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7012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7012A
KR20200017012A KR1020180091807A KR20180091807A KR20200017012A KR 20200017012 A KR20200017012 A KR 20200017012A KR 1020180091807 A KR1020180091807 A KR 1020180091807A KR 20180091807 A KR20180091807 A KR 20180091807A KR 20200017012 A KR20200017012 A KR 202000170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area
wires
driving
connec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1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승환
최종현
윤주선
이종혁
정민재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1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17012A/ko
Priority to US17/266,410 priority patent/US20210296424A1/en
Priority to EP19847310.0A priority patent/EP3832728A4/en
Priority to PCT/KR2019/002265 priority patent/WO2020032338A1/ko
Priority to CN201980053255.5A priority patent/CN112567528A/zh
Publication of KR20200017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70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with a particular composition, shape or layout of the wiring layers specially adapted to the circuit arrangement, e.g. scanning lines in LCD pixel circui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01L27/3276
    • H01L51/5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10K59/1216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the pixel elements being capacitors

Abstract

표시 영역 및 표시 영역의 외곽에 형성되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기판 상에서 비표시 영역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하여 표시 영역에 형성되는 복수의 신호 배선들, 및 기판 상에서 비표시 영역 중 제1 비표시 영역으로부터 표시 영역을 경유하여 비표시 영역 중 제2 비표시 영역까지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배선을 포함한다. 여기서, 연결 배선은 제2 비표시 영역에서 복수의 신호 배선들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멀티미디어의 발달과 함께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등과 같은 여러 종류의 표시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표시 장치 중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에 의해 빛을 생성하는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빠른 응답속도, 높은 휘도, 큰 시야각을 가지며, 또한, 낮은 소비 전력으로 구동할 수 있다.
한편, 표시 장치는 일반적으로 전면부에만 영상을 표시하나, 최근에는 측면부에서도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표시 장치는 상호 평행하게 배열된 신호 배선들을 통해 표시영역에 영상 신호를 전달한다. 표시영역은 전면 표시영역과, 전면 표시영역을 기준으로 신호선들의 연장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측면 표시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측면 표시영역에 영상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선들을 추가로 배치하기 위해, 신호 배선 영역의 면적이 증가하고, 신호 배선 영역으로 사용되는 표시 장치의 비표시영역의 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표시 장치의 비표시영역을 최소화하고, 표시 품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의 외곽에 형성되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서 상기 비표시 영역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표시 영역에 형성되는 복수의 신호 배선들; 및 상기 기판 상에서 상기 비표시 영역 중 제1 비표시 영역으로부터 상기 표시 영역을 경유하여 상기 비표시 영역 중 제2 비표시 영역까지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배선은 상기 제2 비표시 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신호 배선들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배선은 복수의 연결 배선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연결 배선들은 상호 다른 길이들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비표시 영역은 상기 제1 비표시 영역과 인접하고, 상기 복수의 연결 배선들 중 제1 연결 배선의 길이는 상기 복수의 연결 배선들 중 제2 연결 배선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연결 배선들은 상기 표시 영역 내에서 상호 이격되고, 상호 교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배선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기판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신호 배선들 중 하나와 중첩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배선은 상기 제1 부분의 일단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배선은 상기 제2 부분의 일단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3 부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부분은 상기 제1 부분과는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 비표시 영역은 상기 표시 영역의 모서리로부터 돌출된 코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 배선들 중 제1 신호 배선의 일단은 상기 코너부 내에 위치하며, 상기 신호 배선들 중 제2 신호 배선은 상기 코너부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1 신호 배선은 상기 제2 신호 배선보다 길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배선 및 상기 신호 배선들 사이를 절연시키는 절연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비표시 영역에는 상기 절연층을 관통하여 상기 신호 배선들 중 상기 어느 하나를 노출시키는 콘택홀이 형성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배선은 상기 콘택홀을 통해 상기 신호 배선들 중 상기 어느 하나와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기판의 구동 영역 상에서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구동 배선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영역은 상기 제2 비표시 영역과 인접하고 상기 표시 영역으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구동 배선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 배선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배선과 직접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구동 배선들 중 나머지 구동 배선은 상기 신호 배선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 배선과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배선과 상기 나머지 구동 배선 사이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 절연층 및 제2 절연층; 및 상기 제1 절연층 및 제2 절연층 사이에 배치되는 전원전압 배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기판 상에서 상기 구동 배선들 상에 배치되는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 상에 배치되는 전원전압 배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기판 상에서 상기 신호 배선들 사이에 배치되는 전원전압 배선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전압 배선들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배선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기판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전원전압 배선들 중 하나와 중첩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배선은 복수의 연결 배선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연결 배선들은 상호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비표시 영역은 상기 제1 비표시 영역과 이격되고, 상기 복수의 연결 배선들은 상기 표시 영역을 가로지를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기판의 구동 영역 상에서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구동 배선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영역은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패드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비표시 영역과 인접하고, 상기 표시 영역과 이격되며, 상기 구동 배선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 배선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배선과 직접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구동 배선들 중 나머지 구동 배선은 상기 신호 배선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 배선과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배선은 상기 나머지 구동 배선이 배치되는 층과 다른 층에 배치되어 상기 나머지 구동 배선과 절연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배선은 상기 구동 영역에 형성된 콘택홀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 영역 내에 형성되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구동소자층; 상기 구동소자층 상에 배치되는 제1 절연층; 상기 제1 절연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트랜지스터의 제1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 배선을 포함하는 제1 도전층; 상기 제1 도전층 상에 배치되는 제2 절연층; 및 상기 제2 절연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신호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배선을 포함하는 제2 도전층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배선은 상기 비표시 영역에서 상기 제2 절연층을 관통하는 콘택홀을 통해 상기 신호 배선과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배선은 상기 표시 영역에서 상기 신호 배선과 중첩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도전층은 상기 트랜지스터의 제2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전원전압 배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배선은 상기 표시 영역에서 상기 제1 전원전압 배선과 중첩할 수 있다.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영역에 배열되어 영상 신호를 특정 표시영역(예를 들어, 측면 표시영역)에 배열되는 신호 배선들에 전달하는 연결 배선들을 포함함으로써, 표시 장치의 데드 스페이스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연결 배선들은 표시영역을 경유하여 비표시영역까지 연장하여 배치되고, 비표시영역에 형성된 콘택홀들을 통해 신호 배선들과 연결됨으로써, 콘택홀들에 기인한 표시 품질의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를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B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화소의 일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7은 도 3의 I-I'선을 따라 자른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3의 II-II'선을 따라 자른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3의 III-III'선을 따라 자른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3의 III-III'선을 따라 자른 표시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3의 I-I'선을 따라 자른 표시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도 1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연결 배선 및 구동칩 간의 연결 관계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4는 도 1의 표시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의 표시 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D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의 IV-IV'선 및 V-V'선을 따라 자른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를 펼쳐서 나타낸 전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는 유기발광 표시 장치(OLED), 액정 표시 장치(LCD), 플라즈마 표시 장치(PDP), 전계방출 표시 장치(FED), 전기영동 표시 장치(EPD) 등일 들 수 있다. 이하에서, 표시 장치(1)는 유기발광 표시 장치인 것을 예시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 장치(1)는, 모바일 폰, 스마트 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워치 폰, 이동 통신 단말기, 전자 수첩, 전자 책,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UMPC(Ultra Mobile PC)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기기 뿐만 아니라 텔레비전, 노트북, 모니터, 광고판, 사물 인터넷 등과 같은 다양한 제품에 적용될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주표시면(10) 및 부표시면들(11 내지 14)을 포함할 수 있다.
주표시면(10)은 대체로 판 형상을 가지고, 표시 장치(1)의 일 평면 상에 위치하며, 주표시면(10) 및 부표시면들(11 내지 14) 중 가장 넓은 면적(또는, 크기)을 갖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표시면(10)은 표시 장치(11)의 상면에 위치할 수 있다. 주표시면(10)은 직사각형 등 다각형 형상, 원형, 타원형 등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부표시면들(11 내지 14)은 주표시면(10)이 위치하는 평면과는 다른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부표시면들(11 내지 14) 각각은 주표시면(10)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고, 부표시면들(11 내지 14)은 상호 다른 평면들에 위치할 수 있다. 부표시면들(11 내지 14)은 주표시면(10)의 변들과 각각 연결되고 주표시면(10)(또는, 주표시면(10)의 변들)으로부터 벤딩되거나 절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표시면(10)이 직사각형 형상인 경우, 표시 장치(1)는 제1 내지 제4 부표시면들(11 내지 14)을 포함하고, 제1 내지 제4 부표시면들(11 내지 14)은 직사각형의 4개의 변들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1 부표시면(11)은 주표시면(10)의 제1 장변에 연결되고, 주표시면(10)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어 표시 장치(1)의 좌측면을 구성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부표시면(12)은 주표시면(10)의 제2 장변에 연결되고, 주표시면(10)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어 표시 장치(1)의 우측면을 구성할 수 있다. 제3 부표시면(13)은 주표시면(10)의 제1 단변에 연결되어 표시 장치(1)의 상측면을 구성하고, 제4 부표시면(14)은 주표시면(10)의 제2 단변에 연결되어 표시 장치(1)의 하측면을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장치(1)는 상면과 그에 연결된 측면들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다면 입체 표시 장치일 수 있다. 도 2에서 표시 장치(1)의 하면은 표시면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는 영상을 표시하는 하면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표시 장치(1)는 표시영역(DA) 및 비표시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영역은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최소 단위의 발광 유닛인 화소(PX)를 포함할 수 있다. 비표시영역은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영역으로, 화소(PX)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화소(PX)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먼저, 표시영역(DA)은 주표시영역(DA0) 및 제1 내지 제4 부표시영역들(DA1 내지 DA4)를 포함할 수 있다.
주표시영역(DA0)은 주표시면(11)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표시면(11)은 주표시영역(DA0)만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표시영역(DA1)은 제1 부표시면(11)에 위치하고, 제1 표시영역(DA1)은 주표시영역(DA0)과 연결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내지 제4 표시영역들(DA2 내지 DA4)은 제2 내지 제4 부표시면들(12 내지 14)에 각각 위치하고, 제2 내지 제4 표시영역들(DA2 내지 DA4) 각각은 주표시영역(DA0)과 연결될 수 있다.
비표시영역(NDA)은, 표시 장치(1)의 전개도 상에서, 표시영역(DA)의 가장자리(또는, 주표시면(10)과 부표시면들(11 내지 14) 전체의 최외곽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비표시영역(NDA)에는 구동 배선, 구동 회로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비표시영역(NDA)은 누설광을 차단하는 블랙 매트릭스, 데코레이션 잉크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비표시영역(NDA)은 제1 내지 제4 비표시영역들(NDA1 내지 DNA4)(또는, 제1 내지 제4 서브 비표시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비표시영역(NDA1)은 제1 부표시면(11)에 위치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내지 제4 비표시영역들(NDA2 내지 NDA4)은 제2 내지 제4 부표시면들(12 내지 14)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비표시영역(NDA)(또는, 표시 장치(1))은 제1 내지 제4 코너윙들(21 내지 24)(또는, 코너부, 코너 영역들, 코너윙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코너윙들(21 내지 24) 각각은 주표시면(11)의 모서리(즉, 2개의 변들이 만나는 부분)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코너윙들(21 내지 24)은 그 위치를 제외하고 상호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내지 제4 코너윙들(21 내지 24)의 공통된 특징을 제1 코너윙(21)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반복하지 않기로 한다.
제1 코너윙(21)은 주표시면(10)의 모서리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을 수 있다. 제1 코너윙(21)은 제1 부표시면(11)과 제4 부표시면(14) 사이에 위치하고(또는, 제1 부표시영역(DA1)과 제4 부표시영역(DA4) 사이에 위치하거나, 제1 비표시영역(NDA1)과 제4 비표시영역(NDA4) 사이에 위치하고), 제1 부표시면(11)과 제4 부표시면(14) 사이의 교차각을 둔각으로 완화할 수 있다. 제1 코너윙(21)의 일단은 제1 부표시면(11)에 위치하고 타단은 제4 부표시면(14)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코너윙(21)은 신호 배선들이 배치되거나 경유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부표시면(11) 및 제4 부표시면(14)이 절곡되는 경우, 제1 코너윙(21)은 내측(즉, 표시 장치(1)의 내부 공간 또는 무게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접힐 수 있다. 이 경우, 제1 코너윙(21)은 절곡선(20)을 따라 절곡되어, 제1 코너윙(21)의 일단(즉, 제1 부표시면(11)에 인접한 제1 부분)과 제1 코너윙(21)의 타단(즉, 제4 부표시면(14)에 인접한 제2 부분)은 상호 대향할 수 있다. 제1 코너윙(21)의 일단 및 타단은 상호 접하거나 결합층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제1 코너윙(21)은 제1 부표시면(11) 및 제4 부표시면(14)의 절곡시 내측으로 접히기 때문에, 제1 코너윙(21)은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유사하게, 제2 코너윙(22), 제3 코너윙(23) 및 제4 코너윙(24)은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내지 제4 코너윙들(21 내지 24)은 비표시영역(NDA)에 포함될 수 있다.
비표시영역(NDA)(또는, 표시 장치(1))은 구동 영역(30)을 더 포함하고, 구동 영역(30)은 제1 내지 제4 부표시면들(11 내지 14)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영역(30)은 제4 부표시면(14)의 일측(예를 들어, 표시 장치(1)의 전개도상, 제4 부표시면(14)의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부표시면(14)이 주표시면(10)을 기준으로 수직으로 절곡될 때, 구동 영역(30)은 제4 부표시면(14)을 기준으로 수직으로 한번 더 절곡되어(즉, 주표시면(10)을 기준으로 180°의 각도로 절곡되어), 주표시면(10)의 두께 방향으로, 주표시면(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 영역(30)은 주표시면(10)과 중첩하고 주표시면(10)에 평행할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구동칩(40)(또는, 구동칩이 배치되고, 구동칩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패드부)를 포함하고, 구동칩(40)은 구동 영역(30)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칩(40)은 화소(PX)의 구동에 필요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표시영역(DA)(또는, 화소(PX))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칩(40)은 화소(PX)의 발광 휘도를 결정하는 데이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칩(40)은 구동 영역에 형성된 구동 배선(미도시)과 주표시면(10)과 부표시면들(11 내지 14)에 형성되는 신호 배선(미도시)(예를 들어, 데이터 배선)을 통해 화소(PX)에 데이터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구동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배선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의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B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신호 배선(136), 연결 배선(146), 및 구동 배선(6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신호 배선(136), 연결 배선(146), 및 구동 배선(60)의 배치 구성은, 제1 방향(W1)으로 연장하며 표시 장치(1)의 면적 중심을 관통하는 기준축(미도시)을 기준으로 대칭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부표시면(11)에 상대적으로 인접하는 신호 배선(136), 연결 배선(146), 및 구동 배선(60)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신호 배선(136)은 데이터 배선들(D1 내지 Dm)(또는, 신호 배선들)을 포함할 수 있다(단, m은 3 이상의 정수).
데이터 배선들(D1 내지 Dm)은 제1 방향(W1)으로 연장하며, 제2 방향(W2)을 따라 특정 간격을 가지고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데이터 배선들(D1 내지 Dm) 각각은 제1 방향(W1)으로 표시영역(DA)을 가로질러 연장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배선들(D1 내지 Dm) 중 제1 내지 제k 데이터 배선들은 하나의 표시면에만 배치될 수 있다(단, k는 2 이상이고, m보다 작은 양의 정수). 이하에서는, k는 7이고, m은 14보다 큰 것을 예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7 데이터 배선들(D1 내지 D7)은 제1 비표시영역(NDA1)의 일단부로부터 제4 표시영역(DA4)을 가로질러 타단부까지(예를 들어, 하측부에서 상측부)까지 연장할 수 있다. 제8 내지 제14 데이터 배선들(D8 내지 D14)은 제4 비표시영역(NDA4)으로부터 제4 부표시영역(DA4), 주표시영역(DA0) 및 제3 부표시영역(DA3)을 가로질러 제3 비표시영역(NDA3)까지 연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배선들(D1 내지 Dm) 중 일부는 코너윙들(21 내지 24) 중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까지 연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내지 제7 데이터 배선들(D3 내지 D7)은 제1 코너윙(21)으로부터 제3 코너윙(23)까지 연장할 수 있다.
연결 배선(146)은 신호 배선(136) 중 일부와 구동 배선(60) 중 일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연결 배선(146)은 신호 배선(136)이 배치되는 층(layer)과 다른 층에 배치되며, 연결 배선(146)은 절연층을 통해 신호 배선(136)과 절연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연결 배선(146)은 제1 내지 제k 데이터 배선들(D1 내지 Dk)에 대응하여 제1 내지 제k 데이터 연결 배선들(DM1 내지 DMk)(또는, 제1 내지 제k 연결 배선들)을 포함할 수 있다. k는 7인 경우, 연결 배선(146)은 제1 내지 제7 데이터 연결 배선들(DM1 내지 DM7)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연결 배선들(DM1 내지 DM7)은 제1 부표시면(11)에 배치되는 데이터 배선들(D1 내지 D7)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7 데이터 연결 배선들(DM1 내지 DM7)은 제4 부표시면(14)의 제4 비표시영역(NDA4)(예를 들어, 제4 비표시영역(NDA4)의 하측부)으로부터 표시영역(DA)을 경유하여 대응하는 신호 배선(136)의 일단까지(예를 들어, 제1 부표시면(11)의 제1 비표시영역(NDA1)의 하측부 및 제1 코너윙(21)까지) 연장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7 데이터 연결 배선들(DM1 내지 DM7)은 상호 특정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7 데이터 연결 배선들(DM1 내지 DM7) 간의 간격은 제1 내지 제7 데이터 배선들(D1 내지 D7) 간의 간격과 같을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7 데이터 연결 배선들(DM1 내지 DM7)은 제4 부표시면(14)의 제4 비표시영역(NDA4)(예를 들어, 제4 비표시영역(NDA4)의 하측부)으로부터 제1 방향(W1)(예를 들어, 상측)으로 연장하며, 표시영역(DA) 내에서 제2 방향(W2)(예를 들어, 좌측)으로 방향을 전환하여 연장하며, 대응하는 신호 배선(136)과 인접하거나 교차하는 영역에서 대응하는 신호 배선(136)의 일단까지(즉, 제1 부표시면(11)의 제1 비표시영역(NDA1)의 하측부까지) 연장할 수 있다.
즉, 제1 내지 제7 데이터 연결 배선들(DM1 내지 DM7) 각각은 제4 비표시영역(NDA4)로부터 제1 방향(W1)으로 연장하는 제1 부분과, 제1 부분의 일단에서 제2 방향(W2)으로 연장하는 제2 부분과, 제2 부분의 일단에서 제1 방향(W1)(또는, 제1 방향(W1)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3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7 데이터 연결 배선들(DM1 내지 DM7) 각각의 제1 부분은, 표시영역(DA) 내에서 평면도 상에서, 제1 내지 제m 데이터 배선들(D1 내지 Dm) 중 하나와 중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데이터 연결 배선(DM2)의 제1 부분은 제8 데이터 배선(D8)과 중첩하고, 제7 데이터 연결 배선(DM7)의 제1 부분은 제14 데이터 배선(D14)과 중첩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7 데이터 연결 배선들(DM1 내지 DM7) 각각의 제1 부분은, 표시영역(DA) 내에서 평면도 상에서, 제1 내지 제m 데이터 배선들(D1 내지 Dm)과 중첩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7 데이터 연결 배선들(DM1 내지 DM7) 각각의 제3 부분은, 평면도 상에서, 제1 내지 제m 데이터 배선들(D1 내지 Dm) 중 하나와 중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데이터 연결 배선(DM1)의 제3 부분은 제7 데이터 배선(D7)과 중첩하고, 제2 데이터 연결 배선(DM2)의 제3 부분은 제6 데이터 배선(D6)과 중첩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에서 연결 배선(146)은 직각으로 꺽이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내지 제7 데이터 연결 배선들(DM1 내지 DM7)은 평면상 상호 교차하지 않고, 이에 따라, 제1 코너윙(21)에 상대적으로 인접한 다른 데이터 연결 배선을 우회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데이터 연결 배선(DM1)은 제2 데이터 연결 배선(DM2)을 우회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연결 배선(146)이 코너윙(예를 들어, 제1 코너윙(21))에 인접할수록, 연결 배선(146)이 꺾이는 위치가 구동영역(30)에 가깝고, 연결 배선(146)이 코너윙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연결 배선(146)의 꺾이는 위치가 구동영역(30)으로부터 더 이격될 수 있다.
제1 코너윙(21)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이격된 데이터 연결 배선이 제1 코너윙(21)에 상대적으로 인접한 다른 데이터 연결 배선을 우회하여 배치됨에 따라, 제1 내지 제7 데이터 연결 배선들(DM1 내지 DM7)은 상호 다른 길이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데이터 연결 배선(DM2)의 길이는 제1 데이터 연결 배선(DM1)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즉, 제i+1 데이터 연결 배선(DMi+1)의 길이는 제i 데이터 연결 배선(DMi)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단, i는 양의 정수).
일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7 데이터 연결 배선들(DM1 내지 DM7)은 상호 동일한 저항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데이터 연결 배선(DM2)의 길이가 제1 데이터 연결 배선(DM1)의 길이보다 긴 경우, 제1 데이터 연결 배선(DM1)의 폭은 제2 데이터 연결 배선(DM2)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제1 내지 제7 데이터 연결 배선들(DM1 내지 DM7) 각각은 제1 비표시영역(NDA1)의 하측부 및 제2 코너윙(22)에 형성된 콘택홀(CNT)(즉, 비표시영역(NDA)에 형성된 콘택홀(CNT))을 통해 제1 내지 제7 데이터 배선들(D1 내지 D7)에 직접적으로 일대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데이터 연결 배선(DM1)은 제7 데이터 배선(D7)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7 데이터 연결 배선(DM7)은 제1 데이터 배선(D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제i 데이터 연결 배선(DMi)은 제k+1-i 데이터 배선(DMk+1-i)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동 배선(60)은 구동 배선들(61a 내지 67a, 61b 내지 67b)(또는, 패드 배선들, 패드 연결 배선들)을 포함하고, 구동 배선들(61a 내지 67a, 61b 내지 67b)은 구동칩(40)(또는, 구동칩(40)이 배치되는 패드부)으로부터 제4 부표시면(14)의 제4 비표시영역(NDA4)(또는, 구동 영역(30)과 제4 부표시면(14)의 접선(51))까지 연장할 수 있다.
구동 배선들(61a 내지 67a, 61b 내지 67b)은 제1 구동 배선 그룹(60a) 및 제2 구동 배선 그룹(60b)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구동 배선 그룹(60a)에 포함된 구동 배선들(61a 내지 67a)은 제2 구동 배선 그룹(60b)에 포함된 구동 배선들(61b 내지 67b)이 배치되는 층과 다른 층에 배치되며, 제1 구동 배선 그룹(60a)에 포함된 구동 배선들(61a 내지 67a)은 평면도 상 제2 구동 배선 그룹(60b)에 포함된 구동 배선들(61b 내지 67b)과 교차할 수 있다. 제1 구동 배선 그룹(60a)에 포함된 구동 배선들(61a 내지 67a)은 별도의 절연층을 통해 제2 구동 배선 그룹(60b)에 포함된 구동 배선들(61b 내지 67b)과 절연될 수 있다.
제1 구동 배선 그룹(60a)에 포함된 구동 배선들(61a 내지 67a)은 데이터 연결 배선들(DM1 내지 DM7)을 통해 제1 부표시면(11)에 배치되는 데이터 배선들(D1 내지 D7)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구동 배선 그룹(60b)에 포함된 구동 배선들(61b 내지 67b)은 주표시면(10)에 배치되는 데이터 배선들(D8 내지 D14)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는 표시영역(DA)을 경유하여 배치되는 연결 배선(146)을 포함하고, 연결 배선(146)을 통해 구동칩(40)으로부터 제1 부표시부(11)(및 제2 부표시부(12))에 배치되는 신호 배선(136)(예를 들어, 제1 내지 제7 데이터 배선들(D1 내지 D7))에 영상 신호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부표시부(11)(및 제2 부표시부(12))에 배치되는 신호 배선(136)을 구동 배선(60)에 직접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요구되는 추가적인 데드 스페이스가 불필요할 수 있다. 즉, 데드 스페이스의 증가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1 부표시부(11)(및 제2 부표시부(12))에 배치되는 신호 배선(136)과 연결 배선(146)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콘택홀(CNT)은 비표시영역(NDA)에 형성됨으로, 화소(PX)(또는 화소(PX)에 제공되는 구성 신호)에 대한 콘택홀(CNT)의 간섭이 제거되거나 완화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화소(PX)의 구성과, 화소(PX)의 구성에 따른 콘택홀(CNT)의 영향에 대해 먼저 설명하고, 이후 신호 배선(136), 연결 배선(146) 및 구동 배선(60) 간의 관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도 1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화소의 일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7은 도 3의 I-I'선을 따라 자른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3의 II-II'선을 따라 자른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3의 III-III'선을 따라 자른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화소(PX)(또는, 화소 회로)는 발광 소자(OLED), 제1 내지 제7 트랜지스터들(T1 내지 T7) 및 유지 커패시터(Cst)를 포함할 수 있다. 화소(PX)에는 데이터 신호(DATA), 제1 주사 신호(SL1k), 제2 주사 신호(SL2k), 제3 주사 신호(SL3k), 발광 제어 신호(EM) 및 초기화 전압(VINT)이 인가될 수 있다. 데이터 신호(DATA), 제1 주사 신호(SL1k), 제2 주사 신호(SL2k), 제3 주사 신호(SL3k), 발광 제어 신호(EM) 및 초기화 전압(VINT)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동칩(40)으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7 트랜지스터들(T1 내지 T7) 각각은 박막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제1 내지 제7 트랜지스터들(T1 내지 T7) 각각은 PMOS(P-channel MOSFET) 트랜지스터 또는 NMOS(N-channel MOSFET)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도 6에서 제1 내지 제7 트랜지스터들(T1 내지 T7)은 PMOS 트랜지스터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7 트랜지스터들(T1 내지 T7)는 NMOS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제2, 제5 및 제6 트랜지스터들(T1, T2, T5, T6) 각각은 PMOS 트랜지스터이고, 제3 및 제4 트랜지스터들(T3, T4) 각각은 NMOS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제1 트랜지스터(T1)(또는, 구동 트랜지스터)는 제1 노드(N1)에 연결되는 제1 전극, 제2 노드(N2)에 연결되는 제2 전극 및 제3 노드(N3)에 연결되는 게이트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트랜지스터(T1)는 제3 노드(N3)의 전압(또는, 후술하는 저장 커패시터(Cst)에 저장된 데이터 전압)에 기초하여 구동 전류(Ioled)를 발광 소자(OLED)에 제공할 수 있다.
제2 트랜지스터(T2)(또는, 스위칭 트랜지스터)는 데이터선에 연결되는(또는, 데이터(DATA)를 수신하는) 제1 전극, 제1 노드(N1)에 연결되는 제2 전극, 및 제1 주사 신호(SL1k)(단, k는 양의 정수)를 수신하는(또는, 제2 주사선에 연결되는) 게이트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트랜지스터(T2)는 제1 주사 신호(SL1k)에 응답하여 턴온되고, 데이터 신호(DATA)를 제1 노드(N1)에 전달할 수 있다.
제3 트랜지스터(T3)는 제2 노드(N2)에 연결되는 제1 전극, 제3 노드(N3)에 연결되는 제2 전극, 및 제1 주사 신호(SL1k)를 수신하는(또는, 제1 주사선에 연결되는) 게이트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트랜지스터(T3)는 제2 주사 신호(SL2k)에 응답하여 턴온되고, 데이터 신호(DATA)를 제3 노드(N3)로 전달할 수 있다.
저장 커패시터(Cst)는 제3 노드(N3)와 제1 전원전압(ELVDD) 사이에 연결되거나 형성될 수 있다. 저장 커패시터(Cst)는 제공되는 데이터 신호(DATA)를 저장할 수 있다.
제4 트랜지스터(T4)는 제3 노드(N3)에 연결되는 제1 전극, 초기화 전압 배선에 연결되거나 초기화 전압(VINT)을 수신하는 제2 전극, 및 제2 주사선에 연결되거나 제2 주사 신호(SL2k)를 수신하는 게이트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트랜지스터(T4)는 저장 커패시터(Cst)에 데이터 신호(DATA)가 저장되기 전에, 또는 발광 소자(OLED)가 발광한 이후에, 제2 주사 신호(SL2k)에 응답하여 턴온되고, 제3 노드(N3)(또는, 저장 커패시터(Cst))를 초기화 전압(VINT)을 이용하여 초기화시킬 수 있다.
제5 트랜지스터(T5) 및 제6 트랜지스터(T6)(또는, 제1 및 제2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들)는 제1 전원전압 배선 및 발광 소자(OLED) 사이에 연결되고, 제1 트랜지스터(T1)에 의해 생성되는 구동 전류(Ioded)가 이동하는 전류 이동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제5 트랜지스터(T5)는 제1 전원전압 배선에 연결되어 제1 전원전압(ELVDD)를 수신하는 제1 전극, 제1 노드(N1)에 연결되는 제2 전극, 및 발광 제어 신호선에 연결되거나 발광 제어 신호(Em)를 수신하는 게이트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제6 트랜지스터(T6)는 제2 노드(N2)에 연결되는 제1 전극, 제4 노드(N4)(또는, 발광 소자(OLED)의 애노드 전극)에 연결되는 제2 전극, 및 발광 제어 신호선(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제1 발광 제어 신호선(EL1))에 연결되거나 발광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게이트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제5 및 제6 트랜지스터들(T5, T6)은 발광 제어 신호(Em)에 응답하여 턴온되고, 이 경우, 구동 전류(Ioded)가 발광 소자(OLED)에 제공되며, 발광 소자(OLED)는 구동 전류(Ioded)에 대응하는 휘도를 가지고 발광할 수 있다.
제7 트랜지스터(T7)는 제4 노드(N4)에 연결되는 제1 전극, 초기화 전압 배선(또는, 초기화 전압(VINT))에 연결되는 제2 전극, 및 제3 주사 신호선에 연결되거나 제3 주사 신호(SL3k)를 수신하는 게이트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제7 트랜지스터(T7)는, 발광 소자(OLED)가 발광하기 전에 또는 이후에, 제3 주사 신호(SL3k)에 응답하여 턴온되고, 초기화 전압(VINT)을 이용하여 발광 소자(OLED)의 애노드 전극을 초기화시킬 수 있다. 발광 소자(OLED)는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또는, 제2 전원전압(ELVSS)) 사이에 형성되는 기생 커패시턴스를 가질 수 있으며, 발광 소자(OLED)가 발광하는 동안 기생 커패시턴스가 충전되어 발광 소자(OLED)의 애노드 전극이 특정 전압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7 트랜지스터(T7)를 통해 발광 소자(OLED)를 초기화시킬 수 있다.
도 3에서는 화소(PX)는 7개의 트랜지스터들(1T 내지 7T) 및 1개의 커패시터(Cst)를 포함하는 7T1C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화소(PX)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화소(PX)는 2T1C, 5T1C, 6T1C 등 다른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내지 제7 트랜지스터들(T1 내지 T7) 각각의 게이트 전극, 주사 신호(SL1k, SL2k, SL3k)를 전달하는 주사 신호선 중 적어도 일부, 및 유지 커패시터(Cst)의 제1 전극은 동일한 층에 배치된 제1 게이트 도전층(또는, 제1 도전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유지 커패시터(Cst)의 제2 전극은 제1 게이트 도전층과 다른 층에 배치된 제2 게이트 도전층(또는, 제2 도전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배선, 제1 내지 제7 트랜지스터들(T1 내지 T7) 각각의 소스 전극, 드레인 전극 등은 제1 소스/드레인 도전층(또는, 제3 도전층) 및 제2 소스/드레인 도전층(또는, 제4 도전층)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기판(101), 버퍼층(102), 반도체층(105), 제1 절연층(171), 제1 게이트 도전층(110), 제2 절연층(172), 제2 게이트 도전층(120), 제3 절연층(173), 제1 소스/드레인 도전층(130), 제4 절연층(174), 제2 소스/드레인 도전층(140), 제5 절연층(175), 제1 전극층(150), 발광 소자층, 및 제2 전극층(160)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층(105) 내지 제2 게이트 도전층(120)에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트랜지스터들(T1 내지 T7)이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반도체층(105) 내지 제2 게이트 도전층(120)은 구동소자층으로 총칭될 수 있다.
기판(101)은 그 위에 배치되는 각 층들을 지지할 수 있다. 기판(101)은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판(101)은 유리, 석영 등의 무기물로 이루어지거나, 폴리이미드 등과 같은 유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판(101)은 리지드 기판이거나 플렉시블 기판일 수 있다.
기판(101) 상에 버퍼층(102)이 배치될 수 있다. 버퍼층(102)은 불순물 이온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수분이나 외기의 침투를 방지하며, 표면 평탄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버퍼층(102)은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또는 실리콘 산질화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버퍼층(102)은 기판(101)의 종류나 공정 조건 등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버퍼층(102) 상에는 반도체층(105)이 배치될 수 있다. 반도체층(105)은 제1 및 제2 반도체 패턴(105_1, 105_2)을 포함하고, 제1 및 제2 반도체 패턴(105_1, 105_2)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트랜지스터들(T1 내지 T7)의 채널을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반도체 패턴(105_1)은 제1 트랜지스터(T1)의 채널을 이루고, 제2 반도체 패턴(105_2)은 제2 트랜지스터(T2)의 채널을 이룰 수 있다.
반도체층(105)은 다결정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층(105)에서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소/드레인 전극과 연결되는 부위(예를 들어, 소스/드레인 영역)에는 불순물 이온(예를 들어, p형 불순물 이온)이 도핑될 수 있다. 붕소(B) 등 3가 도펀트가 p형 불순물 이온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반도체층(105)은 다결정 실리콘 대신 단결정 실리콘, 저온 다결정 실리콘, 비정질 실리콘이나, ITZO, IGZO 등의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반도체층(105) 상에는 제1 절연층(17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절연층(171)은 게이트 절연 기능을 갖는 게이트 절연막일 수 있다.
제1 절연층(171) 상에는 제1 게이트 도전층(11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게이트 도전층(110)은 제1 및 제2 게이트 도전 패턴들(110_1, 110_2)이 배치된다. 제1 및 제2 게이트 도전 패턴들(110_1, 110_2)은 트랜지스터들(예를 들어,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들(T1, T2))의 게이트 전극들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게이트 도전 패턴(110_1)은 제1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고, 제2 게이트 도전 패턴(110_2)는 제2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게이트 도전층(110)(또는, 제1 게이트 도전 패턴(110_1))은 유지 커패시터(Cst)의 제1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게이트 도전층(110)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은(Ag), 마그네슘 (Mg), 금(Au), 니켈(Ni), 네오디뮴(Nd), 이리듐(Ir), 크롬(Cr), 칼슘(Ca), 티타늄(Ti), 탄탈륨(Ta), 텅스텐(W), 구리(Cu) 가운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게이트 도전층(110) 상에는 제2 절연층(17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절연층(172)은 층간 절연막일 수 있다.
제2 절연층(172) 상에는 제2 게이트 도전층(120)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게이트 도전층(120)은 유지 커패시터(Cst)의 제2 전극(1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극(120)은 제2 절연층(172)을 사이에 두고 제1 게이트 도전 패턴(110_1)과 중첩 배치되어 유지 커패시터(Cst)를 이룰 수 있다. 제2 게이트 도전층(120)은 제1 게이트 도전층(110)의 구성 물질로 예시된 물질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게이트 도전층(120) 상에는 제3 절연층(173)이 배치될 수 있다.
제3 절연층(173) 상에는 제1 소스/드레인 도전층(13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소스/드레인 도전층(130)은 제2 트랜지스터(T1)의 소스 전극(132) 및 드레인 전극(131), 제1 데이터 패턴(133), 제1 트랜지스터(T1)의 소스 전극(134) 및 드레인 전극(135), 신호 배선(136)(즉,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신호 배선(136)), 및 제1 전원 배선(137)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데이터 패턴(133)은 제2 절연층(172) 및 제3 절연층(173)을 관통하여 제1 게이트 도전 패턴(110_1)을 노출시키는 콘택홀을 통해 제1 게이트 도전 패턴(110_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데이터 패턴(133)은 도 4에 도시된 제3 노드(N3)에 대응될 수 있다.
제1 소스/드레인 도전층(130)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은(Ag), 마그네슘 (Mg), 금(Au), 니켈(Ni), 네오디뮴(Nd), 이리듐(Ir), 크롬(Cr), 칼슘(Ca), 티타늄(Ti), 탄탈륨(Ta), 텅스텐(W), 구리(Cu) 가운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소스/드레인 도전층(130)은 단일막 또는 다층막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소스/드레인 도전층(130)은 Ti/Al/Ti, Mo/Al/Mo, Mo/AlGe/Mo, Ti/Cu 등의 적층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소스/드레인 도전층(130) 상에는 제4 절연층(174)이 배치되고, 제4 절연층(174) 상에는 제2 소스/드레인 도전층(140)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소스/드레인 도전층(140)은 연결 배선(146)(즉,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연결 배선(146))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배선(146)은 신호 배선(136)과 평면상 중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2 소스/드레인 도전층(140)은 제1 소스/드레인 도전층(130)을 구성하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소스/드레인 도전층(140) 상에는 제5 절연층(175)이 배치되고, 제5 절연층(175) 상에는 제1 전극층(15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극층(150)은 발광 소자(OLED)의 애노드 전극(151)을 포함하고, 애노드 전극(151)은 제5 절연층(175) 및 제4 절연층(174)을 관통하는 컨택홀을 통해 제1 트랜지스터(T1)의 소스 전극(134)(또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6 트랜지스터(T6)의 제2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극층(150) 상에는 발광 소자층이 배치되고, 발광 소자층은 화소 정의막(176) 및 유기층(EL)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 정의막(176)은 애노드 전극(151)의 가장자리를 따라 애노드 전극(151) 상에 배치되고, 애노드 전극(150)을 노출하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층(EL)은 화소 정의막(176)의 개구부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유기층(EL)은 유기 발광층, 정공 주입/수송층, 전자 주입/수송층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층(EL)과 화소 정의막(176) 상에는 제2 전극층(160)(또는, 발광 소자(OLED)의 캐소드 전극)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극층(160)은 표시 장치(1)의 표시영역(DA) 전체에 걸쳐 배치된 공통 전극일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배선(136)(및 연결 배선(146))과 제3 노드(N3)(또는, 제1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과 연결된 제1 데이터 패턴(133)) 사이에 기생 커패시터(Cpara)가 형성될 수 있다.
먼저 데이터 배선(136)과 제3 노드(N3)(또는, 제1 데이터 패턴(133)) 사이에 제1 기생 커패시터(C1)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1 기생 커패시터(C1)의 커패시턴스는 미미하고, 또한, 표시영역(DA) 내 모든 화소들에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작용하므로, 제1 기생 커패시터(C1)에 기인한 표시 품질의 저하는 미미하거나 배제될 수 있다.
또한, 연결 배선(146)이 화소(PX)와 인접하여 배치됨에 따라, 연결 배선(146)과 제3 노드(N3) 사이에 제2 기생 커패시터(C2)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 배선(146)이 신호 배선(136)과 동일한 사양(예를 들어, 두께, 면적, 길이 등)을 가지고 신호 배선(136)에 중첩하여 배치되는 경우, 제2 기생 커패시터(C2)의 커패시턴스는 제1 기생 커패시터(C1)의 커패시턴스에 비해 작으며, 제2 기생 커패시터(C2)에 기인한 표시 품질의 저하는 미미하거나 배제될 수 있다.
다만, 표시영역(DA) 내에 신호 배선(136)과 연결 배선(146)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콘택홀(CNT_C)이 존재하는 경우, 콘택홀(CNT_C)과 제3 노드(N3) 사이에 제3 기생 커패시터(C3)가 형성될 수 있다. 두께 방향으로 콘택홀(CNT_C)의 길이가 제3 기생 커패시터(C3)의 면적 성분으로 작용하므로, 제3 기생 커패시터(C3)의 커패시턴스는 제1 기생 커패시터(C1)의 커패시턴스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고, 제3 기생 커패시터(C3)에 기인하여 표시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택홀(CNT_C)에 인접한 화소(PX)의 구동 신호의 전달/기록 등에 지연 및 변동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해당 화소(PX)가 원하는 휘도로 발광하지 못하여, 표시 영상에 줄무늬, 또는 얼룩이 표시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1)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영역(DA)이 아닌 비표시영역(NDA)에 형성된 콘택홀(CNT)을 포함하고, 콘택홀(CNT)을 통해 비표시영역(NDA)에서 신호 배선(136) 및 연결 배선(146)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콘택홀(CNT)에 기인한 표시 품질의 저하가 방지되거나 완화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6 데이터 배선(D6)은 제1 소스/드레인 도전층(130)에 배치되고, 제4, 제5 및 제6 데이터 연결 배선들(DM4, DM5, DM6)은 제2 소스/드레인 도전층(140)에 배치되며, 제4, 제5 및 제6 데이터 연결 배선들(DM4, DM5, DM6)은 제4 절연층(174)을 통해 제6 데이터 배선(D6)과 절연될 수 있다. 제6 데이터 연결 배선(DM6)은 제6 데이터 배선(D6)의 일단까지 연장되고, 제4 절연층(174)을 관통하여 제6 데이터 배선(D6)의 일단을 노출시키는 콘택홀(70)을 통해 제6 데이터 배선(D6)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구동 배선 그룹(60a)에 포함된 구동 배선들(즉, 연결 배선(146)에 연결되는 구동 배선들)은 제2 게이트 도전층(120))에 배치되고, 제2 구동 배선 그룹(60b)에 포함된 구동 배선들(즉, 데이터 배선들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구동 배선들)은 제1 게이트 도전층(11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원 배선(137)(또는, 제2 전원전압(ELVSS)을 전송하는 배선)은 제3 절연층(173)과 제4 절연층(17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원 배선(137)은 구동 영역(30) 전체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데이터 연결 배선(146)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5 절연층(175)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데이터 연결 배선(146)과 구동배선(60a, 60b)이 상호 이격되고, 전원 배선(137)이 이들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배선들 간의 신호 간섭이 차단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연결 배선(146)은 제1 트랜지스터(T1)(및 제2 내지 제7 트랜지스터들(T2 내지 T7))의 게이트 전극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고, 또한, 신호 배선(136)보다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제1 연결 배선(146)과 제1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간에 형성되는 제2 기생 커패시터(C2)의 커패시턴스가 감소되고, 제2 기생 커패시터(C2)에 기인한 표시 품질의 저하가 완화될 수 있다.
또한, 연결 배선(146)과 신호 배선(136)를 연결하는 콘택홀(CNT)은 표시영역(DA)이 아닌 비표시영역(NDA)에 형성됨으로써, 콘택홀(CNT)에 기인한 표시 품질의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나아가, 제1 구동 배선 그룹(60a)에 포함된 구동 배선들과, 제2 구동 배선 그룹(60b)에 포함된 구동 배선들은 상호 다른 층들에 배치되어 상호 이격되고, 연결 배선(136)과 구동 배선들 사이에 제1 전원 배선(137)(또는, 제2 전원전압(ELVSS)을 전송하는 제2 전원 배선)이 배치됨으로써, 구동 배선들 간 및 연결 배선(136) 간의 신호 간섭이 방지되고, 표시 품질의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도 10은 도 3의 III-III'선을 따라 자른 표시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_1)는 연결 배선(146_1) 및 제1 전원 배선(137_1)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9의 표시 장치(1)와 상이하다.
연결 배선(146_1)은 제1 소스/드레인 도전층(130)에 배치되고, 제1 전원 배선(137_1)(또는, 제2 전원전압(ELVSS)을 전송하는 제2 전원 배선)은 제2 소스/드레인 도전층(140)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 배선(146_1)이 제3 절연층(173) 상에 배치되고, 전압 배선(ELVDD 또는 ELVSS)은 제5 절연층(175) 상에 배치됨으로써, 연결 배선(146_1) 상부에 이격 구조(즉, 제5 절연층(175))가 형성되어 연결 배선(146_1) 상부의 신호 간섭이 차단될 수 있다.
도 11은 도 3의 I-I'선을 따라 자른 표시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도 7 및 도 1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_2)는 제6 절연층(175_2) 및 연결 배선(146_2)을 포함하다는 점에서, 도 7의 표시 장치(1)와 상이하다. 도 11의 표시 장치(1_2)는 제6 절연층(175_2)을 제외하고, 도 7의 표시 장치(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반복하지 않기로 한다.
제6 절연층(175_2)는 제5 절연층(175)과 애노드(1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6 절연층(175_2)은 제5 절연층(175)과 함께 비아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연결 배선(146)과 신호 배선(136) 사이에는 제5 절연층(175) 및 제6 절연층(175_2)이 배치되어, 연결 배선(146)은 신호 배선(136) 및 제1 데이터 패턴(133)으로부터 보다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연결 배선(146_2)은 제5 절연층(175)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연결 배선(146_2)은, 데이터 패턴(133)이 아닌 제1 전원 배선(137)과 중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 배선(146_2)의 신호 배선(136)에 대한 신호 간섭과, 연결 배선(146)의 제1 데이터 패턴(133)에 대한 신호 간섭이 보다 감소될 수 있고, 표시 품질의 저하가 보다 완화되거나 방지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도 1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연결 배선 및 구동칩 간의 연결 관계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3,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신호 배선(136)은 제2 방향(W2)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된 제1 내지 제k 데이터 배선들(D1 내지 Dk)(단, k는 2 이상의 정수), 제k+1 내지 제j 데이터 배선들(Dk+1 내지 Dj)(단, j는 j보다 큰 정수), 및 제j+1 내지 제m 데이터 배선들(Dj+1 내지 Dm)(단, m은 j보다 큰 정수)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배선(146)은 제1 내지 제k 데이터 배선들(D1 내지 Dk)에 대응하여 제1 부표시면(11)에 배치되는 제1 내지 제k 데이터 연결 배선들(DM1 내지 DMk) 및 제2 부표시면(12)에 배치되는 제j+1 내지 제m 데이터 연결 배선들(DMj+1 내지 DMm)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구동칩(40)은 제2 방향(W2)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된 m개의 출력 단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m개의 출력 단자들은 제2 방향(W2)을 따라 제1 단자 그룹(K), 제2 단자 그룹(J) 및 제3 단자 그룹(M)으로 구분될 수 있다. m개의 출력 단자들에 대응되는 데이터 배선들(D1 내지 Dm)(또는, 일대일 대응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데이터 배선들(D1 내지 Dm))에 기초하여 단자 번호를 부여하면, 제1 단자 그룹(K) 내에서 단자 번호들(예를 들어, 1 내지 k)은 제3 방향(W3)(즉, 제2 방향(W2)에 반대인 방향)을 따라 증가하며, 제2 단자 그룹(J) 내에서 단자 번호들(예를 들어, k+1 내지 j)은 제2 방향(W2)을 따라 증가하며, 제3 단자 그룹(M) 내에서 단자 번호들(예를 들어, j+1 내지 m)은 제3 방향(W3)을 따라 증가할 수 있다.
즉, 연결 배선(146)을 통해 신호 배선(136)에 연결되는 제1 및 제3 단자 그룹들(K, M)에 포함된 단자 번호들의 순서는 제2 단자 그룹(J)에 포함된 단자 번호들의 순서와 반대일 수 있다.
구동칩(40)이 일반적인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들을 제2 방향(W2)을 따라 출력 단자들을 통해 순서대로 출력하는 경우, 제1 부표시면(11) 및 제2 부표시면(12)을 통해 표시되는 영상이 좌우 반전되거나, 주표시면(10)에 표시되는 영상과 불연속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칩(40)은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데이터 배선들(D1 내지 Dm)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들을 생성함에 있어서, 제1 및 제2 부표시면들(11, 12)에 대응하는 부분 영상들을 사전에 좌우 반전시켜 데이터 신호들을 생성하거나, 데이터 신호들을 출력 순서를 제1 및 제3 단자 그룹들(K, M)에 포함된 출력 단자들에 대해서는 역순으로(즉, 제2 단자 그룹(J)에 포함된 출력 단자들에 대한 데이터 신호들의 출력 순서에 반대인 순서로) 출력할 수 있다.
도 14는 도 1의 표시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14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_3)은 연결 배선(146_1)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3의 표시 장치(1)와 상이하다. 표시 장(1_3)는 연결 배선(146_1)을 제외하고, 도 3의 표시 장치(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반복하지 않기로 한다.
연결 배선(146_1)은 제1 내지 제5 데이터 연결 배선들(DM1_1 내지 DM5_1)(또는, 제1 내지 제k 데이터 연결 배선들)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연결 배선(146)과 상이하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1 내지 제7 데이터 연결 배선들(DM1 내지 DM7)은 제4 부표시면(14)의 제4 비표시영역(NDA4)로부터, 제4 비표시영역(NDA4)에 인접한 제1 부표시면(11)의 제1 비표시영역(NDA1)의 하측부까지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가지고 연장하나, 제1 내지 제5 데이터 연결 배선들(DM1_1 내지 DM1_5)는 제4 부표시면(14)의 제4 비표시영역(NDA4)로부터, 제4 비표시영역(NDA4)에 이격된 제1 부표시면(11)의 제1 비표시영역(NDA1)의 상측부까지 상대적으로 긴 길이(예를 들어, 신호 배선(136)과 유사한 길이)를 가지고 연장할 수 있다.
즉, 제1 내지 제5 데이터 연결 배선들(DM1_1 내지 DM1_5)은 표시영역(DA)를 단순히 경유하는 대신 표시영역(DA)을 가로질러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5 데이터 연결 배선들(DM1_1 내지 DM1_5)는 제1 비표시영역(NDA1)의 상측부에 형성된 콘택홀(CNT)을 통해 제1 내지 제5 데이터 배선들(D1 내지 D5)에 일대일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동칩(40)이 데이터 배선들에 각각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들을 출력 단자들을 통해 제2 방향(W2)으로 순서대로 출력하더라도, 제1 부표시면(11)(및 제2 부표시면(12))에서의 부분 영상은 반전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5 데이터 연결 배선들(DM1_1 내지 DM5_1)의 폭(즉, 제1 내지 제5 데이터 연결 배선들(DM1_1 내지 DM5_1)이 연장하는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의 폭)은 신호 배선(136)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이 경우, 제1 내지 제5 데이터 연결 배선들(DM_1 내지 DM5_1) 각각의 저항값이 감소될 수 있고, 제1 내지 제5 데이터 배선들(D1 내지 D5)을 위한 데이터 신호들의 감쇄 또는 왜곡이 완화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연결 배선(146_1)이 표시영역(DA)을 가로질러, 비표시영역(NDA)에서 신호 배선(136)과 연결됨으로써, 데이터 신호들의 출력 순서의 변경 없이, 원하는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연결 배선(146_1)은 신호 배선(136)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므로, 데이터 신호들의 감쇄 또는 왜곡에 기인한 표시 품질의 저하가 완화될 수 있다.
도 15는 도 1의 표시 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D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의 IV-IV'선 및 V-V'선을 따라 자른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_4)는 신호 배선(136_2), 연결 배선(146_2), 및 구동 배선(60_1)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3의 표시 장치(1)와 상이하다.
신호 배선(136_2)은 이에 포함된 데이터 배선들(D1_2 내지 D8_2)의 개수를 제외하고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신호 배선(136)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배선(146_2)은 이에 포함된 데이터 연결 배선들(DM1_2 내지 DM4_2)의 개수를 제외하고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연결 배선(146)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할 수 있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반복하지 않기로 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연결 배선들(DM1_2 내지 DM4_2)는 구동 영역(30)까지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구동 영역(30)이 제4 부표시부(14)(또는, 표시영역(DA))에 인접한 제1 구동 영역(31)과, 제4 부표시부(14)에서 이격되고 구동칩(40)이 배치되는 제2 구동 영역(32)으로 구분되는 경우, 데이터 연결 배선들(DM1_2 내지 DM4_2)은 제1 구동 영역(31)까지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데이터 연결 배선들(DM1_2 내지 DM4_2) 각각은 제1 방향(W1)으로 연장하는 제1 부분의 타단(예를 들어, 하측단)으로부터 제1 사선 방향(DD1)(즉, 제1 방향(W1)과 교차하고 상대적으로 구동 영역(30)의 면적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또한, 제1 구동 영역(31) 내에서 데이터 연결 배선들(DM1_2 내지 DM4_2)의 길이는 상호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데이터 연결 배선(DM1_2)의 단부는 상대적으로 제2 구동 영역(32)에 인접하고, 제4 데이터 연결 배선(DM4_2)의 단부는 상대적으로 제2 구동 영역(32)으로부터 이격되고, 제4 부표시부(14)에 인접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데이터 연결 배선(DM1_2 내지 DM4_2)의 단부들은 제1 구동 영역(31)에서 제2 사선 방향(DD2)을 따라 순차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연결 배선(146_2)은 후술하는 구동 배선(60_1)과 교차 연결(cross connection)되거나, 데이터 연결 배선들(DM1_2 내지 DM4_2)은 역순으로(즉, 데이터 연결 배선들(DM1_2 내지 DM4_2)의 배열 순서의 반대인 순서로) 연결 배선들(61a_1 내지 64a_1)과 연결될 수 있다.
구동 배선(60_1)은 구동 배선들(61a_1 내지 64a_1, 61b_1 내지 64b_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구동 배선들(61a_1 내지 64d_1)는 제1 구동 배선 그룹(60a_1)에 포함되고, 제5 내지 제8 구동 배선들(61b_1 내지 64b_1)는 제2 구동 배선 그룹(60b_1)에 포함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구동 배선 그룹(60a_1)에 포함된 제1 내지 제4 구동 배선들(61a_1 내지 64a_1)은 제1 내지 제4 데이터 연결 배선들(DM1_2 내지 DM4_2)에 연결되고, 제2 구동 배선 그룹(60b_1)에 포함된 제5 내지 제8 구동 배선들(61b_1 내지 64b_1)는 제5 내지 제8 데이터 배선들(D5_2 내지 D8_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구동 배선 그룹(60b_1)에 포함된 제5 내지 제8 구동 배선들(61b_1 내지 64b_1)는 제5 내지 제8 데이터 배선들(D5_2 내지 D8_2)에 순서대로(즉, 동일한 배선 번호들이 대응하여) 연결되나, 다만, 제1 구동 배선 그룹(60a_1)에 포함된 제1 내지 제4 구동 배선들(61a_1 내지 64a_1)은 역순으로 제1 내지 제4 데이터 연결 배선들(DM1_2 내지 DM4_2)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동 배선(61a_1)는 제4 데이터 연결 배선(DM4_2)에 연결되고, 제4 구동 배선(64a_1)는 제1 데이터 연결 배선(DM1_2)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구동 배선(61a_1)은 구동칩(40)으로부터 대체적으로 제1 방향(W1)으로 연장하고 제1 구동 영역(31) 내에서 제2 방향(W2)으로 방향 전환하여 연장되며, 콘택홀을 통해 제4 데이터 연결 배선(DM4_2)과 연결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구동 배선(62a_1)는 구동칩(40)으로부터 대체적으로 제1 방향(W1)으로 연장하고 제1 구동 영역(31) 내에서 제2 방향(W2)으로 방향 전환하여 콘택홀을 통해 제3 데이터 연결 배선(DM3_2)과 연결될 수 있다.
제5 내지 제8 구동 배선들(61b_1 내지 64b_1)는 제1 구동 영역(31)에서 대체적으로 제1 방향(W1)으로 연장하며, 제2 구동 영역(32)에서 구동칩(40)까지 대체적으로 제1 사선 방향(DD1)으로 연장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8 구동 배선(64b_1)(또는, 제2 구동 배선 그룹(60b_1)에 포함된 제5 내지 제8 구동 배선들(61b_1 내지 64d_1))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절연층(171) 상에 배치되거나 제1 게이트 도전층(11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구동 배선(61a_1)(또는, 제1 구동 배선 그룹(60a_1)에 포함된 제1 내지 제4 구동 배선들(61a_1 내지 64a_1))은 제2 절연층(172) 상에 배치되거나 제2 게이트 도전층(120)에 배치될 수 있다. 제8 데이터 배선(D8_2)(또는, 신호 배선(136_2))은 제3 절연층(173) 상에 배치되거나 제1 소스/드레인 도전층(130)에 배치되며, 제4 데이터 연결 배선(DM4_2)(또는, 연결 배선(146_2))은 제4 절연층(174) 상에 배치되거나 제2 소스/드레인 도전층(140)에 배치될 수 있다.
제8 데이터 배선(D_2)은 그 단부에서 제2 및 제3 절연층들(172, 173)을 관통하여 제8 구동 배선(64b_1)을 노출시키는 콘택홀을 통해 제8 구동 배선(64b_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제4 데이터 연결 배선(DM4_2)는 그 단부에서 제3 및 제4 절연층들(173, 174)을 관통하여 제1 구동 배선(61a_1)를 노출시키는 콘택홀을 통해 제1 구동 배선(61a_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제2 구동 배선 그룹(60b_1), 제1 구동 배선 그룹(60a_1), 신호 배선(136_2) 및 연결 배선(146_2)은 상호 다른 층들에 배치되고 그들 사이에 개재된 절연층들(172 내지 174)을 통해 상호 절연되며, 콘택홀들을 통해 대응되는 배선들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_4)는 데이터 연결 배선(DM1_1 내지 DM4_2)에 역순으로(즉, 배선들의 배열 순서의 반대인 역배열 순서로) 연결되는 구동 배선들(61a_1 내지 64a_1)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신호들의 출력 순서의 변경 없이, 원하는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17에서, 신호 배선(136_2)은 표시영역(DA)에서 연결 배선(146_2)과 중첩하지 않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신호 배선(136_2)과 연결 배선(146_2)을 구별하여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도시된 것으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신호 배선(136_2)은 표시영역(DA)에서 연결 배선(146_2)과 중첩할 수 있다.
또한, 도 17에서, 제2 구동 배선 그룹(60b_1), 제1 구동 배선 그룹(60a_1), 신호 배선(136_2) 및 연결 배선(146_2)이 상부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구동 배선 그룹(60a_1)이 제2 구동 배선 그룹(60b_1)보다 하부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표시 장치
10: 주표시부
11, 12, 13, 14: 제1 내지 제4 부표시부들
21, 22, 23, 24: 제1 내지 제4 코너윙들
30: 구동 영역
40: 구동칩
60: 구동 배선
136: 신호 배선
146: 연결 배선

Claims (20)

  1.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의 외곽에 형성되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서 상기 비표시 영역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표시 영역에 형성되는 복수의 신호 배선들; 및
    상기 기판 상에서 상기 비표시 영역 중 제1 비표시 영역으로부터 상기 표시 영역을 경유하여 상기 비표시 영역 중 제2 비표시 영역까지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배선은 상기 제2 비표시 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신호 배선들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배선은 복수의 연결 배선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연결 배선들은 상호 다른 길이들을 가지는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비표시 영역은 상기 제1 비표시 영역과 인접하고,
    상기 복수의 연결 배선들 중 제1 연결 배선의 길이는 상기 복수의 연결 배선들 중 제2 연결 배선의 길이보다 긴 표시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결 배선들은 상기 표시 영역 내에서 상호 이격되고, 상호 교차하지 않는 표시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배선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기판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신호 배선들 중 하나와 중첩하는 표시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배선은 상기 제1 부분의 일단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부분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배선은 상기 제2 부분의 일단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3 부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부분은 상기 제1 부분과는 이격된 표시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표시 영역은 상기 표시 영역의 모서리로부터 돌출된 코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 배선들 중 제1 신호 배선의 일단은 상기 코너부 내에 위치하며,
    상기 신호 배선들 중 제2 신호 배선은 상기 코너부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1 신호 배선은 상기 제2 신호 배선보다 긴 표시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배선 및 상기 신호 배선들 사이를 절연시키는 절연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비표시 영역에는 상기 절연층을 관통하여 상기 신호 배선들 중 상기 어느 하나를 노출시키는 콘택홀이 형성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배선은 상기 콘택홀을 통해 상기 신호 배선들 중 상기 어느 하나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표시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구동 영역 상에서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구동 배선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영역은 상기 제2 비표시 영역과 인접하고 상기 표시 영역으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구동 배선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 배선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배선과 직접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구동 배선들 중 나머지 구동 배선은 상기 신호 배선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 배선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표시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배선과 상기 나머지 구동 배선 사이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 절연층 및 제2 절연층; 및
    상기 제1 절연층 및 제2 절연층 사이에 배치되는 전원전압 배선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서 상기 구동 배선들 상에 배치되는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 상에 배치되는 전원전압 배선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서 상기 신호 배선들 사이에 배치되는 전원전압 배선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전압 배선들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배선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기판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전원전압 배선들 중 하나와 중첩하는 표시 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배선은 복수의 연결 배선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연결 배선들은 상호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표시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비표시 영역은 상기 제1 비표시 영역과 이격되고,
    상기 복수의 연결 배선들은 상기 표시 영역을 가로지르는 표시 장치.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구동 영역 상에서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구동 배선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영역은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패드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비표시 영역과 인접하고, 상기 표시 영역과 이격되며,
    상기 구동 배선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 배선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배선과 직접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구동 배선들 중 나머지 구동 배선은 상기 신호 배선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 배선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표시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배선은 상기 나머지 구동 배선이 배치되는 층과 다른 층에 배치되어 상기 나머지 구동 배선과 절연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배선은 상기 구동 영역에 형성된 콘택홀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표시 장치.
  18.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서,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 영역 내에 형성되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구동소자층;
    상기 구동소자층 상에 배치되는 제1 절연층;
    상기 제1 절연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트랜지스터의 제1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 배선을 포함하는 제1 도전층;
    상기 제1 도전층 상에 배치되는 제2 절연층; 및
    상기 제2 절연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신호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배선을 포함하는 제2 도전층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배선은 상기 비표시 영역에서 상기 제2 절연층을 관통하는 콘택홀을 통해 상기 신호 배선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표시 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배선은 상기 표시 영역에서 상기 신호 배선과 중첩하는 표시 장치.
  20.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층은 상기 트랜지스터의 제2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전원전압 배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배선은 상기 표시 영역에서 상기 제1 전원전압 배선과 중첩하는 표시 장치.
KR1020180091807A 2018-08-07 2018-08-07 표시 장치 KR20200017012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807A KR20200017012A (ko) 2018-08-07 2018-08-07 표시 장치
US17/266,410 US20210296424A1 (en) 2018-08-07 2019-02-25 Display device
EP19847310.0A EP3832728A4 (en) 2018-08-07 2019-02-25 DISPLAY DEVICE
PCT/KR2019/002265 WO2020032338A1 (ko) 2018-08-07 2019-02-25 표시 장치
CN201980053255.5A CN112567528A (zh) 2018-08-07 2019-02-25 显示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807A KR20200017012A (ko) 2018-08-07 2018-08-07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012A true KR20200017012A (ko) 2020-02-18

Family

ID=69414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1807A KR20200017012A (ko) 2018-08-07 2018-08-07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10296424A1 (ko)
EP (1) EP3832728A4 (ko)
KR (1) KR20200017012A (ko)
CN (1) CN112567528A (ko)
WO (1) WO202003233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20738B2 (en) 2019-10-15 2021-09-1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WO2022010131A1 (ko) * 2020-07-10 2022-01-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580914B2 (en) 2020-05-29 2023-02-1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6687B1 (ko) * 2018-12-12 2023-11-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143558A (ko) 2019-06-13 2020-12-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5552327A (zh) * 2021-04-30 2022-12-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和显示装置
CN115273656B (zh) * 2021-04-30 2023-10-24 荣耀终端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设备
CN114730538B (zh) * 2021-07-19 2023-05-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WO2023004763A1 (zh) * 2021-07-30 2023-02-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WO2023236095A1 (zh) * 2022-06-08 2023-12-1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438B1 (ko) * 2003-11-12 2011-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20070117110A (ko) * 2006-06-07 2007-12-1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EP2085952B1 (en) * 2006-11-21 2016-08-10 Sharp Kabushiki Kaisha Active matrix substrate, display panel, and display
KR20080079854A (ko) * 2007-02-28 2008-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연성 인쇄 회로 기판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1433109B1 (ko) * 2007-10-16 2014-08-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374084B1 (ko) * 2007-11-01 2014-03-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게이트 구동회로 및 이를 구비한 표시 기판
TWI447499B (zh) * 2009-10-27 2014-08-01 Lg Display Co Ltd 液晶顯示裝置之陣列基板、液晶顯示裝置及其製造方法
KR101932993B1 (ko) * 2012-04-16 2018-12-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9195108B2 (en) * 2012-08-21 2015-11-24 Apple Inc. Displays with bent signal lines
CN103399434B (zh) * 2013-08-01 2015-09-16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扇出线结构
KR102239166B1 (ko) * 2014-04-14 2021-04-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002511A (ko) * 2014-06-30 2016-01-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9940866B2 (en) * 2015-06-01 2018-04-10 Apple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display with curved edges
KR102322765B1 (ko) * 2015-06-22 2021-11-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04129B1 (ko) * 2016-03-31 2023-02-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57244B1 (ko) * 2016-05-19 2022-10-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81759B1 (ko) * 2016-05-23 2023-09-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637015B1 (ko) * 2016-06-08 2024-02-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KR102615740B1 (ko) * 2016-06-08 2023-12-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80000771A (ko) * 2016-06-23 2018-01-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80082688A (ko) * 2017-01-10 2018-07-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00031738A (ko) * 2018-09-14 2020-03-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00140440A (ko) * 2019-06-05 2020-12-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210034747A (ko) * 2019-09-20 2021-03-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108542A (ko) * 2020-02-25 2021-09-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20738B2 (en) 2019-10-15 2021-09-1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US11562690B2 (en) 2019-10-15 2023-01-2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US11580914B2 (en) 2020-05-29 2023-02-1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WO2022010131A1 (ko) * 2020-07-10 2022-01-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901346B2 (en) 2020-07-10 2024-02-1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lines to apply driving voltage to pixe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567528A (zh) 2021-03-26
US20210296424A1 (en) 2021-09-23
WO2020032338A1 (ko) 2020-02-13
EP3832728A1 (en) 2021-06-09
EP3832728A4 (en) 2022-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17012A (ko) 표시 장치
WO2021082793A1 (zh) 显示面板及其驱动方法、显示装置
US10930725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JP2007052424A (ja) 有機発光表示装置用駆動フィルム、駆動パッケージ、こ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含む有機発光表示装置
KR20200111873A (ko) 표시 장치
JP7247392B2 (ja) 表示装置
US11600689B2 (en) Display substrate having a varying width power supply wire,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20210041150A (ko) 표시 장치
EP3680887A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20050111922A (ko) 커패시터 및 이를 이용하는 발광 표시 장치
WO2024022240A1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20210030542A (ko) 표시 장치
US11765936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a semiconductor layer having a region with a widened width
CN115666176A (zh) 显示装置
KR20220133362A (ko) 표시 장치
US11910664B2 (en) Display device
KR20220094294A (ko) 표시 장치
CN115769296A (zh) 显示基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US11711945B2 (en) Display device
US20230009353A1 (en) Display device
CN217361587U (zh) 显示装置
US11832478B2 (en) Display device
US20240147793A1 (en) Display device
US20230200153A1 (en) Foldable display device
US20230317008A1 (e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