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7637A - 양 베어링 릴 - Google Patents

양 베어링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7637A
KR20200007637A KR1020190026717A KR20190026717A KR20200007637A KR 20200007637 A KR20200007637 A KR 20200007637A KR 1020190026717 A KR1020190026717 A KR 1020190026717A KR 20190026717 A KR20190026717 A KR 20190026717A KR 20200007637 A KR20200007637 A KR 20200007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braking
center
operation member
suppor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6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라 니이츠마
아키라 나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200007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76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55Antibacklash devices
    • A01K89/01555Antibacklash devices using 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55Antibacklash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52Positiv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2Frame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21Frame details
    • A01K89/011223Frame details with bearing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31Spool or spool shaft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과제] 양 베어링 릴에 있어서, 제동 모드를 선택하는 조작 부재의 측의 릴의 외형을 작게 한다.
[해결 수단] 양 베어링 릴은, 스풀의 회전을 제동하는 제동 장치와, 스풀 지지부에 설치되고, 조작 부재(60)의 회동(回動) 위치에서 제동 장치의 제동의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부(50)를 구비한다. 조작 부재(60)는, 조작 부재(60)의 스풀의 축 방향으로의 투영의 장경(長徑)의 중심으로부터 일방(一方)으로 치우친 지지축(52)으로, 릴 본체(11)의 스풀을 착탈(着脫)하기 위한 개구(開口)가 형성되어 있는 측의 제1 측판(17a)의 중심(C)으로부터 이격(離隔)한 위치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조작 부재(60)의 제동의 모드를 선택하는 회동 위치의 각도 범위는, 지지축(52)으로부터 장경의 중심을 향하는 선이 릴 본체(11)의 외형의 중심(C)을 향하는 위치를 기점으로, 지지축(52)과 외형의 중심(C)을 잇는 선의 양측으로 각각 90° 이하이다.

Description

양 베어링 릴{DUAL-BEARING REEL}
본 발명은, 스풀의 회전을 제동하는 제동 장치의 제동의 모드를 선택 가능한 양 베어링 릴에 관한 것이다.
양 베어링 릴, 특히 캐스팅으로 낚싯줄을 방출하는 루어(lure)를 이용하는 베이트 캐스팅 릴에는, 캐스팅 시의 백래시(backlash)를 방지하기 위한 스풀 제동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스풀 제동 장치로서, 스풀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전자적으로 제어하여 제동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양 베어링 릴의 캐스팅에서는, 낚싯줄의 종류, 낚싯줄에 다는 채비의 종류 및 바람의 방향 등에 의하여, 백래시의 발생 타이밍과 양이 변화한다. 전자 제어 제동 장치에서는, 그것들의 특성에 따라 복수의 제동의 모드가 설정되어 있고, 유저가 제동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이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는, 원반상(圓盤狀)의 제동 전환 손잡이의 회동(回動) 위치에서, 8단계의 제동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5-211054호
제동 전환 손잡이의 회동 위치에서 제동 모드를 선택하는 전자 제어 제동 장치에서는, 회동 위치가 검출되는 손잡이 본체의 형상은 원형이며, 외부에 노출하고 있는 조작부인 제동 전환 손잡이와 동(同) 형상이다. 그 때문에, 제동 전환 손잡이의 주위에, 프레임 및 릴 본체에 원형의 도피 범위가 필요하다. 제동 전환 손잡이의 회동이 차지하는 원형의 범위를 설치하기 위하여, 프레임 및 릴 본체의 외형은, 그 만큼 크게 하지 않으면 안된다.
본 발명은 상술의 사정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양 베어링 릴에 있어서, 제동 모드를 선택하는 조작 부재의 측의 릴의 외형을 작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관점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은, 낚싯줄이 권회(卷回)되는 스풀과, 스풀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스풀의 회전축의 방향으로 스풀이 통과 가능한 개구(開口)가 형성된 릴 본체와, 릴 본체의 개구의 측에 착탈(着脫) 가능하게 결합되고, 스풀의 축을 개구의 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풀 지지부와, 스풀의 회전을 제동하는 제동 장치와, 스풀 지지부에 설치되고, 조작 부재의 회동 위치에서 제동 장치의 제동의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부를 구비한다. 조작 부재는, 조작 부재의 스풀의 축 방향으로의 투영의 장경(長徑)의 중심으로부터 일방(一方)으로 치우친 지지축으로, 스풀을 착탈하기 위한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측의 릴 본체의, 스풀의 회전축의 둘레의 외형의 중심으로부터 이격(離隔)한 위치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조작 부재의 제동의 모드를 선택하는 회동 위치의 각도 범위는, 지지축으로부터 장경의 중심을 향하는 선이 릴 본체의 외형의 중심을 향하는 위치를 기점으로, 지지축과 외형의 중심을 잇는 선의 양측으로 각각 90°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조작 부재는, 지지축과, 지지축에 결합되는 손잡이와, 손잡이와는 지지축의 방향으로 공간을 두고 대향하고, 지지축에 고정되는 선택 부재를 포함한다. 지지축은, 손잡이와 선택 부재와의 사이에서, 스풀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바람직하게는, 모드 선택부는, 스풀 지지부와는 별체로 스풀 지지부에 고정되고, 손잡이의 회동 위치에서 선택되는 제동의 모드를 나타내는 눈금판을 구비하고, 조작 부재의 지지축은, 손잡이와 선택 부재와의 사이에서 눈금판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 부재는, 스풀의 축 방향으로의 투영의 장경의 중심으로부터 일방으로 치우친 지지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동의 모드를 선택하는 회동 위치의 각도 범위는, 지지축으로부터 장경의 중심을 향하는 선이 릴 본체의 외형의 중심을 향하는 위치를 기점으로, 지지축과 외형의 중심을 잇는 선의 양측으로 각각 90° 이하이기 때문에, 조작 부재의 측의 릴의 외형을 작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의 정면도
도 2는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의 측면도
도 3은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의 커버를 제외한 측면도
도 4는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의 모드 선택부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의 부분 단면도
도 6은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조작 부재의 회동이 차지하는 범위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덧붙여 도면 중, 동일 또는 동등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의 정면도이다. 도 1은, 양 베어링 릴(10)을 낚싯대에 장착하는 경우의 낚싯대의 후단(後端) 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양 베어링 릴(10)은, 낚싯대에 장착되는 릴 본체(11), 릴 본체(1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낚싯줄이 권회되는 스풀(14), 스풀(14)을 회전시키는 핸들(12), 캐스팅 컨트롤 기구를 조절하기 위한 저항 조작부(23), 및 드래그 조정용의 스타 드래그(13)를 구비한다.
릴 본체(11)는, 제1 측판(17a), 제2 측판(17b), 연결부(17c) 및 낚싯대 장착부(17d)로 구성되는 프레임(17)을 포함한다. 릴 본체(11)는, 프레임(17)의 스풀(14)을 착탈하는 측의 커버(18)와, 핸들(12)의 측을 덮는 구동 기구 수납부(16)를 포함한다. 스풀(14)은, 낚싯줄이 감기는 줄 감기 몸통부(14a), 및, 줄 감기 몸통부(14a)의 양단(兩端)에 대경(大徑)으로 형성된 좌우 한 쌍의 제1 플랜지부(14b) 및 제2 플랜지부(14c)를 가진다. 제1 플랜지부(14b)는, 핸들(12)과 반대 측에 설치되고, 제2 플랜지부(14c)는, 핸들(12)의 측에 설치된다.
도 2는,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양 베어링 릴을 커버(18)의 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2에서는, 핸들(12), 낚싯대 장착부(17d) 및 구동 기구 수납부(16)가 생략되어 있다. 커버(18)에는, 릴 본체(11) 내에 설치된 제동 장치의, 제동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부(50)의 눈금판(54)을 노출하기 위한 창(18a)이 형성되어 있고, 눈금판(54)과 손잡이(51)가 보이고 있다. 제동 장치는, 스풀(14)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제동한다. 모드 선택부(50)의 손잡이(51)를 회동시켜, 어느 하나의 눈금(54a)의 위치에 맞추는 것에 의하여, 복수의 제동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서는, 5단계의 제동 모드가 설정되어 있다. 도 2에서는, 5단계의 중앙의 회동 위치에 손잡이(51)가 맞아 있다.
커버(18)는, 릴 본체(11)로부터 스풀(14)의 축 방향으로 끌어내고, 릴 본체(11)의 내부에 설치된 제2 연결부(42)를 지점으로 요동(搖動)시켜, 열 수 있다. 도 3은,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의 커버를 제외한 측면도이다. 커버(18)는, 제2 연결부(42)를 지점으로 하여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지만, 도 3에서는, 커버(18)가 생략되어 있다. 제1 측판(17a)의 외주(外周)는, 스풀(14)을 착탈하기 위한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측의 릴 본체(11)의, 스풀(14)의 회전축의 둘레의 외형이다. 제1 측판(17a)은, 원형이다. 제1 측판(17a)에는, 스풀(14)이 축 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는 개구(22)가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17)의 제1 측판(17a)의 내주부(內周部)에는, 스풀 지지부(15), 착탈부(19) 및 로크(lock) 부재(38)가 배치되어 있다. 착탈부(19) 및 로크 부재(38)는, 원환상(圓環狀)으로 형성되어 있고, 스풀 지지부(15)에 형성되어 있는 원통상(圓筒狀)의 기판(基板) 수납부(15a)의 외주에, 요동 가능하게 감합(嵌合)한다. 착탈부(19)에 형성되어 있는 조작 손잡이(19b)가, 로크 부재(38)의 외주에 형성되어 있는 노치(notch)부(部)(38c)에 배치되어 있다. 착탈부(19)는, 외주에 형성된 베이어닛(bayonet) 돌기(19c)가, 제1 측판(17a)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는 베이어닛 홈과 계합(係合)하여, 스풀 지지부(15)를 제1 측판(17a)에 결합한다. 착탈부(19)에 형성되어 있는 조작 손잡이(19b)를 조작하여, 착탈부(19)를 요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스풀 지지부(15)를 제1 측판(17a)에 착탈할 수 있다.
스풀 지지부(15)에는, 커버(18)를 연결하기 위한 제1 연결부(41)가 고정되어 있다. 제1 연결부(41)에는, 제2 연결부(42)가 축 방향으로 접동(摺動)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2 연결부(42)는, 단붙이 원주상(圓柱狀)이며, 선단(先端)에 커버(18)가 고정된다.
스풀 지지부(15)에는, 제동 장치의 제동력을 조절하는 제동 조절부(118)가 지지되어 있다. 제동 조절부(118)는, 스풀 지지부(15)의 중심의 둘레로 회동 가능하다.
스풀 지지부(15)에, 손잡이(51)의 회동 위치에서 제동 장치의 제동의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부(50)가 설치되어 있다. 모드 선택부(50)는, 눈금판(54)과 손잡이(51)를 포함한다. 눈금판(54)에는, 스풀 지지부(15)에 고정되는 지지판(54b)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눈금판(54)은, 나사(61)로 스풀 지지부(15)에 고정되어 있다. 눈금판(54)을 스풀 지지부(15)에 고정하는 나사(61)는, 제1 측판(17a)의 중심(C)에 위치한다. 손잡이(51)는, 손잡이(51)가 결합하는 지지축의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눈금판(54)에 지지되어 있다. 눈금판(54)에는, 제동 모드의 선택 위치를 나타내는 눈금(54a)이 형성되어 있다.
도 4는,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의 모드 선택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모드 선택부(50)는, 지지축(52)에 결합되어 있는 손잡이(51), 눈금판(54), 발음판(55) 및 선택 부재(53)를 포함한다. 선택 부재(53)에는, 3개의 자석(58)이 끼워 넣어지는 보지(保持) 구멍(53c)과, 위치 결정(56)을 수용하는 수용 구멍(53b)이 형성되어 있다. 선택 부재(53)의 3개의 보지 구멍(53c) 각각에 자석(58)이 끼워 넣어져 고정된다. 위치 결정(56)은, 수용 구멍(53b)에 접동 가능하게 수용된다. 위치 결정(56)에는, 수용 구멍(53b)으로부터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압박하는 용수철(57)이 끼워진다.
눈금판(54)에는, 손잡이(51)의 지지축(52)이 회동 가능하게 감합하는 지지 구멍(54c)이 형성되어 있다. 발음판(55)에는, 지지축(52)이 회동 가능하게 감합하는 축 구멍(55a)이 형성되어 있다. 발음판(55)의 외주에는, 눈금판(54)의 이면(裏面)에 형성된 오목부에 계합하는 볼록부(55b)가 형성되어 있다. 발음판(55)의 볼록부(55b)가 눈금판(54)의 오목부에 계합하고, 발음판(55)은 눈금판(54)에 대하여 회전 멈춤된다.
지지축(52)은, 원통형의 측면에, 축에 평행하고 서로 대향하는 2개의 평면이 회전 멈춤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선택 부재(53)에는, 지지축(52)이 회전 멈춤 감합하는 고정 구멍(53a)이 형성되어 있다. 선택 부재(53)의 고정 구멍(53a)은, 지지축(52)의 평면에 대응하는 서로 대향하는 평면이 형성되어 있고, 손잡이(51)에 대하여 정해진 방향으로 회전 멈춤된다.
지지축(52)은, 눈금판(54)에 형성된 지지 구멍(54c)과, 발음판(55)에 형성된 축 구멍(55a)을 관통(貫通)하여, 선택 부재(53)의 고정 구멍(53a)에 감합한다. 선택 부재(53)는, 나사(59)로 손잡이(51)의 지지축(52)에 고정된다. 눈금판(54)과 발음판(55)은, 손잡이(51)의 대좌(臺座)(51a)와 선택 부재(53)로 끼인다. 손잡이(51)와 선택 부재(53)는 일체가 되어, 눈금판(54) 및 발음판(55)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다. 눈금판(54)은, 지지판(54b)에 형성된 고정 구멍(54d)을 통과하는 나사(61)로, 스풀 지지부(15)에 고정된다. 따라서, 지지축(52)은, 손잡이(51)와 선택 부재(53)와의 사이에서 눈금판(54)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손잡이(51), 지지축(52) 및 선택 부재(53)는, 제동 모드를 선택하는 조작 부재를 구성한다.
발음판(55)에는, 선택 부재(53)에 대향하는 면에, 선택 부재(53)의 제동 모드를 선택하는 회동 위치에 맞추어, 위치 결정(56)의 선단이 끼이는 도시하지 않는 5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51)와 선택 부재(53)는, 위치 결정(56)의 선단이 발음판(55)의 구멍에 끼이는 회동 위치에서 정지되어 위치 결정된다. 위치 결정(56)의 선단이 발음판(55)의 구멍에 끼일 때에, 발음판(55)은 용수철(57)의 압박력에 의하여 위치 결정(56)에 튕겨져 음(音)을 발생한다.
도 5는,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스풀 지지부(15), 모드 선택부(50), 커버(18), 및, 스풀(14)과 스풀축(26)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서는, 프레임(17), 착탈부(19) 및 로크 부재(38)가 생략되어 있다.
스풀 지지부(15)에는, 기판 수납부(15a)의 내부에 베어링 수납부(15b)가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스풀 지지부(15)는, 베어링 수납부(15b)에 수납된 베어링(25)을 통하여 스풀축(26)의 일단(一端)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스풀축(26)에는, 스풀(14) 및 자석(27)이 회전 멈춤 감합되고, 스풀(14) 및 자석(27)과 스풀축(26)은 일체로 회전한다. 스풀 지지부(15)의 기판 수납부(15a)의 내부에서, 베어링 수납부(15b)의 주위에, 기판 조립체(70)가 배치되고, 스풀 지지부(15)에 보지되어 있다.
스풀 지지부(15)의 커버(18)의 측에, 모드 선택부(50)의 눈금판(54)이 나사(61)로 고정되어 있다. 스풀 지지부(15)와 눈금판(54)에는, 일방에 볼록부가, 타방(他方)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볼록부와 오목부가 서로 감합하여, 위치 결정되어 있다. 스풀 지지부(15)와 모드 선택부(50)를 커버(18)가 덮고 있다. 커버(18)에 형성된 창(18a)으로부터, 눈금판(54)과 손잡이(51)가 노출하고 있다. 스풀 지지부(15), 베어링(25), 기판 조립체(70), 모드 선택부(50) 및 커버(18)는, 일체로 제1 측판(17a)에 착탈할 수 있다.
전술대로, 손잡이(51)의 지지축(52)은, 눈금판(54)과 발음판(55)을 관통하고, 선택 부재(53)는, 나사(59)로 지지축(52)에 고정되어 있다. 선택 부재(53)에는, 자석(58)이 보지되어 있다. 선택 부재(53)에는, 또한, 위치 결정(56)이 접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위치 결정(56)은 용수철(57)로 발음판(55)을 향하여 압박되어 있다. 도 5는, 위치 결정(56)의 선단이, 발음판(55)에 형성된 오목부(55c)에 끼여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손잡이(51), 지지축(52) 및 선택 부재(53)는, 모드 선택부(50)의 조작 부재(60)를 구성하고, 일체로 회동한다.
기판 조립체(70)는, 스풀(14)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는 도시하지 않는 속도 검출부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스풀(14)에 형성된 회전하는 방향으로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패턴으로부터 반사되는 광(光)을, 센서로 읽어낸 신호로부터, 회전 속도를 검출한다.
기판 조립체(70)에는, 자석(27)과 대향하는 부분에 코일(71)이 실장(實裝)되어 있다. 자석(27)이 회전하면, 코일(71)에 기전력이 발생한다. 코일(71)의 단자간을 저항으로 접속하여, 코일(71)에 전류를 흐르게 하면 스풀(14)의 회전을 제동할 수 있다. 기판 조립체(70)에서는, 스풀(14)의 회전에 대하여, 코일(71)에 흐르는 전류의 타이밍과 크기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제동력을 제어한다. 자석(27), 코일(71) 및 기판 조립체(70)는, 제동 장치를 구성한다. 양 베어링 릴(10)에서는, 제동력을 발생하는 타이밍과 크기가 다른 복수의 제동 모드가 설정되어 있다. 실시 형태에서는, 5단계의 제동 모드가 설정되어 있다.
스풀 지지부(15)의 선택 부재(53)에 대향하는 부분에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선택 부재(53)와 기판 조립체(70)는, 사이에 차단하는 것이 없이, 직접 대향하고 있다. 기판 조립체(70)의, 선택 부재(53)에 대향하는 면에, 자기 센서(72)가 실장되어 있다. 기판 조립체(70)는, 자기 센서(72)로 선택 부재(53)에 보지된 자석(58)의 위치를 검출하고, 선택 부재(53)의 회동 위치를 식별한다. 예를 들어, 손잡이(51)가 5단계의 중앙의 회동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3개의 자석(58) 각각에 대향하는 위치에 자기 센서(72)를 실장하고, 3개의 자기 센서(72)의 자기 검출의 유무의 조합으로, 5단계의 회동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혹은, 자력선의 방향을 검출할 수 있는 자기 센서(72)를 2개 배치하여, 자기 센서(72) 각각으로 검출하는 자력선의 방향의 조합으로, 회동 위치를 식별한다. 기판 조립체(70)는, 식별한 선택 부재(53)의 회동 위치에 따른 제동 모드로, 제동력을 제어한다.
도 6은,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조작 부재의 회동이 차지하는 범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술대로, 손잡이(51), 지지축(52) 및 선택 부재(53)는, 제동 모드를 선택하는 조작 부재(60)를 구성한다. 도 6에서는, 조작 부재(60)가, 5단계의 중앙의 회동 위치에 있는 경우의, 스풀(14)의 축 방향으로의 투영이 해칭(hatching)으로 도시되어 있다. 조작 부재(60)가 회동 범위의 반시계 방향의 단에 있는 상태가 이점쇄선으로 도시되고, 시계 방향의 단에 있는 상태가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3, 도 4 및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조작 부재(60)는, 조작 부재(60)의 스풀(14)의 축 방향으로의 투영의 장경의 중심으로부터 일방으로 치우친 지지축(52)으로, 스풀(14)을 착탈하기 위한 개구(22)가 형성되어 있는 측의 릴 본체(11)의, 스풀(14)의 회전축의 둘레의 외형의 중심(C)으로부터 이격한 위치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여기에서 장경이란, 도형을 서로 평행한 2개의 직선으로 사이에 두었을 때에, 2개의 직선의 거리가 가장 큰 경우의, 각각의 직선과 도형이 접하는 점을 잇는 선분이다. 도 6에서는, 장경은, 조작 부재(60)의 투영의 대칭축이다.
조작 부재(60)의 제동의 모드를 선택하는 회동 위치의 각도 범위는, 지지축(52)으로부터 장경의 중심을 향하는 선이 릴 본체(11)의 외형의 중심(C)을 향하는 위치를 기점으로, 지지축(52)과 릴 본체(11)의 외형의 중심(C)을 잇는 선의 양측, 시계 방향으로 θ, 반시계 방향으로 φ이다. Θ와 φ는, 각각 90° 이하이다. 도 6에서는, θ와 φ는 동일하게 대칭이지만, 각도 범위는 지지축(52)과 릴 본체(11)의 외형의 중심(C)을 잇는 선에 관하여 대칭이 아니어도 무방하다.
조작 부재(60)의 장경은, 도형을 사이에 두는 2개의 직선의 거리가 가장 큰 위치이기 때문에, 조작 부재(60)의 장경에 직교하는 길이는, 장경의 길이보다 작다. 조작 부재(60)의 회동 위치의 각도 범위는, 지지축(52)과 릴 본체(11)의 외형의 중심(C)을 잇는 선으로부터 양측으로 각각 90° 이하이기 때문에, 조작 부재(60)의 회동이 차지하는 범위는, 지지축(52)을 중심으로 하는 조작 부재(60)의 투영이 그리는 원(圓) 중, 회동 위치가 90°를 넘는 릴 본체(11)의 외형의 중심(C)으로부터 먼 부분이 제외되어 있다. 그 결과, 조작 부재(60)의 측의 릴의 외형을 작게 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측판(17a)의 외형은 원이지만, 스풀(14)을 착탈하기 위한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측의 릴 본체(11)의, 스풀(14)의 회전축의 둘레의 외형은, 원으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외형이 원이 아닌 경우, 예를 들어, 외형의 축 방향으로의 투영의 중심, 또는, 외형의 축 방향으로의 투영의 장경의 중심을, 외형의 중심으로 한다.
실시 형태에서는, 눈금판(54)이 스풀 지지부(15)에 고정되는 지지판(54b)을 포함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지지축(52)을 지지하기 위한 대좌를 스풀 지지부(15)에 형성할 필요가 없고, 스풀 지지부(15)의 금형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모드 선택부(50)를 조립하고 나서, 모드 선택부(50)의 눈금판(54)을 스풀 지지부(15)에 고정하여, 동시에 조작 부재(60)의 위치 결정을 할 수 있다.
모드 선택부(50)의 조작 부재(60)의 회동 위치를 검출하는 방법은, 자석(58)과 자기 센서(72)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선택 부재(53)에 앱솔루트식의 로터리 인코더의 패턴을 형성하여 두고, 반사광의 패턴을 검출하여, 회동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제동의 모드는 5단계로 한정하지 않고, 4단계 이하, 또는 6단계 이상이어도 가능하다.
10: 양 베어링 릴
11: 릴 본체
14: 스풀
15: 스풀 지지부
17: 프레임
18: 커버
18a: 창
19: 착탈부
19b: 조작 손잡이
22: 개구
26: 스풀축
27: 자석
38: 로크 부재
41: 제1 연결부
42: 제2 연결부
50: 모드 선택부
51: 손잡이
51a: 대좌
52: 지지축
53: 선택 부재
53a: 고정 구멍
53b: 수용 구멍
53c: 보지 구멍
54: 눈금판
54a: 눈금
54b: 지지판
54c: 지지 구멍
54d: 고정 구멍
55: 발음판
55a: 축 구멍
55b: 볼록부
55c: 오목부
56: 위치 결정
57: 용수철
58: 자석
59: 나사
60: 조작 부재
61: 나사
70: 기판 조립체
71: 코일
72: 자기 센서

Claims (3)

  1. 낚싯줄이 권회(卷回)되는 스풀과,
    상기 스풀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스풀의 회전축의 방향으로 상기 스풀이 통과 가능한 개구(開口)가 형성된 릴 본체와,
    상기 릴 본체의 상기 개구의 측에 착탈(着脫)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스풀의 축을 상기 개구의 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풀 지지부와,
    상기 스풀의 회전을 제동하는 제동 장치와,
    상기 스풀 지지부에 설치되고, 조작 부재의 회동 위치에서 상기 제동 장치의 제동의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부
    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조작 부재의 상기 스풀의 축 방향으로의 투영의 장경(長徑)의 중심으로부터 일방(一方)으로 치우친 지지축으로, 상기 스풀을 착탈하기 위한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측의 상기 릴 본체의, 상기 스풀의 회전축의 둘레의 외형의 중심으로부터 이격(離隔)한 위치를 중심으로 회동(回動)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조작 부재의 상기 제동의 모드를 선택하는 회동 위치의 각도 범위는, 상기 지지축으로부터 상기 장경의 중심을 향하는 선이 상기 릴 본체의 상기 외형의 중심을 향하는 위치를 기점으로, 상기 지지축과 상기 외형의 중심을 잇는 선의 양측으로 각각 90° 이하인,
    양 베어링 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에 결합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와는 상기 지지축의 방향으로 공간을 두어 대향하고, 상기 지지축에 고정되는 선택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축은, 상기 손잡이와 상기 선택 부재와의 사이에서, 상기 스풀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양 베어링 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선택부는,
    상기 스풀 지지부와는 별체로 상기 스풀 지지부에 고정되고, 상기 손잡이의 회동 위치에서 선택되는 상기 제동의 모드를 나타내는 눈금판을 구비하고,
    상기 조작 부재의 지지축은, 상기 손잡이와 상기 선택 부재와의 사이에서 상기 눈금판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양 베어링 릴.
KR1020190026717A 2018-07-13 2019-03-08 양 베어링 릴 KR202000076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33579A JP7121569B2 (ja) 2018-07-13 2018-07-13 両軸受リール
JPJP-P-2018-133579 2018-07-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7637A true KR20200007637A (ko) 2020-01-22

Family

ID=68466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6717A KR20200007637A (ko) 2018-07-13 2019-03-08 양 베어링 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470449B1 (ko)
JP (1) JP7121569B2 (ko)
KR (1) KR20200007637A (ko)
CN (1) CN110710499B (ko)
TW (1) TWI81134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1691035S (ko) * 2020-12-25 2021-07-26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1054A (ja) 2004-02-02 2005-08-11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及びそれに用いるスプール制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695Y2 (ko) * 1979-02-05 1986-02-21
JPH0895132A (ja) * 1994-09-21 1996-04-12 Olympus Optical Co Ltd カメラ
US5950949A (en) * 1997-04-25 1999-09-14 Zebco Division Of Brunswick Corporation Adjustable brake for baitcast reel
US6003798A (en) * 1997-11-14 1999-12-21 Zebco Division Of Brunswick Corporation Adjustable brake for baitcast reel
JPH11275419A (ja) * 1998-03-26 1999-10-08 Sony Corp ビデオカメラのパワースイッチのストッパ構造
US5984221A (en) * 1998-10-21 1999-11-16 Zebco Division Of Brunswick Corporation Adjustable brake for baitcast reel
JP3472516B2 (ja) 1999-10-15 2003-12-02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電動リール
US6206311B1 (en) * 1999-12-30 2001-03-27 Brunswick Corporation Baitcast fishing reel with discreting backlash control
JP4785499B2 (ja) 2005-11-15 2011-10-05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JP4926037B2 (ja) * 2007-12-28 2012-05-09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KR200463643Y1 (ko) * 2010-09-02 2012-11-15 주식회사 코커스 낚시용 릴의 외부조절용 브레이크장치
KR200464020Y1 (ko) * 2010-09-16 2012-12-06 주식회사 코커스 낚시용 릴의 브러쉬 브레이크장치
JP5470225B2 (ja) 2010-11-26 2014-04-16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1054A (ja) 2004-02-02 2005-08-11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及びそれに用いるスプール制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121569B2 (ja) 2022-08-18
US10470449B1 (en) 2019-11-12
CN110710499A (zh) 2020-01-21
CN110710499B (zh) 2022-11-08
JP2020010611A (ja) 2020-01-23
TW202005526A (zh) 2020-02-01
TWI811341B (zh) 2023-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51433B2 (ja) スプール制動装置および魚釣用リール
KR102488899B1 (ko) 스풀 제동 장치 및 낚시용 릴
TWI589226B (zh) 雙軸承捲線器的捲筒制動裝置及雙軸承捲線器
US7618003B2 (en) Baitcast reel having externally adjustable dual brakes having centrifugal and magnetic brakes
JP2008178315A (ja) 両軸受リールのハンドル軸支持構造
KR100616144B1 (ko)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
JP2008178315A5 (ko)
KR20150039091A (ko) 양 베어링 릴
JP4381733B2 (ja) 両軸受リール
JP3325773B2 (ja) 両軸受リールの制動装置
JP2015065961A5 (ko)
KR20200007637A (ko) 양 베어링 릴
KR20010066838A (ko)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
JP2009159850A (ja)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JP6457212B2 (ja) 両軸受リール
JP2016021875A5 (ko)
JPH10155402A (ja)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
JP6739593B2 (ja) 魚釣用リール
JP2019150063A (ja) 魚釣用リール
JP3334846B2 (ja) 魚釣用両軸受型リール
JP2001224286A (ja) 魚釣用両軸受型リール
JP2002125544A (ja)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JP2019115278A (ja) 両軸受リール
JP2016036301A (ja) 両軸受リール
JP2016021876A (ja) 両軸受リール及び両軸受リールの制動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