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9240A - 폐토너 수거 효율을 높이기 위한 폐토너 수거 장치 - Google Patents

폐토너 수거 효율을 높이기 위한 폐토너 수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9240A
KR20200029240A KR1020180107837A KR20180107837A KR20200029240A KR 20200029240 A KR20200029240 A KR 20200029240A KR 1020180107837 A KR1020180107837 A KR 1020180107837A KR 20180107837 A KR20180107837 A KR 20180107837A KR 20200029240 A KR20200029240 A KR 20200029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toner
blade
collection device
detector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7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현택
이동우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to KR1020180107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9240A/ko
Priority to PCT/US2019/050382 priority patent/WO2020055844A1/en
Priority to EP19860075.1A priority patent/EP3850438A4/en
Priority to CN201980043483.4A priority patent/CN112334841B/zh
Priority to US17/057,090 priority patent/US11314195B2/en
Publication of KR20200029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92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87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 G03G15/0891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for conveying or circulating developer, e.g. augers
    • G03G15/0893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for conveying or circulating developer, e.g. augers in a closed loop within the sump of the developing devi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1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developer regulating means, e.g. structure of doctor blad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56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leve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87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 G03G15/0891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for conveying or circulating developer, e.g. aug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5Self-diagnostics; Malfunction or lifetime display
    • G03G15/553Monitoring or warning means for exhaustion or lifetime end of consumables, e.g. indication of insufficient copy sheet quantity for a job
    • G03G15/556Monitoring or warning means for exhaustion or lifetime end of consumables, e.g. indication of insufficient copy sheet quantity for a job for toner consumption, e.g. pixel counting, toner coverage detection or toner density measure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G03G21/105Arrangements for conveying toner wast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G03G21/12Toner waste contain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5Self-diagnostics; Malfunction or lifetime display
    • G03G15/553Monitoring or warning means for exhaustion or lifetime end of consumables, e.g. indication of insufficient copy sheet quantity for a job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cleaning unit
    • G03G2221/1624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cleaning unit transporting cleaned toner into separate vessels, e.g. photoreceptors, external contain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폐토너 수거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폐토너 수거 장치는 폐토너를 수거하는 폐토너 통, 폐토너 통에 수거되어 쌓이는 폐토너의 양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detector), 및 폐토너 통에서 폐토너를 분산시키는 오거(auger)를 포함하고, 오거는, 폐토너 통에서 폐토너를 검출기를 향한 제1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1 블레이드, 및 폐토너 통에서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폐토너를 이송시키는 제2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제2 블레이드는 제1 블레이드의 단위 이송량보다 큰 단위 이송량을 갖는 블레이드 섹션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폐토너 수거 효율을 높이기 위한 폐토너 수거 장치{WASTE TONER COLLECTING DEVICE FOR INCREASING WASTE TONER COLLECTING EFFICIENCY}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화상 신호에 따라 용지상에 흑백화상이나 컬러화상을 현상시키는 장치로, 레이저 프린터, 잉크젯 프린터, 복사기, 복합기, 팩시밀리 등이 있다.
전자사진방식의 화상형성장치는 정전잠상이 형성된 감광체 또는 중간전사장치에 토너를 부착시켜 정전잠상을 가시적인 토너화상으로 만든 다음, 이 토너화상을 용지에 전사시키는 방법으로 소정의 화상을 출력한다.
상기 감광체또는 중간전사장치에서 용지로의 토너화상 전사시 감광매체에는 미전사 토너(이하, '폐토너"라 한다)가 남게 된다. 이 폐토너는 다음 화상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므로 제거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전자사진방식의 화상형성장치에는 감광체 또는 중간전사장치에서 미처 전사되지 못하고 잔류한 폐토너를 수거하기 위한 폐토너 수거 장치가 마련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폐토너 이송장치 및 폐토너 수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 장치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3에 표시된 선 Ⅳ-Ⅳ를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b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거가 적용된 폐토너 수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 장치에 수거되어 쌓이는 폐토너가 분산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b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거가 적용된 폐토너 수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a, 도 7b 및 도 7c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 장치에 수거되어 쌓이는 폐토너가 분산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개시는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과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1)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한 후, 폐토너 수거 장치(1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화상형성장치(1)는 본체(10), 급지장치(20), 인쇄 엔진(30) 및 배출 장치(8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상부에 화상 형성이 완료된 용지가 적재되는 배출트레이(10a)가 마련되며, 배출트레이(10a)의 일측에는 화상형성이 완료된 용지가 배출되는 배지구(10b)가 마련된다.
급지장치(20)는 본체(10)에 장착 및 탈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급지장치(20) 내에 배치되어 용지가 적재되는 녹업플레이트(22)를 포함한다.
급지장치(20)는 급지장치(20)의 일측 상부에 배치되어 녹업플레이트(22)에 적재된 용지를 한장씩 픽업하는 픽업롤러(24)와, 픽업롤러(24)에 의해 픽업된 용지를 전달받아 이송롤러(29)를 향해 이동시키는 포워드롤러(26)와, 포워드롤러(26)와 대향되게 배치되어 복수의 용지가 동시에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리타드롤러(28)와, 픽업롤러(24) 상측에 배치되어 픽업롤러(24)에 의해 픽업된 용지를 인쇄 엔진(30)으로 안내하는 한 쌍의 이송롤러(29)를 포함할 수 있다.
인쇄 엔진(30)은 급지장치(20)로부터 공급받은 용지(P)에 화상을 형성한다. 인쇄 엔진(30)은 전자사진방식에 의하여 용지(P)에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인쇄 엔진(30)은 현상기(40), 현상 카트리지(50), 전사기(60) 및 정착기(70)를 구비할 수 있다.
현상기(40)는 공급된 용지(P)에 소정의 화상을 형성하고, 정착기(70)는 가시화상을 용지에 정착시킨다. 현상기(40)는 토너에 의한 가시화상을 수용하는 상담지체로 이루어져 노광기에 의해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41)와, 감광체(41)에 토너를 공급하여 감광체(41)의 정전잠상이 토너에 의한 가시화상으로 현상되도록 하는 현상롤러(43)와, 감광체(41)의 표면이 대전되도록 하는 대전롤러(45)를 포함한다.
현상기(40)와 현상 카트리지(50)는 복수 개로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현상 카트리지(50)는 복수의 현상기(40)와 각각 연결되며, 복수의 현상 카트리지(50)에 수용된 현상제는 복수의 현상기(40)로 각각 공급된다. 복수의 현상 카트리지(50)와 복수의 현상기(40)는 개별적으로 교체될 수 있다.
복수의 감광체(41)는 정전 잠상이 형성하고, 현상 카트리지(50)는 각 감광체(41)에 토너를 부착하여 가시화상을 형성시키고, 전사기(60)는 가시화상을 용지로 전사시킨다.
복수의 현상 카트리지(50)는 복수의 현상기(40)로 공급하기 위한 시안(C:cyan), 마젠타(M:magenta), 옐로우(Y:yellow), 블랙(K:black) 색상의 현상제가 각각 수용된 복수의 현상제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의하여 본 개시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색상 이외에도 라이트 마젠타(light magenta), 백색(white) 등의 다양한 색상의 현상제를 수용하고 현상하기 위한 현상 카트리지(50) 및 현상기(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현상 카트리지(50) 각각은 서로 다른 색상의 토너(예컨대,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를 저장하고, 정전잠상이 형성된 각 감광체(41)에 토너를 부착하여 서론 다른 색상의 가시화상을 만든다.
그리고, 전사기(60)는 각 감광체(41)에 형성된 가시화상을 중첩시켜 컬러 가시화상을 만드는 중간전사벨트(61)와, 중간전사벨트(61)에 형성된 컬러 가시화상을 용지로 전사시키는 최종전사롤러(63)를 포함한다. 중간전사벨트(61)는 각 감광체(41)에 형성된 가시화상이 차례로 전사되어 중첩되고, 각 감광체(41)에 형성된 가시화상을 중간전사벨트(61)로 전사된다.
용지(P)에 전사되는 가시화상은 정착기(70)를 통과하면서 열과 압력을 받아 용지 표면에 융착된다. 정착기(70)는 열을 발생시키는 가열롤러(71)와, 외주면이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 용지를 가열롤러(71)의 외주면에 가압하는 가압롤러(73)를 포함한다.
정착기(70)를 통과한 용지(P)는 배출 장치(80)에 의해 화상형성장치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용지(P)에 토너에 의한 현상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현상기(40)에서는 불가피하게 폐토너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현상기(40)는 전사 과정을 거친 후에 감광체(41)에 잔류되는 페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닝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클리닝 수단은 감광체(41)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감광체(41)에서 전사되지 못하고 남아있는 폐토너를 제거할 수 있다.
제거된 폐토너의 저장을 위해 본체(10)의 일측에는 폐토너 이송 장치(90) 및 폐토너 수거 장치(100)가 설치된다. 폐토너 이송 장치(90)는 감광체(41)에서 분리된 폐토너를 폐토너 수거 장치(100)로 안내하고, 폐토너 수거 장치(100)는 폐토너 이송 장치(90)로부터 수거된 폐토너가 저장될 수 있다.
폐토너 이송 장치(90) 및 폐토너 수거 장치(100)는 본체(10)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폐토너는 중간전사벨트(61)에서도 발생될 수 있다. 용지(P)로 전사되고 중간전사벨트(61) 상에 잔류되는 토너는 클리닝 수단(미도시)에 의하여 제거되어 폐토너 이송 장치(90)에 수용된다. 이러한 폐토너 역시 폐토너 수거 장치(100)로 배출된다.
이상,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현상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현상방식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은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폐토너 이송장치 및 폐토너 수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폐토너 이송 장치(90)는 감광체(41)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클리닝 수단(미도시)에 의해 감광체(41)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된 폐토너는 폐토너 이송 장치(90)로 유입될 수 있다.
폐토너 이송 장치(90)는 감광체(41)로부터 낙하하는 폐토너를 전달받는 입구(91a)와, 그 하면 일측에 형성되어 폐토너가 하측의 폐토너 수거 장치(100)로 전달되도록 하는 출구(91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폐토너 이송 장치(90)는 중간전사벨트(61)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된 폐토너도 유입될 수 있다.
폐토너 수거 장치(100)는 폐토너 이송 장치(90)의 하면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폐토너 이송 장치(90)의 출구(91b)로부터 배출된 폐토너는 폐토너 수거 장치(100)로 수거될 수 있다.
폐토너 이송 장치(90)의 내부에는 폐토너가 입구(91a)에서 출구(91b)로 이송되도록 하는 이송 오거(95)가 배치될 수 있다.
폐토너 이송 오거(95)는 폐토너 이송 장치(90)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폐토너 이송 오거(95)는 감광체(41)로부터 폐토너 이송 장치(90)안으로 유입된 폐토너를 폐토너 수거 장치(100)로 전달한다. 폐토너 수거 장치(100)는 폐토너 이송 장치(90)와 연결 가능하도록 폐토너 이송 장치(90)의 하측 일단에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폐토너 수거 장치(100)는 폐토너 수거 장치(100)의 폐토너 유입구(111, 도 3 참조)가 폐토너 이송 장치(90)의 출구(91b)와 마주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폐토너는 폐토너 이송 오거(95)의 회전에 의하여 일 방향(출구(91b) 방향)으로 이송되고, 이송된 폐토너는 폐토너 수거 장치(100)로 운반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 장치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폐토너 수거 장치(100)는 폐토너 통(110), 검출기(130) 및 오거(150)를 포함할 수 있다.
폐토너 통(110)의 상면 일측에는 폐토너 이송 장치(90)에 의해 이송된 폐토너가 유입되는 폐토너 유입구(111)가 형성될 수 있다. 폐토너 통(110)의 내부에는 폐토너 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폐토너가 저장될 수 있다.
폐토너 유입구(111)에는 폐토너 유입구(111)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셔터(113)가 마련될 수 있다. 셔터(113)는 예를 들어 폐토너 수거 장치(100)와 폐토너 이송 장치(90)가 서로 결합될 때에 폐토너 유입구(111)를 개방하며, 폐토너 수거 장치(100)가 화상형성장치(1)로부터 탈거될 때에는 폐토너 유입구(111)를 폐쇄할 수 있다.
폐토너 통(110)은 폐토너를 저장하는 공간이 만층(full)되면 교체되는 소모품일 수 있다. 후술하는 검출기(130)가 폐토너 통(110)에 쌓이는 폐토너를 감지함으로써 폐토너 통(110)이 만층(full) 상태인지 여부를 측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폐토너 통(110)의 저장공간의 저장 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폐토너 통(110)의 교체 주기를 길게 할 수 있어 소모품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폐토너 통(110)의 만층(full)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검출기(130)는 폐토너 통(1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검출기(130)는 폐토너 유입구(111)의 반대 측면인 타측에 위치할 수 있다. 검출기(130)는 폐토너가 유입되는 지점에서 가장 멀리 위치하여 폐토너 통(110)에 보다 많은 양의 폐토너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검출기(130)는 폐토너 통(110)의 기 설정된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검출기(130)는 폐토너 통(110) 내에서 후술하는 오거(150)의 블레이드(153, 155)의 최저점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출기(130)는 발광부(131)와 수광부(133)를 구비하는 광센서일 수 있다. 발광부(131)에서 방출된 광은 수광부(133)로 입사된다. 폐토너가 기 설정된 높이 이상으로 쌓이면, 폐토너에 의하여 광이 일부 차단되어 수광부(133)로 입사되는 광량이 줄어들게 된다. 수광부(133)에서 검출되는 광량이 소정의 기준 광량 이하로 떨어지면, 폐토너 통(110)이 만층(full) 상태인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 경우, 폐토너 통(110)을 교체하도록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다만, 검출기(130)에서 폐토너를 검지한 시점에서의 폐토너 통(110)의 폐토너 수용량은 폐토너 통(110)의 수용 공간을 전부 채운 것이 아니기 때문에 검출기(130)가 폐토너를 검지한 시점에서 일정 시간 후에 폐토너 통(110)의 만층 상태임을 사용자에게 알려 작업 효율을 늘릴 수 있다.
폐토너 통(110) 내부에는 폐토너 통(110) 내부에 쌓인 폐토너를 분산시키기 위한 오거(150)가 설치될 수 있다. 오거(150)는 폐토너를 폐토너 통(110)의 수평 방향으로 분산시킬 수 있도록 폐토너 통(110)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오거(150)는 폐토너 통(11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폐토너 통(110) 내부에 수거된 폐토너가 평탄화 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폐토너 통(110)에 쌓인 폐토너를 분산시키는 오거(15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4a는 도 3에 표시된 선 Ⅳ-Ⅳ를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폐토너 통(110)은 저장된 폐토너를 분산시키는 오거(150)를 구비할 수 있다. 폐토너 유입구(111)를 통하여 폐토너 통(110)으로 유입된 폐토너는 자중에 의하여 낙하되어 폐토너 유입구(111)의 바로 아래 영역에 주로 쌓인다.
이러한 방식으로 폐토너 통(110)으로 유입되는 폐토너는 산과 같은 모양을 형성하며 쌓인다. 폐토너의 경우 용지의 섬유 성분 등 불순물이 인쇄 과정 중 포함되기 때문에 새 토너에 비해 유동성이 낮고 응집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폐토너 통의 내부가 가득차지 않더라도 산 모양으로 쌓인 폐토너의 상부가 검출기(130)에 의해 감지되면 폐토너 통(110)의 수용 용적이 남아 있더라도 폐토너 통(110)을 교환하여야하므로 폐토너 수거 장치(100)의 장수명화에 불리하고, 폐토너 수거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 장치(100)는 폐토너 통(110)에서 폐토너를 분산시키는 오거(150)를 포함할 수 있다.
오거(150)는 회전축(151)과 나선형으로 형성된 블레이드(153, 155)를 구비할 수 있다. 회전축(151)의 일단부는 폐토너 통(110)의 외부로 연장된다. 회전축(151)의 일단부에는 동력전달기구의 일 예로서 기어(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폐토너 수거 장치(100)가 화상형성장치(1)에 장착되면 기어는 화상형성장치 내의 구동부와 연결되며, 이에 의하여 오거(150)가 구동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거(150)에 의해 검출기(130)가 만층(full) 상태를 감지하는 시점을 지연시킬 수 있다.
오거(150)는 회전축(151)과 회전축(151)으로부터 나선형으로 돌출된 제1 블레이드(153) 및 제2 블레이드(155)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블레이드(153, 155)는 회전축(151) 상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며, 회전축(151)을 권선하는 나선형 블레이드이다.
제1 블레이드(153)는 폐토너 유입구(111)로부터 유입된 폐토너를 제1 방향(P1)으로 운반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향(P1)은 폐토너 유입구(111)에서 검출기(130)를 향하는 방향이다. 제2 블레이드(155)는 폐토너 유입구(111)로부터 유입된 폐토너를 제2 방향(P2)으로 운반할 수 있다. 제2 방향(P2)은 제1 방향(P1)의 반대 방향으로 검출기(130)에서 폐토너 유입구(111)를 향하는 방향이다.
제1 블레이드(153)와 제2 블레이드(155)는 동일한 회전축(15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전축(151)이 회전하면 제1 블레이드(153)에 의해 폐토너는 제1 방향(P1)으로 운반되고, 제2 블레이드(155)에 의해 제2 방향(P2)으로 운반될 수 있다.
제1 블레이드(153)는 폐토너 유입구(111)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2 블레이드(155)는 검출기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블레이드(153)는 제2 블레이드(155)보다 제2 방향(P2)측에 위치하여 폐토너 유입구(111)에서 유입된 폐토너를 폐토너 통(110)의 길이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제2 블레이드(155)는 제1 블레이드(153)의 단위 이송량보다 큰 단위 이송량을 갖는 블레이드 섹션(155a)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블레이드(155)는 블레이드 섹션(155a)과 나머지 제2 블레이드(155b)로 이루어질 수 있다. 블레이드 섹션(155a)은 제2 블레이드(155)의 전체 구간 중에서 검출기(130)에 가장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블레이드 섹션(155a)은 제2 블레이드의 나머지 (155b)의 구간보다 제1 방향(P1)측에 위치하여 제1 방향(P1)으로 운반되는 폐토너의 운반속도를 지연시킬 수 있다.
블레이드 섹션(155a)에 의해 검출기(130)로 이송되는 폐토너의 이송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검출기(130)가 폐토너의 만층(full) 상태를 검지하는 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다.
블레이드 섹션(155a)의 블레이드의 직경(D1)은 제1 블레이드(153) 및 나머지 제2 블레이드(155b)의 직경(D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블레이드 섹션(155a)의 직경(D1)이 크게 형성되면 회전축(151)의 회전에 의해 제2 방향(P2)으로 운반되는 폐토너 양이 다른 구간에서 운반되는 폐토너 양보다 증가한다. 이에 따라 검출기(130)에 도달하는 폐토너의 운반 속도를 늦출 수 있다.
블레이드 섹션(155a)에 의해 검출기(130)에 도달하는 폐토너의 도달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데, 블레이드 섹션(155a)의 직경(D1)을 제1 블레이드(153) 및 나머지 제2 블레이드(155b)의 직경(D2)보다 크게 형성하면, 블레이드 섹션(155a)의 주변에 체류하는 폐토너가 제2 방향으로 이송되는 양이 늘어나므로, 폐토너가 검출기(130)를 향해 운반되는 속도를 늦출 수 있다. 이에 따라 폐토너 통(110)의 수용공간을 다 채우지 못하고 폐토너 수거 장치(100)가 교체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어 폐토너 수거 장치(100)의 장수명화에 기여할 수 있다.
도 4a에서는 블레이드 섹션(155a)의 직경(D1)이 다른 블레이드(153, 155b)의 직경(D2)보다 크게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블레이드 섹션(155a)의 단위 이송량이 다른 구간의 단위 이송량보다 크도록 블레이드 섹션(155a)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b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거가 적용된 폐토너 수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거(160)는 회전축(161)과 회전축(161)으로부터 나선형으로 권선된 블레이드(163, 16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b에서 블레이드(163, 165)는 제1 블레이드(163) 및 제2 블레이드(16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블레이드(163)는 도 4a 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차이가 있는 제2 블레이드(165)의 블레이드 섹션(165a)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일 예로 블레이드 섹션(165a)의 피치(pitch, S1)는 제1 블레이드(163) 및 제2 블레이드(165b)의 나머지 구간의 피치(S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피치(pitch)는 회전축(161)의 축선 방향의 블레이드의 배치 간격을 나타낸다. 블레이드 섹션(165a)의 피치(S1)가 크게 형성되면 회전축(161)의 회전에 의해 블레이드 섹션(165a)에서 제2 방향(P2)으로 운반되는 폐토너 양이 다른 구간에서 운반되는 폐토너 양보다 증가한다. 이에 따라 검출기(130)에 도달하는 폐토너의 운반 속도를 늦출 수 있다.
또한, 도 4a및 4b에서 블레이드 섹션(155a, 165a)는 직경(D1) 또는 피치(S1)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블레이드(153) 및 나머지 제2 블레이드(155b, 165b)의 직경(D1) 또는 피치(S1) 중 적어도 하나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블레이드(155, 165)는 블레이드 섹션(155a, 165a)를 포함하며, 제1 블레이드(153, 163)보다 제1 방향(P1) 측에 위치하여 검출기(130) 방향으로 이동하는 폐토너를 역이송시켜 폐토너가 검출기(130)에 검출되는 속도를 지연시킬 수 있다.
제1 블레이드(153, 163)와 제2 블레이드(155, 165)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오거(150, 160)는 4개의 구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구간(A)은 제1 방향(P1)으로 형성된 제1 블레이드(153, 163)로 이루어지고, 제2 구간(B)은 제1 블레이드(153, 163)와 제2 블레이드(155, 165) 사이에 형성된 방향 전환 구간(B)이 형성되고, 제3 구간(C)은 제2 방향(P2)으로 형성된 나머지 제2 블레이드(155b, 165b)로 이루어지고, 제4 구간(D)은 블레이드 섹션(155a, 165a)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구간(B)은 제1 블레이드(153, 163)와 제2 블레이드(155, 165)가 이격된 사이의 구간을 의미한다. 오거(150, 160)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 전환 구간을 포함하도록 폐토너 이송 방향이 반대인 복수의 블레이드들로 구성될수 있다.
오거(150, 160)의 중간에 방향 전환 구간인 제2 구간(B)이 형성됨에 따라 수거된 폐토너는 제2 구간(B)을 중심으로 운반되어 쌓이게 된다. 폐토너 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폐토너는 제1 구간(A)에서 쌓이다가 제1 블레이드(153, 163)에 의해 제2 구간(B)으로 운반되고, 제2 블레이드(155b, 165b)에 의해 제2 구간(B)에 쌓이게 된다. 제2 구간(B)의 폐토너 통(110)의 상단까지 폐토너가 쌓이게 되면, 쌓인 폐토너가 제2 구간(B)을 중심으로 제1 구간(A) 및 제3 구간(C)으로 퍼져나갈 수 있다.
이하에서 폐토너의 분산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 장치에 수거되어 쌓이는 폐토너가 분산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a및 도 5b는 폐토너 수거 장치(100)에 폐토너가 수거되는 과정을 시계열 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폐토너 유입구(111)로부터 폐토너 통(110)으로 유입된 폐토너는 자중에 의해 낙하되어 폐토너 유입구(111)의 바로 아래 영역에 주로 쌓인다. 폐토너 유입구(111)의 바로 아래 영역에 폐토너가 산 모양으로 쌓이게 되고, 산 모양으로 쌓인 폐토너의 상부가 오거(150)의 제1 블레이드(153)에 의해 제1 방향(P1)으로 운반될 수 있다.
제1 방향(P1)으로 운반된 폐토너는 폐토너를 제2 방향(P2)으로 이송시키는 제2 블레이드(155)에 의해 제1 구간(A)에서 운반된 폐토너는 방향 전환 구간(B)까지 운반되어 방향 전환 구간(B)에서 쌓인다. 방향 전환 구간(B)에 쌓인 폐토너가 일정 양 이상이 되어 방향 전환 구간(B)에서 폐토너 통(110)의 상단부까지 폐토너가 쌓이면 폐토너가 서로 밀쳐내게 되어 방향 전환 구간(B)을 중심으로 제1 및 제2 방향(P2)으로 퍼져나가 제1 구간(A) 및 제3 구간(C)으로 운반된다.
폐토너는 방향 전환 구간(B)에 쌓일 때 서로 눌림으로써 산 모양으로 솟아오르지만, 방향 전환 구간(B)에 블레이드가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오거(150)에 토너의 응집이 잘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오거(150)의 토크 상승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방향 전환 구간(B)에서 제1 구간(A)인 제1 방향(P1)으로 퍼져나간 폐토너는 제2 방향(P2)으로 퍼져나가는 폐토너의 속도보다 낮은 속도를 갖을 수 있다.
블레이드 섹션(155a)을 이루는 제4 구간(D)의 폐토너 단위 이송량은 제1 구간(A) 및 제3 구간(C)의 폐토너 단위 이송량보다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제4 구간(D)인 블레이드 섹션(155a)에서 제2 방향(P2)으로 이송되는 폐토너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블레이드 섹션(155a)의 폐토너 이송량이 증가됨에 따라 검출기(130)를 향해 이송되는 폐토너의 속도가 감소하여 검출기(130)에 폐토너가 검지되는 시간을 늦출 수 있다.
이에 따라 폐토너 통(110)의 수용공간을 최대한으로 활용할 수 있어 폐토너 수거 장치(100)의 장수명화에 기여할 수 있다.
도 6a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6b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거가 적용된 폐토너 수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 장치(101)는 폐토너 통(110), 검출기(130) 및 오거(25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폐토너 통(110) 및 검출기(130)의 구성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 장치(10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겠으며, 이하에서는 차이가 있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거(250) 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오거(250)는 회전축(251)과, 나선형으로 형성된 블레이드(253, 255, 257, 259)를 구비할 수 있다. 회전축(251)은 도 4a및 도 4b에 개시된 회전축(151)과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회전축(251)으로부터 나선형으로 돌출된 블레이드(253, 255, 257, 259)는 제1 방향(P1)으로 폐토너를 이송시키는 블레이드(253, 259)와 제2 방향(P2)으로 폐토너를 이송시키는 블레이드(255, 257)를 복수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향(P1)은 폐토너 유입구(111)에서 검출기(130)를 향하는 방향이고, 제2 방향(P2)은 제1 방향(P1)의 반대 방향으로 검출기(130)에서 폐토너 유입구(111)를 향하는 방향이다.
오거(250)는 회전축(151) 상에 제1 방향(P1)으로 폐토너를 운반하는 블레이드(253, 259)와 제2 방향(P2)으로 폐토너를 운반하는 블레이드(255, 257)를 쌍으로 교번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제1 방향(P1)으로 폐토너를 운반하는 블레이드(253, 259) 중 적어도 하나는 회전축(251) 상에서 폐토너 유입구(111)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방향(P1)으로 폐토너를 이송하는 블레이드(253, 259)가 폐토너 유입구(111)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됨에 따라 폐토너 유입구(111)로 유입되어 낙하하는 폐토너를 폐토너 통(110)의 길이 방향으로 운반하여 폐토너를 분산시킬 수 있다.
제2 방향(P2)으로 폐토너를 운반하는 블레이드(255, 257) 중 적어도 하나는 회전축(251) 상에서 검출기(130)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방향(P2)으로 폐토너를 이송하는 블레이드(255, 257)가 검출기(130)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됨에 따라 검출기(130)를 향해 운반되는 폐토너의 이송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어 폐토너 통(110)의 수거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거(250)의 블레이드(253, 255, 257, 259)는 제1 블레이드(253) 및 제2 블레이드(255)와 제1 블레이드(253)와 제2 블레이드(255) 사이에 배치되는 제3 블레이드(257) 및 제4 블레이드(259)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블레이드(253)와 제2 블레이드(255) 사이에 배치되는 제3 블레이드(257) 및 제4 블레이드(259)는 복수 개로구비될 수 있고, 회전축 상에서 복수의 제3 및 제4 블레이드는 쌍으로 교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블레이드(253) 및 제4 블레이드(259)는 폐토너 유입구(111)로부터 유입된 폐토너를 제1 방향(P1)으로 운반할 수 있다. 제2 블레이드(255) 및 제3 블레이드(257)는 폐토너 유입구(111)로부터 유입된 폐토너를 제2 방향(P2)으로 운반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블레이드(253, 255, 257, 259)는 동일한 회전축(25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폐토너 유입구(111)부터 검출기(130) 방향으로 제1 블레이드(253), 제3 블레이드(257), 제4 블레이드(259), 제2 블레이드(255) 순으로 회전축(251)상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전축(251)이 회전하면 제1 블레이드(253) 및 제4 블레이드(259)에 의해 폐토너는 제1 방향(P1)으로 운반되고, 제2 블레이드(255), 제3 블레이드(257)에 의해 제2 방향(P2)으로 운반될 수 있다.
제1 블레이드(253)는 폐토너 유입구(111)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2 블레이드(255)는 검출기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블레이드(253)는 제2 블레이드(255)보다 제2 방향(P2)측에 위치하여 폐토너 유입구(111)에서 유입된 폐토너를 폐토너 통(110)의 길이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제2 블레이드(255)는 제1 블레이드(253)의 단위 이송량보다 큰 단위 이송량을 갖도록 형성되는 블레이드 섹션에 해당할 수 있다. 제2 블레이드(255)는 제1 블레이드(253)보다 제1 방향(P1) 측에 위치하여 검출기(130) 방향으로 이동하는 폐토너를 역이송시켜 폐토너가 검출기(130)에 검출되는 속도를 지연시킬 수 있다.
예컨데, 제2 블레이드(255)의 직경을 제1 블레이드(253), 제3 블레이드(257) 및 제4 블레이드(259)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하면, 제2 블레이드(255) 주변에 체류하는 폐토너의 양이 늘어나므로, 폐토너가 검출기(130)를 향해 운반되는 속도를 늦출 수 있다. 이에 따라 폐토너 통(110)의 수용공간을 다 채우지 못하고 폐토너 수거 장치(101)가 교체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어 폐토너 수거 장치(101)의 장수명화에 기여할 수 있다.
제2 블레이드(255)에 의해 검출기(130)로 이송되는 폐토너의 이송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검출기(130)가 폐토너의 만층(full) 상태를 검지하는 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다.
도 6a에서는 제2 블레이드(255)의 직경(D1)이 다른 블레이드(253, 257, 259)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2 블레이드(255)의 단위 이송량이 다른 구간의 단위 이송량보다 크도록 제2 블레이드(255)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블레이드(253) 내지 제4 블레이드(259)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거(250)는 복수의 구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오거(250)는 6개의 구간으로 구성될수 있다. 제1 구간(A)은 제1 방향(P1)으로 형성된 제1 블레이드(253)로 이루어지고, 제2 구간(C)은 제2 방향(P2)으로 형성된 제3 블레이드(257)로 이루어지고, 제3 구간(D)은 제1 방향(P1)으로 형성된 제4 블레이드(259)로 이루어지고, 제4 구간(F)은 제2 방향(P2)으로 형성된 제2 블레이드(255)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구간(A)과 제2 구간(C) 사이에 제1 방향 전환 구간(B)이 형성되고, 제3 구간(D)과 제4 구간(F) 사이에 제2 방향 전환 구간(E)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방향 전환 구간(B)은 제1 블레이드(253)와 제3 블레이드(257)가 이격된 사이의 구간이고, 제2 방향 전환 구간(E)은 제4 블레이드(259)와 제2 블레이드(255)가 이격된 사이의 구간이다.
폐토너는 제1 및 제2 방향 전환 구간(B, E)을 중심으로 운반되어 모여들었다가 폐토너 통(110)의 상단까지 가득 차게되면, 서로 밀어내어 방향 전환 구간(B, E)을 중심으로 제1 방향(P1) 및 제2 방향(P2)으로 퍼져나간다.
오거(250)는 복수의 방향 전환 구간(B, E)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폐토너가 방향 전환 구간(B, E)에서 양 방향으로 밀어내는 길이를 줄여 오거(250)의 토크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나의 방향 전환 구간에서 제1 및 제2 방향(P1, P2)으로 퍼져나가는 폐토너 적층 방식 보다 복수의 방향 전환 구간(B, E)에서 제1 및 제2 방향(P1, P2)으로 퍼져나가는 폐토너 적층 방식에서 폐토너들이 서로 밀어내는 길이가 짧기 때문에 보다 낮은 구동 토크로 오거(250)가 동작할 수 있다. 오거(250)의 구동 토크가 감소함에 따라 더 많은 양의 폐토너를 적층할 수 있어 폐토너 수거 장치(101)의 수거 용량을 최대화할 수 있다.
검출기(130)와 가장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제2 블레이드(255)의 직경(D1)은 제4 블레이드(259)의 직경(D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블레이드(255)는 제2 방향(P2)으로 이송되는 폐토너량을 증가시켜 검출기(130)에 폐토너가 도달하기 전까지 최대한 폐토너 통(110)에 폐토너를 수거할 수 있다.
제1 블레이드(253)의 직경(D2), 제3 블레이드(257)의 직경(D3) 및 제4 블레이드(259)의 직경(D2)은 제2 블레이드(255)의 직경(D1)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오거(250)의 중간에 위치한 폐토너를제2 방향(P2)으로 이송하는 제3 블레이드(257)의 직경(D3)은 폐토너를 제1 방향(P1)으로 이송하는 제1 및 제4 블레이드(253, 259)의 직경(D2)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제3 블레이드(257)의 직경(D3)이 제1 및 제4 블레이드(253, 259)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됨에 따라 오거(250)의 중앙부에서 폐토너가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폐토너 유입구(111)로 폐토너가 역류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폐토너를 제2 방향(P2)으로 이송하는 제2 블레이드(255) 및 제3 블레이드(257)의 길이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거(260)는 회전축(261)과 회전축(261)으로부터 나선형으로 권선된 블레이드(263, 265, 267, 269)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a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제1 내지 제4 블레이드(263, 265, 267, 269) 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일 예로 도 6b를 참조하면, 제2 블레이드(265)의 피치(pitch, S1)는 제1 블레이드(263), 제3 블레이드(267), 제4 블레이드(269)의 피치(S2, S3)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피치(pitch)는 회전축(261)의 축선 방향의 블레이드의 배치 간격을 나타낸다. 제2 블레이드(165)의 피치가 크게 형성되면 회전축(261)의 회전에 의해 제2 블레이드(165)에서 제2 방향(P2)으로 운반되는 폐토너 양이 다른 구간에서 운반되는 폐토너 양보다 증가한다. 이에 따라 검출기(130)에 도달하는 폐토너의 운반 속도를 늦출 수 있다.
또한, 오거(260)의 중간에 위치한 폐토너를제2 방향(P2)으로 이송하는 제3 블레이드(267)의 피치(S3)는 폐토너를 제1 방향(P1)으로 이송하는 제1 및 제4 블레이드(263, 269)의 피치(S2)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제3 블레이드(267)의 피치(S3)가 제1 및 제4 블레이드(263, 269)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됨에 따라 오거(260)의 중앙부에서 폐토너가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폐토너 유입구(111)로 폐토너가 역류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제2 블레이드(265)는 직경(D1) 또는 피치(S1)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블레이드(263),제3 블레이드(267) 및 제4 블레이드(259)의 직경 또는 피치 중 적어도 하나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블레이드(267)는 직경(D3) 또는 피치(S3)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블레이드(263),제2 블레이드(265) 및 제4 블레이드(269)의 직경 또는 피치 중 적어도 하나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 7a, 도 7b 및 도 7c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 장치에 수거되어 쌓이는 폐토너가 분산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a, 도 7b, 도 7c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 장치에 수거되는 과정을 시계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폐토너 유입구(111)로부터 폐토너 통(110)으로 유입된 폐토너는 자중에 의해 낙하되어 폐토너 유입구(111)의 바로 아래 영역에 주로 쌓인다. 폐토너 유입구(111)의 바로 아래 영역에 폐토너가 산 모양으로 쌓이게 되고, 산 모양으로 쌓인 폐토너의 상부가 오거(250)의 제1 블레이드(253)에 의해 제1 방향(P1)으로 운반될 수 있다.
제1 방향(P1)으로 운반된 폐토너는 폐토너를 제2 방향(P2)으로 이송시키는 제3 블레이드(257)에 의해 제1 방향 전환 구간(B)까지 운반되어 제1 방향 전환 구간(B)에 쌓인다. 제1 방향 전환 구간(B)에 쌓인 폐토너가 일정 양 이상이 되어 제1 방향 전환 구간(B)에서 폐토너 통(110)의 상단부까지 폐토너가 쌓이면 폐토너가 서로 밀쳐내게 되어 제1 방향 전환 구간(B)을 중심으로 제1 방향(P1) 및 제2 방향(P2)으로 퍼져나가게 된다.
폐토너는 제1 방향 전환 구간(B)에 쌓일 때 서로 눌림으로써 산 모양으로 솟아오르지만, 제1 방향 전환 구간(B)에 블레이드가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오거(250)에 토너의 응집이 잘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오거(250)의 토크 상승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제1 방향 전환 구간(B)에서 제4 블레이드(259)에 의해 제1 방향(P1)으로 이송된 폐토너는 제2 블레이드(255)에 의해 제2 방향 전환 구간(E)까지 운반되어 제2 방향 전환 구간(E)에 쌓인다. 제2 방향 전환 구간(E)에 쌓인 폐토너가 일정 양 이상이 되면 제2 방향 전환 구간(E)에서 폐토너가 서로 밀쳐내게 되어 폐토너는 제2 방향 전환 구간(E)을 중심으로 제1 방향(P1) 및 제2 방향(P2)으로 퍼져나가게 된다.
이 때, 제2 블레이드(255)의 폐토너 단위 이송량은 제4 블레이드(259)의 폐토너 단위 이송량보다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제2 방향 전환 구간(E)에서 제1 방향(P1)으로 이송되는 폐토너의 속도를 늦출 수 있다.
제2 블레이드(255)는 직경 또는 피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나머지 블레이드(253, 257, 259)보다 크게 형성되어 검출기(130) 근처에서 2 방향으로 이송되는 폐토너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2 블레이드(255)가 제2 방향(P2)으로 운반하는 폐토너량을 증가시킴에 따라 폐토너가 검출기(130)에 감지되는 시간을 늦출 수 있다. 이에 따라 폐토너 통(110)의 수용공간을 최대한으로 활용할 수 있어 폐토너 수거 장치(101)의 장수명화에 기여할 수 있다.
이러한 오거(250)를 통해 폐토너 통(110) 전 영역에 걸쳐 고르게 폐토너의 평탄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제2 방향 전환 구간(E)에서 제1 방향(P1)으로 이송되는 폐토너의 양이 제2 방향(P2)으로 이송되는 폐토너의 양보다 작기 때문에 검출기(130)가 폐토너를 검지하는 시간을 늦출 수 있다.
또한, 제2 방향 전환 구간(E)에서 제2 방향(P2)으로 이송되는 폐토너와 제1 방향 전환 구간(B)에서 제1 방향(P1)으로 이송되는 폐토너에 의해 제3 블레이드(257)와 제4 블레이드(259) 사이에 폐토너가 가장 늦게 채워지는 공간(U)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U)이 형성됨에 따라 오거(250)에 가해지는 구동 토크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오거(250)의 구동 토크가 감소함에 따라 더 많은 양의 폐토너를 적층할 수 있어 폐토너 수거 장치(101)의 수거 용량을 최대화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개시는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개시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따로 부가 언급하지 않는 한 본 개시는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1 : 화상형성장치 100, 101 : 폐토너 수거 장치
110 : 폐토너 통 130 : 검출기
150, 160, 250, 260 : 오거
151, 161, 251, 261: 회전축
153, 163, 253, 263: 제1 블레이드
155, 165, 255, 265 : 제2 블레이드
155a, 165a : 블레이드 섹션

Claims (15)

  1. 폐토너를 수거하는 폐토너 통;
    상기 폐토너 통에 수거되어 쌓이는 상기 폐토너의 양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detector); 및
    상기 폐토너 통에서 상기 폐토너를 분산시키는 오거(auger);를 포함하고,
    상기 오거는,
    상기 폐토너 통에서 상기 폐토너를 상기 검출기를 향한 제1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1 블레이드; 및
    상기 폐토너 통에서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상기 폐토너를 이송시키는 제2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블레이드는 상기 제1 블레이드의 단위 이송량보다 큰 단위 이송량을 갖는 블레이드 섹션을 포함하는, 폐토너 수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거는,
    상기 폐토너 통의 내부를 관통하는 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블레이드는 상기 회전축 상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회전축을 권선하는 나선형 블레이드이며,
    상기 제2 블레이드는 상기 폐토너 통 내에서 상기 검출기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블레이드는 상기 폐토너 통 내에서 상기 검출기의 반대 측에 배치되는, 폐토너 수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섹션은, 상기 제2 블레이드의 전체 섹션 중에서 상기 검출기에 가장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폐토너 수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섹션은, 상기 제1 블레이드 및 상기 제2 블레이드의 나머지 섹션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폐토너 수거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섹션은, 상기 제1 블레이드 및 상기 제2 블레이드의 나머지 섹션의 피치보다 큰 피치를 가지는, 폐토너 수거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거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폐토너를 이송시키는 제3 블레이드; 및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폐토너를 이송시키는 제4 블레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블레이드 및 상기 제4 블레이드는 상기 제1 블레이드와 상기 제2 블레이드 사이에 배치되는 폐토너 수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블레이드는,
    상기 제1 블레이드의 직경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되는 폐토너 수거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블레이드는,
    상기 제2 블레이드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는 폐토너 수거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블레이드는,
    상기 제1 블레이드의 피치보다 작거나 같은 피치로 형성되는 폐토너 수거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블레이드는,
    상기 제1 블레이드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는 폐토너 수거 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블레이드 및 상기 제4 블레이드는 각각 복수 개이며,
    상기 회전축 상에서 상기 제3 블레이드 및 상기 제4 블레이드는 쌍으로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폐토너 수거 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는,
    상기 폐토너 통 내에서, 상기 제2 블레이드의 최저점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폐토너 수거 장치.
  13.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인쇄엔진;
    상기 인쇄엔진에서 발생한 폐토너를 클리닝하는 클리닝장치; 및
    상기 폐토너를 수거하는 폐토너 수거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폐토너 수거 장치는,
    폐토너 통;
    상기 폐토너 통에 수거되어 쌓이는 상기 폐토너의 양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detector); 및
    상기 폐토너 통의 내부에서 상기 폐토너를 분산시켜 상기 검출기 측의 폐토너 집산 속도를 지연시키는 오거(auger);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오거는,
    상기 폐토너 통의 내부를 관통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폐토너를 상기 검출기를 향한 제1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1 블레이드, 상기 제1 블레이드와 마주하고,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상기 폐토너를 이송시키는 제2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 상에서 상기 제1 블레이드 및 상기 제2 블레이드는 쌍으로 교번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검출기에 가장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제2 블레이드는 상기 제1 블레이드의 단위 이송량보다 큰 단위 이송량을 갖는 블레이드 섹션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섹션은,
    상기 제1 블레이드 및 상기 제2 블레이드의 나머지 섹션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KR1020180107837A 2018-09-10 2018-09-10 폐토너 수거 효율을 높이기 위한 폐토너 수거 장치 KR20200029240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837A KR20200029240A (ko) 2018-09-10 2018-09-10 폐토너 수거 효율을 높이기 위한 폐토너 수거 장치
PCT/US2019/050382 WO2020055844A1 (en) 2018-09-10 2019-09-10 Waste toner collecting device for increasing waste toner collecting efficiency
EP19860075.1A EP3850438A4 (en) 2018-09-10 2019-09-10 WASTE TONER COLLECTION DEVICE FOR INCREASING WASTE TONER COLLECTION EFFICIENCY
CN201980043483.4A CN112334841B (zh) 2018-09-10 2019-09-10 用于增大废墨粉收集效率的废墨粉收集设备
US17/057,090 US11314195B2 (en) 2018-09-10 2019-09-10 Waste toner collecting device for increasing waste toner collecting efficienc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837A KR20200029240A (ko) 2018-09-10 2018-09-10 폐토너 수거 효율을 높이기 위한 폐토너 수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9240A true KR20200029240A (ko) 2020-03-18

Family

ID=69776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7837A KR20200029240A (ko) 2018-09-10 2018-09-10 폐토너 수거 효율을 높이기 위한 폐토너 수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314195B2 (ko)
EP (1) EP3850438A4 (ko)
KR (1) KR20200029240A (ko)
CN (1) CN112334841B (ko)
WO (1) WO20200558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167466A (ja) * 2022-05-12 2023-11-24 株式会社リコー 粉体回収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6802A (ja) 2001-08-27 2003-03-05 Seiko Epson Corp 廃トナー回収装置
JP4154432B2 (ja) * 2006-02-22 2008-09-24 キヤノン株式会社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1305980B1 (ko) 2007-01-26 2013-09-12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JP4608535B2 (ja) * 2007-11-27 2011-01-12 株式会社沖データ 現像剤回収容器、現像剤カートリッジ、現像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5267012B2 (ja) 2008-09-29 2013-08-21 株式会社リコー 廃トナー回収容器とクリーニングユニット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4816721B2 (ja) * 2008-12-19 2011-11-16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廃棄粉体回収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8417172B2 (en) * 2009-10-09 2013-04-09 Fuji Xerox Co., Ltd. Powder collecting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391991B2 (ja) * 2009-10-15 2014-01-15 株式会社リコー 廃トナー回収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413661B2 (ja) * 2009-10-27 2014-02-12 株式会社リコー 廃トナー回収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1112676A (ja) 2009-11-24 2011-06-09 Ricoh Co Ltd 廃トナー回収容器及び画像形装置
JP5724362B2 (ja) * 2010-07-14 2015-05-27 株式会社リコー 廃トナー回収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5573486B2 (ja) 2010-08-20 2014-08-20 株式会社リコー 廃トナー回収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626633B2 (ja) * 2010-09-10 2014-11-19 株式会社リコー 回収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3044884A (ja) * 2011-08-23 2013-03-04 Oki Data Corp 現像剤回収装置、現像剤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891676B2 (ja) * 2011-09-22 2016-03-23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廃棄粉体回収装置
JP6127396B2 (ja) 2012-07-04 2017-05-17 株式会社リコー 廃トナー回収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716927B2 (ja) * 2012-08-10 2015-05-13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廃トナー回収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381303B2 (ja) * 2013-06-26 2018-08-29 キヤノン株式会社 回収トナー容器
JP2015215511A (ja) 2014-05-12 2015-12-03 株式会社リコー 廃トナー回収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274074B2 (ja) * 2014-10-30 2018-02-0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廃トナー収容容器、画像形成装置
US9557705B2 (en) * 2015-01-13 2017-01-3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determination of amount of waste to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00138A1 (en) 2021-07-01
WO2020055844A1 (en) 2020-03-19
EP3850438A1 (en) 2021-07-21
CN112334841A (zh) 2021-02-05
CN112334841B (zh) 2023-12-01
US11314195B2 (en) 2022-04-26
EP3850438A4 (en) 2022-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86674B2 (en) Waste toner collecto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6937838B2 (en) Waste toner collect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waste toner collecting device
JP5267012B2 (ja) 廃トナー回収容器とクリーニングユニット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5391991B2 (ja) 廃トナー回収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029159B2 (ja) 廃トナー・廃現像剤回収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6274074B2 (ja) 廃トナー収容容器、画像形成装置
JP5353563B2 (ja) 画像形成装置
JP6381303B2 (ja) 回収トナー容器
KR20200029240A (ko) 폐토너 수거 효율을 높이기 위한 폐토너 수거 장치
JP6406174B2 (ja) 廃トナー収容容器、画像形成装置
JP6256297B2 (ja) 廃トナー収容容器、画像形成装置
JP5891676B2 (ja) 廃棄粉体回収装置
US11650534B2 (en) Waste toner collecting device for increasing waste toner collecting efficiency
KR20210115175A (ko) 풀감지 오류 방지를 위한 폐토너 수거
CN210895003U (zh) 废调色剂盒以及图像形成装置
JP6117687B2 (ja) 画像形成装置
JP5968297B2 (ja) 画像形成装置
US11353808B1 (en) Powder transport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7155857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7151335A (ja) 粉体収容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7322627B2 (ja) 廃トナー回収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409939B2 (ja) 廃トナー収容容器、画像形成装置
JP2008026365A (ja) 画像形成装置
JP6117686B2 (ja) 画像形成装置
JP2021043428A (ja) 廃トナー回収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