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5986A - 포장제품 운송박스 적재 시스템 - Google Patents

포장제품 운송박스 적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5986A
KR20200015986A KR1020180091115A KR20180091115A KR20200015986A KR 20200015986 A KR20200015986 A KR 20200015986A KR 1020180091115 A KR1020180091115 A KR 1020180091115A KR 20180091115 A KR20180091115 A KR 20180091115A KR 20200015986 A KR20200015986 A KR 20200015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ed product
transport box
product
push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1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5419B1 (ko
Inventor
이익재
Original Assignee
이익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익재 filed Critical 이익재
Priority to KR1020180091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5419B1/ko
Publication of KR20200015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5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5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5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08Packaging groups of articles, the articles being individually gripped or guided for transfer 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65B35/4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by reciprocating or oscillatory pushers
    • B65B35/405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by reciprocating or oscillatory pushers linked to endless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02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binding or wrapp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57/04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binding or wrapp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and operating to control, or to stop, the feed of such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2Rotary or reciprocating members for direct action on articles or materials, e.g. pushers, rakes, shov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0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with rectilinear movement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65G47/912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with rectilinear movement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5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 Filling Or Packaging Operations (AREA)

Abstract

포장제품 운송박스 적재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포장제품 운송박스 적재 시스템은: 포장제품을 순차적으로 정렬 이송하는 공급컨베이어와, 공급컨베이어에 직각으로 배치되고, 공급컨베이어에서 공급된 포장제품을 나란하게 배치된 제1,제2투입벨트에 각각 설정간격 이격 설치된 다수개의 제1,제2분리부재 사이에 각각 안착시켜 제1,제2투입벨트를 번갈아가면서 구동하여 포장제품의 이송효율을 배가시키는 듀얼이송장치와, 듀얼이송장치의 제1,제2분리부재 사이에 안치된 포장제품을 설정된 개수만큼 듀얼이송장치의 직각방향으로 푸쉬하는 푸쉬장치와, 푸쉬장치에 의해 이송된 포장제품을 정렬 상태로 분리하여 수용하고, 칸막이부재의 하강으로 포장제품을 이송대기상태로 전환시키는 이송대기장치와, 칸막이부재의 하강과 동시에 지지플레이트 상에 안지된 포장제품을 중심으로 모아주면서 진공흡착으로 흡착하거나 그립방식으로 잡아서 이송하는 제품이송장치와, 제품이송장치에 의헤 이송된 포장제품을 투입하여 적재하기 위해 운송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운송박스의 상부날개를 젖혀주는 폴딩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포장제품 운송박스 적재 시스템{PACLING COINTER TRANSPORTATION SYSTEM}
본 발명은 포장제품 운송박스 적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급컨베이어에 의해 포장제품을 이송하고, 설정간격으로 배치된 다수개의 제1,제2분리부재를 통해 듀얼이송장치의 제1,제2투입컨베이어에서 번갈아 가면서 이송시켜 포장제품 공급속도를 배가시키며, 전후진 동작하는 푸쉬장치를 거쳐 포장제품을 지지플레이트에서 상하로 승강 이동되는 이송대기장치를 통해 포장제품을 분리지지하고, 이송대기장치의 칸막이부재의 하강과 동시에 포장제품을 진공흡착방식으로 흡착하거나 그립방식으로 잡아서 제품이송장치로 포장제품을 수평이동 및 수직이동을 통해 이송하며, 이송된 운송박스의 이송을 정지시키고, 상부날개를 젖혀주는 폴딩장치를 이용하여 포장제품을 적재시키킴으로써, 포장제품의 포장시간을 단축시켜 생산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포장제품 운송박스 적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막대형 아이스크림을 포함한 다양한 포장제품들은 가공후 비닐봉지에 포장되는 상태로 포장 시스템의 컨베이어를 통해 개별 이송되어 운송박스 등에 수작업으로 포장된다.
기존의 막대형 아이스크림등의 포장제품은 비닐봉지에 투입되어 밀봉 공정을 통해 밀봉된 후, 컨베이어를 통해 소정 장소로 이송되고, 소정 장소에 배치된 작업자의 손을 통해 개별 제품들을 은송박스에 일일히 집어 넣어 포장한다.
그런데, 포장제품 이송 및 적재방법은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하는 포장제품들이 무작위로 이송됨에 따라 작업자가 포장할 때, 시간이 많이 걸리고, 포장제품의 정렬이 다수개 씩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음에 따라 작업성이 현저하게 저하되어 작업성 및 생산성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051138호(2010.05.17, 발명의 명칭: 자동공급 이송시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공급컨베이어에 의해 포장제품을 이송하고, 설정간격으로 배치된 다수개의 제1,제2분리부재를 통해 듀얼이송장치의 제1,제2투입컨베이어에서 번갈아 가면서 이송시켜 포장제품 공급속도를 배가시키며, 전후진 동작하는 푸쉬장치를 거쳐 포장제품을 지지플레이트에서 상하로 승강 이동되는 이송대기장치를 통해 포장제품을 분리지지하고, 이송대기장치의 칸막이부재의 하강과 동시에 포장제품을 진공흡착방식으로 흡착하거나 그립방식으로 잡아서 제품이송장치로 포장제품을 수평이동 및 수직이동을 통해 이송하며, 이송된 운송박스의 이송을 정지시키고, 상부날개를 젖혀주는 폴딩장치를 이용하여 포장제품을 적재시키킴으로써, 포장제품의 포장시간을 단축시켜 생산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포장제품 운송박스 적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포장제품 운송박스 적재 시스템은, 포장제품을 순차적으로 정렬 이송하는 공급컨베이어; 상기 공급컨베이어에 직각으로 배치되고, 상기 공급컨베이어에서 공급된 포장제품을 나란하게 배치된 제1,제2투입벨트에 각각 설정간격 이격 설치된 다수개의 제1,제2분리부재 사이에 각각 안착시켜 상기 제1,제2투입벨트를 번갈아가면서 구동하여 포장제품의 이송효율을 배가시키는 듀얼이송장치; 상기 듀얼이송장치의 제1,제2분리부재 사이에 안치된 포장제품을 설정된 개수만큼 상기 듀얼이송장치의 직각방향으로 푸쉬하는 푸쉬장치; 상기 푸쉬장치에 의해 이송된 포장제품을 정렬 상태로 분리하여 수용하고, 칸막이부재의 하강으로 상기 포장제품을 이송대기상태로 전환시키는 이송대기장치; 상기 칸막이부재의 하강과 동시에 상기 지지플레이트 상에 안지된 포장제품을 중심으로 모아주면서 진공흡착으로 흡착하거나 그립방식으로 잡아서 이송하는 제품이송장치; 및 상기 제품이송장치에 의헤 이송된 상기 포장제품을 투입하여 적재하기 위해 운송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운송박스의 상부날개를 젖혀주는 폴딩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듀얼이송장치는, 상기 제1투입벨트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제1분리부재를 상기 공급컨베이어의 포장제품 공급위치와, 상기 푸쉬장치의 포장제품 푸쉬위치로 왕복 이동시키는 제1투입컨베이어; 및 상기 제1투입컨베이어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분리부재가 상기 공급컨베이어의 포장제품 공급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제2투입벨트에 설치되는 상기 제2분리부재를 상기 푸쉬장치의 포장제품 푸쉬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1분리부재가 상기 푸쉬장치의 포장제품 푸쉬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제2분리부재를 상기 공급컨베이어의 포장제품 공급위치에 위치시키는 제2투입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투입컨베이어는, 상기 제1투입벨트의 일측이 감겨 회전하는 제1피동풀리; 상기 제1투입벨트의 타측이 감겨 회전하는 제1구동풀리; 상기 제1구동풀리에 연결되고, 상기 제2투입벨트를 거쳐 연장되어 장착프레임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제1구동축; 및 상기 제1구동축에 연결되어 상기 제1구동풀리에 동력을 제공하는 제1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투입컨베이어는, 상기 제2투입벨트의 일측이 감겨 회전하는 제2피동풀리; 상기 제2투입벨트의 타측이 감겨 회전하는 제2구동풀리; 및 상기 제2구동풀리에 연결되고, 상기 제1구동축의 외측에 설치되되, 베이링을 통해 상기 제1구동축에 대해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제2구동축; 상기 제2구동축에 동력을 전달하는 분리동력전달부; 및 상기 제1구동모터의 하측 또는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분리동력전달부를 거쳐 상기 제2구동축에 연결된 상기 제2구동풀리에 동력을 제공하는 제2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리동력전달부는, 상기 제2구동축에 볼팅 연결되고, 상기 제1구동축과 베어링을 통해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분리동력피동풀리; 상기 제2구동모터의 축에 연결되는 회전하는 분리동력구동풀리; 및 상기 분리동력구동풀리와 상기 분리동력피동풀리를 상호 연결하는 분리동력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푸쉬장치는, 상기 제1,제2분리부재 사이에 안착된 포장제품을 푸쉬하도록 상기 제1,제2분리부재가 통과하는 통과홈을 갖는 푸쉬부재; 상기 푸쉬부재에 연결되어 지지하는 서포트부재; 상기 서포트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푸쉬부재의 전후진 이동을 안내하는 푸쉬레일부재; 및 상기 푸쉬레일부재에 구비되고 전후진 구동력을 제공하는 푸쉬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대기장치는, 상기 칸막이부재가 승강하도록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절개홀; 상기 칸막이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2개이상의 연결축부재; 상기 연결축부재의 양단에 결합되고,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칸막이부재를 상기 절개홀을 통해 상기 지지플레이트 상측으로 노출하거나 하측으로 수납하는 승강실린더; 및 상기 승강실린더를 통해 상기 칸막이부재의 하강시 포장제품을 이송하기 위해 선행하여 포장제품을 양측에서 가압하여 모아주는 선행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행가압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 상에 구비되고, 상기 컨막이부재의 상측 노출시 양측에서 가압하도록 하는 가압부재; 상기 가압부재에 연결되는 작동축부재; 및 상기 작동축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가압부재에 전후진 동력을 제공하는 가압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품이송장치는, 상기 포장제품을 진공을 이용하여 흡착 지지하는 진공흡착유닛과, 상기 포장제품을 그립방식으로 집어주는 그립퍼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이송하고, 상기 제품이송장치는, 상기 진공흡착유닛 또는 상기 그립퍼유닛을 지지하여 상기 포장제품을 진공흡착 또는 그립핑하고, 포장제품을 상기 지지플레이트에서 수직방향 상하측으로 이동하여 운송박스 내에 적재하는 수직이송부재; 및 상기 수직이송부재를 지지하고, 상기 진공흡착유닛 또는 상기 그립퍼유닛이 상기 포장제품을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수직이송부재를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운송박스 사이에서 수평방향 좌우이동하는 수평이송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공흡착유닛은, 상기 수직이송부재에 지지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고정판부재; 상기 고정판부재에 한 쌍 설치되는 안내부재; 상기 고정판부재에 걸리도록 상기 안내부재의 중심부에 설치되고, 상기 안내부재보다 더 길게 돌출 형성되는 설치축부재; 상기 설치축부재의 단부에 구비되고, 진공흡착홀을 갖는 진공흡착부재; 상기 진공흡착부재의 중심부위에 상측으로 연장되고, 플렉시블진공호스에 연결되는 진공파이프; 상기 설치축부재의 둘레에 설치되어 상기 진공흡착부재로 포장제품의 흡착시 충격을 완충하는 스프링부재; 및 상기 진공흡착홀에 설치되어 진공발생기로 포장제품을 진공 흡착시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는 거름망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장으로 한다.
상기 그립퍼유닛은, 상기 수직이송부재에 지지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고정판부재; 상기 고정판부재에 구비되는 양축실린더부재; 상기 양축실린더부재에 각각의 축에 연결되어 너비방향으로 오므려지거나 벌려지는 그립퍼부재; 및 상기 그립퍼부재의 작동시 상기 포장제품이 상측으로 튀어오르는 것을 방지하는 제품누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딩장치는, 상기 운송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운송박스를 수용하는 수용틀부재; 상기 수용틀부재에 구비되고, 마주보도록 두 쌍 설치되는 구동실린더; 상기 구동실린더의 축에 연결되어 레버작동하는 레버부재; 상기 레버부재 각각에 축 연결되어 회동하는 회동축부재; 및 상기 회동축부재에 구비되고, 포장제품의 적재를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운송박스의 상부날개를 하측으로 젖혀주는 젖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딩장치로 운송박스의 상부날개를 젖히기 전 운송박스의 이송을 감지하여 정지하는 박스정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박스정지장치는. 상기 수용틀부재에 구비되고, 운송박스의 진입을 감지하는 감지센서;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에 의해 동작하는 직진실린더; 상기 직진실린더의 축에 연결되고, 힌지 회동하는 정지레버부재; 및 상기 정지레버부재의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운송박스의 측면에 접촉되어 이동을 정지시키는 정지롤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제품 운송박스 적재 시스템은, 공급컨베이어에 의해 포장제품을 이송하고, 설정간격으로 배치된 다수개의 제1,제2분리부재를 통해 듀얼이송장치의 제1,제2투입컨베이어에서 번갈아 가면서 이송시켜 포장제품 공급속도를 배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후진 동작하는 푸쉬장치를 거쳐 포장제품을 지지플레이트에서 상하로 승강 이동되는 칸막이부재를 갖는 이송대기장치를 통해 포장제품을 효율적으로 분리 지지할 수 있고, 지지플레이트를 승강하는 대신에 칸막이부재만의 하강만으로 포장제품의 그립 대기 상태를 유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송대기장치의 칸막이부재의 하강과 동시에 포장제품을 진공흡착방식으로 흡착하거나 그립방식으로 잡아서 제품이송장치로 포장제품을 수평이동 및 수직이동을 통해 이송하므로 이송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운송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운송박스의 이송을 정지시키고, 상부날개를 젖혀주는 폴딩장치를 이용하여 포장제품을 적재시키므로 포장제품의 포장시간을 단축시켜 생산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제품 운송박스 적재 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제품 운송박스 적재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제품 운송박스 적재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제품 운송박스 적재 시스템의 평면도에서, 푸쉬장치와 제품이송장치만을 분리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이송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이송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장치와 듀얼이송장치의 제1,제2구동풀리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이송장치의 제1,제2구동풀리 측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제품 운송박스 적재 시스템에서 듀얼이송와 이송대기장치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대기장치를 승강하면서 진공흡착유닛으로 포장제품을 진공 흡착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제품 운송박스 적재 시스템에서 진공흡착유닛이 수직이송부재에 설치된 상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제품 운송박스 적재 시스템에서 진공흡착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제품 운송박스 적재 시스템에서 진공흡착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제품 운송박스 적재 시스템에서 그립퍼유닛을 적용한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제품 운송박스 적재 시스템에서 그립퍼유닛을 이용하여 포장제품 적재 상태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제품 운송박스 적재 시스템에서 폴징장치와 박스정지장치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제품 운송박스 적재 시스템에서 박스정지장치를 이용하여 운송박스의 정지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제품 운송박스 적재 시스템에서 폴딩장치를 작동시켜 운송박스의 상부날개를 젖혀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제품 운송박스 적재 시스템을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제품 운송박스 적재 시스템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제품 운송박스 적재 시스템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제품 운송박스 적재 시스템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제품 운송박스 적재 시스템의 평면도에서, 푸쉬장치와 제품이송장치만을 분리하여 보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이송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이송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장치와 듀얼이송장치의 제1,제2구동풀리 방향에서 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이송장치의 제1,제2구동풀리 측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제품 운송박스 적재 시스템에서 류돌이송장치와 이송대기장치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대기장치를 승강하면서 진공흡착유닛으로 포장제품을 진공 흡착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제품 운송박스 적재 시스템에서 진공흡착유닛이 수직이송부재에 설치된 상태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제품 운송박스 적재 시스템에서 진공흡착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제품 운송박스 적재 시스템에서 진공흡착유닛의 단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제품 운송박스 적재 시스템에서 그립퍼유닛을 적용한 평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제품 운송박스 적재 시스템에서 그립퍼유닛을 이용하여 포장제품 적재 상태 단면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제품 운송박스 적재 시스템에서 폴징장치와 박스정지장치 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제품 운송박스 적재 시스템에서 박스정지장치를 이용하여 운송박스의 정지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제품 운송박스 적재 시스템에서 폴딩장치를 작동시켜 운송박스의 상부날개를 젖혀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제품 운송박스 적재 시스템은, 포장제품(2)을 순차적으로 정렬 이송하는 공급컨베이어(100)와, 공급컨베이어(100)에 직각으로 배치되고, 공급컨베이어(100)에서 공급된 포장제품(2)을 나란하게 배치된 제1,제2투입벨트(216,226)에 각각 설정간격 이격 설치된 다수개의 제1,제2분리부재(211,221) 사이에 각각 안착시켜 제1,제2투입벨트(216,226)를 번갈아가면서 구동하여 포장제품(2)의 이송효율을 배가시키는 듀얼이송장치(300)와, 듀얼이송장치(300)의 제1,제2분리부재(211,221) 사이에 안치된 포장제품(2)을 설정된 개수만큼 듀얼이송장치(200)의 직각방향으로 푸쉬하는 푸쉬장치(300)와, 푸쉬장치(300)에 의해 이송된 포장제품(2)을 정렬 상태로 분리하여 수용하고, 칸막이부재(470)의 하강으로 포장제품(2)을 이송대기상태로 전환시키는 이송대기장치(400)와, 칸막이부재(470)의 하강과 동시에 지지플레이트(410) 상에 안지된 포장제품(2)을 중심으로 모아주면서 진공흡착으로 흡착하거나 그립방식으로 잡아서 이송하는 제품이송장치(500)와, 제품이송장치(500)에 의헤 이송된 포장제품92)을 투입하여 적재하기 위해 운송컨베이어(150)에 의해 이송되는 운송박스(4)의 상부날개를 젖혀주는 폴딩장치(600)를 포함한다.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듀얼이송장치(200)는, 본체(1)에 구비되어 제1투입벨트(216)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제1분리부재(211)를 공급컨베이어(100)의 포장제품 공급위치와, 푸쉬장치(300)의 포장제품 푸쉬위치로 왕복 이동시키는 제1투입컨베이어(210); 및 제1투입컨베이어(210)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제1분리부재(211)가 공급컨베이어(100)의 포장제품 공급위치에 위치될 때, 제2투입벨트(226)에 설치되는 제2분리부재(221)를 푸쉬장치(300)의 포장제품 푸쉬위치로 이동시키고, 제1분리부재(211)가 푸쉬장치(300)의 포장제품 푸쉬위치에 위치될 때, 제2분리부재(221)를 공급컨베이어(100)의 포장제품 공급위치에 위치시키는 제2투입컨베이어(220)를 포함한다.
즉, 제1분리부재(211)의 이동위치와 제2분리부재(221)의 이동 위치를 번갈아가면서 어긋나게 동작시키므로 포장제품(2)의 이송속도를 2배 또는 2배이상으로 증진시켜 포장제품(2) 이송효율을 형상시킬 수 있다.
제1투입컨베이어(210)는, 제1투입벨트(216)의 일측이 감겨 회전하는 제1피동풀리(212)와, 제1투입벨트(216)의 타측이 감겨 회전하는 제1구동풀리(213)와, 제1구동풀리(213)에 연결되고, 제2투입벨트(226)를 거쳐 연장되어 장착프레임(260)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제1구동축(214)과, 제1구동축(214)에 연결되어 제1구동풀리(213)에 동력을 제공하는 제1구동모터(215)를 포함한다.
제2투입컨베이어(220)는, 제2투입벨트(226)의 일측이 감겨 회전하는 제2피동풀리(222)와, 제2투입벨트(226)의 타측이 감겨 회전하는 제2구동풀리(223)와, 제2구동풀리(223)에 연결되고, 제1구동축(214)의 외측에 설치되되, 베이링(240)을 통해 제1구동축(214)에 대해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제2구동축(224)와, 제1구동모터(215)의 하측 또는 상측에 구비되어 제2구동풀리(223)에 동력을 제공하는 제2구동모터(225)와, 제2구동모터(225)의 동력을 제2구동축(224)을 통해 제2구동풀리(223)에 전달하는 분리동력전달부(230)를 포함한다.
제1,제2구동모터(215,225)는 서보모터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리동력전달부(230)는, 제2구동축(224)에 볼팅 연결되고, 제1구동축(214)과 베어링(240)을 통해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분리동력피동풀리(231)와, 제2구동모터(225)의 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분리동력구동풀리(232)와, 분리동력구동풀리(232)와 분리동력피동풀리(231)를 상호 연결하는 분리동력벨트(233)를 포함한다.
분리동력벨트(233)는 아이들링롤러(234)에 의해 장력이 조절되도록 지지될 수 있다.
푸쉬장치(300)는, 제1,제2분리부재(211,221) 사이에 안착된 포장제품(2)을 푸쉬하도록 제1,제2분리부재(211,221)가 통과하는 통과홈(311)을 갖는 푸쉬부재(310)와, 푸쉬부재(310)에 연결되어 지지하는 서포트부재(320)와, 서포트부재(320)에 연결되어 푸쉬부재(310)의 전후진 이동을 안내하는 푸쉬레일부재(330)와, 푸쉬레일부재(330)에 구비되고 전후진 구동력을 제공하는 푸쉬구동부(340)를 포함한다.
푸쉬부재(310)는 너비방향으로 다수개 배열된 통과홀(311)로 인해 쇠스랑 형태로 형성된다.
푸쉬구동부(240)는 서포트부재(320)를 지지한 상태에서 체인, 벨트 및 스크류 이동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통해 잔후진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서포트부재(320)는 미도시된 승강실린더를 통해 상하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송대기장치(400)는, 본체(1)에 구비되고, 칸막이부재(470)가 승강하도록 지지플레이트(410)에 형성되는 절개홀(420)과, 칸막이부재(470)를 상호 연결하는 2개이상의 연결축부재(430)와, 연결축부재(430)의 양단에 결합되고, 지지하는 지지프레임(440)과, 지지프레임(440)의 하측에 구비되어 칸막이부재(470)를 절개홀(420)을 통해 지지플레이트(410) 상측으로 노출하거나 하측으로 수납하는 승강실린더(450)와, 승강실린더(450)를 통해 칸막이부재(470)의 하강시 포장제품(2)을 이송하기 위해 선행하여 포장제품(2)을 양측에서 가압하여 모아주는 선행가압부(460)를 포함한다.
선행가압부(460)는, 지지플레이트(410) 상에 구비되고, 컨막이부재(470)의 상측 노출시 양측에서 가압하도록 하는 가압부재(462)와, 가압부재(462)에 연결되는 작동축부재(464)와, 작동축부재(464)에 결합되어 가압부재(462)에 전후진 동력을 제공하는 가압실린더(66)를 포함한다.
제1,제2분리부재(211,221)와 칸막이부재(470) 사이에는 푸쉬장치(300)에 의해 이송되는 포장제품(2)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제2분리부재(211,221), 칸막이부재(470)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보조칸막이부재(480)가 구비될 수 있다.
가압부재(462)에는 후술하는 그립퍼유닛(520)의 그립퍼부재(524)가 삽입되도록 요철형상의 삽입홈부가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재(462)는 요철형상의 삽입홈부를 차단하여 밀어주기 위한 가압판(461)이 볼팅 결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럴 경우, 가압판(461이 결합된 가압부재(462)는 진공흡착유닛(510)용으로 으로 사용된다.
가압판(461)이 가압부재(462)에서 분리되면 그립퍼유닛(520)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로써, 요철형상의 삽입홈부가 형성된 가압부재(462)는 진공흡착유닛(510)과, 그립퍼유닛(520)모두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제1,제2분리부재(211,221)는 간격플레이트(250)에 의해 제1,제2투입벨트(216,226) 중 어느 하나에 안착되어 나사 등으로 고정되어 제1,제2투입벨트(216,226) 중 나사 등으로 고정되지 않는 다른 하나의 표면과 제1,제2분리부재(211,221)의 저면이 이격되므로 접촉으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투입벨트(216), 간격플레이트(250), 제1분리부재(211)를 순차적으로 적층하고 나사를 결합하는 경우에는 제2투입벨트(226)와 제1분리부재(211) 사이에는 고정플레이트(250)가 없어 제2투입벨트(226)와 제1분리부재(211) 간에 미찰이 방지된다.
또한, 제2투입벨트(226), 간격플레이트(250), 제2분리부재(221)를 순차적으로 적층하고 나사를 결합하는 경우에는 제1투입벨트(216)와 제2분리부재(221) 사이에는 고정플레이트(250)가 없으므로 제1투입벨트(216)와 제2분리부재(221) 간에 마찰이 방지된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송대기장치(400)의 사용 상태를 살펴보면, 승강실린더(450)의 상승에 의해 지지프레임(440)과 제2투입벨트(226)와 제1분리부재(211)연결축부재(430)에 의해 설치된 칸막이부재(470)가 절개홀(420)을 통해 지지플레이트(410)의 상측으로 노출되고, 이런 상태에서, 듀얼이송장치(200)에 안치된 포장제품(2)을 푸쉬장치(300)로 밀어 지지플레이트(410)의 칸막이부재(470) 사이로 이송시킨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이송대기장치(400)는 지지플레이트(410)가 상승하는 것이 아니라, 지지플레이트(410)는 정지한 상태에서, 칸막이부재(470)의 하강에 의해 이송대기상태로 전환될 수 있는 것이다.
즉, 도 11의 두 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실린더(450)의 하강에 의해 지지프레임(440)과 연결축부재(430)에 의해 설치된 칸막이부재(470)가 절개홀(420)을 통해 지지플레이트(410)의 하측으로 수납되고, 이런 상태에서, 지지플레이트(410)에 안치된 포장제품(2)을 선행가압부(460)의 가압실린더(466)의 신장을 통해 한 쌍의 가압부재(462)로 포장제품(2)을 중심측으로 오므려주면서 진공흡착유닛(510) 또는 그립퍼유닛(52)을 통해 운송박스(4)로 적재를 위해 진공흡착하거나 잡아서 이송하도록 한다.
제품이송장치(500)는, 포장제품(2)을 진공을 이용하여 흡착 지지하는 진공흡착유닛(510)과, 포장제품(2)을 그립방식으로 집어주는 그립퍼유닛(5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이송한다.
제품이송장치(500)는, 본체(1)에 구비되고, 진공흡착유닛(510) 또는 그립퍼유닛(520)을 지지하여 포장제품(2)을 진공흡착 또는 그립핑하고, 포장제품(2)을 지지플레이트(410)에서 수직방향 상하측으로 이동하여 운송박스(4) 내에 적재하는 수직이송부재(530)와, 수직이송부재(530)를 지지하고, 진공흡착유닛(510) 또는 그립퍼유닛(520)이 포장제품(2)을 지지한 상태에서 수직이송부재(530)를 지지플레이트(410)와 운송박스(1500 사이에서 수평방향 좌우이동하는 수평이송부재(540)를 포함한다.
수평이송부재(540)는 본체(1)에 설치되고,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수평지지대(541)와, 수평지지대(541)의 이동슬롯에 설치되어 체인, 벨트, 스크류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수직이송부재(530)를 수평 이송시키는 수평구동부(542)를 포함한다.
수직이송부재(530)는 수평지지대(541)에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지지대(531)와, 수직지지대(531)의 이동슬롯에 설치되어 체인, 벨트, 스크류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단부에 고정된 진공흡착유닛t510) 또는 그립퍼유닛(520)을 수직 이송시키는 수직구동부(532)를 포함한다.
수평구동부(542)와 수직구동부(532)는 체인엔 연결된 스프로킷, 벨트에 연결된 풀리, 스크류에 등에 연결된 구동모터 등을 이용하여 좌우측 또는 상하측 직진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진공흡착유닛(510)은, 수직이송부재(530)에 지지되는 지지프레임(511)과, 지지프레임(511)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고정판부재(512)와, 고정판부재(512)에 한 쌍 설치되는 안내부재(513)와, 고정판부재(512)에 걸리도록 안내부재(513)의 중심부에 설치되고, 안내부재(513)보다 더 길게 돌출 형성되는 설치축부재(514)와, 설치축부재(514)의 단부에 구비되고, 진공흡착홀의 테두리에 실링부재(515a)를 갖는 진공흡착부재(515)와, 진공흡착부재(515)의 중심부위에 상측으로 연장되고, 진공발생기(550)가 구비된 플렉시블진공호스(516)에 연결되는 진공파이프(517)와, 설치축부재(514)의 둘레에 설치되어 진공흡착부재(515)로 포장제품(2)의 흡착시 충격을 완충하는 스프링부재(518)와, 진공흡착홀에 설치되어 진공발생기(550)로 포장제품(2)을 진공 흡착시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는 거름망부재(519)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부재(518)는 설치축부재(514)의 둘레에 설치되되, 안내부재(513)와 진공흡착부재(515) 사이에 설치되므로 진공흡착부재(515)가 하강하여 포장제품(2)에 접촉될 때, 진공흡착부재(515)의 눌림에 의한 설치축부재(514)의 상측 이동과, 안내부재(513)에 지지된 스프링부재(518)의 탄성 수축력에 의해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다.
실링부재(515a)는 진공흡착부재(515)의 진공흡착홀의 테두리에사 하측으로 더 돌출되어 포장제품(2)의 측면 비닐봉투에 밀착시켜 포장제품(2)의 진공 흡착을 도와준다.
실링부재(515a)는 진공흡착부재(515)의 하측에 2개 형성된 직사각형상의 진공흡착홀에 대응하여 직사각형상의 링 형태로 형성된다.
실링부재(515a)는 고무재 또는 합성수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거름망부재(519)는 망 형태로 형성되어 포장제품(2)의 비닐봉투가 흡입되거나 이물질이 외부에서 흡입되는 것을 방자할 수 있다.
그립퍼유닛(520)은, 수직이송부재(530)에 지지되는 지지프레임(521)와, 지지프레임(521)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고정판부재(522)와, 고정판부재(522)에 구비되는 양축실린더부재(523)와, 양축실린더부재(523)에 각각의 축에 연결되어 너비방향으로 오므려지거나 벌려지는 그립퍼부재(524)와, 그립퍼부재(524)의 작동시 포장제품(2)이 상측으로 튀어오르는 것을 방지하는 제품누름부재(525)를 포함한다.
제품누름부재(525)는 포장제품(2)의 상측 일부를 누를 수 있도록 형성되는 판체를 포함한다. 제품누름부재(525)는 중심부에 상하실린더가 구비되어 제품누름부재(525)를 승강 가능하게 작동할 수 있다.
폴딩장치(600)는, 운송컨베이어(150)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운송박스(4)를 수용하는 수용틀부재(610)와, 수용틀부재(610)에 구비되고, 마주보도록 두 쌍 설치되는 구동실린더(620)와, 구동실린더(610)의 축에 연결되어 레버작동하는 레버부재(630)와, 레버부재(630) 각각에 축 연결되어 회동하는 회동축부재(640))와, 회동축부재(640)에 구비되고, 포장제품(2)의 적재를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운송박스(4)의 상부날개를 하측으로 젖혀주는 젖힘부재(6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제품 운송박스 적재 시스템은, 폴딩장치(600)로 운송박스(4)의 상부날개를 젖히기 전 운송박스(4)의 이송을 감지하여 정지하는 박스정지장치(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박스정지장치(700)는. 수용틀부재(610)에 구비되고, 운송박스(4)의 진입을 감지하는 감지센서(710)와, 감지센서(710)의 감지에 의해 동작하는 직진실린더(720)와, 직진실린더(720)에 연결되고, 힌지 회동하는 정지레버부재(730)와, 정지레버부재(730)의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운송박스(4)의 측면에 접촉되어 이동을 정지시키는 정지롤러부재(740)를 포함한다.
감지센서(710)는 광감지센서, 접촉센서, 레이저센서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감지센서(710)는 수용틀부재(610)에 설치되거나 다른 위치에 별도호 설치될 수도 있다.
정지롤러부재(740)는 고무재 EH는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운손박스와 접촉시 축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8을 참조하여 운송박스의 정지 상태를 살펴보면, 운송컨베이어(150)를 통해 운송박스(4)가 수용틀부재(610)로 운송되면, 운송박스(4)의 접근을 감지센서(710)가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직진실린더(720)에 전달하여 직진실린더(720)를 우측방향으로 신징시키면 축에 연결된 정지레버부재(73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정지롤러부재(740)를 운송박스(4)의 전진방향 측면에 밀착 접촉시켜 정지시키도록 한다.
연이어, 도 19를 참조하여 운송박스의 상부날개를 젖GI주는 상태를 살펴보면, 운송박스(4)가 정지된 후, 구동실린더(620)를 신장시키면, 축에 연결된 레버부재(630)를 회전시키고, 일체로 연결된 회동축부재(640)가 회동하여 회동축부재(640)에 설치된 젖힘부재(650)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젖혀주므로 운송박스(4)의 상부날개를 외측으로 벌려주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진공흡착유닛(510)에 의해 진공흡착되거나 그립퍼유닛(520)에 의해 그립되어진 포장제품(2)를 수평이송부재(540)와 수직이송부재(530)의 이동을 통해 운송박스(4)에 이송 및 적재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제품 운송박스 적재 시스템은, 공급컨베이어에 의해 포장제품을 이송하고, 설정간격으로 배치된 다수개의 제1,제2분리부재를 통해 듀얼이송장치의 제1,제2투입컨베이어에서 번갈아 가면서 이송시켜 포장제품 공급속도를 배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후진 동작하는 푸쉬장치를 거쳐 포장제품을 지지플레이트에서 상하로 승강 이동되는 칸막이부재를 갖는 이송대기장치를 통해 포장제품을 효율적으로 분리 지지할 수 있고, 지지플레이트를 승강하는 대신에 칸막이부재만의 하강만으로 포장제품의 그립 대기 상태를 유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송대기장치의 칸막이부재의 하강과 동시에 포장제품을 진공흡착방식으로 흡착하거나 그립방식으로 잡아서 제품이송장치로 포장제품을 수평이동 및 수직이동을 통해 이송하므로 이송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운송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운송박스의 이송을 정지시키고, 상부날개를 젖혀주는 폴딩장치를 이용하여 포장제품을 적재시키므로 포장제품의 포장시간을 단축시켜 생산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본체 2 : 포장제품 :
4 : 윤송박스 100 : 공급컨베이어
150 : 운송컨베이어 200 : 듀얼이송장치
210 : 제1투입컨베이어 211 : 제1분리부재
212 : 제1피동풀리 213 : 제1구동풀리
214 : 제1구동축 215 : 제1구동모터
216 : 제1구동벨트 220 : 제2투입컨베이어
221 : 제2분리부재 222 : 제2피동풀리
223 : 제2구동풀리 224 : 제2구동축
225 : 제구동모터 226 : 제2구동벨트
230 : 분리동력전달부 231 : 분리동력피동풀리
232 : 분리동력구동풀리 233 : 분리동력벨트
234 : 아이들롤러 240 : 베어링
250 : 간격플레이트 260 : 장착프레임
300 : 푸쉬장치 310 : 푸쉬부재
320 : 서포트부재 330 : 푸쉬레일부재
340 : 푸쉬구동부 400 : 이송대기장치
410 : 지지플레이트 420 : 절개홀
430 : 연결축부재 440 : 지지프레임
450 : 승강실린더 460 : 선행가압부
462 : 가압부재 464 : 작동축부재
466 : 가압실린더 500 : 제품이송장치
510 : 진공흡착유닛 511 : 지지프레임
512 : 고정판부재 513 : 안내부재
514 : 설치축부재 515 : 진공흡착부재
516 : 플렉시블호스 517 : 진공파이프
518 : 스프링부재 519 : 거름망부재
515a : 실링부재 520 : 그립퍼유닛
521 : 지지프레임 522 : 고정판부재
523 : 양축실린더부재 524 : 그림퍼부재
525 : 제품누름부재 530 : 수직이송부재
531 : 수직지지대 532 : 수직구동부
540 : 수평이송부재 541 : 수평지지대
642 : 수평구동부 550 : 진공발생기
600 : 폴딩장치 610 : 수용틀부재
620 : 구동실린더 630 : 레버부재
640 : 회동축부재 650 : 젖힘부재
700 : 박스정지장치 710 : 감지센서
720 : 직진실린더 730 : 정지레버부재
740 : 정지롤러부재



Claims (13)

  1. 포장제품(2)을 순차적으로 정렬 이송하는 공급컨베이어(100);
    상기 공급컨베이어(100)에 직각으로 배치되고, 상기 공급컨베이어(100)에서 공급된 포장제품(2)을 나란하게 배치된 제1,제2투입벨트(216,226)에 각각 설정간격 이격 설치된 다수개의 제1,제2분리부재(211,221) 사이에 각각 안착시켜 상기 제1,제2투입벨트(216,226)를 번갈아가면서 구동하여 포장제품(2)의 이송효율을 배가시키는 듀얼이송장치(300);
    상기 듀얼이송장치(300)의 제1,제2분리부재(211,221) 사이에 안치된 포장제품(2)을 설정된 개수만큼 상기 듀얼이송장치(200)의 직각방향으로 푸쉬하는 푸쉬장치(300);
    상기 푸쉬장치(300)에 의해 이송된 포장제품(2)을 정렬 상태로 분리하여 수용하고, 칸막이부재(470)의 하강으로 상기 포장제품(2)을 이송대기상태로 전환시키는 이송대기장치(400);
    상기 칸막이부재(470)의 하강과 동시에 상기 지지플레이트(410) 상에 안지된 포장제품(2)을 중심으로 모아주면서 진공흡착으로 흡착하거나 그립방식으로 잡아서 이송하는 제품이송장치(500); 및
    상기 제품이송장치(500)에 의헤 이송된 상기 포장제품92)을 투입하여 적재하기 위해 운송컨베이어(150)에 의해 이송되는 운송박스(4)의 상부날개를 젖혀주는 폴딩장치(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제품 운송박스 적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이송장치(200)는,
    상기 제1투입벨트(216)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제1분리부재(211)를 상기 공급컨베이어(100)의 포장제품 공급위치와, 상기 푸쉬장치(300)의 포장제품 푸쉬위치로 왕복 이동시키는 제1투입컨베이어(210); 및
    상기 제1투입컨베이어(210)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분리부재(211)가 상기 공급컨베이어(100)의 포장제품 공급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제2투입벨트(226)에 설치되는 상기 제2분리부재(221)를 상기 푸쉬장치(300)의 포장제품 푸쉬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1분리부재(211)가 상기 푸쉬장치(300)의 포장제품 푸쉬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제2분리부재(221)를 상기 공급컨베이어(100)의 포장제품 공급위치에 위치시키는 제2투입컨베이어(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제품 운송박스 적재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투입컨베이어(210)는,
    상기 제1투입벨트(216)의 일측이 감겨 회전하는 제1피동풀리(212);
    상기 제1투입벨트(216)의 타측이 감겨 회전하는 제1구동풀리(213);
    상기 제1구동풀리(213)에 연결되고, 상기 제2투입벨트(226)를 거쳐 연장되어 장착프레임(260)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제1구동축(214); 및
    상기 제1구동축(214)에 연결되어 상기 제1구동풀리(213)에 동력을 제공하는 제1구동모터(2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제품 운송박스 적재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투입컨베이어(220)는,
    상기 제2투입벨트(226)의 일측이 감겨 회전하는 제2피동풀리(222);
    상기 제2투입벨트(226)의 타측이 감겨 회전하는 제2구동풀리(223);
    상기 제2구동풀리(223)에 연결되고, 상기 제1구동축(214)의 외측에 설치되되, 베이링(240)을 통해 상기 제1구동축(214)에 대해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제2구동축(224);
    상기 제1구동모터(215)의 하측 또는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2구동풀리(223)에 동력을 제공하는 제2구동모터(225); 및
    상기 제2구동모터(225)의 동력을 상기 제2구동축(224)을 통해 상기 제2구동풀리(223)에 전달하는 분리동력전달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제품 운송박스 적재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동력전달부(230)는,
    상기 제2구동축(224)에 볼팅 연결되고, 상기 제1구동축(214)과 베어링(240)을 통해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분리동력피동풀리(231);
    상기 제2구동모터(225)의 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분리동력구동풀리(232); 및
    상기 분리동력구동풀리(232)와 상기 분리동력피동풀리(231)를 상호 연결하는 분리동력벨트(2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제품 운송박스 적재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장치(300)는,
    상기 제1,제2분리부재(211,221) 사이에 안착된 포장제품(2)을 푸쉬하도록 상기 제1,제2분리부재(211,221)가 통과하는 통과홈(311)을 갖는 푸쉬부재(310);
    상기 푸쉬부재(310)에 연결되어 지지하는 서포트부재(320);
    상기 서포트부재(320)에 연결되어 상기 푸쉬부재(310)의 전후진 이동을 안내하는 푸쉬레일부재(330); 및
    상기 푸쉬레일부재(330)에 구비되고 전후진 구동력을 제공하는 푸쉬구동부(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제품 운송박스 적재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대기장치(400)는,
    상기 칸막이부재(470)가 승강하도록 상기 지지플레이트(410)에 형성되는 절개홀(420);
    상기 칸막이부재(470)를 상호 연결하는 2개이상의 연결축부재(430);
    상기 연결축부재(430)의 양단에 결합되고, 지지하는 지지프레임(440);
    상기 지지프레임(440)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칸막이부재(470)를 상기 절개홀(420)을 통해 상기 지지플레이트(410) 상측으로 노출하거나 하측으로 수납하는 승강실린더(450); 및
    상기 승강실린더(450)를 통해 상기 칸막이부재(470)의 하강시 포장제품(2)을 이송하기 위해 선행하여 포장제품(2)을 양측에서 가압하여 모아주는 선행가압부(4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제품 운송박스 적재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선행가압부(46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410) 상에 구비되고, 상기 컨막이부재(470)의 상측 노출시 양측에서 가압하도록 하는 가압부재(462);
    상기 가압부재(462)에 연결되는 작동축부재(464); 및
    상기 작동축부재(464)에 결합되어 상기 가압부재(462)에 전후진 동력을 제공하는 가압실린더(46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제품 운송박스 적재 시스템,
  9. 제 1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이송장치(500)는, 상기 포장제품(2)을 진공을 이용하여 흡착 지지하는 진공흡착유닛(510)과, 상기 포장제품(2)을 그립방식으로 집어주는 그립퍼유닛(5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이송하고,
    상기 제품이송장치(500)는,
    상기 진공흡착유닛(510) 또는 상기 그립퍼유닛(520)을 지지하여 상기 포장제품(2)을 진공흡착 또는 그립핑하고, 포장제품(2)을 상기 지지플레이트(410)에서 수직방향 상하측으로 이동하여 운송박스(4) 내에 적재하는 수직이송부재(530); 및
    상기 수직이송부재(530)를 지지하고, 상기 진공흡착유닛(510) 또는 상기 그립퍼유닛(520)이 상기 포장제품(2)을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수직이송부재(530)를 상기 지지플레이트(410)와 상기 운송박스(1500 사이에서 수평방향 좌우이동하는 수평이송부재(5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제품 운송박스 적재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흡착유닛(510)은,
    상기 수직이송부재(530)에 지지되는 지지프레임(511);
    상기 지지프레임(511)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고정판부재(512);
    상기 고정판부재(512)에 한 쌍 설치되는 안내부재(513);
    상기 고정판부재(512)에 걸리도록 상기 안내부재(513)의 중심부에 설치되고, 상기 안내부재(513)보다 더 길게 돌출 형성되는 설치축부재(514);
    상기 설치축부재(514)의 단부에 구비되고, 진공흡착홀의 테두리에 실링부재(515a)를 갖는 진공흡착부재(515);
    상기 진공흡착부재(515)의 중심부위에 상측으로 연장되고, 진공발생기(550)가 구비된 플렉시블진공호스(516)에 연결되는 진공파이프(517);
    상기 설치축부재(514)의 둘레에 설치되어 상기 진공흡착부재(515)로 포장제품(2)의 흡착시 충격을 완충하는 스프링부재(518); 및
    상기 진공흡착홀에 설치되어 진공발생기(550)로 포장제품(2)을 진공 흡착시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는 거름망부재(5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장으로 하는 포장제품 운송박스 적재 시스템,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퍼유닛(520)은,
    상기 수직이송부재(530)에 지지되는 지지프레임(521);
    상기 지지프레임(521)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고정판부재(522);
    상기 고정판부재(522)에 구비되는 양축실린더부재(523);
    상기 양축실린더부재(523)에 각각의 축에 연결되어 너비방향으로 오므려지거나 벌려지는 그립퍼부재(524); 및
    상기 그립퍼부재(524)의 작동시 상기 포장제품(2)이 상측으로 튀어오르는 것을 방지하는 제품누름부재(5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제품 운송박스 적재 시스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장치(600)는,
    상기 운송컨베이어(150)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운송박스(4)를 수용하는 수용틀부재(610);
    상기 수용틀부재(610)에 구비되고, 마주보도록 두 쌍 설치되는 구동실린더(620);
    상기 구동실린더(610)의 축에 연결되어 레버작동하는 레버부재(630);
    상기 레버부재(630) 각각에 축 연결되어 회동하는 회동축부재(640)); 및
    상기 회동축부재(640)에 구비되고, 포장제품(2)의 적재를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운송박스(4)의 상부날개를 하측으로 젖혀주는 젖힘부재(6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제품 운송박스 적재 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장치(600)로 운송박스(4)의 상부날개를 젖히기 전 운송박스(4)의 이송을 감지하여 정지하는 박스정지장치(700)를 포함하고,
    상기 박스정지장치(700)는.
    상기 수용틀부재(610)에 구비되고, 운송박스(4)의 진입을 감지하는 감지센서(710);
    상기 감지센서(710)의 감지에 의해 동작하는 직진실린더(720);
    상기 직진실린더(720)에 연결되고, 힌지 회동하는 정지레버부재(730); 및
    상기 정지레버부재(730)의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운송박스(4)의 측면에 접촉되어 이동을 정지시키는 정지롤러부재(7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제품 운송박스 적재 시스템,
KR1020180091115A 2018-08-06 2018-08-06 포장제품 운송박스 적재 시스템 KR102115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115A KR102115419B1 (ko) 2018-08-06 2018-08-06 포장제품 운송박스 적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115A KR102115419B1 (ko) 2018-08-06 2018-08-06 포장제품 운송박스 적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5986A true KR20200015986A (ko) 2020-02-14
KR102115419B1 KR102115419B1 (ko) 2020-05-26

Family

ID=69514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1115A KR102115419B1 (ko) 2018-08-06 2018-08-06 포장제품 운송박스 적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541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28625A (zh) * 2021-11-01 2022-01-14 江苏宏芯亿泰智能装备有限公司 贴膜设备
KR20220028860A (ko) * 2020-08-31 2022-03-08 휴비오 주식회사 폴더블 초박형유리 적층 장치
KR20220169759A (ko) * 2021-06-21 2022-12-28 성원자동기계 주식회사 불량 포장제품 제거용 배출개폐장치를 구비한 적재시스템
CN116654615A (zh) * 2023-07-27 2023-08-29 福建科盛智能物流装备有限公司 一种矩形物品夹持机构及其夹持转移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8840A (ja) * 1992-02-05 1993-10-26 Fuji Mach Co Ltd 物品の集合搬送方法および装置
KR19980061504U (ko) * 1997-03-26 1998-11-05 윤종용 포장보조장치
KR20020043663A (ko) * 2000-12-02 2002-06-12 유상근 자동포장장치의 버킷조립체
JP2004307023A (ja) * 2003-04-08 2004-11-04 Okura Yusoki Co Ltd ケースのフラップ開装置
KR101502791B1 (ko) * 2014-11-13 2015-03-24 (주)로픽 물티슈가 포장된 낱개 포장용기를 운송박스에 적재하기 위한 자동화 설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8840A (ja) * 1992-02-05 1993-10-26 Fuji Mach Co Ltd 物品の集合搬送方法および装置
KR19980061504U (ko) * 1997-03-26 1998-11-05 윤종용 포장보조장치
KR20020043663A (ko) * 2000-12-02 2002-06-12 유상근 자동포장장치의 버킷조립체
JP2004307023A (ja) * 2003-04-08 2004-11-04 Okura Yusoki Co Ltd ケースのフラップ開装置
KR101502791B1 (ko) * 2014-11-13 2015-03-24 (주)로픽 물티슈가 포장된 낱개 포장용기를 운송박스에 적재하기 위한 자동화 설비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8860A (ko) * 2020-08-31 2022-03-08 휴비오 주식회사 폴더블 초박형유리 적층 장치
KR20220169759A (ko) * 2021-06-21 2022-12-28 성원자동기계 주식회사 불량 포장제품 제거용 배출개폐장치를 구비한 적재시스템
CN113928625A (zh) * 2021-11-01 2022-01-14 江苏宏芯亿泰智能装备有限公司 贴膜设备
CN113928625B (zh) * 2021-11-01 2023-09-15 江苏宏芯亿泰智能装备有限公司 贴膜设备
CN116654615A (zh) * 2023-07-27 2023-08-29 福建科盛智能物流装备有限公司 一种矩形物品夹持机构及其夹持转移方法
CN116654615B (zh) * 2023-07-27 2024-01-12 福建科盛智能物流装备有限公司 一种矩形物品夹持机构及其夹持转移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5419B1 (ko) 2020-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15986A (ko) 포장제품 운송박스 적재 시스템
JP3868491B2 (ja) 多数個パックの包装装置
US4492070A (en) Case loading apparatus and method
CN111483644B (zh) 物料包装系统及槟榔包装系统
US5579895A (en) Crosspush conveyor for carton loader
US545997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ly feeding a drum machine with compressible articles, especially folded cellulose napkins, for the wrapping thereof in a thin plastic envelope
CN109229545A (zh) 用于多列包装机的包装袋整理生产线的双层码放装置
CN111891458A (zh) 一种新型蜘蛛手装箱机
CN113247361A (zh) 一种垃圾袋卷包装机
JP5409140B2 (ja) Ptpシート群の供給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製品供給システム
JP6109509B2 (ja) 物品整列供給装置
US5054275A (en) Apparatus for supplying valved sacks to a filling nozzle
WO2021196305A1 (zh) 一种高速薄膜捆扎机
CN115140363B (zh) 一种芯片料盘包装生产线
AU2006221151B2 (en) Bag loader
JP3672620B2 (ja) 長尺物箱詰め装置
CN111252274A (zh) 一种大米打包堆垛设备
CN211253211U (zh) 高速直角坐标装箱机
EP1674221B1 (en) Device for crosscutting lengths of wood
JPH07237601A (ja) 長尺物箱詰め装置
JP5658870B2 (ja) バッファ装置及びバケット幅調整方法
JP4250118B2 (ja) 包装袋押圧機構及びそれを備えたシールチェック装置
JP3597549B2 (ja) 長尺物載置装置
CN216186453U (zh) 一种包装箱运输总成及一种包装流水线
KR102517315B1 (ko) 포대 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