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1153A - 자동차용 액티브 엔진 마운트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액티브 엔진 마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1153A
KR20200021153A KR1020180096546A KR20180096546A KR20200021153A KR 20200021153 A KR20200021153 A KR 20200021153A KR 1020180096546 A KR1020180096546 A KR 1020180096546A KR 20180096546 A KR20180096546 A KR 20180096546A KR 20200021153 A KR20200021153 A KR 20200021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magnet
hook
core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6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5424B1 (ko
Inventor
김승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6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5424B1/ko
Priority to US16/159,949 priority patent/US10899216B2/en
Publication of KR20200021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1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5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5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B60K5/1283Adjustable supports, e.g. the mounting or the characteristics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B60K5/1208Resilient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8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 F16F1/3842Method of assembly, production or treatment; Mounting thereof
    • F16F1/3849Mounting brackets therefor, e.g. stamped steel brackets; Restraining li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3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magnetic or electromagnetic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6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polarised armatures moving in alternate directions by reversal or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5/00Genera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coil system, magnet, armature or other part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35/02Genera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coil system, magnet, armature or other part of the magnetic circuit with moving magnets and stationary coil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8Structural association of electric generators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e.g. with turbines
    • H02K7/1869Linear generators; sectional generators
    • H02K7/1876Linear generators; sectional generators with reciprocating, linearly oscillating or vibrat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B60K5/1291Supports comprising st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24Casings; Enclosures;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suppression or reduction of noise or vib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Combined Devices Of Dampers And Spring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액티브 엔진 마운트에 관한 것으로서, 유체 시스템이 삭제될 수 있고, 구동기를 가지면서도 구성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크기 및 패키지 측면의 불리함이 개선되는 역상형 엔진 마운트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엔진에 연결되는 서포트 브라켓; 상기 서포트 브라켓에 일체로 결합되고 전자기 상호 작용하는 자석과 코일을 가지는 구동기 어셈블리; 및 마운팅 브라켓에 의해 차체에 장착되고 메인 러버를 통해 진동을 흡수하는 러버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러버 어셈블리의 상측에 구동기 어셈블리가 위치된 상태로 러버 어셈블리의 하우징이 상기 서포트 브라켓에 체결되고, 상기 자석이 러버 어셈블리의 메인 러버에 힘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액티브 엔진 마운트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액티브 엔진 마운트{Active engine mount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액티브 엔진 마운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체 시스템이 삭제될 수 있고, 발전 기능을 가지는 자동차용 액티브 엔진 마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엔진룸에 엔진 및 변속기를 포함하는 파워트레인을 장착할 때, 엔진이 장착 및 지지되는 위치에는 진동 제어를 위한 엔진 마운트를 적용하고 있다.
통상 엔진 마운트는 차체의 사이드 멤버(side member) 상단에 위치하도록 장착되고, 엔진 마운트와 엔진 사이를 연결하도록 엔진 마운트의 상면과 엔진 사이에 서포트 브라켓이 연결된다.
하지만, 엔진 연소음 등이 서포트 브라켓을 타고 실내로 전달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도 1에서 보듯이 엔진 마운트(10)의 상면에 결합된 서포트 브라켓(20)에 진동 및 소음 감쇄를 위한 별도의 매스 댐퍼(mass damper)(22)를 적용하기도 한다.
즉, 엔진 마운트와 엔진 간을 연결하는 서포트 브라켓은 구조상 외팔보 구조이므로 동강성에 취약할 수밖에 없고,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서포트 브라켓에 별도의 매스 댐퍼를 적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서포트 브라켓에 매스 댐퍼(약 2.6kg)를 적용함에 따라, 차량 중량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역상형 엔진 마운트를 적용하기도 한다.
상기 역상형 엔진 마운트는 엔진 마운트 자체가 상하 뒤집혀서 오리피스 어셈블리 부분이 위쪽에 위치되고 러버 어셈블리가 아래쪽에 위치되도록 한 엔진 마운트이며, 위쪽으로 위치되는 오리피스 어셈블리를 서포트 브라켓과 연결한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오리피스 어셈블리(유로 어셈블리), 즉 유체 어셈블리와 브라켓 부분이 서포트 브라켓과 연결된 상태로 서포트 브라켓의 매스 댐퍼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또한, 역상형 엔진 마운트에서는 오리피스 어셈블리(유로 어셈블리)에서 발생하는 이음 등이 메인 러버에서 절연되어 차체로 전달되기 때문에 멤브레인 이음 측면에서 유리하고, 고주파 진동 및 소음이 개선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엔진 마운트를 포함하여 공지의 역상형 엔진 마운트에서는 복잡한 구성의 유체 시스템을 구비해야 하고, 따라서 유체 시스템 등에서 발생하는 이음의 문제를 개선할 필요가 있으며, 유체 시스템에서의 실링(sealing) 등 문제로 인해 제작성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역상형 마운트가 아닌, 통상의 액티브 마운트에서는 인슐레이터 하측에 자석, 코일, 코어 등으로 구성된 구동기가 구비되어야 하고, 그로 인해 기존의 엔진 마운트에 비해 상하방향의 크기, 즉 높이가 커지면서 패키지 레이아웃에 불리함이 있다.
특히, 횡치 엔진 장착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전류 구동 차량의 경우에는 엔진 마운트의 높이가 낮을수록 NVH(Noise, Vibration, Harshness) 성능에 유리하므로 액티브 구동기를 구성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자동차용 액티브 마운트로서 유체 시스템이 삭제될 수 있고, 구동기를 가지면서도 구성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크기 및 패키지 측면의 불리함이 개선되는 역상형 액티브 엔진 마운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엔진에 연결되는 서포트 브라켓; 상기 서포트 브라켓에 일체로 결합되고 전자기 상호 작용하는 자석과 코일을 가지는 구동기 어셈블리; 및 마운팅 브라켓에 의해 차체에 장착되고 메인 러버를 통해 진동을 흡수하는 러버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러버 어셈블리의 상측에 구동기 어셈블리가 위치된 상태로 러버 어셈블리의 하우징이 상기 서포트 브라켓에 체결되고, 상기 자석이 러버 어셈블리의 메인 러버에 힘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액티브 엔진 마운트를 제공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액티브 엔진 마운트에 의하면, 자동차용 액티브 마운트로서 유체 시스템이 삭제될 수 있고, 구동기를 가지면서도 구성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크기 및 패키지 측면의 불리함이 개선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엔진 마운트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액티브 엔진 마운트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액티브 엔진 마운트의 구동기 어셈블리 및 그 조립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액티브 엔진 마운트의 구동기 어셈블리에 서포트 브라켓을 장착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액티브 엔진 마운트의 구동기 어셈블리에 서포트 브라켓을 장착하는 과정을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액티브 엔진 마운트의 서포트 브라켓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액티브 엔진 마운트의 구동기 어셈블리 및 서포트 브라켓을 러버 어셈블리에 조립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액티브 엔진 마운트의 조립 상태 및 동작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액티브 엔진 마운트를 엔진과 차체 간에 조립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최근 들어 구동기를 가지는 액티브 엔진 마운트의 적용 요구가 많아지고 있고, 나아가 매스 댐퍼를 별도로 구비해야 했던 기본형 대신, 별도의 매스 댐퍼가 삭제될 수 있는 역상형 구조를 가지는 역상형 액티브 엔진 마운트의 요구가 늘고 있다.
또한, 차량 연비에 대한 문제가 중요시되면서 자체적으로 전기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는 발전 기능을 가지는 차량 내 장치 및 부품의 요구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구동기를 가지면서도 구성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크기 및 패키지 측면의 불리함이 개선될 수 있고, 매스 댐퍼, 발전기, 액티브 마운트 역할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개선된 역상형 액티브 엔진 마운트가 개시된다.
일반적으로 역상형 엔진 마운트는 유로 어셈블리(또는 '오리피스 어셈블리'라고도 함)와 같은 유체 시스템을 포함하는 부분이 서포트 브라켓과 결합되어 매스 댐퍼의 역할을 수행하는 이점이 있고, 서포트 브라켓이 결합되는 부분(매스 댐퍼의 역할을 함)의 매스(mass)가 커서 감도가 좋은 장점이 있지만, 첫 번째(1 order) 고유 진동수가 낮아 공진이 발생할 수 있고, 이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역상형 액티브 엔진 마운트에서는, 역상형 구조에서 구동기 어셈블리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기 어셈블리가 러버 시스템과 분리되어 서포트 브라켓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구동기 어셈블리와 서포트 브라켓이 일체화된 구조로 되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역상형 액티브 엔진 마운트에서는, 액티브 구동기(즉, 후술하는 구동기 어셈블리)가 엔진 마운트의 상부에 위치됨과 더불어 서포트 브라켓에 일체로 결합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상기 액티브 구동기가 서포트 브라켓의 매스 댐퍼 역할을 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상형 액티브 엔진 마운트의 구성에 대해 상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액티브 엔진 마운트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일체로 결합된 구동기 어셈블리(110)와 서포트 브라켓(130)을 러버 어셈블리(140)와 조립하기 전 상태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기 어셈블리(110)와 서포트 브라켓(130)을 일체로 결합한 후, 서포트 브라켓(130)에 러버 어셈블리(140)를 조립하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액티브 엔진 마운트(100)는, 엔진(도 10에서 도면부호 '170'임)에 연결되는 서포트 브라켓(130), 상기 서포트 브라켓(130)에 일체로 결합되는 구동기 어셈블리(110), 차체(도 10에서 도면부호 '160'임)에 장착되고 메인 러버(144)를 통해 진동을 흡수하는 러버 어셈블리(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러버 어셈블리(140)의 상측에 구동기 어셈블리(110)가 위치된 상태로 러버 어셈블리(140)의 하우징(141)이 상기 서포트 브라켓(130)에 체결된다.
또한, 상기 구동기 어셈블리(110)는, 서포트 브라켓(130)에 형성된 장착홀(131)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후크 컵(111), 상기 후크 컵(111)의 내부에 고정되는 코일(125), 및 상기 러버 어셈블리(140)의 메인 러버(144)에 힘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코일(125)과 전자기 상호 작용하도록 설치되는 자석(12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코일(125)과 자석(120)은 각각의 부속된 부품들과 조립된 형태의 어셈블리로 구비되어 상기 구동기 어셈블리(110)을 구성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액티브 엔진 마운트의 구동기 어셈블리 및 그 조립 과정을 나타낸다.
구동기 어셈블리(110)의 구성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엔진 마운트(100)에서, 구동기 어셈블리(110)는, 서포트 브라켓(130)에 일체로 결합되는 부분인 후크 컵(111)과, 상기 후크 컵(111)의 내측에 설치는 자석 고정용 인슐레이터(112)와, 상기 자석 고정용 인슐레이터(112)에 적층된 상태로 결합되는 자석 어셈블리(118)와, 상기 자석 어셈블리(118)에 결합되고 자석 어셈블리(118)의 자석(120)과 전자기 상호 작용하는 코일(125)을 가지는 코일 어셈블리(123)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기 어셈블리(110)에서 후크 컵(111)은 서포트 브라켓(130)에 일체로 결합되는 부품으로서, 상기 서포트 브라켓(130)을 매개로 후술하는 러버 어셈블리(140)와 조립 상태를 유지하는 부품이고, 저부가 개방된 형상을 가진다.
또한, 후크 컵(111)의 하단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다수 개의 내측 후크(111b)와, 외측으로 돌출된 다수 개의 외측 후크(111c)가 일체로 형성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후크 컵(111)의 하단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정해진 간격(예를 들면,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복수 개의 지지기둥(111a)이 각각 하방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내측 후크(111b)와 외측 후크(111c)가 각 지지기둥(111a)을 공유하면서 각 지지기둥(111a)의 하단부 내면과 외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후크 컵(111)은 플라스틱으로 사출 성형하여 제작될 수 있고, 후크 컵(111)의 내측으로 구동기 어셈블리(110)를 구성하는 부품들이 조립된다.
즉, 먼저 후크 컵(111)의 내부공간에서 상측으로 자석 고정용 인슐레이터(112)가 고정 설치된다.
상기 자석 고정용 인슐레이터(112)는 자석(120)을 포함한 자석 어셈블리(118)를 후크 컵(111)에서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지지 및 위치 고정하는 구성부이다.
이러한 자석 고정용 인슐레이터(112)는, 후크 컵(111)의 내측면에 외측면이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어서 결합되는 링 형상의 코어, 즉 링 코어(113)와, 상기 링 코어(113)의 내측면에 일체로 결합된 인슐레이터 부재(114)와, 상기 인슐레이터 부재(114)의 중앙에 일체로 고정된 지지 코어(115)와, 상기 지지 코어(115)에 일단부가 일체로 고정되어 결합된 볼트(1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인슐레이터 부재(114)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대략 원형의 디스크 형상으로 제작되고, 러버(rubber) 재질로 성형하여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인슐레이터 부재(114)는 링 코어(113)의 내측면에 고정되도록 링 코어(113)와 일체로 성형되고, 중앙에 지지 코어(115)가 인서트 된 상태가 되도록 성형되어 제작된다.
이러한 인슐레이터 부재(114)는 지지 코어(115)를 매개로 고정된 볼트(116)가 하방으로 길게 배치되도록 후크 컵(111)의 내부에 고정 설치된다.
또한, 자석 고정용 인슐레이터(112)의 하부면에는 그 하측으로 자석 어셈블리(118)가 적층된 상태로 볼트(116) 및 너트(117)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 볼트(116)는 자석 어셈블리(118)를 관통하도록 조립되고, 볼트(116)의 타단부에 상기 너트(117)가 체결됨으로써 자석 고정용 인슐레이터(112)와 자석 어셈블리(118)가 볼트(116) 및 너트(117)에 의해 서로 고정된다.
상기 자석 어셈블리(118)는, 상면부(119a)와 측면부(119b)를 가지면서 저부가 개방된 원형의 용기 형상을 가지는 상부 코어(119)와, 상기 상부 코어(119)의 상면부(119a) 하면에 적층된 자석(120)과, 상기 자석(120)의 하면에 적층된 하부 코어(121)와,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 코어(121)의 하면에 일체 고정된 스토퍼(1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 코어(119)는 원형으로 형성된 상면부(119a)의 가장자리 둘레 부분을 따라 하방으로 연장된 측면부(119b)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자석(120)은 소정 두께를 가지는 원형의 디스크 형상을 가지며, 하부 코어(121) 역시 소정 두께를 가지는 원형의 디스크 형상을 가지는바, 상기 상부 코어(119)의 상면부(119a) 하면에 자석(120)과 하부 코어(121)가 차례로 적층되어서 일체로 조립된다.
상기 상부 코어(119)와 자석(120), 하부 코어(121)의 결합을 위해 상부 코어(119)의 상면부(119a)와 자석(120), 하부 코어(121)의 중앙에는 각각 자석 고정용 인슐레이터(112)의 볼트(116)가 관통 삽입될 수 있는 볼트홀(119c,120a,121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 코어(119)와 하부 코어(121)는 스틸로 제작된 스틸 코어가 될 수 있고, 상기 하부 코어(121)의 하면에는 러버 재질의 스토퍼(122)가 일체로 성형된다.
상기 자석 어셈블리(118)는 자석 고정용 인슐레이터(112)의 하측으로 적층되어 결합되는데, 이때 상부 코어(119)의 상면부(119a)가 자석 고정용 인슐레이터(112)의 인슐레이터 부재(114)에 밀착된 상태가 되도록 적층된다.
또한, 후크 컵(111)의 내부에서 인슐레이터 부재(114)에 지지 코어(115)를 매개로 고정된 볼트(116)가 상부 코어(119), 자석(120), 하부 코어(121)의 볼트홀(119c,120a,121a)을 차례로 관통하도록 조립된다.
또한, 상부 코어(119), 자석(120), 하부 코어(121)의 볼트홀(119c,120a,121a)을 관통하는 볼트(116)의 단부에 너트(117)가 체결됨으로써 자석 어셈블리(118)가 자석 고정용 인슐레이터(112)에 완전히 일체화되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자석 고정용 인슐레이터(112)와 자석 어셈블리(118)가 볼트(116) 및 너트(117)에 의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후크 컵(111)의 내부에 자석 어셈블리(118)의 외경부를 따라 코일 어셈블리(123)가 조립된다.
이때, 자석(120)과 하부 코어(121)가 상부 코어(119)의 측면부(119b) 안쪽으로 위치되고, 상기 코일 어셈블리(123)의 코일(125)이 상기 자석(120)의 바깥쪽 주위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또한, 상기 코일(125)은 자석(120)과 정해진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를 위해 코일 어셈블리(123)는 전체적인 형상이 링 형상을 가지도록 구비되고, 링 형상을 가지는 지지 프레임(124)과, 상기 지지 프레임(124)에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설치된 코일(12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 프레임(124)은 링 형상의 하면부(124a)에 그 내경부와 외경부를 따라 내벽(124b)과 외벽(124c)이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형상을 가지며, 이때 상기 내벽(124b)과 외벽(124c)은 서로 나란하면서 하면부(124a)에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형성된 연속 벽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지지 프레임(124)의 내부공간, 즉 내벽(124b)과 외벽(124c) 사이의 공간에 코일(125)이 설치되고, 이때 코일(125)은 내벽(124b)의 안쪽 벽면을 따라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코일 어셈블리(123)는 후크 컵(111)의 내부에서 상기 자석 어셈블리(118)의 외경부를 따라 조립되고, 후크 컵(111)의 내부에 삽입될 때 외벽(124c)의 바깥쪽 벽면(즉, 외주면)이 후크 컵(111)의 내측면(즉,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가 되도록 삽입된다.
또한, 자석 어셈블리(118)에서 상부 코어(119)의 측면부(119b)가 상기 지지 프레임(124)의 내벽(124b)과 외벽(124c) 사이에 넣어지도록 조립되고, 상기 내벽(124b)은 자석 어셈블리(118)의 상부 코어(119)의 측면부(119b)와 자석(120) 및 하부 코어(121) 사이의 공간에 위치되도록 조립된다.
즉, 자석 어셈블리(118)에서는 상부 코어(119)의 측면부(119b) 내측으로 자석(120)과 하부 코어(121)가 일정 공간을 두고 위치되는데, 상부 코어(119)의 측면부(119b)와 자석(120) 및 하부 코어(121) 사이의 상기 일정 공간 내측으로 지지 프레임(124)의 내벽(124b)과 코일(125)이 넣어진다.
이에 따라, 코일 어셈블리(123)에서 지지 프레임(124)의 내벽(124b) 및 이 내벽(124b)에 설치된 코일(125)이, 자석 어셈블리(118)의 자석(120) 및 하부 코어(121)의 반경방향 외측 공간, 즉 상기 자석(120) 및 하부 코어(121)의 주변 바깥쪽 공간을 따라서 원형으로 배치되는 구조가 된다.
이때, 코일(125) 및 지지 프레임(124)의 내벽(124b)이 자석(120) 및 하부 코어(121)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또한, 코일 어셈블리(123)는 후크 컵(111) 내부에서 내측 후크(111b)에 걸리어 지지된 상태로 후크 컵(111)과 조립된 상태를 유지하는데, 지지 프레임(124)의 외벽(124c) 상단이 자석 고정용 인슐레이터(112)의 하부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지지 프레임(124)의 외벽(124c) 하단 및 하면부(124a)가 상기 후크 컵(111)의 내측 후크(111b) 위에 얹어진 상태로 지지된다.
즉, 후크 컵(111)의 내부에 코일 어셈블리(123)가 삽입된 상태일 때, 내측 후크(111b)의 상측으로 위치된 지지 프레임(124)이 상기 내측 후크(111b)에 하방으로 걸려 있는 상태가 되어 빠지지 않게 되어 있는바, 후크 컵(111) 내부에서 코일 어셈블리(123)가 조립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3에서 화살표를 따라 나열된 도면들 중 마지막 순서의 도면을 참조하면, 후크 컵(111)의 내측 후크(111b)에 코일 어셈블리(123)의 지지 프레임(124), 보다 상세하게는 지지 프레임(124)의 하면부(124a)가 후킹되어 있는 상태를 볼 수 있다.
이렇게 지지 프레임(124)을 포함한 코일 어셈블리(123) 전체가 후크 컵(111)에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내측 후크(111b)에 의해 지지 프레임(124)이 후킹되어 걸리어 있게 됨에 따라, 코일 어셈블리(123)는 물론, 볼트(116) 및 너트(117)에 의해 일체로 조립되어 있는 자석 어셈블리(118)와 자석 고정용 인슐레이터(112)까지 후크 컵(111)의 내부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게 된다.
즉, 코일 어셈블리(123)의 지지 프레임(124)이 후크 컵(111)의 내측 후크(111b)에 걸리어 있게 됨에 따라, 상기 지지 프레임(124)을 포함하는 코일 어셈블리(123)가 상기 자석 어셈블리(118) 및 자석 고정용 인슐레이터(112) 전체를 후크 컵(111)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게 조립 상태로 지지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코일 어셈블리(123) 중에서도 단단한 금속 등으로 제작될 수 있는 지지 프레임(124)에 후크 컵(111)의 내측 후크(111b)가 락킹 가능하게 걸려 있게 됨으로써, 후크 컵(111)과 자석 고정용 인슐레이터(112), 자석 어셈블리(118) 및 코일 어셈블리(123) 등 부품 간의 견고한 잠금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조립된 구동기 어셈블리(110)에 엔진과의 연결을 위한 서포트 브라켓(130)이 조립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액티브 엔진 마운트의 구동기 어셈블리(110)에 서포트 브라켓(130)을 장착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및 요부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액티브 엔진 마운트(100)의 서포트 브라켓(130)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서포트 브라켓(130)은 일측에 장착홀(131)이 형성되고, 타측에 엔진과 연결되는 엔진 장착판(132)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홀(131)의 주변 부분에 러버 어셈블리(140)와의 체결을 위한 복수 개의 체결단(133)이 돌출 형성된 구조로 구비된다.
도 6에서 잘 볼 수 있듯이, 상기 서포트 브라켓(130)의 장착홀(131)은 위쪽에서 아래쪽 방향으로 가면서 빼기구배각(약 0.5°)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 빼기구배각에 의해 서포트 브라켓(130)의 장착홀은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의 홀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서포트 브라켓(130)의 장착홀(131)의 내경부에서 그 하단부에는 바깥쪽을 향하여 직각 단면을 이루는 잠금홈(134)이 더 형성된다.
이렇게 구비된 서포트 브라켓(130)의 장착홀(131) 내에 상기와 같이 조립된 구동기 어셈블리(110)가 삽입 장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4 및 도 5에서 보듯이, 구동기 어셈블리(110)를 서포트 브라켓(130)의 장착홀(131)의 아래쪽 입구를 통해 위쪽으로 삽입하여 체결하되, 상기 후크 컵(111)의 하단부에 형성된 외측 후크(111c)가 상기 서포트 브라켓(130)의 장착홀(131) 내경 하단부에 형성된 잠금홈(134)에 완전히 끼워져 밀착 결합될 때까지 삽입 체결함으로써, 구동기 어셈블리(110)와 서포트 브라켓(130) 간의 조립이 이루어진다.
상기 서포트 브라켓(130)의 장착홀(131)에 구동기 어셈블리(110)를 삽입하게 되면, 외측 후크(111c)가 서포트 브라켓(130)의 잠금홈(134) 내측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동시에, 후크 컵(111)이 외측 후크(111c)에 의해 서포트 브라켓(130)의 장착홀(131) 내 조립 정위치에 멈춰있게 되면서 양측의 결합 상태가 유지되고, 서포트 브라켓(130)에서 후크 컵(111)의 잠금 상태(록킹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빼기구배 구조에 의해, 상기 서포트 브라켓(130)의 장착홀(131)에 구동기 어셈블리(110)가 일정 수준 이상 삽입되면, 구동기 어셈블리(110)의 후크 컵(111)이 서포트 브라켓(130)의 장착홀(131)에 자연스럽게 강제 압입되고, 이때 후크 컵(111)의 외측 후크(111c)가 서포트 브라켓(130)의 장착홀(131) 내 잠금홈(134) 내측으로 끼워짐으로써 서포트 브라켓(130)와 후크 컵(111) 사이의 잠금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후크 컵(111)이 서포트 브라켓(130)의 장착홀(131) 내에 강제 압입되는 효과가 있게 되고, 후크 컵(111)의 외측 후크(111c)가 잠금홈(134) 내측으로 결합될 때, 후크 컵(111)의 내측 후크(111b)는 구동기 어셈블리(110)를 견고하게 후킹한 상태로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상호 조립된 구동기 어셈블리(110)와 서포트 브라켓(130)은 러버 어셈블리(140)에 함께 조립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엔진 마운트(100)의 구동기 어셈블리(110) 및 서포트 브라켓(130)을 러버 어셈블리(140)에 조립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러버 어셈블리(140)는 상부가 개방된 하우징(141)과, 상기 하우징(141)의 내부에 배치되는 코어볼트(143)를 갖는 금속재인 이너 코어(142)와, 이너 코어(142)를 감싸면서 일체로 결합되는 동시에 하우징(141)의 바닥면에 일체로 결합되도록 가류 성형되는 메인 러버(1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너 코어(142)는 적어도 일부가 메인 러버(144)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로 메인 러버(144)의 골격체 역할을 하고, 상기 코어볼트(143)는 이너 코어(142)의 제작시에 이너 코어(142)의 내부에 일체로 내장된다.
이때, 코어볼트(143)는 하우징(141)의 바닥면에 형성된 홀을 통해 하우징(141)의 외부로 돌출된 구조로 되어 있고, 도 2에서 보듯이 하우징(141)에서 하측의 외부로 돌출된 코어볼트(143)는 차체와 결합되는 마운팅 브라켓(150)에 볼팅된다.
상기 마운팅 브라켓(150)은 러버 어셈블리(140)를 포함하여 엔진 마운트(100) 전체를 그 하측에서 지지하도록 차체에 결합되는 마운팅용 지지 브라켓이다.
상기 메인 러버(144)는 이너 코어(142)와 하우징(141)에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차량 주행 진동 및 엔진으로부터 입력되는 진동 등 X,Y,Z 방향의 3 방향 진동을 흡수 및 제거하는 제어를 하게 된다.
또한, 하우징(141)의 외경면에는 서포트 브라켓(130)의 체결단(133)과 볼트(145)를 매개로 결합되는 복수 개의 장착단(141a)이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이렇게 구비된 러버 어셈블리(140)에 상기와 같이 조립된 구동기 어셈블리(110) 및 서포트 브라켓(130)이 조립된다.
이를 위해, 도 2 및 도 6에서 보듯이, 구동기 어셈블리(110)를 서포트 브라켓(130)의 장착홀(131)에 삽입 장착시킨 상태에서, 구동기 어셈블리(110)를 러버 어셈블리(140)의 상측에 위치시키는 동시에, 러버 어셈블리(140)의 하우징(141)에 형성된 장착단(141a)을 서포트 브라켓(130)의 체결단(133)에 밀착 및 접합시켜 일치시킨 다음, 장착단(141a)과 체결단(133)에 볼트(145)를 관통 삽입하고 이 볼트(145)에 너트(146)를 체결함으로써, 러버 어셈블리(140)에 대하여 구동기 어셈블리(110)와 서포트 브라켓(130)가 일체로 결합 및 조립될 수 있게 된다.
도 2는 구동기 어셈블리(110)와 서포트 브라켓(130)이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러버 어셈블리(140)와는 결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구동기 어셈블리(110) 및 서포트 브라켓(130)을 러버 어셈블리(140)와 분리된 상태로 나타내고 있다.
도 2에서 도면부호 141b는 러버 어셈블리(140)의 하우징(141) 내부에 물이 고여 있지 않도록 하우징(141) 내부에서 외부로 물을 배출하는 드레인홀을 지시하며, 이 드레인홀(141b)은 하우징(141) 하부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액티브 엔진 마운트(100)의 조립 상태 및 동작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액티브 엔진 마운트(100)에서 발전 작동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진동을 제어하는 액티브 엔진 마운트(100)로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구동기 어셈블리(110)가 서포트 브라켓(130)에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그 하측에 위치하도록 러버 어셈블리(140)를 배치한 뒤, 상기 러버 어셈블리(140)의 하우징(141)을 상측의 서포트 브라켓(130)에 볼트(145) 및 너트(146)로 체결함으로써, 상기 구동기 어셈블리(110)와 서포트 브라켓(130), 그리고 러버 어셈블리(140)가 모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동기 어셈블리(110)의 구성 중, 자석 어셈블리(118)의 하부 코어(121)의 하면에는 러버 재질의 스토퍼(122)가 링 형상으로 일체 성형되어 고정되는데, 상기 스토퍼(122)는 러버 어셈블리(140)의 하우징(141) 내측에 위치하는 메인 러버(144)의 상부에 적층된 상태로 위치된다.
이러한 스토퍼(122)는 하측의 메인 러버(144)에 접촉된 상태에서 구동기 어셈블리(110)와 러버 어셈블리(140) 사이에 힘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렇게 본 발명의 액티브 엔진 마운트(100)가 차체와 엔진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러버 어셈블리(140)의 메인 러버(144)(3방향 러버 특성을 나타냄)는, 차량 주행 진동 및 엔진으로부터 입력되는 진동 등 X,Y,Z 방향의 3방향 진동을 흡수 및 제거하는 제어를 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티브 엔진 마운트(100)에서 서포트 브라켓(130)에 일체로 결합된 상측의 구동기 어셈블리(110)는, 일정 수준 이상의 중량을 가지는 중량물이므로, 그 중량(질량)에 의해 서포트 브라켓(130)에 일체로 구비된 매스 댐퍼의 역할을 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액티브 엔진 마운트(100)에서 상측에 위치하는 구동기 어셈블리(110)가 서포트 브라켓(130)에서 중량물로 작용하므로 서포트 브라켓(130)의 매스 댐퍼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구동기 어셈블리(110)의 자석 고정용 인슐레이터(112)에 포함된 인슐레이터 부재(114)는 바운스 모드(bounce mode)에 맞추어 특성이 설정될 수 있고, 구동기 어셈블리(110)의 자석 어셈블리(118)에 포함된 러버 재질의 스토퍼(122)와 러버 어셈블리(140)의 메인 러버(144) 등 엔진 마운트(100) 내 러버의 특성이 조정될 수 있다.
이때, 주행 진동 모드(즉, 바운스 모드)에서 설정된 주파수대로 하측 러버 어셈블리(140)의 이너 코어(142) 및 메인 러버(144) 등 부품에 진동이 발생하여 부품의 상하 움직임이 나타나면, 스토퍼(122)를 통해 구동기 어셈블리(110)로 전달되는 힘을 자석 어셈블리(118)의 자석(120) 등이 전달받으면서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도 8 참조).
이와 같이 자석 어셈블리(118)의 자석(120)이 반복적으로 상하로 움직일 때, 코일(125)과의 상호 작용으로 전기에너지가 생성되고, 이때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125)을 통해 외부로 전류가 출력되는 발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자석 어셈블리(118)의 자석(120)과 코어(도 2에서 도면부호 '119','121'임)가 다이내믹 댐퍼 역할을 수행하면서 상하로 움직이는 동안 코일 어셈블리(123)의 코일(125)에 유도 전류를 발생시켜 발전이 이루어지고, 결국 마운트(100)는 발전기의 기능을 동시에 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발전 작동을 통해 코일 어셈블리(123)의 코일(125)로부터 이 코일(125)에 전기 접속된 도선(126)을 통해 전류가 출력될 때, 그 전기에너지가 외부로 연결된 상기 도선(126)을 통해 차량 내 배터리(127)에 공급 및 저장되어 배터리의 충전이 이루어지고, 이렇게 배터리에 저장된 전기에너지는 이후 차량 내에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터리(127)의 전류를 상기 도선(126)을 통해 코일(125)에 인가할 경우, 코일(125)과의 상호 작용으로 자석(120)을 포함하는 자석 어셈블리(118)에는 진동이 발생하는데, 이때 외부에서 액티브 엔진 마운트(100)로 전달되는 진동과는 반대 위상의 진동이 상기 자석 어셈블리(118)에서 발생한다.
즉, 자석 어셈블리(118)의 자석(120)과 코어(도 7에서 도면부호 '119','121'임)가 상하로 움직이면서 진동을 제어하는 액티브 마운트(100)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며, 이때 자석(120)의 중량으로 인해 주로 저주파 진동에 대해서만 액티브 마운트(100)로 작동하게 된다.
구동기 어셈블리(110)의 중량이 크기 때문에 주로 저주파 진동의 제어가 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티브 엔진 마운트(100)는 진동을 제어하는 본래의 액티브 마운트 기능과 더불어 매스 댐퍼 및 발전기의 기능까지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은 차체(160)에 엔진 마운트(100)를 장착하고 엔진 마운트(100)를 엔진(170)과 연결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으로, 러버 어셈블리(140)의 코어볼트(143)에 체결된 마운팅 브라켓(150)을 차체(140)(예를 들면, 사이드 멤버)에 조립한 상태에서, 일체로 결합된 구동기 어셈블리(110)와 서포트 브라켓(130)을 상기 러버 어셈블리(140)에 조립한다.
이어 서포트 브라켓(130)의 엔진 장착판(132)을 엔진(170)에 볼팅하고, 서포트 브라켓(130)과 러버 어셈블리(140)의 하우징(141)을 볼트(145) 및 너트(146)로 체결함으로써, 본 발명의 액티브 엔진 마운트(100) 조립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엔진 마운트(100)에서는 상부에 구동기 어셈블리(110)가 위치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종래 엔진 마운트(즉, 역상형이 아닌, 엔진 마운트 하부에 구동기가 설치된 일반 액티브 마운트)와 비교하여, 마운트 하측의 타이어 및 차체에 의한 간섭 등 종래 패키지 레이아웃의 문제가 해결될 수 있고, 구동기 어셈블리 사이즈 등에 대한 자유도가 확보될 수 있으므로 패키지 레이아웃의 측면에서 유리함이 있게 된다.
또한, 서포트 브라켓(130)에 구동기 어셈블리(110)의 중량이 작용함으로써, 구동기 어셈블리(110)가 매스 댐퍼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고, 따라서 NVH 성능이 개선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구동기 어셈블리(110)의 중량이 파워트레인(power train) 바운스(약 10Hz) 모드에 대한 다이나믹 댐퍼 역할을 수행하므로 주행시 진동이 개선될 수 있고, 유체 시스템의 삭제가 가능해진다.
특히, 구동기 어셈블리(110)에서 자석(120) 및 코어(119,121) 등의 중량을 지지하는 인슐레이터 부재(114)의 특성을 조절하여, 구동기 어셈블리(110)가 파워 트레인 바운스 모드에서 다이나믹 댐퍼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유체 시스템을 삭제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상형 액티브 엔진 마운트(100)와 종래의 러버 마운트(100) 및 유체 마운트(100)의 특성을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역상형 액티브 엔진 마운트(100)에서는 유체 시스템이 삭제되므로 유체 시스템으로 인한 종래의 문제점이 개선될 수 있게 된다.
즉, 구동기 어셈블리(110)가 다이나믹 댐퍼 역할을 수행하여 유체 시스템이 삭제되더라도 주행 진동을 개선할 수 있게 되고, 복잡한 유체 시스템의 제거로 인해 원가 절감의 이점이 있는 것은 물론, 유체 시스템이 구동기 시스템으로 대체되면서 마운트 시스템의 강건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유체 실링 등의 제작성에 대한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고, 유체 시스템에서 발생하던 이음의 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
종래의 액티브 엔진 마운트에서는 유체 시스템을 통해 힘을 전달했기 때문에 메인 러버에 대한 힘 전달이 확실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액티브 엔진 마운트(100)에서는 유체 시스템을 제거한 상태에서 러버와 러버의 접촉, 특히 러버 재질의 스토퍼(122)와 메인 러버(144)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한 힘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유체 특성을 가지게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엔진 마운트 조립시에 구동기 어셈블리(110)의 스토퍼(122)와 러버 어셈블리(140)의 메인 러버(144)가 압축상태로 접촉하도록 조립되고, 이렇게 압축상태에서 힘의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바, 구동기 어셈블리(110)가 다이나믹 댐퍼의 역할을 할 수 있고, 결국 유체 시스템의 삭제가 가능해진다.
이때, 러버와 러버의 접촉 및 압축으로 상호 힘의 평형을 이룰 수 있도록 하여 조립 후 구동기 어셈블리의 이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액티브 엔진 마운트(100)에서는 구동기 어셈블리(110)와 러버 어셈블리(140)를 분리하여 구성하므로 튜닝 자유도의 향상이 가능하고, 메인 러버(144)와 서포트 브라켓(130), 그 밖의 부품들의 자유로운 조합에 의해 최적의 특성 튜닝이 가능해진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액티브 엔진 마운트(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진동을 제어하는 본래의 액티브 마운트 기능 및 상기한 매스 댐퍼 기능과 더불어 발전기의 기능을 가지는 발전기 융합형 마운트(100)이다.
따라서, 차량에 구비되는 알터네이터의 용량 축소가 가능하고, 그에 따른 원가 절감 및 중량 저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밖에 서포트 브라켓(130)의 분리가 가능한 역상형 구조로 인해 튜닝의 자유도가 증대되고, 서포트 브라켓(130)만의 추가 개선이 가능하며, 시험 평가 결과 전반적인 진동 및 소음 개선, 마운트 하향에 따른 경사 진동 개선의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 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00 : 엔진 마운트 110 : 구동기 어셈블리
111 : 후크 컵 111a : 지지기둥
111b : 내측 후크 111c : 외측 후크
112 : 자석 고정용 인슐레이터 113 : 링 코어
114 : 인슐레이터 부재 115 : 지지 코어
116 : 볼트 117 : 너트
118 : 자석 어셈블리 119 : 상부 코어
119a : 상면부 119b : 측면부
119c : 볼트홀 120 : 자석
120a : 볼트홀 121 : 하부 코어
121a : 볼트홀 122 : 스토퍼
123 : 코일 어셈블리 124 : 지지 프레임
124a : 하면부 124b : 내벽
124c : 외벽 125 : 코일
126 : 도선 127 : 배터리
130 : 서포트 브라켓 131 : 장착홀
132 : 엔진 장착판 133 : 체결단
134 : 잠금홈 140 : 러버 어셈블리
141 : 하우징 141a : 장착단
141b : 드레인홀 142 : 이너 코어
143 : 코어볼트 144 : 메인 러버
145 : 볼트 146 : 너트
150 : 마운팅 브라켓 160 : 차체
170 : 엔진

Claims (13)

  1. 엔진에 연결되는 서포트 브라켓;
    상기 서포트 브라켓에 일체로 결합되고 전자기 상호 작용하는 자석과 코일을 가지는 구동기 어셈블리; 및
    마운팅 브라켓에 의해 차체에 장착되고 메인 러버를 통해 진동을 흡수하는 러버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러버 어셈블리의 상측에 구동기 어셈블리가 위치된 상태로 러버 어셈블리의 하우징이 상기 서포트 브라켓에 체결되고,
    상기 자석이 러버 어셈블리의 메인 러버에 힘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액티브 엔진 마운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 어셈블리는
    상기 서포트 브라켓에 형성된 장착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후크 컵;
    상기 후크 컵 내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코일을 포함하는 코일 어셈블리;
    상기 자석을 포함하는 자석 어셈블리; 및
    상기 자석 어셈블리를 후크 컵에서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자석 고정용 인슐레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액티브 엔진 마운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후크 컵의 하단부에는 복수 개의 지지기둥이 형성되고, 상기 각 지지기둥의 외면에는 서포트 브라켓의 장착홀에 형성된 잠금홈에 삽입되어 걸림으로써 서포트 브라켓에 후크 컵이 체결되도록 하는 외측 후크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액티브 엔진 마운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각 지지기둥의 내면에는 코일 어셈블리를 후킹하여 후크 컵에 고정하는 내측 후크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액티브 엔진 마운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기둥은 후크 컵의 하단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정해진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외측 후크와 내측 후크가 상기 각 지지기둥의 하단부 외면과 내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액티브 엔진 마운트.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장착홀의 내경부 하단부에 상기 잠금홈이 형성되고, 상기 각 지지기둥의 하단부 외면에 상기 외측 후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액티브 엔진 마운트.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장착홀은 위쪽에서 아래쪽 방향으로 가면서 빼기구배각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액티브 엔진 마운트.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자석 고정용 인슐레이터는
    상기 후크 컵 내측에 고정되는 링 코어;
    상기 링 코어 내측에 고정되는 인슐레이터 부재;
    상기 인슐레이터 부재의 중앙에 인서트 되어 고정되는 지지 코어; 및
    상기 지지 코어에 일단부가 결합된 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인슐레이터 부재의 하측으로 자석 어셈블리가 적층되며,
    상기 볼트가 자석 어셈블리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볼트의 타단부에 너트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자석 고정용 인슐레이터와 자석 어셈블리가 상기 볼트 및 너트에 의해 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액티브 엔진 마운트.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자석 어셈블리는
    상기 자석 고정용 인슐레이터 하측으로 적층되는 상부 코어;
    상기 상부 코어 하측으로 적층되는 상기 자석;
    상기 자석 하측으로 적층되는 하부 코어; 및
    상기 하부 코어에 고정되어 러버 어셈블리의 메인 러버에 힘 전달 가능하게 접촉하도록 된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액티브 엔진 마운트.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자석 고정용 인슐레이터는 후크 컵 내부에서 하방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볼트가 상기 상부 코어, 자석 및 하부 코어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볼트의 단부에 너트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자석 고정용 인슐레이터와 자석 어셈블리가 상기 볼트 및 너트에 의해 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액티브 엔진 마운트.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상부 코어는 상면부와 측면부를 가지면서 저부가 개방된 원형의 용기 형상을 가지며,
    상기 상부 코어의 측면부 안쪽으로 상기 자석과 하부 코어가 위치되고,
    상기 자석의 바깥쪽 주위를 따라 상기 코일 어셈블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액티브 엔진 마운트.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코일 어셈블리는
    링 형상을 가지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에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설치된 상기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액티브 엔진 마운트.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링 형상의 하면부;
    상기 하면부의 외경부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후크 컵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외벽; 및
    상기 하면부의 내경부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외벽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내벽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의 내벽과 외벽 사이의 공간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코일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액티브 엔진 마운트.
KR1020180096546A 2018-08-20 2018-08-20 자동차용 액티브 엔진 마운트 KR102575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546A KR102575424B1 (ko) 2018-08-20 2018-08-20 자동차용 액티브 엔진 마운트
US16/159,949 US10899216B2 (en) 2018-08-20 2018-10-15 Active engine mount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546A KR102575424B1 (ko) 2018-08-20 2018-08-20 자동차용 액티브 엔진 마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153A true KR20200021153A (ko) 2020-02-28
KR102575424B1 KR102575424B1 (ko) 2023-09-05

Family

ID=69524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6546A KR102575424B1 (ko) 2018-08-20 2018-08-20 자동차용 액티브 엔진 마운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899216B2 (ko)
KR (1) KR1025754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1392B1 (ko) * 2021-07-15 2021-12-20 평화산업주식회사 공정단순화 및 경량화 구현을 위한 엔진마운트
CN113944715A (zh) * 2021-11-09 2022-01-18 上海交通大学 多自由度主被动隔振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1632A (ko) * 2020-03-31 2021-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엔진마운트
KR20210125645A (ko) * 2020-04-08 2021-10-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 마운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1186A (ja) * 2000-07-18 2002-01-31 Nok Vibracoustic Kk アクティブマウント
JP2004232708A (ja) * 2003-01-29 2004-08-19 Toyo Tire & Rubber Co Ltd 液体封入式防振装置
JP2005155900A (ja) * 2003-11-04 2005-06-16 Toyo Tire & Rubber Co Ltd 能動型液封入式防振装置
US20170291464A1 (en) * 2016-04-11 2017-10-12 Beijingwest Industries, Co., Ltd. Top Mount Assembly Having Adjustable Damping Characteristic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03028A1 (de) * 1990-10-12 1992-04-16 Boge Ag Elastisches gummilager
JPH1038020A (ja) * 1996-07-26 1998-02-13 Tokai Rubber Ind Ltd 制振器
KR20050054170A (ko) 2003-12-04 2005-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능동 다이내믹 댐퍼 시스템
JP2008095930A (ja) 2006-10-16 2008-04-24 Bridgestone Corp 防振装置
KR101230554B1 (ko) 2010-12-16 2013-02-07 주식회사 만도 발전 기능을 갖는 쇽업소버
JP5719704B2 (ja) * 2011-06-30 2015-05-20 住友理工株式会社 流体封入式能動型防振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1186A (ja) * 2000-07-18 2002-01-31 Nok Vibracoustic Kk アクティブマウント
JP2004232708A (ja) * 2003-01-29 2004-08-19 Toyo Tire & Rubber Co Ltd 液体封入式防振装置
JP2005155900A (ja) * 2003-11-04 2005-06-16 Toyo Tire & Rubber Co Ltd 能動型液封入式防振装置
US20170291464A1 (en) * 2016-04-11 2017-10-12 Beijingwest Industries, Co., Ltd. Top Mount Assembly Having Adjustable Damping Characteristic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1392B1 (ko) * 2021-07-15 2021-12-20 평화산업주식회사 공정단순화 및 경량화 구현을 위한 엔진마운트
CN113944715A (zh) * 2021-11-09 2022-01-18 上海交通大学 多自由度主被动隔振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899216B2 (en) 2021-01-26
KR102575424B1 (ko) 2023-09-05
US20200055384A1 (en) 2020-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21153A (ko) 자동차용 액티브 엔진 마운트
EP0131835B1 (en) In-tank fuel feed pump supporting device
CN109070830B (zh) 耦联设备、组件和车辆的具有这种耦联设备的车辆方向盘
US9322450B2 (en) Torque rod
US10773584B2 (en) Engine mount for vehicle
EP1681180B1 (en) Strut mount
US9382961B2 (en) Vibration damping device
JP6532367B2 (ja) ブラケット付き筒形防振装置
US20080136074A1 (en) Active vibration isolation support system
KR20140001713A (ko) 유체 봉입형 마운트
US11707958B2 (en) Insulator for vehicle suspens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1098785B2 (en) Mount for vehicle
JPWO2012147524A1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構造
KR101673625B1 (ko) 차량용 엔진 마운트
JP2009243503A (ja) ストラットマウント
KR20120051447A (ko) 차량용 엔진마운트
JPH07280034A (ja) 防振装置
JP2012127366A (ja) 防振装置
JP2009144845A (ja) 防振装置
KR101905567B1 (ko) 차량의 언더 커버 장착유닛
US20230332661A1 (en) Powertrain mount with integrated tuned mass damper
JP2016138610A (ja) エンジンマウント組立体
KR20190138001A (ko) 차량용 마운트 어셈블리
CN210881658U (zh) 发动机支架
KR102514694B1 (ko) 탑차용 태양광 발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