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1718A - 트롤리선 굽힘 공구 - Google Patents

트롤리선 굽힘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1718A
KR20190141718A KR1020197034356A KR20197034356A KR20190141718A KR 20190141718 A KR20190141718 A KR 20190141718A KR 1020197034356 A KR1020197034356 A KR 1020197034356A KR 20197034356 A KR20197034356 A KR 20197034356A KR 20190141718 A KR20190141718 A KR 20190141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trolley wire
pair
handles
com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4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6707B1 (ko
Inventor
아키라 세키네
겐타로우 사토우
겐토 우에무라
신야 이와타
마코토 나카소
다카시 오구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나가키세이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나가키세이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나가키세이키
Publication of KR20190141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1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6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6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00Bending wire other than coiling; Straightening wire
    • B21F1/02Straight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7/00Pliers; Other hand-held gripping tools with jaws on pivoted limbs; Details applicable generally to pivoted-limb han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28Manufacturing or repairing trolley l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Wire Processing (AREA)
  • Gripping Jigs, Holding Jigs, And Positioning Jigs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공구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그 회동 단부로부터 회동 조작이 입력되는 한 쌍의 핸들(21, 22)과, 트롤리선(T)의 외주의 편측으로부터 접하는 제1 접촉부(30) 및 제2 접촉부(40)와, 트롤리선의 외주의 역측으로부터 접하는 제3 접촉부(50)를 구비하고, 한 쌍의 핸들은 지렛대 구조에 의해, 제1 접촉부 및 제2 접촉부와 제3 접촉부가 상대적으로 접근 또는 이격하도록 이동시키고, 공구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 측에 한 쌍의 핸들의 회동 단부가 위치하고, 공구의 길이 방향의 타단부 측에 제1~제3 접촉부가 위치하고 있다.

Description

트롤리선 굽힘 공구
본 발명은 트롤리선 굽힘 공구에 관한 것이다.
트롤리선은, 팬터그래프를 통해 차량에 집전(集電)을 행하는 접촉 전선이며, 그 외주의 상부에는 전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2개의 오목홈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조가선(吊架線)의 각 개소로부터 매달린 복수의 행거가, 그 하단부에 설치된 한 쌍의 클로에 의해 트롤리선의 2개의 오목홈을 협지하여 트롤리선을 조가 지지하고 있다. 트롤리선은, 이와 같이, 상부에 설치된 2개의 오목홈에 의해 조가 지지되므로, 외주의 대략 하반분을 팬터그래프와의 미끄럼 접촉 영역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트롤리선은, 팬터그래프가 미끄럼 접촉한 상태로 사용되므로, 기계적, 전기적으로 마모를 발생시킨다. 이 때문에, 트롤리선은, 마모에 의해 수명이 되기 전에 교체를 행할 필요가 있었다. 그때, 교체용의 새로운 트롤리선은 드럼에 감긴 상태로 보관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할 때에 둥글게 된 형상의 굴곡이 져 있는 경우가 있었다.
또, 트롤리선은, 팬터그래프가 미끄럼 접촉한 상태로 사용되므로,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압압(押壓)에 의한 외란을 받기 쉽고, 이들에 의해 기설된 트롤리선에 구부러짐이나 요철의 굴곡이 져 있는 경우도 있었다.
트롤리선에 굴곡이 있으면, 열차의 팬터그래프 통과 시에 이선(離線)되어 불꽃의 발생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고, 또, 트롤리선의 국소적인 마모의 원인도 될 수 있으므로, 트롤리선의 굴곡을 제거하기 위한 공구에 의해 교정이 행해지고 있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의 공구는, 조작봉의 선단부에 설치된 타원 부재와, 타원 부재의 좌우 양측에서 조작봉의 선단 근방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암부와, 각 암부의 선단부에 설치된 한 쌍의 가동 롤러와, 한 쌍의 암부를 회동시키는 손잡이 암부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타원 부재를 트롤리선의 한쪽의 측면에 접촉시킴과 더불어 한 쌍의 가동 롤러를 트롤리선의 다른 쪽의 측면에 접촉시킨 상태로 손잡이 암부를 조작하여 한 쌍의 암부를 회동시켜서, 가동 롤러의 압접에 의해 트롤리선의 굴곡의 교정이 행해지고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2014-155231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의 공구는, 한 쌍의 암부를 회동시키는 손잡이 암부의 조작에 큰 힘을 필요로 하여, 트롤리선이 경질 재료인 경우나 외경이 큰 경우에는, 그 교정 작업이 매우 곤란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기계의 동력을 이용하는 경우에서도, 출력이 큰 대형 기계가 필요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트롤리선의 교정 작업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한 트롤리선 굽힘 공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회동 단부로부터 회동 조작이 입력되는 한 쌍의 핸들과, 트롤리선의 외주의 편측으로부터 접하는 제1 접촉부 및 제2 접촉부와, 상기 트롤리선의 외주의 역측으로부터 접하는 제3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핸들로부터, 2단계의 지렛대 구조를 통해, 상기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2 접촉부와 상기 제3 접촉부가 상대적으로 접근 또는 이격하도록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2단계의 지렛대 구조에 의해, 한 쌍의 핸들로부터 가하는 힘에 대해 제1~제3 접촉부에 의해 트롤리선에 큰 가압력을 가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제3 접촉부는, 모두, 상기 한 쌍의 핸들의 회동 중심선을 따른 방향의 한쪽과 다른 쪽의 양쪽 모두를 향해 돌출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제1~제3 접촉부는, 모두, 상기 한 쌍의 핸들의 회동 중심선을 따른 방향의 한쪽과 다른 쪽의 양쪽 모두에, 상기 트롤리선이 끼이는 오목부를 가지는 맞닿음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제3 접촉부의, 상기 한 쌍의 핸들의 회동 중심선을 따른 방향의 한쪽에 설치된 상기 맞닿음 부재의 오목부와, 상기 한 쌍의 핸들의 회동 중심선을 따른 방향의 다른 쪽에 설치된 상기 맞닿음 부재의 오목부는, 외경의 사이즈가 상이한 트롤리선이 끼이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제1~제3 접촉부의 한쪽의 돌출측과 또 다른 한쪽의 돌출측에서 각각 외경의 사이즈가 상이한 트롤리선을 용이하게 끼워넣을 수 있어, 외경이 상이한 복수의 트롤리선의 교정 작업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제3 접촉부는, 모두, 상기 트롤리선이 끼이는 오목부를 가지는 맞닿음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제3 접촉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오목부의 방향이 바뀌지 않도록, 유지되어 있는 구성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제1~제3 접촉부 중 어느 한쪽이 전동하여 트롤리선의 위치 어긋남을 발생시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공구에 대해 착탈 가능한 스탠드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트롤리선을 드럼으로부터 인출한 후의 지상에 있어서의 굽힘 교정 작업에 있어서, 스탠드에 지탱된 상태로 트롤리선의 교정 작업을 행할 수 있어, 트롤리선의 중량에 의한 부담을 경감한다.
또, 스탠드는 착탈 가능한 점에서, 필요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탠드는, 상기 공구를 요동 가능하게 하는 요동 구조를 가지는 구성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스탠드에 지탱된 상태로 트롤리선의 교정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 트롤리선 굽힘 공구를 용이하게 기울일 수 있어, 트롤리선의 자세에 따라 교정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핸들의 회동 범위를 조절하는 조절기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트롤리선의 교정량을 조절기로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한 쌍의 핸들의 회동 단부로부터 회동 조작을 입력을 갖고, 공구의 일단부에 트롤리선에 접하는 제1~제3 접촉부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처리가 용이하여, 트롤리선이 어떤 방향이어도 교정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트롤리선 굽힘 공구는, 제1~제3 접촉부에서 트롤리선의 교정 작업을 행하므로, 크게 만곡한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국소적인 요철 등의 다양한 변형 상태에 있는 트롤리선을 교정할 수 있다.
또, 2단계의 지렛대 구조를 구비하므로, 제1~제3 접촉부로부터 트롤리선에 큰 가압력을 가할 수 있어, 트롤리선이 경질 재료로 이루어지는 경우나 지름이 큰 경우에도 교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이에 의해, 기계의 동력을 이용하는 경우에서도, 출력이 큰 대형 기계를 필요로 하지 않아, 소형의 동력 기계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작업성이 높은 트롤리선 굽힘 공구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트롤리선 굽힘 공구의 평면도이다.
도 2는, 트롤리선 굽힘 공구의 측면도이다.
도 3a는, 제3 접촉부의 평면도이다.
도 3b는, 제3 접촉부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스탠드의 전체도이다.
도 5는, 스탠드의 부분 확대도이다.
[트롤리선 굽힘 공구의 전체 구성]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트롤리선 굽힘 공구(10)를 예시한다.
도 1은 트롤리선 굽힘 공구(10)의 평면도, 도 2는 측면도이다.
트롤리선 굽힘 공구(10)는,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회동 단부로부터 수동에 의한 회동 조작이 입력되는 한 쌍의 핸들(21, 22)과, 트롤리선(T)의 한쪽 측에 접하는 제1 접촉부(30) 및 제2 접촉부(40)와, 트롤리선(T)의 다른 쪽 측에 접하는 제3 접촉부(50)와, 제1 접촉부(30)를 지지하는 제1 레버(60)와, 제2 접촉부(40)를 지지하는 제2 레버(70)와, 한 쌍의 핸들(21, 22)의 회동 범위를 조절하는 조절기(80)와, 스탠드(9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한 쌍의 핸들(21, 22)의 길이 방향에 평행이며, 한 쌍의 핸들(21, 22)이 서로 회동할 때의 궤적을 포함하는 평면을 '회동면'으로 한다.
[핸들]
한 쌍의 핸들(21, 22)은, 동일 구조이며, 이들은, 모두, 강성이 높은 금속,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제로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봉형상의 본체부(211)와, 본체부(211)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된 연결부(212)와, 본체부(211)의 타단부에 설치된 그립(213)을 구비하고 있다.
연결부(212)는, 본체부(211)의 일단부를 삽입 가능한 원통부(214)와, 원통부(214)로부터 연장되는 판형의 연장부(215)를 가지고 있다.
원통부(214)는, 일단부가 개구되어 본체부(211)를 삽입 가능하다. 또, 타단부는 폐색되고, 그 폐색 단면으로부터 연장부(215)가 연장되어 있다. 또, 원통부(214)에는, 그 외주로부터 내측으로 관통하는 나사 구멍이 2개 형성되어 있고, 각 나사 구멍에 나사 삽입된 고정 나사에 의해 본체부(211)에 체결 고정되어 있다.
연장부(215)는, 본체부(211)를 연장하는 방향에 대해 약간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연장 단부에 있어서, 또 다른 한쪽의 핸들(21 또는 22)의 연장부(215)의 연장 단부와 겹쳐져 볼트(216)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볼트(216)는, 지지축으로서 기능하며, 핸들(21)과 핸들(22)을 각각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을 따른 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이에 의해, 한 쌍의 핸들(21, 22)은, 서로의 회동 단부를 근접 또는 이격시킬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핸들(21, 22)이 서로 근접하고 또한 평행이 되는 상태를 트롤리선 굽힘 공구(10)의 기준 자세로 하고, 당해 기준 자세에 있어서의 한 쌍의 핸들(21, 22)의 길이 방향을 트롤리선 굽힘 공구(10)의 길이 방향으로 한다. 또,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볼트(216)에 의한 연결 단부 측)을 '전'으로 하고,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 쪽(그립(213) 측)을 '후'로 한다. 또, 상술한 회동면에 평행이며, 기준 자세에 있어서의 한 쌍의 핸들(21, 22)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한쪽을 '좌'로 하고, 길이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의 다른 쪽을 '우'로 한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한 회동면에 수직인 방향의 한쪽을 '상'으로 하고, 회동면에 수직인 방향의 다른 쪽을 '하'로 한다.
그립(213)은, 한 쌍의 핸들(21, 22)의 회동 단부를 피복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립(213)은, 한 쌍의 핸들(21, 22)의 회동 단부를 회동 조작할 때에 작업자가 손으로 잡기 위한 손잡이이며, 미끄러지기 어려운 탄성 재료인 고무나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레버]
제1 레버(60)는, 일단부가 핸들(21)의 연장부(215)의 중간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제1 접촉부(30)를 지지하고 있다.
또한, 제1 레버(60)는, 타단부 근방으로부터, 그 길이 방향에 대해 대체로 직교하는 방향이며 후술하는 제2 레버(70) 측을 향해 연장된 암부(61)를 구비하고 있고, 후술하는 제2 레버(70)의 암부(71)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1 레버(60)는, 강성이 높은 금속,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의 금속판의 절곡에 의해, 그 길이 방향에서 볼 때 단면 コ자형이 되는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레버(60)의 일단부에서는, 단면 대략 U자형의 내측에 핸들(21)의 연장부(215)를 삽입시킨 상태로, 볼트(62)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볼트(62)는, 지지축으로서 기능하며, 제1 레버(60)와 핸들(21)의 연장부(215)를 상하 방향을 따른 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제2 레버(70)는, 평면에서 봤을 때, 제1 레버(60)와 대칭인 구조이며, 일단부가 핸들(22)의 연장부(215)의 중간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제2 접촉부(40)를 지지하고 있다.
또한, 제2 레버(70)는, 타단부 근방으로부터, 그 길이 방향에 대해 대체로 직교하는 방향이며 제1 레버(60) 측을 향해 연장된 암부(71)를 구비하고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레버(60)의 암부(61)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2 레버(70)는, 강성이 높은 금속,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의 금속판의 절곡에 의해, 그 길이 방향에서 볼 때 단면 コ자형이 되는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 레버(70)의 일단부에서는, 단면 대략 U자형의 내측에 핸들(22)의 연장부(215)를 삽입시킨 상태로, 볼트(72)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볼트(72)는, 지지축으로서 기능하며, 제2 레버(70)와 핸들(22)의 연장부(215)를 상하 방향을 따른 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또한, 제1 레버(60)의 암부(61)의 선단부와 제2 레버(70)의 암부(71)의 선단부는 상하로 겹쳐져 있고, 이들을 상하로 관통하는 볼트(63)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볼트(63)는, 단나사 구조이며, 제1 레버(60)의 암부(61)와 제2 레버(70)의 암부(71)를 상하 방향을 따른 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지지축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이 볼트(63)와 상술한 볼트(216, 62, 72)는 모두 평행이 되어 있다.
따라서, 한 쌍의 핸들(21, 22)과 제1 및 제2 레버(60, 70)는, 모두 동일 평면(회동면)을 따라 회동 동작을 행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각 핸들(21, 22)은, 각각이, 볼트(216)를 지점, 그 회동 단부의 그립(213)을 역점으로 하고, 볼트(62, 72)를 작용점으로 하는 지렛대 구조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제1과 제2 레버(60, 70)는, 각각이, 볼트(63)를 지점, 볼트(62, 72)를 역점으로 하고, 제1과 제2 접촉부(30, 40)를 작용점으로 하는 지렛대 구조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각 핸들(21, 22)에 있어서, 지점(볼트(216))으로부터 역점(그립(213))까지의 길이는, 지점(볼트(216))으로부터 작용점(볼트(62, 72)까지의 길이보다 충분히 길다.
또, 제1과 제2 레버(60, 70)에 있어서, 지점(볼트(63))으로부터 역점(볼트(62, 72))까지의 길이는, 지점(볼트(63))으로부터 작용점(제1과 제2 접촉부(30, 40))까지의 길이보다 충분히 길다.
따라서, 한 쌍의 핸들(21, 22)과 제1과 제2 레버(60, 70)는, 2단계의 지렛대 구조를 구성하고, 각각의 지렛대 구조가 각 핸들(21, 22)의 그립(213)으로부터 입력되는 힘을 증력하므로, 제1과 제2 접촉부(30, 40)에 있어서 트롤리선(T)에 의해 큰 굽힘 하중을 부여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접촉부]
제1 접촉부(30)는, 제1 레버(60)의 상면에 설치되고, 제2 접촉부(40)는, 제2 레버(70)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접촉부(30)는, 제1 레버(6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한 상태로 설치된 맞닿음 부재로서의 제1 코마 부재(31)와, 제1 레버(60)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한 상태로 설치된 맞닿음 부재로서의 제2 코마 부재(32)와, 제1 코마 부재(31)와 제2 코마 부재(32)를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하는 볼트(33)를 구비하고 있다.
또, 제2 접촉부(40)는, 제2 레버(7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한 상태로 설치된 맞닿음 부재로서의 제1 코마 부재(31)와, 제2 레버(70)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한 상태로 설치된 맞닿음 부재로서의 제2 코마 부재(32)와, 제1 코마 부재(31)와 제2 코마 부재(32)를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하는 볼트(33)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코마 부재(31)는, 외주에 오목부로서의 오목홈(311)을 가지는 도르레형의 부재이며, 그 중심을 관통한 볼트(3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2 코마 부재(32)는, 외주에 오목부로서의 오목홈(321)을 갖고, 제1 코마 부재(31)보다 소경인 도르레형의 부재이며, 그 중심을 관통한 볼트(3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 코마 부재(31)의 오목홈(311)과 제2 코마 부재(32)의 오목홈(321)은, 각각 트롤리선(T)이 상하로 어긋나지 않도록 그 외주를 홀드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제1 코마 부재(31)와 제2 코마 부재(32)는 경질의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교정 작업 시에, 트롤리선(T)에 대한 스크래치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1 코마 부재(31)와 제2 코마 부재(32)의 트롤리선(T)에 접촉하는 외주 부분만을 수지로 형성하고, 그 내측은 강도가 높은 금속으로 형성해도 좋다.
그리고, 제1 코마 부재(31)와 제2 코마 부재(32)의 외주의 오목홈(311, 321)의 단면 형상은, 모두 중심측으로 오목해지는 원호상이며, 제1 코마 부재(31)의 오목홈(311)은 제2 코마 부재(32)의 오목홈(321)보다 지름이 큰 원호상으로 되어 있다.
볼트(33)는, 제1 코마 부재(31), 제1 또는 제2 레버(60, 70) 및 제2 코마 부재(32)를 상하로 관통하고 있고, 제1 코마 부재(31)와 제2 코마 부재(32)를 제1 또는 제2 레버(60, 70)를 사이에 두고 동심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이 볼트(33)는, 지지축으로서 기능하며, 제1 코마 부재(31)와 제2 코마 부재(32)를 상하 방향을 따른 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또한, 제2 접촉부(4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코마 부재(31)와 제2 레버(70)의 상면 사이에 스페이서(34)가 끼워져 있어, 제1 접촉부(30)의 제1 코마 부재(31)와 제2 접촉부(40)의 제1 코마 부재(31)의 높이가 동일해지도록 조정되어 있다.
또, 마찬가지로 해서, 제1 접촉부(30)의 제2 코마 부재(32)와 제2 레버(70)의 하면 사이에도 도시되지 않는 스페이서가 끼워져 있어, 제1 접촉부(30)의 제2 코마 부재(32)와 제2 접촉부(40)의 제2 코마 부재(32)의 높이도 동일해지도록 조정되어 있다.
[제3 접촉부]
제3 접촉부(50)는, 제1 레버(60)의 암부(61)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한 상태로 설치된 맞닿음 부재로서의 제1 코마 부재(51)와, 제2 레버(70)의 암부(71)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한 상태로 설치된 맞닿음 부재로서의 제2 코마 부재(52)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들은 상술한 암부(61, 71)를 연결하는 볼트(63)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도 3a는 제3 접촉부(50)의 평면도, 도 3b는 측면도이다.
제1 코마 부재(51)와 제2 코마 부재(52)는, 모두, 평면에서 볼 때 대략 부채상이며, 그 중앙부에는 볼트(63)를 삽입 통과하는 상하 방향을 따른 관통 구멍(513, 523)이 형성되어 있다.
또, 제1 및 제2 코마 부재(51, 52)의 전단부에는, 그 둘레면을 따라 오목부로서의 오목홈(511, 5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코마 부재(51, 52)는,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면, 상술한 제1 및 제2 코마 부재(31, 32)와 같이, 경질의 수지로 형성해도 좋다. 혹은, 트롤리선(T)과 접촉하는 둘레면 부분만을 경질의 수지로 형성해도 좋다.
제1 코마 부재(51)의 오목홈(511)은, 상술한 제1 코마 부재(31)의 오목홈(311)과의 협동에 의해, 트롤리선(T)이 상하로 어긋나지 않도록 그 외주를 홀드하기 위한 것이다.
또, 제2 코마 부재(52)의 오목홈(521)은, 상술한 제2 코마 부재(32)의 오목홈(321)과의 협동에 의해, 트롤리선(T)이 상하로 어긋나지 않도록 그 외주를 홀드하기 위한 것이다.
제1 코마 부재(51)와 제2 코마 부재(52)의 오목홈(511, 521)의 단면 형상은, 모두 후방으로 오목해지는 원호상이다.
그리고, 제1 코마 부재(51)의 오목홈(511)의 단면 형상은 상술한 제1 코마 부재(31)의 오목홈(311)과 지름이 동일한 원호상이며, 제2 코마 부재(52)의 오목홈(521)의 단면 형상은 상술한 제2 코마 부재(32)의 오목홈(321)과 지름이 동일한 원호상이다.
이와 같이, 제1 접촉부(30)의 제1 코마 부재(31)의 오목홈(311)과 제2 접촉부(40)의 제1 코마 부재(31)의 오목홈(311)과 제3 접촉부(50)의 제1 코마 부재(51)의 오목홈(511)은, 모두 지름이 동일한 원호상인 점에서, 이들 원호의 지름에 따른 외경의 트롤리선(T)의 굴곡 교정 작업을 적합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제1 접촉부(30)의 제2 코마 부재(32)의 오목홈(321)과 제2 접촉부(40)의 제2 코마 부재(32)의 오목홈(321)과 제3 접촉부(50)의 제2 코마 부재(52)의 오목홈(521)은, 모두 소경이며 지름이 동일한 원호상인 점에서, 오목홈(321, 521)은 홈이 깊어져, 각 홈의 저부의 거리가 넓어지므로, 이들은 외경이 큰 트롤리선(T)의 굴곡 교정 작업을 적합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제1 및 제2 코마 부재(51, 52)의 후단부에는 전후 방향에 대해 수직인 평탄면(512, 52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코마 부재(51)와 제2 코마 부재(52)는, 이들의 평탄면(512, 522)의 양쪽 모두에 밀착하는 평판형의 규제판(53)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규제판(53)은, 제1 코마 부재(51)와 제2 코마 부재(52)에 대해 개별적으로 나사 고정되어 있다. 또한, 규제판(53)은, 제1 코마 부재(51)와 제2 코마 부재(52) 사이에 있어서, 상술한 제1 레버(60)의 암부(61)의 선단부 후단면과 제2 레버(70)의 암부(71)의 선단부 후단면에 접촉하고 있다. 이들에 의해 규제판(53)의 평판면이 전후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을 유지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암부(61, 71)의 선단부는 볼트(63)를 중심으로 하는 원호상이므로, 암부(61, 71)가 회동해도, 이들에 접촉하는 규제판(53)은 그 방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코마 부재(51) 및 제2 코마 부재(52)는 볼트(63)에 의해 지지되어 있지만, 규제판(53)에 의해, 볼트(63)를 중심으로 하는 회동이 규제된다.
이에 의해, 제1 및 제2 코마 부재(51, 52)는, 각각의 오목홈(511, 521)을 제1 접촉부(30)의 제1 및 제2 코마 부재(31, 32)와 제2 접촉부(40)의 제1 및 제2 코마 부재(31, 32)를 향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조절기]
한 쌍의 핸들(21, 22)에는, 개별적으로, 조절기(80)가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조절기(80)는, 원통부(214)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 구멍에 나사 결합하는 조절 나사(81)와, 조절 나사(81)의 도중 부분에 설치된 나비 너트(8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핸들(21)측의 나사 구멍은, 원통부(214)의 외주면의 핸들(22) 측의 부분에 설치되고, 핸들(22)측의 나사 구멍은, 원통부(214)의 외주면의 핸들(21) 측의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한 쌍의 핸들(21, 22)이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각각의 조절기(80)의 조절 나사(81)의 머리부끼리가 접촉하여, 그 이상 접근하는 방향으로 회동하지 않도록 회동 범위를 규제할 수 있다.
또, 각 조절 나사(81)는 회전에 의해 돌출량이 바뀌므로, 이에 의해, 한 쌍의 핸들(21, 22)의 접근 가능한 회동 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나비 너트(82)는, 조절 나사(81)의 회전에 의해 그 돌출량을 결정한 후에, 조절 나사(81)가 회전하지 않도록 체결하여, 조절 나사(81)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스탠드]
도 4는 스탠드(90)의 전체도, 도 5는 스탠드(90)의 부분 확대도이다.
스탠드(90)는, 트롤리선 굽힘 공구(10)의 전단부 근방에 있어서의 하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볼트(63)의 상단부 또는 볼트(63)를 체결하기 위한 너트(64)의 하단부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장비할 수 있다. 도 2는, 스탠드(90)가 너트(64)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수하된 상태로 장비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스탠드(90)는, 도 2,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롤리선 굽힘 공구(10)의 전체를 지탱하는 둥근 봉형상의 지주(91)와, 지주(91)의 하단부에 장비된 미끄럼 방지의 캡(92)과, 너트(64)의 하단부에 형성된 도시되지 않는 삽입 구멍에 삽입하는 보스 부재(93)와, 보스 부재(93)의 하단부와 지주(91)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코일 스프링(94)과, 보스 부재(93)와 지주(91)의 연결 부분을 피복하는 원통형상의 조인트 부재(95)를 구비하고 있다.
지주(91)는, 트롤리선 굽힘 공구(10)의 전체와 작업 대상이 되는 트롤리선(T)의 중량을 지지하는 것이 가능한 강도를 가지는 금속 재료, 예를 들면, 스틸이나 스테인리스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캡(92)은, 고무,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다.
보스 부재(93)는, 원통형상이며, 외주에 핀(931)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보스 부재(93)와 지주(91)의 외경은 동일하게 되어 있고, 보스 부재(93)의 하단부가 조인트 부재(95)의 일단부로부터 삽입되고, 지주(91)의 상단부가 조인트 부재(95)의 타단부로부터 삽입되어 있다.
보스 부재(93)의 하단부와 지주(91)의 상단부에는, 각각 축경부가 형성되어, 이들이 코일 스프링(94)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각각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코일 스프링(94)은, 조인트 부재(95)의 내부에 있어서, 보스 부재(93)의 하단부와 지주(91)의 상단부를 연결하고 있다.
또, 보스 부재(93)의 핀(931)은, 조인트 부재(95)의 상단부가 접촉하여, 스토퍼로 되고 있다.
조인트 부재(95)는, 고무 등의 탄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 가요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보스 부재(93)와 지주(91)는, 코일 스프링(94)으로 연결됨과 더불어, 그 주위가 조인트 부재(95)로 더 연결되어 있다. 이들은 요동 구조를 구성하고 있다.
이 요동 구조에 의해, 지주(91)와 보스 부재(93) 사이에 휨이 생기고, 보스 부재(93)는 지주(91)의 주위 360° 중 어느 방향으로도 요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스탠드(90)를 트롤리선 굽힘 공구(10)에 장착한 상태로 트롤리선의 굴곡의 교정 작업을 행할 경우에, 트롤리선 굽힘 공구(10)의 선단부를 모든 방향으로 기울일 수 있어, 트롤리선(T)의 형상이나 자세에 따라 적정한 방향으로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 보스 부재(93)의 상단부 근방의 외주에는, 당해 외주의 반경 방향을 따라서 원형의 바닥이 있는 구멍(932)이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금속의 구체(96)가 격납되어 있다. 바닥이 있는 구멍(932)은, 그 입구 부분이 코킹 등에 의해 축경되어 있어, 내부의 구체(96)가 밖으로 튀어나오지 않도록 격납되어 있다.
또, 구체(96)의 배후에는 압압 스프링(97)이 배치되어 있고, 구체(96)를 외측을 향해 압압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구체(96)의 일부가 보스 부재(93)의 외주로부터 돌출한 상태가 된다. 또, 구체(96)는 압압 스프링(97)에 저항해서 밀려 넣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바닥이 있는 구멍(932) 내에는, 구체에 한정되지 않고, 선단이 축경 혹은 둥근 형상을 띤 통형상 핀을 격납해도 된다.
상술한 볼트(63)의 상단부 및 너트(64)의 하단부에 형성된 보스 부재(93)의 삽입 구멍은, 그 내부에 둘레 홈이 형성되어 있어, 보스 부재(93)를 삽입하면, 둘레 홈에 있어서 구체(96)가 외측으로 돌출하여 보스 부재(93)의 빠짐 방지로서 기능한다. 또한, 스탠드(90)를 제거할 때에는, 당해 스탠드(90)를 강하게 잡아 당기면, 구체(96)가 일시적으로 내측으로 들어가므로, 보스 부재(93)를 볼트(63) 또는 너트(64)의 삽입 구멍으로부터 빼낼 수 있다.
또한, 볼트(63)의 상단부에 스탠드(90)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도 2의 상태의 트롤리선 굽힘 공구(10)의 상하를 반전시킨 상태로 하고(제2 코마 부재(32, 52)를 사용하는 경우), 볼트(63)의 상단부의 삽입 구멍에 스탠드(90)를 수하(垂下) 상태로 장착할 수 있다.
[트롤리선 굽힘 공구에 의한 트롤리선의 교정 작업]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트롤리선 굽힘 공구(10)의 트롤리선의 굴곡의 교정 작업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롤리선 굽힘 공구(10)의 전단부에 스탠드(90)를 장착한 상태로 작업을 행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스탠드(90)는, 지주(91)가 거의 연직 상하 방향을 따른 상태가 되도록 세운 상태로 캡(92)을 지면이나 바닥면에 접지시킨다.
그리고, 작업자는, 한 쌍의 핸들(21, 22)의 그립(213)을 잡고, 각 핸들(21, 22)의 회동 단부 측을 좌우 방향으로 열리도록 회동 조작한다.
이에 의해, 제1 및 제2 접촉부(30, 40)가 전방으로, 제3 접촉부(50)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서로 전후 방향에 대해 이격한다.
이렇게 해서 이격한 제1 접촉부(30)의 제1 코마 부재(31)의 오목홈(311) 및 제2 접촉부(40)의 제1 코마 부재(31)의 오목홈(311)과 제3 접촉부(50)의 제1 코마 부재(51)의 오목홈(511) 사이에 트롤리선(T)을 배치한다. 또한, 이 경우, 트롤리선(T)의 돌출 부분 혹은 볼록형상으로 만곡한 부분이 제3 접촉부(50)의 제1 코마 부재(51)의 오목홈(511)에 대향하도록 배치한다.
또, 트롤리선(T)의 배치에 전후해서, 한 쌍의 핸들(21, 22)의 각 조절기(80)의 조절 나사(81)의 돌출량을 한 쌍의 핸들(21, 22)이 지나치게 닫히지 않도록 적당히 조절한다.
그리고, 한 쌍의 핸들(21, 22)의 회동 단부를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회동 조작하면, 제1 및 제2 접촉부(30, 40)가 후방으로, 제3 접촉부(50)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서로 전후 방향으로 접근한다.
이에 의해, 트롤리선(T)의 볼록형상 부분이, 제1 접촉부(30)의 제1 코마 부재(31)과 제2 접촉부(40)의 제1 코마 부재(31) 사이에 제3 접촉부(50)의 제1 코마 부재(51)에 의해 밀어 넣어져, 교정이 행해진다.
또한, 각 조절기(80)의 조절 나사(81)의 돌출량이 정확하게 조절되어 있는 경우에는, 각 조절 나사(81)끼리가 접촉할 때까지 한 쌍의 핸들(21, 22)의 회동 단부 측이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또, 트롤리선(T)의 외경이 보다 큰 사이즈인 경우에는, 트롤리선 굽힘 공구(10)의 제1 접촉부(30)의 제2 코마 부재(32), 제2 접촉부(40)의 제2 코마 부재(32) 및 제3 접촉부(50)의 제2 코마 부재(52)가 위를 향한 상태로 해서, 볼트(63)의 삽입 구멍에 스탠드(90)를 장착하고, 제1 및 제2 접촉부(30, 40)의 제2 코마 부재(32)의 오목홈(321)과 제3 접촉부(50)의 제2 코마 부재(52)의 오목홈(521) 사이에 트롤리선(T)을 배치하고, 상기와 마찬가지로 해서 교정 작업을 실행한다.
[발명의 실시형태의 기술적 효과]
상기 트롤리선 굽힘 공구(10)는, 제1~제3 접촉부(30~50)가 공구의 전단부 측에 배치되고, 한 쌍의 핸들(21, 22)의 회동 단부가 공구의 후단부 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작업자는 트롤리선 굽힘 공구(10)의 후단부를 갖고, 전단부를 트롤리선(T)을 향한 상태에서 교정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트롤리선 굽힘 공구(10)를 자유로운 방향을 향해서 교정 작업을 행할 수 있으므로, 트롤리선(T)이 어떤 방향이어도 교정 작업을 행할 수 있어,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트롤리선(T)이 부설 전의 지면에 놓인 상태여도, 부설되어 매달린 상태여도, 교정 작업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트롤리선 굽힘 공구(10)는, 한 쌍의 핸들(21, 22)로부터, 2단계의 지렛대 구조를 통해 제1~제3 접촉부(30~50)를 상대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인 점에서, 작업자가 한 쌍의 핸들(21, 22)로부터 가하는 힘에 대해 제1~제3 접촉부(30~50)에 의해 트롤리선(T)에 의해 큰 가압력을 가할 수 있어, 종래보다 경질 재료의 트롤리선(T)이나 지름이 큰 트롤리선(T)이어도, 용이하게 교정 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트롤리선 굽힘 공구(10)는, 제1~제3 접촉부(30~50)의 각 코마 부재(31, 32, 51, 52)는, 모두, 한 쌍의 핸들(21, 22)의 회동 중심선을 따른 방향(상하 방향)을 향해 돌출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1~제3 접촉부(30~50)에 대해 상방 또는 하방으로부터 트롤리선(T)을 용이하게 끼워넣을 수 있어, 작업성의 추가적인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제3 접촉부(30~50)에 있어서는, 한 쌍의 핸들(21, 22)의 회동 중심선을 따른 방향의 한쪽(상측)에 설치된 제1 코마 부재(31, 51)의 오목홈(311, 511)과, 한 쌍의 핸들(21, 22)의 회동 중심선을 따른 방향의 다른 쪽(하측)에 설치된 제2 코마 부재(32, 52)의 오목홈(321, 521)과, 외경의 사이즈가 상이한 트롤리선(T)이 끼워지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트롤리선 굽힘 공구(10)의 제1~제3 접촉부(30~50)의 상측과 하측과 외경의 사이즈가 상이한 트롤리선(T)을 용이하게 끼워넣을 수 있어, 외경에 대해 넓은 범위의 트롤리선(T)의 교정 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제3 접촉부(50)는, 제1 및 제2 코마 부재(51, 52)의 오목홈(511, 521)의 방향이 바뀌지 않도록 회동 동작을 규제하는 규제판(53)을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트롤리선(T)을 각 코마 부재(31, 32, 51, 52)로 끼우기 전의 상태에서는, 각 코마 부재(31, 32)가 전동하여 위치 맞춤을 용이하게 함과 더불어, 교정 동작을 개시했을 때에는, 코마 부재(51, 52)가 트롤리선(T)을 협지하여 위치 엇갈림을 억제할 수 있어, 작업성이 양호하게 되고 또한 정확하게 교정 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트롤리선 굽힘 공구(10)는, 전단부 측에, 하방으로 연장된 스탠드(90)를 구비하므로, 트롤리선을 드럼으로부터 인출한 후의 지상에 있어서의 굽힘 교정 작업에 있어서, 당해 스탠드(90)로 지탱된 상태로 트롤리선(T)의 교정 작업을 행할 수 있어, 트롤리선(T)의 중량에 의한 부담을 경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스탠드(90)는, 착탈 가능한 점에서, 필요에 따라 스탠드(90)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스탠드(90)는, 당해 스탠드(90)를 중심으로 하는 주위 360° 중 어느 방향으로 요동 가능한 요동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트롤리선(T)의 교정 작업을 행할 경우에, 스탠드(90)를 제외한 트롤리선 굽힘 공구(10)의 전체를 임의의 방향으로 용이하게 기울일 수 있어, 작업에 적합한 자세로 교정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 트롤리선 굽힘 공구(10)는, 한 쌍의 핸들(21, 22)의 회동 범위를 조절하는 조절기(80)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트롤리선(T)의 교정량을 조절할 수 있어, 실수가 없는 교정 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기타]
상기 트롤리선 굽힘 공구(10)에서는, 제3 접촉부(50)의 제1 코마 부재(51)와 제2 코마 부재(52)가 규제판(53)에 의해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되는 구성을 예시했는데, 제1 또는 제2 접촉부(30, 40) 중 어느 한쪽의 제1 및 제2 코마 부재를 회전하지 않도록 규제하고, 제3 접촉부(50)의 제1 코마 부재를 도르레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해도 좋다.
또, 상기 트롤리선 굽힘 공구(10)는, 수동에 의한 트롤리선의 교정 작업을 예시했지만, 상기 트롤리선 굽힘 공구(10)에 대해 기계적인 동력을 접속하여, 한 쌍의 핸들(21, 22)로부터 회동 동작을 입력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그러한 구성으로 했을 경우, 출력이 작은 소형의 동력 기계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선 굽힘 공구는, 열차 등의 차량에 집전을 행하는 트롤리선을 사용하는 분야에 대해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이 있다.
10 트롤리선 굽힘 공구 21, 22 핸들
211 본체부 212 연결부
213 그립 214 원통부
215 연장부 216 볼트
30 제1 접촉부 31, 51 제1 코마 부재(맞닿음 부재)
32, 52 제2 코마 부재(맞닿음 부재) 311, 321, 511, 521 오목홈(오목부)
33 볼트 40 제2 접촉부
50 제3 접촉부 512, 522 평탄면
53 규제판 60 제1 레버
61, 71 암부 62, 63, 72 볼트
64 너트 70 제2 레버
80 조절기 90 스탠드
91 지주 94 코일 스프링
95 조인트 부재 T 트롤리선

Claims (6)

  1.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회동 단부로부터 회동 조작이 입력되는 한 쌍의 핸들과,
    트롤리선의 외주의 편측(片側)으로부터 접하는 제1 접촉부 및 제2 접촉부와,
    상기 트롤리선의 외주의 역측(逆側)으로부터 접하는 제3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핸들로부터, 2단계의 지렛대 구조를 통해, 상기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2 접촉부와 상기 제3 접촉부가 상대적으로 접근 또는 이격하도록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리선 굽힘 공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제3 접촉부는, 모두, 상기 한 쌍의 핸들의 회동 중심선을 따른 방향의 한쪽과 다른 쪽의 양쪽 모두를 향해 돌출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제1~제3 접촉부는, 모두, 상기 한 쌍의 핸들의 회동 중심선을 따른 방향의 한쪽과 다른 쪽의 양쪽 모두에, 상기 트롤리선이 끼이는 오목부를 가지는 맞닿음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제3 접촉부의, 상기 한 쌍의 핸들의 회동 중심선을 따른 방향의 한쪽에 설치된 상기 맞닿음 부재의 오목부와, 상기 한 쌍의 핸들의 회동 중심선을 따른 방향의 다른 쪽에 설치된 상기 맞닿음 부재의 오목부는, 외경의 사이즈가 상이한 트롤리선이 끼이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리선 굽힘 공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제3 접촉부는, 모두, 상기 트롤리선이 끼이는 오목부를 가지는 맞닿음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제3 접촉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오목부의 방향이 바뀌지 않도록,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리선 굽힘 공구.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구에 대해 착탈 가능한 스탠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리선 굽힘 공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는, 상기 공구를 요동 가능하게 하는 요동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리선 굽힘 공구.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핸들의 회동 범위를 조절하는 조절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리선 굽힘 공구.
KR1020197034356A 2017-07-03 2018-06-26 트롤리선 굽힘 공구 KR1022967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30134 2017-07-03
JP2017130134A JP6934648B2 (ja) 2017-07-03 2017-07-03 トロリ線曲げ工具
PCT/JP2018/024127 WO2019009137A1 (ja) 2017-07-03 2018-06-26 トロリ線曲げ工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1718A true KR20190141718A (ko) 2019-12-24
KR102296707B1 KR102296707B1 (ko) 2021-09-01

Family

ID=64950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4356A KR102296707B1 (ko) 2017-07-03 2018-06-26 트롤리선 굽힘 공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JP (1) JP6934648B2 (ko)
KR (1) KR102296707B1 (ko)
CN (1) CN110546033B (ko)
AU (1) AU2018295693B2 (ko)
MY (1) MY197683A (ko)
TW (1) TWI675523B (ko)
WO (1) WO20190091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14510B (zh) * 2019-12-09 2021-08-24 烟台天源送变电工程有限公司 一种电缆安装用捋线装置
CN114433748A (zh) * 2022-02-18 2022-05-06 湖北舜安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新型钢筋弯箍设备
CN117388083B (zh) * 2023-12-13 2024-02-13 常州森鸿装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地板强度检测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1205U (ja) * 2006-02-15 2006-04-27 九州電気システム株式会社 トロリ線曲げ工具
JP2012249677A (ja) * 2011-05-31 2012-12-20 Sei Optifrontier Co Ltd ケーブル切断器具
JP2014155231A (ja) 2013-02-05 2014-08-25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電線癖取り器
JP2017016141A (ja) * 2012-03-29 2017-01-19 ▲ホア▼▲ウェイ▼技術有限公司Huawei Technologies Co.,Ltd. 信号符号化および復号化の方法および装置
JP2021008601A (ja) * 2019-07-02 2021-01-2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含フッ素シーリング材形成用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4117A (en) * 1979-09-19 1981-12-08 Rawson Richard A Bending tool
JPS58861U (ja) * 1981-06-23 1983-01-06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ロツクプレ−トの折り曲げ工具
JP3121205B2 (ja) * 1994-06-06 2000-12-25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US5503049A (en) * 1994-06-17 1996-04-02 Petersen Manufacturing Co., Inc. Opposed handle hand tool with composite handle
JP2916141B1 (ja) * 1998-07-01 1999-07-05 株式会社日進製作所 ホーニング砥石用オシレーション装置およびホーニング装置
DE10056900C1 (de) * 2000-11-16 2002-08-08 Wezag Gmbh Handbetätigbare Zange zum Crimpen, Schneiden, Pressen o. dgl.
US6595472B1 (en) * 2001-12-28 2003-07-22 Preformed Line Products Company Cable clamp
JP2006061623A (ja) * 2004-08-30 2006-03-09 Keiko Totani 食品取分具
JP5653781B2 (ja) * 2011-02-02 2015-01-14 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トロリ線の曲げ具
CN202068127U (zh) * 2011-04-18 2011-12-07 河南省电力公司郑州供电公司 电缆矫正装置
DE102014201999A1 (de) * 2014-02-04 2015-08-06 Richard Bergner Elektroarmaturen Gmbh & Co. Kg Befestigungsklemme sowie Verfahren zur Befestigung einer Befestigungsklemme an einem Seil einer Freileitung
JP3190422U (ja) * 2014-02-19 2014-05-08 井本刃物株式会社 切断具
TWM531683U (zh) * 2016-07-13 2016-11-01 黃權宏 輔助電纜輸送之同步輸送裝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1205U (ja) * 2006-02-15 2006-04-27 九州電気システム株式会社 トロリ線曲げ工具
JP2012249677A (ja) * 2011-05-31 2012-12-20 Sei Optifrontier Co Ltd ケーブル切断器具
JP2017016141A (ja) * 2012-03-29 2017-01-19 ▲ホア▼▲ウェイ▼技術有限公司Huawei Technologies Co.,Ltd. 信号符号化および復号化の方法および装置
JP2014155231A (ja) 2013-02-05 2014-08-25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電線癖取り器
JP2021008601A (ja) * 2019-07-02 2021-01-2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含フッ素シーリング材形成用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8295693B2 (en) 2020-12-03
JP6934648B2 (ja) 2021-09-15
AU2018295693A1 (en) 2019-11-07
TWI675523B (zh) 2019-10-21
MY197683A (en) 2023-07-04
CN110546033B (zh) 2023-02-03
TW201907633A (zh) 2019-02-16
KR102296707B1 (ko) 2021-09-01
JP2019011025A (ja) 2019-01-24
CN110546033A (zh) 2019-12-06
WO2019009137A1 (ja) 2019-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41718A (ko) 트롤리선 굽힘 공구
TWI491129B (zh) Tight line
CN103837420B (zh) 脉动疲劳试验机用疲劳试验装置及脉动疲劳试验机
US9772049B2 (en) Universal support clamp
KR102651495B1 (ko) 스트리핑 플라이어들
WO2014103195A1 (ja) 掴線器
JP6205075B1 (ja) 掴線器
EP2169239B1 (en) Clamp
JP5151514B2 (ja) 線条体案内機構を備えた産業用ロボット
WO2015013463A1 (en) Tire changing machine with bead loosener arm
CN105081116A (zh) 压接装置及压接方法
CN208427601U (zh) 一种线夹挂板的专用工装
CN105689944A (zh) 一种可调式薄板件柔性装配夹具
CN202580507U (zh) 可变角度支撑架
JP5519040B1 (ja) 電線癖取り器
CN212824917U (zh) 用于机械制造的夹具
CN208787614U (zh) 一种基于锥形盘控制的圆管标距打点机
JP2020026167A (ja) バルブ挿入具
CN104339160B (zh) 夹持翻转机构
JP3209270U (ja) 軒鼻締機及び軒鼻締装置
CN215091681U (zh) 一种汽车排气系统的多通管的焊接工装
JP6519054B2 (ja) トロリ線ねじれ直し工具
US2895202A (en) Yoke-type clamps
EP3263279B1 (en) Machine for assembling/disassembling spring/damper units of suspensions of vehicles having a simplified structure
CN107405971B (zh) 悬架连杆元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