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8262A - 물 냉각 장치 - Google Patents

물 냉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8262A
KR20190138262A KR1020180134249A KR20180134249A KR20190138262A KR 20190138262 A KR20190138262 A KR 20190138262A KR 1020180134249 A KR1020180134249 A KR 1020180134249A KR 20180134249 A KR20180134249 A KR 20180134249A KR 20190138262 A KR20190138262 A KR 201901382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fish
tank
water
sea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4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6819B1 (ko
Inventor
타카시 하야시다
Original Assignee
시키시마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키시마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시키시마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90138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82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6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6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12Heating;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14Fishing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2Liquid coolers, e.g. beverage cooler
    • F25D31/003Liquid coolers, e.g. beverage cooler with immersed cooling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효율적으로 물을 냉각할 수 있음과 아울러, 여과기가 필요 없는 냉각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냉각 장치(10)는, 물의 유입구(20) 및 유출구(22)를 구비하고,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냉각 탱크(12)와, 상기 냉각 탱크(12)의 내부에 설치되며, 수중에 침지된 상태에서 물을 냉각하는 냉각기(14)를 구비하며, 상기 냉각기(14)는 그 외주면을 냉각면으로 해서 회전하는 냉각통(16)과, 상기 냉각통(16)의 외주면에 부착된 부착물을 긁어내는 스크레이퍼(18)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냉각 장치 { COOLING DEVICE }
본 발명은 냉각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수중에 침지(浸漬)된 냉각기로 물을 냉각하는 냉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냉각수를 사용하여 다양한 물건을 냉각하는 것이 실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선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냉각된 해수를 이용하여 어패류를 냉각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어패류를 냉각하는 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어선 또는 활어 수송 차량에 설치된 활어 수족관(생선 탱크)에 저장된 해수를 냉각 및 여과하기 위한 해수용 간이 냉각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열 교환용 파이프를 설치하고, 쇄빙을 저장할 공간을 갖는 보냉 용기로 구성된 냉각 탱크와, 해수 중에 포함되는 오염 물질을 물리적 혹은 생물적으로 여과하는 여과기와, 활어 수조에 저장되는 해수를 취수(取水)하고, 냉각 탱크 내에 설치된 열 교환용 파이프의 내부 및 여과기를 통과한 후, 활어 수족관으로 리턴하도록 하는 순환 펌프를 구비한 해수용 간이 냉각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특허문헌 1 참조).
또한, 어선에서 미리 적재한 얼음을 생선 탱크에 투입하여 생선 탱크의 해수 및 포획된 어패류를 냉각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일본실용신안등록 제3081882호
상기 특허문헌 1의 해수 냉각 장치는 염분 농도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서, 주위에 쇄빙을 배치한 파이프 내에 해수를 통과시킨다는 구성이다, 파이프 내를 통과하는 해수를 파이프의 외부에서 냉각해야 하므로, 효율적으로 냉각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그 냉각도 충분하지 못한 점이 있었다. 또한, 해수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해야하기 때문에 여과기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있어 장치의 구조가 복잡하며, 고장이 발생되기 쉬우며, 또 여과기에 이물질이 막혀서 장치가 멈추어 버릴 우려도 있었다.
또한, 얼음을 생선 탱크에 직접 투입해서 생선 탱크의 해수와 어패류를 냉각하는 경우에는 염분 농도가 떨어짐과 동시에, 해수의 온도 저하에 시간이 소요되므로 어패류의 선도를 유지하기가 매우 어려웠다. 즉, 어패류의 선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0℃ 부근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해수의 온도 저하에 시간이 걸리므로 0℃ 부근을 유지하는 것이 극히 곤란하였다. 또한, 포획된 어패류를 냉각하기 위해서는 대량의 얼음을 투입할 필요가 있지만, 미리 얼음을 대량으로 어선에 적재시키거나, 어선에서 대량으로 얼음을 만드는 것은 배의 공간 확보의 관점 등에서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과제는 효율적으로 물을 냉각할 수 있는 것과 더불어, 여과기가 필요없는 냉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포획된 어패류의 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연구를 하면서 얼음을 이용한 해수 냉각은 냉각 속도가 느린 어패류의 충분한 선도를 유지할 수 없는 것에 주목하였다. 본 발명자는 물(해수)을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는 냉각 장치를 개발할 수 있도록 검토한 결과, 냉각통과 스크레이퍼를 구비하는 냉각기를 냉각 탱크의 내부에 설치하여, 수중에 침지된 상태에서 냉각통의 외주면에서 물을 직접 냉각함으로써,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1) 물의 유입구 및 유출구를 구비하고,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냉각 탱크와, 상기 냉각 탱크의 내부에 설치되며, 수중에 침지된 상태에서 물을 냉각하는 냉각기를 구비한 냉각 장치로서,
상기 냉각기가 그 외주면을 냉각면으로 해서 회전하는 냉각통과, 상기 냉각통의 외주면에 생성된 얼음 및 부착된 부착물을 긁어내는 스크레이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2) 상기(1)에 있어서, 상기 물이 해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3) 상기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냉각 탱크의 내부에 복수의 냉각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4)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냉각 탱크에, 상기 냉각기에 의해 생성되어 부유(浮遊)하는 얼음을 상기 유출구로 유도하는 부유 얼음 유도 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5) 상기 (4)에 있어서, 상기 부유 얼음 유도 수단은 부유하는 얼음을 상기 유출구로 유도하는 수류(水流)를 발생시키는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6)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물의 유입구는 상기 냉각 탱크의 하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물의 유출구는 상기 냉각 탱크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7) 상기 (1) 내지 (6)에 있어서, 상기 냉각 탱크의 유입수의 온도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유입수의 온도에 따라서 상기 냉각 탱크로의 유입량 또는 냉각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8) 포획된 어패류를 투입하는 1 또는 2 개 이상의 생선 탱크와, 상기 생선 탱크의 해수를 냉각하는 1 또는 2 개 이상의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냉각 장치와, 상기 생선 탱크의 해수를 상기 냉각 장치로 안내하는 제 1 배관과, 상기 냉각 장치에서 냉각된 해수를 상기 생선 탱크로 안내하는 제 2 배관과, 상기 생선 탱크와 상기 냉각 장치 사이에서 해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 펌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패류의 냉각 저장 시스템.
(9) 상기 (8)에 있어서, 어선(漁船) 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패류의 냉각 저장 시스템.
(10)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냉각 장치를 이용해서 해수를 냉각하고, 상기 냉각한 해수로 포획한 어패류를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패류의 냉각 저장 방법.
(11) 상기 (10)에 있어서, 어선(漁船) 상에서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패류의 냉각 저장 방법.
(12) 상기 (9)의 냉각 저장 시스템을 이용한 어패류의 냉각 저장 방법으로서,
생선 탱크의 해수를 냉각 장치로 순환시켜서 생선 탱크의 해수를 미리 냉각하는 예냉각 공정과,
상기 냉각 장치로 냉각된 해수를 수용한 생선 탱크에 포획된 어패류를 투입하는 어패류 투입 공정과,
상기 투입된 어패류에 의해서 온도 상승한 해수를 냉각 장치로 순환시켜서 생선 탱크의 해수를 냉각하는 냉각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패류의 냉각 저장 방법.
본 발명의 냉각 장치는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물을 냉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와 관련한 냉각 장치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 (a)는 도 1에 도시된 냉각 장치의 개략 정면도이고,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냉각 장치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와 관련한 냉각 장치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와 관련한 어패류의 냉각 저장 시스템의 개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어선의 상방으로부터 본 개략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와 관련한 어패류의 냉각 저장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냉각 장치는 물 유입구 및 유출구를 구비하고,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냉각 탱크와, 상기 냉각 탱크의 내부에 설치되며, 수중에 침지된 상태에서 물을 냉각하는 냉각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냉각기가 그 외주면을 냉각면으로서 회전하는 냉각통과, 상기 냉각통의 외주면에 생성된 얼음 및 부착된 부착물을 긁어내는 스크레이퍼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냉각 장치는 냉각통을 구비하는 냉각기를 수중에 침지시켜서 냉각통의 외주면에서 물을 직접적으로 냉각하는 것이므로, 대량의 물을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각 장치는 냉각통의 외주면에 생성된 얼음을 스크레이퍼로 긁어내어 얇은 얼음을 수중에 방출하므로 냉각 대상의 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각 장치는 냉각통의 외주면에 생성된 얼음 및 부착된 부착물을 스크레이퍼로 긁어낼 수 있다는 점에서 냉각통의 외주면에서의 냉각 능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여과기 등의 이물질 제거 장비를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냉각 장치로 냉각하는 물은 담수 외에 해수(海水) 등 소정의 성분을 포함한 물이라도 좋다. 냉각되는 물이 해수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냉각 장치는 예를 들면, 어항에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선 탱크를 구비한 운반 차량, 어선 등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의 냉각 장치의 냉각 탱크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냉각 탱크는 내부에 냉각 대상이 되는 물을 수용하며, 그 형상이나 크기는 용도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선상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세로 1000~5000mm 정도, 가로 1000~5000mm정도, 높이 1000~5000mm정도 크기의 냉각 수조를 채용할 수 있다.
상기 냉각 탱크에는 물의 출입구인 유입구 및 유출구가 설치되어 있다. 유입구 및 유출구 형상은, 배관 등이 연결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유입구 및 유출구에서는, 유입구가 냉각 탱크 하단에 설치됨과 아울러, 유출구가 냉각 탱크 상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음과 아울러, 냉각기에서 생성되어 부유하는 얼음이나 부유하는 이물질을 상부의 유출구를 통해 물의 유출과 동시에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냉각 탱크에는 냉각기에서 생성되어 부유하는 얼음을 유출구로 유도하는 부유 얼음 유도 수단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유 얼음 유도 수단으로는 냉각 탱크 내의 수중에 부유하는 얼음을 유출구로 유도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예컨대 부유하는 얼음을 유출구에 유도하는 수류(水流)를 발생시키는 스크루 등의 수단이 또는 부유하는 얼음을 유출구를 향해서 안내하는 가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부유 얼음 유도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냉각기에서 생성된 얼음이 부드럽게 유출구로 향하여 냉각 장치에 연결된 냉각 대상의 물이 수용된 탱크내에 얼음이 이송되어 탱크 내의 물을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부유하는 얼음의 유도와 동시에 부유하는 이물질도 유출구로 유도되어 냉각 탱크 내의 이물질도 부드럽게 배출할 수 있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냉각 장치의 냉각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냉각 장치의 냉각기는 냉각 탱크의 내부에 설치되며, 수중에 침지된 상태에서 물을 냉각한다. 상기 냉각 장치는 구체적으로 냉각통과 스크레이퍼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냉각기는, 관이나 용기 등의 내부를 유통(流通)하는 물을 외측으로부터 냉각하는 것이 아니라, 수중에서 냉각통의 외주면에서 직접 물을 냉각하는 것이므로, 대량의 물을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냉각기는 1 개라도 좋지만, 냉각 탱크의 크기 및 냉각 강도 등에 따라서 2 개 이상 설치할 수도 있다.
냉각통은 그 외주면을 냉각면으로 하여 외주면에 접하는 물을 냉각하는 것이고, 냉각통의 내부에 냉매를 순환시킴으로써 외주면을 냉각한다. 냉각통의 형상은 보통 원통형이며, 그 크기는 용도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어선 상에 설치되며, 포획된 어패류의 생선 탱크용 물을 냉각할 경우에는, 직경 300~1000mm 정도의 크기로 채용할 수 있다. 냉각통의 재질은 녹이 발생하기 어렵고 전열성(傳熱性)이 높은 재료가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강, 알루미늄 합금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냉각통은 통상 중심 축 방향이 횡방향(수평 방향)이 되도록 배치되지만, 종방향으로 배치되어도 좋다. 냉매로는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CFC(클로로 플루오로 카본)이나 HCFC(하이드로 클로로 탄화불소)와 같은 특정 프레온, HFC(하이드로 탄화불소)와 같은 대체 프레온, 또는 암모니아나 이산화탄소와 같은 자연 냉매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냉매로는 특정 프레온 또는 대체 프레온이 바람직하다.
냉각통은 그 회전 속도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크레이퍼에 긁어 낼 때에 냉각통 표면에 적당한 두께의 얼음이 생성되는 속도로 회전시킴으로써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즉, 냉각통에 스크레이퍼가 1 개 설치된 경우, 냉각통의 회전 속도가 너무 빠르면 냉각통이 1 회전하는 동안에 외주면에 얼음층이 생성되지 않을 수 있고, 냉각통의 회전 속도가 너무 느리면 냉각통이 1회전하는 동안에 외주면에 생성되는 얼음층이 두꺼워지기 때문에, 스크레이퍼에서 긁어 내지 못하는 사태가 발생되어 냉각통의 구동이 멈추어 버릴 우려가 있다.
스크레이퍼로서는, 냉각통의 외주면에 생성된 얼음 및 부착된 부착물을 긁어 낼 수 있다면, 특히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냉각통의 외주면상에 긁음 날이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어 냉각통이 회전함으로써, 외주면의 전체에 걸쳐서 긁어내는 것이 가능한 스크레이퍼를 들 수 있다. 또한, 냉각통이 회전하는 동시에, 또는 냉각통이 회전하지 않고, 스크레이퍼가 회전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상기 스크레이퍼는 1 개라도 좋고 2 개 이상이라도 좋다. 스크레이퍼를 사용하여 냉각통의 외주면에 부착된 부착물을 제거함으로써, 부착물에 의해 외주면에서의 냉각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소정의 냉각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냉각통의 외주면에 부착된 부착물로는, 예를 들어 냉각 대상의 물이 해수인 경우에 생선 비늘, 조개 껍질, 해초, 해양 미생물을 들 수 있다.
스크레이퍼는 그 칼끝과 냉각통의 외주면의 간극을 조정할 수 있는 조정 수단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냉각통의 외주면에 생성되는 얼음층의 두께를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크레이퍼 선단과 냉각통의 외주면의 간극은 0.01 ~ 2.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 ~ 1.0m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1 ~ 0.8m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냉각 장치는 냉각 탱크의 유입수의 온도를 검출하고, 검출한 유입수의 온도에 따른 냉각 탱크로의 유입량 또는 냉각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냉각기의 운전 제어로서는, 예를 들면, 유입수의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높은 경우에는 냉각기를 작동시키고, 유입수의 온도가 낮은 경우에는 냉각기를 정지시키는 제어 방식을 들 수 있다. 또한, 유입수의 온도에 따른 냉각통의 회전 속도를 조정하는 방식을 채택할 수도 있다. 복수의 냉각기가 설치된 경우에는, 각각 독립하여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 수단으로는 구체적으로 서모 스탯(온도 조절 장치)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각기 제어 수단과 함께, 또는 이를 대신하여 냉각 탱크의 유출수의 온도를 검출해서 유출수의 온도에 따라서 냉각 탱크로의 유입량 또는 냉각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여도 좋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냉각 장치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와 관련한 냉각 장치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냉각 장치의 개략 정면도이고,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냉각 장치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 장치(10)는 냉각 탱크(12)와, 냉각 탱크(12) 내부에 세로 2줄과 가로 3줄의 총 6개 나란히 마련된 냉각기(1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냉각기(14)는 각각 냉각통(16) 및 스크레이퍼(18)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냉각 탱크(12)는 그 내부에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직방체(直方體) 형상을 하고 있으며, 그 하부에는 유입구(20)가 설치되고, 그 상부에는 유출구(2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유입구(20) 및 유출구(22)는 냉각 대상이 되는 물이 수용된 탱크와 배관으로 연결된다.
상기 냉각기(14)의 냉각통(16) 내에는, 냉매 입출구(24)를 통해서 냉매가 도입되고, 각각의 외주면이 냉각면이 된다. 상기 냉각통(16)은 외부의 모터(26)에 연결되어 회전한다. 또한, 냉각기(14)의 스크레이퍼(18)는 냉각통(16)의 외주면의 축 방향 전체에 걸쳐서 형성된 칼날을 가지고 있으며, 그 칼날의 선단 및 냉각통(16)의 외주 표면과의 간격은, 예를 들면 0.3mm 정도이다.
계속해서, 상술한 냉각 장치(10)의 동작을 설명한다.
상기 냉각 장치(10)에서는 냉각 대상인 물이 유입구(20)로부터 냉각 탱크 (12)에 도입되는 동시에, 오버플로(overflow)한 물이 냉각 탱크(12)의 유출구(22)를 통해 유출된다. 이때, 수중에 위치하는 냉각기(14)의 냉각통(16)이 냉각된 상태로 회전하고, 이 냉각통(16)의 외주면에서 물이 직접 냉각된다. 물 전체의 냉각이 이루어지며, 냉각통(16)의 외주면에 얼음층이 형성되게 된다. 형성된 얼음층은 스크레이퍼(18)에 의해 긁어낸다. 또한, 물에 이물질이 포함된 경우, 냉각통(16)의 외주면에 부착하지만, 이것도 얼음층과 동시에 스크레이퍼(18)에 의해 긁어 내게 된다. 스크레이퍼(18)를 통해 냉각통(16)의 외표면에 두꺼운 얼음층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고(두꺼운 얼음층이 형성되면, 효율적인 냉각이 이루어지지 않음), 수중에 얇은 얼음을 방출해서 물의 냉각을 촉진함과 동시에, 부착물의 부착에 의한 냉각 효과 저감을 방지하여 효과적인 냉각을 실현한다. 긁어낸 얼음은 부유(浮遊)해서 유출구(22)로부터 배출된다.
이어서, 다른 실시 형태와 관련한 냉각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상기 냉각 장치(10)와 같은 구성의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냉각 탱크에 부유 얼음 유도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점에서 상기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와 관련한 냉각 장치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와 관련한 냉각 장치 (28)는 냉각 탱크(12)의 상부가 유출구(22)를 향하여 좁아지도록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 지붕(가이드)(30)을 가지고 있다. 또한, 냉각 탱크(12)의 상부에는 스크루(32)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지붕(가이드)(30) 및 스크류(32)를 통해 부유 얼음 유도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부유 얼음 유도 수단이 설치됨으로써, 스크레이퍼(18)에 의해 긁어낸 얼음이나 부착물 등의 부유물이 부드럽게 유출구(22)로부터 배출된다.
이어서, 상술한 본 발명의 냉각 장치를 구비한 어패류의 냉각 저장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어패류의 냉각 저장 시스템은, 포획된 어패류를 투입하는 1 또는 2 개 이상의 생선 탱크와, 상기 생선 탱크의 해수를 냉각하는 1 또는 2 개 이상의 상기 본 발명의 냉각 장치와, 상기 생선 탱크의 해수를 상기 냉각 장치로 안내하는 제 1 배관과, 상기 냉각 장치에서 냉각된 해수를 상기 생선 탱크로 안내하는 제 2 배관과, 상기 생선 탱크와 상기 냉각 장치 사이에서 해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 펌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생선 탱크는 포획된 어패류를 저장하는 탱크이다. 이 생선 탱크에는 냉각 대상이 되는 해수가 수용되지만, 냉각 촉진을 위해서 얼음 또는 셔벗 얼음이 수용되어도 좋다. 생선 탱크의 크기나 개수는 특히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생선 탱크의 크기나 개수에 맞추어, 본 발명의 냉각 장치의 냉각 강도를 조절한다. 본 발명의 생선 탱크로는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어선의 갑판 아래에 40 ~ 50m3 정도의 탱크가 여러개 병렬로 매립된 생선 탱크를 들 수 있다(도 4 참조).
상기 생선 탱크에는 제 1 배관 및 제 2 배관이 연결되어 있다. 제 1 배관은 생선 탱크의 해수를 냉각 장치로 보내는 배관이다. 상기 제 1 배관은 일측이 생선 탱크에 접속되고, 타측이 냉각 장치의 유입구에 연결된다. 복수의 생선 탱크가 설치된 경우에는 각 생선 탱크에 제 1 배관이 연결되며, 제 1 배관에 설치된 각각의 밸브에 의해 각 생선 탱크의 통수(通水) 및 단수나, 유량이 제어된다(도 4 참조).
제 2 배관은 냉각 장치를 통해 냉각된 해수를 생선 탱크로 보내는 배관이다. 상기 제 2 배관은 일측이 냉각 장치의 유출구에 연결되고, 타측이 생선 탱크에 연결된다. 복수의 생선 탱크가 설치된 경우에는 각 생선 탱크에 제 2 배관이 연결되고, 제 2 배관에 설치된 각각의 밸브에 의해 각 생선 탱크의 통수(通水) 및 단수나, 유량이 제어된다(도 4 참조).
순환 펌프는 생선 탱크와 냉각 장치 사이에 해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펌프이다. 이 순환 펌프는 본 시스템의 유로(流路) 상에 배치되는 것이라면 그 설치 위치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효율적으로 제어하고 순환시킨다는 점에서 제 1 배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복수의 생선 탱크가 설치된 경우에는 각 생선 탱크에서 흘러나오는 해수가 합류한 후(하류), 또 냉각 장치로 유입되기 전(상류)의 배관 부분에 순환 펌프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어패류의 냉각 저장 시스템은, 생선 탱크 내의 온도를 검출하여 그 온도에 따라 밸브 개폐 및 순환 펌프의 운전을 제어하는 서모 스탯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활어 탱크의 해수를 목적한 온도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생선 탱크의 서모 스탯은 냉각 장치의 서모 스탯(냉각 탱크의 유입수의 온도를 검출하고 제어하는 온도 조절 장치)과 연동하여 제어되어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어패류의 냉각 저장 시스템은 간단한 구성을 통해 해수를 냉각할 수 있는 것이고, 새로운 어선의 제조시에 설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어선의 생선 탱크를 이용하고 쉽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대량의 얼음과 대형의 제빙기를 들여오지 않고 어선에서 대량의 해수를 냉각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냉각 장치를 갖춘 어패류의 냉각 저장 시스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어패류의 냉각 저장 시스템의 개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어선의 상방으로부터 본 개략 평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어패류의 냉각 저장 시스템(100)은 선상에 설치되어 있으며, 4 개의 생선 탱크(34)와, 1 개의 냉각 장치(10)와, 상기 생선 탱크(34)의 해수를 냉각 장치(10)로 안내하는 제 1 배관(36)과, 상기 냉각 장치(10)에서 냉각된 해수를 생선 탱크(34)로 안내하는 제 2 배관(38)과, 제 1 배관(36)에 설치된 순환 펌프(4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생선 탱크(34)는 어선(42)의 갑판 밑에 병렬로 설치되어 있다. 각 생선 탱크(34)에는 서모 스탯(44)이 설치되어 있다.
각 생선 탱크(34)는 일측방으로 제 1 배관(36)에 접속되고, 타측방으로 제 2 배관(38)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각 생선 탱크(34)의 유입구 및 유출구에는 밸브(46)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밸브(46)의 개폐에 의한 각 생선 탱크의 통수(通水) 및 단수나, 유량 조정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하는 생선 탱크(34)의 교체나, 각 생선 탱크(34)를 동시에 사용할 경우, 각 생선 탱크(34)에 대한 유량의 조정(생선 탱크의 냉각 정도의 조정)이 가능해진다.
냉각 장치(10)는, 유입구(20)에서 생선 탱크(34)와 일단이 접속된 제 1 배관 (36)의 타단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냉각 장치(10)의 유출구(22)에서 생선 탱크 (34)와 일단이 접속된 제 2 배관(38)의 타단이 연결되어 있다.
순환 펌프(40)는 각 생선 탱크(34)에서 흘러나오는 해수가 합류한 후(하류), 또 냉각 탱크(12)에 유입되기 전(상류)의 제 1 배관(36)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배관(36)의 냉각 탱크(12)의 유입구(20) 부근에는 서모 스탯(48)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어패류의 냉각 저장 시스템 (100)을 이용함으로써, 1 개의 냉각 장치에서 사용하는 2 개 이상의 생선 탱크를 동시에 냉각할 수 있으며, 각 생선 탱크의 해수를 효과적으로 냉각하여 어선에서 잡은 어패류를 충분히 냉각된 상태에서 저장할 수 있다.
계속해서, 이러한 본 발명의 냉각 장치와 냉각 저장 시스템을 이용한 어패류의 냉각 저장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어패류의 냉각 저장 방법은 상기 냉각 장치를 이용하여 해수를 냉각하고, 냉각된 해수를 통해 포획된 어패류를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어패류의 냉각 저장 방법은 어선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냉각 저장 시스템을 이용한 어패류의 냉각 저장 방법은, 생선 탱크의 해수를 냉각 장치로 순환시켜서 생선 탱크의 해수를 미리 냉각하는 예냉각 공정(S1)과, 냉각 장치로 냉각된 해수를 수용한 생선 탱크에 포획된 어패류를 투입하는 어패류 투입 공정(S2)과, 투입된 어패류에 의해서 온도 상승한 해수를 냉각 장치로 순환시켜서 생선 탱크의 해수를 냉각하는 냉각 공정(S3)으로 이루어진다(도 5 참조).
이하, 각 공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예냉각 공정(S1)은, 생선 탱크의 해수를 냉각 장치로 순환시켜서 생선 탱크의 해수를 미리 냉각하는 공정이다. 이 공정에 의해 포획된 어패류를 생선 탱크에 투입하기 전에 생선 탱크의 온도를 어패류의 보존에 적절한 온도(-1~2℃)로 맞출 수 있다. 예냉각 시 또는 예냉각 후에, 생선 탱크에 얼음이나 셔벗 얼음을 투입해도 좋다.
어패류 투입 공정(S2)은, 냉각 장치로 냉각된 해수를 수용한 생선 탱크에 포획된 어패류를 투입하는 공정이다. 어패류의 온도는 보통 해수의 온도와 동일하며, 예를 들면, 해수가 25℃ 정도인 경우, 투입하는 어패류도 25℃ 정도이며, 생선 탱크의 해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냉각 공정(S3)은 투입된 어패류에 의해서 온도 상승한 해수를 냉각 장치로 순환시켜서 생선 탱크의 해수를 냉각하는 공정이다. 이 공정의 전, 후, 동시 중 적어도 1개의 타이밍에서 얼음 또는 셔벗 얼음을 투입해도 좋다.
통상의 얼음만 투입하고 냉각하는 방식에서는 얼음이 부유해서 생선 탱크의 상부와 하부로 온도차가 생기거나 냉각이 급속히 진전되지 못하기도 하지만,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생선 탱크의 해수를 냉각 장치를 이용하여 순환 냉각함으로써, 생선 탱크의 온도 차이를 해소하고, 생선 탱크 전체의 해수를 어패류의 보존에 적절한 온도(-1~2℃)로 냉각해서 유지하며 어패류의 선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냉각 장치는 예를 들면 포획된 어패류의 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해수를 냉각할 수 있어 산업상 유용하다.
10 냉각 장치
12 냉각 탱크
14 냉각기
16 냉각통
18 스크레이퍼
20 유입구
22 유출구
24 냉매 입출구
26 모터
28 냉각 장치
30 지붕(가이드)
32 스크류
34 생선 탱크
36 제 1 배관
38 제 2 배관
40 순환 펌프
42 어선
44 서모 스탯
46 밸브
48 서모 스탯
100 냉각 저장 시스템

Claims (12)

  1. 물의 유입구 및 유출구를 구비하고,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냉각 탱크와, 상기 냉각 탱크의 내부에 설치되며, 수중에 침지된 상태에서 물을 냉각하는 냉각기를 구비한 냉각 장치로서,
    상기 냉각기가, 그 외주면을 냉각면으로 해서 회전하는 냉각통과, 상기 냉각통의 외주면에 생성된 얼음 및 부착된 부착물을 긁어내는 스크레이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이 해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탱크의 내부에 복수의 냉각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탱크에, 상기 냉각기에 의해 생성되어 부유(浮遊)하는 얼음을 상기 유출구로 유도하는 부유 얼음 유도 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 얼음 유도 수단은 부유하는 얼음을 상기 유출구로 유도하는 수류(水流)를 발생시키는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의 유입구는 상기 냉각 탱크의 하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물의 유출구는 상기 냉각 탱크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탱크의 유입수의 온도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유입수의 온도에 따라서 상기 냉각 탱크로의 유입량 또는 냉각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8. 포획된 어패류를 투입하는 1 또는 2 개 이상의 생선 탱크와,
    상기 생선 탱크의 해수를 냉각하는 1 또는 2 개 이상의 청구항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의 냉각 장치와,
    상기 생선 탱크의 해수를 상기 냉각 장치로 안내하는 제 1 배관과,
    상기 냉각 장치에서 냉각된 해수를 상기 생선 탱크로 안내하는 제 2 배관과,
    상기 생선 탱크와 상기 냉각 장치 사이에서 해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 펌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패류의 냉각 저장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어선(漁船) 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패류의 냉각 저장 시스템.
  10. 청구항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냉각 장치를 이용해서 해수를 냉각하고, 상기 냉각한 해수로 포획한 어패류를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패류의 냉각 저장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어선(漁船) 상에서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패류의 냉각 저장 방법.
  12. 청구항 9 항의 냉각 저장 시스템을 이용한 어패류의 냉각 저장 방법으로서,
    생선 탱크의 해수를 냉각 장치로 순환시켜서 생선 탱크의 해수를 미리 냉각하는 예냉각 공정과,
    상기 냉각 장치로 냉각된 해수를 수용한 생선 탱크에 포획된 어패류를 투입하는 어패류 투입 공정과,
    상기 투입된 어패류에 의해서 온도 상승한 해수를 상기 냉각 장치로 순환시켜서 생선 탱크의 해수를 냉각하는 냉각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패류의 냉각 저장 방법.
KR1020180134249A 2018-06-04 2018-11-05 물 냉각 장치 KR1021268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07136 2018-06-04
JP2018107136A JP6713173B2 (ja) 2018-06-04 2018-06-04 冷却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8262A true KR20190138262A (ko) 2019-12-12
KR102126819B1 KR102126819B1 (ko) 2020-06-25

Family

ID=68846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4249A KR102126819B1 (ko) 2018-06-04 2018-11-05 물 냉각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713173B2 (ko)
KR (1) KR1021268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02648A (zh) * 2020-11-16 2021-04-06 广东海洋大学 一种可控式半开放的养殖舱系统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48295A (en) * 1975-10-14 1977-04-16 Gisaburou Ishibashi Moxibustion moxa carbon
JPS5277196A (en) * 1975-12-22 1977-06-29 Owens Illinois Inc Isophthalic acid*p*p**sulfonyldibenzoic acid*ethyleneglycol*neopentylglycol polyester and container obtained therefrom
JPS5277195A (en) * 1975-12-20 1977-06-29 Bayer Ag Boronncontaining resin and method of making same and vulcanized rubber
JPS5293190A (en) * 1976-01-30 1977-08-05 Keizou Momose Electrode for measuring electroencephalogram
JPS5293191A (en) * 1976-01-29 1977-08-05 Masato Mai Device for detecting pulsation
JPH05340117A (ja) * 1992-06-09 1993-12-21 Mitsuyoshi Hatanaka スクリュウ式水流発生装置
JPH0637095A (ja) * 1992-07-17 1994-02-10 Tanaka Kikinzoku Kogyo Kk バンプ形成方法
JPH0637095U (ja) * 1992-10-22 1994-05-17 カルソニック株式会社 漁船用魚艙冷却装置
JP3081882U (ja) 2001-05-17 2001-11-22 智明 野田 海水用簡易冷却濾過装置
JP2017040467A (ja) * 2015-08-21 2017-02-23 Ice2.0合同会社 一定融点温度の固液混合物を生成する方法・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36095U (ko) * 1971-09-07 1973-04-28
JPS5618865B2 (ko) * 1973-02-13 1981-05-01
JPS5391154A (en) * 1977-01-21 1978-08-10 Maekawa Seisakusho Kk Freezing or cooling method
JPS5380162U (ko) * 1977-11-17 1978-07-04
JPS60157997A (ja) * 1984-01-26 1985-08-19 Mitsubishi Electric Corp 漁船用海水槽の冷却装置
JPH02178582A (ja) * 1988-12-29 1990-07-11 Daikin Ind Ltd 製氷装置
JPH05296627A (ja) * 1992-04-20 1993-11-09 Mitsubishi Heavy Ind Ltd 氷晶用熱交換器
JP2000258005A (ja) * 1999-03-11 2000-09-22 Hokuriku Electric Power Co Inc:The 粒氷製造・搬送方法及びその装置
DE10017723A1 (de) * 2000-04-11 2001-10-18 Schill Maja Masch Scherbeneismaschine
US8984907B2 (en) * 2009-03-14 2015-03-24 Maja-Maschinenfabrik Hermann Schill Gmbh & Co. Kg Apparatus for producing flake ice
JP5380257B2 (ja) * 2009-11-27 2014-01-08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ドラム式製氷機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48295A (en) * 1975-10-14 1977-04-16 Gisaburou Ishibashi Moxibustion moxa carbon
JPS5277195A (en) * 1975-12-20 1977-06-29 Bayer Ag Boronncontaining resin and method of making same and vulcanized rubber
JPS5277196A (en) * 1975-12-22 1977-06-29 Owens Illinois Inc Isophthalic acid*p*p**sulfonyldibenzoic acid*ethyleneglycol*neopentylglycol polyester and container obtained therefrom
JPS5293191A (en) * 1976-01-29 1977-08-05 Masato Mai Device for detecting pulsation
JPS5293190A (en) * 1976-01-30 1977-08-05 Keizou Momose Electrode for measuring electroencephalogram
JPH05340117A (ja) * 1992-06-09 1993-12-21 Mitsuyoshi Hatanaka スクリュウ式水流発生装置
JPH0637095A (ja) * 1992-07-17 1994-02-10 Tanaka Kikinzoku Kogyo Kk バンプ形成方法
JPH0637095U (ja) * 1992-10-22 1994-05-17 カルソニック株式会社 漁船用魚艙冷却装置
JP3081882U (ja) 2001-05-17 2001-11-22 智明 野田 海水用簡易冷却濾過装置
JP2017040467A (ja) * 2015-08-21 2017-02-23 Ice2.0合同会社 一定融点温度の固液混合物を生成する方法・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02648A (zh) * 2020-11-16 2021-04-06 广东海洋大学 一种可控式半开放的养殖舱系统
CN112602648B (zh) * 2020-11-16 2021-10-29 广东海洋大学 一种可控式半开放的养殖舱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713173B2 (ja) 2020-06-24
KR102126819B1 (ko) 2020-06-25
JP2019211148A (ja) 2019-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2184B1 (ko) 극지용 선박의 냉각장치
JP6022484B2 (ja) バラストタンク中のバラスト水を処理するためのシステム
US2746272A (en) Method for holding shrimp
KR20190138262A (ko) 물 냉각 장치
KR20090071359A (ko) 드레인 저장 탱크의 머드 고착 방지 장치
CN106428501A (zh) 一种船用主机辅助冷却水内循环系统及冷却方法
CN104792080A (zh) 流态冰浓缩、均匀、储存及排送罐装置
JP2007132649A (ja) シャーベット氷製造機
CA1297245C (en) Shucking clams at sea
KR100653104B1 (ko) 염화칼슘 브라인을 이용한 수산물용 급속 냉동방법
CN204787475U (zh) 流态冰浓缩、均匀、储存及排送罐装置
KR101145466B1 (ko) 엔진냉각수를 이용한 발라스팅 처리방법 및 그 장치
NO173113B (no) Fremgangsmaate og anordning for kjoeling av fisk ombord i et skip
RU2577462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ледяной шуги
JP2022108586A (ja) 冷却方法および冷却装置
US4897896A (en) Harvesting, shucking and eviscerating clams at sea
KR20210079687A (ko) 소형 선박용 어창 모듈
US4887333A (en) Harvesting, shucking and eviscerating clams at sea
KR20070048102A (ko) 저염분 얼음 제조용 제빙기, 및 제빙 시스템
US2628483A (en) Refrigeration of fish
KR200207923Y1 (ko) 활어조용 냉수공급장치
CN211688615U (zh) 油污水回收利用装置
JP2006189233A (ja) 流動氷の製造方法及び装置
RU1798247C (ru) Способ промывки танков изолированного балласта танкеров от илистых отложений
JPH0491730A (ja) 活魚槽の環境保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