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4358B1 - 갑각류 수송용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갑각류 수송용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4358B1
KR101824358B1 KR1020170041513A KR20170041513A KR101824358B1 KR 101824358 B1 KR101824358 B1 KR 101824358B1 KR 1020170041513 A KR1020170041513 A KR 1020170041513A KR 20170041513 A KR20170041513 A KR 20170041513A KR 101824358 B1 KR101824358 B1 KR 101824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water
crustacean
tank
bree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1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일
구자선
정경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라에프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라에프앤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라에프앤디
Priority to KR1020170041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4358B1/ko
Priority to PCT/KR2018/001042 priority patent/WO2018182158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4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4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2Receptacle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live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카고룸 하부에는 하부 수송수조가 하나 이상 설치되고 카고룸 내부 측면에는 수조 고정장치가 형성되어 갑각류 보조수조가 하나 이상 수평방향으로 하나 이상 슬라이드 고정되어, 갑각류 보조수조로 사육수를 분사할 수 있는 사육수 분사장치가 설치되어, 하부 수송수조에서 배수된 사육수가 정화과정을 거친 후 사육수 분사장치로 이동하여 갑각류 보조수조로 사육수가 분사되고 하부 수송수조로 재공급되는 갑각류 수송용 컨테이너를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큰 비중을 차지하는 사육수 적재용량을 기존의 양보다 절감시킬 수 있는 한편, 수산생물을 적재할 수 있는 수산생물이 30-50% 증가 가능한 효과가 있어 수송에 소모되는 비용의 감소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갑각류 수송용 컨테이너 {Container for transporting live-fish and Crustacea}
본 발명은 갑각류를 수송하는 컨테이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 수송수조 및 갑각류 보조수조가 카고룸 하부에 하나 이상 설치되고 카고룸 내부 측면에는 수조 고정장치가 형성되어 갑각류 보조수조가 하나 이상 수평방향으로 하나 이상 슬라이드 고정되며, 갑각류 보조수조로 사육수를 분사할 수 있는 사육수 분사장치가 설치되어 하부 수송수조에서 배수된 사육수가 정화과정을 거친 후, 사육수 분사장치로 이동하여 갑각류 보조수조로 사육수가 분사되고 하부 수송수조로 재공급됨으로써 사육수 적재용량을 절감시킬 수 있는 갑각류 수송용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양식업과 국민소득의 증대 및 외식산업의 발달과 함께 살아있는 싱싱한 해산물을 선호하는 소비자들의 욕구가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라 활어의 소비량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해안에서 어획한 수산물을 도심으로 보다 신선한 품질을 유지하며 운반하기 위해서는 얼마나 짧은 기간에 운반할 수 있는가, 어떻게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는가에 대한 활어 수송방법이 매우 중요하게 여겨진다. 일반적인 수산물의 유통 및 수송과정은 유통업자들이 산지에서 각종 수산물을 도매로 구입하고, 바닷물을 담은 수조에 활어를 입식시킨 후 활어 운반차를 이용함으로써 수산물 시장이나 횟집 등에 공급한다.
따라서 활어를 대량으로 적재할 수 있고 수산생물이 수송되는 동안 안전하게 생존할 수 있도록, 활어 운송에 이용되는 컨테이너의 장치 개발 및 수송방법 등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통상의 활어 운송용 컨테이너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도어를 구비하는 화물실인 카고룸 내부에 활어수조가 하나 이상 설치되고, 활어수조에는 어종마다 활어가 입식되며, 장기간 생존할 수 있도록 사육수와 활어를 적재한 상태 또는 활어를 적재하기 전부터 수조에 산소나 공기가 주입시킨다.
컨테이너에는 수조의 사육수가 적정수온 산소포화량을 유지할 수 있도록 냉각기 또는 냉동기와 같은 온도 조절장치와 사육수의 산소나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산소공급장치가 설치된다. 또한 사용된 사육수를 수송동안 재사용할 수 있도록 여과조와 스키머와 같은 사육수 정화장치가 설치되어 순환펌프에 의해 사육수가 컨테이너에서 순환되면서 신선한 사육수가 활어에게 공급될 수 있다.
카고룸의 전·후방측에는 구동장치부가 구비된다. 구동 장치부에는 활어 사육수 냉각장치와 함께 파워커넥터를 구비하는 유닛컨트롤박스(unit control box) 및 온도계 등이 각각 설치된다.
카고룸 내부에는 인버터가 설치되어 파워커넥터를 통하여 외부의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시간동안, 활어컨테이너의 전체적인 작동이 배터리에 의하여 활성화되고록 한다.
통상적인 활어 컨테이너는 기본적으로 활어와 사육수의 비율을 15% : 85%로 하여 수송하고 있을 만큼, 적재되는 중량 중 사육수의 양이 상당량을 차지하게 된다. 소비지역의 활어 가격은 물류비용이 그 대부분을 차지하므로 물류비용으로 인한 활어가격의 상승폭이 더욱 크게 되어 사육수가 컨테이너에 적재되는 용량을 줄일 수 있으면서 동시에 활어의 적재량을 효율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컨테이너 개발이 필요하다.
국내 등록특허번호 제10-0962365호에는 컨테이너의 카고룸 내부에 프로틴스키머를 활어수조와 함께 설치하여 상기 프로틴스키머로부터 단백질 등의 이물질과 함께 배출되는 거품이 대용량의 거품저장조에 저장되도록 하고, 컨테이너용 구동장치부에는 냉동유닛에 의한 활어수냉각기를 설치하여 활어수조로부터 습식여과조를 거쳐 배출되는 활어수를 냉각시켜 활어수조 또는 프로틴스키머로 다시 공급시킬 수 있도록 하거나, 활어수냉각기를 거쳐 냉각된 활어수가 활어수조의 상부에 설치된 건식여과조로 분사되는 과정에서 외부공기와의 접촉이 가능토록 하는 한편, 건식여과조에는 미생물이 함침 및 배양된 여과재를 설치한 활어수송용 컨테이너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국내 등록특허번호 제10-1405388호에는 카고룸의 벽체상에 카고룸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측면도어를 설치하고, 상기 측면도어를 기초로 하여 카고룸의 내부 바닥에 활어수조의 수납식 적재를 위한 다수 개의 수조용 장착베이스를 설치하거나, 또는 상기 장착베이스를 카고룸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하는 한편, 이 장착베이스상에 한 쌍의 롤러레일을 설치하고, 각각의 롤러레일 사이에 활어수조를 전,후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는 이송스크류축과 푸싱블록을 설치한 활어수조 수납적재식 활어컨테이너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77863호에는 차량이나 선박에 탑재되어 활어를 운송하는 컨테이너에 있어서, 양식수와 활어를 수용하는 수조와, 상기 수조에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발생기와, 상기 산소발생기에서 발생된 산소를 상기 수조 내의 양식수에 용해시키는 기체용해장치와, 상기 산소발생기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수조 내의 활어 생존을 유지하기 위한 조도조절장치 및 냉각장치를 포함하는 활어 운송용 컨테이너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국내 등록특허번호 제10-1414336호에는 컨테이너의 기계실과 카고룸실을 분리 구비하서 기계장치와 수조를 분리함으로서 퓨즈박스, 전기콘트롤 박스, 영상저장장치, DO 온도 조절기, 스키머 배전판, UPS, 냉각기와 같은 습기에 민감한 시설의 고장 및 부식 가능성을 감소시키고 특히, 기존의 수조바닥에 설치한 냉각시스템을 수조와 분리시켜 설치하여 수조내 수온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저장효율을 높여 기존의 공냉식 냉각방식을 수냉식 냉각 방식을 사용하여 외부환경의 온도에 쉽게 영향을 받지 않고 고르게 온도유지를 하여, 장기간의 운송에도 수송되는 활어의 폐사율이 감소되어 활어 수출증대에 기여할 수 있는 활어 수송용 컨테이너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들은 본 발명의 전방부에는 기계실이 구성되고, 후방부에는 하부 수송수조 및 갑각류 보조수조가 하나 이상 설치되는 카고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카고룸은 하부에는 하부수송수조가 하나 이상 설치되고; 카고룸 내부측면에는 수조 고정장치가 형성되어 갑각류 보조수조가 하나 이상 수평방향으로 하나 이상 슬라이드 고정되며; 카고룸 내부 측면에는 사육수 분사장치가 상기 슬라이드 고정된 갑각류 보조수조로 분사 가능한 구성은 개시되지 않아 차이를 보인다.
본 발명은 기존의 활어컨테이너에 전체 중량의 약 80%를 차지하고 있는 사육수의 적재량으로 인해 활어컨테이너에 적재시킬 수 있는 수산생물의 양을 효율적으로 증가시킬 수 없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방부에는 기계실이 설비되고, 후방부에는 적재식 이중수조가 배치되는 카고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카고룸에는 하부 수송수조가 하나 이상 설치되고 카고룸 내부 측면에 형성된 수조 고정장치로 갑각류 보조수조가 슬라이드 고정되며, 하부 수송수조의 해수를 펌프를 이용해 갑각류 보조수조로 사육수를 분사할 수 있는 사육수 분사장치가 설치되는 갑각류 수송용 컨테이너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전방부에는 기계실이 구성되고, 후방부에는 하부 수송수조 및 갑각류 보조수조가 하나 이상 설치되는 카고룸으로 이루어진 갑각류 수송용 컨테이너를 제공한다.
상기 기계실의 내부 벽면에는 개별 휴즈박스와 수온을 자동 제어하는 무정전 전원장치가 설치되고; 기계실 하단에는 배터리가 무정전 전원장치와 연결되어 설치되고; 제어판은 기계실 외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산소발생기, DO콘트롤박스, 냉동기·냉각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산소발생기는 모터가 장착되고 후방에 설치되는 카고룸과 연결 설치된다.
카고룸의 좌, 우 어느 한 측에는 카고룸 산소발생기, 보관장치탱크, 스키머, 보조여과조, 여과조가 설치되고, 상기 카고룸 산소발생기 및 보관장치탱크는 기계실의 냉동기·냉각기와 파이프를 매개로 연결된다.
상기 카고룸의 하부에는 하부 수송수조가 하나 이상 설치되고; 카고룸 내부측면에는 수조 고정장치가 형성되어 갑각류 보조수조가 하나 이상 수평방향으로 하나 이상 슬라이드 고정되며; 카고룸 내부 측면에는 사육수 분사장치가 상기 슬라이드 고정된 갑각류 보조수조로 분사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의 갑각류 수송용 컨테이너는 하부 수조에 사육수를 60%만 채워 갑각류를 입식하고, 갑각류 보조수조를 설치하여 갑각류를 입식한 다음 하부 수송수조의 사육수를 정화과정을 거친 후, 사육수 분사장치로 이동하여 하부 수송수조 상단과 갑각류 보조수조로 분사되며, 분사된 사육수는 하부수송수조의 사육수로 재공급이 가능함으로 기존의 큰 비중을 차지했던 사육수 적재용량을 기존의 양보다 절감시킬 수 있는 한편, 적재할 수 있는 수산생물량이 30-50% 증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갑각류 수송용 컨테이너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갑각류 수송용 컨테이너의 카고룸 내부사시도 및 하부 수송수조의 측면절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갑각류 보조수조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갑각류 보조수조 설치의 실시예 1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갑각류 보조수조를 실시예 1의 갑각류 보조수조에 설치되는 사육수 분산장치를 나타낸다.
도 6는 본 발명의 갑각류 보조수조 설치의 실시예 2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갑각류 수송용 컨테이너와 관련한 구체적인 구성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갑각류 수송용 컨테이너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갑각류 수송용 컨테이너(10S)의 제원은 표준 규격인 40 feet를 기준으로 형성되어 전방부에는 기계실(20S)이 설비되고, 후방부는 하나 이상의 하부 수송수조 및 갑각류 보조수조가 설치되는 카고룸(50S)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계실(20S)은 가로, 세로, 높이가 2200×2400×1299cm로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제어판(22), 개별 휴즈박스(23), DO콘트롤박스(24), 배터리(25), 출입구(26), 무정전 전원장치(27), 산소발생기(28), 냉동기·냉각기(29), 모터(30)로 구성될 수 있다.
기계실 내부 벽면에는 개별 휴즈박스(23)와 비상시 산소와 수온을 자동 제어하기 위한 무정전 전원장치(27)와 같은 제어를 담당하는 장치들이 설치될 수 있다. 기계실 하단에는 컨테이너의 전체적인 전기적 작동을 담당하는 배터리(25)가 설치되어 무정전 전원장치와 연결된다. 또한, 후방부의 카고룸과 연결되는 벽면 측면에는 출입구(26)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기계실과 카고룸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제어판(22)은 기계실 외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산소발생기(28), DO콘트롤박스(24), 냉동기·냉각기(29)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산소발생기에는 모터(30)가 장착되어 발생된 산소가 파이프를 통해 후방의 카고룸에 설치된 수조들로 공급될 수 있다.
냉동기·냉각기(29)는 티타늄 열교환기를 사용하고 냉동능력은 21,000㎉/h로 약 해수 20ton을 25℃를 7℃로 냉각시키는데 약 18시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기존의 공기를 냉각시키는 방식이 아닌 수냉식으로 외부 온도 변화에 쉽게 변하지 않아 외부환경에도 쉽게 수온이 변하지 않아 수조내 수온이 일정하다는 장점이 있다. 모터는 990W를 사용하고 최대 양수량은 24,000ℓ/hr정도로 구성된다.
카고룸(50S)에는 하부 수송수조(51) 및 갑각류 보조수조(52)가 하나 이상 일렬로 설치되고, 카고룸 산소발생기(60), 보관장치탱크(61), 스키머(70), 보조여과조(80), 여과조(90)가 설치된다. 카고룸 산소발생기(60)와 보관장치탱크(61)는 상기 기계실의 냉동기·냉각기와 연결되어 모터 동력으로 하부 수송수조에 산소를 공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갑각류 수송용 컨테이너의 카고룸 내부사시도 및 하부 수송수조의 측면절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카고룸의 하부에는 하부 수송수조(51)가 하나 이상 설치되고, 카고룸 내부측면에는 수조 고정장치(53)가 형성되어 갑각류 보조수조(52)가 하나 이상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고정되며, 카고룸 내부 측면에는 사육수 분사장치(57)가 상기 슬라이드 고정된 갑각류 보조수조를 향해 사육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의 하부 수송수조(51)는 다각형의 수조바닥과 일정한 높이로 형성되는 수조외벽으로 이루어지고, 상부는 개구되어 사육수와 갑각류가 수용될 수 있다. 하부 수송수조의 내부 어느 한 측면에는 산소공급파이프(54)와 사육수 공급파이프(56)가 연결 설치되고, 수조바닥에는 배수파이프(55)가 연결 설치된다.
산소 공급파이프(54)는 카고룸 산소발생기와 보관장치 탱크와 연결되어 본 발명의 갑각류 수송용 컨테이너가 수송지로 이동하는 동안, 활어 수송수조로 갑각류가 소비할 수 있도록 산소를 공급한다.
사육수 공급파이프(56)는 수산생물을 수송지로 수송하기 전 컨테이너 외부에서 사육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수질정화기와 자외선살균기로 정화된 사육수는 사육수 공급파이프를 통해 상기 하부 수송수조로 이동된다. 사육수 공급파이프에는 밸브가 설치되어 갑각류의 운반량에 따라 필요한 사육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후술할 갑각류 보조수조(52)가 카고룸 내부에 설치되는 경우, 하부 수송수조로 공급되는 사육수의 수위는 전체 수조높이의 3/5정도 공급하여 기존의 컨테이너보다 사육수의 적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하부 수송수조의 사육수를 효율적으로 조절시킴으로써 기존의 활어컨테이너의 전체 용적에서 큰 비중을 차지했던 사육수의 적재중량을 줄이고 적재할 수 있는 갑각류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갑각류가 아닌 활어를 수송할 경우 갑각류 보조수조를 분리하고 사육수를 가득 공급 시킬 수 있다.
하부 수송수조에 공급되는 사육수는 배수파이프(55)를 통해 배수되고 여과조로 이동한다. 여과조(90)는 통상의 활어 수조에 설치되는 모래나 자갈등과 같은 생물학적 여과방식 및 습식 여과조를 사용할 수 있다.
여과조의 여과재에 걸러진 사육수는 여과조 바닥부에 형성된 배수공을 통해냉동기·냉각기로 이동되어 냉각된다. 이때 사육수의 이동은 전방 기계실에 설치된 모터의 동력에 의해 이루어진다.
냉각된 사육수는 카고룸의 스키머(70)를 거친다. 스키머는 사육수 중 포함된 부유물질과 단백질 성분 등 각종 유해가스 성분을 미크론 단위의 미세한 기포로 포집하여 제거시킨다. 스키머에서 제거된 이물질은 스키머 이물질 보관소에 분리되어 저장된다. 스키머에 추가적으로 자외선 살균기능 장치를 설치하면 미생물 및 세균까지도 함께 제거할 수 있다. 스키머에서 이물질이 제거된 사육수는 2차 여과역할을 하는 보조 여과조(80)로 이동하여 최종적인 정화과정이 이루어진다. 정화가 완료된 사육수는 사육수 분사장치(57)로 이동하여 갑각류 보조수조에 분사되고 하부수송수조로 재공급 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갑각류 보조수조 사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갑각류 보조수조(52)는 카고룸 내부에 형성된 수조 고정장치에 고정될 수 있는 너비로 형성되고 상부는 개구되어 갑각류가 수용될 수 있는 한편, 사육수 분사장치에서 분사된 사육수가 갑각류 보조수조 내부로 분사될 수 있다.
사육수 분사장치는 갑각류 보조수조 상부개구부로 수용된 갑각류가 생존할 수 있는 양의 사육수를 분사시킨다. 이때 사육수의 분사량, 분사강도, 분사주기 등은 기계실의 제어판에 의해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사육수 분사장치는 미세분사가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분무 형태의 사육수를 분사시켜 보다 분사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갑각류의 대부분은 수중의 부유물에 부착하거나 얕은 수중에서 서식하므로 활어보다 장기간 수중 외 환경에서 일정량의 사육수를 분사하는 것만으로 생존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갑각류 보조수조에 수용될 수 있는 수산생물은 크랩, 랍스터, 새우 및 이매패류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육수 분사에 의해 생존이 가능한 수산생물도 수용이 가능하다.
갑각류 보조수조의 하부측면에는 배수구(52a)가 형성되어 사육수 분사장치에서 분사된 사육수가 배수구를 통해 배수될 수 있다. 갑각류 보조수조 외측의 어느 한 면에는 홈구조의 수조거치장치(52b)가 형성되어 카고룸 내측면에 형성된 상기 돌기구조의 수조 고정장치와 대응하여 수평방향으로 하나 이상 슬라이드 고정될 수 있다.
사육수 분사장치에서 분사된 사육수가 갑각류 보조수조에 수용된 수산생물에게 분사된 후 배수구를 통해 배수되고, 배수된 사육수는 갑각류 보조수조 하부에 설치된 하부 수송수조로 이동하게 되며, 하부 수송수조에서 배수된 사육수는 상기 기재된 정화장치를 통해 정화과정을 거침으로써 컨테이너에서 지속적으로 재순환 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갑각류 보조수조 설치의 실시예 1을 나타낸다. 실시예 1은 카고룸 내부측면에 수조고정장치를 상,하 방향으로 하나 이상 설치함으로써 갑각류 보조수조는 수평방향으로 하나 이상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직방향으로도 적재하여 설치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갑각류 보조수조를 실시예 1으로 설치할 경우, 갑각류 보조수조에 설치되는 사육수 분산장치를 나타낸다. 사육수 분산장치는(58) 갑각류 보조수조가 상,하로 설치되는 경우, 상부에 설치된 갑각류 보조수조의 사육수가 배수구를 통해 이동하여 하부에 설치되는 갑각류 보조수조로 낙하될 때 일방향으로만 배수됨으로써 일정부만 사육수가 편중되어 분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사육수 분산장치는 판형 사육수 분산장치(58a)와 파이프형 사육수 분산장치(58b)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판형 사육수 분산장치(58a)는 하부에 설치된 갑각류 보조수조의 상부개구부와 대응하는 직경의 판형태로 형성되고, 측면에는 일정직경의 분사공이 다수 형성된다. 상부에 설치되는 갑각류 보조수조에 사육수가 분사되어 배수구를 흘러 1차적으로 판형 사육수 분산장치에 수집되고, 판형 사육수 분산장치의 분사공을 통해 하부에 설치된 갑각류 보조수조에 고르게 분사가 가능하다.
파이프형 사육수 분산장치(58b)는 파이프형 사육수 분산장치의 재질은 폴리프로필렌 또는 PVC와 같은 플라스틱 재질과 고무재질로 형성되고, 갑각류 보조수조의 배수구와 연결 고정되는 메인파이프가 수평으로 설치되며, 메인파이프의 하부에는 메인파이프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분산파이프가 하나 이상 설치된다. 분산파이프의 하부 측면에는 다수개의 분사공이 형성되어, 상부에 설치된 갑각류 보조수조에서 사육수가 배수되어 메인파이프를 통해 분산파이프로 이동하고, 분산파이프는 하부에 설치된 갑각류 보조수조로 사육수를 고르게 분사시킬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갑각류 보조수조 설치의 실시예 2를 나타낸다. 실시예2는 하부수송수조 내부의 상부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수조고정장치가 형성되고 갑각류 보조수조의 외부측면에는 하부 수송수조에 형성된 수조고정장치와 대응할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수조거치장치가 형성되어 하부 수송수조 내부에도 갑각류 보조수조를 고정시킬 수 있다. 실시예 2는 하부 수송수조의 내부에 사육수를 수조높이의 1/2이하로 공급시키는 경우, 상부에 비어있는 공간을 활용하여 갑각류의 적재용량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갑각류 수송 컨테이너는 사육수의 적재용량이 감소하는 반면 수산생물의 적재량은 증가하여 대량의 활어수송으로 물류비용을 최대한으로 절감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더 나아가서는 활어의 소비가 적은 국가로부터 저렴한 가격의 활어를 수입하고 경쟁력 있는 국내의 활어를 수출할 수 있어 활어 유통산업에 이바지함으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S : 컨테이너 20S: 기계실 22: 제어판
23: 개별휴즈박스 24: DO콘트롤박스 25: 배터리
26: 출입구 27: 무정전 전원장치 28: 산소발생기
29: 냉동기·냉각기 30: 모터 50S: 카고룸
51: 하부 수송수조 52: 갑각류 보조수조 52a: 배수구
52b: 수조거치장치 53: 수조 고정장치 54: 산소공급파이프
55: 배수파이프 56: 사육수 공급파이프 57: 사육수 분사장치
58: 사육수 분산장치 58a: 판형 사육수분산장치
58b: 파이프형 사육수분산장치 60: 카고룸 산소발생기
61: 보관장치 탱크 70: 스키머 80: 보조여과조
90: 여과조

Claims (5)

  1. 전방부에는 기계실이 구성되고, 후방부에는 하부 수송수조와 갑각류 보조수조가 하나 이상 설치되는 카고룸으로 이루어지며,
    카고룸 내부 측면에는 수조 고정장치가 수평방향의 상하로 1열 이상 형성되고, 갑각류 보조수조 외측면에는 상기 수조 고정장치와 슬라이드 고정할 수 있는 수조거치장치가 형성되어 갑각류 보조수조를 하부 수송수조가 위치한 상부 공간에 한 층 이상 적재하여 설치 가능하며,
    카고룸 내부 측면 상부에는 사육수 분사장치가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 고정된 갑각류 보조수조의 상부 개구부로 사육수가 분사되며, 갑각류 보조수조가 적층되는 중간에는 사육수 분산장치가 형성되어 갑각류 보조수조로 낙하된 사육수가 편중되어 분사되는 것을 방지하여, 갑각류 보조수조 하부 측면에 형성된 배수구를 통해 하부 수송수조로 재공급되며,
    상기 하부 수송수조는 다각형의 수조바닥과 일정한 높이로 형성되는 수조외벽으로 이루어지고, 상부는 개구되어 수조 내측 공간에 사육수와 갑각류가 수용되도록 하며, 상기 하부 수송수조 측면 외벽에는 사육수를 수조로 공급시키는 사육수 공급파이프와 산소발생기와 연결되는 산소공급파이프가 하부 수송수조 내부로 연결, 설치되며 상기 수조바닥에는 배수파이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각류 수송용 컨테이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에는 배터리가 설치되어 비상용 무정전 전원장치와 연결되며, 기계실 외부에는 제어판이 형성되어 산소발생기, DO콘트롤박스, 냉동기·냉각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산소발생기에는 모터가 장착되어 발생된 산소를 파이프를 통해 후방의 카고룸에 설치된 수조들로 공급하며,
    카고룸의 좌, 우 어느 한 측에는 카고룸 산소발생기, 스키머, 여과조가 설치되고, 상기 카고룸 산소발생기는 기계실의 냉동기·냉각기와 파이프로 연결되며,
    하부 수송수조의 배수파이프로 이동한 사육수는 여과조, 스키머, 보조 여과조를 통해 정화과정을 거쳐 사육수 분사장치로 이동하여, 갑각류 보조수조로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각류 수송용 컨테이너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70041513A 2017-03-31 2017-03-31 갑각류 수송용 컨테이너 KR101824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1513A KR101824358B1 (ko) 2017-03-31 2017-03-31 갑각류 수송용 컨테이너
PCT/KR2018/001042 WO2018182158A1 (ko) 2017-03-31 2018-01-24 Ict 융합 품질관리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갑각류 수송용 컨테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1513A KR101824358B1 (ko) 2017-03-31 2017-03-31 갑각류 수송용 컨테이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4358B1 true KR101824358B1 (ko) 2018-01-31

Family

ID=61082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1513A KR101824358B1 (ko) 2017-03-31 2017-03-31 갑각류 수송용 컨테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435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62634A (zh) * 2018-08-21 2019-02-22 天集装箱科技(深圳)有限公司 鲜活水产品运输方法及其运输设备
KR20210126529A (ko) * 2021-10-01 2021-10-20 최정기 큰징거미새우의 다칸 다단 양식 장치
CN114027254A (zh) * 2021-12-16 2022-02-11 中国水产科学研究院黑龙江水产研究所 一种应用于鲜活水产运输车的间隔供氧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2184B1 (ko) * 1999-07-24 2001-09-22 김종보 활어 수송용 저온 무수 컨테이너 장치
KR100898733B1 (ko) 2007-09-11 2009-05-20 이현철 살아있는 어패류 수송용 컨테이너
KR100944275B1 (ko) 2009-07-02 2010-02-25 주식회사 대일 활어수송용 컨테이너의 활어수 냉각장치
KR101414336B1 (ko) * 2013-12-11 2014-08-07 박태일 활어 수송용 컨테이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2184B1 (ko) * 1999-07-24 2001-09-22 김종보 활어 수송용 저온 무수 컨테이너 장치
KR100898733B1 (ko) 2007-09-11 2009-05-20 이현철 살아있는 어패류 수송용 컨테이너
KR100944275B1 (ko) 2009-07-02 2010-02-25 주식회사 대일 활어수송용 컨테이너의 활어수 냉각장치
KR101414336B1 (ko) * 2013-12-11 2014-08-07 박태일 활어 수송용 컨테이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62634A (zh) * 2018-08-21 2019-02-22 天集装箱科技(深圳)有限公司 鲜活水产品运输方法及其运输设备
KR20210126529A (ko) * 2021-10-01 2021-10-20 최정기 큰징거미새우의 다칸 다단 양식 장치
KR102452588B1 (ko) 2021-10-01 2022-10-12 최정기 큰징거미새우의 다칸 다단 양식 장치
CN114027254A (zh) * 2021-12-16 2022-02-11 中国水产科学研究院黑龙江水产研究所 一种应用于鲜活水产运输车的间隔供氧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95119B1 (en) Method of conveying live fish and container used therefor
US10463027B2 (en) System and apparatus for the preservation and transportation of products including live aquatic species
KR101824358B1 (ko) 갑각류 수송용 컨테이너
US9374986B2 (en) Shrimp culturing system
US7523718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porting live aquatic animals
CN110290701B (zh) 养殖系统
NZ531834A (en) Transport apparatus for live fish and shellfish wheelable inside container, typically standard shipping container
KR101824359B1 (ko) 갑각류 수송용 컨테이너를 이용한 수송방법
JP5343209B2 (ja) 活魚輸送装置およびイカの活魚輸送装置
CA2602308C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porting live aquatic animals
CN103814859A (zh) 一种喷淋式虾蟹类立体暂养与保鲜系统
US4738220A (en) Fish farm and hatchery
KR101414336B1 (ko) 활어 수송용 컨테이너
CA2620798C (en) A system and apparatus for the preservation and transportation of products including live aquatic species
ES2761405T3 (es) Sistema y procedimiento para el almacenamiento de productos del mar en estado vivo
KR101742978B1 (ko) 갑각류 양식시스템
KR101877702B1 (ko) Ict 융합 품질관리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갑각류 수송용 컨테이너를 이용한 수송방법
WO2018182158A1 (ko) Ict 융합 품질관리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갑각류 수송용 컨테이너
KR101543109B1 (ko) 활어수조 덮개를 갖는 활어 수송용 컨테이너
JP2008178382A (ja) 輸送用コンテナを利用した魚貝類の陸上養殖システム
JPH10262488A (ja) タコ養殖用システム
RU2775301C1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живых морских гидробионтов на базе рефрижераторного контейнера
RU2775301C9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живых морских гидробионтов на базе рефрижераторного контейнера
CN218681271U (zh) 一种海水鱼一体式转运装置
KR20160076383A (ko) 가두리 양식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