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8128A -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 이의 경화물 및 당해 경화물을 구비한 트랜스듀서 등 - Google Patents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 이의 경화물 및 당해 경화물을 구비한 트랜스듀서 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8128A
KR20200008128A KR1020197035411A KR20197035411A KR20200008128A KR 20200008128 A KR20200008128 A KR 20200008128A KR 1020197035411 A KR1020197035411 A KR 1020197035411A KR 20197035411 A KR20197035411 A KR 20197035411A KR 20200008128 A KR20200008128 A KR 202000081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fluoroalkyl group
component
carbon atoms
organopolysiloxan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5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1358B1 (ko
Inventor
히로시 후쿠이
쿄코 도야마
Original Assignee
다우 도레이 캄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우 도레이 캄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다우 도레이 캄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08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8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1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1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C08L83/08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rganic group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and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06Preparatory processes
    • C08G77/08Preparatory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s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12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hyd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20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unsaturated aliphatic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22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rganic group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and oxygen
    • C08G77/24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rganic group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and oxygen halogen-containing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80Siloxanes having aromatic substituents, e.g. phenyl side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04Polysiloxanes
    • C09D183/08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rganic group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and oxygen
    • H01L41/193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5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having a stacked or multilayer structur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5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active materials
    • H10N30/857Macromolecular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20Applications use in electrical or conductive gadg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12/00Crosslink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과제] 용이하게 필름상으로 가공 가능하며, 높은 비유전율, 높은 절연 파괴 강도, 낮은 영률을 구비함으로써 높은 에너지 밀도를 실현할 수 있는 동시에 트랜스듀서의 유전층으로서 사용한 경우의 기계적 강도(구체적으로는 인장 강도, 인열 강도, 연신율 등)가 우수한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 그 용도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알케닐기 및 플루오로알킬기를 함유하는 오가노폴리실록산, 분자쇄 양 말단 SiH를 가지며, 플루오로알킬기를 갖지 않는 오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및 직쇄상 또는 T 단위를 갖는 분지상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오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을 이용한, 부가 반응에 의해 경화 가능한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 및 그 용도.

Description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 이의 경화물 및 당해 경화물을 구비한 트랜스듀서 등
본 발명은 유전율이 높고, 경화물의 전기적 특성 및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 이의 경화물에 관한 것이며, 당해 경화물을 전기 활성 실리콘 재료로서 트랜스듀서의 유전층 등에 아주 알맞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당해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전기 활성 폴리머 재료의 제조 방법, 및 그 전기 활성 폴리머 재료를 포함하는 트랜스듀서용 부재, 전자 재료 또는 표시 장치용 부재에 관한 것이며, 이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트랜스듀서, 전자 부품 또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 활성 실리콘 재료는 그 기계 특성 및/또는 전기적 특성, 구체적으로는 높은 비유전율, 높은 절연 파괴 강도, 낮은 영률을 구비함으로써 높은 에너지 밀도를 실현할 수 있는 동시에 트랜스듀서의 유전층으로서 사용한 경우의 기계적 강도(구체적으로는 인장 강도, 인열 강도, 연신율 등)가 우수하기 때문에, 내구성과 실용적인 변위량을 실현할 수 있어서 트랜스듀서용 재료로서 아주 알맞게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출원인들은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오가노폴리실록산 경화물이 높은 비유전율을 가져서 트랜스듀서 재료로서 유용하다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특허문헌 1 또는 특허문헌 2).
그러나 최근 액츄에이터를 비롯한 트랜스듀서 재료 분야에서는, 전기 활성 실리콘 재료에 대하여 용이하게 필름상으로 가공 가능하고, 또한 높은 비유전율 및 기계적 강도를 양립한 재료에 대한 요구가 발생하고 있으며, 가일층의 기계 특성 및 전기적 특성의 개선이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1: 국제 공개특허공보 제2014-105959호 특허문헌 2: 국제 공개특허공보 제2015-098072호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용이하게 필름상으로 가공 가능하고, 높은 비유전율, 높은 절연 파괴 강도, 낮은 영률을 구비함으로써 높은 에너지 밀도를 실현할 수 있는 동시에 트랜스듀서의 유전층으로서 사용한 경우의 기계적 강도(구체적으로는 인장 강도, 인열 강도, 연신율 등)가 우수한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은 당해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의 액츄에이터 등의 트랜스듀서 재료로서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본 발명자들은 알케닐기 및 플루오로알킬기를 함유하는 오가노폴리실록산을 주성분으로 하고, 가교제로서, 분자쇄 양 말단에 적어도 2개의 규소 결합 수소 원자를 가지며, 플루오로알킬기를 갖지 않는 오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및, 직쇄상 또는 T 단위를 갖는 분지상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오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을 이용한 부가 반응에 의해 경화 가능한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에 의해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찾아내어 본 발명에 도달했다.
당해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의 경화물은 기계 특성 및 전기적 특성이 우수한 전기 활성 실리콘 재료로서, 특히 필름상 또는 시트상 트랜스듀서용 부재로서 이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상기 플루오로알킬기가 트리플루오로프로필기일 때 상기 과제를 보다 아주 알맞게 해결할 수 있다는 것, 상기 오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이 분자 중에 트리플루오로프로필기를 갖는 직쇄상 또는 T 단위를 갖는 수지상 오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인 경우에 상기 과제를 더욱 아주 알맞게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찾아내어 본 발명에 도달했다.
즉,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1] (A)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의, 분자 중에 적어도 2개의 탄소수 2~12의 알케닐기를 가지며, 규소 원자 상의 모든 치환기의 10몰% 이상이 (CpF2p +1)-R-(R은 탄소 원자수 1~10의 알킬렌기이며, p는 1 이상 8 이하의 정수이다)로 표시되는 플루오로알킬기인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오가노폴리실록산,
(B) 이하의 (B1) 성분 및 (B2)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오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으로서, (B1) 성분 중의 규소 원자 결합 수소 원자수:(B2) 성분 중의 규소 원자 결합 수소 원자수의 비율이 10:90~85:15가 되는 범위인 것:
(B1) 분자쇄 양 말단에 적어도 2개의 규소 결합 수소 원자를 가지며, 플루오로알킬기를 갖지 않는 오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B2) 하기 평균 단위식 (III)으로 표시되는 직쇄상 오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및 평균 단위식 (IV)로 표시되는 분지상 오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류 이상의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오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R0 3Si(OSiR4R0)f1(OSiR0 2)f2OSiR0 3 (III)
{식 중, R4는 (CpF2p +1)-R-(R은 상기와 동일한 기이며, p는 상기와 동일한 수이다)로 표시되는 플루오로알킬기 또는 규소 원자 결합 수소 원자이며, R0은 동일 또는 독립적으로 탄소수 1~12의 알킬기, 탄소수 6~20의 아릴기, 탄소수 7~20의 아르알킬기, 수산기, 탄소수 1~6의 알콕시기 또는 규소 원자 결합 수소 원자인 동시에 모든 R0 중 적어도 2개는 규소 원자 결합 수소 원자이고, f1은 양의 수이고 f2는 0 또는 양의 수이며, 5<f1+f2<150을 만족하는 수이다.}
(HR6 2SiO1/2)f3(R6 3SiO1/2)f4(HR6SiO2/2)f5(R6 2SiO2/2)f6(R5SiO3/2)f7(SiO4/2)f8 (IV)
{식 중, R5는 (CpF2p +1)-R-(R은 상기와 동일한 기이며, p는 상기와 동일한 수이다)로 표시되는 플루오로알킬기이며, R6은 동일 또는 독립적으로 탄소수 1~12의 알킬기, 탄소수 6~20의 아릴기, 탄소수 7~20의 아르알킬기, 수산기 또는 탄소수 1~6의 알콕시기 또는 상기 플루오로알킬기인 동시에 f3 및 f7은 양의 수이고, f4, f5, f6 및 f8은 0 또는 양의 수인 동시에 f3+f4+f5+f6+f7+f8은 식 (III)으로 표시되는 오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400~10000이 되는 범위의 수이다.}
조성물 중의 알케닐기의 합계량 1몰에 대하여, (B) 성분 중의 규소 원자 결합 수소 원자의 합이 0.1~2.5몰이 되는 양,
(C) 유효량의 하이드로실릴화 반응용 촉매
를 함유하는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
에 의해 해결된다.
아주 알맞게는,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하기 조성물에 의해 해결된다.
[2] 상기 (A) 성분의 평균 중합도가 5~300의 범위인, [1]에 기재한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
[3] 상기 (A)가 하기 평균 단위식 (I)로 표시되는 오가노폴리실록산인, [1] 또는 [2]에 기재한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
R1R2 2Si(OSiR1R2)e1(OSiR2 2)e2OSiR1R2 2 (I)
{식 중, R1은 (CpF2p +1)-R-(R은 상기와 동일한 기이며, p는 상기와 동일한 수이다)로 표시되는 플루오로알킬기 또는 탄소수 2~12의 알케닐기이며, R2는 동일 또는 독립적으로 탄소수 1~12의 알킬기, 탄소수 6~20의 아릴기, 탄소수 7~20의 아르알킬기, 수산기 혹은 탄소수 1~6의 알콕시기인 동시에 모든 R1 중 적어도 2개는 탄소수 2~12의 알케닐기이고, 모든 R1 및 R2 중 10몰% 이상은 상기 플루오로알킬기이며, e1은 양의 수이고, e2는 0 또는 양의 수이며, 5<e1+e2<298을 만족하는 수이다.}
[4] 상기 (A)가 하기 평균 단위식 (II)로 표시되는 오가노폴리실록산인, [1]~[3] 중 어느 1항에 기재한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
RViR2 2Si(OSiR2R3)eOSiRViR2 2 (II)
{식 중, RVi는 탄소수 2~12의 알케닐기이고, R2는 상기와 동일한 기이며, R3은 (CpF2p+1)-R-(R은 상기와 동일한 기이며, p는 상기와 동일한 수이다)로 표시되는 플루오로알킬기인 동시에 e는 20<e<298을 만족하는 수이다.}
[5] 상기 (A) 성분 중의 (CpF2p +1)-R-(R은 상기와 동일한 기이며, p는 상기와 동일한 수이다)로 표시되는 플루오로알킬기가 트리플루오로프로필기인, [1]~[4] 중 어느 1항에 기재한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
[6] 상기 (B2) 성분이 분자 중에 트리플루오로프로필기를 갖는 오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인, [1]~[5] 중 어느 1항에 기재한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
[7] 상기 (A) 성분이 하기 (A1) 성분 또는 (A2) 성분인, [1]~[6] 중 어느 1항에 기재한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
(A1) 분자 중에 적어도 2개의 탄소수 2~12의 알케닐기를 가지며, 규소 원자 상의 모든 치환기의 10몰% 이상이 (CpF2p +1)-R-(R은 탄소 원자수 1~10의 알킬렌기이며, p는 1 이상 8 이하의 정수이다)로 표시되는 플루오로알킬기이고, 평균 중합도가 50~300이며, 중합도 200 이상의 오가노폴리실록산의 체적 함유율이 10% 이상인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오가노폴리실록산
(A2) 하기 분자량 분포가 상이한 (a1) 성분 및 (a2) 성분으로 이루어지며, 혼합물 전체의 평균 중합도가 50~300인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오가노폴리실록산:
(a1) 분자 중에 적어도 2개의 탄소수 2~12의 알케닐기를 가지며, 규소 원자 상의 모든 치환기의 10몰% 이상이 (CpF2p +1)-R-(R은 탄소 원자수 1~10의 알킬렌기이며, p는 1 이상 8 이하의 정수이다)로 표시되는 플루오로알킬기이고, 평균 중합도가 200 이상인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오가노폴리실록산
(a2) 분자 중에 적어도 2개의 탄소수 2~12의 알케닐기를 가지며, 규소 원자 상의 모든 치환기의 10몰% 이상이 (CpF2p +1)-R-(R은 탄소 원자수 1~10의 알킬렌기이며, p는 1 이상 8 이하의 정수이다)로 표시되는 플루오로알킬기이고, 평균 중합도가 50 이하인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오가노폴리실록산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상기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을 경화하여 이루어지는 경화물, 그 트랜스듀서용 부재, 전자 재료 또는 표시 장치용 부재로서의 사용, 및 이를 포함하는 트랜스듀서이며, 이하의 발명에 의해 달성된다.
[8] [1]~[7] 중 어느 1항에 기재한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을 경화하여 이루어지는 경화물.
[9] [1]~[7] 중 어느 1항에 기재한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을 경화하여 이루어지며, 필름상 혹은 시트상인 트랜스듀서용 부재.
[10] [1]~[7] 중 어느 1항에 기재한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을 경화하여 이루어지며, 필름상 혹은 시트상인 전자 재료 또는 표시 장치용 부재.
[11] [1]~[7] 중 어느 1항에 기재한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을 경화하여 이루어지며, 겔 또는 엘라스토머인 트랜스듀서용 부재.
[12] [1]~[7] 중 어느 1항에 기재한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을 경화하여 이루어지는 유전층을 갖는 트랜스듀서.
[13] 적어도 한 쌍의 전극층 사이에, [1]~[7] 중 어느 1항에 기재한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을 경화시키거나, 또는 상기 조성물의 경화 반응을 일부 진행시켜 이루어지는 중간층을 개장(介裝)하여 이루어지는 트랜스듀서.
[14] 중간층이 겔 또는 엘라스토머인, [12] 또는 [13]의 트랜스듀서.
[15] 중간층이 [1]~[7] 중 어느 1항에 기재한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을 경화시켜 이루어지는 경화물을 1층 또는 2층 이상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2]~[14] 중 어느 1항에 기재한 트랜스듀서.
[16] [1]~[7] 중 어느 1항에 기재한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을 경화시키거나, 또는 상기 조성물의 경화 반응을 일부 진행시켜 이루어지는 경화물층을 갖는 전자 부품 또는 표시 장치.
본 발명에 의하면, 경화물의 투명성이 우수하고, 용이하게 필름상으로 가공 가능하며, 높은 비유전율, 높은 절연 파괴 강도, 낮은 영률을 구비함으로써 높은 에너지 밀도를 실현할 수 있는 동시에 트랜스듀서의 유전층으로서 사용한 경우의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당해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은 부가 경화형이며, 성형 가공 시의 수축이 거의 없고, 경화 속도가 커서, 소망의 경화 조건을 설정하기 쉽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오가노폴리실록산 경화물은 그 높은 비유전율, 나아가서는 높은 기계적 강도(구체적으로는 인장 강도, 인열 강도, 연신율 등)로 인해, 필름상 혹은 시트상으로 성형하여 유전층으로서 응용한 경우, 내구성에 더하여 실용적인 변위량, 높은 응답성을 실현하기 때문에 액츄에이터 등의 트랜스듀서 재료로서의 용도로 아주 알맞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유전층을 적층한 경우의 본 발명의 액츄에이터(1)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유전층 및 전극층을 적층한 경우의 본 발명의 액츄에이터(2)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센서(3)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유전층을 적층한 경우의 본 발명의 발전 소자(4)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은 이하의 (A)~(C) 성분 및 임의의 (D) 하이드로실릴화 반응 억제제, (E) 충전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며, 먼저 각 성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A) 성분]
(A) 성분은 경화성 조성물의 주제(主劑)이며, 분자 중에 적어도 2개의 탄소수 2~12의 알케닐기를 가지며, 규소 원자 상의 모든 치환기의 10몰% 이상이 (CpF2p +1)-R-(R은 탄소 원자수 1~10의 알킬렌기이며, p는 1 이상 8 이하의 정수이다)로 표시되는 플루오로알킬기인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오가노폴리실록산이다.
(A) 성분은 플루오로알킬기를 일정량 이상 갖는 동시에 분자 중에 적어도 2개의 알케닐기를 가지기 때문에, (B) 성분과의 부가 반응(하이드로실릴화 반응)에 의해 가교하여, 성형성, 반응 제어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동시에 비교적 높은 비유전율을 갖는 경화물을 부여한다. 그 구조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직쇄상, 분지쇄상, 환상 또는 R3SiO3 /2 단위(3관능성 실록시 단위) 또는 SiO2 단위(4관능성 실록시 단위)를 필수로 하는 수지상 오가노폴리실록산일 수 있다. 또한,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의 분자 구조 또는 평균 중합도가 상이한 오가노폴리실록산의 혼합물일 수도 있다. 그러나 액츄에이터 등의 유전층으로서 응용하는 경우에, 높은 기계적 강도를 실현하는 동시에 낮은 점착력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상기 3관능성 실록시 단위 또는 4관능성 실록시 단위를 갖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아주 알맞게는, (A) 성분은 직쇄상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오가노폴리실록산이다.
(A) 성분은 그 규소 원자 상의 모든 치환기의 10몰% 이상, 아주 알맞게는 20몰% 이상, 보다 아주 알맞게는 40몰% 이상이 (CpF2p +1)-R-(R은 탄소 원자수 1~10의 알킬렌기이며, p는 1 이상 8 이하의 정수이다)로 표시되는 플루오로알킬기이다. 플루오로알킬기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미만이면,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을 경화하여 얻어지는 경화물의 비유전율이 저하되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다. 아울러, (CpF2p+1)-R-로 표시되는 플루오로알킬기에서의 불소 원자의 함유량이 높고, 즉 p의 값이 크고, 예를 들어 p≥4인 동시에 R인 알킬렌기의 탄소 원자수가 적은 경우에는, 상기 플루오로알킬기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의 하한에 가까운 값이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특히, (A) 성분 중의 불소 원자의 함유율은 1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플루오로알킬기로서 트리플루오로프로필기를 선택하는 경우, (A) 성분 중의 규소 원자 상의 모든 치환기의 40몰% 이상으로 할 수도 있다.
(CpF2p +1)-R-로 표시되는 플루오로알킬기는 본 발명의 (A) 성분에서의 필수 관능기이며, (B) 성분에서도 아주 알맞은 관능기이다. 이러한 플루오로알킬기는 비유전율이 우수한 경화물을 부여하는 동시에 각 성분이 불소 원자를 가짐으로써 각 성분의 상용성을 개선하고, 투명성이 우수한 경화물을 부여한다. 이러한 플루오로알킬기의 구체예로서는 트리플루오로프로필기, 펜타플루오로부틸기, 헵타플루오로펜틸기, 노나플루오로헥실기, 운데카플루오로헵틸기, 트리데카플루오로옥틸기, 펜타데카플루오로노닐기, 헵타데카플루오로데실기이다. 이 중에서는, 유전 특성, 경제성, 제조 용이성, 얻어지는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의 성형 가공성의 관점에서 p=1인 기, 즉 트리플루오로프로필기가 바람직한 기이다.
(A) 성분은 분자 중에 적어도 2개의 탄소수 2~12의 알케닐기를 갖는다. 탄소수 2~12의 알케닐기로서는 경제성, 반응성의 관점에서 비닐기, 알릴기, 헥세닐기, 옥테닐기가 바람직하며, 비닐기 및 헥세닐기가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A) 성분 중의 기타 규소 원자 결합 관능기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탄소수 1~12의 알킬기, 탄소수 6~20의 아릴기, 탄소수 7~20의 아르알킬기, 수산기 혹은 탄소수 1~6의 알콕시기를 들 수 있다. 탄소수 1~12의 알킬기로서는, 경제성, 내열성을 고려하면 메틸기가 바람직하다. 탄소수 6~20의 아릴기로서는, 경제성의 관점에서 페닐기, 메틸페닐(톨릴)기, 나프틸기가 바람직하다. 탄소수 7~20의 아르알킬기로서는, 벤질기, 페네틸기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탄소수 1~6의 알콕시기로서는, 메톡시기, 에톡시기, n-프로폭시기가 바람직하다. 아울러, (A) 성분 중의 규소 원자 상의 모든 치환기의 일정량 이상은 상기 플루오로알킬기이며, 분자 중에 탄소수 2~12의 알케닐기를 2 이상 갖는 것이지만, 기타 규소 원자 결합 관능기는 메틸기, 페닐기 또는 수산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메틸기 및 페닐기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A) 성분은 그 평균 중합도에 대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경화 전의 조성물의 취급 작업성 및 경화물의 기계적 강도의 견지에서, 그 실록산 단위의 평균 중합도(이하, 단순히 「평균 중합도」라고 한다)가 500 미만, 450 미만, 400 미만, 350 미만 또는 300 미만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평균 중합도의 하한은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7 이상, 10 이상, 15 이상 또는 20 이상일 수 있다. 또한, (A) 성분은 상이한 평균 중합도를 갖는 상기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오가노폴리실록산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중합도가 비교적 낮은(ex. 10~90) 상기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오가노폴리실록산과 중합도가 비교적 높은(ex. 100~300) 상기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오가노폴리실록산의 혼합물(후술하는 분자량 분포의 피크 형상이 다봉성(multimodal)이 되는 것)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그 경우, (A) 성분의 실록산 단위의 평균 중합도는 혼합물을 구성하는 각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오가노폴리실록산의 중합도와 질량비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특히 아주 알맞게는, (A) 성분의 평균 중합도는 10~300, 15~250의 범위이며, 필름/시트상으로 성형한 겔상 또는 엘라스토머상 경화물을 얻는 것이 용이하고, 당해 경화물은 양호한 기계적 특성 및 전기적 특성(높은 비유전율)을 나타낸다. 아울러, 본 발명의 경화물은, 예를 들어 0℃ 이하의 저온하에 있어서도 상기 물성의 변화가 적기 때문에, 폭넓은 온도 영역에서 안정적인 성능을 실현할 수 있다.
여기서, (A) 성분인 오가노폴리실록산의 중합도는 29Si NMR을 이용한 피크 강도로 적분비에 의해 결정 가능하며, 본 발명에서의 「평균 중합도」란, (A) 성분 중에 1 이상의 분자량 분포가 존재하는 경우에, 전체 평균 중합도를 가리키는 것이다. (A) 성분은 1의 분자량 분포를 갖는 오가노폴리실록산일 수도 있고, 분자량 분포가 상이한 2종 이상의 오가노폴리실록산으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일 수도 있으며, 분자량 분포의 피크 형상이 단봉성(unimodal)일 수도 다봉성일 수도 있다. 아울러, 평균 중합도가 상기 범위가 되는 양적 범위에서 2종 이상의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오가노폴리실록산을 병용함으로써, 조성 설계 시의 원료의 선택 가능성이 넓어져서, 본 발명의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경화물의 물리 특성이 더욱더 개선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아주 알맞게는, (A) 성분은 평균 단위식 (I)로 표시되는, 일정량 이상의 플루오로알킬기를 가지며, 적어도 2개의 알케닐기를 갖는 1종류 이상의 직쇄상 오가노폴리실록산이다.
평균 단위식:
R1R2 2Si(OSiR1R2)e1(OSiR2 2)e2OSiR1R2 2 (I)
식 중, R1로 표시되는 치환기는 동일 또는 독립적으로 상기 플루오로알킬기 또는 탄소수 2~12의 알케닐기이며, 이들의 구체예는 상기와 동일하다. 또한, R2로 표시되는 치환기는 동일 또는 독립적으로 탄소수 1~12의 알킬기, 탄소수 6~20의 아릴기, 탄소수 7~20의 아르알킬기, 수산기 혹은 탄소수 1~6의 알콕시기인 동시에 모든 R1 중 적어도 2개는 탄소수 2~12의 알케닐기이다. 아주 알맞게는, (A) 성분 중의 탄소수 2~12의 알케닐기의 함유량은 0.01~10.00질량%이고, 0.01~2.00질량%일 수 있으며, 0.02~1.50질량%일 수 있다. 또한, R2는 메틸기, 페닐기 또는 수산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메틸기 또는 페닐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모든 규소 원자 상의 모든 치환기(R1 및 R2)의 10몰% 이상, 아주 알맞게는 20몰% 이상, 보다 아주 알맞게는 40몰% 이상이 상기 플루오로알킬기, 아주 알맞게는 트리플루오로프로필기이다. 플루오로알킬기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미만이면,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을 경화하여 얻어지는 경화물의 비유전율이 저하되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다.
식 중, e1 및 e2의 값은 (A) 성분 중의 각 실록산 단위의 평균 중합도이며, e1은 양의 수이고, e2는 0 또는 양의 수인 동시에 5<e1+e2<498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이들 값은 평균 중합도이며, (A) 성분이 2 이상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인 경우에는, 혼합물 전체적으로 (A) 성분의 평균 중합도 e1+e2+2가 500 미만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기타 값은 상기 (A) 성분의 평균 중합도의 아주 알맞은 범위와 동일하다. (A) 성분인 오가노폴리실록산의 중합도는 29Si NMR을 이용한 피크 강도의 적분비에 의해 결정 가능하며, 평균 중합도의 아주 알맞은 범위에 대해서는 상기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A) 성분은 상기 요건을 만족하는 1종의 오가노폴리실록산일 수도 있고, 또한 적어도 2종의 오가노폴리실록산의 혼합물일 수도 있다. 적어도 2종의 오가노폴리실록산인 경우, 그 혼합물의 평균 중합도가 상기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며, 각각의 오가노폴리실록산이 분자 중에 2 이상의 탄소수 2~12의 알케닐기를 갖는 동시에 규소 원자 상의 모든 치환기의 10몰% 이상이 상기 플루오로알킬기인 오가노폴리실록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A) 성분에 있어서, 상기 플루오로알킬기는 측쇄에 있을 수도 분자쇄 말단에 있을 수도 있지만, 특히 아주 알맞게는 하기 평균 단위식 (II)로 표시되는, 측쇄에 상기 플루오로알킬기를 가지며 분자쇄 양 말단에 탄소수 2~12의 알케닐기를 갖는 호모폴리머형 오가노폴리실록산이다.
평균 단위식:
RViR2 2Si(OSiR2R3)eOSiRViR2 2 (II)
식 중, RVi는 탄소수 2~12의 알케닐기이며, 상기와 동일한 기가 예시된다.
R2는 상기와 동일한 기이고, R3은 (CpF2p +1)-R-(R은 상기와 동일한 기이며, p는 상기와 동일한 수이다)로 표시되는 플루오로알킬기이며, 상기와 동일한 기가 예시된다. 아울러, 상기 구조에 있어서, 5<e<498의 범위에서 모든 RVi, R2 및 R3 중 10몰% 이상은 상기 플루오로알킬기(R3)라고 하는 조건은 자동적으로 만족된다. 즉, e>5이므로, [R3]=e/(2e+6)×100몰%의 값은 5/16×100=31.25몰%보다 반드시 크다.
아주 알맞게는, RVi는 비닐기 또는 헥세닐기이고, R2는 메틸기, 페닐기 또는 수산기이며, 상기 플루오로알킬기는 아주 알맞게는 트리플루오로프로필기이다.
식 중, e의 값은 (A) 성분 중의 측쇄 실록산 단위의 평균 중합도이며, 0 또는 양의 수인 동시에 5<e<498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이들 값은 평균 중합도이며, (A) 성분이 2 이상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인 경우에는, 혼합물 전체적으로 (A) 성분의 평균 중합도 e+2가 500 미만이 된다. (A) 성분인 오가노폴리실록산의 중합도는 29Si NMR을 이용한 피크 강도의 적분비에 의해 결정 가능하며, 평균 중합도의 아주 알맞은 범위에 대해서는 상기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A) 성분의 구체예로서는 양 말단 트리메틸실릴-폴리디메틸메틸비닐 메틸트리플루오로프로필실록산 공중합체, 양 말단 트리메틸실릴-폴리메틸비닐 메틸트리플루오로프로필실록산 공중합체, 양 말단 디메틸비닐실릴-폴리디메틸메틸비닐 메틸트리플루오로프로필실록산 공중합체, 양 말단 디메틸비닐실릴-폴리디메틸 메틸트리플루오로프로필실록산 공중합체, 양 말단 하이드록시디메틸실릴-폴리메틸비닐 메틸트리플루오로프로필실록산 공중합체, 양 말단 하이드록시디메틸실릴-폴리디메틸메틸비닐 메틸트리플루오로프로필실록산 공중합체, 양 말단 디메틸페닐실릴-폴리메틸비닐 메틸트리플루오로프로필실록산 공중합체, 양 말단 디메틸페닐실릴-폴리디메틸메틸비닐 메틸트리플루오로프로필실록산 공중합체, 양 말단 디메틸비닐실릴-폴리디메틸메틸비닐메틸페닐 메틸트리플루오로프로필실록산 공중합체, 양 말단 디메틸비닐실릴-폴리메틸페닐 메틸트리플루오로프로필실록산 공중합체, 양 말단 디메틸비닐실릴-폴리디메틸메틸페닐 메틸트리플루오로프로필실록산 공중합체, 양 말단 하이드록시디메틸실릴-폴리메틸비닐메틸페닐 메틸트리플루오로프로필실록산 공중합체, 양 말단 하이드록시디메틸실릴-폴리디메틸메틸비닐메틸페닐 메틸트리플루오로프로필실록산 공중합체, 양 말단 디메틸비닐실릴-폴리메틸트리플루오로프로필실록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A) 성분의 분자량 분포에 대해서는 상기한 바와 같으며, 그 분자량 분포의 피크 형상이 실질적으로 단봉성인 동시에 그 평균 중합도가 500 미만이 되는 오가노폴리실록산일 수도 있고, 그 분자량 분포의 피크 형상이 실질적으로 다봉성(=그 분자량 분포에 2 이상의 피크를 갖는다)이고, 그 평균 중합도가 500 미만이 되는 오가노폴리실록산일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A) 성분은 하기 (A1) 성분 또는 (A2) 성분일 수 있다.
[(A1) 성분]
분자 중에 적어도 2개의 탄소수 2~12의 알케닐기를 가지며, 규소 원자 상의 모든 치환기의 10몰% 이상이 (CpF2p +1)-R-(R은 탄소 원자수 1~10의 알킬렌기이며, p는 1 이상 8 이하의 정수이다)로 표시되는 플루오로알킬기이고, 평균 중합도가 50~300이며, 중합도 200 이상의 오가노폴리실록산의 체적 함유율이 10% 이상인, 실질적으로 단봉성 분자량 분포를 갖는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오가노폴리실록산. 알케닐기 등의 구체예는 상기와 동일하다.
[(A2) 성분]
하기 분자량 분포 및 평균 중합도가 상이한 (a1) 성분 및 (a2) 성분으로 이루어지며, 혼합물 전체의 평균 중합도가 50~300인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오가노폴리실록산:
(a1) 분자 중에 적어도 2개의 탄소수 2~12의 알케닐기를 가지며, 규소 원자 상의 모든 치환기의 10몰% 이상이 (CpF2p +1)-R-(R은 탄소 원자수 1~10의 알킬렌기이며, p는 1 이상 8 이하의 정수이다)로 표시되는 플루오로알킬기이고, 평균 중합도가 200 이상, 아주 알맞게는 200~400의 범위인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오가노폴리실록산
(a2) 분자 중에 적어도 2개의 탄소수 2~12의 알케닐기를 가지며, 규소 원자 상의 모든 치환기의 10몰% 이상이 (CpF2p +1)-R-(R은 탄소 원자수 1~10의 알킬렌기이며, p는 1 이상 8 이하의 정수이다)로 표시되는 플루오로알킬기이고, 평균 중합도가 50 이하, 아주 알맞게는 5~40의 범위인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오가노폴리실록산.
여기서, (A2) 성분은 (a1) 평균 중합도가 200 이상인 1종류 이상의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오가노폴리실록산과, (a2) 평균 중합도가 50 이하인 1종류 이상의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오가노폴리실록산이며, 전체적으로 분자량 분포를 측정한 경우, 평균 중합도 50 이하의 영역과 평균 중합도 200 이상의 영역의 각각에 분자량 분포의 산(피크)을 갖는 다봉성 분자량 분포를 갖는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오가노폴리실록산의 혼합물이다. 아울러, 혼합물 전체의 평균 중합도는 50~30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전체적인 평균 중합도의 아주 알맞은 범위에 대해서는 상기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A) 성분은 그 사용량은, (A)~(C) 성분의 합(전체를 100질량%로 한다)에 대하여, 20~99질량%의 양이며, 아주 알맞게는 30~80질량%, 보다 아주 알맞게는 40~70질량%이다. 상기 범위의 상한 이하이면, 본 조성물을 경화하여 이루어지는 경화물의 역학 강도가 충분히 높고, 한편 상기 범위의 하한 이상이면, 아주 알맞게 당해 경화물이 저점착성의 탄성 겔층으로서 기능하기 때문이다.
[(B) 성분]
(B) 성분은 본 발명 조성물의 특징적인 가교제이며, 분자쇄 양 말단에 적어도 2개의 규소 결합 수소 원자를 가지고, 플루오로알킬기를 갖지 않는 오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과, 직쇄상 또는 T 단위를 갖는 분지상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오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을 특정한 비율로 함유하는 오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이다. (B) 성분으로서, 플루오로알킬기를 갖지 않는 양 말단 SiH를 갖는 오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을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오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과 일정한 비율로 병용함으로써, 경화물의 높은 비유전율과 양호한 기계적 특성을 양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B) 성분은 후술하는 (B1) 성분 및 (B2)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오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으로서, (B1) 성분 중의 규소 원자 결합 수소 원자수: (B2) 성분 중의 규소 원자 결합 수소 원자수의 비율이 10:90~85:15가 되는 범위인 것이다.
[(B1) 성분]
(B1) 성분은 분자쇄 양 말단에 적어도 2개의 규소 결합 수소 원자를 가지고, 플루오로알킬기를 갖지 않는 오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이다. (B1) 성분은 양 말단 SiH를 갖는 오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이기 때문에, (A) 성분과의 부가 반응에 의해 경화물 중의 폴리실록산 구조간의 쇄장 연장제(Chain Extender)로서 기능하는 성분이다. 이러한 (B1) 성분은 분자쇄 양 말단에 디오가노하이드로젠실록시 단위를 갖는, 실록산 중합도 3~200의 오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하기 평균 단위식:
HR2 2Si(OSiHR2)e3(OSiR2 2)e4OSiR2 2H
으로 표시된다.
식 중, R2로 표시되는 치환기는 동일 또는 독립적으로 탄소수 1~12의 알킬기, 탄소수 6~20의 아릴기, 탄소수 7~20의 아르알킬기, 수산기 혹은 탄소수 1~6의 알콕시기이며, 메틸기, 페닐기 또는 수산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메틸기 또는 페닐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식 중, e3 및 e4의 값은 상기 평균 단위식으로 표시되는 (B1) 성분 중의 각 실록산 단위의 평균 중합도이며, 0 또는 양의 수인 동시에 e3+e4의 값이 0~198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0~10의 범위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B1) 성분은 비스(디메틸하이드로젠실록시)디페닐실란, 분자쇄 양 말단 디메틸하이드로젠실록시기 봉쇄 폴리디페닐실록산 또는 그 하이드로젠실록산 코폴리머, 분자쇄 양 말단 디메틸하이드로젠실록시기 봉쇄 폴리디메틸실록산 또는 그 하이드로젠실록산 코폴리머, 테트라메틸디하이드로젠디실록산 등이 예시된다. 아울러, (B1) 성분 중의 실록산 단위 또는 실록시 단위 수의 합은, 2~12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2~10의 범위가 특히 바람직하다.
[(B2) 성분]
(B2) 성분은 직쇄상 또는 T 단위에 의해 분지된 수지상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오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이며, 하기 평균 단위식 (III) 또는 (IV)에 의해 표시된다. 이러한 오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은 (A) 성분과의 가교 반응에 의해 경화물을 부여하는 동시에 경화물의 비유전율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B2) 성분인 오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은 분자 중에 상기 플루오로알킬기, 특히 트리플루오로프로필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루오로알킬기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1분자 중에, 전체 유기기 중 바람직하게는 5~75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5~70몰%,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10~60몰%의 트리플루오로프로필기를 가질 수 있다.
[(B2) 성분-1: 직쇄상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오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평균 단위식:
R0 3Si(OSiR4R0)f1(OSiR0 2)f2OSiR0 3 (III)
상기 평균 단위식 (III)으로 표시되는 것은 직쇄상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오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이며, 식 중 R4는 (CpF2p +1)-R-(R은 상기와 동일한 기이며, p는 상기와 동일한 수이다)로 표시되는 플루오로알킬기 또는 규소 원자 결합 수소 원자이고 R0은 동일 또는 독립적으로 탄소수 1~12의 알킬기, 탄소수 6~20의 아릴기, 탄소수 7~20의 아르알킬기, 수산기, 탄소수 1~6의 알콕시기 또는 규소 원자 결합 수소 원자인 동시에 모든 R0 중 적어도 2개는 규소 원자 결합 수소 원자이며, f1은 양의 수이고, f2는 0 또는 양의 수이며, 5<f1+f2<150을 만족하는 수이다. 아주 알맞은 플루오로알킬기의 종류 및 함유량은 상기한 바와 같다. 보다 아주 알맞게는, R0은 규소 원자 결합 수소 원자, 메틸기 또는 페닐기이고, f1은 10<f1+f2<100의 범위의 수이며, 모든 R4 중 적어도 5몰% 이상이 상기 플루오로알킬기이고, 나머지 R4가 규소 원자 결합 수소 원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B2) 성분은 구체적으로는 양 말단 트리메틸실릴-폴리디메틸메틸하이드로젠 메틸트리플루오로프로필실록산 공중합체, 양 말단 트리메틸실릴-폴리메틸하이드로젠 메틸트리플루오로프로필실록산 공중합체, 양 말단 디메틸하이드로젠실릴-폴리디메틸 메틸트리플루오로프로필실록산 공중합체, 양 말단 디메틸하이드로젠실릴-폴리메틸하이드로젠 메틸트리플루오로프로필실록산 공중합체, 양 말단 디메틸하이드로젠실릴-폴리디메틸메틸하이드로젠 메틸트리플루오로프로필실록산 공중합체, 양 말단 디메틸하이드로젠실릴-폴리메틸트리플루오로프로필실록산, 양 말단 하이드록시디메틸실릴-폴리메틸하이드로젠 메틸트리플루오로프로필실록산 공중합체, 양 말단 하이드록시디메틸실릴-폴리디메틸메틸하이드로젠 메틸트리플루오로프로필실록산 공중합체, 양 말단 디메틸페닐실릴-폴리메틸하이드로젠 메틸트리플루오로프로필실록산 공중합체, 양 말단 디메틸페닐실릴-폴리디메틸메틸하이드로젠 메틸트리플루오로프로필실록산 공중합체, 양 말단 디메틸하이드로젠실릴-폴리디메틸메틸페닐 메틸트리플루오로프로필실록산 공중합체, 양 말단 디메틸하이드로젠실릴-폴리메틸페닐 메틸트리플루오로프로필실록산 공중합체, 양 말단 하이드록시디메틸실릴-폴리메틸하이드로젠메틸페닐 메틸트리플루오로프로필실록산 공중합체, 양 말단 디메틸트리플루오로프로필실릴-폴리디메틸메틸하이드로젠실록산 공중합체, 양 말단 디메틸트리플루오로프로필실릴-폴리메틸하이드로젠실록산 등이 예시된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할 수도 있고, 또한 적어도 2종의 오가노폴리실록산의 혼합물일 수도 있다.
[(B2) 성분-2: 분지상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오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평균 단위식:
(HR6 2SiO1/2)f3(R6 3SiO1/2)f4(HR6SiO2/2)f5(R6 2SiO2/2)f6(R5SiO3/2)f7(SiO4/2)f8 (IV)
상기 평균 단위식 (IV)로 표시되는 것은 T 단위에 의해 분지된 수지상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오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이며, 식 중, R5는 (CpF2p +1)-R-(R은 상기와 동일한 기이며, p는 상기와 동일한 수이다)로 표시되는 플루오로알킬기이고, R6은 동일 또는 독립적으로 탄소수 1~12의 알킬기, 탄소수 6~20의 아릴기, 탄소수 7~20의 아르알킬기, 수산기, 또는 탄소수 1~6의 알콕시기 또는 상기 플루오로알킬기인 동시에 f3 및 f7은 양의 수이고, f4, f5, f6 및 f8은 0 또는 양의 수인 동시에 f3+f4+f5+f6+f7+f8은 식 (IV)로 표시되는 오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400~10000이 되는 범위의 수이다. 아주 알맞은 플루오로알킬기의 종류 및 함유량은 상기한 바와 같다. R6은 아주 알맞게는 메틸기 또는 페닐기이며, 식 (IV)로 표시되는 오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500~500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아주 알맞게는 500~2000의 범위이다.
특히, 상기 분지상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오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은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디오가노하이드로젠실록시 단위와 플루오로알킬실록시 단위로 구성되는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오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인 것이 바람직하다.
(HR6 2SiO1/2)f3(R5SiO3/2)f7
식 중, R6은 상기와 동일한 기이며, 아주 알맞게는 메틸기 또는 페닐기이다. 또한, R5는 상기와 동일한 기이며, 아주 알맞게는 트리플루오로프로필기이다.
이러한 (B2) 성분은 구체적으로는 (Me3SiO1 /2) 단위, (Me2HSiO1 /2) 단위 및 (TfpSiO3 /2) 단위로 이루어지는 폴리실록산, (Me2HSiO1 /2) 단위 및 (TfpSiO3 /2) 단위로 이루어지는 폴리실록산, (Me3SiO1 /2) 단위, (MeHSiO2 /2) 단위 및 (TfpSiO3 /2) 단위로 이루어지는 폴리실록산, (Me2HSiO1 /2) 단위, (MeHSiO2 /2) 단위 및 (TfpSiO3 /2) 단위로 이루어지는 폴리실록산, (Me2HSiO1 /2) 단위, (TfpSiO3 /2) 단위 및 (MeSiO3 /2) 단위로 이루어지는 폴리실록산, (Me2HSiO1 /2) 단위, (TfpSiO3 /2) 단위 및 (PhSiO3 /2) 단위로 이루어지는 폴리실록산, (Me2HSiO1 /2) 단위, (TfpSiO3 /2) 단위 및 (SiO4 /2) 단위로 이루어지는 폴리실록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할 수도 있고, 또한 적어도 2종의 오가노폴리실록산의 혼합물일 수도 있다. 여기서, Me는 메틸기를, Ph는 페닐기를, Tfp는 트리플루오로프로필기를 나타낸다. (B2) 성분은 가장 아주 알맞게는 (Me2HSiO1 /2) 단위 및 (TfpSiO3 /2) 단위로 이루어지며, 이들 단위를 2:1~1:2의 비율로 포함하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2000의 범위인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오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이다.
[기타 오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본 발명의 (B) 성분은 상기 (B1) 성분 및 (B2)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지만, 본 발명의 효과를 방해하지 않는 한 임의로 기타 오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을 이용할 수도 있다. 기타 오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은 상기 (B1) 성분 및 (B2) 성분에 해당하지 않는 한, 직쇄상, 환상, 수지상 및 일부 분지를 갖는 직쇄상 중 어느 하나일 수도 있고, T 단위(즉 YSiO3 /2, Y는 규소 원자 결합 수소 원자, 1가 유기기, 수산기 또는 알콕시기) 또는 Q 단위(즉 SiO4 / 2)를 갖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그 점도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A) 성분과의 혼합 용이성 및 취급의 용이함에서, 25℃에서의 점도는 JIS K7117-1에 준거하여 B형 점도계를 이용해 측정한 경우에 상온에서 액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규소 원자수 2~300의 오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이 특히 아주 알맞다.
기타 오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은 양 말단 트리메틸실릴-폴리메틸하이드로젠실록산, 양 말단 하이드록시디메틸실릴-폴리메틸하이드로젠메틸페닐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메틸하이드로젠사이클로폴리실록산, 메틸하이드로젠사이클로폴리실록산, 메틸하이드로젠메틸트리플루오로프로필사이클로폴리실록산, 디메틸메틸하이드로젠메틸트리플루로오프로필사이클로폴리실록산, 메틸페닐메틸하이드로젠메틸트리플루오로프로필사이클로폴리실록산, 1, 1, 3, 5, 5-펜타메틸-3-트리플루오로프로필트리실록산, 트리스(디메틸실록시실릴)트리플루오로프로필실란, (Me3SiO1/2) 단위, (Me2HSiO1/2) 단위 및 (SiO4 /2) 단위로 이루어지는 폴리실록산, (Me2HSiO1 /2) 단위 및 (SiO4/2) 단위로 이루어지는 폴리실록산, (Me2HSiO1 /2) 단위 및 (PhSiO3 /2) 단위로 이루어지는 폴리실록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할 수도 있고, 또한 적어도 2종의 오가노폴리실록산의 혼합물일 수도 있다. 여기서, Me는 메틸기를, Ph는 페닐기를 나타낸다.
[(B) 성분의 사용량]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의 (B) 성분의 사용량은, 조성물 중의 알케닐기의 합계량 1몰에 대하여, (B) 성분 전체, 즉 (B1) 성분 및 (B2) 성분 중의 규소 원자 결합 수소 원자의 총합이 0.1~2.5몰이 되는 양이다. 여기서, 조성물 중의 알케닐기는 주로 (A) 성분 등에서 유래한다. (B) 성분의 사용량이 상기 하한 미만이면, 본 조성물의 경화가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다. 한편, (B) 성분의 사용량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본 발명의 조성물을 경화시킨 경우에 탄성 겔 또는 탄성 엘라스토머를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으며, 특히 기계적 강도가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다. 보다 아주 알맞은 (B) 성분의 사용량은, 조성물 중의 알케닐기의 합계량 1몰에 대하여, 본 성분 중의 규소 원자 결합 수소 원자가 0.2~2.00몰, 0.2~1.80몰, 0.25~1.75몰, 더욱더 아주 알맞게는 0.35~1.50몰이 되는 양이다.
[(C) 성분]
(C) 성분인 하이드로실릴화 반응용 촉매는 하이드로실릴화 반응을 촉진할 수 있는 한 특정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하이드로실릴화 반응 촉매로서 지금까지 많은 금속 및 화합물이 알려져 있으며, 이들 중에서 적절히 선택하여 본 발명에 이용할 수 있다. 하이드로실릴화 반응 촉매의 예로서, 구체적으로는 실리카 미분말 또는 탄소 분말 담체 위에 흡착시킨 미립자상 백금, 염화백금산, 알코올 변성 염화백금산, 염화백금산의 올레핀 착체, 염화백금산과 비닐실록산의 배위 화합물, 백금-알케닐실록산 착체, 백금-올레핀 착체, 백금-카보닐 착체가 예시되며, 백금 흑, 팔라듐 및 로듐 촉매를 들 수 있다. 특히, 백금-알케닐실록산 착체의 안정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1, 3-디비닐-1, 1, 3, 3-테트라메틸디실록산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하이드로실릴화 반응을 촉진하는 촉매로서는 철, 루테늄, 철/코발트 등의 비백금계 금속 촉매를 이용할 수도 있다.
하이드로실릴화 반응용 촉매의 사용량은 유효량이며, 본 발명의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의 경화를 촉진하는 양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A)~(C) 성분의 합(전체를 100질량%로 한다)에 대하여, 이 촉매 중의 금속 원자가 질량 단위로 0.01~1,000 ppm, 아주 알맞게는 (C) 성분 중의 백금 금속 원자가 0.1~500 ppm의 범위 내가 되는 양이다. 이는, (C) 성분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의 하한 미만이면, 경화가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으며, 상기 범위의 상한을 초과하면, 일반적으로 경제적이지 않다.
[(D) 하이드로실릴화 반응 억제제]
하이드로실릴화 반응 억제제는 (A) 성분 및 (B) 성분 사이에서 발생하는 가교 반응을 억제하여 상온에서의 가사 시간(pot life)을 연장하고, 보존 안정성을 향상하기 위해 배합하는 임의 성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화성 조성물에 있어서, 실용상 필연적으로 배합되는 것이 바람직한 성분이다.
하이드로실릴화 반응 억제제로서 아세틸렌계 화합물, 엔인 화합물, 유기 질소 화합물, 유기 인 화합물, 옥심 화합물이 예시된다. 구체적으로는 3-메틸-1-부틴-3-올, 3, 5-디메틸-1-헥신-3-올, 3-메틸-1-펜틴-3-올, 1-에틴일-1-사이클로헥산올, 페닐부틴올 등의 알킨 알코올; 3-메틸-3-펜텐-1-인, 3, 5-디메틸-1-헥신-3-인 등의 엔인 화합물; 1, 3, 5, 7-테트라메틸-1, 3, 5, 7-테트라비닐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1, 3, 5, 7-테트라메틸-1, 3, 5, 7-테트라헥세닐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등의 메틸알케닐사이클로실록산; 벤조트리아졸이 예시된다.
하이드로실릴화 반응 억제제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의 상온에서의 가사 시간을 연장하여 보존 안정성을 향상하는 데 유효한 양이다. 통상, 성분(A) 100질량%당 0.001~5질량%의 범위 내이며, 바람직하게는 0.01~2질량%의 범위 내이지만, 본 성분의 종류, 백금계 촉매의 성능과 함유량, (A) 성분 중의 알케닐기 양, (B) 성분 중의 규소 원자 결합 수소 원자량 등에 따라 적절히 선정할 수 있다.
[(E) 충전재]
본 발명에 관한 조성물에 있어서, 충전재는 소망에 따라 이용할 수도 이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충전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무기 충전제 및 유기 충전제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를 이용할 수 있다. 이용하는 충전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고유전성 충전제, 도전성 충전제, 절연성 충전제 및 보강성 충전제를 들 수 있으며, 이들의 1종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그 투명성, 도공성(塗工性) 및 취급 작업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점도의 조정 또는 기능성의 부여를 목적으로 고유전성 충전제, 도전성 충전제, 절연성 충전제 및 보강성 충전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충전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특히 기계적 강도의 향상의 견지에서, 적어도 1종류 이상의 보강성 충전제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충전제의 일부 또는 전부는 1종류 이상의 표면 처리제에 의해 표면 처리되어 있을 수도 있다.
충전제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일 수 있으며, 그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입자상, 판상, 침상, 섬유상 등의 임의 형상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필러의 형상이 입자인 경우, 필러의 입자 지름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레이저 광 회절법이나 동적 광 산란법으로 측정한 경우, 그 체적 평균 입자 지름은, 예를 들어 0.001~500 ㎛의 범위로 할 수 있다. 또한, 필러의 사용 목적에 따라, 필러의 체적 평균 입자 지름은 300 ㎛ 이하, 200 ㎛ 이하, 100 ㎛ 이하, 10 ㎛ 이하, 혹은 0.01 ㎛ 이상, 0.1 ㎛ 이상, 1 ㎛ 이상으로 할 수 있다. 필러의 형상이 판상, 침상, 섬유상 등의 이방성인 경우, 필러의 종횡비는 1.5 이상, 5 이상 또는 10 이상일 수 있다. 체적 평균 입자 지름이 0.01 ㎛ 이하인 동시에 최대 입자의 입자 지름이 0.02 ㎛ 이하인 미립자를 이용하면, 실질적으로 투명성이 높은 경화물, 특히 유전층 필름을 제조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보강성 충전재]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한 충전재는, 경화물의 기계적 강도의 견지에서 평균 일차 입자 지름이 50 nm 미만인 1종 이상의 보강성 무기 미립자이며, 퓸드 실리카, 습식 실리카, 분쇄 실리카, 탄산칼슘, 규조토, 미분쇄 석영, 알루미나·산화아연 이외의 각종 금속 산화물 분말, 유리 섬유, 탄소 섬유 등이 예시된다. 또한, 이들을 후술하는 각종 표면 처리제로 처리한 것일 수도 있다. 그 중에서도 실리카가 권장된다.
바람직한 예로서는 기계적 강도의 향상의 관점에서, 평균 일차 입자 지름이 10 nm 이하이며, 부분적으로 응집하여, 그 비표면적이 50 m2/g 이상 300 m2/g 이하인 친수성 또는 소수성 퓸드 실리카를 들 수 있다. 또한, 분산성의 향상의 점에서, 퓸드 실리카를 실라잔 또는 후술하는 실란 커플링제로 처리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보강성 무기 입자는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보강성 무기 미립자를 조성물 중에 배합함으로써, 본 발명의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을 경화하여 이루어지는 오가노폴리실록산 경화물(이하, 단순히 「경화물」)의 역학 강도, 절연 파괴 강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들 보강성 무기 미립자의 배합량은,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에 대하여 0.1~30질량%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0.1~10질량%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배합량이 상기 바람직한 범위를 벗어나면 무기 입자를 배합한 것에 의한 효과가 얻어지지 않거나, 혹은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의 성형 가공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관한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 중에서 사용되는 무기 미립자(입자 지름, 기능 등을 막론하고)의 일부 또는 전부는 1종류 이상의 표면 처리제에 의해 표면 처리될 수 있다. 표면 처리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친수화 처리 또는 소수화 처리를 들 수 있지만, 소수화 처리가 바람직하다. 소수화 처리된 무기 미립자를 이용하면,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 중에 고충전율로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조성물의 점도의 증대가 억제되어, 성형 가공성이 향상된다.
상기 표면 처리는 표면 처리제로 무기 미립자를 처리(또는 피복 처리)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소수화용 표면 처리제로서는 유기 티탄 화합물, 유기 규소 화합물, 유기 지르코늄 화합물,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 및 유기 인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표면 처리제를 들 수 있다. 표면 처리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할 수도 있다. 이들 표면 처리제 중 유기 규소 화합물, 그 중에서도 실라잔, 실란류, 실록산류, 폴리실록산류가 바람직하고, 실라잔, 알킬트리알콕시실란류, 편 말단 트리알콕시실릴폴리디메틸실록산류가 가장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무기 미립자 총량에 대한 표면 처리제의 비율은, 0.1질량% 이상 10질량% 이하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0.3질량% 이상 5질량% 이하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아울러, 처리량에 대해서는 무기 입자와 표면 처리제의 투입비이며, 처리 후에 잉여의 처리제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타 기능성 충전재]
기타 기능성 충전재로서, 유전성 무기 미립자, 도전성 무기 미립자, 절연성 무기 미립자 및 열전도성 무기 미립자가 예시된다. 이들 미립자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이용할 수 있다. 아울러, 이들 무기 미립자는 보강성 충전재로서의 기능 등, 2종류 이상의 기능을 함께 갖는 경우가 있다.
바람직한 유전성 무기 미립자의 예로서, 산화티탄, 티탄산바륨, 티탄산스트론튬, 티탄산지르콘산납 및 티탄산바륨의 바륨 및 티탄 부위의 일부를 칼슘, 스트론튬, 이트륨, 네오디뮴, 사마륨, 디스프로슘 등의 알칼리 토류 금속, 지르코늄 또는 희토류 금속으로 치환한 복합 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무기 미립자를 들 수 있으며, 산화티탄, 티탄산바륨, 티탄산 지르콘산 바륨칼슘 및 티탄산스트론튬이 보다 바람직하고, 산화티탄, 티탄산바륨이 더욱더 바람직하다.
특히, 유전성 무기 미립자는, 그 적어도 일부가 실온, 1 kHz에서의 비유전율이 10 이상인 유전성 무기 미립자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아울러, 당해 무기 미립자의 바람직한 크기(평균 일차 입자 지름)의 상한은 20,000 nm(20 ㎛)이지만, 후술하는 트랜스듀서용 박막으로의 가공성을 고려하면 10,000 nm(10 ㎛)가 보다 바람직하다. 당해 유전성 무기 미립자의 사용에 의해, 오가노폴리실록산 경화물에 대하여 기계 특성 및/또는 전기적 특성, 특히 그 비유전율을 더욱더 개선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도전성 무기 미립자로서는 오가노폴리실록산 경화물에 도전성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구체적으로는 도전성 카본 블랙, 그래파이트, 기상 성장 카본(VGCF) 등의 도전성 카본; 백금, 금, 은, 구리, 니켈, 주석, 아연, 철, 알루미늄 등의 금속 분말을 들 수 있으며, 또한 안티몬이 도핑된 산화주석, 인이 도핑된 산화주석, 산화주석/안티몬으로 표면 피복된 침상 산화티탄, 산화주석, 산화인듐, 산화안티몬, 안티몬산아연, 카본이나 그래파이트의 위스커 표면에 산화주석 등을 피복한 안료; 주석 도핑 산화인듐(ITO), 불소 도핑 산화주석(FTO), 인 도핑 산화주석 및 산화니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도전성 금속 산화물을 피복한 안료; 이산화티탄 입자 표면에 산화주석 및 인을 포함하는 도전성을 갖는 안료 등을 들 수 있으며, 또한 이들은 후술하는 각종 표면 처리제로 처리한 것일 수도 있다.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전성 무기 미립자는 유리 섬유, 실리카 알루미나 섬유, 알루미나 섬유, 탄소 섬유 등의 섬유, 및 붕산알루미늄 위스커, 티탄산칼륨 위스커 등의 침상 보강 재료, 글라스 비즈, 탈크, 마이카, 그래파이트, 월라스토나이트, 돌로마이트 등의 무기 충전재의 표면에 금속 등의 도전성 물질을 피복한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절연성 무기 미립자로서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절연형 무기 재료, 즉 체적 저항률이 1010~1018 Ω·cm인 무기 재료 입자이면 제한이 없으며, 입자상, 플레이크상, 파이버(위스커를 포함한다)상 중 어느 형상이든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세라믹의 구상 입자, 판상 입자 또는 파이버를 들 수 있으며, 알루미나, 산화철, 산화구리, 마이카나 탈크 등의 금속 실리케이트, 석영, 비정질 실리카, 유리 등의 입자를 바람직한 사용예로서 들 수 있다. 또한, 이들을 후술하는 각종 표면 처리제로 처리한 것일 수도 있다.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절연성 무기 미립자를 조성물 중에 배합함으로써, 오가노폴리실록산 경화물의 역학 강도, 절연 파괴 강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비유전율의 증가도 보이는 경우가 있다.
이들 절연성 무기 입자의 배합량은, 그 용도에 따라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에 대하여, 0.1~20질량%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0.1~5질량%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배합량이 상기 바람직한 범위를 벗어나면, 배합에 의한 효과가 얻어지지 않거나, 혹은 오가노폴리실록산 경화물의 역학 강도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열전도성 무기 미립자로서는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니켈, 산화바나듐, 산화구리, 산화철, 산화은 등의 금속 산화물 입자, 및 질화알루미늄, 질화붕소, 탄화규소, 질화규소, 탄화붕소, 탄화티탄, 다이아몬드, 다이아몬드 라이크 카본 등의 무기 화합물 입자를 들 수 있으며, 산화아연, 질화붕소, 탄화규소 및 질화규소가 바람직하다. 이들 열전도성 무기 미립자의 1종 이상을 조성물 중에 배합함으로써, 오가노폴리실록산 경화물의 열전도율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들 무기 입자의 평균 입자 지름의 측정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측정 방법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균 입자 지름이 50 nm 이상 500 nm 정도 이하인 경우에는, 투과형 전자 현미경(TEM), 전계 방사형 투과 전자 현미경(FE-TEM),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 전계 방사형 주사 전자 현미경(FE-SEM) 등의 현미경 관찰에 의해 입자 지름을 측정하고, 평균값을 구함으로써 평균 일차 입자 지름의 측정을 할 수 있다. 한편, 평균 입자 지름이 500 nm 정도 이상인 경우에는, 레이저 회절·산란식 입도 분포 측정 장치 등에 의해 평균 일차 입자 지름의 값을 직접 구할 수 있다.
[기타 임의 성분]
본 발명에 관한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은 또한 이형성 또는 절연 파괴 특성의 개선을 위한 첨가제, 접착성 향상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을 박막상으로 경화하여 얻어지는 필름상 또는 시트상 경화물은 트랜스듀서를 구성하는 전기 활성 필름(유전층 또는 전극층)에 아주 알맞게 이용할 수 있는 것이지만, 박막 형성 시에 경화층의 이형성이 나쁘면, 특히 고속으로 유전성 필름을 제조한 경우에, 형 이탈(die releasing)에 기인하여 유전성 필름이 파손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 터치 패널 등에 이용하는 유전층으로서는, 저압하에서의 감도 향상을 위해, 접착성의 저감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은 필름에 데미지를 주지 않고 필름의 제조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기타 이형제의 첨가에 의해 더욱더 점착성을 저감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에 적용 가능한 이형성 향상 첨가제(=이형제)로서는, 예를 들어 카복실산계 이형제, 에스테르계 이형제, 에테르계 이형제, 케톤계 이형제, 알코올계 이형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이형제로서는 규소 원자를 포함하지 않는 것, 규소 원자를 포함하는 것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의 구체예는 특허문헌 1(국제 공개특허공보 제2014-105959호)과 동일하다.
절연 파괴 특성 향상제는 전기 절연성 향상제인 것이 바람직하며, 알루미늄 또는 마그네슘의 수산화물 또는 염, 점토 광물 및 이들의 혼합물, 구체적으로는 규산알루미늄, 황산알루미늄,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소성 클레이, 몬모릴로나이트, 하이드로탈사이트, 탈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당해 절연성 향상제는 공지의 표면 처리 방법으로 처리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들의 구체예는 특허문헌 1(국제 공개특허공보 제2014-105959호)과 동일하다.
접착성 향상제는 본 발명의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이 경화 도중에 접촉하고 있는 기재에 대한 접착성 향상을 위한 것이다. 당해 조성물의 경화물인 유전층을 재박리하지 않는 경우에 유효한 첨가제이다. 접착성 향상제로서, 비닐트리에톡시실란, 알릴트리메톡시실란, 알릴트리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유기 관능성 알콕시실란 화합물, 그 실록산 유도체, 특히 불소 함유 유기기로 치환된 쇄상 또는 삼차원 수지상 실록산 유도체가 예시된다.
기타 임의 성분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효과를 해치지 않는 한, 페놀계, 퀴논계, 아민계, 인계, 포스파이트계, 황계, 티오에테르계 등의 산화방지제; 트리아졸계, 벤조페논계 등의 광 안정제; 인산 에스테르계, 할로겐계, 인계, 안티몬계 등의 난연제; 양이온계 계면활성제,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등으로 이루어지는 1종류 이상의 대전 방지제; 염료, 안료 등이 예시된다.
[임의의 용매]
본 발명의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은 그대로 경화 반응에 제공할 수 있지만, 한편 당해 조성물이 고형상인 경우나 점조액상(粘稠液狀)인 경우에는, 그 혼화성 및 취급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에 따라, 유기 용매를 사용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을 필름상으로 도공하는 경우, 전체 점도가 100~10,000 mPa·s가 되는 범위로 용매를 이용하여 점도 조정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용매로 희석하는 경우, 상기 고형분의 합(100질량부)에 대하여 0~2000질량부의 범위로 이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 조성물에 있어서, 용매는 0질량부일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은 저중합도의 폴리머를 선택하고 있기 때문에 용매 프리로 하는 설계가 가능하여, 경화하여 얻어지는 필름 중에 불소계 용매, 유기 용매 등이 잔류하지 않고, 환경 부하의 문제 및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용매의 영향을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사용하는 유기 용매로서는, 조성물 중의 전체 구성 성분 또는 일부 구성 성분을 용해시킬 수 있는 화합물이면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비등점이 80℃ 이상 20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예를 들어, i-프로필 알코올, t-부틸 알코올, 사이클로헥산올, 사이클로헥사논, 메틸 에틸 케톤, 메틸 이소부틸 케톤, 톨루엔, 크실렌, 메시틸렌, 1, 4-디옥산, 디부틸 에테르, 아니솔, 4-메틸 아니솔, 에틸벤젠, 에톡시벤젠, 에틸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 에테르, 2-메톡시에탄올(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1-메톡시-2-프로필 아세테이트, 1-에톡시-2-프로필 아세테이트,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및 헥사메틸디실록산 등의 비할로겐계 용매, 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 1, 2-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 1, 3-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 1, 4-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 트리플루오로메틸클로로벤젠, 트리플루오로메틸플루오로벤젠, 하이드로플루오로에테르 등의 할로겐계 용매를 들 수 있다. 이들 유기 용매는 단독으로 이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경화성 조성물 중의 플루오로알킬기 함유량이 높을수록, 상기 할로겐계 용매의 사용 비율을 높일 필요가 있다.
[조성물의 전체 점도]
본 조성물의 25℃에서의 점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조성물을 박막상으로 도공할 수 있는 정도의 점도 범위로 조정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0~500,000 mPa·s의 범위 내,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300~50,000 mPa·s,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0~10,000 mPa·s의 범위 내이다. 바람직한 점도 범위로 설정할 목적으로 상기 유기 용매의 사용량을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은 상기 (A)~(C) 성분을 균일하게 혼합함으로써, 또한 필요에 따라 기타 임의 성분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각종 교반기 혹은 혼련기를 이용하여 상온에서 혼합할 수 있지만, 혼합 중에 경화하지 않는 성분의 조합이면 가열하에서 혼합할 수도 있다. 또한, 혼합에 있어서는 압출기 또는 혼련기(보다 구체적으로는, 2축 압출기, 2축 혼련기 및 단축 블레이드형 압출기로부터 선택되는 1종류 이상의 기계적 수단)를 이용하여 혼련함으로써 제조할 수도 있으며, 특히 본 발명에서는, 반응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성분과 충전재 및 표면 처리제를 자유 체적(free volume)이 5,000(L/시간) 이상인 이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혼련함으로써, 무기 미립자를 고농도(예를 들어, 80질량% 이상)로 함유하는 실리콘 고무 컴파운드(마스터 배치)를 형성시킨 후, 다른 반응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성분, 경화 촉매 및 기타 성분을 가하고 혼련하여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을 제조할 수도 있다.
혼합 중에 경화되지 않는다면, 각 성분의 배합 순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혼합 후 즉시 사용하지 않을 때는, (B) 성분과 (C) 성분이 동일한 용기 내에 존재하지 않도록 복수의 용기에 나누어 보관해 두고, 사용 직전에 전체 용기 내의 성분을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의 경화 반응은 통상 당해 조성물을 가열 혹은 활성 에너지선에 노출시킴으로써 달성된다. 열에 의한 경화 반응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50℃ 이상 200℃ 이하가 바람직하고, 60℃ 이상 20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80℃ 이상 180℃ 이하가 더욱더 바람직하다. 또한, 경화 반응에 걸리는 시간은 상기 (A), (B), (C) 성분의 구조에 의존하지만, 통상 1초 이상 3시간 이하이다. 일반적으로는 90~180℃의 범위 내에서 10초~30분 유지함으로써 경화물을 얻을 수 있다.
경화 반응에 사용될 수 있는 활성 에너지선으로서는 자외선, 전자선 및 방사선 등을 들 수 있지만, 실용성의 점에서 자외선이 바람직하다. 자외선에 의해 경화 반응을 수행하는 경우는, 사용하는 자외선에 대하여 높은 활성을 갖는 하이드로실릴화 반응용 촉매, 예를 들어 비스(2, 4-펜탄디오나토) 백금 착체, (메틸사이클로펜타디에닐)트리메틸 백금 착체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발생원으로서는 고압 수은 램프, 중압 수은 램프, Xe-Hg 램프 및 딥 UV 램프 등이 아주 알맞으며, 그때의 조사량은 100~8,000 mJ/cm2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경화물은 상기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을 경화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경화물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시트상, 필름상, 테이프상을 들 수 있다. 특히, 상기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은, 경화 속도가 크고, 필름 등의 성형품을 제조하기 위한 가공성이 양호하여 소망하는 두께, 형상의 경화물을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
[부재]
상기 경화물은 전기적 특성 및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겔 또는 엘라스토머이며, 높은 비유전율 및 기계적 강도(구체적으로는 인장 강도, 인열 강도, 연신율 등)를 갖는다. 이 때문에, 당해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을 박막상으로 경화하여 얻어지는 전기 활성 실리콘 엘라스토머 시트 또는 전기 활성 실리콘 겔 시트는 전자 재료, 표시 장치용 부재 또는 트랜스듀서용 부재(센서, 스피커, 액츄에이터 및 제너레이터용을 포함한다)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트랜스듀서를 구성하는 전기 활성 필름(유전층 또는 전극층)으로서 아주 알맞게 이용할 수 있다.
[기계적 강도]
본 발명에 관한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화하여 얻어지는 오가노폴리실록산 경화물은 2.0 mm 두께의 시트상으로 가열 성형한 경우, JIS K 6249에 기초하여 측정되는 이하의 역학 물성을 갖도록 설계 가능하다.
(1) 영률(MPa)은 실온하에서 10 MPa 이하로 할 수 있으며, 특히 아주 알맞은 범위는 0.1~2.5 MPa이다.
(2) 인열 강도(N/mm)는 실온하에서 1 N/mm 이상으로 할 수 있으며, 특히 아주 알맞은 범위는 2 N/mm 이상이다.
(3) 인장 강도(MPa)는 실온하에서 1 MPa 이상으로 할 수 있으며, 특히 아주 알맞은 범위는 2 MPa 이상이다.
(4) 파단 신도(%)는 200% 이상으로 할 수 있으며, 트랜스듀서의 변위량의 견지에서 특히 아주 알맞은 범위는 200~1000%의 범위이다.
[유전 특성]
본 발명에 관한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을 경화하여 얻어지는 오가노폴리실록산 경화물(엘라스토머 또는 겔)은 이하의 유전 특성을 갖도록 설계 가능하다.
(1) 0.10 mm 두께의 시트상으로 가열 성형한 경우, 그 절연 파괴 강도(V/㎛)를 20 V/㎛ 이상으로 할 수 있다. 아주 알맞은 절연 파괴 강도는 트랜스듀서의 용도에 따라 달라지지만, 특히 아주 알맞은 범위는 30 V/㎛ 이상이다.
(2) 1 mm 두께의 시트상으로 가열 성형한 경우, 측정 온도 25℃, 측정 주파수 100 KHz의 조건하에서 측정된 비유전율을 3.0 이상으로 할 수 있다. 아주 알맞은 비유전율은 트랜스듀서의 종류 및 요구되는 유전층의 형태에 따라 달라지지만, 특히 아주 알맞은 범위는 상기 측정 조건하에서 5.0 이상이다.
본 발명에 관한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을 경화 또는 반경화시켜 이루어지는 오가노폴리실록산 경화물은 그 유전 특성 및 역학 물성으로부터, 특히 인공 근육, 액츄에이터, 센서 및 발전 소자로부터 선택되는 트랜스듀서용 부재로서 아주 알맞게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을 시트상 또는 필름상으로 성형한 후, 가열 또는 고에너지선의 조사 등에 의해 경화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을 필름상으로 성형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을 종래 공지의 도포 방법으로 기재 위에 도포하여 도막으로 하는 방법, 소정 형상의 슬롯을 마련한 압출기를 통과시켜 성형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필름상의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의 두께는, 예를 들어 0.1 ㎛~5,000 ㎛의 범위 내로 할 수 있다. 상기 도포 방법 및 휘발 용제의 유무에 따라서는 얻어지는 경화물의 두께가 조성물의 도포하는 두께보다 얇아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오가노폴리실록산 경화물의 필름 또는 시트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오가노폴리실록산 경화물은 필름의 폭 방향에 대하여 말단의 두께와 중앙의 두께 차가 5.0% 이내이며, 필름 중앙의 두께가 50~1000 ㎛의 범위에 있는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오가노폴리실록산 경화물의 고유전성 필름일 수 있다. 이러한 오가노폴리실록산 경화물의 필름 또는 시트 및 그 제조 기술은 본 출원인이 국제 특허출원(PCT/JP2017/15028)에서 제안한 바와 같으며, 본 발명에 관한 오가노폴리실록산 경화물에 대해서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평탄한 오가노폴리실록산 경화물의 필름 또는 시트를 후술하는 방법으로 복수 적층함으로써, 실질적으로 평탄하면서 임의의 두께를 갖는 트랜스듀서용 부재가 설계 가능하다.
아울러, 상술한 방법에 의해 필름상의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을 제조한 후, 임의로 이 필름상의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에, 목적으로 하는 유전성 무기 미립자의 배향 방향으로 자기장 또는 전기장을 인가시키면서, 혹은 일정 시간 자기장 또는 전기장을 인가하여 필러를 배향시킨 후,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을 가열 경화, 상온 경화 또는 고에너지선 조사에 의해 경화시킬 수도 있다. 각 경화 또는 경화의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이 부가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인 경우, 90℃~180℃의 범위 내에서 30초~30분 유지함으로써 수행된다.
본 발명의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을 경화하여 이루어지는 경화층이 유전층, 특히 액츄에이터 등의 트랜스듀서용 유전성 필름 부재인 경우, 당해 경화층은 박리 코팅능을 갖는 박리층을 구비한 필름 기재 위에, 박리 가능한 상태로 배치한 적층체 필름으로서 취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랜스듀서용 부재인 오가노폴리실록산 경화물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1~2,000 ㎛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관한 오가노폴리실록산 경화물은 1층 또는 2층 이상을 적층한 것이며, 또한 유전층의 양단에 전극층을 마련하는 동시에 전극층 및 유전층으로 이루어지는 트랜스듀서 자체를 고적층(高積層)하는 구조일 수도 있다. 이 경우, 한 층당 오가노폴리실록산 경화물의 두께는 0.1 ㎛~1,000 ㎛이며, 이를 2층 이상 적층함으로써 0.2~2,000 ㎛의 두께로 할 수도 있다.
상기 적층된 오가노폴리실록산 경화층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1) 기재 위에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을 도포하고, 경화시켜 오가노폴리실록산 경화물층을 얻은 후, 동(同) 경화층 위에 다시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을 도포하고, 순차 경화와 도포를 반복하여 적층하는 방법, (2) 기재 위에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을 미경화 또는 반경화 상태에서 중층적(重層的)으로 도포하고, 중층적으로 도공된 상이한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 전체를 경화시키는 방법, (3) 박리층을 갖는 기재 위에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을 도포하고, 경화시켜 오가노폴리실록산 경화물층을 얻은 후, 당해 경화층을 박리층으로부터 분리하고, 별도 동일하게 준비한 오가노폴리실록산 경화물 층에 물리적으로 적층하는 방법, 또는 (4) 이들의 조합 중 어느 것이든 실시할 수 있다.
본원 발명에서는, 예를 들어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을 다이 코팅에 의해 기판에 도포하고 경화시켜, 상기 적층된 2종류 이상의 실리콘 엘라스토머 경화층을 형성시키고, 다시 얻어진 실리콘 엘라스토머 경화층을 전극과 접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 적층된 2종류 이상의 실리콘 엘라스토머 경화층은 유전층이며, 전극은 도전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이 코팅은 고속 도포가 가능하여, 생산성이 높은 도포 방식이다. 본 발명의 다층 구조를 갖는 트랜스듀서는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을 포함하는 1개의 층을 단층 도포한 후, 별도의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을 포함하는 층을 도포함으로써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각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을 포함하는 층을 동시에 중층 도포함으로써 제조할 수도 있다.
트랜스듀서용 부재인 오가노폴리실록산 경화물은 상기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을 기판 위에 도공하고, 실온하, 가열하 또는 자외선 등의 고에너지선 조사하에서 경화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한, 박막상 유전성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중층하는 경우, 경화층 위에 미경화의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을 도공하고 순차 경화시킬 수도 있고, 미경화의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을 중층하고, 동시에 경화시킬 수도 있다.
상기 박막상 오가노폴리실록산 경화물은 특히 트랜스듀서의 유전층으로서 유용하며, 그 양단에 전극층을 마련함으로써 트랜스듀서를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관한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에 도전성 무기 입자를 배합함으로써, 전극층으로서의 기능을 부여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명세서에 있어서, 「전극층」은 단순히 「전극」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상기 트랜스듀서용 부재의 하나의 형태는 박막이며, 시트 또는 필름상이다. 막 두께는 일반적으로 1 ㎛~2,000 ㎛이며, 단층, 2층 이상 또는 더욱더 많은 층이 적층된 구조를 포함한다. 또한, 소망에 따라 적층된 전기 활성 오가노폴리실록산 경화물층은 유전층으로서 이용하는 경우, 5 ㎛~10,000 ㎛ 또는 중층에 의해 그 이상의 막 두께로 할 수 있다.
당해 트랜스듀서용 부재인 박막상 오가노폴리실록산 경화물층은 동일한 박막상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중층할 수도 있고, 상이한 2종류 이상의 물리 특성 또는 경화 전 조성이 상이한 박막상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중층할 수도 있다. 또한, 박막상 오가노폴리실록산 경화물 층의 기능은 유전층일 수도 있고, 전극층일 수도 있다. 특히 유전층의 두께가 1~1,000 ㎛인 동시에 전극층의 두께가 0.05 ㎛~100 ㎛인 트랜스듀서용 부재가 바람직하게 예시된다.
본 발명의 트랜스듀서는 본 발명에 관한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을 경화시켜 이루어지는 당해 트랜스듀서용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특히 고적층 구조, 즉 2층 이상의 유전층을 포함한 구조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다. 또한 3층 이상의 유전층을 포함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고적층 구조를 갖는 트랜스듀서는 복수의 층을 포함함으로써, 보다 큰 힘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적층함으로써, 단일 층과 비교하여 보다 큰 변위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트랜스듀서의 유전층의 양단에는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전극의 재질로서는, 금, 백금, 은, 팔라듐, 구리, 니켈, 알루미늄, 티탄, 아연, 지르코늄, 철, 코발트, 주석, 납, 인듐, 크롬, 몰리브덴 및 망간 등의 금속 및 이들의 합금; 인듐-주석 복합 산화물(ITO), 안티몬-주석 복합 산화물(ATO), 산화루테늄, 산화티탄, 산화아연 및 산화주석 등의 금속 산화물; 카본 나노튜브, 카본 나노혼(carbon nanohorn), 카본 나노시트, 탄소 섬유 및 카본 블랙 등의 카본 재료; 및 폴리(에틸렌-3, 4-디옥시티오펜)(PEDOT), 폴리아닐린 및 폴리피롤 등의 도전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도전성 필러를 수지 중에 분산한 도전성 수지 및 엘라스토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전극은 상기 도전성 물질 중 1종을 단독으로 포함하고 있을 수도, 2종 이상을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전극이 2종 이상의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그 중 적어도 1종을 활물질로서 기능시키고, 나머지 전극의 저항을 저감시키기 위한 도전재로서 기능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트랜스듀서의 유전층의 두께의 합계는 10 ㎛~2,000 ㎛(2 mm)의 범위로 할 수 있지만, 특히 200 ㎛ 이상으로 할 수 있다. 특히, 유전층을 형성하는 유전성 실리콘 엘라스토머 한 층당 두께가 0.1~5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0.1~200 ㎛의 두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 얇은 실리콘 엘라스토머 층을 2층 이상 적층함으로써, 1층인 경우에 비하여 절연 파괴 전압, 유전율 및 변위량 등의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트랜스듀서란, 어떤 종류의 에너지를 다른 에너지로 변환하는 소자, 기기 및 장치를 말하며, 예를 들어 전기 에너지를 기계 에너지로 변환하는 인공 근육 및 액츄에이터, 기계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센서 및 발전 소자, 전기 에너지를 음향 에너지로 변환하는 스피커, 마이크로폰 및 헤드폰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트랜스듀서는 그 유전성 및 기계 특성으로부터, 특히 인공 근육, 액츄에이터, 센서 및 발전 소자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인공 근육은 로봇, 간호 기기 및 재활 치료 기기 등으로의 응용이 기대되고 있다. 예로서, 액츄에이터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1에 유전층을 적층한 경우의 본 실시 형태의 액츄에이터(1)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로서 유전층은 2층으로 하고 있다. 액츄에이터(1)는 유전층(10a 및 10b), 전극층(11a 및 1lb), 배선(12), 전원(13)을 구비하고 있다. 전극층(11a 및 1lb)은 각각 접촉하고 있는 유전층의 한 면을 덮고 있으며, 각각 배선(12)을 통하여 전원(13)과 접속되어 있다.
액츄에이터(1)는 전극층(11a)과 전극층(1lb) 사이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구동시킬 수 있다.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유전층(10a 및 10b)은 그 유전성에 의해 두께가 얇아지며, 전극층(11a 및 1lb)의 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신장하게 된다. 즉, 전기 에너지를 힘, 변동 또는 변위의 기계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다.
도 2에 유전층 및 전극층을 적층한 경우의 본 실시 형태의 액츄에이터(2)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로서 유전층은 3층, 전극층은 4층으로 하고 있다. 액츄에이터(2)는 유전층(20a, 20b 및 20c), 전극층(21a, 2lb, 21c 및 21d), 배선(22), 전원(23)을 구비하고 있다. 전극층(21a, 2lb, 21c 및 21d)은 각각 접촉하고 있는 유전층의 한 면을 덮고 있으며, 각각 배선(22)을 통하여 전원(23)과 접속되어 있다. 전극층은 교대로 각각 전압이 상이한 측과 접속되어 있으며, 전극층(21a 및 21c)과 전극층(21b 및 21d)은 각각 상이한 측과 접속되어 있다.
액츄에이터(2)는 전극층(21a)과 전극층(2lb) 사이, 전극층(2lb)과 전극층(21) 사이, 및 전극층(21c)과 전극층(21d) 사이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구동시킬 수 있다.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유전층(20a, 20b 및 20c)은 그 유전성에 의해 두께가 얇아지며, 전극층(21a, 2lb, 21c 및 21d)의 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신장하게 된다. 즉, 전기 에너지를 힘, 변동 또는 변위의 기계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트랜스듀서의 일 예로서의 액츄에이터의 실시 형태는 이상에서 서술한 바와 같지만, 그 밖에도 본 발명의 트랜스듀서에 외부로부터 압력 등의 기계 에너지를 가하면, 유전층의 변형에 수반하여 전극층 사이의 정전 용량이 변화하기 때문에, 당해 변화를 읽어 내는 센서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 센서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3에 본 실시 형태의 센서(3)의 구성을 나타낸다. 센서(3)는 유전층(30)을 매트릭스상으로 배치한 상부 전극층(31a, 31b 및 31c)과 하부 전극층(32a, 32b 및 32c) 사이에 배치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로서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전극층을 3열의 매트릭스상으로 배치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각 전극층은 유전층(30)과 접하지 않은 면을 절연층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유전층(30)은 오가노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동일한 유전층을 2층 이상 포함하고 있다.
센서(3)의 표면에 외력이 인가되면, 인가된 장소의 상부 전극층과 하부 전극층 사이의 유전층(30)의 두께가 변화하고, 이 변화에 수반하여 전극층 사이의 정전 용량이 변화한다. 예를 들어, 이 전극층 사이의 정전 용량의 변화에 수반하는 전압 변화를 계측함으로써 외력을 검출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 형태의 센서(3)에서는 유전층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전극층이 3쌍 형성되어 있지만, 전극층의 수, 크기 및 배치 등은 용도에 따라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발전 소자는 기계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트랜스듀서이며, 파력, 수력 및 수력 등의 자연 에너지에 의한 발전을 비롯하여, 진동, 충격 및 압력 변화 등에 의해 발전하는 장치에 응용할 수 있다. 이 발전 소자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4에 유전층을 적층한 경우의 본 실시 형태의 발전 소자(4)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로서 유전층은 2층으로 하고 있다. 발전 소자(4)는 유전층(40a 및 40b), 전극층(41a 및 4lb)을 구비하고 있으며, 전극층(41a 및 4lb)은 각각 접촉하고 있는 유전층의 한 면을 덮고 있다.
전극층(41a와 4lb)은 도시하지 않는 부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본 발전 소자(4)는 전극층(41a와 4lb)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킴으로써 정전 용량을 변화시켜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킨다. 즉, 유전층(40a 및 40b)에 의해 형성되는 정전기장에 의해 전극층(41a와 4lb)이 정전 유도된 상태에서 소자 형상을 변화시킴으로써 발전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 4에 나타내는 발전 소자(4)의 전극층(41a 및 4lb)의 면에 대하여 평행 방향으로 압축력이 인가된 상태(상측 도면)에서 동일 도면에 나타내는 압축력이 인가되지 않는 상태(하측 도면)로 변화함으로써, 예를 들어 전극층(41a와 4lb) 사이에 정전 용량 변화가 생겨서 기계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소자를 기판 위에 배치하고, 이들을 직렬 또는 병렬 접속하여 발전량을 향상시킨 발전 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트랜스듀서는 공기 중, 수 중, 진공 중 및 유기 용매 중에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사용 환경에 따라, 적절히 봉지(封止)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봉지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수지 재료에 의한 봉지 등을 들 수 있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 이를 경화하여 이루어지는 경화물은 역학 특성 및 전기 특성이 우수한 엘라스토머 또는 겔상 부재가 요구되는 용도, 예를 들어 트랜스듀서의 제조에 아주 알맞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에는 미경화의 경화성 조성물뿐만 아니라, 반응성 오가노폴리실록산이 부분적으로 반응하고 있는데, 경화에는 이르지 않은 경화 도중 상태에 있는 이른바 B 스테이지 재료도 포함된다. 본 발명의 B 스테이지 재료로서는 겔 또는 유동성을 갖는 상태의 것을 들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태양에는,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의 경화 반응이 일부 진행된 상태의 겔 또는 유동성을 갖는 상태의 트랜스듀서용 부재도 포함된다. 또한, 이러한 반경화 상태의 트랜스듀서용 부재에는 박막상 오가노폴리실록산 경화물이 1층 또는 적층된 구조 중 어느 것이든 무방하다.
특히, 상기 경화물은 전기적 특성 및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겔 또는 엘라스토머이며, 높은 비유전율 및 기계적 강도(구체적으로는 인장 강도, 인열 강도, 연신율 등)를 갖는다. 이 때문에, 당해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을 박막상으로 경화하여 얻어지는 전기 활성 실리콘 엘라스토머 시트 또는 전기 활성 실리콘 겔 시트는 트랜스듀서를 구성하는 전기 활성 필름(유전층 또는 전극층)에 아주 알맞게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출원인들이 상기 특허문헌 1 또는 특허문헌 2에서 제안한 트랜스듀서 재료로서 유용한 것 외에, 실리콘 이외의 유전성 엘라스토머를 이용하는 트랜스듀서 장치에 대해서도 특별히 제한없이 적용이 가능하며, 유전성 엘라스토머 층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상기 경화물로 바꾸어 설계가 가능하다. 이러한 트랜스듀서(액츄에이터를 포함한다)의 구조는 다수 제안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국제 공개특허공보로서 WO2011/11831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로서 공표특허 제2008-533973호, 공표특허 제2001-524278호, 공개특허 제2008-187079호, 공개특허 제2008-277729호, 공개특허 제2009-59856호, 공개특허 제2009-219302호, 공개특허 제2012-65427호, 공개특허 제2016-226258호, 공개특허 제2017-064836호 등을 들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경화물에 의한 유전성 엘라스토머 층의 일부 또는 전부의 치환에 수반하는 구조 설계 내지 설계 변경을 수행하는 것은 당업자의 통상의 창작에 의해 대응 가능하며, 본 발명은 그러한 창작을 강하게 시사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경화물은 이른바 「고분자 액츄에이터」 혹은 「폴리머 액츄에이터」라고 알려진 액츄에이터 소자 구조에서의 전해질 층 또는 유전층을 대체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해질 층(폴리머에 이온 액체가 포함된 전해질 층을 포함한다)과, 상기 전해질 층에 형성된 전극층을 가지며, 상기 전해질 층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변형하는 고분자 액츄에이터에 있어서, 전해질 층의 일부 또는 전부를 대체하여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이러한 고분자 액츄에이터의 구조는 다수 제안되어 있으며, 국제 공개특허공보로서 WO10/100907호, WO10/110417호, WO11/114965호, WO10/029992호, WO13/118628호, WO14/10433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로서 공개특허 제2004-282992호, 공개특허 제2008-251697호, 공개특허 제2010-003553호, 공개특허 제2012-055153호, 공개특허 제2013-255397호, 공개특허 제2013-106491호, 공개특허 제2013-251942호, 공개특허 제2015-126597호, 공개특허 제2015-186301호, 공개특허 제2016-189651호 등을 들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관한 오가노폴리실록산 경화물은 전해질과 달리, 엘라스토머 내지 겔상으로 소망하는 형상으로 설계 가능하며, 특히 적층 내지 높은 변위량이 요구되는 구조 설계에 유용하다. 따라서, 기존의 고분자 액츄에이터에 있어서, 상기 기계 특성 및 유전 특성을 반영한 구조 설계 내지 설계 변경을 수행하는 것은 당업자의 통상의 창작에 의해 대응 가능하며, 본 발명은 그러한 창작을 강하게 시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 이를 경화하여 이루어지는 경화물은, 기타 용도로서는 상기에 개시한 외에 아무런 제약이 없으며, 본 발명의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을 경화하여 이루어지는 경화물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유전층 필름은 텔레비전 수상기, 컴퓨터용 모니터, 휴대 정보 단말용 모니터, 감시용 모니터, 비디오 카메라, 디지털 카메라, 휴대 전화, 휴대 정보 단말, 자동차 등의 계기반용 디스플레이, 다양한 설비·장치·기기의 계기반용 디스플레이, 자동 발매기, 현금 자동 입출금기 등, 문자나 기호,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다양한 평판 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 FPD)에 사용할 수 있다. 장치로서는 CRT 디스플레이, 액정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유기 EL 디스플레이, 무기 EL 디스플레이, LED 디스플레이, 표면 전해 디스플레이(SED), 전계 방출형 디스플레이(FED) 등의 표시 장치나, 이들을 이용한 터치 패널에 응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필름은 이들의 디스플레이 표면의 흠집 방지, 오염 방지, 지문 부착 방지, 대전 방지, 반사 방지, 엿보기 방지 등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관하여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는 하기 화합물을 이용했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하여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는 하기 화합물을 이용했다.
·성분(a1): 양 말단 비닐디메틸실록시기 봉쇄, 3, 3, 3-트리플루오로프로필메틸실록산 폴리머(말단을 포함하는 실록산 중합도: 약 268)
·성분(a2): 양 말단 비닐디메틸실록시기 봉쇄, 3, 3, 3-트리플루오로프로필메틸실록산 폴리머(말단을 포함하는 실록산 중합도: 약 33)
·성분(B1-1): 비스(디메틸하이드로젠실록시)디페닐실란
·성분(B1-2): 양 말단 디메틸하이드로젠실록시기 봉쇄 디페닐실록산 폴리머(실록산 중합도: 약 2.5)
·성분(B1-3): 테트라메틸디하이드로디실록산
·성분(B2-1): 디메틸하이드로실록시 유닛(MH 단위)과 3, 3, 3-트리플루오로프로필기를 갖는 TF3Pr 단위(3관능 실록시 단위)로 구성되는 실록산(Mw=1.11×103, 규소 원자 결합 수소 원자는 약 0.59중량%이다.)
아울러, 성분(B2-1)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테트라하이드로푸란(THF)을 용매로 이용하여, GPC(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한 폴리스티렌 환산 중량 평균 분자량이다.
·성분(B2-2): 양 말단 트리메틸실록시기 봉쇄, 3, 3, 3-트리플루오로프로필메틸메틸하이드로실록산 코폴리머(말단을 포함하는 실록산 중합도: 약 12)
아울러, 성분(B2-2)의 규소 원자 결합 수소 원자는 약 0.53중량%이다.
·성분(C1): 백금-1, 3-디비닐 1, 1, 3, 3-테트라메틸디실록산 착체의 양 말단 비닐디메틸실록시기 봉쇄 디메틸실록산 폴리머 용액(백금 농도로 약 0.6중량%)
<하이드로실릴화 반응 억제제>
·성분(D1): 1, 3, 5, 7-테트라메틸-1, 3, 5, 7-테트라비닐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충전재>
·성분(E1): 표면 처리한 CAB-O-SIL(R)MS75D
표 1 및 표 2에 실시예가 되는 조성을 나타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조성물 중의 비닐기 1몰당 성분(B1) 및 (B2)의 규소 원자 결합 수소 원자(Si-H)가 1.3몰이 되는 양으로 이용했다. 또한, (B1)과 (B2)의 Si-H의 비를 B1H/B2H로서 나타냈다. 또한, 성분(A)의 중합도는 하기 식에 의해 산출했다.
[NAA1/(NAA1+NAA2)]DPA1+[NAA2/(NAA1+NAA2)]DPA2
여기서 NAA1 및 NAA2는 성분(A) 중 (A1) 및 (A2)의 중량 비율을 각각 수 평균 분자량으로 나눈 것이며, DPA1 및 DPA2는 (A1) 및 (A2)의 각각의 중합도를 나타낸다.
[얻어진 재료의 물성 측정]
실리콘 조성물을 150℃에서 15분간 프레스 큐어하고, 다시 150℃에서 60분~120분간 오븐 중 포스트 큐어를 실시하여 경화물을 얻었다. JIS-K6249에 기초하여 얻어진 경화물의 인열 강도를 측정하고, 또한 인장 강도 및 파단 신도를 측정하고, 영률(모듈러스)을 구했다. 아울러, 기계적 강도의 측정을 위해, 시트의 두께는 2 mm로 했다. 또한, 두께 6 mm 시트의 듀로미터 A경도를 측정했다. 단, 경화물이 너무 부드러운 경우에는 측정 불가로 했다.
또한, 상기 조건에서 두께 약 0.1 mm의 시트를 제작하고, 전기 절연유 파괴 전압 시험 장치 소켄덴키가부시키가이샤(SOKEN ELECTRIC CO., LTD.) 제품 PORTATEST 100A-2로 절연 파괴 강도를 측정했다. 마찬가지로, 두께 1 mm의 시트를 제작하고, LCR 미터 웨인 커(Wayne Kerr)사 제품 6530P/D2로 온도 25℃, 주파수 20 Hz~1 MHz의 범위에서 비유전율을 측정했다. 그 중 100 KHz에서의 값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사용했다. 각종 물성값을 표 1~표 3에 나타냈다.
[비교예 1-4]
상기 (B1) 이외의 성분을 이용하여, 표 3에 나타내는 조성으로 실시예와 동일하게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을 제작하고, 상술한 각종 측정을 수행했다.
실시예 No. 1 2 3 4 5 6
성분(a1) 82.989 82.995 82.998 83.001 82.759 82.472
성분(a2)
성분(B1-1) 0.442 0.881 1.056 1.230
성분(B1-2) 0.500 1.143
성분(B1-3)
성분(B2-1) 1.327 0.881 0.704 0.527 1.499 1.143
성분(B2-2)
성분(C1) 0.133 0.133 0.133 0.133 0.133 0.133
성분(D1) 0.109 0.109 0.109 0.109 0.109 0.109
성분(E1) 15.00 15.00 15.00 15.00 15.00 15.00
B1/B2 0.3 1.0 1.5 2.4 0.2 0.5
성분(A)
평균 중합도
266 266 266 266 266 266
영률(MPa) 0.83 0.66 0.47 0.27 0.91 0.76
인장 강도(MPa) 5.0 4.2 3.7 2.1 4.1 5.5
파단 신도(%) 378 486 523 558 310 399
인열 강도(N/mm) 5.0 5.4 5.4 4.7 4.6 5.1
경도 32 24 21 16 35 29
절연 파괴 강도(V/㎛) 50 38
37
30
53
46
비유전율 6.5 6.6 5.9 5.9 6.6 6.5
실시예 No. 7 8 9 10 11
성분(a1) 83.521 61.087 61.093 82.947 82.893
성분(a2) 20.362 20.364
성분(B1-1) 2.150 2.641 0.881 0.881
성분(B1-2)
성분(B1-3) 0.353
성분(B2-1) 0.884 1.158 0.660 0.465
성분(B2-2) 0.465 0.984
성분(C1) 0.133 0.133 0.067 0.133 0.133
성분(D1) 0.109 0.109 0.109 0.109 0.109
성분(E1) 15.00 15.00 15.00 15.00 15.00
B1/B2 1.0 1.9 4.1 1.0 1.0
성분(A)
평균 중합도
266 95 95 266 266
영률(MPa) 0.57 0.69 0.18 0.52 0.29
인장 강도(MPa) 3.4 3.1 0.5 1.9 1.7
파단 신도(%) 375 315 301 489 387
인열 강도(N/mm) 4.4 4.3 2.3 4.5 3.8
경도 25 24 측정 불가 20 18
절연 파괴 강도(V/㎛) 44 45 32 36 36
비유전율 6.4 5.9 5.6 6.5 6.1
비교예 No. 1 2 3 4
성분(a1) 93.242 88.107 82.982 83.006
성분(a2)
성분(B1-1) 1.577
성분(B1-2)
성분(B1-3)
성분(B2-1) 1.518 1.650 1.776 0.175
성분(C1) 0.133 0.133 0.133 0.133
성분(D1) 0.109 0.109 0.109 0.109
성분(E1) 5.00 10.00 15.00 15.00
B1/B2 0 0 0 9.1
성분(A)평균 중합도 266 266 266 266
영률(MPa) 0.50 0.67 1.1 측정 불가
인장 강도(MPa) 0.8 2.1 4.3 측정 불가
파단 신도(%) 214 244 277 측정 불가
인열 강도(N/mm) 1.9 2.7 4.1 측정 불가
경도 23 30 36 측정 불가
절연 파괴 강도(V/㎛) 37 43 49 측정 불가
비유전율 6.7 6.6 6.2
상기한 바와 같이, 실시예 1~11에 있어서, 성분(B1)과 성분(B2)의 특정 비율로의 병용에 의해, 겔상부터 엘라스토머상까지 경도 등이 상이한 다양한 필름상 경화물을 형성 가능하며, 고도의 전기적 특성을 갖는 경화물을 형성한다. 또한, 이들 경화물의 절단 시 신도는 300%를 초과하는 것이며, 기계적 특성, 특히 신축성이 우수한 경화물을 부여하는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을 설계 가능하다는 것이 나타났다. 한편, 성분(B1)을 이용하지 않거나, 성분(B1)을 과잉으로 이용한 경우에는, 비교예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용성이 있는 경화물을 부여하는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을 얻을 수는 없다. 특히, 비교예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성분(B2)를 과잉으로 이용하면, 가교 반응이 충분히 진행되지 않기 때문에 기계적 물성 등을 측정 가능한 경화물을 얻을 수 없었다.
이러한 본 발명 실시예에 관한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을 이용하여 얻어진 경화물은 높은 전기적 특성에 더하여, 소망에 따라 다양한 경도/영률의 경화물을 설계 가능한 동시에 신축성 등의 기계적 특성이 현저히 우수한 것이기 때문에, 액추에이터를 비롯한 각종 트랜스듀서 용도로 폭넓게 이용할 수 있다.
1, 2: 액추에이터
10a, 10b, 20a, 20b, 20c: 유전층
11a, 1lb, 21a, 2lb, 21c, 21d: 전극층(도전층)
12, 22: 배선
13, 23: 전원
3: 센서
30: 유전층
31a, 3lb, 31c: 상부 전극층
32a, 32b, 32c: 하부 전극층
4: 발전 소자
40a, 40b: 유전층
41a, 4lb: 전극층

Claims (16)

  1. (A)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의, 분자 중에 적어도 2개의 탄소수 2~12의 알케닐기를 가지며, 규소 원자 상의 모든 치환기의 10몰% 이상이 (CpF2p +1)-R-(R은 탄소 원자수 1~10의 알킬렌기이며, p는 1 이상 8 이하의 정수이다)로 표시되는 플루오로알킬기인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오가노폴리실록산,
    (B) 이하의 (B1) 성분 및 (B2)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오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으로서, (B1) 성분 중의 규소 원자 결합 수소 원자수:(B2) 성분 중의 규소 원자 결합 수소 원자수의 비율이 10:90~85:15가 되는 범위인 것:
    (B1) 분자쇄 양 말단에 적어도 2개의 규소 결합 수소 원자를 가지며, 플루오로알킬기를 갖지 않는 오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B2) 하기 평균 단위식 (III)으로 표시되는 직쇄상 오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및 평균 단위식 (IV)로 표시되는 분지상 오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류 이상의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오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R0 3Si(OSiR4R0)f1(OSiR0 2)f2OSiR0 3 (III)
    {식 중, R4는 (CpF2p +1)-R-(R은 상기와 동일한 기이며, p는 상기와 동일한 수이다)로 표시되는 플루오로알킬기 또는 규소 원자 결합 수소 원자이며, R0은 동일 또는 독립적으로 탄소수 1~12의 알킬기, 탄소수 6~20의 아릴기, 탄소수 7~20의 아르알킬기, 수산기, 탄소수 1~6의 알콕시기 또는 규소 원자 결합 수소 원자인 동시에 모든 R0 중 적어도 2개는 규소 원자 결합 수소 원자이며, f1은 양의 수이고, f2는 0 또는 양의 수이며, 5<f1+f2<150을 만족하는 수이다.}
    (HR6 2SiO1/2)f3(R6 3SiO1/2)f4(HR6SiO2/2)f5(R6 2SiO2/2)f6(R5SiO3/2)f7(SiO4/2)f8 (IV)
    {식 중, R5는 (CpF2p +1)-R-(R은 상기와 동일한 기이며, p는 상기와 동일한 수이다)로 표시되는 플루오로알킬기이며, R6은 동일 또는 독립적으로 탄소수 1~12의 알킬기, 탄소수 6~20의 아릴기, 탄소수 7~20의 아르알킬기, 수산기 또는 탄소수 1~6의 알콕시기 또는 상기 플루오로알킬기인 동시에 f3 및 f7은 양의 수이고, f4, f5, f6 및 f8은 0 또는 양의 수인 동시에 f3+f4+f5+f6+f7+f8은 식 (IV)로 표시되는 오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400~10000이 되는 범위의 수이다.}
    조성물 중의 알케닐기의 합계량 1몰에 대하여, (B) 성분 중의 규소 원자 결합 수소 원자의 합이 0.1~2.5몰이 되는 양,
    (C) 유효량의 하이드로실릴화 반응용 촉매
    를 함유하는,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성분의 평균 중합도가 5~300의 범위인,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가 하기 평균 단위식 (I)로 표시되는 오가노폴리실록산인,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
    R1R2 2Si(OSiR1R2)e1(OSiR2 2)e2OSiR1R2 2 (I)
    {식 중, R1은 (CpF2p +1)-R-(R은 상기와 동일한 기이며, p는 상기와 동일한 수이다)로 표시되는 플루오로알킬기 또는 탄소수 2~12의 알케닐기이며, R2는 동일 또는 독립적으로 탄소수 1~12의 알킬기, 탄소수 6~20의 아릴기, 탄소수 7~20의 아르알킬기, 수산기 혹은 탄소수 1~6의 알콕시기인 동시에 모든 R1 중 적어도 2개는 탄소수 2~12의 알케닐기이고, 모든 R1 및 R2 중 10몰% 이상은 상기 플루오로알킬기이며, e1은 양의 수 및 e2는 0 또는 양의 수이며, 5<e1+e2<298을 만족하는 수이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가 하기 평균 단위식 (II)로 표시되는 오가노폴리실록산인,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
    RViR2 2Si(OSiR2R3)eOSiRViR2 2 (II)
    {식 중, RVi는 탄소수 2~12의 알케닐기이고, R2는 상기와 동일한 기이며, R3은 (CpF2p +1)-R-(R은 상기와 동일한 기이며, p는 상기와 동일한 수이다)로 표시되는 플루오로알킬기인 동시에 e는 20<e<298을 만족하는 수이다.}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 성분 중의 (CpF2p +1)-R-(R은 상기와 동일한 기이며, p는 상기와 동일한 수이다)로 표시되는 플루오로알킬기가 트리플루오로프로필기인,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2) 성분이 분자 중에 트리플루오로프로필기를 갖는 오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인,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 성분이 하기 (A1) 성분 또는 (A2) 성분인,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
    (A1) 분자 중에 적어도 2개의 탄소수 2~12의 알케닐기를 가지며, 규소 원자 상의 모든 치환기의 10몰% 이상이 (CpF2p +1)-R-(R은 탄소 원자수 1~10의 알킬렌기이며, p는 1 이상 8 이하의 정수이다)로 표시되는 플루오로알킬기이고, 평균 중합도가 50~300이며, 중합도 200 이상의 오가노폴리실록산의 체적 함유율이 10% 이상인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오가노폴리실록산
    (A2) 하기 분자량 분포가 상이한 (a1) 성분 및 (a2) 성분으로 이루어지며, 혼합물 전체의 평균 중합도가 50~300인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오가노폴리실록산:
    (a1) 분자 중에 적어도 2개의 탄소수 2~12의 알케닐기를 가지며, 규소 원자 상의 모든 치환기의 10몰% 이상이 (CpF2p +1)-R-(R은 탄소 원자수 1~10의 알킬렌기이며, p는 1 이상 8 이하의 정수이다)로 표시되는 플루오로알킬기이고, 평균 중합도가 200 이상인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오가노폴리실록산
    (a2) 분자 중에 적어도 2개의 탄소수 2~12의 알케닐기를 가지며, 규소 원자 상의 모든 치환기의 10몰% 이상이 (CpF2p +1)-R-(R은 탄소 원자수 1~10의 알킬렌기이며, p는 1 이상 8 이하의 정수이다)로 표시되는 플루오로알킬기이고, 평균 중합도가 50 이하인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오가노폴리실록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을 경화하여 이루어지는 경화물.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을 경화하여 이루어지며, 필름상 혹은 시트상인 트랜스듀서용 부재.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을 경화하여 이루어지며, 필름상 혹은 시트상인 전자 재료 또는 표시 장치용 부재.
  11.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을 경화하여 이루어지며, 겔 또는 엘라스토머인 트랜스듀서용 부재.
  12.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을 경화하여 이루어지는 유전층을 갖는 트랜스듀서.
  13. 적어도 한 쌍의 전극층 사이에,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을 경화시키거나, 또는 상기 조성물의 경화 반응을 일부 진행시켜 이루어지는 중간층을 개장(介裝)하여 이루어지는 트랜스듀서.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중간층이 겔 또는 엘라스토머인, 트랜스듀서.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간층이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을 경화시켜 이루어지는 경화물을 1층 또는 2층 이상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듀서.
  16.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을 경화시키거나, 또는 상기 조성물의 경화 반응을 일부 진행시켜 이루어지는 경화물층을 갖는 전자 부품 또는 표시 장치.
KR1020197035411A 2017-05-18 2018-05-02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 이의 경화물 및 당해 경화물을 구비한 트랜스듀서 등 KR1025613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99138 2017-05-18
JP2017099138 2017-05-18
PCT/JP2018/017480 WO2018211981A1 (ja) 2017-05-18 2018-05-02 フルオロアルキル基含有硬化性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組成物、その硬化物および当該硬化物を備えたトランスデューサー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8128A true KR20200008128A (ko) 2020-01-23
KR102561358B1 KR102561358B1 (ko) 2023-08-01

Family

ID=64273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5411A KR102561358B1 (ko) 2017-05-18 2018-05-02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 이의 경화물 및 당해 경화물을 구비한 트랜스듀서 등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479670B2 (ko)
EP (1) EP3626781A4 (ko)
JP (1) JP7100631B2 (ko)
KR (1) KR102561358B1 (ko)
CN (1) CN110573576B (ko)
TW (1) TWI768041B (ko)
WO (1) WO20182119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20116440A1 (ja) * 2018-12-07 2021-10-21 ダウ・東レ株式会社 硬化性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組成物、その硬化物および当該硬化物を備えたトランスデューサー等
KR20210110626A (ko) * 2018-12-27 2021-09-08 다우 도레이 캄파니 리미티드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 상기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박리 코팅제, 상기 박리 코팅제를 사용한 박리 필름 및 상기 박리 필름을 포함하는 적층체
KR20210132084A (ko) 2019-02-14 2021-11-03 다우 도레이 캄파니 리미티드 오가노폴리실록산 경화물 필름, 그의 용도,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CN110746784B (zh) * 2019-10-22 2022-03-18 湖北兴瑞硅材料有限公司 一种液体硅橡胶及其制备方法
EP4079811A4 (en) * 2019-12-20 2024-01-10 Dow Toray Co Ltd HARDENED ELASTOMER COMPOSITION, HARDENED PRODUCT THEREOF, FILM PROVIDED WITH A HARDENED PRODUCT, MULTI-LAYER BODY WITH A FILM, METHOD FOR PRODUCING THE MULTI-LAYER BODY, ELECTRONIC COMPONENT AND DISPLAY DEVICE, EACH CONTAINING A HARDENED PRODUCT, AND METHOD OF DESIGNING A TRANSDUCER DEVICE
CN112280303A (zh) * 2020-10-12 2021-01-29 北京国电富通科技发展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带电作业机器人的外绝缘固化料及其制备方法
WO2023282270A1 (ja) * 2021-07-05 2023-01-12 ダウ・東レ株式会社 トランスデューサー用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組成物、その硬化物フィルムからなる積層体、その用途、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2706A (en) * 1988-11-23 1992-01-21 Dow Corning Corporation Pressure sensitive adhesive/release liner laminate
JPH1081825A (ja) * 1996-05-20 1998-03-31 Dow Corning Corp 白金族金属硬化性フルオロシリコーン組成物の硬化開始時間、硬化時間の制御方法
JP2007502346A (ja) * 2003-08-14 2007-02-08 ダウ・コーニング・コーポレイション 改良された耐薬品性を有する接着剤及び接着剤を調製するための硬化性シリコーン組成物
JP2007502345A (ja) * 2003-08-14 2007-02-08 ダウ・コーニング・コーポレイション 改良された表面特性を有するシリコーン及び該シリコーンを調製するための硬化性シリコーン組成物
US20120219794A1 (en) * 2009-11-16 2012-08-30 Jayshree Seth Fluorosilicone blend release materials
JP2014139292A (ja) * 2012-12-21 2014-07-31 Shin Etsu Chem Co Ltd 硬化性シリコーン樹脂組成物、その硬化物及び光半導体デバイス
KR20140105959A (ko) 2013-02-25 2014-09-03 손정률 자동차의 제동 보조 장치
KR20150098072A (ko) 2014-02-19 2015-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JP2016503108A (ja) * 2012-12-28 2016-02-01 ダウ コーニング コーポレーションDow Corning Corporation トランスデューサーのための硬化性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組成物及びかかる硬化性シリコーン組成物のトランスデューサーへの使用
WO2016163069A1 (ja) * 2015-04-10 2016-10-13 東レ・ダウコーニング株式会社 フルオロアルキル基含有硬化性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組成物、その硬化物および当該硬化物を備えた電子部品または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05359A (ja) 1987-02-20 1988-08-24 Shin Etsu Chem Co Ltd 硬化性フツ素シリコ−ン組成物
JPH0718183A (ja) * 1993-06-30 1995-01-20 Toray Dow Corning Silicone Co Ltd 硬化性シリコーン組成物
WO1998035529A2 (en) 1997-02-07 1998-08-13 Sri International Elastomeric dielectric polymer film sonic actuator
JP4646530B2 (ja) 2003-02-28 2011-03-09 イーメックス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素子及び駆動方法
JP5530585B2 (ja) 2007-01-31 2014-06-25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電歪型アクチュエータ用誘電体エラストマー膜の製造方法
JP4946570B2 (ja) 2007-03-29 2012-06-06 Tdk株式会社 高分子アクチュエータ
JP4922879B2 (ja) 2007-03-30 2012-04-25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
JP5186160B2 (ja) 2007-08-31 2013-04-17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柔軟電極およびそれを用いたアクチュエータ
JP5243818B2 (ja) 2008-03-12 2013-07-24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
JP5049205B2 (ja) 2008-06-20 2012-10-17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発光性高分子アクチュエータ
JP5252405B2 (ja) 2008-09-12 2013-07-3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高分子アクチュエータ
EP2370520B1 (en) * 2008-12-17 2014-10-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Blended fluorosilicone release materials
US8487505B2 (en) 2009-03-04 2013-07-16 Panasonic Corporation Polymer actuator
JP5097853B2 (ja) 2009-03-27 2012-12-1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装置及び入力装置
WO2011114965A1 (ja) 2010-03-16 2011-09-2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高分子アクチュエータを用いた駆動装置
JP5603344B2 (ja) 2010-03-23 2014-10-08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導電性架橋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トランスデューサ、フレキシブル配線板、電磁波シールド
JP5959807B2 (ja) 2010-08-05 2016-08-02 キヤノン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アクチュエータ構造体
JP5589702B2 (ja) 2010-09-15 2014-09-17 豊田合成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
JP2013106491A (ja) 2011-11-16 2013-05-30 Tdk Corp 高分子アクチュエータ
JP5871337B2 (ja) 2012-02-08 2016-03-0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高分子アクチュエータ素子及び前記高分子アクチュエータ素子の駆動装置ならびに駆動方法
JP2013251942A (ja) 2012-05-30 2013-12-12 Sony Corp 高分子アクチュエーター、アクチュエーター装置、高分子アクチュエーターの製造方法及びアクチュエーター装置の製造方法
JP5930534B2 (ja) 2012-06-08 2016-06-0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高分子アクチュエータデバイスシステム
EP2945276A4 (en) 2012-12-27 2016-07-27 Alps Electric Co Ltd POLYMERAKTORELEMENT
WO2015034029A1 (en) 2013-09-03 2015-03-12 Dow Corning Toray Co., Ltd. Silicone gel composition and use thereof
EP3083857B1 (en) * 2013-12-16 2024-05-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Blended release materials
JP6303495B2 (ja) 2013-12-26 2018-04-0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
WO2015098072A1 (en) 2013-12-27 2015-07-02 Dow Corning Toray Co., Ltd. Curable organopolysiloxane composition, member for transducers
JP6270273B2 (ja) 2014-03-20 2018-01-3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高分子アクチュエータ素子、高分子アクチュエータ素子用電極層、高分子アクチュエータ素子用電極層の製造方法、及び、高分子アクチュエータ素子の製造方法
JP6691868B2 (ja) 2014-08-29 2020-05-13 ダウ・東レ株式会社 フッ素含有重合体−フッ素含有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複合材料、その製造方法、その用途、及びその製造方法に用いる前駆体組成物
US20160329562A1 (en) * 2014-12-16 2016-11-10 Sanyo Electric Co., Lt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ies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containing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JP6468646B2 (ja) 2015-03-30 2019-02-13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積層型アクチュエータ
US9882117B2 (en) 2015-05-28 2018-01-30 Honda Motor Co., Ltd. Actuator including a dielectric elastomer and electrode films
JP6442386B2 (ja) 2015-09-29 2018-12-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力制御装置
JP6645823B2 (ja) 2015-12-22 2020-02-14 モメンティブ・パフォーマンス・マテリアルズ・ジャパン合同会社 付加硬化性ポリフルオロオルガノシロキサン組成物
US20190127531A1 (en) 2016-04-22 2019-05-02 Dow Corning Toray Co., Ltd. Highly dielectric film, usages thereof,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2706A (en) * 1988-11-23 1992-01-21 Dow Corning Corporation Pressure sensitive adhesive/release liner laminate
JPH1081825A (ja) * 1996-05-20 1998-03-31 Dow Corning Corp 白金族金属硬化性フルオロシリコーン組成物の硬化開始時間、硬化時間の制御方法
JP2007502346A (ja) * 2003-08-14 2007-02-08 ダウ・コーニング・コーポレイション 改良された耐薬品性を有する接着剤及び接着剤を調製するための硬化性シリコーン組成物
JP2007502345A (ja) * 2003-08-14 2007-02-08 ダウ・コーニング・コーポレイション 改良された表面特性を有するシリコーン及び該シリコーンを調製するための硬化性シリコーン組成物
US20120219794A1 (en) * 2009-11-16 2012-08-30 Jayshree Seth Fluorosilicone blend release materials
JP2014139292A (ja) * 2012-12-21 2014-07-31 Shin Etsu Chem Co Ltd 硬化性シリコーン樹脂組成物、その硬化物及び光半導体デバイス
JP2016503108A (ja) * 2012-12-28 2016-02-01 ダウ コーニング コーポレーションDow Corning Corporation トランスデューサーのための硬化性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組成物及びかかる硬化性シリコーン組成物のトランスデューサーへの使用
KR20140105959A (ko) 2013-02-25 2014-09-03 손정률 자동차의 제동 보조 장치
KR20150098072A (ko) 2014-02-19 2015-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WO2016163069A1 (ja) * 2015-04-10 2016-10-13 東レ・ダウコーニング株式会社 フルオロアルキル基含有硬化性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組成物、その硬化物および当該硬化物を備えた電子部品または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917174A (zh) 2019-05-01
JPWO2018211981A1 (ja) 2020-03-19
JP7100631B2 (ja) 2022-07-13
CN110573576B (zh) 2021-09-24
US11479670B2 (en) 2022-10-25
KR102561358B1 (ko) 2023-08-01
TWI768041B (zh) 2022-06-21
US20200071527A1 (en) 2020-03-05
WO2018211981A1 (ja) 2018-11-22
EP3626781A4 (en) 2021-03-03
CN110573576A (zh) 2019-12-13
EP3626781A1 (en) 2020-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1358B1 (ko)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 이의 경화물 및 당해 경화물을 구비한 트랜스듀서 등
EP2938679B1 (en) Curable organopolysiloxane composition for transducers and applications of such curable silicone composition for transducers
KR101983010B1 (ko) 변환기용 경화성 유기폴리실록산 조성물 및 그러한 변환기용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의 응용
CN115038757B (zh) 固化性弹性体组合物及换能器设备的设计方法
CN113330073B (zh) 膜形成用固化性聚有机硅氧烷组合物以及聚有机硅氧烷固化物膜的制造方法
KR20210112322A (ko) 필름 형성용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 및 오가노폴리실록산 경화물 필름의 제조 방법
US20220017701A1 (en) Curable organopolysiloxane composition, cured product thereof, and transducer and the like equipped with said cured product
KR20210032476A (ko) 오가노폴리실록산 경화물 필름, 그의 용도 및 제조 방법
WO2014105974A1 (en) Curable organopolysiloxane composition for transducers and applications of such curable silicone composition for transducers
CN117693558A (zh) 换能器用有机聚硅氧烷组合物、由其固化物膜组成的层叠体、其用途及其制造方法
WO2014105963A2 (en) Curable organopolysiloxane composition for transducers and applications of such curable silicone composition for transducers
WO2024075661A1 (ja) トランスデューサー用硬化性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組成物、その硬化物および当該硬化物を備えたトランスデューサー等
WO2014105955A1 (en) Curable organopolysiloxane composition for transducers and applications of such curable silicone composition for transduc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