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4597A - 고압 방전 램프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고압 방전 램프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4597A
KR20190134597A KR1020197023476A KR20197023476A KR20190134597A KR 20190134597 A KR20190134597 A KR 20190134597A KR 1020197023476 A KR1020197023476 A KR 1020197023476A KR 20197023476 A KR20197023476 A KR 20197023476A KR 20190134597 A KR20190134597 A KR 20190134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stors
light emitting
pressure discharge
reflector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3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노리 가와시마
도모노리 하라다
요시유키 요시모토
요시유키 에노모토
다쿠미 도가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브이 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브이 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브이 테크놀로지
Publication of KR20190134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45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8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and specially adapted for lamps without preheating electrodes, e.g. for high-intensity discharge lamps, high-pressure mercury or sodium lamps or low-pressure sodium lamps
    • H05B41/2881Load circuit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025Associated optical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12Selection of substances for gas fillings; Specified operating pressure or temperature
    • H01J61/16Selection of substances for gas fillings; Specified operating pressure or temperature having helium, argon, neon, krypton, or xenon as the principle constitu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8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and specially adapted for lamps without preheating electrodes, e.g. for high-intensity discharge lamps, high-pressure mercury or sodium lamps or low-pressure sodium lamps

Landscapes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 Exposure And Positioning Against Photoresist Photosensitive Material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고압 방전 램프 (1) 는, 발광관 (10) 과, 발광관 (10) 의 길이 축선 둘레에 형성되는 구면상 또는 비구면상의 반사면 (22) 과, 발광관 (10) 이 간극 (s) 을 갖고 삽입 가능한 삽입공 (23) 을 갖는 리플렉터 (20) 와, 발광관 (10) 과, 리플렉터 (20) 가 각각 고정되는 애자 (30) 와, 애자 (30) 의 내부에 배치되고, 각각 상이한 저항값을 갖고, 각각 병렬 접속되는 복수의 저항체 (37, 38) 를 구비한다. 이로써, 램프 자체에서 램프의 대략적인 사용 시간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고압 방전 램프 및 그 제어 방법
본 발명은, 고압 방전 램프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노광 장치의 다등의 광원부를 구성하는 고압 방전 램프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 장치의 컬러 필터나, 프린트 배선 기판을 제조할 때에 사용되는 노광 장치에서는, 노광 영역의 확대가 요구되고 있는 점에서, 광원부의 출력도 높일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 때문에, 제조 비용 등에서 유리한, 비교적 저조도의 고압 방전 램프를 복수 사용하여, 광원부를 구성하도록 한 것이 여러 가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의 고압 방전 램프 (100) 로는, 방전하여 광을 발광하는 발광관 (110) 과, 발광관 (110) 으로부터의 광에 지향성을 갖게 하여 출사하는 리플렉터 (120) 와, 발광관 (110) 과 리플렉터 (120) 를 고정시키는 애자 (130) 와, 발광관 (110) 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와이어 (140) 를 주로 구비한다. 발광관 (110) 내에는, 할로겐 가스, 수은, 시동용 아르곤 등이 봉입된 내부 공간을 갖는 발광부 (111), 발광부 (111) 의 내부 공간을 봉지하는 1 쌍의 봉지부 (112, 113), 및, 발광부 (111) 내에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1 쌍의 전극 (114, 115) 이 형성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광원 장치에서는, 방전 램프 (100) 가 순정품인지의 여부를 고정밀도, 단시간 또한 저비용으로 검사할 수 있도록, 애자 (130) 의 내부에 백열등 (131) 이 형성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보 제5869713호
그런데, 고압 방전 램프에 있어서는, 동일한 조도를 출력하기 위해 사용 초기에는 방전하는 전력이 작은 한편, 사용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방전하는 전력이 커진다. 이 때문에, 고압 방전 램프가 동일한 조도를 출력하기 위해서는, 사용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인가 전력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점에서, 최적의 전력을 인가하기 위해, 대략적인 사용 시간을 램프 자체에서 확인할 수 있을 것이 요망되고 있다. 특허문헌 1 에서는, 램프 자체의 사용 시간을 파악하는 것에 대해 고려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램프 자체에서 램프의 대략적인 사용 시간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한 고압 방전 램프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하기의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1) 발광관과,
상기 발광관의 길이 축선 둘레에 형성되는 구면상 또는 비구면상의 반사면과, 상기 발광관이 간극을 갖고 삽입 가능한 삽입공을 갖는 리플렉터와,
상기 발광관과, 상기 리플렉터가 각각 고정되는 애자와,
상기 애자의 내부에 배치되고, 각각 상이한 저항값을 갖고, 각각 병렬 접속되는 복수의 저항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방전 램프.
(2) 상기 애자는, 상기 발광관과 상기 리플렉터의 삽입공 사이에 형성된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개방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저항체가 배치되는 수용 공간은, 상기 개방부에 대해, 상기 리플렉터와 반대측에서, 상기 애자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에 기재된 고압 방전 램프.
(3) (1) 또는 (2) 에 기재된 고압 방전 램프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저항체는, 상기 저항값이 낮은 상기 저항체부터 순서대로 용단되도록 상기 저항체에 인가하는 전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방전 램프의 제어 방법.
(4) 상기 복수의 저항체의 합성 저항값에 따라, 상기 고압 방전 램프에 대한 인가 전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 에 기재된 고압 방전 램프의 제어 방법.
(5) (1) 또는 (2) 에 기재된 고압 방전 램프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저항체의 합성 저항값을 모니터하면서, 상기 저항값이 낮은 상기 저항체부터 순서대로 용단되도록 상기 복수의 저항체에 전류를 인가하고,
상기 합성 저항값이 커졌을 때에, 상기 인가하는 전류를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방전 램프의 제어 방법.
본 발명의 고압 방전 램프에 의하면, 각각 상이한 저항값을 갖는 복수의 저항체가, 각각 병렬 접속되어, 애자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합성 저항값을 확인함으로써 저항체가 용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파악하여, 램프 자체에서 램프의 대략적인 사용 시간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고압 방전 램프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고압 방전 램프의 측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에 나타내는 고압 방전 램프의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1 에 나타내는 고압 방전 램프를, 도 3 과 직교하는 위치에서 절단한 단면도를 제어 회로와 함께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본 실시형태의 고압 방전 램프가 램프 홀더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은, 램프의 수명 시간을 관리하기 위한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은, 종래의 고압 방전 램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고압 방전 램프에 대해, 도 1 ∼ 도 5 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고압 방전 램프 (1) 는, 방전하여 광을 발광하는 유리제의 발광관 (10) 과, 발광관 (10) 으로부터의 광에 지향성을 갖게 하여 출사하는 리플렉터 (20) 와, 발광관 (10) 과 리플렉터 (20) 를 각각 고정시키는 애자 (30) 와, 발광관 (10) 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와이어 (16, 17) (도 4 참조) 를 주로 구비한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광관 (10) 은, 1 쌍의 전극 (11, 12) 이 대향하여 배치되는 타원체상의 발광관부 (13) 와, 그 발광관부 (13) 의 양 단부에 연접되고, 1 쌍의 전극 (11, 12) 의 길이 축선 (X) 을 따라 연장되는 1 쌍의 측관부 (14, 15) 를 갖는다. 또, 발광관부 (13) 의 내부 공간 내에는, 할로겐 가스, 수은, 시동용 아르곤 등이 봉입되어 있고, 1 쌍의 측관부 (14, 15) 는, 발광관부 (13) 의 내부 공간을 봉지한다. 또한, 발광관부 (13) 의 형상은, 구면상이어도 된다.
리플렉터 (20) 는, 길이 축선 (X) 방향의 일방측에 형성되고, 일방의 측관부 (14) 가 돌출되는 개구부 (21) 와, 길이 축선 (X) 둘레에 형성되는 포물면상의 반사면 (22) 과, 길이 축선 (X) 방향의 타방측에 형성되고, 타방의 측관부 (15) 가 간극 (g) 을 갖고 삽입 가능한 삽입공 (23) 을 갖는다. 또한, 리플렉터 (20) 의 반사면 (22) 은, 포물면상에 한정되지 않고, 타원면상이나 구면상이어도 된다. 즉, 본 발명의 리플렉터의 반사면은, 구면상 또는 비구면상이면 된다.
발광관 (10) 은, 일방의 측관부 (14) 내로 연장되는 일방의 전극 (11) 을 애노드 (양극) 로 하고, 타방의 측관부 (15) 내로 연장되는 타방의 전극 (12) 을 캐소드 (음극) 로 하고 있다. 일방의 측관부 (14) 의 선단부, 및 타방의 측관부 (15) 의 기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전선은, 급전에 사용되는 1 쌍의 와이어 (16, 17) 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 1 쌍의 와이어 (16, 17) 는, 점등용 전원 (35) 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일방의 측관부 (14) 와 접속된 와이어 (16) 는, 리플렉터 (20) 에 장착된 받침대 (24) 를 통하여 외부로 도출된다.
리플렉터 (20) 는, 공기그릇상의 바닥부의 외측에 애자 (30) 의 베이스부 (31) 를 덮고, 그 접합부를 접착제로 고착시키고 있다 (도 4 참조). 또, 애자 (30) 의 베이스부 (31) 의 통상의 중앙 부분은, 리플렉터 (20) 의 삽입공 (23) 내에 삽입되는 타방의 측관부 (15) 의 기단측 부분을 유지하는 유지부 (32) 를 구비한다. 타방의 측관부 (15) 는, 이 유지부 (32) 에서 애자 (30) 와 접착제로 고정된다.
따라서, 리플렉터 (20) 및 발광관 (10) 의 타방의 측관부 (15) 는, 애자 (30) 에 각각 고정되고, 리플렉터 (20) 와 발광관 (10) 은 접착되어 있지 않고, 타방의 측관부 (15) 와 리플렉터 (20) 의 삽입공 (23) 사이의 간극은, 공간 (s) 을 형성한다.
애자 (30) 는, 상기 서술한 베이스부 (31) 와, 유지부 (32) 를 포함하여 그 베이스부 (31) 의 후방을 덮는 커버부 (33) 를 갖는다. 커버부 (33) 의 바닥부 (33a) 는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평탄한 바닥부 (33a) 에 도시되지 않은 램프 누름 커버를 맞닿게 하고, 이 램프 누름 커버와 도 5 에 나타내는 램프 홀더 (50) 를 결합함으로써, 램프 (1) 를 램프 홀더 (50) 에 고정시켜도 된다.
도 3 으로 돌아와, 애자 (30) 의 베이스부 (31) 는, 타방의 측관부 (15) 와 리플렉터 (20) 의 삽입공 (23) 사이의 공간 (s) 과 외부를 연통함과 함께, 타방의 측관부 (15) 를 외부에 개방한 2 개의 개방부 (34) 를 갖는다. 그리고,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램프 (1) 가 램프 홀더 (50) 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램프 홀더 (50) 의 후방에서 에어를 끌어들여 배기함으로써, 램프 (1) 의 전면으로부터 거두어들인 에어가, 공간 (s) 과 개방부 (34) 를 통과하여, 발광관 (10) 을 냉각시킨다. 따라서, 공간 (s) 과 개방부 (34) 는, 냉각로를 형성한다.
또, 리플렉터 (20) 의 개구부 (21) 의 외연은, 모퉁이부가 모따기된 대략 정방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4 개의 모퉁이부 중 하나는, 얼라인먼트용의 절결 (26) 로 되어, 3 개의 모퉁이부와 상이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로써, 램프 (1) 가 램프 홀더 (50) 에 장착되면, 램프 (1) 는,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얼라인먼트된다.
발광관 (10) 은, 상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온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상측을 통과하는 공기의 양을 많게 하면, 냉각 효율이 오른다.
이 때문에, 램프 홀더 (50) 가 장착되는 조명 장치에 있어서, 애자 (30) 에 형성된 2 개의 개방부 (34) 가 상하 방향에 위치하도록, 램프 (1) 가 얼라인먼트되어 램프 홀더 (50) 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측에 위치하는 개방부 (34) 의 개구 면적을, 하측에 위치하는 개방부 (34) 의 개구 면적보다 커지도록, 애자 (30) 의 형상을 비대칭으로 하여, 냉각 효율을 더욱 높여도 된다.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방부 (34) 의 개구 간극 (g) 은, 길이 축선 (X) 을 통과하는 2 개의 평면에 의해 규정되어 있고, 그 2 개의 평면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를 바꿈으로써, 그 개구 간극 (g), 나아가서는 개구 면적을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의 램프 (1) 에서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애자 (30) 의 베이스부 (31) 와 커버부 (33) 로 둘러싸이는 수용 공간 (Sp) 에, 각각 상이한 저항값을 갖고, 각각 병렬 접속되는 복수 (본 실시형태에서는 2 개) 의 저항체 (37, 38) 를 구비하고 있다.
저항체 (37, 38) 로는, 백열등의 필라멘트나 금속 와이어 외에, 금속 피막 저항, 카본 저항 퓨즈, 바이메탈, 열전쌍 등, 전류를 흐르게 하였을 때에 부하를 발생시키는 것이면 어느 것이어도 된다.
이들 저항체 (37, 38) 는, 외부의 급전 와이어 (36) 를 통하여, 저항체용 전원 (39) 과 접속되어 있고, 또, 급전 와이어 (36) 를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측정부 (40) 와도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저항체용 전원 (39) 및 측정부 (40) 는, 상기 서술한 점등용 전원 (35) 과 함께, 타이머 (42) 를 내장한 제어 장치 (41) 에 접속되어 있다.
저항체 (37, 38) 는, 병렬 접속되어 있으므로, 개개의 저항의 양단에 가해지는 전압은 동등하고, 발생하는 줄열 P 는, V2/R 이기 때문에, 저항값이 작은 편이 줄열은 커진다.
예를 들어, 저항체 (37, 38) 는, 재질 (ρ : 저항률), 굵기 (S : 단면적) 가 동일하고, 길이 d1, d2 (> d1) 가 상이한 것으로 한 경우, 저항체 (37, 38) 의 저항값 R1, R2 는, R1 < R2 가 된다. 이 경우, 발생하는 줄열 P1, P2 는,
P1 = V2/R1 = V2/(ρd1/S)
P2 = V2/R2 = V2/(ρd2/S)
가 된다.
따라서, P1/P2 = R1/R2 = d2/d1 이므로, 줄열의 비는, 길이의 비가 된다.
또, 저항체 (37, 38) 는, 단위 체적당에 발생하는 줄열이 일정한 값을 초과하면, 녹기 시작한다.
단면적 S 는 동일하므로, 단위 체적당에 발생하는 줄열로는, 저항체 (37) 는, 저항체 (38) 의 4 배가 되고, 저항체 (37) 가 먼저 녹아 단선된다. 따라서, 램프의 사용 시간이 소정 시간이 된 시점에서, 저항체용 전원 (39) 으로부터 소정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저항값이 낮은 저항체부터 순서대로 용단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장치 (41) 에 내장된 타이머 (42) 가, 점등용 전원 (35) 을 감시함으로써, 램프 (1) 의 사용 시간을 계측한다. 그리고, 램프 (1) 의 사용 시간이 제 1 소정 시간이 된 시점에서, 저항체용 전원 (39) 으로부터 제 1 소정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저항값이 낮은 저항체 (37) 가 용단된다. 또, 램프 (1) 의 사용 시간이 제 1 소요 시간보다 긴 제 2 소정 시간이 된 시점에서, 저항체용 전원 (39) 으로부터 제 1 소정 전압보다 높은 제 2 소정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저항값이 높은 저항체 (38) 가 용단된다.
또, 측정부 (40) 에서 급전 와이어 (36) 를 흐르는 전류를 측정함으로써, 이들 저항체 (37, 38) 의 합성 저항값을 파악한다. 그리고, 어느 저항체 (37, 38) 가 용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램프의 대략적인 사용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각 저항체의 저항값을 미리 측정해 두고, 사용 시간과의 관계는 데이터화해 둔다. 또, 이 데이터는, 테이블로서 제어 장치 (41) 에 격납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제어 장치 (41) 는, 램프 (1) 의 사용 시간, 즉, 측정부 (40) 에서 측정되는 저항체 (37, 38) 의 합성 저항값에 따라, 램프 (1) 에 인가하는 점등용 전원 (35) 의 전압을 제어한다.
또한, 저항체 (37, 38) 는, 전압 제어뿐만 아니라, 전류 제어나, 전력 제어여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고압 방전 램프 (1) 는,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복수씩 램프 홀더 (50) 에 장착됨으로써, 노광 장치용의 광원부로서 적용된다. 따라서, 각 램프 (1) 의 인가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각 램프 (1) 로부터의 균일한 조도로 노광용의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또, 도시되지 않은 배기 장치에 의해, 램프 홀더 (50) 의 배면측의 에어를 배기함으로써, 램프 홀더 (50) 의 전면측으로부터의 에어를, 각 고압 방전 램프 (1) 의 공간 (s) 을 냉각로로 하여 램프 (1) 에 거두어들임으로써, 각 램프 (1) 를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램프 홀더 (50) 의 배면측은, 램프 누름 커버와 협동하여 밀폐 공간을 구성하고, 그 밀폐 공간으로부터 에어를 배기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애자 (30) 의 개방부 (34) 는, 램프 (1) 를 냉각시키는 에어가 통과하지만, 저항체 (37, 38) 가 배치되는 수용 공간 (Sp) 은, 개방부 (34) 에 대해, 리플렉터 (20) 와 반대측에서, 애자 (30) 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저항체 (37, 38) 의 용단이, 개방부 (34) 를 통과하는 에어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고압 방전 램프 (1) 에 의하면, 각각 상이한 저항값을 갖는 복수의 저항체 (37, 38) 가, 각각 병렬 접속되어, 애자 (30) 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합성 저항값을 확인함으로써 저항체 (37, 38) 가 용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파악하여, 램프 자체에서 램프의 대략적인 사용 시간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형태의 고압 방전 램프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복수의 저항체 (37, 38) 는, 저항값이 낮은 저항체 (37) 부터 순서대로 용단되도록 저항체용 전원 (39) 에 인가하는 전압을 제어하므로, 합성 저항값을 확인함으로써 저항체 (37, 38) 가 용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파악하여, 램프 자체에서 램프의 대략적인 사용 시간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복수의 저항체 (37, 38) 의 합성 저항값에 따라, 고압 방전 램프 (1) 에 대한 인가 전압을 제어하므로, 램프 (1) 의 사용 시간에 상관없이, 균일한 조도의 노광용의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절히 변형, 개량 등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발광관과 와이어의 접속의 방법이나, 발광관 내부의 구성은, 본 실시형태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종래의 임의의 것을 적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회로를 사용하여, 수명 시간의 관리를 실시하도록 해도 된다. 즉, 직렬로 배치된 저항체 (ri) 와 퓨즈 (Fi) (각각, i = 1, 2, …, n ; n 은 2 이상의 정수) 가, 병렬로 n 열 배치된다. 저항체 (ri) 는, 각각 저항값이 상이하고, 퓨즈 (Fi) 가 끊어지는 전류값은 각각 상이하다. 수명 시간을 관리할 때에는, 저항체용 전원 (39) 으로부터 상이한 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써, 각 퓨즈 (Fi) 를 소정 시간 경과할 때마다 절단한다. 또한, 저항체용 전원 (39) 의 r 은, 전원의 내부 저항을 나타내고 있다.
또, 저항체용 전원 (39) 의 전압을 제어하여, 각 퓨즈 (Fi) 를 순서대로 절단함으로써, 수명 시간의 관리를 실시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모든 저항체 (ri) 와 퓨즈 (Fi) 의 합성 저항값을 판정 회로에서 판정함으로써, 램프 (1) 의 사양을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사양이 상이한 램프 (1) 를 점등시킨 상태에 있어서도, 수명 관리가 가능해져, 정상적으로 또한 안전하게 점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로는, 퓨즈 (Fi) 를 형성하지 않고, 저항값이 각각 상이한 복수의 저항체 (ri) 를 병렬로 배치하도록 하고, 저항체용 전원 (39) 으로부터 상이한 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써, 각 저항체 (ri) 가 소정 시간 경과할 때마다 순서대로 용단되도록 해도 된다.
실시예
이하, 복수의 저항체 (ri) 를 병렬 접속시킨 회로에 전류를 흐르게 하여, 저항체 (ri) 를 용단하는 2 개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예 1)
실시예 1 에서는, 직경 0.2 ㎜, 길이 5 ㎝ 의 니크롬선으로 이루어지는 저항체 r1 과, 직경 0.2 ㎜, 길이 10 ㎝ 의 니크롬선으로 이루어지는 저항체 r2 를 갖는 2 개의 저항체를 병렬 접속시킨 회로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상기 회로에 전류를 흐르게 한 결과, 약 4.5 A 에서 길이 5 ㎝ 의 저항체 r1 만을 용단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
실시예 2 에서는, 직경 0.2 ㎜, 길이 3 ㎝ 의 니크롬선으로 이루어지는 저항체 r1 과, 직경 0.3 ㎜, 길이 3 ㎝ 의 니크롬선으로 이루어지는 저항체 r2 와, 0.4 ㎜, 길이 3 ㎝ 의 니크롬선으로 이루어지는 저항체 r3 을 갖는 3 개의 저항체를 병렬 접속시킨 회로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상기 회로에 전류를 흐르게 한 결과, 8 A 를 흐르게 한 시점에서, 저항체 r3 이 적열하기 시작하고, 10 A 에서 저항체 r2 가 적열, 14 A 에서 저항체 r1 이 적열하기 시작하였다. 또한, 14 A 로 전류를 계속 흐르게 한 결과, 저항체 r3 이 용단되고, 모니터하고 있던 합성 저항값이 급격하게 커졌다. 이 때, 전류를 흐르게 하는 것을 정지함으로써, 저항체 r3 만을 용단할 수 있었다.
즉, 이 예에서는, 저항체의 용단으로 판단되는 크기의 합성 저항값의 상승이 검지되었을 때에, 전류를 흐르게 하는 것을 일단 정지하여, 1 개의 저항체만을 용단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 후, 동일하게 전류를 상승시켜 나가, 저항체 r2, 저항체 r1 을 순서대로 용단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은, 2017년 4월 4일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일본 특허출원 2017-074742호) 에 기초하는 것이며,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받아들여진다.
1 : 고압 방전 램프
10 : 발광관
11, 12 : 전극
13 : 발광관부
14, 15 : 측관부
20 : 리플렉터
21 : 개구부
22 : 반사면
23 : 삽입공
30 : 애자
34 : 개방부
37, 38, r1, r2, r3 : 저항체
41 : 제어 장치
Sp : 수용 공간

Claims (5)

  1. 발광관과,
    상기 발광관의 길이 축선 둘레에 형성되는 구면상 또는 비구면상의 반사면과, 상기 발광관이 간극을 갖고 삽입 가능한 삽입공을 갖는 리플렉터와,
    상기 발광관과, 상기 리플렉터가 각각 고정되는 애자와,
    상기 애자의 내부에 배치되고, 각각 상이한 저항값을 갖고, 각각 병렬 접속되는 복수의 저항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방전 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애자는, 상기 발광관과 상기 리플렉터의 삽입공 사이에 형성된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개방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저항체가 배치되는 수용 공간은, 상기 개방부에 대해, 상기 리플렉터와 반대측에서, 상기 애자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방전 램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고압 방전 램프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저항체는, 상기 저항값이 낮은 상기 저항체부터 순서대로 용단되도록 상기 저항체에 인가하는 전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방전 램프의 제어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저항체의 합성 저항값에 따라, 상기 고압 방전 램프에 대한 인가 전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방전 램프의 제어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고압 방전 램프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저항체의 합성 저항값을 모니터하면서, 상기 저항값이 낮은 상기 저항체부터 순서대로 용단되도록 상기 복수의 저항체에 전류를 인가하고,
    상기 합성 저항값이 커졌을 때에, 상기 인가하는 전류를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방전 램프의 제어 방법.
KR1020197023476A 2017-04-04 2018-04-02 고압 방전 램프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1345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74742 2017-04-04
JPJP-P-2017-074742 2017-04-04
PCT/JP2018/014178 WO2018186371A1 (ja) 2017-04-04 2018-04-02 高圧放電ランプ及びその制御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4597A true KR20190134597A (ko) 2019-12-04

Family

ID=63712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3476A KR20190134597A (ko) 2017-04-04 2018-04-02 고압 방전 램프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7136467B2 (ko)
KR (1) KR20190134597A (ko)
CN (1) CN110547051B (ko)
TW (1) TWI795397B (ko)
WO (1) WO20181863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67782B2 (ja) * 2018-02-26 2022-05-16 株式会社ブイ・テクノロジー 高圧放電ランプ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69713A (ja) 1981-10-20 1983-04-26 エスケイエフ・ステイ−ル・エンジニアリング・アクテイエボラ−ク シリカ含有粉末材料からのシリコン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248C (zh) * 1995-09-12 2002-06-12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高压放电灯
JP3951051B2 (ja) 1996-04-10 2007-08-0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投写型表示装置
JPH10177898A (ja) * 1996-12-18 1998-06-30 Fujitsu Ltd ランプユニット及びランプユニット制御装置
DE29823366U1 (de) * 1998-08-06 1999-07-08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Elektrode für eine Hochdruckentladungslampe mit langer Lebensdauer
US6270460B1 (en) 1999-06-24 2001-08-07 Acuson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to limit the life span of a diagnostic medical ultrasound probe
JP2006093009A (ja) * 2004-09-27 2006-04-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高圧放電灯点灯装置及び照明装置
JP4101269B2 (ja) * 2006-03-31 2008-06-18 株式会社オーク製作所 光源装置
CN201263241Y (zh) * 2008-09-22 2009-06-24 刘荣 一种日光灯电子镇流器
JP4737309B2 (ja) * 2009-02-26 2011-07-27 株式会社デンソー 放電灯ユニット
JP5376409B2 (ja) * 2010-01-07 2013-12-25 ウシオ電機株式会社 光源装置および光照射装置
JP5606627B2 (ja) * 2011-06-27 2014-10-15 三菱電機株式会社 車載用ヘッドランプ
CN103048887A (zh) * 2012-11-23 2013-04-17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四十五研究所 一种光刻设备中超高压汞灯的恒光强控制电路
CN103052247B (zh) * 2012-11-23 2016-04-27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四十五研究所 一种光刻设备中超高压汞灯的启动电流限制电路
CN104684229A (zh) * 2013-11-29 2015-06-03 上海微电子装备有限公司 用于超高压汞灯供电的大功率电源的控制系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69713A (ja) 1981-10-20 1983-04-26 エスケイエフ・ステイ−ル・エンジニアリング・アクテイエボラ−ク シリカ含有粉末材料からのシリコン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547051A (zh) 2019-12-06
JPWO2018186371A1 (ja) 2020-02-20
TW201839521A (zh) 2018-11-01
WO2018186371A1 (ja) 2018-10-11
CN110547051B (zh) 2021-08-06
JP7136467B2 (ja) 2022-09-13
TWI795397B (zh) 2023-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82333A1 (en) Metal halide lamp and ligh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7385340B2 (en) Lamp arrangement with a lamp and a base
KR20190134597A (ko) 고압 방전 램프 및 그 제어 방법
US6577065B2 (en) Electric lamp with light source extinguishing arrangement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KR102483865B1 (ko) 고압 방전 램프
JP3032504B2 (ja) 蛍光ランプ、この蛍光ランプの製造方法およびこの蛍光ランプを用いた照明装置
JP2006302575A (ja) ランプ
JP7067782B2 (ja) 高圧放電ランプ
JP3324570B2 (ja) 電球形蛍光ランプ
WO2020069723A1 (en) Linear led light source
US11508568B2 (en) Excimer lamp
JP5528994B2 (ja) 車輌用放電灯
KR101534324B1 (ko) 방전램프
JP4445954B2 (ja) 蛍光ランプ
US873793A (en) Safety-fuse indicator.
JP2704163B2 (ja) ヒューズ抵抗器とその製造方法
JP4257359B2 (ja) 温度検知用複号線を備える光源
JP2004281098A (ja) メタルハライドランプ
JPWO2019039427A1 (ja) 光源装置、露光装置、および光源装置の判定方法
JP2011100682A (ja) 光源装置
JP2006092925A (ja) 蛍光ランプ及び照明装置
JP2003123702A (ja) 蛍光ランプ
JP2008135214A (ja) 蛍光ランプ
JP2006286378A (ja) 蛍光ランプ装置及び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