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3356B1 -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 이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 이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3356B1
KR102593356B1 KR1020210013666A KR20210013666A KR102593356B1 KR 102593356 B1 KR102593356 B1 KR 102593356B1 KR 1020210013666 A KR1020210013666 A KR 1020210013666A KR 20210013666 A KR20210013666 A KR 20210013666A KR 102593356 B1 KR102593356 B1 KR 102593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tyl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healthcare device
home healthc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3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9989A (ko
Inventor
조수경
조규혁
Original Assignee
조수경
조규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수경, 조규혁 filed Critical 조수경
Priority to KR1020210013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3356B1/ko
Publication of KR20220109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9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3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33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57Indicating the phase of biorhyth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06Q10/0875Itemisation or classification of parts, supplies or services, e.g. bill of mater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nutrition control, e.g. di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sychiatr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출되는 자신의 더미 또는 모습에 다양한 의복, 화장법 등을 적용할 수 있는 동시에, 다이어트 모드, 키친 모드 및 트레이닝 모드를 통해 누구나 자신의 건강을 쉽고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 이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 이의 구동 방법 {Styling device and home healthcare apparatus, the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스타일링(styling) 및 홈 헬스케어 장치, 이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display) 화면에 표출되는 자신의 더미(dummy) 등을 통하여 다양한 의복, 화장법 등을 적용할 수 있고, 다이어트 모드, 키친 모드 및 트레이닝 모드를 통해 사용자의 건강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람이 생활하는데 가장 필수적인 요소를 지칭하는 말로 '의식주'라는 용어가 있듯이, 의복은 우리 생활에 빠질 수 없는 요소이다. 그리고, 이러한 의복은 단순히 추위, 바람 등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는 한정된 기능을 넘어, 최근에는 자신의 신체적 특징 또는 개성을 최대한 부각시키는 이미지(image) 연출의 수단으로서도 활용되고 있다. 이는, 여성 등의 화장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특히, 근래에 들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의 폭넓은 활용으로 인하여, 자신이 착용한 의상 또는 의복의 모습을 사진으로 찍어 다른 사람과 공유하는 방식으로 자신의 개성 등을 표출하는 경우도 많아지고 있다.
도면 1도는 전신 거울을 이용하여 자신의 모습을 촬영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연예나 스포츠(sports) 분야 등에서 인지도가 높은 유명 인사를 일명 '셀럽(celebrity)'이라고도 지칭하는데, 이러한 셀럽 등의 대상체(20)는 전신 거울(10)을 이용하여 자신이 착용하고 있는 의복을 스마트 폰(smart phone)(30) 등을 이용하여 관계망 서비스에 올려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며 자신을 홍보하기도 한다. 그리고, 의복을 착용한 자신의 전신 모습을 확인하고자 하는 것은 굳이 셀럽이 아니더라도 일반인이면 누구나 가지고 있는 니즈(needs)이다.
그런데, 전신 거울(10)을 활용하여 자신의 전체 모습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전신 거울(10)로부터 적절한 거리에 이격되어 있어야 하고, 더 나아가, 사진까지 촬영하기 위해서는 얼굴 등이 가려지는 등의 문제가 있어 다른 사람의 도움이 없으면 상당히 불편하다. 따라서, 많은 셀럽들이 주변의 도움을 받아 거울에 적용된 자신의 전신 모습을 촬영하고 있는 실정이다.
참고로, 본 발명의 설명에서 대상체(20)라고 함은 자신의 전신 모습 등을 확인하기 위하여 카메라(camera) 등에 촬영되는 대상이 되는 셀럽, 사용자, 사람 등의 피사체를 가리키는 명칭으로서, 이하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용어의 통일을 위하여 대상체(20)로 통일하여 호칭하기로 한다.
도면 2도는 종래의 디지털 거울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의복을 착용한 자신의 전신 모습을 확인하기 위하여, 전신 거울(10)이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신 거울(10)은 대상체(20)의 모습을 반사하여 보여주기만 할 뿐이어서, 다양한 의복을 착용한 모습을 확인하기 위하여서는 일일이 옷을 갈아입고 다시 전신 거울(10) 앞에 서야하는 반복을 수행해야 한다.
이러한 행동은 옷 가게에 배치된 전신 거울(10) 앞에서 특히 반복적으로 발생하는데, 이는 구매하고자 하는 의복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옷을 입은 자신의 모습을 확인하고자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정된 탈의 공간, 시간 등의 제약으로 인하여, 실제로는 상점 내에서도 제한된 갯수의 의복을 착용한 모습을 확인할 수 밖에 없었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고자, 촬영장치(41)를 이용하여 대상체(20)의 모습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에서 대상체(20)가 입은 의복을 선택된 의복으로 치환하여 보여주는 종래의 디지털(digital) 거울(40)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디지털 거울(40)은 촬영된 영상에서 대상체(20)에 선택된 의복의 레이어(layer)를 덮는 방식으로, 의복을 입고 있는 자신의 모습을 가상으로 보여준다. 그러나, 종래의 디지털 거울(40)은 영상에서 직접 대상체(20)에 의복을 덧붙여 보여주다 보니, 도면과 같이 초기 적용시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대상체(20)가 움직이는 경우 의복도 함께 따라서 변화되어야 하는데, 렌더링(rendering)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어 레이어된 의복이 대상체(20)의 움직임을 따라가지 못하여 의복과 대상체와의 정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이는 종래의 디지털 거울(40)의 사용자의 만족도 저하로 나타났었다.
또한, 현대사회의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는 교통, 통신 및 과학의 발달로 인하여 농촌이나 도시를 불문하고 일상 생활에서 칼로리를 많이 소모하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소득 증대에 힙입어 사람들이 섭취하는 칼로리의 양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사람들이 비만에 쉽게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한 가구에 한명이 생활하는 1인 가구수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로 인하여 식단이나 건강에 대한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건강한 생활을 영위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삭제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8-181317호(2008.08.07.)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05358호(2007.01.10.)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24784호(2019.03.08.)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5-156190호(2015.08.27.)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52175호(2020.05.14.)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28007호(2015.03.1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의복을 착용한 자신의 전신 모습을 더미를 통하여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한정된 시간 내에 다양한 의복을 가상으로 착용해 볼 수 있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의복과 어울리는 화장법 또는 화장법과 어울리는 의복을 추천 또는 안내할 수 있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다이어트 모드, 키친 모드 및 트레이닝 모드를 통해 누구나 자신의 건강을 쉽고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는 홈 헬스케어 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식별 정보가 확인되는 단계; 상기 식별 정보의 더미(dummy)가 존재하는지 여부가 확인되는 단계; 상기 식별 정보의 더미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식별 정보의 더미가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styling)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식별 정보의 더미가 존재하는지 여부가 확인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식별 정보의 더미가 확인되면, 상기 더미의 갱신이 필요한지 여부가 확인되는 단계; 상기 더미의 갱신이 필요하지 않으면, 상기 더미가 디스플레이(display)에 표시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식별 정보가 확인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식별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식별 정보에는 얼굴 인식 정보, 아이디(ID),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중의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식별 정보가 확인되는 단계 이전에, 부가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부가 정보에는 성명, 별명, 성별, 주소, 나이, 몸무게, 신체 치수 정보 중의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식별 정보의 더미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식별 정보의 더미가 생성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더미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식별 정보의 더미가 확인되면, 상기 더미의 갱신이 필요한지 여부가 확인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더미의 갱신이 필요하면, 상기 식별 정보의 더미가 생성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식별 정보의 더미를 생성되는 단계는 상기 식별 정보의 대상체가 카메라(camera)를 이용하여 촬영되는 단계; 촬영된 영상에서 상기 식별 정보의 대상체의 윤곽을 획득하여 임시 더미가 생성되는 단계; 쵤영된 영상에서 상기 식별 정보의 대상체의 수치 정보가 획득되는 단계; 상기 수치 정보와 부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임시 더미가 보정되어 상기 더미가 생성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수치 정보에는 높이 항목, 둘레 항목, 길이 항목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쵤영된 영상에서 상기 식별 정보의 대상체의 수치 정보가 획득되는 단계는 삼각 측량을 이용하여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식별 정보가 확인되는 단계 이후에, 스타일링 모드(mode), 뷰티(beauty) 모드 또는 트레이닝(training) 모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더미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단계 이후에, 카메라에 촬영되는 상기 식별 정보의 대상체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상기 더미가 움직이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더미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더미에 적용될 의복 모델(model)이 선택 또는 추천되는 단계; 상기 의복 모델이 상기 더미에 적용되어 표현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더미에 적용될 의복 모델이 선택 또는 추천되는 단계는 상기 식별 정보의 의복 모델 저장소 또는 서버의 공유 의복 모델 저장소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더미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단계 이후에, 의복 모델이 생성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의복 모델이 생성되는 단계는 의복이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되는 단계; 촬영된 영상에서 상기 의복의 윤곽을 획득하여 임시 의복 모델이 생성되는 단계; 촬영된 영상에서 상기 의복의 사이즈(size) 정보가 획득되는 단계; 상기 사이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임시 의복 모델이 보정되어 상기 의복 모델이 생성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사이즈 정보에는 높이 항목, 둘레 항목, 길이 항목 중에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둘레 항목은 촬영된 영상에서 상기 식별 정보의 대상체의 두께 길이를 기설정된 공식에 의하여 변환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의복 모델이 생성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의복 모델이 상기 식별 정보의 의복 모델 저장소 또는 서버의 공유 의복 모델 저장소에 저장되는 단계; 상기 의복 모델의 사이즈 정보가 저장된 의복 사진이 형성되며 상기 식별 정보의 의복 모델 저장소 또는 서버의 공유 의복 모델 저장소에 저장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더미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단계 이후에, 의복 사진이 검색되어 선택되는 단계; 상기 의복 사진에 사이즈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가 확인되는 단계; 포함된 경우, 상기 사이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의복 사진에서 추출된 의복의 의복 모델을 생성하고, 상기 의복 모델이 상기 더미에 적용되어 표현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의복 사진에 사이즈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가 확인되는 단계 이후에, 미포함된 경우, 상기 의복 사진에서 추출된 의복 및 상기 더미의 수치 정보를 이용하여 의복 모델을 생성하고, 상기 의복 모델이 상기 더미에 적용되어 표현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더미에 적용될 의복 모델(model)이 선택 또는 추천되는 단계에서, 추천되는 상기 의복 모델은 콘솔의 위치 정보에서의 날씨 정보, 상기 식별 정보의 기분 정보, 상기 식별 정보의 선호도 정보, 유행정보수집부에서 수집한 의복, 화장에 대한 유행 정보, 뷰티 모드에서 선택된 화장법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추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스타일링 모드, 뷰티(beauty) 모드 또는 트레이닝 모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단계 이후에, 뷰티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식별 정보의 대상체의 안면이 디스플레이에 표출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뷰티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식별 정보의 대상체의 안면이 디스플레이에 표출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안면의 피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출되는 상기 안면에 선택 또는 추천되는 화장법이 적용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출되는 상기 안면에 선택 또는 추천된 화장법이 적용되는 단계에서, 추천되는 상기 화장법은 상기 피부 정보, 콘솔의 위치 정보에서의 날씨 정보, 상기 식별 정보의 기분 정보, 상기 식별 정보의 선호도 정보, 유행정보수집부에서 수집한 의복, 화장에 대한 유행 정보, 스타일링 모드에서 선택된 의복 모델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추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카메라; 디스플레이; 식별 정보에 따른 더미가 저장된 더미 저장부; 상기 카메라에 촬영되는 상기 식별 정보의 대상체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상기 더미가 움직이도록 제어하는 연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식별 정보 또는 부가 정보를 저장하는 개인 정보 저장부;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식별 정보의 상기 더미를 생성하는 더미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스타일링 모드, 뷰티 모드 및 트레이닝 모드를 포함하는 모드 중에서 선택된 모드를 기억하며, 선택된 모드에 따라 상기 더미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현되는 영역을 조절하는 모드 기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식별 정보에 따른 의복 모델 저장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다른 식별 정보와 공유되는 공유 의복 모델 저장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콘솔의 위치 정보에서의 날씨 정보, 상기 식별 정보의 기분 정보, 상기 식별 정보의 선호도 정보, 유행정보수집부에서 수집한 의복, 화장에 대한 유행 정보, 뷰티 모드에서 선택된 화장법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의복 모델 저장소 또는 상기 공유 의복 모델 저장소에 저장된 의복 모델을 추천하는 의복 모델 추천부; 선택 또는 상기 의복 모델 추천부에서 추천된 상기 의복 모델을 상기 더미에 적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출하는 의복 모델 적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의복 모델을 생성하는 의복 모델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식별 정보의 대상체의 안면의 피부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하는 피부 정보 저장부; 상기 피부 정보, 상기 콘솔의 위치 정보에서의 상기 날씨 정보, 상기 식별 정보의 상기 기분 정보, 상기 식별 정보의 선호도 정보, 유행정보수집부에서 수집한 의복, 화장에 대한 유행 정보, 스타일링 모드에서 선택된 의복 모델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화장법을 추천하는 화장법 추천부; 선택 또는 상기 화장법 추천부에서 추천된 화장법을 상기 안면에 적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출하는 화장 적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의복에서 사이즈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사이즈 정보가 포함된 의복 사진을 생성하는 사이즈 정보를 지닌 의복 사진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콘솔의 식별번호, 위치 정보, 유심 정보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콘솔의 식별 번호가 유효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콘솔 인증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정보를 주고받는 송수신부; 개인 정보, 부가 정보 및 의복에 대한 기본 정보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카메라,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더미 저장부, 상기 연동부, 상기 개인 정보 저장부, 상기 더미 생성부, 상기 모드 기억부, 상기 의복 모델 저장소, 상기 공유 의복 모델 저장소, 상기 의복 모델 추천부, 상기 의복 모델 적용부, 상기 의복 모델 생성부, 상기 피부 정보 저장부, 상기 화장법 추천부, 상기 화장 적용부, 상기 콘솔 인증부, 상기 송수신부, 상기 입력부 사이의 정보 교환 및/또는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모드 기억부는 스타일링 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더미가 상기 디스플레이 전체를 통하여 표현되도록 하며, 뷰티 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더미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부분에 표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더미 저장부에 상기 식별 정보의 더미가 존재하지 않거나 갱신이 필요하면, 상기 더미 생성부에 상기 더미의 생성을 지시하며, 최적의 더미 생성을 위한 안내 문구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식별 정보에는 얼굴 인식 정보, 아이디,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중의 하나 이상이 포함되고, 상기 부가 정보에는 성명, 별명, 성별, 주소, 나이, 몸무게, 신체 치수 정보 중의 하나 이상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더미 생성부는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에서 상기 식별 정보의 대상체의 윤곽을 획득하여 임시 더미를 생성하고, 상기 영상에서 상기 식별 정보의 대상체의 수치 정보를 획득한 뒤, 상기 수치 정보와 부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임시 더미를 보정하여 상기 더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수치 정보에는 높이 항목, 둘레 항목, 길이 항목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수치 정보는 삼각측량 또는, 입체사진 측정법, 실루엣 측정법, 모아레 측정법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의복 모델 생성부는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에서 의복의 윤곽을 획득하여 임시 의복 모델을 생성하고, 상기 영상에서 상기 의복의 사이즈 정보를 획득한 뒤, 상기 사이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임시 의복 모델을 보정하여 상기 의복 모델을 생성하며, 상기 의복 모델을 상기 식별 정보의 의복 모델 저장소 또는 서버의 공유 의복 모델 저장소에 저장토록 요청하며, 상기 의복 모델의 상기 사이즈 정보가 저장된 의복 사진을 형성한 뒤, 상기 식별 정보의 상기 의복 모델 저장소 또는 상기 서버의 상기 공유 의복 모델 저장소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사이즈 정보에는 높이 항목, 둘레 항목, 길이 항목 중에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의복 모델 생성부는 의복 사진이 검색되어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의복 사진에 사이즈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사이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의복 사진에서 추출된 의복의 의복 모델을 생성하고, 상기 의복 사진에 사이즈 정보가 미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더미의 수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의복 사진에서 추출된 의복의 의복 모델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서버로부터 콘솔의 식별 번호가 유효한지 여부가 확인되는 단계; 식별 정보가 확인되는 단계; 상기 식별 정보의 더미(dummy)가 존재하는지 여부가 확인되는 단계; 상기 식별 정보의 더미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식별 정보의 더미가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styling)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식별 정보의 더미가 존재하는지 여부가 확인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식별 정보의 더미가 확인되면, 상기 더미의 갱신이 필요한지 여부가 확인되는 단계; 상기 더미의 갱신이 필요하지 않으면, 상기 더미가 디스플레이(display)에 표시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식별 정보의 더미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식별 정보의 더미가 생성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더미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콘솔(console)의 식별 번호, 위치 정보, 유심(USIM, User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정보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 데이터(data)가 서버(server)에 제공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서버로부터 콘솔의 식별 번호가 유효한지 여부가 확인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식별 번호가 유효하지 않으면 이에 대한 알람이 제공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식별 정보의 더미가 확인되면, 상기 더미의 갱신이 필요한지 여부가 확인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더미의 갱신이 필요하면, 상기 식별 정보의 더미가 생성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더미의 갱신이 필요한지 여부가 확인되는 단계는 선택에 따라 또는 주기적으로 확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식별 정보의 더미를 생성되는 단계는 상기 식별 정보의 대상체가 카메라(camera)를 이용하여 촬영되는 단계; 촬영된 영상에서 상기 식별 정보의 대상체의 윤곽을 획득하여 임시 더미가 생성되는 단계; 쵤영된 영상에서 상기 식별 정보의 대상체의 수치 정보가 획득되는 단계; 상기 수치 정보와 부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임시 더미가 보정되어 상기 더미가 생성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수치 정보에는 높이 항목, 둘레 항목, 길이 항목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높이 항목에는 키, 목뒤높이, 목옆높이, 어깨가쪽높이, 겨드랑높이, 젖가슴 높이, 허리 높이, 배꼽수준허리높이, 엉덩이높이, 다리벌린샅높이, 무릅뼈가운데높이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둘레 항목에는 목밑둘레, 가슴둘레, 젖가슴둘레, 허리둘레, 배꼽수준허리둘레, 엉덩이둘레, 넙다리둘레, 무릅둘레, 장딴지둘레, 발목최대둘레, 편위팔둘레, 편팔꿈치둘레, 손목둘레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길이 항목에는 어깨길이, 어깨가쪽길이, 뒷목어깨가쪽길이, 겨드랑뒤접힘사이길이, 앞중심길이, 등길이, 엉덩이옆길이, 팔길이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식별 정보의 대상체를 카메라(camera)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단계 이전에, 최적의 더미 생성을 위한 안내 문구가 디스플레이에 표출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쵤영된 영상에서 상기 식별 정보의 대상체의 수치 정보가 획득되는 단계는 입체사진 측정법, 실루엣( silhouette) 측정법, 모아레(moire) 측정법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식별 정보가 확인되는 단계 이후에, 스타일링 모드, 뷰티(beauty) 모드 또는 트레이닝(training) 모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스타일링 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더미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체를 통하여 표현되며, 뷰티 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더미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부분에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더미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더미에 적용될 의복 모델(model)이 선택 또는 추천되는 단계; 상기 의복 모델이 상기 더미에 적용되어 표현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더미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단계 이후에, 의복 모델이 생성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의복 모델이 생성되는 단계 이전에, 의복에 대한 기본정보가 입력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기본 정보에는 의복 종류, 사이즈 정보, KS규격을 포함한 치수 호칭, 제조사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의복에 대한 기본정보가 입력되는 단계는 상기 의복의 태그(tag) 또는 라벨(label)이 촬영되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사이즈 정보에는 높이 항목, 둘레 항목, 길이 항목 중에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높이 항목에는 중의장 길이, 상의장 길이, 총장 길이, 밑위 길이, 하장 길이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길이 항목에는 우 어깨 길이, 좌 어깨 길이, 팔 길이, 오형 길이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둘레 항목에는 목 둘레 길이, 목 둘레 전면 폭 길이, 상동 둘레 길이, 중동 둘레 길이, 다리 통 길이, 부리 길이, 허리 길이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복이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되는 단계;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 의복의 사이즈 정보가 획득되는 단계; 상기 사이즈 정보가 포함된 의복 사진이 저장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더미에 적용될 의복 모델(model)이 선택 또는 추천되는 단계에서, 추천되는 상기 의복 모델은 콘솔의 위치 정보에서의 날씨 정보, 상기 식별 정보의 기분 정보, 상기 식별 정보의 선호도 정보, 유행정보수집부에서 수집한 의복, 화장에 대한 유행 정보, 뷰티 모드에서 선택된 화장법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추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스타일링 모드, 뷰티(beauty) 모드 또는 트레이닝 모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단계 이후에, 뷰티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식별 정보의 대상체의 안면이 디스플레이에 표출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뷰티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식별 정보의 대상체의 안면이 디스플레이에 표출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안면의 피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출되는 상기 안면에 선택 또는 추천되는 화장법이 적용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출되는 상기 안면에 선택 또는 추천된 화장법이 적용되는 단계에서, 추천되는 상기 화장법은 상기 피부 정보, 콘솔의 위치 정보에서의 날씨 정보, 상기 식별 정보의 기분 정보, 상기 식별 정보의 선호도 정보, 유행정보수집부에서 수집한 의복, 화장에 대한 유행 정보, 스타일링 모드에서 선택된 의복 모델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추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기분 정보, 선호도 정보는 질의되는 문항에서 선택된 사항 또는 상기 식별 정보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에 기재된 내용을 기반으로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날씨 정보는 기상청의 서버로부터 수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콘솔의 식별 번호, 위치 정보, 유심(usim) 정보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된 데이터가 수신되는 단계; 상기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콘솔이 분실, 인증 미비를 포함하는 인증 거절 사유가 있는 경우, 상기 식별 번호가 유효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가 송신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카메라; 디스플레이; 식별 정보에 따른 더미가 저장된 더미 저장부; 상기 카메라에 촬영되는 상기 식별 정보의 대상체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상기 더미가 움직이도록 제어하는 연동부; 콘솔의 위치 정보에서의 날씨 정보, 상기 식별 정보의 기분 정보, 상기 식별 정보의 선호도 정보, 유행정보수집부에서 수집한 의복, 화장에 대한 유행 정보, 뷰티 모드에서 선택된 화장법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의복 모델 저장소 또는 상기 공유 의복 모델 저장소에 저장된 의복 모델을 추천하는 의복 모델 추천부; 선택 또는 상기 의복 모델 추천부에서 추천된 상기 의복 모델을 상기 더미에 적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출하는 의복 모델 적용부; 상기 식별 정보의 대상체의 안면의 피부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하는 피부 정보 저장부; 상기 피부 정보, 상기 콘솔의 위치 정보에서의 상기 날씨 정보, 상기 식별 정보의 상기 기분 정보, 상기 식별 정보의 선호도 정보, 유행정보수집부에서 수집한 의복, 화장에 대한 유행 정보, 스타일링 모드에서 선택된 의복 모델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화장법을 추천하는 화장법 추천부; 선택 또는 상기 화장법 추천부에서 추천된 화장법을 상기 안면에 적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출하는 화장 적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날씨 정보는 기상청의 서버로부터 수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식별 정보 또는 부가 정보를 저장하는 개인 정보 저장부;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식별 정보의 상기 더미를 생성하는 더미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스타일링 모드, 뷰티 모드 및 트레이닝 모드를 포함하는 모드 중에서 선택된 모드를 기억하며, 선택된 모드에 따라 상기 더미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현되는 영역을 조절하는 모드 기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식별 정보에 따른 의복 모델 저장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다른 식별 정보와 공유되는 공유 의복 모델 저장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의복 모델을 생성하는 의복 모델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의복에서 사이즈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사이즈 정보가 포함된 의복 사진을 생성하는 사이즈 정보를 지닌 의복 사진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기분 정보, 상기 선호도 정보는 질의되는 문항에서 선택된 사항 또는 상기 식별 정보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에 기재된 내용을 기반으로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콘솔의 식별번호, 위치 정보, 유심 정보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콘솔의 식별 번호가 유효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콘솔 인증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정보를 주고받는 송수신부; 개인 정보, 부가 정보 및 의복에 대한 기본 정보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카메라,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더미 저장부, 상기 연동부, 상기 개인 정보 저장부, 상기 더미 생성부, 상기 모드 기억부, 상기 의복 모델 저장소, 상기 공유 의복 모델 저장소, 상기 의복 모델 추천부, 상기 의복 모델 적용부, 상기 의복 모델 생성부, 상기 피부 정보 저장부, 상기 화장법 추천부, 상기 화장 적용부, 상기 콘솔 인증부, 상기 송수신부, 상기 입력부 사이의 정보 교환 및/또는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더미 생성부는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에서 상기 식별 정보의 대상체의 윤곽을 획득하여 임시 더미를 생성하고, 상기 영상에서 상기 식별 정보의 대상체의 수치 정보를 획득한 뒤, 상기 수치 정보와 부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임시 더미를 보정하여 상기 더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수치 정보에는 높이 항목, 둘레 항목, 길이 항목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높이 항목에는 키, 목뒤높이, 목옆높이, 어깨가쪽높이, 겨드랑높이, 젖가슴 높이, 허리 높이, 배꼽수준허리높이, 엉덩이높이, 다리벌린샅높이, 무릅뼈가운데높이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둘레 항목에는 목밑둘레, 가슴둘레, 젖가슴둘레, 허리둘레, 배꼽수준허리둘레, 엉덩이둘레, 넙다리둘레, 무릅둘레, 장딴지둘레, 발목최대둘레, 편위팔둘레, 편팔꿈치둘레, 손목둘레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길이 항목에는 어깨길이, 어깨가쪽길이, 뒷목어깨가쪽길이, 겨드랑뒤접힘사이길이, 앞중심길이, 등길이, 엉덩이옆길이, 팔길이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기본 정보에는 의복 종류, 사이즈 정보, KS규격을 포함한 치수 호칭, 제조사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기본 정보는 카메라가 의복의 태그(tag)를 촬영함으로써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의복 모델 생성부는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에서 의복의 윤곽을 획득하여 임시 의복 모델을 생성하고, 상기 영상에서 상기 의복의 사이즈 정보를 획득한 뒤, 상기 사이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임시 의복 모델을 보정하여 상기 의복 모델을 생성하며, 상기 의복 모델을 상기 식별 정보의 의복 모델 저장소 또는 서버의 공유 의복 모델 저장소에 저장토록 요청하며, 상기 의복 모델의 상기 사이즈 정보가 저장된 의복 사진을 형성한 뒤, 상기 식별 정보의 상기 의복 모델 저장소 또는 상기 서버의 상기 공유 의복 모델 저장소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사이즈 정보에는 높이 항목, 둘레 항목, 길이 항목 중에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높이 항목에는 중의장 길이, 상의장 길이, 총장 길이, 밑위 길이, 하장 길이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길이 항목에는 우 어깨 길이, 좌 어깨 길이, 팔 길이, 오형 길이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둘레 항목에는 목 둘레 길이, 목 둘레 전면 폭 길이, 상동 둘레 길이, 중동 둘레 길이, 다리 통 길이, 부리 길이, 허리 길이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현재 모드(mode)가 확인되는 단계; 현재 모드가 다이어트(diet) 모드인 경우, 사용자로부터 체성분분석정보와 다이어트 목표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 현재 모드가 키친(kitchen)모드인 경우, 사용자의 레시피(recipe) 요청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다이어트 목표를 달성하는데 적합한 칼로리(calorie) 값을 갖는 레시피를 선정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현재 모드가 트레이닝(training) 모드인 경우, 상기 다이어트 목표에 따라 소모해야할 목표 칼로리 값과 이미 소모한 칼로리 값을 체크(check)하고 그 체크 결과에 따라 추가로 소모할 칼로리 값과 운동방법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styling) 및 홈(home) 헬스케어(healthcare) 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체성분분석정보는 인바디(Inbody) 정보와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인바디 정보는 몸의 구성 성분인 수분, 지방, 단백질, 무기질, 체중, 골격근량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방법.
또한, 상기 다이어트 모드는 사용자의 건강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건강관련 정보는 사용자의 과체중, 비만, 콜레스테롤(cholesterol), 고혈압 및 당뇨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건강관련 정보는 사용자의 바이오리듬(biorhythm), 사용자의 취향 및 선호도 변화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키친 모드는 상기 레시피를 선정하여 표시하기 이전에 사용자의 음식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키친 모드는 상기 레시피를 선정하여 표시하기 이전에 저장고에 보관중인 음식 또는 재료의 재고 리스트(list)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재고 리스트는 상기 저장고에 보관중인 음식 또는 재료를 촬영한 사진을 분석하여 작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재고 리스트는 입고일자, 명칭, 중량, 칼로리, 영양정보, 원재료명, 주의사항, 알레르기(allergy) 표시, 보관방법, 제조원, 판매처, 원산지, 구입처, 금액, 유통기한 및 비고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재고 리스트는 영수증을 촬영하여 작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키친 모드는 상기 레시피를 선정하여 표시할 때, 상기 레시피를 문자, 사진,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키친 모드는 상기 레시피를 선정하여 표시한 후, 사용자가 섭취한 칼로리 값을 분석 및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가 섭취한 칼로리 값의 분석은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의 사진을 분석한 정보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사진은 미러(mirror)나 스마트폰(smartphone)의 카메라(camera)로 촬영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트레이닝 모드는 상기 소모할 칼로리 값과 운동방법을 표시한 후, 소정 주기로 사용자의 다이어트 목표를 체크하여 달성 정도를 더미에 반영하여 보여주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소정 주기는 1일, 1주일, 1달 및 복수의 달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카메라; 디스플레이(display); 음식의 칼로리 정보가 저장되는 칼로리 저장부; 사용자에게 추천할 레시피가 저장되는 레시피 저장부; 및 상기 레시피에 사용될 음식 또는 재료 정보가 저장되는 음식재료 저장부;를 포함하되, 다이어트모드에서 사용자의 다이어트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식사를 관리하고, 사용자의 다이어트 목표를 달성하는데 적절한 칼로리 값을 갖는 레시피들을 레시피 저장부와 인터넷에서 검색하여 그 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키친모드에서 사용자의 다이어트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식사를 관리하고, 적절한 칼로리 값을 갖는 레시피들을 레시피 저장부와 인터넷에서 검색하여 그 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트레이닝모드에서 사용자로 하여금 다이어트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식사 때 마다 섭취해야할 칼로리와 사용자가 실제로 섭취한 칼로리를 비교하여 초과로 섭취한 칼로리를 소모하는데 적당한 운동을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장소 내의 음식 또는 재료가 확인되는 단계; 상기 저장소 내의 음식 또는 재료를 이용하여 제조 가능한 레시피(recipe)가 안내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저장소 내의 음식 또는 재료가 확인되는 단계 이전에, 식별 정보에서 다이어트 모드(diet mode)가 선택되었는지 여부가 확인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저장소 내의 음식 또는 재료를 이용하여 제조 가능한 레시피(recipe)가 안내되는 단계에서, 상기 레시피는 상기 식별 정보의 현재 칼로리(calorie) 값이 목표 칼로리 값을 추종하도록 현재 시간을 반영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저장소 내의 음식 또는 재료를 이용하여 제조 가능한 레시피(recipe)가 안내되는 단계 이후에, 식별 정보의 섭취 칼로리 값이 저장되는 단계; 상기 섭취 칼로리 값이 상기 식별 정보의 현재 칼로리 값에 반영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섭취 칼로리 값을 이용하여, 상기 식별 정보의 현재 칼로리 값에 반영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식별정보의 더미(dummy)에 상기 현재 칼로리 값이 반영된 모습을 시간 흐름에 따라 보여주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현재 시간의 반영은 24시에 근접할수록 가중치를 두어 상기 현재 칼로리 값이 상기 목표 칼로리 값에 빠르게 추종되도록 반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저장소 내의 음식 또는 재료가 확인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저장소 내에 저장되는 음식 또는 재료에 정보가 갱신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저장소 내에 저장되는 음식 또는 재료에 정보가 갱신되는 단계는사진 또는 기록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식별 정보의 다이어트 목표가 입력되는 단계; 상기 다이어트 목표를 기반으로 목표 칼로리 값이 계산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식별 정보의 다이어트 목표가 입력되는 단계 이전에, 식별 정보의 체성분분석정보, 더미(dummy)를 기반으로 기초대사량, 활동대사량이 계산 또는 측정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다이어트 목표를 기반으로 목표 칼로리 값이 계산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식별 정보의 소모 칼로리 값이 수집되는 단계; 상기 식별 정보의 섭취 칼로리 값이 수집되는 단계; 상기 섭취 칼로리 값과 상기 소모 칼로리 값을 이용하여 현재 칼로리 값이 계산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기초 대사량은 상기 체성분분석정보에서 체중 값, 상기 더미에서 키 값을 이용하되, 기초대사량 산출공식을 이용하여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섭취 칼로리 값은 사진 또는 기록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재 칼로리 값이 수신되는 단계; 소모 칼로리 값이 수집되는 단계; 상기 소모 칼로리 값을 기반으로 상기 현재 칼로리 값이 갱신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소모 칼로리 값을 기반으로 상기 현재 칼로리 값이 갱신되는 단계 이후에, 식별정보의 더미에 상기 현재 칼로리 값이 반영된 모습을 시간 흐름에 따라 보여주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현재 칼로리 값이 수신되는 단계 이전에, 식별 정보에서 다이어트 모드가 선택되었는지 여부가 확인되는 단계; 및 목표 칼로리 값이 수신되는 단계;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소모 칼로리 값이 수집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목표 칼로리, 상기 현재 칼로리 값을 기초로 운동방법이 추천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표 칼로리 값, 상기 섭취 칼로리 값, 상기 현재 칼로리 값은 하루 동안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소모 칼로리는 기록에 의하여 계산되어 수집되거나, 웨어러블(wearable) 기기, 운동 기기, 레저(leisure) 기기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통신수단이 구비된 장치를 통하여 수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사진에는 칼로리 정보가 메타 데이터(meta data)로서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사진에는 칼로리 정보가 메타 데이터로서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실제로 의복을 착용하지 않아도, 더미 또는 아바타(avatar)에 적용된 의복의 모습을 바탕으로 실제 착용시의 모습을 예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하여, 오프라인(offline) 보다는 온라인(online)에서 구매를 원하는 사용자는 굳이 오프라인 매장에 가보지 않고도 더미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맞는 의복을 찾아서 적용해 보고 자신에게 맞는 의복을 구입할 수 있다.
둘째, 의복을 착용한 상태의 자신의 전신 모습을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개성있는 의복을 착용한 자신의 전신 모습을 촬영하여 외부에 알리고자 하는 등의 셀럽 등의 니즈(needs)를 효율적으로 반영할 수 있다.
셋째, 제한된 시간 동안에 다양한 의복을 가상으로 착용해 볼 수 있어서, 자신에게 어울리는 옷을 찾는데의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특히, 영상이 아닌 더미에 의복 모델(model)을 적용함으로써 의복의 착용상태를 빠르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의복을 이용하여 의복 모델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방식을 통하여 보유하고 있는 의복의 효율적 관리가 가능해지는 효과도 있다. 또한. 라벨 등에 포함된 정보가 기본 정보로 저장되는 경우 세탁 방식 등을 기억하여 향후 의복(50)에 대한 관리 방법 등을 안내하는 역할도 할 수도 있다.
다섯째, 인터넷(internet) 상의 의복 사진을 통하여서도 자신의 더미에 스타일링을 적용해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사이즈 정보가 저장된 의복 사진을 생성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즉, 자신이 구비하고 있지 않지만 관심이 있는 의복에 대하여서도 가상으로 착용한 체험을 할 수 있다.
여섯째, 날씨 상황, 대상체의 기분, 적용된 화장법 등에 따라서 추천되는 의복을 통하여 사용자가 경험할 수 있는 스타일링의 폭이 늘어나는 효과도 있다. 따라서, 전문적인 스타일링을 경험하는 듯한 체험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곱째, 대상체의 피부 정보, 날씨장보, 기분 정보, 선호도 정보, 유행 정보, 선택된 의상 등을 점검하여 알맞는 화장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여덟째, 자신의 전신 모습을 표출할 수 있는 기능을 활용하여, 홈 트레이닝(home training), 다이어트 분야 등의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구체적으로, 자신이 운동하는 모습이 강사가 가르키는 것에 맞추어 올바르게 운동할 수 있는지 확인할 수 있어서 운동의 효과가 증대될 뿐 아니라, 다른 사람이 운동하는 모습도 확인할 수 있어서 일종의 경쟁감을 느끼게 하여 운동이 지겹지 않도록 도와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홉째,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는 사이즈 정보가 저장된 의복 사진을 생성하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앞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예를 들어, 원단을 구매하여 웃본을 생성해 맞춤 옷 등을 만들 수도 있다.
열번째, 얼굴, 홍체 지문, 지정맥 등을 인식하여 식별 정보를 구분하여 로그인이 가능하므로, 불편한 절차가 없이 곧바로 해당 식별 정보에 맞는 의복 모델(CM)을 추천하거나 화장법(MM) 등을 곧바로 안내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열한번째,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는 콘솔(console), 완제품 또는 서버(server)를 통한 제공 등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선택의 폭이 넓어지는 효과가 있다.
열두번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가 더미에 사용자의 다이어트 목표또는 비만도를 반영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적인 상태 예를 들어, 과체중, 비만, 콜레스테롤, 고혈압 및 당뇨 등의 상태를 용이하게 인식하거나, 얼굴의 비대칭여부, 걸음거리 이상 등으로 나타나는 뇌질환 등을 용이하게 인식하여 적절한 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열세번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가 키친 모드에서 사용자로 하여금 목표로 하는 다이어트에 성공할 수 있도록 식사를 관리하고, 디스플레이를 통해 식사정보들을 알려 줌으로써, 사용자는 다이어트 식사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도 식사를 통해 적절한 칼로리 값을 섭취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열네번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가 트레이닝 모드에서 사용자로 하여금 다이어트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식사 때 마다 섭취해야 할 칼로리와 사용자가 실제로 섭취한 칼로리를 비교하고, 초과로 섭취한 칼로리를 소모하는데 적당한 운동 등을 제시 함으로써, 사용자는 목표로 하는 다이어트 계획을 좀 더 손쉽게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면 1도는 전신 거울을 이용하여 자신의 모습을 촬영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2도는 종래의 디지털 거울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가 사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더미가 표출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더미가 표출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에서 더미에 적용될 의복 모델을 선택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에서 더미에 적용될 의복 모델을 선택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9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에서 의복 모델을 착용한 더미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0도는 의복 사진이 검색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를 통하여, 실제 보유하고 있는 의복에 대한 의복 모델을 생성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에서 뷰티 모드가 선택된 경우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3 a도는 뷰티 모드에서 대상체의 안면에 다양한 화장법이 적용된 모습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3 b도는 화장법 등에 대한 정보를 메타 데이터로서 포함하는 화장품 사진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에서 트레이닝 모드가 선택된 경우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에서 더미가 생성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에서 대상체의 수치 또는 치수 정보가 획득되는 원리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7도는 식별 정보로서 얼굴 인식 정보가 획득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8도는 식별 정보로서 얼굴 인식 정보가 획득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9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에서 의복에 대한 기본 정보를 획득하는데 사용되는 라벨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20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면 2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에서 모드를 선택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면 2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에서, 더미를 생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면 2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에서, 사진을 이용하여 의복 모델이 생성되는 과정을 순서도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2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에서, 의복을 직접 촬영하여 의복 모델을 생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면 2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에서 사이즈 정보가 저장된 의복 사진을 생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면 2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에서 접속되는 콘솔의 인증을 수행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면 27도는 본 발명에 참여하는 각 구성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2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면 29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면 30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전체적인 구동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 31도는 본 발명의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방법에 적용되는 구매 영수증의 예시도이다.
도면 32도는 본 발명의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방법에 적용되는 상품설명서의 예시도이다.
도면 33도는 본 발명의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방법에 적용되는 재고 리스트의 표시 예시도이다.
도면 34도는 본 발명의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방법에 적용되는 재고 리스트를 팝업창 형태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면 35도는 본 발명의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방법에 적용되는 냉장고의 도어 외측에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면 36도는 간장제육볶음 레시피를 문자 형태로 디스플레이에 표시한 예시도이다.
도면 37도는 추천 레시피에 따라 요리한 식사의 음식들을 칼로리와 함께 디스플레이에 표시한 예시도이다.
도면 38도는 추천 레시피에 따라 요리한 식사의 음식들을 칼로리와 함께 스마트폰의 화면에 나타낸 것이다.
도면 39도는 잔반 사진을 분석하여 섭취한 칼로리와 잔반의 칼로리를 표시한 예시도이다.
도면 40도는 칼로리들을 스마트폰에 표시한 예시도이다.
도면 41도는 트레이닝할 때 스마트폰을 통해 칼로리를 표시한 예시도이다.
도면 4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 중에서 키친 모드의 구체적인 작동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면 4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 중에서 다이어트 모드의 구체적인 작동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면 4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 중에서 트레이닝 모드의 구체적인 작동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면 45도는 현재 칼로리 값이 목표 칼로리 값에 추종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면 4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면 47도는 칼로리 정보 등을 메타 데이터로서 포함하는 음식 사진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49도는 의복 사진, 화장품 사진, 음식 사진 등에 저장되는 메타 데이터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는 것이며,어떠한 의미를 한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며,"포함 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 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면 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가 사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콘솔(console) 형태로 제작되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콘솔에는 TV(television), 모니터(monitor) 등의 디스플레이(display) 기기 등과 연결되거나, 인터넷(internet) 등에 연결되기 위한 다양한 포트(port)들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이 미니 콘솔의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 이러한 미니 콘솔은 태블릿 피씨, 노트북 등에 연결하여 이용 가능하며, 이를 위한 소프트웨어 등이 미니 콘솔에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도면 4도와 같이, TV,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100)의 뒷면에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대상체(20)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도록 추가로 하나 이상의 카메라(200)를 구비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하나 정도의 카메라(200)는 대상체(20)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대상체(20)의 수치 또는 치수 정보를 획득하는데 필요한 거리 등을 측정하기 위한 초음파 센서(sensor) 등으로 구성된 거리 측정 센서(210)이 함께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만일, 디스플레이(100)가 카메라를 구비한 모니터 또는 TV인 경우에는 추가로 부착되는 카메라는 생략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에 포함되는 구성요소들은 물리적 개념이 아닌 논리적인 개념을 통하여 이해하여야 함을 유의해야 할 필요가 있다. 즉, 디스플레이(100) 등을 포함하여 직접 모든 구성을 포함하여 구성된 예를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로 이해할 수도 있으나, 도면 3도와 같이 콘솔 형태의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의 경우에는 디스플레이(100)를 직접 구비하지는 않으나, 사용시 연결되는 모니터 등의 기기를 그 구성으로 이해할 수 있다. 다만, 그 권리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따라 결정되어야 할 것이며, 콘솔과 같이 일부 구성요소가 결여되어 제공되는 경우에는 청구범위에 따라, 해당 콘솔로서 권리범위가 인정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면 5도와 도면 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더미가 표출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대상체(20)를 하나 이상의 카메라(200)를 이용하여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에서 수치 정보를 획득하여, 해당 대상체(20)의 더미(DM, dummy)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더미(DM)를 디스플레이(100)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더미(DM)는 카메라(200)를 통하여 촬영되고 있는 식별 정보의 대상체(20)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움직일 수 있다. 여기서, 식별 정보라 함은 현재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를 이용하고 있는 사용자를 구별할 수 있는 고유 정보로서, 이러한 식별 정보별로 다른 더미(DM)가 생성되어 저장된다. 또한, 더미(DM)라 함은 식별 정보의 대상체(20)를 표현하는 가상의 프로그램적으로 구현된 객체로서, 아바타와 유사한 개념의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더미(DM)는 대상체(20)와 완전히 동떨어지게 표현된 것은 아니고, 대상체(20)를 모사하여 근사한 형태로 제작된 것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참고로, 앞서 종래의 디지털 거울(40)은 촬영된 영상에 직접 의복에 대한 레이어를 씌워서 가상으로 의복이 착용된 상태를 보여주어서 의상과 대상체(20)와의 정합도에 문제가 있었는데,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대상체(20)를 촬영한 영상에서 별도로 더미(DM)를 생성하고 여기에 의복 모델(CM)을 적용하는바 그 정합도가 훨씬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에서 하나 이상의 카메라(200)를 이용하여 대상체(20)의 수치를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더미(DM)를 생성하고, 여기에 의복 모델(model)(CM)을 적용하는 과정은 이하 도면을 통하여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면 7도와 도면 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에서 더미에 적용될 의복 모델을 선택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식별 정보의 더미(DM)에 다양한 의복 모델(CM, Clothes Model)을 적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의복 모델(CM)은 개인화된 식별 정보의 의복 모델 저장소(610) 또는 공유 의복 모델 저장소(620)를 통하여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식별 정보에 따른 개인별 의복 모델 저장소(610)를 '내옷장'이라고도 할 수 있고, 다른 사용자도 검색할 수 있는 공유 의복 모델 저장소(620)를 '공유 옷장'이라고 표현할 수도 있다.
의복 모델 저장소(610) 또는 공유 의복 모델 저장소(620)에 접근하면, 디스플레이(100)를 통하여 옷장 또는 저장소에 저장되어 있는 의복 모델(CM)을 확인할 수 있는데, 사용자는 이러한 의복 모델(CM)을 터치(touch) 또는 클릭(click) 등의 방식으로 선택할 수 있다.
도면 9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에서 의복 모델을 착용한 더미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에서 사용하는 의복 모델(CM)은 더미(DM)와 유사하게 의복의 치수 또는 사이즈(size) 정보를 반영하여 생성된 객체 또는 소프트웨어적 오브젝트(object)이다. 따라서, 이러한 의복 모델(CM)은 사이즈 정보를 수록하고 있기에 목적하는 더미(DM) 상에 곧바로 반영할 수 있다.
앞서, 종래의 디지털 거울(40)은 대상체(20)를 촬영한 영상에 의복 레이어를 덧붙여서 가상의 착용 영상을 제공하여서, 그 초기 적용의 속도도 느리고, 의복 레이어와 그 밑의 대상체(20)의 영상과도 정합도가 낮은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수치 정보를 지닌 객체와 객체 사이가 연동되어 있으므로, 그 적용의 속도도 훨씬 신속하고, 더미(DM)가 대상체(20)의 움직임을 쫓아 움직이는 과정에서도 자연스럽게 함께 의복 모델(CM)이 변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면 10도는 의복 사진이 검색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의복 모델 저장소(610) 또는 서버(server) 등에 존재하는 공유 의복 모델 저장소(620)에 기저장되어 있는 의복 모델(CM)을 활용하는 것 뿐 아니라, 인터넷(internet) 등을 통하여 검색된 의복 사진에 포함된 의복도 더미(DM)에 적용하여 가상 피팅(fitting)을 할 수 있다.
검색하여 찾은 의복 사진이 만일 옷에 대한 사이즈 정보를 가지고 있는 사진인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이러한 사이즈 정보를 이용하여 그 수치에 맞는 의복 모델(CM)을 바로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검색한 의복 사진이 수치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의복 사진으로부터 의복을 추출하고, 여기에 식별 정보의 더미(DM)의 수치 정보를 반영하여 의복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참고로, 의복 모델(CM)에는 메타 데이터로서 세탁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세탁 정보에는 재질, 세탁방법, 세탁주기, 탈수방법, 주의사항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의복 모델(CM)과 매칭되는 실물 의복이 있는 경우, 해당 의복의 세탁 일시, 세탁소 등의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자신이 구비하고 있지 않지만 관심이 있는 의복에 대하여서도 가상으로 착용한 체험을 할 수 있으며, 만일 필요한 경우, 더 정확한 의복 모델을 생성하기 위하여 의복에 대한 사이즈, 호수 등의 부가적인 정보가 기본 정보로서 입력 저장될 수 있다.
도면 1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를 통하여, 실제 보유하고 있는 의복에 대한 의복 모델을 생성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의복(50)에 대하여서도 의복 모델(CM)을 생성할 수 있는데, 이는 대상체(20)의 더미(DM)를 생성하는 방식과 유사한 방법을 이용하여 진행될 수 있다. 즉, 보유하고 있는 의복(50)을 입거나 옷걸이에 걸쳐서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의 앞에 서면, 카메라(200)를 이용하여 의복(50)의 전면, 후면, 측면 등을 촬영하고, 이렇게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사이즈 정보를 획득하고, 의복 모델(CM)을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인 대상체(20)가 직접 입거나, 마네킹 등에 착용시킨 상태에서도 전후면 등을 촬영하여 사이즈 정보를 획득하여 의복 모델(CM)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인 방식은 이하 도면을 통하여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의복(50)에 대해서도 의복 모델(CM)을 생성하고 이를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어서, 의복(50)의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해진다. 즉, 옷을 구입하고도 입지 않는 옷이 상당히 많은데, 이렇게 의복 모델(CM)을 생성해 놓으면 추천 기능 등을 통하여 구입한 옷을 착용할 수 있는 동기를 제시할 수 있으며, 의복 모델(CM)을 생성시 해당 의복(50)이 저장된 장소를 함께 기입해 놓으면 옷을 찾는 과정도 보다 수월해질 수 있다. 또한, 의복 모델(CM) 등에 세탁 정보가 메타 데이터로 포함된 경우, 이러한 세탁 정보를 이용하여 의복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면 1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에서 뷰티 모드가 선택된 경우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의복(50)에 대한 코디네이션(coordination)이나 가상 피팅의 스타일링 모드(mode)의 기능 뿐 아니라 안면을 인식하여 바람직한 화장법을 제시하는 등의 뷰티(beauty) 모드도 제공할 수 있다. 즉, 옷의 스타일링과 안면의 메이크 업(make up)은 서로가 서로를 보완해주는 역할을 하는데, 본 발명은 스타일링 모드와 뷰티 모드 사이의 전환을 통하여 대상체(20)에게 이러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모드 사이의 전환은 거리 측정 센서(210)가 측정한 대상체(20)와의 거리를 통하여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거리 측정 센서(210)가 측정한 대상체(20)와의 거리가 가까우면 뷰티 모드로 작동하고, 대상체(20)와의 거리가 멀어지면 스타일링 모드로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스마트 폰(30) 등의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통하여서도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뷰티 모드에서는 대상체(20)의 안면이 디스플레이(100) 영역의 전반에 걸쳐 나타나며, 더미(DM)는 디스플레이(100)의 일부분에 작게 표현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카메라(200)가 촬영하는 대상체(20)의 안면의 피부 정보를 용이하게 획득하기 위하여 광원(110)이 디스플레이(100)의 측면 등에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렇게 디스플레이(100)에 대상체(20)의 안면이 표출되면, 사용자는 안면에 다양한 화장법을 가상으로 적용할 수 있는데, 적용된 화장술(MM, Makeup method)은 레이어를 통하여 안면에 적용되게 된다. 참고로, 뷰티 모드에서는 스타일링 모드와는 달리 화장법 또는 화장술(MM)이 객체가 아닌 레이어 방식으로 적용되는데, 이는 뷰티 모드에서는 더미(DM)가 아닌 화장술이 적용된 실제 안면을 확인할 필요가 있으며, 무엇보다 움직임이 크지 않은 상황에서는 레이어 방식을 이용하여도 비교적 양호한 정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가용한 경우, 헤어 스타일도 레이어 방식으로 변경하여 가상으로 적용해 볼 수 있다.
도면 13 a도는 뷰티 모드에서 대상체의 안면에 다양한 화장법이 적용된 모습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뷰티 모드에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00)에 표출되는 안면의 영상에 직접 선택하거나 또는 추천되는 화장법(MM)을 적용해 볼 수 있는데, 도면 13도의 경우는 안면에 서로 다른 눈썹 화장술 또는 화장법(MM)이 적용된 모습을 보여준다. 여기서, 직접 선택되는 화장법은 디스플레이(100)에 표출되는 화장 도구를 이용하여 안면에 터치 또는 클릭 방식을 이용하여 적용해 보는 화장법일 수 있다. 그리고, 추천되는 화장법(MM)은 인식된 피부 정보, 콘솔의 위치 정보에서의 날씨 정보, 식별 정보의 기분 정보, 식별 정보의 선호도 정보, 유행정보수집부에서 수집한 의복, 화장에 대한 유행 정보, 스타일링 모드에서 선택된 의복 모델(CM) 등을 이용하여 제시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도면 13 b도와 같이 화장품 사진(CP)의 화장품을 선택하여 뷰티 모드에서 적용하는 경우에는, 메타 데이터로서 포함된 화장법 등을 참조하여 화장이 안면에 적용된 모습을 표출할 수도 있다. 참고로, 이러한 추천 방식은 스타일링 모드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데, 추천되는 의복 모델(CM)은 콘솔에서의 위치 정보에서의 날씨 정보, 상기 식별 정보의 기분 정보, 상기 식별 정보의 선호도 정보, 유행정보수집부에서 수집한 의복, 화장에 대한 유행 정보, 뷰티 모드에서 선택되는 화장법(MM)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추천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에 의하면, 자신의 피부에 맞는 다양한 화장법(MM)을 가상으로 적용해 볼 수도 있으며, 선택된 의복과도 서로 자연스럽게 어울리는 화장법을 추천받을 수 있어 전문적인 스타일링을 경험하는 듯한 체험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면 1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에서 트레이닝 모드가 선택된 경우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스타일링 모드, 뷰티 모드 외에 추가로 트레이닝 모드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트레이닝 모드를 선택하면, 디스플레이(100)를 통하여 운동을 하고 있는 대상체(20)의 모습 또는 이와 연동되어 움직이는 더미(DM)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으며, 온라인(online)으로 연결되어 있는 강사 등의 다른 대상체(20)가 운동하는 모습도 작은 창 등을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를 통하여 운동을 수행하면, 자신이 운동하는 모습이 강사가 가르키는 것에 맞추어 올바르게 운동할 수 있는지 확인할 수 있어서 운동의 효과가 증대될 뿐 아니라, 다른 사람이 운동하는 모습도 확인할 수 있어서 일종의 경쟁감을 느끼게 하여 운동이 지겹지 않도록 도와줄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참고로, 필수 사항은 아니나,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트레이닝 모드에서 운동하는 대상체(20)의 칼로리(calorie) 소모량 등을 계산하여 이를 대상체(20)를 나타내는 더미(DM)에 반영할 수도 있다.
도면 1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에서 더미가 생성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접속하는 식별 정보의 더미(DM)를 생성하기 위하여, 먼저 카메라(200)를 이용하여 대상체(20)를 촬영할 수 있다.(A) 그리고, 촬영된 대상체(20)에서 윤곽을 획득하고(B), 이러한 윤곽을 이용하여 임시 더미(TDM, Temporary Dummy)을 생성할 수 있다.(D) 참고로, 윤곽의 획득은 대상체(20)의 전면뿐만 아니라, 측면, 후면에 대하여서도 진행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임시 더미(TDM)는 대상체(20)의 모습을 모사하기만 할 뿐, 아직 대상체(20)와 동일 또는 유사한 신체 수치를 가지고 있지는 않다. 따라서, 임시 더미(TDM)에 대상체(20)의 수치 정보를 반영하여 식별 정보의 더미(DM)를 생성해야 하는데, 이에 필요한 수치 정보는 대상체(20)를 촬영하여 획득한 윤곽으로부터 각 부분의 길이를 측정하여 획득한다.(C) 대표적으로 대상체(20)의 키를 포함하는 높이 항목, 대상체(20)의 허리 둘레 등을 포함하는 둘레 항목, 그리고 대상체(20)의 팔 길이 등을 포함하는 길이 항목에 대한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높이 항목, 둘레 항목, 길이 항목은 세부적으로 더 측정될 수 있는데, 높이 항목으로는 키, 목뒤높이, 목옆높이, 어깨가쪽높이, 겨드랑높이, 젖가슴 높이, 허리 높이, 배꼽수준허리높이, 엉덩이높이, 다리벌린샅높이, 무릅뼈가운데높이 등이 있을 수 있으며, 둘레 항복에는 목밑둘레, 가슴둘레, 젖가슴둘레, 허리둘레, 배꼽수준허리둘레, 엉덩이둘레, 넙다리둘레, 무릅둘레, 장딴지둘레, 발목최대둘레, 편위팔둘레, 편팔꿈치둘레, 손목둘레 등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길이 항목에는 어깨길이, 어깨가쪽길이, 뒷목어깨가쪽길이, 겨드랑뒤접힘사이길이, 앞중심길이, 등길이, 엉덩이옆길이, 팔길이 등이 있을 수 있다. 참고로, 세부적으로 측정되는 항목이 많아지면 많아질 수록 임시 더미(TDM)가 이를 반영하여 대상체(20)와 더 근접한 더미(DM)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대상체(20)를 촬영한 영상에서 획득한 수치 정보외에 식별 정보의 부가 정보를 이용하여 임시 더미(TDM)의 보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부가 정보에는 미리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성명, 별명, 성별, 주소, 나이, 몸무게, 신체 지수 정보 등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에서 의복 모델(CM)의 생성도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대신 대상체(20)의 수치 정보를 이용하여 임시 의복 모델을 보정하는 것이 아니라, 획득된 의복(50)의 사이즈 정보와 의복에 대한 기본 정보를 이용하여 임시 의복 모델을 보정하는 점이 상이할 뿐이다. 여기서, 사이즈 정보에는 높이 항목, 둘레 항목, 길이 항목이 있을 수 있으며, 보다 세부적으로는 높이 항목으로는 중의장 길이, 상의장 길이, 총장 길이, 밑위 길이, 하장 길이 등이 있을 수 있고, 길이 항목에는 우 어깨 길이, 좌 어깨 길이, 팔 길이, 오형 길이 등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둘레 항목에는 목 둘레 길이, 목 둘레 전면 폭 길이, 상동 둘레 길이, 중동 둘레 길이, 다리 통 길이, 부리 길이, 허리 길이 등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의복에 대한 기본 정보에는 사용자 등으로부터 미리 입력 받는 의복 종류, 사이즈 정보, KS규격을 포함하는 치수 호칭, 제조사 등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이후 설명될 세탁 관리에 사용가능하게, 색상, 재질, 원단, 제조원, 판매원, 세탁 방법 등에 대한 정보도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이렇게 대상체(20)를 촬영한 영상에서 별도로 더미(DM)를 생성하고 여기에 의복 모델(CM)을 적용하는바, 더미(DM)와 의복 모델(CM) 사이의 정합도가 훨씬 향상되며, 대상체(20)에 따라 더미(DM)가 연동되어 움직여도 의복 모델(CM)이 이를 따라가지 못하여서 별도로 분리되어 보이는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 1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에서 대상체의 수치 또는 치수 정보가 획득되는 원리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에서 하나 이상의 카메라(200)를 이용하여 대상체의 수치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은 기본적으로는 삼각 측량을 이용하여 획득하는 방식이다. 기타, 입체사진 측정법, 그림자를 이용하는 실루엣 측정법, 대상체(20)에 등고선이 나타나도록 특수조명을 한 후 이를 이용하여 수치 정보를 획득하는 모아레(moire) 측정법도 그 기본의 원리는 삼각측량을 이용하는 것이다.
삼각 측량을 이용하여 대상체(20)의 수치를 측정하는 원리를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카메라(200)로부터 기준이 되는 물체까지의 거리(Z1)과 해당 기준 물체의 길이(X1, X2)를 알고 있으면, 대상체(20)의 거리(Z1+Z2)와 대상체(20)를 끝점과 끝점을 확인하는데 필요한 사이각만 확인되면 해당 대상체(20)의 실제 크기(Y1, Y2)를 삼각 측량의 방식으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200)와 대상체(20)까지의 거리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초음파 센서와 같은 거리 측정 센서(210)를 이용하여 측정되거나, 카메라(200)의 초점 깊이 등을 이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삼각 측량을 이용하여 대상체(20)의 키 이외에 다른 부분의 수치도 측량이 가능하다. 다만, 필요에 따라서는 가속도 센서, 적외선 센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등을 이용하여서도 수치 측량의 보조나 대체가 가능하다.
도면 17도와 도면 18도는 식별 정보로서 얼굴 인식 정보가 획득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더미(DM)를 식별 정보별로 생성하는데, 본 발명은 개개인을 구별하는 식별 정보로 얼굴 인식 정보, 아이디(ID, Identification),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등을 활용할 수 있다. 또는 가용하다면 홍체 정보, 지문 정보도 활용할 수 있다.
식별 정보로 얼굴 인식 정보를 사용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인식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대상체(20)의 양 귀가 노출되도록 얼굴 사진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촬영된 얼굴 사진에서 눈, 코, 입, 턱선 등의 특징점을 추출해 낸 다음, 추출한 특징점 사이의 거리, 각도 등의 상관 관계를 계산하여 수치화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를 얼굴 인식 정보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사용자가 본 기기의 앞에만 서면 자동으로 얼굴을 인식하여 식별 정보를 구분하여 로그인(log in)이 가능하므로, 불편한 절차가 없이 곧바로 해당 식별 정보에 맞는 의복 모델(CM)을 추천하거나 화장법(MM) 등을 곧바로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가 옷 가게에 배치되었을 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면 19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에서 의복에 대한 기본 정보를 획득하는데 사용되는 라벨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카메라(200)를 이용하여 의복(50)을 촬영하고 의복(50)의 사이즈 정보를 획득하여 의복 모델(CM)을 생성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나, 의복(50)에 대한 기본 정보가 주어지면 이를 이용하여 의복 모델(CM)의 생성에 반영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의복(50)의 기본 정보는 타이핑(typing) 등의 방식으로 수기로 입력될 수도 있으나, 도면과 같이 의복(50)에 붙여진 태그(tag)나 라벨(label)을 촬영하여 입력될 수도 있으며, 생성되는 의복 모델(CM)이 저장될 때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의복(50)에 대한 기본 정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은 생성되는 의복 모델(CM)을 효율적으로 보정할 수도 있으나, 세탁 방식, 주의 사항 등을 기억하여 향후 의복(50)에 대한 관리 방법을 안내하는 방식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도면 20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먼저, 콘솔의 식별 번호, 위치 정보, 유심 정보 등을 포함한 데이터(data)를 접속된 서버 등으로 전송하는 과정부터 수행할 수 있다.(S20-1) 그리고, 이에 대한 응답이 서버 등으로부터 수신되면, 콘솔 등의 식별 번호가 유효한지 여부를 확인하고(S20-2), 만일, 유효하지 않은 경우, 디스플레이(100), 스피커(speaker) 등을 이용하여 알람(alarm) 등이 제공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S20-11) 콘솔 등의 식별 번호가 유효한 것으로 확인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개개인을 구별하는 식별 정보를 입력받고(S20-3), 더 나아가 개개인의 특성에 관한 부가 정보를 입력 받는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S20-4) 여기서, 식별 정보에는 얼굴 인식 정보, 아이디(ID),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등이 있을 수 있고, 부가 정보에는 성명, 별명, 성별, 주소, 나이, 몸무게, 신체 치수 정보 등이 있을 수 있다.
다음으로, 입력 받는 식별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이 진행될 수 있으며(S20-5), 입력받은 식별 정보가 유효한 경우에는 해당 식별 정보에 대한 더미(DM)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S20-6) 만일, 해당 식별 정보가 처음 접속하거나, 식별 정보로부터 더미(DM)의 갱신이 필요하다고 요청 등의 경우에는(S20-7), 더미(DM)를 생성하는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S20-8) 참고로, 더미(DM)의 갱신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또는 주기적, 비주기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현재 저장된 더미(DM)의 수치 정보와 현재 접속된 식별 정보의 대상체(20)를 대략적으로 스캔(scan)한 수치 정보의 차이가 기설정된 기준 이상 벌어지면, 이에 따라 더미(DM)의 갱신이 진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과정이 완료된 이후에, 더미(DM)가 디스플레이(100)에 표시되는 과정이 수행되며(S20-9), 표시된 더미(DM)가 대상체(20)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움직이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S20-10)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이러한 구동 방식을 통하여 실제로 의복을 착용하지 않아도, 더미에 적용된 의복의 모습을 바탕으로 실제 착용시의 모습을 예측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면 2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에서 모드를 선택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기본적으로 스타일링 모드, 뷰티 모드, 트레이닝 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각각의 모드에서의 동작을 위하여 먼저,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사용자가 스타일링 모드로 선택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고(S21-1), 다음으로 뷰티 모드를 선택하였는지(S21-4), 트레이닝 모드를 선택하였는지 여부를 각각 확인하는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S21-9)
여기서 스타일링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의복 모델 저장소(610), 공유 의복 모델 저장소(620) 등에 저장된 의복 모델(CM)이 선택되거나 또는 추천되는 과정이 진행되고(S21-2), 이렇게 선택 또는 추천된 의복 모델(CM)이 더미(DM)에 적용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S21-3) 의복 모델(CM)의 추천은 콘솔의 위치 정보에서의 날씨 정보, 상기 식별 정보의 기분 정보, 상기 식별 정보의 선호도 정보, 유행정보수집부에서 수집한 의복, 화장에 대한 유행 정보, 뷰티 모드에서 선택된 화장법(MM)을 기반으로 추천되는 것일 수 있으며, 식별 정보의 기분 정보, 선호도 정보는 사전에 미리 질의된 문항에서 선택된 사항이나 식별 정보가 운영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기재된 내용을 바탕으로 추정되는 것일 수 있다. 참고로, 사전에 미리 질의된 문항은 디스플레이(100)를 통하여 문자로 제공되는 것일 수 있고, 스피커(speaker), 마이크(mike) 등을 이용하여 대상체(20)와의 대화를 통하여 획득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가용한 경우 카메라(200) 등을 이용하여 획득되는 대상체(20)의 행동, 걸음걸이, 얼굴표정 등을 이용하여 획득되는 것을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인공 지능, 추론 엔진(engine)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만일, 뷰티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더미(DM)가 디스플레이(100)의 일부분에 표현되도록 조절하고(S21-5), 카메라(200)를 이용하여 촬영된 대상체(20)의 안면을 디스플레이(100)에 표출되도록 할 수 있다.(S21-6) 그리고, 대상체(20)의 안면의 피부 정보를 획득하고(S21-7), 안면에 선택되는 화장법(MM)이 적용되도록 할 수 있다.(S21-8) 참고로, 추천되는 화장법은 획득된 피부 정보, 콘솔의 위치 정보에서의 날씨 정보, 식별 정보의 기분 정보, 상기 식별 정보의 선호도 정보, 유행정보수집부에서 수집한 의복, 화장에 대한 유행 정보, 스타일링 모드에서 선택된 의복 모델(CM) 등을 이용하여 추천되는 것일 수 있이며, 날씨 정보는 콘솔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기상청의 서버에 질의하여 수집되는 것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트레이닝 모드가 선택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더미(DM)를 사용자의 선택 등에 따라 디스플레이(100) 전체에 표시되거나 일부분에 표현되도록 조절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S21-10) 참고로, 뷰티 모드, 스타일링 모드, 트레이닝 모드 사이에서의 전환은 거리 측정 센서(210)에 의하여 측정되는 대상체(20)와 카메라(200) 사이의 거리를 기준으로 자동으로 전환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스마트 폰(30) 등을 이용하여 선택을 입력받아 전환되는 것일 수도 잇다.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이러한 전문적인 모드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만족감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면 2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에서, 더미를 생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식별 정보로 파악된 대상체(20)의 더미(DM)를 생성하기 위하여, 먼저, 최적의 더미(DM) 생성을 위한 안내 문구를 디스플레이(100)를 통하여 표출할 수 있다.(S22-1) 즉, 최적의 더미(DM)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대상체(20)로부터 정확한 신체 치수를 획득해야 하는데, 만일 대상체(20)가 두꺼운 옷을 입고 있는 상태에서는 정확한 수치 정보의 획득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타이트(tight)한 옷을 입고 카메라(200) 앞에 서달라고 요청하거나, 점퍼(jumper) 등을 벗어달라 등의 안내 문구를 먼저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식별 정보의 대상체(20)가 하나 이상의 카메라(200)를 이용하여 촬영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으며(S22-2), 촬영은 전면을 포함한 측면, 후면 등 다양한 각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렇게, 카메라(200)를 이용한 촬영이 완료되면, 촬영된 영상에서 식별 정보의 대상체(20)의 윤곽을 획득하여 임시 더미(TDM)이 생성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으며(S22-3), 이와 동시에 또는 이시에, 대상체(20)의 수치 정보가 획득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S22-5)
마지막으로, 이렇게 수치 정보가 획득되면, 기존에 입력된 부가 정보와 수치 정보를 이용하여 임시 더미(TDM)를 보정하여 식별 정보에 대한 더미(DM)가 생성되는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S22-5)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이렇게 형성된 더미(DM)에 의복 모델(model)을 적용함으로써 의복의 착용상태를 빠르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면 2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에서, 사진을 이용하여 의복 모델이 생성되는 과정을 순서도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의복 모델(CM)은 실제 의복(50)을 촬영하여 생성될 수도 있으나, 인터넷 등을 통하여 검색된 사진을 이용하여 생성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먼저 의복 모델(CM)의 생성이 사용자로부터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S23-1), 생성이 선택되었으면 의복 사진을 검색하여 생성하는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S23-2)
이 과정에서, 직접 의복(50)을 촬영하여 의복 모델(CM)을 생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의복에 대한 기본 정보를 태그 또는 라벨 등으로부터 입력받는 과정을 수행하고(S23-3),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의복 모델을 생성하는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S23-4) 그리고, 이렇게 생성된 의복 모델(CM)은 곧바로 더미(DM)에 적용할 수도 있으나, 식별 정보에 따른 의복 모델 저장소(610) 또는 공유 의복 모델 저장소(620)에 저장하여 향후 사용에 대비할 수도 있다.(S23-5) 의복 모델(CM)이 이렇게 저장된 다음에는, 획득된 사이즈 정보가 저장된 의복 사진을 형성하여 함께 저장할 수 있다.(S23-6)
앞선 단계에서, 만일 의복 사진을 인터넷 등에서 검색한 것이라면,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의복 사진에 사이즈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S23-7) 여기서, 해당 사진이 사이즈 정보를 메타 데이터로 구비하고 있는 사진인 경우에는 해당 사이즈 정보를 이용하여 곧바로 의복 모델(CM)을 생성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S23-8) 그러나, 사이즈 정보가 없는 사진인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의복 사진으로부터 의복을 추출하고(S23-9), 여기에 더미(DM)의 수치 정보를 이용하여 의복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S23-10)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은 자신이 보유한 의상뿐 아니라, 구비하고 있지 않지만 관심이 있는 의복에 대하여서도 가상으로 착용한 체험을 할 수 있다.
도면 2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에서, 의복을 직접 촬영하여 의복 모델을 생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에서의 의복 모델(CM)의 생성은 더미(DM)의 생성과 유사한 방법으로 이루어지는데, 먼저, 의복(50)의 전면, 후면, 측면 등을 카메라(200)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과정부터 수행될 수 있다.(S24-1) 이렇게, 카메라(200)를 이용하여 의복(50)의 영상이 획득되면, 다음으로 촬영된 영상에서 의복(50)의 윤곽을 획득하여 임시 의복 모델이 생성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으며(S24-2), 이와 동시에 또는 이후에,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의복(50)의 사이즈 정보가 획득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S24-3) 사이즈 정보가 획득된 다음에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사이즈 정보를 이용하여 임시 의복 모델을 보정하여 최종 의복 모델(CM)을 생성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S24-4)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이렇게 더미(DM)에 적용될 의복 모델(CM)도 별도의 객체 또는 오브젝트로 생성하기 때문에, 더미(DM)와 의복 모델(CM) 사이의 뛰어난 정합도를 달성할 수 있다.
도면 2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에서 사이즈 정보가 저장된 의복 사진을 생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향후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사이즈 정보가 메타(meta) 데이터로 포함되는 의복 사진을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의복(50)이 카메라(200)를 이용하여 촬영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으며(S25-1), 다음으로, 촬영된 영상에서 의복(50)의 사이즈 정보가 획득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S25-2) 여기서, 사이즈 정보가 획득되는 과정은 앞서 살펴본 대상체(20)의 수치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동일할 수 있다. 이렇게, 사이즈 정보가 획득된 다음으로는 의복 사진의 메타 데이터로서 사이즈 정보를 포함하여 저장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S25-3) 참고로, 이러한 기능은 스마트 폰에 저장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형식으로서도 제공 또는 진행될 수 있다. 참고로, 의복 모델(CM) 및/또는 의복 사진에는 세탁 방법, 세탁 주기, 보관시 주의 사항 등의 정보도 메타 데이터로서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는 향후 살펴보는 실시 예에서 활용될 수 있다.
도면 2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에서 접속되는 콘솔의 인증을 수행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의 분실, 미등록 접속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인증 절차가 추가로 진행할 수 있으며, 이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에 전원이 인가되는 초기 과정에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대한 인증은 서버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콘솔의 식별 번호, 위치 정보, 유심 정보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된 데이터가 수신되는 과정이 진행될 수 있으며(S26-1), 다음으로 인증 거부 사유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S26-2) 여기서, 인증 거부 사유로는 접속되는 기기에 대한 분실 신고의 접수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인증 거부 사유가 없는 경우에는 접속되는 콘솔 등에 인증 거부 사유가 없다는 데이터 등을 송신하며 콘솔을 인증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나(S26-4), 만일 인증 거부 사유가 있으면, 인증 거부의 의미로서 콘솔의 식별 번호가 유효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S26-3)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이러한 인증 절차를 별도로 구비함으로써 콘솔의 분실 방지, 회수 등이 용이하게 진행되도록 하며, 기기 등에 저장된 개인 정보의 제3자 접근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 27도는 본 발명에 참여하는 각 구성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앞에서도 기술하였듯이,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에 포함되는 구성요소들은 물리적 개념이 아닌 논리적인 개념을 통하여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00) 등을 포함하여 서버, 스마트 폰, 디스플레이 기기 등의 모든 구성을 직접 포함한 예를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로 이해할 수도 있으나, 콘솔 형태와 같이 사용시 모니터, TV 등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경우에는 콘솔에 연결되는 디스플레이(100) 기기 등을 그 구성으로 이해할 수 있다. 다만, 날씨 정보를 제공하는 기상청 서버와 같은 외부 서버는 별도의 구성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따라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 2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200), 거리 측정 센서(210), 디스플레이(100), 더미 저장부(310), 연동부(40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추가로, 개인 정보 저장부(510), 더미 생성부(320)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모드 기억부(520), 의복 모델 저장소(610), 공유 의복 모델 저장소(620), 의복 모델 추천부(630), 의복 모델 추천부(640), 의복 사진 생성부(650), 의복 모델 적용부(660), 의복 모델 추천부(6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콘솔 인증부(530), 입력부(540), 피부 정보 획득부(710), 화장법 추천부(720), 화장법 또는 화장 적용부(730) 및 본 발명을 이루는 각 구성 사이의 정보 교환 및/또는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8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뷰티 사진 생성부(741), 뷰티 사진 저장소(742), 공유 뷰티 사진 저장소(7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도면에는 표기되지 않았으나, 유선 또는 무선으로 외부와 정보를 주고 받는 역할을 수행하는 송수신부가 더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을 이루는 각 구성요소의 역할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나 이상 구비되는 카메라(200)는 대상체(20)의 영상을 획득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디스플레이(100)는 카메라(200)가 촬영한 영상 또는 더미(DM) 등의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더미 저장부(310)는 개인별로 구분되는 식별 정보에 따른 더미(DM)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연동부(400)는 대상체(20)의 움직임에 따라 더미(DM)가 연동되어 움직이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더미 생성부(320)는 카메라(200)가 촬영한 영상을 이용하여 식별 정보의 더미(DM)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거리 측정 센서(210)는 더미(DM)시에 필요한 대상체(20)와의 거리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개인 정보 저장부(510)는 개인을 구분하는 식별 정보 또는 부가 정보를 저장하고, 모드 기억부(520)은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가 작동해야 하는 선택된 모드를 기억하는 역할을, 콘솔 인증부(530)는 접속되는 콘솔이 분실 등이 된 것은 아닌지 여부 등을 확인하여 접속을 허락하는 역할을, 입력부(540)는 식별 정보 또는 부가 정보 등을 입력받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추가로, 의복 모델 저장소(610)는 개인별 의복 모델(CM)을 저장하고 있으며, 공유 의복 모델 저장소(620)는 타 사용자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의복 모델(CM)을 저장하는 역할을, 의복 모델 추천부(630)는 식별 정보의 기분 정보, 상기 식별 정보의 선호도 정보, 유행정보수집부에서 수집한 의복, 화장에 대한 유행 정보 등을 반영하여 의복 모델(CM)을 추천하는 역할을, 의복 모델 생성부(640)는 삼각 측량법을 이용하여 의복 모델(CM)을 생성하는 역할을, 의복 사진 생성부(650)은 사이즈 정보가 메타 데이터로 포함된 의복 사진을 생성하는 역할을, 의복 모델 적용부(660)은 더미(DM)에 의복 모델(CM)을 적용하여 디스플레이(100)에 표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참고로, 의복 모델(CM) 또는 의복 사진에는 해당 의복의 관리 방법 등에 대한 정보가 메타 데이터로서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뷰티 사진 생성부(741)는 앞서 살펴본 화장품 사진(CP)에 화장법, 화장품의 성분 등에 대한 정보를 메타 데이터로 추가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뷰티 사진 저장소(742)는 식별 정보에 따라 이러한 화장품 사진(CP)을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공유 뷰티 사진 저장소(743)는 식별 정보에 따른 제한없이 접근이 가능한 화장품 사진(CP)을 저장하여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피부 정보 저장부(710)은 피부 타입(중성, 지성, 건성, 복합성), 수분, 지방 함유도, 피부탄력도, 알레르기, 잡티 등의 피부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하는 역할을, 화장법 추천부(720)은 피부 정보 저장부(710)로부터 피부 정보 등을 전달받아 알맞은 화장법(MM)을 추천하는 역할을, 화장법 또는 화장 적용부(730)은 선택 또는 추천된 화장을 디스플레이(100)에 표출되는 안면에 레이어 방식으로 적용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직접 착용 등을 하지 않아도 다양한 스타일의 의복, 화장 등의 적용을 통하여 어울리는 스타일을 찾을 수 있으며, 다양한 목적(출근, 데이터, 레저 등)에 적합한 스타일을 미리 적용해 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상의 의복을 착용한 자신의 전신 모습 등을 촬영하여 외부에 알리고자 하는 등의 니즈(needs)를 효율적으로 반영할 수 있다.
도면 29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다이어트 모드에서 사용자의 다이어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관련정보들을 디스플레이(100) 또는 스마트폰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린다. 이와 함께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다이어트 모드에서 더미 저장부(310)로부터 더미(DM)를 읽어와 디스플레이(100) 또는 스마트폰에 표시한다. 상기 더미(DM)에는 사용자의 다이어트 목표가 반영될 수 있으며, 현재 사용자의 비만도가 반영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키친모드에서 사용자의 다이어트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식사를 관리하고, 사용자의 다이어트 목표를 달성하는데 적절한 칼로리 값을 갖는 레시피들을 레시피 저장부(750)와 인터넷에서 검색하여 그 결과를 디스플레이(100) 또는 스마트폰을 통해 표시한다. 이를 위해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냉장고, 김치냉장고, 선반 등을 포함하는 저장고에 보관 중인 재료의 재고 리스트를 작성하여 디스플레이(100) 또는 스마트폰을 통해 표시하고, 재고 리스트에 있는 재료들로 구현이 가능한 레시피들을 제시할 수 있다.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트레이닝모드에서 사용자로 하여금 다이어트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식사 때 마다 섭취해야할 칼로리와 사용자가 실제로 섭취한 칼로리를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 초과 섭취한 칼로리를 소모하는데 적당한 운동 등을 제시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설명에서 저장고라 함은 냉장고, 선반, 김치 냉장고 등을 총괄하여 어떠한 음식, 재료를 저장하는 장소, 시설 등을 지칭하는 것이다. 그리고, 음식이라 함은 음료, 요리 등을 포함한 완성된 요리를 포함하는 개념이고, 재료는 이러한 음식을 만들기 위한 고기, 야채 등의 원재료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
도면 30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전체적인 구동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현재 모드가 다이어트 모드, 키친모드 및 트레이닝 모드 중에서 어떤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다이어트 모드는 사용자의 다이어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관련정보 예를 들어, 체성분분석정보, 기초대사량 및 섭취한 칼로리를 관리한다. 다이어트 모드는 체중감량과 사용자의 비만을 예방하고 건강을 고려한 적정체중을 관리하기 위한 모드라고 지칭할 수 있다. 상기 키친 모드는 사용자의 다이어트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식사를 관리하는 모드이다. 상기 트레이닝 모드는 사용자로 하여금 다이어트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식사 때 마다 섭취해야 할 칼로리와 사용자가 실제로 섭취한 칼로리를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 초과 섭취한 칼로리를 소모하는데 적당한 운동 등을 제시하는 모드이다. 상기 다이어트 목표의 예로써, 일정 기간(예: 3개월)에 소정치 만큼의 체중감량(예: 10Kg 감량)을 들 수 있다.
상기 확인 결과 현재 모드가 다이어트 모드로 판명된 경우,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사용자로부터 체성분분석정보, 예를 들어 인바디(Inbody) 정보를 입력받아 개인정보 저장부(510)에 저장하고, 사용자로부터 다이어트 목표를 입력받아 개인정보 저장부(510)에 저장한다.(S30-1,S30-2) 여기서, 인바디 정보는 몸의 구성 성분인 수분, 지방, 단백질, 무기질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들의 분석 결과를 근거로 비만 정도를 판단하거나, 영양 상태가 좋은지, 몸이 부어있는지, 뼈가 튼튼한지 등 인체 성분의 과부족을 검사할 수 있다. 상기 인바디 정보는 골격근 및 지방 분석을 위한 체중, 골격근량 및 체지방률을 포함하고, 비만분석을 위한 체질량지수(BMI: Body Mass Index) 및 체지방률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체성분분석정보에 대하여 비만도를 예로하여 설명한다.
상기 비만도는 “(실제체중 - 표준체중) / 표준체중 × 100%”의 공식을 통해 구할 수 있다. 상기 BMI는 카우프지수로 비만을 평가하는 지수이며,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공통표준지수이다. BMI는 “체중(kg)/키의 제곱(m2)”으로 구할 수 있다.
참고로, 비만도는 기초대사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기초대사량이란 생물체가 생명을 유지하는데 필요로 하는 최소한의 에너지량을 말한다. 상기 최소한의 에너지량이란 체온유지, 호흡, 심장박동 등 기초적인 생명활동을 위한 신진대사에 쓰이는 에너지량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최소한의 에너지량은 생물체가 휴식상태 또는 움직이지 않고 가만히 있을 때 소모되는 에너지량을 의미한다. 참고로, 기초대사량은 다양한 방식으로 측정,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 장비를 이용하여 일정 기간 동안의 운동량, 체중 변화 등의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산출할 수도 있으며, 다음과 같은 산출 공식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도 있다. 남자, 여자의 기초대사량 산출공식은 다음과 같다.
남자의 기초대사량 : 66.47+(13.75 × 체중)+(5 × 키)-(6.76 × 나이)
여자의 기초대사량 : 655.1+(9.56 × 체중)+(1.85 × 키)-(4.68 × 나이)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상기 디스플레이(100)에 비만도를 표시할 때, 그 더미 저장부(310)로부터 더미(DM)를 읽어와 디스플레이(100)에 표시한다.(S30-3) 이때, 더미(DM)는 사용자의 다이어트 목표나, 현재 사용자의 비만도가 반영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더미(DM)는 사용자의 신체정보 예를 들어, 키, 몸무게, 가슴, 허리, 골반 및 다리의 길이나 둘레를 포함할 수 있고, 식별 정보의 개인 정보 저장부(510)에는 혈압, 맥박, 산소포화도, 근육량, 체성분, 체지방, 기초대사량, 활동대사량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선호하거나 선호하지 않는 음식이나 재료, 알레르기, 복용약, 질병유무 및 병명 등의 정보가 개인 정보 저장부(510)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더미(DM)는 변동되는 섭취 칼로리를 반영하여 표시될 수 있다.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상기와 같이 비만도가 반영된 더미(DM)의 정보를 활용하여 향후 사용자의 신체적인 특징 예를 들어, 건강에 관련된 과체중, 비만, 콜레스테롤, 고혈압 및 당뇨 등의 정보나 의료에 관련된 정보 및 바이오리듬 등을 디스플레이(100)에 표시하거나, 정신적인 특징 예를 들어 취향, 선호도 변화 등을 추정하여 디스플레이(100)에 표시할 수 있다.(S30-4)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00)를 통해 자신의 신체적인 상태 예를 들어, 과체중, 비만, 콜레스테롤, 고혈압 및 당뇨 등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인식하거나, 얼굴의 비대칭여부, 걸음거리 이상 등으로 나타나는 뇌질환 등을 실시간으로 인식하여 적절한 조치(예: 운동이나 소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참고로, 사용자가 목표로 하는 다이어트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기초대사량과 활동대사량(예: 일상생활이나 운동 등으로 소모되는 에너지량)을 극대화할 필요가 있다. 사용자가 기초대사량을 운동으로 소모시키기 위해서는 극한의 운동(활동)을 해야하므로 실천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다이어트나 목표로하는 체중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기초대사량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성별이 남성이고, 나이가 30세이고, 신장이 175cm인 경우, 기초대사량은 1701.2kcal이다. 만약, 이를 조깅운동으로 소모하기 위해서는 210분 동안 조깅을 하여야 한다. 성인(15세~49)의 하루 권장 칼로리는 “표준체중(kg) × 활동지수”로 구할 수 있으며, 남자의 경우 2400~2700kcal이고, 여자의 경우 1900~210kcal이다. 표준체중은 “자신의 키 - 100) × 0.9”로 구할 수 있다. 활동지수의 예로써, 주로 앉아서 생활하여 활동량이 적은 경우 25이고, 규칙적인 생활을 하여 활동량이 보통인 경우 30~35이고, 육체노동자와 같이 활동량이 많은 경우 40이다. 상기 남성의 활동량이 35인 경우 이의 하루 권장 칼로리는 “(175-100) × 0.9 × 35 = 2362kcal”이므로 약 700kcal가 지방으로 체내에 축적된다. 이와 같은 지방 축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조깅을 87분 정도 해야 한다.
이와 같이 운동으로 칼로리는 소모하는 것은 쉽지 않기 때문에 기초대사량을 늘려서 과다 섭취된 칼로리를 소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기초대사량을 증가시키는 것은 식사와 트레이닝(운동)이 병행되어야 하므로, 다이어트 모드, 키친모드 및 트레이닝 모드는 서로 연관성이 있다.
상기 확인 결과 현재 모드가 키친모드로 판명된 경우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사용자로 하여금 목표로 하는 다이어트에 성공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사용자의 식사를 관리하고 디스플레이(100)을 통해 식사에 관련된 정보(이하, ‘식사정보’라 칭함)들을 알려준다.(S30-5, S30-6) 키친모드는 디폴트 모드(Default Mode)로 설정되거나, 사용자가 필요할 때마다 수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다이어트 모드에서 다이어트 목표를 설정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표준 체중 또는 현재보다 좀 더 바람직한 체중을 유지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식사를 관리하고 디스플레이(100)를 통해 식사정보들을 알려줄 수 있다.
먼저,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키친모드를 수행하기 위해 저장고에 보관 중인 음식이나 재료를 파악하여 재고 리스트를 작성하고, 이를 디스플레이(100)에 표시한다.(S30-7) 상기 재고 리스트를 작성하는 경우는 해당 음식 또는 재료를 구입하여 처음으로 저장고에 저장하거나, 이미 저장고에 저장된 해당 음식재료를 꺼내어 일부를 사용하고 나머지를 다시 저장고에 저장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저장고는 냉장고, 김치냉장고, 상온 보관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냉장고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음식 또는 재료는 소고기, 돼지고기, 치킨 및 계란 등의 육류와, 시금치, 미나리, 상추 및 콩나물 등의 채소류와, 대파, 양파, 마늘 및 고추 등의 양념류와, 각종 통조림 식품류와, 냉동식품류와, 인스턴트(instant) 식품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음식 또는 재료가 냉장고에 저장되는 경우,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냉장고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가 음식재료의 재고 리스트를 작성하고, 이를 관리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식재료를 촬영한 사진을 이용한 방법과 영수증을 이용한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먼저, 음식재료를 촬영한 사진을 이용하여 음식재료의 재고 리스트를 작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음식재료가 구입되어 처음으로 냉장고에 입고되거나 냉장고에 저장되었던 음식재료가 요리를 위해 출고되었다가 일부가 사용되고 나머지가 다시 입고되는 경우 그 음식재료가 스마트폰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다. 이렇게 촬영된 사진들은 스마트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과 근거리 무선통신(예: 블루투스, 와이파이(Wi-Fi))에 의하여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에 전송된다. 이때,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인공지능 엔진(AI engine)과 딥러닝(deep learning)을 기반으로 상기 사진을 분석하여 음식재료의 종류(명칭) 및 중량을 예측한다. 그리고,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상기와 같이 예측된 음식재료의 종류(명칭) 및 사이즈 정보 등을 근거로 인터넷이나 서버 등에서 이들의 칼로리(Kcal) 및 일반적인 사용기한, 유통기한 등을 알아내어 음식재료 저장부(760)에 저장된 상기 재고 리스트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렇게 업데이트된 재고 리스트는 디스플레이(100) 상에 아래의 표와 같은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일반적인 사용기한은 해당 음식 또는 재료의 부패가 시작되는 시점에 대하여 기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확인되거나, 본 발명에 머신 러닝 등을 통하여 학습을 통하여 획득되는 것일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재고 리스트를 근거로 하여, 냉장고에 보관중인 음식재료의 재고 현황을 보다 편리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표에 표시되는 재고 리스트의 항목들 예를 들어, 입고일자, 명칭, 중량(Kg), 칼로리(Kcal), 유통기한, 영양정보, 알레르기표시, 보관방법, 원산지, 제조원, 판매원, 금액, 구입처, 주의사항, 조리법, 인증마크 및 비고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의 분석 및 예측결과에 따라 업데이트되거나 사용자의 수동입력에 의해 업데이트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보관중인 음식재료들 중에서 임의의 음식재료에 대한 사용 목적이나 사용 날자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의 표에서와 같이 삼겹살을 크리스마스 이브날(12.24)에 사용할 것으로 설정(메모)할 수 있다.
만약, 냉장고에 보관되었다가 출고되어 음식재료로 모두 사용된 음식재료는 스마트폰의 빈 공간 촬영이나 사용자의 수동 입력에 의해 재고량이 ‘0’으로 입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재고 리스트 상에서 해당 음식재료의 항목을 삭제 처리한다.
다른 예로써, 상기와 같이 음식재료를 촬영하기 위해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사용하지 않고 냉장고의 일측(예: 도어)에 고정 설치된 카메라가 사용될 수 있다.
음식재료를 구입할 때 받은 영수증을 이용하여 음식재료의 재고 리스트를 작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마트 등에서 음식재료를 구매하면 도면 31도와 같은 구매 영수증을 발급받는데, 사용자는 스마트폰으로 이를 촬영한다. 이렇게 촬영된 사진은 스마트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과 근거리 무선통신 또는 와이파이에 의하여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에 전송된다. 이때,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인공지능 엔진과 딥러닝을 기반으로 상기 사진을 분석한다. 그리고,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상기와 같은 분석을 통해 음식재료들의 종류(명칭) 및 중량들을 알아내고, 인터넷이나 서버 등에서 이들의 칼로리(Kcal), 영양정보 및 일반적인 사용기한 유통기한 등을 알아내어 상기 재고 리스트를 업데이트한 후 디스플레이(100)에 상기의 표와 같은 형태로 표시한다.
사용자가 구입한 음식재료에 도면 32도와 같은 상품설명서가 부착된 경우 사용자는 스마트폰으로 이를 촬영한다. 이렇게 촬영된 사진은 상기와 같이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에 전송된다. 이때,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인공지능 엔진과 딥러닝을 기반으로 상기 사진을 분석한다. 그리고,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상기와 같은 분석을 통해 음식재료들의 종류 및 중량, 원산지, 용도, 보관방법, 유통기한, 가격, 판매처를 알아내고, 인터넷이나 서버 등에서 이들의 칼로리(Kcal), 영양정보, 유통기한 등을 알아내어 상기 재고 리스트를 업데이트한 후 디스플레이(100)에 상기의 표와 같은 형태로 표시한다.
그런데, 상기 상품설명서에는 상기 구매 영수증에 비하여 유통기한 등 더 많은 정보가 기재되어 있으므로,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이들을 제외한 나머지 항목들만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거나 인터넷이나 서버 등을 통하여 알아내게 된다.
도면 33도는 디스플레이(100)에 음식재료의 재고 리스트를 표시하는 다른 예를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100) 상에서 상하 화살표를 조작하는 경우, 화면이 스크롤되면서 더 많은 음식재료의 아이콘들이 표시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임의의 아이콘을 클릭하는 경우,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해당 식재료의 사진을 확대하여 표시함과 아울러, 도면 34도와 같이 팝업창을 표시하고 그 팝업창에 해당 음식재료의 상세한 내역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음식재료의 상세한 내역을 팝업창에 표시함에 있어서, 도면 34도와 같이 해당 음식재료의 용도는 크리스마스 이브의 파티에 사용할 것이고, 명칭은 스테이크이고, 남은량은 200g이고, 칼로리는 100g 당 500Kcal이고, 사용일자는 2020.12.24.이고, 가격은 10,000이고, 구입장소는 이마트몰이고, 구입일자는 2020.12.10.이라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냉장고에 보관되어 있는 음식재료들을 체크해본 결과 상하거나 변질된 것이 발견된 경우, 사용자는 해당 음식재료를 폐기 처분하고 도면 33도와 같이 표시된 음식재료의 아이콘들 중에서 해당 아이콘을 삭제할 수 있다.
도면 35도는 냉장고의 도어 외측에 디스플레이(100)를 설치하고, 이를 통해 냉장고에 보관 중인 음식재료를 비롯하여, 음식 및 반찬 등을 사진이나 이미지 형태로 표시하는 다른 예를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가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에 식사하고자 하는 음식에 대한 레시피 추천을 요청하면,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사용자의 다이어트드 목표를 달성하는데 적절한 레시피의 칼로리 값이 얼마인지 분석하여 그 결과를 디스플레이(100)에 표시한다.(S30-8, S30-9)
이후,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사용자의 레시피 요청에 따라 사용자의 다이어트드 목표를 달성하는데 적당하고, 냉장고에 보관 중인 음식재료들로 요리가 가능한 레시피가 있는지 레시피 저장부(750) 또는 인터넷을 조회한다.
상기 조회 결과, 적당한 레시피가 검색되고, 현재 냉장고에 보관 중인 음식재료들 만으로 요리가 가능한 것으로 판명되면 그 레시피들을 레시피 저장부(750)에 반영함과 아울러, 이들 중에서 추천 레시피를 선정하여 디스플레이(100)에 표시한다.(S30-10) 여기서, 디스플레이(100)를 통해 레시피를 표시할 때, 문자, 사진, 이미지로 표시하거나 동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면 36도는 1인분의 간장제육볶음 레시피를 문자 형태로 디스플레이(100)에 표시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그런데, 상기 조회 결과, 인터넷에서 적당한 레시피가 검색되었지만 그 레시피로 요리하는데 필요로 하는 음식재료들 중에 냉장고에 없는 음식재료가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음식재료 저장부(760)에 저장된 재고 리스트를 참조하여, 해당 레시피에 필요한 음식재료들 중에서 냉장고에 있는 음식재료와 냉장고에 재고가 없어 새로 구입해야 하는 음식재료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상기 새로 구입해야 하는 음식재료들을 판매하는 마트가 주변에 있는지 인터넷 상에서 검색하여 그 검색 결과를 디스플레이(100)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새로 구입해야 하는 음식재료들을 구입하여 상기와 같이 추천된 레시피로 요리를 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새로 구입해야 하는 음식재료들을 구입할 의사가 없는 경우에는, 현재 냉장고에 보관 중인 음식재료들로 가능한 레시피 추천을 요청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현재 냉장고에 보관 중인 음식재료들로 사용자의 다이어트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레시피들이 있는지 상기와 같이 조회하여 그 결과를 디스플레이(100)에 표시할 수 있다.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의 다이어트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레시피를 추천한 후 그 레시피에 따라 요리된 식사의 칼로리 값을 디스플레이(100)에 표시함과 아울러, 다이어트 목표를 감안할 때 이번 식사에 섭취할 적정 칼로리 값을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시된 추천 레시피에 따라 요리를 진행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자신의 다이어트 목표를 달성하는데 적당한 칼로리의 식사를 할 수 있게 된다.
도면 37도는 상기 추천 레시피에 따라 요리한 식사의 음식들을 칼로리와 함께 디스플레이(100)에 표시한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면 38도는 스마트폰의 화면에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준비된 식사를 사용자가 모두 먹거나 일부분을 남길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섭취한 칼로리 값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잔반의 정도를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잔반이 거의 남지 않은 경우, 사용자는 별도의 조치를 취할 필요가 없다. 하지만 무시하지 못할 정도의 잔반이 남아 있는 경우, 사용자는 스마트폰으로 잔반을 촬영하거나 잔반의 남은 정도를 수동으로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에 입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촬영된 잔반 사진은 스마트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과 근거리 무선통신 또는 와이파이에 의하여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에 전송된다.
이때,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인공지능 엔진과 딥러닝을 기반으로 상기 잔반 사진을 분석하여 사용자가 실제로 섭취한 칼로리 값을 분석한 후 그 분석 결과를 칼로리 저장부(740)에 저장한다.(S30-11) 또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입력하는 잔반의 정도를 입력받아 이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실제로 섭취한 칼로리 값을 추정하여 그 추정 결과를 저장한다. 그리고,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상기 잔반 사진을 분석하여 섭취한 칼로리와 잔반의 칼로리를 도면 39도와 같이 디스플레이(100)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식사를 통해 자신이 섭취한 칼로리와 잔반의 칼로리를 쉽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써, 사용자가 외부로부터 배달음식을 주문하여 가정에서 혼자 또는 다른 사람들과 함께 식사를 하거나, 외식을 위해 외부의 식당으로 나가서 혼자 또는 다른 사람들과 함께 식사를 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도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사용자가 섭취한 칼로리 값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한 예로써, 외식을 위해 외부의 식당으로 나가서 혼자 식사를 하는 경우, 준비된 식사를 스마트폰으로 촬영한다. 이때,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인공지능 엔진과 딥러닝을 기반으로 상기 외식 사진을 분석하여 외식에 대한 음식의 명칭, 중량, 칼로리 값을 추정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식사를 마친 후 잔반이 어느 정도 남아 있는 경우 사용자는 스마트폰으로 잔반을 촬영한다. 이에 대하여,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인공지능 엔진과 딥러닝을 기반으로 상기 잔반 사진을 분석하여 칼로리 값을 추정한다. 그리고, 식사전에 산출한 칼로리 값에서 상기 잔반의 칼로리 값을 감산하고 그 감산 결과를 사용자가 섭취할 칼로리 값으로 판단한다.
이에 대한 다른 예로써, 외식을 위해 외부의 식당으로 나가서 다른 두 사람과 함께 식사를 하는 경우, 준비된 식사를 스마트폰으로 촬영한다. 이때,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인공지능 엔진과 딥러닝을 기반으로 상기 외식 사진을 분석하여 외식에 대한 음식의 명칭, 중량, 칼로리 값을 추정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식사를 마친 후 잔반이 어느 정도 남아 있는 경우 사용자는 스마트폰으로 잔반을 촬영한다. 이에 대하여,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인공지능 엔진과 딥러닝을 기반으로 상기 잔반 사진을 분석하여 칼로리 값을 추정한다. 그리고, 식사전에 산출한 칼로리 값에서 상기 잔반의 칼로리 값을 감산하고 그 감산 결과를 세 사람이 섭취할 칼로리 값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세 사람이 섭취할 칼로리 값을 3으로 나누어 사용자가 섭취한 칼로리 값으로 판단한다. 이때,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디스플레이(100) 또는 스마트폰을 통해 사용자에게 평균치의 이하 또는 이상의 칼로리 값을 섭취하였는지 질문하여 사용자가 답변하는 내용을 반영해서 최종적으로 사용자가 섭취할 칼로리 값을 추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확인 결과 현재 모드가 트레이닝모드로 판명된 경우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다이어트 목표에 따라 당일에 섭취해야할 목표 칼로리 값과 사용자가 식사 등을 통해 소정 시간 동안에 섭취한 칼로리 값 및 소모한 칼로리 값을 체크한다.(S30-12, S30-13) 예를 들어, 하루의 생활이 시작된 시점으로부터 현재 시각 까지 실제로 섭취한 칼로리 값 및 사용자가 운동이나 활동을 통해 소모한 칼로리 값을 체크한다. 이와 같은 체크 동작은 일정한 주기로 수행하거나 불규칙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소모한 칼로리 값은 기록에 의하여 계산되어 수집되거나, 웨어러블(wearable) 기기 예를 들어 스마트 워치(Smart Watch) 또는 애플 워치(Apple Watch), 미러나 스마트폰과 근거리 무선통신할 수 있는 운동, 레저를 통해 측정된 사용자의 보행수(또는 보행시간이나 보행거리), 운동량를 근거로 비교적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상기 체크 결과를 근거로 하여 해당 시점에서 다이어트 목표 달성을 위해 더 소모해야할 칼로리 값이 남아 있는지 확인하여 남아 있는 것으로 판명된 경우, 디스플레이(100)를 통해 소모해야 할 칼로리값을 표시함과 아울러, 이를 소모할 수 있는 트레이닝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하루 중에서 저녁식사가 종료된 시점에서 사용자가 소모해야할 칼로리 값을 체크하여 일정치 이상인 것으로 판명되면, 그 소모해야할 칼로리 값을 디스플레이(100)에 표시한다. 이와 함께,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상기 소모해야할 칼로리 값을 소모하는데 적당한 운동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S30-14) 예를 들어,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가 저녁 식사 종료 점을 기준으로 당일에 섭취한 칼로리 값에서 소모한 칼로리 값을 감산한 결과 700Kcal가 남아 있는 것으로 판명된 경우,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디스플레이(100)에 “조깅을 87분 정도 하면 잔여 칼로리가 모두 소진됩니다” 라는 안내 문구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면 40도는 상기와 같은 칼로리들을 스마트폰에 표시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사용자의 기초대사 값과 체중감량을 위한 목표 칼로리가 2700Kcal이고, 현재 까지 섭취한 칼로리가 4300Kcal이고, 현재까지 소모한 칼로리가 1000Kcal이면 앞으로 소모해야 할 칼로리는 600Kcal가 된다는 것을 표시한다. 그리고, 600Kcal를 소모할 수 있는 적당한 운동 방법에는 싸이클을 1시간 40분 동안 타기, 빨리 걷기를 1시간 30분 동안 하기, 조깅을 1시간 10분 동안 하기가 있다고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 41도는 현재 칼로리가 목표 칼로리를 초과한 경우, 사용자가 그 초과된 칼로리를 소모하기 위해 운동을 할 때, 스마트폰을 통한 표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소모해야 할 칼로리가 600Kcal이고, 현재 빨리 걷기에 의해 1시간 동안 소모된 칼로리 값이 400Kcal이며, 앞으로 30분 동안 더 빨리 걷기를 하면 600Kcal가 모두 소모된다는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사용자가 다이어트 목표를 소정 주기 예를 들어, 매일 또는 1주일 또는 1달 주기로 체크하여 다이어트 목표를 달성한 정도에 따라 더미(DM)를 업데이트한다.(S30-15) 그리고, 상기와 같이 업데이트되는 더미(DM)를 디스플레이(100)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와 같이 업데이트되는 더미(DM)를 보면서 자신의 다이어트 목표를 좀더 쉽고 확실하게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업데이트한다는 의미는 식별 정보별 더미에 다이어트 목표, 칼로리 섭취량, 칼로리 소모량 등을 반영된 모습을 표시한다는 의미로 이해할 수 있다.
도면 4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 중에서 키친 모드의 구체적인 작동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먼저, 사용자에 의해 다이어트 모드(체중감량 모드)가 선택되었는지 확인한다.(S42-1)
상기 확인 결과, 다이어트 모드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는 음식재료 저장부(760)를 통해 음식재료 저장고(예: 냉장고)내의 음식이나 음식재료를 확인하고, 그 저장고 내에 있는 음식이나 재료로 요리가 가능한 레시피를 레시피 저장부(750) 등에 저장된 레시피 등을 이용하여 도면 36도와 같이 안내한다.(S42-2,S42-3)
상기 냉장고 내의 음식이나 음식재료의 재고를 확인하기 전에 음식재료의 재고 정보가 갱신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갱신 동작은 사진 분석이나 기록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확인 결과 다이어트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사용자의 현재 칼로리 값과 목표 칼로리 값을 수신한 후 현재 칼로리 값이 목표 칼로리 값을 추종하도록 현재 시간을 반영하여 레시피를 안내한다.(S42-4, S42-5, S42-6)
여기서, 목표 칼로리 값이란 현재 체중, 원하는 체중, 체중감량기간 등을 기반으로 하루에 섭취 또는 소모되어야 할 값을 의미하는 것으로 음의 값이 될 수도 있다. 그리고, 현재 칼로리 값은 사용자가 하루 중에서 해당 시점 까지 섭취한 섭취 칼로리 값에서 사용자가 그 시점까지 소모한 칼로리 값을 감산한 값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현재 시간을 반영할 때, 도면 45도에서와 같이 24시에 근접할수록 가중치를 크게 설정한다. 즉, 12시경의 기울기(A) 보다 24시 근처의 기울기(B)를 더 가파르게 설정하여 상기 현재 칼로리 값이 상기 목표 칼로리 값에 빠르게 추종되도록 한다. 왜냐하면, 24시에 근접할수록 목표 칼로리 값을 초과한 현재 칼로리 값을 트레이닝 등으로 소모할 시간적 여유가 없기 때문이다.
이후,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사용자가 섭취한 칼로리 값을 칼로리 저장부(740)에 저장하고, 그 섭취한 칼로리 값을 현재 칼로리 값에 반영한다.(S42-7, S42-8)
그리고, 상기 현재 칼로리 값을 이용하여 사용자 식별정보의 더미를 갱신한다.(S42-9)
도면 4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 중에서 다이어트 모드의 구체적인 작동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먼저, 사용자의 체성분분석정보가 개인정보 저장부(510)에 있는지 확인하여 없는 것으로 판명되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개인정보 저장부(510)에 저장한다.(S43-1, S43-2)
그러나, 상기 체성분분석정보가 개인정보 저장부(510)에 있는 것으로 판명된 경우에는 식별정보의 체성분분석정보 및 더미(dummy)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기초대사량을 산출한다.(S43-3)
이때, 기초대사량은 다양한 측정 장비를 이용하여 일정 기간 동안에 수집된 체중 변화량, 체지방 변화량 등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산출된 것일 수도 있고, 다음과 같은 기초대사량 산출 공식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기초대사량을 산출된 것일 수도 있다.
남자의 기초대사량 : 66.47+(13.75 × 체중)+(5 × 키)-(6.76 × 나이)
여자의 기초대사량 : 655.1+(9.56 × 체중)+(1.85 × 키)-(4.68 × 나이)
이후, 사용자(식별정보)의 다이어트 목표(체중감량 목표)가 있는지 확인하여 있는 것으로 판명된 경우 다이어트 목표를 기반으로 하여 목표 칼로리 값을 산출한다.(S43-4, S43-5)
그리고, 사용자 식별정보의 소모 칼로리 값과, 섭취한 칼로리 값을 수신하고, 이들을 이용하여 현재 칼로리 값을 산출한 후 그 산출된 현재 칼로리 값을 더미에 반영한다.(S43-6, S43-7, S43-8, S43-9)
상기 섭취한 칼로리 값은 사용자의 식사 전후에 음식을 촬영한 사진을 분석하여 알아내거나, 사용자의 기록을 통해 알아낼 수 있다.
도면 4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 중에서 트레이닝 모드의 구체적인 작동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먼저, 현재 모드가 다이어트 모드인지 확인하여 다이어트 모드가 아닌 것으로 판명되면 수집되는 소모 칼로리 값을 수집하여 현재 칼로리 값에 반영하고, 더미를 갱신하는 과정을 거친다.(S44-1,S44- 5,S44-6, S44-7)
그러나, 현재 모드가 다이어트 모드인 것으로 판명되면 목표 값로리 값과 현재 칼로리 값을 수신한다.(S44-1, S44-2, S44-3)
이후, 상기 목표 칼로리 값과 현재 칼로리 값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다이어트 목표를 달성하는데 적당한 트레이닝 방법을 안내한다.(S44-4)
그리고, 사용자의 운동이나 활동 등에 의해 소모된 칼로리 값을 수집하여 이를 현재 칼로리 값에 반영하는 방식으로 현재 칼로리 값을 갱신 처리한다.(S44-5, S44-6, S44-7)
상기 소모된 칼로리 값을 수집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웨어러블(wearable) 기기를 통해 수집될 수 있다. 상기 목표 칼로리 값, 섭취 칼로리 값 및 현재 칼로리 값은 하루 동안의 값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도면 4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면 46도를 도면 28도와 비교할 때,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1000)에 비하여 세탁함 관리모듈(921) 및 세탁조건 판단모듈(922)를 구비한 세탁안내부(920)를 추가로 구비한 것이 차이점이다.
도면 46도를 참조하여 세탁안내 장치(92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의복의 바람직한 관리 방법은 주기적으로 세탁을 하거나 어느 정도 이상 더러워질 때 마다 세탁하는 것이다. 그리고, 세탁기를 이용하여 의복을 세탁할 때 의복의 소재나 특성 등에 따라 분류하여 적절한 세탁공정으로 세탁할 필요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 세탁기의 경우 고급원단으로 제작된 의복을 제외한 의복들을 모아서 한번에 세탁하였다. 그리고, 특별히 이염 우려가 있는 의복을 제외한 나머지 의복들에 대해서는 세탁 방법을 확인하지 않고 한데 모아서 세탁을 하였다. 예를 들어, 고가의 의복을 일반 세제와 찬물을 이용하여 세탁을 하게 되어 의복의 사이즈가 크게 줄어들거나 울게되는 문제점들이 발생되었다.
세탁안내 장치(920)는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의복저장소에 보관하고 있는 의복들의 세탁 일정이나 올바른 세탁방법 등을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의복의 잘못된 세탁방법의 예로써, 중성세제를 사용해야 하는데 일반세제나 표백제 성분이 강한 세제를 사용하거나, 세탁물의 온도가 미지근해야 하는데 차갑거나 등이 있을 수 있다. 특히 의복의 재질(원단)이 실크, 모(양) 등인 경우 손세탁을 이용해야 하며, 쥐어짜기를 해서는 안된다. 그리고, 회전탈수가 금지되고 널어 말리기가 권장된다. 세탁기를 이용하여 세탁되는 의복들의 경우 사용되는 세제의 종류, 세탁시간 등에 민감한데 사용자가 이러한 세탁공정을 준수하지 못하는 경우 의복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의복저장소'란 의복 모델 저장소(610) 및 공유 의복 모델 저장소(620)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러한 의복 모델 저장소(610) 등에 저장되는 의복 모델(CM)에는 해당 의복의 재질, 세탁방법, 세탁 주기 등의 세탁 정보가 메타 데이터로서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세탁할 의복들은 옷장에 있거나, 사용자에 의해 세탁기 주변에 있는 세탁함에 옮겨져 있다. 여기서 '세탁함'이란 세탁기를 통해 세탁하기 전에 세탁물들을 모아둔 함을 의미한다. 이를 감안하여 세탁함 관리모듈(921)과 세탁조건 판단모듈(922)을 세탁함이나 세탁기 주변에 설치하였다. 예를 들어, 세탁함 관리모듈(921)은 세탁함의 뚜껑에 설치하고, 세탁조건 판단모듈(922)은 세탁기의 뚜껑에 설치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세탁함 관리모듈(921)은 세탁조건 판단모듈(922)의 일부 기능을 포함하여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세탁함 관리모듈(921)과 세탁조건 판단모듈(922)은 세탁기와 연동될 수 있고,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피씨와 같은 단말기들과 와이파이나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하다.
세탁함에는 세탁기를 통해 세탁할 여러 종류의 의복(세탁물)들이 섞여있으므로 이들을 특성들 예를 들어, 크기, 외형, 재질, 변형이나 내구성, 의복간 외염 등에 따라 구분하여 적절한 세탁공정으로 세탁하지 않고 그대로 표준세탁공정으로 세탁하는 경우 의복들이 손상될 수 있다.
이를 감안하여, 세탁함 관리모듈(921)은 세탁함에 입고되는 의복들의 세탁정보를 취득하여 세탁조건 판단모듈(922)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세탁정보는 의복의 이름표, 태크, 라벨 및 사진 등으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또한, 의복 모델(CM)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로부터 획득될 수도 있다. 세탁함 관리모듈(921)에서 상기와 같은 세탁정보들을 획득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스마트폰으로 의복의 라벨을 촬영하여 세탁함 관리모듈(921)에 전송하거나, 세탁함 관리모듈(921)에 구비된 전용의 카메라로 의복의 라벨을 촬영하여 획득할 수 있다.
세탁조건 판단모듈(922)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세탁기를 통해 세탁공정을 수행하기 전에 또는 세탁공정을 수행하는 도중에 의복모델 저장소(610) 또는 세탁함 관리모듈(921)로부터 전송받은 세탁정보를 근거로 의복들의 세탁 조건이 올바른지 판단하여 그 결과를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세탁조건 판단모듈(922)은 세탁기와 연결되어 세탁기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세탁기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의복들의 세탁 조건의 예로써, 오염원 세탁에 적당한 세탁방법, 사용할 세제의 종류, 세탁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세탁조건 판단모듈(922)은 상기 세탁정보를 전송받을 때 의복별로 구별된 세탁정보를 전송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의복들을 세탁할 때 같이 또는 따로 세탁할 것인지를 구별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여러 경로를 통해 공급된 의복들을 모아서 세탁하는 경우, 세탁조건 판단모듈(922)에서 '세탁물 추가' 기능을 이용하여 세탁물을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각 경로를 통해 공급되는 가상의 개별 의복정보와 실제 의복을 각기 비교하여야 일치 여부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세탁기에서 세탁이 완료된 후 세탁조건 판단모듈(922)에서 '옷장입고' 기능을 선택하면 세탁이 완료된 각 의복에 대한 세탁정보가 상기 기 저장되어 있는 의복사진 또는 의복 모델(CM)의 정보에 업데이트된 후 옷장에 의복을 입고할 수 있게 된다. 이때의 세탁정보는 누적해서 저장될 수도 있고, 기존의 정보에 덮어쓰기 형식으로 업데이트될 수도 있다. 참고로, 의복의 이름표, 태그, 라벨 및 사진 등으로 획득한 세탁정보는 별도로 저장된다. 상기 세탁정보는 의복에 대한 오염세탁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오염세탁정보에는 오염원, 세탁방법, 사용한 세제의 종류, 세탁시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오염세탁정보는 추후 유사한 오염원의 의복을 세탁할 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세탁조건 판단모듈(922)은 의복에 부착된 라벨, 의복 모델(CM)에 메타데이터로 포함된 정보 등으로부터 획득된 상기 세탁정보를 근거로 세탁기의 세탁공정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세탁정보에는 세탁물 명칭(이름), 원단의 재질이나 구성, 세탁방법(예: 손빨래, 표준, 실크, 울 등에 대한 세탁방법), 세탁기 물의 온도, 탈수방법, 세탁일시, 사용한 세제의 종류, 오염원 유무, 오염원 명칭, 세탁기명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세탁공정이란 의복 재질에 따른 세탁방법 , 세탁소요시간, 세제선택, 세탁물의 중량, 세탁 수위, 이염 여부 등에 따른 세탁공정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세탁정보들은 세탁이 종료될 때마다 업데이트된다. 세탁조건 판단모듈(922)은 상기 세탁정보를 바탕으로 옷장이나 세탁함 등에 있는 의복들의 세탁주기를 디스플레이(100)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그리고 세탁조건 판단모듈(922)은 기름, 페인트, 커피, 김치물, 과일물(예: 포도주 등), 곰팡이 등에 의해 오염되어 일반 세탁공정으로는 세탁이 잘 안되는 의복들의 세탁방법들을 온라인(예: 인터넷)에서 검색하여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세탁방법들은 손빨래, 물에 일정시간 담그기, 사용세제, 세탁도구 또는 세탁기 사용방법(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세탁조건 판단모듈(922)은 상기 오염의 정도가 심하여 세탁기로 세탁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된 경우, 그 의복을 세탁할 수 있는 세탁소를 인터넷 등에서 검색하여 그에 따른 세탁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세탁소 정보는 상호, 주소, 연락처, 취급 세탁품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세탁조건 판단모듈(922)은 세탁할 의복들이 의복모델저장소(610)에 저장된 개인별 의복 모델(CM) 및 공유 의복 모델 저장소(620)에 저장된 의복 모델(CM)의 실제 의복들 또는 세탁함 관리모듈(921)로부터 전송받은 의복들로써 세탁할 의복들인지 확인하여 세탁공정이 시작되거나 중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의복에 이름표를 부착하고, 세탁조건 판단모듈(922)은 그 이름표를 근거로 상기 의복들이 세탁할 의복들인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이름표는 사용자가 의복에 기록하거나 표와 같은 형태로 제작한 후 해당 의복에 부착할 수 있다.
즉, 의복사진 파일의 이름과 동일한 이름표를 의복에 붙여서 실제 옷장에 보관한다.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사용자가 실제 의복을 보다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이름표를 촬영하여 그에 따른 사진파일을 근거로 의복사진 불러와 해당 의복사진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이름표의 형태는 여러 가지의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의복에 의복사진명(이름)을 인쇄 또는 기록하거나 의복에 붙어 있는 태그/라벨에 기록하거나 인쇄한 스티커, QR코드, 바코드 등을 붙이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의복에 이름표를 부착하는 방법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일반 의류매장에서 의복에 종이 이름표를 붙여서 의복의 사이즈, 원단, 가격 등을 표시하는 것처럼 의복에 이름표 붙여서 사용자가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사용자는 입었던 의복을 세탁함에 모아두었다가 주말이나 여유가 있을 때 세탁을 하게 되는데 세탁함 관리모듈(921)이 이름표를 근거로 세탁할 의복의 목록을 사용자에게 알려주어 세탁함에 있는 세탁물을 스마트폰 등을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세탁함 관리모듈(921)은 세탁할 의복들에 대한 세탁방법, 사용할 세제, 세탁물의 온도 등에 따라 같이 세탁해야 하는 의복과 같이 세탁을 못하는 의복을 구분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이때 의복에 이름표가 붙어 있으면 유저가 쉽게 이를 구분할 수 있다.
사용자들은 아침에 입을 의복을 찾는데 옷장에는 없을 때 이름표를 근거로 의복이 있는 위치를 검색하여 쉽게 알아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세탁을할 때
세탁함에 없는 의복도 세탁하고자 하는 경우 카메라로 촬영한 이름표를 근거로 해당 의복을 찾아내어 세탁을 할 수 있고 세탁함에 있는 세탁물들의 보관정보를 세탁조건 판단모듈(922)에 전송하여 세탁방법, 세제의 종류, 세제량, 수위 및 세탁시간 등에 따른 세탁공정을 보다 편리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세탁함에 있는 의복들을 세탁기에 넣고, 상기 세탁공정을 확인하고 세탁기의 세탁 시작버튼을 누르는 것에 의해 세탁이 시작된다.
의복모델저장소(610) 및 공유 의복 모델 저장소(620)에 상기와 같은 세탁정보를 수시로 또는 주기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세탁정보 중에서 세탁방법과 같은 정보는 사용자가 의복사진을 생성할 때 의복에 부착된 라벨 등을 통해 인식할 수 있으나, 세탁할 시기는 사용자가 직접 육안으로 보고 판단하여야 하므로 의복사진 정보에 추가로 저장할 필요가 있다. 만약, 의복 구입시 상기와 같은 세탁시기와 같은 정보가 의복모델저장소(610) 및 공유 의복 모델 저장소(620)에 저장되지 않았더라도 상기와 같이 세탁이 완료된 후 업데이트 과정을 통해 저장할 수 있다.
의복의 세탁시기는 의복의 종류, 최근에 세탁한 시기, 사용자의 운동이나 레져활동 등 사용자의 일상생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교적 자주 갈아입는 의복 예를 들어, 면티, 셔츠, 바지, 속옷, 손수건, 수건이나, 비교적 자주 그리고 일정 주기로 세탁이 필요한 의복의 경우에는 설령 세탁함에 없고 옷장에 있는 경우에도 세탁시기가 도래할 때 마다 세탁조건 판단모듈(922)에서 세탁시기가 도래하였다는 것을 스마트폰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세탁조건 판단모듈(922)에서 사용자의 일상생활 패턴을 분석한 결과와 옷장에 저장된 의복의 잔량을 비교하여, 사용자의 활동량에 비해 보관된 의복의 잔량이 적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세탁함에 있는 세탁물을 세탁하여 의복 잔량이 확보되도록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세탁조건 판단모듈(922)은 옷장 및 세탁함의 잔량을 합산한 결과 잔량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구매를 유도하는 안내를 할 수 있다. 상기 안내의 예로써, “옷장에 보관된 속옷이 1장 밖에 없어서 세탁을 하거나 구매를 해야 합니다” 또는 “자주 입지 않거나 계절에만 입는 코트, 잠바 등은 입는 시기가 지나면 세탁하여 옷장에 보관해야 합니다”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세탁조건 판단모듈(922)은 대상체(20)의 더미를 근거로 파악한 사용자의 일상생활과 세탁함에 저장된 세탁물 및 사용자의 옷차림 등의 데이터를 취합 및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의복의 세탁시기, 구매시기, 교체시기, 수선/수리 등을 알려줄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세탁함은 가정에서 사용하는 소형뿐만 아니라 의복매장에서 판매를 못하고 비품처리하는 용도의 보관함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대형 세탁업소의 경우 세탁물 수거, 세탁물 분류(종류별, 세탁방법별, 사용세제별 등), 세탁, 건조 및 다림질, 배송분류, 배송 등이 주 업무가 될 수 있는데, 이중에서 세탁물 수거와 세탁물 분류, 배송분류 등에 상기 세탁함 관리모듈(921)이 설치된 세탁함이 적용될 수 있다. 즉, 세탁업소의 관리자가 세탁물을 세탁회사에 의뢰할 때 세탁물 정보를 세탁물 회사의 세탁조건 판단모듈(922)에 전송하고 이름표가 붙어 있는 의복을 세탁보관함에 입고시키면 세탁회사에서 이를 수거하여 세탁한 후 분류, 배송하는 절차를 진행할 때 상기 세탁물 정보와 이름표를 이용하여 보다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스타일러, 건조기 등에도 상기 세탁함 관리모듈(921)과 세탁조건 판단모듈(922)을 포함하는 세탁안내 장치(92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피씨에 세탁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스타일러, 건조기 등의 동작을 원격으로 조정하거나, 이들을 이용하는 의복들의 정보도 알아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면 47도는 칼로리 정보 등을 메타 데이터로서 포함하는 음식 사진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 이용 또는 생성되는 음식 사진(FP)는 메타 데이터로서 칼로리 정보, 명칭, 유통기한, 영양정보, 제조원, 보관 방법 등의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러한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레시피를 제공하거나, 저장고 내에 저장된 음식 또는 재료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다이어트 모드 등에서 섭취된 칼로리를 계산할 때 참고할 수도 있다. 참고로, 음식 사진(FP)에 포함되는 이러한 메타 데이터는 스마트 폰을 통하여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생성되어 저장될 것일 수도 있으며, 음식 사진(FP)에는 재료의 사진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도면 49도는 의복 사진, 화장품 사진, 음식 사진 등에 저장되는 메타 데이터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의복 사진, 음식 사진 등에 포함되는 메타 데이터의 형태는 자체적으로 규정된 포맷을 이용할 수도 있으나, 미디어 기록물 메타데이터의 표준인 기존의 IPTC(International Press Telecommunications Council)나 도면의 EXIF(EXchangable Image File format)의 메타 데이터 포맷을 활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기존 포맷을 사용하는 경우, IPTC에서는 'Description' 항목을, EXIF에서는 'Maker Note' 항목을 이용하여 저장되어야 할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필드(field) 또는 항목을 이용하여, 의복 사진의 경우에는 해당 의복의 재질, 세탁 방법, 주의 사항 등의 정보가 저장될 수 있고, 음식물 사진의 경우에는 칼로리, 제조자, 영양정보 등의 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며, 화장품 사진의 경우에는 제조자, 화장법, 색조 정보 등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메타 데이터가 구비된 사진 등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의복 등을 관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화장법이나 섭취될 음식의 추천 등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전신 거울
20 : 대상체
30 : 스마트 폰
40 : 종래의 디지털 거울
41 : 촬영장치
50 : 의복
100 : 디스플레이
110 : 광원
200 : 카메라
210 : 거리 측정 센서
310 : 더미 저장부
320 : 더미 생성부
400 : 연동부
510 : 개인 정보 저장부
520 : 모드 기억부
530 : 콘솔 인증부
540 : 입력부
610 : 의복 모델 저장소
620 : 공유 의복 모델 저장소
630 : 의복 모델 추천부
640 : 의복 모델 생성부
650 : 의복 사진 생성부
660 : 의복 모델 적용부
710 : 피부 정보 저장부
720 : 화장법 추천부
730 : 화장 적용부
740 : 칼로리 저장부
741 : 뷰티 사진 생성부
742 : 뷰티 사진 저장소
743 : 공유 뷰티 사진 저장소
750 : 레시피 저장부
760 : 음식재료 저장부
920 : 세탁안내부
921 : 세탁함 관리모듈
922 : 세탁조건 판단모듈
1000 :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

Claims (39)

  1. 제어부가 입력부를 통하여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모드(mode)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모드가 다이어트(diet) 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식별정보의 체성분분석정보와 다이어트 목표를 입력받아 개인정보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식별 정보의 체성분분석정보, 더미(dummy)를 기반으로 기초대사량, 활동대사량이 계산 또는 측정되어 상기 개인정보 저장부에 저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모드가 키친(kitchen) 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가 음식재료 저장부로부터 저장고에 보관 중인 음식 또는 재료의 재고 리스트(list)를 불러와 디스플레이(display)를 통하여 출력하는 단계;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레시피(recipe)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식별정보에 다이어트 목표가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식별 정보에 다이어트 목표가 설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식별정보의 다이어트 목표를 달성하는데 적합한 칼로리(calorie) 값을 갖는 레시피를 선정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식별정보의 섭취 칼로리 값이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가 이를 분석하여 칼로리 저장부에 저장하여 현재 칼로리 값을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모드가 트레이닝(training) 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식별 정보에 다이어트 목표가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식별 정보의 다이어트 목표에 따라 소모해야 할 목표 칼로리 값과 소모 칼로리 값을 체크(check)하고 그 체크 결과에 따라 추가로 소모할 칼로리 값과 운동방법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식별 정보의 소모 칼로리 값이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가 이를 분석하여 상기 칼로리 저장부에 저장하여 현재 칼로리 값을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레시피는 상기 식별 정보의 현재 칼로리 값이 목표 칼로리 값을 추종하도록 현재 시간을 반영하여 제공되고,
    현재 시간의 반영은 24시에 근접할수록 가중치를 두어 상기 현재 칼로리 값이 상기 목표 칼로리 값에 빠르게 추종되도록 반영되며,
    현재 칼로리 값은 섭취 칼로리 값에서 소모 칼로리 값과 상기 식별정보의 기초대사량에 따라 소모된 칼로리 값을 감한 것이고,
    현재 칼로리 값, 섭취 칼로리 값, 소모 칼로리 값은 1일 단위로 측정, 계산되며,
    섭취 칼로리 값은 미러(mirror)나 스마트폰(smartphone)의 카메라(camera)로 촬영된 상기 식별정보가 섭취한 음식의 사진을 분석한 정보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며,
    재고 리스트는 상기 저장고에 보관 중인 음식 또는 재료가 인출 또는 반입될 때마다, 상기 미러나 상기 스마트폰의 카메라로 촬영된 영수증 또는 사진에 의하여 갱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체성분분석정보는
    인바디(Inbody) 정보와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인바디 정보는 몸의 구성 성분인 수분, 지방, 단백질, 무기질, 체중, 골격근량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모드가 다이어트(diet) 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식별정보의 건강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건강관련 정보는
    사용자의 과체중, 비만, 콜레스테롤(cholesterol), 고혈압 및 당뇨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건강관련 정보는
    사용자의 바이오리듬(biorhythm), 사용자의 취향 및 선호도 변화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재고 리스트는
    입고일자, 명칭, 중량, 칼로리, 영양정보, 원재료명, 주의사항, 알레르기(allergy) 표시, 보관방법, 제조원, 판매처, 원산지, 구입처, 금액, 유통기한 및 비고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레시피는 문자, 사진,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레시피는 재고 리스트의 음식 또는 재료만을 활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에 다이어트 목표가 설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식별정보의 다이어트 목표를 달성하는데 적합한 칼로리(calorie) 값을 갖는 레시피를 선정하여 표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식별 정보가 선택한 레시피가 재고 리스트 외의 음식 또는 재료가 필요한 레시피인 경우, 해당 음식 또는 재료를 판매하는 상점을 인터넷에서 검색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모드가 트레이닝(training) 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식별 정보의 소모 칼로리 값이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가 이를 분석하여 상기 칼로리 저장부에 저장하여 현재 칼로리 값을 갱신하는 단계 이후에,
    소정 주기로 상기 식별정보의 다이어트 목표를 체크하여 달성 정도를 더미에 반영하여 보여주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소정 주기는
    1일, 1주일, 1달 및 복수의 달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기초 대사량은 상기 식별정보의 체성분분석정보에서 체중 값, 더미에서 키 값을 이용하되, 기초대사량 산출공식을 이용하여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소모 칼로리는 기록에 의하여 계산되어 수집되거나, 웨어러블(wearable) 기기, 운동 기기, 레저(leisure) 기기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통신수단이 구비된 장치를 통하여 수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사진에는 칼로리 정보가 메타 데이터(meta data)로서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의 구동 방법.
  16. 영수증, 재료 또는 섭취한 음식의 사진을 촬영하는 카메라;
    디스플레이;
    사용자의 식별정보, 모드, 체성분분석정보, 다이어트 목표를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식별정보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개인정보 저장부;
    레시피가 저장되어 있는 레시피 저장부;
    상기 식별정보에 따른 더미가 저장된 더미 저장부;
    저장고에 보관 중인 음식 또는 재료의 재고 리스트가 저장된 음식재료 저장부;
    음식 또는 재료의 칼로리, 상기 식별정보의 섭취 칼로리 값을 포함하는 칼로리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칼로리 저장부;
    상기 카메라,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입력부, 상기 개인정보 저장부, 상기 레시피 저장부, 상기 더미 저장부, 상기 음식재료 저장부 사이의 데이터 교환 또는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모드가 다이어트 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식별정보의 체성분분석정보와 다이어트 목표를 입력받아 개인정보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식별 정보의 체성분분석정보, 더미(dummy)를 기반으로 기초대사량, 활동대사량이 계산 또는 측정되어 상기 개인정보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모드가 키친 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음식재료 저장부로부터 저장고에 보관 중인 음식 또는 재료의 재고 리스트를 불러와 디스플레이(display)를 통하여 출력하고, 레시피(recipe)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식별정보에 다이어트 목표가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며, 상기 식별 정보에 다이어트 목표가 설정된 경우, 상기 식별정보의 다이어트 목표를 달성하는데 적합한 칼로리 값을 갖는 레시피를 선정하여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식별정보의 섭취 칼로리 값이 수신되면 이를 분석하여 칼로리 저장부에 저장하여 현재 칼로리 값을 갱신하며,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모드가 트레이닝(training) 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식별 정보에 다이어트 목표가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상기 식별 정보의 다이어트 목표에 따라 소모해야 할 목표 칼로리 값과 소모 칼로리 값을 체크하고 그 체크 결과에 따라 추가로 소모할 칼로리 값과 운동방법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며,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식별 정보의 소모 칼로리 값이 수신되면 이를 분석하여 상기 칼로리 저장부에 저장하여 현재 칼로리 값을 갱신하며,
    레시피는 상기 식별 정보의 현재 칼로리 값이 목표 칼로리 값을 추종하도록 현재 시간을 반영하여 제공되고,
    현재 시간의 반영은 24시에 근접할수록 가중치를 두어 상기 현재 칼로리 값이 상기 목표 칼로리 값에 빠르게 추종되도록 반영되며,
    현재 칼로리 값은 섭취 칼로리 값에서 소모 칼로리 값과 상기 식별정보의 기초대사량에 따라 소모된 칼로리 값을 감한 것이고,
    현재 칼로리 값, 섭취 칼로리 값, 소모 칼로리 값은 1일 단위로 측정, 계산되며,
    섭취 칼로리 값은 미러(mirror)나 스마트폰(smartphone)의 카메라(camera)로 촬영된 상기 식별정보가 섭취한 음식의 사진을 분석한 정보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며,
    재고 리스트는 상기 저장고에 보관 중인 음식 또는 재료가 인출 또는 반입될 때마다, 상기 미러나 상기 스마트폰의 카메라로 촬영된 영수증 또는 사진에 의하여 갱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체성분분석정보는
    인바디(Inbody) 정보와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인바디 정보는 몸의 구성 성분인 수분, 지방, 단백질, 무기질, 체중, 골격근량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건강관련 정보는
    사용자의 과체중, 비만, 콜레스테롤(cholesterol), 고혈압 및 당뇨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건강관련 정보는
    사용자의 바이오리듬(biorhythm), 사용자의 취향 및 선호도 변화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재고 리스트는
    입고일자, 명칭, 중량, 칼로리, 영양정보, 원재료명, 주의사항, 알레르기(allergy) 표시, 보관방법, 제조원, 판매처, 원산지, 구입처, 금액, 유통기한 및 비고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
  22. 제16항에 있어서,
    레시피는 문자, 사진,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
  23. 제16항에 있어서,
    레시피는 재고 리스트의 음식 또는 재료만을 활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
  24. 제16항에 있어서,
    기초 대사량은 상기 식별정보의 체성분분석정보에서 체중 값, 더미에서 키 값을 이용하되, 기초대사량 산출공식을 이용하여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
  25. 제16항에 있어서
    소모 칼로리는 기록에 의하여 계산되어 수집되거나, 웨어러블(wearable) 기기, 운동 기기, 레저(leisure) 기기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통신수단이 구비된 장치를 통하여 수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
  26. 제16항에 있어서,
    사진에는 칼로리 정보가 메타 데이터(meta data)로서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KR1020210013666A 2021-01-29 2021-01-29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 이의 구동 방법 KR102593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3666A KR102593356B1 (ko) 2021-01-29 2021-01-29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 이의 구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3666A KR102593356B1 (ko) 2021-01-29 2021-01-29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 이의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9989A KR20220109989A (ko) 2022-08-05
KR102593356B1 true KR102593356B1 (ko) 2023-10-23

Family

ID=82826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3666A KR102593356B1 (ko) 2021-01-29 2021-01-29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 이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335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81317A (ja) * 2007-01-24 2008-08-07 Nec Corp 健康管理システム、携帯端末、プログラム及び健康管理方法
JP2015156190A (ja) * 2014-02-21 2015-08-27 株式会社ニコン 健康管理装置および健康管理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6383B1 (ko) 2005-07-06 2007-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바타 냉장고
KR20150028007A (ko) 2013-09-05 2015-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식품 관리 시스템과 이를 위한 냉장고 및 외부 단말기
KR20190024784A (ko) 2017-08-30 2019-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2233929B1 (ko) 2018-11-06 2021-03-30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사용자의 건강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81317A (ja) * 2007-01-24 2008-08-07 Nec Corp 健康管理システム、携帯端末、プログラム及び健康管理方法
JP2015156190A (ja) * 2014-02-21 2015-08-27 株式会社ニコン 健康管理装置および健康管理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9989A (ko) 2022-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40652B2 (en) Computer implemented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ng virtual body models for garment fit visualisation
US20110022965A1 (en) Personalized shopping avatar
KR20210073611A (ko) 거울을 가상화하는 디바이스들, 시스템들 및 방법들
JP6199685B2 (ja) ファッションコーディネート支援装置及びファッションコーディネート支援システム
CN101136096A (zh) 一种网上服饰评价与搭配系统及方法
US11301656B2 (en) Clothing having one or more printed areas disguising a shape or a size of a biological feature
CN105989617A (zh) 虚拟试穿装置及虚拟试穿方法
CN105374057A (zh) 虚拟试穿装置及虚拟试穿方法
CN105374058A (zh) 虚拟试穿装置、虚拟试穿系统及虚拟试穿方法
CN105989618A (zh) 虚拟试穿装置及虚拟试穿方法
KR20220021122A (ko) 코디 추천 장치 및 방법
KR102466408B1 (ko) 스타일링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220109994A (ko)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 이의 구동 방법
KR102593356B1 (ko) 스타일링 및 홈 헬스케어 장치, 이의 구동 방법
KR101916864B1 (ko) 드레스 코드 평가 방법, 장치 및 시스템
JP2006155545A (ja) 画像評価装置及びカメラ付き携帯端末
KR20210130420A (ko) 스마트 삼차원 의류 피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의류 피팅 서비스 제공 방법
CN113011935A (zh) 智能试穿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20200071196A (ko) 얼굴 인식 기반 가상 피팅 시스템
CN108682045A (zh) 一种基于智能家居的镜子及其控制方法
WO2022185631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220043593A (ko) 스타일링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