each family member to the mobile device via a server or directly. Accordingly, as shown in (b) of FIG. 1 , the mobile device 150 can display clothing-related items worn by family members.
  • 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appearance of a digital sign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 the digital signage 200 shown in FIG. 2 is designed to be installed, for example, mainly at the entrance of an apartment, so that items related to clothes worn by all family members going out can be extracted.
  • the digital signag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installed at the front door of an apartment, and may be installed elsewhere as long as it is installed in the house and can take pictures of the whole body of family members.
  • the mirror 210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front of the digital signage 200 shown in FIG. 2 , it is possible for the user to be naturally positioned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digital signage 200 . Furthermore, the mirror 210 may additionally function as a display module for displaying a graphic image.
  • various sensors are additionally added to the top of the front of the digital signage 200, making the user's shooting more efficient. designed to bear
  • various components of the digital signage 200 shown in FIG. 2 may be implemented in software or hardware, and an embodiment related to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
  •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in more detail the internal main components of a digital sign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igital signage 300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310, a display module 320, a camera module 330, a controller 340, and a speaker 350. ), a microphone 360, a motion recognition sensor 370 and a proximity sensor 380.
  • a communication module 310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310, a display module 320, a camera module 330, a controller 340, and a speaker 350.
  • a microphone 360 includes a microphone 360, a motion recognition sensor 370 and a proximity sensor 380.
  • the communication module 310 transmits and receives various data such as a server or a mobile device, and the display module 320 is designed to function as a mirror by being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an apartment, for example.
  • the camera module 330 is designed to photograph all items related to clothing worn by family members located around the digital signage 300 .
  • the speaker 350 outputs a voice message guiding the user to stand in a position suitable for photographing an item.
  • the microphone 360 receives and recognizes voices of family members located around the digital signage 300, thereby enabling identification of a user wearing a photographed item.
  • the motion recognition sensor 370 may recognize a specific gesture of the user and may be used to photograph the user based on this recognition.
  • the proximity sensor 380 is used to determine whether a user is located near the digital signage 300 . Therefore, it is also possible to design to replace the role of the motion sensor installed in the front door.
  • the digital signage 300 in order to provide a digital closet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mportant for the digital signage 300 to accurately detect clothing-related items worn by family members located at the front door around the digital signage 300. do.
  • Sensors installed in the digital signage 300 first identify nearby users.
  • the sensor recognizes the user's face through the camera module 330 shown in FIG. 3 or recognizes the user's voice through the microphone 360 shown in FIG.
  • the controller 340 detects at least one or more items related to clothes worn by the user and assigns a unique ID to each of the at least one or more detected items.
  • the communication module 310 transmits the unique ID mapped to the identified user's information to the server or mobile device.
  • the controller 340 controls to display a guideline using the user's body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for example, received through a mobile device), and when the user is located within the guideline, After a predetermined time (eg, 2 seconds count down), the camera of the digital signage controls the user to be photographed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eg, 3 to 4 times) or more.
  • a predetermined time eg, 2 seconds count down
  • the camera of the digital signage controls the user to be photographed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eg, 3 to 4 times) or more.
  • the controller 340 determines whether an item overlapping with at least one item detected through the camera module 330 or the like is stored in the memory.
  • the detected item is provided only when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item and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item stored in the memory are different. assign a unique ID to That is, even if it is the same item, it is als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manage so that it can be stored in the digital closet for each family member.
  • the controller 340 additionally maps at least one of item color information, current season information, date information, day of the week information, temperature information, and humidity information to the unique ID assigned to each item. Accordingly, the digital signag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create a database in which family members usually wear items of which category and in which state.
  • FIG. 4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rder in which digital signage operat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ime-sequentially.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supplement and interpret FIG. 4 with reference to other drawings including FIG. 3 .
  • the digital signage identifies a user located in the digital signage, detects at least one or more items related to clothes worn by the user, and detects at least one or more items related to the clothes worn by the user.
  • a unique ID is assigned to each item, and the unique ID mapped to the identified user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a server or mobile device. An embodiment related to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
  • a family member (user) is located in front of the digital signage installed in the house (S410).
  • digital signage is designed to be installed at the entrance where people tend to look at their appearance as a whole when they go out. Therefore, for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re is no need to significantly change the flow of family members (users).
  • the digital signage identifies a user located in front of the digital signage through a face recognition algorithm or a voice recognition algorithm (S420).
  • the digital signage displays guide lines on the screen in order to more accurately detect all items related to the clothes worn by the user (S430).
  • the digital signage takes pictures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fter a predetermined time (S440), and detects one or more items related to clothes worn by the user (S450).
  • the digital signage determines whether to assign a unique ID to each detected item (S460). A more specific embodiment of the determination proces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
  • digital signage is designed to additionally map at least one of color information, season information, date information, day of the week information, and weather information (eg, temperature / humidity, etc.) to a unique ID assigned to an item,
  • the related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device through the server or directly transmitted to the mobile device (S480).
  • FIG. 5 is a flow chart showing step S460 shown in FIG. 4 in more detail.
  •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determine whether an item overlapping with an item detected from a user currently located in front of the digital signage is stored in the memory (S461).
  •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not to unconditionally delete an image of an item even if it is duplicated. This is because multiple family members can wear the same clothing-related items through digital signage installed in the home, and a digital wardrobe service must be provided separately.
  • FIGS. 4 and 5 have mainly described the operation of the digital sign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ereinafter FIGS. 6 to 8 will describe the operation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rder of operation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ime-sequentially.
  • the mobile device registers user information (eg, height/weight, etc.) (S610).
  • user information eg, height/weight, etc.
  • the mobile device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registered user, the mobile device creates a guideline for the user and designs the generated guideline to be transmitted to digital signage (S620).
  • the mobile device receives at least one clothing-related item from the digital signage.
  • the embodiment in which the digital signage detects items related to the user's clothes has been described in the previous drawings, and even if duplicate descriptions are omitte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repeat the implementation.
  • the mobile device displays at least one or more clothing-related items received from the digital signage or via the server (S630). An embodiment related to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in FIG. 8(a).
  • the mobile device may refer to the database and recommend purchase of a specific item to the user (S640). Embodiments related to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in FIGS. 7 and 8(b).
  • the mobile device determines whether or not to purchase a specific item (S650), and when selected, is connected to various applications or websites for simple payment (S660).
  • FIG. 7 is a flow chart showing step S640 shown in FIG. 6 in more detail.
  • the mobile device determines whether a specific item selected by the user is currently unwearable (S641). For example, if another family member first selects the specific item based on the current point of view, it may be estimated that it cannot be worn.
  • the mobile device is designed to automatically and sequentially access at least one site that sells the same item as the specific item (S642).
  • the mobile device extracts a specific site capable of fastest delivery in comparison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where the digital signage is currently installed, from at least one or more sites extracted in step S642 (S643).
  • the mobile device is designed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payment for the same item as the specific item through the specific site extracted in the step S643 (S644).
  • a specific site with fast delivery is selected based on the location where the digital signage is installed, not the location of the mobile devic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more accurately reflect the user's needs.
  • the mobile device does not recommend a purchase (S645).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n unnecessary purchase recommendation process can be minimized.
  • FIG. 8 illustrates digital closets for each user provided by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mobile device through communication with a digital signage/server, etc., based on at least one of current season information, date information, day of the week information, temperature information, and humidity information, based on a predetermined criterion.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isplay a graphic image recommending a specific item.
  • the predetermined criterion may mean, for example, determining an item worn the most in the current season, date, day of the week, temperature, and humidity as the specific item by referring to previous history.
  • the mobile device 800 displays a message 801 indicating that the specific logged-in user is connected to the digital closet. do.
  • the mobile device detects the current weather and season information, displays a related message 802, and communicates with the digital signage or server through corresponding weather (ex. : To display the most worn items (A hat (803), B necklace (804), C skirt (805)) of a specific user (ex: Mihee) in rainy weather) and season (ex: winter) design
  • a hat 803 which is a specific item, is selected from among the items shown in FIG.
  • the mobile device 810 displays a message 811 identifying the corresponding family member, and displays a warning message 812 indicating that the item cannot be worn when selecting the same item already selected by another user.
  • the mobile device additionally displays items of a similar category as well as the same item as the most worn item in the current season, date, day of the week, temperature, and humidity. Designing to do so also belongs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llustrates an example of a process for 3D modeling a user's bod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igital signage 920 captures the front and side of the whole body of the user located at the front door, and transmits it to the server 910. In addition, height, weight, and gender information 930 of the user are also transmitted to the server 910 through the mobile device.
  • the server 910 has an AI deep learning algorithm inside, and estimates the length of each body part (arm, shoulder, waist, hip, chest, etc.) through 2D joint detection and human parts segmentation, , predict the perimeter through regression analysis.
  • FIG. 10 illustrates another example of a process of 3D modeling a user's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ront and side photos 1001 of the user are transmitted to the server as input data through the camera of the digital signage installed in the front door.
  • the server performs pre-processing, body measurement, and 3D modeling.
  • designing to perform all or part of this process directly in digital signage is also within the scope of other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erver performs perspective correction (1002), human segmentation (1003), human body feature extraction (1004), and estimates the body shape of the user wearing clothes. (estimation of body shape) (1005).
  • the server annotates each body feature (1006), and uses the user's body information (1007) received from the mobile device to respectively Body features of are measured (1008). Then, statistical regression analysis (1009) is performed.
  • the server obtains skinned multi-person linear (SMPL) modeling or a 3D human body shape (1010). Then, a confidence level is determined (1011),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a high confidence level of confidence is present (1012). Finally, only in the case of high reliability, a high-reliability body is measured (1013), and finally, body measurement and 3D modeling are terminated (1014).
  • SMPL skinned multi-person linear
  • the above-described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computer readable code on a medium o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 the computer-readable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Hard Disk Drive (HDD), Solid State Disk (SSD), Silicon Disk Drive (SDD),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etc. , and also includes thos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eg,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 the computer may include the control unit 180 of the terminal. Accordingly,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사이니지의 제어 방법은,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에 위치한 사용자를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착용한 의상 관련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템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템 마다 고유 ID 를 할당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정보에 맵핑된 고유 ID를 서버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사이니지, 모바일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
본 발명의 기술 분야는 디지털 사이니지 및 모바일 디바이스 등이다. 예를 들어, 디지털 사이니지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들의 의상 관련 아이템을 등록, 정리, 자동 구매까지 이루어 지는 일련의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다.
최근 AR, VR 기술 도입에 따라, 가상 아바타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의상을 추천하는 서비스가 논의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 백화점이나 아울렛 매장 등 공개된 장소(public place)에서 1회성으로 제공되고 있는 한계가 있다.
물론, 휴대폰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의상 추천을 받는 것도 고려할 수 있으나, 현재까지 알려진 종래 기술은 사용자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의상에 대한 정보를 반드시 수동으로 입력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댁내 설치된 전신 거울을 변형 설계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의상 관련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수동으로 입력하지 않아도 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는, 사용자가 착용한 의상 관련 모든 아이템에 대한 정보에다가, 다른 부가 정보를 추가적으로 맵핑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최적화된 의상 관련 추천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는, 댁내 다수의 가족 구성원이 존재하는 경우를 고려하여, 가족 구성원 개별 디지털 옷장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사이니지의 제어 방법은,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에 위치한 사용자를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착용한 의상 관련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템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템 마다 고유 ID 를 할당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정보에 맵핑된 고유 ID를 서버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등록된 사용자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가이드 라인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가이드 라인을 디지털 사이니지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로부터 의상 관련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템을 수신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수신된 의상 관련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템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댁내 설치된 전신 거울을 변형 설계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의상 관련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수동으로 입력하지 않아도 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착용한 의상 관련 모든 아이템에 대한 정보에다가, 다른 부가 정보를 추가적으로 맵핑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최적화된 의상 관련 추천 서비스가 가능해 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댁내 다수의 가족 구성원이 존재하는 경우를 고려하여, 가족 구성원 개별 디지털 옷장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한편, 위에서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은 다양한 기술적 효과들 이외에도, 당업자가 당해 출원 명세서 및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 따라 도출되는 효과도 본 발명의 다른 일 특징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사이니지 및 모바일 디바이스를 개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사이니지의 외관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사이니지의 내부 주요 구성들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사이니지가 동작하는 순서를 시계열적으로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S460 단계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디바이스가 동작하는 순서를 시계열적으로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S640 단계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디바이스가 제공하는 사용자별 디지털 옷장들을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를 3D 모델링하는 프로세스의 일예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를 3D 모델링하는 프로세스의 다른 일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사이니지 및 모바일 디바이스를 개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디지털 옷장을 정의한다. 본 발명에서 새롭게 제안하는 디지털 옷장은, 예를 들어, 댁내 현관에 설치된 내부 디스플레이를 디지털 사이니지로 대체하고,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통해 가족 구성원별로 최적화된 모든 의상 아이템들(예를 들어, 의상 추천 뿐만 아니라, 모자, 액세서리, 신발 등등)에 대한 추천 서비스가, 단순 사용 히스토리 뿐만 아니라 다른 부가정보들(예를 들어, 아이템의 색상, 날짜, 시간, 날씨 등)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이루어 지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족 구성원 중 사용자(101)가 현관에 위치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사이니지(100)가 사용자(101)가 착용한 모든 아이템들에 대한 정보를 자동으로 추출하고 데이터베이스화 한다.
그리고, 디지털 사이니지(100)는, 가족 구성원별 의상 관련 아이템들에 대한 정보를, 서버를 경유하여 또는 직접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한다. 따라서,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150)는 가족 구성원별 착용했던 의상 관련 아이템들을 디스플레이 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특히, 도 1의 (a)에 도시된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동작하는 보다 상세한 프로세스들에 대해서는,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 하도록 하겠다. 나아가, 도 1의 (b)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150)가 동작하는 보다 상세한 프로세스들에 대해서는,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 하도록 하겠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사이니지의 외관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디지털 사이니지(200)는 예를 들어, 주로 아파트 현관에 설치되어, 외출하는 모든 가족 구성원이 착용한 의상 관련 아이템들을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설계한다. 다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사이니지(200)가 반드시 아파트 현관에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집안에 설치되어 가족 구성원들의 전신을 촬영할 수 있는 장소라면, 다른 곳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디지털 사이니지(200)의 정면 중앙 부분에는 거울(210)이 설치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디지털 사이니지(200)의 정면 방향에 자연스럽게 위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나아가, 거울(210)은 추가적으로 그래픽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로서도 기능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사이니지(200)의 정면 상단에는 각종 센서들(카메라, 스피커, 마이크, 음성인식센서, 안면/얼굴인식센서, 모션인식센서 등등)이 추가적으로 부가되어, 사용자의 촬영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 지도록 설계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디지털 사이니지(200)의 각종 구성요소들을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할 수 있는데, 이와 관련된 실시예는 이하 도 3에서 보다 상세히 후술 하겠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사이니지의 내부 주요 구성들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사이니지(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모듈(310), 디스플레이 모듈(320), 카메라 모듈(330), 컨트롤러(340), 스피커(350), 마이크(360), 모션인식센서(370) 그리고 근접센서(38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다만,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과정에서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일부 모듈을 삭제, 추가,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따라 결정되어야 한다.
통신 모듈(310)은 서버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 등과 각종 다양한 데이터들을 송수신하며, 디스플레이 모듈(320)은 예를 들어, 아파트 현관에 설치되어 거울로서도 함께 기능하도록 설계한다.
카메라 모듈(330)은, 디지털 사이니지(300) 주변에 위치한 가족 구성원이 착용한 의상 관련 아이템들을 모두 촬영하도록 설계한다.
스피커(350)는, 아이템 촬영에 적합한 위치에 사용자가 설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음성 메시지 등을 출력한다.
마이크(360)는, 디지털 사이니지(300) 주변에 위치한 가족 구성원의 음성을 수신 및 인식함으로써, 촬영된 아이템을 착용한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모션인식센서(370)는, 사용자의 특정 제스쳐를 인식하여,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를 촬영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근접센서(380)는, 사용자가 디지털 사이니지(300) 주변에 위치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현관에 설치된 움직임 감지 센서의 역할을 대체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옷장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사이니지(300)가 디지털 사이니지(300) 주변 현관에 위치한 가족 구성원이 착용한 의상 관련 아이템들을 정확하게 디텍트 하는 것이 중요하다.
디지털 사이니지(300)에 설치된 센서는, 우선 주변 사용자를 식별한다. 여기서 센서는, 도 3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330)을 통해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거나 또는 도 3에 도시된 마이크(360)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한다.
카메라 모듈(330)에 의해 사용자에 대한 전신 촬영이 완료되면, 컨트롤러(340)는, 사용자가 착용한 의상 관련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템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템 마다 고유 ID 를 할당한다.
그리고, 통신 모듈(310)은, 식별된 사용자의 정보에 맵핑된 고유 ID를 서버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한다.
따라서, 가족 구성원별로 착용하였던 아이템들을 별도로 관리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한편, 디지털 사이니지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가 착용한 아이템들을 보다 정확하게 디텍트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를 보다 정확하게 촬영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컨트롤러(340)는, 메모리에 저장된 사용자의 신체 정보(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수신함)를 이용하여 가이드 라인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가이드 라인내에 상기 사용자가 위치한 경우, 기설정된 시간 이후(예를 들어, 2초 카운트 다운)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의 카메라를 통해 상기 사용자를 기설정된 횟수(예를 들어, 3-4회) 이상 촬영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디지털 사이니지는 댁내에 1대만 설치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다수의 가족구성원들을 개별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고, 중복되는 데이터는 저장할 필요가 없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컨트롤러(340)는, 카메라 모듈(330) 등을 통해 검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템과 중복하는 아이템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검출된 아이템과 중복하는 아이템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검출된 아이템에 고유 ID 를 할당한다.
나아가, 상기 판단 결과, 상기 검출된 아이템과 중복하는 아이템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검출된 아이템에 대응하는 사용자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아이템에 대응하는 사용자가 다른 경우에 한하여, 상기 검출된 아이템에 고유 ID 를 할당한다. 즉, 동일한 아이템 이라고 하여도, 가족구성원별로 디지털 옷장에 저장될 수 있도록 관리하는 것도 본 발명의 일특징이다.
그리고, 컨트롤러(340)는, 아이템별로 부여된 고유 ID에, 아이템의 칼라 정보, 현재의 계절 정보, 날짜 정보, 요일 정보, 온도 정보, 습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적으로 맵핑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사이니지(300)는, 어떤 가족구성원이 어떤 카테고리의 아이템을 어떤 상태에서 주로 착용하는지 데이터베이스화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사이니지가 동작하는 순서를 시계열적으로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당업자는 도 3을 포함한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도 4를 보충 해석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사이니지는,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에 위치한 사용자를 식별하고, 상기 사용자가 착용한 의상 관련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템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템 마다 고유 ID 를 할당하고, 그리고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정보에 맵핑된 고유 ID를 서버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한다. 이와 관련된 실시예를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우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댁내 설치된 디지털 사이니지 앞에 가족 구성원(사용자)이 위치한 것으로 가정한다(S410). 특히, 예를 들어, 외출할 때 자신의 모습을 전체적으로 살펴 보는 경향이 높은 현관에 디지털 사이니지가 설치하도록 설계한다. 따라서, 본 발명 적용을 위해, 가족 구성원(사용자)의 동선을 크게 변경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는 얼굴 인식 알고리즘 또는 음성 인식 알고리즘 등을 통해 디지털 사이니지 앞에 위치한 사용자를 식별한다(S420).
나아가, 디지털 사이니지는, 사용자가 착용한 의상 관련 모든 아이템들을 보다 정확하게 검출하기 위하여, 가이드 라인을 화면에 디스플레이 한다(S430).
사용자가 가이드 라인내에서 인식된 경우, 디지털 사이니지는 기설정된 시간 이후, 기설정된 횟수 이상 촬영을 하고(S440), 사용자가 착용한 의상 관련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템들을 검출한다(S450).
그리고, 디지털 사이니지는, 검출된 아이템별로 고유 ID를 할당할지 여부를 판단한다(S460). 판단 프로세스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는 이하 도 5에서 보다 상세히 후술하겠다.
한편, 디지털 사이니지는, 아이템에 부여된 고유 ID에, 칼라 정보, 계절 정보, 날짜 정보, 요일 정보, 날씨 정보(예를 들어, 온도/습도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추가 맵핑하도록 설계하고, 관련 정보를 서버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하거나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직접 전송한다(S480).
따라서, 추후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자(가족 구성원)별로 특정 시점에 선호할 것으로 예상되는 아이템들(예를 들어, 상하의 옷 뿐만 아니라 악세서리, 양말, 신발 등등)을 보다 정확하게 추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S460 단계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현재 디지털 사이니지 앞에 위치한 사용자로부터 검출된 아이템과 중복하는 아이템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설계한다(S461).
상기 판단 결과(S461), 상기 검출된 아이템과 중복하는 아이템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검출된 아이템에 고유 ID 를 부여한다(S4620).
다만, 본 발명에 의하면, 중복되는 경우에도 무조건 아이템의 이미지를 삭제하지 않도록 설계된다. 이는, 댁내 설치된 디지털 사이니지를 통해 다수의 가족 구성원이 동일한 의상 관련 아이템을 착용할 수 있고, 별도로 디지털 옷장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판단 결과(S461), 상기 검출된 아이템과 중복하는 아이템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검출된 아이템에 대응하는 사용자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아이템에 대응하는 사용자가 다른 경우에 한하여, 상기 검출된 아이템에 고유 ID 를 할당한다(S463). 즉, 동일한 사용자가 동일한 아이템을 착용한 경우에만, 고유 ID 를 중복하여 부여하지 않는다.
이상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사이니지의 동작을 주로 설명하였고, 이하 도 6 내지 도 8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동작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디바이스가 동작하는 순서를 시계열적으로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키/몸무게 등)를 등록한다(S610).
상기 등록된 사용자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는 해당 사용자에 대한 가이드 라인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가이드 라인을 디지털 사이니지로 전송하도록 설계한다(S620).
나아가, 모바일 디바이스는, 디지털 사이니지로부터 의상 관련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템을 수신한다. 디지털 사이니지가 사용자의 의상 관련 아이템들을 감지하는 실시예는 이전 도면들에서 설명한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여도 당업자는 반복실시 가능하다.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는, 디지털 사이니지로부터 또는 서버를 경유하여 수신된 의상 관련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템을 디스플레이 한다(S630). 이와 관련된 실시예는 이하 도 8의 (a)에서 보다 상세히 후술하겠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는,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사용자에게 특정 아이템의 구매를 추천할 수도 있다(S640). 이와 관련된 실시예는 이하 도 7 및 도 8의 (b)에서 보다 상세히 후술하겠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디바이스는, 특정 아이템에 대한 구매 선택 여부를 판단하고(S650), 선택시 간편 결제를 할 수 있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사이트로 연결된다(S660).
도 7은 도 6에 도시된 S640 단계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우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아이템이 현재 착용 불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641). 예를 들어, 현재 시점 기준으로 상기 특정 아이템을 다른 가족 구성원이 먼저 선택한 경우, 이를 착용할 수 없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S6410), 착용 불가능한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특정 아이템과 동일한 아이템을 판매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이트에 자동으로 순차적으로 접속하도록 설계한다(S642).
나아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디바이스는, S642 단계에서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이트로부터, 현재 디지털 사이니지가 설치된 위치 정보와 대비하여 가장 빠른 배송이 가능한 특정 사이트를 추출한다(S643).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S643 단계에서 추출된 특정 사이트를 통해 상기 특정 아이템과 동일한 아이템에 대한 결제가 자동으로 이루어 지도록 제어하도록 설계한다(S644). 특히,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가 아닌 디지털 사이니지가 설치된 위치 기반으로 배송이 빠른 특정 사이트를 선택한다는 점에서, 사용자의 니즈를 보다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반면, 상기 판단 결과(S6410),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아이템이 착용 가능한 경우에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구매 추천을 하지 않는다(S645). 따라서, 불필요한 구매 추천 프로세스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이 적용된 모바일 디바이스가 스크린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최적화된 UX(user experience)/UI(user interface)에 대하여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디바이스가 제공하는 사용자별 디지털 옷장들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디바이스는, 디지털 사이니지/서버 등과의 통신을 통해, 현재의 계절 정보, 날짜 정보, 요일 정보, 온도 정보, 습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특정 아이템을 추천하는 그래픽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기설정된 기준은, 예를 들어, 이전 히스토리를 참조하여, 현재의 계절, 날짜, 요일, 온도, 습도에 가장 많이 착용된 아이템을 상기 특정 아이템으로 결정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800)는 로그인한 해당 특정 사용자가 디지털 옷장에 접속되어 있음을 인디케이팅 하는 메시지(801)를 디스플레이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디바이스는, 현재의 날씨 및 계절 정보를 디텍트하고, 관련 메시지(802)를 디스플레이 함과 아울러, 디지털 사이니지 또는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해당 날씨(ex: 비 오는 날씨) 및 계절(ex: 겨울)에 특정 사용자(ex: 미희님)가 가장 많이 착용한 아이템들(A 모자(803), B 목걸이(804), C 치마(805))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설계한다.
한편, 도 8의 (a)에 도시된 아이템들 중에서 특정 아이템인 A 모자(803)를 선택하고, 해당 사용자(ex: 미희님)가 외출한 것으로 가정한다.
이 때,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가족 구성원(ex: 철수님)이 자신의 디지털 옷장을 실행시킨 것으로 추가 가정해 보겠다.
모바일 디바이스(810)는, 해당 가족 구성원을 식별하는 메시지(811)를 디스플레이 하고, 이미 다른 사용자가 선택하였던 동일한 아이템 선택시, 이를 착용할 수 없다는 경고 메시지(812)를 디스플레이 한다.
그리고, 동일한 아이템의 배송이 가장 빠른 특정 사이트를 통해 자동 주문이 이루어 지도록 설계한다(813). 따라서, 가족구성원들끼리 중복되는 아이템을 선택하는 문제점을 실시간으로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디바이스는, 현재의 계절, 날짜, 요일, 온도, 습도에 가장 많이 착용된 아이템과 동일한 아이템 뿐만 아니라 유사한 카테고리의 아이템을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 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그리고, 상기 동일한 아이템 또는 유사한 카테고리의 아이템이 선택된 경우, 구매할 수 있는 사이트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를 3D 모델링하는 프로세스의 일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사이니지(920)는 현관에 위치한 사용자의 정면 및 측면의 전신을 촬영하고, 이를 서버(910)에 전송한다.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키, 몸무게, 성별 정보(930) 역시 서버로(910)로 전송된다.
서버(910)는 내부에 AI 딥러닝 알고리즘을 구비하고 있고, 2D 조인트 디텍션 및 휴먼 파트 세그멘테이션(Human Parts Segmentation)을 통해 각 신체 부위(팔, 어깨, 허리, 엉덩이, 가슴 등)의 길이를 추정하고, 회귀분석을 통해 둘레를 예측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현관앞에 위치한 사용자의 전신에 대한 3D 모델링을 완료한다.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를 3D 모델링하는 프로세스의 다른 일예를 도시하고 있다.
현관에 설치된 디지털 사이니지의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정면 및 측면의 사진(1001)이 입력 데이터로 서버에 전송된다. 그 이후, 서버는 전처리(pre-processing), 신체 측정(body measurement) 및 3D 모델링(Modeling)을 수행한다. 물론, 이 과정 전부 또는 일부를 디지털 사이니지에서 직접 수행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다른 권리범위에 속한다.
서버는 전처리 과정으로서, 투시 보정(perspective correction)(1002), 휴먼 세그멘테이션(human segmentation)(1003), 휴먼 바디 측징 추출(human body feature extraction)(1004) 및 옷을 입고 있는 사용자의 바디 모양을 추정(estimation of body shape)(1005)한다.
그 다음으로서, 서버는 신체 측정(Body Measurement) 과정으로서, 각각의 바디 특징에 주석을 달고(annotation of each body feature)(1006),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신체 정보(1007)를 이용하여 각각의 바디 특징을 측정한다(1008). 그리고, 통계적 회귀 분석(statistical regression analysis)(1009)을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서버는 3D 모델링 과정으로서, SMPL (skinned multi-person linear) 모델링 또는 3D 휴먼 바디 모양(3D human body shape)(1010)을 획득한다. 그리고, 신뢰 레벨(confidence level)을 판단하고(1011), 신뢰할 수 있는 수준의 높은 신뢰성(high confidence)을 가지고 있는지 판단한다(1012). 마지막으로, 높은 신뢰성을 가지는 경우에 한하여, 하이-신뢰성 바디를 측정하고(1013), 최종적으로 신체 수치 측정 및 3D 모델링을 종료한다(1014).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이전 목차인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고, 당업자가 필요에 따라 둘 이상의 도면들에 기재된 실시예들을 결합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본 발명은 예컨대, 디지털 사이니지 및 모바일 디바이스(예를 들어, 휴대폰/스마트폰 등등)에 모두 적용 가능하므로,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인정된다.

Claims (20)

  1. 디지털 사이니지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에 위치한 사용자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착용한 의상 관련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템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템 마다 고유 ID 를 할당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정보에 맵핑된 고유 ID를 서버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의 카메라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거나 또는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의 마이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의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하는 단계는,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이용하여 가이드 라인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가이드 라인내에 상기 사용자가 위치한 경우, 기설정된 시간 이후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의 카메라를 통해 상기 사용자를 기설정된 횟수 이상 촬영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의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템과 중복하는 아이템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검출된 아이템과 중복하는 아이템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검출된 아이템에 고유 ID 를 할당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검출된 아이템과 중복하는 아이템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검출된 아이템에 대응하는 사용자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아이템에 대응하는 사용자가 다른 경우에 한하여, 상기 검출된 아이템에 고유 ID 를 할당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의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 ID에, 아이템의 칼라 정보, 현재의 계절 정보, 날짜 정보, 요일 정보, 온도 정보, 습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적으로 맵핑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의 제어 방법.
  6.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등록된 사용자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가이드 라인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가이드 라인을 디지털 사이니지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로부터 의상 관련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템을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수신된 의상 관련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템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현재의 계절 정보, 날짜 정보, 요일 정보, 온도 정보, 습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특정 아이템을 추천하는 그래픽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기준은,
    이전 히스토리를 참조하여,
    현재의 계절, 날짜, 요일, 온도, 습도에 가장 많이 착용된 아이템을 상기 특정 아이템으로 결정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현재의 계절, 날짜, 요일, 온도, 습도에 가장 많이 착용된 아이템과 동일한 아이템 또는 유사한 카테고리의 아이템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동일한 아이템 또는 유사한 카테고리의 아이템이 선택된 경우, 구매할 수 있는 사이트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아이템이 현재 착용 불가능한 상태인 경우,
    상기 특정 아이템과 동일한 아이템을 판매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이트에 자동으로 순차적으로 접속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이트로부터, 현재 디지털 사이니지가 설치된 위치 정보와 대비하여 가장 빠른 배송이 가능한 특정 사이트를 추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추출된 특정 사이트를 통해 상기 특정 아이템과 동일한 아이템에 대한 결제가 자동으로 이루어 지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11. 디지털 사이니지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에 위치한 사용자를 식별하는 센서;
    상기 사용자가 착용한 의상 관련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템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템 마다 고유 ID 를 할당하는 컨트롤러; 그리고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정보에 맵핑된 고유 ID를 서버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통신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는 카메라 또는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마이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이용하여 가이드 라인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가이드 라인내에 상기 사용자가 위치한 경우, 기설정된 시간 이후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의 카메라를 통해 상기 사용자를 기설정된 횟수 이상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템과 중복하는 아이템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검출된 아이템과 중복하는 아이템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검출된 아이템에 고유 ID 를 할당하고, 그리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검출된 아이템과 중복하는 아이템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검출된 아이템에 대응하는 사용자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아이템에 대응하는 사용자가 다른 경우에 한하여, 상기 검출된 아이템에 고유 ID 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고유 ID에, 아이템의 칼라 정보, 현재의 계절 정보, 날짜 정보, 요일 정보, 온도 정보, 습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적으로 맵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16. 모바일 디바이스에 있어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등록된 사용자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가이드 라인을 생성하는 컨트롤러;
    상기 생성된 가이드 라인을 디지털 사이니지로 전송하고,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로부터 의상 관련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템을 수신하는 통신 모듈; 그리고
    상기 수신된 의상 관련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템을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현재의 계절 정보, 날짜 정보, 요일 정보, 온도 정보, 습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특정 아이템을 추천하는 그래픽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기준은,
    이전 히스토리를 참조하여,
    현재의 계절, 날짜, 요일, 온도, 습도에 가장 많이 착용된 아이템을 상기 특정 아이템으로 결정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현재의 계절, 날짜, 요일, 온도, 습도에 가장 많이 착용된 아이템과 동일한 아이템 또는 유사한 카테고리의 아이템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동일한 아이템 또는 유사한 카테고리의 아이템이 선택된 경우, 구매할 수 있는 사이트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특정 아이템이 현재 착용 불가능한 상태인 경우,
    상기 특정 아이템과 동일한 아이템을 판매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이트에 자동으로 순차적으로 접속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이트로부터, 현재 디지털 사이니지가 설치된 위치 정보와 대비하여 가장 빠른 배송이 가능한 특정 사이트를 추출하고, 그리고
    상기 추출된 특정 사이트를 통해 상기 특정 아이템과 동일한 아이템에 대한 결제가 자동으로 이루어 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PCT/KR2021/017740 2021-11-29 2021-11-29 디지털 사이니지, 모바일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 WO2023095974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17740 WO2023095974A1 (ko) 2021-11-29 2021-11-29 디지털 사이니지, 모바일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17740 WO2023095974A1 (ko) 2021-11-29 2021-11-29 디지털 사이니지, 모바일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95974A1 true WO2023095974A1 (ko) 2023-06-01

Family

ID=86539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7740 WO2023095974A1 (ko) 2021-11-29 2021-11-29 디지털 사이니지, 모바일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3095974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9376A (ko) * 2011-11-04 2013-05-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개인별 의상 추천 장치 및 방법
KR20150087793A (ko) * 2014-01-22 2015-07-30 이상호 스마트 거울 장치와 그에 따른 시스템
JP2018106736A (ja) * 2018-02-13 2018-07-05 株式会社東芝 仮想試着装置、仮想試着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00019389A (ko) * 2018-08-14 2020-02-24 주식회사 케이티 가상 피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방법 및 가상 피팅 서비스 제공 서버
KR20200030471A (ko) * 2018-09-12 2020-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등록장치와 의류추천장치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9376A (ko) * 2011-11-04 2013-05-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개인별 의상 추천 장치 및 방법
KR20150087793A (ko) * 2014-01-22 2015-07-30 이상호 스마트 거울 장치와 그에 따른 시스템
JP2018106736A (ja) * 2018-02-13 2018-07-05 株式会社東芝 仮想試着装置、仮想試着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00019389A (ko) * 2018-08-14 2020-02-24 주식회사 케이티 가상 피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방법 및 가상 피팅 서비스 제공 서버
KR20200030471A (ko) * 2018-09-12 2020-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등록장치와 의류추천장치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020974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about an identified object
WO201503429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and recommending device action using user context
WO2016072714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filter in electronic device
WO2012020927A1 (ko) 통합 영상 검색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WO2016017855A1 (en) Wear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WO2011139115A2 (ko) 증강 현실을 이용하여 인물의 정보에 접근하기 위한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WO2015105234A1 (en) Head mounted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304228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and recommending device action using user context
WO2014030979A1 (en) Method and device for issuing reservation number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EP3362976A1 (en) Automatic product mapping
WO2019078507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 STRESS INDEX CORRESPONDING TO THE ACTIVITY OF A USER
WO2015102126A1 (ko) 얼굴 인식 기술을 이용한 전자 앨범 관리 방법 및 시스템
WO2018151507A1 (ko) 디스플레이 장치와 방법 및 광고 서버
EP3039476A1 (en)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2081887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dvertisement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18164532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augmented reality (ar) experience on user equipment (ue) based on in-device contents
WO2019240343A1 (ko) 사용자 상태에 따른 맞춤형 자기관리정보 제공시스템
WO2018131852A1 (ko) 영상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WO2023095974A1 (ko) 디지털 사이니지, 모바일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
WO2017099473A1 (ko) Voc 수집 방법 및 장치
WO2024101466A1 (ko) 속성 기반 실종자 추적 장치 및 방법
WO2019117463A1 (ko) 증강현실 의류 쇼핑을 위한 웨어러블 글래스 및 증강현실 의류 쇼핑 방법
WO2015009037A1 (ko) 통신 기록 정보를 이용한 그룹 형성 방법 및 장치
WO2019078469A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서비스 제공 방법
WO2019199035A1 (ko) 시선 추적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96575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