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0736A - 오프라인 의류 매장에서 피팅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오프라인 의류 매장에서 피팅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0736A
KR20170060736A KR1020150165254A KR20150165254A KR20170060736A KR 20170060736 A KR20170060736 A KR 20170060736A KR 1020150165254 A KR1020150165254 A KR 1020150165254A KR 20150165254 A KR20150165254 A KR 20150165254A KR 20170060736 A KR20170060736 A KR 201700607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unit
image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5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수
Original Assignee
박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수 filed Critical 박진수
Priority to KR1020150165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0736A/ko
Publication of KR20170060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07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G06K9/00006
    • G06K9/0059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H04N5/225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오프라인 의류 매장에서 피팅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사용자의 입장시 사용자의 정보를 인식하고 사용자의 프로필을 생성 및 호출하는 사용자 인식부; 호출된 프로필에 사용자의 체형 정보를 인식하는 신체정보 측정부; 사용자의 피팅이 끝나면 모션을 인식하여 사진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촬영된 사진에서 소비자와 의류의 정보를 따로 저장하는 의류정보 분리저장부; 촬영된 의류 사진을 바탕으로 의류의 패턴을 파악하여 사용자에게 해당 매장 또는 인근 매장의 의류를 추천하는 중앙 제어부; 상기의 과정을 통해 인식된 신체정보 및 사진촬영화면, 의류정보 등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가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해 디지털 사이니지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다수의 매장에서 자신의 체형 및 취향에 맞는 의류정보를 여러 매장에서 추천받고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판매자는 매장의 의류를 관리하고 판매하는 데 있어 빠르고 간편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오프라인 의류 매장에서 피팅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METHOD FOR SUPPLYING A FITTING IMAGE FROM OFFLINE CLOTHING STORES WITH DIGITAL SIGNAGE}
본 발명은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오프라인 의류 매장에서 피팅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비자의 체형을 파악하여 맞춤 의류 정보를 제공하고, 소비자가 여러 의류 매장에서 착용했던 옷을 편리하게 비교하며 선호하는 의류의 정보를 분석하여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오프라인 의류 매장에서의 의류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프라인 의류 매장에서 의류정보를 제공할 때, 판매자는 매장에 방문한 소비자에 한하여 의류정보를 제공하였으며, 소비자는 구매하고자 하는 의류가 자신에게 어울리는지 아닌지와 자신의 몸에 잘 맞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구매하기 전 착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를 위해 의류 매장에서는 별도의 탈의실 등이 구비되며, 소비자가 확인할 수 있는 전신거울이 의류 매장에 구비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의류구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IT 기술을 접목하여 의류 구입이 보다 편리하도록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18599호(맞춤형 서비스를 위한 피팅룸 시스템 및 그 방법, 공개일: 2014.02.13, 이하 선행기술)와 같은 기술이 개시된다.
상기 개시된 선행기술은 탈의실에 설치된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가상의 이미지를 활용하는 기술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은 하나의 매장에서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이며, 소비자는 오프라인 의류 매장에서 자신의 체형에 맞는 의류를 직원의 추천이나 전시된 상품을 수동적으로 탐색해 찾은 후 선택한 의류가 자신의 체형에 맞는지 일일이 입어봐야만 했으며, 소비자에게 적합한 의류를 찾기 위해 소비자는 구입하고자 하는 의류를 하나의 매장에서만 확인하지 않고 다양한 매장에서 다양한 의류를 착용해보거나 확인한 이후에 구입하는 경우가 많아 다른 매장에서 입어본 의류 정보의 연계에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피팅룸 시스템은 소비자가 의류를 비교함에 있어 소비자의 기억에 의존하는 바가 크고 실질적인 착용 모습에 대한 실시간 비교가 불가능하였으며, 설치된 매장간의 연결이 되지 않아 소비자가 다른 매장의 의류를 비교하고 구매하는 과정에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18599호(공개일: 2014.02.1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오프라인 의류 매장에서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시스템을 통해 소비자의 정보를 파악하여 고객에게 적합한 의류를 빠르고 편리하게 제공하여 구매에 도움을 주고, 매장에서 고객별 특성관리와 고객이 선호하는 상품을 선별하여 관리토록 함으로써 그동안 오프라인 의류매장에서의 문제점을 보완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인접한 오프라인 의류 매장과의 정보 연계를 통해 소비자의 의류 비교과정을 도와 고객들에게 소비패턴에 맞는 의류를 구매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오프라인 의류 매장에서 피팅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사용자의 입장시 사용자의 정보를 인식하고 사용자의 프로필을 생성 및 호출하는 사용자 인식부; 호출된 프로필에 사용자의 체형 정보를 인식하는 신체정보 측정부; 사용자의 피팅이 끝나면 모션을 인식하여 사진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촬영된 사진에서 소비자와 의류의 정보를 따로 저장하는 의류정보 분리저장부;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촬영된 의류 사진을 바탕으로 의류의 패턴을 파악하여 사용자에게 해당 매장 또는 인근 매장의 의류를 추천하는 중앙 제어부; 상기의 과정을 통해 인식된 신체정보 및 사진촬영화면, 의류정보 등을 디지털 사이니지를 통해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사용자 인식부는 피팅 룸의 입구에 적용되어 사용자가 선택한 의류를 착용하기 위해 피팅룸에 입장 시 사용자 안구의 홍채를 통한 인식을 시도하여 신원을 파악하는 홍채 인식부; 홍채 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식이 용이하지 않을 경우 지문을 통해 사용자를 인식하는 지문 인식부, 이름 및 전화번호등을 이용하여 등록된 정보를 찾거나 최초 사용자일 경우 사용자 등록과정을 실시하는 주소 인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사용자의 신체에 변화가 생겨 인식에 장애가 있을 경우 기존에 등록된 사용자 프로필을 호출하여 정보를 갱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신체정보 측정부는 사용자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프로필에 피팅 시의 체형 정보를 측정하기 위해 피팅 룸 내부의 센서를 이용한 신장 측정부; 피팅 룸 바닥의 체중 측정부 및 체지방 측정부를 통해 사용자의 신장 및 체중을 바탕으로 체지방을 분석해 체형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체형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지방 측정부는 피팅 룸의 바닥에 발 사이즈의 전극부가 설치되며, 설치된 전극부는 생체전기임피던스분석(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 BIA)법을 이용하여 체성분을 분석하여 허리둘레 및 엉덩이둘레 등 옷에 가려져 파악하기 힘든 사용자의 체형을 데이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형분석 알고리즘은 사용자 이미지의 높이와 넓이를 분석하고 분석된 이미지에서 사용자와 배경구역의 구분을 위해 공간을 A01, A02, A03 ~ Z99 까지 임의로 분할하는 체형 이미지 데이터화 과정, 이미지 데이터화 과정을 통해 생성된 구역의 사용자 부분을 수치화하여 사용자의 체형을 표현하는 체형 이미지 수치화 과정, 수치화된 이미지 데이터를 체형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체형을 유추하는 정보 매칭 과정, 매칭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체형정보를 추출하는 체형 정보 추출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과정을 통해 추출된 사용자의 체형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메라 모듈은 피팅이 끝나면 모션 인식을 통해 프로그램상으로 지정된 동작을 취하거나 사용자의 음성이나 디스플레이 터치를 통한 조작을 통해 피팅 사진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의류정보 분리저장부는 촬영된 사진을 바탕으로 사용자와 의류의 정보를 분리하여 사용자가 착용한 의류를 상의, 하의, 신발, 악세사리 등 종류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식부, 신체정보 측정부, 카메라 모듈, 의류정보 분리저장부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필요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호출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며 매장 내의 상품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가 착용한 의류의 색상, 디자인, 소재 등의 의류 정보를 상기 의류 정보 분리 저장부로부터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 제어부는 매장 내의 상품 관리를 위해 RFID 칩(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CHIP)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 제어부는 사용자가 착용한 의류 디자인의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의류 형태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의류 형태분석 알고리즘은 의류의 이미지를 분석하고 분석된 이미지에서 의류와 배경의 구분을 위해 공간을 A1,A2 ~ Z9 까지 공간을 분할하는 의류 이미지 데이터화 과정, 이미지 데이터화 과정을 통해 생성된 구역의 의류 부분을 수치화 하여 의류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의류 이미지 수치화 과정, 수치화된 이미지 데이터를 의류 형태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의류의 디자인을 유추하는 이미지 매칭 과정, 매칭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의류 취향을 추출하는 의류 정보 추출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과정을 통해 추출된 사용자의 의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 제어부는 사용자가 착용한 의류의 색상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색상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색상 알고리즘은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데이터화 하는 색상 이미지 데이터화 과정, 데이터화 된 이미지의 색상을 추출하는 색상 추출 과정, 추출된 색상의 그룹화를 통해 의류에 사용된 색상의 정보를 정리하는 색상 그룹화 과정, 정리된 색상 정보를 추출하여 의류에 사용된 색상을 판단하는 색상 정보 추출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과정을 통해 추출된 사용자의 색상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디지털 사이니지로 이루어진 패널로써 사용자에게 인터페이스부를 제공하며, 사용자가 없을 경우 광고/프로모션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의류정보 분리저장부를 통해 분리된 의류를 디스플레이상에 나타내며, 분리된 의류 데이터를 이용해 사용자가 착용해보지 못한 조합으로 의류를 조합해 볼 수 있는 실사 피팅부; RFID 칩을 통해 등록된 매장 내의 의류정보를 이용해 자신이 입어보지 못한 의류를 가상으로 피팅할 수 있고 몸의 체형에 따라 사이즈(S, M, L)를 조정하고 피팅 사진 촬영기능도 가능한 가상 피팅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오프라인 의류 매장에서 피팅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판매자가 매장의 의류 상품에 대한 데이터를 더 빠르고 광범위하게 관리할 수 있으며, 소비자는 자신의 체형 및 취향에 맞는 의류를 여러 매장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편리하게 구매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오프라인 의류 매장에서 피팅 이미지를 제공하기위한 방법의 전체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자 인식부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신체정보 측정부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의류정보 분리저장부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부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체형분석 알고리즘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의류 형태분석 알고리즘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색상 알고리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오프라인 의류 매장에서 피팅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오프라인 의류 매장에서 피팅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크게 사용자 인식부(10), 신체정보 측정부(20), 카메라 모듈(30), 의류정보 분리저장부(40), 중앙 제어부(50), 데이터베이스(60), 디스플레이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인식된 신체정보 및 사진촬영화면, 의류정보 등을 디지털 사이니지를 통해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상기 사용자 인식부(10)는 매장의 피팅 룸의 입구; 통상적으로 피팅 룸의 도어가 설치된 곳에 적용되어 사용자가 선택한 의류를 착용하기 위해 피팅 룸에 입장 시 사용자의 신원을 파악하여 사용자의 정보를 불러온다.
상기 사용자 인식부(10)는 피팅 룸에 입장 시 사용자의 홍채를 인식하여 신원을 파악하는 홍채 인식부(11); 홍채 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식이 용이하지 않을 경우 지문을 통해 사용자를 인식하는 지문 인식부(12); 장갑이나 외부적인 요인으로 홍채, 지문 인식이 용이하지 않을 경우 이름 및 전화번호 등을 이용하여 등록된 정보를 찾거나 사용자가 시스템을 사용한 적이 없을 경우 최초 사용자 등록과정을 실시하는 주소 인식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사용자의 신체에 변화가 생겨 인식의 장애가 있을 경우 기존에 등록된 사용자 프로필을 호출하여 정보를 갱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상기 신체정보 측정부(20)는 사용자 인식부(10)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프로필에 피팅 시의 체형 정보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체형을 형상화 하고, 체형에 맞는 인근 매장의 의류를 추천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신체정보 측정부(20)는 피팅 룸 내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70)의 카메라 및 센서를 이용해 사용자의 신장을 파악하는 신장 측정부(21); 피팅 룸의 바닥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체중을 측정하는 체중 측정부(22); 피팅 룸의 바닥에 설치되어 체지방을 측정해 체형의 유추에 데이터를 제공하는 체지방 측정부(23)를 통해 사용자의 신장 및 체중을 바탕으로 체지방을 분석해 체형분석 알고리즘(24)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체형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지방 측정부(23)의 체지방 측정기는 크게 나누어 인체로부터 생체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체지방 측정용 전극들과 이 전극들로부터 수신된 생체임피던스 신호를 신호처리하는 전기 회로부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체지방 측정기에 있어서 인체에 접촉되는 전극의 수에 따라서 4점식, 6점식, 8점식 등으로 구분한다.
일반적으로 체지방 측정용 전극은 클립형태의 전극을 손목, 발목에 장착하거나, 또는 일회용 전극을 좌우 손목, 발, 손등 발등에 조합적으로 부착하거나, 또는 접촉형태의 전극을 좌우 손바닥과 발바닥에 조합적으로 접촉하여, 인체내에 미세전류를 가하고 그로부터 전압을 측정하여 생체전기 임피던스를 측정한다.
상기 체지방 측정부(23)는 피팅 룸의 바닥에 발 사이즈의 전극부가 설치되며, 설치된 전극부는 생체전기임피던스분석(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 BIA)법을 이용하여 체성분을 분석하며, 상기 신장 측정부(21), 체중 측정부(22)에서 측정된 신장과 체중에 체지방 측정부에서 측정된 체지방을 토대로 체형을 분석하여 허리둘레 및 엉덩이둘레 등 옷에 가려져 일반적으로는 파악하기 어려운 사용자의 체형을 데이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에 도시된 체형분석 알고리즘(24)은 사용자 이미지의 높이와 넓이를 분석하고 분석된 이미지에서 사용자와 배경구역의 구분을 위해 공간을 A01, A02, A03 ~ Z99 까지 임의로 분할하는 체형 이미지 데이터화(241) 과정, 이미지 데이터화 과정을 통해 생성된 구역의 사용자 부분을 수치화하여 사용자의 체형을 표현하는 체형 이미지 수치화(242) 과정, 수치화된 이미지데이터를 체형 데이터베이스(245)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체형을 유추하는 정보 매칭(243) 과정, 매칭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체형정보를 추출하는 체형 정보 추출(244)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과정을 통해 추출된 사용자의 체형 정보를 데이터베이스(60)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미지 데이터화(241) 과정에서 사용자의 체형을 보다 세밀하게 분석하기 위해 공간을 A01, A02, A03 ~ Z99 까지 세밀하게 나누는 것을 기준으로 한다.
Figure pat00001
상기 카메라 모듈(30)은 피팅 룸 내의 사용자가 의류를 착용한 후 사용자의 모션인식을 통해 프로그램상으로 지정된 동작을 취하거나 사용자의 음성인식, 디스플레이부(7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를 통해 사용자가 의류를 착용한 피팅 사진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상기 의류정보 분리저장부(40)는 상기 카메라 모듈(30)에서 촬영한 사용자의 피팅 사진을 바탕으로 사용자와 의류의 정보를 분리/저장하여 사용자가 입어보지 않은 조합의 의류들을 새롭게 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의류정보 분리저장부(40)는 상기 카메라 모듈(30)에서 촬영한 사용자의 피팅 사진의 상의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인식하여 분리/저장하는 상의 인식부(41); 하의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인식하여 분리/저장하는 하의 인식부(42); 상,하의를 제외한 신발, 모자, 목도리, 넥타이와 같은 악세사리들을 인식하여 분리/저장하는 악세사리 인식부(4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 제어부(50)는 상기 사용자 인식부(10), 신체정보 측정부(20), 카메라 모듈(30), 의류정보 분리저장부(40)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60)에 저장하고 필요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70)에 호출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 제어부(50)는 사용자가 착용한 의류의 색상, 디자인, 소재 등의 의류 정보를 상기 의류정보 분리저장부(40)로부터 수집하여 해당 매장 및 인근 매장의 의류와 비교, 분석을 통해 사용자가 선호할 만한 의류를 추천하고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 제어부(50)는 매장의 의류정보 수집을 위해 RFID 칩(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CHIP)을 사용하며, 상기 RFID 칩은 상품, 박스 등에 부착되어 공급사슬망관리(SUPPLY CHAIN MANAGEMENT : SCM)과 같이 실시간 데이터가 필요한 매장 내의 상품 정보 관리에 사용되며, 저장용량, 인식거리 등의 바코드의 한계를 보완해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여러 태그의 인식과 고속인식을 통한 대기비용의 감소를 가능하게 하여 매장의 의류에 각각 코드를 부여하여 상품목록을 데이터화하여 시스템에 저장/관리하며, 사용자는 피팅 룸의 디스플레이상에서 매장에서 보유한 의류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필요 시 의류의 정보를 호출하여 가상의 이미지를 이용한 가상피팅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RFID 칩에서 RFID 는 제품에 붙이는 태그에 생산, 유통, 보관, 소비의 전 과정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자체 안테나를 갖추고 있으며, 리더로 하여금 이 정보를 읽고, 통신 네트워크와 연계하여 정보시스템과 통합하여 사용되는 활동 또는 칩을 말하며,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수 cm에서 수십 m에 떨어져 있는 사물이나 사람에 부착된 태그를 인식하여 태그로부터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RFID 동작원리는 다음과 같다. RFID 태그를 활용하여 목적에 맞는 정보를 입력하게 된다. 입력된 RFID 태그는 상품, 박스, 팔레트 등에 부착되어 Gate/POS 등에 설치된 리더에서 발사된 주파수가 RFID 태그에 접촉하게 된다. RFID 태그는 주파수에 반응, 입력된 Data를 안테나로 전송한다. 안테나는 전송받은 Data를 변조하여 리더로 전달되어 리더는 Data를 해독하여 Host Computer로 전송한다.
매체별 특성 비교
구분 바코드 자기카드 IC카드 RFID
인식 방법 비접촉식 접촉식 접촉식 비접촉식
인식 거리 0~50cm 리더기에 삽입 리더기에 삽입 0~27m
인식 속도 4초 4초 1초 0.01~0.1초
인식률 95% 이하 99.9% 이상 99.9% 이상 99.9% 이상
투과력 불가능 불가능 불가능 가능
사용 기간 불가능 1만번 이내(4년) 1만번(5년) 10만번(60년)
데이터저장 1~100byte 1~100byte 16~64kbyte 64kbyte이하
쓰기 기능 불가능 가능 가능 가능
손상률 매우 잦음 잦음 잦음 거의 없음
태그 비용 가장 저렴 저렴 높음 보통
보안 능력 거의 없음 거의 없음 복제 불가 복제 불가
재활용 불가능 불가능 가능 가능
표 1에 나와 있는 것처럼 RFID는 여러 가지 특징을 갖고 있다. RFID가 바코드와 다른 점은 빛을 이용해 판독하는 바코드와 달리 전파를 이용한다. 짧은 거리에서만 작동하는 것이 아니라 원거리에서도 태그를 읽을 수 있으며, 물체를 통과해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RFID의 특징은 여러 가지로 살펴볼 수 있다. 첫 번째로 RFID는 기존에 있는 무선인식 시스템과는 비교도 안 될 정도의 많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두 번째로 동시에 여러 개의 태그를 고속으로 인식할 수 있어 대기비용의 절약이 가능하고 물체를 투과하여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세 번째로 비 접촉식이기 때문에 열악한 외부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네 번째로 RFID는 내구성이 우수하며 수명이 길이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동 중 인식이 가능해서 실시간 재고 파악과 위치 추적을 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마지막으로 복제 및 위조/변조가 어려워 보안 유지 및 정품인증 기능의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중앙 제어부(50)는 사용자가 착용한 의류 디자인의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의류 형태분석 알고리즘(51)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에 도시된 의류 형태분석 알고리즘(51)은 의류의 이미지를 분석하고 분석된 이미지에서 의류와 배경의 구분을 위해 공간을 A1,A2 ~ Z9 까지 공간을 분할하는 의류 이미지 데이터화 과정(511), 의류 이미지 데이터화 과정을 통해 생성된 구역의 의류 부분을 수치화하여 의류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의류 이미지 수치화 과정(512), 수치화된 이미지 데이터를 의류 형태 데이터베이스(515)와 비교하여 의류의 디자인을 유추하는 이미지 매칭 과정(513), 매칭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의류 취향을 추출하는 의류 정보 추출 과정(514)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과정을 통해 추출된 사용자의 체형 정보를 데이터베이스(60)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미지 데이터화(511) 과정에서 의류분석을 위한 공간은 A1, A2, ~ Z9 까지 나누는 것을 기준으로 한다.
Figure pat00002
상기 중앙 제어부(50)는 사용자가 착용한 의류의 색상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색상 알고리즘(52)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색상 알고리즘(52)은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데이터화 하는 색상 이미지 데이터화 과정(521), 데이터화된 이미지의 색상을 추출하는 색상 추출 과정(522), 추출된 색상의 그룹화를 통해 의류에 사용된 색상의 정보를 정리하는 색상 그룹화 과정(523), 정리된 색상정보를 추출하여 의류에 사용된 색상을 판단하는 색상 정보 추출과정(524)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과정을 통해 추출된 사용자의 색상 정보를 데이터베이스(60)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at00003
상기 디스플레이부(70)는 디지털 사이니지로 이루어진 패널로써 상기의 과정을 디스플레이에 구현하고 사용자에게 조작 가능한 인터페이스부(72)를 제공하며, 사용자가 없을 경우 판매자가 등록한 매장의 프로모션 또는 광고등을 디지털 사이니지를 통해 제공하는 광고/프로모션(71)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72)는 의류정보 분리저장부(40)를 통해 분리된 의류를 디스플레이상의 우측에 나타내며, 우측의 분리된 의류 데이터를 이용해 사용자가 착용해보지 못한 조합으로 의류를 조합해 볼 수 있는 실사 피팅부(73)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RFID 칩을 통해 등록된 매장 내의 의류정보를 이용해 자신이 입어보지 못한 의류를 가상으로 피팅할 수 있고 몸의 체형에 따라 사이즈(S, M, L)를 조정하고 피팅 사진 촬영기능도 가능한 가상 피팅부(74)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오프라인 의류 매장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정보를 인식하고 체형을 측정하여 사용자가 방문한 매장이나 인접한 매장에서 사용자의 체형 및 취향에 맞는 의류를 추천하고, 피팅사진을 분석하여 피팅사진 및 합성한 이미지의 비교를 통해 의류선택 과정에 도움을 주고 인접한 매장의 연계를 통해 소비자가 효율적인 의류구매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오프라인 의류 매장에서 피팅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상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고 한정된다. 또한, 이러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0 : 사용자 인식부
11 : 홍채 인식부 12 : 지문인식부
13 : 주소 인식부
20 : 신체정보 측정부
21 : 신장 측정부 22 : 체중 측정부
23 : 체지방 측정부 24 : 체형분석 알고리즘
241 : 체형 이미지 데이터화 242 : 체형 이미지 수치화
243 : 정보매칭 244 : 체형정보추출
245 : 체형 데이터베이스
30 : 카메라 모듈
40 : 의류정보 분리저장부
41 : 상의 인식부 42 : 하의 인식부
43 : 악세사리 인식부
50 : 중앙 제어부
51 : 의류 형태분석 알고리즘 511 : 의류 이미지 데이터화
512 : 의류 이미지 수치화 513 : 이미지 매칭
514 : 의류정보추출 515 : 의류 형태 데이터베이스
52 : 색상 알고리즘 521 : 색상 이미지 데이터화
522 : 색상 추출 523 : 색상 그룹화
524 : 색상 정보 추출
60 : 데이터베이스
70 : 디스플레이부
71 : 광고/프로모션 72 : 인터페이스부
73 : 실사 피팅부 74 : 가상 피팅부

Claims (15)

  1. 사용자의 입장시 사용자의 정보를 인식하고 사용자의 프로필을 생성 및 호출하는 사용자 인식부(10);
    호출된 프로필에 사용자의 체형 정보를 인식하는 신체정보 측정부(20);
    사용자의 피팅이 끝나면 모션을 인식하여 사진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30);
    촬영된 사진에서 소비자와 의류의 정보를 따로 저장하는 의류정보 분리저장부(40);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촬영된 의류 사진을 바탕으로 의류의 패턴을 파악하여 사용자에게 해당 매장 또는 인근 매장의 의류를 추천하는 중앙 제어부(50);
    상기의 과정을 통해 인식된 신체정보 및 사진촬영화면, 의류정보 등을 디지털 사이니지를 통해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오프라인 의류 매장에서 피팅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식부(10)는 피팅 룸의 입구에 적용되어 사용자가 피팅룸에 입장 시 사용자 안구의 홍채를 통한 인식을 시도하여 신원을 파악하는 홍채 인식부(11);
    홍채 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식이 용이하지 않을 경우 지문을 통해 사용자를 인식하는 지문 인식부(12);
    이름 및 전화번호등을 이용하여 등록된 정보를 찾거나 최초 사용자일 경우 사용자 등록과정을 실시하는 주소 인식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사용자의 신체에 변화가 생겨 인식에 장애가 있을 경우 기존에 등록된 사용자 프로필을 호출하여 정보를 갱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오프라인 의류 매장에서 피팅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체정보 측정부(20)는 사용자 인식부(10)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프로필에 피팅 시의 체형 정보를 측정하기 위해 피팅 룸 내부의 센서를 이용한 신장 측정부(21);
    피팅 룸 바닥의 체중 측정부(22) 및 체지방 측정기(23)를 통해 사용자의 신장 및 체중을 바탕으로 체지방을 분석해 체형분석 알고리즘(24)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체형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오프라인 의류 매장에서 피팅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30)은 피팅 룸 내의 사용자가 의류를 착용한 후 사용자의 모션인식을 통해 프로그램상으로 지정된 동작을 취하거나 사용자의 음성인식, 디스플레이부(7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를 통해 사용자가 의류를 착용한 피팅 사진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오프라인 의류 매장에서 피팅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의류정보 분리저장부(40)는 상기 카메라 모듈(30)에서 촬영한 사용자의 피팅 사진의 상의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인식하여 분리/저장하는 상의 인식부(41);
    하의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인식하여 분리/저장하는 하의 인식부(42);
    상,하의를 제외한 신발, 모자, 목도리, 넥타이와 같은 악세사리들을 인식하여 분리/저장하는 악세사리 인식부(4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오프라인 의류 매장에서 피팅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부(50)는 상기 사용자 인식부(10), 신체정보 측정부(20), 카메라 모듈(30), 의류정보 분리저장부(40)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60)에 저장하고 필요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7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오프라인 의류 매장에서 피팅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부(50)는 매장 내의 상품관리를 위해 RFID 칩(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CHIP)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오프라인 의류 매장에서 피팅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부(50)는 사용자가 착용한 의류 디자인의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의류 형태 분석 알고리즘(51)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오프라인 의류 매장에서 피팅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부(50)는 사용자가 착용한 의류의 색상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색상 알고리즘(52)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오프라인 의류 매장에서 피팅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70)는 디지털 사이니지로 이루어진 패널로써 사용자에게 인터페이스부(72)를 제공하며, 사용자가 없을 경우 광고/프로모션(71)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오프라인 의류 매장에서 피팅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11.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체지방 측정부(23)는 피팅 룸의 바닥에 발 사이즈의 전극부가 설치되며, 설치된 전극부는 생체전기임피던스분석(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 BIA)법을 이용하여 체성분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체형을 데이터 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오프라인 의류 매장에서 피팅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12.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체형분석 알고리즘(24)은 사용자 이미지의 높이와 넓이를 분석하고 분석된 이미지에서 사용자와 배경구역의 구분을 위해 공간을 A01, A02, A03 ~ Z99 까지 임의로 분할하는 체형 이미지 데이터화 과정(241);
    이미지 데이터화 과정을 통해 생성된 구역의 사용자 부분을 수치화하여 사용자의 체형을 표현하는 체형 이미지 수치화 과정(242);
    수치화된 이미지 데이터를 체형 데이터베이스(245)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체형을 유추하는 정보 매칭 과정(243);
    매칭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체형정보를 추출하는 체형 정보 추출 과정(244)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과정을 통해 추출된 사용자의 체형정보를 데이터베이스(60)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오프라인 의류 매장에서 피팅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의류 형태분석 알고리즘(51)은 의류의 이미지를 분석하고 분석된 이미지에서 의류와 배경의 구분을 위해 공간을 A1,A2 ~ Z9 까지 공간을 분할하는 의류 이미지 데이터화 과정(511);
    이미지 데이터화 과정을 통해 생성된 구역의 의류 부분을 수치화 하여 의류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의류 이미지 수치화 과정(512);
    수치화된 이미지 데이터를 의류 형태 데이터베이스(515)와 비교하여 의류의 디자인을 유추하는 이미지 매칭 과정(513);
    매칭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의류 취향을 추출하는 의류 정보 추출 과정(514)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과정을 통해 추출된 사용자의 의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60)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오프라인 의류 매장에서 피팅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색상 알고리즘(52)은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데이터화 하는 색상 이미지 데이터화 과정(521);
    데이터화 된 이미지의 색상을 추출하는 색상 추출 과정(522);
    추출된 색상의 그룹화를 통해 의류에 사용된 색상의 정보를 정리하는 색상 그룹화 과정(523);
    정리된 색상 정보를 추출하여 의류에 사용된 색상을 판단하는 색상 정보 추출 과정(524)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과정을 통해 추출된 사용자의 색상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오프라인 의류 매장에서 피팅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72)는 의류정보 분리저장부(40)를 통해 분리된 의류를 디스플레이상에 나타내며, 분리된 의류 데이터를 이용해 사용자가 착용해보지 못한 조합으로 의류를 조합해 볼 수 있는 실사 피팅부(73);
    RFID 칩을 통해 등록된 매장 내의 의류정보를 이용해 자신이 입어보지 못한 의류를 가상으로 피팅할 수 있고 몸의 체형에 따라 사이즈(S, M, L)를 조정하고 피팅 사진 촬영기능도 가능한 가상 피팅부(74)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오프라인 의류 매장에서 피팅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KR1020150165254A 2015-11-25 2015-11-25 오프라인 의류 매장에서 피팅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KR201700607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5254A KR20170060736A (ko) 2015-11-25 2015-11-25 오프라인 의류 매장에서 피팅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5254A KR20170060736A (ko) 2015-11-25 2015-11-25 오프라인 의류 매장에서 피팅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0736A true KR20170060736A (ko) 2017-06-02

Family

ID=59222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5254A KR20170060736A (ko) 2015-11-25 2015-11-25 오프라인 의류 매장에서 피팅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60736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57680A (zh) * 2018-12-27 2019-04-19 深圳码隆科技有限公司 服装图像拍摄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WO2019093749A1 (ko) * 2017-11-07 2019-05-16 김일수 사용자 맞춤형 라스트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108242A (ko) * 2018-03-14 2019-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WO2020055154A1 (ko) * 2018-09-12 2020-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등록장치와 의류추천장치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시스템
KR102093087B1 (ko) * 2020-01-13 2020-03-24 최정훈 의류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00048062A (ko) * 2018-10-29 2020-05-08 (주) 임픽스 스마트 거울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한 코디 정보 제공 시스템
KR20200066404A (ko) * 2018-11-30 2020-06-10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신체 모델 생성 장치 및 방법
US20220031068A1 (en) * 2018-09-12 2022-02-03 Lg Electronics Inc. Clothing registration device and clothing recommendation device, and online system comprising same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93749A1 (ko) * 2017-11-07 2019-05-16 김일수 사용자 맞춤형 라스트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903453B2 (en) 2017-11-07 2024-02-20 IL Soo Kim System for providing user-customized last and method therefor
KR20190108242A (ko) * 2018-03-14 2019-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WO2020055154A1 (ko) * 2018-09-12 2020-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등록장치와 의류추천장치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시스템
US20220031068A1 (en) * 2018-09-12 2022-02-03 Lg Electronics Inc. Clothing registration device and clothing recommendation device, and online system comprising same
RU2768558C1 (ru) * 2018-09-12 2022-03-24 Эл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Устройство регистрации одежды и устройство рекомендации одежды, а также онлайновая система, содержащая их
US11910920B2 (en) 2018-09-12 2024-02-27 Lg Electronics Inc.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and online system
KR20200048062A (ko) * 2018-10-29 2020-05-08 (주) 임픽스 스마트 거울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한 코디 정보 제공 시스템
KR20200066404A (ko) * 2018-11-30 2020-06-10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신체 모델 생성 장치 및 방법
CN109657680A (zh) * 2018-12-27 2019-04-19 深圳码隆科技有限公司 服装图像拍摄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KR102093087B1 (ko) * 2020-01-13 2020-03-24 최정훈 의류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60740A (ko) 오프라인 패션/의류 매장 판매 활성화 솔루션
KR20170060736A (ko) 오프라인 의류 매장에서 피팅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US10290031B2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ed retail checkout using context recognition
CN110033298B (zh) 信息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系统和存储介质
KR101629191B1 (ko) 소비자 쇼핑 비헤이비어를 결정하기 위한 센서―통합 미러
CN201780605U (zh) 服装试穿系统
US8861866B2 (en) Identifying a style of clothing based on an ascertained feature
KR101589010B1 (ko)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매장 내 물품 추천 방법 및 장치
CN108596730A (zh) 服饰信息的处理方法、装置及智能设备
CN103226774A (zh) 一种信息交互系统
CN109993595A (zh) 个性化推荐商品及服务的方法、系统及设备
CN108335317A (zh) 一种线下导购方法及装置
KR101541180B1 (ko) 스마트 거울 장치와 그에 따른 시스템
CN110415048A (zh) 一种广告推荐方法、设备、系统、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06339390A (zh) 基于人体特征数据的匹配方法及装置
CN104345886A (zh) 一种实现时尚体验的智能眼镜系统及个性化时尚体验方法
WO2008003192A1 (fr) Système et procédé d'adaptation intelligents
CN110889719A (zh) 基于用户消费特征的广告推送系统及方法
CN106951448A (zh) 一种个性化穿搭推荐方法及系统
US20160307215A1 (en) Server and method for determining attribute information of customer by the same
CN110648186A (zh) 数据分析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18112777A (ja) 推奨アイテム出力プログラム、出力制御プログラム、推奨アイテム出力装置、出力制御装置、推奨アイテム出力方法および出力制御方法
CN109003155A (zh) 无人售货系统和方法
TWI524286B (zh) Popular with the recommended system
CN108921633A (zh) 一种智能镜子导购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