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5137A -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탈취제 - Google Patents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탈취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5137A
KR20190135137A KR1020180060212A KR20180060212A KR20190135137A KR 20190135137 A KR20190135137 A KR 20190135137A KR 1020180060212 A KR1020180060212 A KR 1020180060212A KR 20180060212 A KR20180060212 A KR 20180060212A KR 20190135137 A KR20190135137 A KR 201901351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odorant
solid
super absorbent
superabsorbent polymer
g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0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6131B1 (ko
Inventor
김주용
김동수
송혜진
이형욱
Original Assignee
김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용 filed Critical 김주용
Priority to KR1020180060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6131B1/ko
Publication of KR20190135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5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6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6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048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air treating g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odoriferous substances, e.g. aromas, pheromones or chemic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2Deodorant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being in a special form, e.g. gel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042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with the help of a macromolecular compound as a carrier or dilu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탈취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동성 고체타입의 고체 탈취제에 방향제 용액 및 해충기피제 용액을 함침한 고흡수성 폴리머로 이루어진 캡슐 겔을 혼합한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탈취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탈취제는 유동성 고체(겔)타입의 고체 탈취제에 고흡수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캡슐 겔이 혼합된 탈취물질; 내부에 상기 탈취물질을 수용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를 개폐하는 뚜껑; 상기 본체 내부에 복수개가 배치되며, 본체 밑면으로부터 일정높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탈취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탈취제{A deodorant using super absorbent polymer}
본 발명은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탈취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동성 고체타입의 고체 탈취제에 방향제 용액 및 해충기피제 용액을 함침한 고흡수성 폴리머로 이루어진 캡슐 겔을 혼합한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탈취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탈취제나 방향제는 각각 하나의 용기에 수용되어 사용되어져 왔으며, 이러한 종래의 용기들은 단순한 원통형 또는 사각 형상의 불투명한 용기 내에 고체상의 제습제 및/또는 고체상의 승화성 탈취제나 방향제의 어느 한 가지를 수용하고 사용 시에는 알루미늄과 수지 적층 필름을 제거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유리제 용기 내에 액상의 휘발성 방향제를 수용한 다음 개방된 미세 노즐 개구를 통하여 방향 성분을 휘산시키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습제 및/또는 탈취제나 방향제 수용 용기는 탈습, 탈취, 또는 방향 부여의 어느 한가지 기능만을 수행하도록 의도되었을 뿐, 탈취제와 방향제를 하나의 용기에 수용함으로써 이들이 갖고 있는 기능을 종합적으로 동시에 수행 가능케 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킨 제품은 찾아 볼 수 없었다.
한편, 종래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탈취제 및 방향제는 대체로 자연상태에서 공기 중으로 조금씩 탈취제 및 방향성 분자들을 방출하면서 휘산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 그 기능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보다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탈취 및 방향 기능을 발산할 수 있도록 하는 제품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으며, 그 중 하나가 고흡수성 폴리머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물에 함침 시킨 고흡수성 폴리머는 비중이 크지 않아 고체 탈취제와 혼합하였을 때 고취탈취제 상단에 뜬 상태가 되어 고흡수성 폴리머와 탈취제가 골고루 섞이지 않고, 두 층이 분리되어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10-2011-007152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탈취제 성분의 고형 탈취제와 방향제 성분의 캡슐 겔을 혼합하여 탈취제와 방향제의 역할을 종합적으로 수행하는 탈취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고흡수성 폴리머를 함침시킬 때 비중을 크게 할 수 있는 물질에 함침 시켜 탈취제의 일정 부분에만 분포하는 것이 아니라 제품 내에 골고루 분포하여 보다 오랜 시간 사용할 수 있는 탈취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탈취제는 유동성 고체(겔)타입의 고체 탈취제에 고흡수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캡슐 겔이 혼합된 탈취물질; 내부에 상기 탈취물질을 수용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를 개폐하는 뚜껑; 상기 본체 내부에 복수개가 배치되며, 본체 밑면으로부터 일정높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캡슐 겔은, 고흡수성 폴리머에 방향제 용액 및 해충기피제 용액 중 선택된 어느하나 이상인 것을 함침하여 팽윤시킨 것으로,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에 방향제 용액 및 해충기피제 용액을 함침하였을 때 캡슐 겔의 비중이 1보다 높아져 캡슐 겔이 고체 탈취제 내에 고르게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동성 고체(겔)타입의 고체 탈취제는 상기 고체 탈취제는 고형화 물질에 휘산 조제로 혼합하여 형성되며, 상기 고형화 물질로는 한천(Agar), 잔탄검(Xantan gum) 및 젤란검(Gellan gum)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탈취제 내부에 탈취물질이 골고루 분포됨으로 인해 사용기간이 경과되어도 탈취성분이 골고루 휘산될수 있도록 함으로써, 탈취 정도가 떨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탈취제의 사용기간이 증가되고, 탈취제 사용기간의 오차가 유발되지 않아 탈취제 교체시기를 가늠할 수 있게 되어 사용상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탈취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탈취제의 또 다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탈취제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탈취제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탈취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탈취제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탈취제의 제조방법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탈취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탈취제의 또 다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탈취제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탈취제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탈취제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탈취제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탈취제의 제조방법 순서도이다.
참고로 이하 본 발명에서 '고흡수성 폴리머'라 함은 아직 용액을 함침하지 않은 고체 분말 상태의 고흡수성 폴리머를 말하고, '캡슐 겔'이라 함은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에 용액을 함침하여 팽윤된 상태의 캡슐 겔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탈취제는 탈취물질(10), 본체(20), 뚜껑(30), 리브(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탈취물질(10)은 유동성 고체(겔)타입의 고체 탈취제(11)와 고흡수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캡슐 겔한 차원 망상구조 또는 단일 사슬구조에서 친수성기의 도입에 따른 유체의 흡수현상을 나타내며, 통상 백색의 분말이고 물속에 들어가면 순간적으로 물을 흡수하고 팽윤되어 겔화 되는 성질을 가진 폴리머로 정의될 수 있다.
고흡습성 폴리머는 겔 타입의 방향제에 사용되는 고흡습성 폴리머라면 모두 사용이 가능한데, 예를 들어, 폴리아크릴산염계, PVA 말레인산 반응물, 이소부틸렌 말레인산 공중합체,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중합체,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가교제, 전분 아크릴로니트릴 중합체, 전분 아크(12)이 혼합되어 형성된다.
상기 고체 탈취제(11)는 고형화 물질에 휘산조제를 흡수시켜 제조하며, 유동성 겔 타입의 고체 상태로 용기에 담겨져서 휘산되어 악취를 제거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고형화 물질은 고온 및 저온에서 고형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고, 고체의 휘산력을 동시에 갖춘 고형화 물질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고형화 물질로는 한천(Agar), 잔탄검(Xantan gum) 및 젤란검(Gellan gum)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하나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캡슐 겔(12)은 통상적인 고흡수성 폴리머에 수용액을 함침(含浸)하여 팽윤시킨 것이다.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Super Absorbent Polymer)는 고분자 사슬간에 가교결합(cross-linking)을 통릴산 그라프트(Graft) 중합체 등의 고흡습수성 폴리머를 사용할 수 있다. 고흡습성 폴리머는 방향제의 사용 용도에 맞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폴리아크릴산염계의 고흡습수성 폴리머가 흡수능력이 우수하여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고흡수성 폴리머는 수용액을 함침하기 이전에는 직경이 1~2 mm 정도인 분말 상태이지만, 향료 용액을 함침하면 직경이 1cm 내외의 크기로 팽윤하면서 캡슐 겔(겔 상태의 캡슐 모양)으로 변화한다. 그리고 공기 중에서 서서히 건조되면서 향기를 방출하고, 완전히 건조된 이후에는 다시 직경 2~3 mm 정도의 분말 상태로 환원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용액으로는, 방향제 용액 및 해충기피제 용액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함침하여 팽윤시키며,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에 방향제 용액 및 해충기피제 용액을 함침하였을 때 캡슐 겔(12)의 비중이 1 보다 높아져 캡슐 겔(12)이 고체 탈취제(11) 내에 고르게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물에 함침 시킨 고흡수성 폴리머는 비중이 크지 않아 고체 탈취제와 혼합하였을 때 고취탈취제 상단에 뜬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로 탈취물질을 만들 경우 고체 탈취제는 하단 부분에, 물에 함침 시킨 고흡수성 수지는 상단에 뜬 상태로 두 층으로 분리되어 상품 가치가 떨어지고 미관상 좋지 않았다.
본 발명에서는 고흡수성 폴리머에 방향제 용액 및 해충기피제 용액을 함침시켜 팽윤시킴으로써 캡슐 겔의 비중을 1보다 크게 만들어 고체 탈취제 내부에 캡슐 겔을 고르게 분포시킬 수 있다.
뚜껑(30)은 본체를 개폐하며, 본체(20)는 내부에 상기 탈취물질(10)을 수용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며, 리브(40)는 상기 본체 내부에 복수개가 배치되며, 본체 밑면으로부터 일정높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6에서는 원통형상의 본체(20)를 예시하였으나, 본체(2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면체나 삼각뿔 형상, 또는 동물 모양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본체 내부에 형성된 리브에 의해 탈취물질이 공기와 접촉하는 비표면적이 넓어지고, 리브(40)에 의해 본체(20) 내부 공간이 구획됨에 따라, 구획 된 공간 내에 탈취물질(10)이 일정한 양만큼 고르게 배치된다.
따라서, 탈취물질(10)이 일정 부분에만 치우쳐 그 양이 줄어드는 것이 아니라 리브를 따라 골고루 방출 및 휘산되어 악취를 제거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 리브는 본체의 중심에서 가까운 순서대로 복수개의 제1 리브와 복수개의 제2 리브를 포함한다. 제1 리브의 곡률은 제2 리브의 곡률보다 작게 형성된다.
일례로, 한 쌍의 제1 리브는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제1 리브들의 사이에는 리브가 형성되지 않은 한 쌍의 제1 무 리브부가 형성된다. 또한, 한 쌍의 제2 리브도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제2 리브들의 사이에도 리브가 형성되지 않은 한 쌍의 제2 무 리브부가 형성된다. 이때, 제1 무 리브부와 제2 무 리브부는 서로 일치하지 않도록 배치된다. 일례로, 도 3과 같이 한 쌍의 제1 무 리브부를 잇는 직선과 한 쌍의 제2 무 리브부를 잇는 직선은 서로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리브와 제2 리브의 곡률을 달리 형성하고, 서로 어긋나게 배치한 것은 탈취 물질이 리브를 따라 균일하게 휘산되도록 하기 위함이고, 각 리브가 지지하는 탈취 물질이 공기와 접하는 부위를 무작위적으로 다양하게 노출하기 위함이다.
또한, 비중이 1보다 커진 캡슐 겔(12)이 자중에 의해 고체 탈취제(11)에 가라앉게 되어, 탈취물질(10) 내에 캡슐 겔(12) 및 고체탈취제(11)가 고르게 분포되어, 고체탈취제(11)가 휘산되어 악취를 제거할 때 캡슐 겔(12)도 공기중에 서서히 건조되면서 향기를 방출하여, 고체탈취제(11) 및 캡슐 겔(12)의 양이 골고루 줄어 들어 탈취제의 사용시간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탈취물질이 리브를 따라 골고루 그 양이 줄어 듦으로 인해 탈취성분 방출량이 급격하게 변화되지 않음으로써 탈취제의 사용기간도 급격하게 줄어들지 않게 되는 것이고, 탈취제 사용기간의 오차가 유발되지 않아 탈취제의 교체시기를 편리하게 가늠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상기 방향제 용액은 바람직하게는 천연 허브 식물의 추출물 및 건조 분체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해충기피제 용액은 목초액, 킬레이트 철, 시트로넬롤, 시트로넬라, 유칼립투스, 산시올, 제라늄, 시나몬, 페퍼민트, 라벤더 및 로즈마리 등의 물질을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한 해충기피제 용액은 인공 추출물 또는 천연 추출물의 어느 것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천연 추출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방향제 용액 및 해충기피제 용액은 그 구체적인 물질의 성분 또는 그 흡착량, 첨가량 등의 선택은 기능성이나 고객의 기호 등을 기준으로 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탈취제는 일반적으로 다음의 과정을 거쳐 제조된다.
1. 중탕 용해 과정으로, 젤란검을 중탕기에 녹인다.
2. 100℃ 이상의 온도를 유지하며, 정제수, 탈취제, 그외 혼합물을 배합하여 교반하여 탈취제를 만든다.
3. 고흡수성 수지를 함침, 팽윤시켜 용기에 담고, 교반된 탈취제를 반자동 충진기를 이용하여 고흡수성 수지가 담긴 용기에 담아 겔화시켜 실링한다.
4. 외포장된 제품을 냉장저장고에서 응고시키고 제품에 라벨을 부착한다.
5. 제품을 포장하여 보관 후 출하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탈취물질
11 고체 탈취제
12 캡슐 겔
20 본체
30 뚜껑
40 리브

Claims (3)

  1. 유동성 고체(겔)타입의 고체 탈취제에 고흡수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캡슐 겔이 혼합된 탈취물질;
    내부에 상기 탈취물질을 수용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를 개폐하는 뚜껑;
    상기 본체 내부에 복수개가 배치되며, 본체 밑면으로부터 일정높이 돌출되어 탈취물질이 공기와 접촉하는 비표면적을 증가시키고 리브에 의해 구획된 공간 내에 탈취물질이 고르게 배치되도록 하는 리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탈취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 겔은,
    고흡수성 폴리머에 방향제 용액 및 해충기피제 용액 중 선택된 어느하나 이상인 것을 함침하여 팽윤시킨 것으로,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에 방향제 용액 및 해충기피제 용액을 함침하였을 때 캡슐 겔의 비중이 1보다 높아져 캡슐 겔이 고체 탈취제 내에 고르게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탈취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성 고체(겔)타입의 고체 탈취제는,
    상기 고체 탈취제는 고형화 물질에 휘산 조제로 혼합하여 형성되며,
    상기 고형화 물질로는 한천(Agar), 잔탄검(Xantan gum) 및 젤란검(Gellan gum)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탈취제.
KR1020180060212A 2018-05-28 2018-05-28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탈취제 KR102246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212A KR102246131B1 (ko) 2018-05-28 2018-05-28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탈취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212A KR102246131B1 (ko) 2018-05-28 2018-05-28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탈취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5137A true KR20190135137A (ko) 2019-12-06
KR102246131B1 KR102246131B1 (ko) 2021-04-28

Family

ID=68836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0212A KR102246131B1 (ko) 2018-05-28 2018-05-28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탈취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61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8071B1 (ko) * 2021-06-16 2023-09-14 주식회사 마이크로솔루션 친환경 탈취제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탈취 제품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6144U (ja) * 1991-12-27 1993-07-27 小川香料株式会社 芳香・消臭剤
JP2000014760A (ja) * 1998-06-26 2000-01-18 Sanyo Chem Ind Ltd 消臭・芳香剤およびその物品
JP2002173186A (ja) * 2000-12-05 2002-06-18 S T Chem Co Ltd 薬剤容器
KR100704516B1 (ko) * 2004-07-19 2007-04-09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제품 침강이 감소된 패키지
JP2008137695A (ja) * 2006-11-30 2008-06-19 Yoshino Kogyosho Co Ltd 揮発性物質放出用容器
JP2009291369A (ja) * 2008-06-04 2009-12-17 Shozo Endo 揮散性物質放出器および製造方法
US20100203091A1 (en) * 2005-04-11 2010-08-12 Yuh-Jye Uang Decorative printing on polymeric gel air freshener and methods
KR20110071523A (ko) 2009-12-21 2011-06-29 (주) 비앤씨피 내세탁 견뢰도가 우수한 항균,탈취제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및 항균,탈취제 조성물이 염착된 항균사 제조방법
JP2015157038A (ja) * 2014-02-25 2015-09-03 株式会社ルミカ 芳香消臭剤
KR20160009642A (ko) * 2013-06-08 2016-01-26 종샨 후지 케미컬 컴퍼니 리미티드 휘산용 용기, 및 상기 휘산용 용기를 사용한 비상 해충 기피 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6144U (ja) * 1991-12-27 1993-07-27 小川香料株式会社 芳香・消臭剤
JP2000014760A (ja) * 1998-06-26 2000-01-18 Sanyo Chem Ind Ltd 消臭・芳香剤およびその物品
JP2002173186A (ja) * 2000-12-05 2002-06-18 S T Chem Co Ltd 薬剤容器
KR100704516B1 (ko) * 2004-07-19 2007-04-09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제품 침강이 감소된 패키지
US20100203091A1 (en) * 2005-04-11 2010-08-12 Yuh-Jye Uang Decorative printing on polymeric gel air freshener and methods
JP2008137695A (ja) * 2006-11-30 2008-06-19 Yoshino Kogyosho Co Ltd 揮発性物質放出用容器
JP2009291369A (ja) * 2008-06-04 2009-12-17 Shozo Endo 揮散性物質放出器および製造方法
KR20110071523A (ko) 2009-12-21 2011-06-29 (주) 비앤씨피 내세탁 견뢰도가 우수한 항균,탈취제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및 항균,탈취제 조성물이 염착된 항균사 제조방법
KR20160009642A (ko) * 2013-06-08 2016-01-26 종샨 후지 케미컬 컴퍼니 리미티드 휘산용 용기, 및 상기 휘산용 용기를 사용한 비상 해충 기피 장치
JP2015157038A (ja) * 2014-02-25 2015-09-03 株式会社ルミカ 芳香消臭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6131B1 (ko) 2021-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35423B2 (en) Gel type vapor release device
TW519493B (en) Fragranced hydrogel air freshener kits
US5875968A (en) Liquid air freshener dispenser device with nonporous capillary wicking function
US5749520A (en) Liquid air freshener dispenser device with capillary wicking means
EP0218892B1 (en) Device for dispensing volatile substances
US20080190789A1 (en) Air Freshener Package
US6352210B1 (en) Fragranced rice hull air fresheners
KR20190135137A (ko)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탈취제
WO2005118007A1 (en) Volatile composition impregnated in a porous carrier and comprising a dye as “end-of-life” indicator
JPS6122583B2 (ko)
US5951970A (en) Drying composition comprising an odoriferous substance
JP2000281505A (ja) 揮散性包装体
US20020155087A1 (en) Instant air freshener composition
JP2583297Y2 (ja) 加熱蒸散体
JP2015030847A (ja) 芳香や忌避および消臭などの効果を有するシリコーンゴム成形体
JP5795392B2 (ja) 芳香消臭剤
JPH058863Y2 (ko)
PT107854B (pt) Ambientador perfumado com um granulado de cortiça como substrato adsorvente sólido para libertação de fragrâncias
KR20020029005A (ko) 기능성 마이크로캡슐을 이용한 제품의 제조 및 그의응용방법
JPH10230011A (ja) 抗菌脱臭器
KR20150146126A (ko) 커피슬러지를 이용한 천연다기능물질 및 이의 제조방법
GB2416695A (en) Air freshening, deodorising, pesticidal or insect repellent product
JPS6340942U (ko)
GB2417203A (en) Air freshening, deodorising, pesticidal or insect repellent produ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