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9687A - 소형 선박용 어창 모듈 - Google Patents

소형 선박용 어창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9687A
KR20210079687A KR1020190171731A KR20190171731A KR20210079687A KR 20210079687 A KR20210079687 A KR 20210079687A KR 1020190171731 A KR1020190171731 A KR 1020190171731A KR 20190171731 A KR20190171731 A KR 20190171731A KR 20210079687 A KR20210079687 A KR 202100796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ater
fishing rod
cooling device
tank
mixing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1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4636B1 (ko
Inventor
최정환
Original Assignee
에이엘조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엘조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엘조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1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4636B1/ko
Publication of KR20210079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9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4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4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14Fishing vessels
    • B63B35/24Fish ho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12Heating; Coo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활어를 생존한 상태로 운반하기 위한 소형 선박용 어창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선박의 선체(100) 내부에 설치되되, 해수 및 활어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어창(200); 상기 선체(100) 외부의 해수를 상기 어창(200)에 공급하기 위한 외부 해수 공급라인(320); 상기 외부 해수 공급라인(320) 상에 설치되되, 상기 선체(100) 외부의 해수를 능동적으로 끌어들어 상기 어창(200) 내에 공급하는 외부 해수 공급 펌프(310); 및 상기 어창(200) 내의 해수 중 일부를 유출하여, 이를 냉각한 후 다시 어창(200)으로 공급하는 해수 냉각 장치(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형 선박용 어창 모듈{Fish Hold Module for Small Vessel}
본 발명은 소형 선박용 어창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해수의 공급이 자유롭고, 어창 내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소형 선박용 어창 모듈에 관한 것이다.
주로 어선으로 많이 사용되는 소형 선박(600)에는 포획한 어류를 활어 상태로 육지로 운반하기 위한 어창(620)이 설치된다(도 1 참조). 종래의 소형 선박에 설치되는 어창에는 선체 외부에서 공급받은 해수를 주입하게 되는데, 통상적으로 해수 유입구를 개방한 상태로 두면 해수가 자연 유입되어 어창(620)을 채우게 된다. 근래들어 알루미늄이 소형 선박의 재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알루미늄 선박은 통상의 목재, 금속 또는 FRP 선박과 비교하여 부력이 크기 때문에 흘수가 얕고(도 1(b) 참조), 그로 인하여 해수의 자연유입에 의해서는 어창(620)에 충분한 양의 해수를 채우는 것이 어려웠다.
더 나아가, 어창에 많은 양의 활어가 있을 경우 어창 내의 해수 온도가 올라가게 되는데, 이 경우 활어의 생존률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어창 내의 해수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된다. 대형 어선의 경우에는 어창 내의 해수 온도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나 소형 어선에서는 이러한 냉각 장치의 적용이 쉽지 아니하였다. 특히 냉각된 해수가 어창에 유입될 때, 어창 내에서 냉각수가 공급되는 부분과, 냉각수가 공급되는 부분 사이에 큰 온도차가 발생하여(즉, 어창 내에서 큰 온도 구배가 발생), 활어가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686730 (등록일: 2007.02.16.)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9009호 (등록일: 2015.12.03.)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57998호 (등록일: 2001.12.06.)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형 알루미늄 선박에 설치된 어창에 쉽게 해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어창 내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어창 내에 공급되는 냉각된 해수로 인하여 발생하는 어창 내 해수 온도 분포의 불균일성, 즉 온도구배를 최소화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활어를 생존한 상태로 운반하기 위한 소형 선박용 어창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선박의 선체(100) 내부에 설치되되, 해수 및 활어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어창(200); 상기 선체(100) 외부의 해수를 상기 어창(200)에 공급하기 위한 외부 해수 공급라인(320); 상기 외부 해수 공급라인(320) 상에 설치되되, 상기 선체(100) 외부의 해수를 능동적으로 끌어들어 상기 어창(200) 내에 공급하는 외부 해수 공급 펌프(310); 및 상기 어창(200) 내의 해수 중 일부를 유출하여, 이를 냉각한 후 다시 어창(200)으로 공급하는 해수 냉각 장치(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 해수 공급라인(320)의 일단은 선체(100) 내에 구비된 밸러스트 탱크(150)와 연결되되, 상기 밸러스트 탱크(150) 내에 저장된 해수를 상기 어창(200)에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창(200)과는 별도로 해수를 저장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해수 혼합조(8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어창(200)에서 해수를 유출시키기 위한 어창내 해수 배출라인(510)의 일단은 상기 어창(200)과 이어지고, 타단은 두 개로 분기하여 이중 하나는 상기 해수 혼합조(800)와 연결되는 혼합해수조 유입라인(540)을, 나머지 하나는 상기 해수 냉각 장치(400)의 해수 입구와 연결되는 냉각장치 유입라인(530)을 형성하며, 냉각장치 배출라인(500)의 일단은 상기 해수 냉각 장치(400)의 해수 출구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해수 혼합조(800)와 연결되고, 어창내 해수 공급라인(520)의 일단은 상기 해수 혼합조(800)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어창(200)과 연결되어 있어, 상기 해수 냉각 장치(400)에서 냉각된 해수는 상기 냉각장치 배출라인(500)을 통하여 상기 해수 혼합조(800) 내로 공급되고, 상기 해수 혼합조(800) 내에서 상기 해수혼합조 유입라인(540)을 통하여 유입된 해수와 혼합되며, 상기 해수 혼합조(800) 내의 해수는 상기 어창내 해수 공급 라인(520)을 통하여 상기 어창(200)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어창내 해수 배출라인(510) 및 상기 어창내 해구 공급라인(520)을 통하여 유동하는 해수의 양은, 상기 냉각장치 유입라인(530) 및 상기 냉각장치 배출라인(55)을 통하여 유동하는 해수의 양보다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알루미늄 선박용 어창은 펌프를 이용하여 해수를 공급함으로써, 소형 알루니늄 선박에 설치된 어창이라고 하더라도 큰 어려움 없이 해수를 소정 높이까지 채울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활어의 밀도가 높아서 어창 내의 해수의 온도가 높아질 경우, 이를 냉각시킨 후 다시 어창 내로 공급하는 사이클을 형성함으로써 어창 내의 해수 온도를 제어함으로써, 활어의 생존률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어창 내에 냉각된 해수가 공급될 때, 냉각된 해수가 공급되는 영역과 나머지 영역의 해수의 온도차(온도구배)를 최소화함으로써, 온도구배에 의하여 활어가 받게되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선체 내 어창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체 내 어창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3 및 4는 본 발명에 따른 해수 냉각 장치가 구비된 어창 모듈의 개념을 개시하고 있다.
도 5 내지 7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선박용 어창 모듈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알루미늄 선박용 어창 모듈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는 소형 알루미늄 선박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통상 알루미늄으로 선체(100)를 제조하게 될 경우, FRP선 또는 목재선과 비교하여 부력이 커서 해수의 자연 유입만으로는 어창(200) 내부에 충분한 양의 해수를 유입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도 2(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외부 해수 공급라인(320)에 외부 해수 공급 펌프(310)를 설치하여 선체(100) 외부의 해수를 어창(200)내로 공급하게 되면, 어창 내 수면(220)의 높이는 해수면(W.L.)보다 높이 올라갈 수 있으므로, 알루미늄 선박 내에 설치된 어창(200)에도 충분한 양의 해수면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도 2(b)는 외부 해수 공급라인(320)이 선체(100) 외부로 바로 이어지는 대신 선체(100) 내에 형성된 밸러스트 탱크(150)에 연결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밸러스트 탱크(150) 내에는 이미 외부 해수가 유입되어 있으므로, 이를 어창(200)으로 공급하게 되는 것인데, 이와 같은 실시예를 통하여 외부 해수 공급라인(320)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근래들어 밸러스트 탱크(150) 내에 해수를 유입할 때 해수 내에 포함된 유해한 미생물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해수 정화 시설(자외선 살균 장치)이 밸러스트 탱크에 갖추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밸러스트 탱크(150) 내의 해수를 어창(200)에 공급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정화된 해수가 어창(200)에 공급됨으로서 활어의 신선도를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도 3은 어창(200) 내의 해수 온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어창(200) 내의 해수 중 일부를 배출하여(d1), 이를 해수 냉각 장치(400)에 의하여 냉각시킨 후 다시 어창(200)내로 공급(s1)하는 개념을 도시하고 있다. 해수 냉각 장치(400)는 종래의 수 냉각 장치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그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 때 어창(200) 내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컨트롤하기 위해서는 냉각되는 해수의 유량이 충분해야 하는데, 소형 어선에 설치될 수 있는 해수 냉각 장치(400)의 규모 및 비용 등을 고려하면, 큰 용량의 해수 냉각 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사실상 어려울 수 있다. 이 경우 냉각 용량이 적은 해수 냉각 장치(400)를 설치할 수 밖에 없는데, 공급 해수의 양이 적기 때문에 어창(200) 내의 해수 온도를 크게 낮출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해수 냉각 장치(400)의 출력을 높게하여 냉각되는 해수의 온도를 최대한 낮추어야 한다.
이 경우 어창(200)에 공급되는 냉각된 해수(s1)는 그 양은 적지만, 어창(200) 내를 채우고 있는 해수에 비하여 온도가 크게 낮은 상태이므로, 냉각된 해수가 유입되는 영역은 온도가 크게 낮아지게 된다. 즉, 어창(200) 내에서 냉각된 해수가 유입되는 영역 주변을 중심으로 온도구배가 크게 나타나므로, 어창(200) 내를 유영하는 활어가 스트레를 받아 생존률이 낮아질 수 있다.
도 4는 이와 같이 냉각 가능한 수량이 작은 해수 냉각 장치를 이용했을 경우에도 어창(200) 내 온도구배를 최소화할 수 있는 개념을 개시하고 있다. 우선 어창(200) 내의 해수 온도가 최적 온도 범위를 벗어났을 경우, 어창(200)에서 해수의 일부를 유출시키게 되는데(d2), 그 양은 해수 냉각 장치(400)의 처리 가능 용량보다 크게 설정된다. 어창(200) 내에서 유출된 해수의 일부는 해수 혼합조(800)로 지칭되는 별도의 수조로 공급되고(d4), 일부는 해수 냉각 장치(400)로 공급된다(d3).
해수 냉각 장치(400)에 의하여 냉각된 해수는 해수 혼합조(800)로 공급되고, 해수 혼합조(800) 내에서는 어창(200)에서 유출된 해수 중 해수 혼합조(800)로 공급되었던 해수(d4)와 섞이게 된다. 다시 해수 혼합조(800)의 해수는 어창(200)으로 공급되는데(s2), 이 때 해수 혼합조(800)로부터 어창(200)으로 공급되는 냉각된 해수의 수량은 해수 냉각 장치(400)의 냉각 수량보다는 크고, 온도는 다소 높아진 상태이다.
즉, 처리 용량이 다소 적은 해수 냉각 장치(400)를 사용하더라도, 어창(200) 내에 공급되는 해수의 수량은 늘리고, 온도의 차이는 줄임으로써, 어창(200) 내의 온도구배를 감소시키고, 이는 활어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킴으로써 활어의 생존률을 높이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알루미늄 선박용 어창 모듈의 구현예를 도시한 것이다. 어창(200)의 해수를 유출시키는 어창내 해수 배출라인(510)은 분기하여 일단은 해수 혼합조(800)로 이어지는 혼합해수조 유입라인(540)을 형성하고, 다른 일단은 해수 냉각 장치(400)의 입구로 이어지는 냉각장치 유입라인(530)을 형성한다. 다시 해수 냉각 장치(400)의 출구로부터 이어지는 냉각장치 배출라인(550)은 해수혼합조(800)로 이어지고, 다시 해수혼합조(800)로부터 어창(200)까지 어창내 해수 공급라인(520)이 이어진다. 여기에서 어창(200) 내에서 유출되고, 다시 유입되는 해수의 양은 해수 냉각 장치(400)의 처리 용량보다 크기 때문에, 어창내 해수 배출라인(510)과 어창내 해수 유입 라인(520)은 냉각장치 유입라인(530) 및 냉각장치 배출라인(550)과 비교하여 크게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해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어창내 해수 배출펌프(420) 또는 어창내 냉각해수 공급펌프(410)를 설치하는 것이 좋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형 알루미늄 선박용 어창 모듈의 구현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의 실시예와는 다르게 어창내 해수 공급라인(520)의 사이즈를 줄이는 대신 그 개수를 늘였다. 이 경우, 냉각된 해수가 어창(200) 내로 공급되는 영역이 커지는 대신, 한 영역에서 공급되는 냉각된 해수의 양은 적어지므로, 어창(200) 내의 온도구배를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그리고 해수 혼합조(800) 내에 해수혼합조 교반수단(430)을 설치함으로써, 혼합해수조 유입라인(540)을 통하여 유입된 해수와 냉각장치 배출라인(550)을 통하여 유입된 냉각된 해수가 고르게 섞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형 알루미늄 선박용 어창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도 7의 실시예에 개시된 어창내 해수 공급라인(520)을 더 개선한 것이다. 해수 공급라인(520)이 다수 개로 분기되어, 어창(200)의 네 측벽의 다수 영역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냉각된 해수가 공급되는 영역은 더 크게 확대되고, 한 영역에서 공급되는 냉각된 해수의 양은 감소하기 때문에, 어창(200) 내 온도구배 감소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100: 선체 150: 밸러스트 탱크
200: 어창 220: 어창 내 수면
310: 외부 해수 공급 펌프 320: 외부 해수 공급라인
400: 해수 냉각 장치 410: 어창내 냉각해수 공급펌프
420: 어창내 해수 배출펌프 430: 해수혼합조 교반수단
510: 어창내 해수 배출라인 520: 어창내 해수 공급라인
530: 냉각장치 유입라인 540: 혼합해수조 유입라인
550: 냉각장치 배출라인 800: 해수 혼합조
600: 종래 선박의 선체 620: 종래의 어창

Claims (4)

  1. 활어를 생존한 상태로 운반하기 위한 소형 선박용 어창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선박의 선체(100) 내부에 설치되되, 해수 및 활어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어창(200);
    상기 선체(100) 외부의 해수를 상기 어창(200)에 공급하기 위한 외부 해수 공급라인(320);
    상기 외부 해수 공급라인(320) 상에 설치되되, 상기 선체(100) 외부의 해수를 능동적으로 끌어들어 상기 어창(200) 내에 공급하는 외부 해수 공급 펌프(310); 및
    상기 어창(200) 내의 해수 중 일부를 유출하여, 이를 냉각한 후 다시 어창(200)으로 공급하는 해수 냉각 장치(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선박용 어창 모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 해수 공급라인(320)의 일단은 선체(100) 내에 구비된 밸러스트 탱크(150)와 연결되되, 상기 밸러스트 탱크(150) 내에 저장된 해수를 상기 어창(200)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선박용 어창 모듈.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창(200)과는 별도로 해수를 저장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해수 혼합조(8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어창(200)에서 해수를 유출시키기 위한 어창내 해수 배출라인(510)의 일단은 상기 어창(200)과 이어지고, 타단은 두 개로 분기하여 이중 하나는 상기 해수 혼합조(800)와 연결되는 혼합해수조 유입라인(540)을, 나머지 하나는 상기 해수 냉각 장치(400)의 해수 입구와 연결되는 냉각장치 유입라인(530)을 형성하며,
    냉각장치 배출라인(500)의 일단은 상기 해수 냉각 장치(400)의 해수 출구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해수 혼합조(800)와 연결되고,
    어창내 해수 공급라인(520)의 일단은 상기 해수 혼합조(800)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어창(200)과 연결되어 있어,
    상기 해수 냉각 장치(400)에서 냉각된 해수는 상기 냉각장치 배출라인(500)을 통하여 상기 해수 혼합조(800) 내로 공급되고, 상기 해수 혼합조(800) 내에서 상기 해수혼합조 유입라인(540)을 통하여 유입된 해수와 혼합되며,
    상기 해수 혼합조(800) 내의 해수는 상기 어창내 해수 공급 라인(520)을 통하여 상기 어창(200)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선박용 어창 모듈.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어창내 해수 배출라인(510) 및 상기 어창내 해구 공급라인(520)을 통하여 유동하는 해수의 양은, 상기 냉각장치 유입라인(530) 및 상기 냉각장치 배출라인(55)을 통하여 유동하는 해수의 양보다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선박용 어창 모듈.
KR1020190171731A 2019-12-20 2019-12-20 소형 선박용 어창 모듈 KR102294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731A KR102294636B1 (ko) 2019-12-20 2019-12-20 소형 선박용 어창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731A KR102294636B1 (ko) 2019-12-20 2019-12-20 소형 선박용 어창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9687A true KR20210079687A (ko) 2021-06-30
KR102294636B1 KR102294636B1 (ko) 2021-08-27

Family

ID=76602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1731A KR102294636B1 (ko) 2019-12-20 2019-12-20 소형 선박용 어창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46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14852A (zh) * 2022-08-25 2022-10-21 福建省马尾造船股份有限公司 一种船用金枪鱼冷冻储存舱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043U (ja) * 1993-11-16 1995-06-06 カルソニック株式会社 活魚用水槽装置
JP2001080575A (ja) * 1999-09-16 2001-03-27 Shikoku Res Inst Inc 漁船用魚槽冷却装置
KR200257998Y1 (ko) 2001-09-14 2001-12-22 김경진 활어조 해수 냉각장치
JP2003102324A (ja) * 2001-07-26 2003-04-08 Ikeda Commercial Co Ltd 漁船用鮮度維持装置及び漁船用生け簀
KR100686730B1 (ko) 2006-11-20 2007-02-26 주식회사 대일냉각기 어선용 활어 및 선어 운반장치
KR200479009Y1 (ko) 2015-05-30 2015-12-09 빈중식 어업 선박용 냉온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043U (ja) * 1993-11-16 1995-06-06 カルソニック株式会社 活魚用水槽装置
JP2001080575A (ja) * 1999-09-16 2001-03-27 Shikoku Res Inst Inc 漁船用魚槽冷却装置
JP2003102324A (ja) * 2001-07-26 2003-04-08 Ikeda Commercial Co Ltd 漁船用鮮度維持装置及び漁船用生け簀
KR200257998Y1 (ko) 2001-09-14 2001-12-22 김경진 활어조 해수 냉각장치
KR100686730B1 (ko) 2006-11-20 2007-02-26 주식회사 대일냉각기 어선용 활어 및 선어 운반장치
KR200479009Y1 (ko) 2015-05-30 2015-12-09 빈중식 어업 선박용 냉온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14852A (zh) * 2022-08-25 2022-10-21 福建省马尾造船股份有限公司 一种船用金枪鱼冷冻储存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4636B1 (ko) 2021-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283874B2 (en) System and method for off-shore and in-shore aquaculture using floating closed containment farming and amalgamated facility
KR102294636B1 (ko) 소형 선박용 어창 모듈
CN206247040U (zh) 船舶压舱水处理装置
US11582955B2 (en) Floatable fish tank having working floor
Harboe et al. Design and operation of an incubator for yolk‐sac larvae of Atlantic halibut
JP5343209B2 (ja) 活魚輸送装置およびイカの活魚輸送装置
JP4942070B2 (ja) 海洋深層水を用いる飼育施設および水質調整方法
KR20170071340A (ko) 부력변동형 가두리 양식장치
KR101824359B1 (ko) 갑각류 수송용 컨테이너를 이용한 수송방법
CN101863305A (zh) “负干舷”活鱼运输船
KR101824358B1 (ko) 갑각류 수송용 컨테이너
EP3098545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block ice treated with nitrogen substitution
KR101145466B1 (ko) 엔진냉각수를 이용한 발라스팅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1663723B1 (ko) 선박용 살균 소독수 공급 시스템 및 그 방법
JPH04360636A (ja) 生きたイカの輸送装置
JP2017099331A (ja) 鮮度維持装置及び鮮度維持方法
KR20190138262A (ko) 물 냉각 장치
CN215912980U (zh) 一种海洋鱼苗增殖放流用运输船
KR20220011440A (ko) 양식장의 사료 공급 선박
CN201580537U (zh) 负干舷活鱼运输船
KR20120118166A (ko) 선박의 발라스트 탱크 구조체
KR20080071821A (ko) 선박용 밸러스트시스템
KR20210077900A (ko) 해수펌프 및 조립식 이중바닥을 갖춘 어선의 어창
KR20220011443A (ko) 양식장의 사료 공급선용 사료공급 장치
KR200207923Y1 (ko) 활어조용 냉수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