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6151A - 현상제 공급 용기 - Google Patents

현상제 공급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6151A
KR20200026151A KR1020190107075A KR20190107075A KR20200026151A KR 20200026151 A KR20200026151 A KR 20200026151A KR 1020190107075 A KR1020190107075 A KR 1020190107075A KR 20190107075 A KR20190107075 A KR 20190107075A KR 20200026151 A KR20200026151 A KR 20200026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container
developer supply
discharge
developer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7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타카 후모토
다이 가나이
기요시 오야마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26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61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03G15/087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6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 G03G15/0898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for preventing toner scattering during operation, e.g. sea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03G15/087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 G03G15/0872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the developer cartridges being generally horizontally mounted parallel to its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6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mechanical means, e.g. shutter, plu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3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developer un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현상제 공급 용기는 개구가 제공된 일단부 및 구동 수취부를 갖는 현상제 수용부; 수용부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수취부 및 현상제 배출 개구를 포함하는 배출부로서, 수용부는 배출부에 대해 상대 회전가능하게 배출부에 장착되는, 배출부; 일단부와 수취부 사이를 시일하는 실링 부재; 수용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돌기; 및 삽입 방향으로 각각 돌기의 상류 및 하류의 위치에서 배출부의 수취부에 제공되며 돌기에 접촉가능함으로써 삽입 방향에 대한 수용부의 회전 축선의 기울기를 미리결정된 범위 내로 규제하는 제1 규제부 및 제2 규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현상제 공급 용기{DEVELOPER SUPPLY CONTAINER}
본 발명은 프린터, 복사기, 팩시밀리기, 복합기 등의 전자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는 현상제 공급 용기에 관한 것이다.
전자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현상제를 사용해서 화상을 형성하며, 화상 형성 동작에 따라 현상제가 소비된다. 그러므로, 화상 형성 장치에는 화상 형성 장치에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현상제 공급 장치가 설치된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6-308781호는 화상 형성 장치에 공급될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가 탈착능하게 장착가능한 현상제 공급 장치를 개시한다. 현상제 공급 용기는 배출 개구가 제공된 배출실(배출부)과 현상제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실(수용부)로서, 배출부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수용실을 포함한다. 수용부는 회전을 허용하도록 간극이 있는 상태로 배출부에 결합되고(느슨한 끼워맞춤), 따라서 간극을 통해 현상제 공급 용기의 외부로 현상제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링 형태의 실링 부재가 제공된다.
수용부와 배출부 사이에 느슨한 끼워맞춤이 사용되는 경우, 장치의 부품의 변동 및 회전 부하의 변동 등에 의해, 수용부가 회전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반경 방향으로 이동하는 휠링 운동(whirling motion)이 발생하기 쉽다. 휠링 운동이 발생하는 경우, 수용부와 실링 부재 사이의 접촉부를 통해 현상제가 누설될 우려가 있다. 이런 이유로, 탄성 실링 부재가 사용되며, 실링 부재는 배출부 및 수용부에 의해 회전 축선 방향으로 압축되어, 수용부의 휠링 운동을 억제한다. 또한,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6-308781호에 개시된 장치에서는, 배출부 또는 수용부에서의 실링 부재의 접촉면을 경사지게 함으로써, 수용부의 회전 동안 휠링 운동에 저항하는 실링 부재에 의해 강한 힘을 발생시켜 휠링 운동을 억제한다.
수용부와 배출부 사이에 느슨한 끼워맞춤이 사용되는 경우, 수용부는 배출부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다. 특히, 수용부의 외주에 제공된 기어부를 사용하여 외부 구동원으로부터의 구동력 전달을 통해 수용부를 회전시키는 경우(구동 부하에 의해 반경방향 힘이 가해짐), 수용부는 배출부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다. 상술한 특허 문헌에 개시된 현상제 공급 용기의 구조에서는, 수용부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휠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실링 부재에 회전 축선 방향으로 가해진 압력은 원주에 걸쳐 균일하지 않다. 그리고, 실링 부재는 압력이 큰 위치에서 국소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것이 발생하는 경우, 이러한 위치에서의 실링 부재의 탄성이 상실되고, 결과적으로 실링 부재와 수용부 사이에 간극이 발생할 정도로 변형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링 부재에 의해 수용부의 휠링이 억제되며, 배출부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에서의 수용부의 회전에 기인하는 실링 부재의 변형이 억제되는 현상제 공급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현상제 공급 용기이며, 개구가 제공된 일단부 및 외주에 제공되고 외부로부터 회전 구동력을 받도록 구성되는 구동 수취부를 포함하는 수용부로서,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현상제가 상기 수용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개구를 향해 급송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상기 일단부가 삽입되는 수취부 및 상기 수용부의 상기 개구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현상제를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배출 개구를 포함하는 배출부로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배출부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배출부에 장착되는, 배출부; 상기 일단부가 상기 수취부 안으로 삽입되는 방향에 대해서 상기 수용부의 상기 일단부와 상기 배출부의 상기 수취부의 일부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압축됨으로써 상기 일단부와 상기 수취부 사이를 시일하도록 구성되는 실링 부재; 상기 수용부의 회전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반경 방향으로 상기 수용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기; 및 상기 삽입 방향으로 각각 상기 돌기의 상류 및 하류의 위치에서 상기 배출부의 상기 수취부에 제공되며 상기 돌기에 접촉가능함으로써 상기 삽입 방향에 대한 상기 수용부의 상기 회전 축선의 기울기를 미리결정된 범위 내로 규제하는 제1 규제부 및 제2 규제부를 포함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현상제 공급 용기이며, 개구가 제공된 일단부 및 외주에 제공되고 외부로부터 회전 구동력을 받도록 구성되는 구동 수취부를 포함하는 수용부로서,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현상제가 상기 수용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개구를 향해 급송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상기 일단부가 삽입되는 수취부 및 상기 수용부의 상기 개구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현상제를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배출 개구를 포함하는 배출부로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배출부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배출부에 장착되는, 배출부; 상기 일단부가 상기 수취부 안으로 삽입되는 방향에 대해서 상기 수용부의 상기 일단부와 상기 배출부의 상기 수취부의 일부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압축됨으로써 상기 일단부와 상기 수취부 사이를 시일하도록 구성되는 실링 부재; 상이에 공간을 두고 상기 삽입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돌기 및 제2 돌기로서, 상기 제1 돌기 및 상기 제2 돌기는 상기 수용부의 회전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반경 방향으로 상기 수용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제1 돌기 및 제2 돌기; 및 상기 삽입 방향으로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 돌기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배출부의 상기 수취부에 제공되고 상기 제2 돌기에 접촉가능함으로써 상기 삽입 방향에 대한 상기 수용부의 상기 회전 축선의 기울기를 규제하는 규제부를 포함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현상제 공급 용기가 사용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현상기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의 (a) 부분은 장착부의 외관의 사시도이며, 도 3의 (b) 부분은 장착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현상제 공급 용기와 현상제 공급 장치를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5의 (a) 부분은 현상제 공급 용기의 외관의 사시도이며, 도 5의 (b) 부분은 현상제 공급 용기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수용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형태의 플랜지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의 (a) 부분은 펌프부가 최대 사용 한계까지 신장된 상태의 부분도이며, 도 8의 (b) 부분은 펌프부가 최소 사용 한계까지 수축된 상태의 부분도이다.
도 9의 (a) 부분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플랜즈부와 수용부의 장착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며, (b) 부분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플랜지부와 수용부의 장착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플랜지부에 대한 수용부의 규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1은 실링 부재의 변형에 있어서의 실시형태와 비교예 사이를 비교하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플랜지부의 사시도이다.
도 13의 (a) 부분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플랜지부와 수용부의 장착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며, 도 13의 (b) 부분은 플랜지부와 수용부의 장착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수용부를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15는 제3 실시형태의 플랜지부의 사시도이다.
도 16의 (a) 부분은 플랜지부와 수용부의 장착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며, 도 16의 (b) 부분은 플랜지부와 수용부의 장착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의 수용부와 플랜지부의 사시도이다.
도 18의 (a) 부분은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플랜지부와 수용부의 장착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며, 도 18의 (b) 부분은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플랜지부와 수용부의 장착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제1 실시형태>
이하,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서 개요를 설명하고, 계속해서 이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되는 현상제 공급 장치 및 현상제 공급 용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화상 형성 장치)
현상제 공급 장치로부터 현상제 공급 용기를 장착 및 장착해제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 전자사진 방식을 채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0)는 원고 지지 플래튼 유리(102)를 포함하며, 이 원고 지지 플래튼 유리(102) 위에 원고(101)가 놓인다. 그리고, 원고(101)의 화상 정보에 따른 광학 상이, 광학부(103)의 복수의 미러(M)와 렌즈(Ln)에 의해, 미리 대전기(203)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된 감광체(104) 상에 결상됨으로써, 감광체(104) 위에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이 정전 잠상은 건식 현상기(1 성분 현상기)(201a)에 의해 현상제(건식 분체)로서의 토너(1 성분 자성 토너)를 사용해서 가시화된다. 즉, 감광체(104) 위에 토너상(현상제 상)이 형성된다.
화상 형성 장치(100)에는, 기록재(이하, 시트라 칭함)를 수용하는 복수의 카세트(105 내지 108)가 제공된다. 시트(P)가 적재된 이들 카세트(105 내지 108) 중, 화상 형성 장치(100)에 제공된 조작부(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조작자에 의해 입력되는 원고(101)의 정보 또는 크기에 기초하여 선택된 카세트 중 어느 하나로부터 시트(P)가 급송된다. 여기서, 기록재(시트)로서는, 시트(종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OHP 시트 등이 적절히 사용 및 선택된다.
그리고, 급송 및 분리 장치(105A 내지 108A)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급송된 1매의 시트(P)가 급송부(109)를 통해서 레지스트레이션 롤러(110)까지 급송된다. 그리고, 이 시트(P)가 감광체(104)의 회전 및 광학부(103)에 의한 스캔과 동기하여 전사부에 반송된다.
전사부는 전사 대전기(111)와 분리 대전기(112)를 포함한다. 전사 대전기(111) 및 분리 대전기(112)는 감광체(104)에 대향해서 제공된다. 감광체(104) 상에 형성된 토너상은 전사 대전기(111)에 의해 시트(P)에 전사된다. 그리고, 분리 대전기(112)에 의해, 현상제 상(토너상)이 전사된 시트(P)를 감광체(104)로부터 분리한다.
이후, 급송부(113)에 의해 급송된 시트(P)는 정착부(114)에서 가열 및 가압되고 시트(P) 상에 현상제 상이 정착되며, 편면 카피의 경우에는, 시트(P)는 배출 반전부(115)를 통과하고 배출 롤러 쌍(116)에 의해 배출 트레이(117)에 배출된다.
한편, 양면 카피의 경우에는, 시트(P)는 배출 반전부(115)를 통과하고, 시트(P)의 일부가 일단 배출 롤러 쌍(116)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그후, 시트(P)의 후단부가 플래퍼(118)를 통과하고 계속해서 배출 롤러 쌍(116)에 의해 끼워지는 타이밍에, 시트(P)는 플래퍼(118)를 제어함으로써 그리고 배출 롤러 쌍(116)을 역회전시킴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100)로 다시 급송된다. 또한, 시트(P)는 재급송 반송부(119 및 120)를 통해서 레지스트레이션 롤러 쌍(110)까지 급송된 후, 편면 카피의 경우의 경로와 유사한 경로를 따라 급송되고 따라서 배출 트레이(117)에 배출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 감광체(104)의 주위에는 현상기(201), 클리너부(202) 및 1차 대전기(203) 등의 화상 형성 프로세스 기기가 제공되어 있다. 또한, 현상기(201)는 원고(101)의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광학부(103)에 의해 감광체(104)에 형성된 정전 잠상에 현상제를 부착시킴으로써 정전 잠상을 현상한다. 또한, 1차 대전기(203)는, 감광체(104) 위에 원하는 정전 잠상을 형성하기 위해서 감광체 표면을 균일하게 전기적으로 대전한다. 클리너부(202)는 감광체(104)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제거한다.
(현상기)
이어서, 현상기(201)에 대해서 도 1 및 도 2를 참고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기(201)는 현상제 용기(201a), 현상 롤러(201f), 교반 부재(201c), 및 급송 부재(201d 및 201e)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현상기(201)에는, 후술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1)가 장착된 현상제 공급 장치(20)로부터, 현상제로서 1 성분 자성 토너가 공급된다. 현상기(201)에 공급된 현상제는, 교반 부재(201c)에 의해 교반되고 현상 롤러(201f)에 보내진 후, 현상 롤러(201f)에 의해 감광체(104)에 공급된다.
현상기(201)에는, 현상 롤러(201f) 상의 현상제의 도포량을 규제하기 위한 현상 블레이드(201g)가 현상 롤러(201f)에 접촉하여 제공된다. 또한, 현상기(201)에는, 현상 롤러(201f)와 현상 용기(201a) 사이로부터의 현상제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서, 누설 방지 시트(201h)가 현상 롤러(201f)에 접촉하여 제공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현상제 공급 장치(20)로부터 공급되어야 하는 현상제로서, 1 성분 자성 토너를 사용하지만, 현상제는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자성 캐리어와 비자성 토너가 서로 혼합된 2 성분 현상제를 사용해서 현상을 행하는 2 성분 현상기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현상제로서 비자성 토너가 공급된다. 이 경우, 현상제로서 비자성 토너뿐만 아니라 자성 캐리어도 조합되어 공급되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현상제 공급 장치)
이어서, 현상제 공급 장치(20)에 대해서 도 1을 참조하면서 도 3의 (a) 부분 내지 도 4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현상제 공급 장치(2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제 공급 용기(1)가 장착가능하며 현상제 공급 용기(1)가 장착해제가능한 장착부(10)와 현상제 공급 용기(1)로부터 배출된 현상제를 일시적으로 저류하는 호퍼(10a)를 포함한다. 장착부(10)는 원통형 부재이며, 내부에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수용을 허용하는 공간이 형성된다. 현상제 공급 용기(1)는, 도 3의 (b) 부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현상제 공급 용기(1)가 화살표 M 방향으로 장착부(10) 안으로 삽입되는 구성을 갖는다. 현상제 공급 용기(1)의 회전 축선 방향은, 수용부(2)가 기울지 않은 상태에서 삽입 방향과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또한,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장착부(10)로부터의 장착해제 방향(제거 방향)은 삽입 방향(화살표 M 방향)의 반대 방향이다.
장착부(10)에는, 도 3의 (a) 부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방향 규제부(11)가 플랜지부(4)와 접촉하는 것에 의해 현상제 공급 용기(1)의 플랜지부(4)(후술하는 도 5의 (a) 부분)가 회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회전 방향 규제부(11)가 제공된다.
장착부(10)에는 현상제 공급 용기(1)의 배출 개구(4a)와 연통함으로써 현상제 공급 용기(1)로부터 배출되는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 개구(13)가 제공된다. 그리고, 현상제 공급 용기(1)의 배출 개구(4a)를 통해 배출된 현상제는 현상제 수용 개구(13)를 통해 호퍼(10a)에 공급된다. 호퍼(10a)는, 현상기(201)를 향해 현상제를 급송하기 위한 급송 스크류(10b) 및 호퍼(10a)에 수용된 현상제의 양을 검출하기 위한 현상제 센서(10d)를 포함한다. 현상제 공급 용기(1)로부터 배출된 현상제는 호퍼(10a)에 의해 현상기(201)에 공급된다.
또한, 장착부(10)는, 도 3의 (a) 및 (b)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기구로서 기능하는 구동 기어(300)를 포함한다. 구동 기어(300)에는, 구동 모터(500)(도 4 참조)로부터 기어열을 통해서 회전 구동력이 전달되고, 구동 기어(300)는 현상제 공급 용기(1)가 장착부(10)에 세트되어 있는 상태에서 현상제 공급 용기(1)의 기어부(2d)(도 4)에 회전 구동력을 부여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모터(500)는, CPU(중앙 처리 유닛), ROM(리드 온리 메모리), RAM(랜덤 액세스 메모리) 등을 포함하는 제어 장치(600)에 의해 제어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어 장치(600)는 현상제 센서(10d)로부터 입력된 현상제 잔량 정보에 기초하여 구동 모터(500)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2 성분 현상기의 경우에는, 현상제 센서(10d) 대신에, 현상제 중의 토너 함량을 검출하는 자기 센서가 현상기(201)에 제공되며, 이 자기 센서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제어 장치(600)에 의해 구동 모터(500)의 동작을 제어하면 된다.
(현상제 공급 용기)
이어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현상제 공급 용기(1)에 대해서 도 5의 (a) 부분 내지 도 8을 참고해서 설명한다. 현상제 공급 용기(1)는,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현상제의 수용을 허용하는 내부 공간이 제공된 수용부(2)를 포함하며, 플랜지부(4), 급송 부재(6), 및 펌프부(3a)를 포함한다. 수용부(2)는, 배출부로서의 플랜지부(4)에 삽입되고 헐거운-끼워맞춤됨으로써 플랜지부(4)에 대해 상대 회전가능하도록 플랜지부(4)에 장착된다. 또한, 도시를 생략했지만, 현상제 공급 장치(20)에 현상제 공급 용기(1)가 장착된 경우, 수용부(2)의 삽입 방향 상류측이 중력 방향 하위부로부터 지지되도록 장착부(10)(도 3의 (a) 부분 참조)에 배치된다. 그로 인해, 수용부(2)는 수용부(2)가 플랜지부(4)에 대하여 기울어진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달리 구체화하지 않고 "상류" 및 "하류"라고 언급되는 경우에는, "상류" 및 "하류"는 각각 수용부(2)의 삽입 방향에 관한 상류 및 하류를 지칭한다.
(수용부)
도 5의 (a) 부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부(2)의 내면에는, 나선형으로 돌출되는 급송 돌기(2a)가 제공된다. 급송 돌기(2a)는, 수용된 현상제를 급송 돌기(2a) 자체의 회전에 의해 플랜지부(4)의 배출실(4c)(도 5의 (b) 부분)을 향해 급송하는 기구로서 기능한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부(2)의 외주에는, 장착부(10)의 구동 기어(300)(도 3의 (a) 부분)와 결합가능한 기어부(2d)가 제공된다. 기어부(2d)는 기어부(2d)와 결합되는 구동 기어(300)로부터 구동력을 받는다. 기어부(2d)는 기어부(2d)가 수용부(2)와 일체적으로 회전가능한 구성을 갖는다. 그 때문에, 기어부(2d)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수용부(2)의 회전에 의해, 수용부(2) 내의 현상제는 급송 돌기(2a)에 의해 급송 방향(화살표 X 방향)으로 급송된다. 또한, 구동 기어(300)로부터 기어부(2d)에 입력된 회전 구동력은 왕복 부재(3b)를 통해 펌프부(3a)에도 전달된다(도 8의 (a) 및 (b) 부분). 펌프부(3a)는, 수용부(2)의 내부 압력이 주위 압력보다 낮은 상태와 내부 압력이 주위 압력보다 높은 상태 사이에서 내부 압력이 기어부(2d)에 의해 수용된 구동력에 의해 반복적으로 교대로 전환되도록 동작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부(2)의 (삽입 방향의) 하류측의 일단부에는, 일단부로서 배출실(배출부(4c))을 향한 현상제의 배출을 허용하는 개구(50)가 제공된 소직경 원통부(2e)가 형성된다. 소직경 원통부(2e)의 외주면에는, 수용부(2)의 회전 축선 방향에 교차하는 반경 방향으로 수용부(2)의 외부를 향해 돌출하는 링-형상 원형 리브(51)(돌출부)가 제공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소직경 원통부(2e)가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삽입 방향에 관해 원형 리브(51)의 하류 측으로 연장된다(이하, 편의상 이 연장부를 돌출 환상부(52)라 칭한다).
(플랜지부)
플랜지부(4)에는, 도 5의 (b) 부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부(2) 내에서 개구(50) 측을 향해 급송되고 개구(50)를 통해 공급되는 현상제를 일시적으로 저류하고 이후 배출하는 중공 배출실(4c)이 제공된다. 배출실(4c)에는 그 저부에 배출 개구(4a)가 제공된다. 배출 개구(4a)는 직경이 0.05 내지 5 mm의 범위로 제공되는 작은 구멍이다. 또한, 배출 개구(4a)의 형상은, 원형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상술한 직경을 갖는 배출 개구(4a)의 개구 면적과 동등한 면적을 갖는 개구를 갖는 어떠한 형상일 수도 있다. 배출실(배출부)(4c) 내부의 현상제는, 배출실(4c)과 배출 개구(4a) 사이를 연통시키는 배출로를 통과하고 배출 개구(4a)를 통해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외부로 배출된다. 배출 개구(4a)의 주위에는, 천공된 개구 시일이 제공된다. 현상제 공급 용기(1)에는, 셔터(8)와 배출실(4c) 사이에 개구 시일을 끼우도록 배출실(4c)의 저부에 셔터(8)가 제공된다. 셔터(8)는, 현상제 공급 용기(1)가 현상제 공급 장치(20)에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배출 개구(4a)를 폐쇄하고, 현상제 공급 용기(1)가 현상제 공급 장치(20)에 장착된 상태에서 배출 개구(4a)를 개방하도록 구성된다. 즉, 셔터(8)는, 현상제 공급 용기(1)의 현상제 공급 장치(20)에 대한 장착 및 장착해제에 의해 배출 개구(4a)를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다.
플랜지부(4)는 현상제 공급 용기(1)를 장착부(10)에 장착하는 것에 응답하여 실질적으로 회전불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는, 플랜지부(4)가 스스로 수용부(2)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술한 회전 방향 규제부(11)가 제공된다(도 3의 (a) 부분). 따라서, 현상제 공급 용기(1)가 장착부(1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플랜지부(4)의 배출실(4c) 또한 수용부(2)의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이 실질적으로 방지되는 상태로 된다(그러나, 어느 정도의 유격까지의 이동은 허용된다). 한편, 수용부(2)는 회전 방향의 회전의 규제를 받지 않고 현상제 공급 단계에서 회전가능하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4)에는 펌프부(3a)가 장착된다. 플랜지부(4)는 수용부(2)가 펌프부(3a)와 반대측에 장착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배출실(4c)의 상류 측으로부터 순서대로, 피삽입부로서, 헐거운 끼워맞춤을 통해 수용부(2)의 장착을 허용하기 위해 제공되는 상류 원통부(40) 및 하류 원통부(42)가 형성된다. 상류 원통부(40)에는, 내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의 내측을 향해서 각각 돌출하는 복수의(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잠금 갈고리(41)가 원주 방향(수용부(2)의 회전 방향)을 따라 제공된다. 잠금 갈고리(41)는, 수용부(2)가 장착될 때 탄성적으로 변형됨으로써 퇴피가능하도록 제공된다. 잠금 갈고리(41)가 용이하게 탄성적으로 변형되도록 그리고 잠금 갈고리(41)가 사출 성형에 의해 용이하게 형성되도록, 상류 원통부(40)에는 잠금 갈고리(41)의 하류측에 구멍(70)이 제공된다.
한편, 하류 원통부(42)에는, 그 단부면으로부터 수용부(2) 측을 향해서 각각 돌출하는 복수의(본 실시형태에서는 8개의) 규제 리브(43)가 원주 방향을 따라 제공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2 규제부로서의 롤러(43)는, 삽입 방향에서 볼 때 잠금 갈고리(41)와 중첩되지 않도록 복수의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규제 리브(43)는, 삽입 방향에서 제1 규제부로서의 잠금 갈고리(41)로부터 간격(간극)을 두고 제공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잠금 갈고리(41)와 규제 리브(43) 사이에 수용부(2)의 원형 리브(51)(도 6 참조)가 위치된다. 또한, 하류 원통부(42)에는, 예를 들어 우레탄 폼 등의 탄성 부재에 의해 형성된 링-형상 시일 부재(60)가 단부면에 접착되어 있다. 시일 부재(60)는, 반경 방향에 관해 규제 리브(43)의 내측의 위치에,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수용부(2)의 돌출 환상부(52)(도 6)가 시일 부재(60)에 맞닿는 위치에 제공됨으로써 개구(50)의 주위(개구 주위)를 시일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도 9의 (a) 부분), 수용부(2)는, 돌출 환상부(52)가 시일 부재(60)를 탄성적으로 압축하는 상태에서, 플랜지부(4)에 대하여 상대 회전가능하도록 플랜지부(4)에 장착된다. 시일 부재(60)는 소직경 원통부(2e)와 하류 원통부(42) 사이의 간극을 시일하고, 수용부(2)는 시일 부재(60)와 미끄럼 이동하면서 회전하며, 그래서 시일 부재(60)에 의해 현상제 공급 용기(1) 내의 기밀성이 유지된다.
(급송 부재)
도 5의 (b) 부분으로 되돌아가면, 수용부(2)에는, 수용부(2) 내로부터 나선형 급송 돌기(2a)에 의해 급송된 현상제를, 플랜지부(4)의 배출실(4c)을 향해서 급송하기 위한 판-유사 급송 부재(6)가 제공된다. 이 급송 부재(6)는, 수용부(2)의 일부 영역을 실질적으로 2개의 부분으로 분할하도록 제공되며, 수용부(2)와 함께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 급송 부재(6)에는 그 대향면 각각에 수용부(2)의 회전 축선 방향에 대하여 배출실(4c) 측을 향해 각각 경사진 복수의 경사 리브(6a)가 제공된다. 급송 돌기(2a)에 의해 급송된 현상제는, 수용부(2)의 회전과의 상호관계로 이 판-유사 급송 부재(6)에 의해 연직 방향에서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상승된다. 그후, 수용부(2)의 추가적인 회전에 의해, 현상제는 경사 리브(6a)에 의해 배출실(4c)을 향해 전달된다. 본 구성에서는, 이 경사 리브(6a)는, 수용부(2)가 반회전할 때마다 현상제가 배출실(4c)에 보내지도록 급송 부재(6)의 대향면에 제공된다.
(펌프부)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작은 배출 개구(4a)를 통해 현상제를 안정적으로 배출하기 위해서,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일부에 상술한 펌프부(3a)가 제공된다. 펌프부(3a)는 그 용적이 가변적이며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가변-용적 펌프이다. 구체적으로는, 펌프부(3a)로서, 신장 및 수축 가능한 주름상자-유사 신장 및 수축 부재를 포함하는 펌프가 채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주름상자-유사 펌프를 채용하고, 복수의 "산-접기" 부분 및 "골-접기" 부분이 주기적으로 교대로 형성된다.
현상제 공급 용기(1)에는, 기어부(2d)가 받은 수용부(2)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구동력을 펌프부(3a)가 왕복되는 방향의 힘으로 변환하는 구동 변환 기구로서 기능하는 캠 기구가 제공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어부(2d)가 받은 회전 구동력을 현상제 공급 용기(1) 측의 왕복력으로 변환함으로써, 수용부(2)를 회전시키는 구동력과 펌프부(3a)를 왕복시키는 구동력을 1개의 구동 수취부(기어부(2d))에 의해 받는 구성이 채용된다.
여기서, 도 8의 (a) 부분은 펌프부(3a)가 사용시 최대로 신장된 상태의 펌프부(3a)의 부분도이며, 도 8의 (b) 부분은 펌프부(3a)가 사용시 최대로 수축된 상태의 펌프부(3a)의 부분도이다. 도 8의 (a) 및 (b) 부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구동력을 펌프부(3a)의 왕복력으로 변환하기 위한 개재 부재로서, 왕복 부재(3b)가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구동 기어(300)로부터 회전 구동력을 받은 기어부(2a)와 하나의 전체 원주를 통해 연장되는 홈이 제공된 캠 홈(2b)이 회전된다. 이 캠 홈(2b)에는, 왕복 부재(3b)로부터 부분적으로 돌출하는 왕복 부재 결합 돌기(3c)가 결합된다. 또한, 왕복 부재(3b)는 수용부(2)의 회전 방향으로 스스로 회전하지 않도록, 보호 커버(4e)(도 5의 (b) 부분)에 의해 왕복 부재(3b)의 회전 방향이 규제된다. 왕복 부재(3b)는 회전 방향이 규제됨으로써 캠 홈(2b)의 홈을 따라서(화살표 X 방향 또는 역방향) 왕복한다. 즉, 구동 기어(300)로부터 입력된 회전 구동력에 의해 캠 홈(2b)이 회전됨으로써, 왕복 부재 결합 돌기(3c)는 화살표 X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왕복한다. 대응하여, 펌프부(3a)는 신장된 상태(도 8의 (a) 부분)와 수축 상태(도 8의 (b) 부분)를 교대로 반복하며, 따라서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용적이 가변적이 된다.
이 펌프부(3a)의 신장 및 수축 동작에 의해, 현상제 공급 용기(1) 내의 압력이 변화되고, 그 압력을 이용해서 현상제의 배출이 실행된다. 구체적으로는, 펌프부(3a)가 수축될 때 현상제 공급 용기(1)의 내부는 가압 상태가 되므로, 현상제는 현상제가 압력에 의해 압출되는 방식으로 배출 개구(4a)를 통해 배출된다. 또한, 펌프부(3a)가 팽창될 때 현상제 공급 용기(1)의 내부는 감압 상태가 되므로, 외부 공기가 배출 개구(4a)를 통해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외부로부터 도입된다. 배출 개구(4a)를 통해 도입된 외부 공기에 의해 배출 개구(4a)의 부근의 현상제가 흩어지므로, 후속 배출이 원활하게 실행된다. 현상제는 펌프부(3a)에 의한 상술한 신장 및 수축 동작의 반복적인 실행에 의해 발생되는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주위 압력(외부 압력)과 내부 압력 사이의 압력차에 따라 배출 개구(4a)를 통해 배출된다.
또한, 현상제 공급 용기(1)로부터의 현상제의 배출 방법은 상술한 펌프부(3a)의 신장 및 수축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현상제 공급 용기(1)는, 현상제 공급 용기(1)에 펌프부가 제공되지 않고 배출 개구(4a)의 직경이 개구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며, 배출실(배출부)(4c)에 퇴적된 현상제가 중력에 의해 배출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현상제 공급 용기(1)는 또한 펌프부가 제공되지 않고 현상제가 배출로의 입구 바로 위에 제공된 회전체(6b)에 의해 배출로로 보내지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현상제 공급 용기의 재료)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펌프부(3a)에 의해 현상제 공급 용기(1) 내의 용적을 변화시킴으로써 배출 개구(4a)를 통해 현상제가 배출되는 구성이 채용된다. 따라서,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재료로서는, 결과적인 현상제 공급 용기가 용적 변화에 의해 크게 찌부러지거나 현상제 공급 용기가 팽창되지 않는 정도의 강성을 갖는 재료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현상제 공급 용기(1)는, 현상제의 배출 동안, 배출 개구(4a)를 통해서만 외부와 연통하고, 따라서 배출 개구(4a)를 제외하고 현상제 공급 용기(1)가 외부로부터 기밀하게 시일되는 구성을 갖는다. 즉, 펌프부(3a)에 의해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용적을 감소 및 증가시킴으로써 배출 개구(4a)를 통해 현상제가 배출되는 구성을 채용하며, 따라서 안정된 배출 성능이 유지되는 정도의 기밀성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용부(2)의 재료는 PET 수지이고, 플랜지부(4)의 재료는 폴리스티렌 수지이며, 펌프부(3a)의 재료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이다.
또한, 사용되는 재료에 관해서, 수용부(2)와 플랜지부(4)의 재료가 용적 변화에 견딜 수 있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ABS(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등의 다른 수지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펌프부(3a)의 재료에 관해서는, 재료는 재료가 신창 및 수축 기능을 나타내고 그 용적 변화에 의해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체적을 변화시킬 수 있으면 된다. 예를 들어, ABS, 폴리스티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등의 박막으로 펌프부(3a)를 형성할 수도 있거나, 또는 신장 및 수축 특성을 갖는 고무 또는 다른 재료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어서, 상술한 수용부(2)와 플랜지부(4)를 장착하는 방식을 도 9의 (a) 및 (b) 부분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수용부(2)는 플랜지부(4)의 배출실(4c)에서 배출실(4c)의 일단부측에 회전가능하게 헐거운-끼워맞춤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상류 원통부(40)의 내주면과 원형 리브(51)의 외주면은 헐거운 끼워맞춤 관계에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소직경 원통부(2e)의 플랜지부(4)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가 결정된다. 이것은, 부품 변동 등에 의해 상류 원통부(40)의 반경방향 중심과 소직경 원통부(2e)의 반경방향 중심 사이에 편심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수용부(2)를 원활하게 회전시키기 위해서이다.
수용부(2)가 플랜지부(4)에 헐거운-끼워맞춤된 상태에서는, 배출실(4c)에 의해 회전 축선 방향의 수용부(2)의 이동이 규제된다. 도 9의 (a) 및 (b)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2)의 원형 리브(51)는 배출실(4c)의 상류 원통부(40) 내부에 형성된 잠금 갈고리(41)에 의해 잠긴다. 그리고, 배출실(4c)의 하류 원통부(42)의 단부면에 제공된 탄성 시일 부재(60)는 돌출 환상부(52)의 자유 단부(이 자유 단부를 편의상 가압부(52a)라 칭함)의 접촉에 의해 하류 원통부(42)에 대해 가압 및 압축된다. 수용부(2)의 회전 동안, 가압부(52a)는 시일 부재(60)에 대해 미끄럼 이동한다. 이와 같이, 수용부(2)는 시일 부재(60)를 하류 원통부(42)에 대해 맞닿게 하여 압축시킴으로써 발생하는 시일 반발력에 의해 회전 흔들림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시일 반발력에 의한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의 수용부(2)의 이동은 잠금 갈고리(41)에 의해 규제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경우, 삽입 방향에 관하여, 잠금 갈고리(41)의 자유 단부면(41a)으로부터 규제 리브(43)의 규제면(43a)까지의 길이(도면 중 L1)와 원형 리브(51)의 두께(도면 중 L2) 사이의 차이(도 9의 (b) 부분의 T)는 예를 들어 "0.25 ± 0.15 mm"의 범위로 설정된다. 즉, 수용부(2)가 배출실(4c)에 대하여 기울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삽입 방향의 수용부(2)의 이동가능 길이가 0.1 mm 이상 0.4 mm 이하로 설정된다. 바꿔 말하면, 규제 리브(43)는, 규제 리브(43)가 수용부(2)의 기울기를 규제하지 않는 상태에서 삽입 방향에 관해 원형 리브(51)와의 사이에 간극을 갖고, 간극은 0.1 mm 이상 0.4 mm 이하로 설정된다. 또한, 수용부(2)가 기울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수용부(2)는 압축 전의 시일의 두께(도면에서 E0)가 "3 mm"인 것에 비해 압축 후의 시일의 두께(도면에서 E1)가 예를 들어 "2 mm"가 되도록 잠금 갈고리(41)에 의해 잠긴다.
이어서, 회전 동안의 반경 방향의 수용부(2)의 이동의 규제에 대해서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부(2)는 구동 기어(300)로부터 수용부(2)의 외주에 제공된 기어부(2d)로의 회전 구동(회전 구동력)의 전달에 의해 회전된다. 수용부(2)가 회전될 때, 수용부(2)에는 구동 기어(300)에 의한 회전 부하에 의해 반경 방향(상세하게는 도 10에서 화살표 F 방향)으로 반경방향 하중이 발생할 수 있다. 수용부(2)의 상류측은 장착부(10)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반경방향 하중이 발생하면, 그 영향에 의해 수용부(2)는 배출실(43)에 대해 도 10의 화살표 F 방향으로 기울어지고, 따라서 회전 흔들림이 적지 않게 발생할 수 있다. 수용부(2)의 회전 부하는 일정하지 않고 변동하며, 따라서 회전 흔들림의 정도도 일정하지 않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수용부(2)가 배출실(4c)에 대하여 기울어진 상태란, 하류 원통부(42)(및 상류 원통부(40))의 반경 방향의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R)과 수용부(2)의 회전 축선(R')이 서로 교차하는 상태를 지칭한다. 한편, 수용부(2)가 배출실(4c)에 대해 기울어지지 않은 상태란 상술한 직선(R)과 회전 축선(R')이 서로 평행한(서로 교차하지 않는) 상태를 지칭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구동 기어(300)에 의해 반경방향 하중이 발생하면, 구동 기어(300) 측에서 수용부(2)의 원형 리브(51)가 잠금 갈고리(41)에 잠긴 상태로 유지된 상태에서, 수용부(2)는 회전하면서 기울어진다. 한편, 수용부(2)가 구동 기어(300)로부터 수용부의 원주 방향으로 180° 회전(이동)한 반대 측에서는, 원형 리브(51)가 규제 리브(43)의 규제면(43a)에 맞닿아 접촉한다. 수용부(2)가 기울어지면, 구동 기어(300) 측과 구동 기어(300) 측의 반대측 사이에서 가압부(52a)에 의해 시일 부재(60)에 가해지는 압력이 상이하다. 구동 기어(300) 측과 구동 기어(300) 측의 반대측 사이에서 가압부(52a)에 의해 시일 부재(60)에 가해지는 압력의 차이는 수용부(2)의 기울기의 정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수용부(2)의 기울기는, 구동 기어(300) 측에서는 원형 리브(51)와 잠금 갈고리(41)에 의해 억제되며, 구동 기어(300) 측의 반대 측에서는 원형 리브(51)와 규제 리브(43)에 의해 억제된다. 이와 같이, 하류 원통부(42)의 반경방향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R)에 대한 수용부(2)의 회전 축선(R')의 기울기를 미리결정된 범위 내에서 규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수용부(2)가 기울어져 있는 경우에도, 회전 동안 수용부(2)의 기울기는 변동하지 않고, 따라서 시일 부재(60)에 가해지는 압력은 크게 변동하지 않는다. 즉, 시일 부재(60)는 국소적으로 크게 변형될 수 없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FIRST EMB.")와 비교예("CONV. EX.")에서, 수용부(2)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회전되는 경우의 시일 부재(60)의 두께의 비교 결과가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비교예에서는, 본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플랜지부(4)에 규제 리브(43)가 제공되어 있지 않은 구성이 채용된다. 또한, 도 11에서는, 종축이 수용부(2)의 1 회전 주기를 나타내고, 횡축이 하류 원통부(42)의 단부면을 기준 위치로 한 임의의 시일 접촉 위치, 즉 가압부(52a)의 위치에서의 시일 부재(60)의 시일 두께만을 나타낸다.
도 11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용부(2)가 회전 흔들림을 일으키면, 수용부(2)가 회전할 때마다, 가압부(52a)는 원하는 시일 접촉 위치(E1)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약간 어긋난 상태에서 시일 부재(60)를 압축하는 방향으로의 변위를 반복한다. 그 때문에, 시일 부재(60)는 원하는 압축량 이상의 압축량에서 과잉 압축을 반복한다. 과잉 압축량은 도 11에서 E'로 나타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종래예에 비하여, 과잉 압축량은 30%까지 억제될 수 있었다. 즉, 수용부(2)가 배출실(4c)에 대하여 기울어진 상태에서 회전하는 것에 기인하는 시일 부재(60)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수용부(2)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구동 기어(300)에 의해 회전되는 경우에, 수용부(2)의 원형 리브(51)는 구동 기어(300) 측에서 잠금 갈고리(41)와 접촉하고 구동 기어(300) 측의 반대 측에서 규제 리브(43)와 접촉하며, 따라서 수용부(2)의 기울기를 억제한다. 결과적으로, 회전 축선 방향으로 시일 부재(60)에 가해지는 압력은 크게 변동할 수 없고, 따라서 시일 부재(60)는 국소적으로 크게 변형될 수 없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용부(2)의 회전 흔들림을 시일 부재(60)에 의해 억제하면서, 배출실(4c)에 대해 경사진 상태에서의 수용부(2)의 회전에 의한 시일 부재(60)의 변형을 간단한 구성에 의해 억제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제2 실시형태의 현상제 공급 용기에 대해서 도 12 내지 도 13의 (b) 부분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의 현상제 공급 용기는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현상제를 수용하는 수용부(210)를 포함하며 플랜지부(410)를 포함한다. 제2 실시형태에서도, 상술한 급송 부재(6) 및 상술한 펌프부(3a)가 제공되지만, 이들은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된 것과 유사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술한 제1 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단히 설명한다.
(플랜지부)
플랜지부(41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에 나타내는 플랜지부(410)는, 상술한 도 7의 플랜지부(4)와 비교하면, 규제 리브(43) 대신에, 하류 원통부(42)의 단부면으로부터 수용부(210)(도 13의 (a) 부분) 측을 향해서 돌출하며 플랜지부(4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대향 규제부(44)를 포함한다. 대향 규제부(44)의 각각은 삽입 방향에서 볼 때 잠금 갈고리(41)와 중첩하도록 회전 축선 방향에 대해 잠금 갈고리(41)로부터 간격(간극)을 두고 연관된 잠금 갈고리(41)에 대향하여 제공된다. 대향 규제부(44)와 잠금 갈고리(41)에 관해서는, 이들 부재 중 하나 또는 복수가 복수의 이들 부재와 서로 부분적으로 중첩하도록 배치되면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경우, 잠금 갈고리(41)와 대향 규제부(44) 사이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원형 리브(51) 및 하류 원형 리브(53)(도 13의 (a) 부분)가 위치설정된다. 대향 규제부(44)는 사출 성형에 의해 플랜지부(410)를 제조할 때에 동일한 금형에 기초하여 잠금 갈고리(41)의 자유 단부면(41a)(도 13의 (b) 부분)과 동시에 형성되기 때문에, 잠금 갈고리(41)와의 간극의 변동의 발생이 용이하게 억제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규제 리브(43) 대신 대향 규제부(44)를 형성하는 것에 한하지 않고, 규제 리브(43)와 대향 규제부(44)의 양자 모두를 형성해도 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회전 축선 방향에 관해 규제 리브(43)를 대향 규제부(44)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하고, 규제 리브(43)와 잠금 갈고리(41) 사이의 간극을 대향 규제부(44)와 잠금 갈고리(41) 사이의 간극과 실질적으로 일치시킬 필요가 있다.
(수용부)
수용부(21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3의 (a) 및 (b) 부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직경 원통부(2e)의 외주면에는, 수용부(210)의 회전 축선 방향에 교차하는 반경 방향으로 수용부(210)의 외측을 향해서 돌출하는 링-형상 원형 리브(51) 이외에, 원형 리브(51)의 하류 측에 링-형상 하류 원형 리브(53)가 제공된다. 제2 부분으로서의 하류 원형 리브(53)는 제1 부분으로서의 원형 리브(51)로부터 간극을 두고 원형 리브(51)의 하류에 제공되며, 그 외경은 원형 리브(51)의 외경보다 작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경우, 회전 축선 방향에 관하고, 잠금 갈고리(41)의 자유 단부면(41a)으로부터 대향 규제부(44)의 규제면(44a)까지의 길이(도면의 L1)와 하류 원형 리브(53)의 자유 단부면(41a)으로부터 하류 단부면까지의 길이(도면의 L2) 사이의 차이(도 13의 (b) 부분의 T)가 미리결정된 범위 내에 설정된다. 미리결정된 범위는 예를 들어 "0.25 ± 0.15 mm"이다. 바꿔 말하면, 수용부(210)가 배출실(4c)에 대하여 기울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회전 축선 방향에의 수용부(210)의 이동가능 길이는 0.1 mm 이상 0.4 mm 이하로 설정된다.
수용부(210)는 배출실(4c)의 일단부측에 회전가능하게 헐거운-끼워맞춤된다. 수용부(210)가 헐거운-끼워맞춤된 상태에서, 도 13의 (a) 및 (b) 부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부(210)의 원형 리브(51)는 잠금 갈고리(41)에 의해 잠긴다. 시일 반발력에 의한 회전 축선 방향(상세하게는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의 수용부(210)의 이동이 잠금 갈고리(41)에 의해 규제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구동 기어(300)에 의해 반경방향 하중(F)이 발생하면(도 10), 원형 리브(51)가 잠금 갈고리(41)에 의해 잠긴 상태로 유지되는 상태에서, 수용부(210)는 회전하면서 기울어진다. 그리고, 구동 기어(300) 측에서는, 하류 원형 리브(53)가 대향 규제부(44)의 규제면(44a)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한다. 한편, 수용부(210)가 구동 기어(300)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180° 회전(이동)한 반대 측에서는, 하류 원형 리브(53)가 대향 규제부(44)의 규제면(44a)에 맞닿아 접촉한다. 수용부(210)가 기울어지면, 구동 기어(300) 측과 구동 기어(300) 측의 반대측 사이에서 가압부(52a)에 의해 시일 부재(60)에 가해지는 압력이 상이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경우, 수용부(210)의 기울기는, 구동 기어(300) 측에서 원형 리브(51) 및 잠금 갈고리(41)에 의해 억제되며 구동 기어(300) 측의 반대 측에서는 하류 원형 리브(53) 및 대향 규제부(44)에 의해 억제된다. 결과적으로, 수용부(210)가 기울어져 있어도, 회전 축선 방향에 관한 시일 부재(60)에 가해지는 압력은 크게 변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회전 축선 방향으로 시일 부재(60)에 가해지는 압력은 원주 방향에서 크게 변화하지 않으므로, 시일 부재(60)는 국소적으로 크게 변형될 수 없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해서도, 수용부(210)의 회전 흔들림을 시일 부재(60)에 의해 억제하면서, 수용부(210)가 배출실(4c)에 대하여 기울어진 상태에서 회전하는 것에 기인하는 시일 부재(60)의 변형을 간단한 구성에 의해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제3 실시형태>
제3 실시형태의 현상제 공급 용기에 대해서 도 14 내지 도 16의 (b) 부분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제3 실시형태의 현상제 공급 용기는,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현상제를 수용하는 수용부(220)를 포함하며, 플랜지부(420)를 포함한다. 제3 실시형태에서도, 상술한 급송 부재(6) 및 상술한 펌프부(3a)가 제공되지만, 이들은 상술한 제1 실시형태의 것과 유사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술한 제1 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단히 설명한다.
(수용부)
수용부(22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부(220)의 하류 측의 일단부에는, 현상제의 배출을 허용하는 개구(50)가 제공된 소직경 원통부(2e)가 형성된다. 소직경 원통부(2e)의 자유 단부 측에는, 반경 방향의 외측을 향해서 돌출하는 링-형상 원형 리브(51)가 제공된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는 상술한 제1 실시형태와 달리, 소직경 원통부(2e)가 원형 리브(51)의 하류 측으로 연장되지 않는다(즉, 돌출 환상부(52)가 형성되지 않는다). 그 대신에, 원형 리브(51)의 단부면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해 연장되도록 돌기로서의 자유 단부 원통부(511)가 형성된다. 자유 단부 원통부(511)는, 그 내경이 소직경 원통부(2e)의 외경보다 크고 원형 리브(51)의 외경보다 작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시일 부재(60)는, 자유 단부 원통부(511)의 내주를 따라 연장되도록 원형 리브(51)에 접착된다.
(플랜지부)
플랜지부(42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5에 도시되는 플랜지부(420)에는, 상술한 도 7의 플랜지부(4)와 비교하여, 규제 리브(43)가 제공되지 않는다. 또한, 하류 원통부(42)에는, 그 자신과 원형 리브(51) 사이에 시일 부재(60)를 압축해서 끼우기 위한 링-형상 시일 맞닿음부(45)가 제공된다. 링-형상 시일 맞닿음부(45)는, 도 16의 (a) 및 (b)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류 원통부(42)의 단부면(42a)으로부터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제공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경우, 하류 원통부(42)에는 반경 방향에서 자유 단부 원통부(511)가 중간 원통부(46)와 시일 맞닿음부(45) 사이에 헐?게 결합되도록 하류 원통부(42)의 단부면(42a)으로부터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제공되는 중간 원통부(46)가 제공된다. 중간 원통부는 그 내경이 시일 맞닿음부(45)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수용부(220)는, 플랜지부(420)의 배출실(4c)의 일단부 측에서 배출실에 회전가능하게 헐거운-끼워맞춤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도 16의 (a) 및 (b) 부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부(220)가 배출실(4c)에 헐거운-끼워맞춤된 상태에서, 잠금 갈고리(41)에 의한 원형 리브(51)의 잠금에 의해 수용부(220)의 회전 축선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그 상태에서, 시일 부재(60)는 원형 리브(51)와 시일 맞닿음부(45) 사이에 끼임으로써 압축되어, 하류 원통부(42)(시일 맞닿음부(45) 및 중간 원통부(46))와 자유 단부 원통부(511) 사이의 공간을 시일한다. 수용부(220)의 회전 동안, 시일 맞닿음부(45)는 시일 부재(60)에 의해 미끄럼 이동된다. 이와 같이, 시일 부재(60)를 삽입 방향으로 가압 및 압축함으로써 발생하는 시일 반발력에 의해, 수용부(220)는 회전 흔들림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자유 단부 원통부(511)는 반경 방향에서 중간 원통부(46)와 시일 맞닿음부(45) 사이에 헐겁게 결합된다. 즉, 하류 원통부(42), 시일 맞닿음부(45) 및 중간 원통부(46)는, 자유 단부 원통부(511)가 인입할 수 있는 오목부를 형성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경우, 회전 축선 방향에 관하여, 잠금 갈고리(41)의 자유 단부면(41a)으로부터 하류 원통부(42)의 단부면(42a)까지의 길이(도면의 L1)와 자유 단부면(41a)으로부터 자유 단부 원통부(511)의 단부까지의 길이(도면의 L2) 사이의 차이(도 16의 (b) 부분의 T)가 예를 들어 "0.25 ± 0.15 mm"의 범위로 설정된다. 바꿔 말하면, 수용부(220)가 배출실(4c)에 대해 기울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회전 축선 방향의 수용부(220)의 이동가능 길이가 0.1 mm 이상 0.4 mm 이하로 설정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구동 기어(300)에 의해 반경방향 하중(F)이 발생하면(도 10), 원형 리브(51)가 잠금 갈고리(41)에 의해 잠긴 상태로 유지되는 상태에서, 수용부(210)는 회전하면서 기울어진다. 그리고, 구동 기어(300) 측 및 구동 기어(300)로부터 수용부(220)가 원주 방향으로 180° 회전(이동)한 반대측에서, 자유 단부 원통부(511)는 중간 원통부(46)와 시일 맞닿음부(45)에 접촉하고 그 사이에 끼인다. 수용부(220)가 기울어지면, 구동 기어(300) 측과 구동 기어(300)의 반대측 사이에서 가압부(52a)에 의해 시일 부재(60)에 가해지는 압력이 상이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서는, 자유 단부 원통부(511), 중간 원통부(46) 및 시일 맞닿음부(45)에 의해 수용부(220)의 기울기가 억제된다. 결과적으로, 수용부(220)가 기울어져 있어도, 회전 축선 방향으로 시일 부재(60)에 가해지는 압력은 크게 변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회전 축선 방향으로 시일 부재(60)에 가해지는 압력은 원주 방향에서 크게 변화하지 않으므로, 시일 부재(60)는 국소적으로 크게 변형될 수 없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해서도, 수용부(220)의 회전 흔들림을 시일 부재(60)에 의해 억제하면서, 수용부(220)가 배출실(4c)에 대하여 기울어진 상태에서 회전하는 것에 기인하는 시일 부재(60)의 변형을 간단한 구성에 의해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제4 실시형태>
제4 실시형태의 현상제 공급 용기에 대해서 도 17 내지 도 18의 (b) 부분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제4 실시형태의 현상제 공급 용기는,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현상제를 수용하는 수용부(230)를 포함하며, 플랜지부(430)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는, 상술한 제1 내지 제3 실시형태와 비교하면, 플랜지부(430)에 수용부(230)가 삽입된 후에, 잠금 갈고리(62)가 각각 제공된 위치 규제 부재(61)가 플랜지부(430)에 장착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점에서(후장착) 제1 내지 제3 실시형태와 크게 상이하다. 제4 실시형태에서도, 상술한 급송 부재(6) 및 상술한 펌프부(3a)가 제공되지만, 이들은 상술한 제1 실시형태의 것과 유사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술한 제1 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단히 설명한다.
(플랜지부)
플랜지부(43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7에 나타내는 플랜지부(430)는 규제 리브(43)를 포함하지 않으며, 그로부터 잠금 갈고리(62)가 장착해제가능하다. 즉, 배출실(4c)에는 헐거운 끼워맞춤을 통한 수용부(230)의 장착을 허용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류 원통부(40)와 하류 원통부(42)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류 원통부(40)에는 그 외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의 슬릿(47)(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슬릿)이 제공된다. 각각의 슬릿(47)에는 상류 원통부(40)의 내부와 외부 사이를 연통시키는 복수의 연통 구멍(48)이 제공된다(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구멍). 각각의 슬릿(47)은, 수용부(230)가 플랜지부(430)에 삽입된 후에, 위치 규제 부재(61)가 슬릿(47)에 대해 장착가능 및 장착해제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규제부로서의 위치 규제 부재(61)에는, 위치 규제 부재(61)가 슬릿(47)에 장착된 상태에서 연통 구멍(48)을 통해서 상류 원통부(40) 내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해서 잠금 갈고리(62)가 돌출하도록, 연통 구멍(48)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잠금 갈고리(62)(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잠금 갈고리)가 제공된다. 한편, 하류 원통부(42)의 단부면에는, 시일 부재(60)가 접착되어 있다. 시일 부재(60)는, 수용부(230)의 소직경 원통부(2e)가 시일 부재(60)에 맞닿는 위치에 제공된다.
(수용부)
한편,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부(230)의 하류측의 일단부에는, 일단부로서의 소직경 원통부(2e)가 형성된다. 소직경 원통부(2e)의 외주면에는, 반경 방향으로 소직경 원통부(2e)의 외측을 향해서 돌출하는 링-형상 원형 리브(51) 및 원형 리브(51)의 상류에 위치된 상류 원형 리브(54)가 제공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돌출 환상부(52)(도 6)가 형성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위치 규제 부재(61)가 슬릿(47)에 장착된 상태에서, 도 18의 (a) 및 (b) 부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잠금 갈고리(62) 각각은 제2 돌출부로서의 원형 리브(51)와 제1 돌출부로서의 상류 원형 리브(54) 사이에 인입된다. 원형 리브(51)는 잠금 갈고리(62)에 의해 잠긴다. 즉, 수용부(230)가 배출실(4c)에 헐거운-끼워맞춤된 상태에서, 잠금 갈고리(62)에 의해 원형 리브(51)를 잠금으로써, 회전 축선 방향의 수용부(230)의 이동이 규제된다. 그리고, 시일 부재(60)는, 소직경 원통부(2e)의 단부면에 의해 하류 원통부(42)에 가압됨으로써 압축된다. 수용부(230)의 회전 동안, 소직경 원통부(2e)는 시일 부재(60) 상에서 미끄럼 이동한다. 이와 같이, 가압을 통해 삽입 방향으로 시일 부재(60)를 압축함으로써 발생하는 시일 반발력에 의해, 수용부(230)는 회전 흔들림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구동 기어(300)에 의해 반경방향 하중(F)이 발생하면(도 10), 원형 리브(51)가 잠금 갈고리(41)에 의해 잠긴 상태에서 유지되는 상태에서, 수용부(230)는 회전하면서 기울어진다. 그리고, 구동 기어(300) 측에서는, 상류 원형 리브(54)가 잠금 갈고리(62)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한다. 한편, 수용부(230)가 구동 기어(300)로부터 수용부의 원주 방향으로 180° 회전(이동)된 반대 측에서는, 상류 원형 리브(54)가 잠금 갈고리(62)에 맞닿아 접촉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경우, 삽입 방향에 관하여, 잠금 갈고리(62)의 잠금면(62a)으로부터 상류 원형 리브(54)의 피잠금면(54a)까지의 길이(도면의 L1)와 잠금 갈고리(62)의 두께(도면의 L2) 사이의 차이(도 18의 (b) 부분의 T)가 예를 들어 "0.25 ± 0.15 mm"의 범위로 설정된다. 바꿔 말하면, 수용부(230)가 배출실(4c)에 대하여 기울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회전 축선 방향의 수용부(230)의 이동가능 길이가 0.1 mm 이상 0.4 mm 이하로 설정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경우, 수용부(230)는, 수용부(230)의 기울기가 구동 기어(300) 측에서 원형 리브(51) 및 잠금 갈고리(62)에 의해 억제되며, 구동 기어(300) 측의 반대 측에서 상류 원형 리브(54)와 잠금 갈고리(62)에 의해 억제되도록 구성된다. 결과적으로, 수용부(230)가 기울어져 있는 경우에도, 회전 축선 방향으로 시일 부재(60)에 가해지는 압력은 크게 변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회전 축선 방향으로 시일 부재(60)에 가해지는 압력은 원주 방향에서 크게 변동하지 않으므로, 시일 부재(60)는 국소적으로 크게 변형될 수 없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해서도, 수용부(230)의 회전 흔들림을 시일 부재(60)에 의해 억제하면서, 수용부(230)가 배출실(4c)에 대하여 기울어진 상태에서 회전하는 것에 기인하는 시일 부재(60)의 변형을 간단한 구성에 의해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달성된다.
<다른 실시형태>
또한, 본 실시형태의 현상제 공급 용기(1)는 펌프부(3a)가 제공되지 않은 현상제 공급 용기(1)일 수도 있다. 이 경우, 펌프부(3a) 이외의 구성 요소는 상술한 실시형태의 것과 유사할 수도 있다. 현상제 공급 용기(1)에서의 현상제의 급송에 관하여, 현상제가 수용부(2)(210, 220, 230) 및 급송 부재(6)에 의해 배출실(4c)을 향해 급송되는 구성도 채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일 부재에 의해 수용부의 회전 흔들림을 억제하면서, 수용부가 배출부에 대해 기울어져 있는 상태에서 수용부가 회전하는 것에 기인하는 시일 부재의 변형을 간단한 구성에 의해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는 이러한 모든 변형과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9)

  1. 현상제 공급 용기이며, 개구가 제공된 일단부 및 외주에 제공되고 외부로부터 회전 구동력을 받도록 구성되는 구동 수취부를 포함하는 수용부로서,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현상제가 상기 수용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개구를 향해 급송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상기 일단부가 삽입되는 수취부 및 상기 수용부의 상기 개구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현상제를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배출 개구를 포함하는 배출부로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배출부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배출부에 장착되는, 배출부;
    상기 일단부가 상기 수취부 안으로 삽입되는 방향에 대해서 상기 수용부의 상기 일단부와 상기 배출부의 상기 수취부의 일부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압축됨으로써 상기 일단부와 상기 수취부 사이를 시일하도록 구성되는 실링 부재;
    상기 수용부의 회전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반경 방향으로 상기 수용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기; 및
    상기 삽입 방향으로 각각 상기 돌기의 상류 및 하류의 위치에서 상기 배출부의 상기 수취부에 제공되며 상기 돌기에 접촉가능함으로써 상기 삽입 방향에 대한 상기 수용부의 상기 회전 축선의 기울기를 미리결정된 범위 내로 규제하는 제1 규제부 및 제2 규제부를 포함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규제부는 상기 일단부가 상기 배출부의 상기 수취부로부터 결합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돌기를 잠그는 현상제 공급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취부에는 상기 삽입 방향으로 상기 제1 규제부의 하류의 위치에 구멍이 제공되어 있는 현상제 공급 용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규제부는 상기 수용부의 상기 기울기를 규제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삽입 방향으로 상기 돌기와의 사이의 간극에 의해 이격되어 있는 현상제 공급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은 0.1 mm 이상 0.4 mm 이하인 현상제 공급 용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규제부 및 상기 제2 규제부는 상기 수용부의 회전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규제부 및 상기 제2 규제부는 상기 삽입 방향에서 볼 때 서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현상제 공급 용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1 규제부 및 복수의 상기 제2 규제부는 상기 수용부의 상기 회전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삽입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제1 규제부의 하나 이상은 각각 상기 제2 규제부의 하나 이상과 중첩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규제부 및 상기 제2 규제부는 상기 삽입 방향에서 볼 때 서로 중첩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현상제 공급 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1 규제부 및 상기 제2 규제부는 상기 수용부의 상기 회전 방향으로 배치되는 현상제 공급 용기.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삽입 방향의 상류부 및 하류부를 갖는 현상제 공급 용기.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단부는 상기 삽입 방향의 선단부에서 개방되며,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일단부의 상기 개구의 주위를 시일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에는 상기 삽입 방향의 하류측을 향해 연장되는 돌출부가 제공되며, 상기 제2 규제부에는 상기 돌출부를 수취할 수 있는 오목부가 제공되는 현상제 공급 용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돌출부와 상기 오목부 사이의 공간을 시일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
  14. 현상제 공급 용기이며, 개구가 제공된 일단부 및 외주에 제공되고 외부로부터 회전 구동력을 받도록 구성되는 구동 수취부를 포함하는 수용부로서,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현상제가 상기 수용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개구를 향해 급송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상기 일단부가 삽입되는 수취부 및 상기 수용부의 상기 개구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현상제를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배출 개구를 포함하는 배출부로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배출부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배출부에 장착되는, 배출부;
    상기 일단부가 상기 수취부 안으로 삽입되는 방향에 대해서 상기 수용부의 상기 일단부와 상기 배출부의 상기 수취부의 일부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압축됨으로써 상기 일단부와 상기 수취부 사이를 시일하도록 구성되는 실링 부재;
    사이에 공간을 두고 상기 삽입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돌기 및 제2 돌기로서, 상기 제1 돌기 및 상기 제2 돌기는 상기 수용부의 회전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반경 방향으로 상기 수용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제1 돌기 및 제2 돌기; 및
    상기 삽입 방향으로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 돌기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배출부의 상기 수취부에 제공되고 상기 제2 돌기에 접촉가능함으로써 상기 삽입 방향에 대한 상기 수용부의 상기 회전 축선의 기울기를 규제하는 규제부를 포함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상기 일단부가 상기 배출부의 상기 수취부로부터 결합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 돌기를 잠그는 현상제 공급 용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상기 수용부의 상기 기울기를 규제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삽입 방향으로 상기 제1 돌기와의 사이의 간극에 의해 이격되어 있는 현상제 공급 용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은 0.1 mm 이상 0.4 mm 이하인 현상제 공급 용기.
  18.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일단부는 상기 삽입 방향의 선단부에서 개방되며,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일단부의 상기 개구의 주위를 시일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
  19.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상기 일단부가 상기 수취부 안으로 삽입된 후에 상기 수취부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현상제 공급 용기.
KR1020190107075A 2018-08-30 2019-08-30 현상제 공급 용기 KR202000261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62135 2018-08-30
JP2018162135A JP7175678B2 (ja) 2018-08-30 2018-08-30 現像剤補給容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6151A true KR20200026151A (ko) 2020-03-10

Family

ID=67659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7075A KR20200026151A (ko) 2018-08-30 2019-08-30 현상제 공급 용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048191B2 (ko)
EP (1) EP3677967B1 (ko)
JP (1) JP7175678B2 (ko)
KR (1) KR20200026151A (ko)
CN (1) CN110874037A (ko)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7914B1 (ko) * 1995-10-11 1999-11-01 이토가 미찌야 화상형성장치 및 토너보급장치, 및 그에 탑재된 토너용기
JP3541691B2 (ja) * 1997-10-03 2004-07-1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剤収納容器
JP3628539B2 (ja) * 1999-01-25 2005-03-16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容器
EP1233311B1 (en) * 2001-02-19 2012-08-29 Canon Kabushiki Kaisha Toner supply container
JP4681854B2 (ja) * 2004-11-12 2011-05-11 キヤノン株式会社 封止部材、トナー補給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4368331B2 (ja) 2005-04-27 2009-11-18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ボトル及び画像形成装置
JP4698694B2 (ja) * 2008-03-17 2011-06-08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2009271280A (ja) * 2008-05-07 2009-11-19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トナー容器、トナー製品の製造方法及びトナー補給方法
JP2009271279A (ja) * 2008-05-07 2009-11-19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トナー容器及びトナー補給方法
JP4725662B2 (ja) * 2009-03-19 2011-07-13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トナー容器
JP5383317B2 (ja) 2009-05-26 2014-01-08 キヤノン株式会社 ベルト駆動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862932B2 (ja) * 2009-09-17 2012-01-25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トナーボトル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15049422A (ja) 2013-09-03 2015-03-16 キヤノン株式会社 像担持体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6218525B2 (ja) 2013-09-19 2017-10-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6206420A (ja) 2015-04-22 2016-12-08 キヤノン株式会社 ベル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20180157203A1 (en) 2016-12-05 2018-06-07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8089875A (ja) 2016-12-05 2018-06-1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163063B2 (ja) 2018-05-15 2022-10-3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73289A1 (en) 2020-03-05
EP3677967B1 (en) 2022-11-02
US11048191B2 (en) 2021-06-29
JP2020034787A (ja) 2020-03-05
EP3677967A1 (en) 2020-07-08
JP7175678B2 (ja) 2022-11-21
CN110874037A (zh) 2020-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22146B (zh) 显影剂供应容器
US10133211B2 (en) Developer supplying container and developer supplying system
CN111108448B (zh) 显影剂供应容器和显影剂供应系统
CN111095123A (zh) 显影剂供应容器和显影剂供应系统
JP6091270B2 (ja) 現像剤補給装置
JP6544169B2 (ja) 現像剤収納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KR20200026151A (ko) 현상제 공급 용기
US10809649B2 (en) Developer supply container
JP6532498B2 (ja) 現像剤補給容器
JP2006171537A (ja) 現像剤補給容器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カップリング部材
CN109426116B (zh) 显影剂收容容器以及具备该显影剂收容容器的图像形成装置
US10620569B2 (en) Developer supply container
JP2019152877A (ja) 現像剤補給容器
JP2018128611A (ja) 現像剤補給容器
JP2011123338A (ja) 現像剤補給容器
WO2023076459A1 (en) Toner cartridge with obstruction member to reduce cross-sectional are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