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6531B1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6531B1
KR102506531B1 KR1020160003520A KR20160003520A KR102506531B1 KR 102506531 B1 KR102506531 B1 KR 102506531B1 KR 1020160003520 A KR1020160003520 A KR 1020160003520A KR 20160003520 A KR20160003520 A KR 20160003520A KR 102506531 B1 KR102506531 B1 KR 102506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user
fragrance
door
image acqui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3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4454A (ko
Inventor
김자연
이지연
김영우
오주현
김다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3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6531B1/ko
Publication of KR20170084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4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6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6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Abstract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거치되는 처리챔버 및 기계장치가 설치되는 사이클챔버가 배치되고 전면이 개방된 케이스, 상기 사이클챔버에 설치되고, 상기 처리챔버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유닛, 상기 케이스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전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획득 유닛 및 상기 도어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영상획득 유닛이 획득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Fabric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가정 내 또는 세탁소 등에서 의류의 세탁, 건조, 구김 개선 등과 같이 의류를 관리하기 위한 모든 장치들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세탁을 위한 세탁기, 의류의 건조를 위한 건조기, 세탁 기능과 건조 기능을 겸하는 건조 겸용 세탁기, 의류의 리프레쉬를 위한 리프레셔(Refresher), 의류의 불필요한 구김을 개선시키는 스티머(Steamer) 등이 있다.
리프레셔는 의류의 상태를 쾌적하고 신선하게 하기 위한 장치로서, 의류를 건조시키거나, 의류에 향을 공급하거나, 의류의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거나, 의류의 구김을 개선시키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스티머는 일반적으로 단순히 의류에 스팀을 공급하여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일반적인 다리미와 달리 의류에 직접 열을 가하지 않고 의류의 구김을 제거한다.
이러한 리프레셔 및 스티머의 기능을 함께 갖춘 의류처리장치는 스팀과 열풍을 이용하여 내부에 수납된 의류의 구김 및 냄새 제거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에는 의류가 수용된 처리챔버 내로 향을 방출하는 아로마기구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아로마기구는 방출되는 아로마 향의 양 또는 농도를 사용자가 임으로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방출되는 아로마 향의 양 또는 농도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과제는, 사용자가 의류를 착용한 모습을 다양한 시간, 환경, 각도에서 디스플레이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거치되는 처리챔버 및 기계장치가 설치되는 사이클챔버가 배치되고 전면이 개방된 케이스, 상기 사이클챔버에 설치되고, 상기 처리챔버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유닛, 상기 케이스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전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획득 유닛 및 상기 도어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영상획득 유닛이 획득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제어부 및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방출되는 향의 양을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사용자가 의류를 착용한 모습을 다각도로 촬영하여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 사용자가 종전에 사용자가 착용한 의류의 사진을 날짜별 종류별로 디스플레이하여서, 사용자가 선택의 자유도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넷째, 사용자가 선택한 사진을 사용자의 스마트기기로 전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정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1의 의류처리장치에 도시된 향기 배출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4b은 도 1의 의류처리장치에 도시된 향기 배출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의류처리장치에 도시된 도어의 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동작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블럭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의 작동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향기 배출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10b는 도 10a에 도시된 향기 배출유닛의 A-A선을 취한 단면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향기 배출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11b는 도 11a에 도시된 향기 배출유닛의 B-B선을 취한 단면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용어가 동일하더라도 표시하는 부분이 상이하면 도면 부호가 일치하지 않음을 미리 말해두는 바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실험자 및 측정자와 같은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12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전면이 개방된 처리챔버(12)을 형성하는 케이싱(10)과, 처리챔버(12)의 전면을 여닫는 도어(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전면을 개폐시키는 도어(2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0)의 내부는 분리판(11)에 의해 상하로 구획된다. 상기 분리판(11)의 상측에 의류가 거치되는 처리챔버(12)가 형성된다. 상기 분리판(11) 하측에 기계장치가 설치되는 사이클챔버(14)가 형성된다.
상기 처리챔버(12)에는 의류가 거치되고, 스팀 또는 공기 순환 등을 통해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거나 냄새를 탈취한다.
처리챔버(12)의 상부에는 의류를 거치하는 옷걸이가 걸리는 헹거(13)가 구비된다. 헹거(13)는 모터 등의 구동장치(미도시)에 의해 처리챔버(12) 내에서 전후, 상하 및/또는 좌우 방향으로 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운동은 일정한 주기를 갖는 왕복 운동이 바람직하다.
상기 처리챔버(12) 내에는 송풍구(16) 및 스팀 토출구(17)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송풍구(16) 및 스팀토출구(17)가 토출패널(15)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송풍구(16) 또는 스팀토출구(17)는 서로 다른 패널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토출패널(15)은 사이클챔버(14)의 일부면을 형성한다. 상기 토출패널(15)은 분리판(11)의 후방 측에 위치된다. 상기 토출패널(15)은 분리판(11)과 연속된 면을 형성하고, 상기 분리판(11)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송풍구(16)로 송풍유닛(30)에서 압송된 공기가 토출된다.
상기 스팀토출구(17)로 스팀유닛(40)에서 생성된 스팀이 토출된다.
상기 사이클챔버(14)에는 상기 처리챔버(12) 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유닛(30)과, 상기 처리챔버(12)에 스팀을 제공하는 스팀유닛(40)과, 상기 처리챔버(12)의 공기를 공기조화시키는 히트펌프유닛(55)과, 상기 각 유닛(30)(40)(50)을 제어하는 제어유닛(60)이 설치된다.
상기 송풍유닛(30), 스팀유닛(40), 히트펌프유닛(55), 제어유닛(60) 등과 같이 의류처리장치의 각 행정을 구동시키기 위한 기계장치들의 조립체를 본 실시예에서는 사이클어셈블리로 정의한다.
상기 송풍유닛(30)은 송풍팬(32)과 인릿덕트(34)를 포함한다.
상기 인릿덕트(34)는 상기 송풍팬(32)의 흡입 측에 설치되고, 상기 처리챔버(12) 내부의 공기를 상기 송풍팬(32)으로 안내한다.
상기 송풍팬(32)은 팬의 회전을 통해 공기를 유동시키고, 상기 처리챔버(12)에서 공기를 흡입한 후 상기 히트펌프유닛(55)으로 토출시킨다.
상기 스팀유닛(40)은 인가된 전원에 의해 발열되고, 후술되는 급수탱크(80)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물을 증기로 변환시킨다. 생성된 스팀은 처리챔버(12)로 토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히트펌프유닛(55)을 통해 상기 처리챔버(12)로 유동되게 유로가 구성된다.
상기 히트펌프유닛(55)은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팽창밸브를 포함하는 냉동사이클로 구성된다. 상기 히트펌프유닛(55)은 작동모드에 따라 상기 처리챔버(12) 내부로 냉각된 공기 또는 가열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상기 히트펌프유닛(55)은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가열된, 상기 응축기 주변의 공기가 상기 송풍유닛(30)에 의해 처리챔버(12) 내로 공급될 수 있다. 이렇게, 처리챔버(12) 내로 공급된 고온의 공기는 헹거(13)에 매달린 의류를 처리하는데 사용된다. 물론, 상기 히트펌프유닛(55)은 작동하지 않고, 상기 송풍유닛만 작동되는 경우, 처리챔버(12) 내로는 상온의 공기가 공급된다. 또한, 상기 증발기에 의해 냉각된 공기가 송풍유닛(50)에 의해 처리챔버(12) 내로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히트펌프유닛(55)은 상기 처리챔버(12) 내의 수분을 제습할 수도 있다.
상기 사이클챔버(14)의 전방에는 물이 저장되는 탱크모듈이 설치된다. 상기 탱크모듈은 상기 스팀유닛(40)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탱크(80)와, 상기 처리챔버(12)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모아 저장하는 드레인탱크(90)를 포함한다.
상기 급수탱크(80)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급수수위센서(81)가 설치된다. 상기 드레인탱크(90)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드레인수위센서(91)가 설치된다.
급수탱크(80)의 물은 급수펌프(45)를 통해 스팀유닛(40)으로 유동된다.
처리챔버(12)에서 생성된 응축수는 자중에 의해 처리챔버 하측으로 유동된 후, 드레인펌프(46)를 통해 드레인탱크(90)로 유동된다. 상기 히트펌프유닛(55)에서 생성된 응축수도 상기 드레인펌프(46)를 통해 드레인탱크(90)로 유동된다.
상기 급수펌프(46) 또는 드레인펌프(46)는 제어유닛(60)에 의해 제어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인릿덕트(34) 전방 측에 탱크모듈프레임(미도시)이 설치된다.
상기 탱크모듈프레임 및 도어(20) 사이에는 탱크설치공간(73)이 형성된다. 상기 탱크모듈프레임은 상기 분리판(11)과 결합되어 상기 사이클챔버(14)를 외부와 분리시킨다.
상기 급수탱크(80) 및 드레인탱크(90)는 탱크설치공간(73)에 배치되고, 좌우로 병렬 배치된다. 상기 급수탱크(80) 및 드레인탱크(90)는 도어(20)의 개방 시 사용자에게 노출된다.
상기 급수탱크(80) 및 드레인탱크(90)는 사용자가 인출할 수 있다.
상기 급수탱크(80) 및 드레인탱크(90)는 탱크모듈프레임에서 분리 가능하다. 상기 급수탱크(80) 및 드레인탱크(90)는 탱크설치공간(73)에서 탈착 가능하다.
상기 급수탱크(80)는 상기 스팀유닛(40)과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고, 상기 드레인탱크(90)는 상기 처리챔버(12)와 연결되고, 상기 처리챔버(12) 또는 히트펌프유닛(55)에서 유입된 물이 저장된다.
상기 드레인탱크(90)는 상기 급수탱크(80)와 기능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드레인탱크(90)는 상기 급수탱크(80) 옆에 나란히 배치된다.
의류처리장치(1)는 처리챔버(12) 내로 향을 방출하는 향기 배출유닛(50)가 설치될 수 있다. 향기 배출유닛(50)은 처리챔버(12) 내에 구비될 수 있고, 사용자가 교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향기 배출유닛(50)은 도어(20)에 설치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향기 배출유닛(50)은 도어(20)의 배면(22)에 설치된다. 여기서 도어(20)의 배면(22)은 도어(20)가 처리챔버(12)를 폐쇄할 때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21)과 마주보는 면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향기 배출유닛(50)은 도어(20) 배면(22) 중 처리챔버(12)와 중첩되는 영역에 배치된다.
처리챔버(12)의 내부에는 처리챔버(12)의 내부에 의류를 센싱하는 의류 인식부(340)가 배치된다. 의류 인식부(340)는 처리챔버(12) 내에 의류가 존재여부를 감지하고 그 결과를 제어부(310)로 출력한다. 의류 인식부(340)는 근접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제 1 실시예에 따른 향기 배출유닛(50)에 대해 상술한다.
예를 들면, 향기 배출유닛(50)은 고체 또는 액체 상태의 방향제(59)를 열에 의해 기화시켜서 향기를 방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향기 배출유닛(50)은 방향제(59)가 안착되는 방향제 홀더(510)와 상기 방향제 홀더(510)를 가열하는 가열원(520)을 포함한다. 방향제(59)는 교체 가능하다.
방향제 홀더(510)는 방향제가 안착되는 공간을 정의하고, 가열원(520)에서 생성된 열을 방향제에 전달한다. 여기서, 방향제 홀더(510)에 안착되는 방향제는 고체입자의 방향제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고체입자의 방향제는 가열원(520)에 의해 가열되어 기화됨으로써, 처리챔버(12)의 내부로 발산된다.
방향제 홀더(510)는 열전도성 우수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방향제 홀더(510)는 지지판(511)과 측벽(512)을 포함한다. 지지판(511)은 방향제는 지지하는 공간을 정의한다. 지지판(511)은 원형의 플레이트(plate) 형상이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측벽(512)은 지지판(511)의 테두리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방향제 홀더(510)는 지지판(511)과 측벽(512)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개방된 개구가 정의된다.
가열원(520)은 방향제를 가열한다. 구체적으로 가열원(520)은 방향제 홀더(510)를 가열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가열원(520)은 방향제 홀더(510)의 지지판(511)을 가열한다. 가열원(520) 지지판(511)과 접촉되게 배치된다.
예를 들면, 가열원(520)은 전기적인 에너지로 열을 생성하는 히터(521)를 포함한다. 히터(521)는 온도상승에 따라 저항 값이 증가하는 정온도특성을 갖는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소자인 전기발열체 또는 열선일 수 있다.
가열원(520)은 히터(521)가 배치되는 발열 지지체(522)를 더 포함한다. 특히, 발열 지지체(522)는 열전도성이 우수한 물질로 형성된다. 발열 지지체(522)의 내부에는 히터(521)가 매몰된다. 물론, 발열 지지체(522)는 방향제 홀더(510)를 지지한다. 바람직하게는 발열 지지체(522)는 지지판(511)과 면 접촉된다.
발열 지지체(522)는 도어(20)의 배면 상에 위치되거나, 도어(20)의 배면에 매몰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향초 등을 사용하지 않고 처리챔버(12)의 내부에 향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히터(521)를 제어하여서 향기가 배출되는 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실시예의 향기 배출유닛(50)은 히터(521)가 오프되는 경우 자연적인 기화로 방향제의 향기를 배출하고, 히터(521)가 온되는 경우, 방향제가 가열되어 더욱 많은 향기가 배출되게 된다.
도 5 내지 9를 참조하면, 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1)는 상기 도어(20)의 전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획득 유닛(210)과, 상기 도어(20)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영상획득 유닛(210)이 획득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유닛(230)을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1)는 메모리(260), 모션 인식부(320)와, 음성인식부(330), 제어부(310), 사용자 입력부(250)를 포함한다.
모션 인식부(320)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감지결과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모션 인식부(320)는 사용자의 움직임 또는 특정한 모션을 감지한다.
모션 인식부(320)는 도어(20)의 전면에 설치되어, 도어(20)의 전방에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모션 인식부(320)는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근접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로 구현된다.
모션 인식부(320)는 도어(20)의 전면에서 소정의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감지하고, 그 움직임의 방향 및 속도를 감지하여 제어부(310)로 출력한다.
메모리(260)는 상기 영상획득 유닛(210)에서 획득한 사용자의 영상을 저장하고 제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260)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26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60)는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260) 장치, 또는 기타 비휘발성 고상 메모리(260) 장치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260)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60)는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EEP-ROM 은 제어부(310)의 동작 중, 제어부(310)에 의해 정보의 기입 및 소거가 행해질 수 있다. EEP-ROM은 제어장치의 전원이 오프되어 전력 공급이 정지되어도, 내부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가 소거되지 않고 유지되는 기억 디바이스일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50)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250)를 통해 명령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명령정보에 대응되도록 의류처리장치가 제어된다.
사용자 입력부(250)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는 한편,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도 5에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 입력부(250)는 디스플레이 유닛(230)과 함께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7 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 입력부(250)는 도어(20)의 측면에 구비된 터치키(250a)로 구현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250)에 명령정보를 입력하면 제어부(310)는 의류처리장치의 온/오프, 디스플레이 유닛(230)의 온/오프, 영상획득 유닛(210)의 작동 및 향기 배출유닛(50)의 온/오프 등이 제어된다.
영상획득 유닛(210)은 사용자의 영상을 획득한다. 예를 들면, 영상획득 유닛(210)은 카메라로 구성될 수 잇다. 구체적으로, 영상획득 유닛(210)은 사용자의 영상을 영상신호로 출력한다. 후술하는 제어부(310)는 사용자의 영상신호를 입력 받아 메모리(260)에 저장하거나 디스플레이 유닛(230)을 통해 출력한다.
영상획득 유닛(210)은 정지화상 또는/및 동영상을 획득하여 제어부(310)로 출력한다.
영상획득 유닛(210)의 도어(20)의 전면에 적어도 1개가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영상획득 유닛(210)은 도어(20)의 전면에 복수개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영상 획득 유닛의 상하방향으로 복수개 배치되면, 사용자의 착용한 의류에 따라 다양한 방향에서 촬영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영상획득 유닛(210)은 제어부(310)에 의해 제어된다. 구체적으로, 영상획득 유닛(210)은 모션 인식부(320)에서 인식된 사용자의 모션에 의해 촬영이 개시된다. 또는 영상획득 유닛(210)은 사용자 입력부(250)를 통해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후 기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에 촬영이 개시된다.
영상획득 유닛(210)은 기설정된 시간 내에 복수 개의 정지화상을 획득할 수 있다. 영상획득 유닛(210)이 기설정된 시간 내에 복수 번의 활영을 하는 동안 사용자가 포즈를 취하며 움직이면 사용자에 대한 다양한 각도에서의 화상이 촬영되어 저장된다.
음성인식부(330)는 사용자가 발성하는 음성 또는 소리를 인식함으로써, 사용자의 음성을 통해 의류처리장치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도어(20)의 전방에 위치한 후 "촬영", "셔터", "삭제", "선택" 등의 음성을 발성할 경우 이러한 음성을 인식한 음성인식부(330)는 인식된 음성에 대한 정보가 담긴 음성신호를 제어부(310)에 제공할 수 있다.
인증부(24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제공 받아 인증여부를 체크하고, 인증되는 사용자에게로 영상획득 유닛(210)에서 제공되는 사용자사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
한 인증부(240)는 하나로 형성될 수 있고, 바코드 또는 NFC로 형성될 수 있다.
인증부(240)는 바코드 또는 NFC를 이용하여 사용자 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신규 사용자 인지 기존 사용자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즉, 신규 사용자일 경우 인증부(240)는 디스플레이 유닛(230) 또는 사용자의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신규 사용자에 대한 닉네임 또는 사용자의 휴대번호를 저장할 수 있고, 기존 사용자일 경우에는 이전에 저장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는 바코드와 NFC만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어떠한 장치라도 적용 가능할 것이다.
인증부(240)는 도어(20)의 전면의 일 영역에 배치된다.
디스플레이 유닛(230)은 도어(20)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영상획득 유닛(210)이 획득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 유닛(230)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된 터치패널을 포함하여, 터치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디스플레이 유닛(230)은 영상을 출력하고, 사용자의 명령정보를 입력 받는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유닛(230)은 영상획득 유닛(210)에서 촬영된 사용자의 정지화상 또는 동화상을 출력하거나, 메모리(260)에 저장된 사용자의 화상을 출력한다.
제어부(310)는 모션 인식부(320)로부터 모션정보를 제공받아 영상획득 유닛(210)을 제어할 수 있고, 음성인식부(330)로부터 음성신호를 제공받아 영상획득 유닛(210)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디스플레이 유닛(230)에 디스플레이되는 사용자사진을 선택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사용자 입력부(250)로부터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아 영상획득 유닛(210)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디스플레이 유닛(230)에 디스플레이되는 사용자사진을 선택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10)는 영상획득 유닛(210)으로부터 촬영되는 사용자사진을 저장하되, 인증부(240)로부터 인증되는 사용자정보에 대응되도록 사용자사진을 분류하여 저장한다. 이 땐, 제어부(310)는 메모리(260)에 사용자정보에 대응되도록 사용자사진을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메모리(260)에 사용자의 의상 취향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하여 저장하거나, 날짜별로 저장하되, 사용자의 개인정보는 저장하지 않고 삭제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사용자가 선택한 사용자사진들만 메모리(260)에 저장할 수 있고, 선택된 사용자사진들을 비컨(beacon), wifi(137g) 또는 이더넷 등의 통신수단을 통해 사용자의 스마트기기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10)는 메모리(260)에 저장된 정보와 사용자가 선택한 사용자사진들을 디스플레이 유닛(230)을 통해 디스플레이 수 있다. 특히, 도 9a를 참고하면, 제어부(310)는 디스플레이 유닛(230)에 아이콘(231) 형태로 사용자사진들의 카테고리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아이콘(231)이 터치되는 카테고리를 인식하여서, 선택된 카테고리에 저장된 사용자 사진(232)울 디스플레이 유닛(230)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10)는 촬영된 사용자사진을 변환하고 보정할 수 있는 그래픽과 관련된 그래픽장치들이 포함되어 촬영된 사용자사진의 초점, 선명도, 밝기 등을 보정함으로써, 사용자사진의 퀄러티를 개선시킬 수 있다.
제어부(31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를 포함한다.
제어부(310)는 사용자 입력부(250)와, 모션 인식부(320) 및 음성인식부(330)의 감지된 감지결과를 바탕으로 향기 배출유닛(50)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부(250)를 통해 사용자가 향기 배출유닛(50)을 온시키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310)는 향기 배출유닛(50)을 온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모션 인식부(320) 또는 음석 인식부를 통해 사용자가 향기 배출유닛(50)을 온시키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310)는 향기 배출유닛(50)을 온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도 9b를 참조하면, 또한, 제어부(310)는 디스플레이 유닛(230)에 의류처리장치를 탈취하는 탈취명령을 입력받는 아이콘(235)을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10)는 의류 인식부(340)에서 입력된 정보를 바탕으로, 처리챔버(12) 내에 의류가 존재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유닛(230)에 의류처리장치를 탈취하는 탈취명령을 입력받는 아이콘(235)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10)는 의류 인식부(340)에서 입력된 정보를 바탕으로, 처리챔버(12) 내에 의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 유닛(230)에 사용자사진들의 카테고리를 표시하는 아이콘(231)을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탈취명령을 입력받는 아이콘(235)이 터치되는 경우, 처리챔버(12) 내의 의류를 탈취한다.
의류처리장치에는 무선통신 모듈(270)이 구비된다. 무선통신 모듈(270)은 스마트기기와 통신을 할 수 있다.
무선통신 모듈(270)은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iFi 등의 무선 인터넷 통신 뿐만 아니라,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의 근거리 통신 기술을 사용할 수도 있어,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한편, 도어(20) 전면(21)은 빛의 일부를 투과시키고, 상기 빛의 일부를 반사시키는 반투명거울로 형성된다. 도어(20)의 전면(21) 중에 반투명거울로 형성된 영역을 거울부(220)로 정의한다.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거울부(220)는 도어(20) 전면(21)의 좌측에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유닛(230)은 도어(20) 전면(21)의 우측 상단에 위치되고, 인증부(240)는 도어(20) 전면(21)의 우측 하단에 위치된다.
이하,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여, 제 2 실시예에 따른 향기 배출유닛(50)을 설명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향기 배출유닛(50)은 제 1실시예와 비교하면, 히터(521)의 배치와 방향제 홀더(510)의 구조에 차이점이 존재한다. 이하에서는 도 4와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고 특별한 설명이 없는 구조는 도 4의 구조와 동일하다.
제 2 실시예의 방향제 홀더(510)는 다수 개의 독립된 분할영역(S1~S4)으로 구획된다. 즉, 방향제 홀더(510)는 서로 이격되어나, 열적으로 분리된 다수의 분할영역(S1~S4)으로 구획된다.
방향제 홀더(510)는 구회벽에 의해 다수 분할영역(S1~S4)으로 분할된다. 분할영역(S1~S4)은 복수개가 형성된다. 실시예는 방향제 홀더(510)는 4개의 분할영역(S1~S4)으로 분할된다.
구체적으로, 구획벽(513)은 방향제 홀더(510)의 방향제가 지지되는 공간을 다수 개의 영역으로 구획한다. 구획벽(513)은 상기 지지판(511)을 다수 개의 독립된 영역으로 구획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구획벽(513)은 다수의 분할영역(S1~S4) 간에 열전달을 차단하기 위해 지지판(511) 보다 열전도율이 낮은 단열재가 사용된다. 여기서, 단열재는 공지의 단열재가 사용될 수 있다. 구획벽(513)은 다수의 분할영역(S1~S4) 내에 위치된 지지판(511) 사이를 이격시킨다.
바람직하게는, 방향제 홀더(510)는 지지판(511)의 테두리에서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측벽(512)에 의해 방향제가 위치되는 공간이 정의되고, 방향제가 위치되는 공간이 구획벽(513)에 의해 구획된다. 구획벽(513)은 측벽(512), 지지판(511)과 함께 상부가 개방된 공간을 정의한다. 구획벽(513)은 원 형상의 지지판(511)을 4개의 영역으로 구획한다. 각각의 분할영역(S1~S4)은 1/4 원 형태가 된다. 구획벽(513)은 서로 마주보는 측벽(512)에서 연장되어 지지판(511)의 중심에서 만나는 구조를 가진다.
이 때, 상기 구획벽(513)에 의해 구획된 다수 개의 독립된 분할영역(S1~S4)에는 서로 다른 향기를 배출하는 고체입자의 방향제가 위치된다. 따라서, 구획벽(513)에 의해 어느 일 분할영역(S1~S4)이 가열되어서 일 분할영역(S1~S4)에 위치된 방향제가 기화되더라도, 다른 일 분할영역(S1~S4)에 위치된 방향제가 기화되는 것이 제한된다.
가열원(520)은 상기 방향제 홀더(510)의 복수 개의 분할영역(S1~S4)에 독립적으로 열을 전달하는 복수 개의 히터(521a~521d)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히터(521)는 분할영역(S1~S4)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를 가진다. 또한, 복수 개의 히터(521)들은 각각의 분할영역(S1~S4)과 중첩되게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분할영역(S1~S4)으로 열 전달을 차단하기 위해서, 어느 하나의 히터(521)는 어느 일 분할영역(S1~S4)의 중심에 위치되고, 어느 하나의 히터(521)는 어느 일 분할영역(S1~S4)의 경계를 이루는 구획벽(513)에서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즉, 제1히터(521a)는 제1분할영역(S1)의 중심과 중첩되게 배치되고, 제1분할영역(S1)의 경계를 이루는 구획벽(513)에서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여 제 3 실시예에 따른 향기 배출유닛(50)을 설명한다.
제 3 실시예의 향기 배출유닛(50)은 제 2 실시예와 비교하면, 히터(521)의 배치와, 무빙수단을 더 포함하는 차이점이 존재한다.
제 3 실시예의 향기 배출유닛(50)은 상기 향기 배출유닛(50)은 상기 가열원(520)을 상기 방향제 홀더(510)의 복수 개의 분할영역(S1~S4) 중 어느 하나로 이동시켜서, 기화시키고자 하는 방향제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방향제 홀더(510)의 복수 개의 분할영역(S1~S4)은 도 6a와 동일하다. 다만, 히터(521)는 복수 개의 분할영역(S1~S4) 중 어느 하나와 중첩되는 하나가 배치된다. 하나의 히터(521)는 분할영역(S1~S4) 보다 작은 면적을 가진다.
향기 배출유닛(50)은 무빙수단에 의해 가열원(520) 및 방향제 홀더(510) 중 어느 하나를 다른 하나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된다. 무빙수단은 방향제 홀더(510)를 회전시켜서 복수 개의 분할영역(S1~S4) 중 어느 하나가 히터(521)와 중첩되게(열전달 되게) 한다.
예를 들면, 무빙수단은 회전력을 공급하는 모터(541)와, 모터(541)와 방향제 홀더(510)를 연결하는 회전축(542)을 포함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7)

  1. 의류가 거치되는 처리챔버 및 기계장치가 설치되는 사이클챔버가 배치되고 전면이 개방된 케이스;
    상기 사이클챔버에 설치되고, 상기 처리챔버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유닛;
    상기 케이스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및
    상기 처리챔버 내로 향기를 배출하는 향기 배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향기 배출유닛은
    방향제가 안착되는 방향제 홀더;
    상기 방향제 홀더를 가열하는 가열원을 포함하며,
    상기 가열원은 상기 방향제 홀더의 복수 개의 분할영역에 독립적으로 열을 전달하는 복수 개의 히터를 포함하며,
    상기 방향제 홀더는,
    상기 방향제를 지지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을 다수 개의 독립된 분할영역으로 구획하는 구획벽을 포함하고,
    상기 향기 배출유닛은 상기 가열원을 상기 방향제 홀더의 복수 개의 분할영역 중 어느 하나로 이동시키는 무빙수단을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전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획득 유닛; 및
    상기 도어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영상획득 유닛이 획득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획득 유닛에서 획득한 사용자의 영상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모션을 인식하는 모션 인식부와,
    상기 모션 인식부에서 인식된 사용자의 모션을 바탕으로 상기 영상획득 유닛과,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전면은 빛의 일부를 투과시키고, 상기 빛의 일부를 반사시키는 반투명거울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발성하는 음성 또는 소리를 인식하여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음성인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영상획득 유닛과,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향기 배출유닛은 도어의 배면에 설치되는 의류처리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벽은 상기 지지판 보다 열전도율이 낮은 단열재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히터는 상기 구획벽에 의해 구획된 다수 개의 독립된 분할영역과 중첩되게 배치되는 의류처리장치.
  14. 삭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챔버를 형성하고,
    상기 송풍유닛에서 토출된 공기가 토출되는 송풍구가 형성된 토출패널을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챔버에서 스팀을 제공하는 스팀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팀유닛은 상기 사이클챔버에서 설치되고, 상기 토출패널은 상기 스팀유닛의 스팀이 토출되는 스팀토출구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7. 삭제
KR1020160003520A 2016-01-12 2016-01-12 의류처리장치 KR102506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520A KR102506531B1 (ko) 2016-01-12 2016-01-12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520A KR102506531B1 (ko) 2016-01-12 2016-01-12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4454A KR20170084454A (ko) 2017-07-20
KR102506531B1 true KR102506531B1 (ko) 2023-03-06

Family

ID=59443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3520A KR102506531B1 (ko) 2016-01-12 2016-01-12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65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0273B1 (ko) 2018-02-22 2023-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
KR102455066B1 (ko) 2018-02-23 2022-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
KR102468777B1 (ko) * 2018-03-14 2022-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EP3845702A4 (en) * 2018-08-27 2022-06-08 LG Electronics Inc. GARMENT TREATMENT APPARATUS
WO2020050616A1 (en) 2018-09-06 2020-03-12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WO2020055154A1 (ko) * 2018-09-12 2020-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등록장치와 의류추천장치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시스템
AU2019337284A1 (en) * 2018-09-12 2021-04-08 Lg Electronics Inc.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and online system comprising same
CN109371644A (zh) * 2018-09-28 2019-02-2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降低衣物褶皱的方法、系统及洗衣机
WO2023080634A1 (ko) * 2021-11-02 2023-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1618A (ja) * 2002-08-26 2004-05-20 Toto Ltd トイレ用脱臭芳香器
KR101520655B1 (ko) * 2007-10-12 2015-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7776A (ko) * 2003-12-29 2005-07-05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발향카드가 장착된 이동통신단말기
KR101598785B1 (ko) * 2009-10-21 2016-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그에 대한 제어방법
KR102024086B1 (ko) * 2012-12-28 2019-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 제어방법
KR102300190B1 (ko) * 2014-03-11 2021-09-0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의류 조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1618A (ja) * 2002-08-26 2004-05-20 Toto Ltd トイレ用脱臭芳香器
KR101520655B1 (ko) * 2007-10-12 2015-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4454A (ko) 2017-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6531B1 (ko) 의류처리장치
USRE49678E1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US10145059B2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CN107385829B (zh) 衣物处理设备
KR100782377B1 (ko) 의류 건조 및 보관 장치
KR102489268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414635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597106B1 (ko) 의류처리장치
JP2018508305A (ja) 衣類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467769B1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7761337B (zh) 干衣机及其控制方法
KR102647131B1 (ko) 의류처리장치
KR100782375B1 (ko) 의류 건조 및 보관 장치
KR101598785B1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에 대한 제어방법
KR20170068820A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378142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90141286A (ko) 의류처리장치
KR102627649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50061152A (ko) 의류 건조기의 구조
JP2020010959A (ja) 衣類乾燥機
EP4285807A1 (en) Shoe car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240013586A (ko) 의류관리기 및 의류관리기의 제어 방법
KR200357805Y1 (ko) 건조탈취기능을 갖는 옷장
KR20230149639A (ko) 신발 관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139405A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