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7395A - 조리기구 - Google Patents

조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7395A
KR20200027395A KR1020187018952A KR20187018952A KR20200027395A KR 20200027395 A KR20200027395 A KR 20200027395A KR 1020187018952 A KR1020187018952 A KR 1020187018952A KR 20187018952 A KR20187018952 A KR 20187018952A KR 20200027395 A KR20200027395 A KR 20200027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panel
signal processor
cooking
food material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8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 저우
쥔펑 두
궈주 리
징원 리
푸유 리
펑 첸
슝 랴오
쟈잉 장
하오 정
Original Assignee
포샨 순더 메이디 일렉트리컬 히팅 어플라이언시스 메뉴팩쳐링 코.,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샨 순더 메이디 일렉트리컬 히팅 어플라이언시스 메뉴팩쳐링 코.,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포샨 순더 메이디 일렉트리컬 히팅 어플라이언시스 메뉴팩쳐링 코.,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27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73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2Time-controlled igniting mechanisms or alarm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for withdrawing or condensing cooking vapors from cooking utens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종의 조리기구를 공개한다. 그 조리기구는 몸체 어셈블리, 덮개 어셈블리, 로드셀, 제1 제어 패널과 제2 제어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 어셈블리는 하우징 커버와 상기 하우징 커버 내에 있는 내솥을 포함하고, 상기 덮개 어셈블리는 상기 내솥을 개폐식으로 덮을 수 있으며, 상기 제1 제어 패널은 상기 덮개 어셈블리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제어 패널은 상기 하우징 커버에 설치되며, 상기 로드셀은 상기 제2 제어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특허는 제2 제어 패널을 하우징 커버에 설치하여 덮개 어셈블리를 열고 식재료나 물을 추가할 때, 제2 제어 패널이 덮개 어셈블리를 따라 뒤로 뒤집히지 않기 때문에, 본 특허에서 제공하는 조리기구는 덮개 어셈블리가 열린 상태에서 제2 제어 패널을 통해 내솥 내부 식재료의 중량 정보를 감지하는 로드셀을 제어할 수 있고, 나아가 사용자가 전기밥솥의 계량 기능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리기구
본 발명은 조리기구 기술 영역에 관한 것이며, 특히 일종의 조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계량 기능을 갖춘 전기밥솥 10' 대부분은 도 1과 같으며, 그 전기밥솥은 덮개의 상단면에만 제어 패널을 설치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식재료를 추가하거나 물을 넣을 때 덮개를 열어야 하고, 계량 기능을 실행할 때는 덮개를 닫아야 하며, 덮개가 닫힌 상태에서만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식재료 중량과 물의 양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전기밥솥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번거롭게 덮개를 열고 닫아야 해서 사용자에게 매우 큰 불편을 초래한다. 종래의 계량 기능을 갖춘 전기밥솥의 또 다른 방안은 몸체에 제어 패널을 설치하는 것이다. 그러나 몸체의 제어 패널 설치 공간이 일반적으로 작기 때문에, 제어 패널의 체적이 작아져서 사용자가 관찰하기가 어렵고, 따라서 사용자의 오작동이 발생하기 쉽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하고 사용자의 오작동을 줄일 수 있는 일종의 조리기구의 제공에 있다.
상기 목적을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이 제공하는 조리기구는 다음을 포함한다. 몸체 어셈블리, 하우징 커버와 상기 하우징 커버 내에 있는 내솥을 포함한다. 덮개 어셈블리, 상기 내솥을 개폐식으로 덮을 수 있다. 제1 제어 패널, 상기 덮개 어셈블리 위에 설치된다. 제2 제어 패널, 상기 하우징 커버 위에 설치된다. 및 로드셀, 상기 로드셀은 상기 제2 제어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2 제어 패널은 상기 내솥 내의 식재료 중량을 감지하는 상기 로드셀을 제어하고, 상기 식재료 중량을 표시한다.
최적화로서, 상기 하우징 커버의 상부에는 보스가 있고, 상기 제2 제어 패널은 상기 보스의 상단면에 설치된다.
최적화로서, 상기 제1 제어 패널은 상기 덮개 어셈블리의 상단면에 있고, 덮개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 제어 패널은 상기 제2 제어 패널과 편평하게 설치된다.
최적화로서, 상기 제2 제어 패널에는 계량 버튼과 표시 영역이 있다. 상기 조리기구는 또 다음을 포함한다. 제1 신호 처리기, 상기 제1 신호 처리기는 상기 제2 제어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신호 처리기는 상기 식재료의 목표 물 양을 계산하고, 상기 표시 영역을 통해 상기 목표 물의 양을 표시한다.
최적화로서, 상기 조리기구는 또 다음을 포함한다. 제1 알리미, 상기 제1 알리미는 상기 제1 신호 처리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신호 처리기는 실제 물의 양과 상기 목표 물의 양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알리미의 동작을 제어한다.
최적화로서, 상기 제2 제어 패널에는 또 열량 계산 버튼이 있다. 상기 조리기구는 또 다음을 포함한다. 제2 신호 처리기, 상기 제2 신호 처리기는 상기 제2 제어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신호 처리기는 상기 식재료의 열량을 계산하고, 상기 표시 영역을 통해 상기 식재료의 열량을 표시한다.
최적화로서, 상기 조리기구는 또 다음을 포함한다. 제2 알리미, 상기 제2 알리미는 상기 제2 신호 처리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신호 처리기는 상기 식재료의 열량과 프리셋 열량 임계값에 근거하여 상기 제2 알리미의 동작을 제어한다.
최적화로서, 상기 제1 제어 패널에는 조리 기능 버튼과 기능 표시 영역이 있다.
최적화로서, 상기 조리기구는 또 제어기, 제1 제어 회로와 제2 제어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제어 패널은 상기 제1 제어 회로를 통해 상기 제어기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제어 패널은 상기 제2 제어 회로를 통해 상기 제어기에 연결된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조리기구의 덮개가 닫힌 상태일 때, 상기 제1 제어 회로를 연결하고 상기 제2 제어 회로를 차단한다. 상기 제어기는 또 상기 조리기구의 덮개가 열린 상태일 때, 상기 제2 제어 회로를 연결하고 상기 제1 제어 회로를 차단한다.
최적화로서, 상기 조리기구는 전기밥솥 또는 압력솥이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조리기구는 하우징 커버에 제2 제어 패널을 설치하기 때문에, 덮개 어셈블리를 열어서 식재료나 물을 추가할 때, 제2 제어 패널이 덮개 어셈블리를 따라 뒤로 뒤집히지 않고 제2 제어 패널도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덮개가 열린 상태에서 제2 제어 패널을 통해 내솥 내부 식재료의 중량 정보를 감지하는 로드셀을 제어할 수 있고, 식재료의 중량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가 전기밥솥의 계량 기능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특허가 제공하는 조리기구는 덮개 어셈블리에 제1 제어 패널이 설치되고, 하우징 커버에 제2 제어 패널이 설치되며, 제1 제어 패널과 제2 제어 패널에는 각각 서로 다른 기능의 제어 버튼이 설치된다. 따라서, 본 특허가 제공하는 전기밥솥은 전기밥솥의 하우징 공간을 충분하게 사용하여 제어 인터페이스의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어 인터페이스를 쉽게 제어하고 식별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또는 종래 기술 속의 기술방안을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아래에서는 실시예나 종래 기술 설명에서 사용해야 하는 도면에 대해 간단하게 소개하며, 명백하게 알 수 있듯이 아래 설명 속의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일 뿐이며, 본 영역의 일반적 기술자들에게 있어서는 창조적인 노력이 없이도 그 도면에 표시되는 구조에 근거하여 기타 도면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 중 조리기구의 조감도,
도 2는 본 발명 조리기구 실시예의 조감도,
도 3은 도 2 조리기구의 입체 구조 결선도이다.
본 발명 목적의 구현, 기능 특징 및 장점은 실시예를 결합시키고 도면을 참조하여 진일보 설명한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 실시예의 도면을 결합시켜 본 발명 실시예 중의 기술방안에 대해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분명하게, 설명하는 실시예는 전체 실시예가 아니라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일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반하여 본 영역의 일반 기술자들이 창조적인 노력이 없는 전제 하에 얻은 모든 기타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덧붙여 말하면, 만약 본 발명 실시예 중에 방향적 지시(예, 상, 하, 좌, 우, 앞, 뒤…)가 연관되면, 그 방향적 지시는 일부 특정 모습(도면 표시) 하에 각 부품 사이의 상대적 위치 관계, 운동 상황 등의 설명으로만 사용되며, 만약 그 특정 모습이 변경되면, 그 방향적 지시 역시 그에 따라 변경된다.
그밖에, 만약 본 발명 실시예 중에 "제1", "제2" 등의 설명이 연관되면, 그 "제1", "제2" 등의 설명은 설명의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그 상대적 중요성을 지시 또는 암시하거나 또는 지시한 기술 특징을 함축적으로 명시하는 수량으로 이해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제1"이 정의되면, "제2"의 특징은 적어도 한 개의 그 특징을 명시적 또는 함축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그밖에, 각 실시예 사이의 기술방안은 서로 조합될 수 있지만, 반드시 본 영역의 일반 기술자들이 구현할 수 있는 바를 기초로 하며, 기술방안의 조합에 상호 모순이 생기거나 구현될 수 없을 때는 그 기술방안의 조합이 존재하지 않고, 본 발명의 청구 보호 범위 내에도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일종의 조리기구를 제공한다. 그 조리기구는 제1 제어 패널과 제2 제어 패널을 동시에 설치함에 따라,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하고 사용자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중에서, 도 2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조리기구 10은 몸체 어셈블리, 덮개 어셈블리 300, 제1 제어 패널 400, 제2 제어 패널 500과 로드셀을 포함하며, 그중, 몸체 어셈블리는 하우징 커버 100과 상기 하우징 커버 100 내에 설치되는 내솥 200을 포함한다. 덮개 어셈블리 300은 상기 내솥 200을 개폐식으로 덮을 수 있다. 상기 제1 제어 패널 400은 상기 덮개 어셈블리 300에 설치된다. 상기 제2 제어 패널 500은 상기 하우징 커버 100에 설치된다. 상기 로드셀은 상기 제2 제어 패널 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제어 패널 500은 상기 내솥 200 내의 식재료 중량을 감지하는 상기 로드셀을 제어하고 상기 식재료의 중량을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조리기구 10은 전기밥솥, 압력솥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기밥솥을 예로 들면, 제2 제어 패널 500이 하우징 커버 100에 설치되기 때문에, 덮개 어셈블리 300을 열고 식재료나 물을 추가할 때, 제2 제어 패널 500이 덮개 어셈블리 300을 따라 함께 뒤쪽으로 뒤집히지 않으므로, 조리기구 10의 덮개가 열린 상태일 때 제2 제어 패널 500도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제2 제어 패널 500을 통해 내솥 200 내부 식재료의 중량 정보를 감지하는 로드셀을 제어하고, 식재료의 중량 정보를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전기밥솥의 계량 기능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특허에서 제공하는 전기밥솥은 덮개 어셈블리 300에 제1 제어 패널 400을 설치하고, 하우징 커버 100에 제2 제어 패널 500을 설치하며, 제1 제어 패널 400과 제2 제어 패널 500에 각각 서로 다른 기능의 제어 버튼이 설치되기 때문에, 본 특허에서 제공하는 전기밥솥은 전기밥솥의 하우징 공간을 충분히 사용함으로써, 제어 인터페이스 면적이 늘어나서 제어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고 식별하기가 쉬움에 따라, 사용자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식재료의 액체가 제2 제어 패널 500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 특허의 실시예 중에서, 상기 하우징 커버 100의 상부에는 보스가 있고, 상기 제2 제어 패널 500은 상기 보스의 상단면에 고정된다. 제2 제어 패널 500이 보스의 상단면에 설치되기 때문에, 제2 제어 패널 500이 내솥 200에서 멀리 떨어짐으로써, 식재료의 액체 및 응축수 등이 제2 제어 패널 500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제2 제어 패널 500의 사용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 패널 500을 하우징 커버 100의 보스의 상단면에 설치하여 사용자가 또 제2 제어 패널 500을 편리하게 관찰하고 제어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특허의 설계는 이에 그치지 않고, 기타 실시예 중에서, 상기 제2 제어 패널 500은 또 전면 측벽 등과 같이 하우징 커버 100의 외주벽에도 설치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전기밥솥의 외관을 보다 아름답게 하기 위해, 본 특허의 실시예 중에서, 상기 제1 제어 패널 400은 상기 제2 제어 패널 500과 편평하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제어 패널 400은 상기 덮개 어셈블리 300의 상단면에 설치되고, 제2 제어 패널 500은 보스의 상단면에 설치되며, 덮개가 닫혀진 상태 하에서 상기 제1 제어 패널 400은 상기 제2 제어 패널 500과 편평한 모습으로 설치된다. 제1 제어 패널 400과 제2 제어 패널 500이 편평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전기밥솥의 전체적 모양이 매우 아름답다.
더 나아가, 본 특허에서 제공하는 전기밥솥은 또 물의 양을 알리는 기능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제어 패널 500에는 계량 버튼 510과 표시 영역 520이 있으며, 상기 계량 버튼 510은 로드셀을 트리거하고, 상기 표시 영역 520은 식재료의 중량과 물의 양을 표시한다.
상기 조리기구 10은 또 제1 신호 처리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신호 처리기는 상기 제2 제어 패널 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신호 처리기가 식재료가 들어간 조리기구 10의 현재 실제 중량과 상기 조리기구 10의 초기 중량에 근거하여 상기 조리기구 10 내의 식재료 중량을 계산하고, 상기 식재료의 중량, 상기 식재료의 종류와 조리 기능에 근거하여 상기 식재료의 목표 물의 양을 확정하며, 상기 제1 신호 처리기는 상기 표시 영역 520을 통해 상기 식재료의 목표 물의 양을 표시한다. 즉, 사용자가 계량 버튼 510을 누르면, 제1 신호 처리기가 목표 물의 양을 계산하고, 상기 표시 영역 520은 상기 목표 물의 양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죽을 예로 들어 제1 신호 처리기가 목표 물의 양을 계산하는 원리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로드셀이 조리기구 10의 초기 중량을 감지한다. 그 후, 내솥 200에 적당량의 쌀을 넣고 사용자가 계량 버튼 510을 누르면, 로드셀이 식재료가 들어간 조리기구 10의 현재 실제 중량을 감지하고, 제1 신호 처리기가 현재 실제 중량과 초기 중량에 근거하여 조리기구 10 내의 식재료의 중량을 계산한다. 마지막으로, 제1 신호 처리기가 조리기구 10 내의 쌀의 중량, 죽 기능 유닛의 쌀 중량에 대응하는 물의 양에 근거하여 목표 물의 양을 계산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설명해야 할 점은, 죽 기능 유닛의 쌀 중량에 대응하는 물의 양은 실제 측정해서 얻은 것이고, 측정된 수치가 제1 신호 처리기 내에 저장됨에 따라, 죽 기능 하에서 물의 양을 계산할 때는 직접 조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밥 기능, 쌀죽 기능, 및 다양한 종류의 유닛 중량에 대응하는 물의 양은 모두 상기 과정을 통해 실제 측정해서 직접 조정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사용자가 물의 양을 더욱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본 특허의 실시예 중에서, 상기 조리기구 10은 또 물의 양을 알리는 제1 알리미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알리미는 상기 제1 신호 처리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실제 물의 양이 상기 목표 물의 양에 일치하면, 상기 제1 신호 처리기가 상기 제1 알리미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실제 물의 양 등이 목표 물의 양에 일치하면, 상기 제1 알리미가 작동하여 사용자에게 목표 물의 양이 적당하다고 알린다. 일종의 최적화 방식으로서, 본 특허의 또 다른 실시예 중에서, 상기 실제 물의 양은 상기 목표 물의 양과 일정한 편차를 가질 수 있으며, 실제 물의 양과 목표 물의 양의 차이가 프리셋 임계값보다 작으면, 제1 알리미 동작을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물의 양이 적당하다고 알릴 수 있다. 이해하기 쉽도록, 제1 신호 처리기는 비교 모듈을 가지며, 그 비교 모듈이 목표 물의 양과 실제 물의 양을 비교함에 따라서,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제1 알리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특허에서 제공하는 전기밥솥은 또 식재료의 열량을 알리는 기능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제어 패널 500에는 열량 계산 버튼 530이 있다.
상기 조리기구 10은 또 제2 신호 처리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신호 처리기는 상기 제2 제어 패널 500 및 상기 제1 신호 처리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신호 처리기는 상기 식재료의 중량, 상기 식재료의 종류와 조리 기능에 근거하여 상기 식재료의 열량을 확정하고, 상기 제2 신호 처리기는 상기 표시 영역 520을 통해 상기 식재료의 열량을 표시한다. 즉, 사용자가 열량 계산 버튼 530을 누르면, 제2 신호 처리기가 식재료의 열량을 계산하고, 상기 표시 영역 520이 식재료의 열량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죽 기능을 예로 들어 제2 신호 처리기가 죽의 열량을 계산하는 원리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제2 신호 처리기는 제1 신호 처리기와 연결되어 조리기구 10 내 쌀의 중량을 얻는다. 그 후, 제2 신호 처리기가 조리기구 10 내 쌀의 중량, 죽 기능 유닛의 쌀 중량에 대응하는 열량에 근거하여 쌀로 죽을 끓인 후의 죽 열량을 계산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설명해야 할 점은, 죽 기능 유닛의 쌀 중량에 대응하는 열량은 실제 측정해서 얻은 것이고, 측정한 수치가 제2신호 처리기 내에 저장됨에 따라, 죽 기능 하에서 죽의 열량을 계산할 때는 직접 조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밥 기능, 쌀죽 기능, 및 다양한 종류의 유닛 중량에 대응하는 열량은 모두 상기 과정을 통해 실제 측정해서 직접 조정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사용자가 적당한 열량을 섭취함으로써 신체 건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조리기구 10은 또 식재료 열량의 기준 초과 여부를 알리는 제2 알리미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알리미는 상기 제2 신호 처리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식재료의 열량이 프리셋 열량 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제2 신호 처리기가 상기 제2 알리미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리셋 열량 임계값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직접 설정한다. 예를 들어 다이어트를 원하는 A사용자가 프리셋 열량 임계값을 300cal로 설정한 경우, 쌀을 넣으면, 제2 신호 처리기가 쌀의 중량에 근거하여 실제 열량값을 계산하고, 만약 실제 열량값이 300cal 이상이면, 제2 신호 처리기가 제2 알리미의 동작을 트리거하여 사용자에게 열량값의 기준 초과를 알림에 따라서, 사용자가 쌀의 양을 줄일 수 있어서 건강한 신체를 유지할 수 있다.
이해하기 쉽도록, 제2 신호 처리기는 비교 모듈을 가지며, 그 비교 모듈이 프리셋 열량 임계값과 식재료의 실제 열량값을 비교함에 따라서,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제2 알리미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제어 패널 400에는 조리 기능 버튼 410과 기능 표시 영역 420이 있다. 제1 제어 패널 400은 덮개가 닫힌 상태에서 작동하기 때문에, 상기 조리 기능 버튼 410은 조리기구 10의 덮개가 닫힌 상태에서의 조리 기능을 제어하며, 예를 들면, 상기 조리 기능 버튼은 죽 기능, 밥 기능, 조리 기능, 찜 기능, 타이머 기능 등일 수 있다. 이에 상응하여 상기 제1 제어 패널 400의 기능 표시 영역 420은 조리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제2 제어 패널 500은 덮개가 열린 상태 하에서 작동하고, 제2 제어 패널 500에는 계량 버튼 510, 열량 계산 버튼 530과 표시 영역 520이 있다. 이렇게 전기밥솥의 덮개가 열린 상태에서 물의 양을 알리는 기능과 식재료의 열량을 알리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전기밥솥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더 나아가, 제2 제어 패널 500이 주로 조리기구 10의 덮개가 열린 상태에서 작동하고, 제1 제어 패널 400은 주로 조리기구 10의 덮개가 닫힌 상태에서 작동하는 점을 고려하여, 조리기구 10의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본 특허의 실시예 중에서, 제1 제어 패널 400과 제2 제어 패널 500은 모두 단독으로 작동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리기구 10은 또 제어기, 제1 제어 회로와 제2 제어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제어 패널 400은 상기 제1 제어 회로를 통해 상기 제어기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제어 패널 500은 제2 제어 회로를 통해 상기 제어기에 연결된다. 상기 조리기구 10의 덮개가 닫힌 상태이면,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1 제어 회로를 연결하고 상기 제2 제어 회로를 차단한다. 상기 조리기구 10의 덮개가 열린 상태이면,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2 제어 회로를 연결하고 상기 제1 제어 회로를 차단한다. 즉, 조리기구 10의 덮개가 열린 상태이면, 제2 제어 회로만 작동하고, 조리기구 10의 덮개가 닫힌 상태이면, 제1 제어 회로만 작동하기 때문에, 조리기구 10의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다.
그러나 본 특허의 설계는 이에 그치지 않고, 기타 실시예 중에서, 상기 제1 제어 패널 400과 제2 제어 패널 500은 또 동시에 작동할 수도 있다.
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최적화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특허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아이디어 하에 본 발명의 설명서 및 도면 내용을 이용한 등가의 구조 변환, 또는 기타 관련된 기술 영역에 직접/간접적인 활용은 모두 본 발명의 특허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된다.
10: 조리기구
100: 하우징 커버
200: 내솥
300: 덮개 어셈블리
400: 제1 제어 패널
500: 제2 제어 패널
410: 조리 기능 버튼
420: 기능 표시 영역
510: 계량 버튼
520: 표시 영역
530: 열량 계산 버튼

Claims (10)

  1. 몸체 어셈블리, 하우징 커버와 상기 하우징 커버 내에 있는 내솥을 포함하며,
    상기 내솥을 개폐식으로 덮을 수 있는 덮개 어셈블리,
    상기 덮개 어셈블리에 설치되는 제1 제어 패널,
    상기 하우징 커버에 설치되는 제2 제어 패널, 및
    상기 제2 제어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로드셀,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 패널은 상기 내솥 내의 식재료 중량을 감지하는 상기 로드셀을 제어하고, 상기 식재료의 중량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커버의 상부에는 보스가 있고, 상기 제2 제어 패널은 상기 보스 상단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패널은 상기 덮개 어셈블리의 상단면에 있고, 덮개가 닫혀진 상태에서, 상기 제1 제어 패널이 상기 제2 제어 패널과 편평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패널에는 계량 버튼과 표시 영역이 있으며,
    상기 조리기구는 또 제1 신호 처리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신호 처리기는 상기 제2 제어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신호 처리기는 식재료가 들어간 조리기구의 현재 실제 중량과 상기 조리기구의 초기 중량에 근거하여 상기 조리기구 내의 식재료의 중량을 계산하며, 상기 식재료의 중량, 상기 식재료의 종류와 조리 기능에 근거하여 상기 식재료의 목표 물의 양을 확정하고, 상기 표시 영역을 통해 상기 목표 물의 양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기구는 제1 알리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알리미는 상기 제1 신호 처리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신호 처리기는 실제 물의 양이 상기 목표 물의 양과 일치할 때 상기 제1 알리미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패널에는 열량 계산 버튼이 더 있으며,
    상기 조리기구는 또 제2 신호 처리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신호 처리기는 상기 제2 제어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신호 처리기는 상기 식재료의 중량, 상기 식재료의 종류와 조리 기능에 근거하여 상기 식재료의 열량을 계산하고, 상기 표시 영역을 통해 상기 식재료의 열량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기구는 제2 알리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알리미는 상기 제2 신호 처리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신호 처리기는 상기 식재료의 열량이 프리셋 열량 임계값보다 클 때 상기 제2 알리미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패널에는 조리 기능 버튼과 기능 표시 영역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기구는 제어기, 제1 제어 회로와 제2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제어 패널은 상기 제1 제어 회로를 통해 상기 제어기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제어 패널은 제2 제어 회로를 통해 상기 제어기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조리기구의 덮개가 닫힌 상태일 때 상기 제1 제어 회로를 연결하고 상기 제2 제어 회로를 차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조리기구의 덮개가 열린 상태일 때, 상기 제2 제어 회로를 연결하고 상기 제1 제어 회로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기구는 전기밥솥 또는 압력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KR1020187018952A 2018-02-09 2018-03-21 조리기구 KR202000273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140256.0 2018-02-09
CN201810140256.0A CN110123121A (zh) 2018-02-09 2018-02-09 烹饪器具
PCT/CN2018/079870 WO2019153440A1 (zh) 2018-02-09 2018-03-21 烹饪器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7395A true KR20200027395A (ko) 2020-03-12

Family

ID=67549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8952A KR20200027395A (ko) 2018-02-09 2018-03-21 조리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750924B2 (ko)
KR (1) KR20200027395A (ko)
CN (1) CN110123121A (ko)
WO (1) WO20191534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24264A (zh) * 2021-07-19 2023-05-16 纯米科技(上海)股份有限公司 物料称重总成及厨房烹饪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0059A (ja) * 1993-10-05 1995-04-18 Hitachi Home Tec Ltd マイコン制御式調理器
JPH09108098A (ja) * 1995-10-24 1997-04-28 Hitachi Home Tec Ltd 炊飯器
JP2005000486A (ja) * 2003-06-13 2005-01-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炊飯器
JP2006081641A (ja) * 2004-09-15 2006-03-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炊飯器
JP2006136373A (ja) * 2004-11-10 2006-06-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炊飯器
JP5950687B2 (ja) * 2012-05-16 2016-07-13 三菱電機株式会社 炊飯器
CN103245406B (zh) * 2013-04-27 2015-04-08 中山市永衡日用制品有限公司 一种电子秤系统及其烹饪控制方法
CN105982509A (zh) * 2015-02-05 2016-10-05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电器及其控制方法
JP6856234B2 (ja) * 2015-10-20 2021-04-07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炊飯器
CN205140832U (zh) * 2015-11-11 2016-04-06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烹饪器具的控制开关结构
CN105747829A (zh) * 2016-04-07 2016-07-13 广东浩特电器有限公司 一种使用方便的电饭锅
CN206239117U (zh) * 2016-10-12 2017-06-13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
CN208435235U (zh) * 2018-02-09 2019-01-29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750924B2 (ja) 2020-09-02
JP2020508705A (ja) 2020-03-26
CN110123121A (zh) 2019-08-16
WO2019153440A1 (zh) 2019-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78993B2 (en) Rice cooker with lid and body control panels
JP6856234B2 (ja) 炊飯器
JP5950687B2 (ja) 炊飯器
CN109697268B (zh) 烹饪器具及其在保温状态下的卡路里计算方法和装置
TWI489962B (zh) Electronic pot
JP7357961B2 (ja) 加熱調理器
JP2007143893A (ja) 炊飯器
CN109698020A (zh) 烹饪器具及其在待机状态下的卡路里计算方法和装置
KR20200027395A (ko) 조리기구
TWI676450B (zh) 炊飯器
CN110908304A (zh) 烹饪器具及其加热控制方法、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380986B (zh) 煮饭器
CN108095546B (zh) 液体加热容器、液体称重方法及系统
CN208435235U (zh) 烹饪器具
JPH0530664Y2 (ko)
CN203873539U (zh) 顶部具有称重功能的电饭煲
JP7222619B2 (ja) 炊飯器
JP5869973B2 (ja) 炊飯器
CN208058956U (zh) 一种智能灶具
JP7045687B2 (ja) 炊飯器
JP7487919B2 (ja) 炊飯器
JP2007312872A (ja) 炊飯器
JP2023184269A (ja) 炊飯器
JP2012254132A (ja) 電気炊飯器
JP5776149B2 (ja) 炊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