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009Y1 - 어업 선박용 냉온시스템 - Google Patents

어업 선박용 냉온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009Y1
KR200479009Y1 KR2020150003478U KR20150003478U KR200479009Y1 KR 200479009 Y1 KR200479009 Y1 KR 200479009Y1 KR 2020150003478 U KR2020150003478 U KR 2020150003478U KR 20150003478 U KR20150003478 U KR 20150003478U KR 200479009 Y1 KR200479009 Y1 KR 2004790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cold water
refrigerant
cooler unit
c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34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빈중식
Original Assignee
빈중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빈중식 filed Critical 빈중식
Priority to KR20201500034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0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0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00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12Heating;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particular sources of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9/00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e.g. operating alternately or simultaneous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어업 선박용 냉온시스템에 관한 고안이다. 본 고안의 어업 선박용 냉온시스템은, 선박의 구동을 위한 주 선박엔진; 상기 주 선박엔진에 연결되어 상기 주 선박엔진에 의해 동작되되 냉매를 압축하는 냉매 압축기를 구비하는 냉각기 유닛; 상기 냉각기 유닛과 연결되며, 상기 냉각기 유닛으로부터의 온수를 받아 저장하는 온수 어창; 상기 냉각기 유닛과 연결되며, 상기 냉각기 유닛으로부터의 냉수를 받아 저장하는 냉수 어창; 및 상기 온수 어창 및 상기 냉수 어창으로 각각 미리 결정된 온도값을 갖는 온수와 냉수가 공급되도록 상기 주 선박엔진 및 상기 냉각기 유닛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어업 선박용 냉온시스템{Cool and hot system for a ship}
본 고안은, 어업 선박용 냉온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종전과 달리 발전기를 설치할 필요 없이 주 선박엔진의 원심력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전기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냉매를 압축할 수 있으며, 콤팩트하면서도 좀 더 효율적인 방법으로 생육에 적당한 냉수와 온수를 공급할 수 있어 어업에 따른 제반 효율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나아가 부가가치를 향상시켜 어업에 따른 소득을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한 어업 선박용 냉온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선박은 그 사용 목적에 따라 상선, 군함, 어선 및 특수 작업선 등으로 나뉠 수 있는데, 어업을 목적으로 하는 선박을 어선이라 부르기도 한다.
어업을 목적으로 하는 선박에는 어류들을 보관하기 한 어창이 마련된다. 어창은 선박의 용적에 따라 대형, 중형, 소형으로 나뉠 수 있으며,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물고기의 종류에 따라 냉수 혹은 온수에 보관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위해 냉수 어창과 온수 어창이 별개로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냉수 어창과 온수 어창이 별개로 마련되는 경우에는 냉수 어창과 온수 어창으로 각각 그에 적합한 온도의 냉수와 온수를 공급해야 하는데, 현재까지의 설비로는 냉수 어창과 온수 어창으로 각각 그에 적합한 온도의 냉수와 온수를 공급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다만, 일부에서는 발전기를 별도로 장착하여 냉수와 온수의 공급을 제어한 예가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발전기를 별도로 장착하여 사용할 경우, 비용상의 문제가 야기됨은 물론 소형 선박에는 장소가 협소하여 발전기 장착이 어렵고, 또한 소음이나 감전 문제가 발생될 소지가 있어서 선주들은 이중 비용을 들여가면서 발전기를 적용하기를 꺼려하는 것이 현실이므로 이러한 사항들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대안이 요구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2-0066631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2-0117593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3-0058729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3-0007340호
본 고안의 목적은, 종전과 달리 발전기를 설치할 필요 없이 주 선박엔진의 원심력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전기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냉매를 압축할 수 있으며, 콤팩트하면서도 좀 더 효율적인 방법으로 생육에 적당한 냉수와 온수를 공급할 수 있어 어업에 따른 제반 효율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나아가 부가가치를 향상시켜 어업에 따른 소득을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한 어업 선박용 냉온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선박의 구동을 위한 주 선박엔진; 상기 주 선박엔진에 연결되어 상기 주 선박엔진에 의해 동작되되 냉매를 압축하는 냉매 압축기를 구비하는 냉각기 유닛; 상기 냉각기 유닛과 연결되며, 상기 냉각기 유닛으로부터의 온수를 받아 저장하는 온수 어창; 상기 냉각기 유닛과 연결되며, 상기 냉각기 유닛으로부터의 냉수를 받아 저장하는 냉수 어창; 및 상기 온수 어창 및 상기 냉수 어창으로 각각 미리 결정된 온도값을 갖는 온수와 냉수가 공급되도록 상기 주 선박엔진 및 상기 냉각기 유닛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업 선박용 냉온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주 선박엔진의 동작에 의해 상기 냉매 압축기가 구동되도록 하는 압축기 구동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압축기 구동수단은, 상기 주 선박엔진에 마련되는 구동풀리; 상기 냉매 압축기에 마련되는 종동풀리; 및 상기 구동풀리와 상기 종동풀리를 연결하는 팬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기 유닛은, 상기 냉매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가 공급되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와 연결되는 수액기; 상기 수액기와 연결되며, 증발잠열을 이용해서 냉각시키는 증발기; 및 상기 증발기와 연결되며, 상기 증발기 내의 냉매 액을 분리시키는 액 분리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매 압축기와 상기 응축기 사이에는 냉매 가스공급 고압라인이 연결되고, 상기 액 분리기와 상기 냉매 압축기 사이에는 냉매 가스공급 저압라인이 연결되며, 상기 냉각기 유닛은, 상기 냉매 가스공급 저압라인과 상기 냉매 가스공급 고압라인에 연결되며, 상기 냉매 가스공급 저압라인과 상기 냉매 가스공급 고압라인 상의 고/저압 압력을 감지하여 기준치 이상의 압력을 보정하는 고/저압 압력 안전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기 유닛은, 상기 증발기에 연결되어 냉수의 동결을 방지시키는 냉수 동결 방지기; 및 상기 응축기에 연결되어 온수의 가열을 방지시키는 온수 가열 방지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수 어창 및 상기 냉수 어창과 연결되며, 상기 응축기 및 상기 증발기와 상호작용하여 상기 온수 어창 및 상기 냉수 어창으로 각각 미리 결정된 온도값을 갖는 온수와 냉수가 공급되도록 하는 냉온수 팬 코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온수 어창 내의 물은 상기 응축기로 순환되며, 상기 냉수 어창 내의 물은 상기 증발기로 순환될 수 있다.
상기 냉각기 유닛은 케이스를 포함하는 모듈 형태의 어셈블리 제품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종전과 달리 발전기를 설치할 필요 없이 주 선박엔진의 원심력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전기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냉매를 압축할 수 있으며, 콤팩트하면서도 좀 더 효율적인 방법으로 생육에 적당한 냉수와 온수를 공급할 수 있어 어업에 따른 제반 효율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나아가 부가가치를 향상시켜 어업에 따른 소득을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고안은 주 선박엔진의 원심력을 이용하여 냉매를 압축 구동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종전의 발전기를 사용하던 불편함을 해소시킬 수 있으며, 설사 조업시간이 길어져도 생육에 적당한 냉수와 온수를 공급할 수 있어 어업에 따른 제반 효율을 높이고 나아가 부가가치를 향상시켜 소득을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참고로, 기존의 냉수 어창은 활어와 선어가 오랜 작업으로 인하여 신선도를 유지함에 있어 장시간 선도를 유지하지 못하고, 기존의 온수 어창은 동절기 때 냉수대로 인하여 선어가 패사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에 따르면 활어를 알맞은 온도를 유지시켜 제반효율을 높이고, 나아가 부가가치를 향상시켜 어업에 따른 소득을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업 선박용 냉온시스템의 시스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업 선박용 냉온시스템의 시스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제어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업 선박용 냉온시스템의 시스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어업 선박용 냉온시스템은 종전과 달리 콤팩트하면서도 좀 더 효율적인 방법으로 생육에 적당한 냉수와 온수를 공급할 수 있어 어업에 따른 제반 효율을 높이고, 나아가 부가가치를 향상시켜 어업에 따른 소득을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주 선박엔진(11)의 원심력을 이용하여 냉매를 압축 구동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종전의 발전기를 사용하던 불편함을 해소시킬 수 있으며, 설사 조업시간이 길어져도 생육에 적당한 냉수와 온수를 공급할 수 있어 어업에 따른 제반 효율을 높이고 나아가 부가가치를 향상시켜 소득을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참고로, 기존 선박의 냉수 어창(미도시)은 활어와 선어가 오랜 작업으로 인하여 신선도를 유지함에 있어 장시간 선도를 유지하지 못하고, 기존 선박의 온수 어창(미도시)은 동절기 때 냉수대로 인하여 선어가 패사될 수 있는 바, 활어를 알맞은 온도를 유지시켜 제반효율을 높이고, 나아가 부가가치를 향상시켜 어업에 따른 소득을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어업 선박용 냉온시스템은 주 선박엔진(11), 냉매 압축기(10)를 구비하는 냉각기 유닛(1), 온수 어창(7), 냉수 어창(9), 그리고 컨트롤 모듈(50)을 포함할 수 있다.
주 선박엔진(11)은 선박의 구동을 위한 엔진이다. 선박의 규모에 따라 주 선박엔진(11)의 출력도 결정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종전과 달리 발전기를 설치할 필요 없이 주 선박엔진(11)의 원심력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전기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냉매를 압축할 수 있다. 따라서 장소가 협소하더라도 본 시스템의 도입이 어렵지 않다.
냉매 압축기(10)는 주 선박엔진(11)에 연결되어 주 선박엔진(11)의 원심력에 의해 동작되는 것으로서, 냉각기 유닛(1)에 필요한 냉매를 압축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에는 냉매 압축기(10)가 냉각기 유닛(1)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으나 이는 편의를 위한 도시일 뿐 냉매 압축기(10) 역시, 냉각기 유닛(1)의 일 구성이다.
주 선박엔진(11)의 동작에 의해 냉매 압축기(10)가 구동될 수 있도록 본 실시예에 따른 어업 선박용 냉온시스템에는 압축기 구동수단(미도시)이 더 갖춰진다.
이러한 압축기 구동수단은 주 선박엔진(11)에 마련되는 구동풀리(11a)와, 냉매 압축기(10)에 마련되는 종동풀리(10a)와, 구동풀리(11a)와 종동풀리(10a)를 연결하는 팬벨트(1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처럼 구동풀리(11a), 팬벨트(12) 및 종동풀리(10a)의 구조를 통해 주 선박엔진(11)과 냉매 압축기(10)를 연결함으로써, 주 선박엔진(11)에 의해 냉매 압축기(10)가 동작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냉매 압축기(10)를 동작시키기 위한 별도의 전력(배터리 등)이 필요치 않은 이점이 있다.
냉각기 유닛(1)은 냉매 압축기(10)와 연결되는 것으로서, 선박의 일측에 장착될 수 있다. 냉매 압축기(10)와 연결되는 냉각기 유닛(1)으로 인해 생육에 적당한 냉수와 온수를 냉수 어창(9)과 온수 어창(7)으로 공급할 수 있어 어업에 따른 제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냉수 어창(9)은 오랜 시간 조업에도 어획물의 신선도를 유지하고, 온수 어창(7)은 활어 보관 또는 다용 용수로 사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냉각기 유닛(1)은 전술한 냉매 압축기(10)를 비롯하여 냉매 압축기(10)에서 압축된 냉매가 공급되는 응축기(20)와, 응축기(20)와 연결되는 수액기(18)와, 수액기(18)와 연결되며, 증발잠열을 이용해서 냉각시키는 증발기(17)와, 증발기(17)와 연결되며, 증발기(17) 내의 냉매 액을 분리시키는 액 분리기(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매 압축기(10)와 응축기(20) 사이에는 냉매 가스공급 고압라인(14)이 연결되고, 액 분리기(15)와 냉매 압축기(10) 사이에는 냉매 가스공급 저압라인(13)이 연결된다.
냉매 가스공급 고압라인(14)으로는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냉매가 이동되고, 냉매 가스공급 저압라인(13)으로는 저압이 냉매가 이동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어업 선박용 냉온시스템에는 고/저압 압력 안전장치(21)가 더 갖춰질 수 있다.
고/저압 압력 안전장치(21)는 냉매 가스공급 저압라인(13)과 냉매 가스공급 고압라인(14)에 연결된 상태에서 냉매 가스공급 저압라인(13)과 냉매 가스공급 고압라인(14) 상의 고/저압 압력을 감지하여 기준치 이상의 압력을 보정함으로써 안전한 냉매 흐름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응축기(20)와 수액기(18) 사이에는 응축 냉매라인(19)이 연결된다. 이러한 응축 냉매라인(19)에는 전자 밸브(19a)와 팽창변(19b)이 마련된다. 응축된 냉매는 응축 냉매라인(19) 상의 전자 밸브(19a)와 팽창변(19b)을 지나면서 팽창되어 고압의 가스로 변화된 후 증발기(17)로 향할 수 있다.
그리고 증발기(17)와 액 분리기(15) 사이에는 냉매 공급 저압라인(16)이 마련되어 증발기(17)와 액 분리기(15)를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응축기(20)의 경우, 냉매 압축기(10)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기 때문에 열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열을 이용해서 냉온수 팬 코일(8)과 상호작용함으로써 온수를 온수 어창(7)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응축기(20)는 온수 어창(7)과 연결되며, 온수 어창(7)으로 적당한 온도의 온수를 공급한다. 참고로, 온수 어창(7)은 온수를 받아 저장하는 장소를 이루며, 이러한 온수 어창(7)에는 이에 적합한 어류가 생육될 수 있다.
응축기(20)와 온수 어창(7)이 연결되기 위해 온수 입구라인(2)과 온수 출구라인(3)이 마련될 수 있다.
온수 입구라인(2)은 온수 어창(7) 내의 물을 응축기(20)로 순환시킨다. 이를 위해 온수 입구라인(2)의 단부에는 온수 어창(7) 내에 침지된 상태로 온수 순환펌프(2a)가 마련된다. 그리고 온수 입구라인(2) 상에는 입구측 삼방밸브(2b)가 마련된다.
온수 출구라인(3)은 응축기(20)를 순환하여 데워진 온수를 온수 어창(7)으로 공급한다. 온수 출구라인(3) 상에도 다수의 출구측 삼방밸브(3a~3c)가 마련된다. 전술한 입구측 삼방밸브(2b)와 출구측 삼방밸브(3a~3c)는 전자변으로서 컨트롤 모듈(50)의 의해 자동으로 컨트롤될 수 있다.
온수 어창(7)의 주변에는 응축기(20)와 상호작용하는 냉온수 팬 코일(8)이 갖춰진다.
그리고 냉온수 팬 코일(8)과 온수 어창(7) 사이에는 온수 토출관(4)이 연결된다. 응축기(20)를 지나 냉온수 팬 코일(8)을 경유한 온수는 온수 토출관(4)을 통해 온수 어창(7)으로 향할 수 있다.
한편, 증발기(17)는 냉수 어창(9)과 연결되며, 냉수 어창(9)으로 적당한 온도의 냉수를 공급한다. 참고로, 냉수 어창(9)은 온수 어창(7)과는 별개로 마련되되 냉수를 받아 저장하는 장소를 이루며, 이러한 냉수 어창(9)에는 이에 적합한 어류가 생육될 수 있다.
참고로, 냉수 어창(9)은 오랜 시간 조업에도 어획물의 신선도를 유지하고, 온수 어창(7)은 활어 보관 또는 다용 용수로 사용이 가능하다. 항해 시 냉온수 팬 코일(8)은 선실 내 선원들의 편의성을 도모하고 작업능률을 배가시킬 수 있다.
증발기(17)와 냉수 어창(9)이 연결되기 위해 냉수 토출관(5,5a)과 냉수 순환관(6)이 마련된다.
전술한 온수 입구라인(2)과 마찬가지로 냉수 순환관(6)의 단부에는 냉수 순환펌프(6a)가 연결되는데, 냉수 순환펌프(6a)는 냉수 어창(9) 내의 물 속에 침지될 수 있다.
그리고 냉수 토출관(5,5a)과 냉수 순환관(6) 상에는 다수의 냉수측 삼방변(5b,5c,5d)이 갖춰질 수 있다.
참고로, 응축기(20)에는 온수의 가열을 방지시키는 온수 가열 방지기(23)가 마련되고, 증발기(17)에는 냉수의 동결을 방지시키는 냉수 동결 방지기(22)가 마련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컨트롤 모듈(50)은 온수 어창(7) 및 냉수 어창(9)으로 각각 미리 결정된 온도값을 갖는 온수와 냉수가 공급되도록 주 선박엔진(11), 냉각기 유닛(1) 및 냉온수 팬 코일(8)의 동작을 컨트롤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컨트롤 모듈(50)은 중앙처리장치(51, CPU), 메모리(52, MEMORY), 서포트 회로(5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51)는 본 실시예에서 온수 어창(7) 및 냉수 어창(9)으로 각각 미리 결정된 온도값을 갖는 온수와 냉수가 공급되도록 주 선박엔진(11), 냉각기 유닛(1) 및 냉온수 팬 코일(8)의 동작을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5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51)와 연결된다. 메모리(5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이다.
서포트 회로(5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5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5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서 컨트롤 모듈(50)은 온수 어창(7) 및 냉수 어창(9)으로 각각 미리 결정된 온도값을 갖는 온수와 냉수가 공급되도록 주 선박엔진(11), 냉각기 유닛(1) 및 냉온수 팬 코일(8)의 동작을 컨트롤한다.
이때, 컨트롤 모듈(50)이 온수 어창(7) 및 냉수 어창(9)으로 각각 미리 결정된 온도값을 갖는 온수와 냉수가 공급되도록 주 선박엔진(11), 냉각기 유닛(1) 및 냉온수 팬 코일(8)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일련의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5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5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고안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어업 선박용 냉온시스템의 작용을 간략하게 알아본다.
냉매 압축기(10)가 동작되면 냉매 압축기(10)에서 압축된 냉매가 응축기(20) 및 증발기(17)를 거쳐 냉매 압축기(10)로 순환될 수 있게 되는데, 이때 응축기(20)에서 발생되는 열과 냉온수 팬 코일(8)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가열된 온수는 온수 어창(7)으로 향하게 되고, 증발기(17)에서 발생되는 냉기와 냉온수 팬 코일(8)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냉각된 냉수는 냉수 어창(9)으로 향하게 되어 해당 위치에서 어류가 생육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전과 달리 발전기를 설치할 필요 없이 주 선박엔진(11)의 원심력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전기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냉매를 압축할 수 있으며, 콤팩트하면서도 좀 더 효율적인 방법으로 생육에 적당한 냉수와 온수를 공급할 수 있어 어업에 따른 제반 효율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나아가 부가가치를 향상시켜 어업에 따른 소득을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본 고안은 주 선박엔진(11)의 원심력을 이용하여 냉매를 압축 구동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종전의 발전기를 사용하던 불편함을 해소시킬 수 있으며, 설사 조업시간이 길어져도 생육에 적당한 냉수와 온수를 공급할 수 있어 어업에 따른 제반 효율을 높이고 나아가 부가가치를 향상시켜 소득을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업 선박용 냉온시스템의 시스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어업 선박용 냉온시스템 역시, 냉수 어창(125)과 온수 어창(128)에 각각 미리 결정된 온도값을 갖는 온수와 냉수가 공급되도록 한 것으로서, 주 선박엔진(123), 냉각기 유닛(100), 냉온수 팬 코일(126), 그리고 이들을 컨트롤하는 컨트롤 모듈(150)을 포함할 수 있다.
냉수 어창(125)과 온수 어창(128)에도 각각 냉수와 온수의 순환을 위해 냉수 순환 펌프(124)와 온수 순환 펌프(129)가 갖춰진다.
냉수 순환 펌프(124)와 온수 순환 펌프(129)는 각각 냉수 공급 라인(118)과 온수 공급 라인(121)의 단부에 마련되어 냉수 어창(125)과 온수 어창(128) 내의 물에 침지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본 실시예의 경우, 냉각기 유닛(100)은 모듈 형태의 어셈블리 제품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처럼 냉각기 유닛(100)이 모듈 형태의 어셈블리 제품으로 마련될 경우, 설치 및 유지보수가 편리해지고, 선박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주 선박엔진(123)에 의해 동작되는 냉매 압축기(122), 그리고 냉온수 팬 코일(126)의 구조와 작용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되 그 참조부호만 달리 부여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해서는 생략하기로 하며, 이하에서는 냉각기 유닛(100)의 구조에 대해 집중해서 설명한다.
냉각기 유닛(100)은 케이스(103) 내에 냉각과 관련된 라인이나 부품들이 장치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케이스(103)의 상단부 일측에는 동결 방지기(101)가 마련된다. 그리고 케이스(103)의 상단부 전면 일측에는 고/저압 압력 스위치(102)가 마련된다.
케이스(103)의 상단부 전면 중앙에는 전자식 컨트롤러(106)가 마련되며, 전자식 컨트롤러(106)의 양측으로 각각 전원램프(104)와 운전램프(105)가 마련된다. 전원램프(104)와 운전램프(105)를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어업 선박용 냉온시스템이 동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전자식 컨트롤러(106)의 하부 영역에는 안전장치(107)가 마련된다. 그리고 안전장치(107)의 하부 양측에는 각각 고압 압력계(108)와 저압 압력계(109)가 마련된다.
한편, 냉수 어창(125) 또는 온수 어창(128)과의 냉수 또는 온수 순환을 위해 냉수 입구 접촉구(110), 냉수 출구 접촉구(111), 온수 출구 접촉구(112) 및 온수 입구 접촉구(113)가 마련된다.
뿐만 아니라 고압 가스 라인(116), 저압 가스 라인(117), 냉수 공급 라인(118), 냉수 출구 라인(119), 온수 출구 라인(120) 및 온수 공급 라인(121)이 갖춰진다.
이때, 저압 가스 라인(117)과 고압 가스 라인(116)에는 냉매 저압 가스 밸브(114)와 냉매 고압 가스 밸브(115)가 마련된다. 냉매 저압 가스 밸브(114)와 냉매 고압 가스 밸브(115)는 모두가 전자 제어가 가능한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컨트롤 모듈(150)은 온수 어창(128) 및 냉수 어창(125)으로 각각 미리 결정된 온도값을 갖는 온수와 냉수가 공급되도록 주 선박엔진(123), 냉각기 유닛(100) 및 냉온수 팬 코일(126)을 컨트롤할 수 있으며, 컨트롤 모듈(150)은 중앙처리장치(151, CPU), 메모리(152, MEMORY), 서포트 회로(15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냉매 압축기(122)가 동작되면 냉매 압축기(122)에서 압축된 냉매가 냉각기 유닛(100)의 응축기(미도시) 및 증발기(미도시)를 거쳐 냉매 압축기(122)로 순환될 수 있게 되는데, 이때 응축 시 발생되는 열과 냉온수 팬 코일(126)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가열된 온수는 온수 어창(128)으로 향하게 되고, 증발 시 발생되는 냉기와 냉온수 팬 코일(126)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냉각된 냉수는 냉수 어창(125)으로 향하게 되어 해당 위치에서 어류가 생육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종전과 달리 콤팩트하면서도 좀 더 효율적인 방법으로 생육에 적당한 냉수와 온수를 공급할 수 있어 어업에 따른 제반 효율을 높이고, 나아가 부가가치를 향상시켜 어업에 따른 소득을 배가시킬 수 있다.
즉 본 실시예 역시, 주 선박엔진(123)의 원심력을 이용하여 냉매를 압축 구동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종전의 발전기를 사용하던 불편함을 해소시킬 수 있으며, 설사 조업시간이 길어져도 생육에 적당한 냉수와 온수를 공급할 수 있어 어업에 따른 제반 효율을 높이고 나아가 부가가치를 향상시켜 소득을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냉각기 유닛 2 ; 온수 입구라인
2a ; 온수 순환펌프 2b ; 입구측 삼방밸브
3 ; 온수 출구라인 3a~3c ; 출구측 삼방밸브
4 ; 온수 토출관 5,5a ; 냉수 토출관
5b,5c,5d ; 냉수측 삼방변 6 ; 냉수 순환관
6a ; 냉수 순환펌프 7 ; 온수 어창
8 ; 냉온수 팬 코일 9 ; 냉수 어창
10 ; 냉매 압축기 10a ; 종동풀리
11 ; 주 선박엔진 11a ; 구동풀리
12 ; 팬벨트 13 ; 냉매 가스공급 저압라인
14 ; 냉매 가스공급 고압라인 15 ; 액 분리기
16 ; 냉매 공급 저압라인 17 ; 증발기
18 ; 수액기 19 ; 응축 냉매라인
19a ; 전자 밸브 19b ; 팽창변
20 ; 응축기 21 ; 고/저압 압력 안전장치
22 ; 냉수 동결 방지기 23 ; 온수 가열 방지기
50 ; 컨트롤 모듈

Claims (7)

  1. 선박의 구동을 위한 주 선박엔진; 냉매 압축기를 구비하는 냉각기 유닛; 상기 냉각기 유닛과 연결되며, 상기 냉각기 유닛으로부터의 온수를 받아 저장하는 온수 어창; 상기 냉각기 유닛과 연결되며, 상기 냉각기 유닛으로부터의 냉수를 받아 저장하는 냉수 어창; 및 상기 온수 어창 및 상기 냉수 어창으로 각각 미리 결정된 온도값을 갖는 온수와 냉수가 공급되도록 상기 주 선박엔진 및 상기 냉각기 유닛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기 유닛은, 상기 냉매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가 공급되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와 연결되는 수액기; 상기 수액기와 연결되며, 증발잠열을 이용해서 냉각시키는 증발기; 및 상기 증발기와 연결되며, 상기 증발기 내의 냉매 액을 분리시키는 액 분리기로 이루어진 어업 선박용 냉온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주 선박엔진에 마련된 구동풀리와 상기 냉매 압축기에 마련되는 종동풀리의 사이에 팬벨트가 연결되어 상기 주 선박엔진의 동작에 의해 상기 냉매 압축기가 구동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냉매 압축기와 상기 응축기 사이에 연결된 냉매 가스공급 고압라인과, 상기 액 분리기와 상기 냉매 압축기 사이에 연결된 냉매 가스공급 저압라인 상의 고/저압 압력을 감지하여 기준치 이상의 압력을 보정하도록 상기 가스공급 고압라인과 상기 가스공급 저압라인에는 고/저압 압력 안전장치가 더 연결되며;
    상기 증발기에 연결되어 냉수의 동결을 방지시키는 냉수 동결 방지기와; 상기 응축기에 연결되어 온수의 가열을 방지시키는 온수 가열 방지기를 포함하고;
    상기 온수 어창 및 상기 냉수 어창과 각각 연결되며, 상기 응축기 및 상기 증발기와 상호작용하여 상기 온수 어창 및 상기 냉수 어창으로 각각 미리 결정된 온도값을 갖는 온수와 냉수가 각각 공급되도록 하는 냉온수 팬 코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업 선박용 냉온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2020150003478U 2015-05-30 2015-05-30 어업 선박용 냉온시스템 KR2004790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478U KR200479009Y1 (ko) 2015-05-30 2015-05-30 어업 선박용 냉온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478U KR200479009Y1 (ko) 2015-05-30 2015-05-30 어업 선박용 냉온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9009Y1 true KR200479009Y1 (ko) 2015-12-09

Family

ID=55028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3478U KR200479009Y1 (ko) 2015-05-30 2015-05-30 어업 선박용 냉온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00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9687A (ko) 2019-12-20 2021-06-30 에이엘조선주식회사 소형 선박용 어창 모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186B1 (ko) * 2009-08-14 2010-08-05 로인테크(주) 냉동장치를 이용한 제품 냉각 및 온수 생산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186B1 (ko) * 2009-08-14 2010-08-05 로인테크(주) 냉동장치를 이용한 제품 냉각 및 온수 생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9687A (ko) 2019-12-20 2021-06-30 에이엘조선주식회사 소형 선박용 어창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6835B2 (en) Hot water supply apparatus
US7658079B2 (en) Cooling system and method
US11255580B2 (en) Carbon dioxide cooling system with subcooling
US20220026117A1 (en) Carbon dioxide cooling system with subcooling
KR200479009Y1 (ko) 어업 선박용 냉온시스템
JP2010051236A (ja) 遠洋鰹釣り漁船の循環水制御方法及び装置
JP2006118820A (ja) ヒートポンプ式給湯装置
JP2009264715A (ja) ヒートポンプ温水システム
JP2009264718A (ja) ヒートポンプ温水システム
CN110171554B (zh) 一种船用冷藏集装箱的水冷系统及其工作方法
KR101878728B1 (ko) 전기추진선박의 전력변환장치용 냉각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CN203203293U (zh) 空气源热泵制冷制热系统
CN103062955B (zh) 带除垢功能的热回收空调热水器
CN209838517U (zh) 一种船舶机舱冷却系统
KR100686730B1 (ko) 어선용 활어 및 선어 운반장치
JP3593480B2 (ja) 海水冷却システム
JP2018004158A (ja) 熱媒循環装置
KR101786481B1 (ko) 어선용 냉동 장치
KR101147071B1 (ko) 활어 수족관의 사계절 온도조절장치 제어방법
JP2006029658A (ja) 並列型複数給湯器
JP2018136075A (ja) 製氷装置及び氷の製造方法
KR20050062975A (ko) 선박용 공기조화 장치
KR20220010984A (ko) 직렬로 연결된 복수 개의 축열조를 구비한 난방 시스템
CN110147149A (zh) 一种计算机硬件快速散热和检修组件及其降温方法
JP2001021247A (ja) ブライン冷却システムの運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