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8777B1 - 의류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의류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8777B1
KR102468777B1 KR1020180029520A KR20180029520A KR102468777B1 KR 102468777 B1 KR102468777 B1 KR 102468777B1 KR 1020180029520 A KR1020180029520 A KR 1020180029520A KR 20180029520 A KR20180029520 A KR 20180029520A KR 102468777 B1 KR102468777 B1 KR 102468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clothes
hanger
unit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9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8242A (ko
Inventor
김명상
유수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9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8777B1/ko
Publication of KR20190108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8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8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8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0Opening or locking status of do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실시 예는, 사용자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도어 개방 시, 개방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 모듈, 상기 도어가 개방되면, 의류가 거치되는 옷걸이를 초기 위치한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1 구동 모듈 및 상기 개방 신호 입력 시, 상기 카메라 모듈을 동작시켜 촬영된 상기 사용자 영상에 따라 산출된 신체 치수에 따라 상기 옷걸이가 이동되게 상기 제1 구동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의류 처리 장치{Clothes handling apparatus}
실시 예는 의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의류를 케어하기 용이한 의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의류 처리 장치는 수납실 내에 수납되는 의류에 스팀 또는 열풍을 공급하여 의류에 잔류하는 냄새, 구김 또는 습기 등을 제거하는 장치를 말한다.
의류 처리 장치는 의류가 수납되는 수납실, 상기 수납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수납실로 스팀 또는 열풍을 공급하는 장치를 포함하며, 의류 처리 장치에 내장되는 옷걸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의류 처리 장치는 수납실에 수납된 의류에 스팀이 분사되면 물 입자가 섬유 조직에 존재하는 냄새 입자와 결합하고, 냄새 입자와 결합한 물 입자는 열풍에 의한 건조과정에서 의류와 분리되어 배출되는 원리를 사용한다.
또한, 수납실에 수납된 의류에 스팀이 분사되면, 공급된 스팀에 의하여 젖은 의류는 건조 과정에 의해 구김이 완화되거나 또는 제거되어 의류에 잔류하는 구김 등을 제거할 수 있다.
최근 들어, 의류 수납 시, 사용자에 따라 의류를 처리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실시 예의 목적은, 의류를 케어하기 용이한 의류 처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는, 사용자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도어 개방 시, 개방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 모듈, 상기 도어가 개방되면, 의류가 거치되는 옷걸이를 초기 위치한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1 구동 모듈 및 상기 개방 신호 입력 시, 상기 카메라 모듈을 동작시켜 촬영된 상기 사용자 영상에 따라 산출된 신체 치수에 따라 상기 옷걸이가 이동되게 상기 제1 구동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사용자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신체 치수를 예측하는 예측부, 상기 신체 치수에 따라 상기 옷걸이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되게 이동 거리를 산출하는 산출부 및 상기 옷걸이가 상기 이동 거리만큼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되게 상기 제1 구동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측부는, 상기 사용자 영상을 설정된 카메라의 촬영 각도 및 바닥까지의 거리를 기반으로 상기 신체 치수를 예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거리에 대응하는 PWM 제어신호를 상기 제1 구동 모듈로 출력하여, 상기 옷걸이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 모듈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상기 옷걸이를 이동시키는 제1 모터 및 상기 PWM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가 회전되게 PWM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모터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모듈은, 상기 개방 신호 출력 후, 상기 도어가 닫히면 닫힘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는, 상기 도어 닫힘 시, 상기 의류를 살균하는 살균 모듈 및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에 따라 상기 옷걸이를 회전시키는 제2 구동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닫힘 신호 입력 시,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이동되게 제어하며, 상기 살균 모듈을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살균 모듈을 동작시킨 후, 상기 제2 구동 모듈이 설정된 패턴에 따라 상기 옷걸이가 회전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도어에 포함된 투명 터치 디스플레이에 터치 입력 메뉴 및 현재 동작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는, 사용자 영상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신체 치수를 예측하고, 신체 치수에 따라 도어 개방 시 의류를 거치하는 옷걸이를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의류를 거치함에 있어 편의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는, 도어 닫힘 시 옷걸이를 초기 위치로 이동시킨 후, 살균 및 옷걸이를 회전시킴으로써, 의류에 붙어있는 이물질 또는 먼지를 제거하기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는, 도어 닫힘 시 의류를 케어함에 있어, 현재 동작 정보 및 터치 입력 메뉴를 투명 터치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 구성을 나타낸 제어 블록도이다.
도 7은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동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의류 처리 장치(1)는 본체부(10)와, 도어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는 몸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의 내부에는 의류(C)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의 내부에는 의류(C)가 수용되기 위한 내부 공간(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는 일면이 개구되는 다각형으로 형성되며, 개구된 일면은 상기 내부 공간(11)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도어부(20)는 상기 본체부(10)에 대해 회동할 수 있다. 상기 도어부(20)는 상기 본체부(10)의 개구된 일면을 차폐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도어부(20)를 개방하여 의류를 상기 내부 공간(11)에 수용하고, 상기 도어부(20)로 상기 내부 공간(11)을 차폐하여 상기 의류 처리 장치(1)가 작동 중 이물질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도어부(20)는 전면부(201, 도 5 참조)와 손잡이부(202, 도 5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부(201)는 상기 도어부(20)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면부(201)는 사용자가 상기 내부 공간(11)에 수용된 의류(C)를 투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면부(201)는 투명한 물질로 제공되어 상기 내부 공간(11)이 투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면부(201)는 상기 내부 공간(11)의 이미지 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전면부(201)에 투영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전면부(201)는 투명 디스플레이로 제공되어, 상기 내부 공간(11)이 투시되도록 하면서도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부(201)는 작동을 위한 신호를 입력 받을 수 도 있다.
상기 손잡이부(202)는 상기 도어부(20)를 개폐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202)는 상기 도어부(20)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부(202)를 잡아 상기 도어부(20)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에는 동력부(30)와 의류 걸이부(4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동력부(30)는 상기 본체부(10)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의류 걸이부(40)는 상기 동력부(3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동력부(30)는 상기 의류 걸이부(40)에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의류 걸이부(40)가 작동되도록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동력부(30)는 상기 본체부(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동력부(30)는 상기 의류 걸이부(40)를 이동시키거나, 회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의류 걸이부(40)에는 의류(C)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의류 걸이부(40)는 상기 동력부(30)로부터 전달받는 동력에 의해 상기 내부 공간(11)에서 이동하거나, 회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의류 걸이부(4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회동할 수 있다. 상기 의류 걸이부(40)는 의류가 걸어서 고정할 수 있도록 옷걸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 걸이부(40)는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상기 의류 걸이부(40)에서 토출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의류 걸이부(40)에 고정된 의류로부터 이물질을 털어낼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의류 걸이부(40)의 내부에는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구성이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상기 본체부(10)로부터 공기가 공급되어 상기 의류 걸이부(40)에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본체부(10)로부터 공기가 공급되어 상기 의류 걸이부(40)에서 공기가 토출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이를 위해, 상기 본체부(10)의 상부에는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성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의류 처리 장치(1)의 내부에 구비되는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의류 처리 장치(1)는 본체부(10)와 도어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에 구비되는 의류 걸이부(40)는 연장부(41)와, 걸이 본체부(42)와, 토출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41)는 상기 본체부(10)의 동력부(3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41)는 상기 동력부(30)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연장부(41)는 상기 본체부(10)의 상부에서 하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41)는 상기 동력부(3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41)는 상기 본체부(10)로부터 상기 의류 걸이부(40)를 향해 공기가 공급될 경우에, 내부에 공기의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41)는 상기 동력부(30)의 동력 전달에 의해 이동되거나, 회동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연장부(41)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41)는 상기 동력부(30)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후술할 걸이 본체부(42)에 전달하여, 상기 걸이 본체부(42)가 회동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걸이 본체부(42)는 상기 의류 걸이부(40)의 몸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걸이 본체부(42)는 실질적으로 의류가 고정되는 부분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41)는 상기 걸이 본체부(42)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걸이 본체부(42)는 일부가 옷걸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이 본체부(42)는 상기 본체부(10)로부터 공기가 공급될 경우, 상기 연장부(41)와 연통되는 유로를 내부에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동력부(30)로부터 상기 연장부(41)를 통해 동력이 전달되면, 상기 걸이 본체부(42)는 회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걸이 본체부(42)는 회동 가능하며, 반복하여 회동할 수 있다.
상기 토출부(43)는 상기 걸이 본체부(42)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토출부(43)에서 공기가 토출되어 의류에 부착된 이물질을 털어낼 수 있다. 상기 토출부(43)는 상기 걸이 본체부(42)의 일측에 제공되는 제1토출부(431)와, 타측에 제공되는 제2토출부(43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토출부(43)는 상기 본체부(1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의 상부에는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의 상부에서 발생된 공기의 흐름은 상기 연장부(41)의 내부에 구비되는 유로를 통과하여 상기 걸이 본체부(42)의 내부에 구비되는 유로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걸이 본체부(42)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토출부(43)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상기 토출부(43)로 공기가 토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걸이 본체부(42)는 회동할 수 있다. 상기 토출부(43)에는 다수의 다공부가 제공되어, 상기 토출부(43)의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의류 걸이부(40)는 하의 고정부(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의 고정부(44)는 상기 의류 걸이부(40)의 하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의 고정부(44)는 하의를 고정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하의 고정부(44)는 하의의 일부를 접어서 걸 수 있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의 고정부(44)에는 하의가 상기 하의 고정부(44)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 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기구에 의해 하의는 상기 하의 고정부(44)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에는 흡착부(5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흡착부(50)는 상기 본체부(10)의 후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흡착부(50)는 상기 본체부(10)에 대해 회동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흡착부(50)는 상기 내부 공간(11)에서 일정한 범위 내에서 회동할 수 있다. 상기 흡착부(50)는 의류로부터 털어내진 이물질을 흡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착부(50)는 상기 의류 걸이부(40)에 고정된 의류에 충돌되며 의류에 부착된 이물질을 털어낼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흡착부(50)는 일정한 각도로 회동할 수 있다. 일정한 각도로 상기 흡착부(50)가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의류 걸이부(40)의 회동에 의해 함께 회동되는 의류(C)가 상기 흡착부(50)에 충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착부(50)는 양측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상기 흡착부(50)는 상기 본체부(10)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흡착부(501)와, 타측에 배치되는 제2흡착부(50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흡착부(501)와 상기 제2흡착부(502)는 상기 본체부(10)의 내부 일측과 내부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흡착부(501)는 의류의 일측에 충돌되고, 상기 제2흡착부(502)는 의류의 타측에 충돌될 수 있다. 상기 흡착부(50)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착부(50)에는 이물질을 흡착할 수 있는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에는 살균 탈취부(55)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살균 탈취부(55)는 상기 내부 공간(11)을 살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살균 탈취부(55)는 향기를 공급하여, 상기 내부 공간(11)의 공기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살균 탈취부(55)는 상기 본체부(10)의 후측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살균 탈취부(55)는 살균을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살균 탈취부(55)에는 공기를 살균하기 위해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자외선 발생 장치, 이오나이저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균 탈취부(55)에는 향기를 공급하기 위한 방향제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에는 이물 흡입부(6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이물 흡입부(60)는 낙하하는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 상기 이물 흡입부(60)는 상기 본체부(10)의 하부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이물 흡입부(60)는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본체부(10)의 하부에는 흡입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성(미도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이물 흡입부(60)는 흡입구(601)와 흡입구 커버(6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구(601)는 이물질을 포함한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흡입구 커버(602)는 상기 흡입구(601)로 유입되는 이물질 중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이물질을 필터링 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에는 필터부(7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70)는 상기 이물 흡입부(60)와 연동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70)는 상기 이물 흡입부(60)로 흡입되는 이물질을 필터링 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70)로부터 이물질이 필터링된 공기는 외부로 배출되거나, 상기 내부 공간(11)으로 복귀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70)는 상기 본체부(10)에 대해 탈부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필터부(70)는 상기 도어부(20)에 의해 차폐되는 본체부(10)의 하부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70)와 상기 이물 흡입부(60)의 사이에 흡입력을 발생하기 위한 구성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부(10)에는 조명부(1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명부(15)는 상기 본체부(10)의 내부 공간(11)에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조명부(15)는 상기 도어부(20)의 개폐 유무에 따라 빛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어부(20)가 개방 시 상기 조명부(15)는 온 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도어부(20)가 폐쇄 시 상기 조명부(15)는 오프될 수 있다.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외출 후 복귀한 사용자의 의류(C)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의류(C)를 의류 처리 장치(1)에 투입할 수 있다.
상기 의류 처리 장치(1)의 도어부(20)를 개방하여 의류 걸이부(40)에 의류(C)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의류(C)가 상기 의류 걸이부(40)이 지지되면, 상기 도어부(20)를 차폐하여 상기 의류 처리 장치(1)를 작동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도어부(20)의 전면부(201)에 제공되는 작동 버튼을 통해 상기 의류 처리 장치(1)를 작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면부(201)는 투명 디스플레이부로 제공될 수 있고,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작동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전면부(201)를 통해 상기 의류 처리 장치(1)가 작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의류(C)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의류 처리 장치(1)가 작동되면, 상기 의류 걸이부(40)의 토출부(43)를 통해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토출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의류 걸이부(40)에 지지된 의류(C)는 움직임이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의류 처리 장치(1)가 작동되면, 상기 동력부(30)로부터 동력이 발생되어 상기 의류 처리 장치(1)가 작동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동력부(30)는 상기 의류 걸이부(40)를 회동시키고, 상기 의류 걸이부(40)에 지지된 의류(C)도 함께 회동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의류 걸이부(40)는 일정한 각도 내에서 반복하여 회동할 수 있다. 상기 의류 걸이부(40)는 상기 연장부(41)를 축 중심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다.
상기 의류 걸이부(40)가 회동하고, 상기 토출부(43)에서 공기가 토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의류 걸이부(4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의류 걸이부(40)는 지지된 의류(C)로부터 이물질을 털어낼 수 있도록 상기 의류(C)를 상기 흡착부(50)를 향해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의류(C)가 상기 흡착부(50)의 전방에 위치하면, 상기 흡착부(50)는 상기 의류(C)에 충돌하여 이물질을 상기 의류(C)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착부(50)는 의류를 미 충돌 시 상기 내부 공간(11)에 비산된 이물질을 흡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의류 걸이부(40)는 상기 의류 걸이부(40)에 지지되는 의류의 종류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의류 걸이부(40)의 회동 및 상기 토출부(43)에서 토출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의류 걸이부(40)에 지지된 의류(C)로부터 이물질이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의류(C)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은 중력 방향으로 낙하하여, 이물 흡입부(60)로 흡입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는 카메라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80)는 상기 본체부(1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80)는 상기 의류 처리 장치(1)의 전방으로부터 이미지 정보를 습득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80)로부터 얻어지는 이미지 정보를 통해 상기 의류 걸이부(40)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80)는 상기 의류 처리 장치(1)의 전방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이미지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인식된 이미지 정보에는 사용자의 키 정보와 의류의 길이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의류 처리 장치(1)는 인식된 이미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의류 걸이부(40)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키가 작은 경우 상기 의류 걸이부(40)는 하방으로 이동하여 사용자가 의류(C)를 손쉽게 상기 의류 걸이부(40)에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 처리 장치(1)로 투입되는 의류의 길이를 파악하여 상기 의류 걸이부(40)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 구성을 나타낸 제어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의류 처리 장치는 투명 터치 디스플레이(110), 센서 모듈(120), 카메라 모듈(130), 제1, 2 구동 모듈(140, 150), 살균 모듈(160) 및 제어 모듈(170)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투명 터치 디스플레이(110)는 도 1에서 기재된 전면부(201)에 포함되며, 카메라 모듈(130)은 도 1 내지 도 5에 기재된 카메라부(80)에 대응하며, 제1, 2 구동 모듈(140, 150)은 도 1 내지 도 5에 기재된 동력부(30)에 대응되며, 살균 모듈(160)은 도 1 내지 도 5에 기재된 살균 탈취부(55)에 대응되며, 도면 번호를 서로 다르게 설명한다.
투명 터치 디스플레이(110)는 도 1 내지 도 5에 기재된 내부 공간(11)에 의류를 거치 또는 수납하기 위해 열고 닫을 수 있는 도어부(2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투명 터치 디스플레이(110)는 제어 모듈(170)의 제어에 따라 터치 입력 메뉴(미도시) 및 현재 동작 정보(미도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이 외에 다른 정보, 예를 들면 날씨 등과 같은 생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또한, 실시 예에서 투명 터치 디스플레이(110)는 도어부(20)와 일체형인 것으로 설명하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센서 모듈(120)는 도어부(20)의 닫힘 또는 개방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센서 모듈(120)는 도어부(20)의 닫힘 시 닫힘 신호(s1)를 출력하며, 도어부(20)의 개방 시 개방 신호(s2)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닫힘 신호(s1)는 하이(high) 신호일 수 있으며, 개방 신호(s2)는 로우(low) 신호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카메라 모듈(130)은 제어 모듈(170)의 제어에 따라 설정된 각도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즉, 카메라 모듈(130)은 제어 모듈(170)의 제어에 따라 도어부(20)의 전방에 위치하며 도어부(20)를 개방한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영상(m)을 촬영하여 제어 모듈(170)로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카메라 모듈(130)은 도어부(20)의 개방시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제어 모듈(170)의 제어에 따라 다른 상황에서도 동작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제1 구동 모듈(140)은 도어부(20)가 개발되면 의류가 거치되는 옷걸이를 초기 위치한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구동 모듈(140)은 제어 모듈(170)의 제어에 따라 옷걸이를 상하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제1 구동 모듈(140)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옷걸이를 이동시키는 제1 모터(142) 및 제어 모듈(170)에서 공급되는 PWM 제어신호(sc)에 따라 제1 모터(142)가 회전되게 PWM 신호(PWM)를 출력하는 제1 모터 구동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모터 구동부(144)는 제어 모듈(17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옷걸이가 이동되게 제1 모터(142)를 구동시킬 수 있다.
제2 구동 모듈(150)은 제어 모듈(17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위치에 있는 옷걸이가 설정된 패턴에 따라 회전되게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구동 모듈(150)은 제1 구동 모듈(140)과 동일하게 모터 및 모터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또한, 상기 패턴은, 회전 방향, 회전 속도 등이 다르게 설정된 패턴이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살균 모듈(160)은 제어 모듈(170)의 제어에 따라 옷걸이에 거치된 의류를 살균할 수 있다.
여기서, 살균 모듈(160)은 UV 광을 방출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제어 모듈(170)은 예측부(172), 산출부(174) 및 제어부(176)를 포함할 수 있다.
예측부(172)는 센서 모듈(120)로부터 개방 신호(s2)가 입력되고, 카메라 모듈(130)에서 촬영된 사용자 영상(m)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예측부(172)는 사용자 영상(m)을 설정된 카메라 모듈(130)의 촬영 각도 및 바닥까지의 거리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 치수를 예측할 수 있다.
이후, 예측부(172)는 상기 신체 치수를 산출부(174)로 전달할 수 있다.
산출부(174)는 상기 신체 치수에 따라 옷걸이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되게 이동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거리는 상기 신체 치수에 따라 가변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산출부(174)는 상기 신체 치수가 180 Cm 인 성인인 경우 상기 이동 거리를 10 Cm 로 산출하면, 상기 신체 치수가 130 Cm 인 어린이인 경우 상기 이동 거리를 40 Cm로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176)는 산출부(174)에서 산출한 상기 이동 거리에 대응하는 PWM 제어 신호(sc)를 제1 구동 모듈(140)로 출려하여,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상기 옷걸이가 이동되게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76)는 센서 모듈(120)로부터 닫힘 신호(s1)가 입력되면, 살균 모듈(160) 및 제2 구동 모듈(150)이 동작되게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6)는 제2 구동 모듈(150) 및 살균 모듈(160)가 동작되면, 투명 터치 디스플레이(110)에 터치 입력 메뉴 및 현재 동작 정보가 디스플레이되게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도 7은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동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 모듈(170)은 센서 모듈(120)로부터 송신된 개방 신호(s1)를 수신하면, 카메라 모듈(130)을 동작시킬 수 있다(S110).
제어 모듈(170)은 카메라 모듈(130)에서 촬영된 사용자 영상(m)이 입력되면, 사용자 영상(m)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신체 치수를 예측할 수 있다(S120).
이후, 제어 모듈(170)은 상기 신체 치수를 기반으로 옷걸이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S130).
제어 모듈(170)은 상기 이동 거리에 따라 옷걸이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되게 제1 구동 모듈(140)로 PWM 제어신호(sc)를 송신할 수 있다(S140).
제어 모듈(170)은 센서 모듈(120)로부터 송신된 닫힘 신호(s2)의 수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50).
제어 모듈(170)은 닫힘 신호(s2)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하면, 제1 구동 모듈(140)을 제어하여 옷걸이를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이동되게 제어할 수 있다(S160).
이후, 제어 모듈(170)은 옷걸이를 설정된 패턴에 따라 회전되게 제2 구동 모듈(150)을 제어할 수 있다(S170).
제어 모듈(170)은 제2 구동 모듈(150)을 제어함과 동시에 살균 모듈(160)을 동작시켜 옷걸이에 거치된 의류를 살균처리할 수 있다(S180).
제어 모듈(170)은 투명 터치 디스플레이(110)에 터치 입력 메뉴 및 현재 동작 정보가 디스플레이되게 제어할 수 있다(S190).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외출 시 사용자의 의류에 부착된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실내 공간으로 사용자의 건강에 유해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의류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한 상태에서 의류를 실내 공간에 보관함으로써, 의류의 수명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의류 처리 장치의 작동 시 의류로부터 이물질이 제거되는 과정을 사용자에게 노출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Claims (10)

  1. 사용자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도어의 닫힘 또는 개방 상태를 감지하고, 도어 개방 시, 개방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 모듈;
    상기 도어가 개방되면, 의류가 거치되는 옷걸이를 초기 위치한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1 구동 모듈; 및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송신된 개방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개방 신호 입력 시, 상기 카메라 모듈을 동작시키며,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된 사용자 영상에 따라 산출된 신체 치수에 따라 상기 옷걸이가 이동되게 상기 제1 구동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신체 치수에 따라 상기 옷걸이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되게 이동 거리를 산출하는 산출부; 및
    상기 옷걸이가 상기 이동 거리만큼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되게 상기 제1 구동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거리는 상기 신체 치수에 따라 가변되는
    의류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사용자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신체 치수를 예측하는 예측부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부는,
    설정된 카메라 모듈의 촬영 각도 및 바닥까지의 거리를 기반으로 상기 신체 치수를 예측하는 의류 처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거리에 대응하는 PWM 제어신호를 상기 제1 구동 모듈로 출력하여, 상기 옷걸이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되게 제어하는 의류 처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 모듈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상기 옷걸이를 이동시키는 제1 모터; 및
    상기 PWM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모터가 회전되게 PWM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모터 구동부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은,
    상기 개방 신호 출력 후, 상기 도어가 닫히면 닫힘 신호를 출력하는 의류 처리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닫힘 시, 상기 의류를 살균하는 살균 모듈; 및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에 따라 상기 옷걸이를 회전시키는 제2 구동 모듈을 더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닫힘 신호 입력 시,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이동되게 제어하며, 상기 살균 모듈을 동작시키는 의류 처리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살균 모듈을 동작시킨 후, 상기 제2 구동 모듈이 설정된 패턴에 따라 상기 옷걸이가 회전되게 제어하는 의류 처리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도어에 포함된 투명 터치 디스플레이에 터치 입력 메뉴 및 현재 동작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의류 처리 장치.
KR1020180029520A 2018-03-14 2018-03-14 의류 처리 장치 KR102468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520A KR102468777B1 (ko) 2018-03-14 2018-03-14 의류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520A KR102468777B1 (ko) 2018-03-14 2018-03-14 의류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242A KR20190108242A (ko) 2019-09-24
KR102468777B1 true KR102468777B1 (ko) 2022-11-21

Family

ID=68068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9520A KR102468777B1 (ko) 2018-03-14 2018-03-14 의류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87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6399B1 (ko) * 2021-02-24 2023-05-26 주식회사 트래딧 의류 관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의류 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6331B1 (ko) * 2007-06-13 2014-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건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67864A (ko) * 2009-12-15 2011-06-22 박래연 의류세척장치
KR20170060736A (ko) * 2015-11-25 2017-06-02 박진수 오프라인 의류 매장에서 피팅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KR20170072619A (ko) * 2015-12-17 2017-06-27 황호관 식기 수납장
KR102506531B1 (ko) * 2016-01-12 2023-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242A (ko) 2019-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100954B4 (en) Cleaning apparatus
KR20200033128A (ko) 드라이어 거치대
US10821201B2 (en) Air purifier
CN115844252A (zh) 具有真空清洁器和对接站的清洁装置及其控制方法
EP3626108B1 (en) Dryer stand
JP6937006B2 (ja) 消臭システム
JP7503260B2 (ja) 衣類処理装置
JP6525053B2 (ja) 寝具掃除機
KR102468777B1 (ko) 의류 처리 장치
JP2018175113A (ja) 空気清浄装置
KR101350354B1 (ko) 살균 기능을 갖는 수납박스
KR20160129452A (ko) 살균탈취 기능이 구비된 옷걸이
KR20110140045A (ko) 공기 청정기 및 그 운전 방법
KR101890917B1 (ko) 욕실용 수납함의 살균장치
JP2020137618A (ja) 自律型電気掃除機
JP6206662B2 (ja) 布材処理装置
KR20190110290A (ko) 의류 처리 장치
JP6610170B2 (ja) 衣類メンテナンス装置
EP4206391B1 (en) Hanger device
CN112741538A (zh) 电动吸尘器以及电动吸尘装置
KR102441944B1 (ko) 의류 처리 장치
JP6505575B2 (ja) パネル支持構造
JP2021535794A (ja) 衣類処理装置
JP2006296966A (ja) 食器乾燥器
CN114901896B (zh) 衣物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