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3625B1 - 차량용 엔진 마운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엔진 마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3625B1
KR101673625B1 KR1020110084320A KR20110084320A KR101673625B1 KR 101673625 B1 KR101673625 B1 KR 101673625B1 KR 1020110084320 A KR1020110084320 A KR 1020110084320A KR 20110084320 A KR20110084320 A KR 20110084320A KR 101673625 B1 KR101673625 B1 KR 101673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core
rear direction
stopper
integrally formed
engine 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4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1825A (ko
Inventor
윤형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4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3625B1/ko
Publication of KR20130021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1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3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3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B60K5/1208Resilient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B60K5/1283Adjustable supports, e.g. the mounting or the characteristics being adjus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3/00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 F16F13/04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 F16F13/06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 F16F13/08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the plastics spring forming at least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 F16F13/14Units of the bushing type, i.e. loaded predominantly radi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3/00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 F16F13/04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 F16F13/06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 F16F13/08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the plastics spring forming at least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 F16F13/14Units of the bushing type, i.e. loaded predominantly radially
    • F16F13/1445Units of the bushing type, i.e. loaded predominantly radially characterised by method of assembly, production or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엔진 마운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후방향 변위 제어를 위한 전후 스토퍼의 고무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2-피스(PIECE) 금형으로 제작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차량용 엔진 마운트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인너코어를 제1인너코어와 제2인너코어로 분리하여 별도의 가류 성형 공정을 거친 후, 상호 조립하여, 전후방향 스토퍼의 고무량 및 완충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2-피스 금형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구조의 차량용 엔진 마운트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엔진 마운트{Engine moun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엔진 마운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후방향 변위 제어를 위한 전후 스토퍼의 고무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2-피스(PIECE) 금형으로 제작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차량용 엔진 마운트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차량의 엔진 구동시 엔진룸에서 차체를 통해 실내로 전달되는 진동 소음과, 엔진 진동에 따른 엔진의 흔들림을 잡아주는 수단으로서, 방진기능을 가지는 엔진마운트가 엔진과 차체 사이에 설치되고 있으며, 대개 엔진마운트는 고무재를 이용한 인슐레이터를 포함하는 동시에 점성을 갖는 액체가 봉입되어 진동감쇠력을 갖는 구조로 제작되고 있다.
첨부한 도 6을 참조로 종래의 엔진 마운트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엔진 마운트는, 상단부에는 볼트 체결단(102)이 형성되고, 둘레부분에 스토퍼 성형단(104)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하단에는 인슐레이터 성형 브릿지(106)가 일체로 형성된 인너코어(100)와; 인너코어(100)의 볼트 체결단(102)의 둘레면과, 스토퍼 성형단(104)의 외표면과, 인슐레이터 성형 브릿지(106)의 표면에 걸쳐서, 가류 성형 공정에 의하여 일체로 성형되는 고무 재질의 인슐레이터(110)와; 고무로 가류 성형된 인너코어(100)의 둘레부를 감싸면서 씌워지는 하우징(120)과; 인슐레이터(110)의 저면에 일체로 성형된 고정 플레이트(112)와; 하우징(120)의 상단에 일체로 조립되어 인너코어(100)의 스토퍼 성형단(104)이 위쪽으로 이탈시 차단해주는 상하스토퍼(130)와; 하우징(120)의 하단과 고정 플레이트(112)의 상단 간이 밀착된 부분을 조여주며 결합시키는 마운팅 브라켓(140);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인슐레이터(110)의 구성중 인너코어(100)의 스토퍼 성형단(104)에 일체로 성형되는 부분은 전후방향 스토퍼(114)가 되고, 인슐레이터(110)의 하단부에는 고무량이 가장 많은 부분으로서 상하방향 진동을 완충시키는 부분이 되며, 고무량이 가장 많기 때문에 내구 강성을 위하여 그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배열되는 중철(116)이 일체로 성형된다.
따라서, 상기 인너코어(100)의 볼트 체결단(102)에 체결되어 위쪽으로 돌출되는 볼트(108)를 엔진쪽에 연결하고, 마운팅 브라켓(140)을 차체쪽에 조립함으로써, 엔진 마운트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러한 종래의 엔진 마운트의 기능 중, 차량 충돌시 인슐레이터(110)의 상단부가 찢어지면서 인너코어(100)가 위쪽으로 뽑혀져 나갈 수 있는데, 첨부한 도 6에서 보듯이 인너코어(100)의 스토퍼 성형단(104)이 상하스토퍼(130)에 걸리게 되어, 인너코어(100)의 이탈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엔진 진동시, 전후방향 대변위가 발생하게 되면, 인슐레이터(110)의 구성중 인너코어(100)의 스토퍼 성형단(104)에 일체로 된 전후방향 스토퍼(114)가 하우징(120)의 벽면에 닿으면서 충격을 완충하는 동시에 전후방향 대변위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엔진 마운트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첨부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엔진 마운트는 금형 가격이 비싼 3-피스(piece) 금형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즉, 충돌시 이탈 방지를 위한 인너코어(100)의 스토퍼 성형단(104) 및 인슐레이터(110)의 전후방향 스토퍼(114)가 단면 구조상 수평배열을 이루기 때문에 수평 이송되는 좌형 및 우형을 사용할 수 밖에 없고, 또한 인슐레이터(110)의 하단부를 성형하기 위한 하형까지 총 3개로 된 3-피스 금형을 사용할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다시 말해서, 인너코어(100)의 스토퍼 성형단(104) 및 인슐레이터(110)의 전후방향 스토퍼(114)가 단면 구조상 수평배열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상하방향으로 금형빼기가 이루어지는 상형 및 하형으로 구성된 2-피스 금형을 배제한 채, 좌우방향으로 금형빼기가 용이한 좌형 및 우형을 사용할 수 밖에 없고, 또한 인슐레이터(110)의 하단부에 일체로 성형되는 중철(116)이 수평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더욱 좌우방향으로 금형빼기가 용이한 좌형 및 우형을 사용할 수 밖에 없으며, 또한 인슐레이터(110)의 하단부를 성형하기 위한 하형까지 총 3개로 된 고가의 3-피스 금형을 사용할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또 다른 단점으로서, 험로 가감속시 엔진마운트의 전후방향 감쇠력이 과대하여, 인슐레이터(110)의 상단부 즉, 인너코어(100)의 스토퍼 성형단(104)에 일체로 성형된 전후방향 스토퍼(114)가 쉽게 찢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인너코어를 제1인너코어와 제2인너코어로 분리하여 별도의 가류 성형 공정을 거친 후, 상호 조립하여, 전후방향 스토퍼의 고무량 및 완충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2-피스 금형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구조의 차량용 엔진 마운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엔진 연결용 볼트가 체결되는 제1인너코어와; 상기 제1인너코어의 둘레면에 일체로 가류 성형되는 전후방향 스토퍼와; 제1인너코어의 저부와 볼트 결합되는 제2인너코어와; 상기 제2인너코어의 둘레면에 일체로 가류 성형되는 메인 인슐레이터와; 전후방향 스토퍼 및 메인 인슐레이터를 감싸는 하우징과; 인슐레이터의 저면에 일체로 성형된 고정 플레이트와; 하우징의 하단과 메인 인슐레이터의 저면에 일체로 성형된 고정 플레이트의 상단 간이 밀착된 부분을 조여주며 결합시키는 마운팅 브라켓;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엔진 마운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인너코어는 상부에 엔진 연결용 볼트가 체결되는 상부 볼트체결단이 형성되고, 볼트 체결단의 하단 둘레면에 전후방향 스토퍼를 성형하기 위한 수직 절곡형의 스토퍼 성형단이 일체로 형성되며, 하부에는 제2인너코어와의 결합을 위한 하부 볼트체결단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제작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후방향 스토퍼는 제1인너코어의 수직 절곡된 스토퍼 성형단의 수직단 외표면에 일체로 성형되고, 수직단의 상하방향 길이를 임의로 조절하여 전후방향 스토퍼의 진동 감쇠를 위한 완충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인너코어는 제1인너코어의 하부 볼트체결단이 삽입되는 안착구가 상면에 형성되고, 안착구의 하단에는 안착구의 외표면과 함께 메인 인슐레이터의 가류 성형을 위한 브릿지가 연장 형성된 구조로 제작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인슐레이터의 내부에는 수직방향으로 배열되는 중철이 일체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너코어를 제1인너코어와 제2인너코어로 분리 구비한 후, 2-피스 금형을 이용한 별도의 가류 성형 공정을 통하여 제1인너코어에 전후방향 스토퍼를 일체로 성형하고, 제2인너코어에 메인 인슐레이터를 일체로 성형한 다음, 제1 및 제2인너코어를 볼트로 상호 조립함으로써, 전후방향 스토퍼의 고무량 및 완충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2-피스 금형으로도 용이하게 엔진 마운트를 제작할 수 있다.
즉, 인너코어를 제1 및 제2인너코어로 분리하여 고무로 인슐레이터를 가류 성형할 때, 메인 인슐레이터내에 중철을 수직방향으로 배열하면서 기존의 3-피스 금형에 비하여 저렴하고 단순한 2-피스 금형을 이용하여 인슐레이터의 가류 성형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인너코어의 스토퍼 성형단의 수직단 외면적을 증대시켜 고무량을 증가시킨 전후방향 스토퍼를 성형할 수 있으므로, 충돌시와 같은 충격시에도 전후방향 스토퍼가 받는 하중이 줄어들어 찢어지는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전후방향 스토퍼의 증대가 가능하며, 이는 엔진마운트의 전체적인 사이즈 증대없이 기존의 엔진마운트와 동일한 사이즈에서 증대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엔진 마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엔진 마운트의 조립 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엔진 마운트의 조립 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종래의 엔진 마운트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종래의 엔진 마운트 제작 과정을 설명하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1인너코어(10) 및 제1인너코어(10)에 일체로 가류 성형되는 전후방향 스토퍼(34)를 별도로 구비하고, 제2인너코어(20) 및 제2인너코어(20)에 일체로 가류 성형되는 메인 인슐레이터(30)를 별도로 구비한 다음, 제1 및 제2인너코어(10,20)를 체결볼트(44)로 상호 결합시킴으로써, 단순한 2-피스 금형을 이용하여 인슐레이터의 가류 성형을 진행할 수 있고, 제1인너코어에 일체로 성형되는 전후방향 스토퍼의 완충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점에 주안점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인너코어(10)는 상부에 엔진 연결용 볼트(12)가 체결되도록 볼트홀을 갖는 상부 볼트체결단(14)이 형성되고, 상부 볼트체결단(14)의 하단 둘레면에는 전후방향 스토퍼(34)를 가류 성형하기 위한 수직 절곡형의 스토퍼 성형단(16)이 일체로 형성되며, 하부에는 제2인너코어(20)와의 결합을 위한 하부 볼트체결단(18)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별도 제작 구비된다.
이때, 상형 및 하형으로 이루어진 2-피스 금형내에 제1인너코어(10)를 배치한 다음, 제1인너코어(10)의 상부 볼트체결단(14)의 둘레면과, 수직 절곡형의 스토퍼 성형단(16) 중 수직단(17)의 외표면에 걸쳐 고무가 가류 성형되며, 스토퍼 성형단(16)의 수직단(17)의 외표면에는 성형되는 고무는 전후방향 스토퍼(34)가 된다.
특히, 상기 제1인너코어(10)의 스토퍼 성형단(16)의 수직단(17) 외면적을 증대시켜 즉, 제1인너코어(10)를 제작할 때 수직단(17)을 증대된 면적의 것으로 채택하여, 고무량을 증가시킨 전후방향 스토퍼(34)를 성형할 수 있고, 이에 충돌시와 같은 충격시에도 전후방향 스토퍼(34)가 받는 하중이 줄어들어 찢어지는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등, 전후방향 스토퍼(34)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인너코어(20)는 제1인너코어(10)의 하부 볼트체결단(18)이 삽입되는 오목한 형태이면서 볼트홀이 형성된 안착구(22)가 상부에 형성되고, 안착구(22)의 하단에는 안착구(22)의 외표면과 함께 메인 인슐레이터(30)의 가류 성형을 위한 브릿지(24)가 연장 형성된 구조로 별도 제작 구비된다.
마찬가지로, 상형 및 하형으로 이루어진 2-피스 금형내에 제2인너코어(20) 및 중철(36)를 배치한 다음, 제2인너코어(20)의 둘레면에 고무를 가류 성형하여 메인 인슐레이터(30)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메인 인슐레이터(30)는 제2인너코어(20)의 안착구(22) 외표면과 안착구(22)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브릿지(24)의 외표면에 일체로 성형된다.
또한, 상기 중철(36)은 상하방향으로 이송되는 2-피스 금형내에 수직방향으로 배열되어, 메인 인슐레이터(30)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배열되며 일체로 성형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제1인너코어(10) 및 제1인너코어(10)에 일체로 가류 성형되는 전후방향 스토퍼(34)를 별도로 구비하고, 제2인너코어(20) 및 제2인너코어(20)에 일체로 가류 성형되는 메인 인슐레이터(30)를 별도로 구비한 다음, 첨부한 도 4에서 보듯이 제1인너코어(10)의 하부 볼트체결단(18)과 제2인너코어(20)의 안착구(22)가 상호 밀착된 상태에서 체결볼트(44)로 상호 결합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전후방향 스토퍼(34) 및 메인 인슐레이터(30)이 감싸여지는 방식으로 하우징(40)을 압입 체결하되, 전후방향 스토퍼(34)의 상면에 걸쳐지게 하우징(40)을 압입 체결한 후, 하우징(40)의 하단과 메인 인슐레이터(30)의 저면에 일체로 성형된 고정 플레이트(32)의 상단 간이 밀착된 부분에 마운팅 브라켓(42)을 컬링(curling) 공정을 이용하여 조여주며 결합시키게 됨으로써, 첨부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엔진 마운트가 완성된다.
따라서,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엔진 진동시, 전후방향 대변위가 발생하게 되면, 제1인너코어(10)의 수직단(17)에 일체로 성형된 전후방향 스토퍼(34)가 고무량 증가로 완충 면적이 증대된 상태이므로, 전후방향 스토퍼(114)가 하우징(120)의 벽면에 닿으면서 전후방향 대변위에 따른 충격을 용이하게 완충할 수 있다.
10 : 제1인너코어
12 : 엔진 연결용 볼트
14 : 상부 볼트체결단
16 : 스토퍼 성형단
17 : 수직단
18 : 하부 볼트체결단
20 : 제2인너코어
22 : 안착구
24 : 브릿지
30 : 메인 인슐레이터
32 : 고정 플레이트
34 : 전후방향 스토퍼
36 : 중철
40 : 하우징
42 : 마운팅 브라켓
44 : 체결볼트

Claims (5)

  1. 엔진 연결용 볼트(12)가 체결되는 제1인너코어(10)와;
    상기 제1인너코어(10)의 둘레면에 일체로 가류 성형되는 전후방향 스토퍼(34)와;
    제1인너코어(10)의 저부와 볼트 결합되는 제2인너코어(20)와;
    상기 제2인너코어(20)의 둘레면에 일체로 가류 성형되는 메인 인슐레이터(30)와;
    전후방향 스토퍼(34) 및 메인 인슐레이터(30)를 감싸는 하우징(40)과;
    메인 인슐레이터(30)의 저면에 일체로 성형된 고정 플레이트(32)와;
    하우징(40)의 하단과 메인 인슐레이터(30)의 저면에 일체로 성형된 고정 플레이트(32)의 상단 간의 밀착된 부분을 조여주며 결합시키는 마운팅 브라켓(42);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엔진 마운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인너코어(10)는 상부에 엔진 연결용 볼트(12)가 체결되는 상부 볼트체결단(14)이 형성되고, 상부 볼트체결단(14)의 하단 둘레면에 전후방향 스토퍼(34)를 성형하기 위한 수직 절곡형의 스토퍼 성형단(16)이 일체로 형성되며, 하부에는 제2인너코어(20)와의 결합을 위한 하부 볼트체결단(18)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제작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엔진 마운트.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향 스토퍼(34)는 제1인너코어(10)의 수직 절곡된 스토퍼 성형단(16)의 수직단(17) 외표면에 일체로 성형되고, 수직단(17)의 상하방향 길이를 임의로 조절하여 전후방향 스토퍼(34)의 진동 감쇠를 위한 완충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엔진 마운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인너코어(20)는 제1인너코어(10)의 하부 볼트체결단(18)이 삽입되는 안착구(22)가 상면에 형성되고, 안착구(22)의 하단에는 안착구(22)의 외표면과 함께 메인 인슐레이터(30)의 가류 성형을 위한 브릿지(24)가 연장 형성된 구조로 제작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엔진 마운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인슐레이터(30)의 내부에는 수직방향으로 배열되는 중철(36)이 일체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엔진 마운트.
KR1020110084320A 2011-08-24 2011-08-24 차량용 엔진 마운트 KR101673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4320A KR101673625B1 (ko) 2011-08-24 2011-08-24 차량용 엔진 마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4320A KR101673625B1 (ko) 2011-08-24 2011-08-24 차량용 엔진 마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1825A KR20130021825A (ko) 2013-03-06
KR101673625B1 true KR101673625B1 (ko) 2016-11-22

Family

ID=48174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4320A KR101673625B1 (ko) 2011-08-24 2011-08-24 차량용 엔진 마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362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2233A (ko) * 2017-03-06 2018-09-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엔진마운트
KR20190010946A (ko) * 2017-07-24 2019-02-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마운트의 인슐레이터
KR20200028513A (ko) 2018-09-06 2020-03-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 마운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27990B (zh) * 2021-07-29 2022-05-03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前悬置总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33019A (ja) 2006-06-13 2007-12-27 Bridgestone Corp 防振装置
JP2008223850A (ja) 2007-03-12 2008-09-25 Kurashiki Kako Co Ltd 防振装置
KR101041630B1 (ko) 2009-12-14 2011-06-16 주식회사 파브코 엔진마운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6680B1 (ko) * 2004-02-03 2005-09-2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엔진 마운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33019A (ja) 2006-06-13 2007-12-27 Bridgestone Corp 防振装置
JP2008223850A (ja) 2007-03-12 2008-09-25 Kurashiki Kako Co Ltd 防振装置
KR101041630B1 (ko) 2009-12-14 2011-06-16 주식회사 파브코 엔진마운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2233A (ko) * 2017-03-06 2018-09-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엔진마운트
KR102228096B1 (ko) 2017-03-06 2021-03-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엔진마운트
KR20190010946A (ko) * 2017-07-24 2019-02-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마운트의 인슐레이터
KR102417526B1 (ko) * 2017-07-24 2022-07-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마운트의 인슐레이터
KR20200028513A (ko) 2018-09-06 2020-03-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 마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1825A (ko) 2013-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23258B2 (en) Mounting of subframe
KR20130026666A (ko) 차량용 엔진 마운트
KR101673625B1 (ko) 차량용 엔진 마운트
KR101184281B1 (ko) 차량용 롤로드
US10648526B2 (en) Stopper for transmission mount
US10962074B2 (en) Vibration-damping device
KR102575424B1 (ko) 자동차용 액티브 엔진 마운트
US10876593B2 (en) Vibration damping device
CN104340039B (zh) 无芯体发动机悬置及其制造方法
JP4046072B2 (ja) トルクロッド
JP2010084791A (ja) 防振装置
KR102633948B1 (ko) 자동차용 시트백 및 이의 제조 방법
JP4694815B2 (ja) トルクロ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551948B1 (ko) 브릿지형 리어 롤로드
CN205818913U (zh) 一种车用发动机的前悬置总成
US8950737B2 (en) Antivibration device
JP6867773B2 (ja) 防振装置
CN210592147U (zh) 一种用于汽车底盘的上座架
KR101925134B1 (ko) 플라스틱 재질의 모터마운트 브라켓
KR20200111398A (ko) 변속기 마운트
CN211106923U (zh) 一种侧向大刚度悬置结构
CN208101694U (zh) 一种悬置装置及包含有该悬置装置的减振总成
CN211231379U (zh) 一种组装式后悬软垫
KR20140032276A (ko) 차량용 롤로드
CN208484530U (zh) 一种减振总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