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9005A - 기능성 마이크로캡슐을 이용한 제품의 제조 및 그의응용방법 - Google Patents

기능성 마이크로캡슐을 이용한 제품의 제조 및 그의응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9005A
KR20020029005A KR1020020014748A KR20020014748A KR20020029005A KR 20020029005 A KR20020029005 A KR 20020029005A KR 1020020014748 A KR1020020014748 A KR 1020020014748A KR 20020014748 A KR20020014748 A KR 20020014748A KR 20020029005 A KR20020029005 A KR 200200290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tural
microcapsules
functional material
functional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4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경
Original Assignee
김창복
주식회사 마이크로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복, 주식회사 마이크로폴 filed Critical 김창복
Priority to KR1020020014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29005A/ko
Publication of KR20020029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900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2Deodorant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being in a special form, e.g. gel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045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at least partially of deodorant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균, 소취, 방향 및 방충성 마이크로 캡슐을 제조하여 제품에 응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구체적으로는 내부물질이 액체로 이루어지고 합성고분자와 천연고분자를 이용해 내부물질의 표면에 막을 형성시켜 내부물질의 방출을 임의로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시기에 기능성 즉, 항균, 소취, 방향 및 방충 기능을 발휘하도록 제조된 마이크로캡슐을 열풍건조법, 냉동건조법 및 여과방법을 이용해 고체화를 시킨 후 제조한 분말형 마이크로캡슐 일정량을 캡슐이 흘러나오지 않을 정도의 밀도를 갖는 섬유류, 종이류, 부직포류 등 합성 및 천연고분자로 이루어진 매체에 담아 시간에 따라 캡슐 내부의 기능성 물질이 서서히 방출되어 기능을 발휘하도록 고안된 것으로써 기능성 신발창용 방향 및 소취제, 방충제용, 차량용 방향제, 가정용방향제 등 생활용품에 응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능성 마이크로캡슐의 구조를 보면, 내부에 항균제, 소취제, 방향성 오일 및 방충제 단독 혹은 그의 혼합물로 이루어져 있고, 오일의 외부에는 멜라민, 우레아, 전분 등 합성 및 천연 고분자로 얇은 막을 형성시켜 입자크기가 3-20㎛의 크기를 갖는 마이크로캡슐로 이루어 졌다. 이렇게 제조한 마이크로캡슐을 일반적인 건조방법인 분무건조법, 냉동건조법 및 여과법 등을 이용하여 분말화한 후 분말이 새어나오지 않을 정도의 밀도를 갖는 합성 및 전연수지로 이루어진 섬유, 종이 및 부직포로 포장하여 신발 깔창에 첨가하거나, 마이크로캡슐분말 단독으로 포장된 포를 방향, 방충 및 소취제로 사용하여 생활용품용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기능성 마이크로캡슐을 이용한 제품의 제조 및 그의 응용방법{The Preparation and It's Application of products used functional microcapsules}
본 발명은 항균, 소취, 방향 및 방충성을 갖는 기능성 제품에 관한 것으로써, 내부의 물질을 서서히 방출시킬 수 있는 마이크로캡슐 분말을 합성 및 천연 수지로 이루어진 필름으로 포장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항균, 소취, 방향 및 방충성 등 기능성이 장시간 지속되도록 고안한 제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방향 및 방충성 제품의 경우 효능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용매에 활성성분을 희석하거나 원액을 종이류나 부직포에 일정량을 함침한 후 건조하여 사용하거나, 함침한 매체를 합성수지로 표면을 코팅하여 방향 및 기타 기능성 휘발 성분이 서서히 방출 되도록 고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한 제품의 경우 기능성 성분이 휘발성이 빠르기 때문에 유통 기간내에 80%이상이 휘발되어 실수요자가 사용하는 시기에 그 효능을 느끼기에는 미미하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상기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매체에 함침된 기능성 물질의 휘발을 다소 감소시킬 목적으로 점성을 갖고 있는 용제와 동시에 함침시켜 기능성을 개선하는 방법을 이용해 문제점을 해결하려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는 원천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기능성성분이 외부로 일정량씩 지속적인 방출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유통기간 동안 방출되는 성분을 막을 수 없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유통기간에는 방출이 거의 일어나지 않고 원하는 시기에 휘발성 성분이 방출 되도록 제품을 제조하여야만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는 통상적인 방법인 계면중합법, 코아세르베이션법, in-suit 중합법으로 제조한 기능성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한 후 분말화하여 밀도가 높은 합성 및 천연 수지로 이루어진 필름으로 일정량씩 포장함으로써 제품의 사용이 편리하고 기능성 물질이 유통기간 동안 방출되지 않음으로써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제품이 갖고 있는 성능의 저하문제 뿐만아니라 사용의 편리성을 추가할 수 있기 때문에 기능성 생활용품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완전히 해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생활용품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방충제, 소취제, 방향제 및 항균제를 어떠한 매체에 혼입 할 경우 기능성 물질의 방출을 제어할 수 없기 때문에 실소비자들이 구입하였을 경우 효능을 느낄 수 없는 단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통해 기능성 물질을 마이크로캡슐화하여 합성 및 천연 수지로 구성되어 있는 필름을 통해 일정한 크기로 포장함으로써 유통기간 중 기능성 물질의 방출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효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제품을 제조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조한 마이크로캡슐 분말 사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조한 기능성 마이크로캡슐 분말을 이용해 제조한 제품의 사진
본 발명은 휘발성 액체의 방출을 제어하기 위하여 마이크로캡슐화 한 후 천연 및 합성 수지로 구성되어 있는 필름으로 마이크로캡슐을 포장하여 제품을 제조함으로서 휘발성 액체의 방출을 조절하여 생활용품에 적용하는 방법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내부물질로 방충제, 항균제, 방향제 및 소취제를 첨가하여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한 후 분말화 한 마이크로캡슐의 사진으로써 내부의 기능성 물질을 외벽인 수지가 보호하고 있기 때문에 방출을 제어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2는 제조한 마이크로캡슐을 합성 및 천연수지 필름으로 포장하여 제조한 제품의 사진으로서 마이크로캡슐 내부에 항균제, 살균제, 방향제, 소취제 등 기능성 물질을 넣고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한 다음 필름으로 포장하여 제조한 것으로 내부의 기능성 물질의 방출을 제어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렇게 제조한 상기의 기능성 마이크로캡슐 포장물을 신발, 신발깔창, 소취제, 방향제 및 방충제용 생활용품으로 이용함으로써 균과 악취를 제거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향기로운 냄새를 발현시킬 수 있는 제품을 제공하고, 특히 기능성 물질의 방출속도를 조절하고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 1]
삼구플라스크에 아라빅검 2중량부를 증류수 65중량부에 용해시키고, 살균 및 소취제로 천연추출물인 유칼리튜스오일을 5중량부로 쟈스민오일 30 중량부 가하여 10000rpm에서 3분간 교반한 후 멜라민 수지 20 중량부를 가하여 60℃까지 온도를 상승시킨 후 2시간 동안 유지하여 우레아로 중화시키고 기능성물질이 30 중량부로 첨가된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한다.
제조한 캡슐을 여과하고 증류수로 수회 세척한 후 상온에서 건조하여 분말화한다. 제조한 분말 2g을 달고 열융착 필름에 넣은 후 열융착하여 마이크로캡슐이 들어있는 포를 제조한다.
본 발명을 통해 고휘산성 액체를 이용해 제조한 생활용품에서 공히 발생하는 문제점으로써 액체물질의 빠른 방출 효과 및 기능성의 저하 등을 막을 수 있는 제품의 개발이 이루어질 수 있는 특징이 있다.

Claims (4)

  1. 내부에 기능성 물질이 들어 있는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고 분말로 제조한 다음 외부로 캡슐이 빠져나오지 않을 정도의 밀도를 갖는 천연 또는 합성수지 필름을 이용해 마이크로캡슐을 포장한 후 공업용품 및 생활용품을 제조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서 기능성 물질로는 향오일, 소취제, 살균제, 항균제 등 천연 및 합성물질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는 마이크로캡슐
  3. 청구항 1에서 천연 및 합성수지 필름은 셀룰로오스, 전분 및 그의 유도체인 천연고분자로 구성된 필름과 폴리에틸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등과 그의 공중합체인 합성고분자로 구성된 필름 단독 또는 그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필름
  4. 청구항 1에서 응용 가능한 제품으로는 신발 및 신발깔창에 제조한 포를 넣고 사용하는 방법과 방향제, 소취제, 방충제 등에 사용할 수 있다.
KR1020020014748A 2002-03-19 2002-03-19 기능성 마이크로캡슐을 이용한 제품의 제조 및 그의응용방법 KR200200290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4748A KR20020029005A (ko) 2002-03-19 2002-03-19 기능성 마이크로캡슐을 이용한 제품의 제조 및 그의응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4748A KR20020029005A (ko) 2002-03-19 2002-03-19 기능성 마이크로캡슐을 이용한 제품의 제조 및 그의응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9005A true KR20020029005A (ko) 2002-04-17

Family

ID=19719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4748A KR20020029005A (ko) 2002-03-19 2002-03-19 기능성 마이크로캡슐을 이용한 제품의 제조 및 그의응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2900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573B1 (ko) * 2010-06-11 2012-04-19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섬유 가공처리용 아로마 캡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49867A (ko) * 2013-10-31 2015-05-08 (주)아모레퍼시픽 캡슐화된 향기를 포함하는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573B1 (ko) * 2010-06-11 2012-04-19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섬유 가공처리용 아로마 캡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49867A (ko) * 2013-10-31 2015-05-08 (주)아모레퍼시픽 캡슐화된 향기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63027B1 (ko) 2013-10-31 2020-01-07 (주)아모레퍼시픽 캡슐화된 향기를 포함하는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426314A (zh) 芳香水凝胶空气清新剂用具包
JP4870925B2 (ja) 揮発性物質の制御放出用ディスペンサー
WO1988007383A1 (en) Membrane-gel diffusion device
US6394264B2 (en) Perfuming device for perfuming the headspace of a container
US6352210B1 (en) Fragranced rice hull air fresheners
JPWO2003099343A1 (ja) 揮散装置
JP6835818B2 (ja) セルロース、ヘミセルロース、リグニンを含有するエアフレッシュナーゲル
KR20020029005A (ko) 기능성 마이크로캡슐을 이용한 제품의 제조 및 그의응용방법
WO2013030153A1 (en) Carrageenan gel air freshener
JPS6122583B2 (ko)
JP2000281505A (ja) 揮散性包装体
JP2004254550A (ja) 薬剤収納体
EP1159204B1 (en) Perfuming device for perfuming the headspace of a container
JP2000198702A (ja) 通気性容器収納型殺虫剤
KR20080073555A (ko) 방향제 또는 탈취제가 포함된 마스터뱃치와 이를 이용한합성수지 제조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5126393A (ja) 放香防虫製品
KR20190135137A (ko)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탈취제
JPH0692807A (ja) 衣類用防虫剤
JPS61127742A (ja) 表面被覆材
JP2004331174A (ja) 揮散性薬剤包装用フィルム及び該フィルムを用いた包装体
WO2005041658A1 (ja) ゲル材
JP2002079043A (ja) 除湿器
KR20140100137A (ko) 좀방지체 및 좀방지체 제조방법
JPH01299556A (ja) 加熱揮散方法
MXPA98009839A (es) Elastomeros de silicona con efecto insecticid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