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9000A - 폴더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폴더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9000A
KR20200019000A KR1020180094531A KR20180094531A KR20200019000A KR 20200019000 A KR20200019000 A KR 20200019000A KR 1020180094531 A KR1020180094531 A KR 1020180094531A KR 20180094531 A KR20180094531 A KR 20180094531A KR 20200019000 A KR20200019000 A KR 202000190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 plate
area
folding
adhesive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4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3507B1 (ko
Inventor
박영주
장세진
원유림
오경환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4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3507B1/ko
Priority to US16/530,634 priority patent/US10755991B2/en
Priority to CN201910742042.5A priority patent/CN110827680B/zh
Publication of KR20200019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9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3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3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18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with a particular composition or structure of the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12Mountings, e.g. non-detachable insulating substrates
    • H01L23/13Mountings, e.g. non-detachable insulating substrat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43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9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9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i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32B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layer folded at the edge, e.g. over another layer ;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layer enveloping or enclosing a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the apertures going through the whole thickness of the layer, e.g. expanded metal, perforated layer, slit layer regular cells B32B3/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2Mechan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44Number of layers variable across the lamin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Polarizing, birefringent,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2Luminescent, fluorescent, phosphoresc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E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6Flexural strength; Flexion stiff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58Impact strength, tough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6Slipping, anti-blocking, low fri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2LCD, i.e. liquid crystal displa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는, 폴딩 영역 및 비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 하부에서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백 플레이트부 및 표시 패널과 백 플레이트부 사이 및 백 플레이트부 각각의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접착층을 포함하고, 복수의 접착층 중 적어도 일부는 제1 부분 및 제1 부분보다 접착력이 약한 제2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복수의 접착층 중 적어도 일부의 접착층의 접착력을 제어하여 폴더블 표시 장치의 폴딩 시 발생하는 스트레스를 저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폴더블 표시 장치{FOLDABL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폴더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플렉서블한 폴더블 표시 장치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폴더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의 모니터나 TV, 핸드폰 등에 사용되는 표시 장치에는 스스로 광을 발광하는 전계 발광 표시 장치(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등과 별도의 광원을 필요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등이 있다.
표시 장치는 컴퓨터의 모니터 및 TV 뿐만 아니라 개인 휴대 기기까지 그 적용 범위가 다양해지고 있으며, 넓은 표시 면적을 가지면서도 감소된 부피 및 무게를 갖는 표시 장치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유연성 있는 기판에 표시부, 배선 등을 형성하여, 자유롭게 접고 펼 수 있는 폴더블 표시 장치가 차세대 표시 장치로 주목 받고 있다.
표시 영역의 폴딩이 가능한 폴더블 표시 장치의 각 구성들은 폴딩이 가능하도록 매우 얇은 두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영역의 폴딩이 가능한 폴더블 표시 장치에서 커버 윈도우는 얇은 두께를 갖는 플라스틱 필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커버 윈도우가 폴딩이 가능하도록 매우 얇은 두께의 플라스틱 필름 등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외부의 충격에 의해 커버 윈도우가 변형될 수 있고, 커버 윈도우의 평탄도가 저하될 수 있음을 인식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커버 윈도우의 두께를 늘리지 않으면서도 커버 윈도우의 평탄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구조 및 방법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인식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표시 영역의 폴딩이 가능한 표시 패널 하부에 강성 구조,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강성 재료를 포함하는 백 플레이트부 및/또는 프레임을 배치하는 경우, 커버 윈도우의 평탄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인식하였다. 다만,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표시 패널 하부에 강성 구조를 도입하는 경우, 폴더블 표시 장치를 폴딩할 시 강성 구조로부터 스트레스가 발생되어 폴더블 표시 장치의 다른 구성의 파손을 유발할 수 있음을 인식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폴더블 표시 장치에 강성 구조를 배치하여 커버 윈도우의 평탄도를 개선하고, 강성 구조에 따른 스트레스가 저감된 폴더블 표시 장치를 발명하였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강성을 높인 폴더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폴딩(folding)에 따른 파손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폴더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폴딩 시 강성 재료로부터의 스트레스가 폴더블 표시 장치의 다른 구성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폴더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는, 폴딩 영역 및 비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 하부에서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백 플레이트부 및 표시 패널과 백 플레이트부 사이 및 백 플레이트부 각각의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접착층을 포함하고, 복수의 접착층 중 적어도 일부는 제1 부분 및 제1 부분보다 접착력이 약한 제2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복수의 접착층 중 적어도 일부의 접착층의 접착력을 제어하여 폴더블 표시 장치의 폴딩 시 발생하는 스트레스를 저감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는, 폴딩 축을 기준으로 폴딩되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의 일면에 배치된 백 플레이트부, 백 플레이트부의 일면에 배치된 프레임 및 표시 패널과 백 플레이트부 사이, 백 플레이트부 사이 및 백 플레이트부와 프레임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접착층을 포함하고, 폴딩 영역의 폴딩에 의한 백 플레이트부 및 프레임의 각각의 슬립(slip)이 용이하도록 복수의 접착층의 엣지 부분의 접착력이 중앙 부분의 접착력보다 약하다. 따라서, 복수의 접착층의 엣지 부분의 접착력을 제어하여 폴딩 영역의 폴딩 시 백 플레이트부 및 프레임에서 발생하는 스트레스가 다른 구성으로 전파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표시 영역의 폴딩이 가능한 폴더블 표시 장치에서, 폴더블 표시 장치를 지지하는 강성 구조를 추가하여 폴더블 표시 장치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폴더블 표시 장치를 지지하는 강성 구조를 추가하여 얇은 두께의 폴더블 표시 장치의 표면이 눌리는 것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폴딩 시 폴더블 표시 장치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제어하여 폴더블 표시 장치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제2 접착부의 평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가 인 폴딩(in-folding)된 단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가 아웃 폴딩(out-folding)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제2 접착부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제2 접착부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제2 접착부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면적,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 "위 (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구성 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구성 요소일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면적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면적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100)는 적어도 백 플레이트부(140), 프레임(150) 및 접착력이 상이한 서로 다른 영역을 포함하는 제2 접착부(162)를 포함하는 접착부(160)를 포함한다. 접착부(160)는 복수의 접착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100)는 백 플레이트부(140), 프레임(150) 및 접착력이 상이한 서로 다른 영역을 포함하는 제2 접착부(162)를 포함하는 접착부(160)를 포함한다. 접착부(160)는 복수의 접착층을 포함하고, 커버 윈도우(110), 편광층(120) 및 접착력이 동일한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접착부(161)를 더 포함한다.
표시 패널(130)은 영상이 구현되는 패널로,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표시 소자와 표시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 배선 및 부품 등이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널(130)은 표시 영역(AA) 및 비표시 영역(NA)을 포함한다. 그리고 표시 패널(130)은 폴딩 영역(FA) 및 비폴딩 영역(NFA)을 포함한다. 즉 표시 패널(130)은 영상의 표시 유무에 따라 영역을 구분할 수 있으며, 폴딩 여부에 따라 영역을 구분할 수 있다. 즉, 표시 패널(130)의 특정 영역은 영상의 표시 여부 및 폴딩 여부에 따라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패널(130)의 특정 영역은 표시 영역(AA)이면서 동시에 폴딩 영역(FA)일 수 있다.
표시 영역(AA)은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으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소자와 표시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부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더블 표시 장치(100)가 전계 발광 표시 장치인 경우, 표시 소자는 전계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고, 폴더블 표시 장치(100)가 액정 표시 장치인 경우, 표시 소자는 액정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100)가 전계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100)인 것으로 가정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회로부는 전계 발광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박막 트랜지스터, 커패시터 및 배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로부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 스토리지 커패시터,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 등과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비표시 영역(NA)은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으로, 표시 영역(AA)의 표시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 배선 및 부품 등이 배치되는 영역이다. 비표시 영역(NA)에는 게이트 드라이버, 데이터 드라이버와 같은 구동 회로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회로는 표시 패널(130)의 비표시 영역(NA)에 GIP(Gate In Panel)로 실장되거나, TCP(Tape Carrier Package) 또는 COF(Chip On Film) 등의 방식으로 표시 패널(130)과 연결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A)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영역(AA)을 둘러싸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다만, 비표시 영역(NA)은 표시 영역(AA)으로부터 연장되는 영역으로도 정의될 수 있으며, 또는 표시 소자가 배치되지 않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표시 패널(130)은 표시 영역(AA) 및 비표시 영역(NA)으로도 정의될 수 있으나, 폴딩 영역(FA) 및 비폴딩 영역(NFA)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폴딩 영역(FA)은 표시 패널(130)이 폴딩 축(FX)을 기준으로 폴딩되는 영역으로, 표시 패널(130)이 폴딩된 경우 특정 곡률 반경으로 폴딩되는 영역이다. 폴딩 영역(FA)은 표시 영역(AA) 및 비표시 영역(NA)의 일부를 포함한다. 도 1에서는 폴딩 축(FX)이 표시 패널(130)의 중앙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폴딩 축(FX)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폴딩 축(FX)의 위치에 따라 폴딩 영역(FA) 또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비폴딩 영역(NFA)은 표시 패널(130)이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는 영역이다. 비폴딩 영역(NFA)은 표시 영역(AA)의 일부 및 비표시 영역(NA)의 일부를 포함한다. 비폴딩 영역(NFA)은 폴딩 영역(FA)의 양측으로 연장된 영역이다. 즉, 폴딩 영역(FA)을 사이에 두고 비폴딩 영역(NFA)이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폴더블 표시 장치(100)가 폴딩될 때, 폴딩 영역(FA) 양측의 비폴딩 영역(NFA)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표시 패널(130) 하부에 백 플레이트부(140)가 배치된다. 백 플레이트부(140)는 복수의 백 플레이트(back-plate)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130)의 기판이 폴리이미드(PI)와 같은 플라스틱 물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표시 패널(130)의 기판 하부에 지지 기판이 배치된 상황에서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제조 공정이 진행된다. 지지 기판은 유리일 수 있으며, 통상 마더 글라스(mother glass)일 수 있다. 표시 패널(130) 상에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형성한 후 표시 패널(130)이 지지 기판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다만, 지지 기판이 분리된 이후 표시 패널(130)의 기판을 지지하기 위한 백 플레이트부(140)가 기판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백 플레이트부(140)는 표시 패널(130)을 지지할 뿐만 아니라, 표시 패널(130)을 외부의 습기, 열,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들을 더 제공 할 수 있다.
한편, 백 플레이트부(140)는 제1 백 플레이트(141) 및 제1 백 플레이트(141)와 상이한 특성을 가지는 제2 백 플레이트(142)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130) 하부에 제1 백 플레이트(141)가 배치되고, 제1 백 플레이트(141) 하부에 제2 백 플레이트(142)가 배치된다. 백 플레이트부(140)가 제1 백 플레이트(141) 및 제2 백 플레이트(142)의 다층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강성 및 내충격성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백 플레이트부(140) 중 적어도 하나는 강성 재료로 이루어져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강성 및/또는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백 플레이트(141) 및 제2 백 플레이트(142) 각각은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백 플레이트(141) 및 제2 백 플레이트(142)의 영률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백 플레이트(141) 및 제2 백 플레이트(142) 중 적어도 하나의 영률은 10 Gpa 이상인 강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백 플레이트(141) 및 제2 백 플레이트(142) 각각은 2 Gpa 내지 10 Gpa의 영률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이미드(Polyimide, PI) 등의 플라스틱 재료, 2 Gpa 이하의 영률을 갖는 실리콘(Si),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등의 연질 재료 및 10 Gpa 이상의 영률을 갖는 유리, 금속 등의 강성 재료 중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백 플레이트(141) 또는 제2 백 플레이트(142) 중 어느 하나는 플라스틱 재료 또는 연질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고, 다른 하나는 강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강성 재료로 이루어진 제1 백 플레이트(141) 또는 제2 백 플레이트(142) 중 하나가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강성 및/또는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백 플레이트부(140) 하부에 프레임(150)이 배치된다. 프레임(150)은 프레임(150) 상에 배치된 백 플레이트부(140) 및 표시 패널(130) 등을 보호 및 지지할 수 있다. 프레임(150)은 예를 들어, 금속 등의 강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100)는 표시 패널(130) 상에 배치된 제1 접착부(161), 커버 윈도우(110), 및 편광층(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폴딩되지 않은 상태 즉, 평평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도 2에서 도시된 각 구성 요소들의 엣지의 위치를 “초기 위치”로 정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폴더블 표시 장치(100)가 평평한 상태일 경우,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각 구성들의 엣지의 위치를 “초기 위치”로 판단할 수 있다. 만약 평평한 상태에서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각 구성들의 엣지의 위치가 모두 동일하다면, 각 엣지는 서로 중첩될 수 있다. 만약 평평한 상태에서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각 구성들의 엣지의 위치가 일부 서로 다르다면, 각 엣지는 서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평평한 상태의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각 구성들의 엣지를 “초기 위치”로 정의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프레임(150)은 지지부(151) 및 폴딩부(152)를 포함한다. 지지부(151)는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는 영역으로, 비폴딩 영역(NFA)에 포함된다.
폴딩부(152)는 가요성의 영역으로, 폴딩 영역(FA)에 포함된다. 폴더블 표시 장치(100)가 접히는 경우, 폴딩부(152)는 폴딩 특성을 가지므로 접힐 수 있다.
폴딩부(152)에 복수의 개구부(152H)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개구부(152H)에 의해서 프레임(150)의 폴딩부(152)가 벤딩 특성을 가질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개구부(152H)가 배치됨에 따라 프레임(150)의 폴딩부(152)가 용이하게 접힐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프레임(150)의 폴딩부(152)에만 복수의 개구부(152H)가 배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복수의 개구부(152H)는 지지부(151)에도 배치될 수 있다. 즉, 프레임(150)이 표시 패널(130)을 지지 및 보호할 수 있다면 프레임(150)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를 참조하면, 접착부(160)는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다른 구성들 사이에 배치되어 각각의 구성을 다른 구성과 접착시킨다. 구체적으로 접착부(160)의 접착층은 커버 윈도우(110)와 편광층(120) 사이, 편광층(120)과 표시 패널(130) 사이, 표시 패널(130)과 제1 백 플레이트(141) 사이, 제1 백 플레이트(141)와 제2 백 플레이트(142) 사이, 제2 백 플레이트(142)와 프레임(150) 사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접착부(160)에 포함되는 각각의 접착층들의 개수는 제한되지 않으며, 접착이 필요한 구성 요소들에 따라 접착부(160)의 접착층의 개수가 결정될 수 있다. 접착부(160)는 예를 들어, OCA(Optical Clear Adhesive),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접착부(160)는 적어도 제2 접착부(162)를 포함한다.
제2 접착부(162)는 표시 패널(130) 하부에 배치되는 접착층들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제2 접착부(162)는 표시 패널(130)과 표시 패널(130) 하부의 제1 백 플레이트(141) 사이, 제1 백 플레이트(141)와 제2 백 플레이트(142) 사이, 제2 백 플레이트(142)와 프레임(1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접착층들을 포함한다.
제2 접착부(162)의 접착층들은 제1 부분(162a) 및 제1 부분(162a)보다 접착력이 약한 제2 부분(162b)을 포함한다. 즉, 제2 접착부(162)는 제2 접착부(162)의 위치에 따라 접착력이 상이하다. 제2 접착부(162)는 백 플레이트부(140) 및 프레임(150)에서 발생하는 폴딩 스트레스가 저감되도록 구성된, 접착력이 서로 상이한 제1 부분(162a) 및 제2 부분(162b)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제2 접착부(162)의 제1 부분(162a) 및 제2 부분(162b)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해 도 4를 함께 참조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제2 접착부의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접착부(162)의 제1 부분(162a)은 폴딩 영역(FA)과 폴딩 영역(FA)과 인접한 비폴딩 영역(NFA)의 일부에 중첩한다. 제1 부분(162a)은 표시 영역(AA)의 일부와 비표시 영역(NA)의 일부에 중첩할 수 있다.
제2 접착부(162)의 제2 부분(162b)은 제1 부분(162a)의 주변 영역에 배치된다. 제2 부분(162b)은 비폴딩 영역(NFA) 중 제1 부분(162a)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적어도 일부일 수 있다.
제2 부분(162b)은 엣지 패턴(edge pattern)을 포함한다. 제2 부분(162b)이자 엣지 패턴의 장변은 폴딩 영역(FA)의 폴딩 축(FX)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이때 제2 부분(162b)의 엣지 패턴은 폴딩 축(FX)과 평행하는 비폴딩 영역(NFA)의 비폴딩 영역(NFA)의 엣지 부근에 배치된다.
제2 부분(162b)의 엣지 패턴은 폴딩 축(FX)을 따라서 제1 부분(162a)의 양측으로 연장된 영역일 수 있다. 그러므로, 제2 접착부(162)의 제2 부분(162b) 사이에 제1 부분(162a)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접착부(162)의 제1 부분(162a)과 제2 부분(162b)의 젖음성(wetting) 및 가교 밀도(cross-linking density)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접착층의 접착력이 강할수록 젖음성이 높을 수 있고, 가교 밀도는 낮을 수 있다. 이에, 제1 부분(162a)은 제2 부분(162b)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접착력이 강하고, 젖음성이 높으며, 가교 밀도는 낮을 수 있다. 제2 부분(162b)은 제1 부분(162a)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접착력이 약하고, 젖음성이 낮으며, 가교 밀도는 높을 수 있다.
제1 부분(162a)의 면적은 제2 부분(162b)의 면적보다 넓을 수 있다. 제1 부분(162a)은 제2 부분(162b)과 비교하여 접착력이 상대적으로 강한 부분으로,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폴딩 시 제2 접착부(162) 상부 및 하부의 구성이 서로 탈착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부분(162a)보다 접착력이 약한 제2 부분(162b)의 면적이 제1 부분(162a)의 면적보다 넓다면,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폴딩 시 제2 접착부(162) 상부 및 하부의 구성이 분리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폴더블 표시 장치(100)에서는 제2 접착부(162)의 제1 부분(162a)의 면적이 제2 부분(162b)의 면적보다 더 넓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폴딩 시 제2 접착부(162) 상부 및 하부의 구성의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부분(162a) 대비 제2 부분(162b)의 접착력을 상대적으로 더 약화시키기 위해 제2 부분(162b)에 추가적인 구성 또는 공정이 더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접착부(162)가 OCA로 이루어진 경우, OCA에 첨가제를 넣어 접착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접착부(162)에 열, UV, 광, 화학적 반응 등을 일으키는 첨가제를 혼합할 수 있다. 이에, 제2 부분(162b)에서만 추가적인 공정을 진행하여 제2 부분(162b)의 물성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제1 부분(162a) 및 제2 부분(162b)이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더라도 첨가제에 의해서 제1 부분(162a) 및 제2 부분(162b)의 접착력을 상이하게 할 수 있다. 즉 제2 접착부(162)의 제2 부분(162b)에 대응되는 접착층은 열, UV, 광, 화학적 반응 등을 일으키는 첨가제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접착부(162)는 아크릴계 수지, 폴리(메타)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비닐 수지, 스티렌 수지, 에스테르계 수지, 고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페녹시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제2 접착부(162)가 UV에 반응하는 경우, 상술한 제2 접착부(162)의 물질에 UV에 반응하는 광개시제 등의 첨가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V에 반응하는 광개시제는 바스프(BASF) 사의 이라큐어(Iracure) #184 또는 이라큐어 #819,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파인옥사이드 (2,4,6-Trimethylbenzoyldiphenyl-phosphineoxide, TPO) 계열 화합물, 아크릴 포스파인(acyl phosphine) 계열 화합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광개시제가 포함된 제2 접착부(162)에 UV를 조사하는 경우, 광개시제는 라디칼을 발생시켜 제2 접착부(162)를 이루는 물질의 중합 반응을 개시시킬 수 있고, 제2 접착부(162)의 가교 밀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에, 제2 접착부(162)의 제2 부분(162b)에만 추가적으로 UV를 더 조사하여, 제2 부분(162b)의 가교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제2 부분(162b)의 접착력을 제1 부분(162a)보다 약화시킬 수 있다.
한편, 제2 접착부(162)가 열에 반응하는 경우, 제2 접착부(162)에 열에 반응하는 열경화제 등의 첨가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에 반응하는 열경화제는 Asahi kasei사의 MFA-75x, MHG-80B 등과 같은 NCO계 경화제, 에폭시계 경화제, 아지리딘계 경화제, 킬레이트 경화제인 Zn 킬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열경화제가 포함된 제2 접착부(162)에 열을 가하는 경우, 제2 접착부(162)를 이루는 물질이 경화되어 가교 밀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에, 제2 접착부(162)의 제2 부분(162b)에 추가적으로 열을 더 가하여, 제2 부분(162b)의 가교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제2 부분(162b)의 접착력을 제1 부분(162a)보다 약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100)는 인 폴딩(in-folding) 및/또는 아웃 폴딩(out-folding)될 수 있다. 폴더블 표시 장치(100)가 인 폴딩되는 경우, 폴더블 표시 장치(100)는 폴딩 영역(FA) 양측의 비폴딩 영역(NFA)에 각각 중첩하는 커버 윈도우(110)의 상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폴딩될 수 있다. 만약, 폴더블 표시 장치(100)가 커버 윈도우(110), 편광층(120) 등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표시 패널(130)의 표시 영역(AA)이 서로 마주하도록 인 폴딩될 수 있다.
폴더블 표시 장치(100)가 아웃 폴딩(out-folding)되는 경우, 폴더블 표시 장치(100)는 폴딩 영역(FA) 양측의 비폴딩 영역(NFA)에 각각 중첩하는 프레임(150)의 하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폴딩될 수 있다. 다르게 설명하면, 표시 패널(130)의 하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폴딩될 수 있다.
한편, 폴더블 표시 장치(100)가 폴딩될 때,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각 구성들은 서로 슬립(slip)되어,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각 구성들의 엣지가 중첩하지 않거나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각 구성들의 슬립에 의해서 폴딩 시 발생하는 스트레스가 완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각 구성들 사이에 배치된 접착부(160)의 접착층은 각 구성들의 엣지의 돌출 정도에 따라 변형될 수 있고, 접착부(160)의 경도나 접착력 등의 특성에 의해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각 구성들의 엣지가 슬립되는 정도 또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부(160)의 경도를 증가시키거나, 접착력을 증가시킬수록, 접착부(160)에 의해서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각 구성들이 슬립 정도가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100)가 인 폴딩된 상태 및 아웃 폴딩된 상태와 접착부(160)에 의한 폴딩 시 발생하는 스트레스를 완화할 수 있는 효과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가 인 폴딩(in-folding)된 단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가 아웃 폴딩(out-folding)된 단면도이다.
먼저, 도 5a를 참조하면, 폴더블 표시 장치(100)가 인 폴딩된 경우,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각 구성들이 슬립되어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각 구성들의 엣지의 위치가 이동 될 수 있다.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 5a에서는 폴더블 표시 장치(100)가 평평한 상태에서 각 구성들의 엣지는 서로 수직으로 정렬된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단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해 폴딩 시, 폴딩되어 서로 마주보는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구성 요소를 최하부(undermost)으로 정의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100)가 폴딩되면, 폴딩에 의해 가해지는 응력에 의해 표시 패널(130) 상에 배치된 제1 백 플레이트(141)의 엣지는 표시 패널(130)의 엣지보다 내측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제1 백 플레이트(141) 상에 배치된 제2 백 플레이트(142)의 엣지는 제1 백 플레이트(141)의 엣지보다 내측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제2 백 플레이트(142) 상에 배치된 프레임(150)의 엣지는 제2 백 플레이트(142)의 엣지보다 내측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폴더블 표시 장치(100)가 폴딩될 때, 각 구성 요소들의 곡률반경은 서로 달라지게 된다. 예를 들어, 폴딩 시 최상부에 배치된 구성요소의 곡률반경은 최하부에 배치된 구성요소의 곡률반경보다 크게 된다. 그리고 곡률반경이 상대적으로 큰 구성요소의 경우, 엣지의 슬립 정도가 증가될 수 있다. 즉, 최하부에서 최상부(uppermost)로 갈수록 각 구성요소의 엣지의 슬라이딩 정도가 점차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인 폴딩 시,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표시 패널(130)에서 프레임(150)으로 갈수록 엣지의 슬라이딩 정도가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100)가 폴딩 시 커버 윈도우(110)의 엣지가 최외측에 배치되고, 커버 윈도우(110) 상에 배치된 다른 구성의 엣지는 커버 윈도우(110)의 엣지보다 내측으로 이동, 즉, 슬립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110)의 상에 배치된 편광층(120)의 엣지는 커버 윈도우(110)의 엣지보다 내측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편광층(120) 상에 배치된 표시 패널(130)의 엣지는 편광층(120)의 엣지보다 내측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따라서, 폴더블 표시 장치(100)가 인 폴딩 시,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커버 윈도우(110)에서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프레임(150)으로 갈수록 엣지의 슬라이딩 정도가 증가하게 된다.
도 5b를 참조하면, 폴더블 표시 장치(100)가 아웃 폴딩된 된 경우도 마찬가지로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각 구성들이 슬립하여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각 구성들의 엣지가 이동될 수 있다.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해, 폴더블 표시 장치(100)가 평평한 상태일 경우,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각 구성들의 엣지를 “초기 위치”로 정의 한다. 단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폴더블 표시 장치(100)가 폴딩되면, 폴딩에 의해 가해지는 응력에 의해 프레임(150)의 엣지가 최외측에 배치되고, 프레임(150) 상에 배치된 다른 구성의 엣지는 프레임(150)의 엣지보다 내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150)의 상에 배치된 제2 백 플레이트(142)의 엣지는 프레임(150)의 엣지보다 내측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제2 백 플레이트(142)의 상에 배치된 제1 백 플레이트(141)의 엣지는 제2 백 플레이트(142)의 엣지보다 내측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제1 백 플레이트(141) 상에 배치된 표시 패널(130)의 엣지는 제1 백 플레이트(141)의 엣지보다 내측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표시 패널(130) 상에 배치된 편광층(120)의 엣지는 표시 패널(130)의 엣지보다 내측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편광층(120) 상에 배치된 커버 윈도우(110)의 엣지는 편광층(120)의 엣지보다 내측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따라서,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아웃 폴딩 시,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프레임(150)에서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커버 윈도우(110)로 갈수록 엣지의 슬라이딩 정도가 증가하게 된다.
정리하면, 커버 윈도우(110), 편광층(120), 표시 패널(130), 백 플레이트부(140) 및 프레임(150)의 엣지들이 폴딩 시 가해지는 응력에 의해 슬립되며, 각 구성요소들의 곡률 반경에 의해서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엣지의 슬라이딩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폴딩 시,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각 구성들 사이에 배치된 접착부(160)는 변형될 수 있다. 각 구성들의 슬립이 일어날 수 있도록 접착부(160)의 접착층은 각 구성들의 엣지를 따라 늘어날 수 있고, 폴딩 시 각 구성들에 가해지는 응력을 분산시키거나 완화할 수 있다. 아울러, 접착부(160)가 변형되어 폴딩 시 각 구성들로부터 발생한 스트레스가 다른 구성으로 전파되는 것 또한 완화시킬 수 있다.
한편, 접착부(160) 상부의 구성과 하부의 구성의 물리적 특성이 상이할수록, 슬립이 더 많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슬립이 더 많이 일어나도록 접착부(160)의 접착층의 접착력을 조절하면 접착층 상부의 구성과 하부의 구성의 물리적 특성이 상이한 수준에 따라서 스트레스를 완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제1 백 플레이트(141)가 강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경우,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폴딩 시 강성 및 영률이 높고 탄성이 낮은 제1 백 플레이트(141)는 유연하게 늘어나기 어렵고, 폴딩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반면, 제2 백 플레이트(142)가 연질 재료로 이루어지는 경우,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폴딩 시 강성 및 영률이 낮고 탄성이 높은 제2 백 플레이트(142)는 유연하게 늘어나며 폴딩되기 용이하다. 따라서, 제1 백 플레이트(141)는 유연하게 변형되지 않고, 제2 백 플레이트(142)는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으므로, 제1 백 플레이트(141)와 제2 백 플레이트(142) 간의 슬립되는 정도가 더 클 수 있다.
제1 백 플레이트(141)와 제2 백 플레이트(142) 사이의 제2 접착부(162)는 제1 백 플레이트(141)와 제2 백 플레이트(142) 간의 슬립이 용이해지는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즉, 슬립이 시작되는 제1 백 플레이트(141)와 제2 백 플레이트(142)의 엣지 인근에서 접착력이 상대적으로 약한 제2 부분(162b)을 배치하여 제1 백 플레이트(141)와 제2 백 플레이트(142)의 슬립이 잘 일어나도록 할 수 있고, 스트레스를 완화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접착부(160)의 접착력이 강할수록 접착부(160)는 각 구성들이 슬립되는 정도가 작아지도록 작용하나, 제2 접착부(162)의 제2 부분(162b)은 접착력이 약하므로 제2 부분(162b) 상하의 구성들이 서로 슬립되는 정도가 더 커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부분(162a) 및 제2 부분(162b)을 포함하는 제2 접착부(162)는 강성 재료로 이루어진 제1 백 플레이트(141)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되어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폴딩 시, 슬립이 잘 일어나도록 할 수 있고, 제1 백 플레이트(141)에서 발생한 스트레스를 완화시켜 스트레스가 다른 구성으로 전파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제2 접착부(162)는 강성 재료로 이루어진 프레임(150) 상에 배치되어, 프레임(150)과 제2 백 플레이트(142) 간의 슬립이 잘 일어나도록 할 수 있고, 프레임(150)에서 발생한 스트레스를 완화시켜 스트레스가 다른 구성으로 전파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접착부(162)는 강성 재료로 이루어진 구성과 강성 재료로 이루어지지 않은 구성 사이에 배치되어 강성 재료의 폴딩에 따라 발생하는 스트레스를 저감할 수 있다. 특히, 제2 접착부(162)는 상부의 구성과 하부의 구성의 물리적 특성, 예를 들어 탄성, 강성, 영률 등이 많이 차이나는 구성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 엣지 영역에서 슬립이 잘 일어도록 할 수 있고,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100)는 상이한 접착력을 가지는 접착부, 즉, 상이한 접착력을 가지는 제1 부분(162a) 및 제2 부분(162b)를 포함하는 제2 접착부(162)가 표시 패널(130) 하부에 배치되고, 제2 접착부(162)의 하부에는 표시 패널(130)보다 높은 강성을 가진 구성이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제2 접착부(162)가 표시 패널의 하부(130)에 배치됨으로써, 표시 패널(130) 하부에 배치된 강성 재료, 예를 들면, 프레임(150)과 같은 구성 요소가 배치될 경우, 발생될 수 있는 폴딩 특성 저하를 개선하고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시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100)는, 표시 패널(130) 상에는 동일한 접착력을 가지는 접착부, 예를 들면, 제1 접착부(161)가 표시 패널(130) 상에 더 배치될 수 있다.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표시 패널(130) 상에 제1 접착부(161)에 의해서 고정되는 편광층(120) 및/또는 커버 윈도우(11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제1 접착부(161)는 표시 패널(130)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착층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제1 접착부(161)는 표시 패널(130)과 표시 패널(130) 상의 편광층(120) 사이, 편광층(120)과 커버 윈도우(1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접착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110)는 커버 윈도우(110) 하부의 편광층(120), 표시 패널(130) 등을 외부의 충격, 습기, 열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커버 윈도우(110)는 내충격성 및 광투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 윈도우(110)는 유리로 이루어진 기판이거나,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와 같은 플라스틱 물질로 이루어진 박형의 필름일 수 있다.
단,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커버 윈도우(110)는 박형의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유리일 수 있다. 박형의 유리의 두께는 5μm 내지 10μm 일 수 있으며, 표면의 크랙(crack) 또는 칩(chip)을 제거하기 위해서 에칭(etching)된 표면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커버 윈도우(110)는 외부의 충격으로 인한 크랙을 저감하기 위해, 영률(Young's Modulus)이 큰 재질, 즉 고경도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영률이 큰 재질의 경우, 폴더블 표시 장치(100)가 폴딩될 때 휘어지지 않고 깨질 수 있다. 그러나, 영률이 큰 재질이라도 일정 두께 이하가 되면 폴딩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커버 윈도우(110)는 매우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 윈도우(110)는 박형의 플라스틱 필름 또는 박형의 유리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커버 윈도우(110) 하부에 편광층(120)이 배치될 수 있다. 편광층(120)은 외부 광의 반사를 저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편광층(120)은 원형 편광층(circular polarizer)일 수 있다.
표시 패널(130)은 박막 트랜지스터, 배선, 및 전계 발광 소자 등에 적용되는 다양한 금속, 유기 및 무기 물질을 포함한다. 이에, 표시 패널(130)로 입사된 외광은 금속 물질로부터 반사될 수 있고, 외광의 반사로 인해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시인성이 저감될 수 있다. 이에, 편광층(120)을 표시 패널(130)의 일면에 배치하여 외광을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야외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표시 패널(130) 상에 터치 패널이 더 배치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폴더블 표시 장치(100)에 대한 화면 터치나 제스쳐 등과 같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구성으로, 정전용량 방식,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접착부(161)는 접착력이 동일한 접착층들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접착부(161)는 표시 패널(130) 전체와 편광층(120) 전체, 편광층(120) 전체와 커버 윈도우(110) 전체가 완전히 밀착되도록 접착시킬 수 있다. 단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표시 패널(130), 편광층(120) 및 커버 윈도우(110)가 서로 밀착되어야 표시 패널(130)에서 발광된 광의 경로 차 등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폴더블 표시 장치(100)에서 표시되는 영상이 왜곡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만약, 제2 접착부(162)와 유사한 기능의 접착층이 표시 패널(130)과 편광층(120) 및 커버 윈도우(110)를 접착할 경우, 표시 패널(130)과 편광층(120), 편광층(120)과 커버 윈도우(110)가 완전히 밀착되지 않고 일부분에서 들뜸이 발생할 수도 있으며, 이로 인해 표시 패널(130)에서 발광된 광의 경로 차 등이 발생하여 폴더블 표시 장치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패널(130) 상에는 제1 접착부(161)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연 설명하면, 커버 윈도우(110)는 표시 패널(130)의 표면 강도 또는 사용 환경에 따라 취사 선택될 수 있다. 편광층(120)은 외광을 흡수하는 기능을 수행하므로, 표시 패널(130)의 밝기 또는 사용 환경의 외광의 밝기에 따라 취사 선택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폴딩이 가능하도록 매우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얇은 두께를 갖는 커버 윈도우(110)는 외부로부터 충격에 의해 변형될 수도 있다. 즉, 폴더블 표시 장치가 펼쳐진 상태에서 외부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커버 윈도우(110)가 변형되어 커버 윈도우(110)의 표면이 평탄하지 않을 수 있다. 커버 윈도우(110)의 평탄도가 저하되면 왜곡된 영상 표시, 다른 구성의 파손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신뢰성이 저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100)에서는 표시 패널(130) 하부에 강성 구조를 도입하여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강성을 향상시키고, 커버 윈도우(110)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 패널(130) 하부에 적어도 하나의 백 플레이트가 강성 재료로 이루어진 백 플레이트부(140) 및/또는 강성 재료로 이루어진 프레임(150)을 배치하여 커버 윈도우(110)의 표면이 변형되는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다만, 적어도 하나가 강성 재료로 이루어진 백 플레이트부(140) 및 강성 재료로 이루어진 프레임(150)의 강성 구조는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폴딩 시 다른 구성에 스트레스를 인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 특성 등을 갖는 플라스틱 재료는 폴딩 시 가해지는 응력에 대해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으므로 발생하는 스트레스가 상대적으로 작다. 반면, 소성변형(plastic-deformation)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 강성 재료는 폴딩 시 가해지는 응력에 대해 유연하게 변형되기 어려우므로 발생하는 스트레스가 상대적으로 높다. 그리고 강성 재료로부터 발생한 스트레스는 접착부(160)를 통해 다른 구성으로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 플레이트부(140) 및 프레임(150) 상에 배치된 표시 패널(130), 터치 패널, 편광층(120), 커버 윈도우(110) 등으로 스트레스가 인가되어 표시 패널(130), 터치 패널, 편광층(120), 커버 윈도우(110) 등이 파손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100)는 접착부(160)의 접착층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착층의 접착력을 제어하여 강성 구조로 인한 스트레스를 완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백 플레이트(141)와 프레임(150)이 강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1 백 플레이트(141)의 상부 및 하부와 프레임(150)의 상부에 각각 제2 접착부(162)가 배치되어 슬립이 잘 일어나도록 할 수 있다. 제2 접착부(162)는 제1 부분(162a)과 제2 부분(162b)으로 이루어지고, 제2 부분(162b)은 제1 부분(162a)과 비교하여 접착력이 약하다. 이때, 제2 부분(162b)은 슬립이 발생하는 제1 백 플레이트(141)의 엣지와 프레임(150)의 엣지에 중첩하도록 배치되어, 표시 패널(130)과 제1 백 플레이트(141), 제1 백 플레이트(141)와 제2 백 플레이트(142) 간의 슬립이 잘 일어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제2 접착부(162)의 제2 부분(162b)은 프레임(150)과 제2 백 플레이트(142) 간의 슬립 또한 잘 일어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2 접착부(162)의 제2 부분(162b)은 슬립이 잘 일어나도록 하여 강성 재료로 이루어진 제1 백 플레이트(141) 및 프레임(150)에서 발생한 스트레스가 다른 구성으로 전파되는 것을 완화 및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100)에서는 슬립이 일어나는 엣지 부분에 제2 접착부(162)의 제2 부분(162b)이 배치되도록 하여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폴딩으로 인해 각 구성들간의 슬립이 잘 일어나도록 할 수 있고, 각 구성들로부터 발생하는 스트레스를 완화 및 저감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의 폴더블 표시 장치(600)는 도 1 내지 도 4의 폴더블 표시 장치(100)와 비교하여 제3 백 플레이트(643)만이 더 포함될 뿐, 다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백 플레이트부(640)는 제1 백 플레이트(141), 제2 백 플레이트(142) 및 제3 백 플레이트(643)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표시 패널(130) 하부에 제1 백 플레이트(141)가 배치되고, 제1 백 플레이트(141) 하부에 제2 백 플레이트(142)가 배치되며, 제2 백 플레이트(142) 하부에 제3 백 플레이트(643)가 배치된다.
백 플레이트부(640)가 제1 백 플레이트(141), 제2 백 플레이트(142) 및 제3 백 플레이트(643)의 다층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폴더블 표시 장치(600)의 강성 및 내충격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1 백 플레이트(141), 제2 백 플레이트(142) 및 제3 백 플레이트(643) 중 일부는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모두가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백 플레이트(141), 제2 백 플레이트(142) 및 제3 백 플레이트(643) 각각은 영률이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백 플레이트(141), 제2 백 플레이트(142) 및 제3 백 플레이트(643) 중 일부는 영률이 유사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나머지는 영률이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제1 백 플레이트(141), 제2 백 플레이트(142) 및 제3 백 플레이트(64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강성 재료로 이루어져 폴더블 표시 장치(600)의 강성 및 내충격성을 더욱 더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2 백 플레이트(142)와 제3 백 플레이트(643)가 유사한 영률의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 제2 백 플레이트(142)와 제3 백 플레이트(643) 사이에 배치된 접착층은 제1 접착부(161)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 접착층 상부의 구성과 상기 특정 접착층 하부의 구성 간의 물리적 특성이 많이 차이나는 경우, 제1 부분(162a) 및 제2 부분(162b)으로 이루어진 제2 접착부(162)을 배치하여 폴딩 시 각 구성 간의 슬립이 잘 일어나도록 함으로써,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만, 제2 백 플레이트(142)와 제3 백 플레이트(643)처럼 영률 등이 크게 차이나지 않고, 물리적 특성이 유사한 경우, 제1 접착부(161)를 배치하여도 폴딩 시 발생하는 스트레스 및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파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600)는 백 플레이트부(640)의 복수의 백 플레이트 각각의 물리적 특성을 고려하여 제1 접착부(161) 및 제2 접착부(162)를 선택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백 플레이트부(640)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백 플레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 중 적어도 하나는 강성 재료로 이루어져 폴더블 표시 장치(600)의 강성을 향상시키고, 커버 윈도우(110)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 플레이트부(640)는 제1 백 플레이트(141), 제2 백 플레이트(142) 및 제3 백 플레이트(64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백 플레이트(141)가 강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제2 백 플레이트(142) 및 제3 백 플레이트(643)가 연질 재료 또는 플라스틱 재료 등 유사한 물리적 특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진 경우, 강성 재료로 이루어진 제1 백 플레이트(141)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제2 접착부(162)가 배치되어 제1 백 플레이트(141)로부터의 스트레스를 완화할 수 있다. 반면, 유사한 물리적 특성의 제2 백 플레이트(142) 및 제3 백 플레이트(643)에는 제2 접착부(162) 대신 제1 접착부(161)만을 배치하여도 제2 백 플레이트(142) 및 제3 백 플레이트(643)의 물리적 특성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스트레스가 크지 않으므로 제1 접착부(161)만으로도 스트레스를 완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600)는 백 플레이트부(640) 중 일부가 강성 재료로 이루어져도 제1 접착부(161) 및 제2 접착부(162)를 선택적으로 배치하여 폴더블 표시 장치(600)의 폴딩 시 슬립이 잘 일어나도록 하여 폴더블 표시 장치(600)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제2 접착부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제2 접착부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제2 접착부의 평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 각각의 제2 접착부(762, 862, 962)는 도 4의 제2 접착부(162)와 비교하여 제2 접착부(162)의 제2 부분(762b, 862b, 962b)만이 상이할 뿐, 다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접착부(762)의 제2 부분(762b)은 복수의 라인 패턴을 포함한다. 즉, 제2 부분(762b)은 복수의 라인 패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부분(762b)이자 복수의 라인 패턴의 장변은 폴딩 영역(FA)의 폴딩 축(FX)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제2 부분(762b)의 복수의 라인 패턴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부분(762b)의 복수의 라인 패턴은 장변이 서로 대향되도록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부분(762b)의 복수의 라인 패턴 사이에는 제1 부분(162a)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비폴딩 영역(NFA)의 일부분에서는 제1 부분(162a)과 제2 부분(162b)이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7에서는 제2 부분(762b)의 복수의 라인 패턴이 등간격으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복수의 라인 패턴의 이격된 간격은 점진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 접착부(862)의 제2 부분(862b)은 복수의 도트 패턴을 포함한다. 즉, 제2 부분(862b)은 복수의 도트 패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부분(862b)의 복수의 도트 패턴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부분(862b)의 복수의 도트 패턴 각각은 복수의 행 단위로 배치되고, 하나의 행에 배치된 복수의 도트 패턴은 이웃한 행에 배치된 복수의 도트 패턴과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8에서는 제2 부분(862b)의 복수의 도트 패턴이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이웃한 행의 도트 패턴과는 엇갈리게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제2 부분(862b)의 복수의 도트 패턴은 불규칙하게 배치될 수도 있고, 규칙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울러, 도 8에서는 제2 부분(862b)의 복수의 도트 패턴이 직사각형 형상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복수의 도트 패턴은 원 형상, 마름모 형상, 아령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9를 참조하면, 제2 접착부(962)의 제2 부분(962b)은 엣지 패턴을 포함한다. 즉, 제2 부분(962b)은 엣지 패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부분(962b)의 엣지 패턴은 비표시 영역(NA)의 일부분이자 표시 영역(AA)의 일부분에 중첩한다. 이때, 제2 부분(962b)의 엣지 패턴이 중첩하는 표시 영역(AA)의 일부분은 비표시 영역(NA)으로부터 연장된 영역이다. 그러므로, 제2 접착부(962)의 제2 부분(962b)은 비표시 영역(NA)만이 아니라 표시 영역(AA)까지 더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부분(962b)의 배치는 폴더블 표시 장치의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2 부분(962b)의 엣지 패턴의 접착력은 폴딩 영역(FA)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즉, 제2 부분(962b)의 엣지 패턴 내에서 접착력은 그라데이션 형태로 점진적으로 달라질 수 있다. 제2 부분(962b)의 엣지 패턴의 장변 중 폴딩 영역(FA)에 더 인접한 장변에 인접한 영역에서 접착력은 나머지 장변에 인접한 영역에서 접착력보다 강할 수 있다. 제2 접착부(962)의 단변측 엣지로부터 제2 접착부(962)의 중앙부에 가까워질수록 제2 부분(962b)의 접착력이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는 제2 접착부(762, 862, 962)의 제2 부분(762b, 862b, 962b)을 다양한 형상으로 설계하여 제2 접착부(762, 862, 962)의 접착력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접착부(762, 862, 962)의 제2 부분(762b, 862b, 962b)은 복수의 라인 패턴, 복수의 도트 패턴 및 접착력이 점진적으로 달라지는 엣지 패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부분(762b)이 복수의 라인 패턴으로 이루어진 경우, 복수의 라인 패턴 각각은 서로 이격되어 제2 접착부(762)의 엣지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부분(862b)이 복수의 도트 패턴으로 이루어진 경우, 복수의 도트 패턴 각각은 서로 이격되어 제2 접착부(862)의 엣지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부분(962b)이 엣지 패턴으로 이루어진 경우, 엣지 패턴 내에서 접착력은 제1 부분(962a)에서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감소할 수 있고, 제2 접착부(962)의 엣지에 인접한 영역에서 접착력이 가장 약할 수 있다. 제2 부분(762b, 862b, 962b)을 다양한 형상의 패턴으로 설계함에 따라, 제1 부분(762a, 862a, 962a)과 제2 부분(762b, 862b, 962b)의 경계가 두드러지지 않고, 부드럽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2 접착부(762, 862, 962)의 제1 부분(762a, 862a, 962a)에서 제2 부분(762b, 862b, 962b)으로 향할 때 접착력이 급격하게 저하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폴더블 표시 장치의 폴딩 시 제2 접착부(762, 862, 962) 상부의 구성과 하부의 구성 간의 슬립이 잘 일어나면서도 제2 부분(762b, 862b, 962b)에서 제2 접착부(762, 862, 962) 상부의 구성과 하부의 구성 간의 탈착이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는 제2 접착부(762, 862, 962) 상부 및 하부의 구성들이 제2 접착부(762, 862, 962)로부터 탈착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폴딩 시 슬립이 잘 일어나도록 하여 폴더블 표시 장치의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폴더블 표시 장치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는, 폴딩 영역 및 비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 하부에서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백 플레이트부 및 표시 패널과 백 플레이트부 사이 및 백 플레이트부 각각의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접착층을 포함하고, 복수의 접착층 중 적어도 일부는 제1 부분 및 제1 부분보다 접착력이 약한 제2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부분은 폴딩 영역에 중첩하고, 제2 부분은 비폴딩 영역에 중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표시 패널은 표시 영역 및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제2 부분은 표시 영역의 양 단에 인접한 비표시 영역에 중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2 부분은 표시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에 더 중첩하고, 표시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은 비표시 영역으로부터 연장된 영역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2 부분은 엣지 패턴을 포함하고, 엣지 패턴의 장변은 폴딩 영역의 폴딩 축에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엣지 패턴의 접착력은 폴딩 영역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감소하고, 엣지 패턴의 장변 중 폴딩 영역에 더 인접한 장변에 인접한 영역에서의 접착력은 엣지 패턴의 장변 중 나머지 장변에 인접한 영역에서의 접착력보다 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2 부분은 복수의 라인 패턴을 포함하고, 복수의 라인 패턴의 장변은 폴딩 영역의 폴딩 축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복수의 라인 패턴 각각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2 부분은 복수의 도트 패턴을 포함하고, 복수의 도트 패턴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백 플레이트부 하부에서 백 플레이트부 및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프레임은 폴딩 영역에 중첩하는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접착층은 백 플레이트부와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고, 제1 부분 및 제2 부분으로 이루어진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백 플레이트부는 제1 백 플레이트 및 제2 백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제1 백 플레이트의 모듈러스 및 제2 백 플레이트의 모듈러스는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백 플레이트와 제2 백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 접착층은 제1 부분 및 제2 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는, 폴딩 축을 기준으로 폴딩되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의 일면에 배치된 백 플레이트부, 백 플레이트부의 일면에 배치된 프레임 및 표시 패널과 백 플레이트부 사이, 백 플레이트부 사이 및 백 플레이트부와 프레임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접착층을 포함하고, 폴딩 영역의 폴딩에 의한 백 플레이트부 및 프레임의 각각의 슬립(slip)이 용이하도록 복수의 접착층의 엣지 부분의 접착력이 중앙 부분의 접착력보다 약하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부분의 가교 밀도 및 제2 부분의 가교 밀도는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부분은 폴딩 축에 중첩하고, 제2 부분은 폴딩 축과 이격되어 폴딩 축과 평행한 표시 패널의 양측 엣지에 중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표시 패널은 사용자에게 시인되는 시인 영역 및 사용자에게 시인되지 않는 비시인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제1 부분은 시인 영역에 중첩하고, 제2 부분은 비시인 영역에 중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백 플레이트부 각각은 서로 다른 모듈러스를 갖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600: 폴더블 표시 장치
110: 커버 윈도우
120: 편광층
130: 표시 패널
140, 640: 백 플레이트부
141: 제1 백 플레이트
142: 제2 백 플레이트
643: 제3 백 플레이트
150: 프레임
151: 지지부
152: 폴딩부
152H: 개구부
160: 접착부
161: 제1 접착부
162, 762, 862, 962: 제2 접착부
162a, 762a, 862a, 962a: 제1 부분
162b, 762b, 862b, 962b: 제2 부분
AA: 표시 영역
NA: 비표시 영역
FA: 폴딩 영역
NFA: 비폴딩 영역
FX: 폴딩 축

Claims (17)

  1. 폴딩 영역 및 비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하부에서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백 플레이트부;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백 플레이트부 사이 및 상기 백 플레이트부 각각의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접착층 중 적어도 일부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보다 접착력이 약한 제2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폴더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폴딩 영역에 중첩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비폴딩 영역에 중첩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표시 영역의 양 단에 인접한 상기 비표시 영역에 중첩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표시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에 더 중첩하고,
    상기 표시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비표시 영역으로부터 연장된 영역인, 폴더블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은 엣지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엣지 패턴의 장변은 상기 폴딩 영역의 폴딩 축에 평행하게 연장된, 폴더블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엣지 패턴의 접착력은 상기 폴딩 영역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감소하고,
    상기 엣지 패턴의 장변 중 상기 폴딩 영역에 더 인접한 장변에 인접한 영역에서의 접착력은 상기 엣지 패턴의 장변 중 나머지 장변에 인접한 영역에서의 접착력보다 강한, 폴더블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은 복수의 라인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라인 패턴의 장변은 상기 폴딩 영역의 폴딩 축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복수의 라인 패턴 각각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폴더블 표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은 복수의 도트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도트 패턴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폴더블 표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 플레이트부 하부에서 상기 백 플레이트부 및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폴딩 영역에 중첩하는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착층은 상기 백 플레이트부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으로 이루어진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 플레이트부는 제1 백 플레이트 및 제2 백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백 플레이트의 모듈러스 및 상기 제2 백 플레이트의 모듈러스는 상이한, 폴더블 표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백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백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 상기 접착층은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폴더블 표시 장치.
  13. 폴딩 축을 기준으로 폴딩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에 배치된 백 플레이트부;
    상기 백 플레이트부의 일면에 배치된 프레임;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백 플레이트부 사이, 상기 백 플레이트부 사이 및 상기 백 플레이트부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폴딩 영역의 폴딩에 의한 상기 백 플레이트부 및 상기 프레임의 각각의 슬립(slip)이 용이하도록 상기 복수의 접착층의 엣지 부분의 접착력이 중앙 부분의 접착력보다 약한, 폴더블 표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의 가교 밀도 및 상기 제2 부분의 가교 밀도는 상이한, 폴더블 표시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폴딩 축에 중첩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폴딩 축과 이격되어 상기 폴딩 축과 평행한 상기 표시 패널의 양측 엣지에 중첩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사용자에게 시인되는 시인 영역 및 사용자에게 시인되지 않는 비시인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시인 영역에 중첩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비시인 영역에 중첩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백 플레이트부 각각은 서로 다른 모듈러스를 갖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폴더블 표시 장치.
KR1020180094531A 2018-08-13 2018-08-13 폴더블 표시 장치 KR102533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531A KR102533507B1 (ko) 2018-08-13 2018-08-13 폴더블 표시 장치
US16/530,634 US10755991B2 (en) 2018-08-13 2019-08-02 Foldable display device
CN201910742042.5A CN110827680B (zh) 2018-08-13 2019-08-12 可折叠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531A KR102533507B1 (ko) 2018-08-13 2018-08-13 폴더블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9000A true KR20200019000A (ko) 2020-02-21
KR102533507B1 KR102533507B1 (ko) 2023-05-16

Family

ID=69406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4531A KR102533507B1 (ko) 2018-08-13 2018-08-13 폴더블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755991B2 (ko)
KR (1) KR102533507B1 (ko)
CN (1) CN110827680B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2999A (ko) * 2020-05-19 2021-11-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탄성 부재
WO2021241801A1 (ko) * 2020-05-26 2021-12-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
WO2021247470A1 (en) * 2020-06-03 2021-12-09 E Ink Corporation Foldable electrophoretic display module including non-conductive support plate
WO2022119124A1 (ko) * 2020-12-02 2022-06-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WO2022270884A1 (ko) * 2021-06-24 2022-12-29 삼성전자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594693B2 (en) 2020-08-12 2023-02-2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23033599A1 (ko) * 2021-09-03 2023-03-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989054B2 (en) 2021-11-22 2024-05-21 L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81660B2 (en) * 2018-05-03 2021-08-0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support film structure for display device
CN109801881B (zh) * 2019-02-02 2020-06-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20210013426A (ko) * 2019-07-24 2021-02-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016231A (ko) * 2019-08-02 2021-02-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널 하부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10028463A (ko) * 2019-09-04 2021-03-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35938A (ko) * 2019-09-24 2021-04-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10091388A (ko) * 2020-01-13 2021-07-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11312660B (zh) * 2020-02-25 2022-08-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11445799B (zh) * 2020-04-14 2022-05-2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20210132272A (ko) * 2020-04-24 2021-11-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1524940A (zh) * 2020-04-26 2020-08-11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Oled显示屏及其制备方法
EP4156315A4 (en) * 2020-05-19 2024-05-29 Lg Innotek Co Ltd ELASTIC ELEMENT
KR20210146482A (ko) * 2020-05-26 2021-12-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20014626A (ko) * 2020-07-29 2022-02-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CN112017540A (zh) * 2020-08-11 2020-12-01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背板结构、显示面板及背板结构的制作方法
CN111951683B (zh) * 2020-08-24 2022-06-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WO2022051944A1 (en) * 2020-09-09 2022-03-17 Boe Technology Group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fabricating display apparatus
CN112150929A (zh) 2020-09-27 2020-12-29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背板和显示装置
US11327531B2 (en) * 2020-09-30 2022-05-10 Sharp Kabushiki Kaisha Foldable display panel with shock absorber
KR20220060605A (ko) * 2020-11-04 2022-05-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20065145A (ko) * 2020-11-12 2022-05-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220091150A (ko) * 2020-12-23 2022-06-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20105690A (ko) * 2021-01-20 2022-07-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3161371B (zh) 2021-03-01 2023-05-09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
CN113284930B (zh) * 2021-03-18 2023-04-11 成都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支撑构件、显示模组和显示装置
CN112927625B (zh) * 2021-03-27 2022-07-1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支撑板及折叠显示装置
CN112991959B (zh) 2021-03-31 2023-09-29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可折叠显示模组及其制作方法、可折叠显示装置
CN113674626A (zh) * 2021-08-20 2021-11-1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及终端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3344A (ko) * 2015-11-30 2017-06-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
CN107591090A (zh) * 2016-07-06 2018-01-16 三星显示有限公司 可卷曲显示装置及可卷曲装置
CN108074489A (zh) * 2016-11-07 2018-05-25 三星显示有限公司 窗衬底和具有该窗衬底的显示装置
CN108268170A (zh) * 2016-12-30 2018-07-10 乐金显示有限公司 可折叠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40276B2 (ja) * 2002-07-05 2009-03-18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発光装置
JP4806828B2 (ja) * 2004-10-26 2011-11-02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光調節プレート及びこれを有するバックライト組立体及び表示装置
KR101691155B1 (ko) 2010-10-01 2017-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US20140091288A1 (en) * 2012-09-28 2014-04-03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077525B1 (ko) * 2013-07-30 2020-02-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4124268A (zh) * 2014-07-21 2014-10-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有机发光二极管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
KR102268328B1 (ko) * 2014-10-21 2021-06-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투과 점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WO2016068423A1 (ko) * 2014-11-01 2016-05-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88674B1 (ko) * 2014-11-27 2020-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JP6419608B2 (ja) * 2015-03-12 2018-11-0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101732140B1 (ko) 2015-05-29 2017-05-04 희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 지지용 백 커버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9983424B2 (en) * 2015-06-08 2018-05-29 L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KR102369943B1 (ko) * 2015-06-25 2022-03-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DE102016121942A1 (de) * 2015-11-30 2017-06-01 Lg Display Co., Ltd. Faltbare Anzeigevorrichtung
KR20170070370A (ko) * 2015-12-11 2017-06-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점착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2489110B1 (ko) * 2016-02-04 2023-01-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6530973B (zh) * 2016-12-21 2019-06-11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曲面显示装置
KR102652817B1 (ko) * 2016-12-30 2024-04-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폴더블 표시 장치
CN106816530B (zh) * 2016-12-30 2019-02-15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装置及其制作方法
CN106935720B (zh) * 2017-03-13 2019-06-1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显示面板、显示设备和制造其的方法
KR102398349B1 (ko) * 2017-06-05 2022-05-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7230429B (zh) * 2017-06-08 2019-06-25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柔性模组和柔性显示面板
CN108346376A (zh) * 2018-01-19 2018-07-31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柔性模组及柔性显示设备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3344A (ko) * 2015-11-30 2017-06-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
CN106875845A (zh) * 2015-11-30 2017-06-20 乐金显示有限公司 可折叠显示装置
CN107591090A (zh) * 2016-07-06 2018-01-16 三星显示有限公司 可卷曲显示装置及可卷曲装置
KR20180005787A (ko) * 2016-07-06 2018-01-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롤러블 장치
CN108074489A (zh) * 2016-11-07 2018-05-25 三星显示有限公司 窗衬底和具有该窗衬底的显示装置
CN108268170A (zh) * 2016-12-30 2018-07-10 乐金显示有限公司 可折叠显示装置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2999A (ko) * 2020-05-19 2021-11-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탄성 부재
WO2021241801A1 (ko) * 2020-05-26 2021-12-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
WO2021247470A1 (en) * 2020-06-03 2021-12-09 E Ink Corporation Foldable electrophoretic display module including non-conductive support plate
US11594693B2 (en) 2020-08-12 2023-02-2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22119124A1 (ko) * 2020-12-02 2022-06-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11950379B2 (en) 2020-12-02 2024-04-0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support layers
WO2022270884A1 (ko) * 2021-06-24 2022-12-29 삼성전자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033599A1 (ko) * 2021-09-03 2023-03-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989054B2 (en) 2021-11-22 2024-05-21 L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827680B (zh) 2022-02-08
US10755991B2 (en) 2020-08-25
CN110827680A (zh) 2020-02-21
KR102533507B1 (ko) 2023-05-16
US20200051881A1 (en) 2020-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3507B1 (ko) 폴더블 표시 장치
US11334117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CN109148713B (zh) 面板底片和包括其的显示装置
KR102529149B1 (ko)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US10117306B2 (en) Flexible display substrat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10866444B2 (en) Display device
KR20230167006A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롤러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408492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KR20190074820A (ko) 접착제 및 이를 적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KR20150033461A (ko)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408410B1 (ko) 폴더블 표시 장치
KR20160116122A (ko) 표시 장치
KR102598810B1 (ko) 폴더블 표시 장치
US11329250B2 (en) Display device
KR20190053691A (ko) 표시 장치
EP3845375B1 (en) Cover window and folda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30014793A (ko) 표시장치
JP5664144B2 (ja) 情報表示端末
TWI554405B (zh) 顯示保護視窗及使用其之顯示裝置
KR20220090038A (ko) 폴더블 표시 장치
TWI824462B (zh) 可撓式顯示裝置
KR20200070904A (ko) 폴더블 표시 장치
JP5589683B2 (ja) 情報表示端末
KR102654660B1 (ko) 폴더블 표시 장치
KR102614478B1 (ko) 커버 글라스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