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4876A - 반사경의 흐려짐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반사경의 흐려짐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4876A
KR20200004876A KR1020197036329A KR20197036329A KR20200004876A KR 20200004876 A KR20200004876 A KR 20200004876A KR 1020197036329 A KR1020197036329 A KR 1020197036329A KR 20197036329 A KR20197036329 A KR 20197036329A KR 20200004876 A KR20200004876 A KR 202000048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or
air
heat
warm
col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6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지 미조베
Original Assignee
신지 미조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지 미조베 filed Critical 신지 미조베
Publication of KR20200004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48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1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 G02B7/18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with means for compensating for changes in temperature or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rmal stabilisation
    • G02B7/1815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with means for compensating for changes in temperature or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rmal stabilisation with cooling or he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0/00Solar heat collecto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environments
    • F24S20/60Solar heat collectors integrated in fixed constructions, e.g. in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40Arrangements responsive to adverse atmospheric conditions, e.g. to signal icy roads or to automatically illuminate in fo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heating or dry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with reflectors; with means for keeping reflectors clea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3/00Arrangements for concentrating solar-rays for solar heat collectors
    • F24S23/70Arrangements for concentrating solar-rays for solar heat collectors with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60/00Arrangements for storing heat collected by solar heat collectors
    • F24S60/10Arrangements for storing heat collected by solar heat collectors using latent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70/00Details of absorbing elements
    • F24S70/60Details of absorb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0/00Solar heat collecto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environments
    • F24S20/60Solar heat collectors integrated in fixed constructions, e.g. in buildings
    • F24S20/61Passive solar heat collectors, e.g. operated without external energy sour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20Solar therm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에 의존하지 않고 태양광의 열을 이용함으로써 반사경의 흐려짐을 제거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반사경의 제거장치(1a)는, 태양광(L)의 열을 축적하는 중공구조의 집열체(2a)와, 집열체(2a)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구(3)와, 집열체(2a)의 공기를 난기로 하여 배출하는 난기배출구(4)와, 반사경(5)의 지주(8)에 부착되는 지지부(6)와, 집열체(2a)와 지지부(6)를 연결하는 연결구(7)를 구비하고 있고, 난기배출구(4)로부터 배출된 난기를 반사경(5)의 표면에 접촉시켜서 그 표면온도를 상승시킴으로써, 반사경(5)의 흐려짐을 제거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반사경의 흐려짐 제거장치
본 발명은, 태양광의 열로 데워진 공기에 의하여, 도로에 설치된 반사경(反射鏡)이 흐려지는 것을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태양전지나 전원배터리에 의한 전력을 사용하지 않고, 반사경이 흐려지는 것을 제거할 수 있는 반사경의 흐려짐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옥외에 설치되어 있는 반사경은, 야간의 서늘한 기후로 인하여 이슬 또는 서리가 부착되어 흐려지는 경우가 있고, 이러한 경우에는, 설치된 주변의 도로를 전망할 수 있도록 하는 반사경 본래의 기능이 장시간에 걸쳐서 상실된다. 일출 전의 어두운 상황 하에서 주행하는 차량은 전조등을 점등하고 있기 때문에, 반사경이 예를 들어 이슬 또는 서리가 부착되어 흐려진 상태에서도 반사경에 비쳐서 보이는 전조등에 의하여 다른 차량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일출 후의 밝아진 상황 하에서 주행하는 차량은 전조등을 점등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 반사경이 이슬 또는 서리가 부착되어 흐려진 상태에서는 반사경에 의하여 다른 차량의 존재를 확인할 수 없어, 결과로서 사고를 유발할 위험성이 높아진다.
그래서 이슬 또는 서리의 부착을 예방 또는 제거하는 반사경에 관하여 몇 개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는, 「결로 제거 커브미러」라는 명칭으로, 미러와, 이 미러를 고정하고 있는 배면판(背面板)과, 열선을 갖는 보드와, 태양전지와, 축전지와, 타이머를 구비하도록 구성된 커브미러에 관한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열선에 전기를 흐르게 함으로써 미러에 부착된 결로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특허문헌2에는, 「교통용 미러」라는 명칭으로, 미러 본체의 전체 면에 온풍을 내뿜기 위한 취출부(吹出部)에, 온풍을 보내기 위한 온풍수단을 연결하도록 구성된 고안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온풍에 의하여 미러에 부착된 이슬이나 서리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특허문헌3에는, 「도로 반사경」이라는 명칭으로, 반사경의 내부공간에 전동팬과, 전원배터리와, 충방전 제어회로와, 전원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태양광 발전패널을 구비하도록 구성된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전원배터리에 의하여 전동팬을 소정 기간 구동하여 결로를 방지할 수 있다.
특허문헌4에는, 「커브미러의 흐려짐 방지장치 및 그것을 부착한 커브미러」라는 명칭으로, 커브미러의 표면으로 송풍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 송풍기와, 태양광 발전기와, 축전기와, 차양을 구비하도록 구성된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가열된 공기를 송풍기에 의하여 커브미러의 표면으로 송풍함으로써 커브미러의 흐려짐을 방지할 수 있다.
특허문헌5에는, 「미러」라는 명칭으로, 경판(鏡板)과, 이 경판의 이면을 덮고 경판의 외주부분을 통하여 경판을 지지하는 이판(裏板)과, 경판 및 이판 중 적어도 일방에 형성된 개구를 갖는 미러를 구비하도록 구성된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개구를 통하여 경판의 이면의 공기를 환기하여, 경판의 온도와 경판의 주변의 온도 차이를 작게 함으로써 결로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7―268820호 공보 : 일본국 공개실용신안 실개소63―31113호 공보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1―231573호 공보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1―202435호 공보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5―290667호 공보
그러나 상기에서 설명한 종래기술인 특허문헌1에 개시된 발명에 있어서는, 태양전지, 축전지, 열선을 갖는 보드 등이 필요하게 되어, 커브미러의 제조 코스트가 높아지게 됨과 아울러, 설비가 복잡하기 때문에 그 후의 메인터넌스가 필요하게 된다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1에 개시된 발명은 전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옥외에 설치하는 반사경으로서 방수대책이 필요하다는 과제가 있었다. 또 이러한 방수대책이 필요하다는 과제는, 후술하는 특허문헌2 내지 특허문헌4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또한 특허문헌2에 개시된 고안에 있어서는, 온풍을 보내기 위하여 송풍유닛이나 히터가 필요하기 때문에, 미러의 제조 코스트가 높아지게 됨과 아울러, 이슬이나 서리의 부착 유무에 관계없이 외기의 온도에 의하여 온풍수단이 작동하기 때문에, 필요 이상으로 전력을 소비함과 아울러 온풍수단의 열화가 진행하기 쉽다는 과제가 있었다.
특허문헌3에 개시된 발명에 있어서는, 태양광 패널이나 전원배터리가 필요하기 때문에, 반사경의 제조 코스트가 높아지게 됨과 아울러, 전원배터리가 충분히 충전되지 않은 경우에는 결로방지기능이 발휘되지 않는다는 과제가 있었다.
특허문헌4에 개시된 발명에 있어서는, 태양광 발전기나 축전기가 필요하기 때문에, 커브미러의 제조 코스트가 높아지게 됨과 아울러, 축전기가 충분히 충전되지 않은 경우에는 결로방지기능이 발휘되지 않는다는 과제가 있었다.
특허문헌5에 개시된 발명에 있어서는, 미러의 구성으로서는 간이하고 저코스트로 제조할 수 있고 또한 메인터넌스가 필요없지만, 외기의 자연스러운 흐름만을 이용하기 때문에, 바람의 유무에 따라 결로의 발생방지기능이 좌우된다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맑은날 또한 무풍(無風) 혹은 미풍(微風)의 기상조건 하에서는 결로 혹은 서리가 부착되기 쉽고, 반대로 우천이나 바람이 강한 경우에는 결로 혹은 서리가 부착되기 어렵다. 바꾸어 말하면, 결로 혹은 서리가 부착되는 것은 무풍 혹은 미풍의 기상조건 하이기 때문에, 특허문헌5에 개시된 외기의 자연스러운 흐름만을 이용한 발명에서는, 결로의 발생방지기능이 떨어진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사정에 대처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전력에 의존하지 않고 태양광의 열을 이용함으로써 반사경의 흐려짐을 제거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1발명은, 태양광의 열에 의하여 데워진 공기를 사용하여 반사경의 흐려짐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반사경의 하방에 설치된 중공구조의 집열체와, 이 집열체에 설치되고 반사경의 하방에 설치된 공기공급구 및 난기배출구와, 반사경의 지주에 부착되는 지지부와, 이 지지부와 집열체를 연결하는 연결구를 구비하고, 집열체 중의 공기를 급기·배기하기 위한 팬 등의 장치를 설치하지 않고, 공기공급구보다 상방에 난기배출구를 설치함으로써, 집열체가 흡수한 태양광의 열에 의하여 데워진 공기가 상승하는 작용만에 의하여 집열체 중의 공기의 급기·배기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의 발명에 있어서는, 공기공급구로부터 집열체 내로 공급된 공기가 태양광의 열에 의하여 데워져서 난기로 되고, 이 난기가 난기배출구로부터 배출된 후에, 반사경의 표면을 따라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상승함으로써 반사경의 표면의 온도가 상승하여, 거기에 부착된 흐려짐이 제거된다는 작용을 갖는다.
또한 제2발명은, 제1발명에 있어서, 집열체가, 병렬로 복수 개 배치된 중공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의 발명에 있어서는, 제1발명과 동일한 작용에 부가하여, 중공 파이프 내의 공기가 집열체에 의하여 효율적으로 데워진다는 작용을 갖는다.
제3발명은, 제1발명 또는 제2발명에 있어서, 선단과 기단이 개구된 중공구조를 이루고, 기단이 접속된 난기배출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여 설치된 난기유도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의 발명에 있어서는, 제1발명 또는 제2발명과 동일한 작용에 부가하여, 태양광의 열에 의하여 데워진 집열체 내의 공기가 난기로 된 후에, 난기유도부에 의하여 유도되어, 효율적으로 반사경의 하방으로 공급된다는 작용을 갖는다.
제4발명인 반사경의 흐려짐 제거장치는, 제1발명 내지 제3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투명판에 의하여 형성되고, 집열체가 반사경의 하방에 설치된 상태에서 난기배출구로부터 배출된 난기를 반사경의 하방으로 유도하는 난기유도 보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의 발명에 있어서는, 제1발명 내지 제3발명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작용에 부가하여, 난기배출구로부터 배출된 난기가 반사경의 표면을 따라 상승하기 쉽게 되기 때문에, 이 난기에 의하여 반사경의 표면 전체가 효율적으로 데워진다는 작용을 갖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발명에 의하면, 태양전지나 전원배터리에 의한 전력을 사용하지 않고, 반사경의 흐려짐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력을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장치 자체의 구성이 간이하고, 전기배선이 불필요하고, 안전하고 또한 저코스트로 반사경을 제작할 수 있는 것 이외에, 전원배터리와 같이 일정 기간 사용하면 교환이 필요한 파츠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메인터넌스를 실시할 필요가 없다.
또한 연결구를 통하여 집열체에 연결되어 있는 지지부를 지주에 부착함으로써 난기배출구가 반사경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집열체를 반사경에 대하여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제2발명에 의하면, 제1발명과 동일한 효과가 발휘됨과 아울러, 공기가 중공 파이프 내를 흐르게 되어, 중공 파이프 내의 공기를 효율적으로 데워서, 보다 고온의 난기로서 난기배출구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제3발명에 의하면, 제1발명 또는 제2발명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과 동일한 효과가 발휘됨과 아울러, 태양광의 열에 의하여 데워져서 집열체로부터 배출된 난기를 효율적으로 반사경에 공급하여 반사경의 흐려짐을 더 단시간에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난기유도부를 유연성이 있는 소재로 제작하면, 반사경의 정면방향과 집열체의 정면방향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난기유도부를 비틀음으로써 용이하게 집열체의 난기를 반사경의 하방으로 공급할 수 있다.
제4발명에 의하면, 제1발명 내지 제3발명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과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과 아울러, 난기배출구로부터 배출되어, 반사경의 표면을 따라 상승하는 난기에 의하여 반사경의 표면 전체가 효율적으로 데워지기 때문에, 반사경의 흐려짐을 더 단시간에 제거할 수 있다.
[도1]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반사경의 흐려짐 제거장치의 실시예1의 외관 사시도이고, (b)는 동(同) 도1(a)에 있어서의 A―A선 화살표에서 볼 때의 단면의 확대도이다.
[도2] (a) 및 (b)는 집열체에 공기공급구를 설치하는 장소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3]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반사경의 흐려짐 제거장치의 실시예2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4]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반사경의 흐려짐 제거장치의 실시예3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5]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반사경의 흐려짐 제거장치의 실시예4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6]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반사경의 흐려짐 제거장치의 실시예5의 외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반사경(反射鏡)의 흐려짐 제거장치에 대하여 실시예1 내지 실시예5를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흐려짐」이라는 것은, 반사경에 부착된 이슬이나 서리에 의하여 반사경의 표면이 시인(視認)하기 어려운 상태가 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반사경의 흐려짐 제거」라는 것은, 「반사경의 이슬 또는 서리의 제거」의 의미를 포함한다. 또한 「반사경의 하방」이라고 할 때에는, 반사경의 하단부(下端部)에서 하방의 범위 뿐만 아니라, 반사경의 하단부로부터 30cm 상방까지의 범위도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은, 반사경이 원형인 경우를 상정하고 있지만, 사각형인 반사경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반사경의 흐려짐 제거장치는 동일하게 설치할 수 있다.
<실시예1>
도1(a)는 본 발명의 반사경의 흐려짐 제거장치가 반사경에 설치된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고, 도1(b)는 도1(a)에 있어서의 A―A선 화살표에서 볼 때의 단면의 확대도이다. 또한 도2(a) 및 도2(b)는 집열체(集熱體)에 공기공급구를 설치하는 장소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1(a) 및 도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반사경의 흐려짐 제거장치(1a)는, 태양광(L)의 열을 축적하는 중공구조(中空構造)의 집열체(2a)와, 집열체(2a)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구(空氣供給口)(3)와, 집열체(2a)의 공기를 난기(暖氣)의 상태로 하여 배출하는 난기배출구(暖氣排出口)(4)와, 반사경(5)의 지주(支柱)(8)에 부착되는 지지부(6)와, 집열체(2a)와 지지부(6)를 연결하는 연결구(連結具)(7)를 구비하고 있다.
즉 반사경의 흐려짐 제거장치(1a)는, 난기배출구(4)로부터 배출된 난기를 반사경(5)의 표면에 접촉시켜서 그 표면온도를 상승시킴으로써 반사경(5)의 흐려짐을 제거하는 것이다.
집열체(2a)는, 공기공급구(3)와 난기배출구(4)를 각각 연결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관로(管路)를 내부에 갖고 단면이 직사각형인 직육면체이며, 태양광(L)으로부터 열에너지를 흡수하여 열을 축적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중공구조라는 것은, 공기가 일시적으로 체류하는 공간부를 갖는 구조를 의미한다.
또한 집열체(2a)는, 그 배면(背面)(13b)이 태양광(L)이 조사(照射)되는 방향에 대하여 대략 수직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태양광(L)이 집열체(2a)의 각 면의 외측 혹은 정면(13a)의 내측으로 조사됨으로써 집열체(2a) 중의 공기가 데워진다.
집열체(2a)의 각 면이나, 후술하는 난기유도부(暖氣誘導部)(11)의 일부 또는 전체의 재질은 열을 흡수하는 재질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열을 흡수하는 재질로서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은, 구리 등의 금속이나, 스테인레스강, 내열강, 합금강, 탄소강 등의 강이나, 질화알루미늄, 질화규소, 질화붕소 등의 질화물 세라믹이나, 탄화규소, 탄화지르코늄, 탄화탄탈 등의 탄화물 세라믹이나, 실리카, 알루미나 등의 산화물 세라믹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집열체(2a)의 각 면의 일부 또는 전체는, 검은색, 그레이, 갈색 등의 광을 흡수하기 쉬운 짙은 색채의 시트로 덮거나 검은색, 그레이, 갈색 등의 광을 흡수하기 쉬운 짙은 색채로 도장하여도 좋다. 또한 집열체(2a)의 각 면의 일부 또는 전체를 요철형상 또는 파형형상으로 하여 표면적을 늘려도 좋다.
집열체(2a)의 배면(13b)의 재질은, 열을 놓아주기 어려운 투명한 아크릴 수지나 글라스 등이더라도 좋다. 이러한 구조이면, 태양광(L)이 집열체(2a)의 정면(13a)을 집열체(2a)의 내측으로부터 조사한 경우에도, 그 열이 정면(13a)으로부터 달아나기 어렵기 때문에, 집열체(2a) 중의 공기가 효율적으로 데워지게 된다. 그리고 집열체(2a)의 정면(13a)의 내측(집열체(2a)의 내면)을 상기에서 설명한 열을 흡수하는 부재로 설치하면, 더 유효하다.
또한 집열체(2a)의 배면(13b) 이외의 외주면, 예를 들면 정면(13a), 측면(13c, 13d), 상면(13e), 바닥면(13f)에 있어서의 외기(外氣)와 접하는 면을 발포우레탄, 발포스티렌, 목재, 글라스울 등의 단열재로 덮으면, 집열체(2a) 중의 공기를 의하여 효율적으로 데울 수 있다.
집열체(2a)의 바닥면(13f)에는, 집열체(2a)에 공기를 공급하는 개구가 되는 공기공급구(3)가 설치되어 있다. 공기공급구(3)는, 예를 들면 직사각형, 정사각형 등의 사각형이나 타원, 정원(正圓, perfect circle) 등의 원형을 이루는 것으로 하고, 그 수는 1개이더라도 복수 개이더라도 좋다. 또한 공기공급구(3)는, 집열체(2a)의 양 측면 또는 일방(一方)의 측면에 구비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2(a)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난기배출구(4)가 설치된 상면(13e)과 직교하는 측면(13c)에 공기공급구(3)를 설치하면, 공기공급구(3)로부터 집열체(2b)의 내부로 공급된 공기가 직선적으로 이동하여 난기배출구(4)로부터, 그대로 집열체(2b)의 외부로 배출되어 버릴 가능성이 낮아지게 되기 때문에, 집열체(2b)의 내부에 있어서의 공기의 체류시간을 보다 길게 할 수 있다.
또한 집열체의 측면(13c, 13d)에 공기공급구(3)를 각각 설치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도2(b)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공기공급구(3, 3)를 상면(13e)에 접속된 단부(端部)로부터의 거리가 다른 장소에 각각 설치하면, 일방의 공기공급구(3)로부터 집열체(2c)의 내부로 공급된 공기가, 그대로 타방(他方)의 공기공급구(3)로부터 배출되어 버릴 가능성이 낮아지게 되기 때문에, 집열체(2c)의 내부에 있어서의 공기의 체류시간을 보다 길게 할 수 있다.
집열체(2a∼2c)에 있어서, 상면(13e)에 뿐만 아니라 측면(13c, 13d)의 상부에 난기배출구(4)를 설치하여도 좋다. 주위의 공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따뜻한 공기는 상승하기 때문에, 이와 같이 집열체(2a∼2c)에 있어서, 상면(13e) 또는 측면(13c, 13d)의 상부에 난기배출구(4)를 설치하면, 집열체(2a∼2c) 중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팬 등의 장치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집열체(2a∼2c) 중의 공기를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난기배출구(4)로부터 집열체(2a∼2c) 중의 공기가 배출됨으로써, 공기공급구(3)로부터 집열체(2a∼2c)의 외부의 공기가 집열체(2a∼2c) 중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집열체(2a∼2c) 중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팬 등의 장치도 불필요하다. 또 난기배출구(4)의 형상은, 예를 들면 직사각형, 정사각형 등의 사각형이나 타원, 정원 등의 원형이며, 그 수는 1개이더라도 복수 개이더라도 좋다.
집열체(2a∼2c)의 상부에는, 연속기포의 발포체나 탄소섬유시트 등의 미소한 공극을 갖는 집열재(集熱材)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 집열체(2a∼2c) 중의 공기의 체류시간이 보다 길어지게 된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집열체(2a∼2c) 중에 칸막이판을 설치하여, 공기의 유로(流路)가 지그재그 모양으로 되풀이되도록 하여도 좋다(도시하지 않는다). 이 경우에 집열체(2a∼2c)의 내부에서 공기가 체류하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기 때문에, 공기를 효율적으로 데울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도로에 설치된 반사경의 직경은 45cm∼100cm이기 때문에, 예를 들면 집열체(2a∼2c)는, 상면(13e)과 바닥면(13f)의 길이와 폭을 각각 20cm∼110cm 및 1cm∼10cm로 하고, 측면(13c, 13d)의 길이를 15cm∼100cm로 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6)는, 집열체(2a∼2c)의 배면(13b)에 연결된 연결구(7)와, 이 연결구(7)에 고정된 1조의 지지체(6a)로 이루어지고, 난기배출구(4)는, 하단부가 지반(地盤)에 매설된 반사경(5)의 지주(8)에 대하여 반사경(5)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이 지지부(6)를 사용하여 부착된다.
또 반사경(5)에 대한 지지체(6a, 6a)의 고정은 볼트, 너트기구에 의하여 실시되지만, 이외의 공지된 임의의 고정기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집열체(2a∼2c)는, 집열작용이 효과적으로 발휘되도록, 그 배면(13b)이 동쪽으로부터 남동쪽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집열체(2a∼2c)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지지부(6)가 회전이동부를 구비한 구조로 하여도 좋다.
<실시예2>
도3은 실시예2의 반사경의 흐려짐 제거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또 도1에서 나타낸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3에 있어서도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반사경의 흐려짐 제거장치(1b)에서는, 집열체(2d)가 병렬로 연결된 복수 개의 파이프(9)에 의하여 설치되어 있다. 파이프(9)는, 전술한 「열을 흡수하는 부재」로 설치되어 있고, 그 내경은 0.5cm∼10cm이다. 그리고 파이프(9)의 하단(下端)(9a)과 상단(上端)(9b)은, 각각 공기공급구(3) 및 난기배출구(4)로서 기능한다.
또 파이프(9)는 나선모양을 이루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 집열체(2d)의 내부에서 공기가 체류하는 시간이 길어지게 된다는 메리트가 있다.
<실시예3>
도4는 실시예3의 반사경의 흐려짐 제거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또 도1에서 나타낸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4에 있어서도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반사경의 흐려짐 제거장치(1c)에서는, 집열체(2e)가 사행(蛇行)하는 1개의 파이프(10)에 의하여 설치되어 있다. 파이프(10)는, 하단(10a)이 공기공급구(3)로 되어 있고, 상단(10b)이 난기배출구(4)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집열체(2e) 중의 공기의 체류시간을 보다 길게 하여, 효율적으로 공기를 데울 수 있다. 또 파이프(10)의 상단(10b)을 폐쇄하고, 그 근방의 상면방향의 위치에 개구부를 형성하여 난기배출구(4)로 하는 것도 유효하다.
<실시예4>
도5는 실시예4의 반사경의 흐려짐 제거장치의 외관 사시도로서, 실시예1의 반사경의 흐려짐 제거장치(1a)에 있어서, 난기유도부(11)를 구비한 도면에 상당한다. 또 도1에서 나타낸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5에 있어서도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반사경의 흐려짐 제거장치(1d)는, 선단(先端)(11a)과 기단(基端)(1lb)이 개구된 중공구조를 이룸과 아울러 기단(1lb)이 접속된 난기배출구(4)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난기유도부(11)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집열체(2a)에서 데워진 공기가 반사경(5)의 하방으로 유도되어, 그 일부에 국소적으로 공급된다.
또 변형될 수 있는 부재에 의하여 난기유도부(11)를 설치하면, 반사경(5)의 정면방향과 집열체(2a)의 정면방향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난기유도부(11) 자체를 비틀음으로써 난기배출구(4)로부터 배출되는 난기를 반사경(5)의 하부로 유도할 수 있다.
<실시예5>
도6은 실시예5의 반사경의 흐려짐 제거장치의 외관 사시도로서, 실시예1의 반사경의 흐려짐 제거장치(1a)에 있어서, 난기유도 보조구(暖氣誘導 補助具)(12)를 구비한 도면에 상당한다. 또 도1에서 나타낸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6에 있어서도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반사경의 흐려짐 제거장치(1e)는, 투명판으로 형성되고, 난기배출구(4)로부터 배출된 난기가 반사경(5)의 표면을 따라 상승하도록, 그 난기를 반사경(5)의 하방으로 유도하는 난기유도 보조구(12)가 난기배출구(4)의 상방에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난기배출구(4)로부터 배출된 난기가 반사경(5)의 표면을 따라 상승함으로써, 반사경(5)의 표면 전체가 효율적으로 데워지기 때문에, 반사경(5)의 흐려짐을 더 단시간에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난기유도 보조구(12)는 투명판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반사경(5)에 비쳐서 보이는 사상(寫像)이 가려질 우려가 없다.
또 난기유도 보조구(12)는, 난기배출구(4)를 대신하여 난기유도부(11)의 상단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난기유도 보조구(12)의 표면에, 발수코트(撥水coat) 등의 물방울 부착을 억제하기 위한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난기유도 보조구(12) 자체의 흐려짐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난기유도 보조구(12)는, 반사경(5)의 표면 특히 반사경(5)의 하부를 덮는 것이기 때문에, 그 높이는 예를 들면 5cm∼50cm 정도이면 좋다.
옥외에 설치된 도로 반사경의 흐려짐 제거장치로서 이용할 수 있다.
1a : 반사경의 흐려짐 제거장치
1b : 반사경의 흐려짐 제거장치
1c : 반사경의 흐려짐 제거장치
1d : 반사경의 흐려짐 제거장치
1e : 반사경의 흐려짐 제거장치
2a : 집열체
2b : 집열체
2c : 집열체
2d : 집열체
2e : 집열체
3 : 공기공급구
4 : 난기배출구
5 : 반사경
6 : 지지부
6a : 지지체
7 : 연결구
8 : 지주
9 : 파이프
9a : 하단
9b : 상단
10 : 파이프
10a : 하단
10b : 상단
11 : 난기유도부
11a : 선단
1lb : 기단
12 : 난기유도 보조구
13a : 정면
13b : 배면
13c : 측면
13d : 측면
13e : 상면
13f : 바닥면
L : 태양광

Claims (2)

  1. 태양광(L)의 열에 의하여 데워진 공기를 사용하여 반사경(反射鏡)(5)의 흐려짐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상기 반사경(5)의 하방에 설치된 중공구조의 집열체(集熱體)(2a)와,
    이 집열체(2a)에 설치되고 상기 반사경(5)의 하방에 설치된 공기공급구(空氣供給口)(3) 및 난기배출구(暖氣排出口)(4)와,
    상기 반사경(5)의 지주(支柱)(8)에 부착되는 지지부(6)와,
    이 지지부(6)와 상기 집열체(2a)를 연결하는 연결구(連結具)(7)를
    구비하고,
    상기 집열체(2a) 중의 공기를 급기·배기(給氣·排氣)하기 위한 팬 등의 장치를 설치하지 않고, 상기 공기공급구(3)보다 상방에 상기 난기배출구(4)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집열체(2a)가 흡수한 태양광(L)의 열에 의하여 데워진 공기가 상승하는 작용만에 의하여 상기 집열체(2a) 중의 공기의 급기·배기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경의 흐려짐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투명판에 의하여 형성되고, 상기 집열체(2a)가 상기 반사경(5)의 하방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난기배출구(4)로부터 배출된 난기를 상기 반사경(5)의 하방으로 유도하는 난기유도 보조구(暖氣誘導 補助具)(12)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경의 흐려짐 제거장치.
KR1020197036329A 2017-07-27 2018-03-28 반사경의 흐려짐 제거장치 KR202000048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45905A JP6347357B1 (ja) 2017-07-27 2017-07-27 反射鏡の曇り除去装置
JPJP-P-2017-145905 2017-07-27
PCT/JP2018/013004 WO2019021533A1 (ja) 2017-07-27 2018-03-28 反射鏡の曇り除去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4876A true KR20200004876A (ko) 2020-01-14

Family

ID=62706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6329A KR20200004876A (ko) 2017-07-27 2018-03-28 반사경의 흐려짐 제거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00173691A1 (ko)
JP (1) JP6347357B1 (ko)
KR (1) KR20200004876A (ko)
CN (1) CN110945185A (ko)
WO (1) WO201902153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0505A (ko) 2020-03-27 2021-10-07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성에 방지 및 안전정보 안내기능이 구비된 도로반사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01610B (zh) * 2020-05-20 2021-08-27 章警帅 一种道路工程用的反射装置
CN111501609B (zh) * 2020-05-20 2021-08-27 章警帅 一种市政用的防撞反射镜设备
CN112301907A (zh) * 2020-11-05 2021-02-02 德清之家纺织有限公司 一种道路雨水灯光警示牌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1113U (ko) 1986-08-12 1988-02-29
JPH07268820A (ja) 1994-04-01 1995-10-17 Sadatoshi Mori 結露除去カーブミラー
JP2005290667A (ja) 2004-03-31 2005-10-20 Sheet Metal Zip:Kk ミラー
JP2011202435A (ja) 2010-03-26 2011-10-13 Apollo Holdings:Kk カーブミラーの曇り防止装置、及びそれを取り付けたカーブミラー
JP2011231573A (ja) 2010-04-30 2011-11-17 Voc Direct Co Ltd 道路反射鏡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8901U (ko) * 1985-05-31 1986-12-12
JPS62253808A (ja) * 1986-01-23 1987-11-05 信正工業株式会社 道路用反射鏡
JPS641U (ko) * 1987-06-19 1989-01-05
JPH01165809A (ja) * 1987-12-22 1989-06-29 Nakajima Hiroshi 曇り防止装置付き道路反射鏡
JPH0715810U (ja) * 1993-08-24 1995-03-17 オカモト株式会社 カ−ブミラ−
JP2000064229A (ja) * 1998-08-21 2000-02-29 Miyaki Takeji 曇り止め装置付きカーブミラー
US20010050274A1 (en) * 2000-06-05 2001-12-13 Decker Andrew M. Defogger
JP2002105915A (ja) * 2000-09-28 2002-04-10 Voc Direct:Kk カーブミラーの結露防止方法と、その装置、それを使用するカーブミラー
CN1797046A (zh) * 2004-12-27 2006-07-05 横泽洋充 具有防雾功能的反射镜
CN201405829Y (zh) * 2009-06-03 2010-02-17 郑钢锋 一种用于汽车倒车镜镜面自动除雾的导风盒
JP5737811B2 (ja) * 2010-01-08 2015-06-17 積水樹脂株式会社 防曇性道路反射鏡
CN105507175A (zh) * 2016-01-22 2016-04-20 绵阳斯瑞曼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防结露道路广角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1113U (ko) 1986-08-12 1988-02-29
JPH07268820A (ja) 1994-04-01 1995-10-17 Sadatoshi Mori 結露除去カーブミラー
JP2005290667A (ja) 2004-03-31 2005-10-20 Sheet Metal Zip:Kk ミラー
JP2011202435A (ja) 2010-03-26 2011-10-13 Apollo Holdings:Kk カーブミラーの曇り防止装置、及びそれを取り付けたカーブミラー
JP2011231573A (ja) 2010-04-30 2011-11-17 Voc Direct Co Ltd 道路反射鏡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0505A (ko) 2020-03-27 2021-10-07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성에 방지 및 안전정보 안내기능이 구비된 도로반사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027090A (ja) 2019-02-21
JP6347357B1 (ja) 2018-06-27
CN110945185A (zh) 2020-03-31
US20200173691A1 (en) 2020-06-04
WO2019021533A1 (ja) 2019-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04876A (ko) 반사경의 흐려짐 제거장치
JP5389925B2 (ja) 熱の回収及び太陽光による空気加熱のための透明な有孔板ガラス
EP2098804A2 (en) Roof tile or tiled solar thermal collector
CN107199850B (zh) 客室电加热器
US20120037215A1 (en) Photovoltaic module with heater
CN202242881U (zh) 太阳能通风汽车顶棚
CN101451764B (zh) 浴室暖风取暖器
KR20130105129A (ko) 제설유닛이 구비된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 및 그 제설유닛의 제어방법
CN211229648U (zh) 一种冬暖夏凉的公交车候车亭
CN215817166U (zh) 一种恶劣天气建筑工地用配电箱
CN101867328A (zh) 太阳能收集器
KR100991467B1 (ko) 대기환경 정화장치
CN201081320Y (zh) 太阳能采暖系统
CN203188362U (zh) 太阳能房屋
CN207796917U (zh) 一种具有控温除冰功能的汽车灯
CN208343897U (zh) 以太阳能为能源的半导体制冷加热汽车车窗恒温系统
CN206559759U (zh) 新型电气柜
CN105151007A (zh) 一种新能源汽车的挡风玻璃除雾装置
CN215978627U (zh) 一种节能环保型候车亭
CN212457094U (zh) 采用红色石英管的取暖器
CN216924785U (zh) 一种新能源太阳能热水器的支架
CN205208702U (zh) 一种高效取暖器
CN213806790U (zh) 一种抗风、抗雪和防倾覆的智能公交候车亭
CN217956760U (zh) 一种新型发电装置
KR102395578B1 (ko) 태양광을 이용한 공기 살균 기능이 구비된 차량의 실내 온도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